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038A -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038A
KR20110109038A KR1020100028580A KR20100028580A KR20110109038A KR 20110109038 A KR20110109038 A KR 20110109038A KR 1020100028580 A KR1020100028580 A KR 1020100028580A KR 20100028580 A KR20100028580 A KR 20100028580A KR 20110109038 A KR20110109038 A KR 2011010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wire
stand
spr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590B1 (ko
Inventor
안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9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베이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부; 일단이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걸리는 풀리;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고정하는 탄성부재 고정부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고, 스탠드의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Stand of di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가 포함된다. 근래에 들어서는 무게가 가볍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두께가 얇은 슬림형 평판 디스플레이 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무게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탄성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상기 스탠드의 두께가 상기 탄성 부재의 두께보다 작아질 수 없어서, 상기 스탠드의 두께가 슬림해지는 것에 대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드가 슬림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본체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부; 일단이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걸리는 풀리;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고정하는 탄성부재 고정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탠드의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본체가 중량이 큰 디스플레이 본체로 교체되더라도, 스탠드 내부에 장착되는 풀리의 개수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본체의 무게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의 내부에 풀리 및 와이어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엽스프링 및 태엽스프링 고정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2)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지지하는 스탠드(5)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내부에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는 힌지 어셈블리가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상기 스탠드(5)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는 상기 스탠드(5)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상기 스탠드(5)에 대하여 회동하거나, 상하 이동하는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스탠드(5)에는,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지지하는 스탠드 바디(1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0)는 지면과 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0)는 납작한 평면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스탠드 바디(11)는 상기 베이스(10)에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바디(11)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1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면 커버(110)에는 후술할 힌지 바디부(122 : 도 2 참조)가 상하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바디(11)의 하부에는 후술할 태엽스프링(15 : 도 2 참조)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스탠드 바디(11)의 하부의 두께는 상기 스탠드 바디(11)의 상부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스탠드 바디(11)의 상부는 상기 스탠드 바디(11)의 하부보다 더 슬림하게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의 내부에 풀리 및 와이어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 바디(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12)와, 상기 본체 결합부(12)와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13)와, 상기 이송부(13)를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는 바디부(14)와, 상기 이송부(13)의 상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태엽스프링(15)과, 상기 태엽스프링(15)을 고정하기 위한 태엽스프링 고정부(16)가 포함된다.
또한, 태엽스프링(15) 및 상기 이송부(13)를 연결하는 와이어(17)와, 상기 와이어(13)가 걸리는 풀리(18)와, 상기 바디부(14)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19)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 결합부(1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고정되는 결합 브래킷(121)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틸팅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123)과, 상기 전면 브래킷(121) 및 상기 힌지축(123)을 연결하는 힌지 바디부(122)와, 상기 힌지축(123)이 결합되는 제 1 결합 브래킷(124a)과, 상기 제 1 결합 브래킷(124a) 및 상기 이송부(13)와 결합되는 제 2 결합 브래킷(124b)이 포함된다.
상기 이송부(13)는 상기 바디부(14)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이송부(13)는 상기 바디부(14)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13)는 금속 판재를 복수회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송부(13)에는, 상기 제 2 결합 브래킷(124b)이 결합되는 전면부(13a)와, 상기 전면부(13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b)와, 상기 연결부(13b)에서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14)에 대하여 상기 이송부(13)를 지지하기 위한 후면부(13c)가 포함된다.
상기 이송부(13) 내부에는, 상기 전면부(13a) 및 상기 연결부(13b)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으로 상기 태엽스프링 고정부(16) 및 상기 와이어(17)가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13)가 상기 태엽스프링 고정부(16) 또는 상기 와이어(17)의 간섭없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13a)에는 상기 제 2 결합 브래킷(124b)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3)의 상측에는 상기 제 2 결합 브래킷(124b)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130)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13a)의 상단에는 후술할 걸림리브(140a)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13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부(13a)에는 이송 브래킷(131)이 결합된다. 상기 이송 브래킷(131)에는, 상기 전면부(13a)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 브래킷(131a)과, 상기 전면부(13a)이 하측에 상기 상측 브래킷(131b)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하측 브래킷(131b)이 포함된다. 상기 이송 브래킷(131)은 상기 전면부(13a)에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브래킷(131)의 너비는 상기 전면부(13a)의 좌우 너비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 브래킷(131)의 양측 단부는 상기 전면부(13a)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이송 브래킷(131)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이송부(13)의 상하 이동을 위한 바퀴(132)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이송 브래킷(131)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바퀴(132)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회전축(132a)이 결합된다. 상기 바퀴(132)는, 상기 이송부(13)가 상기 바디부(14)의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19)에 접촉되어 상기 이송부(13)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송부(13)에는 상기 와이어(17)의 단부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134)에는, 상기 와이어(17)를 상기 전면부(13a)에 결합하기 위한 후술할 와이어 결합부재(17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134)는 상기 전면부(13a)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가 상기 이송부(13)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4)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바디부(14)는 상기 베이스(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지지한다.
