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556A -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 Google Patents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556A
KR20110106556A KR1020100025644A KR20100025644A KR20110106556A KR 20110106556 A KR20110106556 A KR 20110106556A KR 1020100025644 A KR1020100025644 A KR 1020100025644A KR 20100025644 A KR20100025644 A KR 20100025644A KR 20110106556 A KR20110106556 A KR 20110106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sealed
heat
outlet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350B1 (ko
Inventor
조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신우아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아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신우아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0002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5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65D77/34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enclosed in a mouth se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중첩된 포장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비닐봉지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포장필름이 열융착되어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열융착부와; 상기 열융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열융착되지 않는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면서 폭보다 길이가 긴 병목형상의 유출부와; 상기 열융착부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포장필름이 열융착되어 절취라인에 의하여 절취되는 절취부와; 상기 열융착부와 절취부가 구분되게 하면서 포장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유출부의 끝부분을 횡단하는 절취라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취부가 절취되면 유출부는 일측 끝단의 일부가 절취되고 나머지는 밀폐 비닐봉지 내부와 연통되는 것으로서, 밀폐 비닐봉지가 쓰러진 상태에서도 자연적으로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고, 몸체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만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The airtight ovinylbag having leakproof outlet of itself}
본 발명은 유출부가 구비된 밀폐 비닐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취라인으로 형성된 절취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유출부가 비닐봉지 내의 액체 내용물을 스스로 누설되지 않게 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 비닐봉지는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비닐화합물을 2장 또는 3장의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봉지이다.
밀폐 비닐봉지는 그 용도에 따라 파우치(1), 자립형 비닐봉지(2) 등의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그 내부 공간에 음료, 세제, 섬유유연제 등의 액상형태의 내용물을 포장 및 보관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밀폐 비닐봉지는 휴대가 간편하고 포장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유리병, 캔, 플라스틱 용기 등을 대체하여 리필용 용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의 종래기술의 파우치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파우치(1)는 내부 공간에 음료를 보관하고 있으면서 내부 공간에 저장된 음료 즉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파우치(1)의 모서리의 일부를 칼 또는 가위 등의 절단도구로서 절단하고, 그 절단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유출시켜 음용하게 된다.
또한, 파우치(1)에서 절단도구의 사용을 피하고 내부를 간편하게 개방하기 위하여 파우치(1)의 모서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파우치(1) 몸체 내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절취라인을 형성하고 절취라인에 따라 절취되게 하는 절취부를 구성하여 모서리를 손을 사용하여 절취함으로서 모서리가 절취라인에 따라 절취되어 그 절취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유출시켜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파우치(1)는 파우치(1)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한꺼번에 모두 음용하지 않고 시간 간격을 두고 음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파우치(1)가 자립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워서 보관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파우치(1)를 수평으로 안치하면 내용물이 절취부에서 파우치(1) 외부로 세어나오는 현상 즉 누설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립형 비닐봉지(2)는 상기의 파우치(1)보다 부피가 크고 내부 공간에 수회 분의 액상형태의 세제, 섬유유연제를 보관하고 있으면서 내부 공간에 저장된 세제, 섬유유연제 즉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립형 비닐봉지(2)의 모서리의 일부를 칼 또는 가위 등의 절단도구로서 절단하고, 그 절단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유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자립형 비닐봉지(2)에서 절단도구의 사용을 피하고 내부를 간편하게 개방하기 위하여 자립형 비닐봉지(2)의 모서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비닐봉지 몸체 내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절취라인을 형성하고 절취라인에 따라 절취되게 하는 절취부를 구성하여 모서리를 손을 사용하여 절취함으로서 모서리가 절취라인에 따라 절취되어 그 절취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유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자립형 비닐봉지(2)도 상기 종래기술의 파우치와 같이 파우치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한꺼번에 모두 사용하지 않고 시간 간격을 두고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자립형 비닐봉지(2)를 수평으로 안치하면 내용물이 절취부에서 자립형 비닐봉지(2) 외부로 누설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스파우트(3)(spout)를 구비한 파우치 및 자립형 비닐봉지가 개시되었다.
일실시 예인 도 2의 종래기술의 스파우트가 구성된 자립형 비닐봉지를 살펴보면,
자립형 비닐봉지(2)의 상측에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 접합부에 내용물의 주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스파우트(3)가 구비된다.
