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656B1 -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656B1
KR102383656B1 KR1020210062862A KR20210062862A KR102383656B1 KR 102383656 B1 KR102383656 B1 KR 102383656B1 KR 1020210062862 A KR1020210062862 A KR 1020210062862A KR 20210062862 A KR20210062862 A KR 20210062862A KR 102383656 B1 KR102383656 B1 KR 10238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groove
measuring
image
imag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곤
Original Assignee
김일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곤 filed Critical 김일곤
Priority to KR102021006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촬영면의 전방에 설정간격으로 거치되고, 상기 촬영면과 반대되는 전방의 측정면에 다수의 측정패턴이 형성되는 팬텀과, 측정면의 전방에서 측정면의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사선 촬영부 및, 방사선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고, 방사선 촬영부로 전달되는 비교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중첩시켜 측정패턴의 형상과 명암 차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Image quality verification apparatus for Cephalometric X-ray equipment}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의 측정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오차(영상품질의 저하, 틀어짐, 왜곡 등) 발생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齒科, dentistry)에서는 치아/치주질환 치료 및 치열교정을 위해 치아를 포함한 치조골(齒槽骨, 치아 주위구조)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사선 촬영장치(X-ray equipment)는 대부분 엑스레이(X-ray: 방사선)를 조사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치아를 포함한 치조골을 이차원 평면적으로 촬영하는 파노라마 영상(Panoramic x-ray image) 및 그보다 정밀하게 삼차원 입체적으로 촬영하는 CT 영상(Computerized tomography), 환자의 두부(頭部)를 전방에서 후방, 후방에서 전방, 좌측 또는 우측에서 촬영하는 세팔로 영상(Cephalometric image, 두부계측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치과용 방사선 촬영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부와, 승강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선회암과, 선회암의 일측에 구비되는 엑스레이 조사부와, 선회암의 타측에 구비되어 엑스레이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빔을 수광하는 파노라마 영상용 디텍터('이하 파노라마용 디텍터'라 칭함)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치과용 방사선 촬영장치는 장기간 사용시 장비의 노화로 인해 선회암의 설치 위치와 엑스레이 조사부의 조사 각도 등이 미세하게 변경되거나, 장비 교체시 촬영된 이미지의 비율 등이 변경될 수 있어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엑스레이 조사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오차(영상품질 저하, 왜곡 발생 여부 등)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0656호(2011년 05월 1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치과용 3차원 엑스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엑스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의 측정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오차(영상품질의 저하, 틀어짐, 왜곡 등) 발생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는 촬영면의 전방에 설정간격으로 거치되고, 상기 촬영면과 반대되는 전방의 측정면에 다수의 측정패턴이 형성되는 팬텀과, 상기 측정면의 전방에서 상기 측정면의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사선 촬영부 및, 상기 방사선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부로 전달되는 상기 비교 이미지와 상기 기준 이미지를 중첩시켜 상기 측정패턴의 형상과 명암 차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패턴은 상기 측정면의 중심영역에 정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는 제1측정홈 및, 상기 제1측정홈의 내부에 정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하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측정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정홈과 상기 제2측정홈은 상하 방향의 모서리부가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모서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패턴은 상기 제1측정홈의 가장자리에 직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측정홈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3측정홈 및, 상기 제3측정홈의 외곽을 따라 원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측정홈과 상기 제2측정홈 및 상기 제3측정홈이 내부영역에 위치되는 제4측정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측정홈의 상하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3측정홈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측정홈의 좌우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3측정홈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측정홈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단턱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제3측정홈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면의 전방에 위치되고, 마주하는 일측에 삽입돌기가 대응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팬텀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각각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의 측정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오차(영상품질의 저하, 왜곡 여부 등) 발생 여부를 평가할 수 있고, 측정패턴의 형상 변화 및 명암을 이용해 오차를 검증할 수 있어 교정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팬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팬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A-A선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B-B선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에서 촬영한 팬텀의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보조 측정홈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보조 측정홈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팬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팬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A-A선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B-B선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에서 촬영한 팬텀의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보조 측정홈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의 보조 측정홈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는 치과용 방사선 촬영기의 촬영된 영상의 오차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팬텀(100)과, 방사선 촬영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팬텀(100)은 방사선 촬영부(200)의 촬영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선 촬영기의 일측에 형성된 촬영면(10)의 전방에 설정간격으로 거치되고, 촬영영역에 거치된 팬텀(100)의 전면과 후면은 촬영면(10)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면(10)의 전방에는 팬텀(100)을 거치시키기 위한 한 쌍의 거치대(210)가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210)는 마주하는 일측에 삽입돌기(211)가 대응되게 돌출될 수 있고, 거치대(210)의 상단은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거치대(210)는 수직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미도시)의 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거치대(210)는 촬영 대상 환자의 머리부를 촬영영역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단이 회전부재의 양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거치대(210)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호간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대상 환자의 두부 엑스레이 영상 촬영시 환자의 머리부가 거치대(210)의 사이에 위치되고, 거치대(210)의 삽입돌기(211)가 촬영 대상 환자의 귓구멍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팬텀(100)은 상하 및 좌우 방향에 모서리부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팬텀(100)의 상하 모서리부가 수평하게 형성되고, 팬텀(100)의 좌우 모서리부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텀(100)의 양측에는 거치대(210)의 삽입돌기(211)가 각각 삽입되도록 삽입홈(1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30)은 삽입돌기(211)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팬텀(100)의 상하 폭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210)의 사이에 팬텀(100)를 위치시킨 후, 거치대(210)의 삽입돌기(211)를 팬텀(10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30)에 각각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팬텀(100)의 삽입홈(130)은 상부에 편심되게 위치되므로, 팬텀(100)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거치대(210)의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특히, 팬텀(100)의 전면에는 측정면(110)이 형성되고, 측정면(110)에는 다수의 측정패턴(120)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후술될 방사선 촬영부(200)로 팬텀(100)의 측정면(110)을 촬영하여 기준 이미지(321)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팬텀(100)의 측정면(110)을 촬영하여 기준 이미지(321)와 중첩시키기 위한 비교 이미지(322)를 획득할 수 있다.
