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264A -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및 약포지 - Google Patents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및 약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264A
KR20110120264A KR1020110103381A KR20110103381A KR20110120264A KR 20110120264 A KR20110120264 A KR 20110120264A KR 1020110103381 A KR1020110103381 A KR 1020110103381A KR 20110103381 A KR20110103381 A KR 20110103381A KR 20110120264 A KR20110120264 A KR 2011012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drug
wrapping paper
powder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912B1 (ko
Inventor
주춘발
Original Assignee
주춘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춘발 filed Critical 주춘발
Priority to KR102011010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9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약 조제기구는 종래의 약주걱 후방에 눈금이 표시된 사각뿔 형상의 공간이 마련되어 정량 조제를 가능케 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분말약제 조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사용되는 약포지에는 손잡이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광하협의 약제수용부가 구비되어져 필요에 따라 약포지 개방을 상부 혹은 하부로 선택적으로 절취하여, 내부의 약제와 액상의 약제를 혼합하는 등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약 조제기구 및 약포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및 약포지{Apparatus for preparing a medicine and catridge paper}
본 발명은 약국에서 약을 조제할 때 사용하는 조제기구 및 약포지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말 약제의 정량을 매우 용이하게 계측가능하고 정제나 캅셀 제제를 분말로 전환하는 도중 발생되는 이물질(캅셀조각,정제필름 코팅 껍질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조제기구(통상 '약주걱'으로 칭함) 및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액상 약제와도 손쉽게 혼합할 수 있는 신개념의 약포지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약국에서 약을 조제하기 위하여 약주걱을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약주걱 상면에 조제할 약을 소정의 양만큼 부은 후, 이를 약포지에 기울여 넣어 약을 조제하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약 조제시 사용하는 약주걱 및 약포지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분말 약제가 약주걱에 담겨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약주걱은 조제할 분말 약제의 량을 계측할 수 없어서, 약사들은 보통 눈대중으로 분말 약제의 량을 약주걱에 분배하게 된다. 약을 처방받은 환자는 정량을 복용하여야 함에도 상기와 같은 상황하에서는 매번(통상 하루 3번) 복용하는 약의 량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어서, 지속적으로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어 왔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어린아이 혹은 노인의 경우 및 미량의 약제만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인 경우 상기와 상황하에서는 오히려 약을 과다 복용으로 건강을 위협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정제나 캅셀제를 분말제제로 전환함에 있어서 캅셀 껍질 등 이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출원인은 약주걱에 분말 약제를 분배할 때, 정량 만큼 분배가 가능하고, 이물질 제거도 용이한 약주걱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액상의 약제는 분말 약제와 혼합하여 복용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약포지의 경우, 환자가 약 복용을 위하여 밀봉된 약포지를 개방하였을 때 약포지의 개구부가, 약병(도 2 참조)의 개구부에 비해 너무 넓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약병(도 2)에 담긴 액상(液狀)의 약제와 혼합하기 위하여 약포지 내부에 담긴 분말 약제를 약병 입구에 대고 분말 약제를 부어 넣기가 매우 곤란한 실정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상기 약주걱과 동시에 사용하되, 약포지 하측의 폭을 점점 줄여가는 형태로 약포지를 개발하게 되었다.
그리고, 약포지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서 그 내부의 약제를 복용할 때 매우 불편하였으며, 특히 분말 약제를 액상의 약제와 혼합해야 하는 때에는 더욱 불편함이 가중되었음에도 이를 해결할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약포지의 중,하단측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환자가 약 복용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약포지를 제시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의 해결 과제는 첫째, 약제 조제시, 조제된 약을 다수개의 약포지에 인입시키기 전 약주걱에 분배를 함에 있어서, 분배량에 편차가 발생하지 아니하고 정량대로 투입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약주걱(조제기구)를 제시하는 것이며, 둘째 약포지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약포지 내부에 담긴 약제를 액상의 약제와 손쉽게 혼합할 수 있는 약포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포지에 물이나 액상의 약제를 부어서 혼합하여, 편리하게 약제를 복용할 수도 있는 약포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조제된 약제를 담는 약포지에 있어서, 내부에 약제를 담을 공간이 마련된 약제수용부(650); 상기 약제수용부(650)와 이웃하게 형성된 손잡이부(630); 상기 약제수용부 및 손잡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밀봉부(670,6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630)는, 약포지 상측을 절취하여 이루어지는 개구부(640)의 일측으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점점 넓어지면서, 약포지의 하단부까지 얇은 판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약포지 자체를 외부에서 가열하며 압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약제수용부(650)은, 상기 손잡이부와 접하며 형성되되, 상광하협(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은형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약포지 하측 표면에는 계단형상의 절취선(680)이 표시되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시, 약제수용부의 좁은 개구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지가 제시된다.