상기 바디부(14)에는 상기 풀리(18)가 설치되는 후면부(140)와, 상기 바디부(14)의 양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9)이 결합되는 측면부(141)와, 상기 바디부(14)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와 결합하는 결합부(142)가 포함된다.
먼저, 상기 후면부(140)에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가 삽입되며, 상기 이송부(1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14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43)은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이송부(13)가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후면부(140)에는, 상기 가이도홀(140)의 상측에 상기 와이어(1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145)는 상기 후면부(140)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17)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145)는 상기 와이어(17)를 감쌀 수 있도록, 대략 원형의 내주면을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145)의 내주면은 상기 와이어(17)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145)는 상기 와이어(17)가 상기 바디부(14) 내부에서 좌우로 흔들리거나,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145)는 상기 와이어(17)가 상기 풀리(1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와이어(17)가 상기 바디부(14) 내에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후면부(14a)의 상단에는 상기 이송부(13)가 상기 바디부(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리브(14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140a)는 상기 바디부(14)의 후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걸림리브(140a)는, 상기 이송부(13)가 상기 바디부(14)의 상단부로 이송되면, 상기 걸림홈(13d)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리브(140a)는 상기 이송부(13)가 이동할 수 있는 상한을 제한하여, 상기 이송부(13)가 상기 바디부(14) 외부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41)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9)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부(141)에는 후술할 결합돌기(191)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141a)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141)는 상기 가이드레일(19)을 둘러쌀 수 있도록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2)는 상기 바디부(14)의 하단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2)에는, 상기 베이스(10)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142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4)에는 상기 와이어(17)가 걸리는 풀리(18)가 결합된다. 상기 후면부(140)에는 상기 풀리(18)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풀리축(181)이 설치된다. 상기 풀리(18)는 상기 풀리축(1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17)가 움직이면 상기 풀리(18)는 상기 풀리축(18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풀리(18)는 상기 와이어(17)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상기 이송부(13)에 하방으로 힘이 작용되면, 상기 이송부(13)는 상기 와이어(17)의 일단을 하방으로 당긴다. 상기 와이어(17)의 일단에 하방으로 작용되는 힘의 방향은, 상기 풀리(18)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17)의 타단은 상기 태엽스프링(15)에 상방으로 당기는 힘을 작용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17)는 상기 이송부(13) 및 상기 태엽스프링(15)을 연결한다. 상기 와이어(17)는 상기 이송부(13)에 작용되는 힘을 상기 태엽스프링(15)에 전달하고, 상기 태엽스프링(15)의 복원력을 상기 이송부(1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17)는 힘이 가해져도 변형 및 파손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 및 강도가 큰 물질을 재료로 하는 것이 좋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17)는 철사 또는 강선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17)를 통하여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17)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7)의 길이는, 상기 태엽스프링(15)에서 상기 풀리(18)까지의 거리(L1) 및 상기 풀리(18)에서 상기 가이드홀(143)의 최상단부까지의 거리(L2)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17)의 일단은 상기 이송부(13)의 와이어 고정부(134)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태엽스프링(15)에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17)의 일단에는, 상기 이송부(13)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는 소정 길이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는 금속 재질의 스크류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17)의 일단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리에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17)의 일단이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에 감길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 고정부(134)에 형성된 삽입홀(135)에 삽입된다. 즉, 상기 와이어(17) 및 상기 이송부(13)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홀(143)에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는 상기 이송부(13)가 상하 이송되면, 상기 가이드홀(143)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는 상기 가이드홀(143)의 범위 내에서만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가 상기 이송부(13)에 고정되므로, 상기 이송부(13)의 상하 이송 범위도 상기 가이드홀(143)에 의해 정해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4) 내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이송부(1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19)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9)은 상기 바퀴(132)에 접촉되어, 상기 이송부(13)가 상기 바디부(14) 내부에서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13)의 상하 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9)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가 칠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9)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부(141)에 형성된 삽입홀(141a)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19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91)는 상기 삽입홀(141a)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9)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돌기(191)는 상기 삽입홀(141a)에 억지끼움에 의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돌기(191)가 상기 삽입홀(141a)에 가체결되어 정위치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9)은 체결 부재 등으로 상기 바디부(14)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4)에는 상기 태엽스프링(15)을 상기 바디부(14)의 하측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태엽스프링 고정부(16)가 결합된다.
