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532A -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532A
KR20110106532A KR1020100025605A KR20100025605A KR20110106532A KR 20110106532 A KR20110106532 A KR 20110106532A KR 1020100025605 A KR1020100025605 A KR 1020100025605A KR 20100025605 A KR20100025605 A KR 20100025605A KR 20110106532 A KR20110106532 A KR 20110106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eyboard
mode
playing
sheet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102010002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6532A/ko
Publication of KR20110106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2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guitar-like instruments with or without strings and with a neck on which switches or string-fret contacts are used to detect the notes being play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아노의 건반부와 상기 건반부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악보의 작곡 및 연주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Digital piano system for musical composition and playing piano}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아노의 건반부와 상기 건반부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악보의 작곡 및 연주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 정면 부분에 악보를 거치하고 연주할 경우 연주자가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일일이 악보를 넘겨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연주의 질이 저하되기도 하였다.
또한, 연주자는 연주를 마친후, 자신의 연주가 악보대로 정확하게 연주되었는지 궁금한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하여 자신의 연주를 매번 녹음하기도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악보상의 어느 부분을 잘못 연주하였는지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작곡의 경우 전통적으로 악보에 수기로 작곡을 한 후 작곡된 악보를 연주해가면서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곡을 해왔는데,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의 작곡 방법은 디지털화된 음원 만을 재생하는 최근의 음향기기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이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종래 전통적인 작곡 방식에서 벗어나 작곡 방식 자체를 디지털화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피아노 연주에 있어서 종래 악보를 일일이 넘겨가면서 연주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연주상의 잘못된 점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연주 모드를 가진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통적인 작곡 방식에서 탈피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작곡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구성은, 건반부와, 상기 건반부의 건반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건반부의 눌림 상태의 신호를 전달받아 눌려진 해당 건반에 해당하는 음향을 연동된 음향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되, 눌려진 해당 건반의 음높이를 가지는 음표로 표시하고 표시된 음표들을 나열하여 악보를 작성하는 작곡 모드를 수행하고,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악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악보가 건반부를 이용하여 연주되면 연주되는 악보의 음향을 연동된 음향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되, 해당 연주 구간에서 사용자가 누른 건반이 입력된 악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연주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작곡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작곡된 악보를 표시하고 연주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악보 및 입력된 악보와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작곡 모드에서 작곡된 악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연주 모드에 의하여 사용자가 연주할 부분이 자동적으로 표시부에 표시되므로, 종래 피아노를 연주할 경우 악보를 일일이 넘겨야만하는 불편함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연주 모드에 의하여 재생되는 연주 음향을 리뷰하면서, 사용자는 자신이 연주한 부분중 어느 부분이 잘못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수정할 수 있게 되므로, 피아노 연주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작곡 모드에 의하여 건반을 눌러가면서 작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작곡 방식에서 탈피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작곡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작곡 모드에 의하여 작곡을 수행하면 건반을 누르는대로 악보가 표시되므로 작곡 방식이 매우 용이하여지고, 이로 인하여 전문 작곡가가 아닌 피아노 연주를 취미로 행하는 사람들에게도 작곡상의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은 건반부, 센싱부, 디지털 방식의 입출력부, 표시부와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고가인 일반적인 피아노와 비교하여 저렴하게 피아노를 구매할 수 있는 강력한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개략적 외관도,
도 2 는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3 은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모드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작곡모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연주모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게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개략적 외관도이다.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피아노 형상의 몸체에 건반부(10)가 형성되고, 몸체 정면 중앙에는 표시부(20)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건반부(10)에 있는 건반을 누름으로써 작곡 또는 연주를 하게되고, 상기 표시부(20)는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이 작곡 모드로 수행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누른 건반을 작곡을 위한 악보에 음표로 표시하게 되고,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이 연주 모드로 수행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연주할 악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작곡 모드 및 연주 모드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한다.
도 2 는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은, 피아노의 건반부(10)와, 상기 건반부(10)의 건반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30)와, 상기 센싱부(30)로부터 건반부의 눌림 상태의 신호를 전달받아 눌려진 해당 건반에 해당하는 음향을 연동된 음향출력부(70)를 통하여 출력하되, 눌려진 해당 건반의 음높이를 가지는 음표로 표시하고 표시된 음표들을 나열하여 악보를 작성하는 작곡 모드를 수행하고, 입력부(50)로부터 입력된 악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악보가 건반부(10)를 이용하여 연주되면 연주되는 악보의 음향을 연동된 음향출력부(70)를 통하여 출력하되, 해당 연주 구간에서 사용자가 누른 건반이 입력된 악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연주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40)와, 작곡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작곡된 악보를 표시하고 연주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악보 및 입력된 악보와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20)와, 상기 작곡 모드에서 작곡된 악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반부(10)는 도 1 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피아노 형체의 몸체에 부설된 피아노 건반이다.
