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668B1 - 차량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668B1
KR102522668B1 KR1020160061178A KR20160061178A KR102522668B1 KR 102522668 B1 KR102522668 B1 KR 102522668B1 KR 1020160061178 A KR1020160061178 A KR 1020160061178A KR 20160061178 A KR20160061178 A KR 20160061178A KR 102522668 B1 KR102522668 B1 KR 10252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assage
vehicle
silencer
passa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653A (ko
Inventor
신재윤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551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39120A1/ko
Priority to EP16842086.7A priority patent/EP3346119A4/en
Priority to US15/755,979 priority patent/US10900449B2/en
Priority to CN201680050680.5A priority patent/CN108026873B/zh
Publication of KR2017002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6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comprising multiple chambers o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7Apparatus used as intake or exhaust silen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6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a plurality of holes, slits, protrusions, perforations, ribs or the like; Surface structures; Turbulence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1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18Plastics material, e.g. polyester resi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2케이스가 제1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 제1통과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소음기{Silencer for Vehicle}
본 발명은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는 기체에 의해 소음이 발생된다. 예컨대, 차량의 흡기시스템이 내연기관에 공급하기 위해 흡입한 기체는, 팽창과 압축을 반복하면서 흡기 맥동으로 인한 압력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소음을 발생시킨다. 흡기시스템에는 에어 클리너(Air cleaner), 터보차져(Turbo charger), 인터쿨러(Inter cooler), 에어 덕트(Air duct), 및 엔진 메니폴드(Engine manifolder)가 구비된다.
차량용 소음기는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명기(Resonator)라고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00)는 차량(미도시)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110), 및 상기 제1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케이스(120)의 일부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면 및 상기 제2케이스(120)의 외면 사이에는, 공명실(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120)에는 통과공(14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140)은 상기 제2케이스(1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케이스(120)의 내부는 상기 통과공(140)을 통해 상기 공명실(130)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케이스(120)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기체는, 상기 통과공(140)을 통해 상기 공명실(130)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공명실(130)에서 주파수가 튜닝(Tunning)됨에 따라 소음이 저감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00)는 상기 공명실(130) 쪽으로 유동하는 기체가 상기 통과공(1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 및 성장하여 제2케이스(120)에 충돌함에 따라 난류 압력 섭동을 유발하여 난류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00)는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저감 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00)는 상기 제2케이스(12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난류소음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제2케이스(120)가 갖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두께 증대를 통해 강도를 강화할 수 있는 차량용 소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통과공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면, 및 상기 제1통과면으로부터 제1축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면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통과공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부재, 및 상기 제1통과부재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명실을 이용하여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소음 저감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류소음을 저감시키면서도 두께 증대를 통해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기존 소음기에서 사용되던 금속과 같은 고강도, 고밀도 재료를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저밀도 재료로 변경 가능하므로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기준으로 제1통과면과 제2통과면이 제2케이스의 내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에 있어서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유동 해석을 통해 난류운동에너지를 연산하여 도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차량(미도시)에 설치되어서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차량에 설치된 흡기시스템의 터보차져가 흡입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2), 상기 제1케이스(2)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3), 상기 제1케이스(2)와 상기 제2케이스(3)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4), 및 상기 제2케이스(3)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5)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케이스(2)는 차량에 설치된다. 상기 제1케이스(2)는 내부에 상기 제2케이스(3)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2)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상기 제2케이스(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케이스(2)에는 제1통로(20,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20)는 상기 제1케이스(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기체는, 상기 제1통로(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케이스(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케이스(3)는 일부가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3)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3)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케이스(3)에는 제2통로(30, 도 2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30)는 상기 제2케이스(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기체는 상기 제2통로(30)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로 공급된 기체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도 5에 도시됨)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제1통로(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공명실(4)은 상기 제1케이스(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부에 상기 제2케이스(3)가 위치함에 따라, 상기 공명실(4)은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면(2a)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공명실(4)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는 상기 통과공(5)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기체는, 상기 통과공(5)을 통해 상기 공명실(4)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공명실(4)에서 주파수가 튜닝됨에 따라 소음이 저감된다. 