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839A - 유아용 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839A
KR20110105839A KR1020117017020A KR20117017020A KR20110105839A KR 20110105839 A KR20110105839 A KR 20110105839A KR 1020117017020 A KR1020117017020 A KR 1020117017020A KR 20117017020 A KR20117017020 A KR 20117017020A KR 20110105839 A KR20110105839 A KR 20110105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y
toilet
conduit
opening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래스본
Original Assignee
포티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티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티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0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6Chamber-pots; Throw-away urinals for non-bedridden persons; Chamber-po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유아용 변기(10)는 측벽(12)과, 변기통과, 시트면(18)을 갖는 상부 면(15)을 포함한다. 유아용 변기(10)는 유사한 유아용 변기와 적층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하나의 유아용 변기의 일부분이 다른 유아용 변기 내에 수용된다. 이는 적층된 유아용 변기들의 결합된 높이가 각각의 유아용 변기의 높이의 2배보다 작도록 한다. 유아용 변기(10)는 시트면(18)과 접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유아용 변기의 변기통(14)으로부터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도관(20)을 갖는다.

Description

유아용 변기 {A POTTY}
본 발명은 유아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변기는 일반적으로 측벽, 시트면, 변기통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물품이다. 어린이는 시트면에 앉아 변기통에 용변을 볼 것이다. 용변은 변기통으로부터, 예를 들어, 유아용 변기를 기울여서 변기로 전달될 것이다. 그러나, 종종 세심하게 유아용 변기로부터 용변을 비우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일부의 경우에, 유아용 변기가 비워질 때 용변이 시트면을 지나가서 위생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유아용 변기들은 상당히 저가로 대량 생산되는 물품으로, 저장, 운반 및 전시를 위해 다수의 유아용 변기들이 적층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변기통, 시트면 및 액체가 시트면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액체가 변기통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 도관을 포함하는 유아용 변기가 제공되며, 상기 유아용 변기는 유사한 유아용 변기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서 유아용 변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유사한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아용 변기는, 앉을 수 있도록 배치된 유아용 변기의 표면에 용변이 지나가지 않으면서, 액체가 변기통으로부터 변기와 같은 목표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피부가 일반적으로 접촉하는 표면 또는 표면들이, 변기통으로부터 비워지는 용변에 의해 오염되지 않을 것이다. 나아가, 도관이 변기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도관을 포함하는 유아용 변기의 구조는, 유아용 변기가 유사한 유아용 변기, 일부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변기와 적층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하나의 유아용 변기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복수의 유아용 변기들이 운반, 저장, 전시 면에서 바람직한 공간-절약 배치로 적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불확정한 표면들의 구조에 따라, 2개의 유아용 변기들의 결합한 높이는 하나의 유아용 변기의 높이의 2배보다 작거나, 하나의 유아용 변기의 높이의 1.5배보다 작거나, 일부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하나의 유아용 변기의 높이의 1.2 또는 1.1배가 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도관의 일단은 유아용 변기의 표면을 통해 형성된 제1 개구에 또는 그와 인접하여 제공되며, 도관을 따라 액체가 제1 개구에 부어지거나 제1 개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변기로부터 용변을 비우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일부의 실시예들에서, 유아용 변기는 등받이를 포함하며, 개구는 등받이의 일부분을 통해 형성된다. 등받이는 사용자의 등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지지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유아용 변기에 앉을 때 등받이보다 더 뒤쪽에 앉는 것을 방지한다. 도관은 지지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유아용 변기의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 지지 면은 사용자의 피부가 도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개구가 제1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 측벽(primary sidewall)을 통해 형성되며, 제2 개구는 제1 개구에 비해 크다. 따라서, 액체 또는 고체는 제1 개구를 통해 부어질 수 있으며, 제2 개구를 통과한다. 제2 개구는 청소가 필요할 수 있는, 주 측벽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액체 또는 고체가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아용 변기는, 다른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치된 유아용 변기의 일부분이 도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관을 포함하는 유아용 변기의 일부분은 다른, 유사한,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다른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되는 유아용 변기의 대부분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관의 말단은 다른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관의 3분의 1,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관의 2분의 1 또는 3분의 2가 다른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도관의 말단은 다른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아용 변기는 주 측벽을 포함하며, 변기통은 변기통 측벽과, 측벽들 사이에 제공된 시트면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시트면 하부의 소정 공간에 공동(cavity)이 주 측벽과 변기통 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동은 제2의 유사한 유아용 변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는 공동을 형성하는 개방 하부를 가지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층하는 동안 유사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아용 변기의 적어도 일부가 공동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관은 시트면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유아용 변기의 상부 표면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앉을 수 있도록 배치되며, 만약 도관이 변기통으로부터 유아용 변기의 측면으로 연장하면, 도관은 일반적으로 시트면을 지날 것이며, 만약 도관이 변기통으로부터 유아용 변기의 후면으로 연장하면, 도관은 일부의 경우에 시트면을 지날 수 있다. 