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828A -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828A
KR20110114828A KR1020100034175A KR20100034175A KR20110114828A KR 20110114828 A KR20110114828 A KR 20110114828A KR 1020100034175 A KR1020100034175 A KR 1020100034175A KR 20100034175 A KR20100034175 A KR 20100034175A KR 20110114828 A KR20110114828 A KR 20110114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parking
front wheel
clamp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716B1 (ko
Inventor
이규원
Original Assignee
다이후쿠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후쿠코리아 (주) filed Critical 다이후쿠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00034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7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고공간에서 운행되는 자전거입출고장치와 주차공간에서 운행되는 자전거운반주차장치간의 환적을 통해서 자전거 주차 속도를 개선한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에서, 주차공간에 마련되어 주차공간 입구에서 자전거입출고장치로부터 입고되는 자전거를 환적 받아 주차대까지 운반하여 주차하고, 주차대로부터 출고되는 자전거를 인출하여 주차공간 입구까지 운반한 후 자전거입출고장치에 환적하는 자전거운반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를 파지하여 견인하고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고 견인턴테이블과, 상기 견인턴테이블 하부에 마련되어 레일을 타고 주차공간의 입구에서 자전거 주차대까지 왕복할 수 있는 주행대차로 이루어지되, 상기 견인턴테이블은, 클램프용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클램프 내측에 자전거 앞바퀴가 클램프 내로 일정거리 진입했을 때만 접촉할 수 있는 바퀴접촉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퀴접촉판의 배후에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상기 바퀴접촉판에 접촉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가 자전거 앞바퀴가 상기 바퀴접촉판에 접촉하였음을 감지할 때만 상기 클램프용 모터를 구동하여 클램프로 자전거 앞바퀴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CARRYING AND PARKING APPARATUS FOR BICYCLES PA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자전거운반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입출고공간에서 운행되는 자전거입출고장치와 주차공간에서 운행되는 자전거운반주차장치간의 환적을 통해서 자전거 주차 속도를 개선한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에서, 주차공간에 마련되어 주차공간 입구에서 자전거입출고장치로부터 입고되는 자전거를 환적 받아 주차대까지 운반하여 주차하고, 주차대로부터 출고되는 자전거를 인출하여 주차공간 입구까지 운반한 후 자전거입출고장치에 환적하는 자전거운반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대기 오염 개선 등의 이유로 자전거 이용이 권장되고 있고, 이에 따라 지하철역, 터미널, 공원, 백화점 등 대중이용 상업시설과, 아파트 등 집합건물 주변에는 자전거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많은 대수의 자전거를 함께 주차시킬 수 있는 공용 자전거주차설비가 마련되고 있다.
자전거주차설비의 대부분은 주차공간이 다층 구조를 가지며, 각 층에는 자전거 주차대가 일렬 또는 방사형으로 다수 배치된다. 주차대가 일렬로 배치되는 주차공간은 주차공간의 평면 형태가 직사각형이고, 주차대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주차공간은 주차공간의 평면형태가 원형이다. 자전거는 통상 1개 층에 마련된 하나의 출입구를 통하여 주차 설비 내에 입고 또는 출고되며, 따라서, 주차 설비 내에는 입고 또는 출고시 자전거를 주차 설비 외부출입구로부터, 주차대까지 이동시켜 주차시키거나, 주차된 자전거를 인출하여 외부출입구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특허등록 제10-938141호 및 한국특허등록 제10-939363호 발명은, 자전거의 외부출입구와 방사형으로 배치된 주차대 사이에, 정위치에서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한 자전거입출고장치를 마련하고, 이 입출고 장치에 의하여, 주차 설비의 외부출입구로부터 자전거를 적재하여, 비어있는 주차대의 위치까지 승강 및 회전한 후, 입출고 장치로부터 주차대에 직접 자전거를 수평이동시켜 주차시키는 자전거주차설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자전거주차설비는, 층수를 늘리는 데 제한이 없지만, 주차대가 항상 승강 및 회전하는 입출고 장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자전거 주차공간을 평면적으로 넓게 확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입출고 장치가 주차 설비 외부출입구에서 1대의 자전거를 인수하여 주차대에 주차시킬 때까지, 다른 자전거는 입고 및 출고 절차를 진행할 수 없으므로, 자전거 입출고 대기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 설비는 다수의 자전거 이용자가 출퇴근시간 등 동시간대에 몰리는 공공장소에 설치되기는 부적합하다.
