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731A -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7731A KR20110097731A KR1020110017168A KR20110017168A KR20110097731A KR 20110097731 A KR20110097731 A KR 20110097731A KR 1020110017168 A KR1020110017168 A KR 1020110017168A KR 20110017168 A KR20110017168 A KR 20110017168A KR 20110097731 A KR20110097731 A KR 201100977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ny
- logistics
- information
- export
- busin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물류비용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품의 수출입에 따른 정산업무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물류 비용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다중거래처의 선하증권 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입 및 수출을 통한 물류 및 상품 거래에 있어서는 선하증권(또는 화물운송증권, Bill Of Lading, 이하 "B/L"이라 함)이라는 선박회사 또는 항공사와 같이 화물을 국제운송하는 운송사에서 발생하는 선적서류가 수반된다. 이러한 B/L은 무역거래에서 물류업의 기준으로써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하역업자, 컨테이너야드(CY- Container Yard)업자, 창고업자, 검역업자, 보험회사, 검수회사에 의한 각 단계별 B/L정산에 의해 각각 처리되고 있다.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각 업체들은 B/L업무와 관련하여 각각의 업체가 담당하는 역할이 상이하며, 각 업체들이 담당업무에 있어서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다중거래관계(발주처, 청구처, 자사, 하불처)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B/L은 각 단계별로 담당업체에 의해 정산되어 처리되고 비용의 지불 및 청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다양한 업체들에 의해 B/L정산이 개별적으로 진행됨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류업무처리에 있어서 실시간 정보 공유가 불가능하다. 수출선적 및 수입 업무에 있어서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화물의 콘솔(집하) 정보, 선적정보 및 입출항정보를 해외바이어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지 못하거나, 국내 수입자가 외국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물류업체간에도 실시간 정보 공유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보세구역에서 화물을 반출하여 인도기한내에 화주에게 배송하려면 업무처리에 관한 진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야하지만, 현재의 물류처리체계에서는 이러한 확인을 전화, 메신저, 팩스와 같은 수단을 통해 상대방이 확인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실시간 정보 반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다양한 업체의 참여에 의한 복잡한 처리절차로 인해 물류업무처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물류업무 하청단계에서 내부 통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현행의 물류업무에서는 하청단계에 대하여 화물유통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물류보안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직원에 있어서도 적절한 책임 및 권한의 부여가 곤란하여, 업무영역에서의 처리권한 및 책임소재도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러한 책임소재 규정의 곤란함으로 인해, 물류 배송에서 무책임에 의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시 책임전가로 인한 사고처리의 지연 및 원할하지 못한 처리의 진행등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정산서의 발송시 많은 불편이 초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출선적업무 및 화물인도지서 업무, 물류비용 정산서와 거래명세서나 세금계산서와 같은 증빙서류의 처리에 있어서, FAX 또는 우편으로 복수의 대상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서류전달의 누락 및 지연이 발생하여, 관련업체의 업무처리에 있어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적서류를 이용한 물류비용 정산은 담당업체 개별적으로 수작업에 의한 정산 또는 간단한 프로그램에 의해 정산하게 됨으로써, 미결제 금액이 누락된 채 장부마감이 이루어지거나, 관련업체 간의 정산내역이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특히, 화주의 영업비밀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세구역과 같은 곳에서 화물을 반출하기 위하여는 통관사에 의하여 발급된 수입면장에 대하여 물류업무 하청단계마다 사본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본의 요구시 우편이나 팩스를 이용한 송달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항목 예를들어, 해외거래처, 품명, 규격, 수량, 단가, 금액과 같은 사항이 사본의 전달과정에서 노출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 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선적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유통이력의 확인 및 책임소재를 명확히 함과 아울러, 업무 담당자의 책임한계를 정확히 하여 물류업무의 책임있는 처리를 도모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물류업무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거래처 간의 불편한 증빙서류 교환 및 교환절차를 최소화하고, 업무처리에 필요한 서류의 편리한 발급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산 작업의 자동화 및 공동정산을 통한 정산 오류, 누락 및 분쟁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국제무역거래에서 항공사 또는 선박회사가 상기 수출국의 상품판매자로부터 수출상품의 선적의뢰를 받아 상기 수입국의 상품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국제운송증권의 항공화물운송장(AWB : Airway Bill) 또는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과 수출국의 상품판매자가 수입국의 상품구매자에게 발행하는 송품장(Commercial Invoice)을 포함하는 선적서류; 상기 선적서류와 관련하여 상기 수출국의 상기 상품판매자인 수출화주와 상기 수입국의 상기 상품구매자인 수입화주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항공화물운송장(AWB)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마스터선하증권(Master B/L) 및 마스터화물인도지시서(Master D/O; Delivery Order)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선박회사, 하우스선하증권(House B/L) 및 하우스 화물인도지시서(House D/O)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포워더, 수출통관 및 수입통관의 업무를 처리하는 통관사, 수출입화물 및 내국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는 화물차운송사,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는 하역업자, 컨테이너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 컨테이너야드(CY), 컨테이너화물을 제외한 일반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 보세창고(CF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류업체; 상기 수출입화주의 화물에 대한 물류업무처리를 위하여 상기 물류업체의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선적서류를 자사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발주처, 상기 자사가 제공한 물류비용전표를 인용하고 상기 자사에게 물류비용을 제공하는 청구처, 상기 자사로부터 상기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고 상기 물류비용을 영수한 후 물류업무처리정보와 상기 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자사에 제공하는 하불처로 구성되는 다중거래처에 대하여; 상기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물류업체들 중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사의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위해 전자 업무요청서 및 전자 업무처리표를 제공하고 상기 물류비용 정산업무를 위해 전자장부 형태의 전자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회원사들이 구비하는 회원사 단말들; 상기 회원사 단말들과 데이터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상기 회원업체로부터 입력되고, 자사코드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정보, 수출입상품정보, 계정과목정보, 업체정보, 업무담당자정보, 차량정보, 선박 및 항공기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초정보, 상기 수출국의 선적요청정보, 선적예약정보, 수출통관정보, 운송요청정보, 운송배차정보, 콘솔요청정보, 콘솔작업정보, 입출고요청정보, 입출고정보, 적하요청정보, 적하작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출화물 물류업무정보 및 상기 수입국의 양하요청정보, 양하작업정보, 화물인도지시서(D/O; Delivery Order)발행요청정보 및 발행정보, 수입통관요청정보, 수입통관정보, 입출고요청정보, 입출고정보, 운송요청정보 및 운송배차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입화물 물류업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하불처에게 위탁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상기 전자업무요청서를 생성하고, 상기 하불처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생성하거나, 상기 발주처로부터 위탁받은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상기 전자업무처리표 및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에 따른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전자물류비용전표 내역, 물류비용 정산결과, 전자물류비용정산서, 전자세금계산서 처리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수출비엘(B/L)정산표 또는 전자수입비엘(B/L)정산표를 생성하여, 상기 자사등록정보 및 사원정보등록에 따라 로그인 된 상기 회원사 단말에 상기 전자업무요청서, 상기 전자업무처리표, 상기 전자수출비엘(B/L)정산표 및 상기 전자수입비엘(B/L)정산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사코드정보는 국가코드, 식별번호 및 자사고유부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사코드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각 회원사 단말에 대해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자사의 물류업무를 처리한 자사담당자 정보를 상기 거래처 단말에 전달, 상기 거래처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거래처실무자 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상기 자사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발주처의 단말에 전달, 상기 자사에 의하여 물류비용이 정산되어 생성되는 상기 물류비용전표, 상기 물류비용정산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청구처의 단말에 전달,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및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물류비용이 정산되어 생성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 상기 전자물류비용정산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는, 상기 수출화주로부터 상기 수출화물의 선적업무를 의뢰받아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 간의 상기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수출화물 물류업무처리정보와, 상기 수입화주로부터 상기 수입화물의 입항업무 및 입출고업무를 의뢰받아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 간의 상기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수입화물 물류업무처리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출화물 업무처리정보는, 상기 수출화주가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원사 단말에 제공하는 선적요청정보, 상기 선적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선적예약처리정보, 상기 수출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가 상기 하불처인 상기 통관사의 단말에 제공하는 수출통관요청정보, 상기 수출통관요청에 따라 상기 통관사의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수출통관업무 정보,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선적을 위하여 상기 하불처인 상기 화물차 운송사의 단말로 전달되는 운송요청정보, 상기 운송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차운송사의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운송배차업무정보, 상기 포워더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보세창고의 단말로 전달되는 콘솔요청정보, 상기 콘솔요청에 따라 상기 보세창고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콘솔작업정보, 상기 항공사 또는 상기 선박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적하요청정보, 및 상기 적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에서 생성되는 적하작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입화물 업무처리정보는, 상기 항공사 또는 상기 선박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양하요청정보, 상기 양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양하작업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는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요청정보, 상기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생성되는 화물인도지시서발행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통관사의 단말로 전달되는 수입통관요청정보, 상기 통관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통관사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수입통관업무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컨테이너야드 또는 상기 보세창고의 단말로 전달되는 입출고요청정보, 상기 입출고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야드 또는 상기 보세창고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입출고업무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화물차운송사 단말로 전달되는 운송요청정보 및 상기 운송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차운송사의 단말로 부터 생성되는 운송배차업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자사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발주처의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하불처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제공된다.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는 상기 자사가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매출전표; 상기 하불처가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청구하는 물류비용을 자사가 대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대납전표; 상기 자사가 상기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매입전표; 및 상기 하불처가 아닌 제3자가 상기 자사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청구하는 물류비용을 하불처가 대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대납전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매출전표, 상기 전자대납전표 및 상기 전자매입전표는 상기 물류비용요율표정보에 등록된 물류비용단가에 따라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상기 물류업무의 처리 후 생성된다.
