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238A - 소변기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소변기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238A
KR20110124238A KR1020117019043A KR20117019043A KR20110124238A KR 20110124238 A KR20110124238 A KR 20110124238A KR 1020117019043 A KR1020117019043 A KR 1020117019043A KR 20117019043 A KR20117019043 A KR 20117019043A KR 20110124238 A KR20110124238 A KR 20110124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s
urinal
hol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5925B1 (ko
Inventor
아서 슈메드
Original Assignee
우리맷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맷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우리맷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12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6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with mechanical cleaning tools, e.g. scrapers, with or without additional fluid j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7Waterless or low-flush urinal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2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 하나의 하수공(4)을 구비하는 유입면(1)과 유입면(1)에 장착되며 하수공(4)을 위로 배치되는 커버(6)로서 세척돌이 배치되는 공간을 감싸는 커버(6)로 구성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버(6) 상에 다수의 개방공(15),(16)이 분포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버(6)는 다양한 방향으로 유입면에 장착될 수 있고, 그 결과 다양한 개수로 커버의 표면적 상에 분포되어 개방공들이 특정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변기 악취차단장치{ODOR SEAL FOR A URINAL}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명시된 소변기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변기 악취차단장치, 특히 무수(無水) 소변기의 경우 하수관네트워크로 방출되는 폐수를 하수관 안에 고립시켜 하수관에서 악취가 밖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 밖에도 본 소변기 악취차단장치는 소변을 하수와 함께 완벽하게 흘려 보내 차단장치에 소변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한다. 또한 유입면 상에는 주로 세척돌(cleaning stone)을 배치하는데, 세척돌은 소변이 닿으면 용해되어 세척 및 항균 효과를 발휘한다.
소변기 악취차단장치는 예컨대 CH 694 274 A5를 통해 알려진 바 있다. 여기에서 소개하고 있는 악취차단장치는 하나의 용기로 구성되는데, 이 용기의 상부에 있는 링형태의 유입면 중앙에 개방구가 배치되어 있고 개방구는 차단마개를 구비한다. 차단마개는 샤프트에 의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링 형태를 갖는 유입면의 모서리 쪽으로 가압된다. 이렇게 닫힌 상태는 샤프트의 아래쪽 끝에 장착된 자석과 통의 바닥에 장착된 자석이 서로 같은 극으로 서로를 밀어내는 현상을 통하여 유지된다. 일정 양의 소변 그리고/또는 폐수가 차단마개 위쪽에 쌓이면 차단마개가 아래로 가압되어 액체가 아래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 다른 형태의 소변기 악취차단장치는 EP 1 076 739 B1을 통하여 공개된 바 있다. 이 악취차단장치의 경우 CH 649 274 A5에서의 차단마개 대신 부유체를 배치하는데, 이 부유체가 용기 안 액체의 양이 증가하면 부유하여 링 형태를 갖는 유입면의 개방구를 막는다.
그 밖에도 호스형 밸브 악취제거장치도 알려져 있다.
EP 1 972 727 A1에서는 소변기 하수구에 장착되는 하수구장치가 기술된다. 이 하수구장치는 위쪽 끝부분에 마개가 장착된 하나의 하수관으로 구성되는 매우 간단한 장치다. 마개는 아래쪽 끝부분 측면에 작은 절개를 갖고 있어, 이 절개를 통하여 액체가 유입된다.
GB 2 449 364 A에는 소변기 하수구에 배치하는 장치가 기술된다. 이 장치는 용해 가능한 방향소재가 장착되는 용기로 구성된다. 용기는 아래쪽 모서리에 절개가 있고, 일정 수준의 소변이 쌓이게 되면 액체가 이 절개를 통하여 침투하게 된다. 아래쪽에는 밸브 형태의 개방지점이 있고, 이 개방지점은 유연한 밸브 잠금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잠금 장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열리고, 닫혀있는 동안에는 악취차단 역할을 한다.
EP 1 785 077 A1에서는 무수(無水) 위생시설, 특히 무수(無水) 소변기의 하수관에 장착되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위쪽 부분에는 커버가 있고 그 아래에는 용기가 장착되어 있어 그 안에 예컨대 항균재료가 담겨 있다. 이 용기는 미세한 개방구를 가지고 있어 하수집합소의 수면이 상승할 경우 그 개방구를 통하여 액체가 유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형태의 악취차단장치들은 소변기에 투척되기 쉬운 담배꽁초 등과 같은 쓰레기 때문에 막히고, 결과적으로 완벽한 차단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이물질이 악취차단장치에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소변기에 흔히 철망을 깔아 하수를 전체적으로 걸러주기도 한다.
