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818B1 - 전기기타용 이펙터 - Google Patents

전기기타용 이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818B1
KR101514818B1 KR1020140032065A KR20140032065A KR101514818B1 KR 101514818 B1 KR101514818 B1 KR 101514818B1 KR 1020140032065 A KR1020140032065 A KR 1020140032065A KR 20140032065 A KR20140032065 A KR 20140032065A KR 101514818 B1 KR101514818 B1 KR 101514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or
cover
present
ca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길
Original Assignee
김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길 filed Critical 김상길
Priority to KR102014003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818B1/ko
Priority to PCT/KR2015/000568 priority patent/WO20151419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8Switches actuated by parts of the body other than fin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펙터에 손으로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구성함으로써, 연주 전에 여러 가지 효과에 맞게 조절한 버튼(또는 스위치)을 보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번 설정한 설정 값을 연주가 끝날 때까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이펙트(효과)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버튼(또는 스위치)을 보호할 수 있게 한 전기기타용 이펙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덮개를 회전 캠과 고정 캠으로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가 조절되는 4절 링크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덮개를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림과 닫힘 위치가 고정되므로 안전하고 여닫을 수 있게 한 전기기타용 이펙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전기기타용 이펙터{EFFECTOR FOR ELECTRIC GUITAR}
본 발명은 전기기타용 이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이나 악기 음 그리고 영상 등의 신호를 조절하는 설정 스위치 위에 4절 링크 구조, 특히 회전 캠과 고정 캠을 이용하여 여닫이 가능한 덮개를 구성함으로써, 공연 중에 설정 스위치이 임의로 조작되거나 연주자의 발에 파손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타를 연주하는 데 사람의 음성·악기 음·비디오 영상 등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처음에는 없었던 여러 가지 효과를 연출하기 위하여 이펙터(Effector)를 이용한다.
이펙터는 크게 영상·음향 엔지니어가 혼합(mixing)하는 데 사용하는 대형 이펙터와 연주자가 전기·전자 악기와 증폭기(Amplifier) 사이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소형 이펙터가 있다. 이펙터의 종류로는 코러스(chorus)·이퀄라이저(equalizer)·컴프레서(compressor)·디스토션(distortion) 및 딜레이(delay) 등이 대표적이다. 용도별로 이펙터를 구분하면, 음색변환장비(그래픽 이퀄라이저·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시간제어장비(플랜저·피치시프터·리버브), 음량제어장비(리미터·노이즈게이트) 등으로 나뉜다. 기타 이펙터 장비로는 3D 프로세서·익사이터·디엣서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기타 연주를 위하여 연주자가 직접 사용하는 소형 이펙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모듈 형태로 제작한다. 도 1의 이펙터는 베이스 이펙터(비특허문헌 1)로서, 윗면에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도 1의 상부에 로터리 방식의 "DEPTH" 조절 버튼과 "RATE" 조절 버튼·이들 버튼 사이에 푸쉬 버튼 타입의 "MODE" 버튼·그리고 하부 측에 온/오프 타입의 풋 스위치를 갖춘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 2에는 비특허문헌 2의 멀티 이펙터로서, 도면의 상부와 좌우로 로터리 타입의 "VOL" 스위치와 "DIST" 스위치·이들 스위치 아래에 "SCOOP"·그 아래 온/오프 타입의 풋 스위치를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하지만, 종래의 이펙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연주자가 연주하는 도중에 사용하는 풋 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스위치는 연주하기 전에 미리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고 사용하는 데, 연주 도중에 이 설정 값이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2) 예를 들어, 연주자가 연주하다가 풋 스위치를 온/오프 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다른 버튼(또는 스위치)을 조작하는 경우가 생기고, 이는 연주자가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3) 또한, 이처럼 버튼(또는 스위치)이 이펙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연주자가 연주하는 도중에 발로 밞음에 따라 버튼(또는 스위치)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버즈비(buzzbee) 사의 홈페이지에 게재한 베이스 이펙터 이미지 (http://www.buzzbee.