한국특허등록 제10-880011호 및 한국특허등록 제10-930812호 발명은, 직사각 평면을 갖는 주차공간의 바닥 중앙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 양측에 주차대를 일렬로 다수 설치한 후, 정위치에서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레일을 따라 주차공간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자전거 입출고 장치를 마련하여, 이 입출고 장치에 의하여, 주차 설비의 외부출입구로부터 자전거를 적재하여, 비어있는 주차대의 위치까지 승강, 수평이송 및 회전한 후, 자전거 입출고 장치로부터 주차대에 직접 자전거를 수평이동시켜 주차시키는 자전거주차설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자전거주차설비는, 층수를 늘리는 데 제한이 없고, 입출고 장치가 자전거를 평면적으로 수평 이송시켜 주차대까지 운반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 주차공간을 평면적으로 넓게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 한국특허등록 제10-938141호 및 한국특허등록 제10-939363호 발명에 비하여 장점이 있지만, 입출고 장치가 주차 설비 외부출입구에서 1대의 자전거를 인수하여 주차대에 주차시킬 때까지, 다른 자전거는 입고 및 출고 절차를 진행할 수 없고, 따라서 자전거 입출고 대기시간이 길어진다는 점에서는 위 한국특허등록 제10-938141호 및 한국특허등록 제10-939363호 발명과 다를 바 없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 설비도 다수의 자전거 이용자가 출퇴근시간 등 동 시간대에 몰리는 공공장소에 설치되기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대중 자전거주차설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를 개발하였는바, 본 발명은 이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의 주차공간에 마련되어, 입고되는 자전거를 상기 주차공간 입구에서 자전거입출고장치로부터 환적 받은 후 자전거 주차대까지 운반하여 적재하고, 출고되는 자전거를 자전거 주차대에서 견인하여 적재한 후 주차공간 입구까지 운반하여 자전거입출고장치에 환적하는 자전거운반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i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의 입출고공간(11)에 마련된 자전거입출고장치(3)와 주차공간(7a, 7b)에 마련된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간에 자전거(B)의 환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외부출입구(1)에서 입고시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이 그 클램프(35)에 의하여 입고되는 자전거(B)의 앞바퀴 회전축 하부 타이어를 파지한 후 견인하여 견인턴테이블(27)에 적재하고, 적재된 자전거에 대한 파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환적 지점까지 이송한 후, 환적 지점에서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와 환적할 때,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용 견인턴테이블의 클램프(89a, 89b)에 의하여 자전거(B)의 앞바퀴 회전축을 양측에서 파지함과 동시에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의 클램프(35)는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 하부 타이어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자전거 전장 및 앞바퀴의 지름은 자전거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환적시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의 클램프(89a, 89b)가 자전거 앞바퀴의 회전축 양측을 정확히 파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가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로부터 자전거를 환적 받아 주차대까지 운반한 후 주차대에 주차할 때에도, 자전거의 전장 길이나 앞바퀴 지름에 상관없이, 자전거의 앞바퀴를 주차대에 항상 일정한 지점까지만 진입시킨 후 주차시켜야 출고시 정확하게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을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환적형 자전거 주차설비에서 자전거의 전장 길이 및 앞바퀴 지름이 다른 자전거를 주차시킴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전거 전장 및 앞바퀴 지름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환적 및 주차대로부터의 인출시 자전거 앞바퀴 중심축을 정확히 파지할 수 있는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자전거의 전장 길이나 앞바퀴 지름에 상관없이, 자전거의 앞바퀴를 주차대에 항상 일정한 지점까지만 진입시킨 후 주차시킬 수 있는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과제 및 제2과제는,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에, 자전거를 파지하여 견인하고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고 견인턴테이블과, 상기 견인턴테이블 하부에 마련되어 레일을 타고 주차공간의 입구에서 자전거 주차대까지 왕복할 수 있는 주행대차를 마련하되, 상기 견인턴테이블은, 클램프용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클램프 내측에 자전거 앞바퀴가 클램프 내로 일정거리 진입했을 