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716A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716A
KR20110122716A KR1020117020515A KR20117020515A KR20110122716A KR 20110122716 A KR20110122716 A KR 20110122716A KR 1020117020515 A KR1020117020515 A KR 1020117020515A KR 20117020515 A KR20117020515 A KR 20117020515A KR 20110122716 A KR20110122716 A KR 20110122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ation apparatus
signal
radio ba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138B1 (ko
Inventor
다까유끼 곤도
겐끼 다까기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저 장치(2)와, 유저 장치(2)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1)를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 장치(1)는, 무선 기지국 장치(1)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2)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 유저 장치(2)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한다. 간헐 송신되는 신호는, 예를 들면 하향 방향의 공통 채널 신호이다. 또한, 간헐 송신은, 일정한 간격, 또는 랜덤 간격으로 행해진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요구량 저감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년동안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기술이 큰 주목을 모으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전력 요구량 저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5는 특허 문헌 1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무선 기지국 장치(100)는, 네트워크(160)와의 사이에서 신호(170)를 송수신하는 제어부(120), 이 제어부(120)와 해당 신호(171_1∼171_5)를 각각 송수신하는 신호 처리부(130_1∼130_5)를 갖는다. 또한, 이들 신호 처리부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한 송수신 신호(172_1∼172_5)를 안테나(150)를 경유하여 이동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40)를 갖는다. 제어부(120)는, 각각, 제어 신호(181_1∼181_5)를 송수신함으로써 신호 처리부(130_1∼130_5)를 제어하고, 또한 제어 신호(182)를 이용함으로써 송수신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단말기수 추정부(110)와 접속되어 있고, 신호(180)를 이용하여 추정된 단말기수를 취득하고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무선 기지국 장치에서는, 단말기수 추정부(110)가 서비스 에리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수를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수,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액세스 요구 메시지수, 또는 이동 단말기에의 착신 통지 메시지수에 기초하여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가 이동 단말기 추정수에 기초하여 불필요한 신호 처리부(130_1∼130_5)의 전원을 오프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3-347985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는,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라도, 파일럿 정보를 연속 송신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무선 기지국 장치는 하향 방향의 무선 송신을 중단할 수 없어, 항상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저 장치와, 그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갖는다.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장치와 그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고, 상기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해,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일정 간격으로 간헐 송신하는 경우의 간헐 송신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랜덤 간격으로 간헐 송신하는 경우의 간헐 송신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의 (a)는 동기 정보(SHC)/공통 파일럿 정보(CPICH)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알림 정보(P-CCPCH, S-CCPCH)/페이징 정보(PICH)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업링크의 경우의 LTE 시스템의 논리 채널과 트랜스포트 채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다운링크의 경우의 LTE 시스템의 논리 채널과 트랜스포트 채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하향 신호를 씨닝한(thinned out)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하향 신호를 일정 기간 정지한 경우).
도 13은 하향 신호를 씨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하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제한한 경우).
도 14a는 W-CDMA의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LTE의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저 장치(2)와, 그 유저 장치(2)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1)를 갖는다.
무선 기지국 장치(1)는, 그 무선 기지국 장치(1)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2)의 통신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 유저 장치(2)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한다. 이 경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는 예를 들면 W-CDMA 방식의 경우에는, 파일럿 채널, 싱크 채널 등의 하향의 공통 채널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을 수행하는"이란 무선 기지국 장치(1)와 유저 장치(2)가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임을 유의한다. 또한, "간헐 송신"이란, 통상의 송신과 비교하여 출력 전력이 감소하도록 신호를 씨닝하는 송신 방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 장치의 신호 송신 간격을 늘리거나(넓히거나), 무선 기지국 장치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거나(좁히는), 그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송신 신호 간격을 늘리고,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함을 유의한다.