상기 표시부(20)는 도 1 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피아노 형체의 몸체 정면 중앙에 형성되는 통상의 모니터로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메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touch-screen) 방식의 모니터인 것이 좋다.
상기 센싱부(30)는 접촉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의 통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건반부(10)의 건반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접촉 센서 또는 압력 센서는 건반 내부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센싱부(30)에 의하여 건반부(10)의 건반의 눌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후술할 작곡 모드에서 눌려진 건반을 저장하고 녹음할 수 있게 되며,아울러 악보의 진행에 따라서 악보가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사용자의 연주 속도에 맞추어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중앙처리유닛(CPU)를 장착한 통상의 마이컴 제어보드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에는 상기 표시부(20), 센싱부(30), 입력부(50), 메모리부(60), 음향출력부(70)의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연동된 메모리부(60)에 내장된다.
상기 입력부(50)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형식으로 만들어진 악보 데이터를 본 발명 제어부(40)로 입력시키기 위한 입출력 포트(port)를 이루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상의 USB(Universal Serial Bus)의 방식의 포트를 이용한다.
상기 메모리부(60)는 상기 제어부(40)가 이용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작곡 모드에서 작곡된 악보 데이터 및 상기 연주 모드에서 출력된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통상의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향출력부(70)는 작곡 및 연주 모드에서의 눌려진 건반의 음향을 출력하고, 연주 모드에서의 연주되는 악보의 음향을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된 디지털 방식의 사운드 카드(Sound card) 및 이와 연동된 스피커(미도시)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은 작곡 모드(mode) 및 연주 모드의 2 가지 종류의 모드를 수행하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으로서, 먼저 작곡 모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모드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고자 본 발명 시스템을 작동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제어부(40)는 표시부(20)를 통하여 도 3 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작곡 모드 또는 연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창을 표시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에 의한 작곡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40)는 작곡 모드를 위하여 필요로되는 화면들을 표시부(20)를 통하여 표시되게 한다.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작곡모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는 사용자가 건반부(10)에 있는 건반을 누르면서 작곡을 수행하는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작곡을 하기 위하여 소망하는 건반부(10)의 건반을 누르게 되면, 센싱부(30)가 건반부(10)의 눌려진 건반을 인식하여 이의 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40)는 전달된 감지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건반을 인식하고, 눌려진 해당 건반에 해당하는 음향을 연동된 음향출력부(70)를 통하여 출력하되, 이 건반에 해당하는 음높이를 가진 음표를 오선지 형태로 이루어진 악보 화면에 표시하여 표시부(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이때, 본 발명 작곡 모드 화면상에는 작곡 모드의 시작을 지정할 수 있는 '시작' 버튼과, 작곡 모드의 종료를 지정할 수 있는 '종료' 버튼, 작곡한 곡을 음향출력부(70)를 통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듣기' 버튼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듣기' 버튼을 통하여 출력되는 곡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정지' 버튼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작곡 모드를 통하여 사용자는 작곡한 곡을 음향출력부(70)를 통하여 재생시키다가 '정지' 버튼을 이용하여 정지시킬 수 있으며, 다시 '시작' 버튼을 눌러 작곡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작곡한 부분을 수정하기 위하여 수정을 원하는 부분을 표시부(20)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선택하여 선택한 부분부터 다시 작곡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곡을 마치기 위하여 '종료'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0)에 저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창이 표시되고, 이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표시부(20)에서 '예' 또는 '아니오' 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저장하기 위하여 '예'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본 발명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진 건반들의 음높이들이 음표로서 표시된 악보를 연동된 메모리부(6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시 작곡한 악보는 제어부(40)에 의하여 통상의 음원 데이터 파일(MPEG 등과 같은 포맷을 가진 디지털 음원 파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도 4c 는 이러한 변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저장된 작곡 파일의 음원 데이터 파일을 USB 포트와 같은 입력부(50)를 통하여 외부의 USB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시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통상의 디지털 음원 재생기(MP3 재생기)나 컴퓨터에서도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곡한 음원을 재생시켜 들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에 의한 연주 모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 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0)를 통하여 작곡 모드 또는 연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창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연주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40)는 연주 모드를 위하여 필요로 되는 화면들을 표시부(20)를 통하여 표시되게 한다.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연주모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연주 모드에서는 제어부(40)가 상기 입력부(5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악보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표시부(40)에 표시된 악보를 보면서 이에 맞추어 건반부(10)의 건반을 치게 되며, 제어부(40)는 표시부(20)에 표시된 해당 악보 구간이 모두 연주되게 되면, 악보를 다음장으로 자동적으로 넘겨서 표시하게 된다.
그러면, 눌려진 건반의 눌림 상태의 신호를 센싱부(30)가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40)로 전달하고, 제어부(40)는 연주되는 악보의 음향을 연동된 음향출력부(70)를 통하여 출력하면서 연주를 수행한다.