때만 접촉할 수 있는 바퀴접촉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퀴접촉판의 배후에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상기 바퀴접촉판에 접촉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가 자전거 앞바퀴가 상기 바퀴접촉판에 접촉하였음을 감지할 때만 상기 클램프용 모터를 구동하여 클램프로 자전거 앞바퀴를 파지하게 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클램프의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 파지면을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상기 바퀴접촉판에 접촉한 자전거 앞바퀴의 지름이 다른 경우에도 자전거 앞바퀴의 회전축 양측을 더 정확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입고되는 자전거 전장 및 앞바퀴의 지름이 자전거마다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환적시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클램프가 자전거 앞바퀴의 회전축 양측을 정확히 파지할 수 있고, 견인 및 주차시 클램프의 전진 및 후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자전거운반주차장치가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로부터 자전거를 환적 받아 주차대까지 운반한 후 주차대에 주차할 때에도, 자전거의 전장 길이나 앞바퀴 지름에 상관없이, 자전거의 앞바퀴를 주차대에 항상 일정한 지점까지만 진입시킨 후 주차시킬 수 있으므로, 자전거 출고시 클램프에 의하여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을 정확하게 파지하여 자전거 주차대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에서 자전거의 입고, 환적, 운반 및 주차 방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f 내지 도 1i는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에서 자전거의 주차 방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견인턴테이블과 주행대차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견인턴테이블을 가동프레임 및 그 부속품과 고정프레임 및 그 부속품으로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가동프레임 및 그 부속품과 고정프레임 및 그 부속품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견인턴테이블의 가동프레임 및 그 부속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견인턴테이블의 고정프레임 및 그 부속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3a에 도시된 견인턴테이블의 파지수단에 대한 측면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파지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견인턴테이블과 자전거입출고장치의 견인턴테이블간의 자전거 환적 방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견인턴테이블과 자전건 주차대간의 주차 방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i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에는 자전거가 외부에서 출입할 수 있는 외부출입구(1)와, 상기 외부출입구(1)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입출고공간(11) 및 주차공간(7a, 7b)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상기 주차공간(7a, 7b)이 2층 구조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상기 주차공간(7a, 7b)은 단층 구조 또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각층의 주차공간(7a, 7b)에는 개방된 입구(9a, 9b)가 형성되고, 각 주차공간(7a, 7b)의 바닥에는 자전거를 운반할 수 있는 레일(3)이 설치되며,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자전거를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대(17)가 일렬로 다수 배치된다. 상기 입출고공간(11)은 상기 외부출입구(1)와 상기 각층의 주차공간 입구(9a, 9b)를 연결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에서는, 입출고공간(11)에서만 운용되는 자전거입출고장치(13)와 주차공간(7a, 7b)에서만 운용되는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각자 주어진 기능을 독자적으로 수행하면서 환적시에만 서로 연계되게 한다. 본 발명은 이 가운데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은 외부출입구(1)에서 입고되는 자전거(B)를 견인하여 적재한 후 주차공간의 입구(9a, 9b)까지 운반하고, 주차공간 입구(9a, 9b)에서 출고되는 자전거를 견인하여 적재한 후 외부출입구(1)까지 이송하여 출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는, 입고되는 자전거를 상기 주차공간 입구(9a, 9b)에서 상기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로부터 환적 받은 후 상기 자전거 주차대(17)까지 운반하여 적재하고, 출고되는 자전거를 상기 자전거 주차대(17)에서 견인하여 적재한 후 상기 주차공간 입구(9a, 9b)까지 운반하여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에 환적한다.
