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248B1 -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Google Patents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248B1 KR101602248B1 KR1020140128625A KR20140128625A KR101602248B1 KR 101602248 B1 KR101602248 B1 KR 101602248B1 KR 1020140128625 A KR1020140128625 A KR 1020140128625A KR 20140128625 A KR20140128625 A KR 20140128625A KR 101602248 B1 KR101602248 B1 KR 101602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vertical
- moving
- screw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6 maxillary sin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25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7—Diffractometry using detectors, e.g. using a probe in a central position and one or more displaceable detectors in circumferential 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판을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 각각 선형이동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축소하여 소형화 및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한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는, X선이 조사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이동수단의 이동판을 선형이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는, X선이 조사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이동수단의 이동판을 선형이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판을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 각각 선형이동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축소하여 소형화 및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한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에 관한 것이다.
의과진료분야에서 CT(Computerized Tomography) X선 촬영장치는 일정량의 X선을 촬영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투과시키고, 투과된 X선량을 X선 센서가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그리고, X선 촬영장치에 구비된 중앙처리부에 의해 신체촬영 부위의 각 점의 X선 흡수율을 산출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이와 같은 X선을 이용하여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X선 촬영장치는 특히 치과분야에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고, 임플란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정밀하고 정확한 X선 촬영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촬영장치를 구성하는 콜리메이터(10)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판(11)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판(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이동판(11) 및 수직이동판(13)은 모터(15)에 의해 이동하고 콜리메이터(10)에 형성된 통공(17)의 일부를 차폐하여 관통창(A)을 형성한다.
상기 콜리메이터(10)는 수평이동판(11) 및 수직이동판(13)을 이동시켜 상기 콜리메이터(10)에 관통창(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창(A)을 통과하여 X선을 조사함으로써 X선촬영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X선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10)를 포함하는 X선 촬영장치는 임플란트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치조골 내부 또는 상악동과 같은 복잡한 구조에 대한 정확한 촬영기술을 요구하므로 상기 콜리메이터(10)에 형성된 관통창(A)의 위치가 자유롭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반해, 종래의 콜리메이터(10)는 상기 통공(17)의 중심부에 관통창을 형성할 수 없어서 정확한 X선 촬영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4 조절판(121, 122, 123, 124), 제1, 2, 3, 4 리드 스크류(131, 132, 133, 134), 제1, 2, 3, 4 구동모터(141, 142, 143, 144)를 포함하는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는 4개의 축과 4개의 모터를 적용하여야 함에 따라 부품의 구성요소가 늘어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9959호(등록일자 2010년08월18일)
등록특허 제10-1137156호(등록일자 2012년04월09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판을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 각각 선형이동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축소하여 소형화 및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한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는, X선이 조사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이동수단의 이동판을 선형이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어셈블리는,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수평방향에 대한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제1, 2수평이동판, 상기 제1, 2수평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제1, 2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수평이동어셈블리; 및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수직방향에 대한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제1, 2수직이동판, 상기 제1, 2수직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제1, 2수직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수직이동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제1수평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평스크루; 상기 제1수평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1수평이동블록; 및 상기 제1수평이동블록과 상기 제1수평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평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제2수평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평스크루; 상기 제2수평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2수평이동블록; 및 상기 제2수평이동블록과 상기 제2수평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평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직이동수단은, 상기 제1수직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직스크루; 상기 제1수직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1수직이동블록; 및 상기 제1수직이동블록과 