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233A - 자동차의 작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작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233A
KR20110100233A KR1020117014801A KR20117014801A KR20110100233A KR 20110100233 A KR20110100233 A KR 20110100233A KR 1020117014801 A KR1020117014801 A KR 1020117014801A KR 20117014801 A KR20117014801 A KR 20117014801A KR 20110100233 A KR20110100233 A KR 2011010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rating system
display
display device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슈라이버
Original Assignee
디어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어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디어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1010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장치(30) 및 컨트롤 유닛(24)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동 부재는 해당 차량 관련 기능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작동에 따라 나타나는 차량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2)의 작동 및/또는 검출된 차량 상태에 의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2i)가 작동될 차량 관련 기능 및/또는 검출된 차량 상태에 할당된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2)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라, RFID-판독 유닛(34)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2i)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24)은 디스플레이 장치(22i)와 함께 작용하는 RFID-트랜스폰더(48i)에 대한 데이터 교환 접속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작동 시스템{Oper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장치 및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동 부재는 해당 차량 관련 기능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작동에 따라 나타나는 차량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의 작동 및/또는 결정된 차량 상태에 의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될 차량 관련 기능 및/또는 결정된 차량 상태에 할당된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식 작동 시스템은 예컨대 7030 프리미엄 시리즈의 John Deere 트랙터에서 "CommandCenter"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작동 시스템은 운전자 캐빈의 측면 콘솔에 장착된 다수의 작동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상이한 차량 관련 기능들의 수동 작동을 위해 제공된다. 또한, 측면 콘솔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방식 평판 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스크린은 작동 부재에 의해 실행되는 설정 또는 작동 조치 및 보완적인 작동 관련 정보들 또는 트랙터의 파라미터를 수치로 및/또는 문자 숫자 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트랙터에 고정적으로 루팅된 CAN-데이터 버스에 의해 작동 시스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CAN-데이터 버스의 고정된 루팅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위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위치와 관련해서 충분한 자율성이 제공되도록 전술한 방식의 작동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동 부재는 해당 차량 관련 기능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작동에 따라 나타나는 차량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컨트롤 유닛이 제공되고, 상기 컨트롤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의 작동 및/또는 결정된 차량 상태에 의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될 차량 관련 기능 및/또는 결정된 차량 상태에 할당된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 이 경우 RFID-판독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작용하는 RFID-트랜스폰더에 대한 데이터 교환 접속부를 형성한다.
RFID(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소위 RFID-트랜스폰더 또는 RFID-태그와 같은 데이터 캐리어와 RFID-판독 유닛 사이의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이다.
RFID-트랜스폰더는 전형적으로 코일 형태의 안테나,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호출을 위한 아날로그 고주파 회로 및 데이터 메모리와 아날로그 고주파 회로 사이의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특히 반복해서 기록될 수 있으므로(판독/기록 메모리), 상기 메모리의 메모리 컨텐츠도 이어서 변경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한 번만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메모리가 고려될 수 있다(Read Only Memory). RFID-트랜스폰더에 대한 데이터 접속부를 형서하기 위해, RFID-판독 유닛은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기장은 RFID-트랜스폰더의 안테나 코일에 의해 수신된다. 이로써 RFID-트랜스폰더에 포함된 데이터 메모리가 작동되므로, RFID-트랜스폰더의 안테나에 의해 암호화된 명령들이 RFID-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 입력- 및 출력될 수 있다. RFID-트랜스폰더는 별도의 자기장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RFID-판독 유닛의 자기장을 변조한다. RFID-판독 유닛의 자기장은 사용된 주파수와 출력에 따라 1 cm 내지 30 m의 범위를 갖는다.
무선 방식 데이터 접속으로 인해 RFID-트랜스폰더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동차의 거의 모든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동차 내에 고정적으로 루팅된 CAN-데이터버스와의 연결이 강요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차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는 것과 관련해서 충분한 자율성이 제공된다.
