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006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006A
KR20110098006A KR1020117017452A KR20117017452A KR20110098006A KR 20110098006 A KR20110098006 A KR 20110098006A KR 1020117017452 A KR1020117017452 A KR 1020117017452A KR 20117017452 A KR20117017452 A KR 20117017452A KR 20110098006 A KR20110098006 A KR 20110098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cts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ai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니시카타
다카시 에하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의 절연성의 하우징을 몰드 인부 (3) 와, 몰드 인부를 덮은 커버부 (4) 의 2 개의 부품으로 나눈다. 그리고, 몰드 인부에는 복수의 콘택트 (5) 를 몰드 인에 의해 병렬 유지시킴과 함께 복수의 콘택트 사이를 관통하는 공기층 (32) 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하우징에 복수의 콘택트를 병렬로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기 기기 또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이들에 사용되는 커넥터에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저배화나 내부에 병렬로 배치된 콘택트 또는 단자의 협피치화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커넥터에 대한 고속 전송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단자의 협피치화가 진행되면 인접한 단자가 콘덴서의 역할을 하여, 크로스토크의 발생이나 임피던스의 부정합으로 인하여 고속 전송이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하우징에 압입 유지시킨 복수의 단자에 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단자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구멍에 의해 단자의 대향 면적이 작아짐과 함께 공극에 의해 단자 사이에 저유전율의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인접한 단자 사이의 커패시턴스 성분이 저감된다. 따라서, 크로스토크의 감소나 임피던스의 정합이 용이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72940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서는 하우징에 대한 단자의 유지가 압입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필요한 유지력을 얻기 위해서는 단자의 압입부의 폭을 크게 하지 않을 수 없고, 그 결과, 단자의 압입부의 대향 면적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크로스토크나 임피던스에 관하여 추가적인 개선을 요구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단자의 압입부의 폭이 커지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커져 저배화가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토크의 감소 및 임피던스의 정합에 있어서 유리하고, 또한 커넥터의 저배화를 용이하게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도전성의 복수의 콘택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각각은 제 1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몰드 인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병렬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몰드 인부와, 상기 몰드 인부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몰드 인부를 덮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인부에 상기 복수의 콘택트 사이를 관통하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커넥터는, 크로스토크의 감소 및 임피던스의 정합에 있어서 유리하고, 또한 커넥터의 저배화가 용이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에 포함된 몰드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Ⅳ-Ⅳ 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Ⅴ-Ⅴ 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몰드 부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중계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중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7 의 중계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전기 커넥터 (1) 는 절연성의 하우징 (2) 과, 하우징 (2) 에 삽입된 도전성의 복수의 콘택트 (5) 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 (2) 은 콘택트 (5) 를 몰드 인에 의해 병렬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제 몰드 인부 (3) 와, 몰드 인부 (3) 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몰드 인부 (3) 를 덮은 수지제 커버부 (4) 를 포함하고 있다. 각 콘택트 (5) 는 소정의 전후 방향 (A1 ; 제 1 방향) 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5) 를 몰드 인부 (3) 에 몰드 인하여 이루어지는 부품을 여기에서는 몰드 부품 (10) 이라고 부른다.
전기 커넥터 (1) 는, 추가로 커버부 (4) 의 주위를 덮은 금속 쉘 (6) 을 포함하고 있다. 쉘 (6) 은 각통 (角筒) 형상인 것으로서, 커버부 (4) 및 몰드 인부 (3) 의 외측에 압입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쉘 (6) 의 상판 부분 및 하판 부분에 형성한 걸림편 (61) 이, 몰드 인부 (3) 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한 걸림 구멍 (35) 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렇게 하여 쉘 (6) 이 커버부 (4) 에 고정된다.