이 경우에, 시트면은 시트면을 지나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은 도관이 통과하는 채널 기저(base)를 갖는다. 이는 도관이 시트면을 교차하도록 한다. 도관과 채널은 일부의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폭을 가지며, 따라서, 채널은 채널에 대응하는 도관 부분에서 도관의 깊이 내로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관의 액체 전달 표면은, 배출되는 액체가 시트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트면의 인접하는 부분의 일반 면 하부에 제공되어야 한다. 도관은 시트면에 앉은 사용자가 도관의 표면과 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유아용 변기는 지지 면을 갖는 등받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관은 등받이의 지지 면을 지나 연장한다. 따라서, 도관은 등받이를 따라 연장할 수 있으므로, 유아용 변기를 후방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유아용 변기로부터 용변이 배출될 수 있다. 도관의 깊이 자체, 또는 도관을 포함하는 채널의 깊이는 사용자의 등이 도관의 표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후자의 대안으로서, 유아용 변기는 그 표면을 통해 형성된 배구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관은 배수구로 연장하여 액체가 도관을 통해 변기통 영역으로부터 배수구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도관은 유아용 변기의 표면을 통해 형성된 배수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용변은 이를 통해 주 측벽과 변기통 측벽 사이의 공동(cavity)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아용 변기는 지지 면을 갖는 등받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구는 등받이의 지지 면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는, 배수구를 통해 변기통으로부터 개방 하부인, 주 측벽과 변기통 측벽 사이의 공동에 부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관은 시트면을 지나지 않으면서 변기통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한다. 이 경우에, 시트면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불편하게 느낄 수 있는 측면 오목부를 갖지 않는, 연속된 표면이 될 수 있다. 이는 도관이, 예를 들어, 시트면을 지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변기통으로부터 주 측벽의 상부로 연장하는 개방 도관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유아용 변기에 앉을 때 사용자가 접촉하지 않도록 도관이 충분히 오목하거나 도관이 시트면 하부에서 커버되거나 또는 통과할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유아용 변기는 그 표면을 통해 형성된 배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관이 배수구에서 연장하여 액체가 도관을 통하여 변기통 영역으로부터 배수구로 흐를 수 있다. 이 때, 배수구는 변기통 측벽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채널이, 사용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는 시트면을 교차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배수구가 제공된 실시예들에서, 주 측벽은 배수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개구는 배수구에 비해 크기가 크다. 개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개구는,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변이 주 측벽의 내면, 즉, 공동 내측에 접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유아용 변기는 물 튀김 보호(splash guard) 기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관은 돌출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그 말단으로 연장한다. 물 튀김 보호대는 유아용 변기의 유리한 특징이며, 앉도록 배치되지 않은 표면이다. 따라서, 도관은 물 튀김 보호대를 통해 연장할 수 있으며, 시트면을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도관은 유입되는 액체로부터 물 튀김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관은 그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을 통해 반원형 단면, 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기통의 적어도 일부는, 적층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아용 변기의 변기통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저장, 운반, 전시 면에서 바람직한 효율적인 적층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관은 변기통의 하부 면에 가장 근접한 제1 말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아용 변기는 제1 말단에 인접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저장소는 변기통의 하부 면보다 낮은 집수면(collecting surface)을 갖도록 구성되어 변기통으로부터 액체를 모으며, 유아용 변기를 기울일 때 도관의 제1 말단으로 액체가 향하도록 돕는다. 도관의 기저에 저장소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유아용 변기를 기울일 때 도관으로 진행하도록 액체가 저장소에 모일 수 있다. 이는 변기통의 하부면이 균일하거나 도관의 기저에 대해 원거리 영역이 최하부일 때보다 유아용 변기를 비우는 것을 쉽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관의 적어도 일부가 변기통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또는 가로질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관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 상부 채널이다. 이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채널의 개방 상부 부분을 청소하는 것을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사한 유아용 변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아용 변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아용 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유아용 변기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유아용 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유아용 변기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유아용 변기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유아용 변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10)는, 도면을 볼 때, 일반적으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를 형성하도록 폐쇄된 루프 내에 구성되는 주 측벽(12)을 포함한다. 주 측벽(12)은 측면보다 유아용 변기(10)의 정면 및 후면에서 더 높다. 주 측벽(12)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가면서 내측으로 경사지며, 하부에서 그 둘레 길이는 상부에서보다 크다. 잡을 수 있도록 홀(26)이 주 측벽(12)의 후면에 형성된다.