유저 장치(2)는, 무선 기지국 장치(1)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단말기이며, 해당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2개 이상의 유저 단말기(2)가 존재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무선 기지국 장치(1)를 기동한다(S1). 무선 기지국 장치(1)가 기동하면,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하향 무선 송신을 개시한다(S2). 그리고, 무선 기지국 장치(1)는 무선 기지국 장치(1)에 속하는(서비스 에리어 내의)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무선 기지국 장치(1)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있는 경우에는, 하향 연속 송신을 행한다(S4). 한편, 무선 기지국 장치(1)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없는 경우에는, 하향 간헐 송신을 행한다(S5).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감시한다. 그 다음,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하향 연속 송신을 행하는 반면,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하향 간헐 송신을 행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1)는 이들 동작을 반복한다.
하향 간헐 송신을 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랜덤 간격으로 송신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 무선 기지국 장치가 하향 간헐 송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간헐 송신 때문에 어느 정도 무선 장해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있음을 유의한다. 그러나, 유저 장치는 서비스 에리어 내에서 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저 장치(2)와, 그 유저 장치(2)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1)를 갖는다. 무선 기지국 장치(1)는, 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2)의 통신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 유저 장치(2)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1)는 제어부(4)와 통신부(5)를 갖는다. 제어부(4)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 유저 장치(2)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도록 통신부(5)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부(5)는,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신호를 간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1)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함을 유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하향 간헐 송신을 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랜덤 간격으로 송신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무선 기지국 장치(1)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 무선 기지국 장치(1)가 하향 간헐 송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 장치(1)의 송신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네트워크,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네트워크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 4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무선 기지국 장치(1)와 유저 장치(2)를 갖는다. 무선 기지국 장치(1)는, 감시부(3), 제어부(4), 및 통신부(5)를 갖는다. 무선 기지국 장치의 감시부(3)는,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를 제어부(4)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시부(3)는 개별 채널(DCH(Dedicated Channel), 및/또는 트랜스포트 채널)을 감시한다. 감시부(3)는 개별 채널 외에도,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또한 감시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채널이란, 유저 장치(2)가 무선 기지국 장치에 대한 통신 요구를 송신하는 채널이다.
제어부(4)는, 감시부(3)로부터의 감시 결과가 서비스 에리어에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통신부(5)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도록 통신부(5)를 제어한다.
통신부(5)는,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 장치(2)에 대하여 간헐 송신을 행한다. 간헐 송신될 대상은, 파일럿 채널, 싱크 채널(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하향 공통 채널이다. 구체적으로는, CPICH(Common Pilot Channel) 및/또는 SCH(Synchronization Channel)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1)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본원에서는 설명을 생략함을 유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하향 간헐 송신을 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랜덤 간격으로 송신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무선 기지국 장치(1)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 무선 기지국 장치(1)가 하향 간헐 송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 장치(1)의 송신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점은, 무선 기지국 장치(1)가 알림부(broadcast unit; 6)를 갖고, 유저 장치(2)가 복호부(9)를 갖는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감시부(3)는, 서비스 에리어 내의 유저 장치(2)의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제어부(4)는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에리어 내의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 간헐 송신을 하도록 통신부(5)에 명령한다.
알림부(6)는,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 알림 정보에는,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의 씨닝 주기 및/또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알림 정보의 예로서, MIB 및 SIB가 있다.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스케줄 정보이며, 하향의 송신 대역 및/또는 송신 주기를 유저 장치에 알리는 데에 이용된다. SIB(System Information Block)는 단말기에의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 장치(1)의 통신부(5)는, 제어부(4)의 명령 하에 간헐 송신을 행함과 함께, 알림부(6)에서 생성된 알림 정보를 유저 장치에 송신한다.
유저 장치(2)의 통신부(7)는,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간헐 송신 및 알림 정보를 수신한다. 유저 장치(2)의 복호부(9)는, 수신한 알림 정보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유저 장치(2)의 제어부(8)는, 복호화한 알림 정보에 기초하는 타이밍에서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간헐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7)에 명령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무선 기지국 장치(1)를 기동한다(S11). 무선 기지국 장치(1)가 기동하면,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하향 무선 송신을 개시한다(S12). 그리고, 무선 기지국 장치(1)의 감시부(3)는 무선 기지국 장치(1)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 무선 기지국 장치(1)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있다고 감시부(3)가 판단한 경우, 제어부(4)는 연속 송신을 하도록 통신부(5)에 명령한다. 통신부(5)는 제어부(4)의 명령 하에 하향 연속 송신을 행한다(S14).
