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504A -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504A
KR20060130504A KR1020060053026A KR20060053026A KR20060130504A KR 20060130504 A KR20060130504 A KR 20060130504A KR 1020060053026 A KR1020060053026 A KR 1020060053026A KR 20060053026 A KR20060053026 A KR 20060053026A KR 20060130504 A KR20060130504 A KR 2006013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
speak
terminal
communic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마사 요시다
요스케 하야시
아쓰시 사토
고지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13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PoC 통신에 있어서, 발언권의 공평한 취득을 실현한다.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100)에 있어서, PoC 통신에 필요한 세션 확립 처리후에,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발언권이 개방되어 있는 취지를, PoC 통신을 실시하는 단말 TA, TC에 통지한다. PoC 통신을 시작할 때에 발신측ㆍ착신측의 양 유저에 대해서 동시에, 발언권이 빈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발언권의 공평한 취득을 실현할 수 있다.
PoC 통신, 발언권, 개방경고

Description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 단말 제어방법{PoC SERVER, PoC TERMINAL, FLOOR CONTROL METHOD, AND PoC TERMINAL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PoC 통신 개시시의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PoC 단말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PoC 서버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APP 패킷의 구조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발언권 개방 예고를 실시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6은 발언권 개방 예고를 실시할 때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7은 도 6 중의 발언권 승인 신호의 패킷 구조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발언권 개방 예고를 실시할 때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9는 통신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PoC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등록 처리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1은 초대 처리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2는 PoC 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발언권을 취득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한 도이다.
도 13은 PoC 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발언권을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도이다.
도 14는 PoC 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발언권을 개방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도이다.
도 15는 PoC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되는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16은 PoC통신 개시시의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7은 발언권 개방시의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1, 21 : 통신부 12, 22 : 기억부
13, 23 : 입력부 14, 24 : 표시부
100 : PoC 서버 TA, TB, TC : 단말
본 발명은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PoC 단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망에 있어서 PoC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PoC 단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등의 이동단말장치를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버튼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사람에 의한 그룹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는 PoC(Push-to-Talk over Cellular) 통신의 실현이 예정되어 있다.
PoC 통신은 1대 1 또는 그룹간에서의 신속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PoC 통신에서는 단말장치를 트랜스시버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회화를 시작하기 위한 조작은, 다이얼 버튼을 누르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버튼을 누른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이다.
현재, 모바일·어플리케이션 기술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업계 단체 OMA(Open Mobile Alliance)에 있어서, PoC 챠터(Charter)(비특허문헌 1)에 기초하여 PoC 통신이 표준화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PoC 통신을 실시하려면, 통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의한 등록(Registration) 메세지, 초대(INVITE) 메시지 후에, RTP(Real Time Protocol)에 의한 발언권의 취득이 이루어진다.
통신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PoC 통신을 시작하고, 종료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서, 도 9∼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는, PoC 통신 기능을 가진 3개의 단말 TA, TB 및 TC와, PoC 통신 서비스의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100)가 나타나 있다.
(1) 통신로의 형성
PoC 통신을 실시하려면, 전제로서 통신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통신로를 형성하려면, 각 단말로부터 PoC 서버(100)를 향해서 통신로 확립 요구신호(50A,50B,50C)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이 통신로 확립 요구신호(50A,50B,50C)를 받은 PoC 서버(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말과의 사이에 통신로(51A,51B,51C)를 형성한다. 이들 통신로(51A,51B,51C)는, 예를 들면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이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의 패킷 통신이 가능한 통신로이다. 한편, PoC 서버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Home Location Register Server)(200)에 대해서, 그 단말의 위치 등록 처리 등을 실시한다.
(등록 처리, 초대 처리)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통신로(51A,51B,51C)를 형성한 후, 등록 처리를 실시한다. 본 예에서는, 유저 A의 단말 TA로부터 등록 처리를 실시하고, 유저 A, 유저 B 및 유저 C의 삼자로 이루어지는 PoC 통화 그룹을 지정한다. 등록 처리에 있어서는, 유저 A의 단말 TA, 유저 B의 단말 TB, 유저 C의 단말 TC로부터 각각 등록 메세지(52A,52B,52C)를 송신한다. 이 송신된 등록 메세지에 대한 PoC 서버로부터의 응답 신호(53A,53B,53C)를 각각 수신한 후, 200 0K신호(54A,54B,54C)가 송출되면, 등록 처리가 완료가 된다.