또한, 상기 약포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조제기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수회에 걸쳐 복용하기 위한 약을 조제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하며 접한 다수의 함체형 주걱을 구비한 약 조제기구(약주걱)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약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약포지의 상광하협 형상인 약제수용부(650)에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약제수용부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함체형의 삽입부(140); 상기 삽입부의 후방으로 연결되며, 분말 약제를 일정량 담을 수 있는 분배부(150); 상기 분배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분말약제(710)를 수용하여 눈금측정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투명재질의 측정부(170)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 내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져 뿔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된 공간인, 분말약제수용부(120)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140)는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기울어진 삼각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조제가 가능한 약 조제기구가 제시된다.
아울러 분배부(150) 위에 탈부착 가능한 이물질거름망(500)을 구비하여 분배부로의 분말약제만이 수용되도록 한다.
기타, 상세한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발휘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제된 약을 약포지에 인입시킬 때, 편차가 발생하지 아니하고 약제를 정량대로 조제하여 투입할 수 있으며, 둘째 약포지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구비됨으로써 약포지 내부에 담긴 약제를 액상의 약제와 손쉽게 혼합하는 경우나, 약포지를 쥐고 곧바로 복용하는 경우 및 손잡이부를 쥔 상태에서 약포지 자체에 액상 약제나 물을 부어 쉽게 혼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째, 약포지 내의 약제가 수용되는 공간이 상광하협 형상으로 되고 하단부는 개봉시 일정한 돌출부가 구비되어, 또다른 약병 내부로 주입하기가 매우 수월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약 조제시 사용하는 약주걱 및 약포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액상의 약제를 담는 약병 및 약포지를 촬영한 것으로서, 액상 및 분말약을 혼합하기 불편한 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약포지의 다양한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약포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약포지와 조제기구의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약포지와 조제기구를 분리함과 동시에, 측정부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를 직상부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12는 분말약제가 정량으로 또한, 균등하게 분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분말약제수용부(12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범위 내의 모든 발명에 그 범주가 미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액상의 약제와 혼합을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약병 개구부 근처에 약포지 상부가 개봉된 상태로 분말 약제를 부어 넣은 후 혼합한 뒤 복용 하였는데, 이러한 분말 약제를 붓는 과정이 매우 힘들었다. 그 이유는 약병 개구부 보다 약포지 개구부가 더 폭이 컸기 때문인데,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시하는 약포지 구조를 설명한다.
즉 도 3과 같이 약포지의 하단부에는 계단형의 절취선에 따라 개봉한 뒤, 약포지의 우측 하단의 돌출된 부분을 통하여 분말 약제를 약병에 넣을 수 있다.
이때 도 3의 좌측 손가락은 약포지의 손잡이부를 쥔 채로 분말 약제를 부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 등 약포지의 상세 구조는 차후 설명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약포지 상부측을 개봉하여, 약포지 내부로 액상의 약제를 부어서, 약포지 자체에서 분말, 액상 약제 혼합도 가능하다. 이경우에도 손잡이부를 쥐고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는 약포지 사용시 매우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분말 약제가 보관되어 있는 공간은 거꾸로 뒤집힌 직각삼각형임을 도 4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는 약포지의 대각선을 기준으로 하여 직각삼각형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다만, 손잡이부의 형태와 분말 약제 보관 공간의 형상은 다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분말 약제가 보관되는 공간 형상은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형태)이 되어야 하며, 하부측은 약병(도 4 참조) 개구부에 밀어넣기 쉽도록 다소 돌출된 형상이어야 한다.
