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031A - 작업용 바닥매트 - Google Patents

작업용 바닥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031A
KR20110112031A KR1020100031416A KR20100031416A KR20110112031A KR 20110112031 A KR20110112031 A KR 20110112031A KR 1020100031416 A KR1020100031416 A KR 1020100031416A KR 20100031416 A KR20100031416 A KR 20100031416A KR 20110112031 A KR20110112031 A KR 2011011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cushion
mat
floor mat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375B1 (ko
Inventor
우미화
윤상일
Original Assignee
우미화
윤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0279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120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미화, 윤상일 filed Critical 우미화
Priority to KR102010003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37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바닥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 방상체의 베이스플레이트(1) 상에 사방 등 간격으로 배설되는 상방 돌출의 쿠션돔(D)을 배설하여 가지고, 각 외주연부에 타 바닥매트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작업용 바닥매트에 있어서,상기 쿠션돔(D)이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1) 하방으로 직립하여 상호 교차,격자 상으로 성형되는 쿠션벽체(P)에 의하여 격리, 형성되는 파티션부인 쿠션콤(cushion comb)(C)을 더 구비하여 가지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바닥매트(M)의 각 외주연부에 외단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확개끼움부(r)를 양측으로 돌출하여 가지는 등 간격 돌출부인 끼움리브(R)와, 상기 끼움리브(R)에 대응하는 자성(雌性)결합부이며 상기 끼움리브(R)와 형상적으로 확개끼움부(r)에 의하여 걸림 되어 끼움 되는 끼움액세스(S)로 구성되는 지그재그피팅부(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용 바닥매트{A FLOOR MAT FOR STANDING WORKS}
본 발명은 작업용 바닥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장에서 바닥에 배설하여, 작업자의 피로의 저감과 부가적인 기능적 효과를 발하게 하는 구성의 작업용 바닥매트의 신규한 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작업용 바닥매트는 다양한 형태의 산업현장의 작업장에서 바닥에 배설되어 그 상방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족부의 충격을 완화하여 작업피로도를 저감시키고 특수한 경우,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공장 등에서는 제전성을 부여하여 제전불량에 따른 수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용 매트는, 생산성이나 보관, 운반의 편의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일정한 규격의 크기, 예를 들면 600 * 900 mm 정도로 규격화하여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등의 합성고무 등으로 제작하여 공급하고, 작업현장의 전체 면적이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하여서는 규격화된 매트를 연결하여 피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작업용 바닥매트의 설계에 있어, 주요한 관점은 이러한 규격화된 매트의 연결성과 연결 이후의 평탄성 및 내구성을 작업자의 피로의 저감과 안전사고를 줄이고, 작업용 수레, 이동형의 기계기구의 이동 시에 기계기구로의 충격 등이 최소화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기구적으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쿠션의 제공과, 최소한의 재료의 사용으로 최적의 쿠션강도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설계 관점이 존재하게 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작업용 바닥매트에 대한 다양한 선원 구성과 안출이 있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존. 오스틴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630,304호, 제5,456,966호가 있으며, 이들 선원 발명에서는 쿠션의 형태의 특정과 자웅연결을 위한 연결부위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원 발명의 구성에서도 단부의 매트(Mo) 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성이 미국 특허 제5,456,966호의 일부 도면을 그대로 인용한 도 6,7 및 8과 같이, 공지의 다수의 쿠션을 위한 쿠션돔(D)을 가지고, 각 가장자리단부에는 돌출하는 자웅체의 끼워맞춤형의 자웅형돌기(31-41)로서 단부에 노출되는 경우,
상방 돌출하는 이 자웅형돌기(31-41)에 의하여 작업자의 발의 걸림이나 작업기계의 이송 시에 바퀴의 충격 등의 주요한 문제는 상존하였고,
또한 자웅형돌기(31-41) 간의 상하간의 결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노후,저하되어 전체 연결성이 불량하게 되고,