자동차는 농업용 유틸리티 차량에, 예컨대 트랙터, 수확기, 목초 절단기 또는 스프레이 기계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시스템의 용도는 특정 자동차 타입 및/또는 사용 목적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자동차 또는 자동차에 장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 또는 부속물의 작동 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작동될 기능 또는 주행 상태와 관련된다. 액세서리 또는 부속물은 예컨대 트랙터에 장착될 수 있는 전방 사다리, 소잉 기계, 베일링 프레스(baling press)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바람직하게 RFID-트랜스폰더에 할당된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다. 특히, 데이터 메모리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다수의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작동될 다양한 차량 관련 기능들 및/또는 작동에 따라 나타나는 자동차 상태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모든 디스플레이 컨텐츠에는 명백하게 RFID-판독 유닛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숫자 코드 형태의 식별 기능이 할당된다. 특정한 식별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디스플레이 컨텐츠가 데이터 메모리로부터 호출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컨트롤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의 작동 및/또는 결정된 자동차 상태에 할당된, 해당 숫자 코드 형태의 식별 기능을 결정한다. 상기 숫자 코드는 암호화된 명령 형태로서 RFID-판독 유닛에 의해 무선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자동차에 공간적으로 분포 방식으로 전달된다. 각각의 RFID-트랜스폰더는 판독된 숫자 코드가 디스플레이 컨텐츠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러한 경우라면, 해당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적절한 제어에 의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자기 활성화식 구성 프로세스의 실행도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스에서 컨트롤 유닛은 작동 시스템의 개시 후에 - 예컨대 자동차의 시동 시 -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RFID-판독 유닛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RFID-트랜스폰더의 데이터 메모리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작동 시스템의 작동- 또는 디스플레이 범위를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컨텐츠에 맞게 조정한다. 이것은 특히 모듈러 작동 컨셉에서 플러그-앤-플레이 기능의 의미에서 바람직하며, 이러한 기능에서 개별 작동 부재들 또는 전체 작동 부재들의 추가 또는 교체에 의한 기능 확장 또는 기능 변경이 이루어진다.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자동차와 관련된 여러 기능들의 작동을 위한 메뉴 방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작동 레벨을 갖는 계층적으로 편성된 메뉴 구조를 포함하고, 이 경우 각각의 작동 레벨에는 작동될 차량 관련 해당 기능들 및/또는 작동에 따라 나타나는 자동차 상태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한다. 이 경우, 특정 메뉴 레벨을 호출한 후에 거기에 포함되는 모든 메뉴 항목 또는 선택된 하나의 메뉴 항목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버튼 키, 로커 스위치, 슬라이딩 컨트롤러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일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는 자동차와 관련한 다수의 기능들의 작동을 위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조절- 또는 작동 자유도를 갖는 다기능 작동 부재의 사용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부재는 특히 메뉴 방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동을 위해 소위 턴 앤 부시 신호 발생기로서 형성될 수 있고, 작동 부재의 턴에 의해 계층적으로 편성된 메뉴 구조에서 조정이 가능하고, 푸시에 의해 특정 메뉴 항목의 선택이 가능하다. 대안으로서, 다기능 작동 부재는 조이스틱으로로 형성될 수 있고, 조이스틱은 차량 관련 추가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 키 또는 로커 스위치의 형태의 다른 작동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될 자동차 관련 기능을 운전 측에서 미리 결정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흔히 사용되는 차량 관련 기능들은 특정 작동 부재에 할당될 수 있고, 필요 시 직접 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간적으로 직접 관련하여,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소위 단축 키로서 배치될 수 있다.
RFID-트랜스폰더는 바람직하게 집적 CMOS-회로(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서 구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통합된다. 안테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영역에서 나선형으로 프린트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포일 같은, 바람직하게 플랙시블한 디스플레이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예컨대 DE 10 2005 031 448 A1호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은 상부 및 하부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고 플리머 매트릭스 내에 통합되고 0.1 ㎛ 내지 40 ㎛ 직경을 갖는 액정 버블을 포함하는 활성 광 레이어(layer)를 설명한다. 폴리머 매트릭스는 예컨대 5 ㎛ 내지 40 ㎛ 직경을 갖는 중합 단량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은 적절한 제어 전압이 인가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 내에서 정렬된다. 활성 광 층은 특히, 수치로 및/또는 문자 숫자식 디스플레이 컨텐트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RFID-트랜스폰더는 유기(폴리머) CMOS-회로로서 구조적으로 포일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의 폴리머 매트릭스 내에 구조적으로 통합된다.
포일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의 투명 또는 반투명 형성도 고려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예컨대 자동차의 윈드스크린에 설치될 수 있고, 운전자의 제 1 시야에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투과광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다.
