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822A -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822A
KR20110125822A KR1020100045404A KR20100045404A KR20110125822A KR 20110125822 A KR20110125822 A KR 20110125822A KR 1020100045404 A KR1020100045404 A KR 1020100045404A KR 20100045404 A KR20100045404 A KR 20100045404A KR 20110125822 A KR20110125822 A KR 20110125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collimator
light source
dental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156B1 (ko
Inventor
김영환
이레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메드
이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메드, 이레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메드
Priority to KR102010004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156B1/ko
Priority to PCT/KR2011/003539 priority patent/WO2011142617A2/ko
Publication of KR2011012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치아부위를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서로 대면하게 X선 발생기와 X선 검출기가 설치된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기에 설치되어 치아부위에 대한 X선 조사영역을 결정하는 콜리메이터, 상기 콜리메이터를 통해 조사되는 X선의 상하 경계선을 표시하는 레이저 조사기, 및 상기 콜리메이터를 통해 조사되는 X선의 상하 경계선과 상기 레이저 조사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일치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는 치아에 대한 X선의 조사영역을 X선의 조사영역과 연동하여 범위가 일치되는 레이저 빛에 의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고, 콜리메이터를 조절하여 X선 조사영역을 보정함으로써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IRRIDATION RANGE DISPLAYING APPARATUS FOR DENTAL X-RAY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아부위를 회전방식으로 촬영하는 치과용 엑스선 파노라마 혹은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의사와 같은 의학적 전문가는 질병 검출(예를 들어, 작은 충치나 확대된 치주인대 간격 등의 세부적인 치아 상태 검출)을 위해 엑스선 촬영 장치를 이용한 엑스선 촬영을 통해 진단 결정을 하고 이에 따른 처치를 하고 있다.
종래의 엑스선 촬영 방법을 사용하여 치아 및 악골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센서 또는 필름을 구강 내에 삽입하고, 구강 내 엑스선 촬영용 엑스선 유닛을 환자의 외부에 위치시킨 후 엑스선을 조사한 후 다시 센서의 위치를 바꾸는 방법을 사용하여 계속 재촬영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파노라마 혹은 전산화 단층 촬영용 기기를 활용하여 외부에 엑스선 발생기와 엑스선 검출기를 두고 사이에 환자의 두부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엑스선 발생기와 엑스선 검출기가 회전을 하면서 일정한 프레임으로 엑스선 촬영을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엑스선을 수진자에게 조사, 투과 및 검출하는 방식으로 연속촬영을 하여 컴퓨터의 화상 처리를 거치면 치아 및 상악 또는 하악의 연속된 배열을 하나의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촬영장치는 축을 두고 회전하는 고가의 엑스선 장비가 필요하며, 회전 반경이 크기 때문에 장비의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십여회 이상의 엑스선 촬영을 통해서 영상을 획득하므로 환자가 받는 엑스선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파노라마 혹은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는 X선 발생기에서 조사되는 X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한다. 콜리메이터는 X선 발생기에 설치된 일종의 조리개로서, 개구의 크기가 조절되면서 외부로 조사되는 X선의 방사영역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콜리메이터에 의해 조절되어 환자의 치아에 방사되는 X선 조사영역을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와 X선의 조사영역을 일치시키기 어려워 정밀하게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치아에 대한 X선의 조사영역을 외부에서 확인하고 X선 조사영역을 보정하여 정확하게 촬영을 할 수 있는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의 구성은 인체의 치아부위를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서로 대면하게 X선 발생기와 X선 검출기가 설치된 치과용 파노라마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기에 설치되어 치아부위에 대한 X선 조사영역을 결정하는 콜리메이터, 상기 콜리메이터를 통해 조사되는 X선의 상하 경계선을 표시하는 레이저 조사기, 및 상기 콜리메이터를 통해 조사되는 X선의 상하 경계선과 상기 레이저 조사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일치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콜리메이터는 X선 발생기의 전방에 상하/좌우로 설치되고, X선의 시야각을 결정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제1, 2, 3, 4 조절판, 상기 각 조절판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조절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각 조절판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판을 이동시키는 제1, 2, 3, 4 리드 스크류, 및 상기 제1, 2, 3, 4 리드 스크류에 커플링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2, 3, 4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기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 