도 3 ∼ 도 5 를 참조하여 전기 커넥터 (1) 의 세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몰드 인부 (3) 는 제 1 방향 (A1) 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 (A2 ; 제 2 방향) 의 치수가 비교적 작은 전반부 (33) 와, 제 2 방향 (A2) 의 치수가 비교적 큰 후반부 (34) 를 갖는다. 커버부 (4) 는 전체적으로는 사각통 형상인 것으로서, 전부에 상대 커넥터 (도시 생략) 를 수용하는 끼워맞춤 개구 (41) 를 갖고, 후부에 몰드 인부 (3) 의 전반부 (33) 를 수용하여 삽착하는 삽착 구멍 (42) 을 갖는다. 몰드 인부 (3) 의 전반부 (33) 는, 커버부 (4) 의 삽착 구멍 (42) 에 압입에 의해 삽착된다. 몰드 인부 (3) 의 후반부 (34) 는, 전반부 (33) 를 삽착 구멍 (42) 에 삽착했을 때에 그 외형이 커버부 (4) 의 외형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5) 는 접촉 스프링부 (51 ; 접촉부) 와, 단자부 (53) 와, 이들 사이의 피유지부 (52) 를 갖는 장척 (長尺)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접촉 스프링부 (51) 는 몰드 인부 (3) 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제 2 방향 (A2) 으로 서로 이간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단자부 (53) 는 몰드 인부 (3) 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제 2 방향 (A2) 에서 인접하는 것이 교대로 제 1 방향 (A1) 및 제 2 방향 (A2) 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 (A3 ; 제 3 방향) 으로 나뉘어져 2 열로 배열되어 있다. 피유지부 (52) 는 수지로 몰드 인됨으로써 제 2 방향 (A2) 으로 나열되어 몰드 인부 (3) 에 유지되고 있다. 또한, 각 콘택트 (5) 중 적어도 몰드 인부 (3) 에 대응한 부분은 제 1 방향 (A1) 으로 뻗어 있다.
몰드 인부 (3) 는, 제 3 방향 (A3) 의 치수를 작게 하여 박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 1 방향 (A1) 에서 서로 이간된 3 지점에서 복수의 콘택트 (5) 를 횡단하는 3 개의 콘택트 유지부 (31) 를 갖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 (5) 의 피유지부 (52) 는 모두 콘택트 유지부 (31) 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콘택트 (5) 를 몰드 인부 (3) 에 몰드 인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콘택트 (5) 의 피유지부 (52) 를 작게 해도 충분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콘택트 (5) 의 피유지부 (52) 의 폭, 즉 제 3 방향 (A3) 의 치수를 종래의 압입 구조에 비해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하기 용이하다.
콘택트 유지부 (31) 의 서로 인접한 것 사이에는 공기층 (32)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콘택트 유지부 (31) 는 커버부 (4) 의 내측에 공기층 (32) 을 복수, 즉 2 개 형성하고 있다. 이들 공기층 (32) 은 서로 및/또는 전기 커넥터 (1) 의 외부 분위기에 통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각 공기층 (32) 은 콘택트 (5) 의 상측으로 넓어진 제 1 층 즉 상층 (32a) 과, 콘택트 (5) 의 하측으로 넓어진 제 2 층, 즉 하층 (32b) 과, 콘택트 (5) 의 인접한 것 사이를 관통하여 상층 (32a) 과 하층 (32b) 을 연결한 복수의 관통부 (32c) 를 갖고 있다. 콘택트 (5) 의 피유지부는 공기층 (32) 에 노출되면서 콘택트 유지부 (31) 사이로 뻗어 있는 부분을 갖는다.
전기 커넥터 (1) 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먼저, 커버부 (4) 와 쉘 (6) 과 콘택트 (5) 를 몰드 인부 (3) 에 몰드 인하여 이루어지는 몰드 부품 (10) 을 준비한다. 그리고, 커버부 (4) 의 외측에 쉘 (6) 을 압입 장착한다. 다음으로, 몰드 부품 (10) 의 몰드 인부 (3) 를 쉘 (6) 내에 삽입한다. 구체적으로는, 몰드 인부 (3) 의 전반부 (33) 를 커버부 (4) 의 삽착 구멍 (42) 에 압입함과 함께, 후반부 (34) 를 쉘 (6) 안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몰드 인부 (3) 의 걸림 구멍 (35) 에 쉘 (6) 의 걸림편 (61) 을 걸어맞추게 한다. 이로써 전기 커넥터 (1) 가 완성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2) 을 몰드 인부 (3) 와 커버부 (4) 의 2 체 구조로 이루고, 몰드 인부 (3) 에 콘택트 (5) 를 몰드 인에 의해 유지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콘택트 (5) 의 피유지부 (52) 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필요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 (5) 의 인접한 것 사이에서 피유지부 (52) 의 대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몰드 인부 (3) 에 콘택트 (5) 사이를 관통하는 공기층 (32) 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 (5) 간의 커패시턴스를 작게 하여 크로스토크의 감소, 임피던스의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즉, 하우징 (2) 에 복수의 콘택트 (5) 를 몰드 인에 의해 병렬 유지한 몰드 인부 (3) 를 형성함과 함께, 그 몰드 인부 (3) 에 콘택트 (5) 사이에 관통하는 공기층 (32) 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크로스토크의 감소 및 임피던스의 정합에 있어서 유리하고, 또한 커넥터의 저배화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서술에서는 몰드 인부 (3) 가 3 개의 콘택트 유지부 (31) 를 갖는 예를 설명했는데, 콘택트 유지부 (31) 는 2 개여도 되고, 또 4 개 이상 만들 수도 있다.