한편, 무선 기지국 장치(1)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없다고 감시부(3)가 판단한 경우, 제어부(4)는 간헐 송신을 하도록 통신부(5)에 명령한다. 통신부(5)는 제어부(4)의 명령 하에 하향 간헐 송신을 행한다(S15). 또한, 알림부(6)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그 알림 정보를 유저 장치(2)에 송신하고, 하향 간헐 송신의 타이밍을 유저 장치(2)에 알린다(S16).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감시한다. 그 다음,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하향 연속 송신을 행하는 한편,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1)는 하향 간헐 송신과 하향 간헐 송신 타이밍의 알림을 행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1)는 이들 동작을 반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 무선 기지국 장치와 유저 장치가 서로 동기하여 하향 간헐 송수신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유저 장치의 송수신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하향 간헐 송신을 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랜덤 간격으로 송신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상이한 점은, 무선 기지국 장치(1)가 설정부(10)를 갖고, 유저 장치(2)가 검출부(11)를 갖는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 8에 도시한다. 도 8에서, 무선 기지국 장치(1)의 감시부(3)는, 서비스 에리어 내의 유저 장치(2)의 상황을 감시한다. 또한, 제어부(4)는 서비스 에리어에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 간헐 송신을 행할 것을 통신부(5)에 명령한다. 무선 기지국 장치(1)의 설정부(10)는, 소정의 확산 부호를 통신부(5)에 지시한다. 무선 기지국 장치(1)의 통신부(5)는,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유저 장치(2)와 동기하여, 하향 간헐 신호의 송신 타이밍 정보인 알림 정보를 유저 장치(2)에 송신한다.
여기서, 소정의 확산 부호의 예로서는 1개 또는 복수의 특정한 SSC(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 및 1개 또는 복수의 특정한 Scrambling Code Group을 포함한다. 소정의 확산 부호(펨토용 확산 부호(예를 들면 Scrambling Code))는, "3GPP 사양서, TS25.213 v3.9.0(2003-12) Technical Specific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preading and modulation(FDD)(Release 1999), 5.2.3.2 Code allocation of SSC(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에 기재되어 있다.
유저 장치(2)의 통신부(7)는,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유저 장치(2)의 검출부(11)는 소정의 확산 부호를 검출하고, 그 확산 부호를 검출한 것을 유저 장치(2)의 제어부(8)에 통지한다. 유저 장치(2)의 제어부(8)는, 소정의 확산 부호를 검출한 경우, 시스템으로서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무선 기지국 장치(1)와 동기하여, 알림 정보를 간헐 수신하도록 통신부(7)에 명령한다. 유저 장치(2)의 통신부(7)는 제어부(8)의 명령 하에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신호를 간헐 수신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무선 기지국 장치(1)는 유저 장치(2)의 검색을 개시한다(S21). 유저 장치(2)는, 무선 기지국 장치(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유저 장치(2)의 검출부(11)는 그 수신된 신호가 소정의 확산 부호인지를 판단한다(S22). 유저 장치(2)의 검출부(11)가 그 신호는 소정의 확산 부호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하향 연속 수신을 한다(S23). 유저 장치(2)의 검출부(11)가 그 신호는 소정의 확산 부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사전에 결정된 주기로 무선 기지국 장치(1)와 동기하여, 하향 간헐 수신을 행한다(S24).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가 소정의 확산 부호를 송신하고, 유저 장치가 그 송신된 확산 부호를 검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다 빠르게 소정의 무선 기지국 장치(예를 들면 펨토 무선 기지국 장치)인 것을, 유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무선 기지국 장치와 유저 장치간의 정보 전달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 장치가 알림 정보/페이징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동기 정보/공통 파일럿 정보를 일정 기간 프리앰블 송신으로서 송신하고 있다.