도 6의 위 선원 발명의 도면을 구체화한 도면에서와 같이, 쿠션을 위한 돔(20)의 형태가 대단히 복잡하고 Y 자형의 지지부(30,32,34)의 금형의 설계와 관리가 어렵고, 쿠션돔(20)의 상하 이동 시에 공기흐름이 나쁘며, 또한 Y구조로 인한 쿠션돔 측면의 여유공간이 없고, Y자 끝 부분의 원형 등으로 쿠션벽체가 너무 견고하여 오로지 쿠션돔에만 쿠션기능이 부여되어 쿠션감에 한계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작업용 바닥매트에서는 상술한 다양한 선원 구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매트간 연결이 극히 용이하고, 경시성에 따른 노후화를 예방할 수 있고, 연결부위 및 매트의 노출 단부에서의 걸림현상이 극소화되는 구성의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쿠션부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쿠션감의 향상과 쿠션부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균일한 쿠션감의 제공과 내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부가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평면 방상체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사방 등 간격으로 배설되는 상방 돌출의 쿠션돔을 배설하여 가지고, 각 외주연부에 타 바닥매트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작업용 바닥매트에 있어서,
상기 쿠션돔이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하방으로 직립하여 상호 교차,격자 상으로 성형 되는 쿠션벽체에 의하여 격리, 형성되는 파티션부인 쿠션콤(cushion comb)을 더 구비하여 가지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바닥매트의 각 외주연부에 외단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확개끼움부를 양측으로 돌출하여 가지는 등간격 돌출부인 끼움리브와,
상기 끼움리브(R)에 대응하는 자성(雌性)결합부이며 상기 끼움리브와 형상적으로 확개끼움부에 의하여 걸림 되어 끼움되는 끼움액세스로 구성되는 지그재그피팅부이고, 상기 끼움리브는 외주연 말단부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 라운드진 테이퍼형상체인 것을 구성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작업용 바닥매트는 매트 간의 연결이 극히 간단하고 또한 매트의 연결부의 굴곡이 최소화되며, 매트 간 연결되지 않는 자유 단부에서의 걸림현상이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피로와 안전사고를 극소화하고 작업기계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쿠션감의 제고로써 작업자의 피로도의 저하와 내구성을 증대하여 전체 시공되는 매트 어셈블리의 수명을 대폭 증대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용 바닥매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와 B-B 선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용 바닥매트를 도시하는 도 1 의 A 부의 일부 평면확대도와 일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용 바닥매트의 배면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및 도 3C는 예시적인 변형실시예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용 바닥매트를 상호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코너집결부의 확대도,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선원 미국특허의 도면의 제품을 도시하는 일부 평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선원의 미국특허의 개시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다른 선원의 미국특허의 개시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용 바닥매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와 B-B 선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용 바닥매트를 도시하는 도 1 의 A 부의 일부 평면확대도와 일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용 바닥매트의 배면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및 도 3C는 변형실시예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용 바닥매트를 상호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순차적으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업용 바닥매트(M) 역시, 내구, 내마모성이 좋은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등의 합성수지고무재 등으로 성형 되어 만들어지며 일정한 크기의 규격체로서 대량 생산되게 된다.
개략 방상형의 바닥매트(M)는 도 1 에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매트(M)의 기본판상부가 되는 베이스플레이트(1) 상에서, 사방 등 간격으로 배설되고 상방으로 돌출하는 쿠션역할을 수행하는 쿠션돔(D)을 성형하여 가진다.
쿠션돔(D)은 도의 B-B 선 단면도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중실체의 반구가 아니고 중공의 반구체로서 성형하는 것이 쿠션도의 증대와 복원력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닥매트(M)는 쿠션돔(D)에 대하여 베이스플레이트(1)의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직설하고, 상호 교차되어 격자상으로 일체로 성형 되는 쿠션벽체(P)에 의하여 격리,형성되는 쿠션콤(cushion comb)(C)을 구비하여 가지며, 쿠션콤(C) 중앙부에 쿠션돔(D)이 구획되어 배설된 형상을 가진다.
상술한 미국특허도 쿠션돔으로 형성되어있으나, Y구조로 인하여 쿠션돔 측면의 여유공간이 없고, Y자 끝부분의 원형 등으로 쿠션벽체가 너무 견고하여 오로지 쿠션돔에만 쿠션기능이 부여되어 쿠션이 약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쿠션돔과 쿠션벽체의 네모서리 부분이 유동이 가능하여 위에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쿠션기능을 하고, 또한 쿠션벽체는 높이 대비 20 ~ 30 % (너무 얇으면 복원력저하, 너무 두꺼우면 쿠션송이 저하됨)의 비교적 얇은 두께로 구성되어 있어 쿠션벽체도 위에서 압력을 가할 시 조금 구부려지면서 쿠션을 일부 가지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러한 쿠션콤(C)은 쿠션돔(D)과 협동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부를 연장시켜쿠션도 및 쿠션복원력의 증대와 그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유용성을 가진다.