이후, 악보의 연주가 종료되면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가 해당 연주 구간에서 사용자가 누른 건반이 입력된 악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
즉, 제어부(40)가 악보상의 음표와 일치하는 건반을 정확하게 타건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나눈후, 정확하게 타건된 음표와 그렇지 않은 음표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적용하여 악보에 표시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도면상에는 악보를 정확하게 타건할 경우에는 해당 음표를 청색으로 표시하지만, 부정확하게 타건할 경우에는 해당 음표를 적색으로 표시하였다.
그러면, 악보를 정확하게 타건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색상이 나뉘어져 표시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연주를 마친후 악보를 정확하게 순서대로 다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악보에 맞춰 건반을 잘못쳤는지를 검토할 수 있게 되면서, 해당 악보를 보다 원활하고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주 모드 상의 화면에는 '시작', '정지' 및 '종료' 버튼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연주 모드의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정지' 버튼을 눌러서 연주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주 모드에 의하여 표시부(20)에 표시된 악보 구간이 모두 연주되게 되면, 악보가 다음장으로 자동적으로 넘겨지게 되므로 종래의 악보를 일일이 넘겨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연주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건반부
20; 표시부
30; 센싱부
40; 제어부
50; 입력부
60; 메모리부
70; 음향 출력부

Claims (7)

  1. 건반부(10)와,
    상기 건반부(10)의 건반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30)와,
    상기 센싱부(30)로부터 건반부의 눌림 상태의 신호를 전달받아 눌려진 해당 건반에 해당하는 음향을 연동된 음향출력부(70)를 통하여 출력하되, 눌려진 해당 건반의 음높이를 가지는 음표로 표시하고 표시된 음표들을 나열하여 악보를 작성하는 작곡 모드를 수행하고,
    입력부(50)로부터 입력된 악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악보가 건반부(10)를 이용하여 연주되면 연주되는 악보의 음향을 연동된 음향출력부(70)를 통하여 출력하는 연주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40)와,
    작곡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작곡된 악보를 표시하고, 연주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악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0)와,
    상기 작곡 모드에서 작곡된 악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작곡 모드를 통하여 작곡된 악보를 음원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음원 데이터 파일을 상기 입력부(50)를 통하여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20)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니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모드에서 표시부(20)에 표시된 해당 악보 구간이 모두 연주되면,
    제어부(40)가 악보를 자동적으로 다음장으로 넘겨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모드에서 연주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40)가 해당 연주 구간에서 사용자가 누른 건반이 입력된 악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표시부(2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및 비교 결과의 표시는,
    상기 제어부(40)가 악보상의 음표와 일치하는 건반을 정확하게 타건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나눈후,
    정확하게 타건된 음표와 그렇지 않은 음표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적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KR1020100025605A 2010-03-23 2010-03-23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KR20110106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05A KR20110106532A (ko) 2010-03-23 2010-03-23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05A KR20110106532A (ko) 2010-03-23 2010-03-23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32A true KR20110106532A (ko) 2011-09-29

Family

ID=4495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05A KR20110106532A (ko) 2010-03-23 2010-03-23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65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0942B2 (en) * 2018-05-28 2023-02-14 Sunland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ystems, methods, smart musical instruments,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usic score matching
KR20230072692A (ko) * 2021-11-18 2023-05-25 유상목 피아노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아노 연습방법
KR102597777B1 (ko) 2023-03-13 2023-11-03 김설희 기능성이 개선된 포터블 피아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0942B2 (en) * 2018-05-28 2023-02-14 Sunland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ystems, methods, smart musical instruments,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usic score matching
KR20230072692A (ko) * 2021-11-18 2023-05-25 유상목 피아노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아노 연습방법
KR102597777B1 (ko) 2023-03-13 2023-11-03 김설희 기능성이 개선된 포터블 피아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296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looping station
JP4328828B2 (ja) 携帯型和音出力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892720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US8598444B2 (en) Music-oriented controller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US10741155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looping station
GB2516634A (en) A Method, Device and Software
JP4926756B2 (ja) カラオケ効果音出力システム
KR20110106532A (ko) 작곡 및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 시스템
WO2018067124A1 (en) Improved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JP4692189B2 (ja) 合奏システム
CN102481489B (zh) 可输出文本的音乐游戏系统
JP5043971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35247B2 (ja) 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56679A (ko)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디지털 피아노 및 그 동작 방법
JP2780637B2 (ja) 演奏教習装置
JP4858504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7078724A (ja) 電子楽器
JP2007334202A (ja) カラオケ装置
CN102481488B (zh) 音乐游戏系统以及效果音数据的生成方法
JP2013003430A (ja) カラオケ装置
JP6427439B2 (ja) カラオケ装置
JP6421044B2 (ja) カラオケ装置
JP2023146600A (ja) 演奏データ変換装置及び演奏データ変換プログラム
JP2008233614A (ja) 小節番号表示装置、小節番号表示方法及び小節番号表示プログラム
JP2017015960A (ja) 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