상기 전자매출전표는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가 상기 수출화물의 상기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선적료;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가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D/O발행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D/O료; 상기 통관사가 상기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통관료; 상기 화물차운송사가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배차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운송료; 상기 컨테이너야드(CY)가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CY료; 상기 보세창고(CFS)가 상기 수출화물의 콘솔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창고료; 및 상기 하역업자가 상기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하역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매입전표는 상기 수출화물의 상기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한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인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선적료;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D/O발행업무를 처리한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인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D/O료; 상기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한 통관사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통관료;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배차업무를 처리한 화물차운송사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운송료;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컨테이너야드(CY)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CY료; 상기 수출화물의 콘솔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보세창고(CFS)에게 지급하는 매입창고료; 및 상기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한 하역업자에게 지급하는 매입하역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물류비용전표 내역은 상기 자사가 작성하는 상기 전자매출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매출액과 상기 자사가 대납하는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대납금의 정산전도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불처가 작성하는 상기 전자매입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매입액과 상기 하불처가 대납하는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하불처대납금의 정산하불금을 포함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정산전도금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청구처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정산하불금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한다.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물류비용 정산결과로 상기 자사매출액의 상기 전자매출전표와, 상기 자사대납금 중에서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할 받을관세의 상기 전자대납전표와, 상기 자사대납금 중에서 받을관세를 제외한 받을대납금의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정산전도금을 산출하여 전자청구처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자사매입액의 상기 전자매입전표와, 상기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할 하불관세의 상기 전자대납전표와, 상기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하불관세를 제외한 하불대납금의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정산하불금을 산출하여 전자하불처원장을 생성한다.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기준은 상기 업체정보에서 설정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작성일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전송수신처,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전송시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승인방법,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승인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는 상기 자사가 작성한 상기 전자매출전표에서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발행하는 전자매출세금계산서, 상기 자사가 작성한 상기 전자대납전표에서 상기 하불처 또는 제3자가 공급자로 표시되고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표시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를 청구처에게 제공하는 전자대납세금계산서, 상기 하불처가 작성한 상기 전자매입전표에서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자사를 공급받는자로 발행되는 전자매입세금계산서,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작성된 상기 전자대납전표에서 상기 하불처 또는 제3자가 공급자로 표시되고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표시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를 상기 자사에게 제공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매출세금계산서 또는 상기 자사가 상기 청구처에게 제공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의 상기 업무처리기준은 상기 청구처에 의해 설정되어 상기 청구처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전달되고, 상기 전자매입세금계산서 또는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상기 자사에게 제공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의 상기 업무처리기준은 상기 자사에 의해 설정되어 상기 자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화물유통이력의 확인 및 책임소재를 명확히 함과 아울러, 업무 담당자의 책임한계를 정확히 하여 물류업무의 책임있는 처리를 도모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물류업무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다중 거래처 간의 불편한 증빙서류 교환 및 교환절차를 최소화하고, 업무처리에 필요한 서류의 편리한 발급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산 작업의 자동화 및 공동정산을 통한 정산 오류, 누락 및 분쟁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다중거래처의 선하증권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의 일례에 다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류업무 처리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다중거래처에게 업체코드로 제공되는 자사코드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자사의 부서현황을 관리하는 조직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사원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사원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자사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물류비용전표에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5는 물류비용 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9는 선박회사 및 포워더가 수출화물과 수입화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선적료요율표 및 D/O비용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수입화물의 물류업무처리가 지연되어 프리타임(Free Time)이경과된 선사체화로 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통관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통관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운송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운송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항공사의 항공화물 및 선박회사의 선박화물의 하역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하역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컨테이너야드(CY)가 컨테이너화물의 입출고 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CY비용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는 보세창고(CFS)가 컨테이너화물을 제외한 일반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창고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 내지 도 19는 상품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16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은 《상품목록》에서 상품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8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단가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9는 상품단가표의 상품등록정보에서 상품단가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0 내지 도25은 업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0은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관련된 《물류거래처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1은 《물류거래처목록》에서 발주처로부터 물류업무처리를 위임받은 수출입화주에 대하여 수출입화주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2는 수출입화주등록에서 하불처의 물류하청업무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3은 수출입화주등록의 발주처지정에서 발주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4는 수출입화주등록의 청구처지정에서 청구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5는 수출입화주등록의 하불처지정에서 하불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6 내지 도 27는 업무담당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6은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자사의 《업무담당자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7은 《업무담당자목록》에서 업무담당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8 내지 도 29는 상품재고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8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재고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9는 수출입화주의 회원가입시 《상품재고목록》에서 재고상품의 원시재고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0 내지 도 34는 송품장(상업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0은 수출입화주가 상품을 수출하기 위한 《상업송장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1은 《상업송장목록》에서 수출상품의 송품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2는 송품장에서 포장번호 및 포장갯수를 지정하는 포장명세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3은 송품장의 포장명세표에서 포장별품목배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4는 송품장 포장명세표의 포장별품목배정표에서 품목별판매량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5 내지 도 38은 선적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5는 수출화주가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수출상품의 선적을 요청하는 《선적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6은 《선적요청목록》에서 선적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7은 《선적요청목록》의 선적요청서에서 컨테이너배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8은 《Booking목록》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선적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선적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9 내지 도 42는 콘솔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9는 포워더가 보세창고에게 컨테이너의 콘솔작업을 요청하는 《콘솔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0은 《콘솔요청목록》에서 콘솔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1은 포워더가 콘솔컨테이너의 SPACE를 제3자의 포워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솔SPACE공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2는 《콘솔SPACE공개목록》에서 콘솔SPACE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3 내지 도 45는 B/L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3은 발주처로부터 수입화물의 물류업무처리를 위임받은 B/L정보가 표시된 《수입B/L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4는 《수입B/L목록》에서 선하증권(Bill of Lading)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5는 《수입B/L목록》에서 발주처로부터 받은 종이B/L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B/L정보입력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6 내지 도 48은 D/O(Delivery Order)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6은 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요청하는 《D/O발행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7은 《D/O발행요청목록》에서 D/O발행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8은 《D/O발행목록》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D/O발행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D/O비용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9 내지 도 51은 수출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9는 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통관사에게 수출통관업무를 요청하는 《수출통관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0은 《수출통관요청목록》에서 수출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1은 《수출통관목록》에서 통관사가 수출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수출통관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2 내지 도 55는 수입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2는 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통관사에게 수입통관업무를 요청하는 《수입통관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3은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4는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관세 대납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5는 《수입통관목록》에서 통관사가 수입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수입통관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6 내지 도 59는 컨테이너(FCL)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6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컨테이너운송사에게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요청하는 《FCL운송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7은 《FCL운송요청목록》에서 FCL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8은 《FCL운송요청목록》의 FCL운송요청서에서 운송FCL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9는 《FCL운송목록》에서 운송사가 FCL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FCL운송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0 내지 도 64는 트럭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0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트럭운송사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운송업무를 요청하는 트럭운송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1은 《트럭운송요청목록》에서 트럭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2는 《트럭운송목록》에서 트럭운송배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3은 《트럭운송목록》의 운송배차표에서 차량별화물적재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4는 《트럭운송목록》에서 트럭운송사가 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트럭운송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5 내지 도 67은 하역(적하 또는 양하)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5는 선박회사가 하역회사에게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요청하는 《하역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6은 《하역요청목록》에서 수입화물의 양하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7은 《하역작업목록》에서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양하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8 내지 도 72는 컨테이너(FCL)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8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컨테이너야드(CY)에게 컨테이너 출고업무를 요청하는 《FCL출고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9는 《FCL출고요청목록》에서 FCL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0은 《FCL출고요청목록》의 FCL출고요청서에서 출고컨테이너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 71은 《FCL출고요청목록》의 FCL출고요청서에서 컨테이너별 출고요청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2는 《FCL출고목록》에서 컨테이너야드(CY)가 FCL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FCL출고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3 내지 도 78은 보세창고(CFS)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73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보세창고(CFS)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출고업무를 요청하는 《CFS출고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4는 《CFS출고요청목록》에서 CFS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5는 《CFS출고요청목록》의 CFS출고요청서에서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6은 《CFS출고목록》에서 출고상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7은 《CFS출고목록》의 CFS출고상차표에서 차량별 화물적재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8은 《CFS출고목록》에서 보세창고(CFS)가 CFS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CFS출고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9 내지 도 80은 수출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79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의 Booking업무처리, 통관사의 수출통관업무처리, 운송사의 운송업무처리, 하역회사의 적하업무처리, 컨테이너야드(CY)의 출고업무처리, 보세창고(CFS)의 콘솔업무처리에서 발생되는 매출전표와 물류업무요청자의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되어 수출비용을 정산하는 《수출B/L정산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0은 《수출B/L정산목록》에서 수출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1 내지 도 82는 수입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81은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의 D/O발행업무처리, 통관사의 수입통관업무처리, 운송사의 운송업무처리, 하역회사의 양하업무처리, 컨테이너야드(CY)의 출고업무처리, 보세창고(CFS)의 출고업무처리에서 발생되는 매출전표와 물류업무요청자의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되어 수입비용을 정산하는 《수입B/L정산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2는 《수입B/L정산목록》에서 수입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3은 《수출B/L정산목록》 및 《수입B/L정산목록》에서 물류비용견적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4는 《수출B/L정산목록》 및 수입B/L정산목록》에서 물류비용정산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5 내지 도 92은 물류비용장부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85는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물류비용전표가 표시되는 《물류거래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6은 《물류거래장》에서 물류비용의 미결제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7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견적하불금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8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할 견적전도금영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9는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정산하불금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0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할 정산전도금영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1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의 견적하불금지급 또는 정산하불금지급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물류비용의 출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2는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의 견적전도금영수 또는 정산전도금영수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한 물류비용의 입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3 내지 도 95는 전자세금계산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93은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운송사, 하역회사, 컨테이너야드(CY), 보세창고(CFS)등의 물류업체가 《업무처리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매출전표에서 생성되는 매출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4는 수출입화주 또는 업무요청자가 《업무요청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물류업체로부터 수취한 매입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5는 수출입화주 또는 업무요청자가 《업무요청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물류업체로부터 수취한 대납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6은 자사의 자산과 부채 및 일반관리비의 입출금전표가 표시되는 《일계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7은 자사견적서의 견적전도금, 자사정산서의 정산전도금, 하불처견적서의 견적하불금, 하불처정산서의 정산하불금, 일계장의 입출금전표가 표시되는 《입출금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8 내지 도99는 업무처리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98은 업무요청업체의 담당자와 업무처리업체의 담당자 상호간의 《메세지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9는 《메세지목록》의 업무처리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류업무 처리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다중거래처에게 업체코드로 제공되는 자사코드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자사의 부서현황을 관리하는 조직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사원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사원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자사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물류비용전표에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5는 물류비용 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9는 선박회사 및 포워더가 수출화물과 수입화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선적료요율표 및 D/O비용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수입화물의 물류업무처리가 지연되어 프리타임(Free Time)이경과된 선사체화로 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통관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통관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운송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운송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항공사의 항공화물 및 선박회사의 선박화물의 하역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하역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컨테이너야드(CY)가 컨테이너화물의 입출고 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CY비용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는 보세창고(CFS)가 컨테이너화물을 제외한 일반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창고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 내지 도 19는 상품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16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은 《상품목록》에서 상품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8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단가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9는 상품단가표의 상품등록정보에서 상품단가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0 내지 도25은 업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0은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관련된 《물류거래처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1은 《물류거래처목록》에서 발주처로부터 물류업무처리를 위임받은 수출입화주에 대하여 수출입화주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2는 수출입화주등록에서 하불처의 물류하청업무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3은 수출입화주등록의 발주처지정에서 발주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4는 수출입화주등록의 청구처지정에서 청구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5는 수출입화주등록의 하불처지정에서 하불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6 내지 도 27는 업무담당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6은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자사의 《업무담당자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7은 《업무담당자목록》에서 업무담당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8 내지 도 29는 상품재고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8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재고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9는 