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362A -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362A
KR20110113362A KR1020100032713A KR20100032713A KR20110113362A KR 20110113362 A KR20110113362 A KR 20110113362A KR 1020100032713 A KR1020100032713 A KR 1020100032713A KR 20100032713 A KR20100032713 A KR 20100032713A KR 20110113362 A KR20110113362 A KR 20110113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unit
cable
hous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066B1 (ko
Inventor
김성범
장우석
이성민
안승환
이기학
Original Assignee
김성범
이성민
이기학
장우석
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범, 이성민, 이기학, 장우석, 안승환 filed Critical 김성범
Priority to KR102010003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0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1Construction of stressing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및 장력을 동시에 시킬 수 있는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과 결합소켓으로 이루어진 인장 케이블 유닛과; 작동하우징과, 상기 작동 하우징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인장 케이블 유닛을 인장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 인장유닛과; 상기 인장 케이블 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1 결합홀과 다수의 제1홀을 형성한 제1 작동판과, 인장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2 결합홀과 다수의 제2홀을 형성한 제2 작동판과, 인장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3 결합홀과 다수의 제3홀을 형성한 제3 작동판으로 이루어진 초기긴장 유닛과; 상기 초기긴장 유닛의 제1, 2, 3 작동판에 형성된 홀에 결합하는 가이드 케이블;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및 장력을 형성시키는 인장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추가장비에 따른 비용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초기긴장 유닛 및 가이드 케이블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장력의 조절이 가능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Tension system for tension cable}
본 발명은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및 장력을 동시에 시킬 수 있는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및 장력을 형성시키는 인장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추가장비에 따른 비용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초기긴장 유닛 및 가이드 케이블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장력의 조절이 가능해 유지보수가 용이한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에는 수평/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고자 인장 케이블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인장 케이블은 유압잭 등과 같은 인장장치를 이용해 일정량의 장력을 형성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인장 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는 등록특허 제0855206호에서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양 측면에는 인장 케이블을 결합할 수 있는 소켓부재(300, 3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재(300, 300')의 내측에는 실린더 본체(410)와 상기 실린더 본체(410) 내부에서 작동유체에 의해 작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작동부재(440)로 구성된 유/공압 작동수단(4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공압 작동수단(400)의 실린더 본체(410) 일측에 장력이 조절된 작동부재(4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장력 조절장치(500)는 일측의 소켓부재(300)는 고정지지대(도면에 미도시)에 케이블(314)에 의해 고정지지 되도록 형성하고, 타단의 소켓부재(300')에는 장력을 형성할 인장 케이블(도면에 미도시)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재(300')와 유/공압 작동수단(400)의 실린더 본체(410)에 작동유체를 유입시켜 작동부재(440)를 작동시킴으로써, 소켓부재(300')에 결합하는 인장 케이블을 인장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장력 조절장치(500)는 초기에 인장 케이블이 연결된 소켓부재(300')를 유/공압 작동수단(400)의 작동부재(440)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이때에, 상기 인장 케이블이 결합되어 있는 소켓부재(300')와 작동부재(140) 간의 거리를 적게 형성할 경우, 소켓부재(300')와 작동부재(140)의 결합은 쉬울 수 있으나, 초기에 인장 케이블에 장력을 형성하도록 별도의 유압잭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가 장비에 따른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를 해체한 후 다시 유/공압 작동수단(400)의 작동부재(140)와 연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켓부재(300')와 작동부재(140)의 거리를 많게 형성할 경우, 상기와 같이 추가 장비 이용에 다른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지만, 유/공압 작동수단(400)의 행정거리를 늘려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장력 조절장치(500)는 인장 케이블의 설치 후 유지보수시 인장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보조기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인장 케이블을 고정한 상태에서 유/공압 작동수단(400)을 인장 케이블을 재 인장 시킬 수 있도록 셋팅한 후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발생되는 작업 시간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은 케이블과 결합소켓으로 이루어진 인장 케이블 유닛과; 작동하우징과, 상기 작동 하우징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인장 케이블 유닛을 인장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 인장유닛과; 상기 인장 케이블 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1 결합홀과 다수의 제1홀을 형성한 제1 작동판과, 인장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2 결합홀과 다수의 제2홀을 형성한 제2 작동판과, 인장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3 결합홀과 다수의 제3홀을 형성한 제3 작동판으로 이루어진 초기긴장 유닛과; 상기 초기긴장 유닛의 제1, 2, 3 작동판에 형성된 홀에 결합하는 가이드 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에 형성된 인장 케이블 유닛은 케이블과 결합소켓이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소켓은 일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축으로 구성하여, 초기긴장 유닛의 제1 작동판을 너트로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에 형성된 인장유닛의 작동 하우징은 동력을 전달받으며 일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제1 결합부를 형성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결합부에 결합하되, 초기긴장 