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187A -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187A
KR20110108187A KR1020100027548A KR20100027548A KR20110108187A KR 20110108187 A KR20110108187 A KR 20110108187A KR 1020100027548 A KR1020100027548 A KR 1020100027548A KR 20100027548 A KR20100027548 A KR 20100027548A KR 20110108187 A KR20110108187 A KR 20110108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film
substrate
reflective
nanoparticles
une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230B1 (ko
Inventor
한문규
이홍석
신중훈
정경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230B1/ko
Priority to US12/805,642 priority patent/US8905561B2/en
Publication of KR2011010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4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nanosize structures or features, e.g.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반사구조체는 다중 요철구조의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복수의 제1요철요소에 의해 굴곡진 표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굴곡진 표면은 상기 제1요철요소보다 스케일이 작은 복수의 제2요철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요철요소는 마이크로 스케일의 요소일 수 있고, 상기 제2요철요소는 나노 스케일의 요소일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복수의 나노입자로 구성된 하부구조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막 상에는 플렉서블 물질층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Reflective structur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reflective struct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reflective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반사구조체, 반사구조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을 구현하기 위해 안료가 사용된다. 안료를 이용한 색의 구현은 곧 빛의 흡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빛의 흡수를 이용하는 색 구현 기술은 효율이 낮고, 색도(chromaticity)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빛의 반사 및 간섭을 이용하여 색을 구현하는 기술, 일명 '구조색'(structural color)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 기술에서는 반사체의 반사율에 따라 효율이 결정되므로, 고효율의 색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반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색도가 결정되므로, 색도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빛의 반사 및 간섭을 이용하여 색을 구현하는 구조색 기술에서는, 반사체에 입사되는 빛의 각도(즉, 입사각) 및 시야각(viewing angle)에 따라 나타나는 색이 달라지고, 다중 색조(multi-color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회절된 빛의 보강 및 상쇄 간섭에 의해 특정 각도에서 색이 밝게 또는 어둡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없는 전방향(omni-directional) 반사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반사구조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aspect)에 따르면, 반사막을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복수의 제1요철요소에 의해 굴곡진 표면을 갖고, 상기 굴곡진 표면은 상기 제1요철요소보다 스케일이 작은 복수의 제2요철요소로 이루어진 반사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제1요철요소는 마이크로 스케일의 요소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제1요철요소는 수십 ㎛ 내지 수백 ㎛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요철요소는 나노 스케일의 요소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제2요철요소는 수십 nm 내지 수백 nm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복수의 나노입자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막 상에 투명한 플렉서블(flexible) 물질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플렉서블 물질층은, 예컨대, 폴리머층일 수 있다.
상기 반사구조체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단단한(rigid) 기판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요철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주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제1 및 제2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층은 서로 다른 유전층이거나, 상기 제1 및 제2층 중 하나는 유전층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반사구조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장치는, 예컨대,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표시장치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나노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에 의해 울퉁불퉁한(uneven) 표면을 갖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는 유지하면서 상기 반사막의 표면에 마이크로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막을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을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사막에 휘발성 액체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 상에 복수의 나노입자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 상에 상기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사막은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에 의해 울퉁불퉁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나노입자들 간의 간격이 수 nm 내지 수십 nm 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 상에 투명한 플렉서블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 상기 반사막 및 상기 플렉서블 물질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상기 기판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구조를 다른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판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단단한(rigid)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에 복수의 나노입자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를 덮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막 상에 플렉서블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 상기 반사막 및 상기 플렉서블 물질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상기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는 불균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에 의해 울퉁불퉁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물질층은 투명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물질층은, 예컨대, 폴리머층일 수 있다.
