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039A -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039A
KR20110122039A KR1020100041895A KR20100041895A KR20110122039A KR 20110122039 A KR20110122039 A KR 20110122039A KR 1020100041895 A KR1020100041895 A KR 1020100041895A KR 20100041895 A KR20100041895 A KR 20100041895A KR 20110122039 A KR20110122039 A KR 2011012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pellets
palm fruit
pelle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동
Original Assignee
김복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동 filed Critical 김복동
Priority to KR1020100041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2039A/ko
Publication of KR2011012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26After-treatment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2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1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us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8Spraying or sprink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2Impregnation or immersion of a fuel component or a fuel as a who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름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펠렛화하고, 또한 발화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알콜을 더 추가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큰 열량을 내도록 하는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야자나무 열매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하는 제1 단계와, 야자나무 열매 분말을 5~10%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하는 제2 단계와, 건조된 야자나무 열매 분말을 펠렛 성형기에 의해 펠렛화하는 제3 단계와, 성형된 펠렛을 알콜이 저장된 수조에 침습시켜 1~10%의 알콜을 투여하는 제4 단계와, 알콜에 침습된 펠렛을 건진 다음 파라핀 용액을 펠렛의 표면에 분무하여 0.05~0.2mm두께로 코팅하는 제5 단계와, 파라핀 코팅된 펠렛을 건조시키는 제6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펠렛 연료의 발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알콜이 추가된 연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원으로서 석유, 석탄 등과 같은 화석 에너지인데, 이러한 화석 에너지는 그 양이 한정적이어서 새로운 대체 에너지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러한 에너지원의 대체 방편으로서, 최근에는 폐목재나 목재 부산물 등을 펠렛화하여 우사, 돈사, 비닐하우스, 화훼농가, 가정이나 영업장 등의 난방 에너지원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폐목재나 목재 부산물은 단순히 건조시킨 상태에서 펠렛으로 성형한 형태로서 화력이 기대한 만큼 크지 않아, 더 많은 열량을 내기 위해서는 많은 펠렛의 소요가 불가피하다.
이는 폐목재나 목재 부산물이라 할지라도 불필요한 에너지원의 낭비로 이어져 환경을 파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름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펠렛화하고, 또한 발화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알콜을 더 추가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큰 열량을 내도록 하는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야자나무 열매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하는 제1 단계와,
야자나무 열매 분말을 5~10%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하는 제2 단계와,
건조된 야자나무 열매 분말을 펠렛 성형기에 의해 펠렛화하는 제3 단계와,
성형된 펠렛을 알콜이 저장된 수조에 침습시켜 1~10%의 알콜을 투여하는 제4 단계와,
알콜에 침습된 펠렛을 건진 다음 파라핀 용액을 펠렛의 표면에 분무하여 0.05~0.2mm두께로 코팅하는 제5 단계와,
파라핀 코팅된 펠렛을 건조시키는 제6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펠렛 연료는 알콜이 투여된 상태에서 파라핀에 의해 코팅됨으로써 점화력이 높아 발화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1은 파라핀 코팅을 위한 기계장치의 예를 보인 도.
도면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야자나무 열매를 채취한 다음, 이를 유압식 분쇄기를 이용하여 톱밥형태의 분말로 분쇄하게 되며, 이때 야자나무 열매의 껍질과 속살을 모두 분쇄할 수도 있고, 또는 기름(팜유 또는 야자유라 불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껍질만을 벗겨서 분쇄할 수 있다.
이렇게 톱밥형태로 분쇄된 야자나무 열매 분말은 건조기에 투입되어 5~10%의 함수율이 될 때까지 건조가 이루어지는데, 건조기에 의해 원하는 함수율을 가지도록 건조하는 기술을 펠렛 제조과정에서 이미 일반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5~10%의 함수율을 갖는 야자나무 분말은 펠렛 성형기에 투입되어 3~8mm정도의 크기를 가지면서 원통형, 구형, 다각 기둥형태의 형태를 갖는 펠렛으로 성형된다.
이렇게 성형된 펠렛은 알콜이 들어있는 수조로 투입되어 침강됨으로써 알콜성분이 펠렛의 내부로 침습되며, 이때 펠렛의 내부로 1~10%의 알콜이 투여되도록 한다.
펠렛에 알콜이 침습되는 정도는 알콜이 들어있는 수조에 침강된 시간과 펠렛 자체의 공극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여러번의 실험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예를 들면, 펠렛의 공극이 많으면 침강된 시간이 짧아도 원하는 양의 알콜이 투입되며, 공극이 적으면 더 많은 침강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알콜이 투여된 펠렛을 수조로부터 건지게 되면 쉽게 알콜이 휘발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펠렛의 표면에 0.05~0.3mm의 두께로 파라핀 코팅을 하게 된다.
파라핀의 코팅은 도면 1에서와 같이 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통(1)에 알콜이 투여된 펠렛(4)을 넣은 다음, 교반통(1)의 상측으로부터 분무노즐(3)을 통해 파라핀 용액을 분무한다.
교반통(1)에 들어있는 펠렛(4)은 교반통(1)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면서 상부로부터 분무되는 파라핀 용액이 표면에 고르게 코팅되며, 코팅의 두께는 교반통(1)의 회전속도와 파라핀 용액의 분무량과 분무되는 파라핀 입자의 크기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후, 파라핀으로 코팅된 펠렛(4)은 표면 건조가 이루어지는데, 분무노즐(3)로부터 파라핀 용액의 분무를 중지시킨 다음 교반통(1)만을 일정시간동안 계속 회전시켜 펠렛(4) 표면의 파라핀 코팅이 고르게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펠렛에 투여된 알콜은 파라핀 코팅막에 의해 휘발되지 않게 되며, 점화시에 파라핀 코팅막이 녹으면서 펠렛이 노출되어 발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알콜에 의해 발화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파라핀은 코팅의 역할뿐만 아니라 발화력을 증대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되어 펠렛의 기름성분에 의한 발화력 뿐만 아니라 알콜과 파라핀에 의해 발화력이 더해져 높은 점화력과 발화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펠렛을 사용하여 연료로 사용할 때 발화력이 높으므로 코팅이 되지 않은 야자나무 열매 펠렛 또는 일반 펠렛과 일정량 섞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 교반통
2 - 모터
3 - 분무노즐
4 - 펠렛