상기 제1수직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수직이동수단은, 상기 제2수직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직스크루; 상기 제2수직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2수직이동블록; 및 상기 제2수직이동블록과 상기 제2수직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수평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수평이동수단의 수평이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수평구동어셈블리; 및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수직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수직이동수단의 수직이동판을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수직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구동어셈블리는,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수평구동모터의 회동력을 제공받아 회동하는 제1수평기어; 상기 제1수평기어의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제2수평기어; 및 상기 제2수평기어가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평선택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제1수평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평스크루; 상기 제1수평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1수평이동블록; 및 상기 제1수평이동블록과 상기 제1수평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평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제2수평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평스크루; 상기 제2수평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2수평이동블록; 및 상기 제2수평이동블록과 상기 제2수평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평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스크루 및 제2수평스크루의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에는 다각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기어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각형부에 대응하는 다각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선택연결수단은 제1수평스크루의 다각형부에 상기 제2수평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하거나 제2수평스크루의 다각형부에 상기 제2수평기어의 타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선택연결수단은, 수평출몰샤프트가 구비된 수평솔레노이드장치; 상기 제2수평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평지지브라켓; 상기 수평솔레노이드장치의 수평출몰샤프트와 상기 수평지지브라켓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구동어셈블리는,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수직구동모터의 회동력을 제공받아 회동하는 제1수직기어; 상기 제1수직기어의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제2수직기어; 및 상기 제2수직기어가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직선택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직이동수단은, 상기 제1수직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직스크루; 상기 제1수직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1수직이동블록; 및 상기 제1수직이동블록과 상기 제1수직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이동수단은, 상기 제2수직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직스크루; 상기 제2수직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2수직이동블록; 및 상기 제2수직이동블록과 상기 제2수직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수직스크루 및 제2수직스크루의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에는 다각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기어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각형부에 대응하는 다각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선택연결수단은 제1수직스크루의 다각형부에 상기 제2수직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하거나 제2수직스크루의 다각형부에 상기 제2수직기어의 타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선택연결수단은, 수직출몰샤프트가 구비된 수직솔레노이드장치; 상기 제2수직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직지지브라켓; 상기 수직솔레노이드장치의 수직출몰샤프트와 상기 수직지지브라켓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판을 하나의 구동모터만으로 각각 선형이동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축소하여 소형화 및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질적향상, 사용 편리성, 조립의 편리성을 확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는, X선이 조사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이동수단의 이동판을 선형이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는, X선이 조사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이동수단의 이동판을 선형이동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의 정면도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각각 설치되는 수평이동어셈블리(200), 수평구동어셈블리(400), 수직이동어셈블리(300), 수직구동어셈블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평판형의 부재로서, X선이 조사되기 위한 관통구(100h)가 형성되며, 사각 평판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X선이 조사되는 관통구(100h)가 형성된다면 다양한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어셈블리(200)는,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100h)의 수평방향에 대한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제1, 2수평이동판(210, 220), 상기 제1, 2수평이동판(210, 220)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제1, 2수평이동수단(230, 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2수평이동판(210, 220)은 일부 또는 전부가 납 재질로 이뤄져 X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수평이동수단(2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수평방향의 일측부에 위치된 제1수평이동판(210)을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1수평이동판(210)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평스크루(231), 상기 제1수평스크루(231)에 나사결합된 제1수평이동블록(232) 및 상기 제1수평이동블록(232)과 상기 제1수평이동판(210)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평브라켓(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수평이동수단(24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수평방향의 