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338A -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338A
KR20110120338A KR1020117022114A KR20117022114A KR20110120338A KR 20110120338 A KR20110120338 A KR 20110120338A KR 1020117022114 A KR1020117022114 A KR 1020117022114A KR 20117022114 A KR20117022114 A KR 20117022114A KR 20110120338 A KR20110120338 A KR 2011012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nder
tim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893B1 (ko
Inventor
나오타카 야스다
나오키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휴대전화기(10)는 CPU(12)를 포함하고, CPU(12)는 PTT 통화의 기록을 개시하면, 발언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한다. 또한, CPU(12)는, 음성 데이터의 기록과 함께, 발언자의 식별 정보, 발언의 개시 시간 및 발언의 종료 시간을 인덱스로서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한다. 전체 화자 재생에서는,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가 선두부터 재생되고, 이때, 인덱스에 따라, 재생 중인 발언자의 식별 정보가 LCD 모니터(30)에 표시된다. 또한, 선택 화자 재생에서는, 인덱스에 따라, 이용자가 선택한 화자의 음성 데이터만이 재생되고, 이때, 재생 중인 발언자의 식별 정보가 LCD 모니터(30)에 표시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를 들어, 다른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 기기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통신 단말과 전자 회의 서버를 접속하여 반이중 통신에 의해 전자 회의를 행하는 전자 회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전자 회의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회의에 있어서는, 음성 통화만의 커뮤니케이션뿐만 아니라, 발언자에 대한 반응을 앙케이트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사하거나, 관련 정보의 데이터 전송을 한다. 이 전자 회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에서는, 수신 또는 입력된 문자, 화상, 음성, 소리 및 영상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전자 기기의 다른 예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디지털 음성 기록 재생 장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그 데이터 내용을 구별하기 위해 인덱스 마크를 기록하면서 기록 매체에 음성 기록하는 제어를 행함과 함께, 당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랜덤하게 재생시키기 위해 제어를 행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49424호 [H04Q 7/38, H04M 3/56, H04L 12/18, G06F 13/00]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59595호 [G11C 27/00, G10L 9/18]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통신 단말에서는, 반이중 통신에 있어서의 음성을 기억할 수 있지만, 복수의 화자의 발언(음성)이 시계열에 따라 녹음(기억)되기 때문에, 즉 복수의 화자의 음성이 혼재하기 때문에, 녹음의 결과로부터 발언자를 특정하기가 곤란하다. 발언자가 많을수록, 이 문제는 현저하다.
그래서, 특허문헌 2의 디지털 음성 기록 재생 장치와 같이, 인덱스 마크를 기록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인덱스 마크를 기록하기 위한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또한, 그러한 조작을 잊어버린 경우에는,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발언자의 특정이 곤란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신규의,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된 일련의 컨텐츠가 언제 누구로부터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또한, 괄호 내의 참조 부호 및 보충 설명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발명은, 1 또는 복수의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을 행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에 의해 컨텐츠를 상대 기기에 송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송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고, 통신부에 의해 컨텐츠를 상대 기기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수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다.
제1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10)는, 1 또는 복수의 상대 기기(10)와의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12, 28, S7, S11)는,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컨텐츠를 송수신한다. 정보 기억부(12, S1, S9, S13, S25)는, 통신부에 의해 컨텐츠를 상대 기기에 송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송신 시각을 기억부(14, 18)에 기억한다. 또한, 정보 기억부는, 통신부에 의해 컨텐츠를 상대 기기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수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그 송신 시각 또는 수신 시각을 기록하므로, 일련의 컨텐츠에 대해 언제 누구로부터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종속되며, 표시기,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컨텐츠 재생부에 의해 컨텐츠를 재생할 때, 적어도,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하는 식별 정보 표시부를 더 구비한다.
제2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는 표시기(30)를 구비한다. 컨텐츠 재생부(12, 26, 34, S53, S109)는,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식별 정보 표시부(12, S65, S107)는, 적어도, 그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한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재생할 때에,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표시기에 표시하므로, 재생 중인 컨텐츠가 누구로부터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에 종속되며, 컨텐츠 재생부는, 송신 시각 및 수신 시각의 시각순에 따라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제3 발명에서는, 컨텐츠 재생부는, 송신 시각 및 수신 시각의 시각순에 따라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즉, 일련의 컨텐츠가 시계열에 따라 재생된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일련의 컨텐츠가 시계열에 따라 재생되므로, 통신의 흐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제4 발명은, 제2 발명에 종속되며,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식별 정보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컨텐츠 재생부는, 식별 정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함께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제4 발명에서는, 식별 정보 선택부(12, 20)는, 컨텐츠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컨텐츠 송신자에 관한 1 또는 복수의 식별 정보가 선택된다. 컨텐츠 재생부는, 선택된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함께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함께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하므로, 특정한 송신자로부터의 컨텐츠만을 재생할 수 있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에 종속되며,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이다.
제5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휴대전화기이고,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정보는, 그 전화번호이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로서 전화번호를 사용하므로, 그 전화번호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주소록이나 전화번호부에 의해 간접적으로, 누구로부터의 컨텐츠인지를 알 수 있다.
제6 발명은, 제1 발명에 종속되며, 정보 기억부는, 컨텐츠와 함께 기억되는,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송신 시각 또는 수신 시각을 포함하는 인덱스 파일로서 기억부에 기억한다.
제6 발명에서는, 정보 기억부는,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그 송신 시각 또는 수신 시각을 포함하는 인덱스 파일(52)로서 기억부에 기억한다.
제6 발명에 의하면, 인덱스 파일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재생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제7 발명은, 제1 발명에 종속되며, 정보 기억부는, 컨텐츠와 함께 기억되는,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송신 시각 또는 수신 시각을, 당해 컨텐츠의 헤더 정보로서 기억부에 기억한다.