유닛의 제3 작동판을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으로는 제1 고정결합부를 형성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제1 고정결합부와 대응하는 제2 고정결합부를 형성한 잠금커버와 상기 잠금커버의 내측에 결합하는 잠금너트로 구성된 제3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인장유닛의 동력전달부는 일측으로는 작동 하우징의 제1 하우징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작동 하우징의 제1, 2, 3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작동체를 형성하며, 타측의 끝단에는 인장 케이블 유닛의 결합소켓에 결합하는 커플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과 인장유닛의 동력전달부에 형성된 커플러에 의해 초기긴장 유닛의 제2 작동판을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에 형성된 초기긴장 유닛의 제1 작동판은 가이드 케이블과 볼트/너트를 통해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결합되고, 제2, 3 작동판은 각각의 홀에 쐐기형상의 웨지 소켓을 형성하여 가이드 케이블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에 형성된 초기긴장 유닛의 제1, 2, 3 작동판에 형성된 다수의 제1, 2, 3홀은 인장 케이블 유닛의 초기인장 및 장력을 형성한 후, 초기긴장 유닛과 가이드 케이블을 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정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은 초기에 인장 케이블 유닛과 인장유닛의 연결시 초기긴장 유닛과 가이드 케이블 및 케이블에 장력을 형성하는 인장유닛을 이용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추가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인장유닛을 통해 케이블에 장력을 형성할 때에 간단하게 초기긴장 유닛 및 가이드 케이블을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설치 시간이 단축되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인장 케이블 유닛을 초기에 인장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장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유지보수시 인장장치를 이용해 인장 케이블의 재 인장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인장 케이블 유닛(10)은 구조물(도면에 미도시)에 장력을 형성할 수 있는 케이블(11)과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결합소켓(12)이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11)과 결합소켓(12)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소켓(12)에는 일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축(13)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장유닛(70)은 작동 하우징(50)과 동력전달부(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작동 하우징(50)은 동력을 전달받으며 일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21)를 형성한 제1 하우징(20)이 구성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상기 제1 하우징(20)의 제1 결합부(21)와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31)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제1 고정결합부(32)를 형성한 제2 하우징(30)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30)의 제1 고정결합부(32)와 대응하는 제2 고정결합부(41a)를 형성한 잠금커버(41)와 상기 잠금커버(41)의 내측에 나사산을 통해 결합하는 잠금너트(42)로 이루어진 제3 하우징(40)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60)는 일측으로는 상기 작동 하우징(50)의 제1 하우징(2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작동 하우징(50)의 제1, 2, 3 하우징(20, 30, 4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작동체(61)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체(61) 중 동력전달부(60)와 연결된 반대편 단부에는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결합소켓(12)에 결합하는 커플러(62)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인장유닛(70)의 작동 하우징(50)에 형성된 제3 하우징(40)의 잠금너트(42)는 동력전달부(60)의 커플러(62)가 결합하는 작동체(61)의 나사산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유닛(70)의 동력은 작동유체를 통해 구동하는 방식이나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받아 기계식으로 움직이는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초기긴장 유닛(80)이 구성된다.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은 인장 케이블 유닛(10)과 결합하는 제1 작동판(81)과 인장유닛(70)에 결합하는 제2, 3 작동판(82, 83)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제1 작동판(81)은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1 결합홀(81a)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결합홀(81a)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제1홀(81b)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작동판(81)의 제1 결합홀(81a)은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결합소켓(12)에 형성된 결합축(13)에 연결되어, 너트(N)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 작동판(82)은 인장유닛(70)의 작동 하우징(50)에 형성된 제3 하우징(40)과 동력전달부(60)의 커플러(62) 사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2 결합홀(82a)과 다수의 제2, 3홀(82b, 83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작동판(81)은 인장유닛(70)에 형성된 제1, 2 하우징(20, 30)의 제1, 2 결합부(21, 31)를 통해 제1, 2 하우징(20, 30)사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3 결합홀(83a)과 다수의 제3홀(83b)을 구성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2, 3 작동판(81, 82, 83)에 형성된 제1, 2, 3홀(81b, 82b, 83b)에 결합하는 가이드 케이블(9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2, 3 작동판(81, 82, 83)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3홀(81b, 82b, 83b)은 인장유닛(70)을 이용하여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초기인장 및 장력을 형성한 후 초기긴장 유닛(80)과 가이드 케이블(90)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2, 3 작동판(82, 83)에 형성되어 있는 제2, 3홀(82b, 83b)에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웨지 소켓(WS)을 더 형성한 상태에서 가이드 케이블(90)과 결합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100)은 인장 케이블 유닛(10)과 인장유닛(70)을 연결시키기 위해 인장 케이블 유닛(10)과 인장유닛(70)에 초기긴장 유닛(80)과 가이드 케이블(90)을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의 연결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결합 소켓(12)의 결합축(13)에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작동판(81)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된 제1 결합홀(81a)을 삽입하도록 한다.