타측부에 위치된 제2수평이동판(220)을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2수평이동판(220)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평스크루(241), 상기 제2수평스크루(241)에 나사결합된 제2수평이동블록(242) 및 상기 제2수평이동블록(242)과 상기 제2수평이동판(220)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평브라켓(2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구동어셈블리(400)는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230, 24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수평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수평이동수단의 수평이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구동어셈블리(400)는,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수평구동모터(410)의 회동력을 제공받아 회동하는 제1수평기어(420), 상기 제1수평기어(420)의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230, 24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제2수평기어(430) 및 상기 제2수평기어(430)가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230, 24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평선택연결수단(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평스크루(231) 및 제2수평스크루(241)의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에는 다각형부(231a, 24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기어(430)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각형부(231a, 241a)에 대응하는 다각형홈부(430a, 430b)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선택연결수단(440)은 제1수평스크루(231)의 다각형부(231a)에 상기 제2수평기어(430)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430a)가 삽입되도록 연결하거나 제2수평스크루(241)의 다각형부(241a)에 상기 제2수평기어(430)의 타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430b)가 삽입되도록 연결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수평선택연결수단(440)은, 수평출몰샤프트(441s)가 구비된 수평솔레노이드장치(441), 상기 제2수평기어(430)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평지지브라켓(442), 상기 수평솔레노이드장치(441)의 수평출몰샤프트(441s)와 상기 수평지지브라켓(442)을 일체로 고정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연결브라켓(4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평이동어셈블리(200)와 수평구동어셈블리(400)의 구성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솔레노이드장치(441)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수평솔레노이드장치(441)의 수평출몰샤프트(441s)가 돌출된 경우에, 상기 수평연결브라켓(443)을 통해 상기 수평출몰샤프트(441s)와 일체로 고정된 수평지지브라켓(442)이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브라켓(442)이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브라켓(442)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제2수평기어(430)가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수평기어(430)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430a)가 상기 제1수평스크루(231)의 다각형부(231a)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구동모터(410)의 정역회전시 상기 제1수평기어(420)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수평기어(420)와 치합된 제2수평기어(430)가 정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수평기어(43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1수평스크루(231)가 정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수평스크루(231)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1수평이동블록(232)이 도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수평이동판(210)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제1수평이동판(210)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관통구(100h)의 X선 조사 영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솔레노이드장치(441)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수평솔레노이드장치(441)의 수평출몰샤프트(441s)가 함몰된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브라켓(443)을 통해 상기 수평출몰샤프트(441s)와 일체로 고정된 수평지지브라켓(442)이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브라켓(442)이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브라켓(442)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제2수평기어(430)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수평기어(430)의 타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430b)가 상기 제2수평스크루(241)의 다각형부(241a)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구동모터(410)의 정역회전시 상기 제1수평기어(420)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수평기어(420)와 치합된 제2수평기어(430)가 정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수평기어(43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2수평스크루(241)가 정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수평스크루(241)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2수평이동블록(242)이 도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2수평이동판(220)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제2수평이동판(220)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관통구(100h)의 X선 조사 영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이동어셈블리(300)는,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100h)의 수직방향에 대한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제1, 2수직이동판(310, 320), 상기 제1, 2수직이동판(310, 320)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제1, 2수직이동수단(330, 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2수직이동판(310, 320)은 일부 또는 전부가 납 재질로 이뤄져 X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수직이동수단(3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수직방향의 일측부에 위치된 