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300A -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 Google Patents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300A
KR20110113300A KR1020100032614A KR20100032614A KR20110113300A KR 20110113300 A KR20110113300 A KR 20110113300A KR 1020100032614 A KR1020100032614 A KR 1020100032614A KR 20100032614 A KR20100032614 A KR 20100032614A KR 20110113300 A KR20110113300 A KR 20110113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ransmission
stopper
air breather
ble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484B1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48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윤활유가 충진되는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압력을 해소시키도록 설치되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빼기홀이 형성된 에어브리더 바디;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부에 씌워지는 캡;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단에 안착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빼기홀을 개폐시키는 판상의 마개; 및 상기 캡과 상기 마개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마개에 가해지는 공기압이 약화 또는 제거될 때 상기 마개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에는 안착면 상에서 상기 에어빼기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이 삽입부에는 상기 에어빼기홀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변속기 내부로의 수분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변속기 윤활유의 사용기한을 연장 및 변속기 내부 부품에 대한 내구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Air-Breather of transmission}
본 발명은 변속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 증가에 따라 개방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에 다수의 기어류와 베어링류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른 기관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한 기어류 및 베어링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일정량의 윤활유가 충진되며,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압력이 높아지면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그 상측에 에어를 빼주기 위한 에어브리더(Air-Breather)가 설치된다.
이하, 에어브리더 단면을 보인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변속기용 에어브리더는 변속기 케이스(110)와 연통된 에어브리더 바디(120)와,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의 외측에서 공기(A)의 배출이 가능토록 씌워지는 캡(130)과,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의 상측에 위치되어 공기(A)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공기압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를 개폐하는 마개(140)와, 상기 캡(130)과 상기 마개(14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에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110) 내부로부터 공기(A)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에어빼기홀(120a)이 연통 형성된다.
상기 캡(130)은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그 하측이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의 외측에 코킹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마개(140)는 공기(A)의 압력에 의해 상향이동될 수 있고,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의 상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의 상단에 안착 가능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150)은 일단이 상기 캡(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140)에 고정되어, 상기 마개(140)를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120)의 상측을 향해 밀착시키도록 상기 마개(14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변속기용 에어브리더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변속기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마개(140)가 공기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15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개(140)가 상향이동되면, 상기 마개(140)와 에어브리더 바디(120)의 에어빼기홀(120a)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상기 변속기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A)가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상기 변속기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이 해소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기용 에어브리더는 변속기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A)가 빠져나가는 시기에 차량이 물구덩이 속을 진행할 경우, 마개(140)와 에어브리더 바디(120)의 에어빼기홀(120a) 사이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이 매우 용이하게 변속기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수분에 의해 변속기 윤활유의 사용기한이 단축되며, 내부 부품에 대한 원활한 윤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변속기의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변속기 내부로의 수분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변속기용 에어브리더는
내부에 윤활유가 충진되는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압력을 해소시키도록 설치되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빼기홀이 형성된 에어브리더 바디;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부에 씌워지는 캡;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단에 안착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빼기홀을 개폐시키는 판상의 마개; 및 상기 캡과 상기 마개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마개에 가해지는 공기압이 약화 또는 제거될 때 상기 마개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에는 안착면 상에서 상기 에어빼기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이 삽입부에는 상기 에어빼기홀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단은 상기 에어빼기홀이 내경이 확대되어 단차지며, 그 단차부에 상기 삽입부의 외측과 긴밀하게 접촉되는 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용 에어브리더에 의하면, 변속기 내부로의 수분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변속기 윤활유의 사용기한을 연장 및 변속기 내부 부품에 대한 내구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변속기용 에어브리더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에어브리더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및
도 3은 도 2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에어브리더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용 에어브리더는 변속기 케이스(210)와, 에어브리더 바디(220)와, 캡(230), 마개(240) 및 스프링(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자동차의 주행과 관련된 기어류 및 베어링류가 설치되는데, 이 기어류 및 베어링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일정량의 윤활유가 충진된 상태이다.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는 상하측이 천공되어 상기 변속기 케이스(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빼기홀(220a)이 형성된다.
이 에어브리더 바디(220)는 플라스틱 성형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단은 상기 에어빼기홀(220a)이 내경이 확대되어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캡(230)은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씌워지되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부에 복수개소가 코킹 결합되어 지지된다.
한편, 상기 마개(240)는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단에 안착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빼기홀(220a)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판상으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마개(240)에는 안착면 상에서 상기 에어빼기홀(220a)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45)가 구비되며, 이 삽입부(245)에는 상기 에어빼기홀(220a)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245a)이 형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45)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공기(A)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상기 배출공(245a)은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공(245a)은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245)의 두께 방향으로 수평진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또다른 공기(A) 유로(도시 생략)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배출공(245a)은 상기 마개(240)가 승강되었을 때 단차진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도면부호 생략)와 연통되어 공기(A)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250)은 일단이 상기 캡(2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240)의 안착면 반대편에 고정되어, 상기 마개(240)를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단을 향해 밀착시키도록 상기 마개(24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단차부에 상기 삽입부(245)의 외측과 긴밀하게 접촉되는 오링부재(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변속기용 에어브리더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상기 변속기 케이스(210) 내부에 공기압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변속기 케이스(210) 내부의 공기(A)는 에어빼기홀(220a)로 유입이 된다.
