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474A -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474A
KR20110099474A KR1020100018525A KR20100018525A KR20110099474A KR 20110099474 A KR20110099474 A KR 20110099474A KR 1020100018525 A KR1020100018525 A KR 1020100018525A KR 20100018525 A KR20100018525 A KR 20100018525A KR 20110099474 A KR20110099474 A KR 2011009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vehicle
support
module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957B1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9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0Elastome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및 보행자 간의 충돌 시 보행자에게 충격을 완화시키며, 차량의 전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은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좌우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상에 장착되는 냉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부는 좌측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좌수평 지지부 및 우측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우수평 지지부을 포함하며, 상기 좌수평 지지부의 우측 끝단 및 상기 우수평 지지부의 좌측 끝단은 서로 힌지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to absorb shock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및 보행자 간의 충돌 시 보행자에게 충격을 완화시키는 프런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은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는 범퍼, 헤드 램프, 후드 래치(Hood latch) 및 냉각 모듈 등의 부품을 캐리어에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차량의 조립 공정에서 하나의 공정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하는 모듈을 이루는 구성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 응축기, 팬 등의 냉각 모듈은 자동차 엔진룸의 전면부에 장착되는데, 엔진룸에 상기 냉각 장치들을 장착하기에 공간이 협소하여, 최근에는 냉각 장치들을 모듈화하여 차체에 장착하는 프런트 엔드 모듈(FEM; Front End Module)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 중에 보행자 또는 이에 상응하는 동물과 충돌하는 경우에, 충돌시의 충격에 의하여 보행자 또는 동물은 큰 부상을 입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최근에 차량 및 보행자 간의 충돌 시에 보행자의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된 전개식 안전 장치(deployable safety device)의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안정 장치는 예를 들어, 보행자의 머리 부상을 줄이기 위해 에어백을 전개하거나 차량 보닛을 상승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다만, 프런트 엔드 모듈은 차량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이상 프런트 엔드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및 결합 구조는 과도하게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프런트 엔드 모듈의 과도한 구조 변경이나 구성요소의 변화 없이 차량 및 보행자 간의 충돌 시에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 및 차량에 가해지는 파손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 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프런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함께, 프런트 엔드 모듈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프런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의 일 양태(Aspect)는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좌우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상에 장착되는 냉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부는 좌측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좌수평 지지부 및 우측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우수평 지지부을 포함하며, 상기 좌수평 지지부의 우측 끝단 및 상기 우수평 지지부의 좌측 끝단은 서로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보행자 및 차량의 충돌 시의 정지 장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에서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캐리어에서 제1 수평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런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런트 엔드 모듈(FEM; 90)은 캐리어(50), 냉각 모듈(10), 범퍼(20) 및 헤드 램프(7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50)는 차량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며, 후술할 냉각 모듈(10) 및 헤드 램프(70) 등을 수용하거나 설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캐리어(50)는 상하측에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들 및 상기 수평 지지부들의 좌/우측을 연결하는 수직 지지부들에 의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 모듈(10)은 캐리어(500)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 형상의 중공부(55)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엔진룸으로 제공할 수 있다. 냉각 모듈(10)은 라디에이터(11), 응축기(12) 및 팬(13)을 포함할 수 있다.
범퍼(20)는 차량의 충돌에 대비하여 일차적으로 차량의 변형을 줄이는 완충 역할을 한다.
헤드 램프(70)는 헤드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여 단일 모듈로 형성되는 램프 어셈블리를 말한다. 헤드 램프(70)에는 일반적인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또는 시그널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램프(70)는 캐리어(50)의 양 끝단 부분(75)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보행자 및 차량의 충돌 시의 정지 장면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보행자 및 차량의 구성이 접촉할 수 있다.
먼저, 차량의 범퍼(20) 및 보행자(15)의 하부, 예를 들어 다리 하부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보행자(15)는 무게 중심이 무너지면서, 보행자(15)의 몸체가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15)의 몸체가 프런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50) 상부 또는 보닛(25)에 부딪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는 일차적으로 다리 하부에 손상을 당하고, 이차적으로는 다리의 상부 부분인 허벅지, 엉덩이, 허리 또는 머리가 캐리어 상부 또는 보닛에 부딪혀 이차적인 상해를 당할 수 있다.