기존의 악취차단장치의 또 하나의 문제는 소변기 안에 배치한 세척돌이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다는 점이다. 특히 세척돌이 오로지 소변의 유입으로만 용해되는 무수(無水) 소변기의 경우에 그러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수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하며, 더 나아가 세척돌을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소변기 악취차단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청구항 1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소변기 악취차단장치를 통하여 해결된다. 이 악취차단장치는 최소 하나의 하수공을 구비한 하나의 유입면으로 구성되는데, 이 유입면 상에는 커버가 장착된다. 커버는 전 면적에 걸쳐 개방공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는 세척돌이 배치되는 공간을 감싼다. 이 커버를 통하여 유입면의 하수공이 가려지고 보호된다. 동시에 이 커버는 세척돌을 소변기에 배치시킬 만큼의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 밖에도 커버는 악취차단장치가 투입 장소뿐 아니라 소변기의 사용빈도에 상관 없이 이하에 기술 되듯이 모든 조건 하에 적용을 가능케 해준다.
커버는 다수의 개방공을 가지고 있어 충분한 양의 소변이 침투 할 수 있다. 이 개방공들은 커버 전 면적에 걸쳐 분포하는데, 부위 또는 영역 별 개방공의 수가 달라, 장치를 사용할 곳의 조건에 맞춰 커버를 다양한 형태로 하수공에 장착할 수 있다. 세척돌들이 충분한 양의 액체와 접촉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커버의 아래쪽 모서리에 충분히 큰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커버의 아래쪽 모서리에 위치한 이 통과공 역시 모서리의 다양한 부위에 분포 될 수 있다.
어떤 형태로 장착을 하든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항시 충분한 양의 소변이 커버의 내부공간에 침투하여 세척돌을 충분히 적실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커버는 개방공을 구비해야 하는데, 이 개방공들은 선호적으로 전 면적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이 개방공들은 선호적으로 동일한 선상 즉, 동일한 높이 상에서 커버의 전면적에 걸쳐 배치되어 커버가 어떠한 방식으로 장착되든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개방공들을 구비한 커버 또는 악취차단장치가 소변기 내부에 어떠한 방향으로든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기술된 기본 개방공들은 선호적으로 커버의 위쪽 부위에 형성된다.
커버는 표면적이 최소 두 개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추가 개방공을 가질 수 있는데, 이 추가 개방공들은 두 구역이나 구획이 각기 서로 다른 개방공의 개수를 가질 수 있도록 분포되어야 한다. 한 구역은 오로지 기본 개방공만을 가질 수 있는데, 기본 개방공들은 기본적으로 커버의 전면적에 걸쳐 배치된다.
선호적으로 각 구역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다시 말해 커버가 두 구역으로 구분될 시 각 구역은 중심각이 180˚인 커버의 면적을 포괄하며, 커버를 세 개 구역으로 구분할 시에는 각 구역의 중심각이 120˚가 된다.
본 발명에 입각하여 커버는 표면적 상에 개방공이 전혀 없는 하나의 영역 또는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커버가 두 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성될 때 선호된다.
개방공을 전혀 구비하지 않은 구역은 그 중심각의 크기가 30˚ 내지 45˚ 사이가 되어야 한다.
서로 다른 개수의 개방공을 갖는 다수의 구역으로 구성된 커버는 유입면 위에 다양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커버의 여러 구역 중 한 구역이 특정 소변기위 위치에 배치되어 소변기 사용자와 마주하게 장착될 수 있다.
소변기는 어느 곳에 위치한 소변기인가에 따라 사용빈도가 상이하다. 그 결과 사용빈도가 낮은 소변기 즉, 적은 양의 세척돌이 용해되는 소변기가 있는가 하면, 사용빈도가 높아서 세척돌이 빠르게 소모되는 소변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1주일에 10회 사용되는 소변기에서부터 1시간 당 100회 이상 사용되는 소변기가 있을 수 있다. 세척돌이 세척 및 항균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일정 수명을 유지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빈도가 낮은 소변기의 경우 커버 상 개방공이 많은 면이 소변기 사용자와 마주하게 커버를 배치하여, 소변이 개방공이 많은 커버의 면을 통하여 세척돌에 쉽게 도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사용빈도가 높은 소변기의 경우 소변기 사용자와 마주하는 쪽에 개방공의 수가 적은 커버의 면을 향하게 하여, 적은 비율의 소변만이 세척돌에 도달하게 한다.
