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886A - 송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886A
KR20110109886A KR1020110025269A KR20110025269A KR20110109886A KR 20110109886 A KR20110109886 A KR 20110109886A KR 1020110025269 A KR1020110025269 A KR 1020110025269A KR 20110025269 A KR20110025269 A KR 20110025269A KR 20110109886 A KR20110109886 A KR 20110109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data size
siz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찌로 나가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0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 H04N1/3332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transmission mode only, e.g.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61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r the state of the communicat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6Imag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42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transmission mode
    • H04N2201/33357Compress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85Line- or page- scan or transmission time, e.g. minimum line-scan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송신 장치는,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리사이즈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송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송신 데이터의 송신 시에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다른 촬상 장치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녹화 화소수 및 촬영된 정지 화상 데이터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한 정지 화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2845호 공보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2845호 공보
대용량의 정지 화상이 기기 간에 전송되는 경우, 기록된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전송기간이 오래 걸려, 유저의 편리성이 손상된다.
특히,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정지 화상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전송에 관여하는 2개의 기기를 서로 근접시킬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동안에는, 2개의 기기가 서로 근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근거리 통신에서는 전송 기간이 짧은 쪽이 바람직하여, 전송 기간의 단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정지 화상 또는 임의의 다른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송신 데이터의 송신 기간을 단축시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하는 제어 수단, 및 제어 수단에 의해 리사이즈된 송신 데이터를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 장치는, 상기 총 전송 데이터 크기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 세트를 리사이즈하는 목표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 수단은 리사이즈 데이터 크기가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결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리사이즈하고, 송신 수단은 결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인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와 함께 리사이즈하여 얻어진 리사이즈 데이터를,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한다.
송신 장치는,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 크기를 갖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결정 수단은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 데이터 크기를 수정하고, 판정 수단은 수정 전의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한다고 판정된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정한다.
결정 수단은 수정 전의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한다고 판정된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 세트의 수로,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라고 판정된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와 목표 데이터 크기와의 차분을 적산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를 제산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를 목표 데이터 크기에 가산함으로써, 목표 데이터 크기를 수정한다.
제어 수단은 송신 수단에 의한 송신 데이터의 송신이 개시되기 전에 리사이즈를 완료할 수 있다.
송신 장치는,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저장처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와, 리사이즈에 의해 얻어진 리사이즈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송신 수단은 링크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와 함께, 리사이즈에 의해 얻어진 리사이즈 데이터를 송신한다.
결정 수단은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 세트의 수로, 통신 대역과 상기 송신 목표 기간과의 승산에 의해 결정되는 총 전송 데이터 크기를 제산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가 되도록, 목표 데이터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송신 장치는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 크기를 갖는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 중에서, 리사이즈되지 않고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정 수단은 선택된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에 기초하여, 목표 데이터 크기를 수정하고, 제어 수단은 선택된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에 기초하여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 크기를 갖는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수정된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리사이즈한다.
송신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데이터는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정지 화상의 데이터이다.
송신 수단은 전송처의 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이 준비되어 있는 경우, 송신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고, 근거리 통신은 트랜스퍼 제트(TransferJet) 규격에 준거하고 있다.
송신 장치는, 독립한 장치, 또는 정보 처리 장치 또는 통신 장치의 송신을 행하는 블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송신 방법은,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하는 단계, 및 리사이즈된 송신 데이터를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하는 제어 수단, 및 제어 수단에 의해 리사이즈된 송신 데이터를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이 설정되고;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하며; 리사이즈된 송신 데이터를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데이터의 송신 시에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들 간에 행해지는 근거리 통신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2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실시예의 외관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 행해지는 정지 화상 전송 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전송될 화상의 선택 시의 일련의 화면들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a) 내지 (b)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8은 전송 준비중인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9의 (a) 내지 (c)는 전송이 행해지는 경우에 표시되는 일련의 화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를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를 상세히 설명하는 다른 흐름도이다.
도 12는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전송 데이터의 디렉토리 구조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 행해지는 정지 화상 전송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의 (a) 내지 (e)는 전송될 화상의 재선택 시의 일련의 화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를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모드들(이하, 실시예라고 지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제1 실시예
2. 제2 실시예
3. 변형예
<1. 제1 실시예>
우선,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기 간에 행해지는 근거리 통신의 개요]
도 1은 2대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 간에 행해지는 근거리 통신의 개요를 설명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유저의 조작에 응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피사체의 촬영 화상(이하, 정지 화상이라고도 지칭함)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후술하는 도 2의 TJ 통신부(13))를 포함하고, 이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2)도 마찬가지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 및 2) 각각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서로 통신함으로써, 저장된 정지 화상을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2)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로부터 전송된 정지 화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저장된 정지 화상을 전송할 경우, 근거리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미리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전송될 정지 화상의 목표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고, 리사이즈를 행하여 전송될 데이터(이하, 전송 데이터라고 지칭함)를 생성한다. 목표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조건들은, 통신 기간과 통신 대역, 전송될 각각의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 및 전송될 정지 화상의 매수를 포함한다. 상술한 조건에 기초하여, 전송될 각각의 정지 화상의 목표 데이터 크기가 결정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한 후, 디지털 스틸 카메라(2)와의 근거리 통신을 개시하고,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될 각각의 정지 화상의 목표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 전에, 목표 데이터 크기에 기초하여 리사이즈를 행함으로써, 전송될 각각의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 및 전송될 정지 화상의 매수에 관계없이, 고정 기간에 근거리 통신이 완료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들(1 및 2) 사이에서 행해지는 근거리 통신은, 트랜스퍼 제트(TransferJet)(이하, TJ 통신이라고 지칭함) 또는 각종 다른 통신 방법에 기초한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근거리 통신의 예로서, TJ 통신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J 통신은 후술하는 "3. 변형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의해 촬영되어 저장되는 정지 화상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2) 또는 임의의 다른 수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전송이라고 지칭한다고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단어 "전송(transfer)"은 "송신(transmission)"의 의미를 포함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 구성예]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실시예의 외관 구성예를 도시하는 전면도(front view)와 배면도이다.
도 2의 좌측부에는, 정면, 즉, 피사체를 향하는 렌즈측이 독자를 향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의 우측부에는, 배면,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유저를 향하는 패널측이 독자를 향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좌측부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정면의, 독자가 보았을 때 좌측에는, 렌즈부(11)가 제공된다. 렌즈부(11)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집광하는 렌즈,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렌즈, 조리개와 다른 광학계 및 다른 컴포넌트들(컴포넌트들 모두 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렌즈부(11)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턴온될 때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턴오프될 때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하우징 내로 수납된다. 도 2에서, 렌즈부(11)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상부의, 정면측에서 보아 좌측에는, 촬상된 화상이 기록될 때에 조작되는 셔터 버튼(12)이 제공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우측에는, TJ 통신의 리더 기능을 갖는 다른 기기와 TJ 통신을 행하기 위한 칩을 내장한 TJ 통신부(13)가 제공된다. TJ 통신부(13)는, 다른 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이 준비된 경우, 미리결정된 주파수(중심 주파수: 4.48GHz대)를 갖는 전파를 사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 우측부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배면측에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로 형성되는 표시부(14), 및 예를 들어, 표시부(14)에 표시된 메뉴 화면의 항목을 선택하는 커서를 이동시킬 때나, 선택된 항목을 확정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된다. 표시부(14)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서의 뷰 파인더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기록된 정지 화상을 재생하고,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로서 사용된다. 표시부(14)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종 키가 소프트웨어 키로서 표시부(14)에 표시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내부 구성예]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도 2에 도시된 TJ 통신부(13) 및 표시부(14) 외에, 시스템 제어부(31), 조작부(32), 카메라부(33), 카메라 제어부(34), 음성 입력부(35), A/D 변환부(36), RAM(37), 정지 화상용 인코더(38), 정지 화상용 디코더(39), 비디오 베이스 밴드 제어부(40), 동화상용 인코더(41), 동화상용 디코더(42), 기록 매체(43), 표시 제어부(44), D/A 변환부(45), 음성 출력부(46) 및 TJ 통신 제어부(47)를 더 포함한다.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렌즈부(11) 및 셔터 버튼(12)이 생략된다. 또한, 도 3은 도면의 블록들을 접속시키는 선들을 도시한다. 그 선들 중, 각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각 점선은 제어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시스템 제어부(31)는, 예를 들어, 서로 접속되어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모든 컴포넌트들을 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된다. 시스템 제어부(31)에서, CPU는, RAM을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하여, ROM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조작부(32)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각종 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31)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내장 메모리(31A)를 더 포함한다.