상기 기판에서 분리한 적층구조를 다른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판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단단한(rigid) 기판일 수 있다.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없는 전방향(omni-directional) 반사 특성을 가지면서, 모든 관찰각에서 높은 반사율을 갖는 반사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반사구조체는 유연한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이를 적용해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반사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막을 포함하는 반사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반사구조체의 표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를 "비반사 조명(non-specular illumination)" 조건(즉, 외부 물체의 상이 상기 반사구조체에 비치지 않는 조건)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를 "반사 조명(specular illumination)" 조건에서 관찰각을 달리하며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에 부착한 반사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를 적용한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10a : 제1층 20, 20a : 제2층
100, 100A, 100B : 기판 200 : 나노입자
300, 300a, 310 : 반사막 400 : 플렉서블 물질층
P1 : 제1요철요소 P2 : 제2요철요소
PL1 :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 R1 : 컬러 반사체
S1 : 하부기판 S2 : 상부기판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 반사구조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막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사막(300)은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에 의해 굴곡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요철요소(P1)는 마이크로 스케일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의 폭(이하, 제1폭)(w1)은 수십 ㎛ 내지 수백 ㎛ 일 수 있다.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의 높이는 수십 ㎛ 이상일 수 있다. 위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의 적어도 일부는 일종의 주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요철요소(P1)는 불균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막(300)의 표면은 마이크로 스케일의 굴곡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도 1의 부분 확대도(원형)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의 표면은 상기 제1요철요소(P1)보다 작은 복수의 제2요철요소(P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2요철요소(P2)는 나노 스케일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2요철요소(P2)의 폭(이하, 제2폭)(w2)은 수십 nm 내지 수백 nm 일 수 있다. 복수의 제2요철요소(P2)는 반구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크기는 불균일할 수 있다. 복수의 제2요철요소(P2)는 반사막(300)의 상면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큰 요철(즉, 제1요철요소(P1))에 작은 요철(즉, 제2요철요소(P2))이 형성된 구조를, 여기서는 "다중 요철구조"라 한다. 이러한 "다중 요철구조"로 인한 효과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오른쪽 부분 확대도(사각형)를 참조하면, 반사막(300)은 제1 및 제2층(10, 20)이 교대로 반복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층(10, 20)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층(10, 20)의 굴절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계면에서 빛의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제1 및 제2층(10, 20)의 물질과 두께를 조절하면,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층(10, 20)의 물질과 두께에 따라, 반사막(300)에서 나타나는 색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층(10, 20)의 두께 및 물질에 따라 적색(R), 녹색(G), 청색(B) 등 다양한 반사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층(10, 20) 중 하나는 비유전층이고, 다른 하나는 유전층일 수 있다. 상기 비유전층은 금속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제1층(10)이 금속층이고, 제2층(20)은 유전층일 수 있다. 따라서 반사막(300)은 금속층과 유전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층(10)이 금속층인 경우, 제1층(10)은, 예컨대, Cr, Ni, Co 등 전이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이 금속 이외의 다른 금속으로 제1층(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층(10)이 금속층인 경우, 이를 통한 빛의 흡수가 최소화되도록 가능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층(10)은 약 50nm 이하, 좁게는 약 20nm 이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제2층(20)이 유전층인 경우, 제2층(20)은, 예컨대, SiO2, CaF2, LiF, MgF2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제2층(20)의 물질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2층(20)은 λ/2 (여기서, λ는 반사시키고자 하는 빛의 중심 파장)에 대응하는 광학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층(20)이 λ/2 에 대응하는 광학 두께를 가질 때, 회절된 빛들의 보강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층(10, 20)을 서로 다른 유전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반사막(300)은 제1유전층과 제2유전층이 교대로 반복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층(10, 20)의 계면에서 특정 파장을 갖는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막(300)에서 