변기통(14)은 주 측벽(12)에 의해 정의되는 폐쇄된 루프 내에 위치한다. 변기통(14)은 평면도를 볼 때, 일반적으로 타원형을 형성하도록 폐쇄된 루프 내에 구성된 변기통 측벽(14a)을 갖는다. 변기통 측벽(14a)은 그 하부로부터 상부로 가면서 외측으로 경사지며, 하부에서의 둘레 길이는 상부에서보다 작다. 변기통(14)의 하부는 하부 면(14b)에 의해 폐쇄되며, 상부는 개방된다. 따라서, 변기통(14)은 그 상부가 개방된 방수의(liquid-tight) 컨테이너이다. 변기통 측벽(14a)의 정면 부분은, 물 튀김 보호 돌출부(24)에 기여하도록 후면과 측면들에 비해 높다. 변기통은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어떠한 적합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유아용 변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아용 변기와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2개의 유아용 변기의 결합된 높이는 단일의 유아용 변기의 높이의 2배보다 작다.
주 측벽(12)의 상부는 상부 면(15)에 의해 변기통 측벽(14a)의 상부와 연결된다. 측벽들(12, 14a)과 상부 면(15)은 함께 유아용 변기(10)에 강성(rigidity)을 제공하는 쉘 구조를 형성한다. 상부 면(15)은 앉을 수 있도록 배치된 표면들과, 앉을 수 있도록 배치되지 않은 표면들을 포함한다. 앉을 수 있도록 배치된 표면들은 시트면(18)과 등받이(16)의 전면(16a)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앉을 수 있도록 배치된 표면은, 평균적인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기 쉬운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의 어떤 표면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시트면(18)은 어린이가 그 위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윤곽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수평 면을 형성한다. 변기통(14)으로부터 비워지는 물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기 쉬운 시트면(18), 또는 등받이(16)의 전면(16a)과 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16)의 전면(16a)은 시트면(18)에 연결된다. 그러나, 전면(16a)은 유아용 변기(10)에 앉은 사용자에게 수평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시트면(18)보다 가파른 경사도를 갖는다. 등받이(16)의 전면(16a)의 상부는 주 측벽(12)의 후면부의 상부 림에 연결된다. 실제로, 유아용 변기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에 연결된다" 등은 다른 부분들과 통합적으로 형성된 불확정한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물 튀김 보호대(24)는 주 측벽(12)의 전면부와, 변기통 측벽(14a)의 전면부와, 그들 사이의 상부면으로 이루어진다. 개방 채널(20)은 변기통(14)의 하부면(14b)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물 튀김 보호 돌출부(24)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한다. 채널(20)은, 채널(20)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면을 통해, 원의 활꼴과 유사한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은 폐쇄된 도관 또는 다른 적합한 도관이 될 수 있다. 개방된 상부 채널은, 예를 들어, 도관에 어떠한 고체 용변이 붙는 것과 같은, 폐쇄된 도관보다 청소하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합한 도관은 액체가 시트면에 접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변기통으로부터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채널은 측면들 사이에 액체 전달 표면을 갖는 평평한 측면이 되거나, 또는 채널 내에 액체를 함유하면서 상당한 양의 액체가 채널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채널은 직선으로 보이며, 이는 액체가 채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하는데 최대의 직접적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채널은 직선일 필요가 없다. 채널(20)은 청소를 위해 쉽게 접근하기에 충분히 넓은 것이 유리하며,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채널은 최소 20mm 폭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채널은 10mm 내지 100mm 범위, 다른 실시예들에서 최대 150mm 폭까지의 어떠한 폭도 될 수 있다. 채널(20)은 균일한 폭 또는 가변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채널(20)은 기저를 향해 넓어지고 상부를 향해 좁아질 수 있다. 액체가 유아용 변기 밖으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도관을 구비하는 것은, 예를 들어, 변기통을 통해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비해 유리하며, 이는 밸브가 개폐되어야 하므로 유아용 변기가 복잡해지기 때문이며, 나아가, 밸브는 용변물로 더럽혀질 수 있어서, 밸브를 터치하는 것은 위생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른 도관은 밸브를 갖지 않는다. 대신, 유아용 변기의 방향이 액체가 도관을 통해 이동하거나 유아용 변기로부터 배출되도록 조정된다. 이는 용변이 묻은 표면을 터치하지 않으면서 유아용 변기가 비워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변기통(14)의 하부면(14b)은 채널(20)의 기저에 또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얕은 홈(22)을 갖는다. 얕은 홈(22)과 변기통(14)의 하부면(14b)은 변기통으로 들어가는 액체가 얕은 홈(22)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유아용 변기(10)로부터 후에 배출되도록 편리한 위치에 액체를 위치시킨다. 얕은 홈, 또는 집수 풀(collecting pool)이,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경사질 수 있다. 그러나, 얕은 홈은 바람직한 특징일 뿐,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에서 볼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측벽(12), 변기통 측벽(14a), 채널(20)과 상부면(15)은 수직 축에 대해 릴리즈 각도들(release angles)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는 주 측벽(12)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는 채널(20) 때문이다. 유아용 변기(10)는 중공의 기저를 가지므로, 주 측벽(12), 변기통 측벽(14a), 및 상부면(15) 사이에 공동(cavity)이 존재한다. 유아용 변기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재료, 예를 들어, 3mm 두께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밑면의 표면 외관은 외측면에 대응할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밑면의 표면 외관은 유아용 변기의 외측면의 릴리즈 각도들에 대응하는 릴리즈 각도들을 형성한다. 