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182A - 디바이스 선택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선택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182A
KR20110101182A KR1020117015308A KR20117015308A KR20110101182A KR 20110101182 A KR20110101182 A KR 20110101182A KR 1020117015308 A KR1020117015308 A KR 1020117015308A KR 20117015308 A KR20117015308 A KR 20117015308A KR 20110101182 A KR20110101182 A KR 2011010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luminaire
relative position
response time
prob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펭
데이퀸 양
지강 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265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0118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10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 H05B47/19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08C2201/71Directional be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제어기는 프로브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각 디바이스는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제어기에 대한 상대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고, 그의 상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응답할 응답 시간을 결정하고; 응답 시간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신호를 검출하고; 그 응답 신호를 제2 사전 정의된 규칙과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신호의 검출 과정에 따라 전송할지 전송하지 않을지를 판단하고; 무선 제어기는 무선 제어기에 대한 각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 정보의 비교 후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디바이스들 중에서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디바이스 선택에 따른 복잡성, 지연 및 에너지 소모를 줄여주고, 특히 무선 조명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디바이스 선택 및 제어 방법{METHODS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DEVICES}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살고 일하는 실내 및 실외 환경에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조명기구(luminaires)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 및 전기 디바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그의 작업 및 생활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이들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한다. 현재, 사람들은 주로 벽에 설치되어 이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과 같은 고정식(immobile) 제어기를 이용한다. 이 경우, 만일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제어하려면, 사용자는 제어 패널로 가서 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버튼 또는 손잡이를 조작해야 한다. 디바이스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제어 패널은 다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버튼 또는 손잡이가 많아져 더 복잡해질 것이며, 또한 사용자는 어느 버튼으로 대응 디바이스를 제어할지 기억해야 한다. 사용자와 제어 패널 간의 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무선 통신 기술, 예를 들어, 리모터(remoter)를 이용하여 각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였지만, 리모터는 각 디바이스마다의 많은 버튼, 메뉴 또는 옵션으로 인해 여전히 복잡하다. 따라서, 리모터는 부피가 크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다지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다.
일상적인 작업 및 생활 환경에서, 동일한 제어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사용자는 보통 그 사용자를 기준으로 특정 위치, 이를 테면, 그 사용자로부터 특정 거리에 있거나 또는 그 사용자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에 있는 디바이스만 선택하고 제어하려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실을 벗어나 침실로 가면, 사용자는 침실의 조명기구를 켜거나, 또는 거실의 조명기구를 끄려 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그의 휴대용 리모터가 가리키는 조명기구를 켜고, 다른 조명기구는 그대로 유지하려 한다. 종래 기술에서, 무선 제어기는 프로브(probe)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의 제어 영역 내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각 디바이스는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CSMA/CA)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각각의 피드백 신호를 무선 제어기에 전송한다. 무선 제어기가 모든 디바이스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 후, 무선 제어기는 프로브 메시지의 무선 전송 정보 또는 피드백 신호들, 이를 테면, 수신 신호 세기 표시자(RSSI) 또는 전파 시간(time of flight)을 비교하여 특정 상대 위치에 배치된 타겟(targe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 신호를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이를 제어한다. 기존의 시스템이 모든 디바이스로부터의 피드백을 필요로 하고, 그 시스템이 특정 거리 또는 특정 방향에 있는 하나의 타겟 디바이스만을 선택하고자 할지라도 수신된 모든 다양한 피드백에 의존하여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디바이스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피드백 신호의 분량도 또한 증가되며, 따라서 무선 제어기는 더 많은 처리 시간과 더 높은 처리 역량을 필요로 하며; 한편 피드백 양이 많아지면 CSMA/CA와 같은 랜덤 액세스 방법으로 인해 채널 충돌 가능성이 증가되고, 따라서 무선 제어기는 모든 디바이스로부터 모든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단점은 무선 제어기를 통해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기 전에 장시간 지연시켜, 사용자 경험을 불만족스럽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선택 및 제어 지연을 더 짧게 해주는 디바이스 선택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선택 및 제어 과정에서 피드백 신호를 줄여 무선 제어기를 간략하게 하고, 그러한 환경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고 전자파 방사를 줄이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관심사 중 하나 이상을 더욱 잘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사용되어 무선 제어기의 타겟 디바이스 선택을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i. 디바이스가 무선 제어기로부터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제어기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ii. 상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응답할 응답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iii. 디바이스가 응답 시간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신호를 검출하고; 제2 사전 정의된 규칙 및 응답 시간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 신호의 검출 과정에 따라 그 응답 신호를 전송할지 전송하지 않을지를 판단하는 단계 - 응답 신호는 상대 위치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제어기에 사용되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에서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I. 프로브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II.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응답 신호는 무선 제어기에 대한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상대 위치 정보를 포함함 -; III.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의 상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디바이스는 사전 정의된 규칙, 즉,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가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와 더 많이 일치할수록, 이 디바이스는 더 빨리 응답하고, 무선 제어기가 그 응답을 더 빠르게 수신하여, 타겟 디바이스 선택 지연을 상당히 줄여준다는 규칙에 기초하여 무선 제어기에 대한 상이한 상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응답 시간을 결정하고; 한편, 다른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들이 다른 응답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인지하는 것보다 타겟 디바이스와 더 잘 일치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한다고 인지하면 응답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들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모뿐만 아니라 그 영역에서 무선 신호의 전송 및 전자파 방사가 줄어들며, 무선 제어기 측면에서 응답 신호의 처리 복잡도가 간략화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과 다른 특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목적 및 장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비제한적인 다음의 상세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도움으로 쉽게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제어기가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를 선택하는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기구의 주요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무선 제어기의 주요 컴포넌트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제어기가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SSI에 기초하여 각 조명기구에 의해 그의 응답 시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제어기가 가리키는 조명기구를 무선 제어기가 선택하는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들은 조명기구가 예를 들어 사용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 기반한 조명 영역(lighting area)의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이 조명 영역은 실내 환경에 해당하고 두 개의 이웃하는 방(R1 및 R2)을 포함한다. 