커버는 선호적으로 개방공의 개수가 서로 다른 3개의 구역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소변기의 낮거나 중간이거나 높은 사용빈도에 맞게 커버를 악취차단부 그리고/또는 소변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목적에 적합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각 구역은 예컨대 로마자 I, II, III 또는 알파벳 A, B, C로 표시되어 있다.
커버가 서로 다른 개수의 개방공을 갖는 다수의 구역, 특히 3개 또는 그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 될 수 있는데, 개방공이 전혀 없는 구역이 존재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조치이다.
서로 다른 개수로 여러 구역에 분포되어 있는 개방공들은 커버의 아래 쪽 모서리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야 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커버 상에 기본 개방공과 추가 개방공이 존재할 경우 하나의 개방공 무리, 예컨대 기본 개방공들은 커버의 전 면적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 커버의 모든 방향에서 충분한 양의 액체가 세척돌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추가 개방공들은 구역별로 서로 다른 개수로 배치된다.
커버는 유입면 위에 장착된 거름망을 하수구 위에 고정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이 거름망은 유입면을 표면을 평탄하게 유지시켜주는 효과와 더불어 세척돌들이 이 유입면과 하수구로부터 적당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소변의 지체 없는 배출을 가능케 해준다. 그 밖에도 오염물질과 머리카락을 걸러주는 효과도 있다.
커버 안에 배치되는 세척돌이 소모되었는지 또는 아직 사용가능한지를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독창적 원리에 따라 세척돌이 배치되는 거름망이 커버와 확연하게 구분되는 색깔로 유색 처리된다. 세척돌이 완전히 소모된 상태에서는 커버 상의 개방공을 통하여 거름망의 색이 확인된다. 즉, 세척돌이 완전히 소모되었는지 시각적으로 간단히 확인 가능하다. 커버를 투명하게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거름망 색으로는 빨강이나 노랑과 같은 강한 계열의 색상을 권한다.
커버 바로 아래의 유입면 부분만이라도 커버와 대비되는 색상으로 유색 처리하면 비슷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세척돌이 모두 소모되어 없는 경우 또는 거의 소모된 경우 커버의 개방공을 통하여 유입면의 색상이 확인 가능하기 때문이다.
악취차단장치는 선호적으로 세로축을 기준으로 회전대칭 구조를 갖는다. 또한 유입면의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커버 역시 회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밖에도 커버는 직육면체 모양의 세척돌이 충분히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액체가 지체 없이 배출 될 수 있게 해주는 돔형태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는 곡선형태를 갖게 되기 때문에 소변줄기가 커버에 대하여 접선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지나치게 많은 양의 소변이 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는 앞서 언급된 것처럼 아래 쪽 모서리 부분에 띠 형태의 절개 즉, 통과공이 형성되어, 소변이 배출되는 동시에 담배꽁초와 같은 이물질은 배출되지 않게 해준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하수관 막힘을 방지해준다.
앞서 기술된 이러한 형태의 커버는 그 밖에도 유입면의 차단장치 및 유입면 아래에 위치해 있는 통 또는 관 형태의 부분을 위한 악취차단마개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 그리고/또는 유입면 또는 유입면 아래에 위치한 통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잠금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에도 커버를 유입면으로부터 분리가능 하게 결합시켜주는 잠금장치를 구비한다.
위에 언급된 잠금장치와 함께 커버의 아래 모서리 부분에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한 방식의 잠금장치가 형성될 수 있는데, 유입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한 이 잠금장치는 띠 형태의 절개 즉, 통과공을 형성시킨다.
커버와 유입면 및 거름망은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특징, 활용가능성들은 도면과 함께 설명되고 있는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소개된다. 이때 모든 기술된 또는 도면을 통하여 도시된 특징들은 본 발명의 대상을 유용하게 적용한 사례로, 청구항 및 관련 내용과 무관하다.
도면은 다음을 도시한다.
