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556A -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556A
KR20110103556A KR1020100022678A KR20100022678A KR20110103556A KR 20110103556 A KR20110103556 A KR 20110103556A KR 1020100022678 A KR1020100022678 A KR 1020100022678A KR 20100022678 A KR20100022678 A KR 20100022678A KR 20110103556 A KR20110103556 A KR 20110103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history
call
user
data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3556A/ko
Publication of KR2011010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18Call detai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1Call his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유/무선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무선 통신의 모든 통화내역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검색조건(예컨대, 통화호 유형에 따른 전체 통화내역, 메시지 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등)에 따라 해당 통화내역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내역을 자신의 단말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CALL RECORDS}
본 발명은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유/무선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무선 통신의 모든 통화내역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검색조건(예컨대, 통화호 유형에 따른 전체 통화내역, 메시지 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등)에 따라 해당 통화내역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내역을 자신의 단말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화호에 대한 발신번호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내부 메모리에 통화내역을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주소록을 통화내역과 매칭시켜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러한 발신번호 표시 및 주소록 저장/동기화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는 유무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통화내역과 주소록을 이용하여 발신 대상 또는 착신 대상과 다시 통화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 대상 또는 착신 대상과 적어도 한 번 이상 통화가 되면, 통화내역이 사용자 단말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의 진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향상에 따라 사용자들은 별도의 메모장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대방의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e-mail) 주소 등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저장해 둔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 단말은 소정의 착신 단말과 통화한 내역을 자체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요구할 때 해당 통화내역을 제공한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내역으로 발신 내역, 착신 내역, 부재중 내역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발신 단말이 소정의 착신 단말과의 착발신 통화내역을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상기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착발신 통화내역을 가지고 일일이 발신사항 및 착신사항 등을 직접 검색해야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은 단말 메모리의 한계로 인해 일정한 데이터량 이상의 착발신 통화내역을 저장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한계 데이터량을 초과한 상태에서 새롭게 생성된 통화내역은 기 저장중인 통화내역을 대체하여 저장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에 있어서도 편리함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그에 따라 각종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제한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모든 정보를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핸드폰의 통화내역이 핸드폰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일정한 개수의 통화내역만이 저장될 수 있다. 일정한 개수를 초과하는 통화내역 정보가 발생하게 되면, 기존의 통화내역 정보는 지워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특정기간 동안 누적된 착발신 통화내역을 모두 획득하기가 곤란하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최소 한번 이상 통화가 성공한 통화호 중 예외인 경우(예컨대, 단말기 내부 메모리가 초과한 경우, 주소록의 동기화가 실패된 경우, 또는 주소록에 미등록된 경우 등)에 이러한 통화내역을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통화내역에 대한 검색조건은 일반적인 통화 시작시간 등으로만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가 특정 통화내역(번호)을 검색하기에 불충분하다.
또한, 현재는 사용자가 오프라인(Off Line)으로 고객센터 또는 대리점에서 번거로운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야만 통화내역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시간 처리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통화내역 확인이 가능한 기간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만큼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의 통화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유/무선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무선 통신의 모든 통화내역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검색조건(예컨대, 통화호 유형에 따른 전체 통화내역, 메시지 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등)에 따라 해당 통화내역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내역을 자신의 단말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 서비스 개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완료 후에 데이터 호를 연결하기 위한 교환기;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호 연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검색조건을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호처리 서버; 및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화내역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기는,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에는 사용자 정보 이외에 상기 사용자가 통화내역 서비스 등록시 추가로 설정한 비밀번호 또는 비밀문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기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데이터 호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는, 상기 통화내역 검색조건의 선택화면에 발신 및 착신 정보, 전체 통화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서버는, 통화내역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수집하기 위한 통화내역 수집부; 데이터 