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231&category=003003) 인터파크에 게재된 (멀티) 이펙트 이미지 (http://www.interpark.com/product/MallDisplay.do?_method=Detail&ns1=list&ns2=oldList&ns3=prd&sc.shopNo=0000100000&sc.dispNo=008001&sc.prdNo=135684619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이펙터에 손으로 여닫을 수 있는 덮개를 구성함으로써, 연주 전에 여러 가지 효과에 맞게 조절한 버튼(또는 스위치)을 보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번 설정한 설정 값을 연주가 끝날 때까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이펙트(효과)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버튼(또는 스위치)을 보호할 수 있게 한 전기기타용 이펙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덮개를 회전 캠과 고정 캠으로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가 조절되는 4절 링크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덮개를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림과 닫힘 위치가 고정되므로 안전하고 여닫을 수 있게 한 전기기타용 이펙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용 이펙터는, 한 면에 적어도 하나의 풋 스위치(110)와 적어도 하나의 설정 스위치(120)가 갖춰진 보디(100);를 포함하는 전기기타용 이젝터에 있어서, 상기 보디(100)에는 설정 스위치(120)를 감싸도록 덮개(130)가 장착되고, 상기 덮개(130)에는 보디(100)와의 사이에 4절 링크 구조(L)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4절 링크 구조(L)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링크(200b)에는 그 회전축(220b)에 힌지(210)를 갖추되, 상기 힌지(210)는, 상기 회전축(220b)에 설치한 두 개의 회전 캠(211)·상기 각 회전 캠(211)과 맞물리도록 회전축(220b)에 끼워진 고정 캠(212)·회전축(220b)에 끼워져서 각 고정 캠(212)이 회전 캠(211)과 맞물리도록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탄성 스프링(213) 및 상기 고정 캠(21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해 주기 위한 두 개의 캡(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보디(100)의 윗면에는, 상기 보디(100)와 덮개(130)를 연결하는 상기 4절 링크 구조(L)의 두 개의 링크(200a,200b)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축(220a,220b)을 설치하기 위한 자리면(140a,140b)이 형성되고, 이 자리면(140a,140b)의 바깥쪽에는 상기 각 링크(200a,200b)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141a,141b)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130)는 금속 재질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펙터는, 버퍼(Buffer)·부스터(Booster)·오버드라이브(Overdrive)·디스토션(Distortion)·컴프레셔(Compressor)·페이져(Phaser)·코러스(Chorus)·퍼즈(Fuzz)·딜레이(Delay)·트레몰로(Tremolo)·옥타버(Octaver)·피라메트릭이퀄아이저(Para EQ) 및 오토와우(Auto Wah)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 이펙터 또는 적어도 2가지의 기능의 멀티 이펙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는 전기기타용 이펙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설정 스위치로 이펙트(효과)를 설정한 다음 덮개로 덮어 둠으로써, 한번 설정한 설정 값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
(2) 이는 연주자가 공연 도중에 발 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펙터를 건드리더라도 설정 스위치의 설정 값이 변하지 않아 원하는 이펙트(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또한, 연주자가 공연하는 동안에 발로 본 발명에 따른 이펙터를 밞거나 풋 스위치 조절을 잘못하는 경우에도 이펙터가 쉽게 파손되지 않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4)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펙터는 금속 재질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조하므로 그 자체의 강성을 높여 파손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모양도 쉽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5) 회전 캠과 고정 캠으로 덮개의 여닫이 위치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4절 링크 구조를 채택하므로, 덮개의 여닫이 동작이 정확할 뿐만 아니라 쉽고 안정적으로 여닫을 수 있다.
도 1은 비특허문헌 1에 게재된 단일 이펙터의 이미지.