상기의 쿠션벽체(P)에 의하여 구분되어 쿠션콤(C)을 형성하게 되면 쿠션콤(C) 부분을 작업자가 발로 밟게 되면 압축되면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도 3의 바닥매트(M)의 배면도에서와 같이 쿠션콤(C)을 형성하는 쿠션벽체(P) 사이에서 공기의 측방유출을 위한 에어노치(N)를 쿠션벽체(P)의 비교차부의 외단 노출단부 상에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노치 형상으로 제공하거나,
도 3의 C부인 확대도에서와 같은 변형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닥매트(M)의 배면부의 쿠션콤(C)을 형성하는 쿠션벽체(P)가 교차하는 지점에 복수 개의 쿠션벽체(P)를 공유하는 공기배출을 위한 에어노치(N')를 역시 절개부로 하여도 좋고 이 절개부의 형상은 반원형, 호형, 다각형 등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도 3B에서는 에어노치(N')가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 3에서는 V 자형의 노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실험결과 에어노치(N,N')는 바닥매트(M)의 배면부의 쿠션콤(C)을 형성하는 쿠션벽체(P)가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이 노치구성으로 인한 탄성을 더 제공하게 되어 탄성에 의한 쿠션감의 형성에는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서 밝혀졌다.
이러한 에어노치(N,N')의 제공으로써 쿠션돔(D)과 쿠션콤(C)의 압축 시에 공기가 신속하게 측방의 쿠션콤(C)으로 배출되어 탄성의 보장과 소음 등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
물론, 각 쿠션벽체(P) 사이를 유통하는 유통공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지만 성형 및 가공이 어려우므로 상술하는 노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금형설계상 바람직하다.
단품으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바닥매트(M)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닥매트(M)의 외주연부에 제공되는 지그재그피팅부(Z)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각 바닥매트(M)는 각 외주연 단부에 등간격으로 평면상에 배설,성형 되는 지그재그피팅부(Z)를 가지게 되고,
지그재그피팅부(Z)는 동일한 형상으로 평면 상태에서 자웅끼움되어 고정되는 끼움리브(R)를 등 간격으로 돌출하여 배설하고,
각각의 끼움리브(R)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단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확개끼움부(r)를 양측으로 돌출하여 가지며, 이에 대응하는 자성(雌性)결합부인 다른 끼움액세스(S)는 끼움리브(R)와 형상적으로 확개끼움부(r)에 의하여 걸림 되어 끼움,조립되어 결합 된다.
도 4에 확대도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매트(M)의 4 모서리부(코너부)에 제공되는 끼움리브(Rc)와 끼움액세스(Sc)는 정상적인 외주연부의 끼움리브(R)와 끼움액세스(S)의 1/2의 크기로 하여,
끼움리브(Rc)와 끼움액세스(Sc) 4개가 모이는 부분으로서 결합 시에 크로스 결합하는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공극없이 견고한 끼움조립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 끼움리브(Rc)는 외주연 말단부로 가면서 곡률(Rg)로서 라운드지면서 접속각(a)의 테이퍼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고, 이러한 테이퍼 형상은 끼움리브(R)가 결합되지 아니하고 자유단으로 제공되는 부분(도4에서 외곽 4 면 외주연부, 예를 들어 'E' 부)에서 라운드진 접속각을 테이퍼면으로서 바닥면에 밀착하기 때문에 상호 결합부 또는 타 매트와 결합하지 아니하는 노출단부에서 작업자의 발이나 기계 등의 로울러에 걸림이 극소화되어 종래 선원 발명의 걸림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매트는 다수 매 결합하여 작업자에 부설되는 경우, 작업자의 발에 걸림이 최소화되고 종래 구성에 비하여 쿠션도를 대폭 증대시켜 작업자의 피로를 극소화하여 생산성을 제고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1: 베이스플레이트
C: 쿠션콤
D: 쿠션돔
M: 바닥매트

Claims (5)

  1. 평면 방상체의 베이스플레이트(1) 상에 사방 등 간격으로 배설되는 상방 돌출의 쿠션돔(D)을 배설하여 가지고, 각 외주연부에 타 바닥매트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수단을 가지는 작업용 바닥매트에 있어서;
    상기 쿠션돔(D)이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1) 하방으로 직립하여 상호 교차,격자 상으로 성형 되는 쿠션벽체(P)에 의하여 격리, 형성되는 파티션부인 쿠션콤(cushion comb)(C)을 더 구비하여 가지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바닥매트(M)의 각 외주연부에 외단으로 가면서 확장되는 확개끼움부(r)를 양측으로 돌출하여 가지는 등 간격 돌출부인 끼움리브(R)와,
    상기 끼움리브(R)에 대응하는 자성(雌性)결합부이며 상기 끼움리브(R)와 형상적으로 확개끼움부(r)에 의하여 걸림 되어 끼움 되는 끼움액세스(S)로 구성되는 지그재그피팅부(Z)이고,