상기 스파우트(3)는 자립형 비닐봉지(2)의 상부 일측에 자립형 비닐봉지(2)의 몸체의 접합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대롱형태의 유출구(4)와, 유출구(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출구(4)를 개폐하는 마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파우트(3)가 구성된 자립형 비닐봉지(2) 또는 파우치는 내부 공간에 저장된 음료 또는 세제, 섬유유연제 등의 즉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개(5)를 열고 유출구(4)를 통하여 내용물을 유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스파우트(3)가 구성된 자립형 비닐봉지(2) 또는 파우치는 유출구(4)를 밀폐하는 마개(5)로 인하여 비닐봉지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한꺼번에 모두 사용하지 않고 시간 간격을 두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파우트(3)가 구성된 종래기술의 자립형 비닐봉지(2) 또는 파우치는 마개로서 유출구(4)를 밀폐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안치하면 내용물이 유출구(4)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파우트(3)가 구성된 종래기술의 자립형 비닐봉지(2) 또는 파우치는 비닐봉지의 몸체에 유출구(4)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출구 (4) 및 마개(5)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제조단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립형 비닐봉지 또는 파우치 등의 밀폐 비닐봉지에 스파우트가 구성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형성하여 비닐봉지 내에 액체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더라도 밀폐 비닐봉지가 쓰러져도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면서 음용 또는 사용을 위하여 비닐봉지 몸체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만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게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중첩된 포장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비닐봉지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포장필름이 열융착되어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열융착부와; 상기 열융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열융착되지 않는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면서 폭보다 길이가 긴 병목형상의 유출부와; 상기 열융착부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포장필름이 열융착되어 절취라인에 의하여 절취되는 절취부와; 상기 열융착부와 절취부가 구분되게 하면서 포장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유출부의 끝부분을 횡단하는 절취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취라인이 포장필름 두께의 1/3∼2/3의 깊이로 포장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출부의 폭이 길이의 1/5~1/3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취라인이 일정간격의 점선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는 유출부가 폭보다 긴 길이에 의하여 밀폐 비닐봉지가 쓰러진 상태에서도 자연적으로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는 유출부가 폭보다 긴 길이에 의하여 몸체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만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는 스스로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아니하므로 비닐봉지 내에 저장된 액체 내용물을 한번에 모두 사용하지 않고 수회 나누어서 사용하여도 보관에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는 스파우트를 구성하지 아니하여도 스타우트가 구성된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는 스파우트가 구성되지 함으로서 생산성이 양호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파우치의 사시도.
도 2: 종래기술의 스파우트가 구성된 자립형 비닐봉지의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4: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의 절취라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가 쓰러져 있는 상태도.
도 6: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에 장력을 가한 상태도.
도 7: 본 발명의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의 자립 상태도.
본 발명은 유출부를 구성하여, 밀폐 비닐봉지의 몸체에 장력을 가한 경우에는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유출되게 하고 쓰러진 상태에서는 액체 내용물이 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인 도 3을 살펴보면,
도 3의 밀폐 비닐봉지는 파우치에 대한 것으로서 파우치형 밀폐 비닐봉지(10)이며, 상기 파우치형 밀폐형 비닐봉지(10)는 전몸체(11) 및 후몸체(12)로 이루어지고, 전몸체(11) 및 후몸체(12)에 의하여 일정크기의 내부공간부(21)가 형성되는 몸체부(17)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7)는 내부공간부(21)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방하기 위하여 특정한 위치 즉 모서리에 절취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몸체(11) 및 후몸체(12)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상호 결합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부(2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위가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Sealing) 처리되어 있으며, 내부공간부(21)는 음료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수용 보관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의 자립 상태도인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20)는 전후에 구성되는 전후몸체와 양측면에 구성되는 측면몸체 및 저부에 구성되는 저면몸체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20)는 일정길이의 원통형의 비닐의 저부를 접어서 4각형이 되게 하여 중첩되는 부분에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Sealing) 처리되어 저면몸체를 형성하고, 양측면은 일정길이의 상부를 접고, 접힌 상부 부분을 몸체 내측에 위치하게 하여 접힌 상부의 가장자리와 비닐봉지의 상부 가장자리를 동시에 열융착하여 실링 처리된 열융착부(26)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20)는 저면몸체 및 전후몸체의 상부 가장자리가 실링되어 내부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부는 음료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수용 보관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된다.
상기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20)는 파우치형보다 내부공간부가 크면서 하부가 상부보다 넓게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자립이 된다.
상기 파우치형이나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20) 등의 밀폐비닐봉지는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비닐화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의 몸체부의 구조 및 형상 등은 비닐봉지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몸체부의 실링부위는 열융착을 비롯하여 내부공간부(21)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밀폐 비닐봉지에 스파우트가 구성되지 아니한 유출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인 도 3 및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의 절취라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중첩된 포장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비닐봉지에 있어서 열융착부(16,26), 유출부(14), 절취부(13) 및 절취라인(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융착부(16,26)는 상기 중첩된 포장필름이 열융착되어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포장필름 즉 몸체들을 상호 결합하여 밀폐된 내부공간부(2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Sealing) 처리된다.