도 1은 커버, 유입면, 밀봉링을 구비한 본 발명에 입각한 악취차단장치의 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과 같은 형태의 장치이지만 커버 상에 개방공 배열이 다른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입각한 악취차단장치의 단면의 전체적이고 도식적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의 커버와 같은 커버의 도식적인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커버를 3개 구역으로 분할한 것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 4의 커버를 V지점에서 내려다 본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4와 대비되는 또 다른 형태의 커버의 도식적인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커버를 구성하는 3개 구역과 개방공의 분포를 나타내주는 도 6의 커버를 VII지점에서 내려다본 도식적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소변기의 하수관에 장착하는 소변기를 위한 악취차단장치의 상부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상부 부분은 윤곽선이 원형 형태를 갖는 유입면(1)으로 구성된다. 유입면(1)의 가장자리(2)에는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원형의 밀봉부위(3)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밀봉부위(3)는 소변기 하수관에 악취차단장치가 배치될 때 하수관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유입면(1)은 하수구(4)가 구비되어 있는 중심부로 약간 기울어져 깔때기 형태를 갖는다. 소변기 바닥에 쌓이는 극히 소량의 액체라도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유입면(1)의 바닥은 경사가 최소 2도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징이 갖춰지면 소변기에 잔여 소변이 남아 악취가 나는 것이 방지된다.
유입면(1) 위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하수구(4)의 중심을 기준으로 커버(6)가 장착된다.
도면 상에서는 암시적으로만 표현되어 있는데, 유입면(1)의 아래 부분에는 통 또는 관 형태의 부분(7)이 장착되어 있고, 이 부분에는 예컨대 명세서 앞부분의 기술설명 시 언급된 것과 같은 배출/차단장치와 같은 기타 악취차단부품이 배치된다. 배출/차단장치는 본 명세서에 명시된 발명의 대상에 있어 핵심적인 사항이 아니다.
유입면(1)은 지름의 길이가 통 또는 관 형태의 부분(7)의 바깥쪽 지름보다 크다. 통 또는 관 형태의 부분(7)의 가장 자리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유입면(1)의 모서리(2) 부분의 아래 쪽으로 향하는 면(8)은 유입면(1)의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플랜지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이 면 또는 플랜지(8) 위에 밀봉부위(3)이 얹혀지듯 배치된다. 이 밀봉부위(3)는 C-모양의 단면형태를 가지고 있어 플랜지(8)의 위쪽 그리고 아래쪽 모서리를 그립한다. 이러한 형태의 밀봉부위(3)와 함께 악취차단장치가 소변기에 장착된다.
커버(6)의 아래 부분에는 거름망(9)이 있는데, 거름망(9)의 단면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거름망(9)에는 실린더 형태의 세척돌(10)을 배치하는데, 커버(6)의 내부 공간을 거의 전체적으로 채우는 형태가 된다.
커버(6)는 아래쪽 모서리 부분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잠금장치(11)를 구비하고 있는데,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잠금장치(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잠금장치들은 돌출부가 있어 유입면(1)에 맞물리고 갈고리 모양의 끝(12)을 통하여 통 또는 관 형태의 부분(7)에 맞물린다. 그 결과 잠금장치(11) 및 커버(6)를 통하여 모든 부품들이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모든 부품들의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가능하다.
커버(6)의 아래 모서리와 거름망(9)을 유입면(1)으로부터 적당한 간격을 유지한 채 배치하기 위해서 유입면(1) 상에 파이프 형태의 간격링(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격링 상에 커버(6)의 모서리가 얹혀져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커버(6)의 아래쪽 모서리와 유입면(1) 사이에 일정한 구역을 형성하는 통과공(14)이 형성되는데, 이 통과공은 비교적 많은 양의 소변이 하수구(4)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간격링은 거름망(9)의 받침 역할도 담당한다.
도 1, 2, 4, 5에서처럼 커버(6)의 전 면적에 걸쳐 기본 개방공(15)과 추가 개방공(16)으로 분류되는 다수의 개방공이 분포되어 있다.
기본 개방공(15)은 도 5에 도시된 상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이 6개의 개방공(15)들은 그 밖에도 서로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개방공(15)들로 구성된 또 하나의 띠가 있는데, 이 개방공들은 전자의 개방공들보다 낮은 높이 상에 띠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추가 개방공(16)은 도 5 및 도 4에서처럼 A, B, C 세 개의 구역 중 두 개 구역에 분포하며, 이때 구역 B에는 추가 개방공(16) 중 세 개가 배치되어 있고, 구역 C에도 하나의 추가 개방공(16)이 배치되어 있고, 구역 A에는 추가 개방공(16)이 없다.