그런 후, 너트(N)를 이용하여 인장 케이블 유닛(10)과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작동판(81)을 고정한다.
한편, 인장유닛(70)의 작동 하우징(50)에 형성된 제1 하우징(20)의 케이블 연결부(22)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런 후, 인장유닛(70)의 동력전달부(60)에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62)의 일측에 제2 작동판(82)을 배치시킨다.
이때에, 상기 제2 작동판(82)의 제2 결합홀(82a)은 인장유닛의 동력전달부(60)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체(61)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가 완료되면 인장유닛(70)의 작동 하우징(50)에 형성된 제3 하우징(40)의 잠금커버(41)를 제2 작동판(82) 방향으로 밀어서 밀착되게 한 후, 잠금너트(42)를 이용해 동력전달부(60)의 작동체(61)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체결합과 동시에 잠금커버(41)와 결합하도록 하여 제2 작동판(82)의 고정을 완료한다.
또한, 인장유닛(70)에 형성된 작동 하우징(50)의 제1 하우징(20)의 제1 결합부(21)와 제2 하우징(30)의 제2 결합부(31) 사이에 초기긴장 유닛(80)의 제3 작동판(82)이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2 하우징(20, 30)을 체결하여 제3 작동판(82)을 고정시킨다.
그런 후,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2, 3 작동판(82, 83)에 형성되어 있는 제2, 3홀(82b, 83b)에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웨지 소켓(WS)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2, 3 작동판(81, 82, 83)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1작동판(81)에 형성된 제1홀(81b)에 가이드 케이블(90)을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케이블(90)은 제1 작동판(81)과의 결합시에는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가이드 케이블(90)을 제2, 3 작동판(82, 83)의 제2, 3홀(82b, 83b)에 형성되어 있는 웨지 소켓(WS)에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모든 결합이 완료되면, 인장유닛(70)의 작동 하우징(50)에 동력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4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 하우징(50)에 의해 동력전달부(60)의 작동체(61)가 작동 하우징(50)이 있는 (a)방향으로 구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동력전달부(60) 및 작동 하우징(50)의 제3 하우징(40)에 의해 초기긴장 유닛(80)의 제2 작동판(82)이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작동판(82)도 작동체(61)와 함께 (b)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작동판(82)의 제2홀(82b)에는 쐐기 형상의 웨지 소켓(WS)가 형성된 상태로 가이드 케이블(90)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웨지 소켓(WS)에 의해 가이드 케이블(90)도 함께 (c)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케이블(90)에 결합되어 있던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작동판(81) 및 인장 케이블 유닛(10)도 (d)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3 작동판(83)에 형성된 제3홀(83b)에 결합되어 있는 웨지 소켓(WS)은 가이드 케이블(90)의 이동에 의해 제3 작동판(83)의 제3홀(83b)에서 이탈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인장유닛(70)의 동력전달부(60)에 형성된 작동체(61)의 작동이 완료될 때에 사용자가 해머와 같은 작업도구를 이용해 제3 작동판(83)의 제3홀(83b)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인장유닛(70)의 동력전달부(6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정도까지 이동하게 되면, 동력전달부(60)의 작동체(61)가 반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도 4의 (b)에서와 같이 인장유닛(70)의 작동 하우징(50)에 의해 동력전달부(60)의 작동체(61)가 (e)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서, 작동 하우징(50)의 제3 하우징(40)과 동력전달부(60)에 의해 결합되어 있던 초기긴장 유닛(80)의 제2 작동판(82)도 (f)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2 작동판(82)에 형성되어 있는 제2홀(82b)에 결합되어 있는 웨지 소켓(WS)은 제2 작동판(82)의 제2홀(82b)에서 이탈하여 가이드 케이블(9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웨지 소켓(WS)은 어느 한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는 가이드 케이블(9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지만, 반대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가이드 케이블(90)을 이동시킬 수 있을 만한 힘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2 작동판(82)의 제2홀(82b)에서 이탈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이탈된 웨지 소켓(WS)은 인장유닛(70)의 동력전달부(60)의 구동이 멈춘 후에 사용자가 통상의 도구를 이용하여 제2 작동판(82)의 제2홀(82b)에 결합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인장유닛(70)에 의해 제2 작동판(82)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케이블(90)은 ①방향으로의 장력이 형성하게 된다.
