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345A -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345A
KR20110116345A KR1020100035718A KR20100035718A KR20110116345A KR 20110116345 A KR20110116345 A KR 20110116345A KR 1020100035718 A KR1020100035718 A KR 1020100035718A KR 20100035718 A KR20100035718 A KR 20100035718A KR 20110116345 A KR20110116345 A KR 2011011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e
weight
oil
composition
const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세진
라찬수
유랑국
오유진
정진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35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6345A/ko
Publication of KR2011011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로에와 식물성 유지를 동시에 함유함으로써 알로에의 쓴맛을 마스킹하여 기호도를 높이고, 위 자극, 배아픔, 어지러움증 및 메스꺼움 등 알로에 섭취 시 발생하는 부작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배변 횟수를 증가시키고 배변시간을 단축하여 전반적인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lieving constipation containing aloe and vegetable oils}
본 발명은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로에와 식물성 유지를 동시에 함유함으로써 알로에의 쓴맛을 마스킹하여 기호도를 높이고, 위 자극, 배아픔, 어지러움증 및 메스꺼움 등 알로에 섭취 시 발생하는 부작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배변 횟수를 증가시키고 배변시간을 단축하여 전반적인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제된 탄수화물과 육류의 섭취는 증가하는 반면, 육체적 활동 시간은 줄어 들고 스트레스에 점점 더 노출되면서 현대인들의 성인병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10% 정도가 변비 증상이 있으며, 이는 수 백만명에 달하는 수치이다. 변비 증상은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생리적인 호르몬 변화와 무리한 다이어트 등으로 인한 불규칙적인 식사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또한 스트레스에 쉽게 반응하여 소화기관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비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로에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알로에는 한방에서는 노회라고 불리며, 변통을 위한 보조제로 사용되었다. 알로에는 백합목 백합과의 한 속으로 세계 여러 지역에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600 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이 중 현재 건강기능식품에서는 알로에 베라(Aloe vera), 아보레센스(Aloe arborescence; 키타치) 및 사포나리아(Aloe saponaria)의 잎만을 허용하고 있어, 건강기능식품에서의 ‘알로에 전잎’은 알로에 베라, 아보레센스, 사포나리아의 잎 중 비가식 부분을 제거한 후 건조하거나 분쇄, 농축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알로에 전잎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분으로는 아세만난(acemannan)과 같은 다당류(polysaccharides), 당단백질(glycoprotein) 및 알로인(aloin)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특히 알로인은 배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Capasso 등(1998)은 알로인이 소장에서 유액의 배출을 촉진시켜 Na-K-ATPase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점막 투과율을 상승시켜 대장활동을 조절한다고 보고하였다. Ishii 등(1990)은 쥐의 대장에 알로에-에모딘(emodin)-9-안트론(anthrone)을 주입하고 1시간 뒤 대장의 수분함량을 관찰한 결과 대장의 수분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Ishii 등(1998)은 알로인에서 분리한 아이오바바로인(isobarbaloin)이 쥐의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도와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알로에는 식품원료로서 오랫동안 섭취되어 왔으나, 과량으로 섭취하는 경우 위 장관 경련, 전해질 불균형, 장 점막 색소침착 및 장운동 둔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The German Commission E Monographs (199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로에에 의한 부작용은 적으면서 그 효능만을 취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알로에와 식물성 유지를 함께 함유할 경우 알로에 특유의 쓴맛을 마스킹하면서 동시에 위장관 경련, 배아픔, 어지러움증 및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로에 특유의 쓴맛을 마스킹하면서 알로에에 의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비 해소용 조성물은 알로에와 식물성 유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알로에의 쓴맛을 마스킹하여 알로에만 섭취할 때 보다 전체적인 기호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알로에 섭취 시 발생하는 위 자극, 배아픔, 어지러움증 및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도와줄 수 있었다.