등록 처리 후에, 초대 처리로 이행한다. 초대 처리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 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 A의 단말 TA로부터, 동일한 PoC 통화 그룹 내의 유저 B의 단말 TB 및 유저 C의 단말 TC 앞으로, 초대 메세지(55A)를 송신한다. 이 초대 메세지에는, 수신원 정보(유저 B의 단말 TB, 유저 C의 단말 TC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송신원 정보(유저 A의 단말 TA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호출 식별자(Call-ID 등), 송신 루트 등으로 구성되는 헤더(header) 부분과, 미디어의 상세 정보(음성·영상의 종류별, 대역 등) 등으로 구성되는 바디(body)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PoC 서버(100)를 경유하여 송신된 초대 메세지(55B,55C)를 수신한 경우, 유저 B, 유저 C의 단말 TB, TC에 대해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200 0K신호(56B,56C)가 자동적으로 송출되어, PoC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수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먼저 180 호출신호(ringing)가 자동적으로 송출된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실시하면, 200 0K신호(56B,56C)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PoC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유저 A의 단말 TA 및 유저 B의 단말 TB만으로 PoC 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PoC 통화 그룹 내의 유저 C의 단말 TC에 있어서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실시하면, 200 0K신호가 출력되고, 유저 A, 유저 B 및 유저 C의 삼자에 의한 PoC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동일한 PoC 통화 그룹 내의 멤버이면,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나중에 PoC 통신에 참가할 수 있다.
한편, PoC 통신을 절단하는 경우는, 단말로부터 PoC 서버를 향해서 BYE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그 단말은, 그때까지 참가하고 있던 PoC 통화 그룹으 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상의 처리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사양서 RFC 3261에 규정되어 있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발언권의 취득)
PoC 통신에 있어서는, 발언권을 취득하지 않으면 발언이 불가능하다. 즉,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만 화자(話者)가 되고,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청자(聽者)가 된다.
PoC 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언권을 얻기 위해서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여, 발언권 요청(Floor Request)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 A의 단말 TA로부터 발언권 요청 신호(57A)를 송신한다. 이 발언권 요청 신호(57A)를 수신한 PoC 서버가 발언권을 허가할 경우, PoC 서버는 발언권 승인(Floor Grant) 신호(58A)를 유저 A의 단말 TA에 반송한다. 이 발언권 승인 신호(58A)에는, 발언권이 허가된 단말의 식별 정보, 허가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언권 요청 신호(57A)를 수신한 PoC 서버에 있어서 발언권을 허가하지 않는 경우, PoC 서버는 발언권 거부(deny) 신호(59A)를 반송한다. 이 발언권 거부 신호(59A)에는, 발언권이 허가되지 않았던 단말의 식별 정보, 현재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단말의 식별 정보, 허가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단말에 있어서, 버튼을 누르면서 발화(發話)하면, 그 음성이 패킷 데이터로서 동일한 PoC 통화 그룹 내의 다른 단말에 송신되어, 그 그룹에서의 통화를 할 수 있다.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발언권을 가지고 있게 되지만, 버튼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누르는 것을 멈춰 버리면, 발언권이 소멸한다. 이 경우, 버튼 누르기를 그만두면,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단말로부터 PoC 서버를 향해서 발언권 개방(Floor Release) 신호(60A)가 송신되어, 어느 단말에도 발언권이 없는 상태(발언권 유휴)가 된다.
발언권은, 상기와 같이 버튼의 누름 등의 조작 상태를 해제한 경우 외에, 타이머에 의한 타임 아웃에 의해서 개방된다.
이상 설명한 PoC 통신을 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계층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신로 위에 RTP가 위치하고, 그 위에 SIP가 위치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OMA-CHARTER_PoC-V1_0-20031014-A
[비특허문헌 2] OMA-RD_PoC-V1_0-20041115-C
(PoC통신 개시시의 발언권)
상술한 OMA 사양에 의한 PoC 통신 시스템에서는, 착신측의 단말(상기에서는 단말 TB 또는 TC)이 응답한 시점에서, 접속 요구를 송출한 단말(상기에서는 단말 TA)이 발언권을 취득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는, PoC 통신 개시시의 단말 TA, 단말 TC, PoC 서버(100)의 동작이 도시 되어 있다.