포일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는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및/또는 트림 부재의 표면에 설치하기 위한 접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부재는 추후에도 문제없이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는 RFID-트랜스폰더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으므로, 별도의 전기 에너지원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적으로 패시브 및 액티브 RFID-트랜스폰더가 구분된다. 패시브 RFID-트랜스폰더는 별도의 전원을 포함하지 않고,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안테나 코일에서 형성된 유도 전류로부터 얻는다. 유도 전류의 형성은 RFDI-판독 유닛의 전기장에 의한 안테나 코일의 방사선에 의해 또는 별도의 전자 방사선 소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와 달리, 액티브 RFID-트랜스폰더는 별도의 전원으로부터, 예컨대 어큐물레이터, 배터리, 수퍼커패시터, 광전자 부재(태양 전지)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끌어온다.
이러한 경우에 RFID-트랜스폰더의 패시브 형성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RFID-트랜스폰더의 패시브 형성은 시간적으로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광 상태와 무관한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기능 흐름도.
도 1은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용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차량은 농업용 유틸리티 차량이고, 정확히는 액세서리 또는 부속물이 장착될 수 있는 트랙터이다.
작동 시스템(10)은 다기능 작동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차량과 관련한 다수의 해당 기능들을 차량측에서 작동하기 위한 다수의 조절- 또는 활성화 자유도를 갖는다. 트랙터의 작동- 또는 측면 콘솔에 장착할 수 있는 다기능 자동 부재(12)는 틸팅 가능한 조이스틱(14) 형태의 제 1 작동 부재 및 조이스틱(14)의 상부면에 배치된 누름 버튼 키(16i, i= a, b) 또는 조이스틱(14)의 그립핑 원주에 제공된 로커 스위치(18) 형태의 제 2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작동 부재들(14, 16i, 18)은 종래의 구조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다기능 작동 부재(12)는 이 경우에 트랙터에 장착될 수 있는 전방 사다리 형태의 액세서리 또는 부속물의 작동을 위해 제공된다. 조이스틱(14)이 틸팅됨으로써, 전방 사다리의 로커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고, 로커에 배치된 비료 그리퍼가 조절될 수 있다. 누름 버튼 키(16i) 또는 로커 스위치(18)는 차량 관련 추가 기능들, 예컨대 비료 그리퍼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작동 시스템(10)의 가능한 개선예에 따라, 누름 버튼 키(16i)에 의해 작동될 차량 관련 기능들은 소위 단축키의 실행을 위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주 사용되는 차량 관련 기능들은 필요 시 직접 호출될 수 있다.
또한, 누름 버튼 키(16i)에 공간적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필드(20)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필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22i)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포일 같은, 바람직하게 플랙시블한 디스플레이 부재들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부재(22i)는 활성화 가능한 광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광 레이어는 상부 및 하부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고 폴리머 매트릭스에 통합된 0.1 내지 40 ㎛의직경을 갖는 다수의 액정 버블을 포함한다. 폴리머 매트릭스는 5 내지 40 ㎛의 층 두께를 갖는 중합화된 단량체로 이루어진다. 액정은 전기장 내에 정렬되고, 상기 전기장은 적절한 제어 전압이 인가함으로써 상부 전극층과 하부 전극층 사이에 형성된다. 활성화될 수 있는 광 레이어는, 수치식 및/또는 문자 숫자식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영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포일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들(22)은 후면 접착면에 의해 조이스틱(14)의 약간 휘어진 상부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면에 접착된다.
다기능 작동 부재(12)는 트랙터의 모듈 방식의 작동 컨셉의 구성 요소이고, 따라서 기능 범위의 확장 또는 조정을 위해 개장될 수 있거나 또는 필요 시 다른 작동 부재와 교체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다기능 작동 부재(12)의 디스플레이는 매우 전형적인 특성을 갖는다.
도 2는 도 1과 관련해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기능 흐름도를 도시한다. 동일한 기능을 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품들은 그 기능과 관련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작동 시스템(10)의 중앙 구성 요소는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식 컨트롤 유닛(24)이다. 상기 컨트롤 유닛은 한편으로는 데이터 라인(26)을 통해 다기능 작동 부재(12)의 제 1 및 제 2 작동 부재들(14, 16)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데이터 라인(28)을 통해 작동에 따라 나타나는 차량 상태의 결정을 위한 검출 장치(30)에 연결된다. 예컨대 검출 장치(30)는 트랙터에 설치될 수 있는 전방 사다리의 허용되지 않은 로딩을 결정하는 힘 센서이다.