유아용 변기(10)의 구조는 유아용 변기가 다른 유사한 유아용 변기와 함께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유아용 변기(10)의 외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아용 변기의 밑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며, 즉, 유아용 변기(10)는 그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유사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아용 변기(10)는, 그 내부에 상부면, 등받이, 주 측벽의 일부분, 공동 측벽, 도관의 일부분, 유사한 유아용 변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주 측벽(12)과, 변기통 측벽(14a)과, 상부 표면(15) 사이의 공동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유아용 변기들이 적층될 때, 적층된 유아용 변기들의 결합된 높이, 즉, 상부 유아용 변기의 등받이(16)의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하부 유아용 변기의 바닥까지의 거리는 하나의 유아용 변기(10)의 높이의 2배보다 작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유아용 변기들의 결합된 높이는 하나의 유아용 변기의 높이의 1.5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일부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하나의 유아용 변기 높이의 1.2 또는 1.1 배이다.
이 실시예에서, 유아용 변기(1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유아용 변기는, 유아용 변기가 사용되면서 생길 수 있는 액체와 다른 용변물들에 잘 견디면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데 필요한 강도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 아이가 유아용 변기에 앉으며, 그렇게 하면서 아이의 피부가 시트면(18)과, 등받이(16)의 전면(16a)에 접하기 쉽다. 아이가 유아용 변기(10)의 변기통(14)에, 예를 들어, 소변과 같은 용변을 보면, 제공된 소변의 양, 하부면(14b)의 가능한 다른 부분들에 따라 소변은 얕은 홈(22) 내 채널(20)의 기저 근처에 모인다. 소변은 유아용 변기(10)를 하측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변기통(14)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소변을 채널(20)로 보낼 수 있어서, 채널(20)의 기저로부터 그 말단, 그리고 채널(20)로부터 변기와 같은, 다른 처리 영역으로 소변이 이동할 수 있다. 소변은 실질적으로 피부-접촉면와 접하지 않을 것이며, 이는 앉을 수 있도록 배치되지 않은 유아용 변기(20)의 표면 내에 채널(20)이 형성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붓다(pouring)" 라는 용어는 180도보다 낮은 회전으로 유아용 변기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하며, 그 안의 액체는 중력 때문에 변기통 측벽(14a)을 따라 흐른다. 유아용 변기를 180도 또는 그 이상으로 기울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유아용 변기를 기울일 때보다 더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30)가 도시된다. 유아용 변기(30)는, 물 튀김 보호대(24)를 따라 연장하는 채널(36) 대신에, 채널(36)이 변기통(14)의 하부면(14b)으로부터 유아용 변기(30)의 후면으로 연장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30)와 유사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36)은 변기통 측벽(14a) 내에 형성된 제1 부분(36a), 시트면(18) 내에 형성된 제2 부분(36b) 및 유아용 변기의 후면에 배출구를 제공하는 제3 부분(36c)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등받이(32)는 그를 관통하여 형성된 슬롯(34)을 갖는다. 슬롯(34)은 기저를 가지며, 기저를 따라 채널(36)의 제3 부분(36c)이 연장한다. 슬롯(34)의 기저와 채널(20)은 하나이며 동일할 수 있다. 슬롯(34)은 그 상부보다 그 하부에서 더 좁다. 등받이(32)의 2개의 하프(half)(32a)는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며, 중공이고, 이에 의해 제1 실시예와 같이 유아용 변기(30)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릴리즈 각도의 윤곽을 제공한다. 그러나, 등받이의 2개의 하프는 다른 적합한 형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채널(36)의 제2 부분(36b)은 시트면(18)을 지난다. 명확성을 위해, "~ 지난다" 라는 용어는 평면도에서 도관의 적어도 일부가 시트면의 적어도 일부분의 바로 상부에 있거나, 바로 하부에 있거나, 또는 교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서, 채널(36)의 제2 부분(36b)은 시트면(18)과 교차한다. 그 결과, 채널(36)의 제2 부분(36b)의 액체 전달 표면과, 시트면(18)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인 사용시 유아용 변기에 앉는 사람의 피부가 채널(36)의 제2 부분(36b)의 액체 전달 표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충분하도록 이격된다. 이 거리는 채널(36)의 제2 부분(36b)의 깊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채널의 제2 부분(36b)의 액체 전달 표면은, 채널과 인접하는 시트면(18)의 일반 면의 하부로 적어도 10mm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거리는 5mm 내지 65mm, 바람직하게 10mm 내지 40mm, 더 바람직하게 10mm 내지 20mm 범위가 될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 유아용 변기(30)를 후방으로 기울이는 것은 변기통(14) 내의 액체가 채널(36)을 따라 흐르도록 하며, 제3 부분(36c)의 배출구에서 채널을 빠져나가도록 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40)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유아용 변기(40)는 제2 실시예의 유아용 변기(30)와 유사하다. 그러나, 등받이(16)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채널(42)은, 주 측벽(12)의 후방에 채널 배출 개구를 형성하도록, 변기통 측벽(14a) 내에 형성된 제1 부분(42a)과, 시트면(18) 내에 형성된 제2 부분(42b)과, 등받이(16)의 전면(16a)을 통해 형성된 제3 부분(42c)과, 등받이의 상부 내에 형성된 제4 부분(42d)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제2 부분(42b)에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부분(36b)과 동일한 고려사항이 적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채널(42)의 제3 부분(42c)도, 보통의 사용시, 등받이(16)의 전면(16a)을 지나 연장하는 채널(42)의 제3 부분(42c)으로 인해, 유아용 변기에 앉는 사람의 피부가 액체 전달 표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오목하다.