나노 스케일을 갖는 복수의 제2요철요소(P2)는 랜덤한 높이(random height)를 갖고 반사막(300)의 상면 전체에 걸쳐 비교적 조밀하게 배열되어, 이들 각각으로부터 빛의 반사, 회절 및 산란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막(300)은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없는 전방향(omni-directional) 반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막(300)에서 복수의 제2요철요소(P2)는 마이크로 스케일을 갖는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의 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나노 스케일의 복수의 제2요철요소(P2)가 형성된 반사막(300)의 표면은 마이크로 스케일의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에 의해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반사막(300)은 "비반사 조명(non-specular illumination)" 조건 하에서도, 어느 각도(관찰각)에서도 반짝거리며 밝은 색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제2요철요소(P2)가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의 곡면을 따라 형성되지 않고, 평탄한 면을 따라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면(도 2와 같이), 거울과 같이 반사하는 특성(characteristic of specular reflection)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반사막(310)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나노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P2')가 반사막(310)의 상면에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요철요소(P2')는 도 1의 제2요철요소(P2)와 유사하게 불균일한 크기 및 랜덤한 높이(random height)를 갖지만, 도 1의 제2요철요소(P2)와 달리 평면적으로(즉,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요철요소(P2')는 나노 스케일로 매우 작은 크기를 갖고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의 높이 차이는 100 nm 정도로 작기 때문에, 반사막(310)의 표면은 거울과 같이 반사하는 특성(characteristic of specular reflection)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입사각과 관찰각이 같은 경우, 반사막(310)은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여 외부 물체의 상이 반사막(310)에 맺히기 때문에 그 색을 정확히 알기 어려울 수 있고, 입사각과 관찰각이 다른 경우, 반사막(310)의 표면이 어둡게 보일 수 있다. 랜덤한 높이(random height)를 갖는 복수의 요철요소(P2')로 인해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없는 특성을 가질 수 있지만, 관찰각에 따라 특정 색이 밝게 또는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의 구조와 같이 나노 스케일의 제2요철요소(P2)들이 마이크로 스케일의 굴곡면, 즉, 복수의 제1요철요소(P1)로 인한 굴곡면을 따라 형성된 경우, 거울과 같이 반사하지 않고, 어느 각도(관찰각)에서도 밝은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반사막(300)의 표면이 매크로스코픽(macroscopic)한 수준에서 랜덤하게(randomly) 울퉁불퉁한(rough) 형상을 갖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또한 이러한 반사막(300)의 표면은 나노 스케일의 요철요소(제2요철요소(P2))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들 각각으로부터 빛의 반사, 회절 및 산란이 발생되고,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없는 전방향(omni-directional) 반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막(300)은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없을 뿐 아니라, 전방향에서(모든 관찰각에서) 높은 반사율을 가져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밝은 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막을 포함하는 반사구조체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복수의 나노입자(200)가 구비될 수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지만, 단단한(rigid) 기판일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및 단단한(rigid) 기판으로는 기존의 표시장치 및 반도체소자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무엇이든 사용될 수 있다. 기판(100)은 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는 불균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는 한 층(monolayer)을 이룰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 중 일부의 인접한 나노입자들은 서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의 물질은, 예컨대, 실리콘산화물, 다결정실리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의 지름은 수십 nm 내지 수백 nm 정도일 수 있다.
기판(100) 상에 복수의 나노입자(200)를 덮는 반사막(300)이 구비될 수 있다. 반사막(300)의 구성은 도 1의 반사막(300)과 같을 수 있다. 즉, 반사막(300)의 표면은 마이크로 스케일의 복수의 제1요철요소(P1) 및 나노 스케일의 복수의 제2요철요소(P2)가 형성된 "다중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반사막(300)은 제1 및 제2층(10, 20)이 교대로 반복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요철요소(P2)의 크기는 나노입자(200)들의 크기와 유사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편의상 제2요철요소(P2)를 부분 확대도에만 도시하였고, 나노입자(200)를 상대적으로 크게 도시하였지만, 실제 제2요철요소(P2)의 크기와 나노입자(200)의 크기는 수십 nm 내지 수백 nm 정도로 유사할 수 있다.
반사막(300) 상에 투명한 플렉서블 물질층(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투명한 플렉서블 물질층(400)은, 예컨대, 폴리머층일 수 있지만, 그 밖에 다른 물질층일 수도 있다. 기판(100)이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 도 3의 반사구조체는 전체적으로 플렉서블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반사구조체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로 적용될 수 있다.
