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191A - 광대역 소음 공명기 - Google Patents

광대역 소음 공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191A
KR20110113191A KR1020117019852A KR20117019852A KR20110113191A KR 20110113191 A KR20110113191 A KR 20110113191A KR 1020117019852 A KR1020117019852 A KR 1020117019852A KR 20117019852 A KR20117019852 A KR 20117019852A KR 20110113191 A KR20110113191 A KR 2011011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duit
volume
chamber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석
로드니 씨. 글로버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1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5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resonance chambers or interfer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15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type
    • F02M35/10157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1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inserts in the air intake flow path, e.g. baffles, throttles or orifices; Flow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6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a plurality of holes, slits, protrusions, perforations, ribs or the like; Surface structures; Turbulence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22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adjustable or movable elements, e.g. valves, membranes, bellows, expanding or shrink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27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multiple air intake flow paths, e.g. bypass, honeycomb or pipes opening into an expans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33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expansion chambers in the air intake flow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38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secondary connections to the ambient, e.g. covered by a membrane or a porous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44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interference; Masking or reflecting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6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comprising multiple chambers o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도관 내부면과 도관 외부면을 갖는 도관부와, 도관부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복수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챔버는 제1 외부 하우징 및 제1 챔버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는 제1 챔버를 포함한다. 제1 챔버는 도관부와 유체 연통한다. 유체는 제1 흐름 영역(flow area)을 통해 도관부와 제1 챔버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허용된다. 챔버는 제2 외부 하우징 및 제2 챔버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는 제2 챔버도 포함한다. 제2 챔버는 도관부와 유체 연통한다. 유체는 제2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와 제2 챔버 사이에서 흐르도록 허용된다. 제1 챔버 체적은 제2 챔버 체적과 거의 동일하고, 제1 흐름 영역은 제2 흐름 영역보다도 크다. 챔버는 제3 외부 하우징 및 제3 챔버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는 제3 챔버도 포함한다. 제3 챔버는 도관부와 유체 연통한다. 유체는 제3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와 제3 챔버 사이에서 흐르도록 허용된다. 제1 챔버 체적은 제3 챔버 체적보다 크다.

Description

광대역 소음 공명기{BROADBAND NOISE RESONATOR}
이하 설명하는 내용은 일반적으로 소음 억제 공명기(noise suppression resonators)에 관한 것이다.
수퍼차저(supercharger) 및 터보차저(turbocharger) 압축기는, 동작 중에 특히 고부하에서, 화인(whine)라고 불리는 독특한 소음을 일반적으로 방출한다. 이러한 고부하는, 압축비 범위에서 상단에 해당하는 압축비로 압축기가 내연 기관에 대해 공기를 압축시킬 때 전형적인 것이다. 이러한 소음은 교정되지 않을 경우 부적절한 수준에 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소음 출력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엔진 흡입구에서 음향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관 내부면과 도관 외부면을 갖는 도관부와, 도관부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복수의 챔버로 이루어진다. 챔버는 제1 외부 하우징 및 제1 챔버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는 제1 챔버를 포함한다. 제1 챔버는 도관부와 유체 연통한다. 유체는 제1 흐름 영역(flow area)을 통해 도관부와 제1 챔버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허용된다. 챔버는 제2 외부 하우징 및 제2 챔버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는 제2 챔버도 포함한다. 제2 챔버는 도관부와 유체 연통한다. 유체는 제2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와 제2 챔버 사이에서 흐르도록 허용된다. 제1 챔버 체적은 제2 챔버 체적과 거의 동일하고, 제1 흐름 영역은 제2 흐름 영역보다도 크다. 챔버는 제3 외부 하우징 및 제3 챔버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는 제3 챔버도 포함한다. 제3 챔버는 도관부와 유체 연통한다. 유체는 제3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와 제3 챔버 사이에서 흐르도록 허용된다. 제1 챔버 체적은 제3 챔버 체적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소음 출력을 감소시키면서,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공명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소음 공명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명기의 단면도.
도 2A는 도 2의 2A 부분의 확대도.
도 2B는 도 2의 2B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공명기 내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부의 측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공명기 내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내부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내부의 부분 단면도.
도 8A는 도 8의 8A 부분의 확대도.
도 8B는 도 8의 8B 부분의 확대도.
도 8C는 도 8의 8C 부분의 확대도.
도 8D는 도 8의 8D 부분의 확대도.
도 8E는 도 8의 8E 부분의 확대도.
도 8F는 도 8의 8F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공명기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공명기의 구성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공명기의 각 챔버에서의 예측 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은 명료하게 하기 위해 배플부(baffle portion)를 삭제한, 실시예에 따른 공명기의 측면도.
도 13A는 도 13의 13A 부분의 확대도.
도 13B는 도 13의 13B 부분의 확대도.
도 13C는 도 13의 13C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도 13의 선 14-14에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공명기 일부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면은 반드시 치수가 정확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일부 특징을 과장, 제거 또는 부분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모든 경우 전부를 나타낸 것은 아니며, 도면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낸 정확한 형태 및 구성으로 청구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도 1은 엔진(E), 압축기(C), 소음 공명기(20)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엔진 및 흡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엔진은 내연 기관이고 압축기는 수퍼차저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공명기(20)는 흡입을 통해 공명할 수 있는 압축기에 의해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동작한다. 공명기(20)는 축 A-A를 규정하며, 외부 쉘(22), 입구(24) 및 출구(26)를 포함한다. 소음 공명기(20)는, 도관부(conduit portion)(32), 제1 환상벽(annular wall)(34), 제2 환상벽(36) 및 일반적인 환상 결합 단부(annular mating end)(38)를 갖춘 내부 부재(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2~4에 더 나타내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쉘(22)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하우징이며, 제1 종단(40), 제2 종단(42), 쉘 외부면(44) 및 쉘 내부면(46)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관부(32)는 제1 도관부(50), 제2 도관부(52), 외부 도관면(54), 내부 도관면(56), 복수의 제1 도관 개구부(58)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제1 도관부(50)의 단면부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들은 제1 도관 개구부(58)이며, 제2 도관부(52)의 단면부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들은 제2 도관 개구부(60)이다.