도 1a는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의 클램프(35)에 의하여 입고될 자전거(B)의 앞바퀴 회전축 하부를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b는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의 클램프(35)가 입고될 자전거(B)의 앞바퀴 회전축 하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후진하여 자전거를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의 트렌치에 적재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c는 상기 견인턴테이블(27)이 승강기(15)를 타고 주차공간 입구(9a)까지 하강한 상태를 보여준다. 하강 전 또는 하강 직후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동프레임은 자전거와 함께 180도 회전하여 자전거 앞바퀴가 주차공간(7a)을 향하도록 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환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의 클램프(85)가 전진하여 자전거(B) 앞바퀴의 중심축 양단을 파지하고,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의 클램프(85)가 후진하여 자전거를 상기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27)로부터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의 트렌치 내로 견인한다. 도 1e 내지 도 1g는 자전거를 환적 받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는 레일(3)을 타고 자전거를 주차할 주차대(17)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대(17) 앞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는 견인턴테이블의 가동프레임(73a, 73b)을 90도 회전시켜, 자전거(B)와 주차대(17)의 트렌치(17)가 일렬이 되게 된다. 이 때 자전거 뒷바퀴는 주차대(17) 방향을 향한다. 다음,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85)가 자전거 앞바퀴의 중심축 양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자전거(B)를 주차대(17)의 트렌치에 밀어 넣어, 일정한 위치에 정지시킨다. 특히, 자전거의 출고과정에서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가 자전거의 앞바퀴 중심축 양단을 정확히 파지하기 위해서는 주차과정에서, 자전거(B)의 앞바퀴가 주차대(17)의 트렌치(19) 선단으로부터 항상 일정한 지점에 정지되어 있어야 한다.
이처럼 환적형 자전거주차설비의 자전거운반주차장치는 자전거입출고장치의 견인턴테이블(27)로부터 자전거를 환적 받은 후, 주차대(17)까지 자전거를 운반하여, 주차대(17)의 일정한 위치에 정확히 주차를 시켜야 한다. 그러나, 자전거주차설비에 주차되는 자전거 전장 및 앞바퀴 지름이 다양하다. 따라서, 자전거운반주차장치는 이러한 자전거 전장 및 앞바퀴 지름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환적 및 주차대로부터의 인출시 자전거 앞바퀴 중심축을 정확히 파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자전건운반주차장치는 자전거의 전장 길이나 앞바퀴 지름에 상관없이, 자전거의 앞바퀴를 주차대에 항상 일정한 지점까지만 진입시킨 후 정지시킬 수 있는 견인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는 자전거를 파지하여 견인하고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견인턴테이블(53)과, 상기 견인턴테이블(53) 하부에 마련되어 주차공간(7a, 7b)의 레일(3)을 타고 주차공간의 입구(9a, 9b)에서 자전거 주차대(17)까지 왕복할 수 있는 주행대차(106)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 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턴테이블(53)은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 파지수단과,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을 파지한 상태에서 자전거를 견인턴테이블(53) 내로 끌어당겨 적재할 수 있는 자전거 견인수단과, 자전거를 적재한 상태 또는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파지수단 및 견인수단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턴테이블(53)의 파지수단은 클램프용 모터(87)와, 상기 클램프용 모터(87)의 축(80)에 결합되어 클램프용 모터(87)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구동개폐기어(86)와, 상기 구동개폐기어(86)와 이가 맞물린 채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구동개폐기어(86)가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동개폐기어(94))와, 상기 클램프용 