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725A - 암호화된 컨텐츠의 프리뷰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암호화된 컨텐츠의 프리뷰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725A
KR20110118725A KR1020117021711A KR20117021711A KR20110118725A KR 20110118725 A KR20110118725 A KR 20110118725A KR 1020117021711 A KR1020117021711 A KR 1020117021711A KR 20117021711 A KR20117021711 A KR 20117021711A KR 20110118725 A KR20110118725 A KR 20110118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formation
change
state
encry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딜 자그마그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18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04N21/43853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1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pay-per-view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 내에 있는 비디오 정보(가령, 프로그램 프리뷰)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한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리 혹은 임의의 적절한 다른 수단을 통해 통지 정보(notification information)를 발행하는바, 이는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컨텐츠 가령, 유료 시청 채널 비디오 정보(pay per view video information)가 이용가능한지 혹은 아닌지를 알려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형 및 자동화된(interactive and automated) 기법이 제공되어 예컨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보고있는 동안에, 컨텐츠의 프리뷰가 이제 이용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혹은 이전에 이용가능했던 프리뷰가 이제 변경되어 암호화되었으며 따라서 미리보기한 콘텐츠를 기간이 만료하기 전에 주문해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무료 프리뷰가 이용가능함을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통지받는다. 그리고 미리보기 정보가 좀더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잠재 고객들에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방송사(broadcaster)는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암호화된 컨텐츠의 프리뷰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PREVIEW OF ENCRYPTED CONTENT}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방송사업자 및 콘텐츠 제공자들은 소정 기간동안 유료 채널을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방송함으로써 이들 특정 유료 채널들을 판촉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무료(free) 프리뷰(preview: 이하, '프리뷰' 혹은 '미리보기'라 함)를 계속 추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따라서 많은 고객들이 무료 프리뷰(free preview)를 놓치고 있는바 특히, 이 고객들이 케이블 티브이(calbe box)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현재, 고객들은 케이블 방송사업자로부터 수신하는 메일에 있는 광고 브로셔를 통해 암호화되지 않은 프리뷰를 인지하고 있다. 무료 프리뷰를 시청하기 위한 시간 기간이 경과되면, 케이블 제공자는 고객이 그 채널을 시청하기 위하여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한 상기 채널들을 재암호화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및 케이블 박스(셋탑 박스)는 방송사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채널들을 검출 및 비활성화(disable)시키며 그리고 사용자는 특정 채널 혹은 서브채널 상에서 시청하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이 이용불가능하며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만 한다는 자막이 표시된 화면만을 단지 볼 수 있을 뿐이다.
텔레비전이 텅빈 화면(blank screen)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스크램블된 인커밍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incoming)을 텔레비전 수신기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대신에, 파란 스크린 혹은 텍스트를 구비한 정지 이미지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이 꺼졌다고 사용자가 믿는 때에 단일 튜너를 소정 시간에 이용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수행되는 채널 스캐닝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은 백그라운드 채널 스캔이라고 지칭되며, 예컨대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ming guide information)를 검색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에 다수개의 튜너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현재 보고 있는 채널에 동조되지 않은 튜너를 이용하여 백그라운드 채널 스캔이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 시스템은, 프리뷰 콘텐츠가 언제 만료될 것인지 혹은 암호해제된 정보가 이제 시청가능한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추적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을 일소시킬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예컨대, 일시적으로 암호해제 및 암호화되는 프로그램 정보와 같은 프리뷰 콘텐츠를 구비한 방송물에 대해서 수익 창출 흐름을 개선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비디오 스트림 내에 있는 비디오 정보(가령, 프로그램 프리뷰)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한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리 혹은 임의의 적절한 다른 수단을 통해 통지 정보(notification information)를 발행하는바, 이는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컨텐츠 가령, 유료 시청 채널 비디오 정보(pay per view video information)가 이용가능한지 혹은 아닌지를 알려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형 및 자동화된(interactive and automated) 기법이 제공되어 예컨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보고있는 동안에, 컨텐츠의 프리뷰가 이제 이용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혹은 이전에 이용가능했던 프리뷰가 이제 변경되어 암호화되었으며 따라서 미리보기한 콘텐츠를 기간이 만료하기 전에 주문해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무료 프리뷰가 이용가능함을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통지받는다. 