조작부(32)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어, 그 조작에 따른 신호를, 시스템 제어부(31)에 공급한다. 조작부(32)는, 도 2에 도시된 셔터 버튼(12)뿐만 아니라, 조작 버튼, 전원 스위치, 줌 버튼 및 다른 컴포넌트들(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한다.
카메라부(33)는, 렌즈부, 조리개 기구, 포커스 기구 및 줌 기구를 포함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촬상 소자로서 사용한다. 카메라부(33)는, 구체적으로, 카메라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의 광학계를 통해 입사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하여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수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로서의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카메라 제어부(34)에 공급한다.
카메라 제어부(34)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디지털 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 감소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하여, 처리된 신호를 시스템 제어부(31)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일 수 있는 음성 입력부(35)는, 외부의 음성을 모아, 그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것을 A/D 변환부(36)에 공급한다. A/D 변환부(36)는, 음성 입력부(35) 또는 외부 소스(Line in)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것을 시스템 제어부(31)에 공급한다.
시스템 제어부(31)는, 카메라 제어부(34)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와, A/D 변환부(36)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RAM(37)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RAM(37)은,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며, 화상이 기록될 시에는, 시스템 제어부(3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억한다.
정지 화상이 기록될 시에, 정지 화상용 인코더(38)는, RAM(37)으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에 기초하여 압축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압축 화상 데이터(압축 정지 화상 데이터)를 RAM(37)에 공급한다. 시스템 제어부(31)는, RAM(37)에 기억된 압축 화상 데이터에 부대 정보를 부가하고, 이후 그들을 JPEG 파일로서, 기록 매체(43)에 공급하여 JPEG 파일을 기록시킨다.
기록 매체(43)는, 예를 들어, 기억된 정보가 재기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착탈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또는 고정된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기록 매체(4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또는 임의의 다른 광 디스크일 수도 있다.
한편, 정지 화상 재생 시에, 시스템 제어부(31)는, 기록 매체(43)로부터 판독되어 RAM(37)에 기억된 JPEG 파일을, 압축 화상 데이터(압축 정지 화상 데이터)와 부대 정보로 분리하여, 그들을 정지 화상용 디코더(39)에 공급한다. 정지 화상용 디코더(39)는, RAM(37)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용 인코더(38)에 사용된 압축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디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디코드한다. 예를 들어, 정지 화상용 인코더(38)가 JPEG 방식에 기초하여 압축 부호화를 행한 경우, 정지 화상용 디코더(39)는, 정지 화상용 인코더(38)에 대응하고, JPEG 방식에 기초하여 디코딩을 행한다.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정지 화상 데이터)는 RAM(37)에 출력된다. 표시 제어부(44)는, 시스템 제어부(31)를 통해 RAM(37)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4)에 표시 가능한 형식의 신호로 변환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신호를 표시부(14)에 공급하여 신호를 표시시킨다.
비디오 베이스 밴드 제어부(40)는, 정지 화상용 디코더(39)에 의해 디코드되어 RAM(3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리사이즈한다. 리사이즈된 화상 데이터는, RAM(37)에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정지 화상용 인코더(38)에 의해, 예를 들어, 다시 JPEG 방식으로 압축되고, 그 화상 데이터에 부대 정보가 부가된다. 그 후, 부대 정보를 가진 화상 데이터는 RAM(37)에 다시 기입되어, 기록 매체(43)에 기록된다.
동화상 기록 시에, 동화상용 인코더(41)는, RAM(37)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미리결정된 압축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압축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압축 화상 데이터(압축 동화상 데이터)를 RAM(37)에 공급한다. (도시하지 않은) 음성용 인코더는, RAM(37)으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미리결정된 압축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압축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압축 음성 데이터를 RAM(37)에 공급한다. 시스템 제어부(31)는, 동화상용 인코더(41)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압축 화상 데이터와, 음성용 인코더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압축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판독 데이터를 미리결정된 방법을 사용하여 다중화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고, 그 데이터 스트림을 다시 RAM(37)에 기입한 후, 그것을 기록 매체(43)에 기록한다. 다중화 방식은, 예를 들어,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시스템이다.
한편, 동화상 재생 시에, 시스템 제어부(31)는 RAM(37)을 통해 기록 매체(43)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스트림을 압축 화상 데이터(압축 동화상 데이터)와 압축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고, 그들을 RAM(37)을 통해 동화상용 디코더(42) 및 음성용 디코더(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한다. 디코더들에 의해 압축 해제된 화상 데이터(동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RAM(37)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동시에, 화상 데이터가 표시 제어부(44)에 공급되고, 음성 데이터가 D/A(Digital/Analog) 변환부(45)에 공급된다.
D/A 변환부(45)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것을 음성 출력부(46) 또는 외부 기기(Line out)에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6)는, 예를 들어, 소리가 큰 스피커이며, D/A 변환부(45)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를, 표시 제어부(44)의 제어 하에 표시부(14)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와 동기시켜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31)는, TJ 통신을 통해 정지 화상을 전송하기 위해, 기록 매체(43)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예를 들어, JPEG 파일)를 RAM(37)에 판독하고, 그 후, 비디오 베이스 밴드 제어부(40)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리사이즈(resize)에 의해 얻어지는 전송 데이터를, TJ 통신 제어부(47)에 공급한다. TJ 통신 제어부(47)는, TJ 통신부(13)를 제어하여, 시스템 제어부(31)로부터 공급되는 전송 데이터를, TJ 통신의 리더(reader) 기능을 갖는 그 외의 기기에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구성된다.
시스템 제어부(31)를 형성하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ROM 또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에 미리 인스톨되거나 기억된다.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43)에 선택적으로 기록어, 패키지 미디어로서 유저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록 매체(43)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판독되어 시스템 제어부(31)를 형성하는 ROM에 기억된다. 그 후,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프로그램이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직접 다운로드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다운로드되어,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공급되어 ROM에 기억됨으로써, 프로그램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인스톨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적 구성예]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도 4에서, 통신 기간 설정부(100),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01),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103) 및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시스템 제어부(31)의 CPU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도 4에서, 리사이즈 처리부(106)는, 예를 들어, 도 3의 비디오 베이스 밴드 제어부(40)에 대응하고, 전송 폴더(105)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시스템 제어부(31)에 내장된 RAM(도시하지 않음) 또는 메모리(31A), RAM(37), 또는 기록 매체(43), 또는 임의의 다른 기억 장치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영역에 대응한다. 또한, 도 4에서는, 도 3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며,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는 부분들은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리사이즈된 정지 화상의 데이터를 리사이즈 데이터로 지칭하고, 리사이즈되지 않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오리지널 데이터라고 지칭한다.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01)는 유저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조작부(32)로부터 수신한다.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01)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전송될 정지 화상을 선택하고, 선택 결과를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에 공급한다.