출구(26)는 결합 단부(38)와 밀봉되는 일반적인 환상 내부면(70)을 포함한다. 제1 환상벽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72)과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74)과 일반적인 원통형 벽 외부면(76)을 포함한다. 제2 환상벽(36)은 일반적인 환상 표면(78)을 포함한다. 상기 쉘 내부면(46), 외부 도관면(54), 제1 환상벽(34)의 제2 표면(74) 및 제2 환상벽(36)의 환상 표면(78)은 제1 챔버(64)를 이룬다. 쉘 내부면(46), 외부 도관면(54), 제1 환상벽(34)의 제1 표면(72) 및 출구(26)의 환상 내부면(70)은 제2 챔버(66)를 이룬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환상벽(34)의 제2 표면(74)과 제2 환상벽(36)의 환상 표면(78) 사이의 거리는 L1이다. 제1 환상벽(34)의 제2 표면(74)과 환상 표면(78) 사이의 거리는 L2이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챔버(64) 및 제2 챔버(66)는 거의 동일한 체적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 쉘 내부면(46)과 외부 도관면은 각각 거리 L1 및 L2를 따라 거의 일치된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거리 L1은 거리 L2와 동일하다. 즉, 제1 환상벽(34)와 제2 환상벽(36) 사이의 거리는 제1 환상벽(34)과 출구(26)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1 도관 개구부(58)과 제2 도관 개구부(60)가 원통형일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도관 개구부(58)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축 F-F에 의해 정해지고, 각각의 제2 도관 개구부(6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축 G-G에 의해 정해진다. 각각의 제1 도관 개구부(58)는 각각의 제2 도관 개구부(60)와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도관 개구부(60)의 개수는 제1 도관 개구부(58)의 개수보다 크다. 한 실시예에서, 공명기(20)는 24개의 제1 도관 개구부(58)와 34개의 제2 도관 개구부(60)를 가지며, 제1 도관 개구부(58)는 제2 도관 개구부(60)와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축 F-F 및 G-G는 축 A-A와 교차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관 개구부(58)는 제1 도관부(50) 내에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2 도관 개구부(60)는 제2 도관부(52) 내에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입구(24)는 제1 입구 종단(82)으로부터 제2 입구 종단(84)으로의 유체 흐름을 안내하는 목(throat)(80)으로 정해진다. 출구(26)는 제1 입구 종단(92)으로부터 제2 입구 종단(94)으로의 유체 흐름을 안내하는 목(90)으로 정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제1 도관 개구부(58)는 제1 직경(D1)과, 일반적으로 제1 도관부(50)의 두께(외부 도관면(54)과 내부 도관면(56) 사이의 거리)인 두께(T1)로 일반적으로 정해진다. 도 2B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제2 도관 개구부(60)는 제2 직경(D2)과, 일반적으로 제2 도관부(52)의 두께인 두께(T2)로 일반적으로 정해진다. 도관부(32)의 내부와 제1 챔버(64) 사이에 제공되는 전체 면적은 각각의 제1 도관 개구부(58)의 면적에 제1 도관 개구부(58)의 개수를 곱한 것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도관부(32)의 내부와 제2 챔버 사이에 제공되는 전체 면적은 각각의 제2 도관 개구부(60)의 면적에 제2 도관 개구부(60)의 개수를 곱한 것과 동일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했을 경우, 제1 챔버(64)는 제1 도관 개구부(58)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되고, 제2 챔버(66)는 제2 도관 개구부(60)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된다. 즉, 제1 도관 개구부(58)를 통해서만 제1 챔버(64)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고, 제2 도관 개구부(60)를 통해서만 제2 챔버(66)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다.
도 5는 공명기(220)로서 다른 실시예의 공명기를 나타낸다. 공명기(220)는 일반적으로 축 B-B를 규정하며, 외부 쉘(222), 입구(224) 및 출구(226)를 갖는다. 소음 공명기(220)는 도관부(232)를 갖는 제2 내부 부재(230), 제1 내부 부재 종단(234), 제2 내부 부재 종단(236) 및 결합 플랜지(23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6~8에 더 나타내었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쉘(222)은 일반적인 원통형 하우징으로서 제1 종단(240), 제2 종단(242), 쉘 외부면(244) 및 쉘 내부면(246)을 포함한다.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관부(232)는 제1 도관부(250), 제2 도관부(252), 제3 도관부(254), 제4 도관부(256), 제5 도관부(258), 제6 도관부(260), 외부 도관면(264), 내부 도관면(266), 복수의 제1 도관 개구부(268), 복수의 제2 도관 개구부(270), 복수의 제3 도관 개구부(272), 복수의 제4 도관 개구부(274), 복수의 제5 도관 개구부(276), 복수의 제6 도관 개구부(278), 일반적인 환상 제1 벽(280), 일반적인 환상 제2 벽(282), 일반적인 환상 제3 벽(284), 일반적인 환상 제4 벽(286), 일반적인 환상 제5 벽(288), 일반적인 환상 제6 벽(290) 및 일반적인 환상 제7 벽(292)을 포함한다.
도 8에서, 제1 도관부(250)의 단면부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1 도관부(268)이고, 제2 도관부(252)의 단면부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2 도관부(270)이고, 제3 도관부(254)의 단면부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3 도관부(272)이고, 제4 도관부(256)의 단면부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4 도관부(274)이고, 제5 도관부(258)의 단면부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5 도관부(276)이고, 제6 도관부(260)의 단면부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6 도관부(278)이다.
제1 벽(280)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30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204) 및 일반적인 원통벽 외부면(306)을 포함한다. 제2 벽(282)은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31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314) 및 일반적인 원통벽 외부면(316)을 포함한다. 제3 벽(284)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32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324) 및 일반적인 원통벽 외부면(326)을 포함한다. 제4 벽(286)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33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334) 및 일반적인 원통벽 외부면(336)을 포함한다. 제5 벽(288)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34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344) 및 일반적인 원통벽 외부면(346)을 포함한다. 제6 벽(290)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35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354) 및 일반적인 원통벽 외부면(356)을 포함한다. 제7 벽(292)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36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364) 및 일반적인 원통벽 외부면(366)을 포함한다.