상기 공명실(4)은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명실(4)은,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면(2a) 형태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2케이스(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5)에 의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4)은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케이스(3)는 상기 통과공(5)에 의해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한 제1통과면(31) 및 제2통과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방향일 수 있다. 상기 통과공(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통과공(5)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통과공(5)의 타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은 각각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이 각각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기체는 상기 통과공(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난류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방향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통과면(31)에서 상기 제2통과면(32)을 향하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통과면(31)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되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하게 된다.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유동 전단층은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이 연결된 지점에서부터 생성되어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장된 유동 전단층은,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함에 따라 강한 난류 압력 섭동을 유발하여 난류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제2통과면(32)은 유동 전단층이 충돌 가능한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이러한 난류소음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가 길수록 유동 전단층이 더 크게 성장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난류소음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3D)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3D)가 두꺼울수록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함에 따른 난류 압력 섭동이 커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난류소음 발생으로 인해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저감 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3D)가 두꺼울수록 난류소음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제2케이스(3)를 금속에 비해 강도가 약한 플라스틱(Plastic)으로 제조한 경우, 상기 제2케이스(3)가 갖는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난류소음은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에서부터 생성된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한 후에 상기 제1통과면(31)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3)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케이스(3)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5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면(31)에서 유동 전단층이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다음과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공명실(4)을 이용하여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체가 상기 통과공(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를 증대시켜서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케이스(3)가 금속에 비해 강도가 약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가 충분한 강도를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케이스(3)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케이스(3) 및 상기 제1케이스(2) 모두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과의 사잇각(Included Angle, 31a)이 둔각(鈍角)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과의 사잇각(31b)이 예각(銳角)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통과면(32)에서 유동 전단층이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생성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과의 사잇각(32a)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과의 사잇각(32b)이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난류 압류 섭동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 중에서 어느 하나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 모두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체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간의 사잇각(31a)이 둔각을 이루고,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간의 사잇각(32a)이 예각을 이루며, 상기 제2통과면(32)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간의 사잇각(32b)이 둔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간의 사잇각(31b)은 예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는 상기 통과공(5)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부재(33), 및 상기 제1통과부재(33)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5)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과부재(33)의 일면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1통과부재(33)의 일면은, 상기 제1통과부재(33)에서 상기 제2통과부재(34)를 향하는 면(面)으로, 상기 제1통과면(31)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에 연결된 지점(31c, 도 5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부재(33)의 일면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에 상기 제1통과면(31)이 형성된 경우, 상기 제1통과부재(33)가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에 연결된 지점(31c)은, 상기 제1통과면(31)이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에 연결된 지점이다.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통과부재(34)의 일면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2통과부재(34)의 일면은, 상기 제2통과부재(34)에서 상기 제1통과부재(33)를 향하는 면으로, 상기 제2통과면(32)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연결된 지점(32c, 도 5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난류 압류 섭동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상기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경우, 상기 제2통과부재(34)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연결된 지점(32c)은, 상기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연결된 지점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통과공(5)의 길이(5L)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2케이스(3)의 두께(3D)로 나눈 값이 2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를 상기 케이스(3)의 두께(3D)로 나눈 값이 2보다 작은 경우,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가 짧아서 유동 전단층이 충분히 성장하지 못할 정도로 짧게 구현되므로,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면(32)에 충돌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난류소음 발생으로 인해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저감 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를 상기 케이스(3)의 두께(3D)로 나눈 값이 2보다 큰 경우,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가 유동 전단층이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정도로 길게 구현되므로, 유동 전단층이 제2통과면(32)에 충돌하는 면적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난류소음 발생으로 인해 차량에서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저감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통과부재(33) 및 상기 제2통과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통과부재(33) 및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각각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차이점이 있는 부분만 설명한다.