또한, 조작부(32)로부터 공급되는 유저의 조작에 따른 신호는, 통신 기간 설정부(100)에도 공급된다. 통신 기간 설정부(100)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술한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기간인 통신 기간을 설정한다. 그 설정된 통신 기간은,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103)에 공급된다. 바꾸어 말하면, 통신 기간은,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목표 기간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통신 기간 설정부(100)에 의해 설정되는 통신 기간은, 반드시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미리결정된 통신 기간일 수 있다.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103)는, 통신 기간 설정부(100)에 의해 설정된 통신 기간에 기초하여, 전송처의 수신기(destination receiver)에 전송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에 공급한다. 총 전송 데이터 크기는, 설정된 통신 기간(송신 목표 기간)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통신 대역에도 기초하여 결정된다. 총 전송 데이터 크기의 결정에 대하여는 이하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01)로부터 전송될 선택 정지 화상 및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103)로부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를 수신한다.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전송될 정지 화상의 매수와 총 전송 데이터 크기로부터 목표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고, 그 목표 데이터 크기를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공급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기록 매체(43)로부터, 처리될 정지 화상(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를 취득하고,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와,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로부터 공급된 목표 데이터 크기와 비교함으로써, 리사이즈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리사이즈의 필요 여부의 판정 결과를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 및 리사이즈 처리부(106)에 공급한다.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로부터 공급되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 데이터 크기보다 작다고 판정된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를 사용하여 목표 데이터 크기를 수정하고,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공급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로부터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수신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리사이즈 필요 여부를 다시 판정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가 된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될 정지 화상(오리지널 데이터)의 링크 정보를 전송 폴더(105)에 유지시킨다. 링크 정보는, 정지 화상 데이터 그 자체가 아니라,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 링크 정보에 의해,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식별한다.
한편,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한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될 정지 화상이 리사이즈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를, 리사이즈 처리부(106)에 공급한다.
리사이즈 처리부(106)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의해 리사이즈 되어야 한다고 판정된, 처리될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 매체(43)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를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로 리사이즈한다. 정지 화상이 JPEG로 압축된 화상인 경우, 예를 들어, 그 화상을 비트맵 화상으로 임시로 변환한 이후, 다시 JPEG 방식에 기초하여 그 화상을 압축함으로써, 압축된 화상이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갖도록, 리사이즈를 행한다. 그 밖의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리사이즈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사이즈 처리부(106)는, 데이터 크기가 통신 기간(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전송될 정지 화상을 리사이즈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리사이즈 처리부(106)는, 데이터 크기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가 되도록, 취득된 정지 화상을 리사이즈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리사이즈된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가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리사이즈가 행질 수도 있다. 즉, 리사이즈된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가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리사이즈가 행해지는 경우, 설정된 통신 기간(송신 목표 기간) 이내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갖도록 리사이즈된, 처리될 정지 화상(리사이즈 데이터)은 전송 폴더(105)에 공급되어, 그곳에 유지된다.
전송 폴더(105)는, 전송처의 수신기에 전송될 전송 데이터를 유지한다.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 전송 데이터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가 리사이즈가 필요하다고 판정했기 때문에 리사이즈된, 리사이즈된 정지 화상(리사이즈 데이터)과,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가 리사이즈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했기 때문에 리사이즈되지 않은 정지 화상의 링크 정보로 구성된다.
TJ 통신 제어부(47)는,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 전송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 매체(43)로부터 취득한다. 즉, TJ 통신 제어부(47)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의해 리사이즈될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의 리사이즈 데이터와, 리사이즈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취득한다.
TJ 통신 제어부(47)는, 전송처의 수신기와의 TJ 통신이 준비된 경우, TJ 통신부(13)을 제어하여, 리사이즈 데이터와,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데이터를, 전송처의 수신기에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구성된다.
[정지 화상 전송]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의해 실행되는 정지 화상 전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흐름도에서의 처리들은, 유저의 조작에 의해 TJ 전송을 행하라는 지시가 발행된 경우에 개시된다.
단계 S11에서,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01)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전송될 정지 화상을 선택한다.
도 6의 (a) 내지 (c)는, TJ 전송을 통해 전송될 정지 화상의 선택 시의 일련의 화면들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화면들은 표시 제어부(44)의 제어 하에 표시부(14)에 표시된다. 유저가 조작부(32)를 조작함으로써, 화면들에 표시되는 각종 버튼 및 화상이 선택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화면은, 유저가, "USB 접속" 및 "TJ 전송"으로부터 정지 화상을 전송하는 방법을 선택하도록 한다. 정지 화상의 전송을 개시할 경우, 표시부(14)는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화면에 대하여 유저가 "TJ 전송"을 선택하면, 도 6의 (b)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되어, "오리지널 전송" 및 "5초 전송" 중 어느 "TJ 전송" 방법에 의해 정지 화상을 전송시킬지를 유저가 선택하도록 한다.
"오리지널 전송"은,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모드이며, 전송 시간은 걸리지만, 데이터 크기가 큰 오리지널 데이터를 전송시킨다. 한편, "5초 전송"은, 고정 기간(이 예에서는, 5초)에 임의의 데이터 크기를 갖는 정지 화상을 전송하는 전송 모드이며, 데이터 크기가 작은 리사이즈된 정지 화상이 있더라도, 고정 기간에 전송을 완료시킨다.
도 6의 (b)에 도시된 화면에서, 유저가 "5초 전송"을 선택하면, 도 6의 (c)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되어, 기록 매체(43)에 기록된 정지 화상들 중에서 전송될 정지 화상을 유저가 선택하도록 한다. 유저가 정지 화상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기록 매체(43)에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들의 썸네일 화상들 또는 정지 화상들의 일람을 표시시켜, 유저가 썸네일 화상들 또는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정지 화상을 선택한다. 정지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그 밖의 공지의 방법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의 (c)의 화면에서, 유저가, 전송될 정지 화상들 A 내지 F로부터 선택하여 OK 버튼을 누르면, 정지 화상 A 내지 F 중 선택된 하나가, 5초간의 TJ 전송을 통해 전송된다.
도 5의 흐름도로 다시 되돌아가면, 단계 S12에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을 행하고, 리사이즈 처리부(106)는 리사이즈를 행한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여,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에 대하여 요약한다.
예를 들어, 도 7 (a)에 도시된 1장의 정지 화상만이 전송되는 경우, 큰 크기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이 동일하게 큰 크기를 갖는 9장의 정지 화상은, 큰 크기의 1장의 화상이 전송되는 기간 내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오리지널 데이터는 9장의 화상에 대응하는 전송 기간에 전송될 수 있지만, 전송 기간이 불가피하게 길어지게 된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이 작은 데이터 크기를 갖는 9장(3×3장)의 정지 화상은, 전송될 정지 화상들의 개수가 9장이더라도, 도 7의 (a)에 도시된 1장의 정지 화상이 전송되는 기간 내에 전송될 수 있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도 5의 단계 S12의 처리)에서는, 미리결정된 고정 기간 내(예를 들어, 5초)에 정지 화상을 전송하기 위해, 전송될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가 작게 리사이즈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전송 데이터가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다. 미리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지고 리사이즈가 행해지지만, 그 상세에 대하여는, 도 10 및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가 완료될 때까지, 정지 화상의 리사이즈 또는 다른 처리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표시부(14)는, 표시 제어부(44)의 제어 하에, 도 8에 도시된 "전송 준비중" 또는 임의의 다른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J 통신 개시 전에,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져 리사이즈가 행해지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전송 데이터가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다.
