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136A -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 - Google Patents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136A
KR20110099136A KR1020117016983A KR20117016983A KR20110099136A KR 20110099136 A KR20110099136 A KR 20110099136A KR 1020117016983 A KR1020117016983 A KR 1020117016983A KR 20117016983 A KR20117016983 A KR 20117016983A KR 20110099136 A KR20110099136 A KR 2011009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uttlecock
artificial feather
layer
foa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416B1 (ko
Inventor
사토시 요시다
마사오 오가와
유타카 토노무라
Original Assignee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63B67/19Shuttlecocks with several feathers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물새의 깃을 이용한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성능 및 내구성을 구비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을 얻을 수 있다. 셔틀콕용 인공 깃(3)은, 깃부(5)와, 깃부(5)에 접속된 축(고착축부(10))을 구비한다. 깃부(5)는, 발포체층(92)과, 고착축부(10)를 끼어서 발포체층(92)과 접합된 축고정층(91)을 포함한다.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은 평면 형상이 같다. 이와 같이 하면, 깃부(5)로서 발포체층(92)을 이용함으로써, 깃부(5)의 질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강성을 향상시킴(타격에 의한 변형을 억제함)에 의해, 셔틀콕용 인공 깃(3)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ARTIFICIAL FEATHER FOR SHUTTLECOCK AND BADMINTON SHUTTLECOCK}
본 발명은,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드민턴용 셔틀콕으로서, 그 깃에 물새의 깃을 이용한 것(천연 셔틀콕)과, 나일론 수지 등에 의해 인공적으로 제조된 깃을 이용한 것(인공 셔틀콕)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천연 셔틀콕은, 그와 같은 천연의 깃에 관해 일정한 품질의 것을 입수하는데 수고가 걸리기 때문에, 인공의 깃을 이용한 셔틀콕보다 고가이다. 그 때문에, 염가로 안정된 품질의 인공의 깃을 이용한 셔틀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개소59-69086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 특개소53-40335호 공보), 특허 문헌 3(일본 실공소38-1627호 공보) 참조).
특허 문헌 1에서는, 섬유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세봉(細棒)을 겹쳐서 깃축(羽軸)으로 하고, 해당 세봉의 사이에 섬유분산 수지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깃부(羽部)를 끼어서 고정한 셔틀콕용 인공 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깃부를 축의 두 갈래가 된 단부에 끼어서 접착 고정한 셔틀콕용 인공 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으로는, 2장의 통형상으로 성형된 화학 섬유포에 의해, 고리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깃축을 외주측과 내주측으로 끼어서 접착 고정한 셔틀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59-6908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소53-4033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실공소38-1627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셔틀콕용 인공 깃을 이용한 인공 셔틀콕에서는,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실제로 사용하면 깃부와 깃축과의 접속부가 박리하거나, 당해 접속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절손되거나 하기 때문에, 내구성의 면에서 물새의 깃을 이용한 천연 셔틀콕보다 뒤떨어지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셔틀콕에서는, 복수의 깃축에 대응하는 깃부가 전부 이어진 일체의 부재(화학 섬유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천연 셔틀콕과는 그 형상 및 비상(飛翔) 특성이 크게 달랐다.
한편, 물새의 깃을 이용한 천연 셔틀콕은, 그 물새 깃의 입수가 점점 곤란하게 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앙등하고 있어서, 비상 성능이나 내구성이 물새의 깃을 이용한 천연 셔틀콕과 동등한 인공의 깃을 이용한 인공 셔틀콕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새의 깃을 이용한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성능 및 내구성을 구비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 깃은, 깃부와, 깃부에 접속된 축을 구비한다. 깃부는, 발포체층과, 축을 끼어서 발포체층과 접합된 축고정층을 포함한다. 발포체층과 축고정층은 평면 형상이 같다.