Claims (2)

  1. 야자나무 열매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하는 제1 단계와,
    야자나무 열매 분말을 5~10%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하는 제2 단계와,
    건조된 야자나무 열매 분말을 펠렛 성형기에 의해 펠렛화하는 제3 단계와,
    성형된 펠렛에 1~10%의 알콜을 투여하는 제4 단계와,
    알콜에 투여된 펠렛의 표면에 0.05~0.2mm두께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제5 단계와,
    코팅된 펠렛을 건조시키는 제6 단계로 구성된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2. 1항에서, 제4 단계는 알콜이 저장된 수조에 펠렛을 침습시켜 알콜을 투여하고,
    제5 단계는 알콜이 투여된 펠렛을 교반통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상부로부터 파라핀 용액을 분무하여 코팅막을 형성하고,
    제6 단계는 파라핀 용액의 분무를 중지시킨 다음 교반통을 일정시간동안 회전시켜 코팅된 펠렛을 건조시키도록 구성된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KR1020100041895A 2010-05-03 2010-05-03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KR20110122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895A KR20110122039A (ko) 2010-05-03 2010-05-03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895A KR20110122039A (ko) 2010-05-03 2010-05-03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039A true KR20110122039A (ko) 2011-11-09

Family

ID=4539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895A KR20110122039A (ko) 2010-05-03 2010-05-03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203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82B1 (ko) * 2012-08-29 2014-04-30 (주)건조기술 팜 부산물을 이용한 펠릿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77923B1 (ko) * 2013-09-25 2014-12-30 김선익 착화탄 제조방법
KR101656399B1 (ko) 2016-02-22 2016-09-12 (주)힌지코리아 착화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착화제
KR102081992B1 (ko) * 2018-12-12 2020-02-26 대한민국 과수 저온피해 방지용 연소 하우징
KR102254733B1 (ko) * 2020-12-10 2021-05-20 권광희 착화가 용이한 친환경 장작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작
KR102258717B1 (ko) * 2021-04-26 2021-05-28 권광희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KR102258716B1 (ko) * 2020-12-10 2021-05-31 권광희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CN115595189A (zh) * 2022-10-25 2023-01-13 广州佳卡纳化妆品开发有限公司(Cn) 一种高燃烧效率的生物质固体燃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82B1 (ko) * 2012-08-29 2014-04-30 (주)건조기술 팜 부산물을 이용한 펠릿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77923B1 (ko) * 2013-09-25 2014-12-30 김선익 착화탄 제조방법
KR101656399B1 (ko) 2016-02-22 2016-09-12 (주)힌지코리아 착화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착화제
US10407805B2 (en) 2016-02-22 2019-09-10 Hinge Korea Co., Ltd. Candle tape for ign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1992B1 (ko) * 2018-12-12 2020-02-26 대한민국 과수 저온피해 방지용 연소 하우징
KR102254733B1 (ko) * 2020-12-10 2021-05-20 권광희 착화가 용이한 친환경 장작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작
KR102258716B1 (ko) * 2020-12-10 2021-05-31 권광희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KR102258717B1 (ko) * 2021-04-26 2021-05-28 권광희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CN115595189A (zh) * 2022-10-25 2023-01-13 广州佳卡纳化妆品开发有限公司(Cn) 一种高燃烧效率的生物质固体燃料及其制备方法
CN115595189B (zh) * 2022-10-25 2024-04-26 常山乔叶生物质能源有限公司 一种高燃烧效率的生物质固体燃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2039A (ko)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JP5753959B1 (ja) 植物性バイオ燃料改質方法、システムおよび生産方法
CA2573046C (en) Process for producing fuel pellets
CN106824089A (zh) 一种树脂基炭微球吸附材料的制备方法
KR101281672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 방법
JP2003064377A (ja) 成型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583325A (zh) 一种渗灌用多孔陶瓷渗水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813397B (zh) 一种密度可控的轻质竹木基纤维板的制备方法
JP2016216133A (ja) バケットコンベア、植物性バイオ燃料の改質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843701A (zh) 用当归废渣制备活性炭的方法
KR20100109005A (ko) 식물성 부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고체연료와 그의 제조방법
CN1831089A (zh) 山核桃果外皮壳木炭及其加工方法
CN109505132A (zh) 一种用于制作碳纤维硬质复合毡的浸渍方法
CN104109567A (zh) 生物燃料颗粒产品的生产方法
CN204034662U (zh) 一种圆盘造粒喷水装置
CN108296424B (zh) 一种以纤维素为胶粘剂制备的3d打印覆膜砂
CN102234395B (zh) 一种抗污防火板
CN107236349A (zh) 木制玩具漆环保处理方法
CN204426644U (zh) 一种鱼苗开口饵料双轴差速调质机
CN103978807B (zh) 一种无木石墨绘画铅笔的制备方法
CN203113151U (zh) 一种纤维板生产线中,纤维干燥管道的冷却控温系统
CN102581898A (zh) 一种木材屏蔽剂及其制法与用途
JP6462971B2 (ja) 固形燃料の製造方法、固形燃料製造システム、及び、固形燃料
RU2266159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рбента
CN209816055U (zh) 一种生物质颗粒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