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670B1 - 디지털 앰프 - Google Patents

디지털 앰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670B1
KR100537670B1 KR1020050026968A KR20050026968A KR100537670B1 KR 100537670 B1 KR100537670 B1 KR 100537670B1 KR 1020050026968 A KR1020050026968 A KR 1020050026968A KR 20050026968 A KR20050026968 A KR 20050026968A KR 100537670 B1 KR100537670 B1 KR 10053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put
performance
performance sound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뮤즈
Priority to KR102005002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6Means for processing the signal picked up from the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 녹음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악기의 연주음을 증폭하는 디지털 앰프로서, 입력된 연주음을 디지털 변환하고, 녹음된 연주음의 오디오 출력을 위하여 아날로그 변환하기 위한 코덱부, 디지털 변환된 연주음을 저장하기 위한 녹음 저장부, 연주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앰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연주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연주음을 상기 녹음 메모리부에 압축 저장하며, 상기 녹음 메모리에 기저장된 연주음을 압축 해제하여 코덱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앰프{Digital Amp}
본 발명은 앰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주 녹음, 이펙터 및 튜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에 관한 것이다.
앰프는 전자 악기에서 발생한 전자 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앰프 관련 기술 내용은 1991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8967호 및 미국 특허 등록 제5977474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앰프는 전자 기타, 전자 오르간 등과 같은 전자 악기의 소리를 크게 하기 위하여 전자 악기의 신호 출력(output)을 앰프의 신호 입력(input)과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1은 일반적인 앰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타(100)를 파워 앰프(120)와 연결하면 전자 기타(100)의 소리가 크게 증폭되어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된다. 통상적으로 파워 앰프(120)와 스피커(130)는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아날로그 앰프라고 불린다. 아날로그 앰프는 파워 앰프(120)와 스피커(130) 외에도 오버 드라이브 효과를 가미하기 위한 부재 및 프리 앰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앰프와 전자 악기 사이(도1에서는 전자 기타(100))에는 전자음에 다양한 음향 효과를 주기 위한 이펙터(110)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팩터(110)는 전자 악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지연시키거나 에코를 주어 청취자로 하여금 원래 음과는 다른 느낌을 유발시킨다. 통상적으로 이펙터(110)는 딜레이(Delay), 플랜지(Flange), 코러스(Chorus)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상술한 아날로그 앰프는 전자 악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그칠 뿐 이를 녹음하여 이후에 다시 출력할 수는 없다. 만약, 연주자가 연주한 음악을 앰프에 저장할 수 있다면 자신이 연주한 음악을 재청취함으로써 자신의 연주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명의 연주자가 협연한 연주음을 앰프에 녹음하여 재생할 수 있다면 재생되는 음악에 맞추어 전자 악기를 연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연주 음악을 디지털 압축하여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 앰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악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다양한 이팩트를 줌으로써 다양한 음향 효과를 연출하는 디지털 앰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악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절대 음을 비교함으로써 튜닝 기능을 갖는 디지털 앰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 악기의 연주음을 증폭하는 디지털 앰프로서, 입력된 연주음을 디지털 변환하고, 녹음된 연주음의 오디오 출력을 위하여 아날로그 변환하기 위한 코덱부, 디지털 변환된 연주음을 저장하기 위한 녹음 저장부, 연주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앰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연주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연주음을 상기 녹음 메모리부에 압축 저장하며, 상기 녹음 메모리에 기저장된 연주음을 압축 해제하여 코덱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앰프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앰프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210), 프로그램 메모리(220), 녹음 메모리(230), LCD 드라이버(240), LCD(250), 키보드(260) 및 코덱(27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파워 증폭기와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기 스피커를 일체형으로 포함할 수 있다.
DSP(210)는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집적 회로로서, 일반적으로 음향 및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DSP(210)는 앰프에 속하는 각 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 사용된다. 특히, DSP(2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녹음 메모리(230)에 저장하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변형시켜 다양한 이펙트를 부여한다. 또한, DSP(210)는 전자 악기 튜닝을 위한 튜닝 신호가 입력되면 절대음의 주파수와 비교하여 튜닝 정보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DSP(210)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로딩시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DSP(210)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램 메모리(22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프로그램 메모리(220)는 DSP(210)가 여러 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특히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 알고리즘과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이펙트를 주기 위한 이펙트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프로그램 메모리(220)는 DSP(210)와 바이트 메모리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앰프의 온 또는 리세트 시에 실행 가능한 헥사 코드(hex code)로 DSP(210)에 업로드 된다.
