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030A -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030A
KR20110103030A KR1020100022133A KR20100022133A KR20110103030A KR 20110103030 A KR20110103030 A KR 20110103030A KR 1020100022133 A KR1020100022133 A KR 1020100022133A KR 20100022133 A KR20100022133 A KR 20100022133A KR 20110103030 A KR20110103030 A KR 2011010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hoe insole
hole
pad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517B1 (ko
Inventor
신광준
Original Assignee
신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준 filed Critical 신광준
Priority to KR1020100022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51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 하부에 다수의 에어백이 형성된 에어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신발 깔창 내측에 에어백을 설치할 시에 신발 깔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고, 그 상부에 패드부재를 설치하여 신발 깔창을 편리하게 제조함은 물론 신발 깔창 내측에 에어백을 설치할 시에 신발 깔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고, 그 상부에 패드부재를 설치하여 신발 깔창의 제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 깔창{Inner sole of shoes}
본 발명은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깔창 내측에 에어백을 설치할 시에 신발 깔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고, 그 상부에 패드부재를 설치하여 신발 깔창의 제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직립보행을 하면서 우리는 발목, 무릎, 허리 및 척추관절에 큰 무리를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인체의 구성요소인 근육조직과 연골조직이 외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해 주어서 관절손상을 예방해 주고 있지만,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관절 부분의 손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을 주변에서 목격하고 있다.
인간이 점프에서 착지할 때 최대 체중의 다섯 배의 하중이 걸린다는 연구결과처럼, 즉 체중이 80KG인 사람이 점프시 받는 하중은 400KG으로 이 하중은 발목, 무릎, 허리, 척추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진발생시 면진 설계가 되어있지 않은 건물은 적은 충격으로도 붕괴한다.
면진 설계 중 하나의 방법으로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구조물과 기초지반 사이에 설치하여 지진파가 구조물에 전달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에어백 안창을 신발에 장착함으로써 보행 및 구보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충격을 일차적으로 에어백 안창이 흡수하여 충격력을 현저히 약화시켜 발목, 무릎, 허리, 척추를 보호하게 한다. 에어백 안창이 장착된 신발과 일반안창이 장착된 신발의 충격흡수력 시험 결과는 첨부된 데이터(신발피혁연구소KIFLT-2007-0502에 의거)와 같으며, 족압(Peak Pressure)은 약 10 % 족부하힘(Maximum Force)은 약 8%의 감소현상이 나타난다.
에어백 안창을 만들기 위해, 먼저 에어백을 만들어야 한다. 에어백을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얇은 우레탄시트를 가장자리를 고주파 하여 만드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공정이 간단하나 고주파 부분이 취약하여 잘 터지는 단점이 있다. 둘째, 중공성형에 의한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중공성형기에 우레탄원료를 투입하여, 열을 가하고, 특정형태의 금형을 사용하여 에어백을 만든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을 안창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있었으나, 에어백 자체가 가지는 문제점, 즉, 공기 빠짐, 에어백의 파열, 두께조절의 실패로 탄성이 없음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에어백은 깔창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하기 위한 에어백은 대부분 아웃솔에 한정되어 설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 깔창 내측에 에어백을 설치할 시에 신발 깔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고, 그 상부에 패드부재를 설치하여 신발 깔창의 제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구성된 신발깔창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 하부에 다수의 에어백이 형성된 에어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재에는 발가락 부분이 위치하는 곳에 제1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멍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2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구멍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3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구멍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4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부재는 상기 패드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 될 수 있도록 발 발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1에어백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에어백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복수의 제2에어백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에어백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3에어백이 형성되고, 