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516A - 휴대형 무선 이펙터 - Google Patents

휴대형 무선 이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516A
KR20110107516A KR1020100026677A KR20100026677A KR20110107516A KR 20110107516 A KR20110107516 A KR 20110107516A KR 1020100026677 A KR1020100026677 A KR 1020100026677A KR 20100026677 A KR20100026677 A KR 20100026677A KR 20110107516 A KR20110107516 A KR 20110107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ffector
signal
sound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636B1 (ko
Inventor
안영준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안영준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준, 김재호 filed Critical 안영준
Priority to KR102010002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636B1/ko
Priority to PCT/KR2010/008549 priority patent/WO2011118900A1/ko
Publication of KR2011010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4Tun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6Means for processing the signal picked up from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315Dynamic effects for musical purposes, i.e. musical sound effects controlled by the amplitude of the time domain audio envelope, e.g. loudness-dependent tone color or musically desired dynamic range compression or expansion

Abstract

휴대형 무선 이펙터가 개시된다. 휴대형 무선 이펙터는 전자기타의 음향신호 및 외부 음원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공받는 입력부와, 음향신호에 대한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하는 컴프레서부와, 오버드라이브 및 디스토션 중 적어도 하나의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이펙터부와, 톤을 조정하는 톤 조정부와, 리버브 또는 딜레이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이펙터부와,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부와, 음원과 이펙트 처리된 음향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와,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와,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헤드폰부와, 별도로 마련된 이펙터 확장팩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펙터 확장부 및 이펙터 확장팩이 연결된 경우 이펙터 확장부를 통해 제공된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이펙터 확장팩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전자기타의 현을 조율하는 조율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무선 이펙터{Portable Wireless Effector}
본 발명은 이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편의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타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이펙터(effector)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나 파형 또는 지연시간 등을 변화시켜 다양한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펙터는 주로 컴팩트 페달형으로 불리우기도 하며, 컴프레서(compressor), 디스토션(distortion), 코러스(chorus), 딜레이(delay), 와우와우(wah-wah), 리버브(reverb), 오버드라이브(overdrive), 플랜저(flanger) 이펙터 등과 같이 각각의 이펙터가 별도의 음향 효과를 제공하며, 연주자들은 자신이 추구하는 독창적인 음색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독립적인 이펙터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기타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전자기타(10)와 복수의 이펙터(21 내지 23)가 유선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이펙터(21 내지 23)가 전자기타(10)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음향 특성으로 변화시켜 다양한 음향 효과가 더해진 음향 신호를 종단에 연결된 이펙터(23)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종단의 이펙터(23)와 연결된 기타앰프(30)는 제공된 음향신호를 증폭한 후 내장된 스피커(31)를 통해 출력한다.
도 1에서, 전자기타(10)에 연결된 이펙터들(21 내지 23)은 각각 DC 전원을 사용하고 무겁고 튼튼한 금속제의 외부 케이스에 수납되며 주로 바닥에 놓여져서 사용된다.
또한, 전자기타(10)는 전자악기의 특성상 음향을 증폭하고 출력하는 앰프 및 스피커(즉, 기타앰프(30))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연주자가 간단히 연주 연습을 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기타앰프와 이펙터를 구비하여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자기타의 연주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음향 효과를 생성하는 복수의 이펙터와 전용 기타앰프의 구입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고, 연습시마다 무겁고 부피가 큰 이펙터 및 기타앰프를 운반한 후 이를 설치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자기타에서 출력된 음은 복수의 이펙터를 통해 음향 효과를 추가한 후 최종적으로 기타앰프를 통해 음향을 증폭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가 상당히 커지게 되어 방음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가정에서는 충분한 음량으로 연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헤드폰 출력 기능을 내장한 이펙터가 제조되고 있으나, 상기 헤드폰 출력 기능을 내장한 이펙터 역시 하나의 이펙터 기능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서로 다른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펙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이펙터를 구비한 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헤드폰 출력 기능을 구비한 이펙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연주 연습시 음량 감소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은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소정의 이펙터에 헤드폰 출력 기능이 구비된다 하더라도 복수의 이펙터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최종단에 연결된 이펙터에 헤드폰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음향 효과가 더해진 최종 음향을 헤드폰을 통해 청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편의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는 전자기타의 음향신호 및 외부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음원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공받는 입력부와, 상기 음향신호에 대한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압축하는 컴프레서부와,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해 오버드라이브(overdrive) 이펙트 및 디스토션(distortion) 이펙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이펙터부와, 상기 제1 이펙터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한 톤을 조정하는 톤 조정부와, 상기 톤 조정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해 리버브(Reverb) 이펙트 또는 딜레이(Delay)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이펙터부와, 상기 제2 이펙터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의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음원과 상기 