도 1은 각 샘플 음용 시 3일 동안 배변 성공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8가지 샘플에 대한 위의 자극도와 배아픔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8가지 샘플에 대한 어지러움증과 메스꺼움의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알로에의 쓴맛을 마스킹하여 기호도를 개선하고, 알로에 섭취 시 발생하는 위 자극, 배아픔, 어지러움증 및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켜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로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이 허용된 알로에 전잎, 예를 들면, 알로에 베라, 아보레센스 또는 사포나리아의 잎을 분쇄, 농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분말 형태로 제조된 알로에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알로에 분말은 공전 규격에 맞도록 알로에의 전잎 중에 비가식 부분을 제외하고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의 함량이 0.5%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류식 분쇄방식으로 분쇄한 알로에 베라 분말을 사용하였고, 입도는 D50이 40 ㎛가 되도록 하였다. 이 보다 작은 분말의 경우는 물에서 음용 시 분말이 유지와 함께 표면에서 굳게 되어 식감이 떨어지고, 입도가 이보다 클 경우에는 분말이 이물감으로 느껴지게 되어 소비자의 불만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비 해소용 조성물은 상기 알로에를 조성물 총 중량 중에 0.5∼15 중량% 함유할 수 있으며, 알로에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배변 개선의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15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용 시 위자극, 배아픔, 어지러움증 및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물성 유지는 야자경화유, 팜유, 올리브유, 대두유, 아마인유, 들기름 및 미강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각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유지들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식물성 유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식물성 유지의 유화, 분말화 및 안정화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레시틴 0.1∼0.5 중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01∼0.3 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01∼0.3 중량%, 메타인산나트륨 0.1∼0.5 중량%, 이산화규소 0.1∼0.5 중량%, 제2인산칼륨 1.0∼5.0 중량%, 카제인나트륨 2.0∼7.0 중량%, 정제염 0.01∼0.3 중량% 및 전분당 50∼65 중량%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변비 해소용 조성물은 상기 알로에에 대하여 식물성 유지를 1:3∼6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알로에:식물성유지=1:3∼60). 이때,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3배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알로에 특유의 쓴맛을 제대로 마스킹할 수 없어 기호도가 낮아지며, 60배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알로에의 변비개선 효과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비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오일 또는 수성매질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가 되거나, 사용하기 전에 무균,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로 녹여 사용하는 건조분말의 형태가 되어 음료, 환, 과립, 정제 또는 캡슐 등의 경구용 제형 또는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용 제형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carrier) 또는 부형제(forming agent)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제, 함당정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분산가능 가루 또는 입자, 유화액, 연질 또는 경질 캡슐, 시럽 또는 일릭서와 같은 형태로 제제화되며, 이는 단위 투여량 형태 및 다용량 용기에 담아서 완성품을 제조할 수 있다.
경구용 제형 중, 정제는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락토오스, 인산칼슘 및 인산나트륨 등의 불활성 희석제; 옥수수, 녹말 및 알긴산 등의 입자화제; 붕해제; 녹말, 젤라틴 및 아카시아 등의 결합제;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및 탈크 등의 윤활제와 같이, 정제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부형제와 혼합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거나, 위장관내의 흡수와 정제의 분해를 저해하기 위해 코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와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등의 시간 저해 물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경질캅셀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들을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카올린 등의 불활성 고체 희석제에 섞은 것이고, 연질캅셀은 물이나 혼합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EGs(polyethylene glycol) 및 에탄올 등의 용매와 땅콩기름, 액상 파라핀 및 올리브 오일 등의 기름 용매에 활성성분을 섞은 것이다.
수용성 현탁제는 수용성 현탁제 제조에 적당한 부형제와 활성 성분을 함께 혼합한 것으로, 부형제로는, 예를 들면,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래거캔스검(gum tragacanth) 및 아카시아검(gum acacia) 등의 현탁화제;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과 알킬렌 옥사이드를 축합한 화합물들;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heptadecaethyleneoxycetanol)과 같이 긴 지방산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축합한 화합물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올레이트와 같이 무수헥시톨(hexitol anhydride)과 지방산에서 유래한 부분 에스테르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한 화합물들; 습윤제; 또는 분산화제 등이 있다. 상기 수용성 현탁제는 방부제, 착색제, 향신료 및 감미료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유성 현탁제는 올리브유, 세사미유(sesami oil) 등의 식물성 오일 또는 액상 파라핀 같은 광물성 오일에 활성 성분을 현탁시킨 것으로, 예를 들어 비즈왁스, 경화 파라핀 및 세틸알코올 등의 농후제(thickening agent)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 착색제, 향신료 및 감미료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성은 비타민 C 같은 항산화제를 가하여 보존할 수 있다.