정지 화상의 크기를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정지 화상의 높이와 폭에 기초하여,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여 리사이즈에 대하여 요약된 점에 주목한다. 실제로는, 각 정지 화상의 데이터 용량에 기초하여 리사이즈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TJ 통신을 통해 5초 내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가 270MB라고 가정하면, 10장의 27MB의 정지 화상들이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90장의 27MB의 정지 화상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정지 화상을 전송하는데 45초가 걸린다. 정지 화상을 5초 내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정지 화상이 3MB의 데이터 크기를 갖도록 정지 화상들을 리사이즈하면 좋다.
도 5의 흐름도로 다시 되돌아가면, TJ 통신 제어부(47)는, 전송처의 수신기와의 TJ 통신이 준비된 경우, 단계 S13에서, 전송처의 수신기와의 TJ 통신 접속의 확립을 개시하고, 단계 S14에서, 전송 폴더(105) 내의 전송 데이터가 TJ 통신부(13)를 통해 전송된다.
전송 폴더(105)는, 전송 데이터로서, 링크 정보와 리사이즈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TJ 통신 제어부(47)는 우선,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 매체(43)로부터 판독한 후, 오리지널 데이터를 리사이즈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
도 9의 (a) 내지 (c)는, TJ 전송이 행해질 시에 표시된 일련의 화면들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이들 화면들은, 표시 제어부(44)의 제어 하에, 표시부(14)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가 완료되면, 표시부(14)는, 도 9의 (a)에 도시된 "전송이 준비되었습니다. 카메라를 전송 상대에 근접시켜 주십시오." 또는 임의의 다른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메시지를 판독한 유저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손에 들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2) 또는 임의의 다른 전송처의 수신기에 근접시킨다. TJ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전송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면(단계 S13 및 S14의 처리), 표시부(14)는 도 9의 (b)에 도시된 "전송중" 또는 임의의 다른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5의 흐름도로 다시 되돌아 가면, 전송 데이터가 전송된 후, TJ 통신 제어부(47)는, 단계 S15에서, 접속하고 있던 수신기와의 TJ 통신을 절단한다. TJ 통신에 걸리는 기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5초의 고정 기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로부터의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1개의 수신기에 전송 데이터가 전송된 후, 단계 S16에서, 계속해서 다른 수신기와 통신을 행하여, 전송 데이터의 다른 설정을 전송할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전송 데이터가 전송된 후, 도 9의 (c)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이 메시지를 판독한 유저는, 다른 수신기에 대하여 전송을 계속할지를 판정한다. 전송을 계속할 경우, 유저는 수신기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근접시킨다. 한편, 전송을 종료할 경우, 유저는 도 9의 (c)에 도시된 화면의 취소 버튼을 누른다.
도 5의 흐름도로 다시 되돌아 가면, 계속해서 다른 수신기와의 통신이 확립된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16의 "예"), 제어는 단계 S13으로 복귀되고, 단계 S13 내지 S15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 경우,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지거나 리사이즈(단계 S12의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이미 전송 폴더(105)에 유지되고 있는 전송 데이터가, 전송처의 수신기와의 TJ 통신이 준비된 경우, 그 수신기에 전송 데이터가 전송된다.
한편, 계속해서 다른 수신기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16의 "아니오"), 단계 S17에서,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 전송 데이터가 삭제되어, 도 5에 도시된 정지 화상 전송이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정지 화상 전송을 행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의 상세]
이어서, 도 10 및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5의 단계 S12의 처리에 대응하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31에서,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103)는, 전송처의 수신기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D1)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에 공급한다. 총 전송 데이터 크기(D1)는, 예를 들어, 하기의 식 (1)로부터 결정된다.
D1= 통신 대역 × 통신 기간 …(1)
통신 대역은, TJ 통신 규격 또는 임의의 다른 미리결정된 규격에 의해 규정된 고정값, 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값이다. 예를 들어, TJ 통신에서, TJ 통신이 확립되기 전에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져 리사이즈가 행해지기 때문에, TJ 통신에서의 실효 전송 레이트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져 리사이즈가 행해질 때에는 취득될 수 없다. 이로 인해, TJ 통신의 사양에 설명된 실효 전송 레이트에 기초하여, 총 전송 데이터 크기(D1)가 결정된다. 사양에 설명된 실효 전송 레이트보다 실제 기기에서의 실효 전송 레이트가 더 높다고 보증되어 있기 때문에, 사양에 설명된 실효 전송 레이트로부터 산출된 전송 기간보다 실제 기기에서의 전송 기간이 더 길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 기간은, 통신 기간 설정부(100)에 의해 설정되는 전송 데이터의 전송 기간이다. 예를 들어, 유저가 도 6의 (b)에 도시된 화면 상의 "5초 전송"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통신 기간은 5초로 설정된다. 통신 기간(송신 목표 기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다.
따라서, 통신 대역 및/또는 통신 기간을 증가시키면, 그에 따라, 총 전송 데이터 크기가 커진다.
단계 S32에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다음 2가지 변수들; 목표 데이터 크기와, 전송될 각각의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와의 차분의 적산값(이하,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이라고 지칭함)을 결정하기 위한 변수(D2), 및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의 매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리사이즈 카운트(ResizeCount)를 초기화한다. 초기화의 결과로서, D2 및 ResizeCount는 0으로 설정된다.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단계 S33에서,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01)로부터 전송될 정지 화상의 매수(TotalCount)를 취득하고, 단계 S34에서, 정지 화상 1장당의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결정한다.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는, 하기의 식 (2)로부터 결정되고, 구체적으로, 총 전송 데이터 크기(D1)에 대한 전송될 1장의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평균 데이터 크기)이다.
TargetSize=D1/TotalCount …(2)
이와 같이 결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공급되고, 제어는 단계 S35로 진행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단계 S35에서, 처리될 정지 화상이 우선 전송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처리될 정지 화상을 초기화하고, 단계 S3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될 모든 정지 화상이 처리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36에서의 판정 결과가 모든 정지 화상이 처리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단계 S37에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기록 매체(43)에 기록된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로부터, 전송될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를 취득한다.
단계 S38에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정지 화상의 취득된 데이터 크기(OriginalSize)가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초과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38에서의 판정 결과가,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가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초과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단계 S39에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처리될 정지 화상을 리사이즈될 화상으로서 예약한다. 예약에 관한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시스템 제어부(31)에 내장된 RAM(도시하지 않음) 또는 메모리(31A), RAM(37), 또는 기록 매체(43)에 기억된다.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의 수가,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로부터 제공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1장씩 증가되기 때문에, 단계 S40에서, 리사이즈 카운트(ResizeCount)를 하나씩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 1장의 정지 화상에 대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완료된다. 계속해서, 단계 S41에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처리될 정지 화상을,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을 받은 정지 화상으로부터 다음 정지 화상으로 변경하고, 제어는 단계 S36으로 복귀된다.
모든 정지 화상이 처리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36의 "아니오"), 다음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가 취득되어, 다음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가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초과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37 및 S38).
단계 S38에서의 판정 결과가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가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는 단계 S42로 진행한다.
