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681A -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 Google Patents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681A
KR20110100681A KR1020117019647A KR20117019647A KR20110100681A KR 20110100681 A KR20110100681 A KR 20110100681A KR 1020117019647 A KR1020117019647 A KR 1020117019647A KR 20117019647 A KR20117019647 A KR 20117019647A KR 20110100681 A KR20110100681 A KR 2011010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iron
amount
modulus
young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322B1 (ko
Inventor
사까에 다까하시
나오끼 사까모토
료스케 후지모또
료스케 오가와
유지 니헤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8/05141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099673A1/ja
Publication of KR2011010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10Cast-iron alloys containing aluminium or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수학식 1에 나타내는 탄소당량이 3.30 내지 3.95%가 되는 C 및 Si와, Mn : 0.25 내지 1.0%와, P : 0.04% 이하와, S : 0.03% 이하와, Al : 3 내지 7%와, Sn : 0.03 내지 0.20%와, 잔량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이다.
<수학식 1>
탄소당량(%)=C량(%)+(1/3)×Si량(%)

Description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HIGH-RIGIDITY HIGH-DAMPING-CAPACITY CAST IRON}
본 발명은, 영률 및 진동 감쇠성이 우수한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철은, 예를 들어 강성이 요구되는 공작 기계나 고정밀 공작 기계, 혹은 영률과 진동이 문제가 되는 정밀 측정기의 구조 재료 등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가공 효율, 가공품의 정밀도, 정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종래부터, 공작 기계용 구조 재료로서, 진동 감쇠능이 비교적 우수한 편상 흑연 주철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편상 흑연 주철은, 편상 흑연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것에 의한 복합형 방진 기구를 가지므로 강 등에 비해 감쇠능이 높고, 게다가 대형의 구조재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의 성형성 및 비용의 면에서 유리한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편상 흑연 주철을 대신하는 공작 기계 구조재에 적용을 고안하여, 콘크리트계 재료, 천연 그래나이트, CFRP 등 우수한 감쇠능을 갖는 재료가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모두 강성의 낮음, 가공성, 비용 등의 문제로 실용화에 이르고 있지 않다.
현재, 감쇠성, 주조성, 비용의 면에서 우수한 편상 흑연 주철은, 공작 기계의 베드, 테이블, 컬럼 등 구조 재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공 경화가 심한 난가공성 재료 등의 가공을 행하는 공작 기계에는, 대절입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높은 강성과, 유해한 진동의 발생을 억제하는 높은 진동 감쇠능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 감쇠능이 더욱 격렬하게 요구되는 경우에는, 현상의 편상 흑연 주철에서는 진동의 영향 때문에, 가공 효율, 가공품의 정밀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종래부터 공작 기계 등에 사용되고 있는 FC300 등의 편상 흑연 주철은, 복합형 감쇠 기구를 발현하는 편상 흑연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종래 재료 중에서는 진동 감쇠능이 우수한 구조 재료이다. 이 편상 흑연 주철의 진동 감쇠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편상 흑연의 양을 증가시키면 된다. 그러나, 편상 흑연 주철이 증가하는 데 수반하여 동적 영률(이하, 단순히 영률이라 함)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편상 흑연 주철의 흑연량의 조정은, C 및 Si의 양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공작 기계의 구조 재료로서는, 영률이 저하되면 강성 유지를 위해 구조 재료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생긴다. 그로 인해, 구조 설계상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비용도 증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진동 감쇠능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편상 흑연 주철의 기지 조직을 베이나이트나 마르텐사이트로 형성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주조 공학 68(1996)876].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서는 진동 감쇠능이 개선되는 것에 수반하여 영률이 저하되므로, 양자의 양립은 어렵다. 