이와 같이 하면, 깃부로서 발포체층을 이용함으로써, 깃부의 질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강성을 향상(타격에 의한 변형을 억제함)시킴으로서, 셔틀콕용 인공 깃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셔틀콕용 인공 깃을 이용한 배드민턴용 셔틀콕의 비상 특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에 우수한 셔틀콕용 인공 깃 및 셔틀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을 발포체층과 적층함으로써, 깃부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발포체층의 파손(가늘게 찢어짐,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과 발포체층으로 축을 끼어서 고정함으로써, 축과 깃부와의 확실한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와, 당해 베이스 본체에 접속된, 복수의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하면, 인공 깃에 의해 염가의 셔틀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특성에 관해서는, 종래의 천연깃을 이용한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체층과 축고정층을, 축을 끼어서 접합함으로써 깃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깃부의 질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깃부의 강성을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내구성에 우수함과 함께 비상 특성이 양호한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당해 셔틀콕을 구성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1을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셔틀콕의 윗면 모식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을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 깃의 실시 형태 1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4는 도 3의 선분 Ⅳ-Ⅳ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5는 도 3의 선분 V-V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의 중사가 배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에서의 베이스 본체와 인공 깃과의 접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모식도.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1을 구성하는 인공 깃의 제 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선분 XI-XI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1을 구성하는 인공 깃의 제 2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2를 구성하는 인공 깃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3을 구성하는 인공 깃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4를 구성하는 인공 깃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16은 도 15의 선분 XⅥ-XⅥ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4를 구성하는 인공 깃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8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4를 구성하는 인공 깃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19는 도 18의 선분 XⅨ-XⅨ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2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4를 구성하는 인공 깃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5를 구성하는 인공 깃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5를 구성하는 인공 깃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6을 구성하는 인공 깃의 구성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1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베이스 본체(2)에서 후술하는 볼록부가 형성된 고정용 표면부에 접속된 복수의 셔틀콕용의 인공 깃(3)과, 복수의 인공 깃(3)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끈형상 부재와, 복수의 인공 깃(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중사(中絲)(15)로 이루어진다. 복수(예를 들면 16장)의 인공 깃(3)은, 베이스 본체(2)의 고정용 표면부에서, 볼록부의 외주부에 원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3)은, 끈형상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인공 깃(3)은, 베이스 본체(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서로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복수의 인공 깃(3)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체의 내경이 베이스 본체(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사(15)는, 복수의 인공 깃(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작용하고 있다. 즉, 중사(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공 깃(3)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 깃의 실시 형태 1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을 구성하는 인공 깃(3)은, 깃부(5)와, 당해 깃부(5)에 접속된 축(7)으로 이루어진다. 축(7)은, 깃부(5)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된 깃축부(羽軸部)(8)와, 깃부(5)의 거의 중앙부에서 깃부(5)에 접속된 고착축부(10)로 이루어진다. 깃축부(8)와 고착축부(10)는 동일 선상에 늘어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연속한 축(7)을 구성하고 있다. 깃부(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착축부(10)를 끼우도록 배치된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 및 이들의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93, 94)으로 이루어진다. 즉, 깃부(5)에서는,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이 고착축부(10)를 끼우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깃부(5)에서는,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을 서로 접속함과 함께 고착축부(10)와 이들의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을 접속 고정하기 위해, 접착층(93, 9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말하면, 깃부(5)에서는, 셔틀콕(1)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외주측에 위치한 발포체층(92) 위에 접착층(93)이 적층되어 있다. 이 접착층(93) 위에는, 당해 접착층(93) 및 발포체층(92)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고착축부(1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착축부(10) 위부터 접착층(93) 위까지 연재되도록, 또한 한 쪽의 접착층(9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착층(94) 위에 축고정층(91)이 배치되어 있다.
도 5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 깃(3)에서는, 발포체층(92)측(즉 셔틀콕(1)에서 외주측)을 향하여, 축(7)이 휘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른 관점에서 말하면, 축(7)은, 축고정층(91)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휘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인공 깃(3)이 축(7)의 연재 방향에서 발포체층(92)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한 방향(예를 들면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서 깃부(5)의 표면에 따른 방향인 폭방향)에서, 깃부(5)가 발포체층(92)측으로 휘어진 상태(즉 깃부(5)가 축고정층(91)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휘어진 상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축(7)의 연재 방향에서 인공 깃(3)이 휘어진 상태와, 상기한 바와 같이 깃부(5)가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 휘어진 상태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어도 좋고, 어느 한쪽의 휘어짐만이 발생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휘어짐은, 축(7)이나 깃부(5)의 구성 재료에 대해 열처리를 시행하는, 또는 축(7)이나 깃부(5)의 구성 재료를 최초부터 휘어진 상태에서 형성하는 등, 종래 주지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발포체층(9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의 발포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폼(폴리에틸렌의 발포체)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91)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지 발포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91)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폼 이외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부직포 등 임의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93, 94)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에서는,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으로서 폴리에틸렌 폼을 이용하고 있다. 