제7 발명에서는, 정보 기억부는,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그 송신 시각 또는 수신 시각을, 당해 컨텐츠의 헤더 정보로서 기억부에 기억한다.
제7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헤더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재생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제8 발명은, 제1 발명에 종속되며, 송신 시각 및 수신 시각은, 컨텐츠의 기록 개시로부터 절대 시간이다.
제8 발명에서는, 송신 시각 및 수신 시각은, 컨텐츠의 기록 개시로부터의 절대 시간이다.
제8 발명에 의하면, 송신 시각 및 수신 시각은, 컨텐츠의 기록 개시로부터의 절대 시간이기 때문에, 컨텐츠의 재생과, 그 송신 시각 또는 수신 시각과의 동기(同期)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제9 발명은, 1 또는 복수의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을 행하는 전자 기기의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로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전자 기기의 컴퓨터에,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 단계, 및 통신 단계에 의해 컨텐츠를 상대 기기에 송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송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고, 통신 단계에 의해 컨텐츠를 상대 기기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수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는 정보 기억 단계를 실행시킨다.
제9 발명에 있어서도, 제1 발명과 마찬가지로, 기록된 일련의 컨텐츠가 언제 누구로부터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제10 발명은, 1 또는 복수의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을 행하는 전자 기기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컨텐츠를 송수신하고, 그리고 (b) 단계 (a)에 의해 컨텐츠를 상대 기기에 송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송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고, 단계 (a)에 의해 컨텐츠를 상대 기기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수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다.
제10 발명에 있어서도, 제1 발명과 마찬가지로, 기록된 일련의 컨텐츠가 언제 누구로부터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 시각 또는 수신 시각을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된 일련의 컨텐츠가 언제 누구로부터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화기를 사용한 PTT 통화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되는 음성 파일 및 인덱스 파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LCD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RAM의 메모리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PTT 통화의 기록 처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PTT 통화의 기록 처리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전체 화자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선택 화자 재생 처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선택 화자 재생 처리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10)는, CPU(12)를 포함한다. 이 CPU(12)에는, 버스를 통해, RAM(14), ROM(16), 플래시 메모리(18), 키 입력 장치(20), LCD 드라이버(22), A/D 변환기(24), D/A 변환기(26), 무선 통신 회로(28) 및 시계 회로(38)가 접속된다. 또한, LCD 드라이버(22)에는, LCD 모니터(30)가 접속된다. A/D 변환기(24)에는 마이크(32)가 접속되고, D/A 변환기(26)에는 앰프(도시 생략)를 통해 스피커(34)가 접속된다. 그리고, 무선 통신 회로(28)에는, 안테나(36)가 접속된다.
CPU(12)는, 휴대전화기(10)의 전체 제어를 담당한다. RAM(14)은, CPU(12)의 작업 영역 내지 버퍼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ROM(16)은, 예를 들어 EEPROM과 같은 전기적으로 고쳐 쓰기 가능한 메모리로서, CPU(12)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이들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플래시 메모리(18)는, 휴대전화기(10)의 소유자의 프로필, 주소록 및 스케줄북 등의 데이터 외에, 문자, 화상, 음성, 소리 및 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 등을 기록한다.
키 입력 장치(20)는, 「0」∼「9」키, 「*」키 및 「#」키를 포함하는 다이얼키(20a)(도 2 참조) 등의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고, 이용자가 조작한 키의 정보(키 데이터)가 CPU(12)에 입력된다. LCD 드라이버(22)는, CPU(12)의 지시 하에, 당해 LCD 드라이버(22)에 접속된 LCD 모니터(30)의 표시를 제어한다.
A/D 변환기(24)는, 당해 A/D 변환기(24)에 접속된 마이크(3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내지 소리에 대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D/A 변환기(26)는, 플래시 메모리(18)로부터 독출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복호)하여, 앰프를 통해 스피커(34)에 부여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내지 소리가 스피커(34)로부터 출력된다.
무선 통신 회로(28)는,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서의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키 입력 장치(20)를 사용하여 발호를 지시하면, 무선 통신 회로(28)는, CPU(12)의 지시 하에, 발호 조작을 실행하고, 안테나(36)를 통해 발호 신호를 출력한다. 발호 신호는, 기지국 및 통신망(도 3 참조)을 거쳐 상대의 전화기에 송신된다. 그리고, 상대의 전화기에서 착호 조작이 행해지면, 접속 상태(통신 가능 상태)가 확립되고, CPU(12)는 통화 처리(이하, 설명의 편의상, 「통상적인 통화 처리」라고 하기로 한다)를 실행한다.
통상적인 통화 처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대의 전화기로부터 보내져 온 변조 음성 신호(고주파 신호)가, 안테나(36)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변조 음성 신호에는, 무선 통신 회로(28)에 의해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가 실시된다. 이들 처리에 의해 얻어진 수화 음성 신호는, D/A 변환기(26)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34)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32)를 통해 받아들인 송화 음성 신호는, A/D 변환기(24)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된 후, CPU(12)에 부여된다.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된 송화 신호에는, CPU(12)의 지시 하에, 무선 통신 회로(28)에 의해 부호화 처리 및 변조 처리가 실시되어, 안테나(36)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변조 음성 신호는, 기지국 및 통신망을 통해 상대의 전화기에 송신된다.