볼륨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와,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헤드폰부와, 별도로 마련된 이펙터 확장팩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펙터 확장부 및 상기 이펙터 확장팩이 연결된 경우 상기 이펙터 확장부를 통해 제공된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이펙터 확장팩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형 무선 이펙터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자기타의 음향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한 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조율부 및 상기 제어부의 표시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어 상기 전자기타의 조율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율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기타의 조율상태를 판단한 후 판단된 조율상태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무선 이펙터는 상기 톤 조정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의 소정 주파수를 조정한 후 상기 제2 이펙트부에 제공하는 이퀄라이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신부는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미리 설정된 FM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자기타에 체결되는 플러그 및 외부의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음원을 제공받기 위한 라인 입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펙터 확장부는 입력, 출력, 전원, 그라운드, 페달(Pedal) 신호 및 제어신호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펙터 확장팩은 상기 특정 이펙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와 이펙트 음원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확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상기 컴프레서부의 컴프레스 레벨, 상기 제1 이펙터부의 오버드라이브 레벨및 디스토션 레벨, 상기 톤 조정부의 톤 조정 레벨, 상기 제2 이펙터부의 리버브 레벨 또는 딜레이 레벨, 상기 볼륨부의 볼륨 레벨 및 상기 믹싱부의 믹싱 레벨을 특정 레벨설정모드와 대응시켜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상기 특정 레벨설정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레벨설정모드에 대응되어 저장된 레벨 설정값으로 해당 구성요소의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는 전자기타의 음향신호 및 음원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공받는 입력부와,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한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압축하는 컴프레서부와,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해 오버드라이브(overdrive) 이펙트 및 디스토션(distortion) 이펙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이펙터부와,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한 톤을 조정하는 톤 조정부와,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해 리버브(Reverb) 이펙트 또는 딜레이(Delay)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이펙터부와, 제공된 음향신호의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음원과 이펙트 처리된 상기 전자기타의 음향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와,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헤드폰부와, 별도로 마련된 이펙터 확장팩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펙터 확장부 및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입력된 상기 전자기타의 음향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이펙트 모드에 상응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부, 상기 컴프레서부, 상기 제1 이펙터부, 상기 톤 조정부, 상기 제2 이펙터부, 상기 볼륨부 및 상기 믹싱부의 입력 또는 출력 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따르면, 전자기타의 음향신호에 대해 컴프레서, 오버드라이브, 디스토션, 톤 컨트롤, 이퀄라이즈, 리버브, 딜레이 등의 다양한 이펙트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음원과 이펙트 처리된 전자기타 음향을 믹싱할 수 있다. 또한, 이펙트 처리된 음향 신호를 F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FM 수신기능을 구비한 일반적인 장치를 통해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헤드폰 출력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연주 환경에 따라 헤드폰을 통해 이펙트 처리된 음향 신호를 청취할 수도 있다. 또한, 조율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조율기(tuner)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전자기타의 조율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음원을 FM 무선 신호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MP3 파일 등과 같은 일반적인 음원의 무선 송신 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는 상술한 이펙터 기능, 조율 기능, FM 무선 송신 기능을 하나의 휴대형 장치에 구비하고, 전자기타와 직접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편의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마련된 외부 이펙터 확장팩을 장착할 수 있도록 이펙터 확장부를 구비함으로써 고가의 전용 이펙터 장치를 구입하지 않고도 이펙터 확장팩을 통해 다양한 추가 이펙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기타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부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부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100)는 입력부(101), 컴프레서부(103), 제1 이펙터부(105), 톤 조정부(107), 이퀄라이즈부(109), 제2 이펙터부(111), 볼륨부(113), 믹싱부(115), 무선 송신부(117),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 조율부(121), 제어부(123), 표시부(125), 이펙터 확장부(127) 및 전원부(129)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이펙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이펙터 확장팩(150)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소정 이펙트 확장팩(150)이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101)는 전자 악기(예를 들면, 전자기타) 및/또는 일반적인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음원 소스를 제공받고, 전자 악기로부터 제공된 입력은 컴프레서부(103)에 제공하고,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음원 소스는 믹싱부(115)에 제공한다. 여기서, 전자 악기는 예를 들어 전자기타가 될 수 있고, 입력부(101)는 전자기타로부터 음향신호를 제공받기 위해 직경이 약 6mm인 플러그(101a)를 구비하여 전자기타에 마련된 단자에 직접 체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음원 제공 장치는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PMP, 컴퓨터, 반주기 등의 음원 제공이 가능한 모든 장치가 될 수 있고, 입력부(101)는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음원을 제공받기 위한 라인 입력(line input) 단자(예를 들면, 3.5mm 직경의 스테레오 잭)(10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형 무선 이펙터(100)의 입력부(101)에 마련된 플러그(101a)가 전자기타에 체결되어 전자기타로부터 음향신호를 제공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전자기타의 음향 신호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50mV 내지 500mV의 미약한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전자기타의 음향 신호는 컴프레서부(103)로 제공된다.