한편, 다리 하부의 손상 보다 다리 상부 부분에서의 상해는 보행자의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차적으로 손상이 가해지는 다리의 상부 부분에 대한 충격 완충 장치가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190)은 캐리어(150), 냉각 모듈(110), 범퍼(120) 및 헤드 램프(17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150)는 차량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범퍼(120), 냉각 모듈(110) 및 헤드 램프(17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캐리어(15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250, 240)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250, 240)의 좌우측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280, 28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250, 240)와,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280, 285)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155)에는 후술할 냉각 모듈(110)이 장착되고, 좌/우 양측에서는 후술할 헤드 램프(170) 및 범퍼(120)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평 지지부(250)는 캐리어(150)의 상단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말하며, 제2 수평 지지부(240)는 캐리어(150)의 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수평 지지부(250)가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외력에 의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캐리어(150)는 스틸, 합금(alloy) 또는 합성 수지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고, 또한 합성 수지, 금속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냉각 모듈(110)은 캐리어(150)의 중공(155)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외기를 받아 들여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 모듈(110)은 라디에이터(111), 응축기(112) 및 팬(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111), 응축기(112) 및 팬(113)을 하나의 모듈로 조립되어, 캐리어(150)의 중공(155)에 장착되는 장착될 수 있다.
범퍼(120)는 차량의 충돌에 대비하여 일차적으로 차량의 변형을 줄이는 완충 역할을 한다. 범퍼(120)는 차량의 차체의 프레임에 연결된 범퍼 빔(beam: 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헤드 램프(170)는 캐리어(150)의 양 끝단 부분(175)에 장착되며, 차량의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방에 카메라 또는 레이저 등의 소정의 영상획득 및 거리감지에 의하여 차량 전방의 장애물이나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 검출 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보행자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충돌 위험을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충돌위험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돌위험 감지부는 보행자 검출 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전달 받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곧바로 사용자 알람이나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차량에 능동적인 제어를 할 수 있는 신호를 전달하여, 능동적으로 충돌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에서 캐리어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에서 캐리어(150)는 제1 수평 지지부(250), 제2 수평 지지부(240), 제1 수직 지지부(280), 제2 수직 지지부(285), 제1 사이드부(230), 제2 사이드부(235) 및 사이드 멤버(220, 2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평 지지부(250), 제1 사이드부(230) 및 제2 사이드부(235)는 캐리어(150)의 상단 프레임을 구성하며, 제2 수평 지지부(240)는 캐리어(150)의 하단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수직 지지부(280) 및 제2 수직 지지부(285)는 수평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 수평 지지부(250) 및 제2 수평 지지부(240)를 좌측 및 우측에서 지지하여, 제1 수평 지지부(250) 및 제2 수평 지지부(240)와 함께 캐리어(150)의 전체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230) 및 제2 사이드부(235)는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되어, 헤드 램프(17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드 멤버(220, 225)는 캐리어(150)의 전체 프레임이 차량에 장착되도록 제1 수직 지지부(280) 및 제2 수직 지지부(285)와 각각 좌우측에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는 볼팅 결합, 리벳 결합, 용접 결합 등의 일반적인 결합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수평 지지부(250)는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좌수평 지지부(260)는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좌측을 구성하며, 우수평 지지부(270)는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우측을 구성한다.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는 각각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중심부에서 힌지 결합된다. 여기에서, 힌지 결합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중심점을 두고 결합됨을 의미한다.
