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986A - 구조색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색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986A
KR20110104986A KR1020117018262A KR20117018262A KR20110104986A KR 20110104986 A KR20110104986 A KR 20110104986A KR 1020117018262 A KR1020117018262 A KR 1020117018262A KR 20117018262 A KR20117018262 A KR 20117018262A KR 20110104986 A KR20110104986 A KR 2011010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tructural color
magnetic nanoparticles
layer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108B1 (ko
Inventor
권성훈
김효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1010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3Ultraviole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5/00Nanomagnetism, e.g. magnetoimpedance,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giant magnetoresistance or tunneling magneto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09C1/24Oxide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0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materials engineered to provide properties not available in nature, e.g. metamaterials
    • G02B1/005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materials engineered to provide properties not available in nature, e.g. metamaterials made of photonic crystals or photonic band gap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3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showing low dimensional magnetism, i.e. spin rearrangements due to a restriction of dimensions, e.g. showing giant magnetoresistivity
    • H01F1/0045Zero dimensional, e.g. nanoparticles, soft nanoparticles for medical/biological use
    • H01F1/0063Zero dimensional, e.g. nanoparticles, soft nanoparticles for medical/biological use in a non-magnetic matrix, e.g. granular so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H01F1/342Oxides
    • H01F1/344Ferrites, e.g. having a cubic spinel structure (X2+O)(Y23+O3), e.g. magnetite Fe3O4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2Magne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Magnet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01Nanoop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위에 자성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에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상기 자성 나노입자가 이루는 광결정의 격자 간격의 변화로 구조색을 발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광결정의 격자 간격을 고정시켜 구조색 인쇄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색 인쇄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조색 생성방법{STRUCTURAL COLOR PRODUCING METHOD}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일반적으로 구조색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의 '색'은 그 물체에 도달하는 가시광선 중에서 반사되는 빛의 파장의 색깔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색은 색소에서 기인하는 색소색과 빛의 회절, 간섭, 산란 현상에 기인하는 구조색이 있다. 구조색을 가진 물체를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면 마치 기와를 얹은 것처럼 규칙적인 배열이 나타나는데 여기에 빛을 비추면 특정파장의 빛만 반사되고 나머지는 통과한다. 이런 기하학적인 형태를 광구조(photonic structure)라 하며 광구조가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고 3차원으로 펼쳐진 모습을 광결정(photonic crystal)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단분산된 콜로이드 입자로부터 자기조립되어 형성되는 콜로이드 광결정은 저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통신기기, 레이저 및 센서 분야에서 활용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Jianping Ge 등의 논문 "Highly Tunable Superparamagnetic Colloidal Photonic Crystals", Angew. Chem. Int. Ed. 2007, 46, 7428-7431" 에 따르면 초상자성 자철광(superparamagnetic magnetite)을 이용한 광결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콜로이드 상태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산화철(Fe3O4)클러스터로 이루어진 초상자성체를 사용하면, 외부 자기장에 따라 응답속도가 빠르며 가역적으로 감응하는 광결정을 만들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과제 해결 수단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위에 자성 나노입자들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에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이 이루는 광결정의 격자 간격의 변화로 구조색을 발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광결정의 격자 간격을 고정시켜 구조색 인쇄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색 인쇄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성 물질 및 상기 경화성 물질 내에 분산된 자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 매질 및 상기 고체 매질 내에 분산된 자성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이 적어도 일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정렬되어 사슬 구조를 이루며, 상기 일정 간격의 크기에 따라 외부의 입사광으로부터 회절되는 빛의 파장이 결정되는 구조색 인쇄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질 내에 자성 나노입자들의 정렬구조를 고정화시킴으로써, 상기 정렬구조가 빛을 회절시켜 컬러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초상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 나노입자들을 광경화성 물질 내에 정렬시켜 정렬구조를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경화성 물질을 경화하여 상기 정렬구조를 고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튜닝 및 상기 고정화를 반복하여 구조색을 다색 패터닝하는 구조색 생성방법 이 제공된다.
도 1은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의 구조색 발현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광결정 구조가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구조색 인쇄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정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구조색 인쇄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구조색 인쇄 층을 제2 기판에 전사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순차적인 '튜닝 및 고정화' 단계(sequential steps of 'tuning and fixing')에 의해 단일 물질로 구조색을 다색 패터닝하는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중 구조색을 패턴화한 실제 예를 나타낸 이미지들이다.
도 20은 제작된 구조색 필름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각도를 변화시키며 측정한 구조색 필름의 스펙트럼 데이터이다.
도 21은 구조색 필름에 입사하는 흰색 빛의 각도를 변화시켜 색이 달리 보이는 현상을 관찰한 사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개시된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색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이는 매질에 자성 나노입자들의 정렬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의 정렬구조를 고정화시키는 과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정렬구조가 빛을 회절시켜 구조색을 발현하게 된다. 상기 정렬구조의 생성을 위해 외부 자기장을 상기 매질에 인가하여 자성 나노입자들을 자기력선의 방향에 따라 사슬 구조로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정렬구조는 액체 매질에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매질을 고체 매질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정렬구조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체 매질이 광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경우, 상기 고정화는 자외선을 상기 매질에 인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매질은 액상에서 고상으로 상변화가 가능한 어떠한 매질도 가능하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매질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EGDA) 올리고머,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수지, 또는 UV 노출에 의해 고체화될 수 있는 기타 수지와 같은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질은 광경화성, 열경화성, 공기경화성, 또는 에너지경화성인 액체 매질일 수 있다. 상기 매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매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질은 액체 매질 외에 상가변성 매질일 수 있다. 상가변성 매질은 예를 들어, "CARIVERSE resin: a thermally reversible network polymer for electronic applications" Chang et al,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1999. 1999 Proceedings. 49th Volme,Issue,1999Page(s):49-55에 기재된 CARIVERSE 수지일 수 있다. 상가변성 매질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파라핀, 폴리에틸렌-블록-폴리에틸렌글리콜, 일차 알코올,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상가변성 매질은 열 조건에 따라 액체와 고체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다.