그리고 미리보기 정보가 좀더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잠재 고객들에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방송사(broadcaster)는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포함된(embedded)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broadcast system information)를 평가함에 의해서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encryption status)에 변화가 있음이 검출된다.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는 예컨대, 프로그램 맵 테이블 정보(program map table information), 채널 맵 테이블 정보(channel map table information) 혹은, 비디오 프리뷰가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화되지 않았는지를 나타내는 인커밍(incoming)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임의의 메타데이터(metadata)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디오 수신 시스템은 비디오 프리뷰를 구성하는 실제 패킷을 분석하지 않고도,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여 인커밍 비디오 프리뷰가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화되지 않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서, 암호 상태 정보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는 것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상에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그리고 채널의 어떤 서브채널들이 암호화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암호화된 서브채널들을 갖는 해당 채널로 동조(tune)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암호화된 서브채널들의 암호 상태의 변화에 대해서 검사가 수행된다. 다른 일례에서는, 채널 스캔을 수행하는 대신에,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가 채용되어 디코딩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비디오 정보가 언스크램블(unscramble)되었는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기반의 검출 방법 대신에, 컨텐츠에 대해서 암호의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패킷화 기본 스트림(Packetized Elementary Stream : PES) 검출 프로세스가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딩 프로세스의 셋업의 일부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법들도 또한 이용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다른 일례에서는, 채널 스캔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를 검출하는 것은 프로그램이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해제되었는지를 프로그램 맵 테이블 정보로부터 판별함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정보의 시각화 표시(visual display)가 또한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가령, 채널 이름 혹은 채널 번호와 같은 복수의 채널 식별자들, 복수의 채널 식별자들 각각에 대한 암호 상태 데이터, 및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프리뷰 컨텐츠(preview content)를 구매할 수 있게 해주는 구매 정보(purchase information)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상태에서 암호해제된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검출함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미리보기에 의해 식별된 비디오에 대한 주문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좀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례에 따른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례에 따라 비디오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의 일례를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례에 따라 비디오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의 일례를 좀더 상세히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례에 따라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일례를 예시한다.
도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례에 따라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일례를 예시한다.
도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례에 따라 채널 스크린 메뉴의 형태로 제공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일례를 예시한다.
도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례에 따라 시청자에게 프리뷰 시청 상태를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일례를 예시한다.
도1은 인커밍 비디오 스트림(14)을 수신하는 비디오 수신기(12)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지털 텔레비전, 셋톱 박스(혹은, 코드 : cord)와 텔레비전의 조합, 랩탑 컴퓨터 휴대용 디바이스, 혹은 임의의 적절한 비디오 시청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일례에서, 비디오 수신기(12)는 텔레비전 튜너와 복조기(demodulator)의 조합이 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채널들에 동조시키고, 인커밍 비디오 정보를 복조하며 그리고 트랜스포트 스트림(16)을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18)는 ATSC 표준에 따라 예컨대, 프로그램 식별 필터 정보(program identification filter information)(20) 혹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기본 스트림 정보(elementary stream information) 및 섹션 데이터와 같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성분들을 추출한다. 디멀티플렉서(18)는 섹션 데이터 혹은 테이블 데이터(22)를 출력하는데, 이는 암호화된 프리뷰 검출 로직을 채용한 제어기(24)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기(24)는 예컨대,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세싱에서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프로세서 및/또는 ASIC 칩 혹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인커밍 비디오 정보(14)는 예컨대, ATSC, DVB, ISDB 호환 스트림 혹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기(24)는 특정한 채널 혹은 서브 채널에 동조되도록 비디오 수신기(12)를 제어하기 위해 채널 튠 정보(30)를 출력함에 의해서 채널 스캔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DTV 튜닝 동작을 수행하도록 작동한다. 