부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는 하나의 기판에 서로 다른 색을 나타내는 복수의 반사막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한 기판의 서로 다른 영역에 제1 내지 제3반사막을 형성하되, 이들을 구성하는 층들의 두께 및/또는 물질을 다르게 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반사막은 서로 다른 색, 예컨대, 적색, 녹색, 청색을 반사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준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기판(100A) 상에 크기가 불균일한 복수의 나노입자(200)를 도포할 수 있다. 제1기판(100A)은 단단한(rigid) 기판일 수 있다. 제1기판(100A)은 표시장치 또는 반도체소자 공정에서 사용되는 기판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100A)의 물질은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나 실리콘산화물과 같은 절연체일 수 있다. 또는 금속이나 금속산화물과 같은 도전체일 수도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는, 예컨대, 스핀-코팅(spin coating)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 밖의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의 물질은, 예컨대, 실리콘산화물, 다결정실리콘 등일 수 있으나, 물질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의 지름은 수십 nm 내지 수백 nm 정도일 수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는 대략적으로 한 층(monolayer)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복수의 나노입자(200)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나노입자들 간의 간격이 수 nm 내지 수십 nm 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의도적으로 나노입자(200)들이 너무 조밀하게 형성되지 않도록 이들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복수의 나노입자(200) 중 일부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나노입자(200)는 제1기판(100A)에 약하게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후속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제1기판(100A)에 대한 복수의 나노입자(200)의 접착력을 높여줄 수도 있다. 열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상기 접착력이 조절될 수 있다. 나노입자(300)들이 제1기판(100A)에 약하게 접착되어 있는 경우, 이후 나노입자(300)들을 제1기판(100A)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후속 공정에서 나노입자(300)들을 제1기판(100A)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으므로, 본 단계에서 열처리 공정을 통해 나노입자(300)들을 제1기판(100A)에 단단히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1기판(100A)은 상기 열처리 공정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단단한(rigid) 기판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나노입자(200) 상에 반사막(300a)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막(300a)은 복수의 나노입자(200)의 형상을 따라 컨포멀하게(conformally) 형성되어, 랜덤한 높이(random height)를 가질 수 있다. 반사막(300a)은 제1 및 제2층(10a, 20a)이 반복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층(10a, 20a)의 물질, 두께 등은 도 1의 제1 및 제2층(10, 20)과 동일 혹은 유사할 수 있다. 제1 및 제2층(10a, 20a)을 형성하는데, 수백 ℃, 예컨대, 300 ℃ 정도의 공정 온도가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판(100A)은 상기 공정 온도를 견딜 수 있는 단단한(rigid) 기판일 수 있다.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막(300a)을 급속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급속 냉각은, 예컨대, 반사막(300a)에 휘발성 액체를 분사하여(spraying)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액체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다양한 휘발성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급속 냉각에 의해 반사막(300a)의 표면 모폴로지(surface morphology)를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가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300은 급속 냉각된 반사막(이하, 반사막)을 나타낸다. 반사막(300)은 도 1 및 도 3의 반사막(3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반사막(300)은 마이크로 스케일의 복수의 제1요철요소(P1)와 나노 스케일의 복수의 제2요철요소(P2)가 형성된 다중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요철요소(P2)는 도 4b의 반사막(300a)의 요철과 동일 혹은 유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급속 냉각에 의해 도 4b의 반사막(300a) 표면에 형성되어 있던 요철은 거의 그대로 유지되면서 그보다 큰 스케일의 요철(제1요철요소(P1))이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제2요철요소(P2)를 부분 확대도에만 도시하였지만, 제2요철요소(P2)는 반사막(300)의 상면 전체에 걸쳐 존재하고, 나노입자(200)와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급속 냉각 공정은 복수의 나노입자(200)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급속 냉각에 의해 복수의 나노입자(200) 중 인접한 한 그룹의 나노입자들이 서로 밀착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인접한 나노입자들이 밀착되는 현상은 여러 