쉘 내부면(246), 외부 도관면(264), 제1 벽(280)의 제2 표면(304) 및 제2 벽(282)의 제1 표면(312)은 제1 챔버(370)를 이룬다. 쉘 내부면(246), 외부 도관면(264), 제2 벽(282)의 제2 표면(314) 및 제3 벽(284)의 제1 표면(322)은 제2 챔버(372)를 이룬다. 쉘 내부면(246), 외부 도관면(264), 제3 벽(284)의 제3 표면(324) 및 제4 벽(286)의 제1 표면(332)은 제3 챔버(372)를 이룬다. 쉘 내부면(246), 외부 도관면(264), 제4 벽(286)의 제2 표면(334) 및 제5 벽(288)의 제1 표면(342)은 제4 챔버(376)를 이룬다. 쉘 내부면(246), 외부 도관면(264), 제5 벽(288)의 제2 표면(344) 및 제6 벽(290)의 제1 표면(352)은 제5 챔버(378)를 이룬다. 쉘 내부면(246), 외부 도관면(264), 제6 벽(290)의 제2 표면(354) 및 제7 벽(292)의 제1 표면(362)은 제2 챔버(380)를 이룬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벽(280)의 제2 표면(304)과 제2 벽(282)의 제1 표면(312) 사이의 거리는 M1이다. 제2 벽(282)의 제2 표면(314)과 제3 벽(284)의 제1 표면(322) 사이의 거리는 M2이다. 제3 벽(284)의 제2 표면(324)과 제4 벽(286)의 제1 표면(332) 사이의 거리는 M3이다. 제4 벽(286)의 제2 표면(334)과 제5 벽(288)의 제1 표면(342) 사이의 거리는 M4이다. 제5 벽(288)의 제2 표면(344)과 제6 벽(290)의 제1 표면(352) 사이의 거리는 M5이다. 제6 벽(290)의 제2 표면(354)과 제7 벽(292)의 제1 표면(362) 사이의 거리는 M6이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챔버(370), 제2 챔버(372), 제3 챔버(374), 제4 챔버(376), 제5 챔버(378) 및 제6 챔버(380)는 거의 동일한 체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쉘 내부면(246) 및 외부 도관면은 각각 길이 M12, M2, M3, M4, M5, M6을 따라 거의 일치되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길이 M12, M2, M3, M4, M5, M6는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관부가 원통형일 필요는 없지만, 각각의 제1 도관 개구부(268)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F-F에 의해 정해지며, 각각의 제2 도관 개구부(27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G-G에 의해 정해지며, 각각의 제3 도관 개구부(27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H-H에 의해 정해지며, 각각의 제4 도관 개구부(274)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I-I에 의해 정해지며, 각각의 제5 도관 개구부(276)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J-J에 의해 정해지며, 각각의 제6 도관 개구부(278)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K-K에 의해 정해진다(도 8A~8F에 도시). 또한, 기하학적으로 희망하는 변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모든 도관 개구부는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제6 도관 개구부(278)의 개수는 제5 도관 개구부(276)의 개수보다 크고, 제5 도관 개구부(276)의 개수는 제4 도관 개구부(274)의 개수보다 크고, 제4 도관 개구부(274)의 개수는 제3 도관 개구부(272)의 개수보다 크고, 제3 도관 개구부(272)의 개수는 제2 도관 개구부(270)의 개수보다 크고, 제2 도관 개구부(270)의 개수는 제1 도관 개구부(268)의 개수보다 크다. 한 실시예에서, 공명기(220)는 22개의 제1 도관 개구부(268), 28개의 제2 도관 개구부(270), 36개의 제3 도관 개구부(272), 42개의 제4 도관 개구부(274), 60개의 제5 도관 개구부(276), 84개의 제6 도관 개구부(278)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F-F, G-G, H-H, I-I, J-J 및 K-K는 축 A-A와 교차하고, 도관 개구부(268, 270, 272, 274, 276, 278)는 각 도관부 내에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입구(224)는 제1 입구 종단(392)으로부터 제2 입구 종단(394)으로의 유체 흐름을 안내하는 목(390)과, 쉘(422)에 입구(224)를 결합하는 플랜지(396)에 의해 정해진다. 결합 플랜지(238)는 제2 입구 종단(394)과 밀봉된다. 출구(226)는 제1 입구 종단(402)으로부터 제2 입구 종단(404)으로의 유체 흐름을 안내하는 목(400)과, 쉘(422)에 출구(226)를 결합하는 플랜지(406)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제1 도관 개구부(268)는 제1 도관부(250)의 일반적인 두께인, 제1 직경(D11) 및 제1 두께(T11)를 일반적으로 규정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제2 도관 개구부(270)는 제2 도관부(252)의 일반적인 두께인, 제2 직경(D12) 및 제2 두께(T12)를 일반적으로 규정한다. 도 8C는, 바람직한 제3 도관 개구부(272)가 제3 도관부(254)의 일반적인 두께인, 제3 직경(D13) 및 제3 두께(T13)를 일반적으로 규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D는, 바람직한 제4 도관 개구부(274)가 제4 도관부(256)의 일반적인 두께인, 제4 직경(D14) 및 제4 두께(T14)를 일반적으로 규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E는, 바람직한 제5 도관 개구부(276)가 제5 도관부(258)의 일반적인 두께인, 제5 직경(D15) 및 제5 두께(T15)를 일반적으로 규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F는, 바람직한 제6 도관 개구부(278)가 제6 도관부(260)의 일반적인 두께인, 제6 직경(D16) 및 제6 두께(T16)를 일반적으로 규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관부(232)의 내부와 제1 챔버(294) 사이에서 제공되는 전체 면적은 각각의 제1 도관 개구부(268)의 면적에 제1 도관 개구부(268)의 개수를 곱한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도관부(232)의 내부와 제2 챔버(296) 사이에서 제공되는 전체 면적은 각각의 제2 도관 개구부(270)의 면적에 제2 도관 개구부(270)의 개수를 곱한 것과 같다.
도관부의 도관 개구부(58, 60, 268, 270, 272, 274, 276 및 278) 내에서의 공기 혹은 다른 유체의 체적은 일반적으로 개구부의 개수에 직경 및 두께를 곱함으로써 정해진다. 예를 들어, 제3 도관 개구부(272) 내의 공기 체적(V13, 도 8C)은
V13 = T13 x (D13)2 x π/4 x 36 이다.
여기서,
V13 = 제3 도관 개구부(272) 내의 공기를 합한 체적
T13은 제3 도관부(272)의 두께
D13은 제3 도관부(272)의 직경
π는 pi
36은 제3 도관부(272)의 개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한 경우, 제1 챔버(370)는 제1 도관 개구부(268)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되고, 제2 챔버(372)는 제2 도관 개구부(270)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된다. 제3 챔버(374)는 제3 도관 개구부(272)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되고, 제4 챔버(376)는 제4 도관 개구부(274)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되고, 제5 챔버(378)는 제5 도관 개구부(276)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되고, 제6 챔버(380)는 제6 도관 개구부(278)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된다. 즉, 그들 각각의 도관 개구부(268)를 통해서만 공기가 챔버(370, 372, 374, 376, 378, 380)로 드나들 수 있고, 제2 도관 개구부(270)을 통해서만 공기가 제2 챔버(266)로 드나들 수 있다.
도 9는 공명기(420)로서 다른 실시예의 공명기를 나타낸다. 상기 공명기(420)는 축 C-C에 의해 일반적으로 정해지며, 외부 쉘(422), 입구(24) 및 출구(226)를 포함한다. 소음 공명기(420)는 제1 내부 부재(30)(도 2~4)와, 제2 내부 부재(230)(도 6~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0에 더 나타내었다.
쉘(422)은 하나의 연속적인 조각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쉘(22)의 제2 종단(42)과 쉘(222)의 제1 종단(240)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부재(30)와 제2 내부 부재(230)는 쉘(422) 내에 끼워 넣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된다. 또한, 결합 플랜지(238)는 결합 종단(38)과 밀봉되어 내부 부재(30)와 제2 내부 부재(230)를 상호 연결한다.