조명기구(D1 내지 D3)는 방(R1)에 설치되고, 조명기구(D4 및 D5)는 방(R2)에 설치된다. 무선 제어기(C)는 각 조명기구의 고유 식별(identification)에 기초하여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각 조명기구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온/오프, 밝기, 컬러, 초점 및 회전과 같은 그의 조명 기능을 제어한다. 조명기구의 시운전(commissioning)이 완료되며, 이는 시스템이 각 조명기구의 위치를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운전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은 더 이상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명기구는 조명 컴포넌트(210), ZigBeeTM과 같은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모듈(220), 프로세서(230), 메모리(240) 및 전원 공급 장치(25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모듈(220)은 ZigBeeTM 또는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제어기(C)와 통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확립한다. 각 조명기구는 무선 제어기(C)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무선 제어기(C)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RSSI 또는 전파 시간(time of flight)을 측정하고, 응답 신호로 응답하며; 응답 신호는 조명기구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제어기는 원하는 조명기구를 선택하고, 그 고유 식별을 그 응답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고유 식별을 갖는 제어 신호를 유니캐스트 형태로 조명기구에 전송한다. 프로세서(230) 및 메모리(240)는 무선 제어기(C)에 의해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 컴포넌트(210)를 스위치 온/오프하고, 그의 밝기 등을 조절한다. 전원 공급 장치(250)는 120V/60Hz 또는 220V/50Hz의 주 전기 공급 장치와 연결할 수 있고 변환기를 포함하며, 조명기구의 조명 컴포넌트(210), 무선 통신 모듈(220), 프로세서(230) 및 메모리(240)에 전기를 공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제어기는 송수신 안테나와 결합된 송수신기(310),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버튼, 손잡이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조명기구용 프로브 메시지 또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이 신호는 송수신기(310)에 의해 전송된다. 송수신기(310)는 또한 ZigBeeTM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각 조명기구와 통신한다. 메모리(330)는 수신된 조명기구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무선 제어기는 조명 시스템용 독립형 특수 제품일 수 있거나, 또는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이동 전화기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TV 리모터와 같은 다른 무선 제어기에도 통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ZigBeeTM 프로토콜과 같은 RF(무선 주파수) 기술에 기반하여 조명기구의 선택 및 제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RF 기술로 제한되지 않고, 적외선, 초음파 및 레이저와 같은 다른 무선 기술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조명 영역은 도 1에 도시된 실내 환경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공원, 경기장 및 건축 부지와 같은 외부 환경에도 적용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온도 조절 디바이스 및 오디오 재생성 디바이스와 같은 어떤 다른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데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제어기(C)를 보유한 사용자가 방(R2)에서 방(R1)으로 들어가고, 방(R2)에 있는 조명기구(D4 및 D5)가 온인 동안 방(R1)에 있는 조명기구(D1 내지 D3)는 오프이다. 이때, 사용자는 보통 이 방을 조명하기 위해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D1)를 턴 온하려 한다. 사용자는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제어기(C)에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를 턴 온 하라"는 명령을 입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S10)에서, 무선 제어기(C)는 프로브 메시지를 한 채널(시간 및 주파수와 같은 특정 통신 자원)을 통해 제어 영역 내에 있는 조명기구(D1 내지 D5)에 전송한다. 무선 제어기는 이 프로브 메시지를 주로 방송 형태로 전송한다. 각 조명 기구는 그 채널을 통해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검출하며, 무선 제어기(C)가 가장 가까운 타겟 디바이스를 선택한다고 인식한다.
단계(S20)에서, 조명기구(D1)는 이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프로브 메시지의 신호 세기 또는 전파 시간과 같은 거리 정보를 측정하며, 이 거리 정보는 D1 및 무선 제어기(C)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조명기구의 ZigBeeTM 기반 무선 통신 모듈(220)은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식할 수 있으며,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측정할 수 있다. ZigBeeTM 프로토콜 및 그 RSSI 측정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세부 사항은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무선 신호의 전송 지연은 무시함), 단계(S20') 및 단계(S20")에서, 조명기구(D2 및 D3)는 또한 이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D2 및 D3와 무선 제어기(C) 사이의 거리 정보, 이를 테면,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획득한다. 조명기구(D4 및 D5)는 D3와 유사한 단계를 수행하고,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 한 다음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 후, 단계(S21, S21' 및 S21")에서, 각각의 조명기구(D1, D2 및 D3)는 각기 그 거리 정보, 즉, 본 실시예에서 프로브 메시지의 RSSI에 기반하여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무선 제어기(C)에 응답할 그 응답 시간 TD1, TD2 및 TD3 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제어기(C)가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를 선택하려 하기 때문에,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거리 정보로 나타낸 거리가 짧을수록,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
이러한 규칙하에서, 본 기술 분야의 CSMA/CA에 기반한 모든 조명기구의 전통적인 랜덤 응답과 비교하여, 무선 제어기는 더 가까운 조명기구의 응답 신호를 가능한 빨리 수신하고, 따라서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를 선택하기 위한 지연이 더 짧아지고, 충돌 가능성은 줄어든다. 구체적으로, 무선 신호의 전파 감쇄는 다음의 프리스(Friis) 수학식으로 공식화된 바와 같이,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거리와 관련이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Pr 및 Pt는 각기 수신 전력 및 송신 전력이고, Gt 및 Gr은 각기 송신기 및 수신기의 안테나 이득이며, λ는 무선 신호의 파장이고 R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거리이다. 각 조명기구가 프로브 메시지의 RSSI(Pr /Pt)를 그 조명기구 자체와 무선 제어기(C)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음이 자명하며, 무선 제어기(C)가 프로브 메시지를 동일한 송신 전력으로 모든 방향(360도)으로 각각의 조명기구에 전송하였음을 의미하는 무지향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면, 모든 조명기구의 안테나 이득은 동일하고 잡음으로 야기된 간섭 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클수록, 결정된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우선순위화된 슬롯 메커니즘(Prioritized Slotted mechanism)을 제안하고, 각각의 조명기구는 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그 프로브 메시지의 RSSI에 따라 그 응답 시간을 결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SI는 여러 임계치에 따라 6가지 상이한 세그먼트로 등급이 매겨지며 각 세그먼트는 하나의 응답 시간 세그먼트에 해당하며, 여기서 상한 U보다 더 큰 RSSI는 시간 세그먼트 0~T1에 해당하고, 상한 U보다 작고 임계치 R1보다 큰 RSSI는 시간 세그먼트 T1~T2 등에 해당하며; 하한 L보다 더 작은 RSSI는 T5 이후의 시간 세그먼트에 해당하며, 여기서 T5>T4>T3>T2>T1>0 이다. 각각의 조명기구는 먼저 그 프로브 메시지의 RSSI에 따라 대응하는 RSSI 세그먼트를 선택하고, 그 다음에 각 조명기구는 그 선택된 RSSI 세그먼트에 따라 대응하는 응답 시간 세그먼트를 선택하며, 마지막으로 각 조명기구는 그 선택된 응답 시간 세그먼트에서 응답 시간을 결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응답 시간 세그먼트에서 응답 시간은 동일한 RSSI 세그먼트와 동일한 응답 시간 세그먼트에서의 여러 조명기구들 사이에서 응답 충돌을 피하기 위해 무작위로 결정된다. 동일한 응답 시간 세그먼트에서의 이들 조명기구는 CSMA/CA 또는 ALOHA와 같은 매체 액세스 프로토콜을 추가로 이용하여 충돌 발생시 백 오프(back off)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기구(D1)는 무선 제어기(C)에 가장 가까이 있고, D3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D1에서 프로브 메시지의 RSSI1이 가장 크고, D2에서 RSSI2가 중간이고 D3에서 RSSI3가 가장 작다. 본 실시예에서, RSSI1 및 RSSI2는 상한 U와 임계치 R1 사이에 있고, RSSI3는 임계치 R1 및 R2 사이에 있다. 따라서, 단계(S21, S21' 및 S21")에서, 조명기구(D1, D2 및 D3)는 각기 T1~T2, T1~T2 및 T2~T3 에서 자신들의 응답 시간 TD1, TD2 및 TD3을 결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들 응답 시간은 시간 세그먼트에서 무작위로 결정된다.