도 6 을 참조하여 몰드 부품 (10)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언급한다.
커넥터의 소형화를 달성하기 위해, 콘택트 (5) 는 매우 가늘게 설계된다. 따라서, 몰드 인시에는, 콘택트 (5) 의 편차를 방지하기 위해 콘택트를 부분적으로 지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서술한 몰드 부품 (10) 은, 몰드 인부 (3) 의 중앙부에 공기층 (32) 을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공기층 (32) 을 형성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콘택트 (5) 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즉,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형상의 상하의 금형 파트 (11, 12) 간에 콘택트 (5) 를 사이에 두고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몰드 인 작업을 실시하고, 몰드 인 작업이 종료된 후에,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의 금형 파트 (11, 12) 를 이간시킨다.
이와 같이, 몰드 인부 (3) 의 중앙부에 공기층 (32) 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몰드 인시의 콘택트 (5) 의 편차 방지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 ∼ 도 9 를 참조하여 전기 커넥터 (1) 를 사용하여 제조된 중계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 (100) 는, 휴대전화나 휴대 단말용 I/O 커넥터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서술한 전기 커넥터 (1) 에 추가하여, 회로 패턴을 형성한 기판 (7), 도시의 편의상 일부만을 도시한 복수 개의 케이블 (8), 및 절연성의 후드 (9) 를 포함하고 있다.
중계 커넥터 (100) 를 제조하려면,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전기 커넥터 (1) 에 기판 (7) 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나뉘어진 단자부 (53) 사이에 기판 (7) 을 삽입하고, 기판 (7) 의 회로 패턴을 단자부 (53) 에 접촉시켜 전기적 접속을 얻는다. 다음으로,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8) 을 기판 (7) 의 회로 패턴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시킨다. 또한, 전기 커넥터 (1), 기판 (7) 및 케이블 (8) 의 조립체 상에 수지를 오버 몰드하여 후드 (9) 를 형성하고, 이로써 도 7 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 (100) 를 얻는다.
또한, 도 1 ∼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 전기 커넥터 (1) 는,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타입의 중계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타입의 커넥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를 열거한다.