또한, 상대의 전화기로부터의 발호 신호가 안테나(36)에 의해 수신되면, 무선 통신 회로(28)는, 착신(착호)을 CPU(12)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CPU(12)는, LCD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착신 통지에 기술된 발신원 정보(전화번호 또는 발신자명 혹은 그 양방)를 LCD 모니터(30)에 표시한다. 또한, 이와 동시 또는 대략 동시에, CPU(12)는, 착신 통지용의 스피커(도시 생략)로부터 착신음(또는, 착신 멜로디, 착신 음성)을 출력한다. 이용자가, 키 입력 장치(20)를 사용하여 착호를 지시하면, 무선 통신 회로(28)는, CPU(12)의 지시 하에, 착호 조작을 실행하여, 접속 상태(통신 가능 상태)가 확립되고, CPU(12)는 상기 서술한 통상적인 통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CPU(12)는, RTC와 같은 시계 회로(38)로부터 적어도 현재 시각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CPU(12)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LCD 드라이버(22)를 제어하여, LCD 모니터(30)에 현재 시각을 표시(시계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기(10)의 외관도이다. 이 도 2를 참조하여, 휴대전화기(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박스체)(40)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40)에는, 상기 서술한 LCD 모니터(30)가 그 표시면을 노출시키도록 설치된다. 도 2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CD 모니터(30)의 표시면은, 케이스(40)의 상측의 대략 절반을 차지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LCD 모니터(30)의 하방에는, 키 입력 장치(20)가 각 키의 누름부(조작부)를 케이스(40)로부터 노출시키도록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키 입력 장치(20)는, 다이얼키(20a), 발화키(20b), 통화 종료키(20c), 클리어/메모키(20d), 센터키(20e), 상방향키(20f), 좌방향키(20g), 하방향키(20h) 및 우방향키(20i)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각 키(20a-20i)의 배치나 디자인은, 도 2에 나타내는 내용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키의 수는 휴대전화기(20)의 기능에 따라 적절히 증감시켜도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40)에는, 그 상단부(上端部)에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서술한 안테나(36)가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40)에는, 그 상하단부이며, LCD 모니터(30)의 표시면 및 키 입력 장치(20)의 누름부가 설치되는 측의 면에, 구멍(42a) 및 구멍(42b)이 설치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구멍(42a)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케이스(40)의 내부에 상기 서술한 스피커(34)가 설치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구멍(42b)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케이스(40)의 내부에 상기 서술한 마이크(32)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스피커(34)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소리)을 들을 수 있고, 마이크(32)에 자신의 발언(발화)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전화기(10)를 사용한 PTT(Push-To-Talk) 통신 시스템(이하, 간단히 「시스템」이라고 한다)(100)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PTT 서버(102)를 포함하고, 이 PTT 서버(102)는, PTT 통화를 요구해 온 휴대전화기(10)와 그 PTT 통화의 상대가 되는 휴대전화기(10)를 관리하는 기능이나 복수의 휴대전화기(10) 사이의 PTT 통화를 중개하는 기능을 가진다. PTT 서버(102)는 휴대전화망(네트워크)(104)을 통해 복수의 무선 기지국(106)에 접속된다. 또한, 시스템(100)은, 복수의 휴대전화기(10)를 포함하고, 각 휴대전화기(10)는, 휴대전화망(104) 및 무선 기지국(106)을 통해 다른 휴대전화기(10)와의 사이에서 통신(PTT 통화의 처리)을 행한다.
어느 휴대전화기(10)로부터 PTT 서버(102)에 PTT 통화의 요구가 있으면, PTT 서버(102)는, 먼저, PTT 통화를 위한 중개 처리를 행한다. 단, PTT 통화의 요구는, PTT 통화일 것, 희망하는 PTT 통화의 상대 즉 다른 휴대전화기(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식별 정보는, 휴대전화기(10)의 전화번호이다. 단, 전화번호 대신에, 전화번호에 상당하는 정보[전화번호 이외의 휴대전화기(10)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여도 된다.
PTT 서버(102)는, PTT 통화의 요구를 받으면, PTT 통화를 위한 호출(PTT 콜)을 다른(상대의) 휴대전화기(10)에 대해 행한다. 이에 응답하여, 다른 휴대전화기(10)로부터 참가의 통지가 PTT 서버(102)에 있으면, PTT 통화의 요구가 있었던 휴대전화기(10)와 참가의 통지가 있었던 휴대전화기(10)를 이번 PTT 통화를 행하는 그룹으로서 설정한다. 즉, PTT 서버(102)는, PTT 통화를 행하는 복수의 휴대전화기(10)를 그룹화하여, 그룹 데이터베이스(그룹 DB)(102a)에 등록한다. 그리고, PTT 서버(102)는, PTT 통화의 요구가 있었던 휴대전화기(10) 및 참가의 통지가 있었던 휴대전화기(10)의 각각과 접속 상태를 확립한다. 이 이후에는, PTT 서버(102)는, 그룹화된 휴대전화기(10)만을 대상으로 하여 PTT 통화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PTT 통화가 종료되면, 그룹 DB(102a)에 등록한 그룹은 소거된다.
예를 들어, PTT 통화를 행하는 그룹 중 어느 휴대전화기(10)에 있어서, PTT 버튼[이 실시예에서는, 발화키(20b)]을 누르는 등을 함으로써 발언 요구가 발생되면, 이것을 받아, PTT 서버(102)는, 그 밖에 발언 중인 휴대전화기(10)가 없으면, 당해 어느 휴대전화기(10)에 발언권을 부여한다. 발언권을 얻으면, 어느 휴대전화기(10)의 이용자(발언자)의 음성 데이터는, 당해 휴대전화기(10)의 CPU(12)에 의해 패킷 데이터화되고, 패킷 데이터화된 음성 데이터(음성 패킷)는 무선 통신 회로(28) 및 안테나(36)를 통해 출력된다. 휴대전화기(10)로부터 출력된 음성 패킷은, 무선 기지국(106) 및 휴대전화망(104)을 통해 PTT 서버(102)에 송신된다. 단, 음성 패킷에는, 발신자[발언자의 휴대전화기(10)]의 식별 정보 등이 헤더로서 부가된다. PTT 서버(102)는, 음성 패킷을 수신하면, 그룹 DB(102a)를 참조하여, 휴대전화망(104) 및 무선 기지국(106)을 통해, 그룹으로서 등록되어 있는 다른 휴대전화기(10) 전부에 음성 패킷을 송신한다. 각 휴대전화기(10)에서는, PTT 서버(102)로부터의 음성 패킷을 안테나(36) 및 무선 통신 회로(28)를 통해 수신하면, CPU(12)에 의해, 패킷화된 데이터가 본래의 음성 데이터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는 D/A 변환기(26)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34)로부터 출력된다.