도 1은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00)은 경화성 물질(110) 및 경화성 물질(110) 내에 분산되어 있는 자성 나노입자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는 자성 나노결정들의 클러스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의 크기는 수십 내지 수백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자성 나노결정은 수 내지 수십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성 나노결정의 예로 자성 물질(magnetic material) 또는 자성 합금(magnetic alloy)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 또는 상기 자성 합금은 Co, Fe3O4,CoFe2O4,MnO,MnFe2O4,CoCu,CoPt,FePt,CoSm,NiFe, 및 NiFe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는 초상자성 물질(superparamagnetic material)을 포함한 초상자성 나노입자일 수 있다. 초상자성 물질은 자기장이 제거되어도 자성이 유지되는 강자성 물질(ferromagnetic material)과 달리 외부 자기장이 존재할 때에만 자성을 갖게 된다. 대체로 강자성 물질의 입자 크기가 수 내지 수백 nm가 되면 초상자성 물질로 상전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철의 경우 10nm 정도의 크기에서 초상자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자성 나노입자(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 나노결정들의 클러스터(122)로 된 코어를 둘러싼 쉘 층(124)으로 코팅될 수 있다. 쉘 층(124)은 자성 나노입자들(120)이 경화성 물질(110) 내에서 잘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쉘 층(124)은 자성 나노입자들(120) 사이의 강력한 자성 인력을 상쇄하도록 각각의 자성 나노입자(120) 표면에 용매화 반발을 촉진할 수 있다. 쉘 층(124)은 예를 들어, 실리카, 티타니아, 또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쉘 층(124)으로서 실리카를 사용하여 표면개질할 경우, 공지된 졸-겔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00)은 또한 수소결합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결합 용매로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등의 다양한 알칸올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자성 나노입자(120)를 둘러싼 용매화 층(12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를 갖는 쉘 층(124) 표면의 실란올(Si-OH) 작용기의 영향으로 용매화 층(solvation layer, 126)이 형성됨으로써 자성 나노입자들(120) 간에 척력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성 나노입자(120)에 쉘 층(124) 및/또는 용매화 층(126)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성 나노입자(120) 표면의 정전기적 힘이 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를 경화성 물질(110)에 혼합하여 기계적인 교반 또는 초음파 처리를 함으로써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00)을 제조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는 경화성 물질(110) 내에 예를 들어 0.01 내지 20 부피%가 포함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가 0.01 부피% 미만이면 반사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20 부피%를 초과하면 반사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경화성 물질(110)은 광결정을 이루는 자성 나노입자들(120)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매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가교결합에 의해 자성 나노입자들(120)간의 간격을 고정함으로써, 자기장이 제거된 이후에도 일정한 구조색을 지속적으로 발현하도록 할 수 있다.
경화성 물질(110)은 경화반응을 위해 가교결합가능 부위를 갖는 액상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성 물질(110)은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는 액상의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는 친수성 그룹을 가지고 있어서 자성 나노입자(120)의 분산에 적합한 고분자로서, 적절한 에너지원에 의해 가교되어 3차원 망상구조를 갖는 하이드로젤을 형성하게 되면 자성 나노입자들(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물질(110)의 예는 실리콘함유 고분자, 에톡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알릴아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성 물질(11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양 말단에 아크릴레이트 작용기가 있어서 자유라디칼 중합이 일어날 경우 3차원 구조의 하이드로젤로 가교될 수 있다. 기타, 경화성 물질(110)은 액체에서 고체로 변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매질도 포함할 수 있다.
경화성 물질(110)은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에너지원에 의해 자유라디칼 중합을 유발할 수 있다. 개시제는 아조계 화합물 또는 과산화물이 될 수 있다. 경화성 물질(110)은 적당한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 메틸렌비스메타크릴아마이드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는 자기장의 인가시 경화성 물질(110) 내에서 정렬되어 구조색을 발현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는 자기장의 인가시 경화성 물질(110) 내에서 정렬되어 구조색을 발현할 수 있다.
도 2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의 구조색 발현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경화성 물질(110) 중에 랜덤하게 분산되어 있는 자성 나노입자(120)가 주위의 자석(magnet)에 의해 자기장(magnetic field)이 인가될 경우, 자기장의 방향과 나란히 정렬되어 광결정을 이루어 구조색을 발현할 수 있다. 자기장에 의해 정렬된 자성 나노입자(120)는 자기장을 제거하면 다시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광결정이란 빛을 제어할 수 있는 결정구조의 물질을 의미한다. 빛의 파장 크기 수준의 주기로 굴절률이 반복되는 결정구조는 특정 파장 (또는 주파수, 에너지)의 빛을 일정 부분 배제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하는 자성 나노입자(120)들은 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하면 경화성 물질(110) 내에 존재하는 자성 나노입자들(120) 간에 자성에 의한 인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정전기적 힘 및 용매화 힘에 기인한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인력과 상기 척력의 균형으로 자성 나노입자들(120)이 일정 간격으로 정렬하면서 사슬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정렬된 자성 나노입자들(120) 간의 거리 d가 결정될 수 있다. 자기장의 세기가 강할수록 자기장 방향에 따라 정렬된 자성 나노입자들(120) 간의 거리 d가 줄어들 수 있다. 사용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100 내지 1000 가우스일 수 있다. 거리 d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수 nm 내지 수백 nm이 될 수 있다. 즉 광결정의 격자 간격이 바뀌므로 브래그 법칙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다.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더 짧은 파장영역을 갖는 구조색이 발현될 수 있다. 결국 특정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반사광 파장이 결정될 수 있다. 일정한 파장에서만 반사되는 종래의 광결정과는 달리 상기 광결정은 외부 자기장에 대해 빠르고, 폭넓으며, 가역적인 광감응(optical response)을 나타낼 수 있다. 주위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격자 간격이 변화함에 의해 외부 입사광으로부터 특정 파장의 반사광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구조색은 자기장의 세기 외에도 자성 나노입자(120)의 크기에도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 쉘을 구비한 Fe3O4 자성 나노입자(120)의 경우, 크기가 약 120 nm에서 약 200 nm로 커짐에 따라 구조색이 청색에서 적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도 3은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광결정 구조가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성 물질(110) 및 자성 나노입자(120)를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00)을 자기장에 노출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하면 경화 과정이 진행되어 고체 매질(110')이 형성된다. 결국 고체 매질(110') 내에 자성 나노입자(120)의 광결정 구조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00)을 일정 기판에 적용함으로써 기판 위에 구조색 인쇄 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00)은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가시광선 전 영역에서 다양한 파장의 반사광을 낼 수 있다.