제어기(24), 디멀티플렉서(18), 및 디코더(32)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 다이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캐나다 온타리오 쏜힐(Thornhill)에 위치한 ATI Technologies. Inc 에서 생산되는 Xilleon 타입의 칩이 될 수도 있으며 혹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어기(24)는 칩 상에 혹은 칩 외부에 위치한 메모리(예컨대, ROM, RAM 등등)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디지털 프로세서이다. 제어기는 통상적인 디지털 텔레비전 회로와 달리, 추가 로직(예컨대, 메모리에 저장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을 포함하는바, 이는 비디오 스트림(14) 내의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36) 상에 표시되는 시청자 통지 정보(viewer notification information)(34)를 생성한다. 시청자 통지 정보(34)는 새로운 콘텐츠가 이용가능한가 혹은 이용가능하지 않은가를 나타낸다. 시청자 통지 정보(34)는,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대한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가령, LCD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혹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36)는 사용자를 위해서 시청자 통지 정보(34)를 표시한다.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프로세서(38)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서(38)는 디코딩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40)를 디코더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그리고 스크린 상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 원하는 사이즈, 및 원하는 해상도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포맷으로 이를 디스플레이(36)에 표시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18)는 또한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44)를 출력하는바, 이는 통상적인 디코더(32)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디코더(32)는 오디오 디코더(46)와 비디오 디코더(48)를 포함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소정 방법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 방법은 도1에 도시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블록 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 내의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24)는 가상 채널 테이블 정보(virtual channel table information), 프로그램 맵 테이블 정보, 혹은 다른 섹션 데이터 혹은 테이블 데이터(22)와 같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비디오 프로세싱 회로로서 동작하는바, 이는 비디오 프리뷰가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비디오 스트림(14)에 포함한다. 만일, 상기 제어기(24)가, 채널 혹은 서브 채널에 대한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가 암호화 상태에서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변경되었다고(따라서, 시청자는 프리뷰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음) 판별하거나, 혹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암호화 상태로 변경되었다고(즉, 이는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시청 기간이 만료되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프리뷰 정보를 더 이상 시청할 수 없음을 나타냄) 판별하면, 시청자 통지 정보(34)가 이용되어 소리로 혹은 시각적으로(이들 양자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음) 시청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만일, 시청자가 컨텐츠를 시청할 권리를 구입하고자 한다면 그리고 암호화되지 않은 형태로 컨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한다면, 시청자는 컨텐츠를 구입할 수도 있다. 블록 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암호화된 상태에서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암호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는 프리뷰 컨텐츠가 이용가능함을 시청자에게 통지하고 그리고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암호화된 상태로 컨텐츠가 변경된 경우에는 컨텐츠가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청자에 대한 이러한 통지는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24)는 시청자 통지 정보(34)를 이미지 프로세서(38)로 출력하여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데, 이는 암호화되지 않은 프리뷰를 계속 시청하기 위해서는 컨텐츠를 구입해야만 함을 시청자에게 알려주거나 혹은 이전에는 암호화되지 않았던 컨텐츠가 이제 암호화되었으며 그리고 그 프리뷰 권리가 중단되었음을 시청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설명을 위한 일례로서,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기 위하여, 방송사(broadcaster) 혹은 임의의 다른 엔티티(entity)는, 비디오 프리뷰가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화되지 않았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비디오 스트림에 끼워넣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는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테이블의 메타데이터가 될 수도 있는바, 이는 의도된 프리뷰 컨텐츠가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화되지 않았는지를 나타낸다. 