도 2는 비특허문헌 2에 게재된 멀티 이펙터의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펙터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펙터의 덮개와 이 덮개를 작동시켜 주는 4절 링크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단면한 이펙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4절 링크 구조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펙트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4절 링크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한쪽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4절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덮개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4절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덮개가 열려가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용 이펙터는, 도 3 내지 도 8과 같이, 풋 스위치(110)과 설정 스위치(120)가 갖춰진 보디(100)에 덮개(130)를 더 구성하여 설정 스위치(12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설정 값이 바뀌거나 설정 스위치(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덮개(130)가 회전 캠(211)과 고정 캠(212)을 이용한 4절 링크 구조(L)로 여닫힘이 이루어지게 하여 정확하면서도 원활한 여닫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디(1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펙터 전체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이펙트(효과)를 얻기 위한 회로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보디(100)에는 전기기타와 앰프 등을 연결하기 위한 인풋과 아웃풋 컨넥터(C)가 갖춰진다. 도면에서는 이펙터 전체의 형상을 안면을 형상화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컨넥터(C)는, 예시적으로 귀 부분에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보디(100)에는 한 면,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윗면에 하나의 풋 스위치(110)와 두 개의 설정 스위치(120)가 구성된다. 여기서, 풋 스위치(110)는, 통상적으로 온/오프 타입의 스위치이며, 설정 스위치(120)는 이펙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얻고자 하는 효과를 내는 데 필요한 설정 값을 설정하는 데 사용한다. 이런 풋 스위치(110)와 설정 스위치(120)는 이펙터를 사용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하며, 얻고자 하는 효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디(100)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설정 스위치(120)를 감싸도록 여닫을 수 있게 덮개(130)를 구성한다. 이때, 덮개(130)는 4절 링크 구조(L)를 이용하여 여닫게 되는 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디(100)에는, 도 4·도 5·도 7 및 도 8과 같이, 4절 링크 구조(L)를 구성하는 두 개의 링크(200a,200b)를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자리면(140a,140b)을 형성한다.
여기서, 하나의 자리면(140a)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하나의 링크(200a)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축(220a)이 회전할 수 있게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자리면(140b)은 나머지 링크(200b)의 회전축(220b)에 장착하는 힌지(210)의 캡(214)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끼워져서 이 회전축(220b)을 회전 지지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힌지(210)의 구성에 대해서는 4절 링크 구조(L)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42"는, 이들 자리면(140a,140b)에 링크(200a,200b)의 회전축(220a,220b)이 나란하게 놓인 상태에서 이들 회전축(220a,220b)이 보디(10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보디(100)에 고정해 주는 지지판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디(100)에는, 도 4·도 5·도 7 및 도 8과 같이, 각 자리면(140a,140b)의 바깥쪽에 스토퍼(141a,141b)를 형성한다. 이들 스토퍼(141a,141b)는 4절 링크 구조(L)의 링크(200a,200b)가 미리 정해진 각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게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덮개(130)는 설정 스위치(120)를 감싸면서 여닫힐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안면의 이마 형태로 덮개(130)를 제작하고, 이 덮개(130)가 머리 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130)는 금속 재질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조함으로써, 금속이 갖는 강성과 다이캐스팅 공법의 특성, 즉 다양한 디자인과 대량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덮개(130)는,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4절 링크 구조(L)로 여닫을 수 있게 장착한다.
4절 링크 구조(L)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는 2개의 링크(200a,200b)와, 이들 링크(200a,200b)의 한쪽을 연결하는 지지 브래킷(230)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 브래킷(230)은 도 5·도 7 및 도 8과 같이, 덮개(130) 내부에 장착한다. 도면에서는 덮개(130) 내부에 스크루 또는 볼트(231)로 체결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각 링크(200a,200b)의 다른 한쪽에는 각각 회전축(220a,220b)이 나란하게 갖춰진다. 이때, 상기 회전축(220a)은 상술한 하나의 자리면(140a)에 링크(200a)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게 장착되며, 다른 회전축(220a)에는 덮개(130)가 원활하게 여닫힐 수 있도록 힌지(210)를 장착한다.