컨트롤 유닛(24)은 데이터 라인(32)을 통해 트랙터에 제공된 RFID-판독 유닛(34)에 연결된다. 이 경우 다기능 작동 부재(12)에 대한 컨트롤 유닛(24)의 접속은 다기능 작동 부재(12)의 기본 하우징(36)의 하측면에 배치된 플러그형 커넥터(38)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RFID-판독 유닛(34)은 다기능 작동 부재(12)의 기본 하우징(36) 내에 장착되고, 이 경우 상기 RFID-판독 유닛은 플러그형 커넥터(38)와 데이터 라인(32)을 통해 트랙터에 있는 컨트롤 유닛(24)과 통신한다. 데이터 라인(32)은 특히 트랙터에 고정 루팅된 CAN-데이터 버스일 수 있다.
RFID-판독 유닛(34)은 컨트롤 유닛(24)과 통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40) 및 안테나 코일(44)과 함께 작용하는 아날로그 고주파 스위치 회로(46)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처리 유닛(4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2i)와 함께 작용하는 RFID-트랜스폰더(48i)는 코일 형태의 안테나(50i), 아날로그 고주파 스위치 회로(52i), 및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2i)에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호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유닛(54i)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22i) 마다 각각 별도의 RFID-트랜스폰더(48i)가 배치되고, 이 경우 상기 RFID-트랜스폰더들은 별도의 데이터 라인(58i)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RFID-트랜스폰더(48i)와의 데이터 교환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해, RFID-판독 유닛(34)은 전자기장(60)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기장은 RFID-트랜스폰더(48i)의 안테나 코일에 의해 수신된다. 이로써 RFID-트랜스폰더(48i)에 포함된 데이터 메모리(56i)가 활성화되므로, 안테나(50i)에 의해 암호화된 명령들이 RFID-판독 유닛(34)에 의해 판독 입력- 및 출력될 수 있다.
RFID-트랜스폰더(48i)는 유기(폴리머) CMOS-스위치 회로로서, 포일 같은 디스플레이부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22i)의 폴리머 메트릭스 내에 구조적으로 통합된다. 안테나(50i)는 디스플레이 장치(22i)의 후면 영역에 나선형으로 프린트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2i)에 전기 에너지 공급은 RFID-트랜스폰더(48i)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전기 에너지 소스의 사용이 생략될 수 있다. RFID-트랜스폰더(48i)는 패시브 방식으로 형성되고, 즉 상기 트랜스폰더는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안테나 코일(50i)에 형성된 유도 전류로부터 얻는다. 유도 전류의 형성은 RFID-판독 유닛(34)의 전자기장(60)에 의해 안테나 코일(50i)이 방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형성된 유도 전류는 RFID-트랜스폰더(48i) 및 거기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22i)의 작동을 위한 정류기 유닛(62i)에서 처리된다.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컨텐츠에 확실하게 RFID-판독 유닛(34)에 의해 선택 가능한, 숫자 코드 형태의 식별 기능이 할당된다. 특정한 식별 기능이 할당됨으로써 해당 디스플레이 컨텐츠가 데이터 메모리(56i)로부터 호출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22i)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64i)에 전달된다.
다시 말해서, 컨트롤 유닛(24)은 다기능 작동 부재(12)의 활성화 및/또는 힘 센서(30)에 의해 결정된 차량 상태에 할당된, 해당 숫자 코드 형태의 식별 기능을 결정한다. 상기 식별 기능은 RFID-판독 유닛(34)에 의해 암호화된 코드로서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2i)에 할당된 RFID-트랜스폰더(48i)에 전달된다. RFID-트랜스폰더(48i)는 판독 입력된 숫자 코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가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러한 경우라면, 해당 디스플레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64i)의 적절한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2i)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전방 사다리, 특히 소잉 기계, 베일링 프레스의 실제 작동 위치와 관련한 픽토그램- 및/또는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힘 센서(30)에 의해 검출된, 전방 사다리의 허용되지 않은 로딩에 대해서는 해당 경고 텍스트 또는- 픽토그램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알려진다.