단계 S42에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전송 폴더(105)에, 처리될 정지 화상의 링크 정보를 유지시킨다. 즉,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은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보다 데이터 크기가 작기 때문에, 데이터 크기를 축소할 필요가 없어, 리사이즈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와,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 간의 차분값을 산출하여, 그 차분값을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에 공급한다.
단계 S43에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크기의 차분값을,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D2)에 가산한다. 즉,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D2)은 하기의 식 (3)으로부터 결정된다.
D2=D2+TargetSize-OriginalSize …(3)
계속해서, 제어는 단계 S41로 진행되고, 처리될 정지 화상은,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을 받은 정지 화상으로부터 다음 정지 화상으로 변경된다. 상술한 단계 S36 내지 S43의 처리들이 반복된다.
즉, 단계 S36 내지 S43의 처리들을 반복함으로써,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의해, 처리될 정지 화상이 순차 변경되고, 처리될 정지 화상의 리사이즈의 필요 여부가 판정되어, 리사이즈될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이 리사이즈될 화상으로서 예약되어, 리사이즈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에 대한 링크 정보가 유지된다. 또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처리될 정지 화상이 링크 정보의 형태로 유지되는 경우,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D2)을 증가시키는데, 구체적으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와, 데이터 크기가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보다 작은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와의 차분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를 순차 적산한다.
처리될 대상의 정지 화상이 순차 변경되어 리사이즈의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진다. 단계 S36에서의 판정 결과가, 유저에 의해 선택된 모든 정지 화상이 처리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는 단계 S44로 진행된다. 단계 S44에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리사이즈 카운트(ResizeCount)가 0인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ResizeCount=0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는 도 5의 단계 S12의 처리로 복귀되고, 단계 S13과 이후 단계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모든 정지 화상은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처의 수신기에 전송된다.
한편, 단계 S44에서의 판정 결과가, ResizeCount가 0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 경우, 이후 설명에서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으로 불리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완료되고, 제어는 도 11의 단계 S45로 진행된다.
단계 S45에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수정하여,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결정한다.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는 하기의 식 (4)로부터 결정된다.
TargetSize=TargetSize+D2/ResizeCount …(4)
식 (4)에서, D2는 도 10의 단계 S43의 처리에서 결정된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이며, ResizeCount는 도 10의 단계 S40의 처리에서 결정된 카운트값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서, 횡축은 처리될 각각의 정지 화상을 나타내고, 종축은 각각의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다. 즉, 도 12는, 12장의 정지 화상 A 내지 L의 예시적인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TH1은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나타내고, TH2는 TH1을 수정하여 얻어지는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나타낸다.
즉, 도 12의 목표 데이터 크기 TH1은, 도 10의 단계 S34의 처리에서 결정된 정지 화상들 A 내지 L의 평균 데이터 크기이며, 1회째의 리사이즈의 필요 여부 판정의(도 10의 단계 S38의 처리)의 판정 조건으로서 역할을 한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는, 정지 화상들 A, D, F, I, K 및 L의 데이터 크기가 목표 데이터 크기 TH1를 초과하기 때문에, 리사이즈가 필요하다라고 판정되어, 이들 정지 화상들은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들로서 예약된다. 한편, 정지 화상들 B, C, E, G, H 및 J의 데이터 크기는 목표 데이터 크기 TH1보다 작으므로, 리사이즈가 필요 없다고 판정되어, 이들 정지 화상들의 링크 정보는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회째의 리사이즈의 필요 여부 판정에서, 리사이즈 카운트값(ResizeCount)과,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D2)이 결정되고, 상술한 식 (4)와 함께 이들 값들이,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수정하는데 사용된다(단계 S45의 처리). 즉, 전송될 정지 화상들이 목표 데이터 크기 TH1보다 데이터 크기가 작은 정지 화상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결과 얻어지는 총 전송 데이터 크기의 마진이,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으로서 예약된 정지 화상에 반영된다. 그러한 목적에서, 마진에 대응하는 데이터 크기(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D2))가, 1회째의 리사이즈의 필요 여부 판정에 의해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들로서 예약된 정지 화상에 할당된다.
후술하는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에서, 예를 들어, 목표 데이터 크기 TH1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정지 화상 L이 리사이즈될 필요가 있다고 판정되는 것과는 달리,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 TH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정지 회상 L이 리사이즈될 필요가 없다고 판정된다. 그 결과, 정지 화상 L은 리사이즈되지 않고,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대한 링크 정보가 유지된다.
상술한 목적으로,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가 결정되어,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공급된다. 그 후,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를 사용하여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을 행한다.
도 11의 흐름도로 다시 되돌아가면, 도 10의 단계 S35 및 S36과 마찬가지로,단계 S46에서 처리될 화상이 초기화되고, 단계 S47에서 모든 정지 화상이 처리되었는지가 판정된다.
단계 S47에서의 판정 결과가 모든 정지 화상이 처리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단계 S48에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처리될 정지 화상이 도 10의 단계 S39에서의 처리에서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으로서 예약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S48에서의 판정 결과가, 처리될 정지 화상이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으로서 예약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더 이상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단계 S49 내지 S53의 처리는 스킵되고, 제어는 단계 S54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48에서의 판정 결과가, 처리될 정지 화상이 리사이즈될 화상으로서 예약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도 10의 단계 S37 및 S38과 마찬가지로, 단계 S49에서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가 취득되고, S50에서, 취득된 데이터 크기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예를 들어, 도 12의 TH2)를 초과하는지가 판정된다.
단계 S50에서의 판정 결과가,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초과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판정 결과를 리사이즈 처리부(106)에 공급한다. 단계 S51에서, 리사이즈 처리부(106)는,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43)로부터 처리될 정지 화상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취득하고,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를,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로 리사이즈한다.
단계 S52에서, 리사이즈 처리부(106)는,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로 리사이즈된 정지 화상의 리사이즈 데이터를, 전송 폴더(105)에 공급하고, 리사이즈 데이터를 전송 폴더에 유지시킨다.
한편, 단계 S50에서의 판정 결과가,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도 10의 단계 S42와 마찬가지로, 단계 S53에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전송 폴더(105)에, 처리될 정지 화상의 링크 정보를 유지시킨다.
단계 S52 또는 S53의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는 단계 S54로 진행된다. 단계 S54에서, 처리될 정지 화상은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을 받은 정지 화상으로부터 다음 정지 화상으로 변경된다. 제어는 단계 S47로 복귀되고, 상술한 단계 S47 내지 S54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단계 S47 내지 S54의 단계들을 반복함으로써,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의해, 처리될 정지 화상이 순차 변경되고,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에서 리사이즈될 화상으로서 예약되어 있는 정지 화상에 대한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행해진다.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에서도 리사이즈될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은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갖도록 리사이즈되어, 리사이즈 데이터의 형태로 유지되고,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에서 리사이즈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정된 정지 화상은 링크 정보의 형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정지 화상 A, D, F, I 및 K는, 수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갖도록 리사이즈되고, 그 후, 전송 폴더(105)에 유지되며, 정지 화상 B, C, E, G, H, J 및 L은, 링크 정보의 형태로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다.