고체 매질(110')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경화성 물질(110)의 분자량, 개시제의 농도, 자외선 조사시간 등을 변화시키면서 조절할 수 있다. 자외선을 특정 패턴 영역에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과 같은 에너지원의 조사영역을 예를 들면, 마스크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스케일로 조절함으로써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경화성 물질(110)의 경화로 고체 매질(110')은 가교 고분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망상구조를 갖는 가교 고분자의 사슬들 간 간격이 1 내지 수 nm 정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자성 나노입자(120)가 약 150 내지 17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볼 때, 자성 나노입자(120)가 충분히 고정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120)의 표면에는 용매화 층(126)이 둘러싸면서 자성 나노입자들(120) 간에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적절한 기판을 선택하여 상술한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00)을 적용하면, 예를 들어 초상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 나노입자들(120)에 의해 구조색을 발현하는 구조색 인쇄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색 인쇄물이 포함하는 자성 나노입자들(120)은 적어도 일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정렬되어 사슬 구조를 이루며, 상기 일정 간격의 크기에 따라 외부의 입사광으로부터 회절되는 빛의 파장이 결정되어 구조색을 발현할 수 있다.
이하, 자성 나노입자가 포함된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시키는 광결정 구조를 고정시킴으로써 구조색을 인쇄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구조색 인쇄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공정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기판을 제공한다 단계 430에서,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 위로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상기 자성 나노입자가 이루는 광결정의 격자 간격의 변화로 구조색을 발현시킨다. 단계 440에서,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광결정의 격자 간격을 고정시켜 구조색 인쇄 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구조색을 기판 위에 인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구조색 인쇄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1 기판(500)을 제공한다. 에너지원으로서 광을 사용할 경우를 위해 제1 기판(500)은 예를 들어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 위에 코팅 층(51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코팅 층(510)의 형성은 예를 들어, 제1 기판 위에 경화성 물질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도포의 방법으로 스프레이 코팅 또는 딥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성 물질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친수성 고분자가 포함된 용액을 사용하고 이를 경화시켜 하이드로젤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하이드로젤 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경화성 물질의 예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상술한 경화성 물질(11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코팅 층(510) 위에 자성 나노입자 및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을 형성한다. 이때 코팅 층(510)은 자성 나노입자들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이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판(500) 위에 코팅 층(510)을 적층하지 않고,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을 제1 기판(500) 위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은 중합 및 가교반응을 위해 개시제 및/또는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520)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상술한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이 도포된 제1 기판(500) 위로 자기장을 인가한다. 자석(magnet)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의 세기에 따라 자성 나노입자들 간의 정렬에 의해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의 인가는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 위에 위치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영구자석과 제1 기판(500)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거나 전자석에 감긴 코일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자기장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장을 인가하면 자성 나노입자 각각의 표면 음전하로 인한 척력과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자기장의 방향을 따라 각 자성 나노입자들이 사슬형태로 정렬할 수 있다. 자기장의 세기를 강하게 할수록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내에 정렬된 자성 나노입자들 간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단파장쪽으로 구조색이 발현될 수 있다. 결국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자성 나노입자 광결정의 격자 간격의 변화로 다양한 파장의 구조색을 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의 일 부분을 경화시킨다. 이때 경화를 위해 마스크(530)를 사용하여 패턴화된 자외선(UV)을 조사한다. 자외선의 인가에 의해 수 초 내에 사슬형태의 광결정 구조가 고정될 수 있다. 원활한 자외선의 조사를 위해 제1 기판(500)은 자외선에 대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화를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자외선 외에도 열, 가시광선, 적외선 및 전자빔 등이 될 수 있다. 패턴화를 위해 사용되는 마스크(530)는 이를 통해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의 일부에 열, 빛 등의 에너지를 인가하여 경화할 수 있다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정적 마스크 또는 동적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동적 마스크의 예로 디지털 미러 장치(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530)를 투과한 열 또는 빛 에너지에 의해 라디칼 중합반응이 유발되어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의 일 부분이 경화되면 자기장을 제거하여도 경화된 부분의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은 일정한 구조색을 지속적으로 발현할 수 있게 된다. 패턴화된 자외선의 조사로 특정 구조색이 패턴화된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자기장의 존재 하에서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의 일부분의 경화에 의해 구조색 인쇄 층(525)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각각 적(R), 녹(G), 청(B)의 구조색을 발현할 수 있는 패턴화된 영역들을 조합하여 풀컬러를 표현할 수도 있다. 각 패턴화된 영역의 크기는 수 ㎛ 내지 수백 ㎛의 스케일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경화되지 않은 제거한다. 잔류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520)의 제거를 위해 에탄올과 같은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거 후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제1 기판(500) 위에 구조색 인쇄 층(525)이 형성된 구조색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구조색 인쇄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기판에 구조색 인쇄 층(525)을 전사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구조색 인쇄 층을 제2 기판에 전사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일면에 접착 층(미도시)이 도포된 제2 기판(540)을 제1 기판(500) 위에 접합시킨다. 