이때, 일정 압력 이상의 공기압에 의해 마개(240)가 스프링(250)의 탄성력을 이기고 충분히 승강되었을 때, 삽입부(245)의 배출공(245a)은 오링 부재(260)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빼기홀(220a)로 유입된 공기(A)는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삽입부(245)의 배출공(245a)을 경유하여 상기 마개(240)와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 상단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상기 변속기 케이스(210) 내부의 상승된 압력은 해소가 된다.
뒤이어 공기압이 약화되어 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마개(240)가 하강하게 되면 삽입부(245)의 배출공(245a)은 오링 부재(260)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됨과 아울러, 마개(240)가 에어브리더 바디(220)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에어브리더 바디(220)는 보다 긴밀히 닫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속기용 에어브리더는 변속기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A)가 빠져나가는 시점에 차량이 물구덩이 속을 진행할 경우에도 마개(140)와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 상단 사이의 틈새로 외부의 수분이 변속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변속기 내부로의 수분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변속기 윤활유의 사용기한을 연장 및 변속기 내부 부품에 대한 내구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내부에 윤활유가 충진되는 변속기 케이스(210)의 내부압력을 해소시키도록 설치되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케이스(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에어빼기홀(220a)이 형성된 에어브리더 바디(220);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부에 씌워지는 캡(230);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단에 안착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빼기홀(220a)을 개폐시키는 판상의 마개(240); 및
    상기 캡(230)과 상기 마개(24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마개(240)에 가해지는 공기압이 약화 또는 제거될 때 상기 마개(240)를 복귀시키는 스프링(250);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240)에는 안착면 상에서 상기 에어빼기홀(220a)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45)가 구비되며, 이 삽입부(245)에는 상기 에어빼기홀(220a)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24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220)의 상단은,
    상기 에어빼기홀(220a)이 내경이 확대되어 단차지며, 그 단차부에 상기 삽입부(245)의 외측과 긴밀하게 접촉되는 오링부재(2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45)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KR1020100032614A 2010-04-09 2010-04-09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KR101144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14A KR101144484B1 (ko) 2010-04-09 2010-04-09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14A KR101144484B1 (ko) 2010-04-09 2010-04-09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00A true KR20110113300A (ko) 2011-10-17
KR101144484B1 KR101144484B1 (ko) 2012-05-11

Family

ID=4502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614A KR101144484B1 (ko) 2010-04-09 2010-04-09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4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04B1 (ko) * 2013-05-06 2014-06-11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오일 탱크의 공기 순환형 에어 브리더
CN106352055A (zh) * 2016-12-01 2017-01-25 重庆青山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变速器排气装置
CN106763673A (zh) * 2016-11-23 2017-05-3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通气塞和具有它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464A (ja) * 2003-08-07 2005-03-17 Toyota Motor Corp 大気開放バルブ及びブリーザプラグ構造
JP2007127139A (ja) 2005-10-31 2007-05-24 Aisin Aw Co Ltd ブリーザ装置
KR100787304B1 (ko) 2006-12-27 2007-12-2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리어액슬용 에어브리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04B1 (ko) * 2013-05-06 2014-06-11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오일 탱크의 공기 순환형 에어 브리더
CN106763673A (zh) * 2016-11-23 2017-05-3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通气塞和具有它的车辆
CN106763673B (zh) * 2016-11-23 2019-01-29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通气塞和具有它的车辆
CN106352055A (zh) * 2016-12-01 2017-01-25 重庆青山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变速器排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484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6678B1 (en) Oil drain structure for oil mist separator
JP5881728B2 (ja) 弁装置
US20110079291A1 (en) Valve
KR101144484B1 (ko) 변속기용 에어브리더
US20090178719A1 (en) Float valve device
KR20110100798A (ko) 변속기의 에어브리더
US8015898B2 (en) Air breather structure for automatic transmission
CN106352055A (zh) 一种汽车变速器排气装置
JP2017145890A (ja) ストレーナのエアー抜き構造
KR101305133B1 (ko) 자동차용 에어브리더
KR101571243B1 (ko) 차량용 오일 탱크의 공기 순환형 에어 브리더
JP2010173467A (ja) 通気制御バルブ
JP5044478B2 (ja) オイル貯留装置
KR100857063B1 (ko) 리어액슬 에어브리더
CN206299770U (zh) 变速箱泄压结构
CN101523098A (zh) 液体料箱通气系统
KR20060011358A (ko) 수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WO2011138829A1 (ja) 密封型ラッシュアジャスタ
KR101331161B1 (ko) 차량의 오일 레벨게이지
JP5741292B2 (ja) ブリーザ装置
JP2007177913A (ja) 空気弁
KR100279972B1 (ko) 수동 변속기의 압력 조절용 에어 브리더
KR20090029606A (ko) 차량용 변속기의 에어브리더
KR20130003504U (ko) 차량용 에어브리더
KR101843077B1 (ko) 차량용 에어브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