또한, 진동 감쇠능을 개선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63-140064호 공보(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00330호 공보(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8634호 공보(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 모두 대수 감쇠능을 개선하는 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에는, 진동 감쇠능의 측정 결과는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영률에 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값은 불분명하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는 브레이크 재료에 관한 것이므로, 영률은 필요 불가결하지 않고 오히려 강도가 중요시되는 것이 추측된다. 특히, 특허 문헌 1에는, 회주철 정도의 우수한 강도를 갖고, 또한 회주철 이상의 우수한 감쇠능을 갖는 브레이크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발명의 목적인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공작 기계, 정밀 가공 기기의 제진성 향상도 시야에 있어서 제진 성능을 개량하기 위해 알루미늄 함유 제진 주철을 발명한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기계 정밀도의 유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구조 재료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은 필요 불가결하지만, 그것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들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첨가함으로써 진동 감쇠능을 개선할 수 있다고 알지만, 그 방법은 자세히 보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은, 알루미늄을 첨가한 주철을 열처리함으로써 진동 감쇠능이 우수하고, 강도 있는 재료를 얻고 있다. 특허 문헌 2는, Al 첨가의 경화와 과공정 조성으로 하여 흑연의 증량과 미세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진동 감쇠능의 개선이 도모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영률이 크게 저하된다고 추측된다. 특허 문헌 3은, 알루미늄을 첨가하여 진동 감쇠능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는 예이지만, 영률에 관해서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반드시 영률 및 진동 감쇠능의 양립은 도모할 수 없으므로, 더욱 진동 감쇠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였던 영률과 진동 감쇠능을 양립시키면서, 또한 진동 감쇠능을 개선할 수 있는 영률 및 진동 감쇠성이 우수한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제1 발명)은, 하기 수학식 1에 나타내는 탄소당량이 3.30 내지 3.95%가 되는 C 및 Si와, Mn : 0.25 내지 1.0%와, P : 0.04% 이하와, S : 0.03% 이하와, Al : 3 내지 7%와, Sn : 0.03 내지 0.20%와, 잔량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탄소당량(%)=C량(%)+(1/3)×Si량(%)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제2 발명)은,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내는 탄소당량이 3.30 내지 3.95%가 되는 C 및 Si와, Mn : 0.05 내지 0.65%와, P : 0.04% 이하와, S : 0.03% 이하와, Al : 3 내지 7%와, Sn : 0.03 내지 0.20%와, 잔량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률과 진동 감쇠능을 양립시키면서, 또한 진동 감쇠능을 개선할 수 있는 영률 및 진동 감쇠성이 우수한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진동 감쇠능이 우수한 편상 흑연 주철과 같은 정도의 영률을 가지면서 또한 대폭으로 진동 감쇠능이 우수한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Mn을 소량으로 제어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대수 감쇠율(×10-4)과 영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상 흑연 주철은, Al(알루미늄)의 첨가량에 수반하여 진동 감쇠능이 개선되지만 한계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Al의 첨가량을 순차적으로 늘려 그 진동 감쇠능 및 영률을 측정하면, 3% Al 첨가부터 개선이 보이지만, 7%를 초과하면 진동 감쇠능은 오히려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이들 Al을 첨가한 편상 흑연 주철에 주석(Sn)을 적량 첨가하면, 영률 및 진동 감쇠능이 개선되는 것을 구명하는 데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진동 감쇠능 및 영률은 편상 흑연 주철의 탄소당량(C.E.), (C/Si) 중량비, Al, Sn의 첨가량의 조정에 의해 크게 변동하는 것도 명백하게 하였다. 영률을 유지한 상태에서 진동 감쇠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하는 C.E., (C/Si) 중량비, Al, Sn의 값의 적정한 조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Al : 3 내지 7%로 규정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Al과 Sn을 첨가한 편상 흑연 주철에서 Al의 첨가량이 진동 감쇠능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3%부터로, 3%보다 적은 경우, 개선 효과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6% 이상이 되면 진동 감쇠능은 서서히 저하되고, 7%를 초과하면 더욱 진동 감쇠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Al의 첨가량이 7%를 초과하면, Al의 첨가에 의해 형성되는 철 Al 탄화물이 경하고 취약해지므로, 깨지기 쉽고 또한 가공성이 악화된다. 그로 인해, Al의 적정 첨가량을 3 내지 7%로 하였다.
