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716B1 -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 Google Patents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716B1
KR102258716B1 KR1020210035011A KR20210035011A KR102258716B1 KR 102258716 B1 KR102258716 B1 KR 102258716B1 KR 1020210035011 A KR1020210035011 A KR 1020210035011A KR 20210035011 A KR20210035011 A KR 20210035011A KR 102258716 B1 KR102258716 B1 KR 10225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xing agent
log
hole
liqui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광희
Original Assignee
권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광희 filed Critical 권광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6Firelighters or wicks, as additive to a solid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8Inhib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과 연결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구멍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체 착화제를 코팅하여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방지하고 효과적이고 고른 연소가 가능하면서도 상부면의 구조 또는 일부 구조가 연소과정에서 소실되는 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 공기조절 댐퍼 등을 통해 이동과 공기유입량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Log burner with liquid ignition material co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과 연결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구멍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작, 숯, 연탄, 석탄, 코크스 등의 고형연료는 액체, 기체연료보다 발화점이 높아 쉽게 착화되지 않지만 착화 된 이후에는 장시간 동안 연소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캠핑, 온실, 비닐하우스, 농장 등에서 연료로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나무 자체에 착화하여, 통나무 상부 면에 조리 기구를 직접적 올려놓고 연소구멍을 통해 올라오는 화력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통나무를 이용한 일회용 버너(log burner, candle log, stump stove 등)가 등장하여 캠핑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연료는 착화되기까지 충분한 열량이 공급되어야 하고, 또한 이들 고형 연료는 통상 실외에 노출되거나 습도가 높은 곳에 저장될 경우 연료 자체에 많은 습기가 포함되어 있어 착화되는 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 될 뿐만 아니라, 초기 착화 시에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해가스가 생성되어 방출되므로 고형연료를 착화시키는 데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 특히 참나무 등과 같이 송진 성분이 없는 통나무의 경우 초기 착화가 더 어려워 통나무 버너의 재료로 사용되기 어려운 실정이고, 사용 후기에는 휘발유를 뿌려도 잘 착화가 안 된다는 올라올 정도로 착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송진과 같이 초기 착화를 도와줄 수 있는 물질이 함유된 소나무 등을 많이 사용하며, 이 경우 송진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냄새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통나무 버너에 연소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불씨가 올라오는 상부 부분부터 먼저 연소되어 조리 기구를 올려놓아야 하는 상부 부분이 먼저 소실되거나 연소구멍의 일 측에만 착화가 되어 일 측의 통나무 버너 자체의 형태가 무너지고 타 측은 남아있게 되어 지지 구조가 파괴됨으로써 버너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연소되지 않은 부분은 버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또는 공기구멍 부분이 먼저 연소되고 형태가 무너지면서 외부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화력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기존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459호(2016.04.05)에서는 통나무 버너에 공기 흡입구를 복수로 구성하고, 이 공기 흡입구에 불연재인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연소방지 링을 설치하였으며, 연소구에 복수의 연소 보조구 및 배기구를 추가로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나무 버너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연소방지 링을 구비하여, 공기 흡입구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다른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으며, 착화를 용이하기 위해 파라핀 등의 가연성 물질을 충전하거나 연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심지를 사용하는 등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개시는 없다.