필요하다면 다른 비율도 이용할 수 있겠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챔버(64, 66)의 체적은 챔버(370, 372, 374, 376, 378 및 380)의 체적보다 약 3배 이상이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는 도관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예의 동작에서, 공기는 공명기의 입구에서 출구로 지나갈 것이다. 일반적으로, 챔버(64, 66, 370, 372, 374, 376, 378, 380) 내의 공기는 스프링(spring)처럼 동작하는 반면, 챔버를 도관에 연결하는 개구부 내에서의 공기의 질량은 소정의 주파수로 공명할 것이다. 즉, 개구부 내의 공기의 질량(밀도 곱하기 체적)과 관련 챔버 내의 공기의 체적은, 질량과 스프링 조합으로서 동작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공명하고, 이에 따라 공명기를 통해 흐르는 공기에서의 이러한 주파수의 진폭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제1 챔버와 도관을 연결하는 개구부의 양을 다르게 갖는 대략 동일한 체적의 복수의 제1 챔버와, 제2 챔버와 도관을 연결하는 개구부의 양을 다르게 갖는 대략 동일한 체적(제1 챔버의 체적과는 다름)의 복수의 제2 챔버의 결합이, 복수의 다른 주파수를 감소시켜 엔진의 소음 출력을 감소시키면서,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공명기에 제공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일반적으로, 입구 근처에 위치한 챔버(64)와 관련된 크기는 낮은 주파수로 공명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낮은 주파수가 큰 에너지와 관련되므로, 입구로부터 출구로의 연속적인 챔버 각각은 연속적으로 높은 주파수로 공명할 것이며, 높은 주파수 챔버(챔버 376 및 378)는 높은 주파수 챔버에 인접한 도관 내에 높은 양의 공명 에너지가 없어서 많은 양의 상기 조정된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명기의 체적과 강성(not the stiffness)이 소음 감소의 주요 인자이므로, 공명기는 플라스틱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챔버는 도관부를 쉘 내에 끼워 넣어 형성된다. 도시한 부품 및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은 공지의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2는 서로 다른 공명기의 시험으로부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종래의 공명기(미국특허 제5,979,598호의 공명기 이후에 설계된 것)를 도 11의 도식적인 크기를 갖는 공명기와 비교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여러 주파수에 대한 도 12에서의 전송 손실(TL)은 머플러에서 튜브로 나가는 울림이 없게 종결되는 파동(wave)과, 머플러를 대신하는 직선 파이프 섹션에서 나가는 마찬가지로 울림이 없게 종결되는 파동 사이의 음향 파워(sound power)의 차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주파수 범위의 많은 부분, 특히 1800 및 2300 Hz 사이에서 도 11의 공명기보다 낮은 전송 손실을 나타내는 공명기이다.
도 13, 14, 15는 공명기(620)로서 다른 실시예의 공명기를 나타낸다. 공명기(620)는 일반적으로 축 D-D에 의해 정해지고, 외부 쉘(622), 입구(24) 및 출구(226)를 포함한다. 소음 공명기(620)는 내부 부재(30)(도 2~4), 제2 내부 부재(230)(도 6~8) 및 제3 내부 부재(6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3에 더 나타내었다.
제3 내부 부재(630)는 도관부(632), 제1 내부 부재 종단(634), 제2 내부 부재 종단(636) 및 결합 플랜지(63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5에 나타내었다. 결합 플랜지(638)는 제2 내부 부재(230)와 접촉하고, 제2 내부 부재 종단(636)은 출구(226)와 접촉한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쉘(622)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하우징이고, 제1 종단(640), 제2 종단(642), 쉘 외부면(644) 및 쉘 내부면(646)을 포함한다. 도관부(632)는 제1 도관부(650), 제2 도관부(652), 제3 도관부(654), 외부 도관면(664), 내부 도관면(666), 복수의 제1 도관 개구부(668), 복수의 제2 도관 개구부(670), 복수의 제3 도관 개구부(672), 일반적인 환상 제1 벽(680), 일반적인 환상 제2 벽(682), 일반적인 환상 제3 벽(684)을 포함한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도관부(632)는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분할기(688),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2 분할기(690),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3 분할기(692),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4 분할기(694), 중앙 분할기(696)를 포함한다. 분할기(688, 690, 692, 694 및 696)는 명료한 표시를 위해 도 13에서는 생략하였다.
도 13 및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관부(650)에서의 모든 개구부는 제1 도관 개구부(668)이고, 제2 도관부(652)의 단면 부분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2 도관 개구부(670)이고, 제3 도관부(654)의 단면 부분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3 도관 개구부(672)이고, 제4 도관부(656)의 단면 부분에 나타낸 모든 개구부는 제4 도관 개구부(674)이다.
제1 벽(680)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70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704), 일반적인 원통형 벽 외부면(706)을 포함한다. 제2 벽(682)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71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714), 일반적인 원통형 벽 외부면(716)을 포함한다. 제3 벽(684)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72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724), 일반적인 원통형 벽 외부면(726)을 포함한다. 제4 벽(686)은 일반적인 환상 제1 표면(732), 일반적인 환상 제2 표면(734), 일반적인 원통형 벽 외부면(736)을 포함한다.
중앙 분할기(696)는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 중앙 분할부(748),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2 중앙 분할부(750),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3 중앙 분할부(752),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4 중앙 분할부(75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4 및 15에 나타내었다. 공명기(620)을 통하는 유체의 흐름은 중앙 분할기(696)에 의해, 제1 경로(756), 제2 경로(758), 제3 경로(760) 및 제4 경로(762)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분할기(688, 690, 692, 694 및 696)는 공명기(620)를 통한 유체 흐름을 4개의 흐름 경로로 분리시킨다. 특히, 도관부(32) 및 제2 도관부(232)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4개의 흐름 경로(756, 758, 760 및 762)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 분할기(688, 690, 692, 694 및 696)는, 방사상 또는 원주상의 유체의 전달이 없이(이후 상세히 설명함), 상기 챔버(770, 772 및 774) 각각을 별개의 영역으로 분리시킨다.
4개의 흐름 경로(756, 758, 760 및 762)를 설명했지만, 일부의 공명기(620)는 필요하다면 다른 적절한 수의 흐름 경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기(688, 690, 692, 694)는 상기 벽(680, 682, 684, 686) 중에서 2개의 인접한 벽 사이에 연장되는 각각의 분할기의 일부로, 복합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 중에, 유체는 입구 흐름 경로(764)에서 입구(24)를 통해 공명기(620)로 흐르고, 도관부(32) 및 제2 도관부(232)를 통해 흐른 후, 흐름 경로(756, 758, 760 및 762) 중 하나로 분리된다.