사용에 있어서, 유아용 변기(40)를 후방으로 기울이는 것은 변기통(14) 내의 액체가 채널(42)을 따라 흐르도록 하며, 제4 부분(42d)의 배출구에서 채널을 빠져나가도록 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50)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채널(52)은 변기통 측벽(14a) 위로 연장하는 제1 부분(52a)과, 유아용 변기(50)의 측면에서 시트면(18)을 지나 연장하는 제2 부분(52b)을 갖는다. 제2 및 제3 실시예들에서, 채널(52)은, 보통의 사용시, 유아용 변기에 앉는 사람의 피부가 채널(52)의 액체 전달 표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오목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60)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등받이(62)의 전면(62a)은 시트면(18)에 인접한 위치에서 그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개구(64)를 갖는다. 채널(66)이 변기통(68)으로부터 연장하며, 이 실시예에서, 채널은 벽들과 하부면을 갖는 것보다 굽어진 단면을 갖는 홈이다. 채널(66)은 변기통(68)의 벽 위로 연장하는 제1 부분(66a), 시트면(18)을 지나 제1 개구(64)까지 연장하는 제2 부분(66b), 및 립(lip) 또는 스파우트(spout)를 형성하도록 개구(64)를 통해 돌출하는 제3 부분(64)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68)는 유아용 변기의 후방에서 주 측벽(12)을 통해 형성되며, 이를 통해 개구(68), 제1 개구(64) 및 립(66c)을 볼 수 있다. 제2 개구의 목적은 채널(66)을 따라 액체가 부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액체가 립(66c)을 지나면서, 주 측벽(12)의 내측 면 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통과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소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개구(64)는, 유아용 변기(6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유아용 변기(60)의 립(66c)이 적층될 때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7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70)는 제4 실시예의 유아용 변기(50)와 유사하다. 그러나, 채널(74)은 시트면(18) 하부 위치에서 변기통 측벽(14a)을 통해 형성된 제1 개구(72)로 연결된다. 제1 개구(72)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개구(76)는, 유아용 변기(70)의 측면에서 주 측벽(12)을 통해 형성되며, 제5 실시예의 제2 개구(68)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는 변기통에 대해 제1 개구(72)의 반대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튜브는 변기통의 내측면과 유체 소통하며, 주 측벽(12)의 외측면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튜브는 시트면(18)을 지나나, 그와 교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하나의 유아용 변기가 다른 유아용 변기에 의해 얼마나 많이 수용되는가를 제한할 수 있는데, 튜브의 밑면은 2개의 유아용 변기들이 적층될 때 다른 유아용 변기의 시트면과 접하기 때문이다.