광원패널, 상기 광원패널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광원패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5, 6 리드 스크류, 및 상기 제5, 6 리드 스크류에 각각 커플링되어 회전시키는 제5, 6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조사기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상하에 광원패널, 및 상기 광원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리드 스크류와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개구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X선 발생기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콜리메이터에 형성된 개구의 가상평면까지 제1 수직선(d)과 상기 제1 수직선으로부터 상방과 하방으로 상기 콜리메이터에 이르는 제2 수직선(Xt, Xb)에 의해 상기 X선 발생기의 상하 시야각(θt, θb)을 수식 θt=arctan(Xt/d)와 θb=arctan(Xb/d)에 의해 각각 계산하는 단계, 상기 X선 발생기의 조사영역에 대한 상방 및 하방 경계선을 표시하는 위치좌표(Yt, Yb)를 상기 상하 시야각(θt, θb)과 X선 광원으로부터 조사영역까지 거리(D)에 의한 수식(Yt=D*tanθt, Yb=D*tanθb)에 의해 각각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하나의 광원패널을 Yt의 좌표로 다른 하나를 Yb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레이저의 위치에 맞게 상기 X선 발생기의 X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콜리메이터의 개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는 치아에 대한 X선의 조사영역을 X선의 조사영역과 연동하여 범위가 일치되는 레이저 빛에 의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고, 콜리메이터를 조절하여 X선 조사영역을 보정함으로써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의 콜리메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콜리메이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는 회전체(110), 콜리메이터(120), 레이저 조사기(150), 컨트롤러 등을 주요구성으로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체(110)는 인체의 치아부위를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환자가 검사장치(100)의 내부에 있는 의자(101)에 앉고, 턱 받침대(102)에 턱을 고였을 때, 환자의 두상은 회전체(1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체(110)는 환자의 두상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회전체(110)는 검사장치(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검사장치(100)의 상부에 내장된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체(110)의 우측에는 X선 발생기(175)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X선 검출기(176)가 구비된다. X선 발생기(175)와 X선 검출기(176)는 회전체(110)에 서로 대면하게 설치된다.
도 1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X선 발생기(175)에 설치된 콜리메이터(120)는 치아부위에 대한 X선 조사영역을 결정하는 일종의 X선 조리개로서,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같다. X선 발생기(175)에서 콜리메이터(120)를 통해 보이는 시야가 X선 발생기(175)의 X선이 조사되는 영역이 된다.
콜리메이터(120)는 통상적으로 사각형의 조절 가능한 개구(120a)를 가진다. X선은 개구(120a)를 지나 검사할 치아부위를 통과하여 X선 검출기(176) 측으로 도달한다. 레이저 조사기(150)는 개구(120a)를 통과하여 검사부위에 도달하는 X선 조사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빛이다. 즉, 작업자는 환자의 검사부위에 도달하기 위한 X선의 조사영역이 정확하게 설정되었는지 레이저 조사기(150)에 의해 검사부위에 비쳐진 레이저의 영역을 통해 알 수 있다.
레이저 조사기(150)는 레이저의 위치가 콜리메이터(120)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X선의 조사영역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X선의 조사영역은 콜리메이터(120)의 개구(120a)를 조절하여 결정되므로, 콜리메이터(120)의 개구(120a) 조절에 따라 레이저 조사기(15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X선이 조사될 영역을 레이저 조사기(150)에서 조사된 레이저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콜리메이터(120)의 개구(120a)에 따른 레이저 조사기(150)의 위치이동은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구현된다.
컨트롤러는 모션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드라이버, 필터와 컨버터 등 각종 전자부품이 구성된 전기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는 범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콜리메이터(120)는 X선 발생기(175)의 전방에 상하/좌우로 설치되고, X선의 시야각을 결정하기 위한 개구(120a)를 형성하는 제1, 2, 3, 4 조절판(121, 122, 123, 124), 각 조절판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조절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5, 126), 각 조절판에 결합되어 조절판을 이동시키는 제1, 2, 3, 4 리드 스크류(131, 132, 133, 134), 및 제1, 2, 3, 4 리드 스크류(131, 132, 133, 134)에 커플링되어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2, 3, 4 구동모터(141, 142, 143, 144)를 포함한다. 제1, 2, 3, 4 조절판(121, 122, 123, 124)은 제1, 2, 3, 4 구동모터(141, 142, 143, 144)에 의해 회전하는 제1, 2, 3, 4 리드 스크류(131, 132, 133, 134)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레일(125, 126) 상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제1, 2, 3, 4 조절판(121, 122, 123, 124)의 위치이동에 의해 개구(120a)의 크기가 조절된다.