도 10의 (a)는 동기 정보(SHC)/공통 파일럿 정보(CPICH)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도시한다. 또한, 도 10의 (b)는 알림 정보(P-CCPCH, S-CCPCH)/페이징 정보(PICH)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도시한다. 도 10의 (a),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 장치는, 동기 정보(SHC)/공통 파일럿 정보(CPICH)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알림 정보(P-CCPCH, S-CCPCH)/페이징 정보(PICH)를 송신하는 타이밍보다도 빠르게 하고 있다(프리앰블 송신).
유저 장치는 동기 정보(SHC)/공통 파일럿 정보(CPICH)의 프리앰블 송신을 수신하면, 데이터 송신 개시를 검지한다. 즉, 유저 장치는 소정의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장치인 것을 보다 빠르게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장치가 공통 파일럿 정보는 수신할 수 있었지만, 수신 전후의 소정의 시간 기간 내에서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유저 장치는 공통 파일럿 정보의 송신원의 무선 기지국 장치가 전력 절약 모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유저 장치에서의 하향 방향의 동기 보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동기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 무선 기지국 장치가 알림 정보로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종류 등을 포함하여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점, (2) 공통 파일럿 정보(CPICH)에 간헐 송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추가하고 있는 점이, 다른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1) 알림 정보로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종류 등을 포함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가, 알림 정보에 무선 기지국 장치의 종류 또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셀을 식별하는 데에 이용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그 결과인 알림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알림 정보란, 예를 들면, MIB(Management Information Block)임을 유의한다. 또한 식별 정보란, 예를 들면, 소정의 CSGID(Closed subscriber group Cell ID)이다. CSGID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및 펨토 셀 및/또는 이러한 종류의 무선 기지국 장치와 같은, 무선 기지국 장치의 셀 종류를 식별하는 데에 이용되는 식별 정보이다.
그리고, 유저 장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알림 정보에 상술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유저 장치는 간헐 수신을 개시한다.
(2) 공통 파일럿 정보에 간헐 송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추가하는 경우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공통 파일럿 정보에 무선 기지국 장치가 간헐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추가하여 그 결과인 공통 파일럿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유저 장치는 공통 파일럿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통 파일럿 정보에 간헐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간헐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유저 장치는 간헐 수신을 개시한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Evolved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네트워크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에 적용하고 있다. 이들 네트워크에서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노드 B로 축퇴된 Flat Architecture의 형태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기본적으로는 도 4의 구성과 마찬가지임을 유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감시부는, 개별 채널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에 기초하여, 유저 장치와의 통신의 유무를 판단한다.
개별 채널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DCCH/DTCH를 이용함으로써 판단이 이루어진다. 즉, 일정 기간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 혹은,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를 사용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은 경우, 무선 기지국 장치의 감시부는 유저 장치와의 통신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는, 도 11a 및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 채널인 DCCH/DT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UL-SCH(UpLink-Shared Channel) 또는 DL-SCH(DownLink-Shared Channel)를 통하여 전송됨을 유의한다.
또한, 개별 채널 이외의 채널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판단한다. 어떠한 유저 장치로부터도 물리 채널인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사용한 Random Access Preamble(초기 접속 및 핸드 오버 시의 접속에 사용)을 일정 기간 수신하지 않은 경우, 혹은, Random Access Preamble의 수신 시에 행해져야 하는 접속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경우, 무선 기지국 장치의 감시부는 유저 장치와의 통신이 없다고 판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1)의 감시부(3)는, 상술한 기술을 이용하여 유저 장치와의 통신의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는, 감시부(3)로부터의 감시 결과가 서비스 에리어에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통신부(5)가 송신하려는 신호를 씨닝하도록 통신부(5)에 대하여 명령한다. 통신부(5)는,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를 씨닝한다.
