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044B1 - 감세조 밸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세조 밸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044B1
KR101940044B1 KR1020170036589A KR20170036589A KR101940044B1 KR 101940044 B1 KR101940044 B1 KR 101940044B1 KR 1020170036589 A KR1020170036589 A KR 1020170036589A KR 20170036589 A KR20170036589 A KR 20170036589A KR 101940044 B1 KR101940044 B1 KR 101940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orage tank
water level
flui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934A (ko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7003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04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treamlined valve member around which the fluid flows when the valve is open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세조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개선되고 제어가 손쉬운 슬리브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조의 내부의 이러한 슬리브 밸브를 설치하되, 유체가 유동되는 공급처와 수요처 사이의 관로상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슬리브 밸브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가 일정시간 머문후 수요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승하강 봉, 가이드관, 스템, 오링, 디스크, 가이드링으로 구성된, 감세조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세조 밸브 시스템{INFLOW DECELERATING TYPE HOUSING VALVE SYSTEM}
본 발명은 유체의 공급처와 수요처 상호간의 유량조절뿐만 아니라, 표고차로 인한 압력차를 해소하여 수요처의 장치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세조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밸브실에 사용되는 밸브는 자유방류밸브(free discharge valve)로서, 낙차의 고압에 관계없이 자유방류시 유량의 조절 및 제어가 극히 간단하고 용이한 밸브이다. 이러한 밸브는 댐 또는 저수지의 사수방류, 하류의 농업용수의 유량조절, 수차의 보호방류 등에 사용되며, 방류시 유선형상이 원추형 상으로 확산되어 유체의 에너지를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밸브 중 하나인 콘밸브는 유체가 통과하는 원통형상의 밸브 본체, 밸브 본체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밸브 본체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드게이트("실린더게이트"라고도 함), 슬라이드게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밸브 본체의 토출구 단부에 인접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 콘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콘부재는 밸브실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다수의 밸브실(수급처(공급처와 수요처))은 상호간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관로로 상호간 연결되어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밸브실의 경우, 밸브실 상호간의 표고차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낮은 지역에 위치되는 밸브실(수요처)에서의 압력은, 높은 지역에 위치되는 밸브실(공급처) 내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표고차가 심할수록 그 압력 또한 증가되어, 이에, 공급처 측 밸브실 내의 밸브들이 터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조 내에 슬리브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공급처에서 수요처로 유동되는 유체의 일부가 잠시 저장되어 머문 후 수요처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슬리브 밸브가 설치된 밸브실의 설정수위범위를 비교판단하여, 슬리브 밸브를 자동제어하여 개폐여부 및 개폐량을 조절함으로써, 수요처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제어뿐만 아니라, 공급처와 수요처 상호간의 표고차로 인해 발생되는 낮은 지역 수요처의 압력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세조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수급처 사이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유체의 일부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조(10)의 일측에 수평설치되는 수평관(21)과, 상기 수평관(21)에서 연장되어 저장조(10)의 내부저면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지는 수직관(23)으로 이루어져, 공급처와 연결된 관로와 연통됨으로써 유체가 저장조(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20); 상기 저장조(10)의 외측에서 수직관(23)의 내부로 상, 하 유동가능하게 내설됨으로써, 수직관(23)의 하단에서 유입관(20)의 개폐여부 및 개폐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저장조(10)에서 방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제어됨과 동시에, 수급처 상호간의 압력이 조절되어, 공급처와 수요처 상호간의 표고차로 인해 수요처 내 밸브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 밸브(40); 상기 저장조(10)의 타면 하단부를 관통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저장조(10)에 