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024A - 릴리프 밸브 - Google Patents

릴리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024A
KR20110112024A KR1020100031402A KR20100031402A KR20110112024A KR 20110112024 A KR20110112024 A KR 20110112024A KR 1020100031402 A KR1020100031402 A KR 1020100031402A KR 20100031402 A KR20100031402 A KR 20100031402A KR 20110112024 A KR20110112024 A KR 20110112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protective cover
storage tank
relief valve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222B1 (ko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세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세이프
Priority to KR2010003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22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eight-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지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바디의 상단부에 감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원거리에서 디스크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인해 릴리프 밸브의 작동상태를 원거리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각종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2)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2)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입구(11) 및 출구(12)를 갖는 바디(5)와, 상기 바디(5)의 입구(11) 중심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50)과, 상기 바디(5)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축(50)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2)내의 압력크기에 따라 지지축(50)과 함께 승하강하면서 바디(5)의 입구(11)를 개폐하는 디스크(40)와, 상기 디스크(40)의 개폐여부를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하는 지지축(5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본 발명은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지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바디의 상단부에 감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원거리에서 디스크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인해 릴리프 밸브의 작동상태를 원거리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리프 밸브는, 각종 화학제품류나 유류 저장탱크 등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내 압력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각종 유류 또는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탱크에서 과포화압과 부압(진공현상)이 수시로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지 못하게 되면 급격한 압력변화로 인한 폭발가능성과, 인화성이 높은 유류나 화학물질의 경우에는 화재의 위험까지 포함하고 있어 자칫 대형 안전사고나 인명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릴리프 밸브의 일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428568호(2006.10.04)를 간략히 설명하면, 바디의 내부에 진공디스크와 압력디스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내에 진공발생시에는 상기 진공디스크가 개방되고, 저장탱크내에 압력증가시에는 상기 압력디스크가 개방되면서 저장탱크내의 압력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화합물 처리시 설치 내부압의 변화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대응하여 과포화압이나 부압은 물론 역압을 용이하게 해소시킴은 물론 외부 화염원의 설비내 침투를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설비 및 인명보호에 유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릴리프 밸브는, 릴리프 밸브의 작동상태, 즉, 상기 압력디스크나 진공디스크가 개방된 상태인지 또는 폐쇄된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릴리프 밸브가 설치된 장소까지 원거리 이동해서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상기 압력디스크나 진공디스크가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저장탱크내의 과포화압이나 부압 등을 신속히 해소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지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바디의 상단부에 감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원거리에서 디스크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인해 릴리프 밸브의 작동상태를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실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릴리프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입구 및 출구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입구 중심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축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내의 압력크기에 따라 지지축과 함께 승하강하면서 바디의 입구를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개폐여부를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하는 지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지지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바디의 상단부에 감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원거리에서 디스크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인해 릴리프 밸브의 작동상태를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실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의 내부에 투명관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바디 내부의 기체가 보호커버의 관통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감지수단의 센서부에서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가 투명관을 통과하므로 투명관 내측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부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일측에 리프팅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상단에는 걸이부를 설치함으로써, 지렛대 역할을 하는 상기 리프팅수단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보호커버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디스크의 정상 작동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압력바디의 디스크가 폐쇄상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압력바디의 디스크가 개방상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a에서 바디의 상단부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b에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바디의 상단부에 센서부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진공바디의 디스크가 폐쇄상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진공바디의 디스크가 개방상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압력바디의 디스크가 폐쇄상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압력바디의 디스크가 개방상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a에서 바디의 상단부를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b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바디의 상단부에 센서부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진공바디의 디스크가 폐쇄상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에서 진공바디의 디스크가 개방상태일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1)는, 각종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의 개구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2)내의 압력 또는 진공을 효율적으로 해소하여 저장탱크(2)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릴리프 밸브(1)는 석유나 화학약품 등의 각종 유체를 저장탱크(2)에 주입시 