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298A -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298A
KR20110110298A KR1020117018495A KR20117018495A KR20110110298A KR 20110110298 A KR20110110298 A KR 20110110298A KR 1020117018495 A KR1020117018495 A KR 1020117018495A KR 20117018495 A KR20117018495 A KR 20117018495A KR 20110110298 A KR20110110298 A KR 2011011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ollower
hinge assembly
vehic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551B1 (ko
Inventor
릭 에이. 앤더슨
티모시 제이. 보르게슨
브렌트 디. 록아펠로우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1011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78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 B60J3/0282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a courtesy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종동부 및 종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캠을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캠은 수직 방향을 따라 종동부에 대해 병진이동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종동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힌지 조립체는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캠의 회전을 돕도록 캠을 통하여 배치되는 축을 포함한다. 축은 수직 방향을 따라 종동부를 향하여 캠을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HINGE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TRIM COMPONENT}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의해 전체로서 참조로 통합되는 2009년 1월 9일자로 제출되고 제목이 "SUN VISOR VANITY MIRROR COVER"인 U.S.가출원번호 제61/143,68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 트림 부품(trim component)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차량은 차량의 작동중에 탑승자를 달리 괴롭힐 수 있는 일광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선 바이저(sun visors)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특정 차량은 운전자 및/또는 전방 승객에 의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전면 유리(windshield)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선 바이저를 포함한다. 다수의 선 바이저는 선 바이저가 전개된 위치에 있을 때 탑승자에게 보이는 선 바이저의 내면에 부착된 화장 거울(vanity mirror)을 포함한다. 특정 구성에서, 사용하지 않을 때 화장 거울을 보호하고 감추도록 커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 거울 커버는 선 바이저에 대한 커버의 회전을 통해 커버가 거울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감출 수 있게 하는 힌지에 의하여 선 바이저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통상의 회전식 화장거울 커버 조립체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 접근할 때 커버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키고/바이어스시키거나, 커버가 폐쇄 위치에 접근할 때 커버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힌지 조립체는 차량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에 커버를 지지할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커버를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 통상의 힌지 조립체는 이러한 구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로 인해 제조 및 조립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이러한 힌지 조립체는 얇고/얇거나 가벼운 선 바이저에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힌지 조립체가 스프링, 핀 및 다른 비교적 큰 부품과 같이 부피가 큰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동부 및 상기 종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캠을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캠은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종동부에 대해 병진이동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종동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또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캠의 회전을 돕도록 상기 캠을 통하여 배치되는 축을 포함한다. 상기 축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종동부를 향하여 상기 캠을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종동부, 상기 종동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지지면 및 회전축 둘레에 위치되는 개구를 갖는 캠을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또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캠의 회전을 돕도록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치된 축을 포함한다. 상기 축은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종동부를 향하여 상기 캠을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면의 일부는 상기 종동부와 지지면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종동부, 상기 종동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면 및 회전축 둘레에 위치되는 개구를 갖는 캠을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또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캠의 회전을 돕도록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치되는 축을 포함한다. 상기 축은 상기 종동부를 향하여 상기 캠을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지지면과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의 회전에 응답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캠을 병진이동시키도록, 상기 종동부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축이 병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화장 거울 커버를 갖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바이저(visors)를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내부 중 일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바이어스된 회전축을 갖는 힌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 거울 커버를 갖는 예시적인 선 바이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바이저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화장 거울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장 거울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화장 거울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화장 거울 조립체의 분해된 후방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8-8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9-9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6의 10-10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6의 11-11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6의 12-12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13은 화장 거울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0의 13-13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14는 화장 거울 커버가 부분적으로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15는 화장대 거울 커버가 부분적으로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16은 화장 거울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은 화장 거울 커버를 갖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선 바이저(sun visors)를 포함하는 자동차(1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0)는 시트(14), 팔걸이(16) 및 센터 콘솔(18)을 갖는 내부(12)를 포함한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트(14), 팔걸이(16), 센터 콘솔(18) 또는 차량 내부(12) 내의 다른 영역은 베이스 구조물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에서, 자동차(10)는 일광으로부터 차량 승객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선 바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특정 선 바이저 구성은 사용하지 않을 때 거울을 감추도록 구성된 커버를 갖는 화장 거울(vanity mirror)을 포함한다. 