쉘 내부면(646), 외부 도관면(664), 제1 벽(680)의 제2 표면(704), 제2 벽(682)의 제1 표면(712)은 제1 챔버(770)를 이룬다. 쉘 내부면(646), 외부 도관면(664), 제2 벽(682)의 제2 표면(714), 제3 벽(684)의 제1 표면(722)은 제2 챔버(772)를 이룬다. 쉘 내부면(646), 외부 도관면(664), 제3 벽(684)의 제2 표면(724), 제4 벽(686)의 제1 표면(732)은 제3 챔버(774)를 이룬다. 한 실시예에서, 제1 벽(680)을 삭제할 수 있으며 제6 벽(292)이 제1 챔버(770)를 이룰 수도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벽(680)의 제2 표면(704)과 제2 벽(682)의 제1 표면(712) 사이의 거리는 길이 N1이다. 제2 벽(682)의 제2 표면(714)과 제3 벽(684)의 제1 표면(722) 사이의 거리는 길이 N2이다. 제3 벽(684)의 제2 표면(724)와 제4 벽(686)의 제1 표면(732) 사이의 거리는 길이 N3이다.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챔버(770), 제2 챔버(772) 및 제3 챔버(774)는 거의 동일한 체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쉘 내부면(646)과 외부 도관면은 각각 길이 N1, N2, N3을 따라 거의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길이 N1, N2, N3는 거의 동일하다.
상기 도관 개구부가 원통형일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도관 개구부(668)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R-R에 의해 정해지며, 각각의 제2 도관 개구부(67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S-S에 의해 정해지며, 각각의 제3 도관 개구부(67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축 T-T에 의해 정해진다(도 13A~13CF 참조). 또한, 기하학적으로 희망하는 변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모든 도관 개구부는 거의 동일한 직경이다.
제3 도관 개구부(672)의 개수는 제2 도관 개구부(670)보다 크고, 제2 도관 개구부(670)의 개수는 제1 도관 개구부(668)의 개수보다 크다. 한 실시예에서, 공명기(620)는 22개의 제1 도관 개구부(668), 28개의 제2 도관 개구부(670), 36개의 제3 도관 개구부(672)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축 R-R, S-S, T-T는 축 A-A와 교차한다. 도 13 및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관 개구부(668, 670, 672)는 그들 각각의 도관부 내에서 분할기(688, 690, 692, 694 및 696) 사이에 거의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입구(24)는 제1 입구 종단(792)에서 제2 입구 종단(794)으로 유체 흐름을 안내하는 목(790)과, 입구(24)를 쉘(422)에 결합하는 플랜지(796)에 의해 정해진다. 결합 플랜지(638)는 제2 입구 종단(794)과 밀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구(266)는 제1 입구 종단(402)에서 제2 입구 종단(404)으로 휴체 흐름을 안내하는 목(400)과, 출구(226)를 쉘(422)에 결합하는 플랜지(406)에 의해 정해진다.
도 1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제1 도관 개구부(668)는 제1 직경(D21)과, 일반적으로 제1 도관부(650)의 두께인 제1 두께(T21)를 일반적으로 규정한다. 도 13B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제2 도관 개구부(670)는 제2 직경(D22)과, 일반적으로 제2 도관부(652)의 두께인 제2 두께(T22)를 일반적으로 규정한다. 도 13C는 바람직한 제3 도관 개구부(672)가 제3 직경(D23)과, 일반적으로 제3 도관부(654)의 두께인 제3 두께(T23)를 일반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관부(632)의 내부와 제1 챔버(694) 사이에 제공되는 전체 면적은 각각의 제1 도관 개구부(668)의 면적에 제1 도관 개구부(668)의 개수를 곱한 것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도관부(632)의 내부와 제2 챔버(696) 사이에 제공되는 전체 면적은 각각의 제2 도관 개구부(670)의 면적에 제2 도관 개구부(670)의 개수를 곱한 것과 동일하다.
도관부의 도관 개구부(58, 60, 268, 270, 272, 274, 276, 278, 668, 670 및 672) 내에서 공기 또는 다른 유체의 체적은 일반적으로 개구부의 개수에 직경 및 두께를 곱한 것으로 정해지는 체적이다. 예를 들어, 제2 도관 개구부(670)(V22, 도 13B) 내에서의 공기의 체적은 다음과 같다.
V22 = T22 x (D22)2 x π/4 x 36
여기서,
V22 = 제2 도관 개구부(670) 내의 공기를 합한 체적
T22는 제2 도관 개구부(670)의 두께
D22은 제2 도관 개구부(670)의 직경
π는 파이(pi)
36은 제2 도관 개구부의 개수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한 경우, 제1 챔버(770)는 제1 도관 개구부(668)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이고, 제2 챔버(772)는 제2 도관 개구부(670)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이고, 제3 챔버(774)는 제3 도관 개구부(672)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이고, 제4 챔버(776)는 제4 도관 개구부(674)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이고, 제5 챔버(778)는 제5 도관 개구부(676)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이고, 제6 챔버(780)는 제6 도관 개구부(678)를 제외하고 거의 기밀이다. 즉, 챔버(770, 772, 774, 776, 778, 780) 각각의 도관 개구부(668)을 통해서만 공기가 챔버로 드나들 수 있고, 제2 도관 개구부(670)을 통해서만 공기가 제2 챔버(666)로 드나들 수 있다.
쉘(622)은 하나의 연속적인 조각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하나의 본 실시예에서는, 셀(622)이 쉘(22)의 제2 종단(62)과 쉘(222)의 제1 종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부재(30) 및 제2 내부 부재(230)는 쉘(622) 내에 끼워 넣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밀봉된다. 또한, 결합 플랜지(238)는 결합 종단(38)과 밀봉되어 내부 부재(30) 및 제2 내부 부재(230)를 상호 연결한다.