일실시예에서, 제어기(24)는 테이블들에 삽입된 이 데이터를 검출하며 그리고 이 데이터의 상태의 변화를 검색하는바, 이는 제어기가 채널들(혹은 서브채널들)에 대한 인커밍 비디오 스트림을 프로세싱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인 동작에서, 제어기(24)는 자신의 로컬 메모리(예컨대, RAM) 혹은 다른 적절한 메모리 내에 현재 채널들에 대한 캐시(cache)를 보관하며 그리고 캐싱된(cached) 현재 채널과 비디오 스트림 내에 포함된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된 채널과는 다른 프리뷰 컨텐츠를 인커밍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별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비디오 프리뷰가 암호화되어는지 혹은 암호화되지 안있는지를 나타내는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가 비디오 스트림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정보(예컨대, 프리뷰 컨텐츠로 의도됨)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는 것은, 트랜스포트 스트림(16) 상에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그리고 암호화된 서브 채널들을 갖는 해당 채널로 동조되는 때에 채널의 어떤 서브채널들이 암호화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예컨대, 제어기(24)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어기(24)는 암호화된 서브채널들에서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사할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상기 장치(10)가 가령, 스탠바이 모드와 같은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때 채널 스캔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리고 오직 암호화된 서브채널들에 대해 백그라운드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암호 상태의 변화가 검출된다면, 상기 제어기는 시청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상기 장치(10)의 후속 "파워 온(power on)" 이 생길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는 것은 또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는바, 예컨대, 트랜스포트 스트림(16) 내의 비디오 정보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의 헤더 정보가 상기 비디오 정보가 암호화되었음을 나타내는지를 제어기(24)가 판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헤더 정보는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의 일례가 될 수도 있다. 헤더 정보에 관하여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은 오디오 혹은 비디오가 암호화되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PES 헤더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의 비트들은 PES 헤더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기(24)에 의해 검출되어, 주어진 프로그램에 대하여 프로세싱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그 암호 상태를 변경했는지 안했는지를 나타낸다.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또 다른 접근법은, 채널 스캔 동안, 프로그램이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해제되었는지를 프로그램 맵 테이블 정보로부터 판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은 ATSC 유형의 스트림에서 공지된 구조이다. 예를 들면, 채널/서브채널이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화되지 않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PMT 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접근법으로서, 제어기(24)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대신에, 예컨대, 도1의 점선(5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32)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이용함에 의해서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할 수 있다. 이것은, 포스트 디코딩 검출(post decoding detection)의 유형이다. 이러한 일례에서, 예컨대, 비디오 프레임의 디코딩된 비디오는 디코딩된 후속 프레임과 비교될 수 있는데, 이는 비디오가 존재하는지 안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비디오가 있다가 없어지거나 혹은 없다가 있는 경우에는(if video changes from being present to non-present or non-present to present), 암호 상태의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판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기법들이 개시되는바, 이들 가법들은 가령, 시청자에 의해서 미리보기될 컨텐츠 등과 같은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기법들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 메타데이터가 포함되며 그리고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 예를 들어, PMT 내에 있는 조건부 액세스 디스크립터(conditional access descriptor)와 같은 프로그램 맵 테이블 정보가 예컨대 초기 채널 스캔 프로세스 동안에 분석될 수도 있는데, 이는 암호 상태의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기는 판단을 하기 위하여 새로운 PMT 정보를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서, 패킷들의 헤더는, 스크램블된(scrambled) 정보를 패킷이 포함하고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기(24)는 패킷들을 시간에 대하여 검사하는바, 이는 정보가 스크램블되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례에서는, 오디오 혹은 비디오가 스크램블되었는지를 나타내는데 PES 헤더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예컨대,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파이프라인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른 일례에서는, 오디오/비디오 디코더가 이용되는바 따라서, 영상(picture) 혹은 오디오가 존재하지 않음을 판별하기 위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이프라인이 이용된다. 영상(picture) 혹은 오디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기(24)는 채널이 스크램블되었다고 판별한다.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기 장치(1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이 기술될 것이다. 블록 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한 이후에, 새로운 컨텐츠가 이용가능함(혹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암호화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시청자에게 통지한다. 제어기(24)는 시청자 통지 정보(34)를 생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이미지 프로세서(38)에게 통지하여 사용자를 위해서 스크린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는데, 이는 시청가능한 온스크린 정보를 제공하며 그리고 필요하다면 응답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가 원격 제어 혹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암호화된 상태에서 암호해제된 상태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것은 예컨대, 도4에 도시되어 있는바, 디스플레이(36)에는 새로운 컨텐츠가 시청가능함을 알려주는 데이터(400)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암호화된 채널이 이제 암호해제되었음을 검출했다면, 제어기(24)는 (암호해제된) 프리뷰가 그 채널 상에서 언제까지 상영될 것인지(즉, 남아있는 시간)를 판별한다. 