하향 신호를 씨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정 기간, 모든 신호를 정지한다. 이에 의해, 시간축 상에서(on the time base) 하향 신호를 씨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동기용 신호인 SS(Synchronization Signal)나 유저 장치(UE라고도 함)가 셀을 식별하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DL RS(DownLink Reference Signal)도 정지한다. "일정 기간"이란, 특정한 주기임을 유의한다. 또한, 예를 들면 1초 주기로 송신/정지를 반복해도 된다. 또한, 랜덤 타이밍에서 복수의 서브 프레임을 씨닝해도 된다. 도 12는 일정 기간, 하향 신호를 씨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하향 신호의 서브 프레임을 일정 기간, 모두 정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정 기간 하향 신호를 씨닝함으로써,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전력 요구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지만, 하향 송신 신호의 씨닝 방법이 제8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신호 중 특정한 신호를 씨닝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파수축 상에서 씨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기용 신호인 SS, 유저 장치 식별용의 DL RS, 및, BCH(Broadcast Channe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이용하여 UE에 통지하는 알림 정보(System Information)와 같은 필요한 신호는 송신을 유지하고, 그 이외의 유저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한다.
이때, SS 및 BCH는 전체 시스템 대역의 중앙 6RB(Resource Block)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이 표준화로 정의되어 있음을 유의한다. 이 때문에, 그 밖의 신호인, DL RS, PDSCH(알림 정보용)도 가능한 한 중앙의 RB를 사용하여 송신함으로써, 무선부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대역폭을 좁힐 수 있어, 전력 요구량 저감이 가능해진다. 도 13은 서브 프레임간에서 송신 대역을 억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에 존재하는 DL RS, 및 PDSCH(알림 정보용)는, 중앙의 RB를 사용하여 송신되고 있다.
또한, RB 및 PDSCH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좁힘으로써 전력 요구량을 저감하는 방법은, UE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UE수가 적은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제8 실시 형태 및 제9 실시 형태에서, 각각 시간축 상에서의 씨닝 방법과 주파수축 상에서의 씨닝 방법을 따로따로 설명하였지만, 구 기술을 조합하여 주파수축 상 및 시간축 상의 양방에서 씨닝해도 된다.
제10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 장치(UE)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자신은 전력 절약 모드인 것을 통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 실시 형태에서는, PDSCH로 송신되어야 하는 알림 정보를 가능한 한 중앙의 RB로 집약함으로써, 통신부에서 송신되어야 하는 무선 전파의 주파수 대역폭을 좁게 함으로써, 전력 요구량이 저감된다. 이와 같은 경우, US에서 PDSCH를 디코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통지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도 동일한 대역폭으로 좁힐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20㎒의 대역폭에서 송신 중인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임의의 타이밍에서 전력 요구량 저감을 위해서 5㎒로 송신 대역폭을 변경하였다고 해도, UE에 그 변화를 통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UE에서 PDCCH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PDCCH를 이용하지 않고 수신 가능한 이하의 2개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UE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전력 절약 모드인 것, 즉,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제한된 대역폭으로 송신 중인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우선, 전력 절약 모드를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Downlink Reference Signal)를 새롭게 정의한다. 이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UE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전력 절약 모드인 것을 통지할 수 있다. 현재 정의되어 있는, 셀 전체용 신호, MBSFN 셀용 신호, 개별 유저용의 신호로 구성된 3종류의 신호 외에, 전력 절약 모드를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를 추가한다. 이 신호 시퀀스에서는, 전력 절약 모드의 구현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현재의 억제 대역폭(예를 들면, 1.4㎒나 3㎒를 나타내는 정보)을 UE에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억제된 대역의 중앙의 주파수와, 억제되지 않은 대역의 중앙의 주파수를 동일하게 한다라는 약정을 체결함으로써, UE는 어느 주파수에 신호가 집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BCH로 통지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정보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UE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전력 절약 모드인 것을 통지할 수도 있다. 즉, MIB에, 전력 절약 모드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추가한다. MIB는, 원래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dl-Bandwidth)를 갖기 때문에, 이 정보 요소와 전력 절약 모드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조합함으로써, UE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전력 절약 모드인지의 여부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절약 모드 Flag=False, dl-Bandwidth=n100, 20㎒를 사용하여 통상의 서비스를 제공", 또는 "전력 절약 모드 Flag=True, dl-Bandwidth=n6, 전력 절약 모드, 시스템 대역을 1.4㎒로 억제 중"이라고 하는 정보를 UE에 통지함으로써, 무선 기지국 장치(eNB)가 전력 절약 모드인지의 여부를 통지할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하향 송신 신호를 씨닝할 때에, 무선 기지국 장치가 판단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위 노드로부터의 명령 하에 씨닝 처리를 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도 14a 및 14b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W-CDMA의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도 14b는 LTE의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a에 도시한 W-CDMA의 시스템 구성은, 코어 네트워크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각각 기지국 제어 장치와 인터넷망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는 기지국 제어 장치와 인터넷망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보수 감시 장치는 무선 기지국 장치와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보수 감시 장치는 임의의 에리어에 위치한 복수의 무선 기지국 장치를 감시하는 기능을 갖음을 유의한다. 