좌수평 지지부(260)의 좌측 끝단은 제1 수직 지지부(280), 사이드 멤버(220) 및/또는 제1 사이드부(230)와 결합되며, 힌지 결합에 의하여 좌수평 지지부(260)의 좌측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우수평 지지부(270)의 우측 끝단은 제2 수직 지지부(285), 사이드 멤버(225) 및/또는 제2 사이드부(235)와 결합되며, 힌지 결합에 의하여 우수평 지지부(270)의 우측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의 제1 수평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5b는 도 5a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1 수평 지지부(250)는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로 구성된다.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는 각각 측면 끝단(267, 277)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측면 끝단(266, 277)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는 소정의 멤브레인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멤브레인 구조는 상판(102) 및 하판(103) 사이의 소정의 격벽(104)이나 리브 구조에 의하여 소정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를 말한다.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은 각각 멤브레인 구조로 이루어져 외력에 대응하는 인장 강도 또는 압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 시에 급격히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멤브레인 구조는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될 수 있기에, 보행자와의 충돌에 의하여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좌수평 지지부(260)의 우측 끝단(265)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좌측 끝단(275)이 서로 힌지 결합되거나, 탄성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5a에서와 같이 힌지 결합 및 탄성 결합의 조합으로 좌수평 지지부(260)의 우측 끝단(265)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좌측 끝단(275)이 결합될 수 있다.
좌수평 지지부(260)의 우측 끝단(265)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좌측 끝단(275)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경우에는,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가 결합된 끝단부(다시 말하면,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중심부)에서는 보행자와의 충돌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는 각각 좌측 끝단(267) 및 우측 끝단(277)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좌수평 지지부(260)의 우측 끝단(265)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좌측 끝단(277)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좌수평 지지부(260)의 우측 끝단(265)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좌측 끝단(275)이 서로 탄성 결합되는 경우에도,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가 결합된 끝단부(다시 말하면,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중심부)에서는 보행자와의 충돌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결합은 좌수평 지지부(260)의 우측 끝단(265)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좌측 끝단(275)에 각각 코일 스프링 결합용 고리를 형성하고, 그 고리에 코일 스프링(291)을 결합함으로써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외력이 없는 평상시에는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가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하며, 보행자와의 충돌 시에는 탄성력에 의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좌수평 지지부(260)의 좌측 끝단(267)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우측 끝단(277)에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수평 지지부(260)의 좌측 끝단(267)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우측 끝단(277)에 각각 수직 상태의 코일 스프링(292, 293)을 장착함으로써, 보행자와의 갑작스런 충돌시 좌수평 지지부(260) 또는 우수평 지지부(270)의 코일 스프링(292, 293)이 압축되는 동시에 좌수평 지지부(260) 또는 우수평 지지부(27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수평 지지부(2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수평 지지부(250)의 구성을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갑작스런 보행자와의 충돌 시에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좌수평 지지부(260)의 우측 끝단(265)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좌측 끝단(275)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좌수평 지지부(260)의 좌측 끝단(267)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우측 끝단(277)에도 탄성체를 장착하여, 보행자와의 부딪힘에 대한 전체적인 충격도 함께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이동에 연동하여 냉각 모듈(110)이 차량의 후방이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평 지지부(250) 및 냉각 모듈(110)이 서로 결합되어, 제1 수평 지지부(250)가 보행자와의 충돌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급격히 이동하는 경우에, 이에 연동하여 냉각 모듈(110)도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수평 지지부(250) 및 냉각 모듈(110)은 유연하게 결합되며,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이동에 의하여 냉각 모듈(110)이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제1 수평 지지부(250) 및 냉각 모듈(110)을 결합시키는 예로서는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뒤면에 고리 형상의 후크(Hook)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냉각 모듈(110)의 상단에 후크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제1 수평 지지부(250) 및 냉각 모듈(1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모듈()이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1 수평 지지부(250) 및 냉각 모듈(110)을 결합시키는 다른 예로서, 캐리어(150)의 제1 수평 지지부(260) 및 제2 수평 지지부(270) 상에 탄성체에 의하여 냉각 모듈(110) 및 제1 수평 지지부(25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및 보행자의 충돌 사고 시에, 보행자에 의하여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가 이동하는 경우에, 탄성력에 의하여 냉각 모듈(110)도 