도 13은 전송 폴더(105)에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전송 데이터의 디렉토리 구조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디렉토리 구조예에서는, "root", "DCIM", "TJ_TMP" 및 "101MSDCF"는 폴더들을 나타내고, "DSC00001.JPG", "DSC00002.JPG", "DSC00003.JPG", "DSC00004.JPG", "DSC00005.JPG" 등과 같은 확장자가 붙어있는 문자는, 각각 JPEG 압축형 정지 화상이 저장된 파일들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파일들 중, 통상의 실선으로 기재된 문자들의 각 세트는 파일 엔티티(entity)를 나타내고, 밑줄이 제공된 굵은 실선으로 기재된 문자들의 각 세트는, 대응하는 폴더에는 파일 엔티티가 존재하지 않지만, 파일에의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는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디렉토리 구조에서, "root"는 계층 구조의 최상위를 나타내고, "DCIM" 및 "TJ_TMP"는 "root"의 하위의 디렉토리이다. "root"의 하위의 "DCIM"의 "101MSDCF"은 "DSC00001.JPG", "DSC00002.JPG", "DSC00003.JPG", "DSC00004.JPG", "DSC00005.JPG" 등을 포함한다. "root"의 하위의 "TJ_TMP"의 "101MSDCF"는 "DSC00001.JPG", "DSC00002.JPG", "DSC00003.JPG", "DSC00004.JPG", "DSC00005.JPG" 등을 포함한다.
"DCIM"은, 기록 매체(43)에 기록된 정지 화상들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저장하는 폴더에 대응하고, 폴더에 배치되는 파일들은 모두 엔티티의 오리지널 데이터이다.
"TJ_TMP"는, 전송처의 수신기에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 전송 데이터(링크 정보 및 리사이즈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송 폴더(105)(예를 들어, 메모리(31A) 내의 영역)에 대응한다. "TJ_TMP"의 "101MSDCF"에 배치되는 파일들 중, "DSC00001.JPG", "DSC00004.JPG" 및 "DSC00005.JPG"는, 엔티티의 리사이즈 데이터이고, "DSC00002.JPG" 및 "DSC00003.JPG"는, "DCIM"의 "101MSDCF"에 배치된 오리지널 데이터와 관련된 링크 정보이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TJ_TMP"의 "101MSDCF"의 "DSC00002.JPG"는, "DCIM"의 "101MSDCF"의 "DSC00002.JPG"에 관련되고, "TJ_TMP"의 "101MSDCF"의 "DSC00003.JPG"는 "DCIM"의 "101MSDCF"의 "DSC00003.JPG"에 관련된다.
상술한 디렉토리 구조 하에서의 전송 시에는, "TJ_TMP"(전송 폴더(105)) 내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파일들이 전송되지만, 링크 정보로서 저장된 "DSC00002.JPG" 및 "DSC00003.JPG"는, 그와 관련된 엔티티 파일(오리지널 데이터)이 판독되어, 엔티티들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 폴더(105)인 "TJ_TMP"의 "101MSDCF"에는 엔티티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으므로 , 전송 시에, "DCIM"의 "101MSDCF"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TJ_TMP"의 "101MSDCF"로 카피되는 기간은 생략될 수 있다.
설명은 도 11의 흐름도로 복귀된다. 모든 정지 화상이 처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47의 "예"), 단계는 도 5의 단계 S12로 복귀되고, 단계 S13 및 이후 단계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전송 폴더(105) 내의 전송 데이터가, 전송처의 수신기와의 TJ 통신을 위해 준비된 경우, 전송 데이터는 전송처의 수신기에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서, 전송 데이터가 미리결정된 고정 기간에 전송됨에 따른 목표 데이터 크기가 결정된 후, 결정된 목표 데이터 크기보다 데이터 크기가 큰 정지 화상이 리사이즈되고, 그 후, 그 결과 얻어지는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어떠한 전송 데이터도 고정 기간 내에 전송되어, 전송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정지 화상이 기기 간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 또는 정지 화상의 매수가 증가해도, 고정 기간 내에 반드시 전송이 완료된다. 그 결과, 화상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의 유저가 대기해야하는 기간이 일정 기간보다 짧아져,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J 통신 또는 임의의 다른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정지 화상이 전송되는 경우, 전송원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1) 및 전송처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2)를 서로 어느 정도 근접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통신이 확립되는 동안 그 카메라들을 서로 근접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유저는, 통상, 디지털 스틸 카메라(1)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2)를 손에 들어, 그들을 서로 근접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5초 내지 10초 등의 고정 기간에 정지 화상의 전송을 완료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들을 손에 든 채 유저가 장시간 기다리게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에서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이, 목표 데이터 크기를 우선 수정 한 후,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을 행하여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최대로 전송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갖는 정지 화상이 전송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능적 구성예]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기능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제2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제1 실시예)와,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01)가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로 대체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전송될 정지 화상 또는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될 정지 화상을 선택한다.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는 선택 결과를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 또는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103)에 공급한다.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103)는,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로부터의 선택의 결과에 기초하여, 총 전송 데이터 크기를 변경하고, 그 결과를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로부터의 선택 결과에 따른 목표 데이터 크기를 결정(수정)한다.
도 14에서는, 도 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문자가 부여되므로, 동일한 처리들이 행해지는 부분들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정지 화상 전송]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의해 행해지는 정지 화상 전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71에서,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는, 도 5의 단계 S11과 마찬가지로, 유저 조작에 따른 전송될 정지 화상을 선택한다. 즉,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화면 천이(transition)를 따라, TJ 전송에서의 전송될 정지 화상이 선택된다.
단계 S72에서, 도 5의 단계 S12와 마찬가지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을 행하고, 리사이즈 처리부(106)는 리사이즈를 행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는, 도 10 및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표시부(14)는, 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가 행해지는 동안, 도 8에 도시된 "전송 준비중" 또는 임의의 다른 메시지를 표시한다.
단계 S73에서,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는, 유저가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을 변경하기를 원하는지를 판정한다. 즉,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단계 S72의 처리)에서 리사이즈될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은, 유저의 판단과는 관계없이, 목표 데이터 크기에 기초하여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의해 마음대로 판정되므로, 그와 같이 판정된 정지 화상은, 유저가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기를 바라고 있었던 정지 화상이 아닐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로 하여금,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에, 유저가 리사이즈 데이터 대신에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고 싶은 정지 화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73에서, 유저가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을 변경하기를 원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4에서,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을 변경한다. 단계 S74의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는 단계 S72로 복귀된다. 단계 S72에서,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이 변경된 조건 하에서, 다시,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지고, 리사이즈가 행해진다.
도 16의 (a) 내지 (e)는, 전송될 화상의 재선택 시의 일련의 화면들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의 (a) 내지 (e)에 도시된 화면들은 표시 제어부(44)의 제어 하에, 표시부(14)에 표시된다.
도 16의 (a)에 도시된 화면은,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도 15의 단계 S72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 표시된다. 도 16의 (a)에 도시된 화면에는, 썸네일 화상의 형태로 4장의 정지 화상이 표시된다. 굵은 프레임들(2111 및 2112)로 둘러싸여 있는 좌측으로부터 1번째의 정지 화상 A와, 3번째의 정지 화상 C는, 리사이즈될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들이다. 유저가, 예를 들어, 굵은 프레임(2112)로 둘러싸인 정지 화상 C를, 리사이즈 데이터 대신에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고 싶을 경우, 유저는, 정지 화상 C를, 유저가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고 싶은 정지 화상으로서 특정한다(도 15의 단계 S73 및 S74의 처리). 그 후,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지고, 리사이즈가 행해지며(도 15의 단계 S72의 처리), 표시부(14)는, 도 16의 (b)에 도시된 "전송 준비중" 또는 임의의 다른 메시지를 표시한다.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가 완료되면, 표시부(14)는 도 16의 (c)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한다. 도 16의 (c)에 도시된 화면에는,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 완료 시에 표시되는 화면(도 16의 (a)에 도시된 화면)과 마찬가지로, 4장의 정지 화상이 표시된다. 좌측으로부터 1번째의 정지 화상 A와 4번째의 정지 화상 D는 굵은 프레임(2111 및 2112)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좌측으로부터 3번째의 정지 화상 C는 굵은 프레임(212)에 둘러싸여 있다. 즉, 굵은 프레임(212)에 둘러싸인 정지 화상 C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리사이즈 데이터 대신에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을 의미한다. 한편, 새롭게 굵은 프레임(2112)에 의해 둘러싸인 정지 화상 D는, 유저가 정지 화상 C를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리사이즈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을 의미한다.
