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922B1 -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 Google Patents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922B1
KR100421922B1 KR10-2000-0084120A KR20000084120A KR100421922B1 KR 100421922 B1 KR100421922 B1 KR 100421922B1 KR 20000084120 A KR20000084120 A KR 20000084120A KR 100421922 B1 KR100421922 B1 KR 100421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drain
sink
drain hose
wa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451A (ko
Inventor
김방섭
Original Assignee
김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방섭 filed Critical 김방섭
Priority to KR10-2000-008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9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9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03C1/1225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of air admittance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씽크대 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씽크대 배수구와 주방 배수관을 연결 결합하는 배수 호스에 상측 "Y"형 배관 호스, 통기구 호스,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 배수 호스 S트랩 및 악취 방지캡을 접속 연결하여 배수 호스 및 배수관에서 발생된 악취 및 곰팡이 그리고 세균이 씽크대와 연결된 배수 호스를 따라 올라와 씽크대에 형성된 배수구나 오버 홀을 통해 주방으로 분출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쾌적한 환경 속에서 주부들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씽크대 배수 구조{structure of draining in sink}
본 발명은 씽크대 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씽크대 배수구와 주방 배수관을 연결 결합하는 배수 호스에 상측 "Y"형 배관 호스, 통기구 호스,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 배수 호스 S트랩 및 악취 방지캡을 접속 연결하여 배수 호스 및 배수관에서 발생된 악취 및 곰팡이 그리고 세균이 씽크대와 연결된 배수 호스를 따라 올라와 씽크대에 형성된 배수구나 오버홀을 통해 주방으로 분출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쾌적한 환경 속에서 주부들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식품이나 채소 또는 주방 용품을 세척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세척대(100)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대(100)의 저부에는 식품 또는 주방용품을 세척한 세척수인 오수가 배수 호스(101)를 통해 하수도로 빠지도록 일정한 폭과 넓이를 갖는 배수구(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102)에는 상기 배수구(102)를 통해 유출되는 오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 등을 거르는 역할을 하는 걸름망(103)과 걸름망(103) 하부에 배수 호스(101)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이 되지 않도록 하는 악취 방지 트랩(105)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름망(103)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세척대(100)에 물이 고이도록 상기 배수구(102)의 입구를 막는 뚜껑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걸름망(103)의 외주에는 상기 걸름망(103)을 지지함과 동시에 걸름망(103)에서 걸러진 세척수인 오수를 일차 수용하는 수용통(107)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수용통(107) 하부에는 세척수인 오수가 빠져나가는 배출구인 배수 호스(10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 호스(101)의 후부는 "Y"형 자바라 배수 호스(109)가 연결 장착되어 있어 세척대(100)에 연결된 복수개의 배수 호스(101)를 하나로 연결하고, 상기 "Y"형 자바라 배수 호스(109)의 후단에는 배수 호스(110)를 다시 결합시키고, 결합된 배수 호스(110) 끝단부를 주방 배수관(108)에 삽입시켜 세척수가 배수 호스(101)와 "Y"형 자바라 배수 호스(109) 및 