컴프레서부(103)는 입력부(101)를 통해 제공된 음향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압축하고,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신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예를 들면 약 30배)만큼 증폭한 후 제1 이펙터부(105)에 제공한다. 여기서, 다이나믹 레인지의 압축값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을 적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가변저항에 연결된 별도의 조정 노브(knob)를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케이스에 마련하여 사용자가 조정한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1 이펙터부(105)는 오버드라이브(overdrive) 및 디스토션(distortion) 이펙트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컴프레서부(103)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에 오버드라이브 및/또는 디스토션 이펙트 처리를 수행한 후 톤 조정부(107)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오버드라이브 레벨 및 디스토션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을 적용할 수도 있고,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케이스에 조정 노브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조정한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외부에 반고정 저항과 연결된 조정 노브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조정 노브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경우에는 조정 노브의 회전 각도에 상응하여 디스토션 레벨은 높이고 오버드라이브 레벨은 낮추고, 사용자가 상기 조정 노브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이는 경우에는 조정 노브의 회전 각도에 상응하여 오버드라이브 레벨은 높이고 디스토션 레벨은 낮추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이펙터부(105)에서 처리된 음향신호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신호 레벨(예를 들면 1V) 이상의 신호는 클리핑(Clipping)되어 전자기타 특유의 음향 효과가 생성된다.
톤 조정부(107)는 제1 이펙터부(105)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한 톤을 조정한 후 이퀄라이즈부(109)에 제공한다. 여기서, 톤 조정부는 미리 설정된 값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조정값에 상응하여 음향 신호의 톤을 조정할 수 있고,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역이 강조되거나 반대로 고역이 강조되지 않은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이퀄라이즈부(109)는 톤 조정부(107)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에 대해 소정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음색을 결정한다. 여기서, 조정되는 주파수 및 조정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을 적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정한 값에 상응하여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퀄라이즈부(109)를 통해 처리된 음향은 도 4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의 음이 강조되거나 약화되어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개발자가 추구하는 음향으로 튜닝된다. 따라서, 음향의 튜닝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이퀄라이즈부(109)의 기능은 생략될 수도 있다. 만약, 이퀄라이즈부(109)의 기능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톤 조정부(107)의 출력은 제2 이펙터부(111)에 직접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제2 이펙터부(111)는 공간계 이펙트 기능인 리버브(reverb) 및 딜레이(delay) 이펙트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리버브 및 딜레이는 케이스에 마련된 선택 스위치를 통하여 어느 하나의 이펙트 기능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선택된 리버브 또는 딜레이 기능의 레벨 설정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을 적용하거나 외부 케이스에 마련된 조정 노브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값이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펙터부(11)의 처리를 통해 리버브 또는 딜레이 효과가 추가되면 음향의 크기는 작아지더라도 울림이나 잔향등과 같은 공간감 있는 음향이 생성된다.