이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인장 케이블 유닛(10)을 이동시킴으로써 인장 케이블 유닛(10)에서 발생하는 장력이 상기 가이드 케이블(90)에 전달되어 발생하는 당연한 현상인데, 본 발명에서는 초기긴장 유닛(80)의 제3 작동판(83)에 형성되어 있는 제3홀(83b)에 결합된 웨지 소켓(WS)이 가이드 케이블(90)을 클램핑하고 있어 가이드 케이블(90)의 움직임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런 후,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적으로 시행한 후, 도 4의 (c)에서와 같이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결합축(13)이 인장유닛(70)의 동력전달부(60)에 형성된 커플러(62)가 있는 위치까지 인장되면, 사용자는 상기 커플러(62)와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결합축(13)을 결합시키면 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유닛(70)의 동력전달부(60)는 인장 케이블 유닛(10)에 많은 장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장 케이블 유닛(10)이 있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인장 케이블 유닛(10)과 결합시키도록 한다.
그런 후, 인장유닛(70)의 작동 하우징(50)에 동력원을 인가하여 동력전달부(60)를 작동시켜, 인장 케이블 유닛(10)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도의 장력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런 후,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결합축(13)에 결합된 너트(N)를 해제하고, 인장유닛(70)의 제3 하우징(40)의 잠금커버(41) 및 동력전달부(60)의 작동체(61)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던 잠금너트(42)를 해제시키고, 제1, 2 하우징(20, 30)의 결합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초기기장 유닛(80)과 가이드 케이블(90)을 제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2, 3 작동판(81, 82, 83)의 제1, 2, 3 결합홀(81a, 82a, 83a)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초기긴장 유닛(8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당연한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작동 하우징(50)의 제1, 2, 3 하우징(20, 30, 40)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100)을 이용해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초기 인장 및 장력형성을 위한 작용을 완료하게 된다.
10 : 인장 케이블 유닛 11 : 케이블
12 : 결합소켓 20 : 제1 하우징
21 : 제1 결합부 30 : 제2 하우징
31 : 제2 결합부 32 : 제1 고정결합부
40 : 제3 하우징 41 : 잠금커버
41a : 제2 고정결합부 42 : 잠금너트
50 : 작동하우징 60 : 동력전달부
61 : 작동체 62 : 커플러
70 : 인장유닛 80 : 초기긴장 유닛
81 : 제1 작동판 81a : 제1 결합홀
81b : 제1홀 82 : 제2 작동판
82a : 제2 결합홀 82b : 제2홀
83 : 제3 작동판 83a : 제3 결합홀
83b : 제3홀 90 : 가이드 케이블
WS : 웨지소켓 B : 볼트
N : 너트
100 :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Claims (5)

  1. 케이블(11)과 결합소켓(12)으로 이루어진 인장 케이블 유닛(10);
    작동하우징(50)과, 상기 작동 하우징(50)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인장 케이블 유닛(10)을 인장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60)로 이루어진 인장유닛(70);
    상기 인장 케이블 유닛(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1 결합홀(81a)과 다수의 제1홀(81b)을 형성한 제1 작동판(81)과, 인장유닛(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2 결합홀(82a)과 다수의 제2홀(82b)을 형성한 제2 작동판(82)과, 인장유닛(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제3 결합홀(83a)과 다수의 제3홀(83b)을 형성한 제3 작동판(83)으로 이루어진 초기긴장 유닛(80);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2, 3 작동판(81, 82, 83)에 형성된 홀(81b, 82b, 83b)에 결합하는 가이드 케이블(9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케이블 유닛(10)은 케이블(11)과 결합소켓(12)이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소켓(12)은 일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축(13)으로 구성하여,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작동판(81)을 너트(N)로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결합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유닛(10)의 작동 하우징(50)은 동력을 전달받으며 일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제1 결합부(21)를 형성한 제1 하우징(20)과, 상기 제1 하우징(20)의 제1 결합부(21)에 결합하되, 초기긴장 유닛(80)의 제3 