특정한 화장 거울 커버는 거울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감추도록 선 바이저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화장 거울 커버는 회전을 돕도록 힌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는 폐쇄 및/또는 개방 위치를 향하여 커버를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특정 실시예는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화장 거울 커버를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된 힌지 조립체의 제조 비용, 크기 및/또는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특정 힌지 조립체는 종동부(follower) 및 이 종동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캠(cam)을 포함한다. 캠은 화장 거울 커버와 같은 제 1 면에 연결될 수 있지만, 종동부는 선 바이저와 같은 제 2 표면에 결합된다. 캠은 수직 방향을 따라 종동부에 대해 병진이동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종동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힌지 조립체는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캠의 회전을 돕도록 캠을 통하여 배치되는 축을 포함한다. 축은 수직 방향을 따라 종동부를 향하여 캠을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성에서, 캠은 캠의 제 1 부분과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캠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캠의 제 2 부분과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캠을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축에 의해 캠에 가해진 힘은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를 항하여 커버를 회전식으로 바이어스 시킨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10)의 내부(12)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내부(12)는 화장 거울 커버(22)를 갖는 선 바이저(20)를 포함한다. 하기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화장 거울 커버(2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힌지 조립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힌지 조립체는 통상의 구성에 비해 제조 비용 및/또는 중량을 줄이면서,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커버(22)를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되는 특정하고 독특한 구성들을 사용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선 바이저(20)는 라이트,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다른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기에 기재되는 힌지 조립체는 차량 내부(12)의 다른 영역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버헤드 콘솔(24)은 선글라스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와 같은 저장 구획(26)을 포함한다. 특정 구성에서, 저장 구획(26)은 이 구획(26)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식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유사한 힌지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 기구는 도어가 폐쇄 위치에 접근할 때 도어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고, 도어가 개방 위치에 접근할 때, 도어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하기에 설명되는 힌지 조립체는 차량 내부(12)에 관계가 없는 다른 장치 또는 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바이어스된 회전축을 갖는 힌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 거울 커버(22)를 갖는 예시적인 선 바이저(2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 거울 커버(22)는 선 바이저(20) 내의 거울(30)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에 있다. 하기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는 개방 위치를 향하여 커버(22)를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된 특정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자동차(10)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개방 위치에 커버(22)를 유지시킨다. 승객이 커버(22)를 닫고자 할 때, 승객은 회전축(34)을 중심으로 방향(32)으로 커버(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커버(22)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될 수 있기 때문에, 착석자는 커버(22)를 닫기 위해 바이어스를 압도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방향(32)으로 회전하는 동안 특정 지점에서, 힌지 조립체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커버(22)를 바이어스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자동차(10)의 작동중에 커버(22)를 폐쇄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화장 거울 커버(22)는 커버(22)를 회전축(34)을 중심으로 방향(36)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하기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는 커버(2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개방 및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스된 회전축 및 캠/종동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바이저(20)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 거울 조립체(38)는 선 바이저(20)의 본체에 고정(예를 들면, 접합, 점착 연결, 볼트 조임 등)될 수 있는 프레임(40)을 포함한다. 프레임(40)은 거울(30) 및 커버(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42)는 프레임(40)에 대해 커버(2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프레임(40)에 커버(2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기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42)는 또한 커버(22)가 폐쇄 위치에 접근할 때 폐쇄 위치를 향하여 커버(22)를 바이어스 시키고, 커버(22)가 개방 위치에 접근할 때 커버(22)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힌지 조립체(42)는 선 바이저(20)에 가해진 진동 및/또는 다른 힘 및 모멘트에도 불구하고, 자동차(10)의 작동중에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 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42)는 2개의 리세스(46)를 포함하는 화장대 커버 지지부(44)를 포함한다. 힌지 조립체(42)는 또한 커버 지지부(44)의 홈(5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회전축(48)을 포함한다. 또한, 힌지 조립체(42)는 화장대 커버(22)에 강제 결합되는(rigidly coupled) 한 쌍의 캠(52)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축(48)은 캠(52) 내의 개구를 통과하며, 그에 따라 커버 지지부(44)에 커버(22)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조립중에, 캠(52) 내의 개구는 커버 지지부(44)의 홈(50)과 정렬될 수 있다. 축(48)은 그 후 프레임(40)에 커버(22)를 장착하도록 개구 및 홈(50)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48)은 리세스(46) 내에서 캠(52)에 대한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 또한, 하기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축(48)은 커버 지지부(44) 내의 종동부를 향하여 캠(52)을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캠(52)은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를 향해 커버(22)의 회전을 야기하도록 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축 바이어스(axle bias)는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에 커버(22)를 유지시키고/유지시키거나 개방 및/또는 폐쇄 작동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2개의 캠(52) 및 리세스(46)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캠 및 리세스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특정 구성에서, 1, 2, 3, 4, 5, 6 또는 그보다 많은 캠(52) 및 리세스(46)는 프레임이 대한 커버의 회전을 도우면서, 커버(22)를 프레임(40)에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48)은 커버(22)의 캠(52) 및 커버 지지부(44) 내의 홈(50)을 통하여 연장함으로써, 커버(22)를 프레임(40)에 결합시킨다. 또한, 커버 지지부(44)는 리세스(46)의 기저부에 종동부 조립체(54)를 포함한다. 종동부 조립체(54)는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를 형성하도록, 캠(52)과 맞물리는 종동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커버 지지부(44)는 축 캐리어(58)를 갖는 단부 캡(56)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축 캐리어(58)는 축(48)의 수평 운동(예를 들면, 조립체(38)의 상단으로부터 바닥으로 연장하는 축을 따르는 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단부 캡(56)은 축(48)의 종방향 운동(예를 들면, 회전축(34)을 따르는 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커버 지지부(44)의 중심부(62) 내의 축 캐리어(60)는, 축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예를 들면, 조립체(38)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축을 따르는 운동)할 수 있는 동안, 축(48)의 삽입을 돕는다.