모터(87)의 축(80) 및 피동개폐기어(94)의 축(90)에 연결되어 각각 구동개폐기어(86) 및 피동개폐기어(94)와 연동되는 1쌍의 클램프 아암(88a, 88b)과, 상기 클램프 아암(88a, 88b)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용 모터(87)의 회전방향에 따라 여닫히면서 자전거 앞바퀴 축을 파지하는 클램프(89a, 89b)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크램프 아암(88a, 88b)은 클램프용 모터(87)의 축(80) 및 피동개폐기어의 축(90)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축에 보스(84, 94)를 결합하고, 이 보스(84, 94)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용 모터(87)의 구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기 클램프(89a, 89b) 내측에 자전거 앞바퀴(FW)가 클램프(89a, 89b) 내로 일정거리 진입했을 때만 접촉할 수 있는 바퀴접촉판(61)을 구비하고, 상기 바퀴접촉판(61)의 배후에는 자전거의 앞바퀴(FW)가 상기 바퀴접촉판(61)에 접촉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59)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59)가 자전거 앞바퀴가 상기 바퀴접촉판(61)에 접촉하였음을 감지할 때만 상기 클램프용 모터(87)를 구동하여 클램프(89a, 89b)로 자전거 앞바퀴(FW)를 파지하도록 구성한 데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접촉판(61)은 자전거 앞바퀴(FW) 진입 방향으로 열린 채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접촉판(61) 배후에는 상기 구동개폐기어(86) 및 피동개폐기어(94)를 수용하는 기어박스(96)와 상기 바퀴접촉판(61)을 연결하는 바퀴접촉판홀더(63)가 마련되고, 상기 바퀴접촉판홀더(63) 선단에는 고정판(65)이 부착되며, 상기 바퀴접촉판(61)은 이 고정판(65)에 코일스프링(69)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9)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바퀴접촉판(6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판(6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볼트(6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볼트(67) 외측에는 스프링 가이드 부시(68)와 볼트 머리 시트용 와셔(6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59)는 근접센서이며, 상기 가동볼트(67)의 머리가 후진하면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접촉판홀더(63)의 가볼볼트(67) 머리 직후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 앞바퀴(FW)가 클램프(89a, 89b) 내에 집입하여, 상기 바퀴접촉판(61)을 살짝 밀면, 상기 가동볼트(67)가 후퇴하고, 이를 상기 센서(59)가 감지하여, 상기 클램프용 모터(87)를, 클램프(89a, 89b)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자전거의 전장(全長) 크기에 상관없이, 또 자전거 앞바퀴(FW)의 지름에 상관없이, 항상, 자전거 앞바퀴(FW)가 클램프(89a, 89b)의 바퀴접촉판(61)까지 도달할 때만 클램프가 자전거 앞바퀴(FW)를 파지하게 되고, 따라서, 자전거 앞바퀴의 중심축은 항상 클램프(89a, 89b)의 파지면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차시 견인수단의 클램프 진행 거리(stroke)를 일정하게 할 경우, 자전거의 전장 크기나 앞바퀴 지름에 상관없이 항상, 주차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지점에 자전거 앞바퀴 전단(前段)이 놓이도록 주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자전거의 전장 크기나 앞바퀴 지름에 상관없이 항상 자전거 앞바퀴 전단(前段)이 주차대의 일정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주차되어야 출고를 위해 주차대로부터 자전거 인출할 때,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클램프가 실패없이 자전거 앞바퀴 중심축 양단을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89a, 89b)의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 파지면을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바퀴접촉판(61)에 접촉한 자전거 앞바퀴(FW)의 지름이 다른 경우에도, 자전거 앞바퀴(FW)의 회전축 양측을 클램프(89a, 89b)의 파지면으로 정확히 파지할 수 있게 한 데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의 클램프(89a, 89b)는그 설치 높이가 자전거입출고장치의 클램프(35)보다 높게 위치한다. 