제1수직이동판(310)을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1수직이동판(310)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직스크루(331), 상기 제1수직스크루(331)에 나사결합된 제1수직이동블록(332) 및 상기 제1수직이동블록(332)과 상기 제1수직이동판(310)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직브라켓(3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수직이동수단(34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수직방향의 타측부에 위치된 제2수직이동판(320)을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2수직이동판(320)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직스크루(341), 상기 제2수직스크루(341)에 나사결합된 제2수직이동블록(342) 및 상기 제2수직이동블록(342)과 상기 제2수직이동판(320)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직브라켓(3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구동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330, 34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수직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수직이동수단의 수직이동판을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구동어셈블리(500)는,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수직구동모터(510)의 회동력을 제공받아 회동하는 제1수직기어(520), 상기 제1수직기어(520)의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330, 34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제2수직기어(530) 및 상기 제2수직기어(530)가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330, 34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직선택연결수단(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직스크루(331) 및 제2수직스크루(341)의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에는 다각형부(331a, 34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기어(530)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각형부(331a, 341a)에 대응하는 다각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선택연결수단(540)은 제1수직스크루(331)의 다각형부(331a)에 상기 제2수직기어(530)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하거나 제2수직스크루(341)의 다각형부(341a)에 상기 제2수직기어(530)의 타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수직선택연결수단(540)은, 수직출몰샤프트(541s)가 구비된 수직솔레노이드장치(541), 상기 제2수직기어(530)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직지지브라켓(542), 상기 수직솔레노이드장치(541)의 수직출몰샤프트(541s)와 상기 수직지지브라켓(542)을 일체로 고정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연결브라켓(5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직이동어셈블리(300)와 수직구동어셈블리(500)의 구성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솔레노이드장치(541)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수직솔레노이드장치(541)의 수직출몰샤프트(541s)가 돌출된 경우에, 상기 수직연결브라켓(543)을 통해 상기 수직출몰샤프트(541s)와 일체로 고정된 수직지지브라켓(542)이 도면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지지브라켓(542)이 도면의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브라켓(542)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제2수직기어(530)가 도면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수직기어(530)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상기 제1수직스크루(331)의 다각형부(331a)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구동모터(510)의 정역회전시 상기 제1수직기어(520)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수직기어(520)와 치합된 제2수직기어(530)가 정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수직기어(53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1수직스크루(331)가 정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수직스크루(331)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1수직이동블록(332)이 도면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수직이동판(310)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제1수직이동판(310)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관통구(100h)의 X선 조사 영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솔레노이드장치(541)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수직솔레노이드장치(541)의 수직출몰샤프트(541s)가 함몰된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연결브라켓(543)을 통해 상기 수직출몰샤프트(541s)와 일체로 고정된 수직지지브라켓(542)이 도면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직지지브라켓(542)이 도면의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브라켓(542)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제2수직기어(530)가 도면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수직기어(530)의 타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상기 제2수직스크루(341)의 다각형부(341a)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구동모터(510)의 정역회전시 상기 제1수직기어(520)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수직기어(520)와 치합된 제2수직기어(530)가 정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수직기어(53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2수직스크루(341)가 정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수직스크루(341)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2수직이동블록(342)이 도면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2수직이동판(320)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제2수직이동판(320)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관통구(100h)의 X선 조사 영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1수평이동판(210), 제2수평이동판(220), 제1수직이동판(310), 제2수직이동판(320)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제1수평이동판(210)과 제2수평이동판(220) 중 어느 하나와 제1수직이동판(310)과 제2수직이동판(320)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이동시킨 후, 제1수평이동판(210)과 제2수평이동판(220) 중 나머지 하나와 제1수직이동판(310)과 제2수직이동판(320) 중 나머지 하나를 또한 동시에 이동시킴에 따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평이동어셈블리(200), 수평구동어셈블리(400), 수직이동어셈블리(300) 및 수직구동어셈블리(500)의 작동에 의해 제1수평이동판(210), 제2수평이동판(220), 제1수직이동판(310), 제2수직이동판(320)의 각각 슬라이딩이동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관통구(100h)의 X선 조사 영역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베이스 플레이트 100h:관통구