이 폴리에틸렌 폼의 압출 방향은 도 3 및 도 4의 화살표(95)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화살표(95)로 도시하는 폴리에틸렌 폼의 압출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축(7)이 깃부(5)와 접속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깃부(5)가 축(7)의 연재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찢어진다는 이상 발생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중사(15)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사(15)는, 인공 깃(3)의 축(7)의 주위를 주회(周回)함과 함께, 인접하는 인공 깃(3)에서 적층한 상태로 되어 있는 깃부(5)의 부분에서, 인접하는 인공 깃(3)의 깃부(5)가 서로 대향한 영역을 통과하도록(즉 적층한 깃부(5)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깃부(5)가 적층한 부분에서, 적층한 깃부(5)의 사이를 중사(15)가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깃부(5)의 적층순이 셔틀콕(1)의 사용중에 교체된다는(예를 들면 라켓에 의한 타격의 충격에 의해 깃부(5)의 적층 순번이 교체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중사(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형상으로 나열한 복수의 인공 깃(3)의 전부를 서로 고정하도록,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사(15)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바늘 등을 이용하여 봉제함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깃부(5)의 적층순이 셔틀콕(1)의 사용중에 교체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셔틀콕(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주상에 배치된 중사(15)는, 그 꿰매기 시작의 한쪽 단부와 꿰매기 끝의 다른쪽 단부가 묶여지고, 남은 실의 부분은 매듭 부근에서 컷트되어 제거된다. 해당 매듭에는, 접착제 등을 도포함에 의해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호층을 형성함에 의해, 셔틀콕(1)이 라켓에 의해 타격된 때에 해당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사(15)는, 면이나 수지 등 임의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제의 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사(15)는, 셔틀콕(1)의 중심 등에 영향을 극력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한 경량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용하는 실로서는, 50번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실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중사(15)로서 사용한 실의 질량은 약 0.02g이 된다. 이 정도의 질량이라면, 셔틀콕(1)의 중심 위치에 약간의 영향은 있는 것이지만, 비상 특성에는 거의 영향이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중사(15)의 배치에 관해서는, 베이스 본체(2)로부터의 거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2)에서는, 고정용 표면부에 볼록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1)의 표면 형상은 거의 원형 형상(인공 깃(3)의 축이 삽입되는 삽입구멍(63)의 배치에 따른 원형 형상)이다. 또한, 볼록부(61)의 측벽(62)은, 고정용 표면부의 외주부에서 표면에 대해 경사된 상태로 되어 있다(즉, 고정용 표면부의 외주부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볼록부(61)의 폭이 넓어지도록 당해 측벽(62)은 역 뱅크 상태로 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2)의 볼록부(61)의 외주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깃(3)의 축(7)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63)은, 볼록부(61)의 측벽(62)의 연재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당해 삽입구멍(63)에 축(7)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64)가 도포되어 있다. 접착제(64)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61)의 상부 표면의 단부로부터, 측벽(62)을 통하여 고정용 표면부의 외주부 표면까지 연재됨과 함께, 축(7)에도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접착제(64)에 의해, 베이스 본체(2)에 대해 인공 깃(3)의 축(7)이 강고하게 고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본체(2)는, 인공 깃(3)의 축(7)을 고정하는 고정용 표면부를 구비하는 셔틀콕용 베이스 본체로서, 고정용 표면부(도 2의 베이스 본체(2)의 윗면)에는, 셔틀콕용 깃인 인공 깃(3)의 축(7)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구멍(63)과, 삽입구멍(63)에 인접하여, 고정용 표면부의 표면부터 돌출하는 볼록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삽입구멍(63)에 축(7)을 삽입한 상태에서 접착제(64)를 배치할 때에, 삽입구멍(63) 내부에서 삽입구멍(63)에 인접하는(즉 축(7)에 인접하는) 볼록부(61)위 까지 접착제를 연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볼록부(6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접착제(64)와 베이스 본체(2)와의 접착면의 면적을 크게할 수 있음과 함께, 접착면의 형상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된다. 그 때문에, 접착제(64)와 베이스 본체(2) 및 인공 깃(3)의 축(7)과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 셔틀콕용의 인공 깃(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의 인공 깃(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 깃(3)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구성재 준비 공정(S10)을 실시한다. 이 공정(S10)에서는, 인공 깃(3)을 구성하는 축(7),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을 구성하는 시트형상 재료, 접착층(93, 94)이 되어야 할 양면 테이프를 준비하다. 또한, 이들의 시트형상 부재 및 양면 테이프의 평면 형상은, 도 3에 도시한 깃부(5)의 사이즈보다도 크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발포체층(92)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폼(폴리에틸렌의 발포체로서 시트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두께가 1.0㎜, 단위면적당 중량이 24g/㎡라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91)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폼이고 두께가 0.5㎜, 단위면적당 중량이 20g/㎡라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93, 94)이 되는 양면 테이프가 단위면적당 중량은 10g/㎡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 공정(S20)을 실시한다. 이 공정(S20)에서는, 발포체층(92)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의 주 표면상에 접착층(93)이 되어야 할 양면 테이프를 부착한다. 그리고, 당해 양면 테이프의 위에 축(7)의 고착축부(10)를 배치한다. 또한, 그 위로부터, 고착축부(10)에 대향한 면에 접착층(94)이 되어야 할 양면 테이프가 부착된 축고정층(91)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를 적층 배치하여 접합한다. 이 결과, 축(7)의 고착축부(10)를, 발포체층(92)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와 축고정층(91)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로 끼어서 고정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후처리 공정(S30)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깃부(5)가 되어야 할 적층 배치된 시트형상 부재의 불필요부(즉 깃부(5)가 되어야 할 부분 이외의 영역)을 절단 제거한다. 이 결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공 깃(3)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인공 깃(3)에 대해, 예를 들면 발포체층(92)측부터 열을 가하는 등의 열처리를 행함에 의해, 발포체층(92) 등을 수축시킨다. 이 결과,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축(7) 및 깃부(5)가 휘어진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축(7) 및 깃부(5)가 휘어진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최초부터 휘어진 형상의 축(7)을 이용한다는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준비 공정(S100)을 실시한다. 이 준비 공정(S100)에서는, 셔틀콕(1)의 베이스 본체(2)(선단 부재) 및 상술한 인공 깃(3) 등, 셔틀콕(1)의 구성 부재를 준비한다.