호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통화내역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화내역 전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수집부는, 상기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부재중, 통화중, 착신실패 등 불완료 호까지 포함된 통화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수집부는, 유무선 통신망의 과금 데이터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과 정확히 일치하는 통화내역이 없다면, 사용자 검색조건 중 일부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이 과금 내역이면, 상기 통화내역 수집부에서 수집된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회된 통화내역과 대응되는 과금 데이터를 산출하고, 각 통화내역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매칭시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 서비스 개시 요청에 따라 교환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호 처리 서버간에 데이터 호가 연결되는 데이터 호 연결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데이터 호 처리 서버간의 데이터 호 연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검색조건을 수신한 후 수신한 사용자 검색조건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검색조건 전송 단계; 상기 전송된 사용자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통화내역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 단계; 및 상기 통화내역 관리 서버가 상기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화내역 리스트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증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에는 사용자 정보 이외에 상기 사용자가 통화내역 서비스 등록시 추가로 설정한 비밀번호 또는 비밀문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호 연결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교환기가 데이터 호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데이터 호를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조건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에 발신 및 착신 정보, 전체 통화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통화내역 관리 서버에서의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방법은, 통화내역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수집하는 통화내역 수집 단계; 데이터 호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통화내역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화내역 리스트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수집 단계는, 상기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부재중, 통화중, 착신실패 등 불완료 호까지 포함된 통화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수집 단계는, 유무선 통신망의 과금 데이터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수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과 정확히 일치하는 통화내역이 없다면, 사용자 검색조건 중 일부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이 과금 내역이면, 상기 수집된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회된 통화내역과 대응되는 과금 데이터를 산출하고, 각 통화내역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매칭시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유/무선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무선 통신의 모든 통화내역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검색조건(예컨대, 통화호 유형에 따른 전체 통화내역, 메시지 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등)에 따라 해당 통화내역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내역을 자신의 단말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특정기간 동안의 통화내역을 통신사업자 고객센터 또는 지점에 방문하여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본인확인을 위한 단문 메시지 인증 외에 서비스 가입시 설정한 추가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맞게 맞춤형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바로 확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유/무선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통화내역에 대한 발신내역 열람을 착신뿐만 아니라 음성통화, 영상통화, 메시지 내역 등에 대해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직접 통화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는 통화내역 열람시 편리함을 제공하고 통신사업자에게는 관련 인력의 업무효율 및 데이터 호 등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이전에 통화를 했으나 상대방 번호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했을 때 해당 전화번호를 찾기 위한 방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통화내역 관리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은 교환기(110),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 및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102)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은 세대 또는 특정 통신망(예컨대, 2G,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IMS(IP Multimedia Subsystem),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데이터 호 연결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에 구분없이 적용 가능하다.
교환기(110)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특정 라우팅 번호로 통화내역 서비스 개시를 요청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특정 라우팅 번호인 특정 코드(예컨대, **11 등)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의 교환기(110)에 접속하여 통화내역 서비스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101)이 특정 코드(예컨대, **11 등)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의 교환기(110)에 접속하면, 교환기(110)는 정상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한다. 그리고 교환기(101)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응답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정상 사용자 인증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화내역 조회 전의 사용자 인증 과정은 개인정보이므로 본인확인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여기서, 정상 사용자 인증 과정에는 사용자 단말(101)의 식별번호, 주민번호, 통화내역 서비스 등록시 비밀번호의 입력 과정이 포함된다. 더 나아가, 정상 사용자 인증 과정에는 사용자가 통화내역 서비스 등록시 추가로 설정한 비밀번호 또는 문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및 비밀번호 또는 문구는 통화내역 서비스 가입에 따라 미리 교환기(101)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응답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추가로 설정할 수 있는 비밀번호 또는 비밀문구를 통해 인증 절차가 강화된다.