레이저 조사기(150)는 콜리메이터(120)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 광원패널(151, 152), 광원패널(151, 152)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광원패널(151, 15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5, 6 리드 스크류(155, 156), 및 제5, 6 리드 스크류(155, 156)에 각각 커플링되어 회전시키는 제5, 6 구동모터(165, 166)를 포함한다.
콜리메이터(120)의 양측에 배치된 광원패널(151, 152)은 각각 구동되는 제5, 6 구동모터(165, 166)에 의해 회전되는 제5, 6 리드 스크류(155, 156)에 의해 상하로 위치의 이동이 가능하다. 콜리메이터(120)의 양측에 배치된 광원패널(151, 152)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X선이 조사될 검사부위의 상하 경계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조사기(150)는 콜리메이터(120)의 상하에 광원패널(151, 152), 및 광원패널(151, 152)을 이동시키기 위한 리드 스크류와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콜리메이터(120)의 상하에 배치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광원패널(151, 152)에 의해 X선이 조사될 검사부위의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 경계부위를 더 표시할 수 있다. 광원패널(151, 152)은 LED와 LED 구동회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는 개구(120a)의 시야각을 결정한 후 상기 콜리메이터(120)의 개구(120a)를 조절하는 단계(A1), 상기 X선 발생기(175)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콜리메이터(120)에 형성된 개구(120a)의 가상평면(V)까지 제1 수직선(d)과 상기 제1 수직선으로부터 상방과 하방으로 상기 콜리메이터(120)에 이르는 제2 수직선(Xt, Xb)에 의해 상기 X선 발생기(175)의 상하 시야각(θt, θb)을 수식 θt=arctan(Xt/d)와 θb=arctan(Xb/d)에 의해 각각 계산하는 단계(A2), 상기 X선 발생기(175)의 조사영역(L1)에 대한 상방 및 하방 경계선(Z1, Z2)을 표시하는 위치좌표(Yt, Yb)를 상기 상하 시야각(θt, θb)과 X선 광원으로부터 조사영역(L2)까지 거리(D)에 의한 수식(Yt=D*tanθt, Yb=D*tanθb)에 의해 각각 계산하는 단계(A3), 및 상기 레이저 조사기(150)의 하나의 광원패널(151, 152)을 Yt의 좌표로 다른 하나를 Yb의 좌표로 이동시키는 단계(A4)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X선 광원으로부터 콜리메이터(120)까지 거리에 해당하는 제1 수직선(d)과 콜리메이터(120)의 개방정도를 나타내는 제2 수직선(Xt, Xb)으로부터 X선 광원의 광원의 상하 시야각(θt, θb)을 계산할 수 있고, 상하 시야각(θt, θb)과 조사영역까지 거리(D)으로부터 X선 광원의 상하 경계영역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가 X선 광원의 상하 경계영역에 레이저 조사기(150)를 이동시켜 레이저를 자동으로 비춤으로써 작업자는 레이저에 의한 빛에 의해 X선 광원의 상하 경계영역을 확인하고, 콜리메이터(120)의 개방정도를 보정하여 원하는 영역으로 X선 광을 맞출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작업자가 X선 발생기(175)에 의한 검사영역을 결정하고, 레이저 조사기(150)를 검사영역의 경계선으로 이동시켜 레이저를 조사할 경우, 컨트롤러는 상기 레이저 조사기(150)의 레이저의 위치에 맞게 상기 X선 발생기(175)의 X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콜리메이터(120)의 개구(120a)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가 레이저 조사기(150)의 레이저 조사영역에 맞게 콜리메이터(12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X선 광원으로부터 조사영역까지 거리(D)와 조사영역에 대한 상방 및 하방 경계선을 표시하는 위치좌표(Yt, Yb)를 알고 있는 상태이므로, 역으로 상하 시야각(θt, θb)을 계산할 수 있고, 상하 시야각(θt, θb)과 제1 수직선(d)으로부터 콜리메이터(120)의 개방정도를 나타내는 제2 수직선(Xt, Xb)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작업자는 치아부위를 검사할 환자가 검사장치(100)의 의자(101)에 앉은 상태에서 회전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X선 발생기(175)에 의해 치아부위를 파노라마 방식으로 촬영하고, 치아의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콜리메이터(12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검사부위의 상하영역을 정하게 되는데, 콜리메이터(120)의 개방영역에 맞게 레이저 조사기(150)가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육안으로 상하 경계를 확인하고, X선을 조사할 수 있다.