배수 호스(110)를 통과하여 주방 배수관(108)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주방 배수관(108)으로 배출된 세척수인 오수는 주방 배수관(108)과 연결된 하수도로 유입되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씽크대의 세척대를 이용하여 식품, 채소, 또는 주방용품을 세척하게 되면 오수 배출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발생된 오수에 잔존하는 지꺼기는 대부분 걸름망에 걸러지지만 걸름망을 통과한 오수 잔여물은 배수 호스가 상하로 곧게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굴곡을 갖도록 장착됨으로 굴곡된 배수 호스의 내주면에 점차적으로 퇴적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퇴적이 장기화 된 후 오수를 정화 처리하게 되면 퇴적된 퇴적물에 악취, 하수 가스, 곰팡이 및 세균들이 배수 호스를 따라 씽크대에 형성된 오버홀이나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이 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방 배수관에 배관 트랩을 설치하여 트랩 봉수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Y"형 자바라 호스 내부에 퇴적된 오물에 증식하는 곰팡이 및 세균 그리고 악취가 수용통 내부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통 하부에 배수통 봉수를 형성하여 곰팡이 및 세균 그리고 악취의 유입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세척대에 모여진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배수구를 통해 배수 호스로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게 되면 오수에서 발생된 유속과 유량은 "Y"형 자바라 배수 호수의 내부 공기에 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오수 통과와 함께 상승된 공기 압력은 악취 캡, 걸름망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수용통 봉수를 파괴시키게 되어 공기가 외부로 배출이 되게 되는데 이때 유량이 많은 경우 거품 및 오수 오물이 세척대의 수용통을 통해 세척대 내부로 분출되며 상기 작용과 함께 배수구 및 배수 호스 내부에 퇴적된 오수 잔여물이 부패되고 부패된 퇴적물에서 서식하는 곰팡이와 악취가 세척대의 배수구와 오버홀을 통해 실내로 유입이 되게 되어 환경적인 측면에서 비위생적이여 문제가 항상 발생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방 가옥 배수관의 배관 트랩의 봉수 파괴의 원인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는 배출구 내부에 오수가 만수 상태에 있을 때 자기 사이펀이 되어 봉수 파괴가 되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배출구의 내부에 오수 잔여물이 퇴적으로 인해 곰팡이와 세균의 증식으로 누적되어 모세관 현상이 발생함으로 봉수 파괴가 되는 것이며, 세 번째로는 하수구에 다량의 배수가 흘러가면 부압으로 봉수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출 작용으로 봉수 파괴가 발생하고, 네 번째로는 하수구의 압력 상승으로 상승된 압력이 배출구를 따라 역으로 유입되어 배출구에 잔존해 있는 오수가 배수구를 통해 분출이 되는 분출 작용으로 봉수 파괴가 이루어지고, 다섯 번째 운동량에 의한 관성으로 배출구 내의 압력 변동으로 봉수가 없어짐으로 봉수 파괴가 발생하여 배출구 내부에 퇴적된 오물 부패와 정화조에서 오수오물 정화 처리에 발생하는 악취 하수 가스, 부패세균 및 곰팡이, 온갖 병원균이 주방 배수관과 배수 호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나 오버홀이나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씽크대 배수구는 세척대의 필터임으로 사용 기간은 최적 사용기간 1년, 적정 사용기간 2년 이내 임으로 배수 배관을 2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오수 잔여물 퇴적과 곰팡이 증식, 부패 누적이 반복 심화되어 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악취와 하수 가스 역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5년 이상 경과하면 오수 퇴적물로 인해 배수 배관이 막히게 됨으로 배수 배관은 오수를 신속하게 배출을 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목적으로 가옥배수관인 기구 배수관과 배수 수평 지관 부분은 최적 청소 사용기간 1년 적정 청소시간 2년 간격으로 고비용을 들여 스프링 진동 청소기 등으로 배수 배관에 퇴적된 오물과 증식하는 곰팡이를 제거하는 청소가 필요하며, 정기적 배수 배관 청소 관리로 반영구적 사용기간 내내 신속한 배수 및 청결한 배수배관 내부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역류 또는 배수관이 막혀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에만 청소를 하고 있다.