무선 기지국 장치는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도 14b에 도시한 LTE의 시스템 구성은, 도 14a에 도시된 W-CDMA 시스템 구성과, 기지국 제어 장치를 제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시스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코어 네트워크와 ISM는 각각 무선 기지국 장치와 인터넷망에 접속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 장치는 인터넷망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보수 감시 장치는 무선 기지국 장치와 접속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 장치는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다음으로, 도 14a 및 14b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에서, 상위 노드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씨닝 처리가 행해져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코어 네트워크에서 씨닝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상위 노드인 코어 네트워크(S-GW : Serving GateWay 혹은 MME : Mobility Management Entity)에서, 로케이션 에리어 내에 유저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상황을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로케이션 에리어 내에 유저가 없거나 적은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간헐 송신 모드로 이행한다. 무선 기지국 장치는 소정의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간헐 송신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수 감시 장치에서 씨닝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수 감시 장치에서 판단하는 경우에는, 보수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임의의 에리어 내의 UE의 존재에 관련된 상황을 판단한다. 그 다음, 소정의 지시 정보(예를 들면, 씨닝 처리를 실시한다고 하는 지시 정보)를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는 소정의 지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간헐 송신을 실시할 수 있다.
간헐 송신을 정지할 때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명시적으로 간헐 송신 정지를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긴급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긴급 재해 정보(예를 들면 지진 속보 등)가 통지되어, 무선 기지국 장치는 전원을 정지하지 않고, 하향으로 재해 정보를 계속해서 보낸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전원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무선 기지국 장치가 상술한 긴급 재해 정보 통지를 받으면, 무선 기지국 장치가 기동하여, 하향으로 긴급 재해 정보를 송신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저 장치와, 그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다음의 스텝을 갖는다.
(1)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스텝;
(2)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는 스텝; 및
(3)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다음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4)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할 때에, 그 간헐 송신되는 신호의 타이밍 정보인 알림 정보를 유저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
(5) 유저 장치가 수신한 알림 정보를 복호화하는 스텝; 및
(6) 복호화된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다음의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7)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할 때에, 미리 정해진 확산 부호를 유저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 및
(8) 유저 장치가 수신한 확산 부호에 기초하여,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 하향 간헐 송신을 하도록 무선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은,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시할 때는,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무선 기지국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무선 기지국 장치에 속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 하향 간헐 송신을 하도록 무선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 장치의 송신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간헐 송신되는 신호는, 하향 방향의 공통 채널 신호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간헐 송신은, 일정한 간격, 또는 랜덤 간격으로 행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며,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무선 기지국의 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기록 매체로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거나,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억 매체의 예로는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DVD, ROM 카트리지, 배터리 백업을 가진 RAM 메모리 카트리지, 플래시 메모리 카트리지, 및 불휘발성 RAM 카트리지를 포함함을 유의한다. 또한, 통신 매체의 예로는, 전화 회선 등의 유선 통신 매체, 마이크로파 회선 등의 무선 통신 매체가 포함된다.