베이스 본체(2)의 제조 방법은, 종래 공지의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베이스 본체(2)가 되어야 할 재료로서 인공의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우선 베이스 본체(2)의 소재의 블록을 준비하고, 절삭 가공에 의해 개략 형상으로 한다. 이 때, 선단부의 반구형상 부분 및 볼록부의 높이를 가미하여 가공을 행한다. 그리고, 또한 절삭 가공에 의해, 볼록부(61)의 외형이나 삽입구멍(63)을 형성한다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베이스 본체(2)의 재질로서는, 코르크 등 천연의 소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인공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아이오노머 수지(ionomer resin) 발포체, 또는 EVA(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PVC(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공 깃(3)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도 8에 도시한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조립 공정(S200)을 실시한다. 당해 조립 공정(S200)에서는, 베이스 본체의 고정용 표면부에서의 삽입구멍(63)에 상술한 복수의 인공 깃(3)의 축(7)의 근원을 삽입 고정한다. 또한, 당해 복수의 인공 깃(3)을 서로 끈형상 부재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깃부의 겹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중사(15)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치로 되도록 봉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셔틀콕(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공 깃(3)을 서로 고정한 고정 부재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끈형상 부재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링형상 부재 등 임의의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나 섬유 등 임의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끈형상 부재로서 아라미드 섬유 또는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당해 아라미드 섬유 또는 유리 섬유에 수지(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고, 당해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FRP화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FRP화함에 의해, 고정 부재의 강도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나 페놀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RP화를 위해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면, 고정 부재를 축(7)과 고정하기 위한 가공에 있어서 가열 공정을 행하는 경우 등에, 동시에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고정 부재의 FRP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1의 제 1의 변형예를 구성하는 인공 깃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접착층(93)의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인공 깃(3)에서는, 발포체층(92)과 고착축부(10)의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93)이, 고착축부(10)에서 발포체층(92)측에 위치하는 표면을 덮는 중앙부와, 당해 중앙부에 연결되고, 고착축부(10)의 측단부로부터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의 측단부를 향하여 늘어나는 연재부로 구성되어 있다. 당해 연재부는, 고착축부(10)의 측단부와 발포체층(92)의 측단부와의 사이까지 늘어나고 있지만, 발포체층(92)의 측단부에 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과의 측단부 부근에서는, 접착층(94)이 직접 발포체층(92)과 접촉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층(93)을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발포체층(92), 축고정층(91) 및 고착축부(10)를 서로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으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1의 제 2의 변형예를 구성하는 인공 깃을 설명한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 대응한다.
도 12에 도시한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접착층(93)뿐만 아니라 접착층(94)에 대해서도, 고착축부(10)의 부근에만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의 외주 단부 부근(즉 접착층(93, 94)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이 직접 접촉하고, 당해 접촉부가 융착함에 의해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서도, 발포체층(92), 축고정층(91)과 고착축부(10)를 접착층(93, 94)에 의해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93, 94)의 면적을 작게 함에 의해, 결과적으로 인공 깃(3)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2를 구성하는 인공 깃을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도 4에 대응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한다. 단, 도 13에 도시한 인공 깃(3)에서는, 깃부(5)를 구성하는 축고정층으로서 수지제의 필름(81)을 이용하고 있는 점이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의 셔틀콕의 인공 깃(3)과 다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축고정층(91)에 이용된 수지의 발포체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필름(81)을 축고정층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발포체층(92)의 두께를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의 인공 깃(3)의 발포체층(92)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인공 깃(3)을 이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셔틀콕(1)을 구성하여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에 의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인공 깃(3)에서는, 발포체층(92)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의 인공 깃(3)의 발포체층(92)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발포체층(92)에 의해 깃부(5)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다. 이 결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마찬가지로, 라켓에 의한 타격에 기인하여 필름(81)이 파손되어 당해 필름(81)의 파편이 비산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81)으로서는, 임의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의 필름으로서, 두께가 10㎛, 단위면적당 중량이 10g/㎡라는 재료,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의 필름으로서 두께가 20㎛, 단위면적당 중량이 18g/㎡라는 재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필름으로서 두께가 12㎛, 단위면적당 중량이 17g/㎡라는 재료, 폴리아미드(PA)의 필름으로서 두께가 15㎛, 단위면적당 중량이 18g/㎡라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3을 설명한다. 또한, 도 14는 도 4에 대응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축고정층으로서 부직포(71)를 이용하고 있는 점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는 다르다. 이와 같이 축고정층으로서 부직포(71)를 이용한 경우에는, 깃부(5)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발포체층(92)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라켓의 타격에 의해서도 깃부(5)가 변형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포(71)로서 폴리에스테르의 부직포로서, 단위면적당 중량이 15g/㎡라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발포체층(92)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폼으로서, 두께가 1.5㎜, 단위면적당 중량이 30g/㎡라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4를 구성하는 인공 깃을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깃부(5)의 선단측(고착축부(10)에서 깃축부(8)와 연결되는 단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쪽 단부측)에 보강 부재(21)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당해 보강 부재(21)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층(93)과 발포체층(92)의 사이에 끼여져서 고정되어 있다.