PoC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서, 단말 TA에 있어서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면(S101), 단말 TA와 PoC 서버(100)와의 사이에 SIP 세션 확립 처리를 한다(S102). 또한, PoC 서버(100)와 단말 TC와의 사이에서도 SIP 세션 확립 처리를 한다(S103).
그 후, PoC 서버(100)는, 발언권을 허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발언권 승인 신호를 단말 TA에 송신한다(S104). 이에 따라, 단말 TA의 유저는, 발언이 허가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S105). 한편, PoC 서버(100)는,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유저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발언권 통지(발언권 통지) 신호를 단말 TC에 송신한다(S106). 이에 따라, 단말 TC의 유저는, 단말 TA의 유저가 발언자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S107). 그 후, 단말 TA의 유저가 발언하면, PoC 서버(100)를 통하여 단말 TC에, 미디어 스트리밍(미디어 스트리밍) 신호가 전송되어, 음성이나 영상의 송수신을 한다(S108, S109). 한편, 발언권 승인 신호 및 발언권 통지 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정의 기능을 정의하는 RTCP(RTP Control Protocol)의 패킷(이하, APP 패킷이라고 부른다)에 의해서 송수신된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신호는, RTP의 패킷에 의해서 송수신된다.
이상의 처리에서는, 접속 요구를 송출한 단말이 발언권을 우선적으로 취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발언권의 취득에 있어서 불공평함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발언권을 최초로 취득하는 단말(상기에서는 단말 TA)의 유저가 아무것도 발언하지 않더라도 다른 유저는 발언권이 개방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발언권을 취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언권의 개방)
또한, 상술한 OMA 사양에 의한 PoC 통신 시스템에서는, 어느 단말이 발언권을 취득하고, 일정시간 후에 발언권이 개방되는 경우, 그 취지를 통지하는 순서가 규정되어 있다. 즉,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제로서, 발언권을 취득한 단말 TA에, PoC 서버(100)로부터 발언권 승인 신호를 송신한다(S200). 그 후,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단말 TA에, PoC 서버(100)로부터 발언권 취소(Floor Revoke) 신호를 송신하여 발언권을 개방하는 취지를 통지한다(S201). 그렇게 되면, 단말 TA는, 곧바로 PoC 서버(100)에, 발언권 개방 신호를 송신한다(S202). 이것을 수신한 PoC 서버(100)는 단말 TA에,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발언권 유휴(Floor Idle) 신호를 송신한다(S203).
그러나,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유저는, 발언권 잔여 시간(즉 유효기간 시각까지의 시간)을 모르기 때문에, 발언 중에 발언권이 개방되는 경우도 있어,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발언권의 공평한 취득을 실현할 수 있는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PoC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언권 잔여 시간을 유저가 알 수 있는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PoC 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PoC 서버는,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서, PoC 통신에 필요한 세션 확립 처리 후에, 상기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발언권이 개방되어 있는 취지를, 상기 PoC 통신을 실시하는 단말에 통지하는 발언권 개방 통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oC 통신을 시작할 때에 발신측ㆍ착신측의 양 유저에 대해서 동시에, 발언권이 빈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발언권의 공평한 취득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PoC 서버는,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서, 일정시간의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PoC 단말에, 그 발언권의 개방전에, 개방예고, 그 발언권의 잔여 시간,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동작까지의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개방 예고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PoC 단말에, 발언권의 개방 예고나 잔여 시간을 통지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PoC 서버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예고통지수단은, 상기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동작까지의 시간을 통지하는 경우, 발언권 허가 통지 시에,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과 상기 경고 동작으로부터 발언권 종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얼러트 마진(alert margin)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과 함께 얼러트 마진을 통지함으로써, 경고로부터 발언권 종료까지의 시간을, PoC 단말측의 기종 사양에 의존하지 않고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PoC 단말은,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발언권의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소정의 경고 동작을 실시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예를 들면, 음성, 표시부에의 표시, 진동에 의해서 유저에게 통지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한 발언권 제어방법은,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발언권 제어방법으로서, PoC 통신에 필요한 세션 확립 처리후에, 상기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언권이 개방되어 있는 취지를, 상기 PoC 통신을 실시하는 PoC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oC 통신을 시작할 때에 발신측ㆍ착신측의 양 유저에 대해서 동시에 발언권이 빈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발언권의 공평한 취득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발언권 제어방법은,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발언권 제어방법으로서, 발언권이 주어진 PoC 단말에, 상기 발언권의 개방전에, 개방 예고, 그 발언권의 잔여 시간,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발생까지의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PoC 단말에, 발언권의 개방 예고나 잔여 시간을 통지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한 PoC 단말 제어방법은,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발언권의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소정의 경고 동작을 실시하는 경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예를 들면 음성, 표시부에의 표시, 진동에 의해서 유저에게 통지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서는, 다른 도면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에 의해서 나타내고 있다.
