KR20110126410A -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410A
KR20110126410A KR1020100046073A KR20100046073A KR20110126410A KR 20110126410 A KR20110126410 A KR 20110126410A KR 1020100046073 A KR1020100046073 A KR 1020100046073A KR 20100046073 A KR20100046073 A KR 20100046073A KR 20110126410 A KR20110126410 A KR 20110126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algae
polysaccharide
supernatant
centrifuging
eth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101B1 (ko
Inventor
유상권
조명래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1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조류를 에틸알코올을 이용하여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한 후, 증류수와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다당류를 수득하고, 이를 이온 교환 컬럼을 이용하여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분리/분획하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당류를 면역 증강 활성을 가지는 약제 및 건강기능식품 원료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면역관련 사이토카인인 NO, TNF-α, IL-1β, PGE2등의 물질을 분비하여 면역 활성을 증강시켜주며, 식품산업에서는 면역증강용 기능성 식품으로, 면역기능이 약한 사람의 면역 활성 증강을 위한 보조 식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식품 소재 개발 산업에 있어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으로 사료된다.

Description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A polysaccharide having immune enhancing activity from green alga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조류를 에틸알코올을 이용하여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한 후, 증류수와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다당류를 수득하고, 이를 이온 교환 컬럼을 이용하여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분리/분획하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당류를 면역 증강 활성을 가지는 약제 및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개발하는 것이다.
해조류는 통상 바다에서 자생 또는 양식되는 거대조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서식하는 수심과 조체의 빛깔에 따라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나뉜다. 그 중, 녹조류는 일반적으로 만조와 간조의 사이 또는 해안 지역에 많이 서식 하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녹조류에는 미네랄, 비타민, 단백질,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매생이, 감태 (가시파래), 파래 등의 녹조류는 예부터 우리 선조들이 즐겨 먹는 먹거리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이렇게 영양이 풍부한 녹조류는 현재까지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산업적으로 크게 이용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녹조류의 세포벽에는 “울반” 이라 불리는 수용성 다당류가 존재 하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생리활성으로 항암, 항바이러스, 항혈액응고 등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울반의 면역 증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해조류 유래 다당류에 대한 특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2-2245980호에서는 ‘김으로부터 고지혈증 개선효과가 있는 포피란을 추출 및 정제하는 방법’에서는 김(pophyra yezoensis)으로부터 포피란 (porphyran)을 추출 및 정제하는 방법과, 종래 기술의 단점인 낮은 제품수율, 인체 건강상 유해한 맹독성의 세칠피리디니움 크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사용, 다량의 에탄올 소비 등을 개선하는 방안이 제시 되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7-0049465호는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 및 비만억제 기능성을 동시에 보유한 천연복합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은 미역, 김, 다시마, 톳 등에서 다당류를 추출하고, 갈조류에서 퓨코스테롤을 추출한 후, 마늘 추출물인 알리신과 혼합하여 복합 농축액을 만들었다.
또한 녹조류의 면역증강 활성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7495호 ‘한국산 파래 유래의 면역증강용 추출물, 그 추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에 한국산 녹조류에 증류수를 가하여 교반한 후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는 수용성 성분의 추출방법 또는 상기 상등액에 황산암모늄을 가하여 단백질 성분을 침전시킨 후,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렉틴 분획 물질을 분리하는 렉틴 성분의 추출방법에 의해 수득한 녹조류 추출물이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없이 면역력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어 면역증강용 약제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최 등의 연구(최용석, 구재근; 가시파래 (Enteromorpha prolifera)로부터 산성다당의 당구조 특성;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2001. 01.01) 에 녹조류 중 갈파래가 황산기를 함유한 다당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 산성 다당은 항종양성, 항 바이러스성, 면역활성증강, 항혈액 응고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홑파래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이 Sarcoma-180 cell에 대한 항암효과 및 면역활성이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녹조류로부터 다당류를 제조하고, 이들의 면역증강 활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이 되나 산업적으로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는 녹조류를 산업화에 이용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가 면역 증강 활성을 가지며, 이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하였을 경우 활성이 크게 증가되는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제된 다당류 분획물을 이용하여 면역증강용 기능성 식품의 원료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 활성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표적인 녹조류로 가시파래 (Enteromorpha prolifera)를 선별하여, 이로부터 면역증강활성을 가지는 다당류를 제조한 후, 제조된 다당류의 산화질소(NO), 종양 괴사 인자-α (TNF-α), 인터류킨 1β (IL-1β)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등 면역 관련 사이토카인의 분비 효과를 평가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녹조류 유래 다당류가 상기의 면역증진 관련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상기에서 수득한 다당류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 할 경우, 면역증강활성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건조된 녹조류를 에틸알코올로 교반추출 후 원심분리로 펠렛을 획득하여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수득한 펠렛을 물과 에틸알코올을 이용하여 다당류를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다당류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 녹조류에 에틸알코올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펠렛을 아세톤을 사용하여 펠렛에 남아있는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 하는 단계; 상기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이 제거된 시료를 원심분리하여 최종 펠렛을 수득한 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에서 수득된 분말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 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상등액을 농축하고, 농축된 상등액에 에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상등액에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를 여과, 세척하여 다당류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된 다당류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활성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활성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녹조류라 함은 파래, 클로렐라, 청각, 매생이, 해캄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녹조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이라 함은 내재된 약리작용에 의해 그 의약품의 효능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군(약리학적 활성성분 등이 밝혀지지 않은 생약 등을 포함한다)으로서 주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조류 유래 다당류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및 피부에 직접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면역증강 활성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등이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녹조류 유래 다당류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해조류로서 녹조류로 가시파래를 원료로 사용하여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제조하였다. 우선 상기 선택된 녹조류를 건조하고, 건조된 시료를 80% 에틸알코올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추출을 수행하고,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수득한다. 수득된 펠렛을 80% 에틸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수득한다. 수득된 펠렛은 아세톤을 이용하여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건조된 녹조류 분말을 획득한다.