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통과부재(33)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1d)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통과부재(33)의 일면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이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유동 전단층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1d)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에는 상기 제1통과면(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1통과부재(33)의 일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통과부재(33)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1d)은, 상기 제1통과면(31)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이다. 상기 제1통과면(31)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면(31)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통과면(31)의 단면이 반(半) 타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통과면(31)의 단면이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통과면(31)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통과면(31)의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통과부재(34)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2d)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체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성장하는 유동 전단층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난류 압류 섭동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난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 증대를 통해 상기 제2케이스(3)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량소재 및 저원가소재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2d)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에는 상기 제2통과면(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통과부재(34)의 일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통과부재(34)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2d)은, 상기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이다. 상기 제2통과면(32)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면(32)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통과면(32)의 단면이 반(半) 타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통과면(32)의 단면이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통과면(32)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2통과면(32)의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2)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3)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이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통과면(31) 및 상기 제2통과면(32)은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3)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1통과면(31),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 타원 형태의 단면 및 반원 형태의 단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제2통과면(32)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케이스(3)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 타원 형태의 단면, 반원 형태의 단면, 및 삼각형 형태의 단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제1통과면(31), 및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2통과면(32)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통과부재(33)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고, 상기 제2통과부재(34)가 상기 제2방향(B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3)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난류소음 저감을 통해 소음 저감 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소음기에서 사용되던 금속과 같은 고강도, 고밀도 재료를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저밀도 재료로 변경 가능하므로 차량에 대한 경량화 및 저원가를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과 상기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비교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과 상기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1실시예,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과면(31)과 상기 제2통과면(32)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2실시예에 대해, 유동 해석을 통해 난류운동에너지를 연산하여 도출한 실험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이에 관해 도 4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험결과에 있어서 좌측에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된 숫자들은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이고, 해당 숫자들의 좌측에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된 기호들은 난류운동에너지를 소정의 크기 범위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숫자들 및 기호들은 상측에 배치된 것일수록 난류에너지의 크기가 큰 것이다.
다음,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예에 대한 실험결과로, 도 9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 부분은 도 4에서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부분이 포함된 영역이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듯이, 비교예는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1.588e+003 ~ 1.764+003으로 최대치에 해당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 상당히 넓은 영역에 걸쳐서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큰 기호들이 표시되어 있다.
다음, 도 10 및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대한 실험결과로, 도 11은 도 10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C 부분은 도 5에서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부분이 포함된 영역이다. 도 10 및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실시예는 비교예와 달리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 난류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1.588e+003 ~ 1.764+003으로 최대치에 해당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1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서의 난류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난류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1.766e+002 ~ 3.530e+002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 범위에 속하는 기호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제2통과면(32)을 벗어난 영역에 표시된 것과 달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제2통과면(32)이 위치한 영역에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통과면(32)이 위치한 영역에서부터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난류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12 및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대한 실험결과로, 도 13은 도 12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D 부분은 도 6에서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부분이 포함된 영역이다.