비밀번호는 통화내역 서비스 가입시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다. 비밀문구로는 "가장 아끼는 물건?", "인생 최고 목표?", "내 신체 비밀?" 등의 사적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비밀문구는 데이터 호를 통해 인증받거나 안내방송 수신 후 음성인식 기술에 의해 통신망으로부터 인증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교환기(110)는 사용자 단말(101)로 데이터 호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전송한다. 콜백 유알엘은 교환기(101)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의 특정 버튼(예컨대, 통화 버튼)을 누르면 바로 해당되는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로 사용자 단말(101)을 접속시키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101)은 수신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유알엘을 이용하여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에 접속한다.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01)로 통화내역 검색조건의 선택 화면을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에 통화내역 검색조건의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조건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검색조건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검색조건에는 사용자 단말(101)의 내부 메모리에서 제공하는 발신 및 착신 정보(예컨대, 발신 및 착신 등 통화호 유형 등) 이외의 검색조건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색조건에는 전체 통화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등의 다수의 검색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검색조건에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이전에 통화했던 통화내역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이전에 통화했던 통화내역에는 사용자 단말(101)의 내부 메모리의 초과, 주소록 동기 실패 또는 주소록 미등록에 따른 통화내역이 포함된다. 또한, 확장된 검색조건에 맞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검색조건을 입력하면,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는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로부터 해당 통화내역 결과를 전송받아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통화내역 조회 전에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부재중, 통화중, 착신실패 등 불완료 호까지 포함된 모든 통화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조회한다.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검색조건과 일치하는 통화내역을 검출해 내고, 해당 사용자의 검색조건에 부합하는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통화내역 리스트는 전체 통화내역 중에서 사용자의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통화내역이 포함된다. 검색조건과 정확히 일치하는 통화내역이 없다면,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검색조건에 가장 근접한 통화내역 리스트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의 과금 데이터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저장한다. 검색조건이 과금내역이면,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상기 조회된 통화내역과 대응되는 과금 데이터를 산출하고, 각 통화내역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매칭시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생성된 특정 사용자의 통화내역 리스트를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01)은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로부터 교환기(110)를 통해 전송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내역을 확인하게 한다. 사용자 단말(101)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인터넷 화면, 이메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통화내역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102)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통화내역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 과정에는 사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된 후, 사용자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102)를 통해 통화내역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통화내역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해당 전화번호로 음성통화, 영상통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시 호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1)과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 사이에 연결되어 있던 데이터 호는 자동으로 해제된 후, 호 처리가 수행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통화내역 관리 서버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통화내역 수집부(210),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220) 및 통화내역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이하,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통화내역 수집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수집한다. 통화내역 수집부(210)는 사용자의 통화내역 조회 전에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통화내역 수집부(210)는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부재중, 통화중, 착신실패 등 불완료 호까지 포함된 모든 통화내역을 수집한다. 또한, 통화내역 수집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의 과금 데이터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수집하여 저장한다.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220)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전송된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고, 사용자의 검색조건과 일치하는 통화내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220)는 해당 사용자의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 검색조건과 정확히 일치하는 통화내역이 없다면,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220)는 검색조건에 가장 근접한 통화내역 리스트를 검출한다. 또한, 사용자 검색조건이 과금내역이면,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220)는 통화내역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회된 통화내역과 대응되는 과금 데이터를 산출하고, 각 통화내역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매칭시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
통화내역 전송부(230)는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101)은 특정 라우팅 번호를 이용하여 교환기(110)로 통화내역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다(3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특정 라우팅 번호인 특정 코드(예컨대, **11 등)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의 교환기(110)에 접속하여 통화내역 서비스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101)이 특정 코드(예컨대, **11 등)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의 교환기(110)에 접속하면, 교환기(110)는 정상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응답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101)의 정상 사용자 인증의 응답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304). 여기서, 정상 사용자 인증 과정에는 사용자 단말(101)의 식별번호, 주민번호, 통화내역 서비스 등록시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 과정이 포함된다.
"304"'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교환기(110)는 사용자 단말(101)로 데이터 호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전송한다(306).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버튼(예컨대, 통화 버튼)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을 이용하여 바로 해당되는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로 접속한다(308). 즉, 사용자 단말(101)은 수신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이 포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유알엘을 이용하여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에 접속한다.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01)로 통화내역에 대한 사용자 검색조건의 선택 화면을 전송한다(310).