즉, X선 발생기(175)의 X선 조사영역이 실시간으로 레이저에 의해 확인되므로, 그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보고, X선의 검사영역을 확인하여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각종 전장부품과 기구의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구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한 것이다.
100: 검사장치 101: 의자
102: 턱 받침대 110: 회전체
120: 콜리메이터 120a: 개구
121, 122, 123, 124: 제1, 2, 3, 4 조절판
125, 126: 레일
131, 132, 133, 134: 제1, 2, 3, 4 리드 스크류
141, 142, 143, 144: 제1, 2, 3, 4 구동모터
150: 레이저 조사기 151, 152: 광원패널
155, 156: 제5, 6 리드 스크류
165, 166: 제5, 6 구동모터
175: X선 발생기 176: X선 검출기

Claims (6)

  1. 인체의 치아부위를 회전하는 회전체(110)와 상기 회전체(110)에 서로 대면하게 X선 발생기(175)와 X선 검출기(176)가 설치된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발생기(175)에 설치되어 치아부위에 대한 X선 조사영역을 결정하는 콜리메이터(120);
    상기 콜리메이터(120)를 통해 조사되는 X선의 상하 경계선을 표시하는 레이저 조사기; 및
    상기 콜리메이터(120)를 통해 조사되는 X선의 상하 경계선과 상기 레이저 조사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일치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120)는 X선 발생기(175)의 전방에 상하/좌우로 설치되고, X선의 시야각을 결정하기 위한 개구(120a)를 형성하는 제1, 2, 3, 4 조절판(121, 122, 123, 124);
    상기 각 조절판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조절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5, 126);
    상기 각 조절판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판을 이동시키는 제1, 2, 3, 4 리드 스크류(131, 132, 133, 134); 및
    상기 제1, 2, 3, 4 리드 스크류(131, 132, 133, 134)에 커플링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2, 3, 4 구동모터(141, 142, 143, 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기는 상기 콜리메이터(120)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 광원패널(151, 152);
    상기 광원패널(151, 152)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광원패널(151, 15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5, 6 리드 스크류(155, 156); 및
    상기 제5, 6 리드 스크류(155, 156)에 각각 커플링되어 회전시키는 제5, 6 구동모터(165, 166)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기는 상기 콜리메이터(120)의 상하에 광원패널(151, 152), 및 상기 광원패널(151, 152)을 이동시키기 위한 리드 스크류와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콜리메이터(120)의 개구(120a)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X선 발생기(175)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콜리메이터(120)에 형성된 개구(120a)의 가상평면까지 제1 수직선(d)과 상기 제1 수직선으로부터 상방과 하방으로 상기 콜리메이터(120)에 이르는 제2 수직선(Xt, Xb)에 의해 상기 X선 발생기(175)의 상하 시야각(θt, θb)을 수식 θt=arctan(Xt/d)와 θb=arctan(Xb/d)에 의해 각각 계산하는 단계;
    상기 X선 발생기(175)의 조사영역에 대한 상방 및 하방 경계선을 표시하는 위치좌표(Yt, Yb)를 상기 상하 시야각(θt, θb)과 X선 광원으로부터 조사영역까지 거리(D)에 의한 수식(Yt=D*tanθt, Yb=D*tanθb)에 의해 각각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조사기(150)의 하나의 광원패널(151, 152)을 Yt의 좌표로 다른 하나를 Yb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레이저 조사기(150)의 레이저의 위치에 맞게 상기 X선 발생기(175)의 X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콜리메이터(120)의 개구(120a)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KR1020100045404A 2010-05-14 2010-05-14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KR10113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04A KR101137156B1 (ko) 2010-05-14 2010-05-14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PCT/KR2011/003539 WO2011142617A2 (ko) 2010-05-14 2011-05-13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04A KR101137156B1 (ko) 2010-05-14 2010-05-14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22A true KR20110125822A (ko) 2011-11-22
KR101137156B1 KR101137156B1 (ko) 2012-04-19

Family

ID=4491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404A KR101137156B1 (ko) 2010-05-14 2010-05-14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7156B1 (ko)
WO (1) WO2011142617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391A1 (ko) * 2012-03-28 2013-10-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파노라마 촬영장치
CN103901492A (zh) * 2012-12-27 2014-07-02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人体检查系统
KR101536073B1 (ko) * 2014-04-03 2015-07-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KR101536072B1 (ko) * 2014-04-03 2015-07-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KR101579007B1 (ko) * 2014-09-24 2015-12-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KR101651564B1 (ko) * 2015-10-13 2016-09-06 (주)링크옵틱스 엑스선을 차폐가능한 엑스레이 표적기