제2 기판(540)은 일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 층을 통해 제1 기판(500)에 직접 접합되거나 도면과 같이 코팅 층(510)이 존재할 경우, 코팅 층(510)에 접합될 수 있다. 제2 기판(540)은 불투명 필름일 수 있다. 제2 기판(540)은 선명한 구조색 발현을 위해 투과되는 빛을 차단하고 불필요한 백스캐터링이 발생하지 않는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정색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접착 층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접착제 또는 에폭시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기판(540)을 제1 기판으로(500)부터 이형시켜 구조색 인쇄 층(525)을 제2 기판(540)으로 전사시킨다. 상술한 접착 층의 존재에 의해 제2 기판(540)과 코팅 층(510)의 접착력이 코팅 층(510)과 제2 기판(540) 사이의 접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색 인쇄 층(525) 뿐만 아니라 제1 기판(500) 위에 코팅 층(510)이 있을 경우, 코팅 층(510)도 구조색 인쇄 층(525)과 함께 제2 기판(540)으로 전사될 수 있다. 전사의 결과 제2 기판(540) 위에 구조색 인쇄 층(525)이 존재할 수 있다. 코팅 층(510)은 투명하므로 하부의 구조색 인쇄 층(525)을 관찰할 수 있으며, 구조색 인쇄 층(525)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색을 다색 패터닝하는 구조색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구조색 생성을 위해 초상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 나노입자들을 광경화성 물질 내에 정렬시켜 정렬구조를 튜닝한다. 다음 상기 광경화성 물질을 경화하여 상기 정렬구조를 고정화한다. 이때 상기 튜닝 및 상기 고정화를 반복하면 구조색을 다색 패터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구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경화성 물질에 수소결합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자성 나노입자 주위에 용매화 층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정렬구조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기장의 자기력선을 따라 사슬 구조로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정되는 구조색은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 사이의 입자간 거리에 의존할 수 있다. 상기 튜닝은 외부 자기장을 사용하여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 사이의 입자간 거리를 변화시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자기장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사슬 구조를 이루는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 간의 간격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화는 예를 들어 240 내지 365 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은 순차적인 '튜닝 및 고정화' 단계(sequential steps of 'tuning and fixing')에 의해 단일 물질로 구조색을 다색 패터닝하는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1302)이 코팅된 유리 슬라이드 기판(1300) 위에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310)이 도포된다.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310)은 경화성 물질(1320) 및 경화성 물질(1320)에 분산된 초상자성 나노입자(1330)를 포함하고 있다. 초상자성 나노입자(1330)는 Fe3O4 나노결정들의 클러스터(1332)를 코어로 가지며, 상기 코어에 실리카 쉘 층(1334)이 둘러싸고 최외각 표면은 에탄올 용매화 층(1336)이 둘러싸고 있다. 도 14에서,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310)에 자기장 B1을 인가하여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310)이 적색을 발현하도록 컬러를 튜닝한다. 동시에 일부 영역에 패턴화된 자외선(UV)을 인가하여 경화성 물질(1320)을 경화시킴으로써 컬러를 고정시킨다. 도 15에서, 자기장을 제거하면 경화된 상기 일부 영역은 사슬형태의 초상자성 나노입자들(1330)의 주기적 배열에 의해 적색의 구조색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경화되지 않은 영역은 초상자성 나노입자들(1330)이 주기적 배열을 잃게 됨으로써 적색의 구조색이 사라지게 된다. 도 16에서,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310)에 이전의 자기장 B1보다 더 강한 자기장 B2를 인가하여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310)이 녹색을 발현하도록 컬러를 튜닝한다. 동시에 경화성 물질(1320)의 다른 일부 영역을 UV로 경화시킴으로써 컬러를 고정한다. 도 17에서, 자기장을 제거하면 경화된 상기 다른 일부 영역은 사슬형태의 초상자성 나노입자들(1330)의 주기적 배열에 의해 녹색의 구조색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경화되지 않은 영역은 초상자성 나노입자들(1330)이 주기적 배열을 잃게 됨으로써 녹색의 구조색이 사라지게 된다. 도 18에서, 경화되지 않은 잔존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1310)을 세척하여 제거함으로써 적색과 녹색이 패터닝된 인쇄물을 얻게 된다. 도면에서 d1및 d2는 각각 적색 영역 및 녹색 영역에서의 초상자성 나노입자들(1330)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술한 '튜닝 및 고정화' 과정을 반복하면 구조색이 다색 패터닝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패터닝 공정을 위해 예를 들어,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MD)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이 공정 중에 1회만 침적되면, 마스크들을 물리적으로 변화시킬 필요없이 다중의 UV 노출 패턴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또는 마스크의 정렬이 필요없으므로 다중 패턴들(multiple patterns)이 고해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중 구조색을 패턴화한 실제 예를 나타낸 이미지들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SNU/UCR' 이라는 멀티컬러 패턴을 순차적인 컬러 튜닝 및 고정 공정에 의해 수 초만에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구조색 생성방법에 따르면, 한 가지 종류의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자기장의 세기 변화만으로 풀컬러의 구조색을 표현할 수 있고, 자성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광결정 구조를 경화성 물질의 경화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고정시킴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가지며 구조색을 지속적으로 발현하는 인쇄 층을 기판에 형성할 수 있다.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초상자성 나노입자 구조는 입사하는 빛, 관찰자와 구조색 필름 사이의 각도에 따라서 광경로에 차이가 나므로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서 다른 색을 띌 수 있다. 도 20은 제작된 구조색 필름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각도를 변화시키며 측정한 구조색 필름의 스펙트럼 데이터이다. 구조색 필름에 수직한 방향으로 흰색 빛을 입사시키고 그 수직한 방향에서 20도에서부터 80도까지의 위치에서 관찰하면, 관찰 각도가 커질수록 관찰되는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단파장으로 이동한다. 도 21은 구조색 필름에 입사하는 흰색 빛의 각도를 변화시켜 색이 달리 보이는 현상을 관찰한 사진이다. 입사하는 흰색 빛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구조색 필름과 수직한 방향에서 관찰하면 구조색 필름의 색이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구조색 필름의 색이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성질을 이용하면, 위조 방지용 물질로써 응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개시된 기술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개시된 기술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9)