예를 들면 10년 이상 경과 사용된 아파트는 배수 배관 내부의 오물퇴적 및 곰팡이 증식 부패가 심화되어 물 빠짐이 약해져 있어 자주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며 15년에서 20년의 사용 기간인 아파트의 경우 가옥 배수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없을 만큼 오물이 누적 퇴적되어 있어 막히는 경우 완전한 청소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고층 아파트인 경우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 트랩 봉수 파괴 원인이 발생하기 쉬우며, 주방 바닥면에 보일러 분배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관 트랩 봉수 파괴로 인해 부식성이 강한 하수 가스와 부패세균 분출로 분배기 배관이 검게 탈색되는 것은 물론 분배기 조인트 부분을 조기 부식시켜 파손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씽크대의 배수구와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 사이에 각 개향 통기구를 설치하여 공기 압력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통기구 호스로 분출하는 높은 공기 압력으로 통기구 보호망에 안에 삽입된 향 소독젤의 향기를 통기구 호스 외부로 분출시켜 분출된 향기가 씽크대 주변 및 주방공간에 확산되어 향긋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배압과 유량, 세척대 밑면에서의 물높이, 배수 호수 직경 및 배수로 관경과 전체 배수 작용의 중력으로 인한 오수 통화 상승 후 대기압으로 통기구 호스로 유입되는 공기 압력으로 오수 통과 유속을 가중시켜 오수 잔여물이 배수 호스 내벽에 퇴적되지 않고 모두 세척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배수 호스 내부에 신선한 공기와 향 소독젤의 소독 성분이 흡입되어 배수 호스 내부의 환기를 도모하여 배수 호스 내부를 소독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싸이펀 작용으로 인해 배수 호스의 봉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배수관 봉수 파괴시 하수 본관 및 가옥 배수관과 정화조에서 발생한 악취, 해로운 하수 가스, 부패 세균과 곰팡이 온갖 병원균이 배수 호스 내부와 배수관 입구 틈새를 통해 주방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바라 S트랩 고정대를 배수 자바라 호스 하부 배수관 입구 유입 전에 접합 설치하여 배수 호스 봉수를 5∼10cm로 형성하여 배수 호스 내부로의 악취, 하수 가스, 부패세균, 및 곰팡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주방 배수관 입구에 악취 방지캡을 결합하여 주방 배수관으로 오수를 배출하는 식기 세척기 및 드럼 세탁기의 배수 호스를 복수 개 연결하더라도 배수 호스를 통해 오수가 주방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유입이 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방 배수관 입구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틈새기를 통해 주방 실내로 유입되는 부식성이 강한 하수가스와 곰팡이 악취를 제어하고, 설치된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 및 배관 트랩으로 인한 발포존(세제를 포함한 오수가 배수 호스에 다량 유입되어 굴곡부를 만나게 되면 배수 호스 내부를 따라 공기가 섞인 오수 및 거품이 역류되어 차 오르게 되는 범위) 현상으로 배관내 오물 퇴적이 심화되어 배관 관경이 좁아져 발포존 위치 상승으로 인한 역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씽크대 배수구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씽크대 배수구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씽크대 배수구의 접속 위치와 각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씽크대 배수구에 장착되는 각 개향 통기구 호스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통기구 호스 고정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통기구 보호망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배수 호스 S트랩 고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악취 방지캡의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세척대 (2) : 제 2 세척대
(3) : 오버홀 (4) : 배수구
(5) : 걸름망 (6) : 수용통
(7a)(7b)(7c) : 배수 호스 (8) :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
(9) : 주방 배수관 (10) : 상측 "Y"형 배관 호스
(11) : 통기구 호스 장착 위치 (12) : 통기구 호스
(13) : 통기구 호스 고정대 (14) : 통기구 보호망
(15) : 보호망 여닫이 고임쇄 (16) : 향 소독젤
(17) : S트랩 고정대 (18) : 고정부
(20) : 상부 연결 너트 (21) : 식기 세척기 연결 너트
(22) : 세탁기 연결 너트 (23) : 고무 패킹