저장된 유체를 수요처로 공급하는 배출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조 내에서 자동제어가 가능하며 구조가 개선된 슬리브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수급처(공급처와 수요처) 상호간의 표고차로 인해 발생되는, 낮은 지역에 위치되는 수요처 밸브실 내의 압력증가를 슬리브 밸브를 통해 방지하여, 밸브실 내의 밸브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사용 및 제어가 용이한 슬리브 밸브를 사용함으로서, 수급처 상호간에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제어가 손쉽고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브 밸브는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적용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도 2의 일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밸브가 적용된 밸브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내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수의 수급처 사이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유체의 일부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조(10)의 일측에 수평설치되는 수평관(21)과, 상기 수평관(21)에서 연장되어 저장조(10)의 내부저면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지는 수직관(23)으로 이루어져, 공급처와 연결된 관로와 연통됨으로써 유체가 저장조(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20); 상기 저장조(10)의 외측에서 수직관(23)의 내부로 상, 하 유동가능하게 내설됨으로써, 수직관(23)의 하단에서 유입관(20)의 개폐여부 및 개폐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저장조(10)에서 방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제어됨과 동시에, 수급처 상호간의 압력이 조절되어, 공급처와 수요처 상호간의 표고차로 인해 수요처 내 밸브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 밸브(40); 상기 저장조(10)의 타면 하단부를 관통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저장조(10)에 저장된 유체를 수요처로 공급하는 배출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밸브(40)는 상기 수직관(23)과 연통되도록 수직관(23)의 하단에 대응설치되며, 하단이 개구된 외통(41); 상기 외통(41)에 내설되어 하단부가 외통(41)에 끼움체결되며, 하단부 내부에는 설치공간(55)을 형성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다수의 개구홀(54)을 형성하여, 유입관의 유체가 외통(41) 하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내통(50); 상기 저장조의 외측에서부터 수직관(23) 내부를 통해 내통(50)의 설치공간(55)까지 직립설치되는 승하강 봉(61)과, 상기 승하강 봉(61) 하단 외주연의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55)에 대응위치되는 디스크(62)로 이루어져, 승, 하강이동에 의해 디스크(62)가 다수의 개구홀(54)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조절부(60); 상기 내통(50) 상단 외주연에 체결되어, 내통(50)과 승하강 봉(61)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부(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통(50)은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를 가지는 상부체(51); 상기 상부체(51)의 하단에 연장설치되며,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중단체(52); 상기 중단체(52)의 하단부에서, 상호간 사전설정간격이 이격되며 다수개가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통(50)의 하단부 내주연 걸침홈(47)에 대응되게 끼워져, 내통(50)이 외통(41) 내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하며, 상호간의 이격공간은 유체가 이동되는 개구홀(54)로 사용되는 끼움편(5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통(41)은 상기 수직관(23)과 연통되어, 수직관(23)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부에 천공된 유입홀(42); 상기 외통(41)의 상부면 외주연에 연장형성되어, 수직관(23)과 대응체결고정되는 체결편(43); 상기 외통(41)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 용이를 위해, 상, 하단 외주연에 라운딩(44)처리가 되어 있는 몸체(45); 상기 몸체(45)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며, 중앙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48)을 형성하되, 내측 상면에는 내통(50)의 하단부가 대응체결되는 걸침홈(47)이 함몰형성되어 있는 연장부(4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밸브(40)는 상기 수평관(21)과 수직관(23) 사이의 연결관(22) 외측에 수직으로 연장설치되어, 승하강 봉(61)이 관통되며 지지되도록 하는 가이드관(71); 상기 가이드관(71)의 상단부 내주연에 설치되는 스템(72); 상기 스템(72)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가이드관(71)을 통한 유체 외부누수를 방지하는 오링(73); 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저장조(10) 내부의 유체가 배출관(30)을 통해 수요처로 최초 유동시, 배출관(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관(31)이 중단에 연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밸브(40)는 측정수위가 사전설정 수위범위 이상이되면, 점차 하강되어 유체의 유입량을 감소시키고, 측정수위가 사전설정 수위범위 이하가 되면, 점차 상승되며 유체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조(10)의 외측에서 