  1.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에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상기 자성 나노입자가 이루는 광결정의 격자 간격의 변화로 구조색을 발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광결정의 격자 간격을 고정시켜 구조색 인쇄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색 인쇄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는 초상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색 인쇄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의 표면을 둘러싼 용매화 층을 더 포함하는 구조색 인쇄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물질은 가교결합가능 부위를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구조색 인쇄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의 인가는 상기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층 위에 위치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의해 수행되는 구조색 인쇄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광경화에 의해 수행되는 구조색 인쇄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일면에 접착 층이 도포된 제2 기판을 상기 구조색 인쇄 층에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이형시켜 상기 구조색 인쇄 층을 상기 제2 기판으로 전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색 인쇄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위에 코팅 층이 더 형성된 구조색 인쇄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으로의 전사 시 상기 코팅 층이 상기 구조색 인쇄 층과 함께 전사되는 구조색 인쇄방법.
  10. 경화성 물질 및 상기 경화성 물질 내에 분산된 자성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는 초상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 주위의 표면을 둘러싼 용매화 층을 더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은 상기 경화성 물질 내에 0.01 내지 20 부피% 함유된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은 자기장의 인가시 일차원적 사슬구조로 정렬되어 구조색을 발현하는 구조색 생성용 조성물.
  15. 고체 매질 및 상기 고체 매질 내에 분산된 자성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되,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이 적어도 일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정렬되어 사슬 구조를 이루며, 상기 일정 간격의 크기에 따라 외부의 입사광으로부터 회절되는 빛의 파장이 결정되는 구조색 인쇄물.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매질은 가교 고분자인 구조색 인쇄물.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는 초상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색 인쇄물.
  18. 매질 내에 자성 나노입자들의 정렬구조를 고정화시킴으로써, 상기 정렬구조가 빛을 회절시켜 컬러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외부 자기장으로 상기 정렬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구조는 액체 매질에서 생성되며, 상기 액체 매질을 고체 매질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정렬구조가 고정되는 구조색 생성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매질은 광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는 자외선을 상기 매질에 인가하여 수행되는 구조색 생성방법.
  23.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구조는 액체와 고체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변하는 상가변성 매질 내에서 생성되는 구조색 생성방법.
  24. 초상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 나노입자들을 광경화성 물질 내에 정렬시켜 정렬구조를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경화성 물질을 경화하여 상기 정렬구조를 고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튜닝 및 상기 고정화를 반복하여 구조색을 다색 패터닝하는 구조색 생성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구조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기장의 자기력선을 따라 사슬 구조로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구조색 생성방법.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 사이의 입자간 거리에 따라 구조색이 결정되는 구조색 생성방법.
  27.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은 외부 자기장을 사용하여 상기 자성 나노입자들 사이의 입자간 거리를 변화시켜 수행되는 구조색 생성방법.
  28.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는 240 내지 365 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의해 수행되는 구조색 생성방법.
  29.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물질에 수소결합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자성 나노입자 주위에 용매화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색 생성방법.
KR1020117018262A 2009-04-14 2010-04-14 구조색 생성방법 KR101327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26009P 2009-04-14 2009-04-14
US61/169,260 2009-04-14
PCT/KR2010/002303 WO2010120109A2 (ko) 2009-04-14 2010-04-14 구조색 생성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608A Division KR20130059431A (ko) 2009-04-14 2010-04-14 구조색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986A true KR20110104986A (ko) 2011-09-23
KR101327108B1 KR101327108B1 (ko) 2013-11-08

Family

ID=429829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262A KR101327108B1 (ko) 2009-04-14 2010-04-14 구조색 생성방법
KR1020117018264A KR101312347B1 (ko) 2009-04-14 2010-04-14 구조색을 갖는 미세구체의 형성방법
KR1020137008608A KR20130059431A (ko) 2009-04-14 2010-04-14 구조색 생성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264A KR101312347B1 (ko) 2009-04-14 2010-04-14 구조색을 갖는 미세구체의 형성방법
KR1020137008608A KR20130059431A (ko) 2009-04-14 2010-04-14 구조색 생성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20130146788A1 (ko)
EP (1) EP2419479B1 (ko)
KR (3) KR101327108B1 (ko)
ES (1) ES2781572T3 (ko)
WO (3) WO201012010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704B1 (ko) * 2013-03-07 2015-02-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말야금용 미세분말의 자기적 배열을 이용한 미세구조물 제조방법
KR102106099B1 (ko) 2019-01-23 2020-05-04 국방과학연구소 이종의 콜로이드 입자의 광결정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색 소재, 구조색 소재를 적용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0871B1 (ko) 2019-06-12 2020-11-19 국방과학연구소 선명한 구조색을 나타내는 역학변색 광학 소재, 이 역학변색 소재를 적용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1923B2 (en) 2008-04-04 2016-06-21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Magnetic valve assembly
US9105380B2 (en) 2008-04-04 2015-08-11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Magnetic attachment system
US8576036B2 (en) 2010-12-10 2013-11-05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affecting flux of multi-pole magnetic structures