볼륨부(113)는 제2 이펙터부(111)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의 음량을 조절한다. 여기서, 볼륨 레벨은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케이스에 마련된 볼륨 조정 노브를 통해 사용자가 조정한 값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믹싱부(115)는 입력부(101)의 라인 입력 단자(101b)를 통해 제공된 음원 소스와 볼륨부(113)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를 믹싱한 후 무선 송신부(117) 및/또는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에 제공한다. 여기서, 믹싱 비율은 미리 설정된 고정비율이 적용될 수도 있고, 케이스에 별도로 마련된 조정 노브를 통해 사용자가 조정한 값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송신부(117)는 믹싱부(115)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 송신부(117)는 예를 들어, FM 송신부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FM 주파수를 사용할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FM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FM 주파수 조작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의 (h)는 무선 송신부(117)가 FM 송신부로 구성된 경우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무선 송신부(117)는 상술한 FM 송신부 이외에도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도 있다.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는 헤드폰 단자 및 라인출력단자를 구비하고, 믹싱부(115)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처리하여 헤드폰 단자 및 라인출력단자로 제공한다.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는 헤드폰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믹싱부(115)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전력 증폭을 하게 되므로 도 4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은 몇 배 정도 증폭이 된다. 또한,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는 임피던스가 낮은 헤드폰을 구동할 수 있도록 전류 증폭도 같이 수행하게 된다.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에 구비된 헤드폰 단자 및 라인출력단자는 공통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고, 헤드폰 및 라인출력단자에 헤드폰 플러그 또는 라인 플러그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선송신부(117)의 기능은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율부(121)는 C급 증폭을 수행하는 C-증폭부(121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C-증폭부(121a)는 도 4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101)로부터 제공된 전자기타의 특정 현(string)에 대한 음향 신호를 증폭한 후,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어부(123)에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전자기타로부터 제공되는 음향 신호는 수십 mV에서 수백 mV로 아주 작은 크기를 가지고 많은 하모닉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되는 전자기타의 음향신호를 증폭하고 전자기타의 음향신호에 포함된 잡음 성분을 제거하여 깨끗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123)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123)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음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3)는 조율부(121)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조율 상태를 판단한 후 판단된 조율 상태(예를 들면, 낮음, 정확, 높음)가 표시부(125)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표시부(125)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타의 조율 대상 현이 '라'음에 대한 개방현인 경우 제어부(123)는 조율부(121)로부터 제공된 '라'음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분석된 주파수가 '라' 음의 기준 주파수(예를 들면 440Hz)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표시부(125)에 포함된 해당 표시 소자(즉, 피치가 낮음 또는 높음을 지시하는 표시 소자)가 점등되도록 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표시부(125)에 제공한다.
제어부(123)는 이펙트 모드 및 조율 모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에 상응하여 선택된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선택되지 않은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케이스에 마련된 모드 조정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동작 모드를 이펙트 모드로 선정한 경우에는 제어부(123)는 입력부(101)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컴프레서부(103)로 제공되도록 제어하여 도 2의 도시된 기능블록 105 내지 115를 거쳐 무선 송신부(117) 또는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로 이펙트 처리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는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조율 모드로 선택한 경우, 제어부(123)는 입력부(101)에서 출력되는 전자기타의 음향신호가 조율부(121)로 제공되도록 제어하여 조율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23)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3)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동작 여부를 모니터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분) 이상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포함된 구성요소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하지 않는 각 구성요소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킨다.