본 발명이 구성에서, 축(48)은 커버(2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피봇(pivot)의 역할을 한다. 하기에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동부와의 접촉을 기초로 캠(52)의 수직 위치가 변화할 수 있도록, 홈(50) 내에서 제한된 양의 축(48)의 수직 운동을 돕는다. 또한, 단부 캡(56)의 형상으로 인해, 축(48)은 곡선형 프로파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곡선형 프로파일은 종동부 조립체(54)의 종동부를 향하여 캠(52)을 바이어스시키는 축(48) 내의 굽힘 모멘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종동부와 캠(52) 사이의 접촉은 회전 바이어스를 야기하며, 회전 바이어스는 커버(22)를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후방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48)은 축 캐리어(60)가 명확히 보이도록 홈(50)으로부터 제거되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캠(52) 내의 개구는 축(48)을 삽입하기 전에 홈(50)과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축(48)은 단부 캡(56)의 형상에 의해 구부러지기 전에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축(48)은 종동부와 캠(52) 사이의 희망 접촉력을 형성하도록 사전에 구부러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캠(52)은 종동부 조립체(54)의 종동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면(6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지지면(64)은 제 1 함몰 영역(66), 제 2 함몰 영역(68) 및 바이어싱 영역(70)을 포함한다. 하기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 1 함몰 영역(68)은 종동부를 포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버(22)를 폐쇄 위치에 유지한다. 커버를 폐쇄 위치로부터 회전시키도록 승객이 커버(22)에 충분한 모멘트를 가할 때, 종동부는 바이어싱 영역(70)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바이어싱 영역(70)은 커버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부분 및 커버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제 1 함몰 영역(66)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반면, 제 2 부분은 제 2 함몰 영역(68)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버(22)가 폐쇄 위치에 더 가까이 배향될 때, 커버(22)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회전식으로 바이어스된다. 반대로, 커버(22)가 개방 위치에 더 가까이 배향될 때, 커버(22)는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식으로 바이어스된다. 커버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제 2 함몰 영역(68)은 종동부를 포착하고, 커버(22)를 개방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버는 작동중에 자동차(10)에 의해 겪는 운동에도 불구하고, 희망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싱 영역(70)은 커버(22)가 중간 위치 내에 남아 있는 가능성을 줄이도록,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커버(22)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8-8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횡단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48)은 프레임(40)에 대한 화장대 커버(22)의 회전을 돕도록, 홈(50) 내에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축(48)의 수평 운동은 축 캐리어(60)와 축(48) 사이의 접촉에 의해 차단된다. 특히, 축 캐리어(60)는 축(48)의 대향하는 수평면들 상에 배치된 제 1 면(72) 및 제 2 면(74)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축(48)과 제 1 면(72) 사이의 접촉은 방향(76)을 따르는 축(48)의 수평 운동을 차단하고, 축(48)과 제 2 면(74) 사이의 접촉은 방향(78)을 따르는 축(48)의 수평 운동을 차단한다. 그러나 하기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축 캐리어(60)는 방향(76, 78)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수직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도 6의 9-9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부(80)는 종동부 조립체(54)에 결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동부(80)는 커버(22)를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도록, 캠(52)의 지지면(64)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홈(50)은 리세스(46)로 연장함으로써, 캠(52)에 인접한 축 지지부(82)를 형성한다. 축 지지부(82)는 방향(84, 86)들로 축(48)의 수직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축(48)은 캠(52)에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부(82)는 수직 방향으로 축(48)의 운동을 돕는다. 예를 들면, 축(48)은 캠(52)을 종동부(80)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키기 때문에, 캠(52)의 회전은 지지면(64)의 프로파일을 기초로, 방향(84 및/또는 86)으로 캠(52)을 이동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캠(52)은 커버(22)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고, 커버(22)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거나, 종동부(80)와 접촉하는 지지면(64)의 영역을 기초로 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축(48)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어싱 힘(biasing force)은 지지면과 종동부(80) 사이에 충분한 접촉력을 제공하여, 회전 바이어스를 야기하고/야기하거나 커버를 희망 위치에 유지한다.