사용에 있어서, 유아용 변기(70)는 채널(74)을 둘러싸며, 액체는 채널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개구(72)를 통해 변기통을 빠져나온다. 이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일으킬 수 있는 시트면(18)과 채널이 교차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변기(80)가 도시된다. 유아용 변기(80)는 제2 실시예의 유아용 변기(30) 및 제5 실시예의 유아용 변기(60)와 유사하다. 하나의 유사점은, 유아용 변기(80)가 액체 및 고체가 배출될 수 있는 개구(84)로 연결되는 채널(82)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도시된 개구(84)는 일반적으로 등받이(86)의 전면(86a)을 통해 형성된 계란-형태의 개구이다. 그러나, 개구(84)는, 액체 또는 고체 용변이 시트면과 접하지 않으면서, 채널(82)을 사용하여, 유아용 변기로부터 액체 및 고체 용변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 또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84)는 도 4에 도시된 슬롯(34)과 같은 개방-상부 경로가 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개구(84)는, 등받이(86)이 보다 유아용 변기의 표면을 통해, 예를 들어, 변기통 측벽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86)의 적어도 일부는, 유아용 변기(80)에 앉을 때, 사용자의 등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이는 등받이의 지지면(86a)으로 언급될 수 있다. 등받이(16)는 사용자가 유아용 변기(8) 상에서 얼마나 더 멀리 후방에 앉을 수 있는가를 제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용 변기(80)는 앉을 수 없게 배치된 영역들과 앉을 수 있게 배치된 영역을 갖는 상부면(88)을 갖는다. 도시된 예시에서, 측면 영역들(88a)은 앉을 수 있게 배치된 영역들이며, 따라서 시트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부면(88)의 후방 영역(88b)은 앉을 수 있게 배치되지 않으며, 등받이의 지지면(86b)이, 평균적인 사용자가 얼마나 더 멀리 후방에 앉을 수 있는가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등받이(86)의 지지면(86a)의 구조로 인해 상부면(88)의 후방 영역(88b)과 사용자의 피부가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등받이(86)가 구성된다. 유아용 변기는, 일반적인 사용동안, 사용자의 피부가 채널(84)과 아주 근접하거나, 일부의 실시예에서 채널(84)가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채널(82)에 인접하는 유아용 변기의 영역들에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아용 변기(80)는 앉을 수 있게 배치된 표면이 아닌 물 튀김 보호 돌출부(90)를 포함한다. 유아용 변기(80)가 반드시 물 튀김 보호 돌출부(90)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채널(82)은 일반적으로 그 후방 부분에서, 변기통 측벽(92a)을 따라 제공되며, 100mm 내지 200mm 범위의 폭을 갖는다. 이 일반적인 범위는 채널(82)을 따라 고체가 부어지거나 전달되거나 개구(84)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나아가, 채널(84)은 청소하기 쉽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채널은 다른 위치들에서보다 일부 위치들에서 더 넓다. 채널(82)은 변기통 측벽(92a) 위로 연장하며, 변기통(92)의 기저(92b)에 인접하는 제1 말단과 개구(84)에 인접하는 제2 말단을 가져서, 액체와 고체가 채널(82)을 따라 부어질 수 있으며, 개구(84)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채널(84)의 제2 말단은 립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립은 개구(84)의 상부와 교차하는 수직 면보다 더 후방에 있지 않으며, 이는 적층가능한 유아용 변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등받이의 지지면(86a)을 포함하는 시트면은, 사용자가 좌석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피부가 채널로부터 이격된다. 채널(82)의 상부 영역을 형성하는 유아용 변기의 일부분은 시트면으로부터 충분히 후방에 설치되어, 평균적인 사용자는, 사용에 있어서, 채널(84) 그 자체, 또는 일부의 실시예들에서, 채널(84)의 상부 영역에 인접하는 공간 내 유아용 변기의 일부분에 접하지 않을 것이다. 이 예시에서, 채널(82)은 시트면의 일반적인 표면 윤곽의 하부 및 후방에 설치되므로, 시트면을 지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채널은 등받이(86)의 지지면(86a)으로부터 더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면은, 평면도에서, 유아용 변기(80)의 전방과 대향하는 "C" 의 단속적인 부분(broken part)과 함께, 일반적으로 "C" 형태의 표면을 형성한다. 변기통(92), 채널(82) 및 개구(84)는 각각 C 형태의 시트면에 수용되어 시트면은 부분적으로 변기통(92), 채널(82) 및 개구(84)를 감싼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채널(82)은 시트면을 지날 수 있으며, 일부의 경우에, 시트면과 교차하고,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의 위치가 더 앞으로 진행한 경우이고, 채널과 인접하는 유아용 변기의 일부분은 시트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유아용 변기(80)는 개구(84)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 측벽의 후면을 통해 형성된 제2 개구(94)를 포함한다. 제2 개구(94)는 일반적으로 아치-형태이며 개구보다 크다. 제2 개구(94)는, 청소를 포함하여, 주 측벽의 내측에 용변이 접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개구(84)로부터 액체와 고체 용변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4 내지 11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장점은 유아용 변기에 앉은 아이가 채널들에 접촉하지 않을만한 위치에 각 채널들이 위치하며, 이는 위생 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유아용 변기의 표면 윤곽 내 채널이 불연속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기통 측벽 또는 측벽들은, 액체가 시트면에 접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변기통으로부터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열된 도관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구성될 것이다. 일례는, 계란의 상부의 최소한의 곡률 반경을 갖는 변기통의 인접한 부분 영역에서 유아용 변기통을 통해 제공된 개구를 갖는 타원 또는 계란 형태의 변기통이다.

