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456A -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6456A KR20110116456A KR1020100035879A KR20100035879A KR20110116456A KR 20110116456 A KR20110116456 A KR 20110116456A KR 1020100035879 A KR1020100035879 A KR 1020100035879A KR 20100035879 A KR20100035879 A KR 20100035879A KR 20110116456 A KR20110116456 A KR 201101164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ster
- low melting
- melting point
- weight
- block co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20—Polyesters having been prepared in the presence of compounds having one reactive group or more than two reactive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Germanium, 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Germanium, 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6—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60—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63—Viscos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90—Applications
- C08G2261/93—Applications in textiles, fabrics and yar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을 1차 에스테르화반응한 후,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을추가하여 2차 에스테르화반응하여 제조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 공중합으로 제조되어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어 접착성이 향상된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는 융점이 높아 용도가 제한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섬유 등의 접착용도에 있어서 심지 등의 용도나 테이프상의 직물 사이에 삽입하여 가압접착하게 되는 접착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섬유 직물 자체가 열열화되는 일이 있고, 고주파미싱 같은 특수한 장비를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통상의 간단한 가열 프레스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매트리스, 자동차용 내장재 또는 각종 부직포 패팅 용도로 제조시 사용되는 상호 섬유구조물에 있어 이종의 섬유를 접착하는 목적으로 핫멜트(Hot Melt)형 바인더 섬유가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에 있어서 저융점화한 것의 요구가 높고, 바인더(binder) 섬유나 접착제 등에 사용되다. 이와 같은 용도에는 일반적으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Polyester)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등록특허 4,129,675호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과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이용하여 공중합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가 소개되어 있으나,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은 고가의 재료로 대량의 이소프탈산을 이용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생산단가가 높아 경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평10-298271호에서는 결정성과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중합 제조과정에서 테레프탈산 대신에 아디핀산(Adipic Acid)을 사용하고, 에틸렌글리콜 대신에 디올(Diol)성분으로 1,4-부탄디올(BD)을 사용하여 접착성을 높여 주고 고온에서도 섬유의 강도 저하가 적은 섬유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디핀산(Adipic Acid)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융점이 150℃이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어려워 더 낮은 융점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융점이 150℃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어 열접착 강도가 우수한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뛰어난 접착특성(solubility parameter)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접착부위가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폴리에스터 섬유에 적용하였을 경우 우수한 접착특성을 발현함과 아울러 시간 경과 후에도 분리되지 않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을 1차 에스테르화반응한 후,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을 추가하여 2차 에스테르화반응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중합도(Pn)가 6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100중량부에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47~75중량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2.5~1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은 1차 에스테르화반응에서 상기 첨가량의 10~95중량%가 첨가되고 2차 에스테르화반응에서 5~90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연화점이 9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Tg)가 6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IV)가 0.55~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100중량부에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중 5~90중량%,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2.5~13중량부를 200~230℃에서 혼합되는 제1 혼합공정; 상기 제1혼합공정의 혼합물을 2.0~2.5 ㎏f/㎠압력하에서 240~260℃, 2~4시간동안 에스테르화시키는 1차 에스테르화반응공정; 상기 1차 에스테르 반응물에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중 5~90중량%,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47~75중량부를 230~240℃에서 혼합하는 제2 혼합공정; 상기 제2 혼합공정의 혼합물을 2.0~2.5 ㎏f/㎠압력하에서 240~260℃, 2~4시간동안 에스테르화시키는 2차 에스테르화반응공정; 및 상기 2차 에스테르 반응물을 0.1~1 Torr이하의 진공상태에서 275~285℃, 40~100분 동안 중합하는 중축합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도(Pn)는 60~90로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반응촉매로 삼산화안티몬(Sb2O3)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인산 또는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소광제(消光劑)로 TiO2 또는 SiO2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블록 공중합을 통하여 제조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random copolymer)와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로 나눠질 수 있다.