녹음 메모리(230)는 DSP(210)와 IO 메모리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DSP(210)에서 디지털 압축된 오디오 신호를 저장한다. 녹음 메모리(23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음 메모리(230)는 통상적으로 30분 분량의 연주 음악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5분 단위로 끊어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녹음 메모리(230)의 용량은 추가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외부에서 용이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LCD 드라이버(240)는 LCD(250)에 표시될 데이터가 변할 때마다 LCD 데이터를 DSP(250)로부터 시리얼 포트로 전송받아 LCD(250)에 출력한다.
LCD(250)는 LCD 드라이버(240)의 구동에 따라 이펙터 상태, 볼륨 상태, 재생 상태, 튜닝 상태 등을 표시한다. LCD(250)를 대신하여 LED 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키보드(260)는 사용자가 앰프를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하며 녹음된 음악을 연주/정지하기 위한 재생/정지 버튼, 볼륨 조절 버튼, 이펙터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키보드(260)는 DSP(210)와 IO 메모리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코덱(270)은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DSP(210)에 전달한다. 또한, DSP(210)에서 압축 해제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한다. 코덱(270)은 DSP(210)와 시리얼 포트로 연결된다.
코덱(270)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파워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DSP에 로딩되는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앰프의 동작 중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DSP(210)에 로딩되어 유기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SP(210)는 압축 모듈(310), 압축 해제 모듈(320), 이팩터 모듈(330), 키보드 입력 모듈(340), LCD 출력 모듈(350), 코덱 입출력 모듈(360) 및 튜닝 모듈(370)을 포함한다. 도시된 모듈 이외에도 연주자 취향에 따라 다양한 모듈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압축 모듈(310)은 코덱(270)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하여 녹음 메모리(230)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알고리즘으로 뮤로 커맨딩(μ- Law Commanding)을 사용한다. 뮤로 커맨딩은 PCM(pulse code modulation)에 대한 표준 압축/해제 알고리즘이다. 뮤로 커맨딩은 데이터의 추가 없이 SNR(signal-to-noise ratio)을 개선시킬 수 있다.
녹음 메모리(230)에 저장된 연주음을 재생하는 경우에 압축 해제 모듈(320)은 녹음 메모리(230)에 저장된 연주음을 추출하여 뮤로 커맨딩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을 해제하고 코덱(270)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달한다.
이팩터 모듈(330)은 입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녹음 메모리(230)에 저장된 연주음에 다양한 음향 효과를 부여한다. 이팩터 모듈(330)은 음을 반복시키는 딜레이(Delay), 진폭을 변조하여 음을 흔드는 플랜지(Flange), 코러스 효과를 주는 코러스(Chorus), 음을 반사시켜 극장 분위기를 연출하는 리버브(Reverb) 등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이팩터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키보드 입력 모듈(340)은 키보드(2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즉, 기 녹음된 연주음 재생, 녹음된 연주음의 볼륨 및 마스터 레벨 조절, 이팩터의 레벨 조정, 전자 악기 튜닝을 위한 조작 등의 다양한 키입력을 수신하여 앰프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LCD 출력 모듈(350)은 DSP(2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LCD 드라이버(2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LCD(250)는 연주음 재생 상태, 적용되는 이팩터 종류 및 볼륨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일목 요연하게 출력한다.
코덱 입출력 모듈(360)은 코덱(270)으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거나 압축 해제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기 위하여 코덱(270)으로 출력한다.
튜닝 모듈(370)은 전자 기타와 같은 전자 악기의 튜닝을 위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절대음을 비교하여 전자악기의 튜닝 상태를 LCD(25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음이 절대음 보다 낮은 경우 LCD(250)에 이를 표시함으로써 연주자는 전자 악기를 정확하게 튜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앰프가 연주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과정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주자가 전자 악기를 본 발명에 따른 앰프에 연결하고 연주를 시작한다. 연주에 앞서 연주자는 키보드(260)의 녹음 버튼을 눌러 연주음이 녹음 메모리(230)에 녹음될 수 있도록 한다. 녹음 버튼이 눌리면 LCD(250)에는 현재 녹음이 진행되고 있다는 “녹음”표시가 디스플레이되고, 코덱(270)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변환 및 압축되어 녹음 메모리(230)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앰프는 마이크를 두어 다른 연주자의 악기 소리도 함께 녹음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연주 중에 이팩터가 필요한 경우 연주자는 키보드(260)의 이팩터 조작 버튼을 선택하여 연주음에 다양한 이팩터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연주가 마무리되면 연주자는 키보드(260)의 정지 버튼을 눌러 녹음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에 연주자는 키보드(260)의 재생 버튼을 눌러 녹음 메모리(230)에 저장된 연주음을 언제든지 청취할 수 있다. 연주음의 재생 중에는 키보드(260)를 통하여 연주음의 볼륨의 조절이 가능하고, 마스터 레벨을 조절하여 연주자가 원하는 음역대에서 연주음을 청취할 수도 있다. 또한, 녹음된 연주음에 맞추어 다른 전자 악기를 연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앰프에 따르면, 연주자의 연주음을 압축하여 디지털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녹음된 연주음을 청취할 수 있고, 녹음된 연주음에 맞추어 다른 전자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키조작으로 전자 악기의 튜닝 및 이팩터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튜너 및 아날로그 이팩터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앰프와 전자 기타를 연결한 사용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앰프의 전체 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DSP에 로딩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DSP(Digital Signal Processor)
220 : 프로그램 메모리 230 : 녹음 메모리
240 : LCD 드라이버 250 : LCD
260 : 키보드 270 : 코덱