보강 부재(21)와 발포체층(92)은, 예를 들면 열융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당해 보강 부재(21)와 발포체층(92)의 사이에 또 다른 접착층(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층)을 배치함에 의해 접속 고정하여도 좋다. 이 보강 부재(21)의 재료로서는, 임의의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 부재(21)로서 두께가 10㎛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여도 좋다. 당해 보강 부재(21)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 20㎛ 이하, 보다 바람직한 것은 5㎛ 이상 15㎛ 이하로 할 수 있다. 당해 보강 부재(21)로서 상술한 폴리에틸렌의 필름 이외에도 임의의 재료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보강 부재(21)를 인공 깃(3)의 선단부에 배치함에 의해, 라켓에 의해 셔틀콕(1)을 타격한 때에, 당해 타격의 충격에 기인하여 인공 깃(3)의 선단부측(보강 부재(21)가 배치된 측)에서 발포체층(92)의 파손에 의해 고착축부(10)가 노출하는, 또는 고착축부(10)가 발포체층(92)으로부터 박리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 17은 도 16에 대응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인공 깃(3)의 선단부측에서 발포체층(92)의 외주측에 다른 보강 부재(31)를 배치하고 있는 점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3)과 다르다. 이 보강 부재(31)의 평면 형상은, 기본적으로는 보강 부재(21)의 평면 형상과 마찬가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 부재(31)의 평면 형상을 보강 부재(21)의 평면 형상보다도 작게 한다. 또는 보강 부재(21)의 평면 형상보다도 크게 한다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인공 깃(3)의 선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31)는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의 접착층을 이용하여 발포체층(92)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있어도 좋고, 보강 부재(31)를 발포체층(92)에 열융착하여도 좋다. 또한, 이 보강 부재(31)의 재질 및 두께는, 보강 부재(21)의 재질 및 두께와 마찬가지로 하여도 좋지만, 보강 부재(21)와는 다른 재질 또는 두께로 하여도 좋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인공 깃(3)에서는, 인공 깃(3)의 선단부측에서 배치되어 있는 보강 부재의 상태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3)과 다르다. 즉,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인공 깃(3)에서는, 보강 부재(41)로서 실과 같은 끈형상체를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서, 깃부(5)의 표면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깃부(5)의 선단측에 배치하고 있다. 보강 부재(41)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제의 실 등, 수지제, 또는 다른 천연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끈형상체의 사이즈 등(두께)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제의 실에서는 번호가 60번의 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끈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41)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층(93)과 발포체층(92)의 사이에 끼여져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강 부재(41)는, 깃부(5)의 두께 방향에서, 상술한 접착층(93)과 발포체층(92)과의 사이 이외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체층(92)의 외주측 표면(발포체층(92)에서 접착층(93)과 접합된 측과 반대측의 표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보강 부재(41)를, 접착층(93)과 접착층(94)의 사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는, 보강 부재(41)를, 접착층(94)과 축고정층(91)의 사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보강 부재(41)를 축고정층(91)의 외주측 표면(축고정층(91)에서 접착층(94)과 접합된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끈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41)를 이용하여도,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3)을 이용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인공 깃(3)의 보강 부재(41)는 끈형상체이기 때문에,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3)에서의 시트형상의 보강 부재(31)보다도 가볍고 또한 부드럽게 변형한다. 이 때문에,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인공 깃(3)을 이용하여 제조된 셔틀콕에서는, 보다 타감(打感)이 향상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인공 깃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도 20에 도시하는 인공 깃(3)에서는, 끈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가 복수개 깃부(5)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이,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인공 깃(3)과 다르다. 즉, 도 20에 도시한 인공 깃(3)에서는, 복수의 보강 부재(41 내지 43)로서 끈형상체를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고, 깃부(5)의 표면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깃부(5)의 선단측에 배치하고 있다. 복수의 보강 부재(41 내지 43)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복수의 보강 부재(41 내지 43)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교차한 방향에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깃부(5)의 선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시트형상의 보강 부재(31)와, 상술한 끈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41 내지 43)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보강 부재(41 내지 43)로서, 작은 꼬리표 형상으로 잘라낸 가늘고 길다란 시트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보강 부재(31)의 질량을 저감하기 위해, 보강 부재(31)에 개구부를 예를 들면 1개 이상 형성하고 있어서도 좋다.
(실시 형태 5)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5를 구성하는 인공 깃을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깃부(5)에서, 축(7)의 연재 방향에 따라 늘어나도록(도 21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축(7)에 평행하게 늘어나도록) 배치된 축방향 보강재(44)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축방향 보강 부재(44)로서는, 예를 들면 끈형상체로서의 실을 이용할 수 있다. 실로서는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수지제의 실을 이용하여도 좋다. 실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방향 보강 부재(44)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제의 60번의 실을 이용하여도 좋다.