도 2에서 컴프레서부(103), 제1 이펙터부(105), 톤 조정부(107), 이퀄라이즈부(109), 제2 이펙터부(111), 볼륨부(113) 및 믹싱부(115)의 레벨 조정을 위한 가변저항이 디지털 가변저항으로 구성되고, 각 구성요소(103 내지 115)의 레벨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경우, 제어부(117)는 각 구성요소의 설정 값을 특정 레벨설정모드와 대응시켜 저장한 후, 사용자가 상기 특정 레벨설정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레벨설정모드에 대응되어 저장된 각 구성요소의 레벨값으로 해당 구성요소의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주하는 음악별로 도 2에 도시한 각 구성요소(103 내지 115)의 레벨을 각각 다르게 설정한 경우에도, 상술한 레벨설정모드 기능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는 음악별로 각각 다르게 설정된 각 구성요소의 레벨값을 기억할 필요 없이 음악에 대응되는 레벨설정모드만 기억하고 선택하면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어부(123)는 이펙터 확장부(123)에 별로도 구성된 이펙터 확장팩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연결된 이펙터 확장팩으로부터 제공된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이펙터 확장팩 및/또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포함된 해당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3)는 이펙터 확장팩으로부터 볼륨 조정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이에 상응하여 상기 이펙터 확장팩에 포함된 이펙트 기능의 볼륨 레벨을 설정한다. 또는, 이펙터 확장팩으로부터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포트를 통해 페달 신호가 제공되면 이에 상응하여 이펙터 확장부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페달 조작에 상응하는 이펙트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표시부(125)는 예를 들어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될 수 있고,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동작 모드가 조율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23)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해당 발광다이오드가 점등됨으로써 조율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23)에 구비된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는 각각 음조(또는 pitch)가 낮음, 정확, 높음을 표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표시부(125)는 특정 크기를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상응하여 조율 상태뿐만 아니라 휴대형 무선 이펙터 장치의 동작 모드나 동작 상태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펙터 확장부(127)는 도 2에 도시한 휴대형 무선 이펙터(100)에 구성된 이펙터 기능 이외에 별도의 추가적인 음향 효과가 필요한 경우 별도로 마련된 해당 이펙터 확장팩(15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펙터 확장부(127)에 구비된 접속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펙터 확장팩에 필요한 입력 신호(MIXERL, MIXERR), 출력 신호(INL, INR), 전원(VCC, 3.3V), 디지털 및 아날로그 그라운드(GND, GNDA), 페달 신호들(PEDAL1, PEDAL2) 및 제어부(123)에서 제어시 필요한 신호들(RSV1~4)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부(129)는 일반적인 상용 배터리(예를 들면, AAA 배터리) 또는 충전용 2차 전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DC-DC 업 컨버터(up converter)를 구비하여 입력된 전원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한 후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각 구성요소에 제공한다.
이펙터 확장팩(150)은 휴대형 무선 이펙터(100)에 구비되지 않은 추가적인 이펙터 기능을 구비하고, 이펙터 확장부(127)를 통해 휴대형 무선 이펙터(100)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각 이펙터 확장팩(150)은 코러스(chorus), 와우와우(wah-wah) 또는 플랜저(flanger) 등의 이펙트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하나의 이펙터 확장팩(150)은 하나의 이펙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이펙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펙터 확장팩(150)은 특정 이펙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및 이펙트 음원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이펙트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레벨 조정 노브 및 페달 등의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확장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2에 도시된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포함된 복수의 음향 효과 중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음향 효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무선 이펙터(100-1)는 입력부(101-1), 컴프레서부(103-1), 제1 이펙터부(105-1), 톤 조정부(107-1), 이퀄라이즈부(109-1), 제2 이펙터부(111-1), 볼륨부(113-1), 믹싱부(115-1), 무선 송신부(117),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 스위칭부(120), 조율부(121-1), 제어부(123-1), 저장부(124), 표시부(125), 모드 설정부(126), 이펙터 확장부(127-1) 및 전원부(129)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이펙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외부 이펙터 확장팩(150)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소정 이펙트 확장팩(150)이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101-1)는 전자기타 및/또는 일반적인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음원 소스를 제공받고, 전자기타로부터 제공된 입력은 스위칭부(120)에 제공하고,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음원 소스는 믹싱부(115-1)에 제공한다. 여기서, 입력부(101-1)는 전자기타로부터 음향신호를 제공받기 위해 직경이 약 6mm인 플러그(101a)를 구비하여 전자기타에 마련된 단자에 직접 체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음원 제공 장치는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PMP, 컴퓨터, 반주기 등의 음원 제공이 가능한 모든 장치가 될 수 있고, 입력부(101-1)는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음원을 제공받기 위한 라인 입력(line input) 단자(예를 들면, 3.5mm 직경의 스테레오 잭)(101b)를 구비할 수 있다.
컴프레서부(103-1)는 제공된 음향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압축하고, 음향신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예를 들면 약 30배)만큼 증폭한 후 스위칭부(120)에 제공한다. 여기서, 다이나믹 레인지의 압축값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을 적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정한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1 이펙터부(105-1)는 오버드라이브(overdrive) 및 디스토션(distortion) 이펙트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제공된 음향신호에 오버드라이브 및/또는 디스토션 이펙트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오버드라이브 레벨 및 디스토션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을 적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정한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1 이펙터부(105-1)에서 처리된 음향신호는 특정 신호 레벨(예를 들면 1V) 이상의 신호는 클리핑(Clipping)되어 전자기타 특유의 음향 효과가 생성된다.
톤 조정부(107-1)는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한 톤을 조정한다. 여기서, 톤 조정부(107-1)는 미리 설정된 값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조정값에 상응하여 음향 신호의 톤을 조정할 수 있다.