도 10은 도 6의 10-10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48)이 캠(52) 내의 개구(88)를 통과함으로써, 캠(52)이 종동부(80)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84)으로 종동부(80)를 향하여 캠(52)을 바이어스시킨다.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종동부(80)는 제 1 함몰 영역(66) 내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종동부(80)에 대한 캠(52)의 회전은 종동부(80)와 제 1 함몰 영역(66)의 표면 사이의 접촉에 의해 차단된다. 커버(22)를 개방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기 위해, 착석자는 방향(36)으로 캠(52)을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모멘트를 형성하도록 커버(22)에 힘을 가할 수 있다. 특히, 축(48)을 중심으로 한 캠(52)의 회전은 제 1 함몰 영역(66)의 표면과 종동부(80)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방향(84)에서의 축 바이어스에 대해 수직 방향(86)으로 캠(52)을 병진이동시킬 것이다. 캠(52)이 방향(86)으로 이동하고 방향(36)으로 회전할 때, 종동부(80)는 지지면(64)의 바이어싱 영역(70)으로 이동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바이어싱 영역(70)은 제 1 함몰 영역(66)에 인접한 제 1 부분 및 제 2 함몰 영역(68)에 인접한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종동부(80)가 제 1 부분과 접촉하는 동안, 축(48)에 의해 방향(84)으로 야기된 힘은 캠(52)을 방향(32)으로 회전시키도록 제 1 부분에 의해 재지향됨으로써, 커버(22)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킬 것이다. 반대로, 종동부(80)가 제 1 부분과 접촉하는 동안, 축(48)에 의해 방향(84)으로 야기된 힘은 캠(52)을 방향(36)으로 회전시키도록 제 2 부분에 의해 재지향됨으로써, 커버(22)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킬 것이다. 커버(22)가 폐쇄 위치로 회전되면, 종동부(80)는 제 2 함몰 영역(68)과 맞물림으로써, 커버(22)를 폐쇄 위치에 유지시킬 것이다.
도 11은 도 6의 11-11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48)은 프레임(40)에 대한 화장대 커버(22)의 회전을 돕도록, 홈(50) 내에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축(48)의 수평 운동은 축 캐리어(58)와 축(48) 사이의 접촉에 의해 차단된다. 특히, 축 캐리어(58)는 축(48)의 대향하는 수평면들 상에 배치된 제 1 면(90) 및 제 2 면(92)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축(48)과 제 1 면(90) 사이의 접촉은 방향(76)을 따르는 축(48)의 수평 운동을 차단하고, 축(48)과 제 2 면(92) 사이의 접촉은 방향(78)을 따르는 축(48)의 수평 운동을 차단한다. 또한, 축(48)의 종방향 운동은 단부 캡(56)의 내면과 축(48)의 단부 사이의 접촉에 의해 차단된다. 하기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단부 캡(56)과 축(48) 사이의 접촉이 축(48)을 수직 방향(84)으로 아래로 구부림으로써, 캠(52) 상에 하향 힘을 가하고 축 바이어스를 형성한다.