단, PTT 서버(102)는, 휴대전화기(10)로부터 발언 요구가 있었을 때에, 발언 중인 다른 휴대전화기(10)가 있는 경우에는, 발언 요구가 있었던 휴대전화기(10)에 대해 거부의 응답을 한다. 또한, PTT 서버(102)는, 복수의 휴대전화기(10)로부터의 발언 요구가 거듭된 경우에는, 소정의 룰에 따라 각 휴대전화기(10)에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발언권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룰로는, 발언 횟수가 적은 순으로 우선 순위를 높게 하거나, 발언 요구에 대해 거부된 횟수가 많은 순으로 우선 순위를 높게 하는 것이 해당한다.
또한, 휴대전화기(10)에서는, 통화 음성 메모의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PTT 통화에서의 음성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T 통화 중에, 이용자가 키 입력 장치(20)의 클리어/메모키(20d)를 누르면, PTT 통화의 기록 처리가 개시된다. 따라서, 발언자의 음성이 녹음된다.
통상, PTT 통화의 음성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발언자의 발언(발화)이 시계열에 따라 기록된다. 따라서, 기록한 내용을 재생하면, 시계열에 따라 복수의 발언자의 발언이 순차 재생된다.
그러나, 복수의 발언자의 발언(음성)이 혼재하기 때문에, 발언자를 특정하기가 곤란하다. 발언자(PTT 통화의 참가자)가 많아질수록, 이 문제는 현저하다. 또한, 특정한 발언자의 발언만을 듣고자 하는 경우라도, 발언을 전부 들을 필요가 있어, 불필요한 시간을 요할 뿐만 아니라, 번거롭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PTT 통화에서의 발언을 기록(녹음)하는 경우에는, 그 발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와 함께, 발언자의 식별 정보, 발언의 개시 시각 및 발언의 종료 시각을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A)에 나타내는 음성 파일(50)과 함께, 도 4(B)에 나타내는 인덱스 파일(52)이 플래시 메모리(18)에 기억된다. 음성 파일(50)은, PTT 통화의 발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시계열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 파일이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는 AAC(Advanced Audio Coding) 형식으로 기록된다. 휴대전화기(10)에 입력되는 음성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마이크(3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A/D 변환기(24)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디지털 음성 신호가 CPU(12)에 의해 AAC 형식으로 변환되어,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된다.
한편, PTT 서버(102)로부터 송신된 음성 패킷은, 안테나(36) 및 무선 통신 회로(28)를 통해 수신되어, CPU(12)에 부여된다. 수신된 음성 패킷은, CPU(12)에 의해, 본래의 음성 데이터로 되돌아간 후, AAC 형식으로 변환되어, 플래시 메모리(18)에 기억된다.
또한, PTT 통화 중이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의 기록 처리와 동시에, 상기 서술한 PTT 통화의 처리도 실행된다.
인덱스 파일(52)은,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발언의 송신 시각 또는 수신 시각이 되는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 및 발언자에 대한 식별 정보 또는 발언의 종료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의 데이터 파일이다.
발언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으로는, PTT 통화의 개시로부터의 절대 시간이 기록된다. 단, 휴대전화기(10)(이하, 「자기(自機)」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이용자의 발언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발언의 개시 시각은, PTT 버튼[발화키(20b)]이 눌렸을 때의 절대 시간이고, 발언의 종료 시각은, PTT 버튼이 릴리스되었을 때의 절대 시간이다. 한편, 다른 휴대전화기(10)(이하, 「타기(他機)」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이용자의 발언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발언의 개시 시각은, 음성 패킷의 수신을 개시하였을 때의 절대 시간이고, 발언의 종료 시각은, 음성 패킷을 본래로 되돌린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의 출력을 모두 종료하였을 때의 절대 시간이다.
또한, 식별 정보로는, 발언자가 소유한 휴대전화기(10)의 전화번호가 기록된다. 단, 도 4(B)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식별 정보(전화번호)를 4문자의 알파벳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 자기의 식별 정보는 ROM(16)에 기재되고, 타기의 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PTT 서버(102)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패킷의 헤더에 기재된다. 종료 정보로는, 발언이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내용(이 실시예에서는,「END」)이 기록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덱스 파일(52)의 1행 즉 인덱스 번호 (1)을 참조하면, 발언의 개시 시각이 00분 05초(00 : 05)이고, 발언자는 전화번호 “BBBB”로 나타내는 휴대전화기(10)의 이용자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덱스 파일(52)의 2행 즉 인덱스 번호 (2)를 참조하면, 전화번호 “BBBB”로 나타내는 휴대전화기(10) 이용자의 발언 종료 시각이 00분 25초(00 : 25)인 것을 알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다른 번호 (3), (4), …, (N)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음성 파일(50)의 선두부터 시계열에 따라 음성 데이터가 기억되고, 예를 들어, 도 4(A)의 (1)로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여, 도 4(B)의 인덱스 번호 (1), (2)로 나타내는 인덱스가 기재되고, 도 4(A)의 (2)로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여, 도 4(B)의 인덱스 번호 (3), (4)로 나타내는 인덱스가 기재된다.