작동판(83)을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31)를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으로는 제1 고정결합부(32)를 형성한 제2 하우징(30)과, 상기 제2 하우징(30)의 제1 고정결합부(32)와 대응하는 제2 고정결합부(41a)를 형성한 잠금커버(41)와 상기 잠금커버(41)의 내측에 결합하는 잠금너트(42)로 구성된 제3 하우징(4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인장유닛(70)의 동력전달부(60)는 일측으로는 작동 하우징(50)의 제1 하우징(20)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작동 하우징(50)의 제1, 2, 3 하우징(20, 30, 40)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작동체(61)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체(61) 타측의 끝단에는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결합소켓(12)에 결합하는 커플러(6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30)과 인장유닛(70)의 동력전달부(60)에 형성된 커플러(62)에 의해 초기긴장 유닛(80)의 제2 작동판(82)을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작동판(81)은 가이드 케이블(90)과 볼트/너트(B, N)를 통해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고정결합되고, 제2, 3 작동판(82, 83)은 각각의 홀(82b, 83b)에 쐐기형상의 웨지 소켓(WS)을 형성하여 가이드 케이블(90)과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긴장 유닛(80)의 제1, 2, 3 작동판(81, 82, 83)에 형성된 다수의 제1, 2, 3홀(81b, 82b, 83b)은 인장 케이블 유닛(10)의 초기인장 및 장력을 형성한 후, 초기긴장 유닛(80)과 가이드 케이블(90)을 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정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게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KR1020100032713A 2010-04-09 2010-04-09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KR10120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13A KR101208066B1 (ko) 2010-04-09 2010-04-09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13A KR101208066B1 (ko) 2010-04-09 2010-04-09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62A true KR20110113362A (ko) 2011-10-17
KR101208066B1 KR101208066B1 (ko) 2012-12-04

Family

ID=4502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713A KR101208066B1 (ko) 2010-04-09 2010-04-09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4003A (zh) * 2012-07-10 2013-01-02 金新民 一种台架效率试验机
CN111472282A (zh) * 2020-04-23 2020-07-31 乔磊 一种路桥施工用预应力锚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06B1 (ko)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건축물의 유.공압식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4003A (zh) * 2012-07-10 2013-01-02 金新民 一种台架效率试验机
CN111472282A (zh) * 2020-04-23 2020-07-31 乔磊 一种路桥施工用预应力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066B1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3120B (zh) 起重装置,尤其是钢绳葫芦的基架
CN103170833A (zh) 一种新型的双级拉伸器
EP2551549B1 (en) Shackle connecting device
KR101208066B1 (ko) 인장 케이블의 초기긴장 시스템
CN210443933U (zh) 一种手自一体双用紧线器
EP3715304A1 (en) Rope end fastening device and rope end fastening method
KR20110115901A (ko) 장력 조절장치
CN205064728U (zh) 皮带轮液压张紧锁紧装置
US721946A (en) Wire-stretcher.
CN203716508U (zh) 叉耳销轴式锚固拉索张拉装置
CN102633081A (zh) 输送带的更换方法
CN110397163B (zh) 一种便捷式钢结构连接件
KR101650926B1 (ko) 활선상태에서 배전선로 지지용 전주 교체방법
CN103306194A (zh) 桥梁减隔震支座预偏置装置以及用其进行预偏置的方法
KR20070000151U (ko) 교좌장치 상부 부재 해체를 위한 유압인장 해체 장치
CN211759669U (zh) 一种销轴拆装装置
KR100970082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CN203715113U (zh) 一种起重机及其超起卷扬锁止机构
KR100970081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20160072735A (ko) 마스터 핀 리무버
KR100971613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1777739B1 (ko) 자동 안전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퀵커플러
JP5171978B2 (ja) バイブロハンマ装置
CN206205458U (zh) 建筑用异形板张拉机构
CN101530961A (zh) 多功能绞车用的弹簧压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