(26) : 배수 호스 S트랩 (27) : 고정부
(31) : 연결판 (32) : 공간부
(33) : 돌출부 (34) : 홀
(35) : 악취 방지캡 (36) : 걸림홈
(37) : 악취 하수가스 부패세균, 및 곰팡이의 유입 경로
(38) : 발포존 윗부분 (39) : 뚜껑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씽크대 배수구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씽크대 배수구의 접속 위치와 각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씽크대 배수구에 장착되는 각 개향 통기구 호스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통기구 호스 고정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통기구 보호망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배수 호스 S트랩 고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악취 방지캡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한개의 세척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연결 결합된 제 1세척대(1)와 제 2세척대(2) 측면 상부에 오버 홀(3)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세척대(1)와 제 2세척대(2) 저면 중앙부에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4)와 오물 찌꺼기를 걸러내는 걸름망(5)으로 이루어진 수용통(6)의 하부에 각각 배수 호스를 연결 결합한 후 상기 복수개의 배수 호스를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로 연결하고, 상기 하측 "Y"형 자바라 배수호스(8) 하부에 배수 호스를 연결한 후 상기 배수 호스를 주방 배수관(9)에 삽입하는 것으로 구성된 통상의 씽크대의 배수 구조에 있어서;
수용통(6)의 저면에 결합된 배수 호스의 상측 중간부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배수 호스(7a)(7b) 사이에 상측 "Y"형 배관 호스(10)를 각각 결합 연결하고,
상기 배수 호스(7a)(7b)와 연결되지 않는 상측 "Y"형 배관 호스(10) 일측 끝단에 향소독젤(16)이 보호망 여닫이 고임쇄(15)에 삽입된 통기구 보호망(14)이 장착된 통기구 호스(12)를 결합하고,
상기 통기구 호스(12)를 제 1 세척대(1)와 제 2 세척대(2)를 연결하는 연결판(31) 저면에 형성되는 공간부(32) 일측 세척대 외측 벽면에 결합된 통기구 호스 고정대(13) 끝단에 형성된 고정부(18)에 끼워 결합된 각 개향 통기구와,
상기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에 결합되고 주방 배수관(9)에 삽입되는 배수 호스(7c)에 봉수 높이를 갖는 배수 호스 S트랩(26)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배수 호스(7c)의 후방에 형성된 배수 호스 S트랩(26)을 좌 우측 끝단에 각각 고정부(27)가 형성된 S트랩 고정대(17)의 고정부(27)에 끼워 결합 고정하는 S트랩 배관 구조와,
상기 배수 호스 S트랩(26)의 후방에 형성된 배수 호스(7c)에,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사방으로 일정한 길이의 돌출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3)의 내측은 각각 홀(34)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상부 나사산의 상부 연결 너트(20)에 배수 호스(7c)를 접속 연결 고정하고, 돌출부(33)의 나사산에 각각 식기 세척기와 연결된 배수호스와 결합되는 연결 너트(21)와 세탁기와 연결된 배수 호스와 결합되는 연결 너트(22)를 체결하고, 하부에 고무 패킹(23)이 결합된 악취 방지캡(35)을 끼워 결합하고,
상기 배수 호수(7c)가 접속 결합된 악취 방지캡(35)에 주방 배수관(9)을 삽입하여 배수 호스(7c)가 악취 방지캡(35)의 상부 연결 너트(20)에 체결 결합되고, 상기 주방 배수관(9)의 상부면을 악취 방지캡(35)의 내측 중간부에 원주형으로 형성된 걸림홈(36)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악취 방지캡(35)의 하부 저면에 결합된 고무 패킹(23)에 주방 배수관(9)을 압착 밀봉하고,
상기 배수 호스(7c)와 연결된 악취 제어 캡(35)의 홀(34)을 제외한 나머지 홀(34)에 세탁기와 식기 세척기에 연결된 배수 호스를 각각 접속 결합한 후 식기 세척기 연결 너트(21), 세탁기 연결 너트(22)로 각각 고정시켜 체결하는 배수 호스와 주방 배수관 연결 구조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세척대(1)와 제 2세척대(2)의 저면 중앙에 결합된 수용통(6)의 저면에 결합된 배수 호스의 상측 중간부를 절단한 후 상기 절단된 배수 호스(7a)(7b) 내부에 상측 "Y"형 배관 호스(10)를 삽입시킨 후에 배수 호스(7a)(7b)와 상측 "Y" 배관 호스(10)를 분리되지 않게 접착제로 결합 고정한다.
상기 배수 호스(7a)(7b)와 연결되지 않는 한 개의 상측 "Y"형 배관 호스(10)의 일측 끝단에 향 소독젤(16)이 보호망 여닫이 고임쇄(15)에 삽입된 통기구 보호망(14)이 장착된 통기구 호스(12)를 끼워 접착제로 결합하여 상측 "Y"형 배관 호스(10)와 통기구 호스(12)를 결합 밀봉시킨다.
상기 통기구 호스(12)는 수평을 기준으로 45°이상으로 입상 설치한다.