그 후, 단계(S22)에서, 조명기구(D1)는 TD1의 만료 전에 응답 채널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신호를 검출한다. 단계(S22')에서 TD2의 만료 전에 조명기구(D2) 그리고 단계(S22")에서 TD3의 만료 전에 조명기구(D3)도 마찬가지다. 만일 조명기구의 RSSI가 상한보다 더 크면, 그 응답 시간은 0이고 그 조명기구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신호를 검출하지 않을 것이고 즉시 응답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 조명 영역에서 모든 조명기구가 동기화되어야 함은 물론일 것이다. 동기화는 무선 제어기(C)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메시지에 의해 성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명 영역은 비교적 작고 무선 제어기(C)로부터 각 조명기구로 전송된 프로브 메시지의 전송 시간은 대략 동일하며, 따라서 각 조명기구는 수신된 프로브 메시지에 의해 동기화될 수 있다. 동기화는 다른 기존의 방법을 통해서도 성취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더 이상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그 후, 단계(S23, S23' 및 S23")에서, 조명기구(D1, D2 및 D3)는 각기 제2 사전 정의된 규칙 및 각각의 응답 시간의 만료 전에 다른 조명기구로부터의 응답 신호의 검출 과정에 따라 자신들의 응답 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과 같은 하위 규칙을 포함한다.
a) 응답 시간의 만료 전에 다른 조명기구로부터 응답이 검출되지 않으면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및
b) 응답 시간의 만료 전에 다른 조명기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응답 신호가 검출되고, 무선 제어기(C)까지 다른 조명기구의 거리가 조명기구(D1, D2 및 D3) 중 어떤 조명기구의 무선 제어기(C)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면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일 경우에서, 조명기구(D2)에 의해 응답 시간 세그먼트 T1~T2에서 무작위로 결정된 TD2는 D1에 의해 동일 시간 세그먼트에서 무작위로 결정된 TD1보다 더 작고, 여기서 TD2 및 TD1는 TD3보다 더 작다. 이 경우, D2에 의해 사용된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a) 조명기구(D2)가 TD2의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응답 신호도 검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조명기구는 단계(S23')에서 그 응답 신호를 무선 제어기(C)에 전송한다 라는 규정하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 응답 신호는 그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포함한다. 이 응답 신호는 또한 단계(S23)에서 조명기구(D1) 그리고 단계(S23")에서 D3에 의해 수신될 것이며, 이들 조명기구는 각기 TD1 및 TD3의 만료 전에 응답 신호를 검출한다.
조명기구(D1)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S23)는 단계(S230) 및 단계(S231)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230)에서, 조명기구(D1)는 D2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D2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추출한다. 단계(S231)에서, D1는 전술한 제2 사전 정의된 규칙 b)에 기반하여 그 응답 신호를 그 자신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와 비교한다. 즉, D1은 또한 무선 제어기(C)가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를 선택한다는 것을 조명기구(D1)가 인식(예를 들어 그 조명기구는 프로브 메시지에서 명령을 받음)하였고, D2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D1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보다 더 작기(조명기구(D1)가 D2보다 무선 제어기(C)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함) 때문에 그 응답 신호를 무선 제어기(C)에 전송한다.
한편, 단계(S23")에서, 조명기구(D3)는 또한 D2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그로부터 D2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추출하고, 전술한 제2 사전 정의된 규칙 b)에 기반하여 그 RSSI를 자신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와 비교한다. 조명기구(D3)는 무선 제어기(C)가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를 선택하고, D2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D3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보다 더 크다고(조명기구(D2)가 D3보다 무선 제어기(C)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함) 조명기구(D3)가 인식하기 때문에 그 응답을 포기한다. 대안으로, 조명기구(D3)는 D2의 응답 시간 세그먼트가 그 응답 시간 세그먼트보다 더 높다고(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분명히 D2보다 낮은 세그먼트에 있다는 것을 의미함) 인식하므로, 그 조명기구는 D2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그로부터 추출하고 그 RSSI를 자신의 RSSI와 비교할 필요가 없으며, 그 응답을 즉시 포기할 수 있다. 다른 조명기구의 응답을 포기함으로써, 더 가까이 있는 다른 조명기구의 응답의 충돌 가능성이 경감되며, 자신들의 응답을 포기하는 조명기구의 에너지 소모뿐 아니라 조명 영역에서 전자파 방사가 줄어든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경우에, 조명기구(D1)에 의해 응답 세그먼트 T1~T2에서 무작위로 결정된 TD1 는 조명기구(D2)에 의해 무작위로 결정된 TD2보다 저 작다. 따라서, 조명기구(D1)는 먼저 그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포함하는 그 응답 신호를 무선 제어기(C)에 전송하고, 이 응답 신호는 또한 조명기구(D2 및 D3)에 의해서도 수신된다. 조명기구(D2 및 D3)는 D1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획득하고, 그 자신들보다 D1이 무선 제어기에 더 가깝다고 결정하고, 따라서 자신들의 응답을 포기한다. 충돌 가능성, 에너지 소모 및 전자파 방사가 줄어든다.