이어서, 사용자 단말(101)은 통화내역 검색조건의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조건을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로 전송한다(312). 여기서, 검색조건에는 사용자 단말(101)의 내부 메모리에서 제공하는 발신 및 착신 정보(예컨대, 발신 및 착신 등 통화호 유형 등)외의 검색조건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색조건에는 전체 통화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발/착신 호 유형,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등의 다수의 검색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전에 통화했던 통화내역에는 사용자 단말(101)의 내부 메모리의 초과, 주소록 동기 실패 또는 주소록 미등록에 따른 통화내역이 포함된다.
그리고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검색 조건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여 통화내역 조회를 요청한다(314).
한편,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통화내역 조회 전에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수집한다(316). 구체적으로,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부재중, 통화중, 착신실패 등 불완료 호까지 포함된 모든 통화내역을 수집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통화내역 수집 과정(316)은 통화내역 조회 전에 미리 수행된다.
그리고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데이터베이스 조회하여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318).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검색조건과 일치하는 통화내역을 검출해 내고, 해당 사용자의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 검색조건과 정확히 일치하는 통화내역이 없다면,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검색조건에 가장 근접한 통화내역 리스트를 검출한다. 또한,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의 과금 데이터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저장한다. 검색조건이 과금내역이면,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상기 조회된 통화내역과 대응되는 과금 데이터를 산출하고, 각 통화내역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매칭시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는 생성된 특정 사용자의 통화내역 리스트를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로 전송한다(320).
이어서,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는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로부터 전송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통화내역 조회를 요청한 해당 사용자 단말(322)로 전송한다(322).
이후, 사용자 단말(101)은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내역을 확인하게 한다(324). 사용자 단말(101)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인터넷 화면 또는 이메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통화내역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102)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통화내역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통화내역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 과정에는 사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된 후, 사용자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102)를 통해 통화내역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통화내역 리스트 확인 과정(324) 후, 사용자 단말(101)은 "308" 과정에서 연결된 데이터 호 해제를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로 요청한다(326). 그러면,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01)과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호를 해제한다(328). 여기서, 데이터 호 해제 요청 과정(326)은 "322" 과정의 통화내역 리스트 전송 과정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통화내역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통화, 영상통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호 처리를 교환기(110)로 요청할 수 있다(33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1)이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와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에 특정 코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 후 콜백 유알엘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101)에 미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호처리 서버(20)와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나 통화 내역 관리 서버(130)를 운영하는 업체가 제작한 데이터 호처리 서버 접속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자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 접속을 위한 URL을 포함한다.
자바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데이터 호처리 서버 접속용 애플리케이션은 자바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반면, URL 접속은 사용자 단말(101)의 단말 플랫폼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통화내역 서비스를 받기 위해 먼저 사용자가 데이터 호처리 서버 접속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자바 플랫폼은 URL을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단말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API)는 자바 프로그램에서 휴대단말의 C언어 환경에 접근하기 위한 것으로 자바 플랫폼과 단말 플랫폼 간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통해 URL을 받은 단말 플랫폼은 URL을 이용하여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에 접속을 요청한다. 이때 데이터 호 접속이 교환기(11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인증은 교환기(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면 교환기(110)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01)이 직접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와 데이터 호 접속을 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은 데이터 호처리 서버(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진행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유/무선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무선 통신의 모든 통화내역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검색조건에 따라 해당 통화내역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내역을 자신의 단말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1: 사용자 단말 110: 교환기
120; 데이터 호처리 서버 130: 통화내역 관리 서버

Claims (22)

  1.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 서비스 개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완료 후에 데이터 호를 연결하기 위한 교환기;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호 연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검색조건을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호처리 서버; 및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화내역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에는 사용자 정보 이외에 상기 사용자가 통화내역 서비스 등록시 추가로 설정한 비밀번호 또는 비밀문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데이터 호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검색조건은 발신 및 착신 정보, 전체 통화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5.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서버에 있어서,
    통화내역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수집하기 위한 통화내역 수집부;
    데이터 호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통화내역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화내역 전송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수집부는,
    상기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부재중, 통화중, 착신실패 등 불완료 호까지 포함된 통화내역을 수집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수집부는,
    유무선 통신망의 과금 데이터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수집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서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과 정확히 일치하는 통화내역이 없다면, 사용자 검색조건 중 일부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서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이 과금 내역이면, 상기 통화내역 수집부에서 수집된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회된 통화내역과 대응되는 과금 데이터를 산출하고, 각 통화내역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매칭시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서버.