상기 파우치형 밀폐 비닐봉지(10)는 4면 가장자리가 열융착에 의한 열융착부(16)가 형성되고,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20)는 상부의 가장자리와 저부의 일부가 열융착에 의한 열융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20)에 대한 열융착부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밀폐 비닐봉지의 제조 형태에 따라 상부의 가장자리와 측면의 일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20)에 대한 열융착부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의 가장자리의 열융착부(16)를 한정하고자 한다.
상기 유출부(14)는 상기 열융착부(16)의 일측에 형성되고, 열융착되지 않는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10,20)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면서 폭보다 길이가 긴 병목형상으로 된다.
상기 유출부(14)는 내부공간부(21) 내의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기 용이하게 밀폐 비닐봉지(10,20)의 모서리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부(14)를 비닐봉지(10,20)의 모서리에 구성하는 다른 이유는 절취부(13)의 절취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도 있다.
상기 유출부(14)는 내부공간부(21)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부(21)와 연통되어 내부공간부(21)에 적재된 액체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내부공간부(21)와 같이 전후몸체(11,12)가 열융착되지 아니하여 전몸체(11)와 후몸체(12)가 이격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출부(14)는 폭(a)이 길이(b)의 1/5~1/3로 구성된다.
상기 유출부(14)의 폭(a)이 길이(b)의 1/5보다 작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가 쓰러져 있는 상태도인 도 5와 같이 쓰러져 있어도 액체형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10,20)에 장력을 가한 상태도인 도 6과 같이 몸체부(17)에 장력을 가하여도 내부공간부(21)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유출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상기 유출부(14)의 폭(a)이 길이(b)의 1/3보다 클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10,20)의 몸체부(17)에 장력을 가하면 내부공간부(21)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쉽게 유출이 되나, 본 발명의 밀폐 비닐봉지가 쓰러진 상태가 되면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기 때문이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10,20)가 쓰러진 상태에서 액체 내용물이 자연적으로 유출되지 않는 이유는 밀폐 비닐봉지(10,20)의 유출부(14)와 액체 내용물의 분자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인 부착력이 밀폐 비닐봉지(10,20)에 잔존하는 액체 내용물의 중량이 유출부(14)에 미치는 힘 보다 크기 때문이다.
상기 밀폐 비닐봉지(10,20)에 장력을 가하면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는 이유는 밀폐 비닐봉지(10,20)에 잔존하는 액체 내용물의 중량이 유출부(14)에 미치는 힘과 장력을 합한 힘이 밀폐 비닐봉지(10,20)의 유출부(14)와 액체 내용물의 분자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인 부착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상기 절취부(13)는 열융착부(16)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포장필름 즉 전후몸체(11,12)가 열융착되어 절취라인(15)에 의하여 절취된다.
상기 유출부(14)와 절취부(13)는 전후몸체(11,12)로 구성되는 동일한 포장필름에 의하여 열융착되어 형성되나 절취라인(15)에 의하여 구분되며 절취되는 것은 절취부(13)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절취부(13)는 유출부(14)의 연장 형성되는 것이므로 유출부(14)와 동일하게 비닐봉지(10,20)의 모서리에 구성된다.
상기 절취라인(15)은 상기 열융착부(16,26)와 절취부(13)가 구분되게 하면서 포장필름 즉 몸체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유출부(14)의 끝부분을 횡단하게 구성된다.
상기 절취라인(15)은 유출부(14)와 절취부(13)를 구분하는 역할을 하면서 절취부(13)가 절취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절취라인(15)에 의하여 상기 절취부(13)가 절취되면 유출부(14)는 일측 끝단의 일부가 절취되며, 절취되지 아니한 유출부(14)는 밀폐 비닐봉지의 내부공간부(21)와 연통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상기 절취라인(15)은 포장필름에 일정 깊이로 형성하되 포장필름 두께의 1/3∼2/3의 깊이로 포장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된다.