당해 보강 부재(44)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보강 부재(21)와 마찬가지로, 접착층(93)과 발포체층(92)의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축방향 보강 부재(44)와 발포체층(92)은, 예를 들면 열융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당해 축방향 보강 부재(44)와 발포체층(92)의 사이에 또 다른 접착층(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층)을 배치함에 의해 접속 고정하여도 좋다. 이 축방향 보강 부재(44)의 재료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에 대신하여, 임의의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축방향 보강 부재(44)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을 작은 꼬리표형상(또는 선형상)으로 한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당해 축방향 보강 부재(44)의 재료로서 상술한 폴리에틸렌의 필름 이외에도 임의의 재료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축방향 보강 부재(44)를 인공 깃(3)의 깃부(5)에 배치함에 의해, 라켓에 의해 셔틀콕(1)을 타격한 때에, 당해 타격의 충격에 기인하여 인공 깃(3)의 깃부(5)가 축(7)의 연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찢어진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 보강 부재(44)는, 깃부(5)의 두께 방향에서, 상술한 접착층(93)과 발포체층(92)과의 사이 이외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체층(92)의 외주측 표면(발포체층(92)에서 접착층(93)과 접합된 측과 반대측의 표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축방향 보강 부재(44)가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축방향 보강 부재(44)를, 접착층(93)과 접착층(94)의 사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는, 축방향 보강 부재(44)를, 접착층(94)과 축고정층(91)의 사이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축방향 보강 부재(44)를 축고정층(91)의 외주측 표면(축고정층(91)에서 접착층(94)과 접합된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하여도 좋다.
도 22를 참조하여, 도 21에 도시한 인공 깃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21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도 22에 도시한 인공 깃(3)은, 축방향 보강 부재(44)에 더하여, 도 18에 도시한 인공 깃(3)과 마찬가지로 그 선단부측에 보강 부재(41)를 또한 구비한다. 보강 부재(41)는 끈형상체이고, 축(7)과 교차하는 방향(구체적으로는 축(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21에 도시하는 인공 깃(3)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도 18에 도시한 인공 깃(3)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41)에 대신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서 나타낸 다른 형태의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보강 부재(41)와 축방향 보강 부재(44)는, 깃부(5)의 두께 방향에서 같은 층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보강 부재(41)와 축방향 보강 부재(44)를 일체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고, 서로 별도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6)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 형태 6을 구성하는 인공 깃과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 23은, 인공 깃(3)의 축에 따른 방향에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5에 대응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인공 깃(3)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기본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당해 인공 깃(3)은, 기본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축고정층(91)과 축(7)이 직접 접속되어 있는 점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다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 깃(3)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23에 도시한 인공 깃(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한 인공 깃(3)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으로 도 8에 도시한 인공 깃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지만, 접합 공정(S20)의 내용이 다르다. 즉, 도 23에 도시한 인공 깃(3)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조용 지그인 받이대(51)와 누름판(52)을 이용한다. 받이대(51)의 상부 표면과 누름판(52)의 하부 표면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받이대(51)의 위에 누름판(52)을 겹침으로써, 받이대(51)와 누름판(52)과의 접촉부에 인공 깃(3)의 깃부(5)와 축(7)의 형상이 되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표면 및 깃부 표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은, 도 23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형성된 인공 깃(3)의 형상에 대응하여 곡면상으로 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인공 깃(3)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8에 도시한 구성재 준비 공정(S10)을 실시한 후, 접합 공정(S20)으로서 이하의 공정을 실시한다. 즉, 우선 받이대(51)의 상부 표면상에 축고정층(91)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를 설치한다. 그리고, 당해 시트형상 부재 위에 축(7)을 배치한다. 또한, 발포체층(92)이 되어야 할 다른 시트형상 부재의 편면에, 접착층(93)이 되어야 할 양면 테이프를 붙이고 나서, 당해 다른 시트형상 부재를 축(7)의 위에 싣는다. 이 때, 다른 시트형상 부재에서 양면 테이프가 부착된 면이 축(7)에 대향하도록, 다른 시트형상 부재를 배치한다. 그리고, 다른 시트형상 부재의 위로부터 누름판(52)을 받이대(51)를 향하여 가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축고정층(91)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와 축(7)과 발포체층(92)이 되어야 할 다른 시트형상 부재를 접합한다. 그 후,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처리 공정(S30)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형상 부재 및 다른 시트형상 부재의 불필요부를 제거하고, 형상을 정돈함으로써,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인공 깃(3)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와 일부 중복되는 부분도 있지만, 본원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이하에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 깃(3)은, 깃부(5)와, 깃부(5)에 접속된 축(7)을 구비한다. 깃부(5)는, 발포체층(92)과, 축(7)을 끼어서 발포체층(92)과 접합된 축고정층(축고정층(91), 필름(81), 부직포(71))을 포함한다.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은 평면 형상이 같다.