그 후, 단계(S11)에서, 무선 제어기(C)는 조명기구(D1)에 의해 또는 조명기구(D1 및 D2)에 의해 전송된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조명기구(D1) 또는 조명기구(D1 및 D2)는 무선 제어기(C)와 각각의 D1, D2 및 D3 사이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자신들의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비교는 시스템이 각 조명기구마다 자신들의 프로브 메시지의 상이한 RSSI에 따라 상이한 응답 시간을 결정하고, 상대적으로 더 멀리 있는 조명기구의 응답을 포기하는 간접 방식으로 성취된다. 실제 시스템에서, 무선 제어기(C)는 그 무선 제어기가 프로브 메시지를 방송한 후 수신 마감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그 마감 시간의 만료 전에만 응답을 수신한다.
만일 TD1 및 TD2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면, 조명기구(D1 및 D2)는 응답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조명기구는 CSMA/CA 또는 ALOHA와 같은 현재의 매체 액세스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자신들의 응답 신호를 백 오프하고 재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백 오프 동안, 조명기구는 다른 조명기구들이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응답 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응답을 획득하고 응답하거나 포기하는 것과 같은, 전술한 조작을 수행할 것이다.
그 다음 단계(S12)에서,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의 상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제어기(C)는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조명기구들로부터 가장 가까운 타겟 조명기구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일 경우에서, 무선 제어기(C)는 조명기구(D2 및 D1)에 의해 전송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는 각 조명기구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포함한다. 그 다음, 각 조명기구의 RSSI를 비교함으로써, 무선 제어기(C)는 RSSI가 가장 큰 조명기구(D1)를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로서 선택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무선 제어기(C)는 조명기구(D1)에 의해 전송된 응답 신호만을 수신하고, D1을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라고 결정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에 가장 가까운 타겟 조명기구(D1)가 선택되었다.
또한, 단계(S13)에서, 무선 제어기(C)는 D1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에 대응하는 전송 방식에 따라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D1)를 제어하기 위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D1에 전송할 것이며, 여기서 제어 신호는 그의 재구성을 돕기 위해 D1의 고유 식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만일 조명기구들의 무선 통신 모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하는데 -7dB의 RSSI를 필요로 하지만 D1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5dB이면, 무선 제어기(C)는 조명기구(D1)가 RSSI가 -6dB인 제어 신호를 획득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그의 송신 전력을 약 1dB 만큼 줄여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제어기(C)의 에너지 소모 및 조명 영역에서 전자파 방사는 감소된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단지 D1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조명기구들이 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가 필수적이지 않다.
본 발명이 우선순위화된 슬롯 메커니즘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조명기구의 개수가 적고 하나의 응답 시간 세그먼트에서 응답 충돌이 거의 없으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상이한 조명기구들마다에 상이한 응답 시간을 직접 할당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상한 U보다 더 큰 RSSI에 대한 응답 시간은 0이고, U 및 R1 사이의 RSSI에 대한 응답 시간은 T1 등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가 먼저 응답할 것이고, 다른 조명기구는 일단 자신들이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의 응답 신호를 검출하면 자신들의 응답을 포기할 것이다. 따라서, 무선 제어기(C)에 의해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를 선택하기 위한 지연과 충돌 가능성은 감소될 수 있고, 각 조명기구의 에너지 소모가 줄어들 수 있으며 조명 영역에서 전자파 방사가 줄어들 수 있다. 맨 처음이면서, 동시에 무선 제어기(C)에 의해 수신되는 응답 신호만이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로부터 전송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조명기구를 턴 온하는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이 턴 오프, 밝기, 컬러, 초점 및 회전 조절과 같은 전술한 다른 제어에도 또한 적용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두 번째로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를 선택하는데에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무선 제어기(C)는 프로브 메시지에 최대 RSSI를 설정할 수 있다. 각 조명기구는 이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하고 먼저 그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제3 사전 정의된 규칙을 충족하는지, 즉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최대 RSSI보다 더 작은지를 판단한다. 만일 그렇다면, 각 조명기구는 계속해서 전술한 단계(S20 내지 S23)를 응답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다면, 각 조명기구는 그 응답을 포기한다. 따라서, 무선 제어기(C)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은, 또는 하나의 임계 거리보다 더 작은 조명기구들은 필터링된다. 이와 같은 최대 RSSI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또는 실제 환경에서 경험 또는 실험을 통해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의 사전 선택을 통해 얻어진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들의 그룹을 선택하는데에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장 먼 조명기구들을 선택하는데에도 역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R1)에 들어간 후, 사용자는 방(R2)에 있는 조명기구(D4 및 D5)를 턴 오프하려 한다. 이 경우, 조명기구에 의해 그 응답 시간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거리 정보로 나타낸 거리가 길수록,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
RSSI가 거리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면, 이 규칙은 다음과 같다.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작을수록,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