또한 작동 시스템(10)은, 작동 시스템의 작동 시작 후에 - 예컨대 트랙터의 시동 시 - 컨트롤 유닛(24)이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RFID-판독 유닛(34)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RFID-트랜스폰더(48i)의 데이터 메모리(56i)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컨텐츠에 따라 작동 시스템(10)의 작동- 또는 디스플레이 범위를 조정하는 자동 구성 과정의 실행을 제공한다. 이것은 특히 모듈 방식의 작동 컨셉에서 소위 플러그-앤-플레이의 구현과 관련해서 바람직하고, 이러한 컨셉에서 - 이 실시예의 경우처럼 - 작동 부재의 추가 또는 교체에 의해 기능 확장 또는 기능 변화가 이루어진다.
작동 시스템(10)의 가능한 계선예는,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컨텐츠가 차량과 관련한 다수의 기능들의 작동을 위한, 메뉴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인 것이 제안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작동 레벨을 갖는 계층적으로 편성된 메뉴 구조를 포함하고, 이 경우 각각의 작동 레벨은 차량과 관련한, 작동될 해당 기능들에 상응하는 및/또는 작동으로 이해 나타나는 차량 상태에 상응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한다. 이 경우, 특정 메뉴 레벨을 호출한 후에 상기 메뉴 레벨에 포함된 메뉴 항목들 전체 또는 선택된 소수의 메뉴 항목들만 디스플레이 장치(22i)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12 작동 부재
22i 디스플레이 장치
24 컨트롤 유닛
34 RFID-판독 유닛
48i RFID-트랜스폰더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장치(30) 및 컨트롤 유닛(24)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으로서, 상기 작동 부재는 해당 차량 관련 기능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검출 장치는 작동에 따라 나타나는 차량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2)의 작동 및/또는 검출된 차량 상태에 의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2i)에 의해 작동될 차량 관련 기능 및/또는 검출된 차량 상태에 할당된 디스플레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2i)를 제어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24)은 RFID-판독 유닛(34)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i)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i)와 함께 작용하는 RFID-트랜스폰더(48i)에 대한 데이터 교환 접속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i)에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상기 RFID-트랜스폰더(48i)에 할당된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과 관련한, 작동될 상이한 기능들 및/또는 작동에 의해 나타나는 차량 상태들에 상응하게 차량디스플레이 장치(22i)에 디스플레이될 다수의 디스플레이 컨텐츠가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24)은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컨텐츠에 따라 상기 작동 시스템(10)의 작동- 및/또는 디스플레이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자동 구성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56i)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차량과 관련한 다수의 기능들을 작동하기 위한 메뉴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2)는 차량과 관련한 다수의 기능들의 작동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2)에 의해 차량과 관련하여 작동될 기능이 운전차측에 미리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트랜스폰더(48i)는 구조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i)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i)는 포일 같은, 바람직하게는 플랙시블한 디스플레이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22i)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22i)는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및/또는 트림 부재의 표면에 설치하기 위한 접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i)는 상기 RFID-트랜스폰더(48i)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고, 상기 RFID-트랜스폰더(48i)는 특히 패시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작동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 시스템(10)을 구비한 자동차, 특히 농업용 유틸리티 차량.