다른 비율도 이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챔버(64, 66)의 체적은 챔버(370, 372, 374, 376, 378 및 380)의 체적보다 약 3배 더 크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는 도관과 직렬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한 실시예의 동작에서, 공기는 공명기의 입구에서 출구로 지나갈 것이다. 일반적으로, 챔버(64, 66, 370, 372, 374, 376, 378, 380) 내의 공기는 스프링(spring)처럼 동작하는 반면, 챔버를 도관에 연결하는 개구부 내에서의 공기의 질량은 소정의 주파수로 공명할 것이다. 즉, 개구부 내의 공기의 질량(밀도 곱하기 체적)과 관련 챔버 내의 공기의 체적은, 질량과 스프링 조합으로서 동작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공명하고, 이에 따라 공명기를 통해 흐르는 공기에서의 이러한 주파수의 진폭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제1 챔버와 도관을 연결하는 개구부의 양을 다르게 갖는 대략 동일한 체적의 복수의 제1 챔버와, 제2 챔버와 도관을 연결하는 개구부의 양을 다르게 갖는 대략 동일한 체적(제1 챔버의 체적과는 다름)의 복수의 제2 챔버의 결합이, 복수의 다른 주파수를 감소시켜 엔진의 소음 출력을 감소시키면서,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공명기에 제공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일반적으로, 입구 근처에 위치한 챔버(64)와 관련된 크기는 낮은 주파수로 공명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낮은 주파수가 큰 에너지와 관련되므로, 입구로부터 출구로의 연속적인 챔버 각각은 연속적으로 높은 주파수로 공명할 것이며, 높은 주파수 챔버(챔버 376 및 378)는 높은 주파수 챔버에 인접한 도관 내에 높은 양의 공명 에너지가 없어서 많은 양의 상기 조정된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명기의 체적과 강성(not the stiffness)이 소음 감소의 주요 인자이므로, 공명기는 플라스틱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공명기(620)을 참조하여, 필요하다면, 내부 부재(30)를 포함하는 부분은 저주파 섹션이라고 하고, 제2 내부 부재(230)을 포함하는 부분은 중간 주파 섹션(mid frequency section)이라고 하고, 제3 내부 부재(630)을 포함하는 부분은 고주파 섹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챔버는 도관부를 쉘 내에 끼워 넣어 형성된다. 도시한 부품 및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은 공지의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설명을 위해서만 제공된다. 이것은 개시된 어떤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의 모든 경우를 나타내거나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 변형을 만들거나 그 구성요소를 동등한 것으로 대치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한 상황 또는 재료를 본 발명의 가르침에 적응시키는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고려된 베스트 모드(best mode)로서 나타나 있는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별히 설명되고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1)

  1. 도관 내부면(56)과 도관 외부면(54)을 갖는 도관부(32, 232, 632)와,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복수의 챔버(64, 66)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챔버는
    제1 외부 하우징(22) 및 제1 챔버(64, 294, 370, 694)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1 흐름 영역(flow area)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1 챔버(64, 294, 370, 694);
    제2 외부 하우징(22) 및 제2 챔버(66, 296, 372, 666)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2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2 챔버(66, 296, 372, 666); 및
    제3 외부 하우징(22) 및 제3 챔버(374)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3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3 챔버(374);
    를 포함하고,
    제1 챔버(64, 294, 370, 694) 체적은 제2 챔버(66, 296, 372, 666) 체적과 거의 동일하고, 제1 흐름 영역은 제2 흐름 영역보다도 크고, 제1 챔버(64, 294, 370, 694) 체적은 제3 챔버(374) 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4 외부 하우징(22) 및 제4 챔버(376)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4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4 챔버(376)를 더 포함하고,
    제3 챔버(374) 체적은 제4 챔버(376) 체적과 거의 동일하고, 제3 흐름 영역은 제4 흐름 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4 챔버(376)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제4 챔버(376) 부분으로 구분되도록 제4 챔버(37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져 있는 챔버 분할기(688, 690, 692) 부분을 더 포함하며,
    제1 부분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일부만이 각각의 제4 챔버(376) 섹션을 통해서 흐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5 외부 하우징(22) 및 제5 챔버(378)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5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5 챔버(378)를 더 포함하고,
    제4 챔버(376) 체적은 제5 챔버(376) 체적과 거의 동일하고, 제4 흐름 영역은 제5 흐름 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64, 294, 370, 694)는 제2 챔버(66, 296, 372, 666)의 상류(upstream)에 있고, 제2 챔버(66, 296, 372, 666)는 제3 챔버(374)의 상류에 있고, 제3 챔버(374)는 제4 챔버(376)의 상류에 있고, 제4 챔버(376)는 제5 챔버(378)의 상류에 있고, 복수의 챔버(64, 66, 374, 376, 378)는 직렬로 배치되고 도관부(32, 232, 632)와만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 흐름 영역은 제1 챔버(64, 294, 370, 694)와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20개의 개구부(58)의 조합된 섹션 영역(combined sectional area)에 의해 정해지고, 섹션 영역은 유체의 흐름과 거의 직교하도록 재어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개구부(58)는 거의 동일한 섹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32)는 적어도 30개의 개구부(38)를 가지고 제1 챔버(64, 294, 370, 694)와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챔버(64, 66, 374, 376, 378) 각각은 도관부(32, 232, 632)와만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챔버(64, 66, 374, 376, 378)는 직렬로 배치되고 도관부(32, 232, 632)와만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64, 294, 370, 694)는 제1 섹션 영역을 정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58)를 거쳐 도관부(32)와 유체 연통하고, 제2 챔버(66, 296, 372, 666)는 제2 섹션 영역을 정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60)를 거쳐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1 섹션 영역은 제2 섹션 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도관부(32, 232, 632)는 압축기 부분(C)과 내연 기관(E)에 유체가 입력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엔진 흡입구에서 음향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 외부 하우징(22) 및 제1 챔버(64, 294, 370, 694)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1 흐름 영역(flow area)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1 챔버(64, 294, 370, 694)를 형성하는 단계;