부연하자면, 최근, 옥내에 설치 가능한 무선 기지국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지국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셀은, 그 커버 에리어가 옥외에 설치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셀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이 셀은 "펨토 셀"이라고 불린다. 펨토 셀을 형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는 "펨토 무선 기지국 장치"라고 불린다. 대조적으로, 펨토 셀에 비하여 큰 규모의 셀(일반적으로 매크로 셀이라고 불림)을 형성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는 "매크로 무선 기지국 장치"라고 불린다. 본 발명은 이들 펨토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매크로 무선 기지국 장치뿐만 아니라, 기타 모든 형태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 및 상세에는, 발명의 사상응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9년 3월 3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2009-048908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 모두를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요구량 저감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1 : 무선 기지국 장치
2 : 유저 장치
3 : 감시부
4 : 제어부
5 : 통신부
6 : 알림부
7 : 통신부
8 : 제어부
9 : 복호부
10 : 설정부
11 : 검출부
12 : 보수 감시 장치

Claims (26)

  1.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저 장치와, 상기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제어 수단과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도록 통신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간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감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송신되는 신호는, 하향 방향의 공통 채널 신호인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송신은, 일정한 간격 또는 랜덤 간격으로 행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간헐 송신되는 신호의 타이밍 정보인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 수단에 의해 생성된 알림 정보를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수신한 상기 알림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 수단을 포함하고, 복호화된 상기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소정의 확산 부호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그 확산 부호를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수신한 상기 확산 부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셀 종류를 식별하는 데에 이용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수신한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공통 파일럿 정보에 상기 간헐 송신의 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추가하여 그 결과인 공통 파일럿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수신한 상기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송신되는 신호는, 동기 신호, 공통 파일럿 정보, 알림 정보, 및 페이징 정보이고,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알림 정보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보다도 빠른 타이밍으로 상기 동기 신호와 상기 공통 파일럿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유저 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와 상기 공통 파일럿 정보를 수신한 후에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개별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장치와의 통신의 유무를 판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물리 채널인 PRACH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장치와의 통신의 유무를 판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할 때에, 일정 기간 상기 신호를 정지함으로써 씨닝 처리(thinning out process)를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할 때에, 일정 기간 상기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좁힘으로써 씨닝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을 좁힘으로써 씨닝 처리를 행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또는, BCH로 통지되는 MIB를 이용하여, 상기 씨닝 처리를 행한 것을 상기 유저 장치에 통지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위 노드인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씨닝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된 보수 감시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씨닝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가 자신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제어 수단과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간헐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는 감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21. 유저 장치와, 상기 유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고,
    상기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할 때에, 상기 간헐 송신되는 신호의 타이밍 정보인 알림 정보를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알림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상기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할 때에, 소정의 확산 부호를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장치가 수신한 상기 확산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간헐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4.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유저 장치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유저 장치에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간헐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송신되는 신호는, 하향 방향의 공통 채널 신호인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 송신은, 일정한 간격, 또는 랜덤 간격으로 행해지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7020515A 2009-03-03 2010-01-28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101327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8908 2009-03-03
JPJP-P-2009-048908 2009-03-03
PCT/JP2010/000479 WO2010100820A1 (ja) 2009-03-03 2010-01-28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これら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716A true KR20110122716A (ko) 2011-11-10
KR101327138B1 KR101327138B1 (ko) 2013-11-07

Family

ID=4270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515A KR101327138B1 (ko) 2009-03-03 2010-01-28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18463B2 (ko)
EP (1) EP2405690B1 (ko)
JP (2) JP5787359B2 (ko)
KR (1) KR101327138B1 (ko)
CN (1) CN102342157B (ko)
WO (1) WO2010100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5205B2 (ja) 2010-08-05 2015-02-2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692234B2 (ja) * 2010-11-19 2015-04-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装置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