1. 절연성의 하우징 (2) 과 하우징 (2) 에 삽입된 도전성의 복수의 콘택트 (5) 를 갖는 전기 커넥터 (1) 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트 (5) 각각은 제 1 방향 (A1) 으로 길게 뻗어 있고, 하우징 (2) 은, 복수의 콘택트 (5) 를 몰드 인에 의해 병렬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몰드 인부 (3) 와, 몰드 인부 (3) 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몰드 인부 (3) 를 덮은 커버부 (4) 를 포함하고, 몰드 인부 (3) 에 복수의 콘택트 (5) 사이를 관통하는 공기층 (32) 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몰드 인부 (3) 는, 제 1 방향 (A1) 에서 서로 이간된 복수 지점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트 (5) 를 횡단적으로 유지한 복수의 콘택트 유지부 (31) 를 갖고, 공기층 (32) 은 복수의 콘택트 유지부 (31)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콘택트 (5) 는 공기층 (32) 에 노출되어 있는, 1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3. 복수의 콘택트 (5) 각각은, 접촉부 (51) 와, 단자부 (53) 와, 접촉부 (51) 및 단자부 (53) 사이의 피유지부 (52) 를 갖고, 피유지부 (52) 를 몰드 인부 (3) 에 몰드 인하여 이루어지는, 1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4. 커버부 (4) 는,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끼워맞춤 개구 (41) 를 갖고, 접촉부 (51) 는, 끼워맞춤 개구 (41) 내에 위치하고 있는, 3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5. 커버부 (4) 의 주위를 덮은 금속 쉘 (6) 을 추가로 포함하는, 1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6. 몰드 인부 (3) 는, 제 1 방향 (A1) 에 직교하는 제 2 방향 (A2) 의 치수가 비교적 작은 전반부 (33) 와, 제 2 방향 (A2) 의 치수가 비교적 큰 후반부 (34) 를 갖는, 1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7. 커버부 (4) 는 사각통 형상인 것으로서, 제 1 방향 (A1) 에 있어서의 일단에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끼워맞춤 개구 (41) 를 갖고, 제 1 방향 (A1) 에 있어서의 반대단에 전반부 (33) 를 수용하여 삽착하는 삽착 구멍 (42) 을 갖는, 6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8. 전반부 (33) 는 삽착 구멍 (42) 에 압입에 의해 삽착되고, 후반부 (34) 는, 전반부 (33) 를 삽착 구멍 (42) 에 삽착했을 때에 커버부 (4) 의 외형에 일치하는 외형을 갖는, 7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9. 복수의 콘택트 (5) 각각은, 접촉 스프링부 (51) 와, 단자부 (53) 와, 접촉 스프링부 (51) 및 단자부 (53) 사이의 피유지부 (52) 를 갖고, 접촉 스프링부 (51) 는, 몰드 인부 (3) 로부터 제 1 방향 (A1) 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단자부 (52) 는, 몰드 인부 (3) 로부터 제 1 방향 (A1) 에 있어서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1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10. 복수의 콘택트 (5) 는, 제 1 방향 (A1) 에 직교하는 제 2 방향 (A2) 으로 나열되어 있고, 단자부 (53) 는, 제 2 방향 (A2) 에서 인접하는 것이 교대로 제 1 방향 (A1) 및 제 2 방향 (A2) 에 직교하는 제 3 방향 (A3) 으로 나뉘어져 2 열로 배열되어 있는, 9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11. 공기층 (32) 은, 복수의 콘택트 (5) 배열의 일측으로 넓어진 제 1 층 (32a) 과, 복수의 콘택트 (5) 배열의 반대측으로 넓어진 제 2 층 (32b) 과, 복수의 콘택트 (5) 의 인접한 것 사이를 관통하여 제 1 층 (32a) 과 제 2 층 (32b) 을 연결한 복수의 관통부 (32c) 를 갖고 있는, 1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이상,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 발명의 스코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출원은 2009년 3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9-55240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고속화된 데이터 통신을 취급하는 휴대전화나 휴대단말에 사용되는 I/O 커넥터 등의 중계 커넥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 전기 커넥터
2 : 하우징
3 : 몰드 인부
31 : 콘택트 유지부
32 : 공기층
32a : 상층
32b : 하층
32c : 관통부
33 : 전반부
34 : 후반부
35 : 걸림 구멍
4 : 커버부
41 : 끼워맞춤 개구
42 : 삽착 구멍
5 : 콘택트
51 : 접촉 스프링부
52 : 피유지부
53 : 단자부
6 : 금속 쉘
61 : 걸림편
7 : 기판
8 : 케이블
9 : 후드
10 : 몰드 부품
11, 12 : 금형 파트
100 : 중계 커넥터

Claims (11)

  1.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도전성의 복수의 콘택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각각은 제 1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몰드 인에 의해 병렬 유지하여 이루어지는 몰드 인부와, 상기 몰드 인부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몰드 인부를 덮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인부에 상기 복수의 콘택트 사이를 관통하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인부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서로 이간된 복수 지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횡단적으로 유지한 복수의 콘택트 유지부를 갖고, 상기 공기층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유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상기 공기층에 노출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각각은, 접촉부와, 단자부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단자부 사이의 피유지부를 갖고, 상기 피유지부를 상기 몰드 인부에 몰드 인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끼워맞춤 개구를 갖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끼워맞춤 개구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주위를 덮은 금속 쉘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인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치수가 비교적 작은 전반부와, 상기 제 2 방향의 치수가 비교적 큰 후반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사각통 형상인 것으로서,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끼워맞춤 개구를 갖고,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단에 상기 전반부를 수용하여 삽착하는 삽착 구멍을 갖는, 전기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부는 상기 삽착 구멍에 압입에 의해 삽착되고, 상기 후반부는, 상기 전반부를 상기 삽착 구멍에 삽착했을 때에 상기 커버부의 외형에 일치하는 외형을 갖는, 전기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각각은, 접촉 스프링부와, 단자부와, 상기 접촉 스프링부 및 상기 단자부 사이의 피유지부를 갖고, 상기 접촉 스프링부는, 상기 몰드 인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몰드 인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 2 방향에서 인접하는 것이 교대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으로 나뉘어져 2 열로 배열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배열의 일측으로 넓어진 제 1 층과, 상기 복수의 콘택트 배열의 반대측으로 넓어진 제 2 층과,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인접한 것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을 연결한 복수의 관통부를 갖고 있는, 전기 커넥터.