수출입화주의 회원가입시 《상품재고목록》에서 재고상품의 원시재고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0 내지 도 34는 송품장(상업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0은 수출입화주가 상품을 수출하기 위한 《상업송장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1은 《상업송장목록》에서 수출상품의 송품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2는 송품장에서 포장번호 및 포장갯수를 지정하는 포장명세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3은 송품장의 포장명세표에서 포장별품목배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4는 송품장 포장명세표의 포장별품목배정표에서 품목별판매량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5 내지 도 38은 선적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5는 수출화주가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수출상품의 선적을 요청하는 《선적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6은 《선적요청목록》에서 선적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7은 《선적요청목록》의 선적요청서에서 컨테이너배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8은 《Booking목록》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선적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선적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9 내지 도 42는 콘솔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9는 포워더가 보세창고에게 컨테이너의 콘솔작업을 요청하는 《콘솔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0은 《콘솔요청목록》에서 콘솔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1은 포워더가 콘솔컨테이너의 SPACE를 제3자의 포워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솔SPACE공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2는 《콘솔SPACE공개목록》에서 콘솔SPACE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3 내지 도 45는 B/L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3은 발주처로부터 수입화물의 물류업무처리를 위임받은 B/L정보가 표시된 《수입B/L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4는 《수입B/L목록》에서 선하증권(Bill of Lading)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5는 《수입B/L목록》에서 발주처로부터 받은 종이B/L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B/L정보입력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6 내지 도 48은 D/O(Delivery Order)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6은 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요청하는 《D/O발행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7은 《D/O발행요청목록》에서 D/O발행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8은 《D/O발행목록》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D/O발행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D/O비용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9 내지 도 51은 수출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9는 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통관사에게 수출통관업무를 요청하는 《수출통관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0은 《수출통관요청목록》에서 수출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1은 《수출통관목록》에서 통관사가 수출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수출통관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2 내지 도 55는 수입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2는 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통관사에게 수입통관업무를 요청하는 《수입통관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3은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4는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관세 대납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5는 《수입통관목록》에서 통관사가 수입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수입통관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6 내지 도 59는 컨테이너(FCL)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6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컨테이너운송사에게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요청하는 《FCL운송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7은 《FCL운송요청목록》에서 FCL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8은 《FCL운송요청목록》의 FCL운송요청서에서 운송FCL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9는 《FCL운송목록》에서 운송사가 FCL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FCL운송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0 내지 도 64는 트럭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0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트럭운송사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운송업무를 요청하는 트럭운송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1은 《트럭운송요청목록》에서 트럭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2는 《트럭운송목록》에서 트럭운송배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3은 《트럭운송목록》의 운송배차표에서 차량별화물적재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4는 《트럭운송목록》에서 트럭운송사가 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트럭운송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5 내지 도 67은 하역(적하 또는 양하)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5는 선박회사가 하역회사에게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요청하는 《하역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6은 《하역요청목록》에서 수입화물의 양하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7은 《하역작업목록》에서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양하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8 내지 도 72는 컨테이너(FCL)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8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컨테이너야드(CY)에게 컨테이너 출고업무를 요청하는 《FCL출고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9는 《FCL출고요청목록》에서 FCL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0은 《FCL출고요청목록》의 FCL출고요청서에서 출고컨테이너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 71은 《FCL출고요청목록》의 FCL출고요청서에서 컨테이너별 출고요청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2는 《FCL출고목록》에서 컨테이너야드(CY)가 FCL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FCL출고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3 내지 도 78은 보세창고(CFS)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73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보세창고(CFS)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출고업무를 요청하는 《CFS출고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4는 《CFS출고요청목록》에서 CFS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5는 《CFS출고요청목록》의 CFS출고요청서에서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6은 《CFS출고목록》에서 출고상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7은 《CFS출고목록》의 CFS출고상차표에서 차량별 화물적재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8은 《CFS출고목록》에서 보세창고(CFS)가 CFS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CFS출고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9 내지 도 80은 수출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79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의 Booking업무처리, 통관사의 수출통관업무처리, 운송사의 운송업무처리, 하역회사의 적하업무처리, 컨테이너야드(CY)의 출고업무처리, 보세창고(CFS)의 콘솔업무처리에서 발생되는 매출전표와 물류업무요청자의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되어 수출비용을 정산하는 《수출B/L정산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0은 《수출B/L정산목록》에서 수출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1 내지 도 82는 수입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81은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의 D/O발행업무처리, 통관사의 수입통관업무처리, 운송사의 운송업무처리, 하역회사의 양하업무처리, 컨테이너야드(CY)의 출고업무처리, 보세창고(CFS)의 출고업무처리에서 발생되는 매출전표와 물류업무요청자의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되어 수입비용을 정산하는 《수입B/L정산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2는 《수입B/L정산목록》에서 수입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3은 《수출B/L정산목록》 및 《수입B/L정산목록》에서 물류비용견적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4는 《수출B/L정산목록》 및 수입B/L정산목록》에서 물류비용정산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5 내지 도 92은 물류비용장부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85는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물류비용전표가 표시되는 《물류거래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6은 《물류거래장》에서 물류비용의 미결제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7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견적하불금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8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할 견적전도금영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9는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정산하불금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0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할 정산전도금영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1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의 견적하불금지급 또는 정산하불금지급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물류비용의 출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2는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의 견적전도금영수 또는 정산전도금영수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한 물류비용의 입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3 내지 도 95는 전자세금계산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93은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운송사, 하역회사, 컨테이너야드(CY), 보세창고(CFS)등의 물류업체가 《업무처리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매출전표에서 생성되는 매출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4는 수출입화주 또는 업무요청자가 《업무요청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물류업체로부터 수취한 매입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5는 수출입화주 또는 업무요청자가 《업무요청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물류업체로부터 수취한 대납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6은 자사의 자산과 부채 및 일반관리비의 입출금전표가 표시되는 《일계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7은 자사견적서의 견적전도금, 자사정산서의 정산전도금, 하불처견적서의 견적하불금, 하불처정산서의 정산하불금, 일계장의 입출금전표가 표시되는 《입출금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8 내지 도99는 업무처리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98은 업무요청업체의 담당자와 업무처리업체의 담당자 상호간의 《메세지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9는 《메세지목록》의 업무처리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출입상품의 수출 및 수입에 따른 선적서류의 처리와 그에 따른 물류비용의 정산을 위한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과 프로그램은 물류업무처리에 관여하는 여러 업체들이 하나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각자의 장부를 통해 자사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장부의 기재사항 중 관련업체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물류업무 처리의 신속성,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과 프로그램은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서버에 접근하여 업무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회원사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은 컴퓨터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각종 단말들,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의 휴대단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의 연결에 의해 물류업무처리가 가능한 단말들을 포함한다. 이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광학디스크, 착탈식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다양한 단말에 연결됨으로써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물류업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정의를 선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선적서류(B/L 및 송품장)는 국제운송화물에 대해 선박회사 또는 항공사가 발행하는 화물운송증권(B/L)과 송품장(Invoice)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물류비용 및 물류업무는 이러한 선적서류를 이용하여 상품을 수입/수출하는 일련의 과정에 소용되는 비용 및 업무처리를 의미한다. 물류비용은 상품의 수출/수입에 소용되는 비용(관세, 선적료 또는 D/O(Delivery Order)료, 운송료, 통관료, 하역료, 창고료, CY비용, 검역료, 취급수수료(H/C- Handling Charge), 보수작업비, 검수료, 적하보험료)을 의미한다.
B/L정산표는 선적서류의 업무처리 및 그에 따른 물류비용의 정산업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웹장부 서비스를 의미한다. 회원사들은 B/L정산표를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받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B/L정산표는 회원사단말을 통해 표시장치로 출력되어 회원사의 담당사원에 의해 각종 물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필드를 제공한다. 이 B/L정산표는 입력되는 항목을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물류비용 정산, 물류업무 정보공유, 거래전표의 인용 및 저장에 의해 데이터화하고, 업체간 정보 인용 및 공유를 위해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B/L정산표는 실제적으로 프로그램,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물류처리시스템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B/L정산표는 자동 정산 및 정보제공이 가능한 웹장부라는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며, 구체적인 알고리즘의 수행에 대해서는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B/L정산표는 실제 장부와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웹장부를 가지며, 이들은 입력메뉴에 따라 선택, 생성되어 이용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각종 원장은 B/L정산표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형태의 장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업체는 본 시스템에서 화주와 거래처를 의미한다.
다중거래처는 선적국의 판매자와 수입국의 구매자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를 위하여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통관사, 하역업자, CY업자, 창고업자, 검역회사, 보험회사, 검수회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거래처 상호 간에 청구처와 하불처의 관계를 가지는 거래처들도 자사의 장부(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의 열람이 허용되고, 자사의 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출금전표)의 제공이 가능하다.
수출입화주는 상품을 판매(수출)하거나 구매(수입)을 주로하는 무역업체이다. 발주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물류공급망에서 선적서류(B/L, invoice)를자사에게 제공하면서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거래처이다. 청구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물류공급망에서 물류비용(결제대금)을 자사에게 지불하는 업체이다. 직접수출입을 하는 송하인(Shipper)과 수하인(Consignee)은 발주처와 청구처가 동일하지만 수출입대행관계에 있어서는 수출입대행자가 발주처이고 수출입위탁자가 청구처로 표시된다. 하불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물류공급망에서 자사로부터 선적서류와 물류빙용을 제공받고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는 업체이다.
거래처는 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를 의미한다. 업체는 수출입화주와 걸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를 합하여 업체라고 한다. 하청단계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선적서류가 제공되는 하청관계(예 송하인→포원더→통관사→운송사→창고)에 있어, 포워더가 자사일 때 송하인이 발주처이고 통관사는 하불처가 되고, 통관사가 자사일 때 포워더가 발주처이고 운송사는 하불처가 되며, 운송사가 자사 일 때 통관사가 발주처이고 창고는 하불처가 된다. 회원사는 본시스템 회원가입하여 로그인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업체(수출입화주, 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이다.
받을관세는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의 금액이다. 받을대납금은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의 금액이다. 자사대납금은 하불처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서 제3자(수출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발행된 세금계산서의 “합계금액”이며 자사가 하불처에게 대납한 금액으로서 청구처로부터 받을 돈이다. 정산전도금은 받을관세와 받을대납금의 합계금액(자사대납금)에 자사매출액이 합산된 금액이다. 하불관세는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관세”의 금액이다. 하불대납금은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의 금액이다. 하불처대납금은 하불처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서 제3자(수출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발행한 세금계산서의 “합계금액”이며 자사를 위하여 하불처가 대납한 금액으로서 자사가 하불처에게 지급할 돈이다. 정산하불금은 하불관세와 하불대납금의 합계금액(하불처대납금)에 자사매입액이 합산된 금액이다. 받은전도금은 청구처로부처 수령한 “정산전도금”이다. 지급하불금은 하불처에게 지급한 “정산하불금”이다. 청구처원장은 자사의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에서 자사매출액(매출전표)과 자사대납금(대납전표)이 표시된 후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의 《물류거래장》에서 “청구처원장”이 생성된다. 하불처원장은 하불처의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에서 “하불처”가 자사매출액(매출전표)과 자사대납금(대납전표)을 입력한 후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의《물류거래장》에서 “하불처원장”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인용"은 다른 전표, 표 등에 기록된 항목을 회원의 단말에서 작성되는 전표, 표, 등록 정보와 같은 항목에 불러오는 것을 의미한다. 인용은 권한 설정에 의해 허가된 회원에게만 전달되며, 자사의 경우 청구처의 정보를 인용하고, 하불처의 경우 자사의 정보를 인용할 수 있으며, 자사의 경우 청구처와 하불처의 정보를 인용할 수 있다.
"제공"은 회원의 단말에서 작성된 표, 전표, 등록 정보의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다른 회원의 단말 또는 회원의 전표, 표, 등록 정보에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허가된 회원에게만 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용과 제공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과 각 단말 사이에 이루어지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의해 한 회원사의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다른 회원의 단말로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각종 전표, 내역서, 처리표, 각종 서류는 컴퓨터 단말을 통해 처리가능한 전자문서 형태로 제공되며, 회원사는 각 단말에 연결된 프린터와 같은 부가장치에 의해 실물로 출력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전자전표 또는 전산전표인 것으로 간주하여 상세한 설명을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하증권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의 일례에 다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 인증시스템(130), 이동통신시스템(150), 회원사단말(170) 및 데이터통신망(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전자장부 형태의 B/L정산표를 회원사단말들(17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B/L정산표의 제공, 항목 입력에 따라 데이터처리를 위한 B/L서버(111)와 B/L서버(111)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B/L 데이터베이스(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회원자격으로 등록된 회원사단말(170)에 대해 물류업무처리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회원사단말(170) 간의 권한 제한,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전자정산서류의 자동생성 및 항목인용에 의한 자동작성, 알림장/팝업창과 같은 전자페이지에 의한 정보 및 필요서류의 제공, 보안인증에 의한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 설정에 따른 업무 분장이 가능한 전자B/L정산표를 각 회원사단말들(170)에 제공한다. 특히,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이러한 B/L정산표를 통합된 전자장부의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회원사 및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설정 및 인증을 위한 인증시스템(130), 실시간 정보 전달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회원사단말(170)과 데이터 통신망(19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B/L정산표는 상품의 수입 및 수출을 위한 물류처리 과정에 필요한 각종 장부 및 서류의 작성과 발급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장부이다. 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B/L정산표는 거래처원장, 세금계산서, 일계장, 배차표, 운송장, 각종 전표의 작성 및 발급 외에도, B/L정산표를 이용하는 회원사의 회원정보, 회원사의 담당자 정보 및 권한, 회원사의 개별적인 회계결산, 상호 거래처를 형성하는 회원사 간의 정보 공유와 같은 회계관련 업무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장부이다. 이러한 B/L정산표는 회원사들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 및 접속과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개발 및 이용이 가능하며, 반드시 웹페이지 형태로 이용이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B/L서버(111)와 B/L 데이터베이스(116)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B/L 데이터베이스(116)에는 B/L정산표의 실행을 위한 실행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B/L데이터베이스(116)에는 회원사들이 B/L정산표를 통해 물류업무처리를 처리하도록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B/L물류업무 처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정보와 회원사들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업무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원사들의 회원가입 정보는 회원사 각각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별도로 회원가입 정보와 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구분하여 설명하지는 않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정보는 전자B/L정산표 즉,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의 이용 및 물류처리를 위한 기본정보, 물류처리에 필요한 권한 및 설정이 저장되는 설정정보, 실제적인 물류처리에 있어서 회원사들로부터 입력되는 물류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제로,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되는 B/L정산표의 입력필드에 회원사들이 회원사단말들(170)을 통해 입력되는 모든 내용은 B/L데이터베이스(160)에 데이터로 저장된다. 일례로 B/L데이터베이스(116)에는 회원사별정보, 장부 및 전표데이터, 품목정보, 수출입상품정보, 단가 정보, 계정과목 정보, 회원사별 거래업체 정보, 운송차량 정보와 같은 정보들이 저장되어 유지된다.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대표적인 항목의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원사별정보는 회원사 자사의 업체정보, 자사의 거래처 정보, 자사에서 거래처에 제공할 정보 및 거래처로부터 인용할 정보에 대한 설정정보, 회원사별 담당자의 정보와 같은 회원사 관련정보이다. 장부 및 전표데이터는 회원사별로 관리되는 정보로써, 회원사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등록된 이후에 처리한 장부와 물류처리에 따라 발생한 전표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이러한 장부 및 전표 정보는 일정기간 예를 들어 세무조사 대상이 되는 5년 동안의 데이터가 전부 보관이 되며, 일정 기간이 지난 장부는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의해 자동으로 장부잔액이 이월되면서 삭제된다. 또한, 품목정보는 회원사가 처리하는 물류품목 및 품목에 따른 요율표정보가 저장된다. 물류품목은 회원사가 담당하는 물류처리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운송, 통관, 보관, 검역, 하역과 같은 항목이 입력된다. 요율표는 자사가 청구처 또는 하불처에 자사의 품목에 따라 요청하는 요금이 기재된 것으로, 거래처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자사요율표와 특정 업체별로 적용되는 업체요율표를 포함한다. 계정과목정보는 정산이 필요한 항목, 장부에 관한 정보이다. 계정과목정보는 크게 거래장 계정, 일계장과 같은 대분류와 이에 따라 부속장부를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물류거래장과 상품거래장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계정과목정보는 시스템 계정과목정보와 사용자 계정과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스템 계정과목은 회원사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회원사에 의한 삭제 및 수정이 불가능하고, 사용자 계정과목은 회원사 각각의 고유한 계정으로써 회원사에 의한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한 항목이다.