KR1020117014801A 2008-11-28 2009-11-20 자동차의 작동 시스템 KR20110100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4174A DE102008044174A1 (de) 2008-11-28 2008-11-28 Bedi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44174.0 2008-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233A true KR20110100233A (ko) 2011-09-09

Family

ID=4213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801A KR20110100233A (ko) 2008-11-28 2009-11-20 자동차의 작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20253594A1 (ko)
EP (1) EP2369907B1 (ko)
JP (1) JP5595411B2 (ko)
KR (1) KR20110100233A (ko)
CN (1) CN102227161B (ko)
DE (1) DE102008044174A1 (ko)
DK (1) DK2369907T3 (ko)
ES (1) ES2413380T3 (ko)
PL (1) PL2369907T3 (ko)
WO (1) WO20100608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308B1 (ko) * 2009-12-23 2011-09-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Rfid 장치
FI127537B (en) * 2012-04-11 2018-08-31 Marisense Oy Electronic label and electronic label system
DE102013204727A1 (de) * 2013-03-18 2014-09-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Fahrzeugkonfigurationen
JP6317202B2 (ja) 2014-07-08 2018-04-25 株式会社クボタ 多機能操作具及びアームレスト操作装置
US10028498B2 (en) 2015-04-29 2018-07-24 Cnh Industrial America Llc Machine controller allowing concurrent functions
US9928696B2 (en) 2015-12-30 2018-03-27 Immersion Corporation Externally-activated haptic devices and systems
DE102016204467A1 (de) * 2016-03-17 2017-09-21 Deere & Company Einrichtung zur Anbaugerätelokalisierung an einem landwirtschaftlichen Trak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6067B2 (ja) * 2002-03-25 2007-07-18 Tcm株式会社 産業車両のメータ表示装置
JP2004241143A (ja) * 2003-02-03 2004-08-26 Nissan Motor Co Ltd 情報操作装置
JP4472272B2 (ja) * 2003-05-30 2010-06-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システム
JP4355542B2 (ja) * 2003-09-08 2009-11-0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における制御装置
JP2005254955A (ja) * 2004-03-11 2005-09-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スイッチ装置
DE102004050383A1 (de) * 2004-10-15 2006-04-27 Siemens Ag Übertragung von Daten in und aus Automatisierungskomponenten
JP4860305B2 (ja) * 2005-03-17 2012-01-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AT502700B1 (de) * 2005-05-11 2007-12-15 Hans G Unseld Verfahren und umladesystem zum um- bzw. verladen von mindestens einer ladeeinheit
CN1887623A (zh) * 2005-06-30 2007-01-03 上海市延安中学 一种机动车智能防撞刹车系统
DE102005031448A1 (de) 2005-07-04 2007-01-11 Polyic Gmbh & Co. Kg Aktivierbare optische Schicht
DE112006004052A5 (de) * 2006-07-28 2009-07-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zeigegerät
US20090167515A1 (en) * 2007-12-28 2009-07-02 Paccar Inc Automated telltale identification
DE102008030085A1 (de) * 2008-06-25 2009-12-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es programmierbares Steuer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27161A (zh) 2011-10-26
DE102008044174A1 (de) 2010-06-02
EP2369907B1 (de) 2013-03-13
EP2369907A2 (de) 2011-10-05
WO2010060870A3 (de) 2011-01-27
WO2010060870A2 (de) 2010-06-03
US20120253594A1 (en) 2012-10-04
DK2369907T3 (da) 2013-06-17
CN102227161B (zh) 2015-07-08
JP5595411B2 (ja) 2014-09-24
PL2369907T3 (pl) 2013-08-30
JP2012510394A (ja) 2012-05-10
ES2413380T3 (es)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0233A (ko) 자동차의 작동 시스템
US11216175B2 (en) User interface with proximity detection for object tracking
US8155837B2 (en) Operating device on vehicle's steering wheel
US11203372B2 (en) Steering wheel assembly
CN107735761B (zh) 用于工业车辆的具有图形用户界面的处理设备
US20190071112A1 (en)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US20170050616A1 (en) Vehicular keyless entry system
ES2897992T3 (es) Dispositivo de mando para un componente de vehículo
JP2598442B2 (ja) 可変の機能指示を有する車両機能コントローラ
EP2470866B1 (en) Gesture-based information and command entry for motor vehicle
US11216174B2 (en) User interface with proximity detection for object tracking
US10162407B2 (en) Arm band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rm band sensor
KR20080038313A (ko) 자동차 잠금 장치의 키리스 구동을 위한 시스템
US20140172186A1 (en) Capacitive steering wheel switches with audible feedback
CN111372806A (zh) 用于车辆的控制面板
EP2055522B1 (en) Automotive human-machine interface
CN116507996A (zh) 基于力触摸显示器锁定触摸位置相关输入区的系统及方法
EP3799609A1 (en) Power window sync switch
EP2338720B1 (en) Management system of on-board vehicle instruments, especially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s
KR102441515B1 (ko) 차량용 입력장치
WO2010128933A1 (en) Device for operating a suspension level system in a vehicle
CN112673144B (zh) 电动窗同步开关
EP1821178B1 (en) Vehicle user interface for entering data into an on-board vehicle system using said interface
EP3670235B1 (en) Vehicle comprising a compartment, an operating devic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