슬리브 밸브(40)의 승, 하강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조절장치(80);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저장조(10) 수위에 맞춰, 상기 저장조(10)의 내벽에 설치되어, 저장조(10) 내 수위를 감지하는 다수의 수위센서(90); 상기 수위센서(90)를 통해 측정된 측정수위를,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저장조(10)의 설정수위 범위와 비교하여, 슬리브 밸브(40)의 승,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세조 밸브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감세조 밸브 시스템은 유입관(20), 배출관(30), 슬리브 밸브(40), 조절장치(80), 수위센서(90),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20)은 전술된 저장조(10)에 일측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장조(10)는 수급처(수요처와 공급처)를 연결하여 유체가 유동되도록 하는 관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는 비어있어 유체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후술될 슬리브 밸브(40)가 설치되는 곳이다. 이렇듯 유입관(20)은 전술된 수급처 중 공급처와 관로로 연결되어, 저장조(1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유입관(20)은 저장조(10)의 일측에 지면과 수평 형태로 관통되는 수평관(21)과, 상기 수평관(21)에서 절곡되어 저장조(10)의 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설치되는 수직관(23) 및 상기 수평관(21)과 수직관(23) 상호간의 절곡부위인 연결관(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전술된 저장조(10)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장조(10) 내부의 유체를 공급처의 관로로 연결시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출관(30)은 지면 및 전술된 수평관과 동일하게 수평형태로 설치되어, 저장조(10)의 타측면을 관통하는 형태가 되고, 저장조(10) 내부에 위치되는 일단은 외측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더불어, 전술된 유입관(20)에는 유체가 공급처에서 저장조(10)측으로만 유동되고, 배출관(30)에는 유체가 저장조(10)에서 수요처로만 유동되도록 하는 제어밸브(ex: 체크밸브, V)가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30)의 경우, 저장조(10) 내부의 유체가 배출관(30)을 통해 수요처로 최초 유동시, 배출관(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관(31)이 중단에 연통설치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상기 슬리브 밸브(40)는 전술된 저장조(10) 내부에서, 유입관의 단부측 수직관(23) 하단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슬리브 밸브(40)는 구성 중 하나인 승하강 봉(61)의 일단이 저장조(10)의 외부 상단에서부터 내부를 관통하여, 전술된 저장조(10) 내 유입관(20)의 수직관(23) 내부에 내설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한 슬리브 밸브(40)는 외통(41), 내통(50), 개폐조절부(60), 고정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외통(41)은 수직관(23)의 개구된 하단에 상호간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관체로써, 내부가 비어있고, 상, 하단이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외통(41)은 유입홀(42), 체결편(43), 몸체(45), 연장부(4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외통(41)의 상면 중앙은 관통되어 유입홀(42)을 형성함으로써, 수직관(23)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체결편(43)은 수직관(23)의 상면 외주연에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수직관(23)과 플랜지 형태로 대응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수직관(23)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45)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를 가지되, 유체가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는 흐름이 용이해지도록, 상, 하단 외주연 둘레에는 라운딩(44)처리가 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46)는 몸체(45)의 하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절곡형성되는 부위로, 몸체(45)의 하단 중앙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48)이 개구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장부(46)의 내부 상면에는 후술될 내통(50)의 하단부(더욱 자세히는 끼움편(53))가 대응체결되는 걸침홈(47)이 함몰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걸침홈(47)에 내통(50)의 끼움편(53)이 끼워진 후에는, 걸침홈(47) 내측으로 오링(o-ring, 49) 또한 체결되어, 걸침홈(47) 부분에 이격공간 및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호간의 결합이 확실해지도록 오링(49)이 끼움편(53)이 끼워지고 남아있는 걸침홈(47)의 공간을 매울 수 있도록 한다. 