US8368495B2 (en) 2008-04-04 2013-02-05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magnetic structures
US7800471B2 (en) 2008-04-04 2010-09-21 Cedar Ridge Research, Llc Field emission system and method
US9202616B2 (en) 2009-06-02 2015-12-01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Intelligent magnetic system
US8937521B2 (en) 2012-12-10 2015-01-20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for concentrating magnetic flux of a multi-pole magnetic structure
US8917154B2 (en) 2012-12-10 2014-12-23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for concentrating magnetic flux
WO2010120109A2 (ko) * 2009-04-14 2010-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색 생성방법
US9404776B2 (en) 2009-06-02 2016-08-02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polarity transitions of magnetic structures
US8704626B2 (en) 2010-05-10 2014-04-22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n object
DE102009025019A1 (de) * 2009-06-10 2010-12-16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merkm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merkmals
US9711268B2 (en) 2009-09-22 2017-07-18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magnetic forces
US9561615B2 (en) 2011-01-12 2017-02-07 Cambridge Enterprise Limited Manufacture of composite optical materials
CA2825658A1 (en) * 2011-01-25 2012-08-02 Opalux Incorporated Photonic crystal device with infiltrating component
US9952237B2 (en) 2011-01-28 2018-04-24 Quanterix Corpor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ultra-sensitive detection of molecules or particles
WO2012106686A2 (en) 2011-02-04 2012-08-09 Price Lucinda Color storage and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US8822970B2 (en) * 2011-02-21 2014-09-0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Phase-change memory device and flexible phase-change memory device insulating nano-dot
US8702437B2 (en) 2011-03-24 2014-04-22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Electrical adapter system
GB201105663D0 (en) * 2011-04-01 2011-05-18 Cambridge Entpr Ltd Structural colour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WO2012142306A2 (en) 2011-04-12 2012-10-18 Sarai Mohammad Magnetic configurations
US8963380B2 (en) 2011-07-11 2015-02-24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generation system
US8848973B2 (en) 2011-09-22 2014-09-30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optical pattern
WO2014004728A2 (en) * 2012-06-26 2014-01-03 Roberts Mark 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optical pattern
WO2014003954A2 (en) * 2012-06-28 2014-01-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composite material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150217594A1 (en) * 2012-07-10 2015-08-06 Agc Glass Europe Method for producing magnetically induced patterns in a layer deposited on a glass sheet
US9245677B2 (en) 2012-08-06 2016-01-26 Correlated Magnetics Research, Llc. System for concentrating and controlling magnetic flux of a multi-pole magnetic structure
US9545611B2 (en) * 2012-08-24 2017-01-17 The University Of Akron Magnetic macroinitiators and magnetically induced chain reactions
KR101919419B1 (ko) * 2012-11-08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결정의 제조 방법
KR101582384B1 (ko) * 2012-11-16 2016-0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드화된 고분자 미세입자
WO2014124380A1 (en) * 2013-02-08 2014-08-14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CA2917055A1 (en) 2013-06-28 2014-12-3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High-surface area functional material coated structures
CN103319956B (zh) * 2013-07-04 2014-10-08 东南大学 一种基于hema溶剂的结构色墨水的制造方法
KR101538327B1 (ko) * 2013-08-26 2015-07-22 전자부품연구원 3차원 광결정 레이어 형성 방법
KR101527360B1 (ko) * 2013-09-17 2015-06-09 한국과학기술원 광결정을 구비하는 식별필름 및 식별 패턴, 이를 포함하는 위조방지 물건
KR101516322B1 (ko) * 2014-02-04 2015-05-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이 코팅된 자성 나노와이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검출용 바이오센서
US9701071B2 (en) * 2014-03-24 2017-07-11 Adidas Ag Method of manipulating encapsulation of color changing materials
US9213192B2 (en) * 2014-03-24 2015-12-15 Adidas Ag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color changing materials
US11828929B2 (en) 2014-03-24 2023-11-28 Adidas Ag Color changing materials arranged in slow particle coloration materials
US9507183B2 (en) 2014-03-24 2016-11-29 Adidas Ag Apparatus for manipulating color changing materials in articles of wear
US9213191B2 (en) 2014-03-24 2015-12-15 Adidas Ag Color changing materials arranged in slow particle coloration materials
US10698197B2 (en) 2014-03-24 2020-06-30 Adidas Ag Color changing materials arranged in slow particle coloration materials
US9482785B2 (en) * 2014-03-24 2016-11-01 Adidas Ag Method of applying and using color changing materials in articles of wear
AU2015243488A1 (en) 2014-04-10 2016-10-27 Anki, Inc. Generating and decoding machine-readable optical codes with aesthetic component
US9220951B1 (en) * 2014-08-20 2015-12-29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nstructions incorporating structurally colored compositions
CN104199242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有遮光供能的光学模块
CN104199243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传感器位置可调的光学模块
CN104199234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的防抖动光学模块
CN104199244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有遮光供能的光学模块
CN104184930A (zh) * 2014-09-04 2014-12-03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防止曝光过度的光学模块