실험결과 고체 파라핀을 코팅한 형태의 경우 코팅된 외부 면에서만 파라핀이 빠르게 연소되고 통나무에 적절하게 착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액체 파라핀을 충전 시킨 경우 착화는 잘 이루어지지만 보관 과정에서 하루만 지나도 액체 파라핀이 공기 중으로 소실되어 착화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7429호(2016.12.23.)에서는 고형연료용 착화제를 개시하면서, 구체적으로 고형 상태의 파라핀 왁스(Paraffin Wax)를 용기(Vessel)에 담아 45℃~65℃의 열을 가함으로써 액체 상태의 파라핀으로 상(Phase) 변화시키는 파라핀 용융 단계와, 상기 파라핀 용융단계를 통해 상 변화된 액상의 파라핀에 크기 60mmㅧ90mmㅧ15mm의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을 10분 동안 침지하여 섬유판의 공극 사이로 파라핀이 침투하도록 하는 섬유판 침지 단계와, 상기 섬유판 침지 단계를 통해 파라핀이 공극 사이로 스며든 섬유판을 용기에서 꺼내어 상온에서 1일 이상 건조시켜 착화제를 완성하는 섬유판 건조단계로 구성되는 고형연료 착화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파라핀 왁스의 녹는점은 47℃(녹는점 약 47℃에서 64℃)로서 47℃ 이하의 온도로 내려가면 응고되기 때문에 공극 사이로 충분히 왁스가 침투하기 전에 응고가 일어날 수 있고, 파라핀이 응고되지 않더라도 10분 침지로는 충분한 침투가 일어나기 어려울 뿐 아니라(24시간 이상 침지가 필요함) 파라핀을 침지시키려는 나무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파라핀의 분자구조상 극성의 차이가 존재하여 잘 침투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상기 중밀도 섬유판과 대비할 때 통나무의 경우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내부에 수분함유율이 더 높아 액체 착화연료를 흡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실제 착화 과정에서도 용융시킨 파라핀에 침지 시킨 후 응고시킨 경우 액체 착화제와 비교하여 점화력이 약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1366호(2020. 07. 30)에서는 공기구멍의 개선과 받침대, 손잡이 끝 등을 부가하고, 연소구멍의 개선으로 신속한 점화, 화염 가이드의 부가로 인하여 불꽃의 확산 등 사용상의 편리성과 연소의 원활화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개선된 통나무 버너를 개시하고 있으나 내부 형태가 복잡하여 가공이 어렵고, 상기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45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74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1366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켜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고른 연소가 가능하도록 하고, 고체 코팅제로 코팅하여,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최소화하며, 통나무 버너의 상부 또는 한쪽 부분만 연소되어 형태가 무너지거나 일부분이 남는 문제를 통한 자원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통나무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구멍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절 댐퍼를 구비한 통나무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통나무버너 내부를 안정적으로 착화되게 할 수 있는 통나무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과 연결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구멍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나무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연소구멍에 액체 착화제를 채워 연소구멍 내부에 액체 착화제를 일정 시간 흡수시킨 후 액체 착화제를 제거하는 단계, 고체 착화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연소구멍 내부 면에 투입하여 연소구멍 내부 면을 코팅하는 단계 및 통나무의 일 측면에 상기 연소구멍과 연결되는 공기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나무 버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액체 착화제가 연소구멍 내부 면에 고르게 흡수되어 착화가 용이하면서도 통나무 버너 연소구멍의 일부 면에만 착화되어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체 착화제 코팅을 통해 흡수된 액체 착화제가 공기 중으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5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차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 착회제를 공기구멍 전체 면이 아닌 하부의 일정 부분에만 흡수시켜 조리기구 들을 거치하는 상부 면이 먼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 중에도 양쪽에 있는 손잡이를 활용하여, 통나무 버너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심지를 이용하여, 손쉽게 착화가 가능하며, 심지는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키고 고체 착화제로 코팅한 형태로서 고체 착화제의 착화 시간 지연의 문제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공기조절 댐퍼를 탈 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의 세기를 조절함과 동시에 이후 공기조절 댐퍼를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숯과 같은 착화제를 공기구멍의 안쪽에 구비하여 통나무 내부가 연소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착화제의 불꽃이 굴뚝효과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정작 상시간 소요되는 통나무 버너 내부에는 착화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액체 착화제의 흡수 위치와 고체 착화제의 코팅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공기조절 댐퍼의 형태 및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은 고정봉 없이 결합된 심지의 형태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는 액체 착화제를 흡수 및 제거하는 과정과 공기조절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5는 심지와 고정봉, 고정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공기조절 댐퍼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형태 및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절 댐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화제를 사용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통나무 버너에 있어서,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구멍(10)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30)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40)이 형성 통나무 버너를 제공한다.