Al 첨가에 의한 편상 흑연 주철의 진동 감쇠능의 개선 기구에 관해서는, Al을 고용한 철 합금의 형성에 의한 것으로 하는 설(전자)과, 철 Al 탄화물의 형성에 의한 것으로 하는 설(후자)이 있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서는 후자의 설을 취하고 있다. 어느 쪽 설도 이들의 형성되는 물질이 강자성형의 감쇠 기구에 의한 것이라 추측되고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Sn : 0.03 내지 0.2%로 규정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Sn의 첨가량은 지나치게 적으면, 영률 및 진동 감쇠능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지 않는다. 0.03% 정도부터 영률, 진동 감쇠능의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고, 0.08% 전후에서 가장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Sn의 첨가량이 많아지면 점차 효과가 저감되고, 0.2% 이상이 되면 효과가 크게 저하되어,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로 인해, Sn의 첨가량은 0.03 내지 0.2%가 적정치이다. Sn은 영률, 진동 감쇠능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원소이다.
또한, Sn 첨가에 의한 개선 효과의 기구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즉, 편상 흑연 주철에 Al을 첨가하면, 철과 Al과 탄소의 반응에 의해 철 Al 탄화물이 형성된다고 되어 있다. 또한, 철 Al 탄화물은, 강자성체이며, 강자성체형의 진동 감쇠 기구를 발현한다고 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Al의 첨가량을 늘려 가면, 철 Al 탄화물이 증가하게 되지만, 약 6% 전후에서 철 Al 탄화물이 증가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Sn을 첨가하면, Al 단독의 첨가에 비교하여 항상 보다 많은 철 Al 탄화물이 형성되게 되고, 그 결과 Sn 첨가에 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은, 상기 Al, Sn 이외에, C, Si, Mn, P, S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C 및 Si의 양은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다.
Mn은 통상의 편상 흑연 주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0.25 내지 1.0%로 한다. 이 이유는, Mn은 0.25% 이상에서는 주철의 강도, 경도를 증가시키지만, 1.0%를 초과하면 주철을 냉각화시켜, 경하고 취약하게 하므로, 상기 수치 범위로 하였다.
또한, 제2 발명에 있어서는, Mn(망간)량은, 0.05 내지 0.65%로 한다. 이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Mn량이 0.65%를 초과하면, 진동 특성이 저하되므로 주철 조성 중의 Mn량은 0.65% 이하로 한다. Mn량은 적은 쪽이 진동 특성은 좋아지지만, 주철 원료 내에 원래 소량의 Mn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필요 이상으로 저감시키는 것은 비용적인 면에서 불이익이 된다. 따라서, Mn량의 하한치는 0.05%로 한다. 또한, Mn량이 0.65%를 넘는 경우에 진동 감쇠능이 저하되는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불분명하다.
P는 통상의 편상 흑연 주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0.04% 이하로 한다. 이 이유는, P는 0.04%를 초과하면, 철과 반응하여 경한 화합물인 스테다이트를 형성하여 주철을 취약하게 하므로, 상기 수치 범위로 하였다.
S는, 통상의 편상 흑연 주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0.03% 이하로 한다. 이 이유는, S가 0.03%를 초과하면, 용탕의 유동성을 악화시키는 동시에, 주철을 냉각화시켜 경하고 취약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내는 탄소당량은 상기한 바와 같이3.30 내지 3.9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당량은, 커지면 진동 감쇠능이 개선되어 영률이 저하된다. 탄소당량의 증감에서는 양자의 양립은 불가능하지만, 진동 감쇠능과 영률에 미치는 영향은 크기 때문에 적정한 값으로 할 필요가 있다. Al이 첨가된 경우, 종래의 편상 흑연 주철에 비교하여, 오스테나이트와 흑연의 공정 반응이 일어나는 공정 조성이 변화한다. 종래의 편상 흑연 주철은 상기 수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탄소당량이 4.3%에서 공정 반응을 발생하지만, Al이 첨가되면 이 값보다도 작은 값으로 공정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공정 조성보다 큰 탄소당량이 되면 과공정이 되어 영률이 크게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경우, 탄소당량(C.E.)이 3.95%를 초과하면, 진동 감쇠능이 크게 개선되지만, 영률이 크게 저하된다. 이는, 탄소당량이 공정 조성을 초과하여 과공정이 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탄소당량이 작은 경우에는, 흑연의 형성량이 감소되므로 영률이 개선되지만, 진동 감쇠능이 저하되므로, 3.3% 이상의 탄소당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탄소당량은 3.30 내지 3.90이 바람직하다.