자전거 환적시, 본 발명에 따른 견인턴테이블(53)의 트렌치(71)와 자전거입출고장치에 마련된 견인턴테이블(27)의 트렌치(29)의 높이는 일치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견인턴테이블(53)의 클램프(89a, 89b)의 높이는 자전거입출고장치에 마련된 견인턴테이블(27)의 클램프(35)의 높이보다 높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턴테이블(53)의 클램프(89a, 89b)는 자전거 앞바퀴 축(S1, S2, S3, S4, S5)을 파지하여야 하지만, 자전거입출고장치에 마련된 견인턴테이블(27)의 클램프(35)는 자전거 앞바퀴 축 하부 타이어를 파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도 2, 또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견인턴테이블(53)의 견인수단은 상기 클램프(89a, 89b) 하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진행하고 자전거 바퀴 하단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면서 진행할 수 있게 중심부에 오목한 골이 형성된 트렌치(71)와, 상기 트렌치(71)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트렌치(71)와 함께 움직이는 가동프레임(73a, 73b)과, 상기 트렌치(71) 하부에 마련된 이송블록용 레일(81)과, 상단은 상기 이송블록용 레일(81)에 결합되고 하단은 벨트(79)에 결합되어 벨트(79)가 진행하면 벨트(79)의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이송블록용 레일(81)을 타고 직선 이동하는 이송블록(83)과, 하단은 상기 이송블록(83)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클램프용 모터(87) 및 클램프(89a, 89b)에 결합되어 클램프(89a, 89b)의 위치를 자전거 앞바퀴 축의 위치로 유지시켜주는 부양대(85)와, 상기 벨트(79)를 상기 트렌치(71) 하부에서 상기 클램프(89a, 89b)의 필요한 왕복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지지하는 1쌍의 풀리(77a, 77b)와, 상기 풀리(77a, 77b) 중 하나를 구동하는 견인용 모터(75)로 구성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수단이 이송블록(83) 하부에는 이송블록(83)의 접근을 감지할 수 하여, 상기 견인용 모터(75)를 감속시킬 수 있는 근접센서(57a, 57b)와, 상기 견인용 모터(75)를 정지시킬 수 있는 근접센서(55a, 55b, 55c)를 구비한다. 정지용 근접센서(55a, 55b, 55c)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클램프(89a, 89b)의 전진 또는 후진 거리(stroke)가 결정된다. 정지용 근접센서 중 부호 55b는 주차시 전진 거리를 결정하는 근접센서이고, 부호 55c는 환적시 전진 거리를 결정하는 근접센서이다. 따라서, 정지용 근접센서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클램프(89a, 89b)에 의한 자전거의 적절한 파지 및 주차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턴테이블(53)의 회전수단은 상기 가동프레임(73a, 73b)의 중심부에 마련된 베어링(93)과, 상기 베어링(93)에 축 결합하는 회전축(107)과, 상기 회전축(107)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97)과, 상기 가동프레임(73a, 73b)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부로는 상기 회전축(107)을 수용하는 링기어(105)와, 상기 고정프레임(97)에 고정 설치된 회전용 모터(101)와, 상기 회전용 모터(101) 축에 결합 되고 상기 링기어(105)와 이가 맞물리어 링기어(105)에 상기 회전용 모터(10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기어(103)로 구성된다. 도 3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프레임(73a, 73b) 하부에는 가동프레임(73a, 73b)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르는 회전롤러(119)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97) 상면에는 상기 회전롤러(119)의 구름을 가이드 하는 회전롤러용 레일(11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프레임(73a, 73b) 하부에는 정지판(91)을 클램프(89a, 89b)의 폭방향 중심과 일치되게 부착하고, 상기 고정프레임(97) 상면에는 상기 정지판(91)의 진행을 막아 가동프레임(31a, 31b)이 항상 90℃회전만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지턱(9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턱(99) 외측 및 고정프레임(97) 전방 중심에는 정지용 근접센서(92a)를 더 구비하여 가동프레임(73a, 73b)이 90℃회전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용 모터(101)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용 근접센서(92a) 직전에는 감속용 근접센서(92b)를 더 구비하여 가동프레임(73a, 