분산성의 파우더와 입자는 분산화제, 습윤제, 현탁화제 및 보존제 등을 넣어 함께 혼합한 상태로 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다. 적절한 분산화제, 습윤제나 현탁화제는 앞서 이미 언급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부가적인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감미료, 향신료 및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유중수형 유화액은 올리브유 같은 식물성 기름 또는 액상 파라핀 같은 광물성 오일을 유상으로 하고, 대두레시틴(soy bean lecithin) 등의 자연산 인지질,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와 같은 무수헤시톨이나 지방산의 에스테르에서 유래된 것, 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올레이트와 같이 무수헥시톨(hexitol anhydride)과 지방산에서 유래한 부분 에스테르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한 화합물들을 유화제로 하여 활성성분을 유화시킨 것 등이 있다.
시럽과 일릭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수크로오스 등의 감미료와 함께 활성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비 해소용 조성물을 식품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음료수, 제빵, 드링크, 유지류, 아이스크림, 과자, 떡, 스넥류, 이유식, 주류, 조미료류, 레토르트 또는 통조림 등의 각종 조리가공식품류로 제조가 가능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변비 해소용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음용량은 체중이 60 kg인 성인을 기준으로 5∼3,000 mg/kg체중,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mg/kg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음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 대상,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음용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참고예 1] 알로에 분말 제조
알로에 베라 전잎 중에 비가식 부분을 제거한 다음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80∼9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기류식 분쇄방식을 통해 D50이 40 ㎛가 되도록 분쇄하여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의 함량이 0.5%가 되도록 알로에 분말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2] 식물성 유지 분말 제조
식물성 유지(야자경화유, 팜유, 올리브유, 대두유, 아마인유, 들기름 또는 미강유) 35 중량%, 레시틴 0.2 중량%, 글리세진지방산에스테르 0.1 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1 중량%, 메타인산나트륨 0.2 중량%, 이산화규소 0.3 중량%, 제2인산칼륨 2.2 중량%, 카제인나트륨 4.2 중량%, 정제염 0.1 중량% 및 전분당 57.6 중량%를 정량하여 혼합한 후 50∼60% 농도가 되도록 가수교반하여 용해하였다. 70∼75℃에서 15분간 살균한 다음 여과기로 여과한 후 고압균질기로 균질화하고 분무건조하여 식물성 유지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변비 해소용 조성물 제조
본 실험에서는 알로에의 1회 음용 양을 건강기능식품 공전상의 기준인, 무수바바로인기준 20∼30 mg의 1/3인 7∼10 mg으로 기준을 선정하여 알로에 스팩에 맞도록 무수바바로인 7.5 mg을 함유하도록 0.5% 알로에 분말(참고예 1) 1,500 mg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알로에 분말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에 따라 식물성 유지 분말(참고예 2)을 알로에의 3∼60배로 처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1] 알로에와 식물성 유지 혼합 처방에 대한 기호도 평가
식품 전문 패널 12명에게 참고예 1의 알로에 분말 1,500 mg과 참고예 2의 다양한 식물성 유지 분말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하여 처방한 후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이 중 기호도가 높은 하기 7종의 식물성 유지를 선택하여 식물성 유지의 혼합비율에 따른 기호도를 다시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총 7점 스케일로 하였고, 보다 상세하게는 전혀없음 1점, 없음 2점, 없는편 3점, 보통 4점, 있는편 5점, 있음 6점 및 아주 있음 7점으로 평가하였다.
알로에 분말 단독 섭취의 경우 분말의 강한 풀향과 뒤끝이 끌리는 쓴맛으로 기호도가 거의 1에 가까웠다. 기호도 개선의 목표는 일반 미과즙 음료의 평균 점수인 4.8 수준인 것을 고려하여 4점을 목표로 하였다. 12명의 전문 패널은 하루에 7개씩 6일 동안 평가를 하였으며, 샘플 제공순서는 랜덤하게 하여 쓴맛 감각 수용에 따른 기호도 오차를 줄이도록 디자인하였다. 음용방법은 알로에 분말과 식물성 유지 분말을 잘 혼합한 후 70℃ 물 120 ml에 녹여 음용하도록 하였다.