WO2012073951A1 (ja) * 2010-11-30 2012-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5582199B2 (ja) * 2011-01-25 2014-09-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及び端末装置
US9363753B2 (en) * 2011-07-19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Sleep mode for user equipment relays
GB2498571A (en) 2012-01-20 2013-07-24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81 Llc Base station able to communicate with a second device type on a narrow subset frequency band contained within a first main band
CN106792864B (zh) 2012-01-20 2020-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网元状态的处理方法及装置
CN103260246B (zh) * 2012-02-15 2018-0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载波调度方法及设备
JP5954487B2 (ja) * 2012-03-27 2016-07-20 富士通株式会社 送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899593B2 (ja) 2012-07-31 2016-04-0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付きアルミ電線
JP6099064B2 (ja) * 2012-11-06 2017-03-22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低アクティブモードでセル又はネットワークからタイミング情報を受け取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096497B2 (ja) * 2012-12-18 2017-03-15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9264951B2 (en) 2013-02-15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Activation procedure for dormant cells
CN104519578A (zh) * 2013-09-29 2015-04-15 株式会社Ntt都科摩 从多个小区中选择进行间歇发送的小区的方法和设备
JP2017118156A (ja) * 2014-04-28 2017-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CN104822136B (zh) * 2014-12-25 2018-02-13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广播频率控制方法及装置
CN112105094A (zh) * 2015-01-15 2020-12-18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WO2016145589A1 (zh) * 2015-03-16 2016-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服务节点建立方法和设备
EP3267713B1 (en) * 2015-03-31 2019-07-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ectrum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JP7289417B1 (ja) * 2023-03-13 2023-06-09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飛行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937B2 (ja) * 1994-04-25 2000-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US6584330B1 (en) 2000-07-18 2003-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power management for a node of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125062A1 (en) * 2001-12-27 2003-07-03 Bethards Charles W.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users
JP2003347985A (ja) 2002-05-22 2003-12-05 Fujitsu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省電力方法
JP4197629B2 (ja) 2003-07-01 2008-1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移動局
US7756548B2 (en) 2005-09-19 2010-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hat uses a multi-mode base station
DE102005051291A1 (de) * 2005-10-26 2007-05-03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von Basisstationen in drahtlosen Kommunikationsnetzen
KR101176047B1 (ko) 2005-12-22 2012-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라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저전력 소모를 위한 불연속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4583319B2 (ja) * 2006-02-08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基地局
JP2008028499A (ja) 2006-07-19 2008-02-07 Hitachi Ltd 遠隔監視通信システム
JP2008109423A (ja) * 2006-10-26 2008-05-08 Fujitsu Ltd 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省電力制御方法
JP2009048908A (ja) 2007-08-21 2009-03-0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保護回路及びランプ駆動装置
JP5858909B2 (ja) * 2010-04-30 2016-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87359B2 (ja) 2015-09-30
EP2405690A4 (en) 2012-10-17
WO2010100820A1 (ja) 2010-09-10
US8818463B2 (en) 2014-08-26
US20110319030A1 (en) 2011-12-29
KR101327138B1 (ko) 2013-11-07
CN102342157A (zh) 2012-02-01
EP2405690A1 (en) 2012-01-11
JP5842951B2 (ja) 2016-01-13
JPWO2010100820A1 (ja) 2012-09-06
EP2405690B1 (en) 2018-06-27
CN102342157B (zh) 2016-02-03
JP2014158279A (ja)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1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EP3619987B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to transmit wake-up signal comprising synchronisation signalling
US9930721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base st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acyclic paging cycles
US9241308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CN10478219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基站的操作状态的方法和装置
JP5103113B2 (ja) ユーザ装置
US9344996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base st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582199B2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及び端末装置
US20110194493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Standby Mode to a Fully Activated Mode
CN109845382A (zh) 用于发送上行链路信号的方法和用户设备
US11974225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implementing wake-up signaling with validity period
EP3345433B1 (en)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570814B1 (ko) 네트워크 유지 관리를 위한 측정 보고 방법 및 시스템
EP3228145A1 (en) Latency reduction for user equipment with bursty interactive traffic
GB2489413A (en) Managing power consumption to make savings intended by the DRX concept
US104555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JP2019521621A (ja) 情報送信及び情報受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313040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adio access network node,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power efficient paging escalation
US20210274468A1 (en) Acquisition of system information
JPWO2021189462A5 (ko)
CN117998545A (zh) 用于移动通信中低功率唤醒信号监测的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