유체가 오로지 끼움편(53) 사이의 이격공간인 개구홀(54)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통(50)은 전술된 외통(41) 내부에서 수직으로 내설되는 것으로, 하단부가 외통(41)의 연장부(46)에 형성된 걸침홈(47)에 끼움결합되면서, 내통(50)이 외통(41) 내부에서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부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내통(50)은 상부체(51), 중단체(52), 끼움편(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체(51)는 상,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부위로 승하강 봉(61)이 수직으로 체결되도록 하며,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를 가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중단체(52)는 상부체(51)의 하단에 연장설치되되, 내부가 빈 공간을 가지는 관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끼움편(53)은 중단체(52)의 하단부에서, 상호간 사전설정간격이 이격되며 다수개가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통(50)의 하단부 내주연 걸침홈(47)에 대응되게 끼워져, 내통(50)이 외통(41) 내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하며, 상호간의 이격공간은 유체가 이동되는 개구홀(54)로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즉, 다수의 끼움편(53)이 중단체(52)의 하단부에 상호간 이격되며 수직으로 연장되어 외통(41)의 저면에 결합되되, 이러한 다수의 끼움편(53) 간의 이격공간이 개구홀(54)로 이용되어, 수직관(23)에서 이동된 유체가 외통(41)의 유입홀(42)을 통해, 외통(41)과 내통(50) 사이로 이동되면, 이러한 내통(50)의 다수 개구홀(54)을 통해 외통(41)의 배출홀(48)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상부체(51)에는 승하강 봉(61)이 끼워지는 홀 부분에 고무재질의 패킹(ex: V 패킹 등)(56)이 형성되어, 고정부(70), 내통(50), 개폐조절부(60) 상호간의 접촉부위로 유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개폐조절부(60)는 승하강 봉(61)과 디스크(6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승하강 봉(61)은 저장조(10)의 상단 외측에서부터 수직관(23) 내부를 관통하여, 내통(50)의 설치공간(55) 내부까지 질립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크(62)는 전술된 승하강 봉(61)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55) 내에 꽉차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위치됨으로써, 상하강 봉의 승, 하강 이동에 의해 이러한 디스크(62)는 설치공간(55) 내부를 승하강 하면서, 하강시에는 내통(50)의 다수의 개구홀(54)을 밀폐하여, 외통(41)과 내통(50) 사이로 이동된 유체가 외통(41)의 하단 배출홀(48)을 통해 배출이 되지 않도록 하고, 승강시에는 밀폐되었던 다수의 개구홀(54)이 개방되면서, 외통(41)과 내통(50) 사이로 이동된 유체가 외통(41)의 하단 배출홀(48)을 통해 저장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디스크(62)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외부를 향해, 지면과 수평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회전방지핀(63)을 더 형성하는데, 이러한 회전방지핀(63)은 승, 하강 되는 승하강 봉(6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회전방지핀(63)이 끼움편(53)과 끼움편(53) 사이의 개구홀(54)로 회전방지핀(63)이 돌출되어, 승하강 봉(61)의 회전될시, 회전방지핀(63)이 끼움편(53)에 부딪혀 걸리면서 승하강 봉(61)의 회전이 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70)는 내통(50) 상단 외주연에 체결되어, 내통(50)과 승하강 봉(61)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술된 내통(50)의 상부체(51)는 수직관(23)과 외통(41)의 연결부위에 위치되기에, 이러한 고정부(70) 또한 수직관(23)과 외통(41)의 연결부위 내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고정부(70)는 상단부가 상협하광의 형태를 가져, 상단은 직접 승하강 봉(61)의 외주연에 접촉되고, 하단부는 내통(50)의 상부체(51) 외주연에 결합되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더불어, 상기 슬리브 밸브(40)는 가이드관(71), 스템(72), 오링(7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관(71)은 전술된 승하강 봉(61)이 관통되는 연결관(22)의 상부 외측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연결관(22) 외측에서 승하강 봉(6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스템(72)은 가이드관(71)의 상단부 내주연에 둘레에 설치되어, 가이드관(71)과 함께 승하강 봉(6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승하강되는 승하강 봉(61)의 외주연이 접촉되는 곳은 가이드관(71)이 아닌 스템(72)부분이며, 가이드관(71)은 내주연은 가이드관(7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승하강 봉(61)의 외주연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구조를 가져, 승, 하강이 손쉽도록 한 것이다.
상기 오링(73)은 전술된 스템(72)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개 설치되어,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가이드관(71)과 승하강 봉(61) 사이의 접촉공간을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승하강 봉(61)의 외주연이 접촉되는 스템(72)과 승하강 봉(61) 사이를 수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장치(80)는 전술된 저장조(10)의 외측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승하강 봉(61)에 설치되어, 승하강 봉(61)을 승, 하강시키는 장치이다.
물로, 승하강 봉(61)을 승, 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러한 조절장치(80)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조절장치(80)는 수동으로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며 승하강 봉(61)을 승, 하강 시키는 형태뿐만 아니라, 후술될 제어부(100)에 의해 전기적으로도 연결되어, 유무선으로 작동제어가 가능한 형태가 될 수도 있음이며, 물론 수동과 자동(원격)식 모두가 가능한 형태가 될 수도 있음이다.