상기에서 수득한 녹조류 분말을 증류수를 첨가하여 60℃에서 2시간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수득한다. 펠렛은 다시 증류수를 첨가하여 60℃에서 2시간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수득한다. 상기의 2회에서 수득된 상등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 후,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다당류를 침전 시켰고, filtration을 이용하여 다당류를 획득 하였다. 획득된 다당류는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3개의 fraction으로 분리 하였고, 분리하기 전의 다당류와 분리한 후 다당류를 이용하여 NO, TNF-α, IL-1β, PGE2등의 면역관련 사이토카인 분비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녹조류 면역관련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NO, TNF-α, IL-1β, PGE2등의 면역관련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으로써 면역 증강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는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면역관련 사이토카인인 NO, TNF-α, IL-1β, PGE2등의 물질을 분비하여 면역 활성을 증강시켜주며, 식품산업에서는 면역증강용 기능성 식품으로, 면역기능이 약한 사람의 면역 활성 증강을 위한 보조 식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식품 소재 개발 산업에 있어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와 분리된 다당류의 NO 분비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와 분리된 다당류의 TNF-α 분비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와 분리된 다당류의 IL 1β 분비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와 분리된 다당류의 PGE2 분비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녹조류에서 다당류 추출
본 실시예에서는 녹조류 가시파래로부터 다당류를 추출하였다.
우선 가시파래를 60℃에서 2일간 열풍건조하였다. 건조된 해조류 50g에 80% 에틸알코올 500m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2회 반복하고, 수득된 펠렛을 아세톤을 사용하여 펠렛에 남아있는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 하였다. 상기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이 제거된 시료를 원심분리하여 최종 펠렛을 수득한 후, 상온에서 18시간 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분말 20g에 400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65℃에서 2시간동안 교반 가열 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2회 반복하고, 수득된 상등액은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100mL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상등액이 총 알코올의 함량이 30%가 되게 에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4℃에서 4시간 동안 보관하고,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상등액에 총 알코올의 함량이 80%가 되게 에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4℃에서 18시간 보관하였다. 알코올에 의해 침전된 침전물을 0.4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다당류를 수득하고, 이를 수세하여 최종적으로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한 다당류를 조(crude) 다당류라 명하였다.
실시예 2: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이용한 다당류의 정제
본 실시예에서는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EAE Sepharose Fast Flow column)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가시파래 유래 조 다당류를 정제하였다.
우선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조 다당류 200mg을 10mL 증류수에 용해 후, 극초단파(microwave bomb)를 이용하여 더 작은 입자로 용해시켰다. 극초단파에 의해 가열되어 뜨거운 다당류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한 후, 증류수를 2시간 동안 흘려주었다. 4시간 동안 용리한 용액에서 수득한 분획물을 F1분획물이라 명하고, 용매를 0.5 M NaCl 용액으로 바꾸어 준 후, 다시 4시간 후 동한 용리한 용액에서 수득한 분획물을 F2 분획물이라 하였으며, 1.0 M NaCl 용액으로 4시간 동안 용리한 용액에서 수득한 분획물을 F3 분획물이라 하였다. 각 용매에서 수득한 다당류를 Mw 8000의 투석막(dialysis membrane)에 주입하여, 일반수에서 2일간, 증류수에서 1일간 투석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정제된 F1, F2, F3 다당류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의 NO 생성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2에서 각각 수득한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의 NO의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는 105 cell/well를 사용하였으며, 세포 배양 24 시간 후, 다당류를 6.25, 12.5, 25 ug/mL 농도로 배양된 마우스 대식세포에 첨가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회수 하였다. 세포에서 분비되는 NO의 양은 회수된 상등액과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동량으로 첨가하여 플레이트 리더기 540 n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시파래에서 수득된 다당류 및 이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다당류는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자극하여, NO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특히 F2 분획의 경우, 6.25 ug/mL 농도에서도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lipopolysaccharide) 10ug/mL와 유사한 NO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의 TNF -α 및 IL -1β 생성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2에서 각각 수득한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의 TNF-α 및 IL-1β의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는 105 cell/well를 사용하였으며, 세포 배양 24 시간 후, 다당류를 6.25, 12.5, 25 ug/mL 농도로 배양된 마우스 대식세포에 첨가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회수 하였다. 회수된 상등액은 TNF-α 및 IL-1β의 사이토카인을 측정하는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각 사이토카인의 분비 흡광도는 플레이트 리더기 450n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를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시파래에서 수득된 다당류 및 이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다당류는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자극하여, TNF-α 및 IL-1β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특히 TNF-α의 경우 F1 및 F2 분획이 6.25 ug/mL 농도에서도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 10 ug/mL와 유사한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IL-1β는 세 종류의 분획 중에서 F2가 가장 많은 IL-1β의 분비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6.25 ug/mL에서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 10 ug/mL와 유사한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의 