이퀄라이즈부(109-1)는 제공된 음향 신호에 대해 소정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음색을 결정한다. 여기서, 조정되는 주파수 및 조정 레벨은 미리 설정된 값을 적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정한 값에 상응하여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이펙터부(111-1)는 공간계 이펙트 기능인 리버브(reverb) 및 딜레이(delay) 이펙트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리버브 및 딜레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상응하여 어느 하나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선택된 리버브 또는 딜레이 기능의 레벨 설정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을 적용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값이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볼륨부(113-1)는 음향 신호의 음량을 조절한다. 여기서, 볼륨 레벨은 사용자가 조정한 값에 따라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믹싱부(115-1)는 입력부(101-1)의 라인 입력 단자(101b)를 통해 제공된 음원 소스와 스위칭부(120)를 통해 제공된 음향 신호를 믹싱한 후 무선 송신부(117) 및/또는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에 제공한다. 여기서, 믹싱 비율은 미리 설정된 고정비율이 적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조정한 값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송신부(117) 및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119)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한 동일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스위칭부(120)는 제어부(123-1)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입력부(101-1)를 통해 입력된 전자기타의 음향신호에 대한 이펙트 신호 경로를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20)는 입력부(101-1), 컴프레서부(103-1), 제1 이펙터부(105-1), 톤 조정부(107), 이퀄라이즈부(109-1), 제2 이펙터부(111-1), 볼륨부(113-1)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선택적으로 스위칭 함으로써 이펙트 신호 경로를 구성한 후, 최종 출력은 믹싱부에 제공한다. 즉, 스위칭부(120)는 제어부(123-1)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신호 경로를 스위칭하여 믹싱부(115-1)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펙트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조율부(121-1)는 C급 증폭을 수행하는 C-증폭부(121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C-증폭부(121a)는 스위칭부(120)를 통해 입력부(101-1)로부터 제공된 전자기타의 특정 현(string)에 대한 음향 신호를 증폭한 후,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어부(123-1)에 제공한다.
제어부(123-1)는 조율부(121-1)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조율 상태를 판단한 후 판단된 조율 상태가 표시부(125)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표시부(125)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23-1)는 이펙트 모드 및 조율 모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에 상응하여 선택된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선택되지 않은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조율 모드로 선택한 경우, 제어부(123-1)는 입력부(101-1)에서 출력되는 전자기타의 음향신호가 조율부(121-1)로 제공되도록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을 제어한 후 조율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제어부(123-1)는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이펙트 모드로 선택하고, 미리 마련된 복수의 이펙트 모드 중 소정 이펙트 모드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이펙트 모드에 상응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이펙트 모드에 상응하는 신호 경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프레서부(103-1), 제1 이펙터부(105-1) 및 제2 이펙터부(111-1)만 동작하는 특정 이펙터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23-1)는 전자기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이펙트 신호 경로가 입력부(101-1)-컴프레서부(103-1)-제1 이펙터부(105-1)-제2 이펙터부(111-1)-믹싱부(115-1)로 형성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3-1)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3-1)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동작 여부를 모니터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분) 이상 휴대형 무선 이펙터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각 구성요소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킨다.
또한, 제어부(123-1)는 도 5에 도시한 각 구성요소(103-1 내지 115-1)의 레벨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경우, 각 구성요소의 설정 값을 특정 레벨설정모드와 대응시켜 저장부(124)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상기 특정 레벨설정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레벨설정모드에 대응되어 저장된 각 구성요소의 레벨값으로 해당 구성요소의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3-1)는 이펙터 확장부(123-1)에 별로도 구성된 이펙터 확장팩(150)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120)를 제어하여 이펙터 확장팩의 이펙트 기능이 신호 경로에 포함되도록 제어하고, 이펙터 확장팩으로부터 제공된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이펙터 확장팩 및/또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포함된 해당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저장부(124)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레벨 설정값 등과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파라미터값들리 저장될 수 있다.
표시부(125)는 제어부(123-1)의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조율 상태를 표시하거나, 휴대형 무선 이펙터 장치의 동작 모드나 동작 상태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모드 설정부(125)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스위치나 버튼 또는 실렉터(selector)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123-1)에 제공한다.
이펙터 확장부(127-1)는 이펙터 확장팩(15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펙터 확장부(127-1)에 구비된 접속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전원부(129)는 일반적인 상용 배터리 또는 충전용 2차 전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DC-DC 업 컨버터를 구비하여 입력된 전원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한 후 휴대형 무선 이펙터의 각 구성요소에 제공한다.