도 12는 도 6의 12-12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48)은 캠(52) 및 커버 지지부(44)를 통하여 연장함으로써, 프레임(40)에 대해 커버(22)를 고정한다. 또한, 커버 지지부(44)의 주위 구조물과 캠(52) 사이의 접촉은 축(48)의 종축을 따르는 커버(22)의 운동을 차단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커버(22)는 캠(52)의 지지면(64)이 종동부(80)를 따라 회전할 때, 수직 방향(84 및/또는 86)으로 병진이동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단부 캡(56)의 형상은 축(48)을 단부에서 방향(84)으로 아래로 구부러지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캡(56)과 축(48)의 단부(94) 사이의 접촉은 단부(94)를 아래로 압박하며, 그에 따라 축(48)의 부분(96)을 캠(52)과 접촉하여 아래 방향(84)으로 바이어싱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축 부분(96)으로부터의 하향 힘은 종동부를 향해 캠(52)을 가하며, 그에 따라 커버(22)를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에 유지하고 회전 바이어스를 형성하는 힘을 제공한다. 하기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캠(52)이 회전할 때, 축은 방향(86)으로 상부로 구동될 수 있다. 축은 양 단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구부러진 축(48)의 하향 바이어스에 의해 상향 운동이 방지된다. 또한, 축(48)이 구부러질 때, 중심부(98)는 상부로 바이어스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캠(52) 및 종동부 지지부(54)는 하향 바이어스를 활용하도록, 축(48)의 단부(94)를 향하여 위치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향 바이어스의 크기는 축(48) 및/또는 커버 지지부(44)의 특성을 조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48)의 두께는 굽힘에 대한 저항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다 두꺼운 축(48)이 더 얇은 축보다 더 큰 하향력을 가할 것이다. 또한, 다른 요인들 중에서 길이, 면적 관성 모멘트(area moment of inertial), 재료 특성, 마모는 축(48)에 의해 캠(52)에 가해진 힘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캠(52)의 위치는 축에 의해 가해진 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부(94)에 더 가까이 위치된 캠(52)은 중심(98)에 더 가까이 위치된 캠보다 더 큰 하향력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단부 캡(56)의 형상은 축 력(axle force)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하향력은 축(48)에 인접한 단부 캡(56)의 경사에 따를 수 있다. 축(48)의 단부(9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부 캡(56)에 고정되지 않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는 축(48)의 단부(94)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단부 캡(56)을 사용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축(48)의 굽힘 프로파일(bending profile)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힌지 조립체(42)의 토크 프로파일(torque profile)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3은 화장 거울 커버(22)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0의 13-13선에 따른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횡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함몰 영역(66)은 폐쇄 위치에 커버(22)를 유지하기 위해 종동부(80)를 포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부(80)는 제 1 접촉 표면(100), 상단부(102) 및 제 2 접촉 표면(104)을 포함한다. 그에 대응하여, 제 1 함몰 영역(66)은 제 1 접촉 표면(106), 상단부(108) 및 제 2 접촉 표면(100)을 포함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종동부(80)의 제 1 접촉 표면(100)과 제 1 함몰 영역(66)의 제 1 접촉 표면(106) 사이의 접촉은 방향(36)으로 커버(22)의 회전을 차단한다. 유사하게, 종동부(80)의 제 2 접촉 표면(104)과 제 1 함몰 영역(66)의 제 2 접촉 표면(110) 사이의 접촉은 방향(32)으로 커버(22)의 운동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 화장대 커버 조립체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면, 방향(32)으로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특정 구조물을 포함한다.
종동부(80)가 제 1 함몰 영역(66)에 의해 포착되는 동안, 커버(22)는 안정된 위치에 있다. 즉, 방향(32 또는 36)으로의 커버(22)의 임의의 작은 회전은 커버(22)가 폐쇄 위치로 되돌아가게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커버(22)는 자동차(10)의 작동중에 선 바이저(20)에 가해질 수 있는 진동 및 다른 힘 및 모멘트에도 불구하고 도시된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커버(22)를 열기 위해, 승객은 커버(22)에 캠(52)을 방향(36)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특히, 캠(52)이 회전할 때, 종동부(80)의 제 1 접촉 표면(100)과 제 1 함몰 영역(66)의 제 1 접촉 표면(106) 사이의 접촉은 축(48)의 하향 바이어스에 대해 수직 방향(86)으로 위로 캠(52)을 구동시킨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버(22)를 폐쇄 위치로부터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힘은 축(48)의 하향력, 종동부(80)의 제 1 접촉 표면(100)의 형상 및/또는 제 1 함몰 영역(66)의 제 1 접촉 표면(106)의 형상에 좌우될 수 있다.