한편, 응답할지 응답을 포기할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응답 시간의 만료 전에 다른 조명기구로부터 응답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및
c) 응답 시간의 만료 전에 다른 조명기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응답 신호가 검출되고, 무선 제어기까지의 다른 조명기구의 거리가 무선 제어기까지의 이 조명기구의 거리보다 더 작으면,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우선순위화된 슬롯 메커니즘도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프로브 메시지에 최소 RSSI를 설정함으로써 다른 조명기구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브 메시지는 최소 RSSI를 포함하고, 각 조명기구는 그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제3 사전 정의된 규칙을 충족하는지, 즉 프로브 메시지의 RSSI가 최소 RSSI보다 더 큰지를 판단한다. 만일 그렇다면, 각 조명기구는 전술한 단계(S20 내지 S23)와 유사한 단계를 응답하도록 수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각 조명기구는 그 응답을 포기한다. 유사하게, 본 실시예는 가장 먼 조명기구들의그룹을 선택하는데에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유사한 방식으로, 하나의 최대 RSSI와 하나의 최소 RSSI를 동시에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정한 범위 내 또는 그 범위 외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조명기구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발명 작업 없이도 본 설명의 개시내용 및 가르침에 기반한 시나리오에서 그 실시예를 얻을 것이며, 본 설명은 더 이상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무선 제어기(C)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조명기구를 선택한 후, 무선 제어기(C)는 사용자에게 조명기구 리스트를 제공하며 이로부터 그 사용자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이한 거리에서 전술하고, 상이한 조명기구 선택 및 제어 단계에 대한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무선 제어기(C)에 쉽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제어기(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거리" 및 "기능" 옵션이 있다. 사용자는 "거리"를 "가장 가까이"로 "기능"을 "온"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거리"를 "가장 멀리"로 "기능"을 "오프"로 설정하여 그 사용자의 명령을 무선 제어기(C)에 입력하여, 그 후 대응하는 프로브 메시지를 생성하고 선택 및 제어 단계를 시작하게 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프로브 메시지의 RSSI를 거리 정보로 이용하여 조명기구와 무선 제어기(C) 간의 거리를 표시한다. 대안으로, 프로브 메시지의 전파 시간, 또는 프로브 메시지의 RSSI 및 전파 시간 둘 다가 거리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다른 무선 신호 전송 특징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을 적절히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은 첨부의 청구범위의 보호 범주 내에 있으며, 본 설명은 더 이상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무선 제어기가 무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 또는 더 가까운 조명기구, 가장 먼 조명기구 또는 더 먼 조명기구, 또는 일정 범위 내외에 있는 조명기구를 선택하는 본 발명의 적용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 제어기(C)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제어기(C)에 대하여 특정 방위각을 갖는 조명기구를 선택하는 본 발명의 다른 적용예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제어기(C)의 송신 안테나는 빔 형성 기능을 갖는 지향성 안테나와 같이 지향성을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안테나는 무선 제어기(C)가 가리키는 방향과 같은 각도 A의 범위 내에서 비교적 더 강한 송신 전력을 가지며, 다른 각도 범위에서는 더 약한 송신 전력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명기구(D2)를 선택하고 이를 제어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D2 방향으로 그의 휴대용 무선 제어기(C)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명기구(D2)와 무선 제어기(C)의 전송 각도 사이의 방위각 θ(피크 전송 방향 및 D2 방향 사이의 각도)는 비교적 작고; 반면에 조명기구(D3 및 D1)의 방위각은 비교적 크다.
먼저, 무선 제어기(C)는 프로브 메시지를 방송하고, 송신 전력은 각도 A 내에서 강한 반면, 각도 A 밖에서는 약하다.
그 다음, 프로브 메시지를 수신한 조명기구는 전술한 단계와 유사한 단계를 수행하며; 이들 조명기구는 무선 제어기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대 위치 정보는 방위 정보, 특히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이다. 무선 제어기(C)의 지향성 안테나의 전송 특성으로 인해, 조명기구(D2)에서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은 강하고, 반면에 조명기구(D3 및 D1)에서는 약하다. 조명기구의 무선 통신 모듈(220)은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을 측정하는 역량을 가지며, 그 구현예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은 더 이상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그 다음, 각각의 조명기구(D2, D3 및 D1)는 각기 그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응답할 그 응답 시간 TD1, TD2 및 TD3을 결정한다. 무선 제어기(C)는 그것이 가리키는 조명기구를 선택하기 때문에,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방위 정보로 나타낸 방위각이 작을수록,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이 방위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이 강할수록,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첨각(pointed angle) 범위 A 내에 있는 조명기구는 가능한 빠르게 응답할 것이다. 타겟 조명기구 선택 지연 및 응답 충돌 가능성은 줄어들 것이며,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우선순위화된 슬롯 메커니즘은 조명기구에 의해 충돌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명기구(D2)에서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결정된 그 응답 시간 TD2은 조명기구(D3 및 D1)의 TD3 및 TD1 보다 더 짧다. 각각의 조명기구는 다른 조명기구로부터 응답 신호를 검출한다. 조명기구(D2)는 TD2의 만료 전에 다른 조명기구로부터 응답 신호를 검출하지 않았으므로, 그 조명기구는 무선 제어기(C)에 의해 수신되고 또한 조명기구(D3 및 D1)에 의해서도 검출될 그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그 다음, 조명기구(D3 및 D1)는 D2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이 자신들보다 더 강하다(D2가 무선 제어기(C)의 전송 각도에 대한 방위각이 더 작아서 D2가 각도 A의 범위 내에 배치될 가능성이 더 있다는 것을 의미함)고 판단하며, 따라서 이들 조명기구는 자신들의 응답을 포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돌 가능성, 에너지 소모 및 전자파 방사가 줄어든다.