상기 입상 설치는 제 1세척대(1)와 제 2세척대(2) 기울기에 따라 수평을 기준으로 45°이상, 바람직하게는 67.5°이상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고, 제 1세척대(1)와 제 2세척대(2)를 연결하는 연결판(31)의 저면에 공간부(32)가 형성됨으로 상기 형성되는 공간부(32)의 중간 높이까지 통기구 호스(12)를 입상하면 용이하게 입상 설치가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판(31) 저면에 형성되는 공간부(32)를 이루는 제 1세척대(1)와 제 2세척대(2) 외측 벽면에 통기구 호스 고정대(13)를 고정하고, 상기 통기구 호스 고정대(13) 끝단에 형성된 고정부(18)에 통기구 호스(12)를 끼워 결합한다.
상기 제 1세척대(1)와 제 2세척대(2)의 외측 벽면에 통기구 호스 고정대(13)를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구 호스 고정대(13)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볼트부를 세척대 벽면을 관통시켜 고정할 수도 있고, 접착제로 세척대 벽면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기구 호스(12)의 끝단에는 향 소독젤(16)이 보호망 여닫이 고임쇄(15)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호망 여닫이 고임쇄(15)를 열어 향 소독젤(16)을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기구 호스 장착 위치(12)는 도 4에 대칭 사선도와 같이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 상부 발포존 윗부분(38)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제 1세척대(1) 혹은 제 2세척대(2)에 담수되어 있던 다량의 오수가 배수구(4)로 배출되어 배수 호스(7a)로 투하하면 배수 호스(7a)의 내부 구경과 배압, 세척대 내부 오수높이 유량, 배수 호스의 내부 공기 압력과 투하 작용에 따라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 상부로 공기 압력 배출이 발생하여 상기 공기 압력 배출을 따라 오수가 차오르게 되는데 세제 사용으로 거품을 포함한 오수가 다량 유입되면 공기 압력 배출과 함께 배수 호스 내부를 따라 오수 및 거품이 차 오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기구 호스(12) 끝단부에 세척대의 밑면 높이에서 절반 이상 높게 위치하도록 통기구 보호망(14)을 장착하여 거품이 통기구 호스(12)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제 1세척대(1)혹은 제 2세척대(2)에 담수되어 있는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구(4)에 결합된 뚜껑을 배수구(4)로부터 분리하면 담수되어 있는 오수가 수용통(6)의 배수구(4)와 걸름망(5)을 통과하여 배수 호스(7a)를 따라 내려가게 되는데 배수 호스(7a)를 따라 내려가는 오수는 배수 호스(7a)만 따라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상측 "Y"형 배관 호스(10)를 통과하면서 상측 "Y"형 배관 호스(10)에 결합 연결된 통기구 호스(12)의 내벽을 따라 오수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여 배수 호스(7b)를 통과하여 배출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오수가 일정높이 상승하였다가 하강할 때 통기구 호스(12) 내부에 대기압이 발생하여 통기구 호스(12)로 공기가 유입되는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유속 강화 현상을 증가시키게 되어 수용통(6)의 봉수 파괴를 보호하고, 악취방지트랩과 걸름망(5)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평상시에는 향 소독젤(16)로부터 발생하는 향기로 주방의 공기를 상큼하게 유지하고, 오수를 배출할 때에는 배수 호스(7a) 내부가 대기압으로 변해 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배수 호스(7a) 내부가 대기압이 되면 향 소독젤(16)에 포함된 소독 성분이 통기구 호스(12)로 유입이 되어 배수 호스(7a) 내부의 곰팡이 및 세균 증식을 억제하여 배수 호스(7a)(7b)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주방 환경이 개선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통기구 호스(12)는 수평을 기준으로 각각 45°이상으로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 상부에 장착한다.
상기 제 1 세척대(1)와 연결된 배수 호스(7a)(7b)와 제 2 세척대(2)에 연결되는 배수 호스(7a)(7b)를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로 연결하여 주방 배수관(9)으로 오수가 유입이 되도록 하는 배수 호스(7c)에 5∼10cm의 봉수 높이를 갖는 배수 호스 S트랩(26)을 형성한다.