도 14는 화장 거울 커버(22)가 부분적으로 폐쇄된 위치에 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폐쇄된 위치에 있는 동안, 축(48)은 도 1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축 지지부(82) 내에서 상부로 병진이동하였다. 특히, 축은 수직 방향(86)을 따라 거리(A)만큼 이동됨으로써, 축(48)의 하향 바이어스에 대해 작동한다. 승객이 개방 위치를 향해 커버(22)를 회전시킬 때, 종동부(80)는 제 1 함몰 영역(66)을 분리하고 바이어싱 영역(70)과 접촉할 것이다. 그 결과, 종동부(80)의 상단부(102)는 바이어싱 영역(70)의 제 1 부분(112)과 접촉할 것이다. 제 1 부분(112)의 형상으로 인해, 하향 방향(84)으로 축(48)에 가해진 힘은 방향(32)으로, 즉 폐쇄 위치를 향해 캠(52)을 회전시키도록 재지향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도시된 배향에서, 커버(22)는 불안정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커버(22)를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승객이 커버(22)를 놓으면, 커버는 폐쇄 위치를 향해 다시 이동할 것이다. 또한, 승객이 커버(22)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승객이 커버(22)를 놓을 경우, 커버(22)는 폐쇄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이동할 것이다. 축(48)의 하향력에 의해 야기된 방향(32)으로의 회전 바이어스는 바이어싱 영역(70)의 제 1 부분(112)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그러므로, 회전 바이어스는 제 1 부분(112)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도 15는 화장 거울 커버(22)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장 거울 조립체(38)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축(48)은 도 1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86)을 따라 거리(B)에 위치된다. 착석자가 개방 위치를 향해 커버(22)를 계속해서 회전시킬 때, 종동부(80)의 상단부(102)는 제 2 부분(114)과 접촉하도록 바이어싱 영역(70)의 제 1 부분(112)과의 접촉부 사이에서 이동할 것이다. 제 2 부분(114)의 형상으로 인해, 아래 방향(84)으로 축(48)에 의해 가해진 힘은 방향(36)으로, 즉 개방 위치를 향하여 캠(52)을 회전시키도록 재지향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도시된 배향에서, 커버(22)는 불안정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커버(22)를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승객이 커버(22)를 놓으면, 커버는 개방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이동할 것이다. 또한, 승객이 커버(22)를 폐쇄하는 과정에 있고 도시된 배향으로 커버(22)를 놓을 경우, 커버(22)는 다시 개방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축(48)의 하향력에 의해 야기된 방향(36)으로의 회전 바이어스는 바이어싱 영역(70)의 제 2 부분(114)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그러므로, 회전 바이어스는 제 2 부분(114)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바이어싱 영역(70)은 종동부(80)에 의해 접촉될 때 실질적으로 회전 바이어스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제 1 부분(112)과 제 2 부분(114) 사이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화장 거울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장 거울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 2 함몰 영역(68)은 개방 위치에 커버(22)를 유지시키기 위해, 종동부(80)를 포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함몰 영역(68)은 제 1 접촉 표면(116), 상단부(118) 및 제 2 접촉 표면(120)을 포함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종동부(80)의 제 1 접촉 표면(100)과 제 2 함몰 영역(68)의 제 1 접촉 표면(116) 사이의 접촉은 방향(32)으로의 커버(22)의 회전을 차단한다. 유사하게, 종동부(80)의 제 2 접촉 표면(104)과 제 2 함몰 영역(68)의 제 2 접촉 표면(120) 사이의 접촉은 방향(36)으로의 커버(22)의 운동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 화장대 커버 조립체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방향(36)으로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특정 구조물을 포함한다.
종동부(80)가 제 2 함몰 영역(68)에 의해 포착되는 동안, 커버(22)는 안정된 위치에 있다. 즉, 방향(32 또는 36)으로의 커버(22)의 임의의 작은 회전은 커버(22)가 개방 위치로 되돌아가게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커버(22)는 자동차(10)의 작동중에 선 바이저(20)에 가해질 수 있는 진동 및 다른 힘 및 모멘트에도 불구하고 도시된 개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커버(22)를 닫기 위해, 승객은 커버(22)에 캠(52)을 방향(32)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특히, 캠(52)이 회전할 때, 종동부(80)의 제 2 접촉 표면(104)과 제 2 함몰 영역(68)의 제 2 접촉 표면(120) 사이의 접촉은 축(48)의 하향 바이어스에 대해 수직 방향(86)으로 위로 캠(52)을 구동시킨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버(22)를 개방 위치로부터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힘은 축(48)의 하향력, 종동부(80)의 제 2 접촉 표면(104)의 형상 및/또는 제 2 함몰 영역(68)의 제 2 접촉 표면(120)의 형상에 좌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2개의 함몰 영역(66, 68)을 포함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는 그보다 많거나 적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는 희망 함몰 위치의 개수에 따라 0, 1, 2, 3, 4, 5, 6 또는 그보다 많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동부(80) 내의 표면 및/또는 지지면(64)의 형상은 힌지 조립체(42)의 토크 프로파일을 조정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동부 표면의 형상은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로부터 커버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변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함몰 영역 표면의 형상은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에 커버(22)를 유지하는 힘을 변화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싱 영역(70)의 형상은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를 향해 회전 바이어스를 조정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구성에서, 바이어싱 영역은 커버(22)에 회전 바이어스를 실질적으로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캠(52)은 프레임(40)에 결합되는 반면, 종동부(80) 및 축(48)은 커버(22)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조립체(42)는 바이저(20)에 관하여 전술되었지만, 힌지 조립체(42)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2개의 표면을 갖는 다른 기계 및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성 및 실시예만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상술된 요지의 신규한 개념 및 이점으로부터 현저히 벗어남 없이, 당업자는 다수의 변형예 및 변화 (예를 들면, 크기, 치수, 구조, 형태의 변화 및 다양한 요소들의 비율, 파라미터(예를 들면, 온도, 압력 등) 값, 장착 배치, 재료의 사용, 색상, 배향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임의의 과정 또는 방법 단계들의 차례 또는 순서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변화되거나 재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 속하는 바와 같은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화를 포함하기 위한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간결한 기재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 실행예의 모든 특징들이 기재되지 않을 수 있다(즉,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현재의 예측되는 최적 방식에 관계없는 것 또는 청구된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데 무관한 것). 임의의 이러한 실제 실행예의 개발시, 임의의 공학 또는 설계 계획에서와 같이, 다수의 실행예 특정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실험 없이, 본 명세서의 이득을 갖는 당업자에게 설계, 제작 및 제조에 대한 일상적인 업무일 것이다.