이는,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방송사에 의해 제공되는 테이블에 포함된(embedded)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선호 채널 목록 혹은 프리뷰 선호 목록에 프리뷰 채널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청가능한 프리뷰 컨텐츠 식별자(예컨대, 채널 번호)가 사용자의 선호 채널 목록에 추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시청가능한 컨텐츠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24) 혹은 이미지 프로세서(38) 혹은 선호 리스트를 유지 및 생성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의해서, 새로운 프리뷰 선호 리스트가 또한 생성될 수도 있는바, 따라서 시청자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 인터넷 액세스, 혹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커니즘을 통하여 컨텐츠 정보를 미리보기할 수 있다. 블록 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과거에 시청가능했던(즉, 암호해제된 상태) 임의의 프리뷰들이 현재 암호화되었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다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채널이 이전에는 암호해제되었지만 이제는 암호화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 혹은 특정 채널에 대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된 정보를 통하여 종료 기간(timeout period) 혹은 이용가능한 시간 기간이 검출되었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3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통지를 발행하고(즉, 시청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주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프리뷰 컨텐츠가 만료되었음을 알려주며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컨 상의 "메뉴" 버튼을 통해 계속 진행할 수 있으며, 미리보기한 컨텐츠를 주문하기 위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시청자 통지가 제공된다. 블록 3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컨텐츠가 더 이상 시청가능하지 않거나 혹은 사용자가 각각의 목록에서 그 채널을 제거하기를 원하는 경우, 선호 채널 목록 혹은 프리뷰 선호 목록에서 프리뷰 채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6은 제어기(24)에 의해서 이미지 프로세서(38)를 통해 제공되는 채널 메뉴 스크린의 일례를 보여주는바, 이는 "채널 스캔 시작" , "채널 맵 검색(browse channel map)" 혹은 "새로운 시청 콘텐츠" 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시청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장치(10)는 검출된 프리뷰 컨텐츠에 대한 온-스크린 목록을 제공하는바, 검출된 프리뷰 컨텐츠는 이전에는 암호화되었다가 현재는 암호해제된 것으로 표시되는 프리뷰 컨텐츠이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컨텐츠" 스크린이 생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채널 식별자들(700), 각각의 채널 식별자들에 대한 해당 암호 상태(702), 그리고 블록 70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리뷰 컨텐츠에 대한 구매 정보의 조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36)에 제공된다. 이러한 프리뷰 컨텐츠 스크린은 제어기(24)에 의해 생성되며 그리고 예컨대 이미지 프로세서(38)에 의해서 출력되는바 따라서, 사용자는 프리뷰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특정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리고 필요하다면 주문 정보가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주문 정보(704) 이외에도, 상기 데이터는 암호해제된 프리뷰 컨텐츠가 언제 종료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프리뷰 기간만료 정보(7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시간 단위 혹은 날짜 단위로 표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암호해제된 프리뷰들 혹은 상태가 변경되어 이제는 기간만료된 프리뷰 컨텐츠(따라서 사용자는 방송사에 의해서 다시 암호해제되기 이전에는 컨텐츠를 구입해야만 한다)를 식별하는 프리뷰 스크린에 간단히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채널 식별자(700), 해당 암호 상태 그리고 프리뷰 컨텐츠에 대한 구매 정보와 더불어 프리뷰 기간만료 정보(706)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여러 장점들에 따르면, 시청가능한 프리뷰가 언제 이용가능한지에 대한 자동화된 검출이 제공되며 그리고 암호해제된 컨텐츠로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볼 수 있는 임의의 프리뷰 혹은 채널에 대한 검출이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고지되며 뿐만 아니라, 이전에는 암호해제되어 사용자가 프리뷰할 수 있었던 컨텐츠가 이제는 암호화되었기 때문에 프리뷰가 기간만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후 사용자에게는 프리뷰 컨텐츠를 구입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스크램블된 채널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자동화된 검출 및 사용자 피드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CDROM, RAM, ROM의 다른 형태들, 하드 드라이브, 분산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상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명령들에 기초하여 집적회로를 만들어내는 집적회로 설계 시스템(예컨대, 워크 스테이션)이 알려져 있다. 상기 명령들은 하드웨어 기술 언어 혹은 다른 적절한 언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언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로직(즉, 회로)은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서 집적회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집적회로가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명령들은 실행되었을 때 집적회로 설계 시스템으로 하여금 집적회로를 생성하게 하며, 이 집적회로는 비디오 스트림 내의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고 그리고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컨텐츠가 이용가능함을 혹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시청자에게 통지하도록 동작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작들 중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는 로직을 갖는 집적회로도 또한 적절히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례들은 예시 및 설명만을 위하여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고자 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 및 청구되는 기본적인 기저 원리들의 사상 및 범위에 속하는 임의의 모든 변형예들, 수정예들 혹은 등가물들을 포괄함을 유의해야 한다.