상기 랜덤 공중합체는 화학구조가 다른 단량체들이 무작위로 연결되어 중합체 사슬을 이룬 공중합체이고,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는 주 중합체 사슬에 따라 화학적으로 동일한 단량체 들이 몇 개 단위씩 배열된 공중합체이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에 비해 중합되는 각각의 화합물의 함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분자량 및 물성을 조절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을 1차 에스테르화반응한 후,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을추가하여 2차 에스테르화반응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고분자 중합도를 조절하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으로 테레프탈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이소프탈산의 각 함량을 조절하여 분자량 및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아디핀산(Adipic Acid), 1, 4-부탄디올(1, 4-butanediol),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등을 공중합물로 첨가하여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만을 이용하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도를 조절하여 방사성이 저하되지 않고, 낮은 융점의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도(Pn)는 60~90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중합도가 60미만일 경우에는 방사성이 저하되어 사용상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중합도가 90을 초과할 경우에는 융점이 높아지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합도를 60~90으로 제조하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연화점이 90~110℃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100중량부에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47~75중량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2.5~13중량부를 1차, 2차 에스테르 반응으로 제조된다..
상기 1차 에스테르화반응에 에틸렌글리콜의 총 첨가량의 1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거나 2차 에스테르화반응시 에틸렌글리콜의 총 첨가량의 5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 블록 공중합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은 1차 에스테르화반응에서 상기 첨가량의 10~95중량%가 첨가되고 2차 에스테르화반응에서 5~90중량%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과 함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중합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의 결정성을 낮추어 융점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후, 에틸렌글리콜에 보다 작용기가 많아 에틸렌글리콜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에 비해 염색성 및 흡습성을 향상 시킨다.
상기와 같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을 산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을 디올성분으로 제조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고유점도(IV)가 0.55~0.75로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고유점도가 0.55미만일 경우에는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의 물성이 떨어지고 내열성이 저하되어 사용하기 힘들며, 고유점도가 0.75를 초과할 경우에는 융점이 높아져서 목표하는 융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상기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Tg)가 6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은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을 혼합하는 제1 혼합공정, 상기 제1 혼합공정의 혼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1차 에스테르화 반응공정, 상기 1차 에스테르 반응물에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혼합하는 제2 혼합공정, 상기 제2 혼합공정의 혼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2차 에스테르화 반응공정, 상기 2차 에스테르반응물을 중합하는 중축합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제1 혼합공정은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100중량부에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중 5~90중량%,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2.5~13중량부를 200~230℃에서 혼합하는 공정으로 다음 공정인 에스테르화반응공정을 원할히 진행하기 위해 200~230℃에서 혼합공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상기 1차 에스테르화반응공정은 테레프탈산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의 디올성분을 에스테르화하여 에스테르반응물을 생성시키는 공정으로 상기 제1혼합공정의 혼합물을 2.0~2.5 ㎏f/㎠압력하에서 240~260℃, 2~4시간동안 에스테르화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제2 혼합공정은 상기 1차 에스테르 반응물에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중 5~90중량%,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47~75중량부를 230~240℃으로 2차 에스테르화반응공정을 원할히 진행하기 위해 230~240℃에서 혼합공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상기 2차 에스테르화반응공정은 이소프탈산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의 디올성분을 추가하여 에스테르화하여 에스테르반응물을 생성시키는 공정으로 상기 제1혼합공정의 혼합물을 2.0~2.5 ㎏f/㎠압력하에서 240~260℃, 2~4시간동안 에스테르화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중축합공정은 상기 2차 에스테르화반응공정에서 생성되는 에스테르 반응물을 중축합하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중합하는 공정으로 0.1~1 Torr이하의 진공상태에서 275~285℃, 40~100분 동안 중합하는 공정이다.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제조시의 중축합은 3시간이상 중합하여 제조되나 본 발명의 중충합공정은 40~100분간 중합하여 중합도를 조절한다.