이와 같이, 음성 파일(50)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는 인덱스 파일(52)을 기록(작성)하기 때문에, 기록한 발언(음성) 전부를 재생할 뿐만 아니라, 선택한 발언자의 음성만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재생시에, 재생 중인 발언의 발언자의 식별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발언자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메뉴 선택 화면에서, 통화 음성 메모의 재생이 선택되면, 도 5(A)에 나타내는 재생 모드 선택 화면(60)이 LCD 모니터(30)에 표시된다. 이 재생 모드 선택 화면(60)에는, 2개의 재생 메뉴(전체 화자 재생, 선택 화자 재생)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단, 도 5(A)(도 5(B)도 동일)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칠을 한 사각 프레임으로 커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는, 상방향키(20f) 또는 하방향키(20h)를 조작하여,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메뉴에 커서를 맞춘다. 그리고, 이용자는, 센터키(20e)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메뉴를 선택(결정)한다. 여기서, 「전체 화자 재생」이 선택되면,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파일(50)의 음성 데이터가 그 선두부터 재생된다.
또한, 재생 모드 선택 화면(60)에서 「선택 화자 재생」이 선택되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자 선택 화면(62)이 LCD 모니터(30)에 표시된다. 여기서는, 1 또는 복수의 화자(발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예를 들어, 화자 선택 화면(62)에는, 자기의 이용자, PTT 통화의 상대로서 등록된 타기의 이용자의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단, 도 5(B)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10)에 있어서, 명칭(이름, 애칭 등)이 프로필에 등록되어 있는 자기의 이용자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명칭이 주소록이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타기의 이용자에 대해서는, 그 명칭이 표시된다.
또한, 이번 PTT 통화의 그룹에 속해 있지 않은 이용자에 대해서는, 화자 선택 화면(62)에 표시하지 않도록 해도 되고, 또는, 그레이 아웃하여, 선택 불능으로 해도 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RAM(14)의 메모리 맵(70)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AM(14)은 프로그램 기억 영역(72) 및 데이터 기억 영역(74)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기억 영역(72)은,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이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통신 프로그램(72a), 기록 프로그램(72b), 인덱스 작성 프로그램(72c) 및 재생 프로그램(72d) 등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 프로그램(72a)은,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통화 처리 및 PTT 통화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기록 프로그램(72b)은, PTT 통화에 있어서의 음성의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음성 파일(50)을 플래시 메모리(18)에 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음성 데이터와 함께 시간 정보가 기억된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PTT 통화의 녹음 개시로부터의 절대 시간의 정보이다. 절대 시간은, 시계 회로(38)로부터 얻어지는 현재 시각으로부터 구해진다. 예를 들어, 기록 개시시의 현재 시각(기록 개시 시각)을 기록해 두고, 음성 데이터의 기록시의 현재 시각과의 차분으로부터 절대 시간을 구할 수 있다. 단, 음성 데이터와 함께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은 일례이며, 음성 데이터의 기록 포맷은, 사용하는 재생 디코더[재생 프로그램(72d)]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현재 시각을 휴대전화기(10)에 내장되어 있는 시계 회로(38)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지만, PTT 통화 중에는, 휴대전화기(10)는 휴대전화망(104)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망(104)(통신망)으로부터 현재 시각을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인덱스 작성 프로그램(72c)은, 기록 프로그램(72b)에 따라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인덱스 파일(52)을 플래시 메모리(18)에 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재생 프로그램(72d)은, 음성 파일의 음성 데이터의 전부 또는 선택된 일부를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음성 파일의 선두 또는 지정한 개시 시각으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재생됨과 함께, 그 재생 시간(절대 시간)이 출력된다.
또한, 재생 프로그램(72d)이, 음성 데이터의 데이터량으로부터 절대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의 기록시에는, 시간 정보 대신에,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음성 파일(50)의 어드레스(개시 어드레스 또는 종료 어드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기억해 두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재생시에, 재생 개시 시각(절대 시간)이 지정되면, 데이터량으로부터 재생 시간이 산출되고, 지정된 절대 시간으로부터 음성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됨과 함께, 시간 정보(절대 시간)가 출력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다른 기능에 대한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전 기능, 시계/캘린더 기능, 전자 계산기 기능, 보이스 레코더로서의 기능 등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해당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각종 화면(60, 62)을 생성하거나, 생성한 화면을 LCD 모니터(30)에 표시하는 프로그램도 기억된다. 또한, 착신음 등의 휴대전화기(30)로서 필요한 소리(음악)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기억된다.
데이터 기억 영역(74)에는, 음성 데이터 버퍼(74a)가 설치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 영역(74)에는, 선택 화자 데이터(74b)가 기억된다.
음성 데이터 버퍼(74a)는, 발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플래시 메모리(18)에 음성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소거된다. 단, 발언은, 자기 또는 타기의 이용자의 음성이다. 선택 화자 데이터(74b)는, 선택 화자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에, 선택된 발언자의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데이터 기억 영역(74)에는, 상기 서술한 화면(60, 62)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나 소리 데이터 등도 기억되어 있고, 또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카운터(타이머)나 플래그 등도 설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나타낸 CPU(12)의 PTT 통화의 기록 처리의 플로우도이다. PTT 통화 중에, 클리어/메모키(20d)가 눌리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2)는, PTT 통화의 기록 처리를 개시하고, 단계 S1에서, 녹음을 개시한다. 즉, PTT 통화에 있어서의 발언(발화 또는 수화)에 대한 음성 데이터 및 절대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의 기록을 개시한다. 다음의 단계 S3에서는, 변수 i를 초기화(여기서는, i=1)한다. 이 변수 i는, 인덱스의 번호(행수)를 식별하기 위한 변수이다. 이하, 동일하게, 변수 i는, 인덱스의 번호(행수)를 식별하기 위한 변수이다.