Claims (20)

  1. 비디오 스트림 내의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컨텐츠가 이용가능함을 혹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알려주는 통지를 청각적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발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프리뷰(preview)가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해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현재 프리뷰 컨텐츠의 캐시(cache)를 보관하고 그리고 캐싱된(cached) 현재 프리뷰 컨텐츠와 비디오 스트림 내에 포함된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캐싱된 프리뷰 컨텐츠와 다른 프리뷰 컨텐츠를 인커밍 비디오 스트림이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대해 채널 스캔을 수행하고, 암호화된 서브채널들을 갖는 채널로 동조되는 때에 상기 채널의 서브채널들 중 어떤 서브채널들이 암호화되었는지를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암호화된 서브채널들의 암호 상태의 변화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스탠바이 상태(standby condition)에 응답하여, 상기 암호화된 서브채널들만에 대해서 백그라운드 스캔을 수행하고, 암호 상태의 변화가 검출되면, 시청자에게 이를 고지하기 위하여 시청 디바이스의 후속 파워온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를 발행하는 단계는,
    암호화된 상태에서 암호해제된 상태로의 변경이 검출되는 때에,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프리뷰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비주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정보가 암호화되었는지를 상기 비디오 정보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의 헤더 정보가 나타내는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프로그램이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해제되었는지를 채널 스캔 동안, 프로그램 맵 테이블 정보로부터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채널이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해제되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출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오디오 혹은 비디오가 암호화되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PES 헤더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암호화된 상태에서 암호해제된 상태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컨텐츠의 프리뷰에 의해 식별된 비디오에 대응하는 주문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 식별자들, 상기 복수의 채널 식별자들 각각에 대한 해당 암호 상태 및 프리뷰 컨텐츠에 대한 구매 정보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는 비주얼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식별자들, 상기 복수의 채널 식별자들 각각에 대한 해당 암호 상태 및 프리뷰 컨텐츠에 대한 구매 정보의 조합과 함께 프리뷰 기간만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비디오 수신기와;
    상기 비디오 수신기에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 내의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컨텐츠가 이용가능함을 혹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청각적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생성하는 로직(logic)과; 그리고
    상기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암호화된 상태에서 암호해제된 상태로의 변경이 검출되는 때에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프리뷰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비주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상기 비디오 정보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의 헤더 정보가 상기 비디오 정보가 암호화되었음을 나타내는지를 판별함에 의해서, 암호 상태에 변경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암호화된 상태에서 암호해제된 상태로의 변경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공된 컨텐츠의 프리뷰에 의해 식별된 비디오의 해당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데이터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채널이 암호화되었는지 혹은 암호해제되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출력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상기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19. 비디오 프로세싱 회로로서,
    비디오 스트림 내의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동작하며 그리고 상기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컨텐츠가 이용가능함을 혹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청각적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로직
    을 포함하는 비디오 프로세싱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암호화된 상태에서 암호해제된 상태로의 변경이 검출되는 때에,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프리뷰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비주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며, 그리고
    상기 로직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 내의 비디오 정보의 암호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채널 스캔 동안 검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로세싱 회로.