(PoC 단말의 구성)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PoC 단말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PoC 단말은, PoC 서버 등,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11)와, 각종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12)와, 여러 가지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3)와,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와, 각부의 제어를 실시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12)에는, 예를 들면 PoC 통신을 실시하는 멤버의 리스트인 멤버 리스트나, 그룹의 리스트인 그룹 리스트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PoC 통신의 그룹명과 발언권을 현재 취득하고 있는 단말의 식별 정보가 대응되어,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다.
입력부(13)에는, PoC 통신을 실시할 때에 이용하는 조작 버튼도 포함되어 있다.
(PoC 서버의 구성)
도 3은, PoC 서버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PoC 서버는, PoC 단말 등,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21)와, 각종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22)와, 여러 가지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3)와,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4)와, 각부의 제어를 실시하는 CPU(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PoC 통신 개시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PoC 단말 및 PoC 서버를 이용한 PoC 통신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동 도면에는, PoC 통신 개시시의 단말 TA, 단말 TC, PoC 서버(100)의 동작이 나타나 있다.
PoC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서, 단말 TA에 대해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면(S101), 단말 TA와 PoC 서버(100)와의 사이에 SIP 세션 확립 처리를 한다(S102). 또한, PoC 서버(100)와 단말 TC와의 사이에서도 SIP 세션 확립 처리를 한다(S103).
그 후, 도 16의 경우와는 달리, PoC 서버(100)는, 발언권을 개방 상태로 설정하고(S104a), 또한,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발언권 유휴 신호를, 단말 TA 및 단말 TC에 송신한다(S104b,S104c). 이에 따라, 단말 TA의 유저 및 단말 TC의 유저는, 발언이 개방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S105a,S105b). 한편, 발언권 유휴 신호는, APP 패킷에 의해서 송수신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시스템에서는, PoC 세션 확립 완료후에, 발신 유저(단말 TA의 유저), 착신 유저(단말 TC의 유저)에 대해서 발언권이 개방 상태인 것을 통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로부터 PoC 통신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발언권을 공평하게 취득할 수 있다.
(패킷의 구조)
도 4(a)에는 APP 패킷의 구조예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APP 패킷은, RTP의 버전을 나타내는 번호 「V」와 패딩 옥텟(padding octet)의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인 「P」와, APP 패킷 집합의 고유한 이름, 혹은 어플리케이션 의존 데이터를 위해서 정의되는 「Subtype」과, 패킷을 RTCP의 APP 패킷으로서 식별하기 위한 「Packet Type」과,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와, RTP 패킷의 송신원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SSRC」와, 「Reason code」와, 「Additional information」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Subtype」이 「6」인 경우, PoC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이 패킷이 발언권 취소인 것을 나타낸다.
동 도면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Reason code」 에 대해서는, 이하의 의미가 있다. 즉, 「1」의 경우 「Only one User」, 「2」의 경우 「Talk burst too long」, 「3」의 경우 「No access to floor」이다. 이 외에, 본 실시형태에서 추가된 「4」의 경우 「Floor grace period announce」이며, 이 경우에는, 「Additional information」에 발언권 잔여 시간이 설정된다. 또한, 「2」의 경우, 다음번의 발언권을 취득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설정된다.