상기 태엽스프링(15)은 상기 와이어(17)에 의해 상기 이송부(13)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서 변형된다. 상기 태엽스프링(15)은 상기 이송부(13)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형된다. 즉, 상기 이송부(13)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태엽스프링(15)은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송부(13)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태엽스프링(15)은 하방으로, 즉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태엽스프링(15)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복원되지만, 상기 태엽스프링(15)의 위치는 상기 태엽스프링 고정부(16)에 의해 상기 바디부(14)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엽스프링(15)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상기 태엽스프링(15) 대신 용수철, 고무줄 등의 다른 종류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태엽스프링(15)을 탄성 부재라고 칭할 수 있고, 상기 태엽스프링 고정부(16)를 탄성부재 고정부로 칭할 수 있다.
상기 태엽스프링(15) 및 상기 태엽스프링 고정부(16)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엽스프링 및 태엽스프링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태엽스프링(15)에는, 얇은 금속판이 원형으로 복수회 감겨서 형성되는 권취부(151)와, 상기 권취부(151)에서 연장되어 길이 증감이 가능한 연장부(152)가 포함된다.
상기 권취부(151)는 금속 판재가 복수회 감기는 것에 의해 탄성 에너지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장부(152)는, 상기 권취부(151)의 감긴 부분이 풀리면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장부(152)을 잡아당기면 상기 연장부(152)는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152)는 원래의 형상인 원형으로 감겨있는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받는다.
즉, 상기 태엽스프링(15)이 상기 바디부(14)의 하측에 설치되면, 상기 권취부(151)는 상기 바디부(14)의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152)는 상방으로 향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52)를 당기면 상방으로 길이가 증가될 수 있고, 상기 연장부(152)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하방으로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연장부(152)에는, 상기 와이어(17)를 상기 연장부(152)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153)와, 상기 체결 부재(153)를 상기 연장부(152)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판(15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53)는 상기 연장부(152)에 관통된다. 다만, 상기 체결 부재(153)는 헤드부(153a)와, 상기 헤드부(153a)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장부(152)를 관통하는 관통부(153b)가 포함된다. 상기 체결 부재(153)는, 상기 헤드부(153a) 및 상기 연장부(152) 사이에 소정 간격이 존재하도록 상기 연장부(152)에 결합된다.
상기 간격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17)는 상기 관통부(152b)에 감길 수 있다. 상기 헤드부(153a)는, 상기 관통부(152b)에 감긴 상기 와이어(17)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와이어(17)가 상기 연장부(15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와이어(17)가 상기 연장부(152)를 상방으로 당기며, 상기 연장부(152)는 상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13)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연장부(152)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태엽스프링 고정부(16)에는, 상기 권취부(151)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160)와, 상기 연장부(152)의 연장 또는 복귀를 가이드하는 연장 가이드부(162)가 포함된다.
상기 태엽스프링 고정부(16)는 상기 바디부(14)에 결합되면, 상기 위치고정부(160)는 상기 바디부(14)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는 상기 위치고정부(160)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위치고정부(160)에는 상기 권취부(151)가 삽입되는 삽입부(16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61)는 상기 위치고정부(160)에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61)의 좌우폭 및 상하높이는, 상기 권취부(151)의 좌우폭 및 상하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161)의 내부 형상은 상기 권취부(15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권취부(151)가 상기 삽입부(161)에 삽입된 상태에서 흔들리거나, 상기 권취부(151)가 상기 삽입부(16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권취부(151)는 상기 삽입부(161)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162)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태엽스프링(15)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연장부(152)가 연장되더라도, 상기 권취부(151)는 상이 삽입부(161)의 상측면(161a)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삽입부(161)의 내부에는 상기 권취부(151)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그리스, 기름 등의 윤활유가 칠해진다. 이는, 상기 권취부(151)가 상기 삽입부(161) 내부에서 회전될 때, 상기 삽입부(161) 내부에서 마찰열이 발생하거나, 소음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태엽스프링(15)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는, 상기 삽입부(16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는, 상기 태엽스프링(15)이 상기 바디부(14)에 설치되었을 때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에는 상기 연장부(152)가 삽입된다. 상기 연장부(152)는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 내부에서 연장 또는 복원된다. 또한,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 내부의 전후 또는 좌우 폭은 상기 연장부(152)의 전후 또는 좌우 폭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휨 방지부(162a) 및 흔들림 방지부(162b)가 포함된다.
