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262A -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 Google Patents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262A
KR20050053262A KR1020030086903A KR20030086903A KR20050053262A KR 20050053262 A KR20050053262 A KR 20050053262A KR 1020030086903 A KR1020030086903 A KR 1020030086903A KR 20030086903 A KR20030086903 A KR 20030086903A KR 20050053262 A KR20050053262 A KR 20050053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tar
pickup
bobbin
core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재
Original Assignee
윤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재 filed Critical 윤상재
Priority to KR102003008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3262A/ko
Publication of KR2005005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2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6Means for processing the signal picked up from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465Bridge-positioned, i.e. assembled to or attached with the bridge of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G10H2220/485One transducer per string, e.g. 6 transducers for a 6 string gui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타의 픽업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기타의 각각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기타용 픽업을 이용하면 각각의 기타 줄이 내는 전기 신호마다 독립적인 이펙터 장치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타 사운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Guitar Pickup Generating Independent Electric Signals for Each Guitar Strings}
본 발명은 전기기타의 줄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해 주는 픽업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전기기타의 구조를 보였다. 전기기타의 바디(1)에는 픽업(10)이 장착되어 있어서 기타줄(2)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준다. 도 2A와 2B에 종래 픽업의 구조를 보였다. 연주자가 기타를 연주하면 기타줄(2)이 진동한다. 그런데 전기기타의 줄은 자화물질(magnetizable material)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타줄의 진동은 픽업(10)에 내장되어 있는 영구자석(11) 주위의 자기장을 변화시키며, 따라서 전자기유도법칙에 의해서 픽업에 감겨 있는 코일(13)에 기전력이 형성되게 된다. 픽업에서 출력되어 나오는 전기신호는 이펙터나 이퀄라이저 등을 거쳐 음색에 대한 가공을 거친 후 기타 앰프에서 증폭되고 최종적으로 스피커를 통해서 음파로 출력된다.
도 2B에서 보듯이 종래의 픽업은 하나의 출력채널만을 가지고 있다. 기타줄은 다수 개이지만 다수의 기타줄의 진동을 모두 한꺼번에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하나의 출력채널에 실어 보낸다. 도 2A와 2B에서 보듯이 종래의 픽업은 각각의 기타줄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진 자심코어(11)가 심어져 있고, 하나의 코일(13)이 다수 개의 자심코어 모두를 한꺼번에 감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기타줄의 진동 모두가 하나의 코일에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전기기타의 픽업에서 나오는 전기신호는 여러가지 이펙터를 거쳐서 다양한 음색으로 가공되는데, 종래의 픽업에서는 모든 기타줄의 진동이 하나의 출력채널에 실려 나오므로 각각의 기타줄마다 독립적으로 음색가공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즉 모든 기타줄의 진동이 동일한 이펙터를 거칠 수 밖에 없으므로 이펙터에 의한 음색가공을 모든 기타줄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만약 픽업의 출력채널이 기타줄마다 독립적으로 배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기타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이 나온다면, 이들을 각각 다른 이펙터에 입력시킴으로써 각각의 기타줄마다 다른 음색을 가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대단히 다양하고 풍부한 기타사운드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타픽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을 제공함으로써 기타 연주자가 다양한 기타사운드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기타줄 수와 동일한 개수로 기타줄들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자심코어(11)와; 상기 자심코어를 각각 감싸는 보빈(12)과; 기타줄 수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보빈에 각각 독립적으로 감겨지는 코일(13)과; 상기 자심코어와 보빈과 코일을 덮으면서 픽업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14)과; 상기 코일(13)들의 출력선을 모아서 집적한 전선(15)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각각의 기타줄 마다 독립적으로 대응하는 다수 개의 코일(13)이 있고 코일들이 모두 개별적인 출력선을 가지므로 각각의 기타줄의 진동은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생성하게 된다.
도 3에 보인 실시예에서는 자심코어(11)가 그 자체로 영구자석이며 상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자심코어(11)가 반드시 영구자석일 필요는 없다. 도 4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였는데, 여기에서는 한 개의 영구자석플레이트(16)가 추가되어 각각의 자심코어(11)의 하단부와 접촉하고 있으며, 자심코어(11)는 영구자석이 아니고 단지 자화물질이기만 하면 된다. 즉, 영구자석플레이트(16)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자화물질로 이루어진 자심코어(11)를 통하여 코일(13)의 중심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영구자석플레이트(16)는 N극과 S극이 상하방향으로 분화되어 있어야 한다.
도 3과 도4에 보인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대한 가능한 회로도를 도 5A와 5B에 보였다. 도 5A는 각각의 출력채널마다 두 개의 출력선을 가지는 회로도이다. 이 경우 만약 기타줄이 6개이면 총 12개의 출력선이 필요하게 된다. 도 5B는 각각의 출력채널이 공통접지선을 가지면서 한 채널당 하나의 출력선을 가지는 회로도이다. 이 경우 기타줄이 만약 6개이면 총 7개의 출력선이 필요하게 된다. 도 3과 도 4의 실시예 모두 상기한 두 가지 회로도 중 어느 것이라도 채택할 수 있다.