한편, 무선 제어기(C)는 조명기구(D2)가 D2의 응답 신호에 따라 타겟 조명기구라고 판단한다. 또한, 무선 제어기(C)는 D2의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에 대응하는 전송 방식에 따라 제어 신호를 조명기구(D2)에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우선순위화된 슬롯 메커니즘으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조명기구의 개수가 적고 하나의 응답 시간 세그먼트에서 응답 충돌이 거의 없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이 상이한 조명기구들에 상이한 응답 시간을 할당하는 것을 제안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첨각 범위에서 조명기구를 선택하는데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조명기구에 의해 응답 시간을 결정하는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방위 정보로 나타낸 방위각이 클수록,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
전술한 실시예는 가장 가까운 또는 더 가까운 조명기구, 가장 먼 또는 더 먼 조명기구, 첨각 내외에 있는 조명기구를 선택하는데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러한 선택 기능은 무선 제어기가 상이한 선택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무지향적 또는 지향적으로 상이한 프로브 메시지를 전송하는 어떤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조명기구는 그 프로그램에 각 선택에 대한 제1, 제2 및 제3 사전 정의된 규칙을 저장하였으며: 프로브 메시지가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의 선택을 나타내면, 그 응답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로딩된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거리가 짧을수록 또는 RSSI가 클수록, 응답 시간이 더 짧아진다는 것이며; 로딩된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른 조명기구의 검출된 RSSI가 그 RSSI보다 더 큰 경우 그 응답을 포기할 것이라는 것이며; 프로브 메시지가 가장 먼 조명기구의 선택을 나타내면, 로딩된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거리가 길수록 또는 RSSI가 작을수록, 응답 시간이 짧아진다는 것이며, 로딩된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른 조명기구의 검출된 RSSI가 그 RSSI보다 더 작은 경우 조명 기구가 그 응답을 포기하는 것이며; 프로브 메시지가 첨각의 범위 내에 있는 조명 기구의 선택을 나타내면, 로딩된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방위각이 작을수록 또는 RSSI의 지향성 이득이 클수록, 응답 시간이 더 짧아진다는 것이며; 로딩된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다른 조명기구의 RSSI의 검출된 지향성 이득이 그 RSSI의 지향성 이득보다 더 큰 경우 조명 기구가 그 응답을 포기한다는 것이다. 이들 선택 기능을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래밍 형태로 통합하는 것이 편리하다. 각 조명기구마다, 사전 정의된 규칙들이 그 메모리(240)에 사전 저장되고, 프로세서(230)에 의해 로딩된다. 또한 무선 제어기가 선택 전에, 또는 선택 동안에 사전 정의된 규칙들을 각 조명기구로 방송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명기구는 프로브 메시지의 무선 전송 정보, 이를 테면, RSSI, RSSI의 전파 시간 또는 지향성 이득을 측정하고, 이를 무선 제어기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로서 이용한다. 조명기구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프로브 메시지의 무선 전송을 측정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각 조명기구의 시운전이 완료된 다른 실시예에서, 조명기구는 무선 제어기에 의해 프로브 메시지에 제공되는 계산된 그 좌표 및 무선 제어기의 좌표에 기초하여 무선 제어기에 대한 그의 상대 위치 정보, 이를 테면, 거리 또는 방위각을 결정하고, 그 다음 그의 상대 위치에 따라 응답 시간을 결정하고, 응답 시간 순서에 따라 응답하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그 응답을 포기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무선 제어기 및 조명기구는 고정식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 제어기 또는 조명기구, 또는 이들 둘 다가 이동식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무선 제어기는 가장 가까운 또는 가장 먼 조명기구를 지속적으로 선택하고 제어한다. 이런 식의 동적 선택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보호 범주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명기구가 (프로브 메시지의 상이한 RSSI와 같은) 상이한 상대 위치에 의해 결정된 상이한 응답 시간에 응답하여 응답 충돌 및 선택 지연을 줄여주는 방법, 및 (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의 프로브 메시지의 검출된 RSSI가 이 디바이스의 RSSI보다 더 큰 경우) 조명기구가 응답을 포기하여 응답 충돌의 위험, 에너지 소모 및 전자파 방사를 줄여주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두 방법은 종래 기술보다 더 우수한 기술적 효과를 성취하기 위해 별개로, 또한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적용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이 자명하다.
- 가장 가까운 또는 가장 먼 조명기구를 선택 및 제어;
- 조명기구 및 지향성 무선 제어기의 전송 각도 사이의 방위각이 가장 작거나 가장 큰 조명기구를 선택 및 제어;
- 상대 위치를 갖는 특정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조명기구를 선택 및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온도 조절기 및 오디오 재생기와 같은 어떤 다른 가정, 사무실 또는 제조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데 적용가능하며; 또한 무선 애드훅(ad-hoc) 네트워크에서 원격적으로 선택하는데에도 유용하다. 당업자라면 기술적 특징의 모든 등가의 대체예 또는 자명한 변경예는 동일한 성능을 보여줄 것이라는 점을 적절히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양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본 발명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제어기 및 각 조명기구는 전술한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디바이스 및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본 설명의 개시내용 및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여 장치 실시예를 얻을 것이며, 본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한 사항을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많은 실시예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의 청구범위로만 제한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디바이스에 사용되어 무선 제어기가 타겟 디바이스들을 선택하는 것을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i.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제어기로부터 프로브(probe)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제어기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ii. 상기 상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응답할 응답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응답 시간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응답 신호들을 검출하여, 제2 사전 정의된 규칙, 및 상기 응답 시간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응답 신호들의 검출 과정에 따라 그 응답 신호를 전송할지 전송하지 않을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상대 위치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은,
    - 상기 상대 위치 정보는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정보로 나타낸 거리가 짧아지거나 길어질수록, 상기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지는 하위 규칙; 및
    - 상기 상대 위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제어기 사이의 방위각(azimuth)을 설명하는 방위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위각 정보로 나타낸 상기 방위각이 작아지거나 커질수록 상기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는 하위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는,
    a) 상기 상대 위치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상대 위치 정보 세그먼트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상대 위치 정보 세그먼트에 따라 대응하는 응답 시간 세그먼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응답 시간 세그먼트에서 상기 응답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전 정의된 규칙은,
    - 상기 응답 시간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어떤 응답 신호도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하위 규칙;
    - 상기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이 상기 상대 위치 정보가 작을수록 상기 응답 시간은 더 작아진다고 정의하고, 상기 응답 시간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응답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 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하위 규칙; 및
    - 상기 제1 사전 정의된 규칙이 상기 상대 위치 정보가 클수록, 상기 응답 시간은 더 짧아진다고 정의하고, 상기 응답 시간 만료 전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응답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 정보가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 위치 정보보다 더 작으면,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하위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위치 정보는 상기 프로브 메시지의 RSSI, 상기 프로브 메시지의 전파 시간(time of flight) 및 상기 프로브 메시지의 RSSI의 지향성 이득(directional ga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계 i과 단계 ii 사이에,
    상기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 정보가 제3 사전 정의된 규칙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충족하면, 단계 ii 및 단계 iii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전 정의된 규칙은,
    -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제어기 사이의 거리가 제1 임계치보다 짧고 및/또는 제2 임계치보다 긴지; 또는
    -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제어기 사이의 방위각이 제3 임계치보다 작고 및/또는 제4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8. 무선 제어기에 사용되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중에서 타겟(target) 디바이스들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I. 프로브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II.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상기 응답 신호들은 상기 무선 제어기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상대 위치 정보를 포함함 -;