함께 연동하여 이동시키거나, 탄성력에 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이동에 연동하여 냉각 모듈(110)을 차량의 후방이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른 예로서, 냉각 모듈(110)을 이동시키는 소정의 액츄에이터(미도시)를 캐리어(150) 또는 차체에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및 보행자 간의 충돌을 감지한 경우에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켜 냉각 모듈(110)의 위치를 차량의 뒤쪽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수평 지지부(250)의 좌수평 지지부(260) 및 우수평 지지부(270)의 이동할 위치에 냉각 모듈(110)을 미리 이동시켜, 보행자와의 충돌에 의한 차량 및 보행자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냉각 모듈(110)을 캐리어(150)의 제1 수평 지지부(250)와 연동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보행자와의 충돌에 의한 차량 및 보행자의 충격을 상대적으로 효과 있게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냉각 모듈 111: 라디에이터
112: 응축기 113: 팬
120: 범퍼
250: 제1 수평 지지부 240: 제2 수평 지지부
270: 제1 수직 지지부 285: 제2 수직 지지부
260: 좌수평 지지부 270: 우수평 지지부
291, 292, 293: 코일 스프링

Claims (9)

  1.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좌우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상에 장착되는 냉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부는 좌측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좌수평 지지부 및 우측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우수평 지지부을 포함하며,
    상기 좌수평 지지부의 우측 끝단 및 상기 우수평 지지부의 좌측 끝단은 서로 힌지 결합되는,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지지부는
    상기 좌수평 지지부의 우측 끝단 및 상기 우수평 지지부의 좌측 끝단을 상기 힌지 결합과 동시에, 상기 좌수평 지지부와 상기 우수평 지지부를 제1 탄성체로 연결하는,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좌수평 지지부의 우측 끝단 및 상기 우수평 지지부의 좌측 끝단에 각각 형성된 고리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인,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수평 지지부의 좌측 끝단은 상기 제1 수직 지지부와 힌지 결합되면서, 제2 탄성체로 탄성 결합되며,
    상기 우수평 지지부의 우측 끝단은 상기 제2 수직 지지부와 힌지 결합되면서, 제3 탄성체로 탄성 결합되며,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 및 상기 제3 탄성체는 각각 상기 제1 수직 지지부 및 상기 제2 수직 지지부의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인,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수평 지지부 및 상기 우수평 지지부는 멤브레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제1 수평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수평 지지부 및 상기 우수평 지지부에 각각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 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각 후크를 결합시켜, 상기 냉각 모듈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부를 결합시키는,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수평 지지부 및 상기 우수평 지지부는 각각 냉각 모듈의 상단과 탄성체에 의하여 결합되는,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KR1020100018525A 2010-03-02 2010-03-02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KR101066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25A KR101066957B1 (ko) 2010-03-02 2010-03-02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25A KR101066957B1 (ko) 2010-03-02 2010-03-02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474A true KR20110099474A (ko) 2011-09-08
KR101066957B1 KR101066957B1 (ko) 2011-09-22

Family

ID=4495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525A KR101066957B1 (ko) 2010-03-02 2010-03-02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9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165B1 (ko) * 2002-11-28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330236B1 (ko) * 2006-08-24 2013-1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373546B1 (ko) * 2007-01-12 2014-03-1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0837980B1 (ko) 2007-08-23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프론트 앤드 모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957B1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4550B (zh) 用于机动车辆前端的对行人有益的结构
US11230222B2 (en) Device for suspension of a lamp in a vehicle
KR101402021B1 (ko) 차량용 범퍼유닛
JP2013220783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US20120261205A1 (en) Motor vehicle front end
CN111465531A (zh) 一种用于在车辆中悬挂灯的装置
CN111204375A (zh) 车辆前部构造
KR101066957B1 (ko)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
KR101224576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CN114074715A (zh) 车身的前结构
KR20040064045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착구조
JP4539320B2 (ja) 車両用牽引フックの取付構造
JP4905678B2 (ja) 車両前部の車体構造
KR20130126355A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JP2013220774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5966540B2 (ja) 車両用熱交換器
KR20130033765A (ko) 헤드램프 마운팅구조
KR20100138583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1527897B1 (ko) 쿨링 모듈의 파손 방지를 위한 프론트 엔드 모듈
JP5426457B2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CN213971234U (zh) 用于果害识别机器人的快装式机架
KR101545680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1047881B1 (ko) 보행자 보호용 회동 구조형 프론트 엔드 모듈
JP2015009583A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16084036A (ja) 車両の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