(발언권 개방 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언권의 개방 예고를 실시할 때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전제로서, 발언권을 취득한 단말 TA에, PoC서버(100)로부터 발언권 승인 신호를 송신한다(S300). 그 후,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단말 TA에, PoC 서버(100)로부터 발언권 취소 신호를 송신한다(S301). 이 발언권 취소 신호는, 도 17의 경우와는 달리, 발언권 잔여 시간을 통지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PoC 서버(100)는 발언권의 개방 직전에 발언권 취소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개방 시각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전에 발언권 취소 신호를 송신한다.
이 발언권 취소 신호를 수신한 단말 TA는, 발언권이 곧 개방되는 것을, 음성, 표시부에의 표시, 진동 등에 의해서 유저에게 경고한다(S302). 발언권 잔여 시간의 수치를 표시부에 표시해도 좋다. 이 경고를 한 다음에도, 발언권 잔여 시간 이내이면, 계속 유저는 발언할 수 있다.
그 후, 발언권 유효기한인 시각이 되면(발언권 잔여 시간이 영), 발언권을 개방하고, PoC 서버(100)는 단말 TA에,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발언권 유휴 신호를 송신한다(S303).
또한, 발언권 종료 전에 경고를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의 동작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해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발언권을 취득한 단말 TA에, PoC 서버(100)로부터 발언권 승인 신호를 송신한다(S350). 다만, 도 5의 경우와는 달리, 이 발언권 승인 신호에는,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시간 T2를 나타내는 정보와 경고 동작으로부터 발언권 종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얼러트 마 진(alert margin) Tam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통지를 받은 단말 TA는, 타이머를 기동하여,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 T2의 시간계측을 시작한다(S351). 한편, 이 타이머는, 단말 TA 내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단말 TA는 타이머로 계측하고 있는 잔여 시간이 얼러트 마진 Tam에 일치한 때, 발언권이 곧 개방되는 것을, 음성, 표시부에의 표시, 진동 등에 의해서 유저에게 경고한다(S352).
또는, 이 통지를 받은 단말 TA는,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 T2로부터 얼러트 마진 Tam을 줄이는 것으로 경고 동작까지의 시간을 구하여, 타이머를 기동하고, 경고 동작까지의 잔여 시간 계측을 개시해도 좋다(S351). 한편, 이 타이머는, 단말 TA 내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 TA는 타이머로 계측하고 있는 잔여 시간이 0이 된 때, 발언권이 곧 개방되는 것을, 음성, 표시부에의 표시, 진동 등에 의해서 유저에게 경고한다(S352).
발언권 잔여 시간의 수치를 표시부에 표시해도 좋다. 이 경고를 행한 후에도, 발언권이 잔여 시간 이내이면, 계속 유저는 발언할 수 있다. 한편,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 T2는 예를 들면 30초, 얼러트 마진 Tam은 예를 들면 5초이다.
그 후, PoC 서버(100)는 발언권의 개방 직전에 발언권 취소 신호를 송신한다(S353). 이에 따라, 발언권이 개방되고, PoC 서버(100)는 단말 TA에,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발언권 유휴 신호를 송신한다(S354).
즉, 본 예에서는,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과 경고 동작으로부터 발언권 종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얼러트 마진을 발언권 허가를 통지할 때에 통지함으로 써,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동작까지의 시간을 통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발언권 허가 통지인 발언권 승인 신호에,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과 얼러트 마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경고로부터 발언권 종료까지의 시간을, PoC 단말측의 기종 사양에 의존하지 않고 균일화하여, PoC 서비스의 균일화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발언권 승인 신호에 포함하지 않고,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과 얼러트 마진을 발언권 종료 경고를 위한 신호에 의해서 송신할 수도 있다. 다만, 그 경우, 신호수가 많아진다.