연소구멍(10)은 내부에서 통나무가 연소하면서 불씨가 올라오는 구멍을 의미하며, 통나무의 전체적인 모양을 원통형으로 가정했을 때 상부 면은 개방되고 하부 면은 막힌 형태이다. 연소구멍(10)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킨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이 형성되는데 이는 액체 착화제를 연소구멍(10)에 채운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 제거하는 방법으로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킬 수 있다. 충분한 양의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액체 착화제를 연소구멍(10)에 채운 후 24시간에서 48시간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는 액체 착화제의 소실이나 외부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후술할 탄성체 손잡이(50)로 연소구멍(10) 및 공기구멍(20)을 막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착화제 코팅은 액체 착화제가 공기 중으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며, 초기에 액체 착화제에 직접 점화되어 지나치게 빠르게 화력이 세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가진다(고체 착화제의 경우 액체 착화제에 비해 착화가 상대적으로 지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소구멍(10)의 상부 및 공기구멍(20)에는 탈착 할 수 있는 탄성체 손잡이(50)를 추가로 구비하여, 액체 착화제의 소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기존의 통나무 버너의 경우 불이 연소구멍(10) 상단 부분으로 올라오면서 통나무 전체적인 형태에서 상부 면이 먼저 연소되어 소실됨으로 인해 조리기구 등을 올려놓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을 연소구멍(10)의 내부면의 일부인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까지만 형성시켜 상부 면이 먼저 연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일단이 연소구멍(10)의 내부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공기구멍(20)으로 노출된 심지(31)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심지(31)를 활용하여, 초기에 안전하고 쉽게 착화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심지(31)는 액체 착화제가 함유되고 심지(31) 외부에는 고체 착화제가 코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심지(31)에 고체 파라핀 등 고체 착화제를 코팅한(용융 한 고체 착화제에 심지(31)를 함침 한 후 꺼내어 다시 응고시키는 방식) 경우 착화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심지(31)에 액체 파라핀(파라핀 오일)을 흡수시킨 후 심지(31)에 착화를 한 경우 매우 빠르게 심지(31)를 통한 착화가 되었다. 다만, 액체 착화제의 경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 중으로 상당 시간이 경과하면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어 착화의 효율성이 높은 액체 착화제를 사용하면서도 이러한 착화제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체 착화제로 코팅을 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심지(31)를 공기구멍(20)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심지(31) 끝 부분이 맞닿는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기 어렵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휘어진 형태로서 원하는 부분(액체 착화제가 충분히 흡수된 부분에)에 심지(31)를 통해 착화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통나무 버너는 심지(3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심지(31)와 결합된 착화심지 지지틀(32)을 추가로 구비하고, 통나무 버너의 연소구멍(10) 내부 일면에는 상기 착화심지 지지틀(32)을 공기구멍(20)을 통해 삽입하여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33)이 형성된 형태로 구비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에서 액체 착화제는 파라핀 오일 또는 에틸알코올이고, 고체 착화제는 파라핀 왁스, 밀납, 대두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파라핀 오일 및 에틸알코올 모두 열효율이 좋은 액체 착화제로서 활용이 가능하나 파라핀 오일의 경우 천연 성분으로서 연소 시 냄새나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액체 착화제에는 계면활성제가 전체 중량 대비 0.1wt% 내지 5wt% 포함될 수 있다. 0.1wt% 미만인 경우 계면활성제의 효과가 미비하며, 5wt% 이상인 경우 액체 착화제의 착화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란 극성(친수성) 부분과 무극성(친유성/소수성) 부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서 계면활성제 분자들이 모여 미셀을 형성하여 무극성을 안쪽으로 극성을 바깥으로 해 무극성 부위에 모이는 물질들을 끌어안는 듯한 느낌으로 물에 녹는다. 장작을 건조시키더라도 일정한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장작 내부는 극성을 띠게 된다. 반면, 액체 착화제는 오일 성분과 같이 무극성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극성이 차이로 인해 액체 착화제가 장작 내부로 흡수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미셀을 형성하여 이러한 극성이 다른 물질이 섞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계면활성제를 넣는다고 바로 미셀이 되진 않고 일정 임계 미셀 농도 및 임계 미셀 온도를 넘겨야 미셀이 형성된다. 계면활성제는 공지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 레시틴(Lecithin), 솔빌라이저 (Solubilizer), 쟁탄검(Xanthan Gum), 이멀시화잉왁스 (Emulsifying Wax), 붕사 (Borax), 몬타노브 왁스(vegetable montannov wax), 올리브유화왁스(PEG O/W), 올리브리퀴드, LES(술포석시네이트),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AP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납은 녹는점이 62~63℃로서 상대적으로 높아 유통과정에서 고온에 의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곰팡이나 세균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밀납 자체의 향기가 유통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악취를 희석해주는 효과도 가진다. 카나우바 왁스 또한 천연 유래 물질로서 녹는점이 62??64℃이므로 여름철 등 유통과정에서 고온에 의한 용융이나 형태 변형에 강하다.