특히,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는 회원사들 간 물류업무의 용이한 처리를 위해 기초정보, 물류업무처리정보가 등록되어 관리된다.
기초정보는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을 이용하여 물류업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본정보로써, 자사코드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 수출입상품, 계정과목, 업무담당자, 차량정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사코드정보는 물류업무처리스스템(110)에 가입된 회원사들을 구분하기 위한 업체코드로써 전산상에서 자사를 대표함과 아울러, 거래처 간의 업체구분을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사원정보 및 업무정보는 물류업무를 담당하거나 관리하는 사원들의 정보 및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물류업무 처리에 있어서 책임 및 한계를 설정하여 작성되는 정보이다. 이외에 물류비용요율표, 수출입상품, 계정과목 정보는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물류업무처리정보는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로써, 수출화물 물류정보와 수입화물물류정보를 포함한다.
수출화물 물류정보는 선적요청, 선적예약, 수출통관, 운송요청, 운송배차, 콘솔요청, 콘솔작업, 입출고요청, 입출고, 적하와 관련된 정보이며, 수출화물의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정보이다.
수입화물 물류정보는 양하, 양하작업, 화물인도지시서, 수입통관, 입출고 및 운송과 관련된 정보이며 수입화물의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기본정보이다.
이러한 물류업무처리정보는 기초정보와 함께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정보로 사용되며, 이들 물류업무처리정보와 기초정보에는 전자장부명, 업무담당자, 거래처구분, 업체코드, 자사코드, 인용 및 정보 전달을 위한 장부협조관계와 같은 업무처리를 위한 정보와 함께 각 단계별 요청, 작업 및 작업의 종료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장부, 전자전표, 전자세금계산서, 요청서와 같은 각종 정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기초정보와 물류업무처리정보는 거래처의 관계에 따라 자동 인용, 자동 전달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수출입 물류업무의 거래처간에는 용이한 전자장부의 생성, 비용처리를 포함한 물류업무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접속하는 회원사단말들(170) 각각에서 작성된 전자B/L정산표를 비롯한 각종 전자장부 및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정보들을 필요로하는 회원사단말(17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회원사단말(170)로부터 작성되는 전자장부, 설정정보,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제공받아 유지, 관리 및 갱신하는 역할을 한다.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회원자격으로 등록된 회원사단말(170)에 대해 물류업무처리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회원사단말(170) 간의 권한 제한,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정산서류의 자동생성 및 항목인용에 의한 자동작성, 알림장/팝업창과 같은 전자페이지에 의한 정보 및 필요서류의 제공, 보안인증에 의한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 설정에 따른 업무 분장이 가능한 전자B/L정산표를 각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하는 주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는 일반적인 회원사관리 외에 B/L정산표를 이용한 장부 또는 전표의 자동작성, 입력된 전표 또는 업무처리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회원사의 접속 또는 회원사 담당자의 접속에 따른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B/L정산표를 통해 B/L정산표의 입력항목별로 제공되는 알림창 또는 팝업창을 통해 지정된 회원사단말(170)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B/L서버(111)는 B/L정상표를 통해 지정된 기간이 도래한 장부, 전표와 같은 데이터를 정산하여 이월함과 아울러, 정산된 데이터를 삭제한다. 또한, B/L서버(111)는 물류업무처리 과정에서 회원사 단말의 요청 또는 미리 정의된 절차에 따라 알림장 또는 팝업창을 통해 관련 회원사에 물류처리에 소요되는 서류를 제공한다. 특히, B/L서버(111)는 B/L정산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정보 인용, 정보제공 설정에 따라 청구처 또는 하불처에서 작성된 장부 내용을 인용하여 하불처 또는 청구처의 장부에 자동기재하여 회원사간의 공유 업무를 통합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B/L정산표를 통해 회원사들 상호간에 전표(매출, 매입, 출금, 입금)를 제공하고, 청구처 원장 또는 하불처 원장의 열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 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과 같은 공통장부를 제공한다. 이 B/L서버(111)는 장부 또는 전표의 기재정보를 팝업창 또는 알림창을 통해 지정된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하는 것 외에도, 지정된 휴대단말 번호로 미리 설정된 항목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B/L서버(111)는 데이터통신망(19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시스템(150)에 연결되며, 이동통신시스템(150)의 단문문자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rvice)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항목의 정보를 지정된 연락처의 휴대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B/L서버(111)는 B/L정산표에 입력되는 사항 중 공통업무에 관한 사항 또는 일반적인 절차를 따르는 업무에 관한 항목 또는 장부를 자동입력하거나 자동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시스템 계정과목에서 전표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작성된 전표에 미리 설정된 물류비용요율표(자사요율표 및 업체요율표)에 따라 항목을 자동으로 기재하여 전표를 작성하고, 이를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인증시스템(13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의 요청에 따라 회원사단말(170)을 통해 제공되는 공인인증정보와 미리 저장된 공인인증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사의 담당자를 인증하고, 인증성공여부를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전달한다.
이동통신시스템(15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의 요청에 따라,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서 지정한 이동통신번호의 휴대단말기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서 제공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회원사단말(170)은 회원사의 담당자가 B/L정산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과 연결된다. 이러한 회원사단말(17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을 통해 회원으로 등재된 업체의 단말로써, 컴퓨터, PDA를 비롯한 데이터처리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회원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의 수출입에 따른 물류업무에 관계하는 회사로써 서로 거래처를 형성하는 회사들이다. 이러한 회원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출입화주(171), 항공사(172), 선박회사(173), 포워더(174), 화물운송사(175, 운송주선업자(176) 포함), 통관사(177), CY(Container Yard)업자(178), 하역업자(179)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검역회사(180), 보험회사(181), 창고업자(183) 및 기타 물류업무에 관계하는 업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회원사를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운송사, 하역회사, 컨테이너야드 및 보세창고의 8곳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회원사들은 각자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접속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B/L정산표는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웹페이지 형태의 B/L정산표는 회원사의 담당자가 지정된 단말 즉,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가 아닌 임의의 단말을 통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업무의 특성상 지정된 위치에 있는 시간보다 외근 위주의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의 경우 필요한 경우에만 자신의 휴대단말 또는 공용 PC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접속하고, 이를 통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통신망(19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 인증시스템(130), 이동통신 시스템(150) 및 회원사단말(170)이 상호 간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데이터통신망(190)은 인터넷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며, 통신망의 형태는 유선, 무선인 것에 구애되지 않는다.
아울러, 전술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00)의 상세한 역할 및 기능, 회원사단말 간의 관계는 도 2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전술한 설명에서 일부 생략 되었으나, 이후의 설명을 통해 생략되거나 함축된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실제적으로 회원사단말(170)의 표시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B/L정산표의 각 항목별 화면구성의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B/L정산표로 언급되는 전자 장부를 통해 B/L정산업무의 처리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회원사 단말(170)을 비롯한 다양한 시스템과 물리적 접속을 유지하고, 프로그램 구동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B/L서버(111) 및 B/L데이터베이스(116)와 함께, 실제적인 B/L정산업무가 이루어지도록 입력 필드 및 입력된 항목의 처리 알고리즘이 구현된 물류업무 처리프로그램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특히, 회원사단말(170)의 경우 원격지에서 B/L서버(111)에 의해 제공되는 입출력 화면을 제공받는 것으로, 실제적인 B/L정산 프로그램의 구동 및 데이터 저장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B/L서버(111) 나아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의 기능과 B/L정산 프로그램을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류업무시스템의 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하고 참조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시스템의 메뉴구성중 메인메뉴 구분은 메인메뉴를 4종류(기초정보등록, 상품거래목록, 물류업무목록, 정산업무목록)로 대분류 하였다. 상품거래 메뉴는 상품거래 메뉴를 《주문목록》과 《판매목록》으로 세분하였다. 물류거래 메뉴는 물류거래 메뉴를 《업무요청목록》과 《업무처리목록》으로 세분하였다. 정산업무 메뉴는 정산업무 메뉴를 《물류비용정산목록》과 《경리장부》로 세분하였다.
상품거래 메뉴구성에서 주문목록의 상품주문목록은 Buyer(수입자) Shipper(송하인)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작성한 “주문서(P/O)"의 목록이다. 상품구매목록은 Buyer(수입자)가 Shipper(송하인)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수입송품장(상업송장)"의 목록이다.
판매목록의 계약서목록은 Shipper(송하인)과 Buyer(수입자)의 상호간에 상품거래를 위하여 작성된 “거래계약서)의 목록이다. 상업송장목록은 Shipper(송하인)가 Buyer(수입자)에게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작성한 “송품장(상업송장)”의 목록이다. 판매목록은 Shipper(송하인)가 Buyer(수입자)에게 상품을 판매한 “수출송품장(상업송장)”의 목록이다.
물류거래 메뉴구성에서 물류업무목록 구분은 업무요청목록의 경우 선적요청목록, 콘솔요청목록, D/O발행요청목록, 수출통관요청목록, 수입통관요청목록, FCL운송요청목록, 트럭운송요청목록, 하역요청목록, FCL출고요청목록, CFS출고요청목록, 부대업무요청목록으로 구분된다. 업무처리목록은 Booking목록, 콘솔작업목록, D/O발행목록, 수출통관목록, 수입통관목록, FCL운송목록, 트럭운송목록, 하역작업목록, FCL출고목록, CFS출고목록, 부대업무처리목록으로 구분된다.
업무요청목록 구성은 업무요청서 생성의 경우 물류업무 메인메뉴(선적.B/L, 입항.D/O, 통관업무,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 중에서 자사의 업무처리가 불가능하여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하기 위한 “업무요청서(팝업창)”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매입전표 생성의 경우 하불처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발행한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로 표시되어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기 위한 “매입전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대납전표 생성의 경우 하불처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발행한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가 아닌 “제3자(수출화주, 수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로 표시되어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대납하기 위한 “대납전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업무처리목록 구성에서 업무처리표 생성은 물류업무 메인메뉴(선적.B/L, 입항.D/O, 통관업무,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 중에서 발주처로부터 위탁(하청)받은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업무처리표(팝업창)”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매출전표 생성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기 위한 “매출전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정산업무 메뉴구성에서 정산업무목록 구분은 물류비용정산목록은 수출B/L정산목록, 수입B/L정산목록으로, 경리장부는 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 전자세금계산서목록, 입출금장부로 구분된다.
B/L정산목록은 수출B/L정산표 생성의 경우물류업무 메인메뉴(선적.B/L, 입항.D/O, 통관업무,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 중에서 수출업무가 처리되면서 물류비용전표가 집합되어 수출B/L정산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수입B/L정산표 생성은 물류업무 메인메뉴(선적.B/L, 입항.D/O, 통관업무,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 중에서 수입업무가 처리되면서 물류비용전표가 집합되어 수입B/L정산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경리장부의 경우 물류거래장은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거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기장되고 물류비용의 입출금전표(입금전표, 출금전표)를 작성하는 장부이다.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은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거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에 대한 전자세금계산서(매출세금계산서, 매입세금계산서, 대납세금계산서)의 목록이다. 입출금장부는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거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의 물류비용에 대하여 결제되는 입출금전표(입금전표, 출금전표)의 목록이다.
업무요청목록에서 업무요청서 구분은 수출업무요청서의 경우 메인메뉴 중에서 수출업무(선적요청, 콘솔요청, 수출통관요청, 운송요청, 적하요청 등)를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업무요청서의 경우 메인메뉴 중에서 수입업무(양하요청, D/O발행요청, 수입통관요청, 운송요청, 출고요청 등)를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업무요청자의 경우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하불처에게 물류업무를 위탁(하청)하는 업체(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이다.