200:수평이동어셈블리 210:제1수평이동판
220:제2수평이동판 230:제1수평이동수단
231:제1수평스크루 232:제1수평이동블록
233:제1수평브라켓 240:제2수평이동수단
241:제2수평스크루 242:제2수평이동블록
243:제2수평브라켓 300:수직이동어셈블리
310:제1수직이동판 320:제2수직이동판
330:제1수직이동수단 331:제1수직스크루
332:제1수직이동블록 333:제1수직브라켓
340:제2수직이동수단 341:제2수직스크루
342:제2수직이동블록 343:제2수직브라켓
400:수평구동어셈블리 410:수평구동모터
420:제1수평기어 430:제2수평기어
440:수평선택연결수단 441:수평솔레노이드장치
442:수평지지브라켓 443:수평연결브라켓
500:수직구동어셈블리 510:수직구동모터
520:제1수직기어 530:제2수직기어
540:수직선택연결수단 541:수직솔레노이드장치
542:수직지지브라켓 543:수직연결브라켓
200:수평이동어셈블리 210:제1수평이동판
220:제2수평이동판 230:제1수평이동수단
231:제1수평스크루 232:제1수평이동블록
233:제1수평브라켓 240:제2수평이동수단
241:제2수평스크루 242:제2수평이동블록
243:제2수평브라켓 300:수직이동어셈블리
310:제1수직이동판 320:제2수직이동판
330:제1수직이동수단 331:제1수직스크루
332:제1수직이동블록 333:제1수직브라켓
340:제2수직이동수단 341:제2수직스크루
342:제2수직이동블록 343:제2수직브라켓
400:수평구동어셈블리 410:수평구동모터
420:제1수평기어 430:제2수평기어
440:수평선택연결수단 441:수평솔레노이드장치
442:수평지지브라켓 443:수평연결브라켓
500:수직구동어셈블리 510:수직구동모터
520:제1수직기어 530:제2수직기어
540:수직선택연결수단 541:수직솔레노이드장치
542:수직지지브라켓 543:수직연결브라켓
Claims (13)
- X선이 조사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일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이동판, 상기 한 쌍의 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이동수단에 정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해당 이동수단의 이동판을 일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고, 연결된 상기 해당 이동수단에 역방향 회전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이동수단의 이동판을 타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어셈블리는,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수평방향에 대한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제1, 2수평이동판, 상기 제1, 2수평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제1, 2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수평이동어셈블리; 및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의 수직방향에 대한 X선 조사 범위를 조절하는 제1, 2수직이동판, 상기 제1, 2수직이동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선형이동시키기 위한 제1, 2수직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수직이동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제1수평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평스크루;
상기 제1수평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1수평이동블록; 및
상기 제1수평이동블록과 상기 제1수평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평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제2수평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평스크루;
상기 제2수평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2수평이동블록; 및
상기 제2수평이동블록과 상기 제2수평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평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이동수단은,
상기 제1수직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직스크루;
상기 제1수직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1수직이동블록; 및
상기 제1수직이동블록과 상기 제1수직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이동수단은,
상기 제2수직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직스크루;
상기 제2수직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2수직이동블록; 및
상기 제2수직이동블록과 상기 제2수직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수평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수평이동수단의 수평이동판을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수평구동어셈블리; 및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연결된 해당 수직이동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해당 수직이동수단의 수직이동판을 수직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수직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어셈블리는,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수평구동모터의 회동력을 제공받아 회동하는 제1수평기어;
상기 제1수평기어의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제2수평기어; 및
상기 제2수평기어가 상기 제1, 2수평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평선택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제1수평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평스크루; 상기 제1수평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1수평이동블록; 및 상기 제1수평이동블록과 상기 제1수평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평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제2수평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평스크루; 상기 제2수평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2수평이동블록; 및 상기 제2수평이동블록과 상기 제2수평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평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스크루 및 제2수평스크루의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에는 다각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기어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각형부에 대응하는 다각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선택연결수단은 제1수평스크루의 다각형부에 상기 제2수평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하거나 제2수평스크루의 다각형부에 상기 제2수평기어의 타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선택연결수단은,
수평출몰샤프트가 구비된 수평솔레노이드장치;
상기 제2수평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평지지브라켓;