여기서, 도 6 중의 발언권 승인 신호의 패킷 구조예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 4의 경우와는 달리, 「Subtype」이 「1」이 되어 있어, 이 패킷이 발언권 승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 「T2-timer」에 대해서, 그 식별자가 「101」, 그 정보의 길이가 「2」 옥텟이라고 하는 내용 다음에, 상기 T2의 값을 나타내는 정보 「Stop talking time value」가 삽입된다. 또한, 얼러트 마진 「Alert-margin」에 대해서, 그 식별자가 「XXX」 (구체적인 값은 미확정), 그 정보의 길이가 「2」 옥텟이라고 하는 내용 다음에, 상기 얼러트 마진의 값을 나타내는 정보 「Alert-margin value」가 삽입된다. 한편, 「T2-timer」와 「Alert-Margin」과의 사이에는, 참가자 수를 나타내는 「P-count」에 대해서, 그 식별자가 「100」, 그 정보의 길이가 「2」 옥텟이라고 하는 내용 뒤에, 참가자 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삽입된다. 무엇보다, 이 참가자수에 관한 정보는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발언권 취득시에 송신되는 발언권 승인 신호에, 발언권 잔여 시간 (즉, 유효기간 시각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면, 도 5 중의 발언권 취소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언권 취득의 취지를 통지하는 경우, 발언권을 취득한 단말 TA에, PoC 서버(100)로부터 발언권 승인 신호를 송신한다(S400). 이 발언권 승인 신호에, 발언권 잔여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두고, 단말 TA에 있어서, 타이머를 기동한다(S401). 그리고, 이 타이머의 계측 시간에 기초하여, 발언권 유효기한 시각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이 되었을 때, 발언권이 곧 개방되는 것을, 음성, 표시부에의 표시, 진동 등에 의해서 유저에게 경고한다(S402). 발언권 잔여 시간의 수치를 표시부에 표시해도 좋다. 이 경고를 한 다음에도, 발언권이 잔여 시간 이내이면, 계속 유저는 발언할 수 있다.
그 후, 발언권 유효기한의 시각이 되면(발언권 잔여 시간이 0), 발언권을 개방하고, PoC 서버(100)는 단말 TA에,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발언권 유휴 신호를 송신한다(S403).
이상과 같이, 발언권의 개방 예고, 그 발언권 잔여 시간,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발생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PoC 서버(100)로부터 통지되면, 발언권이 곧 개방되는 것을 단말 TA에 대해 경고할 수 있다. 즉, 발언권의 개방 예고가 발언권 취소 신호에 포함되어 있으면, 그 수신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경고하면 좋고, 발언권 잔여 시간이나,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발생까지의 시간이 발언권 승인 신호에 포함되어 있으면, 그 수신 내용에 따라 타이머를 기동하여 타이머의 계측시간에 기초하여 발언권 유효기한 시각보다도 미리 정 해진 시간만큼 앞이 되었을 때에 경고하면 좋다.
(발언권 제어방법)
상술한 PoC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발언권 제어방법이 실현되고 있다. 즉,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발언권 제어방법으로서, PoC 통신에 필요한 세션 확립 처리 후에, 상기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도 1 중의 S104a)와, 상기 발언권이 개방되어 있는 취지를, 상기 PoC 통신을 실시하는 PoC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도 1 중의 S104b, S104c)을 포함한 발언권 제어방법이 실현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oC 통신 개시시에 발신측ㆍ착신측의 양 유저에 대해서 동시에, 발언권이 빈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발언권의 공평한 취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발언권 제어방법으로서, 발언권이 주어진 PoC 단말에, 상기 발언권의 개방전에, 개방 예고, 그 발언권 잔여 시간,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발생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단계(도 5 중의 S301, 도 6 중의 S350, 도 8 중의 S400)을 포함한 발언권 제어방법이 실현되고 있다. 도 5,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PoC 단말에, 발언권의 개방 예고, 그 발언권 잔여 시간,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발생까지의 시간을 통지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발언권의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도 5 중의 S301, 도 8 중의 S400)와, 상기 수신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소정의 경고 동작을 실시하는 경고 단계(도 5 중의 S302, 도 8 중의 S402)를 포함하는 발언권 제어방법이 실현되고 있다. 도 5 또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예를 들면, 음성, 표시부에의 표시, 진동에 의해서 유저에게 통지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정리)
현재 상황의 OMA의 사양에서는 착신측 유저가 응답 시점에서 접속 요구 유저가 발언권을 취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로부터 PoC 통신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발언권을 공평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상황의 OMA의 사양에서는 취득된 일정시간의 발언권이 개방된 경우에, 그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발언권 잔여 시간을 유저에게 통지하므로, 유저에게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PoC 통신 서비스에 있어서의 발언권 취득 제어에 관한 서비스 순서를 다양화함으로써, 유저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oC 통신 개시시에 발신측ㆍ착신측의 양 유저에 대해서 동시에, 발언권이 빈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발언권의 공평한 취득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PoC 단말에, 발언권의 개방 예고나 잔여 시간을 통지하는 것에 의해 발언권 개방 경고를 실시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언권 허가 통지시에,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과 함께, 경고 동작으로부터 발언권 종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얼러트 마진을 통지함으로써, 경고로부터 발언권 종료까지의 시간을, PoC 단말측의 기종 사양에 의존하지 않고 균일화하여, PoC 서비스의 균일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7)

  1.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서,
    PoC 통신에 필요한 세션 확립 처리 후에, 상기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로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발언권이 개방되어 있는 취지를, 상기 PoC 통신을 실시하는 단말에 통지하는 발언권 개방 통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 서버.