단, C량과 Si량의 비(C량/Si량)는, 1.3 내지 1.9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이다. 이 이유는, C량/Si량이 1.3 미만 및 1.9를 초과하면 대수 감쇠율이 크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1)
우선, 고주파 용해로를 사용하여 주철의 조성을 조정하였다. 다음에, 흑연 도가니에 FC300으로 제작한 주철괴, 가탄재, 페로망간, 탄화규소를 넣어 용해하고, 그 후 페로실리콘과 가탄재로 탄소량, 실리콘량을 조정하여, 용해량을 약 20㎏으로 하였다. 단, 얻어지는 주조품의 Al량은 페로알루미늄, 주석량은 순주석을 첨가하여 조정하였다. 또한, 용해 온도는 약 1450℃로 하였다. 출탕 전에 Ca-Si-Ba계 접종제를 첨가한 후, φ30×300㎜의 푸란 자경성 주형에 주입하였다.
얻어진 주조품을 4×20×200㎜로 가공하여, 진동 감쇠능의 평가치로서 대수 감쇠율 및 동적 영률을 구하였다. 시험 방법은, JISG0602에 준거하였다. 즉, 시험편을 2개 현수하여 전자기 가진기로 1×10-4의 변형 진폭을 부여하고, 그 후 가진을 멈추고 자유 쇠퇴시켜, 대수 감쇠율과 동적 영률을 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주조품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단, 대수 감쇠율은, 진동의 변형 진폭이 1×10-4일 때의 값을 나타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로부터, 다음의 것이 명백해진다. Al과 Sn을 동시에 첨가한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는, Al을 단독 첨가한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에 비교하여, 영률 및 대수 감쇠율이 우수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Al의 첨가량, 탄소당량에 의해 특성은 크게 변화하므로, 이들이 대략 동일 조건의 실시예 2와 비교예 2, 실시예 3과 비교예 3, 실시예 4와 비교예 4, 실시예 5와 비교예 5를 비교하면, Al과 Sn을 동시에 첨가한 경우가 보다 좋은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은, Al과 Sn을 동시에 첨가한 주조품이다. 그러나, 탄소당량이 높기 때문에 대수 감쇠율은 높지만, 영률이 크게 저하되어, 공작 기계 등에 필요하게 되는 영률 즉 100㎬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강성의 필요한 구조 부재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실시예 1은, Sn의 첨가량이 적은 경우의 예로, 동등한 탄소당량 및 Al 첨가량을 갖는 실시예 3에 비교하면, 대수 감쇠율의 개선 효과가 작아진다. 또한, 표 1에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또한 Sn의 첨가량이 0.03%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Sn을 첨가하는 효과가 거의 없어진다.
비교예 6은 Al이 7%를 초과한 경우의 예로, Al의 첨가량이 많아지면 주조품이 경해지고, 가공성이 매우 나빠져 실용상은 사용할 수 없다. 비교예 7은, 탄소당량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의 예로 대수 감쇠율이 크게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은, 종래의 편상 흑연 주철의 예이다. 이들과 비교하면, 실시예 모두 영률이 동등하면, 이들의 편상 흑연 주철보다도 대수 감쇠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 있어서, 비교예 1에서는 C.E.가 낮으므로, E(영률)가 낮다. 실시예 1에서는, Sn이 적은 한계이다. 비교예 6에서는, Al이 많으면 주철이 경하다. 비교예 7에서는, C.E.가 지나치게 낮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Al과 Sn을 동시에 첨가한 편상 흑연 주철은, 종래의 편상 흑연 주철이나 Al만을 첨가한 편상 흑연 주철에 비해, 영률이 같은 경우에 대수 감쇠율이 보다 개선된 주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작 기계 등에 필요한 영률 즉 100㎬를 유지하면서, 종래의 주철보다도 높은 진동 감쇠능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내지 실시에 10 및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6)
우선, 고주파 용해로를 사용하여 주철의 조성을 조정하였다. 다음에, 흑연 도가니에 FC300으로 제작한 주철괴, 가탄재, 페로망간, 탄화규소를 넣어 용해하고, 그 후 페로실리콘과 가탄재로 탄소량, 실리콘량을 조정하고, 용해량을 약 250㎏으로 하였다. 단, 얻어지는 주조품의 Al량은 페로알루미늄, 주석량은 순주석을 첨가하여 조정하였다. 또한, 용해 온도는 약 1500℃로 하였다. 출탕 전에 Ca-Si-Ba계 접종제를 첨가한 후, φ30×300㎜의 푸란 자경성 주형에 주입하였다.