Claims (20)

  1.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로서:
    종동부;
    상기 종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종동부에 대해 병진이동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종동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캠;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캠의 회전을 돕도록 상기 캠을 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캠을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종동부를 향하여 바이어스 시키도록 구성되는 축(axle)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일부는 상기 종동부와 캠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종동부와 캠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캠의 제 2 부분과 상기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하나 이상의 저지 영역(detent region)을 포함하고, 상기 저지 영역은 상기 종동부를 포착하고 상기 저지 영역과 정렬된 방위를 향하여 상기 캠을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 저지면(detent surfaces)을 갖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원주 둘레에 위치되는 복수의 저지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부분에 인접하는 제 1 저지 영역 및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부분에 인접하는 제 2 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저지 영역은 상기 종동부를 포착하고 상기 캠을 각각의 상기 저지 영역과 정렬된 방위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는 저지면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상기 축의 운동을 차단하면서, 상기 종동부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축을 병진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 지지부(axle support)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종동부 및 대응하는 복수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축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캠의 회전을 돕도록 각각의 캠을 통하여 배치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9.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로서:
    종동부;
    상기 종동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면 및 회전축 둘레에 위치되는 개구를 갖는 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캠의 회전을 돕도록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치되는 축을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캠을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종동부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면의 일부는 상기 종동부와 지지면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면의 제 1 부분과 상기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지지면의 제 2 부분과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하나 이상의 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지 영역은 상기 종동부를 포착하고 상기 저지 영역과 정렬된 방위를 향하여 상기 캠을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 저지면을 갖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부분에 인접하는 제 1 저지 영역 및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부분에 인접하는 제 2 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저지 영역은 상기 종동부를 포착하고 상기 캠을 각각의 상기 저지 영역과 정렬된 방위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는 저지면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상기 축의 운동을 차단하면서, 상기 종동부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축을 병진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캠의 회전이 상기 제 1 표면을 상기 제 2 표면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캠이 제 1 표면에 강제 결합되고, 상기 종동부가 제 2 표면에 강제 결합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5.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로서:
    종동부;
    상기 종동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지지면 및 회전축 둘레에 위치되는 개구를 갖는 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캠의 회전을 돕도록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종동부를 향하여 상기 캠을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는 축; 및
    상기 지지면과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캠을 수직 방향을 따라 병진이동시키도록, 상기 종동부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축이 병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일부는 상기 종동부와 지지면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면의 제 1 부분과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지지면의 제 2 부분과 종동부 사이의 접촉이 상기 캠을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하나 이상의 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지 영역은 상기 종동부를 포착하고 상기 저지 영역과 정렬된 방위를 향하여 상기 캠을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된 저지면을 갖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부분에 인접하는 제 1 저지 영역 및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부분에 인접하는 제 2 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저지 영역은, 상기 종동부를 포착하고 상기 캠을 각각의 상기 저지 영역과 정렬된 방위를 향하여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는 저지면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종동부 및 대응하는 복수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축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캠의 회전을 돕도록 각각의 캠의 개구를 통하여 배치되는
    차량 내부 트림 부품의 힌지 조립체.