이와 같이 하면, 깃부(5)로서 발포체층(92)을 이용함으로써, 깃부(5)의 질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강성을 향상시킴(타격에 의한 변형을 억제함)에 의해, 셔틀콕용 인공 깃(3)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셔틀콕용 인공 깃(3)을 이용한 배드민턴용 셔틀콕(1)의 비상 특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에 우수한 셔틀콕용 인공 깃(3) 및 셔틀콕(1)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축고정층(91), 필름(81), 부직포(71))을 발포체층(92)과 적층함으로써, 깃부(5)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발포체층(92)의 파손(가늘게 찢어짐,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과 발포체층(92)으로 축(7)을 끼어서 고정함으로써, 축(7)과 깃부(5)와의 확실한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은,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93, 94)을 또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접착층(93, 94)에 의해,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과의 접속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 및 축(7) 사이의 접속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셔틀콕용 인공 깃(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7)과 깃부(5)가 직접 접속(예를 들면 열융착 등)할 수가 없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도, 접착층(93, 94)에 의해 축(7)과 깃부(5)를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축(7)이나 깃부(5)에 관한 재료 선택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 접착층(93, 94)은 적어도 축(7)(구체적으로는 고착축부(10))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접착층(93, 94)은 축(7)에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을 고정하고 있다. 이 경우, 접착층(93, 94)에 의해, 축(7)과 깃부(5)와의 확실한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셔틀콕용 인공 깃(3)의 내구성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 접착층(93, 94)은, 도 4, 도 13, 도 14, 도 16, 도 1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 사이의 영역 전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접착층(93, 94)에 의해, 깃부(5)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깃부(5)는, 축(7)의 연재 방향 및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발포체층(92)측으로 휘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셔틀콕용 인공 깃(3)을 보다 물새의 깃(천연깃)에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셔틀콕용 인공 깃(3)을 이용하여 셔틀콕(1)을 제조한 때에, 셔틀콕(1)의 형상을, 천연깃을 이용한 셔틀콕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휘어짐의 정도를 변경함에 의해,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을 이용하여 제조한 셔틀콕(1)의 비상 특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결과, 셔틀콕용 인공 깃(3)을 이용하여 제조한 인공 셔틀콕(1)의 비상 특성을, 종래의 천연깃을 이용한 셔틀콕의 비상 특성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 발포체층(92)은 축고정층(축고정층(91), 필름(81), 부직포(71))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외관상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발포체층(92)측에서 깃부(5)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깃부(5)의 토탈로의 필요한 두께를 확보하는 한편, 깃부(5)의 무게가 증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 축(7)은, 셔틀콕(1)의 베이스 본체(2)와 접속되는 근원부와, 근원부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에 끼여진 선단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은, 축(7)의 선단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된 보강 부재(21, 31)를 또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셔틀콕(1)의 타격시에 가장 파손되기 쉬운 축(7)의 선단부에 보강 부재(21, 31)를 배치함으로써, 당해 선단부가 타격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는, 깃부(5)의 두께 방향에서 보강 부재(21, 31)는 축(7)보다 발포체층(92)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발포체층(92)측이 셔틀콕(1)에서 외측에 향하도록 인공 깃(3)이 베이스 본체(2)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축(7)의 선단부를 외측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강 부재(21, 31)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 발포체층(92) 또는 축고정층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압출법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발포체층(92) 또는 축고정층의 압출법에서의 압출 방향에 대해, 축(7)의 연재 방향은 교차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압출법에 의해 형성된 발포체층(92) 또는 축고정층은, 상기 압출 방향에서 찢어지기 쉽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축(7)을 고정하면, 당해 축(7)이 발포체층(92)이나 축고정층의 보강 부재가 된다. 이 결과, 깃부(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 발포체층(92)은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10g/㎡ 이상 30g/㎡ 이하, 두께가 0.5㎜ 이상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고정층(91)은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10g/㎡ 이상 30g/㎡ 이하, 두께가 0.3㎜ 이상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 천연깃에 가까운 중심 위치나 총질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셔틀콕용 인공 깃(3)을 이용하여 제조한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서도, 비상 특성을 천연 셔틀콕과 동등한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은, 깃부(5)에서, 축(7)의 연재 방향에 따라 늘어나도록 배치된 축방향 보강 부재(4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축(7)의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깃부(5)가 찢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당해 베이스 본체(2)에 접속된, 복수의 상기 셔틀콕용 인공 깃(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인공 깃(3)에 의해 염가의 셔틀콕(1)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특성에 관해서는, 종래의 천연깃을 이용한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에서, 셔틀콕용 인공 깃(3)은, 베이스 본체(2)에 대해 고리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인접하는 깃부(5)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베이스 본체(2)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복수의 셔틀콕용 인공 깃(3)에서의 깃부(5)의 상대적인 이동 또는 변형을 규제하는 끈형상체인 중사(15)를 또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깃부(5)의 교착(交錯) 방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셔틀콕 2 : 베이스 본체
3 : 인공 깃 5 : 깃부
7 : 축 8 : 깃축부
10 : 고착축부 15 : 중사
21, 31, 41 내지 43 : 보강 부재
44 : 축방향 보강 부재 51 : 받이대
52 : 누름판 61 : 볼록부
62 : 측벽 63 : 삽입구멍
64 : 접착제 71 : 부직포
81 : 필름 91 : 축고정층
92 : 발포체층 93, 94 : 접착층
95 : 화살표

Claims (10)

  1. 깃부(5)와,
    상기 깃부(5)에 접속된 축(7)을 구비하고,
    상기 깃부(5)는, 발포체층(92)과, 상기 축(7)을 끼어서 상기 발포체층(92)과 접합된 축고정층(71, 81, 91)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체층(92)과 상기 축고정층(71, 81, 91)은 평면 형상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층(92)과 상기 축고정층(71, 81, 9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3, 9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93, 94)은 상기축(7)과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93, 94)은 상기축(7)에 상기 발포체층(92) 및 상기 축고정층(71, 81, 91)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93, 94)은, 상기 발포체층(92)과 상기 축고정층(71, 81, 91) 사이의 영역 전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깃부(5)는, 상기축(7)의 연재 방향 및 상기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상기 발포체층 측으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층(92)은 상기 축고정층(71, 81, 91)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7)은, 셔틀콕(1)의 베이스 본체(2)와 접속되는 근원부와, 상기 근원부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발포체층(92)과 상기 축고정층(71, 81, 91)에 끼여진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7)의 상기 선단부와 겹쳐지도록 배치된 보강 부재(21, 31, 41 내지 4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층(92) 또는 상기 축고정층(71, 81, 91)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압출법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포체층(92) 또는 상기 축고정층(71, 81, 91)의 상기 압출법에서의 압출 방향에 대해, 상기축(7)의 연재 방향은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깃부(5)에서, 상기축(7)의 연재 방향에 따라 늘어나도록 배치된 축방향 보강 부재(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 깃(3).