상기 휨 방지부(162a)는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가 상기 바디부(14)에 설치되었을 때, 전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부(152)가 상기 와이어(17)에 의해 연장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152)가 전방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흔들림 방지부(162b)는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의 양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152)의 양측면을 가이드하여 상기 연장부(152)가 연장 또는 복귀되는 과정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장 가이드부(162)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장부(152)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그리스 등의 윤활유가 칠해질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16)에는 상기 바디부(14)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홀(163)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63)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미도시)는, 상기 바디부(14)에 형성된 체결 보스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 고정부(16)를 상기 바디부(14)의 하측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16)는 상기 태엽스프링(15)의 권취부(151)를 상기 바디부(14)의 하측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권취부(14)의 전후 두께와 관계없이 상기 바디부(14)의 전후 두께를 슬림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결합된 상기 본체 결합부(12) 및 상기 본체 결합부(12)와 결합된 상기 이송부(13)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부(1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171)가 하방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17)는 하방으로 힘을 받는다. 상기 와이어(17)의 이동방향은 상기 풀리(18)에 의해서 전환되어, 상기 와이어(17)는 상기 태엽스프링(15)의 연장부(152)를 상방으로 당긴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부(151)에 감긴 부분이 풀리면서 상기 연장부(152)는 상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152)의 복원력과 상기 이송부(13)가 상기 와이어(17)를 당기는 힘 사이에서, 힘의 평형이 이루어져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는 부드럽게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부(151)는 상기 위치 고정부(161)에 의해 상기 바디부(14)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연장부(152)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부(151)가 상기 바디부(14)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14)의 두께가 상기 권취부(151)의 두께와 관계없이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바디부(14)는 상기 연장부(152)와, 상기 이송부(13)가 상하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결합된 상기 본체 결합부(12) 및 상기 본체 결합부(12)에 결합된 상기 이송부(13)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부(13)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와이어(17)는 상방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와이어(17)의 이동방향은 상기 풀리(18)에 의해서 전환되며, 상기 와이어(17)에 의해 상기 태엽스프링(15)의 연장부(152)에 작용되는 장력이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태엽스프링(15)의 복원력 및 상기 와이어(17)의 장력 사이에 유지되던 힘의 평형이 깨지고, 상기 태엽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장부(152)가 다시 상기 권취부(151)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아도,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는 쉽게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10: 베이스 13: 이송부
14: 바디부 15: 태엽스프링
16: 태엽스프링 고정부 17 : 와이어
18 : 풀리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부;
    일단이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걸리는 풀리;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고정하는 탄성부재 고정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태엽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태엽스프링이 복수회 감겨서 형성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탄성부재 고정부에는 상기 권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 및 상기 삽입부 사이에는 마찰을 줄이기 위해 윤활유가 칠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권취부가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는 와이어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결합부재의 일단은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는 복수의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가이드레일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20100028580A 2010-03-30 2010-03-30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179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580A KR101799590B1 (ko) 2010-03-30 2010-03-30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580A KR101799590B1 (ko) 2010-03-30 2010-03-30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038A true KR20110109038A (ko) 2011-10-06
KR101799590B1 KR101799590B1 (ko) 2017-11-20

Family

ID=4502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580A KR101799590B1 (ko) 2010-03-30 2010-03-30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564A (ko) * 2019-01-03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1803A (ko) * 2022-09-01 2024-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출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564A (ko) * 2019-01-03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590B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360B2 (en) Height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JP3409926B2 (ja) 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5018913B2 (ja) ケーブルの配線構造及び画像読取装置
KR20070115254A (ko) 모니터 스탠드
JP5207678B2 (ja) ケーブルガイ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ライドドア駆動装置
JP2016204944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20110109038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20210201714A1 (en) Display device
JP2021038659A (ja) 遮蔽装置
JP6563246B2 (ja) 移動体移動装置および窓ガラス昇降装置
JP6093958B2 (ja) 充電ケーブルの自動巻取装置
JP5528952B2 (ja) 光配線盤
CN113327514B (zh) 显示装置和交通载具
US20230161375A1 (en) Display device
JP2016211351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20090888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6595249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中間支持ブラケット
JP3193177U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5589122B1 (ja)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5098117B2 (ja) 張力付与装置
JP5536416B2 (ja) 吊支式ドア装置
CN219874921U (zh) 一种线轴支撑机构以及智慧黑板
JP2013179576A (ja) 落下防止装置
WO2024090503A1 (ja) 対象物移動装置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7473458B2 (ja) 引手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