상기 5∼10cm의 봉수 높이를 형성하면 주방 배수관(9)에 접속되는 배수 호스(7c) 내부로 악취, 하수 가스, 부패세균, 및 곰팡이의 유입경로(37)를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형성된 배수 호스 S트랩(26)을 좌 우측 끝단에 각각 고정부(27)가 형성된 S트랩 고정대(17)의 고정부(27)에 각각 끼워 결합하여 배수 호스 S트랩(26)이 오수가 배출이 되더라도 주위의 환경에 의해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배수 호스 S트랩(26)에 S트랩 고정대(17)를 장착하는 목적은 주방 바닥면에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에 연결된 배수 호스(7c) 하부가 배수 호스 트랩(26)의 상부에 수직으로 접촉되도록 각을 유지시키는 것이며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통기구 호스(12)가 길이 및 기울기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어야 효과적인 통기구 기능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통기구 호스(12)가 길이 및 기울기가 대칭이 되지 않게 설치되면 기울기와 높이가 큰 통기구 호스(12)와 연결 결합된 배수 호스는 오수를 배출할 때 효과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높이와 기울기가 작은 통기구 호스가 장착된 배수 호스는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 내부에 발포존 현상과 통하 유속 유량에 따른 공기 압력 상승 변화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해 다량의 오수가 배수 호스를 통해 배출이 될 때 악취 방지트랩과 걸름망(5)이 상승되어 수용통(6)의 봉수가 파괴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길이 및 기울기가 대칭이 될 수 있도록 장착한다.
상기 배수 호스 S트랩(26)의 후방 배수 호스(7c)에 사방으로 일정한 길이의 돌출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3)의 내측은 홀(34)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한후 상기 나사산에 배수호스를 접속 결합하는 너트(20)(21)(22)가 체결되고 하부 저면에 고무 패킹(23)이 결합된 악취 방지캡(35)을 끼워 결합한다.
상기 배수 호스(7c)에 상부가 끼워져 결합된 악취 방지캡(35)의 내측 중간부에 원주형으로 형성된 걸림홈(36)에 주방 배수관(9)을 끼워 고정하고, 악취 방지캡(35)의 하부 저면의 고무 패킹(23)에 주방 배수관(9)을 압착 밀봉시킨다.
상기 배수 호스(7c)와 접속 연결된 악취 제어 캡(35)의 홀(34)을 제외한 나머지 홀(34)에 세탁기와 식기 세척기에 연결된 배수 호스를 각각 접속 결합한 후 너트(21)(22)로 고정시켜 체결하는 것이다.
만약 주방 배수관(9)이 주방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하게 돌출되지 않게 장착되어 악취 제어 캡(35)을 장착할 수 없게 되면 배수 호스(7c)를 주방 배수관(9) 상단부로부터 내부로 10cm 이상 삽입시키지 않고 주방 배수관(9)과 배수 호스(7c)를 접착 테이프로 밀봉시켜 틈새를 없애 악취, 하수 가스, 부패세균, 및 곰팡이가 주방 내부로 확산 및 침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주방 배수관(9) 내부로 삽입되는 배수 호스(7c)의 길이가 길게 되면 주방 배수관 배관 트랩 봉수(24) 부위에 퇴적되는 오물에 의해 배수 호스(7c)가 막힐 수 있으므로 배수 호스(7c)의 길이는 주방 배수관(9)의 상부면으로부터 10cm 이상을 삽입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수 호스(7c)와 주방 배수관(9)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악취 방지캡(35)으로 밀봉시킴으로 주방 배수관(9)과 배수 호스(7c) 사이의 틈새가 형성되지 않아 악취가 주방 실내로 확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씽크대의 배수 호스에 각 개향 통기구를 접속 설치하여 배수 호스 내부에 공기 압력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오수 배출시 악취방지트랩과 걸름망의 상승 작용을 제거함은 물론 거품 및 오수 오물을 세척대에서 배출할 때 하측 "Y" 자바라 배수 호스를 통과하면서 연결된 다른 배수 호스로 내부로 오수가 상승하였다가 하강할 때 발생하는 대기압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압력으로 제어가 가능하여 미관상 불쾌감과 오수 유입의 불안감과 수용통 봉수 파괴시마다 배수로 내부의 부패세균 및 곰팡이, 악취와 해로운 하수 가스의 분출로 인한 세척대의 배수구 내부의 비위생적인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3)

  1. 세척대의 중앙 하부에 연결 장착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수용통(6)의 저면에 결합된 배수 호스의 상측 중간부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배수 호스(7a)(7b) 사이에 상측 "Y"형 배관 호스(10)를 결합하고, 상기 상측 "Y"형 배관 호스(10) 일측 끝단에 통기구 호스(12)가 결합되어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대는 제 1 세척대(1)와 제 2 세척대(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 호스(7b) 하부에는 하측 "Y"형 자바라 배관 호스(8)를 결합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 호스(12)의 끝단에는 향소독젤(16)이 보호망 여닫이 고임쇄(15)에 삽입된 통기구 보호망(14)이 장착되어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 호스(12)를 제 1 세척대(1)와 제 2 세척대(2)를 연결하는 연결판(31) 저면에 형성되는 공간부(32) 일측 세척대 외측 벽면에 결합된 통기구 호스 고정대(13) 끝단에 형성된 고정부(18)에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 호스(12)는 