한편, 보관상에서 생기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천연향(라벤더,장미,라일락 등)과 여름철 장기보관시 곰팡이균 증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균스프레이를 외부, 공기구멍 및 연소구멍에 분사하거나 도포하여, 악취 발생 등 추가적인 문제점을 방지하거나 라벤더,장미,라일락 추출물을 고체 착화제 용융 시에 첨가하여 악취 발생 등 추가적인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공기구멍(20)에는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탈거하여 재사용 할 수 있는 공기조절 댐퍼(26)가 구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절 댐퍼(26)에는 가요성 금속 재질의 날개(27)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날개(27)를 통나무 외부면 굴곡에 맞게 구부려 통나무 외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날개(27) 양 끝단에 후크가 존재하는 경우 통나무에 후크를 삽입하거나 또는 날개(27)에 하나 이상의 홈이 존재하는 경우 못이나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공기조절 댐퍼(26)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공기조절 댐퍼(26)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일정 면적이 개방된 두 개의 판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개방되는 면적을 조절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공기조절 댐퍼(26)는 공기구멍(20)에 삽입되는 부분이 좁고 공기 접촉부분(외부면)이 넓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개방되는 면적 차이를 높여 공기의 유입 또는 차단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절 댐퍼를 예시한 도면으로, (a)도면은 공기조절 댐퍼(60)의 사시도이고, (b)도면은 분해사시도, 그리고 (c)도면은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공기조절 댐퍼(60)는 테이핑진 좌협우광형상의 경사몸체(63)와 좌측 단부에는 장방형의 고정홈(64)이 경사몸체를 따라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공기조절판(61)이 형성된다.
공기조절판(61)은 부채꼴 형상의 공기구멍(62)이 다수개 형성되어, 공기구멍(62)의 크기나 갯수로 공기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조절판(61)의 상부에 공기조절판과 동일한 형상의 공기조절회전판(미도시)을 회전되게 결합하여 공기조절회전판의 공기구멍이 공기조절판(61)의 공기구멍을 개폐하는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입을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공기조절 댐퍼(60)는 통나무의 공기구멍(20)에 삽설고정하여 공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통나무 공기구멍(20)의 유입구도 테이핑면을 구성하고, 유입구 안쪽에는 공기조절 댐퍼(60)의 고정홈(64)으로 삽설되어 공기조절 댐퍼의 일측을 고정하는 목공용 T자형 타카핀(70)을 타정기로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때 타카핀은 공기조절 댐퍼의 경사몸체의 경사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통나무에 고정하여야 한다.
즉, 공기조절 댐퍼(60)를 공기구멍(20)에 결합하기 위하여, 공기조절 댐퍼의 좌협부분이 공기구멍(20)으로 삽입되게 하면서 동시에 고정홈(64)으로 타카핀(70)의 헤드부분이 끼워지게 조립하면서 공기구멍의 유입구의 테이핑면과 공기조절 댐퍼(60)의 경사몸체(63)가 밀착될 때까지 억지끼움하면, 타카핀의 헤드에 고정홈(64)이 고정되면서, 공기조절 댐퍼가 공기구멍에 결합되는 것이다.
사용 후에는 분리된 공기조절 댐퍼를 재사용하면 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화제를 사용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을 참고하면, 공기구멍의 내부에 통나무 버너 내부의 안정적인 착화를 위하여 활성탄, 번개탄 또는 숯과 같은 연소성이 있는 재질로 된 착화제(80)를 더 구비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착화제는 공기구멍초입에서 성냥등으로 착화가 되어서 연소실안에서 착화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착화심지 지지틀(32)을 사용함과 동시에 착화심지 지지틀(32)의 내측 단부에는 심지(31)가 촘촘하게 감겨지도록 구성하여 지속적인 착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액체착화제 증발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착화심지 지지틀(32)에 감겨진 심지에는 천연밀랍 등으로 재차 코팅하여 열량을 증대시켜 착화제(80)나 액체파라핀이 흡수되어 있는 착화제(81)가 안정적으로 착화되게 한다.