도 16의 (c)에 도시된 화면에서는, 리사이즈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이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반대로,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은 리사이즈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5의 흐름도로 다시 되돌아가, 단계 S73에서, 유저가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을 변경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는 단계 S75로 진행된다.
단계 S75 내지 S79에서, 도 5의 단계 S13 내지 S17과 마찬가지로, TJ 통신 제어부(47)가 전송처의 수신기와의 TJ 통신이 준비된 경우, 전송처의 수신기에 의해 TJ 통신이 확립되고,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데이터와 리사이즈 데이터가 전송 데이터로서 전송된다. TJ 통신이 확립되고, 전송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면(도 15의 단계 S75 및 S76의 처리), 표시부(14)는, 도 16의 (d)에 도시된 "전송중" 또는 임의의 다른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도 15의 단계 S78에서, 다른 수신기에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지의 여부의 판정에서는, 도 5의 단계 S16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도 16의 (e)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도 14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 화상 전송을 행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의 상세]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5의 단계 S72에 대응하는, 제2 실시예에서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흐름도는,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의 선택(도 15의 단계 S74의 처리) 후의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를 도시한다.
단계 S91에서,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103)는,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151)로부터의 선택의 결과에 기초하여, 총 전송 데이터 크기(D1)를 변경하고, 그 결과를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에 공급한다. 총 전송 데이터 크기(D1)는 하기의 식 (5)로부터 결정된다.
D1= 통신 대역 × 통신 기간 -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특정된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 …(5)
식 (5)에서,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특정된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는, 상술한 도 15의 단계 S74의 처리에서 선택된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이다. 즉, 유저에 의해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특정된 정지 화상을 제외하고,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진다.
단계 S92에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도 10의 단계 S32와 마찬가지로, 초기값 D2 및 ResizeCount 값들을 설정한다.
단계 S93에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특정된 정지 화상을 고려한 전송될 정지 화상의 매수(TotalCount)를, 하기의 식 (6)으로부터 결정한다.
전송될 정지 화상의 매수(TotalCount)= 전송될 정지 화상의 매수(TotalCount) -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특정된 정지 화상의 매수 …(6)
단계 S94에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도 10의 단계 S34와 마찬가지로, 식 (2)를 연산함으로써, 정지 화상 1장당의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를 결정하여 수정한다.
즉,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는, TotalCount와, 오리지널 데이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특정된 정지 화상의 매수의 차분에 의해, 즉, 식 (6)에 의해 얻어진 정지 화상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D1)에 대한 전송될 1장의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이다.
도 17의 단계 S95 내지 S105에서는, 도 10의 단계 S35 내지 S44와 마찬가지로,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지지만, 도 17의 흐름도에는, 단계 S98의 처리가 추가되어 있다. 즉,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단계 S98에서, 처리될 정지 화상을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라는 지시가 발행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처리될 정지 화상을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라는 지시가 발행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98의 "아니오"), 제어는 단계 S99로 진행되고, 단계 S99 내지 S104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단계 S99 내지 S104에서는, 도 10의 단계 S38 내지S43과 마찬가지로,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에 의해, 처리될 정지 화상이 순차 변경되고, 처리될 정지 화상의 리사이즈의 필요 여부가 판정되어, 리사이즈될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이 리사이즈될 화상으로서 예약되어(단계 S100의 처리), 리사이즈되지 않을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에 대한 링크 정보가 유지된다(단계 S104의 처리). 또한,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102)는, 처리될 정지 화상이 링크 정보의 형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D2)을 증가시키고, 구체적으로,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보다 데이터 크기가 작은 정지 화상의 데이터 크기(OriginalSize)와, 목표 데이터 크기(TargetSize)와의 차분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크기를 순차 적산한다(단계 S103의 처리).
한편, 처리될 정지 화상을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라는 지시가 발행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98의 "예"), 제어는 단계 S104로 진행된다.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104)는, 전송 폴더(105)에,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특정된, 처리될 정지 화상에 대한 링크 정보를 유지시킨다. 즉,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특정된 정지 화상은 리사이즈되지 않고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므로, 정지 화상의 링크 정보는 강제적으로 전송 폴더(105)에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지고, 모든 정지 화상이 처리된 후에, 제어는 단계 S105로 진행된다. 단계 S105는, 도 10의 단계 S44에 대응하고, 단계 S105 이후의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44 이후의 처리(도 11의 흐름도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즉,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에서, 1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에서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 차분 적산값을 사용하여 목표 데이터 크기를 더 수정한 후에, 2회째의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이 이루어져, 리사이즈될 것으로 판정된 정지 화상이 리사이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서는, 항상 고정 기간에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어, 화상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유저가 대기해야하는 기간이 일정 기간보다 더 짧게 될 뿐만 아니라, 유저가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기를 원하는 정지 화상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유저의 마음에 드는 정지 화상이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정지 화상이 고정밀한 화상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3. 변형예>
상기 설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참고하여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게임 콘솔 및 촬영 수단을 포함하는 기기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및 데이터를 전송처의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는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전송처의 기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2)에 한정되지 않고, 정지 화상이 전송되는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은 정지 화상을 참고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동화상 및 음성 데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동화상에 적용되는 경우, 정지 화상의 경우와 같이 화상 크기가 변경될 뿐만 아니라, 코덱 형식도 변환될 수 있고, 화상 크기가 유지되 채로, 압축률이 증가되어 부호량(the amount of codes)이 감소될 수도 있다.
또한, 유저가 전송될 정지 화상을 선택하는 경우를 참고하여 상기 설명이 이루어져 있다. 전송될 정지 화상은 임의로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기록 매체(43)에 기록된 모든 정지 화상이 전송될 화상일 수 있고, 동일자 스템프가 찍힌 정지 화상이 전송될 화상일 수 있다. 또한, 리사이즈될 정지 화상은, 예를 들어, 정지 화상에 부가된 Exif 정보 또는 메타데이터, 또는 정지 화상에 대하여 미리결정된 화상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 얻어지는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c), 도 8, 도 9의 (a) 내지 (c) 및 도 16의 (a) 내지 (e)에 도시된 화면들은, 정지 화상의 전송시의 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화면들의 레이아웃 및 종횡비는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들은 다음 정보: 전송될 정지 화상들에 대하여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 및 리사이즈를 행하지 않고, 모든 정지 화상이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에 전송에 몇초 걸릴 것인지, 또는 5초 등의 고정 기간에 정지 화상이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몇매가 전송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기기 간의 근거리 통신의 일례로서, TJ 통신을 참고하여 상기 설명이 이루어져 있다. 다른 통신 방법들도 물론 채용 가능하다.