군데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인접한 나노입자들이 밀착됨과 동시에 반사막(도 4c의 300a)의 표면이 우그러지면서 도 4d와 같은 반사막(300)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메카니즘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전술한 "급속 냉각"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도 4b의 반사막(300a)을 도 4d와 같은 반사막(300)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반사막(300) 상에 플렉서블 물질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물질층(400)은 투명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 물질층(400)은 투명한 폴리머층일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플렉서블 물질층(400)에 대한 경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물질층(400)은 본질적으로 반사막(300)과 접착성을 가질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반사막(300)과 플렉서블 물질층(400) 사이에 접착층(미도시)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복수의 나노입자(200), 반사막(300) 및 플렉서블 물질층(400)을 포함하는 적층구조(S1)를 제1기판(100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4a 단계에서 복수의 나노입자(200)는 제1기판(100A)에 약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한, 도 4c 및 도 4d 단계에서 제1기판(100A)에 대한 복수의 나노입자(200)의 접착력은 약화될 수 있으므로, 본 단계(도 4f)에서 적층구조(S1)를 제1기판(100A)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4g 및 도 4h를 참조하면, 복수의 나노입자(200), 반사막(300) 및 플렉서블 물질층(400)을 포함하는 적층구조(S1)를 제2기판(100B)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적층구조(S1)의 하면과 제2기판(100B)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층(혹은, 접착제)(미도시)을 형성하여, 이를 매개로 제2기판(100B)과 적층구조(S1)를 접착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접착층(혹은, 접착제) 이외에 다른 부재를 사용해서 제2기판(100B)에 적층구조(S1)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2기판(100B)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제2기판(100B)으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을 사용하면, 플렉서블 반사구조체는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제2기판(100B)으로 단단한(rigid)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및 단단한(rigid) 기판으로는 기존의 표시장치 및 반도체소자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무엇이든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대면적 기판에 복수의 적층구조(S1)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적층구조(S1)는 적색, 녹색, 청색을 각각 반사하는 세 종류의 적층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대면적으로 반사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조방법에서 도 4a 내지 도 4d의 단계까지만 진행하고, 그 이후의 공정은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a 단계에서 제1기판(100A)에 반사막(300)을 강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도 4d 단계 후, 제1기판(100A)에 형성된 반사막(300)을 반사구조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반사구조체의 표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사막의 표면에 100 ㎛ 정도의 폭을 갖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주름은 도 1의 제1요철요소(P1)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주름진 반사막의 표면 전체에 나노 스케일의 요철요소(도 1의 제2요철요소(P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노 스케일의 요철요소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한 고배율의 사진에서 확인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반사구조체의 반사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에서 제1영역(A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반사막을 포함하고, 제2영역(A2)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반사막을 포함한다. 제1영역(A1)은 급속 냉각을 통해 도 4d의 반사막(300)과 유사한 표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었고, 제2영역(A2)은 급속 냉각을 수행하지 않아 도 2의 반사막(310)과 유사한 표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었다. 도 6의 사진은 "비반사 조명(non-specular illumination)" 조건(즉, 외부 물체의 상이 반사막에 비치지 않는 조건)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영역(A1)은 반짝거리며 밝은 색을 나타내는 반면 제2영역(A2)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입사각과 관찰각이 다른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1영역(A1)은 밝은 색을 잘 나타내지만, 비교예에 따른 제2영역(A2)은 그렇지 못하다.
도 7은 도 6의 반사구조체를 다른 조건으로 촬영한 사진을 보여준다. 도 7의 두 개의 사진은 "반사 조명(specular illumination)" 조건에서 관찰각을 달리하며 촬영한 것이다. 즉, 도 7의 (a)사진과 (b)사진은 촬영각(즉, 관찰각)이 서로 다르다.