KR1020117021711A 2009-02-23 2010-02-23 암호화된 컨텐츠의 프리뷰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118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90,808 2009-02-23
US12/390,808 US20100218207A1 (en) 2009-02-23 2009-02-23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preview of encrypted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725A true KR20110118725A (ko) 2011-10-31

Family

ID=4211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711A KR20110118725A (ko) 2009-02-23 2010-02-23 암호화된 컨텐츠의 프리뷰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18207A1 (ko)
EP (1) EP2399383B1 (ko)
JP (1) JP5723297B2 (ko)
KR (1) KR20110118725A (ko)
CN (1) CN102349305A (ko)
WO (1) WO2010096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9647B2 (en) * 2010-03-02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end-to-end latency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from a user device to a receiving device via television white space
JP5834399B2 (ja) * 2010-11-26 2015-12-2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方法、通信機器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7027058B (zh) * 2016-01-29 2020-03-1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在线媒体文件的价格评估方法、客户端及服务器
CN106658071B (zh) * 2016-11-28 2020-10-27 北京蓝拓扑科技股份有限公司 码流传输状态确定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772U (ko) * 1990-05-23 1992-01-31
JP2536729Y2 (ja) * 1990-12-28 1997-05-28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衛星受信機
JPH07154778A (ja) * 1993-12-01 1995-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レビジョン信号受像および記録装置
US5861906A (en) * 1995-05-05 1999-01-1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operation thereof according to viewer preferences
US6745391B1 (en) * 1997-12-10 2004-06-01 E Guide, Inc. Premium channel promotion system and method
JPH11205705A (ja) * 1998-01-13 1999-07-30 Toshiba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
JPH11308595A (ja) * 1998-04-20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受信装置
US7779439B2 (en) * 2001-04-23 2010-08-17 Starz Entertainment, Llc Program guide environment
JP3586181B2 (ja) * 2000-09-29 2004-11-10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放送受信機
TW548983B (en) * 2000-10-26 2003-08-21 Gen Instrument Corp Initial viewing period for scalable authorization of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CN1579094A (zh) * 2001-11-20 2005-02-09 斯塔兹埃可尔集团有限公司 观看限度控制
JP2003264813A (ja) * 2001-12-25 2003-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媒体
US20060287956A1 (en) * 2003-11-07 2006-12-21 Akio Higashi System and method for time based digital content access
WO2007073370A1 (en) * 2005-12-20 2007-06-28 Tte Technology, Inc. Decryptio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data
JP4186985B2 (ja) * 2005-12-28 2008-11-26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70288749A1 (en) * 2006-06-08 2007-12-13 Shenzhen Tcl New Technology Ltd Unscrambled channe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4162019B2 (ja) * 2006-06-26 2008-10-08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80163307A1 (en) * 2006-12-29 2008-07-03 Coburn Matthew J Digital content access
US20100014671A1 (en) * 2008-06-19 2010-01-2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ecure interchip transport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18207A1 (en) 2010-08-26
EP2399383A1 (en) 2011-12-28
JP5723297B2 (ja) 2015-05-27
WO2010096799A1 (en) 2010-08-26
EP2399383B1 (en) 2014-09-17
CN102349305A (zh) 2012-02-08
JP2012518955A (ja)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826B1 (ko) 현재 프로그램 시청동안 새로운 프로그램 정보의 자동 표시
KR100753090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채널 정보 표시방법
US8205224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 rating system thereof
JP5723297B2 (ja) 暗号化されたコンテンツのプレビュー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2080373A (ja) 表示画面切替装置、表示画面切替方法、及び表示画面切替プログラム
US200901389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WI487377B (zh) 用於處理垂直遮沒間隔訊號與視訊訊號之裝置及方法
KR100713558B1 (ko) 다중 콘텐츠 디스크램블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방송수신제한 장치 및 방법
US201600290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gram Content Recoding
JP2011077929A (ja) 受信装置及びcasカード制御方法
EP272046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detecting a channel change event
JP2020022138A (ja) 受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83948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693763A1 (en) Method of content transaction and apparatus for content transaction
KR10102521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시 선호 채널 팝업창 표시 시스템 및방법
JP2011151688A (ja) 録画装置及び録画方法
WO20151836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dia assets
WO20161790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pointer in broadcast channel to link to component on different channel
JP2017184208A (ja) 受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01308B1 (ko) 슬라이드식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제공 방법
KR100747390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지역별 방송 정보 시청 방법
KR101491850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osd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819924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110012253A (ko)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100151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