상기 수평솔레노이드장치의 수평출몰샤프트와 상기 수평지지브라켓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어셈블리는,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수직구동모터의 회동력을 제공받아 회동하는 제1수직기어;
상기 제1수직기어의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제2수직기어; 및
상기 제2수직기어가 상기 제1, 2수직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직선택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이동수단은,
상기 제1수직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1수직스크루; 상기 제1수직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1수직이동블록; 및 상기 제1수직이동블록과 상기 제1수직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1수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수직이동수단은,
상기 제2수직이동판의 선형이동방향으로 배열된 제2수직스크루; 상기 제2수직스크루에 나사결합된 제2수직이동블록; 및 상기 제2수직이동블록과 상기 제2수직이동판을 일체로 결합하는 제2수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수직스크루 및 제2수직스크루의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단부에는 다각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기어의 양측면에는 상기 다각형부에 대응하는 다각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선택연결수단은 제1수직스크루의 다각형부에 상기 제2수직기어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하거나 제2수직스크루의 다각형부에 상기 제2수직기어의 타측에 형성된 다각형홈부가 삽입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선택연결수단은,
수직출몰샤프트가 구비된 수직솔레노이드장치;
상기 제2수직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직지지브라켓;
상기 수직솔레노이드장치의 수직출몰샤프트와 상기 수직지지브라켓을 일체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8625A KR101602248B1 (ko) | 2014-09-25 | 2014-09-25 |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8625A KR101602248B1 (ko) | 2014-09-25 | 2014-09-25 |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2248B1 true KR101602248B1 (ko) | 2016-03-11 |
Family
ID=5558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8625A KR101602248B1 (ko) | 2014-09-25 | 2014-09-25 |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24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6186A (ko) * | 2017-10-25 | 2019-05-07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조사야 조절장치 |
KR20190002348U (ko) * | 2019-09-16 | 2019-09-2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Kilovoltage X-ray를 이용한 반려동물 방사선 치료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98A (ja) * | 1996-06-18 | 1998-01-06 | Rigaku Corp | X線回折装置のスリット装置 |
KR20080071727A (ko) * | 2007-01-31 | 2008-08-05 | (주)에코트론 | 콜리메이터의 조리개 조절장치 |
KR200449959Y1 (ko) | 2008-12-05 | 2010-08-25 | (주)바텍이우홀딩스 |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KR101137156B1 (ko) | 2010-05-14 | 2012-04-19 | 이레나 |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
-
2014
- 2014-09-25 KR KR1020140128625A patent/KR1016022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98A (ja) * | 1996-06-18 | 1998-01-06 | Rigaku Corp | X線回折装置のスリット装置 |
KR20080071727A (ko) * | 2007-01-31 | 2008-08-05 | (주)에코트론 | 콜리메이터의 조리개 조절장치 |
KR200449959Y1 (ko) | 2008-12-05 | 2010-08-25 | (주)바텍이우홀딩스 |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KR101137156B1 (ko) | 2010-05-14 | 2012-04-19 | 이레나 |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6186A (ko) * | 2017-10-25 | 2019-05-07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조사야 조절장치 |
KR102009085B1 (ko) * | 2017-10-25 | 2019-08-08 |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조사야 조절장치 |
KR20190002348U (ko) * | 2019-09-16 | 2019-09-2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Kilovoltage X-ray를 이용한 반려동물 방사선 치료 장치 |
KR200490657Y1 (ko) | 2019-09-16 | 2019-12-1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Kilovoltage X-ray를 이용한 반려동물 방사선 치료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632995B1 (de) | Zahnärztliche Röntgendiagnostikeinrichtung | |
DE4312640C2 (de) | Rotationstomographie-Röntgenvorrichtung mit Planigraphiefunktion | |
DE102006018609B4 (de) | Medizinisches Röntgenbildgerät und Röntgendetektor zur Verwendung in demselben | |
KR101620331B1 (ko) | X선 촬영장치 | |
JP5710274B2 (ja) | 調整可能な走査装置 | |
KR20150053768A (ko) | 부분적인 ct 이미징을 위한 장치 | |
KR200449959Y1 (ko) |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
KR101232757B1 (ko) | 다양한 모드의 엑스선 촬영이 가능한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 | |
US10517551B2 (en) |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602248B1 (ko) | X선 촬영장치의 콜리메이터 | |
KR101927079B1 (ko) | X-선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지그 장치 | |
EP2736414B1 (en) | Computed tomography perfusion phantom and method of use thereof | |
JP2003175031A (ja) | デジタルx線パノラマ撮影装置 | |
DE4440376A1 (de) | Planigraphische Röntgenvorrichtung | |
JP2007159987A (ja) | X線撮影装置 | |
KR101487253B1 (ko) | 의료용 동력 전달유닛 및 이를 이용한 뇌 정위수술용 정위장치 | |
KR101406216B1 (ko) | 뇌 정위수술용 정위장치 | |
KR101660129B1 (ko) | X선 촬영장치 | |
KR101536072B1 (ko) | X선 촬영장치 | |
JP2011161211A (ja) | 医療用x線撮像装置 | |
KR101620679B1 (ko) | X선 촬영장치 | |
US6452997B1 (en) | Method for use in tomographic imaging | |
KR101463749B1 (ko) | 엑스선 콜리메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 |
KR101621228B1 (ko) | 엑스레이 장비용 콜리메이터의 촬영 위치 및 영역 표시장치 | |
KR101660130B1 (ko) | X선 촬영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