Claims (21)

  1. 액체가 시트면과 접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액체가 변기통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 변기통, 시트면 및 도관을 포함하는 유아용 변기로서, 상기 유아용 변기는 유사한 유아용 변기와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아용 변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유사한 유아용 변기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변기는 주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통은 변기통 측벽을 포함하고, 시트면은 측벽들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관의 일단은 유아용 변기의 표면을 통해 형성된 제1 개구에 또는 제1 개구와 인접하여 제공되어, 액체가 도관을 따라 제1 개구로 부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유아용 변기는 등받이를 포함하며, 제1 개구는 등받이의 일부분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등받이는 사용자의 등 하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 지지면을 형성하며, 도관은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아용 변기의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 지지면은 사용자의 피부가 도관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6. 제2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개구는 제1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 측벽을 통해 형성되며, 제2 개구는 제1 개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관이 시트면을 지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8. 제7항에 있어서, 시트면은 시트면을 지나 연장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기저(base)를 포함하고, 기저를 통해 도관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유아용 변기는 등받이를 포함하며, 도관은 등받이를 지나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유아용 변기는 그 표면을 통해 형성된 배수구를 더 포함하며, 도관은 상기 배수구로 연장하여 액체가 도관을 통해 변기통 영역으로부터 배수구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유아용 변기는, 지지면을 갖는 등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의 지지면을 통해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관이 시트면을 지나지 않으면서 변기통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유아용 변기는 그 표면을 통해 형성된 배수구를 더 포함하며, 도관이 배수구로 연장하여 액체가 도관을 통해 변기통 영역으로부터 배수구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4. 제13항에 있어서, 배수구는 변기통 측벽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측벽은 배수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 개구와 함께 제공되며, 제2 개구의 크기는 배수구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6. 제12항에 있어서, 물 튀김 보호(splash guard) 기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도관이 상기 돌출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그 말단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기통의 적어도 일부가, 적층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아용 변기의 변기통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은 변기통의 하부면에 최근접한 제1 말단을 가지며, 유아용 변기는 상기 제1 말단에 인접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변기통으로부터 액체를 모으고, 유아용 변기가 기울여질 때 모인 액체가 도관의 제1 말단으로 향하도록 상기 저장소는 변기통의 하부면보다 낮은 집수면(collecting surface)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사한 유아용 변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아용 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20. 제2항, 제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의 적어도 일부는 변기통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또는 가로질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변기.
  21.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설명된, 유아용 변기.
KR1020117017020A 2008-12-22 2009-12-09 유아용 변기 KR20110105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823357.9A GB0823357D0 (en) 2008-12-22 2008-12-22 A potty
GB0823357.9 2008-12-22
GB0906896.6 2009-04-22
GBGB0906896.6A GB0906896D0 (en) 2008-12-22 2009-04-22 A pot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839A true KR20110105839A (ko) 2011-09-27

Family

ID=4035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020A KR20110105839A (ko) 2008-12-22 2009-12-09 유아용 변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750378B2 (ko)
EP (1) EP2375951B1 (ko)
JP (1) JP2012513225A (ko)
KR (1) KR20110105839A (ko)
CN (1) CN102271565A (ko)
AU (1) AU2009332738A1 (ko)
BR (1) BRPI0923550A2 (ko)
CA (1) CA2747302A1 (ko)
ES (1) ES2887498T3 (ko)
GB (2) GB0823357D0 (ko)
RU (1) RU2533091C2 (ko)
WO (1) WO2010073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884B2 (en) 2008-11-21 2016-05-10 Glyn David ROSSER Toilet equipment
GB2465582B (en) * 2008-11-21 2012-11-21 Glyn David Rosser Toilet equipment
JP5896860B2 (ja) * 2012-08-10 2016-03-30 株式会社リッチェル 乳幼児用便器
CN102920388A (zh) * 2012-11-26 2013-02-13 马磊 婴幼儿座便器
CN203182820U (zh) 2013-03-14 2013-09-11 克斯克管理公司 儿童便盆系统
US9936843B2 (en) 2013-09-25 2018-04-10 Dorel Juvenile Group, Inc. Combination footstool and child potty
WO2016197048A1 (en) * 2015-06-03 2016-12-08 JELER, Stefan, A. Portable toilet having a tilting bowl with pour spout
US20170051487A1 (en) * 2015-08-21 2017-02-23 Justin A. Messelhiser Toilet bowl cleaning trough device
CN110664295A (zh) * 2019-10-20 2020-01-10 仲从宝 后仓部倾倒口马桶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62A (en) * 1915-02-10 1916-05-02 La Fayette Pierce Chamber vessel.