상기 절취라인(15)은 반커팅에 의해 포장필름 즉 전후몸체(11,12) 내면에 형성하되 전몸체(11) 또는 후몸체(12)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몸체에만 형성할 수 있으며 전몸체(11) 및 후몸체(12)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절취라인(15)의 깊이는 전후몸체(11,12) 두께의 1/3∼2/3 정도일 때 절취작업이 가장 용이할 뿐 아니라 일정 외력에 의한 절취라인(15)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취라인(15)의 깊이가 몸체부(17) 두께의 1/3 미만일 경우에는 절취작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취라인(15)의 깊이가 몸체부(17) 두께의 2/3를 초과할 경우에는 절취라인(15)의 깊이 깊어 절취라인(15)의 형성시 불량률이 높아질 뿐 아니라 절취라인(15)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절취라인(15)은 일정간격의 점선으로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절취라인(15)이 실선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절취작업이 용이하나 포장필름에 절취라인(15)의 형성시 불량률이 높기 때문이다.
상기 절취라인(15)의 형성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절취부(13)는 몸체부(17)의 테두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절취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절취라인(15)의 선상 끝에 배치되고 그 형상은 삼각홈을 비롯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밀폐 비닐봉지(10,20)는 절취라인(15)에 의하여 절취부(13)가 절취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쓰러진 상태에서도 자연적으로 내부공간부(21)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절취부(13)가 절취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액체 내용물을 음용 등을 하기 위하여 몸체부(17)에 장력을 가하면 내부공간부(21)에 수용된 액체 내용물의 쉽게 유출이 되는 것이다.
10: 파우치형 밀폐 비닐봉지 11: 전몸체
12: 후몸체 13: 절취부
14, 24: 유출부 15: 절취라인
16, 26: 열융착부 17: 몸체부
20: 자립형 밀폐 비닐봉지 21: 내부공간부
a: 유출부 폭 b: 유출부 길이

Claims (4)

  1. 중첩된 포장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비닐봉지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포장필름이 열융착되어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열융착부와;
    상기 열융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열융착되지 않는 일측이 밀폐 비닐봉지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면서 폭보다 길이가 긴 병목형상의 유출부와;
    상기 열융착부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포장필름이 열융착되어 절취라인에 의하여 절취되는 절취부와;
    상기 열융착부와 절취부가 구분되게 하면서 포장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되고 유출부의 끝부분을 횡단하는 절취라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취부가 절취되면 유출부는 일측 끝단의 일부가 절취되고 나머지는 밀폐 비닐봉지의 내부공간부와 연통되고, 압력을 가한 경우에만 유출부를 통하여 액체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비닐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은 포장필름 두께의 1/3∼2/3의 깊이로 포장필름의 내부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비닐봉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폭이 길이의 1/5~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비닐봉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라인은 일정간격의 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비닐봉지.
KR1020100025644A 2010-03-23 2010-03-23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KR101218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44A KR101218350B1 (ko) 2010-03-23 2010-03-23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44A KR101218350B1 (ko) 2010-03-23 2010-03-23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56A true KR20110106556A (ko) 2011-09-29
KR101218350B1 KR101218350B1 (ko) 2013-01-16

Family

ID=4495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44A KR101218350B1 (ko) 2010-03-23 2010-03-23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189A (ko) 2017-12-29 2019-07-09 조원길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3632B2 (ja) * 1997-01-17 2007-0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2004338760A (ja) * 2003-05-15 2004-12-02 Dainippon Printing Co Ltd 詰め替え用パウ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189A (ko) 2017-12-29 2019-07-09 조원길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350B1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5836B (zh) 片材容器
KR101625270B1 (ko) 재충전 백
EP1803657B1 (en) Liquid delivery device, particularly beverage delivery device
ITRM950760A1 (it) Sacchetto per sacchetto in scatola, e sacchetto in scatola
JP2019051946A (ja) 注ぎ口を有する包装袋
JP7110555B2 (ja) 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KR101218350B1 (ko)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JP5286463B2 (ja) 液状物充填包装体の梱包方法
JP5489164B2 (ja)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JPH11208676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JP3947992B2 (ja) 自立型容器
KR20180002522U (ko) 휴대용 음료 보관 파우치
JP6900646B2 (ja) 包装袋
JP2010159087A (ja) 飲料水用ダブルパック包装袋および飲料水・抽出素材共充填型包装構造体
JP2004359333A (ja) 包装用袋
JP7170465B2 (ja) ガゼット袋およ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5712270B2 (ja) 液体流出防止機能付バッグ
JP6095048B2 (ja) 包装構造体
JP3209773U (ja) 注出口付き容器
KR102008234B1 (ko) 누설 및 꺽임이 방지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KR101949778B1 (ko) 가압배출 비닐포장봉지
KR101314284B1 (ko)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JP7484409B2 (ja) 包装袋および包装体
JP2018052592A (ja) 包装袋
JP3204404U (ja) 液状物充填包装体の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