이펙터 확장팩(150)은 도 2에 도시한 동일 부호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101-1 : 입력부 103, 103-1 : 컴프레서부
105, 105-1 : 제1 이펙터부 107, 107-1 : 톤 조정부
109, 109-1 : 이퀄라이즈부 111, 111-1 : 제2 이펙터부
113, 113-1 : 볼륨부 115, 115-1 : 믹싱부
117 : 무선송신부 119 : 헤드폰 및 라인출력부
120 : 스위칭부 121, 121-1 : 조율부
123, 123-1 : 제어부 124 : 저장부
125 : 표시부 126 : 모드 설정부
127, 127-1 : 이펙터 확장부 150 : 이펙터 확장팩

Claims (10)

  1.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있어서,
    전자기타의 음향신호 및 외부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된 음원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공받는 입력부;
    상기 음향신호에 대한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압축하는 컴프레서부;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해 오버드라이브(overdrive) 이펙트 및 디스토션(distortion) 이펙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이펙터부;
    상기 제1 이펙터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한 톤을 조정하는 톤 조정부;
    상기 톤 조정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해 리버브(Reverb) 이펙트 또는 딜레이(Delay)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이펙터부;
    상기 제2 이펙터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의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음원과 상기 볼륨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헤드폰부;
    별도로 마련된 이펙터 확장팩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펙터 확장부; 및
    상기 이펙터 확장팩이 연결된 경우 상기 이펙터 확장부를 통해 제공된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이펙터 확장팩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무선 이펙터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자기타의 음향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한 후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조율부; 및
    상기 제어부의 표시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어 상기 전자기타의 조율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율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기타의 조율상태를 판단한 후 판단된 조율상태에 상응하는 상기 표시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무선 이펙터는
    상기 톤 조정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의 소정 주파수를 조정한 후 상기 제2 이펙트부에 제공하는 이퀄라이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부는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미리 설정된 FM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자기타에 체결되는 플러그 및 외부의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음원을 제공받기 위한 라인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 확장부는
    입력, 출력, 전원, 그라운드, 페달(Pedal) 신호 및 제어신호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 확장팩은
    상기 특정 이펙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와 이펙트 음원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확장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상기 컴프레서부의 컴프레스 레벨, 상기 제1 이펙터부의 오버드라이브 레벨및 디스토션 레벨, 상기 톤 조정부의 톤 조정 레벨, 상기 제2 이펙터부의 리버브 레벨 또는 딜레이 레벨, 상기 볼륨부의 볼륨 레벨 및 상기 믹싱부의 믹싱 레벨을 특정 레벨설정모드와 대응시켜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상기 특정 레벨설정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레벨설정모드에 대응되어 저장된 레벨 설정값으로 해당 구성요소의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9. 휴대형 무선 이펙터에 있어서,
    전자기타의 음향신호 및 음원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공받는 입력부;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한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압축하는 컴프레서부;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해 오버드라이브(overdrive) 이펙트 및 디스토션(distortion) 이펙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이펙터부;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한 톤을 조정하는 톤 조정부;
    제공된 음향신호에 대해 리버브(Reverb) 이펙트 또는 딜레이(Delay) 이펙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이펙터부;
    제공된 음향신호의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음원과 이펙트 처리된 상기 전자기타의 음향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믹싱부로부터 제공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헤드폰부;
    별도로 마련된 이펙터 확장팩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펙터 확장부; 및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입력된 상기 전자기타의 음향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이펙트 모드에 상응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부, 상기 컴프레서부, 상기 제1 이펙터부, 상기 톤 조정부, 상기 제2 이펙터부, 상기 볼륨부 및 상기 믹싱부의 입력 또는 출력 신호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1020100026677A 2010-03-25 2010-03-25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101137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677A KR101137636B1 (ko) 2010-03-25 2010-03-25 휴대형 무선 이펙터