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실시예는 비교예와 달리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 난류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1.588e+003 ~ 1.764+003으로 최대치에 해당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통과면(32)의 주변에서의 난류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난류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 범위가 5.294e+002에 비해 더 큰 크기 범위에 속하는 기호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작은 크기의 면적을 차지하므로, 난류소음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구획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6)는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면(2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구획부재(6)는 상기 제1케이스(2)의 내면(2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복수개의 공명실들(4, 4', 4")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공명실들(4, 4', 4") 각각을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통과공들(5, 5', 5")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복수개의 공명실들(4, 4', 4")을 이용하여 주파수가 높은 대역의 기체 및 주파수가 낮은 대역의 기체 모두에 대해 원활한 튜닝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되므로, 광대역의 주파수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소음 저감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명실들(4, 4', 4")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들(5, 5', 5")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들(5, 5', 5")이 형성된 부분들 각각에는 상술한 상기 제2케이스(3)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가 2개의 구획부재들(6, 6')을 포함하여 상기 공명실(4) 및 상기 통과공(5)을 각각 3개씩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1)는 상기 구획부재(6)를 1개 또는 3개 이상 포함하여 상기 공명실(4) 및 상기 통과공(5)을 각각 2개씩 또는 4개 이상씩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6)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공명실(4)를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6)는 상기 제2케이스(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차량용 소음기 2 : 제1케이스
3 : 제2케이스 4 : 공명실
5 : 통과공 6 : 구획부재
20 : 제1통로 2a : 내면
30 : 제2통로 3a : 내면
3b : 외면 31 : 제1통과면
32 : 제2통과면 33 : 제1통과부재
34 : 제2통과부재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차량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2);
    상기 제1케이스(2)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3);
    상기 제1케이스(2) 및 상기 제2케이스(3) 사이에 위치하는 공명실(4);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 및 상기 공명실(4)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3)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5)을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3)는 상기 통과공(5)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통과부재(33), 및 상기 제1통과부재(33)로부터 제1방향(FD)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통과공(5)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통과부재(34)를 포함하며,
    상기 통과공(5)이 상기 제2케이스(3)의 둘레에 슬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부재(34)를 향하는 제1통과면(31)이 상기 제1통과부재(33)에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부재(33)를 향하는 제2통과면(32)이 상기 제2통과부재(34)에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5)이 상기 제1통과면(31)과 상기 제2통과면(3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케이스(3)는, 상기 제1방향(FD)의 상기 통과공(5)의 길이(5L)를 상기 제1방향(FD)에 수직인 축방향(Y)의 상기 제2케이스(3)의 두께(3D)로 나눈 값이 2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과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제1방향(FD)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측면(3a)과 상기 제2케이스의 외측면(3b)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FD)과 반대되는 제2방향(BD)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소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면(3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부재(33)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1d)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기체가 유동하고,
    상기 제1통과면(31)은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에 연결된 지점(31c)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부재(34)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면(3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4. 삭제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된 지점(32d)이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 및 상기 제2케이스(3)의 외면(3b) 사이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기체가 유동하고,
    상기 제2통과면(32)은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에 연결된 지점(32c)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최대 길이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부에서는 상기 제1방향으로 기체가 유동하고,
    상기 제1통과부재(33)에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과의 사잇각(31a)이 둔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제1통과면(31)이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과부재(34)에는 상기 제2케이스(3)의 내면(3a)과의 사잇각(32a)이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제2통과면(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3)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면(31)은 단면이 반 타원 형태 또는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면(32)은 단면이 반 타원 형태 또는 반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KR1020160061178A 2015-09-02 2016-05-19 차량용 소음기 KR10252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5516 WO2017039120A1 (ko) 2015-09-02 2016-05-25 차량용 소음기
EP16842086.7A EP3346119A4 (en) 2015-09-02 2016-05-25 MUFFLER FOR VEHICLE
US15/755,979 US10900449B2 (en) 2015-09-02 2016-05-25 Vehicle silencer
CN201680050680.5A CN108026873B (zh) 2015-09-02 2016-05-25 车辆消音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60 2015-09-02
KR20150124160 2015-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653A KR20170027653A (ko) 2017-03-10
KR102522668B1 true KR102522668B1 (ko) 2023-04-18

Family

ID=5841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178A KR102522668B1 (ko) 2015-09-02 2016-05-19 차량용 소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00449B2 (ko)
EP (1) EP3346119A4 (ko)
KR (1) KR102522668B1 (ko)
CN (1) CN1080268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2048B2 (en) * 2020-03-30 2023-05-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mpact duct sound absorber
US11912210B2 (en) * 2021-09-27 2024-02-27 Mann+Hummel Gmbh Space-saving broadband resonator having a resonator insert
US11965442B2 (en) * 2022-06-01 2024-04-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ound mitigation for a duct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600A (en) * 1913-01-28 1913-08-19 Theophilus B Haugen Gas-engine silencer.