    III.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상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정의된 규칙은,
    - 상기 상대 위치 정보가 가장 큰 디바이스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서 선택하는 항목;
    - 상기 상대 위치 정보가 가장 작은 디바이스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서 선택하는 항목; 또는
    - 상기 상대 위치의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서 선택하는 항목 중 어떤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메시지는 사전 정의된 상대 위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사전 정의된 상대 위치 조건은,
    -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제어기 사이의 거리가 제1 임계치보다 짧고 및/또는 제2 임계치보다 긴지; 또는
    - 상기 무선 제어기의 전송 각도로부터의 방위각이 제3 임계치보다 작고 및/또는 작거나 제4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KR1020117015308A 2008-12-04 2009-11-26 디바이스 선택 및 제어 방법 KR20110101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179571.0 2008-12-04
CN200810179571 2008-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182A true KR20110101182A (ko) 2011-09-15

Family

ID=4212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308A KR20110101182A (ko) 2008-12-04 2009-11-26 디바이스 선택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78722B2 (ko)
EP (1) EP2374334B1 (ko)
JP (1) JP2012511275A (ko)
KR (1) KR20110101182A (ko)
CN (1) CN102239747B (ko)
RU (1) RU2526208C2 (ko)
WO (1) WO2010064167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566B1 (ko) * 2018-11-21 2019-05-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인식형 리모컨 및 이의 설정방법
KR20210078700A (ko) * 2019-12-19 2021-06-2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002130A (ko) * 2012-09-20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9156B2 (en) * 2009-08-10 2012-04-17 Redwood Systems, Inc.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of auto-commissioning
US9572228B2 (en) 2010-02-18 2017-02-14 Redwood Systems, Inc. Commissioning lighting systems
US20110199020A1 (en) * 2010-02-18 2011-08-18 Redwood Systems, Inc. Methods of commissioning lighting systems
US8981913B2 (en) * 2010-02-18 2015-03-17 Redwood Systems, Inc. Commissioning lighting systems
US8706271B2 (en) * 2010-02-18 2014-04-22 Redwood Systems, Inc. Integration of compu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JP5671879B2 (ja) * 2010-08-24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2032916A1 (ja) * 2010-09-09 2012-03-1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監視システム
US9477302B2 (en) 2012-08-10 2016-10-2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ing devices within world space volumes
US9521731B2 (en) * 2010-12-22 2016-12-13 Philips Lighting Holding B.V. Control of network lighting systems
EP2830362B1 (en) * 2012-02-14 2018-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based scanning in wlan system
US8759734B2 (en) 2012-02-23 2014-06-24 Redwood Systems, Inc. Directional sensors for auto-commissioning lighting systems
JP6080369B2 (ja) * 2012-03-22 2017-02-15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機器識別装置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
JP5930787B2 (ja) * 2012-03-22 2016-06-08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機器識別装置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
CN102710276A (zh) * 2012-05-18 2012-10-03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卫浴设备的无线收发装置的配对方法
EP2685793B1 (en) 2012-07-12 2019-09-04 LG Innotek Co., Ltd. Lighting control method and lighting control system
US9839102B2 (en) 2012-07-12 2017-12-05 Lg Innotek Co., Ltd. Lighting control method and lighting control system
JP2014048748A (ja) * 2012-08-29 2014-03-17 Sharp Corp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609725B2 (en) * 2012-09-06 2017-03-28 LIFI Labs, Inc. Controllable lighting devices
US20140232272A1 (en) * 2013-02-20 2014-08-21 C2 Development, Inc. Led lighting system
CN104254166A (zh) * 2013-06-28 2014-12-31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控制信号选灯方法及装置
US10047912B2 (en) 2013-10-15 2018-08-14 LIFI Labs, Inc. Lighting assembly
US9198262B1 (en) 2014-05-22 2015-11-24 LIFI Labs, Inc. Directional lighting system and method
EP3069575B1 (en) 2013-11-14 2018-09-26 Lifi Labs Inc. Resettable lighting system and method
US11455884B2 (en) 2014-09-02 2022-09-27 LIFI Labs, Inc. Lighting system
CN105814512B (zh) * 2013-12-20 2020-04-1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无线对接系统
RU2689148C2 (ru) * 2014-02-28 2019-05-24 Филипс Лайтинг Холдинг Б.В.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уска и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тительными блоками и светильниками с сенсор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и с управлением жестами
CN106465499B (zh) 2014-05-22 2018-11-30 莱弗实验室公司 定向照明系统和方法
US9741244B2 (en) * 2014-05-30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smart objects, and systems for naming and interacting with smart objects
US9715824B2 (en) 2014-06-13 2017-07-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selecting controlled device
KR102325326B1 (ko) * 2014-06-16 2021-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448486B2 (en) * 2014-06-16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in electronic device
KR20160007162A (ko) * 2014-07-11 2016-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추정 장치 및 추정 방법, 위치 추정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48448B2 (en) 2014-09-02 2017-05-09 LIFI Labs, Inc. Power outlet and method of use
CN104202825B (zh) * 2014-09-18 2017-12-19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设备
US10045427B2 (en) * 2014-09-29 2018-08-07 Philips Lighting Holding B.V. System and method of autonomous restore point creation and restoration for luminaire controllers
JP6207762B2 (ja) * 2014-11-25 2017-10-04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近接ベースの照明制御
US11221599B2 (en) 2014-11-28 2022-01-11 Signify Holding B.V.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O2016119989A1 (en) * 2015-01-27 2016-08-04 Philips Lighting Holding B.V.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oximity detection for device control
RU2719502C2 (ru) * 2015-07-06 2020-04-20 Филипс Лайтинг Холдинг Б.В. Сигнализация присутствия посредством сообщений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евой световой системе
WO2017063846A1 (en) * 2015-10-16 2017-04-20 Philips Lighting Holding B.V. Commissioning load devices via challenge-response-timing
CN105608861B (zh) * 2015-10-29 2019-08-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JP2017107669A (ja) * 2015-12-07 2017-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制御照明システム、無線装置および登録方法
JP6810748B2 (ja) * 2016-02-04 2021-01-0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無線測距に基づいた電子デバイスの制御及び情報の表示
US9655215B1 (en) * 2016-02-11 2017-05-16 Ketra, Inc.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minimal control delay to grouped illumination devices configured within a wireless network
US9655214B1 (en) 2016-02-11 2017-05-16 Ketra,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sual content loaded into a grouped set of illumination devices configured within a wireless network
US10440794B2 (en) 2016-11-02 2019-10-08 LIFI Labs, Inc. Lighting system and method
IT201700084759A1 (it) * 2017-07-25 2019-01-25 Hyva Holding Bv Sistema di stabilizzazione per macchine operatrici semoventi.