힌지(210)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회전축(220b)의 중간 부분에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한 두 개의 회전 캠(211)·회전축(220b)에 끼워지며 각 회전 캠(211)과 맞물리는 두 개의 고정 캠(212)·고정 캠(212)을 탄성 지지하여 회전 캠(211)과 맞물리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두 개의 탄성 스프링(213) 그리고 고정 캠(212)이 회전축(220b)의 길이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캡(2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캡(214)은, 고정 캠(212)과 탄성 스프링(213)을 감싸주는 형태로 제작하며, 상술한 자리면(140b)에 끼워지고 그 위에 지지판(142)으로 눌려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4절 링크 구조(L)는 두 개의 링크(200a,200b)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이들 링크(200a,200b)와 상기 지지 브래킷(230)에 장착한 부분 그리고 상술한 자리면(140a,140b)에 장착한 회전축(220a,220b)이 도 7 및 도 8과 같이 평행사변형 형태가 되게 결합함으로써, 덮개(13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여닫힐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4절 링크 구조(L)는, 도 7(a)와 같이 덮개(130)가 닫힌 상태에서는, 링크(200a)가 스토퍼(141a)에 지지가 되고, 회전 캠(211)은 도 7(b)와 같이 고정 캠(212)과 맞물린 상태로 있는다.
이어, 덮개(130)를 손으로 잡아 누르게 되면, 도 8(a)의 화살표와 같이 링크(200a,20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도 8(b)와 같이 회전 캠(211)이 고정 캠(212)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덮개(130)를 완전히 젖힘에 따라 회전 캠(211)은 이웃한 고정 캠(212)을 강제로 밀어내었다가 다시 맞물리는 것을 반복하면서 열리게 되고, 상기 링크(200b)가 스토퍼(141b)과 맞닿을 때까지 회전하여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펙터는, 이펙터는, 버퍼(Buffer)·부스터(Booster)·오버드라이브(Overdrive)·디스토션(Distortion)·컴프레셔(Compressor)·페이져(Phaser)·코러스(Chorus)·퍼즈(Fuzz)·딜레이(Delay)·트레몰로(Tremolo)·옥타버(Octaver)·피라메트릭이퀄아이저(Para EQ) 및 오토와우(Auto Wah)와 같은 이펙트(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단일 이펙터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이들 중에서 적어도 2가지 기능을 갖는 멀티 이펙터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00 : 보디
110 : 풋 스위치
120 : 설정 스위치
130 : 덮개
140a, 140b : 자리면
141a, 141b : 스토퍼
200a, 200b : 링크
210 : 힌지
211 : 회전 캠
212 : 고정 캠
213 : 탄성 스프링
214 : 캡
220a,220b : 회전축
230 : 지지 브래킷

Claims (4)

  1. 한 면에 적어도 하나의 풋 스위치(110)와 적어도 하나의 설정 스위치(120)가 갖춰진 보디(100);를 포함하는 전기기타용 이펙터에 있어서,
    상기 보디(100)에는 설정 스위치(120)를 감싸도록 덮개(130)가 장착되고, 상기 덮개(130)에는 보디(100)와의 사이에 4절 링크 구조(L)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4절 링크 구조(L)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링크(200b)에는 그 회전축(220b)에 힌지(210)를 갖추되,
    상기 힌지(210)는, 상기 회전축(220b)에 설치한 두 개의 회전 캠(211)·상기 각 회전 캠(211)과 맞물리도록 회전축(220b)에 끼워진 고정 캠(212)·회전축(220b)에 끼워져서 각 고정 캠(212)이 회전 캠(211)과 맞물리도록 탄성 지지하는 두 개의 탄성 스프링(213) 및 상기 고정 캠(21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해 주기 위한 두 개의 캡(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타용 이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100)의 윗면에는,
    상기 보디(100)와 덮개(130)를 연결하는 상기 4절 링크 구조(L)의 두 개의 링크(200a,200b)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축(220a,220b)을 설치하기 위한 자리면(140a,140b)이 형성되고,
    이 자리면(140a,140b)의 바깥쪽에는 상기 각 링크(200a,200b)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141a,141b)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타용 이펙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30)는 금속 재질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타용 이펙터.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는, 버퍼(Buffer)·부스터(Booster)·오버드라이브(Overdrive)·디스토션(Distortion)·컴프레셔(Compressor)·페이져(Phaser)·코러스(Chorus)·퍼즈(Fuzz)·딜레이(Delay)·트레몰로(Tremolo)·옥타버(Octaver)·피라메트릭이퀄아이저(Para EQ) 및 오토와우(Auto Wah)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 이펙터 또는 적어도 2가지의 기능의 멀티 이펙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타용 이펙터.