또는 유체를 저장탱크(2)에서 배출시 발생하는 팽창, 수축 현상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릴리프 밸브(1)는, 바디(5)와, 지지축(50)과, 디스크(40)와, 감지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5)는 저장탱크(2)내의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압력바디(10)와, 진공을 해소하기 위한 진공바디(20)로 구분되며, 상기 압력바디(10)와 진공바디(20)는 각각 입구(11) 및 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압력바디(10)와 진공바디(20)의 각 입구(11)는 하부측에 형성되고, 출구(12)는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바디(10)와 진공바디(20)는 연결바디(3)를 통해 상호 연결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바디(3)의 상단에는 상기 압력바디(10)의 하부에 형성된 입구(11)가 연통되게 결합되고, 연결바디(3)의 측면에는 상기 진공바디(20)의 출구(12)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디(3)의 하단은 상기 저장탱크(2)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압력바디(10)와 진공바디(20)는 각각 연결바디(3)를 통해 저장탱크(2)와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바디(10)와 진공바디(20)는 그 구조가 상호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5)의 설명을 압력바디(10)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디(5)의 하부에 형성된 입구(11)와 측면에 형성된 출구(12)는 상호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50)은 상기 바디(5)의 입구(11) 중심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바디(5)의 입구(11) 일측에는 상기 지지축(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지지부재(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부재(30)의 내부는 상기 입구(11)와 연통하도록 관통됨과 아울러 지지부재(30)의 내주면에는 중심방향으로 복수개의 리브(3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바디(5) 입구(11)의 상단 또는 하단이나 입구(11) 내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50)의 상단부는 상기 바디(5)의 상단부를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40)는 상기 바디(5)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축(50)에 결합되는데, 즉, 상기 디스크(40)의 중심에 상기 지지축(50)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디스크(40)는 상기 저장탱크(2)내의 압력크기에 따라 지지축(50)과 함께 승하강하면서 바디(5)의 입구(11)를 개폐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디스크(40)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바디(5)의 입구(11)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와 바디(5)의 입구(11)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40)의 상측면에는 일정무게의 웨이트(41)가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40)가 상기 저장탱크(2)내의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개방되게 된다.
물론, 상기 진공바디(20)의 디스크(40) 상측면에도 일정무게의 웨이트(41)가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40)가 저장탱크(2)내의 부압이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에만 개방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60)은, 상기 디스크(40)의 개폐여부를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하는 지지축(50)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감지수단(60)을 통해 상기 디스크(40)와 함께 승하강하는 지지축(50)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원거리에서 디스크(40)의 개폐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로인해 릴리프 밸브(1)의 작동상태를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실 같은 곳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함과 아울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40)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정상적인 개폐작동을 못할 수도 있는데, 일예로 상기 지지축(50)이 휘게 되면 상기 디스크(40)의 개폐작동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으며, 이렇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2)내의 과포화압이나 부압을 신속하게 해소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저장탱크(2)의 파소 또는 폭발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실에서는 상기 감지수단(60)을 통해 디스크(40)의 개폐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2)내의 압력과 디스크(40)의 개폐상태를 확인하여 디스크(40)의 개폐작동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감지수단(60)은, 상기 바디(5)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지축(50)의 상단에 결합되는 인디케이터부(55)와,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바디(5) 상단부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50)과 함께 승하강하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6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61)는 근접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55)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초음파 신호를 보내어 인디케이터부(55)가 센서부(61) 위치까지 상승했는지 안했는지를 감지하여 인디케이터부(55)의 존재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부(61)를 통해 인디케이터부(55)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크(40)가 개방된 상태이고, 인디케이터부(55)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크(40)는 폐쇄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부(61)는 제어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는 상기 센서부(61)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6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는 상기 승하강하는 인디케이터부(55)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부(55)를 감싸는 보호커버(70)가 설치된다.
상기 보호커버(7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이때 보호커버(70)의 내주면과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외주면은 일정간격 이격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70)의 상단부는 폐쇄되고, 하단부는 개방됨에 따라, 상기 지지축(50)의 상단부가 보호커버(7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보호커버(70)의 내측에 위치한 인디케이터부(55)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축(50)이 관통하는 보호커버(70)의 하단부에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하단이 걸리도록 걸림부(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61)와 마주하는 상기 보호커버(70)의 일측면에는 센서부(61)가 인디케이터부(55)를 감지할 수 있도록 관통홈(7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70)가 인디케이터부(55) 둘레를 완전히 밀폐하게 되면 상기 센서부(61)가 인디케이터부(55)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센서부(61)와 마주하는 보호커버(70)의 일측면에 관통홈(71)을 형성하여 상기 센서부(61)가 인디케이터부(55)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보호커버(70)에 관통홈(71)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바디(5) 내부의 기체가 상기 보호커버(70)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지지축(50)과의 틈새를 통해 보호커버(70) 내부로 유입된 후 관통홈(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위험성분의 기체가 배출될 경우 대기오염이나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디(5) 내부의 기체가 상기 보호커버(70)의 관통홈(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부(61)를 통한 인디케이터부(55)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70)의 내측에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유동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투명관(80)이 설치된다.