도 5는 도 4의 사용 상태에 관련된 도면으로서, 약포지(600)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포지는 크게 내부에 약제를 담을 공간이 마련된 약제수용부(650); 상기 약제수용부(650)와 이웃하게 형성된 손잡이부(630); 상기 약제수용부 및 손잡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밀봉부(670,660)로 이루어진다.
약제수용부(650)는 약주걱에 약을 분배한 뒤, 약을 부어 넣는 공간부를 말한다.
상기 손잡이부(630)와 약제수용부(650)는 경계선(800)을 중심으로 하여 이웃하고 있다. 경계선은 바람직하게는 약포지의 대각선에 해당하는 위치를 말한다.
사용자는 약제를 인출하기 위하여, 상측밀봉부(670) 직하부의 상측절취선(681a)을 따라 절개하여 통상적으로 약을 복용된다. 실제 사용자가 절개한 부위는 곡선인 절취부(681b)에 해당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약포지는 액상약제(715)를 약포지 내부로 부어 넣어, 분말과 액상 약제를 서로 혼합할 수 있다. (도 4의 사진 참조) 이때, 손잡이부(630)을 쥔 상태로 액상약제를 부으면 매우 편리하게 혼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약제를 약포지 하부에서도 인출할 수 있다. 즉, 하측밀봉부(660) 직상부의 절취선인 계단형절취선(680a)을 따라 절개하여 약을 인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사용자가 절개한 부위는 곡선인 절취부(680b)이다.
상기 계단형절취선(680a)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계단이 이루어진 형상과 유사하여 명명된 것이다. 이러한 계단형절취선을 따라 절개를 하면 도 5의 돌출부(655)에 해당하는 부위가 형성되며, 이 부위를 약병(700)의 개구부에 대고 약제를 털어 넣으면 손쉽게 약병 내의 액상 약제와 혼합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계단형절취선(680a)를 따라 절개할 수 있도록 ,약포지 표면에는 이러한 안내 표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 약포지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손잡이부(6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약포지에 별도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약포지가 제시된 기술이 전혀 없으며 본 출원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을 위하여 약포지를 이루는 몸체 자체를 압착하여 손잡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손잡이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약포지 몸체 자체를 압착시켜 손잡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부(630)는 직각삼각형 형상(측면에서 볼때)을 취하므로, 약포지 상측을 절취하여 이루어지는 개구부(640)의 일측으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점점 넓어지면서, 약포지의 하단부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손잡이부는 약포지 자체를 외측으로부터 압착하여 붙힘으로써 소정의 판 형태(도 4 참조)로 제조가능하므로, 일정한 강도를 갖게 되어 손잡이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이때 약포지 압착시 약포지 두겹을 가열하여 서로 붙히는 것이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손잡이부의 크기(넓이)는 손가락으로 쥘 수 있는 정도이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크기를 가감(加減)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손잡이부는 약포지 전체적으로 보아 약포지의 중,하단부에 형성되어야 사용상 편리하며, 약제수용부(650)의 형상과 합치되는 구조 및 기능을 갖게 된다. 약제수용부는 이하 설명한다.
약제가 담기게 되는 약제수용부(650)는 경계선(800)을 중심으로 뒤집힌 직각삼각형 형상(측면기준)을 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630)와 접하며 형성되되, 상광하협(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은형상)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5에서는 정확한 직각삼각형 형태이지만 다른 형상으로 다소 변형가능하다. 다만 돌출부(도 6, 655)를 구비함은 필수적인 요건이 되어야 한다.
이하, 약 조제기구 (통상 약주걱이라고 칭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은 약포지와 조제기구의 결합된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약포지와 조제기구를 분리함과 동시에, 측정부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며, 도 11은 도 9를 직상부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분말약제가 정량으로 또한, 균등하게 분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분말약제수용부(12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약주걱인 약 조제기구에는 분배된 분말약제의 량을 측정하거나 균등 분배 여부를 가늠할 장치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약국에서는 여러회에 걸쳐 복용할 분말 약제를 각 분배부(도 9 ,150)에 숟가락으로 떠서 분배할 때, 눈 대중으로 분배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따라서 정량의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됨에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도 3 내지 도 6에 설명된 본 발명의 약포지(6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또한 정량의 분말약제를 균등하게 조제할 수 있는 약 조제기구를 설명한다.