PGE 2 생성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2에서 각각 수득한 가시파래 유래 다당류의 PGE2의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는 105 cell/well를 사용하였으며, 세포 배양 24 시간 후, 다당류를 6.25, 12.5, 25 ug/mL 농도로 배양된 마우스 대식세포에 첨가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등액은 PGE2 사이토카인을 측정하는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사이토카인의 분비 흡광도는 플레이트 리더기 450n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시파래에서 수득된 다당류 및 이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다당류는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자극하여, PGE2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F1 분획은 12.5 ug/mL 농도에서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 10 ug/mL와 유사한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F2 분획은 그보다 낮은 농도인 6.25 ug/mL 농도에서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 10ug/mL와 유사한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Claims (4)

  1. 건조 녹조류에 에틸알코올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펠렛을 아세톤을 사용하여 펠렛에 남아있는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 하는 단계;
    상기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이 제거된 시료를 원심분리하여 최종 펠렛을 수득한 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에서 수득된 분말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가열 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상등액을 농축하고, 농축된 상등액에 에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된 상등액에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를 여과, 세척하여 다당류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된 다당류를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녹조류 유래 다당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조류가 파래, 클로렐라, 청각, 매생이, 또는 해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활성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조류 유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활성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00046073A 2010-05-17 2010-05-17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KR10117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73A KR101179101B1 (ko) 2010-05-17 2010-05-17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73A KR101179101B1 (ko) 2010-05-17 2010-05-17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410A true KR20110126410A (ko) 2011-11-23
KR101179101B1 KR101179101B1 (ko) 2012-09-07

Family

ID=4539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073A KR101179101B1 (ko) 2010-05-17 2010-05-17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2132A (zh) * 2017-10-23 2018-02-23 青岛大学 一种从海藻中联产海藻多糖和海藻蛋白的方法
KR20180054029A (ko) * 2016-11-14 2018-05-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웨이셀라 시바리아로부터 유래한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을 위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21B1 (ko) 2005-09-23 2007-05-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생이 조다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식품
US8153850B2 (en) 2007-05-11 2012-04-10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Integrated biofuel produc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029A (ko) * 2016-11-14 2018-05-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웨이셀라 시바리아로부터 유래한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을 위한 조성물
CN107722132A (zh) * 2017-10-23 2018-02-23 青岛大学 一种从海藻中联产海藻多糖和海藻蛋白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101B1 (ko)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026B1 (ko) 곰팡이와 유산균으로 동시 발효하여 생물전환 사포닌이증가된 삼 발효물
CN106084087A (zh) 一种瓜蒌多糖的制备方法
KR102249652B1 (ko) 람블편모충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1084B1 (ko)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179101B1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녹조류 유래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KR100871399B1 (ko) 면역 활성 증강용 동충하초 액체배양물로부터 얻어지는균체내 다당체와 균체외 다당체 및 그 생산 최적 배양조건
KR100921909B1 (ko) 조혈모세포 증식을 갖는 더덕의 부탄올 분획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31075B1 (ko) 베툴린 또는 베툴린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10467643A (zh) 从平卧菊三七中提取脑苷脂的方法及脑苷脂的用途
KR101767837B1 (ko) 면역활성이 증진된 해삼 및 미역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90859B1 (ko) 사포닌과 고순도의 산성다당체를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46878B1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929664B1 (ko) 진세노사이드 Rd, Rg3 및 Rg5 함량이 강화된 효소처리 백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3533B1 (ko) 신규 균주로부터 분리된 면역 증진 및 항암 효과를갖는 β-1,3 글루코만난 분리다당체
KR101877413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10046937A (ko) 효소를 이용한 약용버섯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버섯추출물
KR102663492B1 (ko) 파프리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8323A (ko)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83916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979837B (zh) 一种狗头枣阿拉伯半乳聚糖的制备方法和应用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130103097A (ko) 진세노사이드 알지5 또는 진세노사이드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83915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1403591B1 (ko) 장수버섯 자실체 유래의 다당체로부터 얻은 올리고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1488B1 (ko) 톱풀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