즉, 통나무버너 내부의 착화를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액체, 고체 등의 착화제는 그 불꽃이 굴뚝효과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어 장시간 소요되는 통나무 버너 내부에는 착화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활성탄, 번개탄 또는 숯과 같은 착화제를 공기구멍의 안쪽에 구비하여 통나무 내부가 연소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착화제 사이에 심지(31)가 개재되어 착화제(80)의 연소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구멍의 내측에 일측이 고정된 심지(31)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착화제를 적층하되, 상부의 착화제는 하부의 착화제보다 크기를 크게 하고, 또한 심지(31) 인근에는 액체파라핀이 침투된 착화제(81)를 배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착화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심지 상부의 착화제는 숯 충진시에 효과적인 숯의 착화 및 원할한 통나무에 착화와 연소시에 필요한 원할한 산소공급 및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위하여는 적당한 직경 1.5cm~2cm 크기의 조각난 숯으로 착화용 심지 윗부분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화심지 지지틀(32)은 액체착화제 흡수 및 친환경을 고려하여 착화에 도움이 되는 나무젖가락과 같은 연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통나무는 참나무일 수 있으며, 송진과 같이 초기 착화를 도와줄 수 있는 물질이 함유된 소나무 등을 사용하는 경우 송진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냄새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향이 좋고 그을음 등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짐에도 참나무가 통나무 버너로 사용되지 못한 것은 초기 착화가 어렵기 때문인데 본 발명은 연소구멍(10) 내부에 충분한 양의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켰으므로 안정적인 착화 및 연소가 가능하다.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는 통나무 버너 상부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50) 또는 통나무 버너의 상부 양 측면에 결합되는 U자 또는 ㄷ자 형태의 손잡이(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50)는 연소 중에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5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는 20cm 이상으로 길게 형성하여 손잡이(50)가 뜨겁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손잡이(50)를 하단으로 내려놓아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통나무 버너 하단 부분에 손잡이(50)의 파지하는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여 손잡이(50)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50)는 통나무 버너에 홈을 형성하여 후크 형태로 손잡이(50) 끝단을 거는 형태로 고정하여 상하로 손잡이(50)가 이동 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통나무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을 형성하는 단계, 연소구멍(10)에 액체 착화제를 채워 연소구멍(10) 내부에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킨 후 액체 착화제를 제거하는 단계, 고체 착화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연소구멍(10) 내부 면에 투입하여 연소구멍(10) 내부 면을 코팅하는 단계 및 통나무의 일 측면에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나무 버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고체 착화제는 코팅의 용도이므로 용융시킨 후 연소구멍(10) 내부에 투입하고 충분한 면적에 고루 코팅된 경우 다시 굳기 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구멍(20)은 연소과정에서 거의 마지막까지 공기구멍(20)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 기능을 유지해야 하므로 조기에 연소되지 않도록 착화제가 흡수 또는 코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액체 착화제를 흡수 시킨 이후 고체 착화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모두 거친 이후에 공기구멍(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나무 버너의 제조방법은 연소구멍(10)에 액체 착화제를 채워 연소구멍(10) 내부에 액체 착화제를 흡수시킨 후 액체 착화제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액체 착화제는 연소구멍(10)의 전체 부피 중 90% 이하를 채워 흡수 시킨 후 제거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통나무 버너의 상부 면이 연소하여 조기에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나무 버너의 높이가 30~50cm 정도임을 감안할 때 상부 3~5cm 정도는 착화제가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조기 연소를 막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통나무 버너의 무게를 고려할 때 손잡이(50)부를 상부에서 최소 2~3cm 아래 부분에 홈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해야 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의 연소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
10 연소구멍 15 탄성체 손잡이(50)
20 공기구멍 26 공기조절 댐퍼
27 날개 30 액체 착회제 흡수층
31 심지 32 착화심지 지지틀
33 고정홀 40 고체 착화제 코팅층
50 손잡이

Claims (13)

  1. 통나무 버너에 있어서 상부 중앙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연소구멍(10)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연소구멍(10)과 연결되는 공기구멍(20)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구멍(10)의 내부 면에는 액체 착화제가 흡수된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이 형성되고 액체 착화제 흡수층(30) 외부면에는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고체 착화제 코팅층(40)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구멍(20)에는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탈거하여 재사용 할 수 있는 공기조절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조절 댐퍼는,
    테이핑진 좌협우광형상의 경사몸체(63)와 좌측 단부에는 장방형의 고정홈(64)이 경사몸체를 따라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공기조절판(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착화제 흡수층(30)은 연소구멍(10)의 내부면의 하단으로부터 일부 높이까지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착화제는 파라핀 오일 또는 에틸알코올이고, 상기 고체 착화제는 파라핀 왁스, 밀납, 대두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 댐퍼에는 가요성 금속 재질의 날개(27)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구멍(10)의 상부 또는 공기구멍(20)에 삽입하여 외부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탄성체 손잡이(5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연소구멍(10)의 내부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공기구멍(20)으로 노출된 심지(31)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31)는 액체 착화제가 함유되고 심지(31) 외부에는 고체 착화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구멍의 내측 상기 심지의 상하부분에는 활성탄, 번개탄 또는 숯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착화제를 더 구비되고, 액체파라핀이 침투되어 있는 착화제는 상기 심지와 접촉되는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한 통나무 버너.