73b)이 접근하면 상기 회전용 모터(101)를 감속하게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대차(106)는 독자적으로 레일(3) 위를 주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주행대차(106)는 상기 견인턴테이블(53)을 지지할 수 잇는 서포터(107)와, 상기 서포터(107) 하부를 받치면서 레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주행프레임(109)과, 상기 주행프레임(109)에 부착된 주행용 모터(111)와 상기 주행용 모터(111)의 축에 마련되어 레일 측면에 마련된 레크(5)와 치합되는 피니언(113)과, 상기 주행용 프레임(111)에 부착되어 주차공간(7a, 7b)의 레일 상면을 타는 주행롤러(115)와, 주차공간(7a, 7b)의 레일 측면을 타면서 주행대차의 직진을 안내하는 측면가이드롤러(117)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전거운반주차장치를 이용한 환적 방법 및 자전거운반주차방법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전고입출고장치의 견인턴테이블(27)이 주차공간 입구(9a)까지 하강하여 자전거를 주차공간(9a)을 향하도록 돌려 놓으면, 주차공간 입구(9a)에서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와 자전거 환적이 이루어진다. 이때,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에 마련된 견인턴테이블(53)의 클램프(89a, 89b)는 이송블록이 정지용 근접센서 55c에 도달할 때까지 전진하여, 자전거 앞바퀴(FW)가 바퀴접촉판(61)에 밀착되면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S1, S2, S3, S4, S5) 양단을 파지한다. 이 때, 상기 클램프(89a, 89b)의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 파지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바퀴접촉판(61)에 접촉한 자전거 앞바퀴(FW)의 지름이 다른 경우에도 자전거 앞바퀴의 회전축 양측을 정확히 파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견인테이블(53)의 견인용 모터(75)를 구동하여 자전거를 트렌치(71)를 따라 견인하여 적재한다.
다음, 자전거운반주차장치(51)의 주행대차(106)를 가동하여 레일(3)을 타고 주차할 주차대(17) 위치까지 이동하고, 주차대에 도달하면, 견인턴테이블(53)의 회전용 모터(101)를 구동하여 파지수단, 견인수단 및 자전거를 90℃ 회전시켜, 자전거 뒷바퀴가 주차대(17) 방향을 향하게 한다.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용 모터(75)를 가동하여 트렌치(71)를 따라 자전거를 이송블록이 정지용 근접센서 55b에 도달할 때까지 밀어 주차대(17)에 이적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입고되는 자전거 전장 및 앞바퀴의 지름이 자전거마다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환적시 자전거운반주차장치의 클램프가 자전거 앞바퀴의 회전축 양측을 정확히 파지할 수 있고, 견인 및 주차시 클램프의 전진 및 후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자전거운반주차장치가 자전거입출고장치용 견인턴테이블로부터 자전거를 환적 받아 주차대까지 운반한 후 주차대에 주차할 때에도, 자전거의 전장 길이나 앞바퀴 지름에 상관없이, 자전거의 앞바퀴를 주차대에 항상 일정한 지점까지만 진입시킨 후 주차시킬 수 있으므로, 자전거 출고시 클램프에 의하여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을 정확하게 파지하여 자전거 주차대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이에 균등한 모든 실시 예에 미친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1 : 외부출입구 3 : 바닥레일
5 : 레크 7a, 7b : 주차공간
9a, 9b : 입구 11 : 입출고 공간
13 : 자전거입출고장치 15 : 승강기
17 : 주차대 19 : 주차대 트렌치
21 : 파지휠 23 : 스탠드
27 : 입출고장치 견인턴테이블 29 : 입출고장치 트렌치
31a, 31b : 입출고장치 가동프레임 33 : 입출고장치 고정프레임
35 : 입출고장치 클램프 51: 자전거운반주차장치
53 : 견인턴테이블 55a, 55b, 55c : 정지용 근접센서
57a, 57b : 감속용 근접센서 59 : 파지용 근접센서
61 : 바퀴접촉판 63 : 바퀴접촉판홀더
65 : 고정판 67 : 가동볼트
69 : 코일스프링 71 : 트렌치
73a, 73b : 가동프레임 75 : 견인용 모터 77a, 77b : 풀리 79 : 벨트
80 : 모터축 81 : 이송블록용 레일
83 : 이송블록 84 : 보스
85 : 부양대 86 : 구동개폐기어
87 : 클램프용 모터 88 : 클램프 아암
89 : 클램프 90 : 피동개폐기어축
91 : 정지판 92a, 92b : 근접센서
93 : 베어링 95 : 회전롤러
96 : 기어박스 97 : 고정프레임
99 : 정지턱 101 : 회전용 모터
103 : 회전구동기어 105 : 링기어
106 : 주행대차 107 : 서포터
109 : 주행프레임 111 : 주행용 모터
113 : 피니언 115 : 주행롤러
117 : 측면가이드롤러

Claims (2)