전문패널 기호도 평가결과(패널 12명의 평균값, ( )는 표준편차)
구분 3배 12배 24배 36배 48배 60배
야자경화유 1.33(0.49) 2.07(0.85) 2.95(0.62) 3.83(0.58) 4.25(0.75) 4.31(0.65)
팜유 1.21(0.35) 1.82(0.46) 2.41(0.49) 3.82(0.28) 4.21(0.67) 4.05(0.74)
올리브유 1.12(0.91) 1.61(0.56) 2.55(0.67) 3.31(0.73) 4.10(0.59) 4.39(0.38)
대두유 1.45(0.54) 1.92(0.12) 2.79(0.81) 3.49(0.31) 4.03(0.18) 4.11(0.69)
아마인유 1.38(0.62) 2.03(0.78) 2.98(0.43) 3.78(0.57) 4.12(0.58) 4.28(0.42)
들기름 1.68(0.74) 2.36(0.91) 3.04(0.37) 3.91(0.76) 4.56(0.94) 4.50(0.82)
미강유 1.34(0.21) 1.68(0.61) 2.29(0.93) 2.56(0.38) 3.21(0.29) 3.81(0.34)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식물성 유지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알로에의 쓴맛이 마스킹되고 기호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48배를 넘어가면서 기호도의 증가폭이 둔화되었다. 즉,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60배를 초과하여도 마스킹 효과 면에서는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군 중 들기름과 알로에 분말을 함께 처방한 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들기름의 독특한 향에 의해 알로에의 이취가 반감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2] 알로에와 식물성 유지 혼합 처방에 대한 소비자 테스트
소비자 테스트는 변비 증상이 있고, 변비제품 테스트를 희망하는 20∼40대 여성 8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각 대상은 10명씩 총 8개 그룹으로 랜덤하게 분류하여 각각 해당하는 샘플을 나누어 주었다. 각 샘플 음용법은 기호도 측정 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섭취하도록 하였다. 총 측정일은 3일간 측정하였으며, 식사는 규칙적으로 하도록 하고, 하루 중 가급적 같은 시간에 음용하도록 권장하였다.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높을 때에는 한정된 제품 포장 시에 기능성 성분인 알로에의 함량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어, 본 실험에서는 참고예 2의 식물성 유지 분말을 36배 처방하여 실시하였다.
샘플명 참고예 1의
알로에 분말
참고예 2의
식물성 유지 분말
H 1500 mg 0
I 1500 mg 야자경화유 54 g
J 1500 mg 팜유 54 g
K 1500 mg 올리브유 54 g
L 1500 mg 대두유 54 g
M 1500 mg 아마인유 54 g
N 1500 mg 들기름 54 g
O 1500 mg 미강유 54 g
설문조사는 변비 증상을 도와주는지에 대한 확인 및 부작용 요소들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먼저, 배변활동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물질 섭취 이전에 배변 횟수를 조사하고 이를 섭취 후와 비교하여 배변횟수에 따른 배변성공률(%)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서, 알로에의 기능성 성분으로 인한 배변 개선효과는 식물성 유지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섭취 후 알로에 분말로 기인한 안트라퀴논에 의해 배변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식물성 유지 종류에 따른 안트라퀴논 작용의 방해 또는 억제 작용이 없음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각 샘플에 대한 부작용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자극 정도, 배아픔, 어지러움증 및 메스꺼움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전혀없음 1점, 없음 2점, 없는편 3점, 보통 4점, 있는편 5점, 있음 6점, 아주 있음 7점으로 평가하였고, 점수가 낮을수록 부작용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결과에서, 식물성 유지와 함께 섭취한 군이 알로에만 섭취한 군에 비해 위 자극도 및 배아픔 정도가 모두 감소하였다. 위 자극도의 경우 알로에 단독으로 섭취한 군보다 식물성 유지와 함께 섭취한 군에서 2∼3, 즉 평균 2.5 정도 감소하였는데, 이는 식물성 유지가 알로에로 인한 위 자극으로부터 위를 많이 보호해 줌을 시사한다.