Claims (3)

  1. 전자 악기의 연주음을 증폭하는 디지털 앰프로서,
    입력된 연주음을 디지털 변환하고, 녹음된 연주음의 오디오 출력을 위하여 아날로그 변환하기 위한 코덱부;
    디지털 변환된 연주음을 저장하기 위한 녹음 저장부;
    연주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앰프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연주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연주음을 상기 녹음 메모리부에 압축 저장하며, 상기 녹음 메모리에 기저장된 연주음을 압축 해제하여 코덱에 출력하고, 연주음에 음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이팩트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상기 연주음의 신호를 변형하며, 상기 전자 악기의 입력 음과 절대 음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튜닝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앰프.
  2. 삭제
  3. 삭제
KR1020050026968A 2005-03-31 2005-03-31 디지털 앰프 KR100537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968A KR100537670B1 (ko) 2005-03-31 2005-03-31 디지털 앰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968A KR100537670B1 (ko) 2005-03-31 2005-03-31 디지털 앰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7670B1 true KR100537670B1 (ko) 2005-12-19

Family

ID=3730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968A KR100537670B1 (ko) 2005-03-31 2005-03-31 디지털 앰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00A1 (ko) * 2010-03-25 2011-09-29 Ahn Young-Jun 휴대형 무선 이펙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00A1 (ko) * 2010-03-25 2011-09-29 Ahn Young-Jun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101137636B1 (ko) * 2010-03-25 2012-04-19 김재호 휴대형 무선 이펙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8415B2 (ja) 低周波数オーディオエンハンスメントシステム
TWI290002B (en) Portable multi-functional audio sou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5380804B2 (ja) オーディオ信号出力装置
EP1385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processing one or more audio signals
US200801787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midi volume levels based on response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analog signal
US75317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MIDI volume levels based on response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analog signal
US20060251381A1 (en) MP-ME recorder
US8129608B2 (en) Automatic play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acoustic/electric guitar
KR100537670B1 (ko) 디지털 앰프
US20040138770A1 (en) Audio reproducer suitable to practice musical instrument
KR20220094056A (ko) 디지털 앰프
US20060062396A1 (en)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o transform external audio into multi-channel surround sound
US10178466B2 (en) Powered speaker system and method
KR100489162B1 (ko)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3604940B2 (ja) 電子楽器の再生装置
JP2007003632A (ja) 音声記録再生方法及び音声記録再生装置
JP4983211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H09114454A (ja) カラオケ演奏弦楽器
US20100147137A1 (en) Digital sound effect processing device
JP3578891B2 (ja) 電子楽器
JPH10307591A (ja) 音響装置
JP3927617B2 (ja) ゲーム用音源装置
JP2001229615A (ja) 携帯型ハードディスク装置
KR20030070757A (ko) 외부 입력신호를 이용한 가라오케장치
KR20050117641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이용한 믹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