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891A -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891A
KR20110117891A KR1020100037381A KR20100037381A KR20110117891A KR 20110117891 A KR20110117891 A KR 20110117891A KR 1020100037381 A KR1020100037381 A KR 1020100037381A KR 20100037381 A KR20100037381 A KR 20100037381A KR 20110117891 A KR20110117891 A KR 2011011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logical
pipe
passage
pipe member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동
정광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식회사 디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식회사 디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10003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7891A/ko
Publication of KR2011011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적어도 양서류 또는 파충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생태 통로는, 그 구성 일예로서, 피 시공지역을 관통하여 시공된 생태 통로용 관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분에 제공되는 평탄재와 상기 관부재의 입,출구측에 제공되는 옹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철로 등의 위험지역을 개구리 등의 양서류나 뱀 등의 파충류 또는, 들쥐 등의 덩치가 작은 야생동물들이 기존의 육교형 또는 터널형 생태 통로 보다 더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 통과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이동공간과 피신공간을 제공하여 생태 교란이나 먹이 사슬의 파괴를 방지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Eco-corrid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철로 등의 위험지역을 개구리 등의 양서류나 뱀 등의 파충류 또는, 들쥐 등의 덩치가 작은 야생동물들이 기존의 육교형 또는 터널형 생태 통로보다 더 안전하고 용이하게 통과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이동 공간과 피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생태 교란이나 먹이 사슬 파괴 등을 방지토록 한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댐, 수중보, 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 동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되는 인공구조물이나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을 제공하는 생태 통로는 알려져 있다.
즉, 이와 같은 알려진 생태통로는, 야생생물의 이동로 제공, 야생동물 서식지로의 이동, 천적 및 대형교란으로부터 피난처 역할, 단편화된 생태계의 연결로로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 기온변화에 대한 저감 효과, 교육적·위락적 및 심미적 가치 제고, 개발억제 효과 등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생태 통로는 그 시공 환경에 따라서, 대부분 도로 등을 위에서 가로질러 시공되는 육교형(다리형) 생태 통로와 도로 지반을 관통하여 시공되는 공간이 넓은 터널형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육교형 생태 통로는,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또는 차선이 넓은 국도 등과 같이 횡단부위가 넓고, 절토지역 또는 장애물 등으로 동물을 위한 통로조성이 어려운 지역에 시공하고, 터널형은 도로 등의 지반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당한 크기의 터널 형태이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생태 통로(구조물)들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를 가로질러 그 위에 설치되는 육교형이나 도로나 철로 등의 지반을 관통하여 시공되는 터널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슴, 고양이과 동물, 멧돼지 등과 같은 덩치가 큰 동물들은 쉽게 이들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두꺼비, 개구리 등의 양서류나, 뱀 등의 파충류 또는, 쥐나 다람쥐 등의 작은 동물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육교형 위로 올라가는 것 자체가 어렵거나, 외부 노출(터널형인 경우 공간이 크기 때문)로 인한 큰 동물(짐승)의 먹이감으로 전락하기 쉽기 때문에, 기존의 육교형, 터널형 생태 통로만으로는 양서류, 파충류 또는 작은 야생 동물의 이동이나 피신 등의 보호가 어려운 것이었다.