    제2 외부 하우징(22) 및 제2 챔버(66, 296, 372, 666)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2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2 챔버(66, 296, 372, 666)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3 외부 하우징(22) 및 제3 챔버(374)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3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3 챔버(374)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64, 294, 370, 694) 체적은 제2 챔버(66, 296, 372, 666) 체적과 대략 같고, 제1 흐름 영역은 제2 흐름 영역보다도 크고, 제1 챔버(64, 294, 370, 694) 체적은 제3 챔버(374) 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32, 232, 632)를 통해 압축기(C)와 내연 기관(E)에 유체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제4 외부 하우징(22) 및 제4 챔버(376)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4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4 챔버(376)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챔버(374) 체적은 제4 챔버(376) 체적과 거의 동일하고, 제3 흐름 영역은 제4 흐름 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챔버(376)를 복수의 챔버(64, 66)로 구분하고, 제1 섹션을 통해 흐르는 유체 일부가 제4 챔버(376) 섹션 각각을 통해 흐르도록 유체 흐름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제5 외부 하우징(22) 및 제5 챔버(378) 체적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해지며,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며, 제5 흐름 영역을 통해 도관부(32, 232, 632)와의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5 챔버(378)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챔버(376) 체적은 제5 챔버(376) 체적과 거의 동일하고, 제4 흐름 영역은 제5 흐름 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64, 294, 370, 694)를 제2 챔버(66, 296, 372, 666)의 상류에 배치하고, 제2 챔버(66, 296, 372, 666)를 제3 챔버(374)의 상류에 배치하고, 제3 챔버(374)를 제4 챔버(376)의 상류에 배치하고, 제4 챔버(376)를 제5 챔버(378)의 상류에 배치하고, 복수의 챔버(64, 66, 374, 376, 378)를 직렬로 도관부(32, 232, 632)와만 유체 연통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챔버(64, 66, 374, 376, 378)를 직렬로 도관부(32, 232, 632)와만 유체 연통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제1 섹션 영역을 정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58)를 거쳐 도관부(32)와 유체 연통하도록 제1 챔버(64, 294, 370, 694)를 배치하고, 제2 섹션 영역을 정하는 복수의 제2 개구부(60)를 거쳐 도관부(32, 232, 632)와 유체 연통하도록 제2 챔버(66, 296, 372, 666)를 배치하고, 제1 섹션 영역은 제2 섹션 영역보다 크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제1 챔버(64, 294, 370, 694)를 제3 챔버(374)의 상류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19852A 2009-01-30 2010-01-29 광대역 소음 공명기 KR201101131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63,088 2009-01-30
US12/363,088 US7934581B2 (en) 2009-01-30 2009-01-30 Broadband noise reson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191A true KR20110113191A (ko) 2011-10-14

Family

ID=4212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852A KR20110113191A (ko) 2009-01-30 2010-01-29 광대역 소음 공명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34581B2 (ko)
EP (1) EP2384401B1 (ko)
JP (1) JP5738773B2 (ko)
KR (1) KR20110113191A (ko)
CN (1) CN102369359B (ko)
MX (1) MX2011008117A (ko)
WO (1) WO20100867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124A (ko) 2015-06-04 2016-12-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5876B2 (ja) * 2009-07-10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冷媒循環回路
FR2950112B1 (fr) * 2009-09-11 2011-10-07 Hutchinson Dispositif d'attenuation acoustique pour ligne d'admission d'un moteur thermique, et ligne d'admission l'incorporant
US8323556B2 (en) 2009-09-30 2012-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facture of an acoustic silencer
ES2549177T3 (es) * 2009-10-16 2015-10-23 Ti Automotive Engineering Centre (Heidelberg) Gmbh Circuito de refrigerante con amortiguador acústico para un cuerpo tubular que forma una cavidad
US8813708B2 (en) * 2009-12-10 2014-08-26 Mann+Hummel Gmbh Air pillow flow guidance and acoustic countermeasure system for an air intake tract
DE102009060081B4 (de) * 2009-12-22 2018-02-22 Airbus Operations Gmbh Vakuumabwassersystemschalldämpfer
CN102985662B (zh) * 2010-08-11 2015-11-25 博格华纳公司 涡轮增压器
DE102010037540A1 (de) * 2010-09-15 2012-03-15 Contitech Mgw Gmbh Fluidleitung mit Resonator
EP2444648B1 (en) * 2010-10-19 2016-03-30 Jaguar Land Rover Limited Air duct attenuator
US9121374B2 (en) * 2010-10-22 2015-09-01 Umfotec Umformtechnik Gmbh Wide-band damper for charge air lin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turbocharger
DE102010061994A1 (de) 2010-11-25 2012-05-31 Gardner Denver Deutschland Gmbh Gebläse-Anordnung
GB2496368B (en) * 2011-10-12 2017-05-31 Ford Global Tech Llc An acoustic attenuator for an engine booster
DE102011120148A1 (de) * 2011-12-03 2013-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challdämpfer mit einem in einer Kreisbahneinführbaren Resonator-Einschubteil
DE102013207586A1 (de) * 2012-05-03 2013-1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Luftfilter mit integriertem Resonator
CN103629025A (zh) * 2012-08-23 2014-03-12 曼胡默尔滤清器(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空气滤清器的综合式消声装置
WO2014051937A1 (en) 2012-09-27 2014-04-03 Eaton Corporation Integral resonators for roots-type supercharger
CN203585530U (zh) * 2012-09-28 2014-05-07 费希尔控制国际公司 模态衰减器
US9243543B2 (en) * 2012-12-07 2016-01-26 Hanon Systems Universal attenuation device for air-conditioning circuit
WO2014093215A1 (en) * 2012-12-10 2014-06-19 Eaton Corporation Resonator with liner
AT513955A1 (de) * 2013-01-16 2014-08-15 Henn Gmbh & Co Kg Schalldämpf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3256258A (zh) * 2013-05-10 2013-08-21 同济大学 一种用于燃料电池汽车空气辅助系统的消声器
CN103277170A (zh) * 2013-05-21 2013-09-0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节流阀体
CN103291386A (zh) * 2013-06-14 2013-09-11 湖南天雁机械有限责任公司 涡轮增压器消声器
CN104343746A (zh) * 2013-07-24 2015-02-1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吹吸机
KR102085824B1 (ko) * 2013-10-15 2020-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9175648B2 (en) * 2013-10-17 2015-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ake system having a silencer device
CN104712470A (zh) * 2013-12-13 2015-06-1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确定空滤器进气管谐振腔结构的测试装置
JP5896982B2 (ja) * 2013-12-26 2016-03-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音装置
USD732081S1 (en) 2014-01-24 2015-06-16 Eaton Corporation Supercharger
US20150218984A1 (en) * 2014-02-06 2015-08-06 Gary Hash Motorcycle muffler baffle
EP2907997B1 (en) * 2014-02-13 2018-05-23 Ls Mtron Ltd. Resonator for vehicle
CN106460737A (zh) 2014-05-19 2017-02-22 伊顿公司 增压器出口共振器
DE102014108132A1 (de) * 2014-06-10 2015-12-17 Elringklinger Ag Schalldämpfungsvorrichtung und Brennkraftmaschine
DE202014007986U1 (de) * 2014-10-01 2016-0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challdämpfer
WO2016057186A1 (en) * 2014-10-08 2016-04-14 Dresser-Rand Company Concentric resonators for machines
DE102014115898B4 (de) * 2014-10-31 2019-07-25 Dietrich Denker Resonator
CN104612864A (zh) * 2014-11-04 2015-05-13 上海永红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及其进气系统
US9664155B2 (en) * 2014-12-03 2017-05-30 Mann+Hummel Gmbh Air induction system having an acoustic resonator
DE102015000418A1 (de) 2015-01-14 2016-07-14 Hydac Technology Gmbh Dämpfungsvorrichtung
DE102015202851A1 (de) * 2015-02-17 2016-08-18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Fluidleitungsanordnung