  10.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상기 베이스 본체(2)에 접속된, 제 1항에 기재된 복수의 셔틀콕용 인공 깃(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1).
KR1020117016983A 2008-12-26 2009-12-25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 KR101357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34096 2008-12-26
JP2008334096 2008-12-26
PCT/JP2009/071601 WO2010074234A1 (ja) 2008-12-26 2009-12-25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136A true KR20110099136A (ko) 2011-09-06
KR101357416B1 KR101357416B1 (ko) 2014-02-03

Family

ID=4228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983A KR101357416B1 (ko) 2008-12-26 2009-12-25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83023B1 (ko)
JP (1) JP5198582B2 (ko)
KR (1) KR101357416B1 (ko)
CN (1) CN102264441A (ko)
DK (1) DK2383023T3 (ko)
MY (1) MY151994A (ko)
WO (1) WO2010074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4821B2 (ja) * 2010-07-20 2014-11-12 ヨネックス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の製造方法
CN102772886A (zh) * 2011-05-13 2012-11-14 刘雪燕 用于羽毛球的仿真羽毛和羽毛球
WO2013077183A1 (ja) * 2011-11-22 2013-05-30 株式会社ゴーセン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29845A (ja) * 2013-08-06 2015-02-16 ヨネックス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及び、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
JP6738654B2 (ja) * 2016-06-10 2020-08-12 美津濃株式会社 人工羽根及びシャトルコック
WO2017213039A1 (ja) * 2016-06-10 2017-12-14 美津濃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9110A (en) * 1962-12-11 1964-02-12 Peter Gordon Sidney Shuttlecock
JPS5340335A (en) 1976-09-21 1978-04-12 Nippon Carbon Co Ltd Shuttle cock for badmington
EP0045825A1 (en) * 1980-08-08 1982-02-17 Juan Shin Ent. Co. Ltd. Artificial feather shuttlec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K173581A (da) * 1981-04-15 1982-10-16 J E Rasmussen Kunstfjer til badmintonbolde
JPS5969086A (ja) 1982-10-14 1984-04-19 ヤマハ株式会社 シヤトルコツク用羽根
GB9506833D0 (en) * 1995-04-03 1995-05-24 Willis Gordon Improvements in shuttlecocks
JPH1157096A (ja) * 1997-08-19 1999-03-02 Goosen:Kk シャトルコック
GB2333970A (en) * 1998-02-10 1999-08-11 Dunlop Slazenger Group Ltd Shuttlecock
JP3081627U (ja) 2001-05-09 2001-11-16 大塚包装工業株式会社 包装箱
JP2005278784A (ja) * 2004-03-29 2005-10-13 Mizuno Technics Kk シャトルコック
JP4917316B2 (ja) 2006-01-30 2012-04-18 ミズノ テクニクス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416B1 (ko) 2014-02-03
MY151994A (en) 2014-07-31
CN102264441A (zh) 2011-11-30
WO2010074234A1 (ja) 2010-07-01
JP5198582B2 (ja) 2013-05-15
EP2383023A4 (en) 2012-06-27
DK2383023T3 (da) 2014-06-30
JPWO2010074234A1 (ja) 2012-06-21
EP2383023A1 (en) 2011-11-02
EP2383023B1 (en)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416B1 (ko)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
KR101702174B1 (ko) 셔틀콕용 인조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
EP2338576A1 (en) Badminton shuttlecock
WO2010038657A1 (ja)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シャトルコック用ベース本体
KR101552743B1 (ko) 배드민턴용 셔틀콕
JP6161381B2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
JP5558745B2 (ja) 釣糸ガイド
KR102017374B1 (ko) 배드민턴용 셔틀콕
JP5170459B2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460417B2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577280B2 (ja) 管状体
JP4664733B2 (ja) 球技用打具及び帽体
JP6918792B2 (ja) シャトルコック
JP4402477B2 (ja) 不織布を備える管状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738654B2 (ja) 人工羽根及びシャトルコック
JP5989035B2 (ja) シャトルコック
JP5546609B2 (ja) 釣糸ガイド
JPH08260219A (ja) ヘルメット
JP2020196159A (ja) 繊維強化樹脂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