  1. 자전거를 파지하여 견인하고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고 견인턴테이블과, 상기 견인턴테이블 하부에 마련되어 레일을 타고 주차공간의 입구에서 자전거 주차대까지 왕복할 수 있는 주행대차로 이루어진 자전거운반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견인턴테이블은, 클램프용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클램프 내측에 자전거 앞바퀴가 클램프 내로 일정거리 진입했을 때만 접촉할 수 있는 바퀴접촉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퀴접촉판의 배후에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상기 바퀴접촉판에 접촉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가 자전거 앞바퀴가 상기 바퀴접촉판에 접촉하였음을 감지할 때만 상기 클램프용 모터를 구동하여 클램프로 자전거 앞바퀴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자전거 앞바퀴 회전축 파지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바퀴접촉판에 접촉한 자전거 앞바퀴의 지름이 다른 경우에도 자전거 앞바퀴의 회전축 양측을 정확히 파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KR1020100034175A 2010-04-14 2010-04-14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KR10111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175A KR101116716B1 (ko) 2010-04-14 2010-04-14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175A KR101116716B1 (ko) 2010-04-14 2010-04-14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828A true KR20110114828A (ko) 2011-10-20
KR101116716B1 KR101116716B1 (ko) 2012-03-05

Family

ID=4502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175A KR101116716B1 (ko) 2010-04-14 2010-04-14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84315A1 (en) * 2019-03-07 2020-09-10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Assembly of a tower section of a wind turbine tow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3011B2 (ja) * 2000-05-10 2004-09-08 Jfeプラント&サービス株式会社 駐輪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84315A1 (en) * 2019-03-07 2020-09-10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Assembly of a tower section of a wind turbine tower
US11585405B2 (en) * 2019-03-07 2023-02-21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Assembly of a tower section of a wind turbine t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716B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2962B2 (ja) 車両の搬送装置
CN101476402B (zh) 超薄型全浮动式机械手存取车装置
CN101050670B (zh) 智能型立体车库
KR100622553B1 (ko) 주차 시스템의 차량 이송 장치
CN104975738B (zh) 使用机器人的立体车库和轿厢汽车搬运机的立体车库
CN205531548U (zh) 一种对立式自行车库
CN207499545U (zh) 智能搬运垂直升降横移类停车设备
KR100775853B1 (ko) 원형주차타워
CN106320773B (zh) 一种双向移动式智能停车库移车机器人
CN108952244A (zh) 一种基于共享单车管理系统的自动存取车库
CN107776595A (zh) 一种装卸货物的物流运输车
CN108979224B (zh) 自行车库的库内循环存储装置
KR101116716B1 (ko)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운반주차장치
CN108316724A (zh) 一种立体停车库的停车入库方法
CN107587767A (zh) 一种立体车库存取车交换装置
KR20110114814A (ko) 환적형 자전거 주차 설비
JPH075167Y2 (ja) 駐車場設備
CN213898345U (zh) 一种组合型侧向进出式立体车库
CN106351490B (zh) 一种自主避障式智能停车库移车机器人
CN206128753U (zh) 一种智能停车库移车机器人
KR101116709B1 (ko) 자전거주차설비용 자전거 주차대
CN211776230U (zh) 新型可充电式智能机械停车库
CN209308490U (zh) 多功能停车装置
CN111927176A (zh) 一种组合型侧向进出式立体车库
CN108468455B (zh) 一种可并行存取的自动化汽车停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