상기 중충합 시간이 40분 미만인 경우에는 중합도 60미만으로 내려갈 수 있으며 수득율이 낮아지고 방사성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중충합 시간이 10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중합도가 상승하여 융점이 높아질 수 있으면 중합도가 90을 초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충합공정의 공정시간의 가장 바람직한 중충합시간은 55~90분이다.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반응촉매로 삼산화안티몬(Sb2O3), 산화티타늄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삼산화안티몬(Sb2O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에스테르 반응물의 열적 안정성을 위해 난연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인산 또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인산을 사용할 경우에는 H3PO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 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소광제(消光劑)로 TiO2 또는 SiO2를 첨가하여 광이 제거된 폴리에스테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이소프탈산, 디에틸렌글리콜의 작용과 60~90의 중합도로 연화점(Softing Point: SP)이 90~110℃의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이소프탈산과 디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종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에 비해 더 낮은 융점을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디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고가인 이소프탈산의 사용을 낮추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염색성을 뛰어나고, 흡수성이 좋은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로 다양한 사업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방사성이 우수하여 단섬유로 다양한 기능의 바인더 섬유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를 220℃에서 혼합하고, 2.1~2.3 ㎏f/㎠압력하에서 240~260℃, 3시간동안 1차 에스테르화시킨 후, 상기 1차 에스테르화의 에스테르 반응물에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230℃에서 혼합하고, 2.1~2.3 ㎏f/㎠압력하에서 240~260℃, 3시간동안 2차 에스테르화하였다.
상기 2차 에스테르화의 에스테르 반응물을 0.3 Torr이하의 진공상태에서 278~283℃에서 중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은 50분의 중합시간으로 중합하였고, 실시예 4 내지 6는 90분의 중합시간으로 중합하였다.
실시예 7은 실시예 2과 동일한 조성비로 30분의 중합시간으로 중합하였으며, 실시예 8은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성비로 140분의 중합시간으로 중합하였다.
상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의 조성비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1차, 2차 혼합공정의 첨가량은 총첨가량의 반을 각각 투입하였다.
구분 |
투입량(중량%) | |||
TPA | IPA | EG | DEG | |
실시예 1 | 43.3 | 25.0 | 30.6 | 1.2 |
실시예 2 | 39.2 | 28.7 | 30.4 | 1.7 |
실시예 3 | 35.8 | 31.9 | 30.4 | 1.9 |
실시예 4 | 40.1 | 26.4 | 29.8 | 3.6 |
실시예 5 | 40.7 | 25.7 | 29.7 | 3.9 |
실시예 6 | 40.4 | 25.9 | 29.7 | 4.0 |
실시예 7 | 39.2 | 28.7 | 30.4 | 1.7 |
실시예 8 | 40.1 | 26.4 | 29.8 | 3.6 |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연화점(SP), 유리전이온도(Tg), 고유점도, 중합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들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용융하여 240~275℃에서 방사하여 연신비 3.20으로 연신공정을 통해 필라멘트를 제조하여 방사성을 평가하였다.