KR1020117018495A 2009-01-09 2010-01-08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 KR101371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68009P 2009-01-09 2009-01-09
US61/143,680 2009-01-09
PCT/US2010/020535 WO2010081030A1 (en) 2009-01-09 2010-01-08 Hinge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trim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298A true KR20110110298A (ko) 2011-10-06
KR101371551B1 KR101371551B1 (ko) 2014-03-07

Family

ID=4178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495A KR101371551B1 (ko) 2009-01-09 2010-01-08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01250B2 (ko)
EP (1) EP2376302B1 (ko)
JP (1) JP5266398B2 (ko)
KR (1) KR101371551B1 (ko)
CN (1) CN102307741B (ko)
PL (1) PL2376302T3 (ko)
WO (1) WO2010081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13125A1 (pl) * 2015-07-14 2017-01-16 Vts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Zawias
DE102019119344A1 (de) * 2019-07-17 2021-01-21 Daimay France Sas Sonnenblend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2266A (en) * 1936-08-05 1938-10-04 Emil B G Lefevre Gooseneck concealed hinge
GB2177057A (en) 1985-07-04 1987-01-14 John Connor Vehicle sun visor
US4715644A (en) 1986-09-22 1987-12-29 Irvin Industries, Inc. Spring-loaded hinge assembly for vehicle accessories
FR2647733B1 (fr) 1989-06-06 1991-09-20 Rockwell Abs France Cassette a miroir pour pare-soleil, notamment dans un habitacle d'automobile
US4993772A (en) 1990-02-20 1991-02-19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Spring-loaded, dual-action hinge assembly for vehicle accessories
JPH0474118U (ko) * 1990-11-09 1992-06-29
NO914165L (no) * 1991-10-23 1993-04-26 Grorud Jernvarefab As Fremgangsmaate for lagring og montering av skrog for skap,moebler eller lignende, samt anordning for aa danne forbindelse mellom hosliggende endepartier av konstruksjonsdeler
JPH0811532A (ja) * 1994-06-28 1996-01-16 Kasai Kogyo Co Ltd バニティミラーユニット
JP3553152B2 (ja) 1994-09-29 2004-08-11 株式会社ネオックスラボ カバー付バニティミラーの開閉構造
JPH0977108A (ja) 1995-09-11 1997-03-25 Kasai Kogyo Co Ltd リッドの開閉構造
US6622345B2 (en) * 2001-05-29 2003-09-23 Hoshizaki America, Inc. Door hinge mechanism
TW524262U (en) * 2001-08-16 2003-03-11 Wen-Chi Lin Positioning hinge
US20040134033A1 (en) * 2002-07-29 2004-07-15 Aaron Raines Friction hinge assembly for a mirror of a display unit
WO2004045878A2 (en) 2002-11-20 2004-06-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vered illuminated vanity mirror assembly
WO2008067663A1 (en) * 2006-12-06 2008-06-12 Magna International Inc. Friction hinge
JP5090811B2 (ja) * 2007-07-20 2012-12-05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装置
US7788770B2 (en) * 2008-06-06 2010-09-07 Audiovox Corporation Hinge for a mobile vide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7741A (zh) 2012-01-04
JP5266398B2 (ja) 2013-08-21
KR101371551B1 (ko) 2014-03-07
JP2012514564A (ja) 2012-06-28
EP2376302A1 (en) 2011-10-19
WO2010081030A1 (en) 2010-07-15
US20120017397A1 (en) 2012-01-26
US8701250B2 (en) 2014-04-22
PL2376302T3 (pl) 2014-01-31
CN102307741B (zh) 2014-08-06
EP2376302B1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9995B1 (en) Slide-on-rod assembly for a vehicle sun visor
KR20130029094A (ko)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
US8434812B2 (en) Vehicle visor having mirror assembly
KR101371551B1 (ko) 차량 내부 트림 부품용 힌지 조립체
EP3241698B1 (en) Rotation system for a vehicle sun visor
CN101628537A (zh) 车辆可安装的遮阳板
US20130193712A1 (en) Auxiliary side window visor with see-through glare shield
US7131682B2 (en) Vehicle sun visors having mirrors
JP7098357B2 (ja) 乗物用サンバイザ装置
KR100737263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KR200145509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EP1883550B1 (en) Sun visor device
KR100503335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0494617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CN220281212U (zh) 一种车载化妆镜和车辆
KR200372828Y1 (ko) 차량용 선바이져
KR0139561Y1 (ko) 선바이저용 거울
JPH0647017U (ja) 自動車用センターバイザー
KR19980064673U (ko) 자동차의 선글래스케이스용 리드장착구조
JP2001058514A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ー装置
KR19980052746U (ko) 자동차 선바이저의 회동구조
KR19980050280A (ko) 자동차용 리어 썬바이저
JPH0733718U (ja) サンバイザの支承装置
KR20030082272A (ko) 자동차용 안경케이스
JPH0952521A (ja) 後写鏡付サンバ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