측정패턴(120)은 팬텀(100)의 측정면(110)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기준 이미지(321)에 표시되는 측정패턴(120)과, 비교 이미지(322)에 표시되는 측정패턴(120)의 형상 및 명암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기준 이미지(321)의 측정패턴(120)과 비교 이미지(322)의 측정패턴(120) 형상과 명암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기준 이미지(321)의 측정패턴(120)과 비교 이미지(322)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 장비의 판매처로 사후 관리를 요청하여 장비의 오차를 교정할 수 있으며, 장비의 오차 교정 후에도 주기적인 오차 검증 과정을 진행할 수 있어 장비의 영상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패턴(120)은 측정면(110)의 중심영역에 정사각형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는 제1측정홈(121) 및, 제1측정홈(121)의 내부에 정사각형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하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측정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정홈(121)과 제2측정홈(122)은 상하 방향의 모서리부가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모서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측정홈(121)은 팬텀(100)의 중심위치에서 계측의 기준이 되는 부분으로, 팬텀(100)의 측정면(110)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이미지 촬영시 측정면(110)과 명암 차이를 가지며, 촬영된 이미지에 제1측정홈(121)의 가장자리가 표현된다. 또한 제1측정홈(121)은 상하 방향의 모서리부가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모서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를 중첩시키는 경우 제1측정홈(121)의 각도 변경, 길이 변경 등의 오차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정홈(121)의 바닥면에는 후술될 방사선 촬영부(200)의 촬영 기준점이되는 중심 홈부(미도시)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중심 홈부의 중심위치(C)는 제1측정홈(121)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중심위치(C)와 일치될 수 있다. 즉 중심 홈부의 중심위치(C)를 이용해 후술될 방사선 촬영부(200)의 촬영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측정홈(122)은 제1측정홈(121)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이미지 촬영시 측정면(110)과 명암 차이를 가지며, 촬영된 이미지에 제2측정홈(122)의 가장자리가 표현된다. 또한 제2측정홈(122)은 상하 방향의 모서리부가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모서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를 중첩시키는 경우 제1측정홈(121)의 각도 변경, 길이 변경 등의 오차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측정홈(122)은 좌우 20mm, 상하 20mm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측정홈(121)의 4개 코너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4개의 제2측정홈(122)과, 제1측정홈(121)의 중심 위치에 형성되는 1개의 제2측정홈(122)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제2측정홈(122)의 개수와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패턴(120)은 제1측정홈(121)의 가장자리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측정홈(121)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3측정홈(123) 및, 제3측정홈(123)의 외곽을 따라 원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측정홈(121)과 제2측정홈(122) 및 제3측정홈(123)이 내부영역에 위치되는 제4측정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정홈(121)의 상하 방향에 배치된 제3측정홈(123)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1측정홈(121)의 좌우 방향에 배치된 제3측정홈(123)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3측정홈(123)는 제1측정홈(121)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고, 제3측정홈(123)의 폭방향이 제1측정홈(121)의 모서리부와 나란하게 이격 위치될 수 있으며, 제3측정홈(120)의 길이, 깊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3측정홈(123)은 측정면(110)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이미지 촬영시 측정면(110)과 명암 차이를 가지며, 촬영된 이미지에 제3측정홈(123)의 가장자리가 표현된다. 또한 제3측정홈(123)은 상하 방향의 모서리부가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모서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를 중첩시키는 경우 제3측정홈(123)의 틀어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측정홈(123)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단턱부(123a)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23a)는 촬영 이미지의 계조도(gradation)를 평가하기 위한 부분으로, 가장 밝은 부분부터 가장 어두운 부분 까지를 단계별로 보여준다.