제3에어백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4에어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구멍은 개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에어백은 개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발 깔창 내측에 에어백을 설치할 시에 신발 깔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고, 그 상부에 패드부재를 설치하여 신발 깔창을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 깔창 내측에 에어백을 설치할 시에 신발 깔창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고, 그 상부에 패드부재를 설치하여 신발 깔창의 제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상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깔창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깔창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은 에어백부재, 패드부재 및 상부부재(미도시, 미부호)와 하부부재(미도시, 미부호)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부재(미도시) 및 하부부재(미도시)는 신발깔창의 상부와 하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에어백부재(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은 신발 깔창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부재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백부재(10)는 상부패드(10a)와 하부패드(10b)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패드(10a)와 하부패드(10b)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접착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부재(10)에는 발가락에 의해 가해지는 체중의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제1에어백(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에어백(11)이 형성된 위치에서 일정거리가 떨어진 부분에 발가락의 뒤쪽 부분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제2에어백(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에어백(12)에서 일정거리가 떨어진 발의 중앙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함과 동시에 바른 보행을 도모할 수 있게 제3에어백(13)이 형성되고, 상기 제3에어백(13)이 형성된 부분에서 일정거리가 떨어진 발의 뒤꿈치 쪽으로 가해해지는 체중에 의한 압력을 지탱함은 물론 체중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4에어백(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에어백(11)은 사람마다 발가락의 길이가 각기 다르게 생김에 따라 발가락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첫 줄에는 3개, 둘째 줄에는 4개 셋째 줄에는 5개가 형성되고, 상기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는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백(12)은 발 앞 부분 양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2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3에어백(13)과 제4에어백(14)은 각기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패드부재(20)는 전체 형상은 통상의 깔창형상으로 형성되고, 재질은 합성수지, 섬유, 가죽 중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재(20)의 재질을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카테고리의 범주에 든다 할 것이다.
상기 에어백부재(10)에 형성된 제1,2,3,4에어백(11, 12, 13, 14)이 형성된 부분과 동일한 위치에 제1, 제2, 제3, 제4구멍(21, 22, 23, 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멍(21)은 상기 제1에어백(11)과 같이 첫 줄에는 3개, 둘째 줄에는 4개, 셋째 줄에는 5개가 형성되고, 제2구멍(21)은 제2에어백(11)과 동일한 크기로 두개가 형성되며, 제3구멍(23)은 제3에어백(13)과 같이 동일한 위치와 크기로 하나가 형성되며, 제4에어백(24)은 제4구멍(14)과 같이 동일한 위치 및 크기로 하나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에어백부재(10)는 상기 패드부재(20)의 저부에 위치되고, 패드부재(20)에 형성된 제1, 제2, 제3, 제4구멍(21, 22, 23, 24)에 에어백부재(10)의 제1, 제2, 제3, 제4에어백(11, 12, 13, 14)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재(20)의 상부에는 상부부재(미도시)가 위치되고, 에어백부재(10)의 저부에는 하부부재(미도시)가 위치되어 하나의 깔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정 금형(미도시)을 형성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재(20)를 통상의 신발 깔창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때 제1구멍(21), 제2구멍(22), 제3구멍(23) 및 제4구멍(24)을 함께 형성한다.
그리고 소정 금형(미도시)을 통해 에어백부재(10)를 통상의 신발 깔창과 같은 형상으로 상부패드(10a)와 하부패드(10b)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드(10a)는 패드부재(20)에 형성된 제1, 2, 3, 4구멍(21, 22, 23, 24)에 결합 될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패드(10a)와 하부패드(10b)를 맞닿게 놓은 상태에서 고주파에 의해 가장자리를 접착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제2, 제3, 제4에어백(11, 12, 13, 14)을 갖는 에어백부재(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재(20)에 형성된 제1, 제2, 제3, 제4구멍(21, 22, 23, 24)에 에어백부재(10)에 형성된 제1, 제2, 제3, 제4에어백(11, 12, 13, 14)을 각각 결합한다.
상기 패드부재(20)에 결합된 에어백부재(10)의 저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패드부재(20)의 상부에는 상부부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재봉틀을 이용해 박음질을 하여 신발 깔창을 구성한다.