도 7을 참조하면, "반사 조명(specular illumination)" 상황에서 나비의 상부 날개는 전체적으로 같은 색을 밝게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촬영각이 서로 다른 (a)사진과 (b)사진에서 상부 날개들은 모두 같은 색을 나타낸다. 이는 관찰각이 바뀌더라도 색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도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는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없는 전방향(omni-directional) 반사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는 시야각에 따라 색 변화가 없을 뿐 아니라, 전방향에서(모든 관찰각에서) 높은 반사율을 가져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밝은 색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에 부착한 반사구조체를 보여준다. 도 8 및 도 9에서 플렉서블 기판에 부착된 반사구조체가 유연하게 휘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구조체 및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반사구조체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표시장치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동적(dynamic) 소자나, 간판과 같은 정적(static) 정보 전달 매체에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페인트와 같은 도료나 화장품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는 PDLC 표시장치나 LCD의 컬러필터 대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흡수형 컬러필터는 투과 효율이 낮고, 저색도를 갖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를 사용하면 고효율 및 고색도의 색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료나 화장품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반사구조체를 작은 크기로 잘라 도료나 화장품 등에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 안료로는 구현하기 힘든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를 PDLC 표시장치에 적용한 일례를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기판(S1)과 상부기판(S2) 사이에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이하, 액정층)(PL1)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기판(S1)과 액정층(PL1) 사이에 컬러 반사체(color reflector)(R1)가 구비될 수 있다. 컬러 반사체(R1)는 하부기판(S1)과 액정층(PL1) 사이가 아닌 하부기판(S1) 아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컬러 반사체(R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일 수 있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컬러 반사체(R1)는 적색 반사영역, 녹색 반사영역 및 청색 반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의 서로 다른 영역에 제1 내지 제3반사막을 형성하되, 이들을 구성하는 층들의 두께 및/또는 물질을 다르게 하면, 이들은 서로 다른 색을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반사막은 각각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반사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의 PDLC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컬러 반사체(R1) 아래에 흡수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수층은 컬러 반사체(R1)에서 반사되지 않은 빛, 즉, 컬러 반사체(R1)를 통과한 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컬러 반사체(R1)의 적색 반사영역에서는 적색 이외의 색을 나타내는 빛이 컬러 반사체(R1)를 통과하여 상기 흡수층에 흡수될 수 있다. 상기 흡수층을 구비시키는 것은 선택적(optional)이다. 또한 컬러 반사체(R1)의 기판이나 나노입자를 흡수요소로 사용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컬러 반사체(R1)의 나노입자에 소정의 색을 입힐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는 도 10과 같은 PDLC 표시장치뿐 아니라 그 밖의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체 및 반사구조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조와 이들의 제조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24)

  1. 반사막을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복수의 제1요철요소에 의해 굴곡진 표면을 갖고,
    상기 굴곡진 표면은 상기 제1요철요소보다 스케일이 작은 복수의 제2요철요소로 이루어진 반사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요철요소는 수십 ㎛ 내지 수백 ㎛ 의 폭을 갖는 반사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요철요소는 수십 nm 내지 수백 nm 의 폭을 갖는 반사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복수의 나노입자 상에 구비된 반사구조체.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 상에 구비된 투명한 플렉서블(flexible) 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반사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플렉서블 물질층은 폴리머층인 반사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구조체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단단한(rigid) 기판 상에 구비된 반사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요철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주름 형상을 갖는 반사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제1 및 제2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층은 서로 다른 유전층이거나, 상기 제1 및 제2층 중 하나는 유전층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층인 반사구조체.
  10. 청구항 1에 기재된 반사구조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나노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에 의해 울퉁불퉁한(uneven) 표면을 갖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는 유지하면서 상기 반사막의 표면에 마이크로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의 복수의 요철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막을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을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사막에 휘발성 액체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 상에 복수의 나노입자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 상에 상기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막은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에 의해 울퉁불퉁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나노입자들 간의 간격이 수 nm 내지 수십 nm 가 되도록 형성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 상에 투명한 플렉서블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 상기 반사막 및 상기 플렉서블 물질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상기 기판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를 다른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판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단단한(rigid) 기판인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20. 기판 상에 복수의 나노입자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를 덮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막 상에 플렉서블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 상기 반사막 및 상기 플렉서블 물질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상기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는 불균일한 크기를 갖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상기 복수의 나노입자에 의해 울퉁불퉁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서 분리한 적층구조를 다른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판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단단한(rigid) 기판인 반사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100027548A 2010-03-26 2010-03-26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66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548A KR101662230B1 (ko) 2010-03-26 2010-03-26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2/805,642 US8905561B2 (en) 2010-03-26 2010-08-11 Reflective structur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reflective struct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reflective structure and th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548A KR101662230B1 (ko) 2010-03-26 2010-03-26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187A true KR20110108187A (ko) 2011-10-05