상기 투명관(80)은 유리관으로 구성되어 보호커버(70)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투명관(80)의 상,하단면에는 실링부재(81)가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70) 내부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보호커버(70)의 내부에 투명관(8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바디(5) 내부의 기체가 보호커버(70)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투명관(80)의 내부로 유입될 수는 있지만, 보호커버(70)의 관통홈(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부(61)에서 발신되는 초음파 신호는 투명관(80)을 통과하여 투명관(80) 내측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부(55)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70)는 하단부에 복수개의 가이드(75)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바디(5)의 상단면 중앙에는 상기 보호커버(70)를 감싸도록 일정높이의 지지관(15)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보호커버(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보호커버(7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7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15)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턱(73)이 걸리도록 캡너트(16)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턱(73)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74)가 설치되어 걸림턱(73)의 외주면과 지지관(15)의 내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보호커버(70)를 바디(5)의 상단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이유는 작업자가 상기 보호커버(70)를 통해 지지축(50) 및 디스크(40)를 들어올려 상기 디스크(40)의 정상 작동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보호커버(70)를 들어올리면 보호커버(7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부(72)가 인디케이터부(55)의 하단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지지축(50) 및 디스크(40)가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40)의 상측에 설치된 일정무게의 웨이트(41)로 인해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보호커버(70)를 들어 올리기에는 힘들기 때문에, 상기 보호커버(70)의 상단에는 리프트 걸이부(76)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5)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프트 걸이부(76)에 걸어서 보호커버(70)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리프팅수단(90)이 설치된다.
상기 리프팅수단(90)은 상기 바디(5)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부(91)와, 상기 힌지부(91)를 중심으로 일정반경을 갖고 회동하는 일정길이의 리프팅암(92)과, 상기 리프팅암(92)과 힌지부(9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93)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팅암(92)의 일단부에는 상기 걸이부(76)에 걸수 있도록 "U"자 형태의 걸쇠(9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수단(90)은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어 작업자가 상기 보호커버(70)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진공바디(20)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70)를 바디(5)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진공바디(20)에 설치되는 보호커버(70)도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2)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 증가시 상기 압력바디(10)의 디스크(40)가 개방되면서 기체가 상기 바디(5)의 출구(12)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는 미도시된 이송관을 통해 별도의 처리장치로 보내지게 되므로 대기오염이나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2)는 육지상에 설치된 저장탱크(2)일 수도 있고,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 설치된 저장탱크(2)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저장탱크(2)에 석유나 화학약품 등의 각종 유체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2)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저장탱크(2)에 저장된 유체에 따라서는 장기간 보관시 기체(증기)가 발생하여 저장탱크(2)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2)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2) 내부의 상부쪽에 있는 기체가 상기 연결바디(3)로 유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기체의 압력에 의해 도 6a와 같이 상기 진공바디(20)의 입구(11)는 진공바디(20)측 디스크(40)에 의해 폐쇄되고, 도 2b와 같이 상기 압력바디(10)의 입구(11)는 압력바디(10)측 디스크(40)가 기체의 압력에 의해 열리게 되면서 개방된다.
계속해서, 상기 기체는 압력바디(10)의 출구(12)를 통해 별도의 처리장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저장탱크(2) 내부의 증가된 압력을 해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2)내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저장탱크(2)내에 진공(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2)내에 진공이 발생하게 되면, 도 2a와 같이 상기 압력바디(10)의 입구(11)는 압력바디(10)측 디스크(40)에 의해 폐쇄되고, 도 6b와 같이 상기 진공바디(20)의 입구(11)는 외부의 기체(공기)가 입구(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진공바디(20)측 디스크(40)가 열리게 되면서 개방된다.