수출업무요청서는 선적요청서의 경우 수출화주가 하불처(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수출상품의 선적을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콘솔요청서는 포워더가 하불처(보세창고)에게 컨테이너의 콘솔작업을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출통관요청서는 수출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통관사)에게 수출통관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운송요청서는 수출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컨테이너운송사)에게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트럭운송요청서는 수출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트럭운송사)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운송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출고요청서는 선박회사가 컨테이너화물의 본선적하를 위하여 하불처(CY)에게 컨테이너 출고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적하요청서는 선박회사가 하불처(하역회사)에게 수출화물의 적하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업무요청서에서 양하요청서는 선박회사가 하불처(하역회사)에게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D/O발행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D/O발행을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통관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통관사)에게 수입통관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운송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컨테이너운송사)에게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트럭운송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트럭운송사)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운송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출고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CY)에게 컨테이너 출고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CFS출고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보세창고)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출고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업무요청서 발주처의 지정절차는 발주처가 1곳인 경우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 “Buyer(수입자)”에 대한 발주처가 자동지정된다. 발주처가 2곳이상인 경우 “발주처목록()”에서 당해 물류업무에 대한 발주처를 선택(지정)한다. 발주처 신규등록은 “발주처목록()”에서 당해 물류업무에 대한 발주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한다. 발주처 업체코드는 발주처가 회원사인 경우에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발주처 업체코드”가 표시되어야 한다.
업무요청서 하불처의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등록화주(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지정된 “하불처”가 자동표시된다. 하불처 변경에서 변경절차는 “하불처목록()”에서 당해 하청업무를 처리할 하불처를 변경할 수 있다. 하불처 신규등록은 “하불처목록()”에서 당해 하청업무를 처리할 하불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한다. B/L분할의 경우 “분할순번”별로 하불처가 다른 경우에는 “하불처목록()”에서 “분할순번”별로 하불처를 지정한다. 하불처 업체코드에서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6.하불처”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등록된 “업체코드”가 표시된다. 거래정보공유는 하불처의 업체코드가 표시되지 않으면 자사와 하불처 상호간에 업무처리결과에 대한 실시간정보(B/L정보, 입출고정보, 상차지정보, 하차지정보, 배차정보, SMS송수신 등) 및 전표정보(매입전표, 대납전표)를 공유할 수 없으므로 “하불처 업체코드”의 표시여부를 확인한다.
하청업무 지정내역에서 수출업무 하청의 하청업무 기준은 수출업무에 있어서 “선적요청서(팝업창)”는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며, 발주처로부터 물류업무를 일괄처리하는 조건으로 “선적요청업무”를 위탁(하청)받으면 선적업무를 비롯하여 운송업무, 통관업무 등의 물류업무를 일괄처리할 수 있다. 선적요청서(팝업창)의 기본지정은 수출업무에서는 “선적요청서(팝업창)”가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므로 업무제목()에서 선적요청서(팝업창)“을 제외한 다른 “업무제목”을 지정(하청)하지 않더라도 하불처에 의하여 처리되는 모든 “업무제목”이 일괄표시된다.
수입업무 하청의 하청업무 기준은 수입업무에서는 “출고요청서(팝업창)”는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며, 발주처로부터 물류업무를 일괄처리하는 조건으로 “출고요청업무”를 위탁(하청)받으면 출고업무를 비롯하여 운송업무, 통관업무 등의 물류업무를 일괄처리할 수 있다. 출고요청서(팝업창)의 기본지정은 수입업무에서는 “출고요청서(팝업창)”이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므로 업무제목()에서 출고요청서(팝업창)“을 제외한 다른 “업무제목”을 지정(하청)하지 않더라도 하불처에 의하여 처리되는 모든 “업무제목”이 일괄표시된다. 하청업무 확인은 “하청업무제목(팝업창)”을 클릭하여 하불처의 업무처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표생성기준에서 청구처 지정의 지정절차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 “Buyer(수입자)”에 대한 청구처가 자동지정된다. 청구처 신규등록은 “청구처목록()”에서 당해 물류업무에 대한 청구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한다. 청구처 업체코드는 청구처가 회원사인 경우에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청구처 업체코드”가 표시되어야 한다. 업무요청목록 전표생성은 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되는 전표는 3종류(대납전표, 매입전표, 재매출전표)이다. 전표생성기준에서 자동생성은 하불처가 회원사인 경우 하불처에 의하여 작성된 전표가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2종류(매입전표, 대납전표)로 인용되어 자동생성된다. 업무요청목록의 신규작성은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하불처로부터 인용되는 전표정보가 없으면 자사는 《업무요청목록》에서 “신규업무요청서(팝업창)”를 작성한 후 “S.P'kgs(매입전표)” 또는 “총중량(대납전표)”을 클릭하여 “신규전표”를 작성한다. ‘B/L정산표에서 신규작성은 자사가 《업무요청목록》에서 “업무요청서(팝업창)”를 작성하지 못하였거나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하불처로부터 인용되는 전표정보가 없으면 《수입B/L정산목록》→ “수입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전표구분”에서 2종류(매출전표, 대납전표)의 전표를 신규작성한다.
매입전표에서 하불처의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은 자사는 업무요청목록에서 매입전표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하불처지정(팝업창)"→ "5.수입업무 처리기준"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자사"로 지정한다. 매입전표 자동생성은 하불처의 《업무처리목록》→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하불처의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로 지정되면 자사의 《업무요청목록》→ “S.P'kgs(팝업창)”에서 “매입전표”가 생성되면서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자사매입액”에 자동표시된다. 매입전표 신규작성은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하불처로부터 인용되는 전표정보가 없으면 자사는 《업무요청목록》에서 “신규업무요청서(팝업창)”를 작성한 후 “S.P'kgs(팝업창)”을 클릭하여 하불처로부터 받은 종이세금계산서의 거래내역을 직접입력하면 “자사매입액”에 대한 “매입전표”가 신규작성된다.
재매출전표에서 재매출(간접매출)의 정의는 하불처가 자사(공급받는자) 앞으로 발행된 매입세금계산서에 대하여 자사가 청구처(또는 수출입화주) 앞으로 매출세금계산서를 다시 발행하는 “재매출” 또는 “간접매출”이다. 재매출전표 작성은 《업무요청목록》→ “B.P'kgs(팝업창)클릭”→ 매입전표(팝업창)에서 "재매출전표발행(버튼)‘을 클릭하여 “재매출전표(팝업창)”에서 자사의 거래정보와 부합하는 "재매출사항(매출세금계산서)"을 입력하면 "B.P'kgs(팝업창)"에 “신규매출전표”가 생성된다. 재매출전표 수정은 《업무요청목록》의 "B'P'kgs(팝업창)"을 클릭하여 "재매출전표(팝업창)"에서 자사의 "재매출사항(매출세금계산서)"을 수정한다.
대납전표에서 하불처의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은 자사는 업무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하불처지정(팝업창)"→ "5.수입업무 처리기준"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자사" 아닌 “제3자(수출화주, 송하인, 자사의 청구처)”로 지정한다. 대납전표 자동생성은 하불처의 《업무처리목록》→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하불처의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가 아닌 “제3자(수출화주, 수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로 지정되면 자사의 《업무요청목록》→ “총중량(팝업창)”에서 “대납전표”가 생성되면서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하불처대납금”과 “자사대납금”에 자동표시된다. 공급자전표와 대납전표는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자사는 《업무요청목록》→ 총중량(팝업창)→ 대납전표(팝업창)→ “공급자전표(팝업창)”에서 하불처로부터 받은 종이세금계산서의 거래내역을 직접입력하면 하불처대납금 및 자사대납금의 대납전표가 각각 신규작성된다.
전표마감에서 재매출전표는 《업무요청목록》→ 매입전표(팝업창)의 “재매출전표(팝업창)”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전표마감일”이 표시되면서 "B/L정산표"에서도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대납전표는 《업무요청목록》의 대납전표(팝업창)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전표마감일”이 표시되면서 “B/L정산표”에서도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업무처리목록에서 업무처리표 구분은 수출업무처리표의 경우 메인메뉴 중에서 수출업무(Booking업무, 콘솔작업, 수출통관, 운송배차, 본선적하 등)를 자사가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업무처리표는 메인메뉴 중에서 수입업무(본선양하, D/O발행, 수입통관, 운송배차, 출고상차 등)를 자사가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업무처리자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업무처리하는 업체는 “자사”이다.
수출업무처리표에서 Cargo Booking은 발주처(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선적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콘솔작업표는 발주처(포워더)로부터 위탁(하청)받은 콘솔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출통관표는 발주처(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수출통관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운송배차표는 발주처(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트럭운송배차표는 발주처(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트럭운송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출고상차표는 발주처(선박회사)로부터 위탁(하청)받은 FCL출고상차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적하작업표는 발주처(선박회사)로부터 위탁(하청)받은 본선적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업무처리표에서 양하작업표는 발주처(선박회사)로부터 위탁(하청)받은 본선양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Delivery Order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요청받은 D/O발행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통관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수입통관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운송배차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트럭운송배차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트럭운송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출고상차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FCL출고상차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CFS출고상차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CFS출고상차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거래처정보에서 발주처지정은 지정절차의 경우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 “Buyer(수입자)”에 대한 발주처가 지정된다.ⓑ 발주처 신규등록은 발주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발주처목록()”에서 당해 물류업무에 대한 발주처를 “신규등록”한다. 발주처 업체코드는 발주처가 회원사인 경우에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발주처 업체코드”가 표시되어야 한다.
하불처 지정에서 자사의 업무처리는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물류업무”가 자사가 처리할 수 있는 주력업무이면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처리하고 “매출전표(팝업창)”에서 물류비용을 청구한다. 물류업무 재하청은 자사의 업무처리가 불가능하거나 하불처가 미지정된 경우 하불처에게 “재하청”하기 위하여 “업무처리표(팝업창)”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를 “신규지정”한다.
전표생성기준에서 업무처리목록 전표생성은 업무처리목록에서 생성되는 전표는 “물류비용 매출전표” 및 “관세대납전표”이다. 매출전표 생성기준은 자동생성의 경우 자사의 《업무처리목록》→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면 “S.P'kgs(팝업창)”에서 “매출전표”가 생성되면서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자사매출액”에 자동표시된다. ‘B/L정산표에서 신규작성은 《업무처리목록》에서 “업무처리표(팝업창)”를 작성하지 못하였거나 업무처리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수입B/L정산목록》→ “수입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전표구분”에서 매출전표를 신규작성한다. 간이매출(간이영수증매출)은 공급자가 소액의 공급가액에 대하여 세금계산서를 교부하지 않고 “간이영수증”을 교부하는 경우이며 매출전표와 동일한 서식으로 작성되고 세율은 “0%”로 표시된다. 관세대납전표는 통관사(자사)는 《수입통관목록》의 “B.P'kgs(팝업창)”을 클릭하여 “관세대납전표(팝업창)”에서 대납관세를 확인할 수 있다. 전표마감은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팝업창)”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전표마감일”이 표시되면서 B/L정산표에서도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는 ① 하불처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가 자사인 경우는 공급받는자가 “자사”인 경우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매입전표(팝업창)”로 생성된다. 제3자인 경우는 공급받는자가 제3자(자사의 청구처, 수출화주, 수입화주 등)인 경우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팝업창)”로 생성된다.
하불처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 변경을 위해서 자사를 제3자로 변경하는 경우는 하불처가 발행한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자사)를 “제3자”로 변경하면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매입전표(팝업창)”가 “대납전표(팝업창)”로 전환된다."제3자를 자사로 변경하는 경우는 하불처가 발행한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자사의 청구처, 수출화주, 수입화주 등)를 “자사”로 변경하면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팝업창)”가 “매입전표(팝업창)”로 전환된다.
전표수정에서 매출전표의 3개항목(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의 수정은 수정목적의 경우 매출전표 3개항목의 변경은 세금계산서 기재사항의 변경에 목적이 있다. 수정전표 불필요한 경우 매출전표 3개항목은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가 불일치하는 “시재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정전표”를 작성하지 않고 “기존전표”에서 변경되는 항목만 수정하면 된다. 수정사유 중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장과 기존전표의 “적요”란에는 수정항목명칭(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과 수정사유가 자동표시된다. 공급받는자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공급받는자:부산상사(변경된 공급받는자)”이라 표시된다. 거래일자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거래일자:07/01(변경된 거래일자)”이라 표시된다. 작성일자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작성일자:07/01(변경된 작성일자)”이라 표시된다.