KR20190002843A (ko) * 2017-06-30 2019-01-0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Ct 장치 및 이를 이용한 ct 촬영방법
KR20190046186A (ko) * 2017-10-25 2019-05-0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야 조절장치
KR20200123522A (ko) * 2019-04-22 2020-10-30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야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637B1 (ko) * 2012-09-13 2014-05-12 이성엽 씨암장치
KR101602248B1 (ko) 2014-09-25 2016-03-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DE102015200959A1 (de) 2015-01-21 2016-07-21 Sirona Dental Systems Gmbh Dentales Röntgengerät
KR101621228B1 (ko) * 2015-09-01 2016-05-16 박덕배 엑스레이 장비용 콜리메이터의 촬영 위치 및 영역 표시장치
US10682103B2 (en) 2017-04-27 2020-06-16 Medtronic Navigation, Inc.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a subject
JP2020521521A (ja) * 2017-04-27 2020-07-27 メドトロニック・ナビゲ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対象を画像化するためのフィルタ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45391B1 (ko) 2021-03-04 2023-06-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엑스선 조사장치 빔 정렬시스템 및 정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847A (ja) * 2001-10-12 2003-04-22 Hitachi Medical Corp X線装置
JP3836060B2 (ja) * 2002-09-09 2006-10-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放射線発生装置及び放射線照射方向較正装置
KR100947298B1 (ko) * 2007-08-09 2010-03-16 주식회사바텍 Ct 촬영용 면 센서를 이용한 ct 및 파노라마 겸용 x선촬영장치
KR100850500B1 (ko) * 2008-01-08 2008-08-05 주식회사 포스콤 작고 가볍게 제작 가능한 x선 촬영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391A1 (ko) * 2012-03-28 2013-10-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파노라마 촬영장치
CN103901492A (zh) * 2012-12-27 2014-07-02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人体检查系统
WO2014101536A1 (zh) * 2012-12-27 2014-07-03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人体检查系统
KR101536073B1 (ko) * 2014-04-03 2015-07-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KR101536072B1 (ko) * 2014-04-03 2015-07-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KR101579007B1 (ko) * 2014-09-24 2015-12-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X선 촬영장치
KR101651564B1 (ko) * 2015-10-13 2016-09-06 (주)링크옵틱스 엑스선을 차폐가능한 엑스레이 표적기
KR20190002843A (ko) * 2017-06-30 2019-01-0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Ct 장치 및 이를 이용한 ct 촬영방법
KR20190046186A (ko) * 2017-10-25 2019-05-0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야 조절장치
KR20200123522A (ko) * 2019-04-22 2020-10-30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야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156B1 (ko) 2012-04-19
WO2011142617A3 (ko) 2012-02-16
WO2011142617A2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156B1 (ko)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JP5555231B2 (ja) 歯の3次元x線画像生成のための方法およびx線装置
JP5878121B2 (ja) X線断層像撮影装置
KR102124669B1 (ko) 부분적인 ct 이미징을 위한 장치
JP5710274B2 (ja) 調整可能な走査装置
US9386958B2 (en)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camera
JP2002315746A (ja) 被写体のx線撮影位置設定手段、この手段を備えたx線撮影装置
JP2003290220A (ja) X線ct装置
JP2011072369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EP2708188B1 (en) X-ray imaging apparatus
JP2008259822A (ja) 歯顎顔面のx線ct画像の表示方法、x線ct断層撮影装置、およびx線画像表示装置
KR20120114267A (ko) 두부계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구강 방사선 장치 및 관련된 방법
JP2015177963A (ja) X線撮影装置及びティーチング装置
JP2015188611A (ja) デジタルパノラマx線撮影装置及び歯科用ct装置
KR101192461B1 (ko)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JP2020534970A (ja) x線データ獲得の動作パラメータを入手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660129B1 (ko) X선 촬영장치
KR101620679B1 (ko) X선 촬영장치
KR101503636B1 (ko) X선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JP2521120B2 (ja) 医療用パノラマx線撮影装置の患者位置付け装置
KR101660130B1 (ko) X선 촬영장치
CN212415765U (zh) 一种实现口内断层影像扫描系统
KR101621228B1 (ko) 엑스레이 장비용 콜리메이터의 촬영 위치 및 영역 표시장치
JP2011194032A (ja) X線ct撮影装置
KR20160056986A (ko) 두부 방사선 촬영 기능을 갖는 치과용 엑스선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