    상기 끼움리브(Rc)는 외주연 말단부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 라운드진 테이퍼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바닥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매트(M)의 4 외주연부에 제공되는 지그재그피팅부(Z)는 상기 끼움리브(Rc)와 상기 끼움액세스(Sc)를, 상기 외주연부의 상기 끼움리브(R)와 상기 끼움액세스(S)의 1/2의 크기로 하여, 상기 끼움리브(Rc)와 상기 끼움액세스(Sc)가 4 개 모이는 부분으로서 결합 시에 크로스 결합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바닥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매트(M)의 배면부의 쿠션콤(C)을 형성하는 쿠션벽체(P)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복수 개의 상기 쿠션벽체(P)를 공유하는 공기배출을 위한 에어노치(N')가 절개부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바닥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치(N)는 쿠션콤(C)을 형성하는 쿠션벽체(P)의 비교차부분 벽체부마다에 그 노출단부에 형성되는 노치(N)로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바닥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돔(D)은 그 단면형상이 중공의 반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바닥매트.
KR1020100031416A 2010-04-06 2010-04-06 작업용 바닥매트 KR10121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16A KR101210375B1 (ko) 2010-04-06 2010-04-06 작업용 바닥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16A KR101210375B1 (ko) 2010-04-06 2010-04-06 작업용 바닥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31A true KR20110112031A (ko) 2011-10-12
KR101210375B1 KR101210375B1 (ko) 2012-12-20

Family

ID=4502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416A KR101210375B1 (ko) 2010-04-06 2010-04-06 작업용 바닥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3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5892A (zh) * 2012-03-27 2012-10-03 江苏德威木业有限公司 安装座的安装下座和安装座的盖板
CN103779687A (zh) * 2012-10-22 2014-05-07 江苏德威木业有限公司 电热地板的接插座构件以及接插棒构件
CN104367133A (zh) * 2013-08-14 2015-02-25 王文炳 条状发泡地垫
CN110123107A (zh) * 2019-05-24 2019-08-16 厦门绵羊抗疲劳垫有限公司 一种站立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5892A (zh) * 2012-03-27 2012-10-03 江苏德威木业有限公司 安装座的安装下座和安装座的盖板
CN102705892B (zh) * 2012-03-27 2014-07-02 江苏德威木业有限公司 安装座的安装下座和安装座的盖板
CN103779687A (zh) * 2012-10-22 2014-05-07 江苏德威木业有限公司 电热地板的接插座构件以及接插棒构件
CN104367133A (zh) * 2013-08-14 2015-02-25 王文炳 条状发泡地垫
CN110123107A (zh) * 2019-05-24 2019-08-16 厦门绵羊抗疲劳垫有限公司 一种站立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375B1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4656B2 (ja) フロアマット
KR101210375B1 (ko) 작업용 바닥매트
US7264125B2 (en) Undulating molded plastic vibratory screen
CA2924162C (en) Tile for use in a modular flooring system
WO2015030255A1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101782530B1 (ko)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US8196753B2 (en) Screening panel
KR20120003176U (ko) 차량용 로워 암
JP557556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898932B2 (ja) 二重床パネル構造
KR101302509B1 (ko) 피로예방기능을 가지는 제전형 작업매트
CN217601971U (zh) 重型高架地板
JP7391354B2 (ja) 二重床のカバー部材
CN217812108U (zh) 高架地板
JPH0321391Y2 (ko)
US20230121585A1 (en) Surface panel
CN207749780U (zh) 双层悬浮地板
CN207749779U (zh) 三层悬浮地板
JP5731181B2 (ja) 床用敷物、および床用敷物のセット
KR20120000926A (ko) 탄성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면진 장치
JP4731450B2 (ja) 二重床パネルの支持脚
JP6796409B2 (ja) 基礎パッキン
KR101835332B1 (ko) 자동차용 매트
JP6197252B2 (ja) フロアパネル材
JP3099424U (ja) 組立式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