금액(공급가액) 수정의 당일수정은 수정전표 불필요하여 《B/L정산표》에서 공급가액(자사매출액, 자사대납금, 자사매입액, 하불처대납금)의 당일수정은 수정전표가 생성되지 않는다. 현금시재 불변의 경우 장부상 당일의 금액수정은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의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익일수정은 《B/L정산표》에서 공급가액(자사매출액, 자사대납금, 자사매입액, 하불처대납금)의 익일수정은 수정전표가 생성된다. 현금시재 변동의 경우 시재마감을 한 후 익일의 금액수정은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의 불일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물류거래장 전표수정에서 수정전표 생성절차의 기존전표 폐기는 《업무처리목록》→ “매출전표(팝업창)”에서 공급가액을 수정하면 “B/L정산표(팝업창)”의 “8.물류비용정표 내역"에서는 기존전표가 수정전표로 전환되며, 물류거래장에서는 “기존전표”를 삭제하는 폐기전표(마이너스전표)가 생성된다. 수정전표 생성은 물류거래장에서 폐기전표가 생성됨과 동시에 변경된 공급가액의 수정전표가 생성되어 2건의 전표(폐기전표 및 수정전표)가 추가로 생성된다.
폐기전표에서 자사의 청구처원장은 “지출액”에 “빨강색의 마이너스금액(-30,000)”이 표시된다. 청구처의 하불처원장은 “입금액”에 “빨강색의 마이너스금액(-30,000)”이 표시된다. 수정전표에서 자사의 청구처원장은 “지출액”에 “파랑색의 수정금액(27,000)”이 표시된다. 청구처의 하불처원장은 “입금액”에 “파랑색의 수정금액(27,000)”이 표시된다. 수정사유에서 기존전표전 “적요”란에 “07/16(수정일자):금액수정”이라 초록색으로 표시된다. 폐기전표는 “적요”란에 “07/08(정산일자):전표폐기”이라 빨강색으로 표시된다. 수정전표는 “적요”란에 “07/08(정산일자):3,000증/감”이라 파랑색으로 표시된다.
수입B/L정보에서 B/L No.지정 (팝업창)을 위한 지정절차는 “B/L No.지정(팝업창)”을 클릭하여 “재고잔량”이 표시된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업무요청대상의 “B/L No.”를 선택한다. B/L정보 자동표시는 “B/L No.”를 지정하면 《수입B/L목록》의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입력한 “B/L정보”가 자동표시된다. B/L정보 신규입력은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업무요청대상의 “B/L No.”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수입B/L목록》의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신규입력한다.
하불처 지정에서 하불처가 지정된 경우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가 지정되었으면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B/L정보(팝업창)”가 《업무요청목록》에 자동표시되고, 동시에 하불처의 《업무처리목록》에도 자동표시된다. 하불처가 미지정된 경우 업무처리목록 자동생성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가 지정되지 않았으면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B/L정보(팝업창)”가 《업무처리목록》에 자동생성된다. 자사의 업무처리는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물류업무”가 자사의 고유한 주력업무이면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처리하고 “매출전표(팝업창)”에서 물류비용을 청구한다. B/L업무 재하청은 자사의 업무처리가 불가능하거나 하불처가 미지정된 경우 하불처에게 “재하청”하기 위하여 《업무처리목록》→ “업무처리표(팝업창)”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를 “신규지정”하면 《업무처리목록》에 표시된 “B/L정보”가 《업무요청목록》으로 이전되고 동시에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B/L정보(팝업창)”가 하불처의 《업무처리목록》에도 자동표시된다.
B/L분할 정보에서 B/L분할목록은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 “컨테이너정보등록(팝업창)”에서 “B/L분할정보”가 입력된 경우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업무요청대상의 B/L을 선택한 후 “B/L No.지정(버튼)”을 클릭하면 “분할(B/L분할목록)”의 팝업창이 생성된다. B/L분할 구분에서 Invoice별 분할은 Invoice가 2건이상으로서 Invoice별로 B/L을 분할하여 “업무요청서”를 작성하는 경우이다. 수입화주별 분할은 수입위탁자(수입화주)가 2곳이상으로서 수입화주별로 B/L을 분할하여 “업무요청서”를 작성하는 경우이다. 출고수량 분할은 출고수량을 2회이상으로 분할출고하기 위하여 “분할횟수”별로 B/L을 분할하여 “업무요청서”를 작성하는 경우이다. 독립된 B/L No.는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는 《업무요청(처리)목록》의 “업무요청(처리)서(팝업창)”에서 독립된 B/L No.로 업무처리가 되어야 하며 “분할(B/L분할목록)”을 클릭하여 업무요청대상의 “분할순번”을 지정하면 “분할순번”이 포함된 “B/L No."가 표시된다. 출고요청 범위는 “분할(B/L분할목록)”을 클릭하여 업무요청대상의 “분할순번”을 지정하면 업무요청대상의 “B/L No.” 중에서 “분할순번”에 해당하는 “수량”이 출고요청범위에 해당되며, “분할순번” 단위로 “업무요청서(처리표)”가 작성된다.
업무처리기준에서 업무요청서(팝업창) 생성기준은 B/L이 분할되면서 생성되는 “분할순번”에 따라 《업무요청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업무요청서(팝업창)”가 생성된다. 업무처리표(팝업창) 생성기준은 B/L이 분할되면서 생성되는 “분할순번”에 따라 《업무처리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업무처리표(팝업창)”가 생성된다. 매출전표(팝업창) 생성기준은 “매출전표(팝업창)”는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업무처리결과에 따른 물류비용의 청구서이므로 《업무처리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생성된다. 수입B/L정산표(팝업창) 생성기준은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팝업창)”에서 지정된 2개항목(청구처,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은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결정되므로 《수입B/L정산목록》의 “수입B/L정산표(팝업창)”에서도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물류비용전표가 집합된다.
회원가입 및 물류정보공유에서 실시간정보 공유는 다중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가 회원사이면, 자사의 업무처리정보가 발주처에게 제공되고 자사의 물류비용전표가 청구처에게 제공되며 하불처의 업무처리정보 및 물류비용전표가 자사에게 인용인용됨으로서 자사와 다중거래처 상호간에 실시간으로 물류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발주처의 회원가입은 발주처가 비회원사이면 자사의 업무처리정보에 대한 실시간정보 제공이 불가능하므로 자사는 발주처에게 회원가입을 권장함으로서 자사의 업무처리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청구처의 회원가입은 청구처가 비회원사이면 자사의 물류비용전표에 대한 실시간정보 제공이 불가능하므로 자사는 청구처에게 회원가입을 권장함으로서 자사의 물류비용전표가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불처의 회원가입은 하불처가 비회원사이면 하불처의 업무처리정보 및 물류비용전표에 대한 실시간정보 인용이 불가능하므로 자사는 하불처에게 회원가입을 권장함으로서 하불처의 업무처리정보 및 물류비용전표가 자동으로 인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물류업무처리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 자사의 대표자는 업무처리의 정보관리에 책임질 수 있는 임원 중에서 자사정보관리자를 선입하여 회원가입업무를 처리하게 된다. 회원가입 과정에서 자사정보관리자는 자사ID를 입력하게 되고 영문과 숫자를 혼합하여 ID를 선정 및 입력한 후중복검증 기능을 통해 사용 가능한 아이디인지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자사 ID는 가입 후 수정이 곤란하며, 가입취소를 하려면 회원가입해지 기능을 통해 처리하게 된다. 패스워드는 영문(2글자이상)과 숫자(2글자이상)가 혼합된 P/W(총8글자이상~10글자이내)를 입력하고, 자사의 업무처리정보에 대한 보안을 위하여 회원가입정보 수정에서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하여 사용한다. 사업자등록정보의 입력절차는 사업장국가항목에서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국가의 “국가코드(영문자2개)”를 입력하고, 국세청에서 발급받은 “사업자등록증”에 표시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며, “사업자등록증”에 표시된 “상호”를 입력한 후 “실명검증(버튼)”을 클릭한다. 여기서, 2개항목(사업자등록번호, 상호)의 입력사항이 사업자등록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명검증(버튼)”을 클릭하면 “오류메세지”가 나타나므로 정확하게 입력하여야 한다. 대표자항목은 “사업자등록증”에 표시된 “대표자”를 입력하며, 업태 및 종목은 “사업자등록증”에 표시된 “업태” 및 “종목”을 입력한다. 사업장주소는 “주소찾기(팝업창)”에서 “사업자등록증”에 표시된 “주소”를 선택하면 “주소”와 함께 소재지코드(영문5글자)가 자동표시된다. 자동표시된 “주소”를 확인한 후 “상세주소”를 입력한다. 영문주소는 “한글주소”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입력한다.
연락처는 자사가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대표전화, 대표팩스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자사가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업무용”의 이메일주소를 입력하고, 전자세금계산서에서 전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메일주소를 제외한다. 그리고, 회원가입 담당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후, 회원가입정보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회원가입담당자는 회원가입을 완료한 후 사업자등록증의 수정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회원가입정보 수정》의 메뉴에서 변경한다. 또한, 회원가입을 완료한 후 회원가입을 해지하려면 《회원가입정보 수정》에서 “회원가입해지(버튼)”을 클릭하여 처리한다
한편,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면 물류정산 시스템 및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시스템 환경설정을 수행하게 된다. 회원가입담당자는 “회원가입(버튼)을 클릭한 후 “로그인화면”에서 로그인을 한다. 그리고 회원가입담당자는 시스템 환경설정 과정에서 회원가입담당자는 “자사정보관리자”를 지명(1명~2명)하여 시스템의 환경설정을 담당하게 한다. 또한, 자사정보관리자는 《자사코드설정》에서 “자사코드”를 생성하고 “자사코드확정(버튼)”을 클릭한다. 《자사코드설정》에서 회원가입담당자에 의하여 지명된 “자사정보관리자”를 등록한다. 《자사조직표》에서 자사조직을 설정한다. 자사조직을 설정한 후 《사원목록》에서 사원을 등록한다.
이후 로그인 절차는 로그인하고자 하는 사원은 “자사정보관리자”로부터 로그인정보(자사 ID, 자사 P/W, 사원 ID, 사원 P/W)를 수령한다. 자사정보관리자로부터 “로그인정보”를 수령한 사원은 본인의 “사원P/W”를 《사원환경설정》에서 즉시 변경한다.
로그인 구분은 자사로그인은 자사정보관리자로부터 받은 자사로그인정보(자사 ID, 자사 P/W)에 의하여 로그인절차를 진행한다. 사원로그인은 자사정보관리자로부터 받은 사원로그인정보(자사 ID, 자사 P/W)에 의하여 로그인절차를 진행한다. 로그인 단계는 로그인하고자 하는 사원은 "자사 ID"에 의한 “자사로그인”의 단계와 동시에 “사원 ID”에 의한 “사원로그인”의 단계를 별도로 진행하여야 한다. 자사로그인과 사원로그인의 2단계로 로그인절차를 설정된 이유는 사원별로 담당업무 와 업무처리권한이 다르기 때문이며, 사원별로 처리된 거래정보가 사원별로 관리되고 사원별로 업무처리의 보안유지를 위하여 2단계의 로그인이 요구된다.
도 3은 다중거래처에게 업체코드로 제공되는 자사코드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사코드의 설정에서는 업종코드, 기관코드정보, 자사코드지정 및 자사정보관리자 정보를 설정하게 된다.
업종코드는 자사가 취급하고 있는 “주력업종”에서 상품거래업종은 “수출입화주”를 선택하고 물류거래업종(물류업체)은 수출입화주를 제외한 업종에서 선택(지정)한다. 종합물류업자는 2종류이상의 업종을 “보조업종”으로 지정할 수 있다.
무역업체 (Goods Owner ; Consignor, Trader)는 무역업체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수출입화주”이며, Invoice(팝업창)에서 송하인(Shipper) 또는 구매자(Buyer)로 표시되는 업체이다. 무역대행업자는 수출입의 구매와 판매를 대행하는 “무역대행업자”도 Invoice(팝업창)에서 송하인(Shipper) 또는 구매자(Buyer)로 표시되므로 “G.무역업체”의 범위에 포함된다. 그리고, 무역업체는 AWB를 발행하는 업체인 항공사, Master B/L을 발행하는 업체인 선박회사(Line), House B/L을 발행하는 업체인 포워더(Freight Forwarder), 수출입면장을 발급하는 업체 통관사(Customs Consultant), 육상운송의 화물차를 보유한 업체인 화물차운송사(Trucking Company), 철도운송을 주관하는 업체인 철도운송사(Rail Transport), 화물차운송의 주선업체인 화물차주선업자(Trucking Arrangement), 해상화물의 적하와 양하를 하는 업체인 하역업자(Stevedore), FCL화물을 보관하는 업체인 CY(Container Yard), LCL화물을 보관하는 업체인 창고(Warehouse), 식품, 식물, 동물 등의 검역대행업체인 검역업자(Quarantine), 선박의 용적하물을 계량하는 업체인 검수회사(Surveyer), 수출입화물의 적하보험 부보업체인 보험회사(Insuarance), 화물의 포장작업을 하는 업체인 포장회사(Packing Company) 및 기타업체(Other)를 포함한다.