상기 수위센서(90)는 저장조(10)의 내벽에 상호간 이격되며 높이차를 두고 다수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러한 수위센서(90)를 다수개 설치하여 각각의 수위센서(90)의 신호를 감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전설정 수위범위에 맞춰 두군데의 저장조(10) 내벽 부위에 2개의 수위센서(90)를 이격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2개의 수위센서(90) 사이(사용자가 최적정수위에 해당되는 곳이라 설정한 부위) 에 또 다른 수위센서(90)를 설치함으로써 최적정수위를 측정하는 센서 하나와, 이러한 최적정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를 상, 하단에 이격배치하여, 최고수위 및 최저수위의 사전설정 수위범위를 감지하는 또 다른 2개센서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0)는 조절장치(80) 및 수위센서(90) 다수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위센서(90)에서 측정된 측정수위를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사전설정 수위범위와 비교한 후, 이에 맞춰 조절장치(80)를 작동시킴으로써, 슬리브 밸브(40)를 승하강 시켜, 유입관(20)(더욱 상세히는 수직관(23))의 타단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여부 및 개폐시 어느정도까지 열리고 닫힐것인지에 대한 개폐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유입관(20)의 개폐여부 및 개폐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저장조(10)에서 방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제어됨과 동시에, 수급처 상호간의 압력이 조절되어, 공급처와 수요처 상호간의 표고차로 인해 수요처 내 밸브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수요처가 공급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 위치되어 표고차가 발생되면, 이러한 표고차에 의해 유체가 유동되는 수요처측 밸브실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수요처 밸브실 내 장치 및 기계(밸브 등)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공급처와 수요처 사이에 본 발명의 밸브실이 위치되어 있고, 슬리브 밸브(40)를 통해 본 발명의 저장조(10)에 유체를 잠시 머물게 한 후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공급처와 수요처 상호간의 표고차를, 본 발명의 밸브실과 수요처 상호간의 표고차로 감소시켜 결국, 수요처측의 압력을 줄일 수 있어, 수요처 밸브실 내 장치 및 기계가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제어부(100)를 통해 슬리브 밸브(40) 승, 하강 작동시킴으로써, 저장조(10)에 저장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고, 이로 인해 배출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수요처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00)를 통해 승, 하강 제어되는 슬리브 밸브(40)의 예를 살펴보면, 측정수위가 사전설정 수위범위 이상이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슬리브 밸브(40)는 점차 하강되어 저장조(10)내 유체의 유입량을 감소시키고, 측정수위가 사전설정 수위범위 이하가 되면, 슬리브 밸브(40)를 점차 상승시켜 유체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저장조 20: 유입관
21: 수평관 22: 연결관
23: 수직관 30: 배출관
31: 통기관 40: 슬리브 밸브
40: 슬리브 밸브 41: 외통
42: 유입홀 43: 체결편
44: 라운딩 45: 몸체
46: 연장부 47: 걸침홈
48: 배출홀 49: 오링
50: 내통 51: 상부체
52: 중단체 53: 끼움편
54: 개구홀 55: 설치공간
56: 패킹 60: 개폐조절부
61: 승하강 봉 62: 디스크
63: 회전방지핀 70: 고정부
71: 가이드관 72: 스템
73: 오링 80: 조절장치
90: 수위센서 100: 제어부
V: 제어밸브

Claims (8)

  1. 다수의 수급처 사이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유체의 일부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조(10)의 일측에 수평설치되는 수평관(21)과, 상기 수평관(21)에서 연장되어 저장조(10)의 내부저면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지는 수직관(23)으로 이루어져, 공급처와 연결된 관로와 연통됨으로써 유체가 저장조(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20);
    상기 저장조(10)의 외측에서 수직관(23)의 내부로 상, 하 유동가능하게 내설됨으로써, 수직관(23)의 하단에서 유입관(20)의 개폐여부 및 개폐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저장조(10)에서 방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제어됨과 동시에, 수급처 상호간의 압력이 조절되어, 공급처와 수요처 상호간의 표고차로 인해 수요처 내 밸브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 밸브(40);
    상기 저장조(10)의 타면 하단부를 관통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저장조(10)에 저장된 유체를 수요처로 공급하는 배출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 밸브(40)는
    상기 수직관(23)과 연통되도록 수직관(23)의 하단에 대응설치되며, 하단이 개구된 외통(41);
    상기 외통(41)에 내설되어 하단부가 외통(41)에 끼움체결되며, 하단부 내부에는 설치공간(55)을 형성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다수의 개구홀(54)을 형성하여, 유입관의 유체가 외통(41) 하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내통(50);
    상기 저장조의 외측에서부터 수직관(23) 내부를 통해 내통(50)의 설치공간(55)까지 직립설치되는 승하강 봉(61)과, 상기 승하강 봉(61) 하단 외주연의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55)에 대응위치되는 디스크(62)로 이루어져, 승, 하강이동에 의해 디스크(62)가 다수의 개구홀(54)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조절부(60);
    상기 내통(50) 상단 외주연에 체결되어, 내통(50)과 승하강 봉(61)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세조 밸브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50)은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를 가지는 상부체(51);
    상기 상부체(51)의 하단에 연장설치되며,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중단체(52);