다음의 단계 S5에서는, 인덱스의 기록(작성)을 개시한다. 여기서는, 인덱스의 최초의 행(i=1)의 기록이 개시된다. 그리고, 단계 S7에서는, 수화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2)는, 상대(타기)의 휴대전화기(10)로부터의 음성 패킷의 수신을 개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에서 “YES”이면, 즉 수화이면, 단계 S9에서, 그 상대의 식별 정보 및 그 상대의 발언의 개시 시각을, 인덱스의 i행에 기록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단계 S21로 진행된다. 단, 상대의 식별 정보는, 음성 패킷의 헤더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개시 시각은, 시계 회로(38)로부터 취득한 현재 시각의 시각 데이터를, 녹음 개시로부터의 절대 시간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록된다. 이하, 동일하다. 예를 들어, CPU(12)는, 기록 개시 시각을 기억해 두고, 기록 개시 시각과 수신 개시시의 현재 시각과의 차이를 절대 시간으로서 기억한다.
또한, 단계 S7에서 “NO”이면, 즉 수화가 아니면, 단계 S11에서, 발화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2)는, 자기에서 발화키(20b)가 온되었는지(발언이 송신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1에서 “YES”이면, 즉 발화이면, 단계 S13에서, 자기의 식별 정보 및 자기의 사용자의 발언의 개시 시각을, 인덱스의 i행에 기록하고, 단계 S21로 진행된다. 단, 자기의 식별 정보는, ROM(16)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CPU(12)는, 기록 개시 시각과 송신 개시시의 현재 시각과의 차이를 절대 시간으로서 기억한다.
그러나, 단계 S11에서 “NO”이면, 즉 발화가 아니면, 단계 S15에서, PTT 통화의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CPU(12)는, 자기의 통화 종료키(20c)가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5에서 “NO”이면, 즉 PTT 통화의 종료가 아니면, 그대로 단계 S7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5에서 “YES”이면, 즉 PTT 통화의 종료이면, 단계 S17에서, 녹음을 종료하고, 단계 S19에서, 인덱스의 기록을 종료하여, PTT 통화의 기록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21에서는, 변수 i를 1 가산한다(i=i+1). 즉, 다음 행의 인덱스의 기록이 개시된다. 그리고, 단계 S23에서, 발언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CPU(12)는, 자기의 발화키(20b)가 릴리스되거나, 수신한 음성 패킷으로부터 되돌린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출력을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3에서 “NO”이면, 즉 발언이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그대로 같은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23에서 “YES”이면, 즉 발언이 종료되면, 단계 S25에서, 종료 시각 및 종료 정보 “END”를, 인덱스에 기록한다. 그리고, 단계 S27에서, 변수 i에 1 가산하여, 도 7에 나타낸 단계 S7로 되돌아간다. 단, 단계 S23에서는, CPU(12)는, 시계 회로(38)로부터 현재 시각 데이터를 취득하고, 녹음 개시로부터의 절대 시간을 구하여, 구한 절대 시간을 종료 시각으로서 인덱스의 i행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기록한 PTT 통화를 재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체 화자 재생과 선택 화자 재생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 재생 처리가 다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도 9가, 전체 화자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고, 도 10 및 도 11이, 선택 화자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2)는, 전체 화자 선택 처리를 개시하면, 단계 S51에서, 인덱스의 판독을 행한다. 여기서는, CPU(12)는, 플래시 메모리(18)에 기억된 인덱스 파일(52)을 RAM(14)의 빈 영역으로 로드한다. 다음의 단계 S53에서는, 재생을 개시한다. 여기서는, CPU(12)는, 플래시 메모리(18)에 기억된 음성 파일(50)의 선두부터 음성 데이터의 독출을 개시하고, 독출한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기(26)에 부여한다. D/A 변환기(26)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그 후, 스피커(34)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CPU(12)는, 음성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절대 시간(재생 시간)을, 음성 데이터에 부여된 시간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이하, 음성 데이터의 재생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재생시에 취득되는 절대 시간(재생 시간)을 LCD 모니터(30)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의 단계 S55에서는, 변수 i를 초기화(i=1)하고, 단계 S57에서, 판독한 인덱스의 i행을 참조한다. 첫회에서는, 인덱스의 1행(선두)이 참조된다. 계속되는 단계 S59에서는, 재생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CPU(12)는, 이용자로부터의 재생 종료의 지시가 있는지, 모든 음성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였는지(변수 i가 나타내는 행수가 인덱스의 전체 행수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9에서 “YES”이면, 즉 재생 종료이면, 단계 S61에서, 재생 종료 처리를 실행하여, 즉 플래시 메모리(18)의 음성 파일(5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의 독출을 종료하여, 전체 화자 재생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59에서 “NO”이면, 즉 재생 종료가 아니면, 단계 S63에서, 인덱스의 i행에 식별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3에서 “NO”이면, 즉 인덱스의 i행에 “END”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단계 S75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63에서 “YES”이면, 즉 인덱스의 i행에 식별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65에서, 발언자의 식별 정보(전화번호)를 LCD 모니터(30)에 표시한다. 단, 휴대전화기(10)의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주소록에, 발언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명칭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명칭이 LCD 모니터(30)에 표시된다. 즉,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명칭이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식별 정보(전화번호)가 LCD 모니터(30)에 표시되는 것이다.