도 3의 결과에서, 식물성 유지와 함께 섭취한 군이 알로에만 섭취한 군에 비해 메스꺼움과 어지러움증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역시 알로에의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메스꺼움과 어지러움증이 식물성 유지와 함께 섭취함으로써 감소되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알로에와 식물성 유지를 함께 섭취할 경우 배변 개선효능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알로에에 의한 위 경련, 배아픔, 메스꺼움 및 어지러움증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알로에의 쓴맛을 마스킹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변비 해소용 조성물의 제형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알로에와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여 알로에의 쓴맛을 마스킹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키고, 부작용은 완화시킨 배변 개선에 도움이 되는 식품 조성물을 하기의 표 3과 같이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함량
야자경화유 분말 77.14
알로에 분말 2.14
피넛향 0.29
탈지분유 7.14
미립당 11.86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1.43

Claims (7)

  1.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는 알로에 베라, 아보레센스 및 사포나리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추출물인 변비 해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15 중량%로 함유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유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식물성 유지 30∼40 중량%로 함유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레시틴 0.1∼0.5 중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01∼0.3 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01∼0.3 중량%, 메타인산나트륨 0.1∼0.5 중량%, 이산화규소 0.1∼0.5 중량%, 제2인산칼륨 1.0∼5.0 중량%, 카제인나트륨 2.0∼7.0 중량%, 정제염 0.01∼0.3 중량% 및 전분당 50∼65 중량%를 더 포함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유지는 야자경화유, 팜유, 올리브유, 대두유, 아마인유, 들기름 및 미강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변비 해소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는 1:3∼6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변비 해소용 조성물.
KR1020100035718A 2010-04-19 2010-04-19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KR20110116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18A KR20110116345A (ko) 2010-04-19 2010-04-19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18A KR20110116345A (ko) 2010-04-19 2010-04-19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45A true KR20110116345A (ko) 2011-10-26

Family

ID=4503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718A KR20110116345A (ko) 2010-04-19 2010-04-19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63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9432A1 (en) * 2012-12-05 2014-07-17 Richard Alexander SCHMOTTER Alkaline compositions
US9072316B2 (en) 2012-12-05 2015-07-07 Richard Alexander SCHMOTTER Alkaline compositions
KR20170014179A (ko) 2015-07-29 2017-02-08 제너럴바이오(주) L-카르니틴 구연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배변촉진 겸용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2000170B1 (ko) 2018-06-14 2019-07-16 정건희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20220053792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로렌츄컴퍼니 변비 및 소화개선용 초콜렛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9432A1 (en) * 2012-12-05 2014-07-17 Richard Alexander SCHMOTTER Alkaline compositions
US9072316B2 (en) 2012-12-05 2015-07-07 Richard Alexander SCHMOTTER Alkaline compositions
KR20170014179A (ko) 2015-07-29 2017-02-08 제너럴바이오(주) L-카르니틴 구연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배변촉진 겸용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2000170B1 (ko) 2018-06-14 2019-07-16 정건희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20220053792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로렌츄컴퍼니 변비 및 소화개선용 초콜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US2012017118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nutr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nutraceutical produced by the method
KR20080030633A (ko) 스트레스의 치료 또는 처치방법
JP2006188486A (ja) 体脂肪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EP0930019A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and foods and drinks containing the same
US7674484B2 (en) Dietary supplement including He Shou Wu, parasitic loranthus and green tea to promote weight loss
KR20110116345A (ko) 알로에 및 식물성 유지를 함유하는 변비 해소용 조성물
JP6042800B2 (ja) トマトシドaの抽出方法
JP2010275288A (ja) 宿酔を予防及び改善する機能性組成物とこれを含む食品及び食品添加剤
JP2006104182A (ja) 体脂肪低減組成物
KR101742266B1 (ko)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WO2008023425A1 (fr) Composition pour l'amélioration de l'état de la peau
JP2022124984A (ja) リパーゼ活性阻害剤及びその利用
KR10049652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10125958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20120016960A (ko)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176176B2 (ja) 脂質代謝改善物、飲食品、および医薬品
KR100832520B1 (ko)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JP4626081B2 (ja) 膵臓リパーゼ阻害剤
KR20120016962A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20741A (ko) 감 껍질, 감 과육, 감잎 및 고욤잎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30133493A (ko) 울금 추출물의 간 지질대사 개선 또는 비만 개선 용도
JP4310567B2 (ja) 血中脂質改善剤
KR101203752B1 (ko) 홍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