TJ 통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J 통신은, 최대 처리량 560Mbps 또는 실효 처리량으로 375Mbps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TJ 통신에서, 최대 조작가능한 거리는 몇 센티이고, 접속 형태(network topology)는 항상 1대1(point-to-point)(P-P로 축약)일 수 있다. 상술한 기기 간의 거리와 접속 형태는 통신 시스템을 매우 간단히 만든다. 기기 간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TJ 통신은, -70dBm/MHz 이하의 매우 작은 송신 전력으로 근거리 무선 신호가 조작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P-P의 접속 형태가 채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설정 및 관리가 대폭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은 편광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2개의 기기가 정밀하게 얼라인되지 않은 경우에도 확실히 접속이 확립될 수 있다. TJ 통신은 4.48GHz를 중심으로, 560MHz의 대역 폭을 사용한다. 상술한 스펙트럼 및 매우 낮은 전송 전력은, 일본, 유럽, 미국 및 그 밖에 통신 규제가 있는 나라에서도 TJ 통신에 있어 인가를 불필요하게 만든다. 에러의 검출/수정 및 패킷 인식/재전송을 포함하는 견고한(robust) 프로토콜에 의한 것도 TJ 통신의 특징이다. 상술한 모든 특성들은 통신 시스템의 복잡성 및 그 내부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특성들에 부가하여, 저 송신 전력과 P-P의 토폴러지가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TJ 통신을 지원하는 기기는, 기기 자신의 통신가능 범위에 들어왔을 때에만 다른 기기들을 감지한다. 그로 인해, 다른 기기가 감지된 때에만 송신이 일어나므로,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고, 이것도 터치 모델의 또 다른 장점이다.
TJ 통신에서는, 상술한 원칙들을 실행시키기 위해, 3개의 계층, 즉, PCL(Protocol Conversion Layer), CNL(Connection Layer) 및 PHY(Physical Layer)가 정의되어 있다. 물리층(PHY)은 실제의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이 층은, 디지털 정보를, 트랜스퍼 제트 커플러(TransferJet coupler)와의 통신에 적합한 RF 신호로 변환한다. 접속층(CNL)은 접속과 데이터 배신을 관리한다. 접속 관리에서, CNL은 통신 상대인 TJ 통신을 지원하는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 및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배신에서, CNL은 데이터의 페이로드(payload)를 전송하는 패킷들을 제공하고, 패킷들이 상대방의 디바이스에 성공적으로 배신된 것을 확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기입된 단계들은, 기입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들뿐만 아니라,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병렬적 또는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원은 2010년 3월 30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0-079181호에 기재된 것과 관련된 요지를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 디지털 스틸 카메라
13: TJ 통신부
14: 표시부
31: 시스템 제어부
31A: 메모리
32: 조작부
33: 카메라부
34: 카메라 제어부
37: RAM
40: 비디오 베이스 밴드 제어부
43: 기록 매체
44: 표시 제어부
47: TJ 통신 제어부
100: 통신 기간 설정부
101, 151: 전송 대상 정지 화상 선택부
102: 목표 데이터 크기 결정부
103: 총 전송 데이터 크기 결정부
104: 리사이즈 필요 여부 판정부
105: 전송 폴더
106: 리사이즈 처리부

Claims (13)

  1. 송신 장치로서,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상기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상기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resize)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리사이즈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 전송 데이터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데이터 세트를 리사이즈하는 목표 데이터 크기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리사이즈 데이터 크기가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결정된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리사이즈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결정된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인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와 함께 리사이즈하여 얻어진 상기 리사이즈 데이터를, 상기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 크기를 갖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수정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수정 전의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한다고 판정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수정된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는, 송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수정 전의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한다고 판정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 세트의 수로,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라고 판정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와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와의 차분을 적산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를 제산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를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에 가산함으로써,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수정하는,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리사이즈를 완료하는, 송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저장처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와, 상기 리사이즈에 의해 얻어진 리사이즈 데이터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링크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와 함께, 상기 리사이즈에 의해 얻어진 상기 리사이즈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송신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 세트의 수로, 통신 대역과 상기 송신 목표 기간과의 승산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총 전송 데이터 크기를 제산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크기가 되도록,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설정하는, 송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 크기를 갖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 중에서, 리사이즈되지 않고 오리지널 데이터의 형태로 송신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선택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수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선택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에 기초하여 수정된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데이터 크기를 갖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수정된 상기 목표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리사이즈하는, 송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정지 화상의 데이터인, 송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전송처의 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이 준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트랜스퍼 제트(TransferJet) 규격에 준거하는, 송신 장치.
  11.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송신 방법으로서,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상기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하는 단계; 및
    리사이즈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12.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
    상기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상기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리사이즈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3. 송신 장치로서,
    송신 데이터가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되는 송신 목표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부;
    상기 송신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송신 목표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총 전송 데이터 크기 이하로 되도록, 상기 송신 데이터를 리사이즈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리사이즈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전송처의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KR1020110025269A 2010-03-30 2011-03-22 송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10109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9181 2010-03-30
JP2010079181A JP5515968B2 (ja) 2010-03-30 2010-03-30 送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886A true KR20110109886A (ko) 2011-10-06

Family

ID=4469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269A KR20110109886A (ko) 2010-03-30 2011-03-22 송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48921B2 (ko)
JP (1) JP5515968B2 (ko)
KR (1) KR20110109886A (ko)
CN (1) CN1022091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6680B2 (en) 2012-06-27 2017-08-15 Google Inc. Techniques for transferring a data payload utilizing near-field communication
US9020291B2 (en) * 2012-08-31 2015-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ized image compression based on frequency content
CN104734779A (zh) *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简单数据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4975B2 (ja) * 1988-02-05 1999-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2000333167A (ja) * 1999-05-21 2000-11-30 Fuurie Kk 映像データの伝送方法および映像データの記録方法
JP2002033947A (ja) * 2000-07-17 2002-01-31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画像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524741A (ja) * 2001-02-06 2004-08-12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画像伝送装置及び画像伝送方法
JP2003158624A (ja) * 2001-11-22 2003-05-3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
DE102005025529B4 (de) * 2005-06-03 2007-05-16 Wago Verwaltungs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r Zugriffszeiten auf einen Systembus und Kommunikationsmodul
JP2007180927A (ja) * 2005-12-28 2007-07-12 Canon Inc 伝送装置
KR100828900B1 (ko) * 2006-09-04 2008-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8102845A (ja) 2006-10-20 2008-05-0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30054B2 (ja) * 2007-05-23 2012-09-19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及び画像送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48921B2 (en) 2014-02-11
JP2011211626A (ja) 2011-10-20
JP5515968B2 (ja) 2014-06-11
US20110244793A1 (en) 2011-10-06
CN102209193A (zh)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934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se, and storage medium
JP2003061037A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管理方法
JP200611547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969467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device, imaging device, printing method and image-transmitting method
KR100770835B1 (ko)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112345A1 (en) Camera capable of compressing image data
KR20110109886A (ko) 송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JP3768182B2 (ja) 電子カメラ
JP5515969B2 (ja) 送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1145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nversion
JP4678273B2 (ja) 撮像装置、動画記憶方法および動画記憶プログラム
JP2004032636A (ja) 画像送信機器並びに画像受信機器
JP2010056768A (ja) 撮影システム並びに当該撮影システムを構成する撮影装置及び操作装置
JP4193691B2 (ja) 撮像装置、動画ファイル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88075B2 (ja) 画像送信機器
KR101080455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18137771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4153369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バックアップ装置
JPH111460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3060952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ータ転送方法
JP415853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撮像装置
KR100605622B1 (ko) 무선단말기의 촬영 영상 저장 방법
WO2020175231A1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34879A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10903A (ja) 動画静止画兼用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画像蓄積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