얻어진 주조품을 4×20×200㎜로 가공하여, 진동 감쇠능의 평가치로서 대수 감쇠율 및 동적 영률을 구하였다. 시험 방법은, JISG0602에 준거하였다. 즉, 시험편을 2개 현수하여 전자기 가진기로 1×10-4의 변형 진폭을 부여하고, 그 후 가진을 멈추고 자유 쇠퇴시켜, 대수 감쇠율과 동적 영률을 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주조품의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단, 대수 감쇠율은, 진동의 변형 진폭이 1×10-4일 때의 값을 나타냈다.
Figure pat00002
도 1은 Mn을 0.05 내지 0.65%의 소량으로 제어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대수 감쇠율(×10-4)과 영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Mn량을 낮게 억제한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12의 동적 영률-대수 감쇠율의 값을 선으로 연결하여 얻은 라인 a와, 마찬가지로 Mn량이 0.65% 이상의 많은 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6의 경우의 동적 영률-대수 감쇠율의 값을 선으로 연결하여 얻은 라인 b를 비교하면, 전자의 라인 a가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Mn량을 낮게 억제한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12의 경우에는, Mn이 많은 경우에 비교하여, 동일한 영률로 비교하면 대수 감쇠율이 30포인트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약 10%의 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Al, Sn, C, Si, Mn, P, S 등의 조성을 적절하게 바꾸어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조성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수학식 2에 나타내는 탄소당량이 3.30 내지 3.95%가 되는 C 및 Si와, Mn : 0.05 내지 0.65%와, P : 0.04% 이하와, S : 0.03% 이하와, Al : 3 내지 7%와, Sn : 0.03 내지 0.20%와, 잔량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수학식 2>
    탄소당량(%)=C량(%)+(1/3)×Si량(%)
  2. 제1항에 있어서, C량과 Si량의 비(C량/Si량)는 1.3 내지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KR1020117019647A 2007-02-14 2008-01-30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KR101331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33894 2007-02-14
JP2007033894 2007-02-14
JP2007326447A JP5268344B2 (ja) 2007-02-14 2007-12-18 高剛性高減衰能鋳鉄
JPJP-P-2007-326447 2007-12-18
PCT/JP2008/051410 WO2008099673A1 (ja) 2007-02-14 2008-01-30 高剛性高減衰能鋳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050A Division KR101151073B1 (ko) 2007-02-14 2008-01-30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681A true KR20110100681A (ko) 2011-09-14
KR101331322B1 KR101331322B1 (ko) 2013-11-20

Family

ID=3984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647A KR101331322B1 (ko) 2007-02-14 2008-01-30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41962B2 (ko)
JP (1) JP5268344B2 (ko)
KR (1) KR101331322B1 (ko)
DE (1) DE11200800039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8344B2 (ja) 2007-02-14 2013-08-21 東芝機械株式会社 高剛性高減衰能鋳鉄
JP5618466B2 (ja) * 2008-05-30 2014-11-05 東芝機械株式会社 高剛性高減衰能鋳鉄
JP5618500B2 (ja) * 2009-07-03 2014-11-05 東芝機械株式会社 高剛性高減衰能鋳鉄の機械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100990B3 (de) * 2012-02-07 2013-06-27 Ford-Werke Gmbh Gußeisenwerkstoff
DE112014002442B4 (de) 2013-05-14 2019-07-11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Gusseisen hoher Stärke und hoher Dämpfungsfähigkeit
JP6763377B2 (ja) 2015-06-02 2020-09-30 日立金属株式会社 黒心可鍛鋳鉄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2417A1 (de) * 1971-06-30 1973-01-11 Schwaebische Huettenwerke Gmbh Perlitisches gusseisen hoher zugfestigkei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ussformstuecken aus derartigem gusseisen