CN104199236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减少成像时间的光学模块
CN104199245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防止曝光过度的光学模块
CN104181756A (zh) * 2014-09-04 2014-12-03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传感器位置可调的光学模块
CN104199238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的两种成像模式的光学模块
CN104202510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可切换移轴镜头的光学模块
CN104199240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的防抖动光学模块
CN104202509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可切换移轴镜头的光学模块
CN104199241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能够远程控制的光学模块
CN104199237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能够远程控制的光学模块
CN104199239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减少成像时间的光学模块
CN104199246A (zh) * 2014-09-04 2014-12-10 成都凯裕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安装于移动终端滤光颜色可控的光学模块
KR102229488B1 (ko) * 2014-09-26 2021-03-17 이 잉크 코포레이션 반사형 컬러 디스플레이들에서의 저 해상도 디더링을 위한 컬러 세트들
KR101688211B1 (ko) * 2014-10-14 2016-12-20 한국화학연구원 광결정 분산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결정 폴리머 매트릭스의 제조 방법
WO2016103132A1 (en) * 2014-12-22 2016-06-30 Eulitha A.G. Method for printing colour images
WO2016130923A1 (en) 2015-02-13 2016-08-18 Quanterix Corporation Immunoassays for diffrential detec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CN104672485B (zh) * 2015-02-13 2018-06-12 华中科技大学 一种光子晶体薄膜、其制备方法及应用
KR101787880B1 (ko) * 2015-03-19 2017-11-15 전진환 컬러 3d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JP6776267B2 (ja) 2015-04-27 2020-10-28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異方性ナノ構造をベースにした磁気同調可能なフォトニック結晶
CN104961906B (zh) * 2015-07-03 2017-11-10 华中科技大学 一种兼具pH值和离子强度响应的光子晶体水凝胶薄膜、其制备方法及应用
WO2017059367A1 (en) * 2015-10-02 2017-04-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transient liquid molding of microparticles and uses for the same
KR102465924B1 (ko) * 2015-12-02 2022-11-14 주식회사 나노브릭 컬러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에멀전, 젤리형 볼 및 구체
KR101717752B1 (ko) * 2015-12-09 2017-03-17 한국화학연구원 광결정 분산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결정 폴리머 필름의 제조 방법
CN109069441A (zh) * 2016-03-31 2018-12-21 哈佛学院院长及董事 利用离子物质控制光子结构的光学性质和结构稳定性
WO2017173439A2 (en) 2016-04-01 2017-10-05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Formation of high quality titania, alumina and other metal oxide templated materials through coassembly
CN106009347B (zh) * 2016-05-24 2019-03-12 东南大学 一种磁含量编码的聚合物载体微球及其制备方法
AU2017324053B2 (en) 2016-09-08 2020-08-06 Hemex Health, Inc. Diagnostics systems and methods
US10349589B2 (en) 2016-09-08 2019-07-16 Hemex Health, Inc. Diagnostics systems and methods
MX2019004490A (es) * 2016-10-18 2020-02-07 Newtonoid Tech Llc Sistemas y metodos de presentacion de productos de construccion.
EP3536740A4 (en) 2016-11-04 2019-11-13 LG Chem, Ltd. THERMOSETTING COMPOSITION
EP3424982B1 (en) 2016-11-30 2021-09-08 LG Chem, Ltd. Curable composition
KR20230093376A (ko) * 2017-04-13 2023-06-27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진단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초상자성 및 고 다공성 중합체 입자들
US11590483B2 (en) 2017-09-29 2023-02-2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Enhanced catalytic materials with partially embedded catalytic nanoparticles
CN111417522A (zh) 2017-09-29 2020-07-1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结构着色的物品以及用于制造和使用结构着色的物品的方法
CN108037596A (zh) * 2017-11-22 2018-05-15 郑州工商学院 一种提高铁电性液体光开关特性的装置和方法
KR101976289B1 (ko) * 2017-12-11 2019-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입자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반응 시스템
CN108761849B (zh) 2018-01-24 2021-10-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磁致变色显示器
KR102175097B1 (ko) * 2018-03-23 2020-11-05 한국과학기술원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광결정 구조체
US20200096503A1 (en) * 2018-09-26 2020-03-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Cell membrane 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and assays for identification of transmembrane protein-binding compounds
CN111101100A (zh) * 2018-10-25 2020-05-05 深圳市融光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结构色晶体的制备方法以及纳米结构色晶体
KR102123948B1 (ko) * 2019-01-29 2020-06-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2차원 비정질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2차원 비정질 광결정 구조체
EP3938816A4 (en) * 2019-03-12 2022-12-28 BASF Coatings GmbH STRUCTURAL DYES WITH CARBON
WO2020185946A1 (en) * 2019-03-12 2020-09-17 Basf Coatings Gmbh Automotive coatings containing photonic spheres
WO2020264182A1 (en) 2019-06-25 2020-12-30 Hemex Health, Inc. Diagnostics systems and methods
CN114008493A (zh) 2019-06-26 2022-02-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结构着色的物品以及用于制造和使用结构着色的物品的方法
WO2021021562A1 (en) 2019-07-26 2021-02-04 Nike, Inc.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CN110656488B (zh) * 2019-10-15 2022-02-08 陕西科技大学 一种碳纤维编织布负载羟基氧化铁纳米颗粒复合结构色的方法及得到的碳纤维编织布
EP4044860A1 (en) 2019-10-21 2022-08-24 Nike Innovate C.V.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CN111318238B (zh) * 2019-12-09 2022-08-05 彩科(苏州)生物科技有限公司 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060683B (zh) * 2019-12-09 2023-11-21 彩科(苏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重免疫分子检测方法及试剂盒
CN111218498A (zh) * 2019-12-09 2020-06-02 彩科(苏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无扩增的核酸分子检测试剂盒及其使用方法
CN113024874B (zh) * 2019-12-24 2022-02-15 华中科技大学 一种高灵敏图案化光子晶体传感材料及其制备与应用