구역 A, B, C는 각기 중심각이 120˚인 커버 상의 면적을 차지한다.
구역 A, B, C를 구분해주는 도 5의 선(17)은 커버(6)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구역 A, B, C 또는 기타 구역표시 예컨대 I, II, III과 같은 표시로 역시 확인가능 한데, 이러한 선은 악취차단장치의 설치 시 악취차단장치의 각 사용에 적합한 방향으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소변기에 악취차단장치를 설치할 시 장치는 통째로 또는 커버(6)만 돌려 특정 구역 A 또는 B 또는 C 즉, 개방공(15)와(16)의 특정 그룹만이 소변기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치로 인하여 소변기의 사용빈도에 적합하게 세척돌(10)이 항상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여 효과적이고 장기적으로 세척 및 항균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각 구역의 크기와 형태와 개방공(16)과(17)의 분포는 도(1) 내지(5)에서는 제한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구역의 특징은 개별 적용사례에 맞게 변형되어야 한다.
도 6과 7에서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커버와 대비되는 커버(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커버(6)는 구역 A, B, C로 구분이 되며, 각 구역은 커버(6) 상에 중심각이 120˚인 면적을 차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구역 A, B, C가 서로 다른 수의 추가 개방공(16)을 구비하며, 이때 구역 A는 추가 개방공을 전혀 구비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구역 B는 추가 개방공(16)을 2개 구비하며 구역 C는 하나의 추가 개방공16을 구비한다. 도 7의 개방공들은 16번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도 1 내지 5 상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공과 대응되는 개방공으로 구역 A, B, C에 각기 다른 개수로 구비되어 있다. 구역 A, B, C는 각기 커버 상에 중심각이 120˚인 면적을 차지하도록 구분되어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이라도 장치의 부분이 같은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면, 서로 다른 실시예의 부분이지만 대응 및 대체 가능한 부분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의 커버(6)는 돔 형태를 갖거나 선(5)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타원체의 부분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커버 외곽의 아래 부분은 수직선에 대하여 약 20˚ 상당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세척돌(10)이 필요로 하는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준다.
세척돌(10)을 받치고 있는 거름망(9)은 강한 색상 또는 외부에서 봤을 때 커버(6)와 명확하게 구별이 가능한 색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래야 세척돌(10)이 완전히 소모되었거나 거의 소모된 상태일 시 거름망(9)의 튀는 색상이 개방공(15, 16)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새 세척돌(10)을 보충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세척돌 교환이 필요할 경우, 악취차단장치의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전체 악취차단장치를 제거하여 커버(6) 안에 새 세척돌이 구비된 새 악취차단장치를 소변기에 배치할 수 있다. 커버(6)가 제거 가능한 경우에는 장치 전체를 제거하지 않고 커버(6)만 제거하고 커버(6) 아래 배치된 거름망(9) 위에 새 세척돌을 보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가 위생상 더 선호되는 방법이다.