JPS51133123A (en) * 1975-05-15 1976-11-18 Nippon Gakki Seizo Kk Silent cast iron
GB1558621A (en) * 1975-07-05 1980-01-09 Zaidan Hojin Denki Jiki Zairyo High dumping capacity alloy
JPS5565349A (en) 1978-11-06 1980-05-16 Hiroshi Kimura Magnetic alloy
JPS609579B2 (ja) * 1979-05-16 1985-03-11 マツダ株式会社 防振片状黒鉛鋳鉄
US4548643A (en) * 1983-12-20 1985-10-22 Trw Inc. Corrosion resistant gray cast iron graphite flake alloys
JPS63140064A (ja) * 1986-12-03 1988-06-11 Nissan Motor Co Ltd ブレ−キ材料
JPH01283341A (ja) 1987-08-31 1989-11-14 Shimazu Kinzoku Seiko Kk ニッケル−銅系防振鋳鉄
JPH0978179A (ja) 1995-09-14 1997-03-25 Toshiba Corp 防振鋳鉄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0330A (ja) * 1999-11-08 2001-07-24 Aisin Takaoka Ltd 振動減衰能に優れた鋳鉄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54925A (ko) 1999-12-08 2001-07-02 이계안 자동차용 리테이너 베어링
JP3829177B2 (ja) * 2001-05-18 2006-10-04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アルミニウム含有制振鋳鉄
US6973954B2 (en) 2001-12-20 2005-12-13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ethod for manufacture of gray cast iron for crankcases and cylinder heads
EP1501951B2 (en) 2002-05-08 2013-08-28 Ak Steel Properties, Inc. Method of continuous casting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trip
JP5268344B2 (ja) 2007-02-14 2013-08-21 東芝機械株式会社 高剛性高減衰能鋳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97386A1 (en) 2009-12-03
US8641962B2 (en) 2014-02-04
DE112008000392B4 (de) 2014-02-13
JP2008223135A (ja) 2008-09-25
KR101331322B1 (ko) 2013-11-20
JP5268344B2 (ja) 2013-08-21
DE112008000392T5 (de)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322B1 (ko)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JP5618466B2 (ja) 高剛性高減衰能鋳鉄
JP2022550358A (ja) 合金構造用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92401A (ja) 耐摩耗性に優れた球状黒鉛鋳鉄品
US6908589B2 (en) High manganese cast iron containing spheroidal vanadium carbide and method for making therof
JP5618500B2 (ja) 高剛性高減衰能鋳鉄の機械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76115A (ja) オーステナイト鋳鉄
JP5712525B2 (ja) 耐摩耗性に優れた球状黒鉛鋳鉄品
JP5282546B2 (ja) 耐摩耗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球状黒鉛鋳鉄品
KR101151073B1 (ko) 고강성 고감쇠능 주철
CZ20032755A3 (cs) Nástrojová ocel, způsob výroby dílů z této oceli a díl z oceli získaný uvedeným způsobem
JPH10310845A (ja) 高強度低熱膨張合金
JP2018165380A (ja) 低熱膨張合金
JP4383988B2 (ja) 被削性並びに機械的性質の疲労強度、引張強さ、耐力及び伸びに優れた球状黒鉛鋳鉄
JP5952455B1 (ja) 高剛性球状黒鉛鋳鉄
JP4278060B2 (ja) 耐摩耗性に優れた球状バナジウム炭化物含有低熱膨張材料及びこの製造方法
JP3017785B2 (ja) 防振鋳鉄
JP4253101B2 (ja) 被削性に優れた高制振性鋳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055631A1 (en)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Excellent in Gas Defect Resistance
JP2006152356A (ja) 変寸抑制特性に優れた冷間ダイス鋼
JP2018145491A (ja) 低熱膨張合金
JPH07179984A (ja) 高強度低膨張鋳鉄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52200A (ja) 耐摩耗性に優れた球状黒鉛鋳鉄品
JPH11310845A (ja) 高ヤング率低膨張鋳鉄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621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816

Effective date: 201307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