US2913232A (en) * 1956-08-29 1959-11-17 Cottrell Res Inc Gas treating device
US5136923A (en) * 1982-07-30 1992-08-11 Walsh Donald J Jun Firearm silencer and flash attenuator
JPH0557308A (ja) 1991-08-27 1993-03-09 Kawasaki Steel Corp プラグ自動交換装置
JPH0557308U (ja) * 1992-01-10 1993-07-30 株式会社ユーメックス エンジン消音器の排気管構造
US5814757A (en) * 1996-07-15 1998-09-29 Buss; Richard A. Muzzle brake
US6617002B2 (en) * 1998-07-24 2003-09-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perforated polymeric film for sound absorption and sound absorber using same
US7159692B1 (en) * 1999-10-11 2007-01-09 Silentor Holding A/S Silencer
GB0016149D0 (en) * 2000-06-30 2000-08-23 Short Brothers Plc A noise attenuation panel
US6964170B2 (en) * 2003-04-28 2005-11-15 Pratt & Whitney Canada Corp. Noise reducing combustor
FR2912833B1 (fr) * 2007-02-20 2009-08-21 Airbus France Sas Panneau pour le traitement acoustique
GB0713526D0 (en) * 2007-07-12 2007-08-22 Rolls Royce Plc An acoustic panel
FR2938501B1 (fr) * 2008-11-14 2011-01-21 Airbus France Procede pour la reduction du bruit engendre par un orifice place dans un ecoulement gazeux energetique
US7934581B2 (en) * 2009-01-30 2011-05-03 Eaton Corporation Broadband noise resonator
JP5554148B2 (ja) 2010-05-24 2014-07-2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吸気ダクト
KR101748687B1 (ko) * 2010-08-11 2017-06-19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터보차저
DE102010037540A1 (de) * 2010-09-15 2012-03-15 Contitech Mgw Gmbh Fluidleitung mit Resonator
EP2444648B1 (en) 2010-10-19 2016-03-30 Jaguar Land Rover Limited Air duct attenuator
JP5909425B2 (ja) * 2012-01-18 201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101334311B1 (ko) 2012-04-18 2013-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이드 브랜치형 소음기
US9207017B2 (en) * 2012-04-23 2015-12-08 Hydro-Thermal Corporation Fluid diffusing nozzle design
CN203239431U (zh) * 2013-04-11 2013-10-16 潍坊市佰利信汽车消声器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消声器
US9175648B2 (en) * 2013-10-17 2015-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ake system having a silencer device
US9309843B2 (en) * 2014-02-13 2016-04-12 Ls Mtron Ltd. Resonator for vehicle
KR101598681B1 (ko) * 2014-02-13 2016-02-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GB2529462A (en) * 2014-08-21 2016-02-24 William Westlake Gun sound moderator: by means of radial gas circulation for the use on small arms/firearms
CA2963948C (en) * 2014-10-08 2021-02-09 Dresser-Rand Company Concentric resonators for machines
DE102014115898B4 (de) * 2014-10-31 2019-07-25 Dietrich Denker Resonator
DE102015202851A1 (de) * 2015-02-17 2016-08-18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Fluidleitungsanordnung
US10563578B2 (en) * 2015-02-18 2020-02-18 Mra Systems, Llc Acoustic liners and method of shaping an inlet of an acoustic l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653A (ko) 2017-03-10
EP3346119A1 (en) 2018-07-11
US20180245554A1 (en) 2018-08-30
US10900449B2 (en) 2021-01-26
CN108026873B (zh) 2020-09-04
CN108026873A (zh) 2018-05-11
EP3346119A4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301B1 (ko) 공명기
KR102522668B1 (ko) 차량용 소음기
EP2907997B1 (en) Resonator for vehicle
US7387188B2 (en) Sound absorber
CN204827604U (zh) 多腔共振消声器
US6938601B2 (en) Combustion resonator
US20160201621A1 (en) Resonater
KR101853601B1 (ko) 소음 저감 구조 및 과급 장치
JP2019143478A (ja) 消音装置
KR20150095437A (ko) 차량용 공명기
KR20160002379A (ko) 가스 터빈용 댐퍼
CN103270260A (zh) 用于车辆的消音装置
CN105569775A (zh) 排气消声器及具有其的车辆
US9241211B2 (en) Tubular body, bass reflex port, and acoustic apparatus
KR101334311B1 (ko) 사이드 브랜치형 소음기
KR101339421B1 (ko) 선박용 소음기
JP2020026748A (ja) 消音装置
JP6099093B2 (ja) 音響ダンパ装置
JP2010270662A (ja) 通気ダクト
US10066589B2 (en) Independent intake runner resonator system
US8684133B2 (en) Acoustically damped component
JP5859371B2 (ja) 消音器付き吸気ダクト
WO2017039120A1 (ko) 차량용 소음기
JP6646033B2 (ja) 消音装置
JP2012067673A (ja) 消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