또한, 물류업체는 무역업체의 L/C를 취급하는 은행을 포함한다.
종합물류업체는 하나의 ‘사업자등록번호’에 있어 “종목”이 2개이상의 물류업종으로 등록된 물류업체는 물류업무에서 가장 많이 취급하는 “주력업종”의 업종코드를 선택한다. 이러한 종합물류업체는 하역업(S), 포워딩업(F), 통관업(C), 화물운송업(T), C.Y(Y), 창고(W)의 “물류업종” 중에서 2개이상의 물류업종을 취급하는 경우이다.
기관코드정보는 B/L발행업체와 장치장으로 구분된다. B/L발행업체는 항공사의 경우 기관코드지정(팝업창)에서 관세청에 등록된 “항공사코드(영문4글자)”를 지정하며, 관세청의 코드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직접입력”한다. 선박회사는 기관코드지정(팝업창)에서 관세청에 등록된 “선사코드(영문4글자)”를 지정하며, 관세청의 코드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직접입력”한다. 포워더는 기관코드지정(팝업창)에서 관세청에 등록된 “포워더코드(영문4글자)”를 지정하며, 관세청의 코드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직접입력”한다. 장치장(CY, CFS, 자가장치장)은 화물의 반출입을 주관하는 장치장(수출입화주의 자가장치장 포함)은 기관코드지정(팝업창)에서 관세청에 등록된 “장치장코드”를 지정하며, 관세청의 코드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직접입력”한다.
자사코드는 모든 국가의 업체들이 회원사로 가입하면 본 시스템에서 단일한 “자사코드”가 자동생성된다. “자사코드”는 회원사들의 “업체정보등록”에서 “업체코드”로 입력되어 공동으로 관리된다. 자사코드의 용도는 자사와 다중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간에 11종류(자사담당자정보제공, Invoice제공, 수출입면장제공, B/L제공, D/O제공, 화물재고목록제공, 거래전표제공, 거래장부제공, 거래전표인용, 상품등록정보제공, 상품재고목록제공)의 업무처리정보에 대한 공유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속코드이다. 다중거래처의 “업체코드”를 입력하고 8종류의 “업무처리정보”에 대하여 공유관계를 “승인(제공함)"하면 자사와 다중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의 상호간에 ”업무처리”의 실시간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업체정보등록”에서 ‘등록업체’의 신용도에 따라 자사와 거래처의 상호간에 “업무처리정보”의 공유관계를 정지하려면 “승인거부(제공안함)”으로 수정한다. 문서번호 생성기준은 “자사코드”는 자사가 작성하는 전자문서(팝업창)에서 문서코드와 조합되어 본 시스템에서 단일한 ‘문서번호’가 생성된다. 예를들어, Booking목록에서 생성되는 “Master B/L No."의 문서번호는 KR001DMU1009MB-0008- 업체코드(KR001HDMU) + 년월(1009) + 문서코드(MB) +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문서번호가 자사코드와 조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다중거래처는 전자문서를 작성한 업체의 추적이 용이하다.
자사코드의 구성은 국가코드(영문2글자) + 식별번호(숫자3개) + 자사고유부호(영문자4개)로 구성되며, 국가코드(영문2글자)는 “회원가입”의 “사업자등록정보”에서 입력된 “국가코드”의 입력정보가 자동표시된다. 식별번호(숫자3개)는 기존에 “회원가입”된 회원사와 동일한 “자사고유부호”를 지정(입력)하는 경우 중복되는 자사고유부호(영문4글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본 시스템에 등록하는 회원사의 등록순서대로 001부터 999까지 자동부여된다.
자사고유문자(영문4글자)는 “1.취급업종지정”의 “주력업종”이 B/L(AWB)발행을 주관하는 3개업종(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에 해당되는 경우 “2.기관코드정보”에서 기관코드(관세청 등에 제출된 영문4글자의 고유문자)를 등록하면 “자사고유문자”에 자동표시된다. 3개업종(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에 해당하더라도 기관(관세청 등)에 제출된 “기관등록코드”가 검색되지 않으면 직접입력하며, 자사의 영문상호(업체명)에서 자사를 대표할 수 있고 자사를 상징할 수 있는 임의부호(영문자4개)를 조합하여 직접입력한다. 화물의 반출입을 주관하는 장치장(수출입화주의 자가장치장 포함)은 기관(관세청 등)에서 부여받은 “장치장코드”를 지정하여 물류업체가 “장치장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기타업종에서 B/L발행업종(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을 제외한 나머지업종(CY, CFS포함)은 자사의 영문상호(업체명)에서 자사를 대표할 수 있고 자사를 상징할 수 있는 임의부호(영문자4개)를 조합하여 “자사고유문자”에 직접입력한다.
“자사고유문자”를 근거로 생성되는 “자사코드”는 다중거래처(청구처, 하불처) 상호간에 물류정보 및 거래장부를 공유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자사코드”의 변경이 불가능하며 아울러 “자사고유문자”의 변경도 불가능하다. 수정가능한 경우는 메인메뉴 중에서 업무처리의 문서가 생성되는 메뉴(무역업무, 선적업무, 입항업무, 통관업무, 하역.운송, CY.창고, 부대업무, 경리장부)에서 자사코드와 조합되는 “문서번호”가 생성될 때까지는 “자사코드”의 수정이 가능하다. ③ 수정 불가능한 경우- “문서번호”가 생성된 시점부터는 “자사코드”의 수정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업무처리결과에서 생성되는 “문서번호”는 자사의 업무처리 즉시 다중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에서 거래정보를 공유하는데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자사정보관리자의 선임은 대표자가 시스템의 관리책임을 담당할 수 있는 경영실권자(대표자 포함) 중에서 “자사정보관리자”를 선임(1명은 반드시 선임)하여야 한다. (정)책임자는 자사의 정보관리를 총괄하며 (정)책임자의 유고시에는 (부)책임자가 자사정보관리를 대행한다. “자사정보관리자”는 회원가입 즉시 《자사정보》에서 7종류(회원가입수정, 자사코드정보수정, 자사조직표, 사원정보등록, 자사환경설정, 업무담당자지정, 계정과목등록)의 정보를 우선 등록한다.
도 4는 자사의 부서현황을 관리하는 조직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직표 등록절차는 3개의 팝업창("국"등록, "부"등록, "과"등록)에서 각각 “부서명”을 등록한다. 3개의 등록정보('국'등록정보, '부'등록정보, '과'등록정보)를 수정하려면 각각 "명칭"앞의 "코드"를 클릭하여 “부서등록정보(팝업창)”에서 수정한다. 부서명 삭제에서 "국"의 삭제는 등록된 “국”을 삭제하려면 "국"에 종속된 모든 "부"를 먼저 삭제하고, "부"를 삭제하려면 "부"에 종속된 모든 "과"를 먼저 삭제하며, "과"를 삭제하려면 먼저 "과"에 소속된 사원을 "부서이동"하거나 "삭제"하여야 한다. "부"의 삭제는 "부"에 종속된 모든 "과"를 먼저 삭제하고, "과"를 삭제하려면 먼저 "과"에 소속된 사원을 "부서이동"하거나 "삭제"하여야 한다. "과"의 삭제는 "과"를 삭제하려면 먼저 "과"에 소속된 사원을 "부서이동"하거나 "삭제"하여야 한다.
사업자등록증이 없는 국내지점- 본점의 사업자등록번호에 종속되므로 본점에 소속된 "국"의 부서명으로 등록하며 《업체정보등록》에서 거래처로 등록할 필요가 없다.. 지점에서 거래되는 거래전표의 세금계산서 발행은 본점의 명의로 발행된다. 사업자등록증을 보유한 국내지점은 본점과 지점 상호간에 세금계산서를 교부하여야 하므로 사업자등록번호가 존재하는 지점은 본점과 별도로 본 시스템에 회원사로 가입하고 상호간에 《업체정보등록》에서 거래처로 등록되어야 한다. 해외지점 중 독립적인 회원사로 가입하기에 작은 규모의 해외지점은 본점에 소속된 "국"의 부서명으로 등록할 수 있다.
조직표 이용은 부서별 사원목록에서 3개의 부서(소속“국”, 소속“부”, 소속“과”)의 명칭을 클릭하면 해당 부서에 소속된 사원목록(테이블)을 열람할 수 있다. 부서명 펼쳐보기에서 전체의 조직표를 열람하려면 "펼쳐보기" 버튼을 클릭하고, 조직표의 일부를 열람하려면 2개의 부서(소속“국”, 소속“부”)의 오른쪽에 위치한 (☞)을 클릭하면 해당 부서의 하부조직을 “펼쳐보기” 할 수 있다. 사원등록정보 열람에서 3개의 부서(소속“국”, 소속“부”, 소속“과”)의 명칭을 클릭한 후 해당 부서에 소속된 사원목록(테이블)의 “사원명(팝업창)”에서 사원등록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도 5는 사원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사원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자사정보의 관리를 위해 관리자에 대한 각종 정보의 등록이 필요하다.
사원등록 담당자항목은 자사의 사원들 중에서 대표자로부터 자사정보관리를 위임받은 “자사정보관리자”에게만 모든 사원(본인 포함)을 등록할 권한이 있다. 사원등록 절차는 《자사조직표》에서 3개항목(소속‘국’, 소속‘부’, 소속‘과’)의 부서등록을 완료한 후, 《사원목록》의 “신규사원등록(팝업창)”에서 사원정보를 등록한다. 자사정보관리자는 본인을 포함하여 (정)책임자와 (부)책임자 모두 《자사코드설정》의 “4.자사정보관리자”에서 “자사정보관리자의 사원정보등록”을 할 수 있다. 《자사코드설정》의 “4.자사정보관리자”에서 (정)책임자와 (부)책임자는 각각 “자사정보관리자”를 변경할 수 있다. “자사정보관리자”의 부재중으로 인하여 “자사정보관리”에 차질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자사정보관리자”를 변경하여 사원들의 업무처리에 불편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사원등록을 위해서 사원명항목에 한글성명을 먼저 입력하고 영문성명은 여권에 표시된 영문성명을 입력하며 여권이 없는 경우에는 적절한 영문성명을 만들어 입력한다. 주민등록번호는 내국인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외국인은 외국인등록증의 등록번호를 입력한다. 휴대폰번호의 입력절차는 “자사정보관리자”는 등록할 사원으로부터 “휴대폰번호”를 전달받아 신규입력한다. 번호변경은 재직기간중에 휴대폰번호가 변경되면 해당 사원은 《사원환경설정》에서 변경된 휴대폰번호를 수정입력한다.
사원 ID의 표시기준은 사원의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면 “자사코드”에 휴대폰 끝번호(숫자4개)가 추가되어 자동생성되며,“중복확인”을 클릭하여 “사원ID”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휴대폰끝번호”의 숫자일부를 변경하여 조합한다. 신규등록된 “사원 ID”는 회사를 퇴직할 때까지 “사원등록정보”에서 변경이 불가능하다. 다만, 신규등록이후 처음으로 업무처리목록(메인메뉴)에서 “업무처리담당자”에 의하여 업무처리하기 전까지는 수정/삭제가 가능하다. “자사정보관리자”는 신규로 사원등록하면서 생성된 “임시P/W”를 즉시 해당 사원에게 제공하여 “임시P/W”를 신속히 변경할 수 있도록 지시한다. 신규사원은 자사정보관리자로부터 받은 “임시P/W"를 즉시 변경한다. 등록사원은 회사정보 및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하여 P/W를 수시로 변경하여야 한다.
사원의 보직변경은“보직변경(팝업창)”에서 4개항목(보직일자, 소속‘국’, 소속‘부’, 소속‘과’)을 입력하면 “부서코드”가 생성된다. 부서코드는 “자사코드”에 부서코드가 조합되어 표시된다. 보직일자는 “보직변경(팝업창)”의 입력정보가 자동표시된다.
사원코드항목의 표시기준은 부서코드에 일련번호(숫자2개)가 자동조합되어 표시된다. 부서변경은 등록된 사원이 부서를 이동하면 “부서코드”가 변경되기 때문에 “사원코드”도 함께 변경된다. 직위/담당업무는 자사정보관리자는 등록사원의 직위와 담당업무를 입력한다. 연락처는 등록사원에 의하여 《사원환경설정》에서 입력된 입력정보(직통전화, 직통팩스, 이메일, 메신저)가 자동표시된다.