PCT/KR2010/008549 WO2011118900A1 (ko) 2010-03-25 2010-12-01 휴대형 무선 이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677A KR101137636B1 (ko) 2010-03-25 2010-03-25 휴대형 무선 이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516A true KR20110107516A (ko) 2011-10-04
KR101137636B1 KR101137636B1 (ko) 2012-04-19

Family

ID=4467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677A KR101137636B1 (ko) 2010-03-25 2010-03-25 휴대형 무선 이펙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7636B1 (ko)
WO (1) WO201111890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80B1 (ko) * 2012-08-23 2014-03-03 이승재 기타 이펙터용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WO2014074091A1 (en) * 2012-11-06 2014-05-15 Fxconnectx, Llc Ultimate flexibility wireless system for remote audio effects pedals
WO2014077537A1 (ko) * 2012-11-15 2014-05-22 Lee Seung Jae 기타 이펙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US9012748B2 (en) 2012-11-06 2015-04-21 Fxconnectx, Llc Ultimate flexibility wireless system for remote audio effects pedals
KR101514818B1 (ko) * 2014-03-19 2015-07-02 김상길 전기기타용 이펙터
US9226064B2 (en) 2013-03-12 2015-12-29 Fxconnectx, Llc Wireless switching of effects pedals with status updates
WO2018062814A1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WO2018062813A1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재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866B1 (ko) * 2016-08-16 2018-05-18 이승재 기타 이펙터
CN109614070A (zh) * 2018-12-12 2019-04-12 宁波市江北雪海音响有限公司 一种一体式ktv声响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9267B2 (en) * 2001-06-15 2006-10-10 Yamaha Corporation Portable mixing recorder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558333B1 (ko) * 2004-05-18 2006-03-07 서진효 마이크 이펙트 장치
KR100537670B1 (ko) * 2005-03-31 2005-12-19 주식회사 한국뮤즈 디지털 앰프
KR100956029B1 (ko) * 2008-10-20 2010-05-06 주식회사 엔터기술 악기연주 연습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80B1 (ko) * 2012-08-23 2014-03-03 이승재 기타 이펙터용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WO2014074091A1 (en) * 2012-11-06 2014-05-15 Fxconnectx, Llc Ultimate flexibility wireless system for remote audio effects pedals
US9012748B2 (en) 2012-11-06 2015-04-21 Fxconnectx, Llc Ultimate flexibility wireless system for remote audio effects pedals
WO2014077537A1 (ko) * 2012-11-15 2014-05-22 Lee Seung Jae 기타 이펙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CN104885147A (zh) * 2012-11-15 2015-09-02 李承宰 一种吉他效果器模块及应用该模块的多联吉他效果器
US9633639B2 (en) 2012-11-15 2017-04-25 Seung Jae Lee Guitar effector module, and multi-type guitar effector using same
US9226064B2 (en) 2013-03-12 2015-12-29 Fxconnectx, Llc Wireless switching of effects pedals with status updates
KR101514818B1 (ko) * 2014-03-19 2015-07-02 김상길 전기기타용 이펙터
WO2015141938A1 (ko) * 2014-03-19 2015-09-24 김상길 전기기타용 이펙터
WO2018062814A1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WO2018062813A1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재 휴대폰을 이용한 기타 이펙터 루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8900A1 (ko) 2011-09-29
KR101137636B1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636B1 (ko) 휴대형 무선 이펙터
JP5258796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等化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219344B2 (ja) 電子楽器および電子音楽デバイスからの入力を組合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070234880A1 (en) Standalone electronic module for use with musical instruments
US20060159291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audio sou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200236456A1 (en) Headphones for processing microphone, musical instrument, and audio signals
US8565451B2 (en) Audio signal output device
US10412477B2 (en) High fidelity, professional grade microphone system for direct coupling to recording components
US11030985B2 (en) Musical instrument special effects device
WO2020217489A1 (ja) チューニング装置
KR101023889B1 (ko) 에코기능을 갖는 마이크 음향 효과장치
JP3102077U (ja) ギターアンプ
JP2021081627A (ja) 電子機器
CN216982043U (zh) 一种便携式乐器音箱
JP2008511029A (ja) 特にギターアンプである楽器用アンプ
CN210609667U (zh) 便捷红外受控蓝牙音频输出切换装置
CN109586739B (zh) 用于乐器的无线接收机
KR20140048507A (ko)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KR100537670B1 (ko) 디지털 앰프
US20230290324A1 (en) Sound processing system and sound processing method of sound processing system
CN109586738B (zh) 用于乐器的无线接收机
TWI399101B (zh) 預先調校型音響等化裝置
CN201725558U (zh) 吉他
KR200235861Y1 (ko) 음악 연습용 헤드폰 마이크셋
Rogers Your Band's First Gig: Getting the Sound R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