기타픽업의 코일은 기타줄의 진동으로 인한 전기출력 뿐만 아니라 노이즈로 인한 전기출력도 생성하게 된다. 기타픽업의 노이즈 출력을 줄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미국특허 제 2,896,491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험버킹(hum-bucking) 픽업이라 불리우는데,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기타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험버킹 픽업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공한다.
도 6에 본 발명의 험버킹 픽업의 구조를 보였다. 도 6에서 보듯이 각각의 기타줄(2)마다 두 개의 자심코어(21, 31)와 두 개의 코일(23, 33)이 배치된다. 두 개의 자심코어(21, 31)는 영구자석이며 N극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령 하나의 자심코어(21)의 위쪽이 N극이면, 다른 하나의 자심코어(31)는 아래쪽이 N극이 된다. 그런데 두 개의 코일(23, 33)의 감는 방향도 서로 반대로 감겨져 있다. 이렇게 하여 기타줄의 진동으로 인한 전기출력은 두 개의 코일(23, 33)에서 같은 위상의 출력이 되어 두 코일의 출력이 더해지게 된다. 그러나 외부 전자기 노이즈로 인한 전기 출력은 코일의 감은 방향이 반대라는 이유로 인하여 반대 위상의 출력이 되고 따라서 노이즈는 상쇄되게 된다.
도 6에 보인 실시예에서는 자심코어(21, 31)가 그 자체로 영구자석이며 상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자심코어(21, 31)가 반드시 영구자석일 필요는 없다. 도 7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였는데, 여기에서는 한 개의 영구자석플레이트(26)가 추가되어 각각의 자심코어(21, 31)의 하단부와 접촉하고 있으며, 자심코어(21, 31)는 영구자석이 아니고 단지 자화물질이기만 하면 된다. 즉, 영구자석플레이트(26)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자화물질로 이루어진 자심코어(21, 31)를 통하여 코일(23, 33)의 중심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도 7에 도시된 영구자석플레이트(26)는 N극과 S극이 전후방향으로 분화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야 두 개의 자심코어(21, 31)에 각각 반대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되어 험버킹 픽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이미 상술한 도 4에 보인 영구자석플레이트(16)는 상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화되어 있었다.
도 6과 도7에 보인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대한 가능한 회로도를 도 8A, 8B, 8C와 8D에 보였다. 도 8A와 8B는 각각의 기타줄에 대응하는 두 개의 코일(23, 33)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C와 8D는 두 개의 코일(23, 33)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두 코일의 연결이 병렬이냐 직렬이냐에 따라 험버킹 픽업의 음색이 달라지므로 기타연주자에 따라서 병렬 험버킹픽업을 선호할 수도 있고 직렬 험버킹픽업을 선호할 수도 있다.
도 8A와 8C는 각각의 출력채널마다 두 개의 출력선을 가지는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만약 기타줄이 6개이면 총 12개의 출력선이 필요하게 된다. 도 8B와 8D는 각각의 출력채널이 공통접지선을 가지면서 한 채널당 하나의 출력선을 가지는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기타줄이 만약 6개이면 총 7개의 출력선이 필요하게 된다. 도 6과 도 7의 실시예 모두 상기한 4 가지 회로도 중 어느 것이라도 채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4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픽업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전기출력 채널을 가지면서도, 음색에 있어서는 종래 픽업과 전혀 다른 또 다른 픽업을 제공한다.
픽업 내부의 코일이나 자심코어의 배치는 상술한 4가지 실시예를 그대로 따르면서 회로도만 바꿈으로써 또 다른 픽업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9A, 9B, 9C에 회로도를 보였는데, 각각의 기타줄에 대응하는 코일들이 모두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최종 출력선의 개수는 종래의 픽업과 마찬가지로 두 개이다. 도 9A는 도 3과 도 4에 보인 구조를 가지는 픽업에 적용가능한 회로도이며, 도 9B와 9C는 도 6과 도 7에 보인 험버킹 픽업에 적용가능한 회로도이다. 세 가지 회로도 모두 하나의 출력채널만을 가진다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픽업과 같지만, 개별 기타줄의 진동으로 인한 전기출력이 독립된 코일에서 생성되고 이 코일들이 모두 직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 2B에 보인 종래의 픽업과는 다른 음색을 만들어 내게 된다.