  2.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서,
    일정시간의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 PoC 단말에, 그 발언권의 개방전에, 개방 예고, 그 발언권의 잔여 시간, 발언권 개방 예고를 위한 경고 동작까지의 시간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개방예고 통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예고 통지수단은, 상기 발언권 개방예고를 위한 경고 동작까지의 시간을 통지하는 경우, 발언권 허가를 통지할 때에, 발언권 종료까지의 잔여 시간과 상기 경고 동작으로부터 발언권 종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얼러트 마진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 서버.
  4.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발언권 개방예고 통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개방 예고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소정의 경고 동작을 실시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 단말.
  5.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발언권 제어방법으로서,
    PoC 통신에 필요한 세션 확립 처리 후, 상기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이 개방된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언권이 개방되어 있는 취지를, 상기 PoC 통신을 실시하는 PoC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언권 제어방법.
  6.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발언권 제어방법으로서,
    발언권이 주어진 PoC 단말에, 상기 발언권의 개방 전에, 개방예고, 그 발언권 잔여 시간, 발언권 개방예고를 위한 경고 발생까지의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언권 제어방법.
  7. PoC 통신에 있어서의 발언권에 관한 제어를 실시하는 PoC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발언권 개방예고 통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개방예고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소정의 경고 동작을 실시하는 경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 단말 제어방법.
KR1020060053026A 2005-06-14 2006-06-13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KR20060130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3660 2005-06-14
JPJP-P-2005-00173660 2005-06-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434A Division KR101105563B1 (ko) 2005-06-14 2008-03-27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504A true KR20060130504A (ko) 2006-12-19

Family

ID=370252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026A KR20060130504A (ko) 2005-06-14 2006-06-13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KR1020080028434A KR101105563B1 (ko) 2005-06-14 2008-03-27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434A KR101105563B1 (ko) 2005-06-14 2008-03-27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697949B2 (ko)
EP (1) EP1734721B1 (ko)
KR (2) KR20060130504A (ko)
CN (2) CN1882125B (ko)
CA (2) CA2550110C (ko)
ES (1) ES2436527T3 (ko)
TW (1) TWI373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7949B2 (en) * 2005-06-14 2010-04-13 Ntt Docomo, Inc. PoC server, PoC terminal, floor control method, and PoC terminal control method
MX2008000029A (es) 2005-07-08 2008-03-19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os y aparatos para servicio de conferencia y de pulsar para hablar.