상기 박음질은 사람의 체중이 가해져도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촘촘하게 박음질을 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산된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을 신발 내측에 인입시킨 후 사용자가 신발을 신으면, 사용자 발에 가해지는 첫 번째 충격은 발 뒤꿈치 부분에 가해지는데 이때 발의 뒤꿈치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에 제4에어백(14)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 체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체중이 발 앞쪽으로 이동하면 발 중앙부부분은 에어백부재(10)의 제3에어백(13)에 의해 지탱되는데, 이때 제3에어백(13)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 아닌 사용자 발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바른 걸음걸이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에어백(12)은 발 앞쪽 발가락의 한 부분, 즉 발 앞쪽 양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 발이 보행에 의해 꺾여질 때 사용자의 체중을 받치도록 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에어백(11)은 발가락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 것은 사용자가 구름 위를 걷는 것과 같이 구름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편안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제4에어백(11, 12, 13, 14)이 발의 중요 부분에 각각 위치함으로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전한 보행을 행함과 동시에 발 바닥을 지압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에어백부재 11: 제1에어백
12: 제2에어백 13: 제3에어백
14: 제4에어백 20: 패드부재
21: 제1구멍 22: 제2구멍
23: 제3구멍 24: 제4구멍

Claims (5)

  1.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구성된 신발깔창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 하부에 다수의 에어백이 형성된 에어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에는 발가락 부분이 위치하는 곳에 제1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멍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2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구멍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3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구멍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4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재는 상기 패드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 될 수 있도록 발 발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1에어백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에어백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복수의 제2에어백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에어백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3에어백이 형성되고,
    제3에어백에서 거리가 이격되어 제4에어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은 개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5. 제3항에있어서,
    상기 제1에어백은 개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KR1020100022133A 2010-03-12 2010-03-12 신발 깔창 KR10125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33A KR101250517B1 (ko) 2010-03-12 2010-03-12 신발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33A KR101250517B1 (ko) 2010-03-12 2010-03-12 신발 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030A true KR20110103030A (ko) 2011-09-20
KR101250517B1 KR101250517B1 (ko) 2013-04-03

Family

ID=4495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133A KR101250517B1 (ko) 2010-03-12 2010-03-12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5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424A (ko) * 2020-04-27 2021-11-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근막염 안창
WO2022131606A1 (ko) * 2020-12-17 2022-06-23 이시우 기능성 신발 인솔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1607A (ko) * 2021-02-25 2022-09-01 박성률 발의 균형 유지용 쿠션 패드, 이를 구비하는 인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770B1 (ko) * 2021-03-08 2021-05-04 김만희 완충패턴구조를 포함하는 신발바닥재, 및 그 제작방법
KR102557034B1 (ko) * 2021-08-26 2023-07-17 심영주 하중분산 기능을 구비한 신발
KR102487785B1 (ko) * 2021-12-21 2023-01-12 문정열 신발 깔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424A (ko) * 2020-04-27 2021-11-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근막염 안창
WO2021221423A1 (ko) * 2020-04-27 2021-11-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근막염 안창
WO2022131606A1 (ko) * 2020-12-17 2022-06-23 이시우 기능성 신발 인솔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1607A (ko) * 2021-02-25 2022-09-01 박성률 발의 균형 유지용 쿠션 패드, 이를 구비하는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517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5063B2 (ja) 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US8732982B2 (en) Footwear
US20160021978A1 (en) Self-tailored insole
KR101250517B1 (ko) 신발 깔창
WO201106878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KR20230014609A (ko) 가변 반사 신발류 기술
US20190069631A1 (en) Impacting absorbing structures in footwear
US20110232128A1 (en) Shoe Soles With Damping Foot Pads
KR20190003004U (ko) 신발 바닥 구조
JP2019500088A (ja) 主としてシューズ用のミッドソール又はインソール
KR102013672B1 (ko) 족저근막염 통증완화 및 치료용 신발
EP4326115A2 (en) Shoe and inserts or layers for a shoe
KR101263614B1 (ko) 신발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200238254Y1 (ko) 충격흡수 신발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KR101252287B1 (ko)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2670412B1 (ko)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KR100979262B1 (ko) 이중 힐 구조의 헬스 슈즈
KR100885066B1 (ko) 벌집형 충격흡수층이 중창에 구비된 신발
JP2012235892A (ja) ヒールを有する靴の中底とこれを用いた靴
JP3211541U (ja) 履物
KR200375314Y1 (ko) 신발
KR20060107020A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0481007Y1 (ko) 통기성과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된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