US20210370710A1 (en) 2020-05-29 2021-12-02 Nike, Inc.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US11889894B2 (en) 2020-08-07 2024-02-06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concealing layer
US11241062B1 (en) 2020-08-07 2022-02-08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repurposed material with structural-color concealing layer
US11129444B1 (en) 2020-08-07 2021-09-28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repurposed material with concealing layer
US11890585B2 (en) * 2020-09-03 2024-02-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ltrastable nanoemulsions in disordered and ordered states
CN113368904A (zh) * 2021-05-17 2021-09-10 西南科技大学 纳米二氧化钛杂化改性苯乙烯-二乙烯基苯共聚物疏水催化剂载体的制备方法
CN113563749A (zh) * 2021-06-25 2021-10-29 南通永余防锈材料有限公司 一种履带专用防锈剂的制备方法
CN116041636A (zh) * 2022-10-14 2023-05-02 电子科技大学长三角研究院(湖州) 机械性能和多色图案化均可调节的结构色材料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644A (en) * 1986-05-13 1990-09-18 Price John T Magnetically controllable couplings containing ferrofluids
US9709559B2 (en) 2000-06-21 2017-07-18 Bioarray Solutions, Ltd. Multianalyte molecular analysis using application-specific random particle arrays
US6488870B1 (en) * 2000-11-27 2002-12-03 Xerox Corporation Encapsulation process
US7615593B2 (en) * 2001-04-23 2009-11-1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Bifunctional-modified hydrogels
US6652771B2 (en) * 2001-07-11 2003-11-25 Ronald M. Carn Phase change material blend, method for making, and devices using same
US7335153B2 (en) 2001-12-28 2008-02-26 Bio Array Solutions Ltd. Arrays of microparticl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US7378124B2 (en) * 2002-03-01 2008-05-27 John James Daniels Organic and inorganic light active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40254419A1 (en) * 2003-04-08 2004-12-16 Xingwu Wang Therapeutic assembly
US20060083694A1 (en) * 2004-08-07 2006-04-20 Cabot Corporation Multi-component particles comprising inorganic nanoparticles distributed in an organic matrix and processe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20090053512A1 (en) * 2006-03-10 2009-02-26 The Arizona Bd Of Reg On Behalf Of The Univ Of Az Multifunctional polymer coated magnetic nanocomposite materials
DE102006016773A1 (de) * 2006-04-10 2007-10-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agneto-rheologische Elastomere (MRE) mit Polynorbornen als Trägermedium,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Elastomerkomposite sowie deren Verwendung
US10118834B2 (en) * 2007-04-27 2018-11-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perparamagnetic colloidal photonic structures
US8236192B2 (en) * 2008-06-26 2012-08-07 Xerox Corporation Ferromagnetic nanoparticles with high magnetocrystalline anisotropy for MICR ink applications
WO2010120109A2 (ko) * 2009-04-14 2010-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색 생성방법
US10013647B2 (en) * 2010-03-31 2018-07-03 Quantamatrix Inc. Method for magnetically controlling a magnetic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704B1 (ko) * 2013-03-07 2015-02-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말야금용 미세분말의 자기적 배열을 이용한 미세구조물 제조방법
KR102106099B1 (ko) 2019-01-23 2020-05-04 국방과학연구소 이종의 콜로이드 입자의 광결정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색 소재, 구조색 소재를 적용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0871B1 (ko) 2019-06-12 2020-11-19 국방과학연구소 선명한 구조색을 나타내는 역학변색 광학 소재, 이 역학변색 소재를 적용한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4309A1 (en) 2012-03-15
ES2781572T3 (es) 2020-09-03
WO2010120361A3 (en) 2011-03-24
US8889234B2 (en) 2014-11-18
WO2010120108A2 (ko) 2010-10-21
US10220367B2 (en) 2019-03-05
EP2419479A4 (en) 2017-11-22
EP2419479B1 (en) 2020-02-05
US20170103833A1 (en) 2017-04-13
US9457333B2 (en) 2016-10-04
WO2010120361A2 (en) 2010-10-21
KR101312347B1 (ko) 2013-09-27
EP2419479A2 (en) 2012-02-22
KR101327108B1 (ko) 2013-11-08
WO2010120108A3 (ko) 2011-02-17
US20130146788A1 (en) 2013-06-13
US20120326104A1 (en) 2012-12-27
WO2010120109A2 (ko) 2010-10-21
KR20130059431A (ko) 2013-06-05
WO2010120109A3 (ko) 2011-03-10
KR20110117138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108B1 (ko) 구조색 생성방법
US9482726B2 (en) Fabricating method of magnetic axis controlled structure
KR101368606B1 (ko) 컬러 코드화된 자성 구조물
KR20230150908A (ko) 비대칭 층 구조를 가진 광학 장치
Hu et al. Magnetically controllable colloidal photonic crystals: unique features and intriguing applications
CA2972113C (en) Microparticles and apparatus for smart ink production
US9507182B2 (en) Nanocomposite electro-optic modulator
US2011010877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flective color filter
KR20060113645A (ko) 유동성 콜로이드 결정체 및 이를 이용하여 삼차원 정합체를제조하는 방법
Ge et al. Niche applications of magnetically responsive photonic structures
WO2019238855A1 (en) Microcapsule containing color particles and print medium including the same
Lan et al. Index-matched composite colloidal crystals of core–shell particles for strong structural colors and optical transparency
KR101196185B1 (ko) 자성축이 조절된 구조물의 제조방법
WO2016118264A1 (en) Nanocomposite electro-optic modulator
KR20120139641A (ko) 식별 코드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3442618B (zh) 光子晶体彩色印刷方法及光子晶体彩色印刷物
KR20130135502A (ko) 광결정 구조의 제조방법
US20210114021A1 (en) Magnetically actuated surfaces for dynamic iridescence
KR101582787B1 (ko) 광결정 구조 및 그 제조방법
Mizeikis et al. Form birefringent polymeric structures realized by 3D laser printing
Kim et al. RGB color changing micropixels using magnetic nanocomposite microactuators
Lipson Dielectric Photonic Crys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