다음의 단계 S67에서는, 변수 i를 1 가산하고, 단계 S69에서, 인덱스의 i행을 참조한다. 그리고, 단계 S71에서, 종료 시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시간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재생 시간(절대 시간)이 인덱스의 i행에 기재된 종료 시각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인덱스의 i-1행에 기재된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발언자의 발언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단계 S71에서 “NO”이면, 즉 종료 시각이 아니면, 그대로 같은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71에서 “YES”이면, 즉 종료 시각이면, 단계 S73에서, 발언자의 식별 정보를 LCD 모니터(30)로부터 소거하고, 단계 S75에서, 변수 i를 1 가산하여, 단계 S57로 되돌아간다.
또한, 선택 화자 재생이 선택되어, 화자(발언자)가 선택되면, CPU(1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화자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 이하, 선택 화자 재생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데, 전체 화자 재생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CPU(12)는, 단계 S91에서, 인덱스를 판독한다. 다음의 단계 S93에서, 변수 i를 초기화하고, 단계 S95에서, 인덱스의 i행을 참조한다. 다음의 단계 S97에서는, 재생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97에서 “YES”이면, 단계 S99에서, 재생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 선택 화자 재생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97에서 “NO”이면, 즉 재생 종료가 아니면, 단계 S101에서, 인덱스의 i행에 식별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1에서 “NO”이면, 그대로 단계 S105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101에서 “YES”이면, 단계 S103에서, 선택한 발언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CPU(12)는, 인덱스의 i행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선택 화자 데이터(74b)가 나타내는 1 또는 복수의 식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 S103에서 “NO”이면, 즉 선택한 발언자가 아니면, 단계 S105에서, 변수 i를 1 가산하여, 단계 S95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03에서 “YES”이면, 즉 선택한 발언자이면, 단계 S107에서, 발언자의 식별 정보를 LCD 모니터(30)에 표시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단계 S109에서, 인덱스의 i행에 기재된 개시 시각부터 재생을 개시한다. 즉, CPU(12)는, 음성 파일(50)을 서치하고, 음성 데이터에 부가된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절대 시간이 인덱스의 i행에 기재된 개시 시각과 일치하는 지점(재생 위치)으로부터 음성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다.
다음의 단계 S111에서는, 변수 i를 1 가산하고, 단계 S113에서, 인덱스의 i행을 참조한다. 계속해서, 단계 S115에서, 종료 시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15에서 “NO”이면, 같은 단계 S115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15에서 “YES”이면, 단계 S117에서, 재생을 정지한다. 즉, CPU(12)는, 플래시 메모리(18)의 음성 파일(5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의 독출을 정지한다. 그리고, 단계 S119에서, 발언자의 식별 정보를 LCD 모니터(30)로부터 소거하고, 단계 S121에서, 변수 i를 1 가산하여, 도 10에 나타낸 단계 S95로 되돌아간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PTT 통화의 음성을 기록할 뿐만 아니라, 발언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발언의 개시 시각 또는 종료 시각을 기록하므로, PTT 통화에 있어서의 일련의 음성에 대해, 언제 누가 발언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원하는 발언자의 발언만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재생시에 발언자의 식별 정보를 LCD 모니터에 표시하므로, 재생 중인 발언에 대한 발언자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PTT 통화의 음성을 기록하도록 하였으나, PTT 통화에서는, 음성 이외에 영상(화상), 소리(악곡), 문자와 같은 다른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성으로 바꾸거나, 또는, 음성과 함께 다른 컨텐츠를 기록하고, 또한, 재생(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전화기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나타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 트랜스시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PTT 통화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AAC 형식으로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MP3(MPEG Audio Layer-3)나 WMA(Windows(등록상표) Media Audio) 등의 다른 형식으로 기록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MP3의 형식으로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헤더의 용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인덱스 파일을 그 헤더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PTT 버튼으로서 발화키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전용의 버튼 내지 키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당해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발언(음성)의 발언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였으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발화의 길이(종료 시각-개시 시각) 또는 발화의 절대 시간 혹은 그 양방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음성 파일 및 그것에 대응하는 인덱스 파일은, PTT 통화마다 생성된다. 따라서, 재생하는 경우에는, 재생하는 음성 파일을 선택함과 함께, 재생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식별 정보로서 휴대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재생시에는,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주소록이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명칭을 LCD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식별 정보로서 전화번호에 상당하는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전화번호에 상당하는 정보에 대해서도, 전화번호나 이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주소록 등에 등록된 명칭에 대응시켜 두면, 주소록 등에 따라 명칭을 LCD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그것은 단순한 도해 및 일례로서 사용한 것으로, 한정이라고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은 명확하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된 클레임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0 …휴대전화기(전자 기기)
12 …CPU
14 …RAM
16 …ROM
18 …플래시 메모리
20 …키 입력 장치
22 …LCD 드라이버
28 …무선 통신 회로
32 …마이크
34 …스피커
38 …시계회로

Claims (10)

1 또는 복수의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을 행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상대 기기에 송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송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상대 기기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수신 시각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때, 적어도,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는 식별 정보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송신 시각 및 상기 수신 시각의 시각순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전자 기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식별 정보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식별 정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전자 기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인, 전자 기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부는, 상기 컨텐츠와 함께 기억되는, 상기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송신 시각 또는 상기 수신 시각을 포함하는 인덱스 파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전자 기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부는, 상기 컨텐츠와 함께 기억되는, 상기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송신 시각 또는 상기 수신 시각을, 당해 컨텐츠의 헤더 정보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전자 기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시각 및 상기 수신 시각은, 상기 컨텐츠의 기록 개시로부터의 절대 시간인, 전자 기기.