KR1020117017452A 2009-03-09 2009-08-07 전기 커넥터 KR20110098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55240 2009-03-09
JP2009055240A JP2010212017A (ja) 2009-03-09 2009-03-09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006A true KR20110098006A (ko) 2011-08-31

Family

ID=4272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452A KR20110098006A (ko) 2009-03-09 2009-08-0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63158A1 (ko)
JP (1) JP2010212017A (ko)
KR (1) KR20110098006A (ko)
CN (1) CN102292876A (ko)
DE (1) DE112009004061T5 (ko)
FI (1) FI123583B (ko)
WO (1) WO2010103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7181B2 (en) * 2010-08-06 2013-12-31 MoMelan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preparing a skin graft
JP5615232B2 (ja) * 2011-06-15 2014-10-29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シールドケース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JP6142412B2 (ja) * 2013-06-06 2017-06-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28699B2 (ja) 2013-09-13 2016-11-1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9380710B2 (en) 2014-01-29 2016-06-28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Printed circuit boards for communications connectors having openings that improve return loss and/or insertion loss performance and related connectors and methods
US9692186B2 (en) 2014-08-13 2017-06-27 Apple Inc. High-speed electrical connector
KR101982747B1 (ko) 2015-11-06 2019-05-27 몰렉스 엘엘씨 콤팩트 고속 커넥터
JP6344576B2 (ja) * 2016-04-26 2018-06-20 第一精工株式会社 Usbコネクタ
CN205944618U (zh) * 2016-07-27 2017-02-0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24162183A1 (ja) * 2023-01-30 2024-08-08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5191A (en) * 1996-09-11 1998-08-18 Preputnick; George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ed modu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34942A (en) * 1997-12-30 1999-08-10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260343B2 (ja) * 1999-09-08 2002-02-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ピンヘッダ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7083432B2 (en) * 2003-08-06 2006-08-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Retention member for connector system
JP4550733B2 (ja) * 2005-12-20 2010-09-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991449B2 (ja) 2007-08-24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01130765Y (zh) * 2007-11-09 2008-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63158A1 (en) 2011-10-27
JP2010212017A (ja) 2010-09-24
CN102292876A (zh) 2011-12-21
WO2010103678A1 (ja) 2010-09-16
FI123583B (fi) 2013-07-31
FI20115787A (fi) 2011-08-09
DE112009004061T5 (de)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8006A (ko) 전기 커넥터
JP5197742B2 (ja) 電気コネクタ
US8992257B2 (en) Shielded connector
US8475206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663558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4522440B2 (ja)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US8113884B2 (en) Connector
US20080038951A1 (en) Upright electrical connector
EP3297102B1 (en) Connector
US20150031246A1 (en) C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sulative enclosing body with an opening
JP2019033034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14007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9385487B2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EP3392981B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14038772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WO2008001453A1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892037B2 (en) Connector unit provided with connector having first and second contacts of different lengths and with mating connector having first and second mating contacts of different lengths
JP5787081B2 (ja) コネクタ装置
JP6327287B2 (ja) 電気コネクタ
US9831620B2 (en) Modular jack connector and terminal module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JP7086620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4486909B2 (ja) 電気コネクタ
US68932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7027885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