여기서, 단턱부(123a)는 제3측정홈(123)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단차(G)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턱부(123a)는 제3측정홈(123)의 폭방향으로 10mm, 제3측정홈(123)의 길이방향으로 5mm의 폭을 형성하면서 제3측정홈(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단턱부(123a)들은 0.5mm의 단차(G)를 형성하면서 하향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단턱부(123a)는 제3측정홈(123)의 바닥면으로부터 단차(G)를 형성하면서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므로, 이미지 촬영시 단턱부(123a)들은 명암 차이를 가지며, 촬영된 이미지에 단턱부(123a)의 가장자리가 표현된다. 또한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를 중첩시키는 경우 단턱부(123a)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오차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4측정홈(124)은 제1측정홈(121)과 제2측정홈(122) 및 제3측정홈(123)이 내부영역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4측정홈(124)의 중심위치(C)는 팬텀(100)의 좌우 및 상향 방향의 중심위치(C)와 일치될 수 있고, 제4측정홈(124)의 반경 방향 두께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4측정홈(124)은 12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4측정홈(124)의 중심위치(C)와 중심 홈부의 중심위치(C)가 일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측정홈(124)는 정원 형태를 가지므로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를 비교하여 제4측정홈(124)이 타원 형태 등으로 왜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제4측정홈(124)의 상하 및 좌우 직경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차 발생을 판정할 수 있다.
한편, 팬텀(100)의 후면에는 도 9와 10에서처럼 다수의 보조 측정홈(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측정홈(140)은 촬영된 이미지의 선예도(sharpness)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도 9와 10에서처럼 내주면이 원주를 이루는 원 형상의 홈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보조 측정홈(14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조 측정홈(140)은 직경 2mm, 깊이 4mm로 형성시킬 수 있고, 보조 측정홈(140)들은 5mm의 중심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측정홈(140)은 이미지 촬영시 기준 이미지(321) 또는 비교 이미지(322)에 투시된 상태로 표시되며, 보조 측정홈(140)은 팬텀(100)의 후면과 명암 차이를 가지므로 촬영된 이미지에 보조 측정홈(140)의 가장자리가 표현된다. 즉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를 중첩시키는 경우 보조 측정홈(140)의 위치 변경 여부를 이용해 팬텀(100)의 틀어짐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200)는 촬영 대상 환자의 두부 형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면(10)의 전방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팬텀(100)의 측정면(110)을 촬영한다. 여기서 방사선 촬영부(200)은 X선을 인체가 투과시켜 촬영하는 X선 카메라(X-ray camera)를 사용하고, 방사선 촬영부(200)는 촬영된 이미지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방사선 촬영부(200)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이미지(321)를 저장하고, 방사선 촬영부(322)로 전달되는 비교 이미지(322)와 기준 이미지(321)를 중첩시켜 측정패턴(120)의 형상과 명암 차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에는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를 외부로 보여주기 위한 표시부(310)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310)에는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를 구분된 영상으로 보여주거나, 중첩된 영상으로 보여주기 위한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의 제1측정홈(121)과 제2측정홈(122) 및 제3측정홈(123)의 모서리부 각도를 비교함과 아울러, 제4측정홈(124)의 직경을 비교하여 형상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제2측정홈(122)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부(123a)의 계조도(gradation) 변화를 확인하면서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제어부(300)의 표시부(310)를 통해 표시되는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의 형상과 명암을 비교하면서 오차(틀어짐, 명암 차이 등)를 평가할 수 있고,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 장비의 판매처로 사후 관리를 요청하여 장비의 오차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팬텀(100)의 양측에는 제1눈금(미도시)이 수직하게 표시될 수 있고, 거치대(210)들의 반대되는 일측면에는 제2눈금(미도시)이 수직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210)들의 사이에 팬텀(100)을 결합시키는 경우, 제1눈금과 제2눈금을 일직선으로 조정하면서 팬텀(100)이 수직하게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팬텀(100)의 제1눈금과 제2눈금이 일직선으로 위치되지 않은 경우, 팬텀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제1눈금과 제2눈금을 일직선으로 맞춰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기준 이미지(321)와 비교 이미지(322)의 측정패턴(120)을 비교 분석하여 오차(영상품질의 저하, 왜곡 여부 등)를 확인할 수 있고, 측정패턴(120)의 형상 변화 및 명암을 이용해 오차를 판정할 수 있어 교정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촬영면 100: 팬텀
110: 측정면 120: 측정패턴
121: 제1측정홈 122: 제2측정홈
123: 제3측정홈 123a: 단턱부
124: 제4측정홈 130: 삽입홈
140: 보조 측정홈 200: 방사선 촬영부
210: 거치대 211: 삽입돌기
300: 제어부 310: 표시부
321: 기준 이미지 322: 비교 이미지
C: 중심위치 G: 단차

Claims (5)

  1. 촬영면의 전방에 설정간격으로 거치되고, 상기 촬영면과 반대되는 전방의 측정면에 다수의 측정패턴이 형성되는 팬텀;
    상기 측정면의 전방에서 상기 측정면의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사선 촬영부; 및
    상기 방사선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부로 전달되는 상기 비교 이미지와 상기 기준 이미지를 중첩시켜 상기 측정패턴의 형상과 명암 차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패턴은,
    상기 측정면의 중심영역에 정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는 제1측정홈 및,