상기 진공바디(20)의 입구(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기체(공기)는 상기 저장탱크(2)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탱크(2)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디스크(40)의 개폐작동시 상기 지지축(50)도 함께 승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축(50)의 상단부에 결합된 인디케이터부(55)도 보호커버(70)의 내측에서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 설치된 감지수단(60)의 센서부(61)는 상기 보호커버(7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홈(71)을 통해 인디케이터부(55)측으로 초음파 신호를 보내어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고, 즉,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크(40)가 개방상태인지(인디케이터부(55)가 상승한 상태) 또는 폐쇄상태인지(인디케이터부(55)가 하강한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실에서는 상기 센서부(6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크(40)의 개폐상태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저장탱크(2)내의 압력과 디스크(40)의 개폐상태를 확인하여 디스크(40)의 개폐작동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릴리프 밸브 2: 저장탱크
3: 연결바디 5: 바디
10: 압력바디 11: 입구
12: 출구 15: 지지관
16: 캡너트 20: 압력바디
30: 지지부재 31: 리브
40: 디스크 41: 웨이트
50: 지지축 55: 인디케이터부
60: 감지수단 61: 센서부
70: 보호커버 71: 관통홈
72: 걸림부 73: 걸림턱
75: 가이드 80: 투명관
90: 리프팅수단

Claims (5)

  1. 각종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2)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2)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입구(11) 및 출구(12)를 갖는 바디(5)와,
    상기 바디(5)의 입구(11) 중심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50)과,
    상기 바디(5)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축(50)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2)내의 압력크기에 따라 지지축(50)과 함께 승하강하면서 바디(5)의 입구(11)를 개폐하는 디스크(40)와,
    상기 디스크(40)의 개폐여부를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하강하는 지지축(5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60)은, 상기 바디(5)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상기 지지축(50)의 상단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부(55)와,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바디(5) 상단부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50)과 함께 승하강하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6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는 상기 승하강하는 인디케이터부(55)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부(55)를 감싸는 보호커버(70)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61)와 마주하는 상기 보호커버(70)의 일측면에는 센서부(61)가 인디케이터부(55)를 감지할 수 있도록 관통홈(7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5) 내부의 기체가 상기 보호커버(70)의 관통홈(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부(61)를 통한 인디케이터부(55)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보호커버(70)의 내측에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유동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투명관(8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70)는 하단부에 구비된 가이드(75)를 통해 상기 바디(5)의 상단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축(50)이 관통하는 상기 보호커버(70)의 하단부에는 상기 인디케이터부(55)의 하단이 걸리도록 걸림부(72)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70)를 통해 지지축(50) 및 디스크(40)를 들어올려 상기 디스크(40)의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커버(70)의 상단에는 리프트 걸이부(76)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5)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프트 걸이부(76)에 걸어서 보호커버(70)를 들어올리도록 리프팅수단(9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KR20100031402A 2010-04-06 2010-04-06 릴리프 밸브 KR10116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1402A KR101161222B1 (ko) 2010-04-06 2010-04-06 릴리프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1402A KR101161222B1 (ko) 2010-04-06 2010-04-06 릴리프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24A true KR20110112024A (ko) 2011-10-12
KR101161222B1 KR101161222B1 (ko) 2012-07-02

Family

ID=4502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1402A KR101161222B1 (ko) 2010-04-06 2010-04-06 릴리프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929A (ko) * 2000-07-28 2002-02-02 윤정석 간암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KR102392203B1 (ko) * 2015-09-04 2022-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압 진공 안전 밸브의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416Y1 (ko) * 2007-10-04 2009-02-11 유니테크 주식회사 안전밸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222B1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1418B2 (en) Testable overfill prevention valve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1161222B1 (ko) 릴리프 밸브
JP5169807B2 (ja) 有水式ガスホルダ及び有水式ガスホルダの水封弁遮断方法
KR101778760B1 (ko) 소화전밸브 개폐확인이 가능한 소화전
CA2433641A1 (en) Multifunctional valve for the fuel tank of a motor vehicle
US3394842A (en) Pressure release device for a hydraulic tank
JP6621147B2 (ja) タンクローリー用オーバーフロー遮断装置
US20170074413A1 (en) Pressure Control Device with Blind Tapped Connection Base
CN206682290U (zh) 一种手动自动双重锁定压力容器
KR101940044B1 (ko) 감세조 밸브 시스템
KR101632439B1 (ko) 래들 슬라이딩 게이트 유압 연결 장치
KR102100039B1 (ko) 코크스 오븐용 가스 배출장치
KR100621868B1 (ko) 과류차단 및 복귀장치가 구비된 가스 저장용기용 밸브
KR20160009671A (ko) 가압 유체 용기
KR20100001094U (ko) 안전밸브 장치
CN207034632U (zh) 一种液化气罐套
CN207178806U (zh) 漏气保护装置
CN211779221U (zh) 一种集输管线阀门用防护装置
CN101774466A (zh) 三乙基铝储罐及其储罐安全装置
US20080092634A1 (en) Storage Tank Leak Monitoring and Venting Apparatus
KR102203983B1 (ko) Lpg 액 긴급방출장치를 내장한 lpg 스마트탱크
KR200457566Y1 (ko) 과압방지 모튤레이팅 파일럿 밸브
JP6898202B2 (ja) 補修弁の漏れ量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CN213332709U (zh) 一种具有哨声警报功能的安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