KR1020140032065A 2014-03-19 2014-03-19 전기기타용 이펙터 KR101514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65A KR101514818B1 (ko) 2014-03-19 2014-03-19 전기기타용 이펙터
PCT/KR2015/000568 WO2015141938A1 (ko) 2014-03-19 2015-01-20 전기기타용 이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65A KR101514818B1 (ko) 2014-03-19 2014-03-19 전기기타용 이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818B1 true KR101514818B1 (ko) 2015-07-02

Family

ID=5378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065A KR101514818B1 (ko) 2014-03-19 2014-03-19 전기기타용 이펙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4818B1 (ko)
WO (1) WO20151419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153A (ko) 2020-10-08 2022-04-15 박래선 이펙터 일체형 기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1982S1 (en) * 2019-01-07 2020-04-21 Shenzhen Skylark Audio Industry Co. Ltd Guitar eff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262A (ko) * 2003-12-02 2005-06-08 윤상재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KR20110107516A (ko) * 2010-03-25 2011-10-04 안영준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20130129576A (ko) * 2012-05-21 2013-11-29 (주)우진네트웍스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KR101368980B1 (ko) * 2012-08-23 2014-03-03 이승재 기타 이펙터용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48B1 (ko) * 2012-02-03 2012-04-20 (주)한국정밀 이펙터를 착탈 할 수 있고 경량인 전기기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262A (ko) * 2003-12-02 2005-06-08 윤상재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KR20110107516A (ko) * 2010-03-25 2011-10-04 안영준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20130129576A (ko) * 2012-05-21 2013-11-29 (주)우진네트웍스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KR101368980B1 (ko) * 2012-08-23 2014-03-03 이승재 기타 이펙터용 부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153A (ko) 2020-10-08 2022-04-15 박래선 이펙터 일체형 기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1938A1 (ko)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8083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514818B1 (ko) 전기기타용 이펙터
JP2007052402A (ja) 鍵盤装置
JP2010113369A (ja) 鍵盤装置
USD715369S1 (en) Set of moveable instrument pieces for a musical toy
CN103209378B (zh) 用于乐器的扬声器单元
US8723009B2 (en) Drumstick mounted mutable tambourine
JP5720923B2 (ja) 鍵盤装置
JP3217861U (ja) 誤操作防止具
KR200482695Y1 (ko) 리코더
JP5935335B2 (ja) 楽器の可動部の可動構造
JP7112666B2 (ja) 音響制御装置及び電子楽器
JP5561285B2 (ja) 電子鍵盤楽器
JP2003337583A (ja) ベストタッチリガチャー
JP6640475B2 (ja) ショルダーキーボード
JP6044759B2 (ja) 鍵盤楽器
JP5610196B2 (ja) 鍵盤装置
GB2512661A (en) Rotating mute accessory
JP2008046286A (ja) フットペダル装置
JP5641277B2 (ja) 鍵盤装置
JP2017049467A (ja) ピアノのダンパー駆動装置
JP5423048B2 (ja) 打楽器
JP3206146U (ja) 弦楽器におけるシーソー構造によるネック取り付け角度調整機構
JP5488902B2 (ja) 鍵盤装置
JP2015184289A (ja) 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