SP(℃) | Tg(℃) | IV | 중합도 | 방사성 | |
실시예 1 | 86 | 62.8 | 0.463 | 68.1 | ○ |
실시예 2 | 99.9 | 63.2 | 0.556 | 62.8 | ○ |
실시예 3 | 102.6 | 67.1 | 0.595 | 69.2 | ○ |
실시예 4 | 99.0 | 58.8 | 0.637 | 71.5 | ○ |
실시예 5 | 102.0 | 51.3 | 0.676 | 74.7 | ○ |
실시예 6 | 102.0 | 55.0 | 0.696 | 80.4 | ○ |
실시예 7 | 84.3 | 49.3 | 0.409 | 52.6 | △ |
실시예 8 | 162.0 | 79.6 | 0.766 | 94.3 | ○ |
상기 표 2에서 나타나 바와 같이 중합시간을 50분, 90분으로 중합한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 연화점이 105℃이하로 저온에서 용융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중합시간이 30분인 실시예 7의 경우 더 낮은 연화점을 갖는 것을 알 수있으나 방사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사용상에 문제점이 있으며, 중합시간이 140분인 실시예 8의 경우에는 방사성이 좋으나 연화점이 높은 문제점으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중합시간이 40~100분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1)
-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을 1차 에스테르화반응한 후,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을추가하여 2차 에스테르화반응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중합도(Pn)가 6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100중량부에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47~75중량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2.5~1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은 1차 에스테르화반응에서 상기 첨가량의 10~95중량%가 첨가되고 2차 에스테르화반응에서 5~90중량%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연화점이 9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Tg)가 6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IV)가 0.55~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100중량부에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중 10~95중량%,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 2.5~13중량부를 200~230℃에서 혼합되는 제1 혼합공정;
상기 제1혼합공정의 혼합물을 2.0~2.5 ㎏f/㎠압력하에서 240~260℃, 2~4시간동안 에스테르화시키는 1차 에스테르화반응공정;
상기 1차 에스테르 반응물에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67~74중량부 중 5~90중량%,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47~75중량부를 230~240℃에서 혼합하는 제2 혼합공정;
상기 제2 혼합공정의 혼합물을 2.0~2.5 ㎏f/㎠압력하에서 240~260℃, 2~4시간동안 에스테르화시키는 2차 에스테르화반응공정; 및
상기 2차 에스테르 반응물을 0.1~1 Torr이하의 진공상태에서 275~285℃, 40~100분 동안 중합하는 중축합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도(Pn)는 60~90로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반응촉매로 삼산화안티몬(Sb2O3)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인산 또는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축합공정에서 소광제(消光劑)로 TiO2 또는 SiO2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5879A KR101201390B1 (ko) | 2010-04-19 | 2010-04-19 |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5879A KR101201390B1 (ko) | 2010-04-19 | 2010-04-19 |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6456A true KR20110116456A (ko) | 2011-10-26 |
KR101201390B1 KR101201390B1 (ko) | 2012-11-15 |
Family
ID=4503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5879A KR101201390B1 (ko) | 2010-04-19 | 2010-04-19 |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139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85185A (zh) * | 2011-12-27 | 2012-07-18 | 厦门翔鹭化纤股份有限公司 | 一种低熔点聚酯切粒的制作方法 |
CN112760739A (zh) * | 2020-12-31 | 2021-05-07 | 扬州富威尔复合材料有限公司 | 一种汽车内饰用低熔点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30480A1 (en) | 2008-07-02 | 2011-06-02 | Invista North America S.A.R.I. | Copolyester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
-
2010
- 2010-04-19 KR KR1020100035879A patent/KR10120139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85185A (zh) * | 2011-12-27 | 2012-07-18 | 厦门翔鹭化纤股份有限公司 | 一种低熔点聚酯切粒的制作方法 |
CN112760739A (zh) * | 2020-12-31 | 2021-05-07 | 扬州富威尔复合材料有限公司 | 一种汽车内饰用低熔点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1390B1 (ko) | 2012-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6690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60079347A (ko) |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 |
KR102090291B1 (ko) |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 |
EP3309280A1 (en) | Low melting point conjugate fiber | |
KR102061805B1 (ko) |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구현된 열접착성 복합섬유및 부직포 | |
KR101201390B1 (ko) |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13166381B (zh) | 粘合强度得到改善的粘合剂用聚酯树脂以及使用此的聚酯纤维 | |
KR102148956B1 (ko) | 공정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 |
KR101099023B1 (ko) | 결정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이를 이용한 바인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44065B1 (ko) | 공정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 |
KR101201389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115821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융착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 |
KR20200114395A (ko) |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 |
KR101766903B1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00040370A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 |
KR20130078537A (ko)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이를 이용한 바인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43372B1 (ko) | 촉감과 색상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 |
KR20180120374A (ko) |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 |
KR102183240B1 (ko) | 고강도 난연 복합사 | |
KR20130077578A (ko) | 난연성을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이를 이용한 바인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20073245A (ko) |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 |
KR102274945B1 (ko) |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 |
KR20180062606A (ko) |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 |
KR102509121B1 (ko) | 열접착성 섬유,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 |
KR102564978B1 (ko) |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