따라서, 근래 생태 통로들을 통하여 덩치가 큰 야생동물들은 도로 등의 위험지역을 쉽게 이동하나, 앞에서 설명한 개구리 등의 양서류나, 뱀 등의 파충류 또는, 쥐나 다람쥐 등의 작은 동물들은, 도로, 철도 등의 위험지역을 쉽게 이동할 수 없고, 이는 특정 지역의 먹이사슬을 파괴하여 생태 교란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곤충, 두꺼비,개구리 등의 양서류, 뱀 등의 파충류 또는 작은 야생 동물들만이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건전한 생태 환경을 유지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도로, 철로 등의 위험지역을 개구리 등의 양서류나 뱀 등의 파충류 또는, 들쥐 등의 덩치가 작은 야생동물들이 기존의 육교형 또는 터널형 생태 통로 보다 더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 통과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이동공간과 피신공간을 제공하여 생태 교란이나 먹이 사슬의 파괴를 방지 가능하게 하는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의 일 예로서 본 발명은, 피 시공지역을 관통하여 시공된 생태 통로용 관부재를 포함하여 적어도 양서류 또는 파충류용으로 구성된 생태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인 일 측면의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피 시공지역을 관통하여 시공된 생태 통로용 관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내부에 제공되는 평탄재와 상기 관부재의 입,출구측에 제공되는 옹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을 포함하여 구성된 생태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피 시공지역의 지중을 관통하여 관 압입방식으로 관부재를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부재의 입,출구측에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태 통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생태통로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도로나 특정 구조물을 가로질러 안전하게 통과하도록 한 생태용 이동 다리 구조물,생태 터널 등 대신에, 양서류나 파충류만이 안전하고 도로나 특정 구조물을 안전하게 통과하도록 하여, 자연 생태 교란을 방지시키도록 하여 건강한 생태 환경 조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의 생태 통로는, 지중의 압입 방식으로 소정 직경의 관을 압입 시공하기 때문에, 기존 지형에 크게 공사를 할 필요없어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통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생태통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입,출구측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생태통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입,출구측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생태통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 및 입,출구측 사시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본 발명 생태 통로를 도시한 요부 정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관부재의 압인 시공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개구리, 두꺼비 등의 양서류 또는 뱀 등의 파충류용으로 사용되되, 바람직하게는 곤충이나 들쥐 등의 작은 동물용으로도 사용되는 생태 통로(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태통로(1)는, 기본적으로 시공지역(10)을 관통하여 시공된 생태 통로용 관부재(30)을 포함하여 적어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서류 또는 파충류 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생태통로(1)는, 상기 관 부재(30)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분에 제공되는 평탄재(50)와 상기 관부재의 입,출구측에 제공되는 옹벽(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 시공지역(10)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서는 폭이 넓은 도로, 국도 또는,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의 도로 지역으로 도시하였다,
물론, 이와 같은 피 시공지역(10)은 반드시 도로 지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철로가 설치되는 지역과 같이 앞에서 설명한, 양서류나 파충류 또는 덩치가 작은 야생동물 들이 통과하기 어려운 여러 형태의 지역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태통로(1)는, 개구리, 두꺼비 등의 양서류, 뱀 등의 파충류 또는, 기타 곤충이나 들쥐 등의 작은 동물들이 쉽고 안전하게 피 시공지역을 통과 가능하게 하여, 생태 교랸을 방지함으로써, 건전한 생태 환경 또는 야생의 먹이 사슬을 유지시키게 한다.
한편, 상기 관부재(30)는, 피 시공지역의 폭에 따라 이상의 단위 합성수지 관(PC관이나 GRP관 등), 강관 또는 콘크리트 흄관들을 피 시공지역(10)의 지중을 관통하는 관 압입시공을 매개로 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관부재(30)들이 압입설비(210)를 통하여 피 시공지역의 지중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종래 터널형 생태통로는 사실상 도로 구축시 공간이 큰 콘크리트 사각흄관 등을 시공하기 때문에, 도로 구축시 같이 시공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소정 직경 예를 들어 300-3000mm 정도의 직경을 갖는 관부재(30)들을 지중을 관통하여 압입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이미 도로 등이 구축된 후에도 원하는 위치에 쉽게 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부재(30)의 입구(30a)와 출구(30b)측에는 피 시공지역(10)의 경사면에 시공되는 블록층(12)이나 기타 지면으로 부터, 상기 관부재 입,출구의 유실을 방지토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옹벽(70)을 시공한다.