  11. 제 8 항에 있어서, 통나무 버너는 심지(3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단부에 심지(31)가 촘촘하게 감겨진 착화심지지지틀(32)을 추가로 구비하고, 통나무 버너의 연소구멍(10) 내부 일면에는 착화심지지지틀(32)을 공기구멍(20)을 통해 삽입하여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12. 제 1 항에 있어서, 통나무 버너 상부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50) 또는 통나무 버너의 상부 양 측면에 결합되는 U자 또는 ㄷ자 형태의 손잡이(5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착화제에는 계면활성제가 전체 중량 대비 0.1wt% 내지 5wt%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버너.













KR1020210035011A 2020-12-10 2021-03-18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KR102258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71 2020-12-10
KR20200172771 2020-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716B1 true KR102258716B1 (ko) 2021-05-31

Family

ID=7615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011A KR102258716B1 (ko) 2020-12-10 2021-03-18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71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454A1 (en) * 2007-06-29 2010-08-05 Alfons Schiller Fuel for Heating an Appliance for Grilling
KR20110122039A (ko) * 2010-05-03 2011-11-09 김복동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KR101278624B1 (ko) * 2012-11-20 2013-06-25 이상용 통나무로 만든 일회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
KR200473459Y1 (ko) 2013-04-25 2014-07-04 박춘서 통나무 버너
KR20150040044A (ko) * 2013-10-04 2015-04-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소수성 바이오액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3521B1 (ko) * 2014-12-25 2015-06-03 경상남도 유향수지(乳香樹脂)를 이용한 다공성(多孔性) 목재 착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47429A (ko) 2015-06-15 2016-12-23 권순용 고형연료용 착화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착화제
KR20190094649A (ko) * 2018-02-05 2019-08-14 권광희 착화가 용이한 파라핀 장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1366B1 (ko) 2019-12-11 2020-08-05 박재형 통나무 버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454A1 (en) * 2007-06-29 2010-08-05 Alfons Schiller Fuel for Heating an Appliance for Grilling
KR20110122039A (ko) * 2010-05-03 2011-11-09 김복동 야자나무 열매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KR101278624B1 (ko) * 2012-11-20 2013-06-25 이상용 통나무로 만든 일회용 버너 및 그 제조방법
KR200473459Y1 (ko) 2013-04-25 2014-07-04 박춘서 통나무 버너
KR20150040044A (ko) * 2013-10-04 2015-04-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소수성 바이오액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3521B1 (ko) * 2014-12-25 2015-06-03 경상남도 유향수지(乳香樹脂)를 이용한 다공성(多孔性) 목재 착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47429A (ko) 2015-06-15 2016-12-23 권순용 고형연료용 착화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착화제
KR20190094649A (ko) * 2018-02-05 2019-08-14 권광희 착화가 용이한 파라핀 장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1366B1 (ko) 2019-12-11 2020-08-05 박재형 통나무 버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2020.01.20 [발명의 명칭].로그테일의 통나무버너(https://blog.naver.com/nova750/22177848387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717B1 (ko)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US5226405A (en) Ignition platform and fuel component for kindling a fire
US5244472A (en) Preparation of chemically dried cellulosic fuel
US4485584A (en) Ignitable fuel and fire starting composition
US20020129808A1 (en) Combustible fuel source
US6508849B1 (en) Fire starter as sole fuel to quickly ignite a log of wood
US11162043B2 (en) Combustible log torch
US8597381B2 (en) Compact fire log
US9353942B2 (en) Burner for household or recreational use
CA2737197A1 (en) Charcoal starting system
KR20160147429A (ko) 고형연료용 착화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착화제
KR102258716B1 (ko) 액체 착화제 흡수층이 형성된 통나무 버너
US20160075961A1 (en) Charcoal chimney
KR102254733B1 (ko) 착화가 용이한 친환경 장작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작
US20050023714A1 (en) Absorbent and time release material
US6740135B2 (en) Fire log system
US9187705B2 (en) Easy lighting charcoal briquettes with wood shavings
DE102008009514B4 (de) Brenn- und/oder Heizeinrichtung und Brenn- oder Heizverfahren für Räuchermittel
JP3157819B1 (ja) 固形燃料
NL1020999C2 (nl) Brander.
KR20150117952A (ko) 참나무를 이용한 고체연료 및 그 제조 방법
RU174700U1 (ru) Растопочное средство
JP2005083581A (ja) 木炭の着火容器
US20050005508A1 (en) Environmentally safe fire starter
JP3243202U (ja) 着火道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