    상기 제1측정홈의 내부에 정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4개의 모서리부가 형성되며, 상하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측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정홈과 상기 제2측정홈은 상하 방향의 모서리부가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모서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패턴은,
    상기 제1측정홈의 가장자리에 직사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측정홈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3측정홈 및,
    상기 제3측정홈의 외곽을 따라 원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측정홈과 상기 제2측정홈 및 상기 제3측정홈이 내부영역에 위치되는 제4측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정홈의 상하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3측정홈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측정홈의 좌우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3측정홈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측정홈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단턱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제3측정홈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면의 전방에 위치되고, 마주하는 일측에 삽입돌기가 대응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팬텀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각각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KR1020210062862A 2021-05-14 2021-05-14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KR10238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862A KR102383656B1 (ko) 2021-05-14 2021-05-14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862A KR102383656B1 (ko) 2021-05-14 2021-05-14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656B1 true KR102383656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862A KR102383656B1 (ko) 2021-05-14 2021-05-14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6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231B1 (en) * 1999-06-24 2001-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interchangeable phantoms for multiple x-ray systems
US20190110771A1 (en) * 2017-10-13 2019-04-18 National Yang Ming University Test phantom for x-ray imaging
KR20190123865A (ko) * 2018-04-25 2019-11-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엑스선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캘리브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231B1 (en) * 1999-06-24 2001-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interchangeable phantoms for multiple x-ray systems
US20190110771A1 (en) * 2017-10-13 2019-04-18 National Yang Ming University Test phantom for x-ray imaging
KR20190123865A (ko) * 2018-04-25 2019-11-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엑스선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캘리브레이션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antom holder for test phantoms. Supertech 제품소개, [online], 2017.11.03. 포스팅, [2022.02.18. 검색], 인터넷URL:https://www.supertechx-ray.com/QualityControlPhantoms/Pro-Project-Pro-RF-Rack.ph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2042B2 (ja) 3次元歯科用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固定式口腔内トモシンセシス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92111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mechanical and dosimetric quality assurance measurements in radiation therapy
JP6925779B2 (ja) 小照射野x線撮影システム及び方法
JP5019879B2 (ja) X線ct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1529359A (ja) 歯の3次元x線画像生成のための方法およびx線装置
KR20110125822A (ko)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용 엑스선 조사범위 표시장치
JP2006312047A (ja) 対象の直交方向x線減弱の算出方法、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およびその補正モジュール
KR20140044158A (ko) 치아 모형 x-선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지그 장치
KR20120114267A (ko) 두부계측 이미지를 생성하는 구강 방사선 장치 및 관련된 방법
US10441227B2 (en) Cephalostat
JP4861037B2 (ja) 計測装置
KR20130030336A (ko) 파노라마 영상획득 장치
JP5259873B1 (ja) 顔面写真撮影装置、顔面写真撮影を行う際の頭部傾き測定方法ならびに顔面写真撮影およびx線撮影装置
JP5100907B1 (ja) X線撮影装置、x線撮影を行う際の頭部傾き測定方法、x線撮影装置用スタンド、x線撮影装置用椅子および頭部傾き設定装置
KR102383656B1 (ko) 방사선 촬영기의 영상품질 검증장치
EP3226769B1 (en) Visual indicator for the assessment of the tilt of the frankfort plane in extra oral dental imaging devices
KR102180602B1 (ko) 삼차원 안면 광학 영상과 세팔로 x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세팔로 x선 영상 획득 장치
JP4058523B2 (ja) 校正器、及び、校正方法
EP3370618B1 (en) Dynamic image data treatment in dental imaging devices
RU2771467C2 (ru) Компьютерная томография и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е отображаемой области
US10687769B2 (en) Method for creating a 3D dental X-ray image
EP3261543B1 (en) Bite block for cbct imaging device
KR20150093365A (ko) 엑스레이 영상 촬영장치
KR102173181B1 (ko) 콘빔 엑스선 단층촬영장치의 디텍터 정렬장치 및 그 정렬방법
KR20170105753A (ko) 원거리 방사선 촬영 및 선택적 입체 듀얼 소스 cbct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