KR101662230B1 KR101662230B1 (ko) 2016-10-05

Family

ID=4465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548A KR101662230B1 (ko) 2010-03-26 2010-03-26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05561B2 (ko)
KR (1) KR101662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395A (ko) * 2010-12-31 2012-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0774817A (zh) * 2019-11-04 2020-02-11 东莞市先端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细模具工艺的显示屏装饰用胶片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020A (ko) * 2003-10-02 2005-04-0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사체 및 이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5532587A (ja) * 2002-07-05 2005-10-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拡散反射板の製造方法
KR20060024872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60048512A (ko) * 2004-06-25 2006-05-18 소니 도이치린드 게엠베하 표면으로부터의 광 확산의 제어 및(또는) 번쩍임의 감소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3727A (ja) 1994-03-23 1995-10-13 Fuji Electric Co Ltd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JP4403599B2 (ja) * 1999-04-19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薄膜の結晶化方法、レーザ照射装置、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064882B2 (en) * 2002-09-30 2006-06-20 Gentex Corporation Electrochromic devices having no positional offset between substrates
JP2001083516A (ja) 1999-09-10 2001-03-30 Fuji Photo Film Co Ltd 配向膜、液晶表示素子、及び光学フィルム
US6351334B1 (en) * 2000-10-10 2002-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Reflective diffraction grating for use in display devices
AT411337B (de) 2002-01-11 2003-12-29 Voest Alpine Ind Anlagen Giesswalze für das stranggiessen von dünnen metallischen bändern
US7088405B2 (en) * 2003-05-05 2006-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ed transflectors for enhanced ambient and backlight operation of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s
US7540616B2 (en) * 2005-12-23 2009-06-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arized, multicolor LED-based illumination source
EP2426552A1 (en) * 2006-03-03 2012-03-07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elements incorporating improved thin-film coatings
US8120854B2 (en) * 2006-12-28 2012-0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ference films having acrylamide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1246937A (zh) * 2007-02-15 2008-08-20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应用奈米小球形成二维图案的方法
JP5139781B2 (ja) * 2007-11-21 2013-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機能性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KR100930924B1 (ko) 2008-01-09 2009-1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스피어 형틀 형태의 나노임프린트용 템플릿 제조 방법,이를 이용한 단일층 나노스피어 고분자 패턴 형성 방법 및상기 단일층 나노스피어 패턴을 이용한 응용방법
KR100988888B1 (ko) 2008-04-07 2010-10-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스피어를 이용한 2차원 광결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발광 소자
US7957621B2 (en) * 2008-12-17 2011-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extraction film with nanoparticle coatings
KR101563156B1 (ko) * 2009-01-13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587A (ja) * 2002-07-05 2005-10-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拡散反射板の製造方法
KR20050033020A (ko) * 2003-10-02 2005-04-0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사체 및 이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48512A (ko) * 2004-06-25 2006-05-18 소니 도이치린드 게엠베하 표면으로부터의 광 확산의 제어 및(또는) 번쩍임의 감소방법
KR20060024872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05561B2 (en) 2014-12-09
KR101662230B1 (ko) 2016-10-05
US20110235182A1 (en)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83058B (zh) 用于制造聚合物安全文件的改善的聚合物片材
US10302818B2 (en) Photonic crystal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nic crystal structure, reflective color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photonic crystal structure
US9025250B2 (en) Antireflection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apparatus
TWI538875B (zh) 表面電漿全彩影像超穎全像片
CN107003436A (zh) 用于闪烁减小的光学堆叠结构
CN112368610B (zh) 转印片、显色片、显色物品以及转印方法
US10151863B2 (en) Optical grating
CN111757808A (zh) 装饰构件及其制备方法
CN111065942B (zh) 衍射导光板和制造衍射导光板的方法
CN112118766A (zh) 装饰构件
KR101563156B1 (ko) 반사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3050204A (zh) 一种微透镜阵列基板、3d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US20170307783A1 (en) Optical element, optical composite element, and optical composite element having protective film
KR20120078395A (ko) 반사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62230B1 (ko) 반사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21179636A (ja) 光学デバイス、および光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140122336A (ko) 나노 구조체를 갖는 반사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4235890B2 (ja) 微粒子配列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反射型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1222855B1 (ko)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867822B (zh) 装饰构件
KR101854186B1 (ko) 광결정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광결정 구조체를 채용한 반사형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3727864B (zh) 具有磁性薄片和结构化衬底的光学器件
JP4752224B2 (ja) 微粒子層の形成方法及びスクリーン
KR20200114982A (ko) 패턴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패턴 시트의 제조 장치
TW201911598A (zh) 基板及光學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