조제기구는 도 12와 같이, 크게 삽입부(140), 분배부(150) 및 측정부(170)로 구성된다. 도 1의 종래 조제기구에서는 측정부(170)는 구비되지 않았던 구성요소이다.
도 7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은 측정부(170,171,172) 및 측정부 내부의 공간인 분말약제수용부( 도 9, 120,121,122 상세참조)를 포함한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해당한다.
삽입부(140)는 본 발명의 약포지(600)의 상광하협 형상인 약제수용부(650)에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 약포지에는 약포지의 대각선(경계선, 도 5, 800)을 기준으로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므로 삽입부는 한쪽으로 치우친 삼각형 형상을 취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다시 말하면, 삽입부(140)는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기울어진 삼각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약포지의 다소 형상 변형에 따라서 그에 대응한 형태로 삽입부(140) 형상이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약포지의 개구부 측에 삽입부가 삽입되되, 약포지의 약제수용부(650) 모양에 맞게 삽입부(140)가 삽입되는 것이다.
삽입부(140), 분배부(150), 측정부(170)는 약 이탈 방지를 위해 함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의 후방으로 연결되며, 분말 약제를 일정량 담을 수 있는 분배부(150);에 약사가 분말 약제를 부은 후에는, 통상적인 방법은 도 1과 같이 약포지 내부로 바로 넣어 버리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12와 같이 측정부(170)를 바닥에 대고 세워서 눈금 측정 및 상대적인 약제 분배량 비교를 한 후, 약포지에 분말 약제를 부어 넣게 된다.
만약 균등분배가 되지 않았다면, 분배부(150,151,152) 쪽으로 분말약제를 약간 이동시켜 조금씩 분배량 조절을 하면 된다.
분말약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부(170)의 재질은 투명해야 한다.
상기 측정부 내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져 뿔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된 공간인, 분말약제수용부(120)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분말약제의 불균등 분배 상태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사각형 단면보다, 뿔 형상의 단면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 13에서는 분말약제수용부(120)공간만을 도시하였다. (도 7 및 도 13 동시 참조)
도 9 및 도 10에서는 측정부(170,171,172) 상부를 비스듬히 절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절개단면(125) 사이 공간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 부위가 분말약제수용부(120,121,122)에 해당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정제나 캅셀제를 분말약제로 전환시킬 때 (분쇄 혹은 캅셀 개봉) 분배부(150)에는 미세한 분말 뿐만 아니라, 약 캅셀 조각 및 정제 필름 코팅 껍질이 함께 인입되는 경우가 빈번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배부(150) 상방을 가로질러 덮도록 형성된, 이물질거름망(500)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즉, 체의 역할을 담당함). 이물질거름망을 이물질거름망가이드(550) 쪽으로 약간 민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면, 망의 상부에 놓여진(미도시) 분말약제들 중에서 미세 분말만이 약주걱 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물질거름망을 탈착식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분말약제를 상기 분배부(150) 상방으로부터 부을 때, 상기 이물질거름망에 캅셀조각 등 이물질이 상기 분배기에 미세분말 약제와 함께 섞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약주걱 120,121,122:분말약제수용부
125:절개단면 140,142:삽입부 150,152,153:분배부
170,171,172:측정부 190:눈금 500:이물질거름망
600:약포지 630,631,632:손잡이부
640:상측개구부 641:하측개구부
650:약제수용부 655:돌출부 660:하측밀봉부
670:상측밀봉부
680a:계단형절취선 680b:절취부
681a:상측절취선 681b: 절취부
700:약병 710:분말약제 715:액상약제 800:경계선

Claims (3)

  1. 조제된 약제를 담는 약포지에 있어서,
    내부에 약제를 담을 공간이 마련된 약제수용부(650);
    상기 약제수용부(650)와 이웃하게 형성된 손잡이부(630);
    상기 약제수용부 및 손잡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밀봉부(670,6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630)는,
    약포지 상측을 절취하여 이루어지는 개구부(640)의 일측으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점점 넓어지면서, 약포지의 하단부까지 얇은 판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약포지 자체를 외부에서 가열하며 압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약제수용부(650)은,
    상기 손잡이부와 접하며 형성되되, 상광하협(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은형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약포지 하측 표면에는 계단형상의 절취선(680)이 표시되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시, 약제수용부의 좁은 개구부가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지.