세척돌(10)의 소모여부는 커버(6)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확인 가능하다. 시간적으로도 큰 장점이지만, 위생적인 면에서도 큰 장점이다. 또한 커버(6)를 통째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1 : 유입면
2 : 모서리
3 : 밀봉부위
4 : 하수구 / 하수공
5 : 점선
6 : 커버
7 : 통 또는 관 형태의 부분
8 : 면
9 : 거름망
10 : 세척돌
11 : 잠금장치
12 : 갈고리 모양의 끝
13 : 파이프 형태의 간격링
14 : 통과공
15 : 기본 개방공
16 : 추가 개방공
17 : 선

Claims (21)

  1. 하나의 유입면(1)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최소 하나의 하수공(4)을 구비하며, 이 하수공(4)을 덮으면서 유입면(1) 위에 장착된 커버(6)를 구비하고, 커버(6)는 세척돌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장치에 있어서,
    커버(6) 상에 다수의 개방공(15, 16)이 분포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본 개방공(15)들은 동일한 높이선상에 위치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커버(6)가 최소 두 개의 구역(A, B)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6) 상에 개방공(15, 16)을 전혀 갖지 않는 하나의 영역을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개방공(15, 16)이 전혀 없는 영역 즉, 커버(6)의 한 구역은 그 중심각의 크기가 30˚ 내지 45˚ 사이가 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6)가 추가 개방공(16)을 갖는데, 이들 추가 개방공은 각 구역(A, B, C)이 각기 다른 수의 개방공(15, 16)을 갖도록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공(15, 16)이 커버(6)의 아래 쪽 모서리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개방공(15)이 커버(6) 상에 전체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6)가 기본 개방공(15)만을 갖는 하나의 구역(A, B, C)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6)가 유입면(1) 위에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가능 하여, 커버(6)의 최소(2)개의 구역(A, B, C)이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면(1) 상의 커버(6) 아래에 하나의 거름망(9)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커버(6) 아래 거름망(9) 그리고/또는 커버(6)의 개방공들(15, 16)을 배치할 때, 개방공들(15, 16)을 통하여 거름망(9)의 최소 일부분이라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배치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름망(9)을 유색으로 형성하되, 그 색상이 커버(6)의 색상과 명백하게 구별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6)가 돔 형태의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커버(6)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대칭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커버(6)가 유입면(1)에 대하여 수직으로 나 있는 축(5)을 중심으로 회전대칭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6) 상에 잠금장치(11)가 구비되어 있어, 이 장치를 통하여 커버(6)가 유입면(1) 그리고/또는 유입면(1) 아래 기타 부분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6)의 아래 모서리 부분에 통과공(14)이 형성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통과공(14)이 커버(6)의 아래 모서리와 유입면(1) 사이에 형성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청구항 11과 함께 청구항 19에 있어서,
    커버(6)의 아래 모서리가 잠금장치(11)에 의해 유입면(1)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통과공(14)이 형성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청구항 3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6)를 구성하는 각 구역(A, B, C)이 모두 동일한 면적을 차지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7019043A 2009-02-12 2010-02-11 소변기 악취차단장치 KR101575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8573A DE102009008573A1 (de) 2009-02-12 2009-02-12 Geruchsverschluss für ein Urinal
DE102009008573.4 2009-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238A true KR20110124238A (ko) 2011-11-16
KR101575925B1 KR101575925B1 (ko) 2015-12-08

Family

ID=4217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043A KR101575925B1 (ko) 2009-02-12 2010-02-11 소변기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2) EP2594698B1 (ko)
KR (1) KR101575925B1 (ko)
AU (1) AU2010213152B2 (ko)
DE (2) DE102009008573A1 (ko)
DK (2) DK2396477T3 (ko)
ES (2) ES2424288T3 (ko)
HU (1) HUE034705T2 (ko)
PL (2) PL2594698T3 (ko)
PT (2) PT2396477E (ko)
SI (1) SI2396477T1 (ko)
WO (1) WO20100918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20B1 (ko) * 2012-06-28 2014-01-15 주식회사 워터세이브 무수 소변기의 악취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3055B (en) * 2009-08-28 2015-05-13 Mcalpine & Co Ltd An apparatus for masking and/or deodorising a urinal odour
DE202010010902U1 (de) * 2010-07-31 2010-12-23 Gläßer, Klaus-Dieter Wasserstopp-Verschluß-System
DE202011000512U1 (de) 2011-03-08 2011-05-05 Urimat Holding Ag Urinaleinsatz
DE102011052369A1 (de) * 2011-08-02 2013-02-07 Urimat Holding Ag Einsatz für die Ablauföffnung eines Urinals
TW201706478A (zh) 2013-04-26 2017-02-16 發肯免水科技公司 混合式沖水系統及清潔混合式沖水系統的方法