KR101177948B1 (ko) * 2006-01-13 2012-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PoC 시스템에서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단말 장치 및 방법과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PoC 시스템
EP1909512A1 (en) * 2006-10-06 2008-04-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holding off floor grant requests in push to talk clients
CN101202972A (zh) 2006-12-13 2008-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话语权的系统、装置和方法
US7729246B1 (en) * 2007-01-05 2010-06-01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inter-network dispatch calls
CN100493220C (zh) * 2007-02-27 2009-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释放话权的方法和装置
US20090112983A1 (en) * 2007-10-29 2009-04-30 Motorola, Inc. Floor control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032169B2 (en) * 2007-11-28 2011-10-04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overhead floor control in a distribu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network
JP5282448B2 (ja) * 2008-05-30 2013-09-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切断処理方法
JP2010232751A (ja) * 2009-03-26 2010-10-14 Kyocera Corp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068841B2 (ja) 2012-06-25 2017-01-2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2854471A1 (en) * 2013-09-27 2015-04-01 Alcatel Lucent Floor management method, system, node for dormant PTT UE
KR102340796B1 (ko) * 2015-05-11 2021-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들의 통신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943989B1 (ko) 2015-06-05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954A (en) * 1995-05-30 1998-08-04 Motorola, Inc. Methods of requesting volunteers for handoff in a cellular system
CA2401106C (en) 2000-03-03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ipating in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in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FI20001876A (fi) * 2000-08-25 2002-02-26 Nokia Mobile Phones Ltd Parannettu menetelmä ja järjestely tiedonsiirtämiseksi pakettiradiopalvelussa
US7386000B2 (en) * 2001-04-17 2008-06-10 Nokia Corporation Packet mode speech communication
US6898436B2 (en) * 2002-02-14 2005-05-2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device for joining a user to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20040077358A1 (en) * 2002-10-18 2004-04-22 Togabi Technologies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ed arbitration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s system
KR20040094275A (ko) 2003-04-30 2004-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위한호 설정 방법
US20040224678A1 (en) * 2003-05-08 2004-11-11 Starent Networks, Corp. Reduced latency in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US7417989B1 (en) * 2003-07-29 2008-08-26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actually identifying a media source in a real-time-protocol stream
US7634558B1 (en) * 2003-09-22 2009-12-1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network presence records at a rate dependent on network load
SE0302920D0 (sv) 2003-11-03 2003-11-03 Ericsson Telefon Ab L 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roup calls
FI20031659A0 (fi) 2003-11-14 2003-11-14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mediaistunnon muodostamiseen
US20050124365A1 (en) 2003-12-05 2005-06-09 Senaka Balasuriya Floor control in multimedia push-to-talk
US7415284B2 (en) * 2004-09-02 2008-08-19 Sonim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essage server in a push-to-talk network
US7697949B2 (en) * 2005-06-14 2010-04-13 Ntt Docomo, Inc. PoC server, PoC terminal, floor control method, and PoC terminal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563B1 (ko) 2012-01-17
EP1734721B1 (en) 2013-08-28
TW200714013A (en) 2007-04-01
US8195214B2 (en) 2012-06-05
CN1882125A (zh) 2006-12-20
US7697949B2 (en) 2010-04-13
CA2738473A1 (en) 2006-12-14
TWI373253B (en) 2012-09-21
KR20080031249A (ko) 2008-04-08
CA2738473C (en) 2014-01-21
CN102223375B (zh) 2013-01-16
EP1734721A3 (en) 2007-09-19
CA2550110C (en) 2012-10-09
CN1882125B (zh) 2012-10-24
EP1734721A2 (en) 2006-12-20
US20100151896A1 (en) 2010-06-17
ES2436527T3 (es) 2014-01-02
US20060281482A1 (en) 2006-12-14
CN102223375A (zh) 2011-10-19
CA2550110A1 (en)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563B1 (ko) PoC 서버, PoC 단말, 발언권 제어방법 및 PoC단말 제어방법
EP1622407B1 (en) Handling talk burst denials in group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tt service
KR101174525B1 (ko)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네트워크의 응답 클라이언트 식별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75978B1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KR100842151B1 (ko) 통신단말
CN101147408A (zh) 按键通话移动通信业务中的应答模式
JP4073940B2 (ja) PoCサーバ、PoC端末、発言権制御方法、PoC端末制御方法
KR101085704B1 (ko)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시스템의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8007388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50111479A (ko) 체감 지연이 없이 음성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PoC이동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JP4070140B2 (ja) PoCサーバ、PoC端末、PoC通信制御方法
US201300837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according to importance of media burst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WO2007111358A1 (ja) サーバー及び無線通信端末
KR1006403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KR20060011643A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CN103763684A (zh) 按键通话移动通信业务中的应答模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28

Effective date: 2009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