EP3669619B1 (en) 2017-08-17 2024-03-13 Signify Holding B.V.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CN108124364A (zh) * 2017-12-21 2018-06-05 珠海智星荟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灯光控制方法及系统
CN111837459B (zh) * 2018-03-06 2023-06-16 昕诺飞控股有限公司 用于使用无线信号特性自动重新入网初始化照明节点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290695B (zh) * 2020-01-21 2021-12-14 维达力实业(深圳)有限公司 基于优先级控制的终端控制方法、装置和终端
CN111343058B (zh) * 2020-02-07 2022-0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控制设备及存储介质
CN113784486B (zh) * 2021-08-11 2024-04-12 深圳市智岩科技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46038B (zh) * 2022-01-07 2023-06-23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的控制方法、终端及芯片
CN116824824B (zh) * 2023-01-28 2023-11-21 太原杰安易科技有限公司 基于选煤用节点控制器的无线信号采集传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1789A (ko) * 1970-06-10 1971-10-27
US5790536A (en) 1989-01-31 1998-08-04 Norand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intelligent data, program and processing migration
JP2955114B2 (ja) * 1992-03-30 1999-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赤外線遠隔制御方式
US5491741A (en) * 1992-10-23 1996-02-13 At&T Corp. Prioritizing a multiple access channel in a wireless telephone system
US5637964A (en) * 1995-03-21 1997-06-10 Lutron Electronics Co., Inc. Remote control system for individual control of spaced lighting fixtures
DE60206866T2 (de) * 2001-11-20 2006-07-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Kontaktlose Chipkarte, Antwortverfahren und entsprechendes Programm
US6655817B2 (en) * 2001-12-10 2003-12-02 Tom Devlin Remote controll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EP1602207A2 (en) * 2003-03-04 2005-12-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performance optimization based on network topology and peer responsiveness
KR20060127185A (ko) * 2004-02-13 2006-12-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관리
US20060020302A1 (en) * 2004-07-20 2006-01-26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telemetry arbitration system based upon user selection
US9474134B2 (en) 2005-12-23 2016-10-18 Koninklijke Philips N.V. User interface with position awareness
US8036152B2 (en) 2006-01-06 2011-10-11 Proxense, Llc Integrated power management of a client device via system time slot assignment
US20090026978A1 (en) * 2006-02-23 2009-01-29 Tir Technology Lp System and method for light source identification
WO2007102112A1 (en) * 2006-03-06 2007-09-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 of decision trees for automatic commissioning.
US8170546B2 (en) 2006-03-22 2012-05-01 Broadcom Corporation Client device characterization of other client device transmissions and reporting of signal qualities to access point(s)
US7792138B2 (en) 2006-09-13 2010-09-07 Seoul National University Foundation Distributed opportunistic scheduling in IEEE 802.11 wireless location area networks (WLANs)
ATE515927T1 (de) 2006-12-20 2011-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system zur auswahl von einrichtungen eines drahtlosen netzes, insbesondere eines netzes drahtloser beleuchtungseinrichtungen
GB2445988B (en) * 2007-01-23 2009-06-17 Siemens Ag Load distribution
WO2008129488A2 (en) 2007-04-24 2008-10-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System and method for recalculation of probabilities in decision trees
US7949345B2 (en) * 2007-09-18 2011-05-24 Alfaplus Semiconductor Inc. Cognitive radio system and method
US9319956B2 (en) * 2008-01-15 2016-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mmunications connections over a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CN101247689B (zh) * 2008-03-05 2011-08-10 北京星光影视设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化灯具的控制方法及系统
US20090243796A1 (en) * 2008-03-28 2009-10-01 Tieman Craig A Adaptive power keyless fob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130A (ko) * 2012-09-20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907615B2 (en) 2012-09-20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 aware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device
KR101975566B1 (ko) * 2018-11-21 2019-05-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사용자 인식형 리모컨 및 이의 설정방법
KR20210078700A (ko) * 2019-12-19 2021-06-2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27130A (ru) 2013-01-10
WO2010064167A2 (en) 2010-06-10
EP2374334B1 (en) 2018-08-22
JP2012511275A (ja) 2012-05-17
EP2374334A2 (en) 2011-10-12
US20110234366A1 (en) 2011-09-29
CN102239747B (zh) 2014-03-26
RU2526208C2 (ru) 2014-08-20
US9578722B2 (en) 2017-02-21
CN102239747A (zh) 2011-11-09
WO2010064167A3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1182A (ko) 디바이스 선택 및 제어 방법
US8190096B2 (en) Method and system to select devices of a wireless network, particularly a network of wireless lighting devices
CN105830130B (zh) 选择被控设备的方法和控制设备
EP3224992B1 (en) Controlling a networked lighting and/or environmental-control system
WO2018133311A1 (zh) 一种室内定位的方法和设备
JP2019092197A (ja) ノードを設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設定されるノード
US9208680B2 (en) Remote commissioning of an array of networked devices
KR20110139310A (ko) 무선 원격 제어되는 장치 선택 시스템 및 방법
WO2017165514A1 (en) Seamless connection to multiple wireless controllers
US9576471B2 (en) Radio frequency remote controller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selecting at least one device to be controlled
JP6355761B2 (ja) 状態検知システム、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状態検知方法
KR101540262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50050158A (ko)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시스템 제어방법
JP2006093048A (ja) 照明装置の通信設定方法及び照明装置
JP7413501B2 (ja) 照明デバイス
US20220256402A1 (en) Wireless parameter adjustment based on node location
JP202119238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40137173A (ko) Zigbee 무선통신 기술 기반의 조명등제어장치 및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