각각의 기타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본 발명의 픽업을 이용하면, 기타줄의 전기출력마다 각각 다른 이펙터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다양한 기타사운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타줄에 대응하는 코일들을 모두 직렬로 연결한 픽업을 이용하면 종래의 픽업이 낼 수 없었던 새로운 음색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1은 전기기타의 전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2A는 픽업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B는 종래 픽업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픽업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픽업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픽업에 대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험버킹 픽업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험버킹 픽업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험버킹 픽업에 대한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회로도에 대한 다른 실시예

Claims (4)

  1. 기타줄마다 하나씩, 기타줄들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자심코어와; 상기 자심코어를 각각 감싸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각각 독립적으로 감겨짐으로써 기타줄 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는 코일과; 상기 자심코어와 보빈과 코일을 덮으면서 픽업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코일들의 출력선을 모아서 집적한 전선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기타줄의 진동마다 독립된 전기출력을 내는 기타픽업
  2. 기타줄마다 하나씩, 기타줄들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자화물질로 이루어지는 자심코어와; 상기 자심코어가 배치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자심코어의 하단부와 접촉하면서 상하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화된 영구자석플레이트와; 상기 자심코어를 각각 감싸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각각 독립적으로 감겨짐으로써 기타줄 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는 코일과; 상기 자심코어와 영구자석플레이트와 보빈과 코일을 덮으면서 픽업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코일들의 출력선을 모아서 집적한 전선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기타줄의 진동마다 독립된 전기출력을 내는 기타픽업
  3. 기타줄마다 두개씩, 기타줄들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영구자석으로서, 각각의 기타줄에 대응하는 두 개의 영구자석의 N극의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는 자심코어와; 상기 자심코어를 각각 감싸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각각 독립적으로 감겨짐으로써 기타줄 수의 두 배의 개수를 가지는 코일과; 상기 자심코어와 보빈과 코일을 덮으면서 픽업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코일들의 출력선을 모아서 집적한 전선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기타줄의 진동마다 독립된 전기출력을 내는 험버킹 기타픽업
  4. 기타줄마다 두개씩, 기타줄들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자화물질로 이루어지는 자심코어와; 상기 자심코어가 배치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자심코어의 하단부와 접촉하면서 전후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화된 영구자석플레이트와; 상기 자심코어를 각각 감싸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각각 독립적으로 감겨짐으로써 기타줄 수의 두 배의 개수를 가지는 코일과; 상기 자심코어와 영구자석플레이트와 보빈과 코일을 덮으면서 픽업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코일들의 출력선을 모아서 집적한 전선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기타줄의 진동마다 독립된 전기출력을 내는 험버킹 기타픽업
KR1020030086903A 2003-12-02 2003-12-02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KR20050053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903A KR20050053262A (ko) 2003-12-02 2003-12-02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903A KR20050053262A (ko) 2003-12-02 2003-12-02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262A true KR20050053262A (ko) 2005-06-08

Family

ID=3724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903A KR20050053262A (ko) 2003-12-02 2003-12-02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32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6799A2 (en) * 2008-04-10 2009-10-15 Collin Mulvany Passive electromagnetic string isolating pickup
KR101514818B1 (ko) * 2014-03-19 2015-07-02 김상길 전기기타용 이펙터
CN112164380A (zh) * 2019-06-16 2021-01-01 龙高潮 一种双磁铁双线圈双铁芯相向拾音式独弦琴拾音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6799A2 (en) * 2008-04-10 2009-10-15 Collin Mulvany Passive electromagnetic string isolating pickup
WO2009126799A3 (en) * 2008-04-10 2010-01-07 Collin Mulvany Passive electromagnetic string isolating pickup
US7982123B2 (en) 2008-04-10 2011-07-19 Collin Mulvany Passive electromagnetic string isolating pickup
KR101514818B1 (ko) * 2014-03-19 2015-07-02 김상길 전기기타용 이펙터
CN112164380A (zh) * 2019-06-16 2021-01-01 龙高潮 一种双磁铁双线圈双铁芯相向拾音式独弦琴拾音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999A (e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device for sustaining the vibration of the string
US5530199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227076B2 (en) Advanced magnetic circuit to improve both the solenoidal and magnetic functions of string instrument pickups with co-linear coil assemblies
US7166793B2 (en) Compact hum-canceling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improved tonal response
US5811710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283982A (en) Magnetic pickup for electric guitars
US6846981B2 (en) Electromagnetic humbucker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135638B2 (en) Dynamic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s
US4501185A (en) Transducer for stringer musical instrument
US5336845A (en) Pick-up assembly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100101399A1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2004519732A (ja) 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用のピックアップ、およびギターの弦の振動を変換する方法
US5789691A (en) Multi-functional coil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s
US4184398A (en) Self generating electrical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10037751B2 (en) Single coil hum-cancelling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5391832A (en) Electromagnetic musical pickup with wraparound permanent magnet
US6111185A (en) Sensor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898121A (en)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 pickup system including switchable series-connected hum-canceling windings
CA2869073C (en) Polyphonic humbucking guitar pickup
US11322125B2 (en) Vibraphone pickup
US3325579A (en)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
KR20050053262A (ko) 전기기타의 줄마다 독립적인 전기출력을 내는 픽업
US10373597B2 (en) Transducer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100461004B1 (ko) 전기기타용 픽업의 잡음제거장치
JP5739298B2 (ja) 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