US9376946B1 (en) * 2015-04-02 2016-06-28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Modal attenuator
FR3036731B1 (fr) * 2015-05-29 2017-05-19 Novares France Dispositif d'attenuation des bruits de bouche et des bruits rayonnes
DE112016002188T5 (de) * 2015-06-11 2018-01-25 Eaton Corporation Integrierter Laderresonator
DE102015214709A1 (de) 2015-07-31 2017-02-02 Mahle International Gmbh Strömungskanal und Belüftungs-, Heizungs- oder Klimaanlage
DE102015112717B4 (de) * 2015-08-03 2021-01-14 Dietrich Denker Vorrichtung zur Absenkung von Strömungsgeräuschen
KR102522668B1 (ko) * 2015-09-02 2023-04-18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차량용 소음기
JP6629627B2 (ja) 2016-02-22 2020-01-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騒音低減構造及び過給装置
USD855657S1 (en) 2016-03-21 2019-08-06 Eaton Corporation Front cover for supercharger
KR101876070B1 (ko) * 2016-10-26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저감이 가능한 차량의 에어덕트
US10302052B2 (en) * 2016-11-16 2019-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cuum actuated multi-frequency quarter-wave reson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221963B2 (en) * 2017-02-28 2019-03-05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Ball valve with modal silencer
JP6809321B2 (ja) * 2017-03-21 2021-01-06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DE102017130661A1 (de) 2017-12-20 2019-06-27 Montaplast Gmbh Breitbanddämpfer für einen Kraftfahrzeug-Motor
US11319847B2 (en) 2018-09-19 2022-05-03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device with noise suppression system
KR102119547B1 (ko) * 2018-11-05 2020-06-09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기밀성이 우수한 레조네이터
US10539066B1 (en) * 2018-11-21 2020-01-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charge air cooler with an integrated resonator
CN109708393A (zh) * 2018-12-06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消音装置及具有其的冰箱
WO2020154295A1 (en) 2019-01-21 2020-07-30 Toledo Molding & Die, Inc. Inline high frequency fiber silencer
EP3738494A1 (en) * 2019-05-14 2020-11-18 Koninklijke Philips N.V. Noise reduction device
DE102020104034A1 (de) * 2020-02-17 2021-08-19 Mann+Hummel Gmbh Akustikbauteil und Luftführungsleitung mit einem Akustikbauteil
US11662048B2 (en) * 2020-03-30 2023-05-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mpact duct sound absorber
CN114483644B (zh) * 2020-11-12 2024-03-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离心叶轮、离心风机和吸油烟设备
US11946398B1 (en) * 2022-10-12 2024-04-02 Mann+Hummel Gmbh Broadband resonator with an entrained water removal system for a fuel cell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2543A (en) * 1932-09-15 1943-10-26 Gen Motors Corp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system
SE409484B (sv) * 1976-08-19 1979-08-20 Collin Lars Ljuddempare
DE4219249C2 (de) 1992-06-12 1994-03-31 Kuehnle Kopp Kausch Ag Radialverdichter, insbesondere eines Turboladers
DE4327562A1 (de) 1993-08-17 1995-02-23 Erwin Dipl Ing Koetter Koaxialer Resonator-Schalldämpfer für hohe Wechseldrücke
DE19615917A1 (de) 1996-04-22 1997-10-30 Wolf Woco & Co Franz J Ansaugschalldämpfer und Kraftfahrzeug
US5839405A (en) 1997-06-27 1998-11-24 Chrysler Corporation Single/multi-chamber perforated tube resonator for engine induction system
DE19747158A1 (de) 1997-10-24 1999-04-29 Wolf Woco & Co Franz J Pulsationsdämpfer
US6659222B1 (en) * 1999-03-05 2003-12-09 Arvinmeritor, Inc. Multi-chambered muffler
DE19943246B4 (de) * 1999-09-10 2006-06-14 Daimlerchrysler Ag Schalldämpfer zur Herabminderung der Luftgeräusche im Ansaugstrang von Brennkraftmaschinen
DE19956165A1 (de) 1999-11-23 2001-05-31 Umfotec Umformtechnik Gmbh Schlitzrohrdämpfer
DE10102040A1 (de) * 2001-01-18 2002-07-25 Mahle Filtersysteme Gmbh Schalldämpfer
ES2300357T5 (es) 2001-06-13 2011-11-17 Woco Industrietechnik Gmbh Amortiguador de ruidos.
GB2389150B (en) * 2001-09-07 2004-08-25 Avon Polymer Prod Ltd Noise and vibration suppressors
US6752240B1 (en) * 2002-11-05 2004-06-22 Brunswick Corporation Sound attenuator for a supercharged marine propulsion device
DE10341319B4 (de) * 2003-09-08 2006-02-02 Veritas Ag Schalldämpfer
US20050150718A1 (en) * 2004-01-09 2005-07-14 Knight Jessie A. Resonator with retention ribs
GB2427898A (en) 2004-05-11 2007-01-10 Modine Mfg Co Integrated heat exchanger and muffler unit
DE102004038216A1 (de) * 2004-08-05 2006-03-16 Mann+Hummel Gmbh Ansaugschalldämpfer
US7367424B2 (en) * 2005-02-14 2008-05-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ccentric exhaust muffler for use with auxiliary power units
US7584821B2 (en) * 2007-01-23 2009-09-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djustable helmholtz reson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124A (ko) 2015-06-04 2016-12-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38773B2 (ja) 2015-06-24
EP2384401A1 (en) 2011-11-09
MX2011008117A (es) 2011-10-17
EP2384401B1 (en) 2019-05-15
WO2010086719A1 (en) 2010-08-05
JP2012517549A (ja) 2012-08-02
US20100193282A1 (en) 2010-08-05
CN102369359B (zh) 2016-11-09
CN102369359A (zh) 2012-03-07
US7934581B2 (en)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3191A (ko) 광대역 소음 공명기
EP0859906B2 (en) A noise attenuator for an induction system or an exhaust system
US8690524B2 (en) Low-noise ported-shroud compressor for a turbocharger
AU2019314515A1 (en) Air-transparent selective sound silencer using ultra-open metamaterial
US5123501A (en) In-line constricted sound-attenuating system
KR101598681B1 (ko) 차량용 공명기
CN104847548A (zh) 用于车辆的谐振器
KR101853601B1 (ko) 소음 저감 구조 및 과급 장치
EP3268617B1 (en) Device for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CN108884796A (zh) 车辆用降噪装置
KR102415846B1 (ko) 차량용 공명기
KR20150095435A (ko) 차량용 공명기
JP2020026748A (ja) 消音装置
WO2014102747A1 (en) A broadband silencer
US20090223740A1 (en) Silencer of Exhaust Gase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KR20140003256A (ko) 고주파 소음에 대비한 자동차의 흡기계
CN111322276A (zh) 包括用于衰减压缩机的噪声的消声器的涡轮增压器系统
CN109341052B (zh) 空调用消声器和空调器
CN213873158U (zh) 消音器和空调器
CN219549070U (zh) 一种高效单腔消音器结构
CN210463536U (zh) 消音器以及空调器
CN105804974A (zh) 一种压缩机泵体结构、压缩机及空调器
RU2333369C2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115929521A (zh) 用于空滤器总成的进气组件、空滤器总成及摩托车
CN105587373B (zh) 一种消声装置及车辆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