  2. 수회에 걸쳐 복용하기 위한 약을 조제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하며 접한 다수의 함체형 주걱을 구비한 약 조제기구(약주걱)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약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약포지의 상광하협 형상인 약제수용부(650)에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약제수용부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함체형의 삽입부(140);
    상기 삽입부의 후방으로 연결되며, 분말 약제를 일정량 담을 수 있는 분배부(150);
    상기 분배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분말약제(710)를 수용하여 눈금측정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투명재질의 측정부(170)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부 내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져 뿔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된 공간인, 분말약제수용부(120)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부(140)는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기울어진 삼각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150) 상방을 가로질러 덮도록 형성된, 이물질거름망(500)이 더 구비되어져, 분말약제를 상기 분배부 상방으로부터 부을 때,
    상기 캅셀조각거름망에 이물질들이 상기 분배기에 미세분말 약제와 함께 섞여 들어가는(혼입)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KR1020110103381A 2011-10-11 2011-10-11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KR101125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381A KR101125912B1 (ko) 2011-10-11 2011-10-11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381A KR101125912B1 (ko) 2011-10-11 2011-10-11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264A true KR20110120264A (ko) 2011-11-03
KR101125912B1 KR101125912B1 (ko) 2012-03-21

Family

ID=4539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381A KR101125912B1 (ko) 2011-10-11 2011-10-11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498A (ko) * 2014-10-30 2016-05-11 이정화 약 조제용 기구
WO2018048084A1 (ko) * 2016-09-09 2018-03-15 장기욱 가루약 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547U (ja) * 1992-02-14 1993-08-24 篤夫 田村 患者用の分包帯
KR200375603Y1 (ko) * 2004-11-15 2005-03-11 이달훈 분포지의 입구 개방장치
KR20110088792A (ko) * 2010-01-29 2011-08-04 정유정 약봉지
KR101021156B1 (ko) * 2010-07-12 2011-03-14 장진우 약봉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498A (ko) * 2014-10-30 2016-05-11 이정화 약 조제용 기구
WO2018048084A1 (ko) * 2016-09-09 2018-03-15 장기욱 가루약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912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ning et al. Oral drug delivery in personalized medicine: unmet needs and novel approaches
CA2175939C (en) Manual capsule filling device
JP2004524881A (ja) 個人用薬剤投薬カード
EP3113762A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sofosbuvir
KR20150038440A (ko) 고형 의약용 알약을 수용 및 분배하기 위한 리셉터클
KR101125912B1 (ko) 분말약물 조제가 정확한 약 조제기구
WO2006118526A1 (en) A method for filling a cavity with a quantity of particulate material
WO2018181914A1 (ja) 固形剤小分け装置及び固形剤小分け方法
GB2246555A (en) Packaging for medicine
KR102042435B1 (ko) 가루약 분배저장용 약포장기
KR101996841B1 (ko) 분포체, 분포체의 제조방법 및 분포체의 제조장치
US11155371B2 (en) Device for the dosed filling of a container with a filling material
JP2007289402A (ja) 散剤及び内用液剤混合袋
KR102645146B1 (ko) 개봉이 편리하고 액상 음용이 용이한 포장 파우치
CN215157517U (zh) 一种可计数的微粒丸包装瓶
CA3024444C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metered filling of a container with a filling material
GB2435027A (en) Container for use in administering medicine
JP3191619U7 (ko)
JP3191619U (ja) 薬立てを兼ねた服薬器
JP6917061B2 (ja) 服薬補助容器
KR101652178B1 (ko) 약 조제용 기구
KR20100004043U (ko) 다용도 알리미 약상자
JP5694621B1 (ja) 錠剤容器
KR20240037294A (ko) 봉지 디스펜서
BE1020178A3 (nl) Doseermiddel voor een geneesmid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