이와 같은 옹벽(70)은 측벽(74)과 관부재(30)의 하단에 연이어 접하는 바닥(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태 통로(1)는, 바람직하게는 관부재(30)의 내부 바닥측에 사실상 이동이 쉽지 않은 양서류, 파충류 또는 작은 동물의 관부재 통과를 용이토록 제공되는 토사, 몰탈 및 콘크리트 중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 구성되는 상기 평탄재(50)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면상 원형의 관부재(30)를 이용하여 생태통로(1)를 구축하여도, 상기 평탄재(50)는, 관부재 일측 즉, 시공후 바닥측에 제공되어 통로를 평탄하게 하기 때문에, 상기 야생동물들의 통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기 평판재(50)의 관부재내 고정를 견고토록 관부재에 평탄재 고정용 돌부(52) 즉, 작은 파이프나 철근 등으로 된 돌부(52)를 더 구비하도록 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도시한 봐와 같이, 상기 옹벽(70)의 바닥(72)은 상기 관부재 바닥측의 평탄재(50)와 높이를 같이하여, 야생동물들이 쉽게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7과 같이, 상기 관부재(30)와 옹벽(70)의 바닥(72)은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인데, 이경우 배수가 원활하게 되어, 생태통로를 물이차면서 이동을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시킬 것이다.
다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태 통로(1)는, 상기 관 부재(30)의 적어도 입,출구(30a)(30b) 측에 제공되는 차단부재(11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차단부재(110)는 도 7과 같이, 관부재 입,출구 측에 상부측에 수직하게 여러 개의 봉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단부재(110)는, 큰 동물등이 관부재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주변 지반의 유실로 돌덩어리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관부재내에 양서류, 파충류 또는 작은 야생 동물이 통과하는 경우, 입,출구 측이 막혀서 내부에 갇히지 않게 하고, 큰 동물이 들어오지 않게 하여, 본 발명의 관부재 공간은 피신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더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도시한 비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옹벽(70)의 전방으로 토사 또는 돌 등이 관 부재의 입구 또는 출구에 직접적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ㄱ'자 형태의 차단벽(90) 즉, 콘크리트 차단벽을 더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단벽(90)은 옹벽(70)의 측벽(74)과 사이에 작은 공간만을 형성하여, 앞에서 설명한 양서류, 파충류 또는 작은 야생동물만의 관부재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사람의 출입도 차단한다.
결국, 큰 야생동물의 관부재 내 진입이 어려워, 작은 동물(짐승)이나, 양서류, 파충류 또는 곤충 등의 피신공간을 관부재가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도 7과 같이, 상기 차단벽(90)은, 지반 유실에 따른 큰 돌덩이나 토사 등에 의한 통로 막힘을 차단벽(90)이 안전하게 차단시킬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생태 통로 특히, 양서류나 파충류 또는 작은 야생동물의 도로 등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생태통로(1)의 시공단계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 시공지역(10)의 지중을 관통하여 관 압입방식으로 관부재(30)를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부재(30)의 입,출구측에 옹벽(70)을 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상기 시공된 관 부재(30)의 바닥측에 평탄재(50)를 추후 처리하거나 관부재의 압입 시공시 평탄재가 처리된 관부재를 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평탄재(50)는, 양서류, 파충류 또는 작은 동물의 관부재 통과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생태통로 10.... 피 시공지역
30.... 관부재 50.... 평탄재
70.... 옹벽 72.... 옹벽 바닥
74.... 옹벽 측벽 90.... 차단벽
110.... 차단부재

Claims (9)

  1. 피 시공지역(10)을 관통하여 시공된 생태 통로용 관부재(30)를 포함하여 적어도 양서류 또는 파충류 용으로 구성된 생태 통로.
  2. 피 시공지역(10)을 관통하여 시공된 생태 통로용 관부재(30); 및,
    상기 관 부재(30)의 내부에 제공되는 평탄재(50)와 상기 관부재의 입,출구 측에 제공되는 옹벽(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태 통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30)는, 하나 이상의 단위 합성수지 관, 강관 또는 콘크리트 관이 관 압입시공을 매개로 피 시공지역(10)의 지중에 관통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통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는 배수를 원활토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 부재의 적어도 입,출구 측에 제공되는 차단부재(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통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재(50)는, 관부재의 내부 일측에 양서류, 파충류 또는 작은 동물의 관부재 통과를 용이토록 제공되는 토사, 몰탈 및 콘크리트 중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통로.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70)은, 시공된 관 부재의 입구(30a)와 출구(30b)측에 연계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공되고,
    상기 옹벽(70)을 구성하는 바닥(72)은, 배수를 원활토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옹벽(70)에 제공되는 차단벽(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통로.