    상기 중단체(52)의 하단부에서, 상호간 사전설정간격 이격되며 다수개가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통(50)의 하단부 내주연 걸침홈(47)에 대응되게 끼워져, 내통(50)이 외통(41) 내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하며, 상호간의 이격공간은 유체가 이동되는 개구홀(54)로 사용되는 끼움편(5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세조 밸브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41)은
    상기 수직관(23)과 연통되어, 수직관(23)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부에 천공된 유입홀(42);
    상기 외통(41)의 상부면 외주연에 연장형성되어, 수직관(23)과 대응체결고정되는 체결편(43);
    상기 외통(41)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 용이를 위해, 상, 하단 외주연에 라운딩(44)처리가 되어 있는 몸체(45);
    상기 몸체(45)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며, 중앙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48)을 형성하되, 내측 상면에는 내통(50)의 하단부가 대응체결되는 걸침홈(47)이 함몰형성되어 있는 연장부(4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세조 밸브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밸브(40)는
    상기 수평관(21)과 수직관(23) 사이의 연결관(22) 외측에 수직으로 연장설치되어, 승하강 봉(61)이 관통되며 지지되도록 하는 가이드관(71);
    상기 가이드관(71)의 상단부 내주연에 설치되는 스템(72);
    상기 스템(72)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가이드관(71)을 통한 유체 외부누수를 방지하는 오링(73);
    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세조 밸브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저장조(10) 내부의 유체가 배출관(30)을 통해 수요처로 최초 유동시, 배출관(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관(31)이 중단에 연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세조 밸브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밸브(40)는
    측정수위가 사전설정 수위범위 이상이되면, 점차 하강되어 유체의 유입량을 감소시키고, 측정수위가 사전설정 수위범위 이하가 되면, 점차 상승되며 유체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세조 밸브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10)의 외측에서 슬리브 밸브(40)의 승, 하강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조절장치(80);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저장조(10) 수위에 맞춰, 상기 저장조(10)의 내벽에 설치되어, 저장조(10) 내 수위를 감지하는 다수의 수위센서(90);
    상기 수위센서(90)를 통해 측정된 측정수위를,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저장조(10)의 설정수위 범위와 비교하여, 슬리브 밸브(40)의 승, 하강 제어하는 제어부(10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세조 밸브 시스템.

  8. 삭제
KR1020170036589A 2017-03-23 2017-03-23 감세조 밸브 시스템 KR101940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589A KR101940044B1 (ko) 2017-03-23 2017-03-23 감세조 밸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589A KR101940044B1 (ko) 2017-03-23 2017-03-23 감세조 밸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934A KR20180108934A (ko) 2018-10-05
KR101940044B1 true KR101940044B1 (ko) 2019-01-21

Family

ID=6387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589A KR101940044B1 (ko) 2017-03-23 2017-03-23 감세조 밸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9127B (zh) * 2021-11-08 2024-05-10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 一种地下水资源检测专用的地下水量检测仪
CN114076619A (zh) * 2021-11-15 2022-02-22 中水珠江规划勘测设计有限公司 供水管道消能测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303Y1 (en) * 1979-12-22 1980-08-25 Kuboda Desko Co Ltd Valve body for sleeve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934A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766B2 (en) Overfill prevention valve for shallow tanks
EP1236605A2 (en) Refueling shutoff valve and vent system for fuel tanks
US20110005614A1 (en) Vent valve
JP6178490B2 (ja) 燃料タンクのための改良された非加圧流体レベル遮断
KR101940044B1 (ko) 감세조 밸브 시스템
US9983598B2 (en) Fully-integrated flow-control valve assembly for top-filled fuel tanks
US9249897B2 (en) Double action float valve
KR101033847B1 (ko) 비례제어식 팽창수자동밸브를 이용한 팽창탱크시스템
KR101183169B1 (ko) 가스파이프라인의 씰 포트
KR101919334B1 (ko) 공기변실 긴급차단 시스템
KR101056147B1 (ko)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JP5067851B2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
CN101220875B (zh) 流量信息阀
CN105544705A (zh) 地漏展示装置
CN104713230A (zh) 一种热泵热水器的水控装置
US3279491A (en) Water tank and air retaining means therefor
KR102024226B1 (ko) 파일럿 작동형 안전밸브 시스템
US2582105A (en) Device for shutting off gases from pipe lines
US9803775B2 (en) Double action float valve
US7137402B2 (en) Oil deaeration device
KR20150060518A (ko)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배수장치
KR200207682Y1 (ko) 온,오프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KR102665478B1 (ko) 오염액체용 안전저장탱크
CN117537108B (zh) 快慢抽双流通高真空角阀
KR101084905B1 (ko) 대기개방형 팽창탱크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