US2776438A (en) * 1955-10-18 1957-01-08 Zeraffa Paul Child's portable chamber-pot
US3329973A (en) 1964-06-15 1967-07-11 Katherine E Bobbe Throw-away urinal
FR1514151A (fr) * 1966-10-25 1968-02-23 Bebe Confort Vase de nuit
GB1304372A (ko) 1969-06-27 1973-01-24
US3625654A (en) 1970-05-22 1971-12-07 Charles M Van Duyne Urine collection device
NL7604228A (nl) * 1975-05-02 1976-11-04 Heimess Messmer Baby Glueck Kindertoilet.
US4193142A (en) * 1978-09-25 1980-03-18 Bernadine Henningfield Child's toilet apparatus
JP3081729B2 (ja) 1993-02-15 2000-08-2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継目無鋼管の加工熱処理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
CN2193708Y (zh) 1994-01-16 1995-04-05 张新 儿童安全便盆
SE504516C2 (sv) 1994-02-18 1997-02-24 Baby Bjoern Ab Barnpotta
WO1995032659A1 (en) 1994-06-01 1995-12-07 Matthew Ronald Whittaker Sanitary unit
US5537695A (en) * 1995-01-27 1996-07-23 Ander; Anthony T. Musical toilet training device
IL116403A (en) * 1995-12-14 1998-10-30 Litaf Ind 1994 Ltd Lavatory seat assembly
US5953763A (en) 1996-11-11 1999-09-21 Gouget; Jacques Maurice Safety urinal
US6112339A (en) * 1998-01-15 2000-09-05 Nichols; Michelle Portable toddler/young child potty
DE19837480A1 (de) * 1998-08-11 2000-04-13 Wolfgang Schumacher Babytoilette
AUPP688398A0 (en) * 1998-10-29 1998-11-26 Weeman International Pty Ltd A receptacle
JP3989157B2 (ja) * 2000-03-31 2007-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ユニット
JP2004187695A (ja) 2001-03-14 2004-07-08 Hideko Iwaki 介護用ポータブルトイレのバケツ
JP3081729U (ja) * 2001-05-15 2001-11-22 有限会社 オフィス中 介護用低座位便器
US20050132484A1 (en) 2003-12-22 2005-06-23 Chao Ming H. Moveable children's potty training chair with bottom-rinsing function
WO2007046961A1 (en) 2005-10-17 2007-04-26 Phillips Environmental Products, Inc. Bedpan or commode waste disposal kit
JP2007275522A (ja) 2006-04-06 2007-10-25 Shigechika Abe 尿器
US20080083061A1 (en) * 2006-10-10 2008-04-10 David Dubiel Adjustable potty training seat waste disposal receptacle and liner
GB2465582B (en) 2008-11-21 2012-11-21 Glyn David Rosser Toilet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332738A1 (en) 2011-07-21
US20110314598A1 (en) 2011-12-29
EP2375951A1 (en) 2011-10-19
CN102271565A (zh) 2011-12-07
WO2010073027A1 (en) 2010-07-01
BRPI0923550A2 (pt) 2016-01-26
GB0906896D0 (en) 2009-06-03
RU2533091C2 (ru) 2014-11-20
CA2747302A1 (en) 2010-07-01
RU2011129072A (ru) 2013-01-27
ES2887498T3 (es) 2021-12-22
US9750378B2 (en) 2017-09-05
JP2012513225A (ja) 2012-06-14
GB0823357D0 (en) 2009-02-04
EP2375951B1 (en)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5839A (ko) 유아용 변기
US8584270B2 (en) Toilet equipment
US7891029B2 (en) Bedpan
US9332884B2 (en) Toilet equipment
JP2019510516A (ja) ペット給餌システム
WO2010001163A2 (en) Receptacle and support
KR20190092477A (ko) 웅크려 앉은 동안 사용하기 위한 변기, 그의 구성요소들, 및 그의 제조를 위한 방법들
JP7441410B2 (ja) 水洗大便器
US20220096302A1 (en) Bedpan assembly
JP5357397B2 (ja) 可搬便器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汚物受け
US20190365164A1 (en) Novel urine deflector
GB2473638A (en) Baby bath
CN214965018U (zh) 用于坐便器的坐垫以及坐便器
CN215330295U (zh) 一种新型马桶
GB2290961A (en) Combined bath tap cover and backrest
JP4585555B2 (ja) 着座式便器
WO2020139278A1 (en) An ergonomic ceramic sanitary ware
CN115867178A (zh) 沐浴缸和用于其的占用者支撑件
KR20110007731U (ko) 양변기
WO2020139277A1 (en) An ergonomic ceramic sanitary ware
JP2002209782A (ja) 浴室用椅子
JPH0884682A (ja) 浴室カウンター及び浴室
JPH11235287A (ja) 浴室の洗い場カウンター
GB2473620A (en) A stackable potty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