수평을 기준으로 45°이상으로 입상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 호스(12) 장착 위치는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 상부 발포존 윗부분(38)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Y"형 자바라 배수 호스(8)에 결합되고 주방 배수관(9)에 삽입되는 배수 호스(7c) 사이에 봉수 높이를 갖는 배수 호스 S트랩(26)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호스(7c)에 형성된 배수 호스 S트랩(26)을 좌 우측 끝단에 각각 고정부(27)가 형성된 S트랩 고정대(17)의 고정부(27)에 끼워 결합 고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 구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0-0084120A 2000-12-28 2000-12-28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Expired - Fee Related KR100421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120A KR100421922B1 (ko) 2000-12-28 2000-12-28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120A KR100421922B1 (ko) 2000-12-28 2000-12-28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107A Division KR100421924B1 (ko) 2003-04-24 2003-04-24 씽크대 배수 구조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451A KR20010025451A (ko) 2001-04-06
KR100421922B1 true KR100421922B1 (ko) 2004-03-19

Family

ID=1970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1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1922B1 (ko) 2000-12-28 2000-12-28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06B1 (ko) 2009-07-15 2011-08-22 김보섭 씽크대 배수 구조
KR101469006B1 (ko) * 2013-03-05 2014-12-10 주식회사 넵스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364B1 (ko) * 2005-04-15 2007-05-31 정해철 배수관로 트랩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06B1 (ko) 2009-07-15 2011-08-22 김보섭 씽크대 배수 구조
KR101469006B1 (ko) * 2013-03-05 2014-12-10 주식회사 넵스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451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831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200431056Y1 (ko) 오버플로우 배관용 역류방지트랩
KR100927991B1 (ko) 세척식 배수트랜치가 구비된 조리장 세척배수장치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JP5756938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JP3915069B2 (ja) 排水配管
KR100421922B1 (ko)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JP3934588B2 (ja) 排水トラップ構造
KR100421924B1 (ko) 씽크대 배수 구조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JP5348543B2 (ja) 排水用トラップ
JP4501142B2 (ja) 油水分離器
KR100779045B1 (ko) 세척수 분사구조를 갖는 배수트랩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JP2003301491A (ja) 排水配管
US20070006370A1 (en) Urinal
KR200243607Y1 (ko) 씽크대 배수구조에 따른 에스트랩 제어 구조
JP2003119859A (ja) 排水システムと排水マス
JP3541290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109290B1 (ko) 복수 씽크대용 분리형 유트랩
KR20020063077A (ko) 세척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절수용 씽크대
JP2001003420A (ja) 排水装置
DK174577B1 (da) Lugtspærre til vandløst urinal
KR200266223Y1 (ko)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KR0139488Y1 (ko) 하수구 악취방출 차단용 트랩
JP2007120022A (ja) 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07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30528

Appeal identifier: 2003101001564

Request date: 20030423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4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04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4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01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5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4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3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52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