1 또는 복수의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을 행하는 전자 기기의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기기의 컴퓨터에,
상기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통신 단계, 및
상기 통신 단계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상대 기기에 송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송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통신 단계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상대 기기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수신 시각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정보 기억 단계를 실행시키는, 기억 매체.
1 또는 복수의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반이중 통신을 행하는 전자 기기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상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컨텐츠를 송수신하고, 그리고
(b) 상기 단계 (a)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상대 기기에 송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송신 시각을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단계 (a)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상대 기기로부터 수신할 때, 당해 컨텐츠와 당해 컨텐츠의 송신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수신 시각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117022114A 2009-03-26 2010-03-05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1243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5423A JP2010232751A (ja) 2009-03-26 2009-03-26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JP-P-2009-075423 2009-03-26
PCT/JP2010/053623 WO2010110031A1 (ja) 2009-03-26 2010-03-05 電子機器、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38A true KR20110120338A (ko) 2011-11-03
KR101243893B1 KR101243893B1 (ko) 2013-03-20

Family

ID=4278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114A KR101243893B1 (ko) 2009-03-26 2010-03-05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14295A1 (ko)
JP (1) JP2010232751A (ko)
KR (1) KR101243893B1 (ko)
WO (1) WO2010110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2926B2 (ja) * 2011-02-28 2014-05-07 株式会社リコー 伝送管理装置
KR102364810B1 (ko) * 2015-10-12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50962B1 (ko) * 2015-10-30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ptt 채널을 동시에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666462B (zh) * 2016-07-27 202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可重复编程sim卡的设备间监听方法和装置
US10278034B1 (en) * 2018-03-20 2019-04-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udio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push to talk (PTT) audio attributes
JP7040393B2 (ja) * 2018-10-05 2022-03-2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端末装置、プログラム
CN111314554A (zh) * 2020-02-14 2020-06-19 西安极蜂天下信息科技有限公司 语音发送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959B2 (ja) * 1993-01-07 2002-03-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会議システム
JP2002278576A (ja) * 2001-03-16 2002-09-27 Jikokuhyo Joho Service Kk 音声情報管理装置
US7398079B2 (en) * 2004-06-30 2008-07-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ush-to-talk (PTT) voice communications for replay
US7295853B2 (en) * 2004-06-30 2007-1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immediate acceptance and queuing of voice data for PTT communications
EP1703712B1 (en) * 2005-03-08 2008-01-23 Alcatel Lucent Method and server for a push-to-talk service
KR20060130504A (ko) * 2005-06-14 2006-12-19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DE102005043003A1 (de) * 2005-09-09 2007-03-22 Infineon Technologies Ag Telekommunikationskonferenz-Server, Telekommunikations-Endgerät,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Telekommunikationskonferenz-Steuernachricht, Verfahren zum Steuern einer Telekommunikationskonferenz, computerlesbare Speichermedien und Computerprogrammelemente
KR101177948B1 (ko) * 2006-01-13 2012-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PoC 시스템에서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단말 장치 및 방법과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PoC 시스템
CN100562041C (zh) * 2006-02-06 2009-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半双工通话中实现语音记录的方法及系统
JP2007221677A (ja) * 2006-02-20 2007-08-30 Oki Electric Ind Co Ltd 通話録音方法及び通信端末
US7991416B2 (en) * 2006-02-27 2011-08-02 Qualcomm Incorporated Prepackaging call messages for each target interation in setting up a push-to-talk call
JP4787048B2 (ja) * 2006-03-31 2011-10-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945277B2 (en) * 2006-07-26 2011-05-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 of media timestamp to indicate delays in push-to-talk over cellular group calls
JP2008059077A (ja) * 2006-08-29 2008-03-13 Yamaha Corp 音声配信システムおよび音声検索装置
JP2008104118A (ja) * 2006-10-20 2008-05-01 Softbank Mobile Corp 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4750668B2 (ja) * 2006-10-20 2011-08-17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EP2103155A4 (en) * 2006-12-22 2010-08-11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CAPTURING DATA FOR VOICE INSTANT MESSAGING
US7747688B2 (en) * 2007-02-07 2010-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roup interaction session st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031A1 (ja) 2010-09-30
US20120014295A1 (en) 2012-01-19
KR101243893B1 (ko) 2013-03-20
JP2010232751A (ja)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893B1 (ko) 전자 기기,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
CN101459717B (zh) 无线终端和在其中实现多声道复用的方法
US201000482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Capture for Push Over Cellular
CN1988705A (zh) 在移动通信终端中提供呼入和呼出信息的设备和方法
US935706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over a voice channel
CN101272558B (zh) 设置有免提功能的移动通信终端及其控制方法
CN101123820B (zh) 移动通信终端以及发出呼叫的方法
CN101365010B (zh) 终端自动应答的方法和终端
CN100479563C (zh) 实现自制铃音业务的系统和方法
KR101367722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
CN108039169A (zh) 组呼的语音信号处理方法、通讯终端以及计算机存储介质
JP4352138B2 (ja) 携帯電話での同報通話システム
JP4093103B2 (ja) 電話装置
JP3997374B2 (ja) 電話機及び記録媒体
US200900060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real time information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10478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알람 방법
KR101091340B1 (ko) 휴대단말기의 언어장애인 통화장치 및 방법
JP2008099121A (ja) 携帯電話機及びプログラム
KR100836955B1 (ko) 양방향 문답식 학습이 가능한 교수학습장치 및 방법
KR20030018950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녹음기로 사용하는 방법
KR20060017043A (ko) Mp3 음악을 이용한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방법
KR100640382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회화 학습방법
JP5076929B2 (ja) メッセージ送信装置、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メッセージ送信プログラム
JP2007288709A (ja) 音声同報通信機能つき携帯電話機
KR20040084554A (ko) 휴대폰의 효과음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