GB201309185D0 (en) 2013-05-22 2013-07-03 Mcalpine & Co Ltd Drainage Fitting
US10184235B2 (en) 2013-05-28 2019-01-22 Falcon Waterfree Technologies, Llc Directional fluid inlet
US10182688B2 (en) 2013-05-28 2019-01-22 Falcon Waterfree Technologies, Llc Splash-reducing and velocity-increasing cartridge exit
WO2015108559A1 (en) 2014-01-20 2015-07-23 Falcon Waterfree Technologies, Llc Visual indicator
USD805613S1 (en) 2015-10-05 2017-12-19 Gpcp Ip Holdings Llc Urinal screen
US10267027B2 (en) 2015-10-05 2019-04-23 Gpcp Ip Holdings Llc Urinal screens
USD806835S1 (en) 2016-02-05 2018-01-02 Gpcp Ip Holdings Llc Urinal screen
GB2552659B (en) 2016-08-01 2019-06-12 Mcalpine & Co Ltd High flow drain control
USD806836S1 (en) 2016-09-19 2018-01-02 Gpcp Ip Holdings Llc Urinal screen
USD806837S1 (en) 2016-09-19 2018-01-02 Gpcp Ip Holdings Llc Urinal screen
GB2561330A (en) * 2016-12-09 2018-10-17 Harris James Urinal Device
USD838818S1 (en) 2017-06-06 2019-01-22 Gpcp Ip Holdings Llc Urinal screen
US10640959B2 (en) 2017-06-06 2020-05-05 Gpcp Ip Holdings Llc Urinal screens and assemblies
GB2586614B (en) * 2019-08-28 2024-02-28 Smarti Env Ltd A urinal outlet condu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0962A (en) * 1930-12-15 1932-10-04 U S Sanitary Specialties Corp Deodorant container
US1916357A (en) * 1931-05-15 1933-07-04 Henry J Brownstein Deodorant holder
US3597772A (en) * 1968-12-13 1971-08-10 Chemtrust Ind Corp Lavatory sanitation bodies
GB9716498D0 (en) * 1997-08-04 1997-10-08 Mitchell Geoffrey J Apparatus
ES2219923T3 (es) 1998-05-05 2004-12-01 Urimat Holding Ag Sifon para urinario.
CH694274A5 (de) 2000-09-21 2004-10-29 Urimat Holding Ag Geruchsverschluss fuer ein Urinal.
JP3545748B2 (ja) 2002-03-27 2004-07-21 廉 杉山 薬剤溶出装置
EP1785077A1 (de) * 2005-11-12 2007-05-16 Bob W. Illy Wasserloses Urinal
EP2109703A1 (en) * 2007-02-05 2009-10-21 Washroom Services Limited A drain arrangement
DK2472014T3 (da) 2007-03-19 2013-09-30 Gbr Dr Bob Illy Vandfri sanitetsindretning, sifon til en sådan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drift af en sådan indretning
EP2088252A3 (en) * 2007-05-17 2013-12-18 Personnel Hygiene Services Limited Odour seal for an urinal
WO2009026733A1 (de) * 2007-08-29 2009-03-05 Hans Kell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von wartungsintervallen
GB0718597D0 (en) * 2007-09-25 2007-10-31 Mcalpine & Co Ltd Urinal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20B1 (ko) * 2012-06-28 2014-01-15 주식회사 워터세이브 무수 소변기의 악취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09018443U1 (de) 2011-09-29
AU2010213152A1 (en) 2011-08-18
SI2396477T1 (sl) 2013-08-30
PL2396477T3 (pl) 2013-09-30
EP2594698A2 (de) 2013-05-22
PT2396477E (pt) 2013-07-17
PL2594698T3 (pl) 2017-09-29
EP2396477B1 (de) 2013-05-01
ES2624829T3 (es) 2017-07-17
ES2424288T3 (es) 2013-09-30
HUE034705T2 (en) 2018-02-28
DE102009008573A1 (de) 2010-08-26
EP2594698A3 (de) 2013-08-14
WO2010091862A1 (de) 2010-08-19
EP2396477A1 (de) 2011-12-21
AU2010213152B2 (en) 2013-07-04
KR101575925B1 (ko) 2015-12-08
DK2594698T3 (en) 2017-06-26
EP2594698B1 (de) 2017-03-15
DK2396477T3 (da) 2013-08-05
PT2594698T (pt)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4238A (ko) 소변기 악취차단장치
KR20060118044A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CA2383766C (en)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ng bad smell
CN205804519U (zh) 一种防堵塞下水器
KR100959944B1 (ko) 초기우수 정화기능을 갖는 필터장착 교량용 배수장치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110015189A (ko) 악취 방지용 맨홀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170126363A (ko) 경사구조를 갖는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5804516U (zh) 一种水槽下水器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0421922B1 (ko)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1726293B1 (ko)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KR100421924B1 (ko) 씽크대 배수 구조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KR19980043030A (ko) 걸름망을 설치한 배수구의 구조
KR100878507B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JP5270881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367717Y1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JPH076225Y2 (ja) 排水用トラツプ
JPS636289Y2 (ko)
KR101668411B1 (ko)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