  7. 피 시공지역(10)의 지중을 관통하여 관 압입방식으로 관부재(30)를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부재(30)의 입,출구측에 옹벽(70)을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태 통로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30)에 양서류, 파충류 또는 작은 동물의 관부재 통과를 용이토록 평탄재(50)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통로 시공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30)에 차단부재(110)를 더 시공하는 단계 ; 및,
    상기 옹벽(70)의 전방으로 차단벽(90)을 더 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통로 시공방법.
KR1020100037381A 2010-04-22 2010-04-22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17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381A KR20110117891A (ko) 2010-04-22 2010-04-22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381A KR20110117891A (ko) 2010-04-22 2010-04-22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891A true KR20110117891A (ko) 2011-10-28

Family

ID=4503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381A KR20110117891A (ko) 2010-04-22 2010-04-22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78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4608A (zh) * 2011-12-15 2013-06-19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基于生境因子的动物通行热区的评判方法
CN103164608B (zh) * 2011-12-15 2016-12-14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基于生境因子的动物通行热区的评判方法
KR102274203B1 (ko) * 2020-08-24 2021-07-07 주식회사 지오로직스 해안도로용 모래 유입경로 확보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4608A (zh) * 2011-12-15 2013-06-19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基于生境因子的动物通行热区的评判方法
CN103164608B (zh) * 2011-12-15 2016-12-14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基于生境因子的动物通行热区的评判方法
KR102274203B1 (ko) * 2020-08-24 2021-07-07 주식회사 지오로직스 해안도로용 모래 유입경로 확보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er Ree et al. Fencing: a valuable tool for reducing wildlife‐vehicle collisions and funnelling fauna to crossing structures
KR100868368B1 (ko) 로드킬 가드 펜스
Huijser et al. CONSTRUCTION GUIDELINES FOR WILDLIFE FENCING AND ASSOCIATED ESCAPE AND LATERAL ACCESS CONTROL MEASURES
Design Management
Beben Crossings for animals–an effective method of wild fauna conservation
US97840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a livestock fence across a waterway
Peay Eradication of alien crayfish populations
KR101373106B1 (ko) 야생동물 생태통로
KR20110117891A (ko) 생태 통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058340B1 (ko) 생태통로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20140048170A (ko) 양서류를 비롯하여 모든 동물들이 수로에 빠지거나 갖혔을 때에 탈출이 용이하도록 도와 주는 친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친환경 공법
McInroy et al. Trialling amphibian ladders within roadside gullypots in Angus, Scotland: 2014 impact study
KR200497306Y1 (ko) 수로관 사이에 설치되는 소형동물 탈출장치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Huijser et al. Best Practices Manual to Reduce Animal-Vehicle Collisions and Provide Habitat Connectivity for Wildlife
KR101087570B1 (ko) 생태통로유도벽
KR100789938B1 (ko)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KR101053784B1 (ko) 동물이동통로로 사용되는 배수로 및 이를 구비하는 펜스
CN101245670A (zh) 汽车公路空中田地
JP5326082B2 (ja) 害獣侵入防止用フェンス構造体
JP4492967B2 (ja) 連続自動獣類捕獲装置。
KR100897685B1 (ko) 소형동물의 이동을 제한 유도하는 자연친화형 소형 휀스
Huijser et al. EXPLORATION OF WILDLIFE MITIGATION MEASURES FOR THE ROADS THROUGH AND AROUND FISHERMAN ISLAND AND CHINCOTEAGUE NATIONAL WILDLIFE REFUGES, VIRGINIA
Dopp Reducing wildlife-vehicle collisions & preserving local climate/econ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