  10.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 서비스 개시 요청에 따라 교환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호 처리 서버간에 데이터 호가 연결되는 데이터 호 연결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데이터 호 처리 서버간의 데이터 호 연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검색조건을 수신한 후 수신한 사용자 검색조건을 통화내역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검색조건 전송 단계;
    상기 전송된 사용자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통화내역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 단계; 및
    상기 통화내역 관리 서버가 상기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화내역 리스트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에는 사용자 정보 이외에 상기 사용자가 통화내역 서비스 등록시 추가로 설정한 비밀번호 또는 비밀문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호 연결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교환기가 데이터 호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콜백 유알엘(Call Back URL)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데이터 호를 연결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검색조건은 발신 및 착신 정보, 전체 통화내역, 통화일시, 통화지역, 상대방 전화번호 중 기억하는 일부 번호,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특정 문자열, 현재까지 이용한 과금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방법.
  14. 통화내역 관리 서버에서의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통화내역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수집하는 통화내역 수집 단계;
    데이터 호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검색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내역을 조회하여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통화내역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화내역 리스트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수집 단계는,
    상기 통화내역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부재중, 통화중, 착신실패 등 불완료 호까지 포함된 통화내역을 수집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수집 단계는,
    유무선 통신망의 과금 데이터를 로우(raw) 데이터 형태로 수집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과 정확히 일치하는 통화내역이 없다면, 사용자 검색조건 중 일부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역 리스트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검색조건이 과금 내역이면, 상기 수집된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조회된 통화내역과 대응되는 과금 데이터를 산출하고, 각 통화내역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매칭시켜 통화내역 리스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관리 방법.
  19. 특정 라우팅 번호를 이용하여 교환기로 통화내역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면, 상기 교환기로부터 데이터 호 처리 서버와 데이터 호 접속이 가능한 콜백 유알엘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
  20. 데이터 호 처리 서버 접속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화내역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유알엘을 통해 데이터 호 처리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자바 프로그램에 의해 제작된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단말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자바 플랫폼에서 실행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라우팅 번호를 단말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단말 플랫폼에서 유알엘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호처리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단말기.
KR1020100022678A 2010-03-15 2010-03-15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03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78A KR20110103556A (ko) 2010-03-15 2010-03-15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78A KR20110103556A (ko) 2010-03-15 2010-03-15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56A true KR20110103556A (ko) 2011-09-21

Family

ID=4495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78A KR20110103556A (ko) 2010-03-15 2010-03-15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35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33B1 (ko) * 2013-09-12 2015-07-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 장치와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33B1 (ko) * 2013-09-12 2015-07-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 장치와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8744B2 (en) Method for indicating the context of a call to a called party
US202202790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authenticating communications with a calling device
CN102714681B (zh) 用于使用语音信箱提供消息传送的方法和装置
US118890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xt data associated with a communications session to the called device
JP5263287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13126124A (ja) 発信者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29299B1 (ko)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JP2013141066A (ja) コールセンタ運用システムおよびコールセンタ運用方法
KR20110103556A (ko) 사용자 통화내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88397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clud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JP5069959B2 (ja) 認証装置
JP5389867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61432A (ko) 인증서를 이용한 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47200B1 (ko) 개인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21969B1 (ko) 타인 단말 상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호 연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
JP4931896B2 (ja) メール利用型着信課金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87262A (ko) 고객의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고객 응대를 수행하는 고객센터 시스템 및 그 응대 방법
JP387839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での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行なわ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90003496A (ko) 게임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온라인 게임의 sms전송 시스템 및 sms 전송 방법
KR101302775B1 (ko) 통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JP5684750B2 (ja) 通信接続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呼処理サーバ
JP5996567B2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691111B1 (ko)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598774A (zh) 云手机通信方法及系统
KR20070118799A (ko) 위치정보 서비스 서버 및 이를 위한 위치정보 송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