효율적인 자사정보의 관리 및 물류정산 시스템의 이용을 위하여 접근권한 제한하며, 사원별로 내부통제를 목적으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업무처리권)을 차별화하여 3종류(○ × △)로 구분하고, 업무처리를 함에 있어 예상하지 못한 입력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당해 B/L을 담당하는 사원별로 책임한계를 분명히 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B/L담당자의 입력오류로 인하여 거래처(청구처 및 하불처)의 전표와 장부까지도 심각한 오류가 전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원별로 업무처리권(시스템접근권)을 차별화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은 웹장부(전자장부)로서, 사내의 모든 사원(담당자)이 웹에서 Data를 입력하고 웹에서 전표를 생성하는 다중거래처(청구처, 자사, 하불처)의 온라인 작업환경이므로 업무처리분야에 대하여 사원별로 입력권과 열람권을 구분하여 지정함으로서 담당자별로 업무처리의 책임감과 거래처의 자료보안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접근권한의 표시방법은 권한허용의 경우 “○”의 권한을 부여받은 사원은 “업무처리”를 할 수 있는 접근권한이 부여된다. “X”의 표시는 접근권한이 부여되지 않으므로 업무처리를 할 수 없다.
권한제한(“”표시)은 물류거래업무(물류거래업무 및 B/L정산표의 전표업무) 및 상품거래업무(상품거래업무 및 전표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어느 특정한 “업체관리자”에게 당해 “업체관리자”에게 종속된 거래처의 업무(물류거래업무, 상품거래업무)만을 처리할 수 있도록 업무범위를 한정(입력권, 열람권의 제한)하는 경우이다. 권한제한범위로 “△”표시는 “업체관리자”에게만 부여하는 권한이며, “△관리자”는 다른 관리자에 종속된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의 업무처리화면과 전표처리화면의 접근이 불가능(열람 및 입력 불가능)하다. 정보교환 제한에서 “○사원”도 “△관리자”에 종속된 거래처의 업무처리화면과 전표처리화면의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관리자”과 “○사원”은 거래정보(물류거래정보 및 상품거래정보)에 대한 상호접근(정보교환)이 불가능하다. 독립적 업무그룹을 위해 “△관리자”은 회사(자사)의 경영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그룹장”이며 입출금통장도 자사의 대표통장을 사용하지 않고 “△관리자”만이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별도의 “등록통장”으로 지정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본인(△관리자)이 영업한 거래처의 업무처리정보(물류거래정보 및 상품거래정보)를 다른 업체관리자에게 노출되기를 꺼려하는 경우에 설정된다. 신규 업체관리를 위해 업체관리자가 아닌 사원이 “독립적 업무그룹”의 업체관리자로 전환되어 《업체목록》의 “관리코드현황(팝업창)”에서 “업체관리자코드”가 생성된 경우 “△”표시로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자사정보 관리권에서 접근권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사의 임원(대표자 포함)중에서 “경영실권자”를 “자사정보관리자”로 지정함으로서 사원의 “시스템 접근권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할 수 있다. 《자사정보》에서 6종류(회원가입수정, 자사코드설정, 자사조직표등록, 자사환경설정, 사원정보등록, 계정과목등록)의 자사정보관리에 대한 접근권한은 “자사정보관리자”에게 기본적으로 부여되어야 하며, 따라서 등록수정권과 열람권이 모두 “O"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업무담당자 지정을 위해 《자사정보》→《업무담당자목록》에서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업무제목(팝업창)에 표시되는 담당자3명(업무팀장, 처리담당자, 경리담당자)의 등록수정권과 열람권을 부여한다. 《자사정보》→《상품정보등록》에서 상품정보(HS,품명,모델,규격,타입,성분 등)의 등록수정권과 열람권을 부여한다. 자사의 상품단가 입력 및 관리를 위해 《자사정보》→《상품정보등록》에서 모든 “상품매출처”에 공통으로 적용할 상품판매단가(해외수출단가 및 국내판매단가)의 등록수정권과 열람권을 부여한다. 자사의 물류비용요율 관리를 위해 《자사정보》→《물류비용요율》에서 모든 “물류거래처”에 공통으로 적용할 “물류비용요율”의 등록수정권과 열람권을 부여한다. 업체관리자 관리를 위해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등록》에서 지정된 “업체관리자”의 변경권한을 부여한다. 《자사정보》→《담당업무지정》에서 “업무팀장”의 변경권한을 부여한다. 다만 “업무처리담당자”의 변경권은 “업무팀장”에게 자동부여된다. 《자사정보》→《담당업무지정》에서 “경리담당자”의 변경권한을 부여한다. 《메세지》의 서브메뉴(전송목록, 수신목록, SMS목록)에서 3명의 자사담당자(업무팀장, 처리담당, 경리담당)가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와 송수신한 전송메세지와 수신메세지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다만 업무팀장은 “업무처리담당자”의 메세지 송수신내용을 언제든지 열람할 수 있다.
임의장부에 대해 《경리장부》→《임의장부》에서 “임의장부”의 등록권을 부여하고, 임의장부 권한설정을 위해 자사정보관리자는 “임의장부”를 등록하는 즉시 임의장부의 관리책임을 맡을 등록사원을 지정한다. 열람권 자동설정을 위해 임의장부의 관리책임을 맡을 등록사원으로 지정되면 “업무처리정보 열람권”에서 등록된 임의장부의 “열람권”이 “O"로 자동설정된다.
업체정보 관리권리에서 업체정보의 신규등록권은 《업체정보》→《업체목록》의 “업체정보등록(팝업창)”에서 신규의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 또는 신규의 수출입화주(상품매출처/매입처)에 대하여 “업체정보등록”의 권한을 부여한다. 열람권은 “업체등록정보”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수정권한은 “업체등록정보”의 수정권을 부여한다. 최초로 신규등록한 날짜에 여러번 수정하는 경우는 수정이 아니고 “신규등록”으로 간주되며 신규등록일자 익일부터는 "수정권자"가 수정하여야 한다.
업체의 상품단가 관리를 위해 신규등록권은 《업체정보》→《업체목록》→“수출입화주(상품매출처/매입처)등록”→ “상품단가표(팝업창)”에서 신규의 수출입화주(상품매출처/매입처)에 대하여 “상품단가등록”의 권한을 부여한다. 열람권은 “상품단가정보”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수정권은 “상품단가정보”의 수정권을 부여한다. 최초로 신규등록한 날짜에 여러번 수정하는 경우는 수정이 아니고 “신규등록”으로 간주되며 신규등록일자 익일부터는 "수정권자"가 수정하여야 한다.
업체의 물류비용요율 관리를 위해 신규등록권은 《업체정보》→《업체목록》→“수출입화주(상품매출처/매입처)등록”→ “물류비용요율표(팝업창)”에서 신규의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에 대하여 “물류비용요율등록”의 권한을 부여한다. 열람권은 “상품단가정보”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수정권은 “상품단가정보”의 수정권을 부여한다. 최초로 신규등록한 날짜에 여러번 수정하는 경우는 수정이 아니고 “신규등록”으로 간주되며 신규등록일자 익일부터는 "수정권자"가 수정하여야 한다.
물류수단 (차량/선박/항공기)의 관리를 위해 신규등록권은 《업체정보》→《물류수단등록》에서 신규의 물류수단(차량,선박,항공기)에 대하여 “신규등록권”을 부여한다. 열람권은 등록된 물류수단(차량,선박,항공기)정보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수정권은 등록된 물류수단(차량,선박,항공기)정보의 수정권을 부여한다. 최초로 신규등록한 날짜에 여러번 수정하는 경우는 수정이 아니고 “신규등록”으로 간주되며 신규등록일자 익일부터는 "수정권자"가 수정하여야 한다.
업무처리정보 열람권 대상사원은 《업무요청목록》의 업무요청서(팝업창) 및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지정된 자사담당자 3명(업무팀장, 처리담당, 경리담당)을 제외한 사원에게 열람권을 부여한다. 포괄적 권한부여는 《업무요청목록》의 업무요청서(팝업창) 및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지정된 자사담당자 3명(업무팀장, 처리담당, 경리담당)을 제외한 사원이라 함은 자사조직을 총괄하여 경영관리하는 경영실권자 또는 임원을 말하며, 경영실권자는 포괄적으로 열람권을 설정함으로서 자사담당자의 실시간 업무처리결과를 열람할 수 있다. 열람권을 부여할 대상업무는 《업무요청목록》의 업무요청서(팝업창) 및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이다.
장부열람권에서 물류거래장은 물류거래장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상품거래장은 상품거래장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일계장은 일계장의 입력권 또는 열람권을 부여한다. 입출금장부는 입출금장부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임의장부는 임의장부의 열람권을 부여한다.
도 7은 자사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사환경설정에서 자사가 물류업체일 때 입출금계좌 정보의 관리를 위해 입출금계좌 등록은 《물류거래처등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정보등록”에서 등록되는 청구처로부터 물류비용의 결제대금을 수령하기 위하여 “신규계좌등록(팝업창)”에서 입출금계좌를 등록한다. 입출금계좌 적용은“1.입출금계좌정보”에서 등록된 통장계좌는 “4.자사의 업무처리기준”의 “자사 입금계좌” 및 대금청구서계좌를 지정하는 기준이 된다.
대금청구서 계좌지정에서 지정절차는 “청구서별 계좌지정(팝업창)”을 클릭하여 “입출금계좌정보(팝업창)”에서 대금청구서별로 입금계좌를 지정한다. 표시기준은 청구처로부터 물류비용의 결제대금을 수령하기 위하여 《업무요청목록》 또는 《업무처리목록》에서 생성되는 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의 “거래명세서(팝업창)”에 자동표시된다.
발주처에 대한 물류정보 제공 항목에서 《물류거래처등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정보등록”→ “발주처정보등록” 참조한다. 발주처정보 표시기준은 《자사환경설정》의 “3.발주처에 대한 물류정보제공”은 《물류거래처등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정보등록”에서 등록되는 모든 “발주처정보”에 동일하게 표시된다.
자사의 업무처리기준은 《물류거래처등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정보등록”→ “청구처정보등록” 참조한다. 청구처정보 표시기준- 《자사환경설정》의 “4.자사의 업무처리기준”은 《물류거래처등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정보등록”에서 등록되는 모든 “청구처정보”에 동일하게 표시된다.
하불처의 업무처리기준에서 《물류거래처등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정보등록”→ “하불처정보등록” 참조한다. 하불처정보 표시기준은 《자사환경설정》의 “5.하불처의 업무처리기준”은 《물류거래처등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정보등록”에서 등록되는 모든 “하불처정보”에 동일하게 표시된다.
이미지파일은 인감등록을 위해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배차요청서에 사용할 “사용인감”을 스캔하여 등록한다. 서명감등록을 위해 B/L, D/O, 자가운송신청서 등의 서식에 사용할 서명감을 등록한다. 로고등록을 위해 B/L, D/O, 자가운송신청서 등의 서식에 사용할 로고를 등록한다.
도 8은 물류비용전표에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계정과목 구분에서 시스템 계정과목의 개념은 계정과목 공통사용을 위해 시스템계정과목은 본 시스템에서 다중거래처(청구처, 자사, 하불처)의 상호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계정과목이다. 시스템계정과목은 임의로 수정하거나 삭제가 불가능한 계정과목이다. 시스템계정과목을 4종류의 경리장부(상품거래장, 물류거래장, 입출금장부, 일계장)에서 각각 사용되는 계정과목으로 구분하였다. 사용자계정과목은 다중거래처(청구처, 자사, 하불처) 상호간에 공통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며, 시스템계정과목과 관계없이 자사의 형편에 알맞게 계정과목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임의계정”이다. 일계장 계정과목은- 일계장의 계정과목은 자주 사용되는 계정과목이 “시스템계정과목”으로 등록되었지만 회원사(사용자)별로 《전표계정과목》→ “일계장 계정과목”→ “대분류계정”→ “추가(팝업창)”에서 사용자계정과목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임의장부 계정과목은 시스템의 경리장부(상품거래장, 물류거래장, 일계장, 입출금장부)를 사용하면서 회원사별로 개별적으로 설정된 임의장부에서 “사용자계정과목”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계정과목 수정을 위해 사용자계정과목은 사용자(회원사)별로 임의설정된 계정과목이므로 사용자의 형편에 알맞게 수정할 수 있다. 수정절차는 사용자계정과목의 “계정번호”는 01~99까지 부여할 수 있으며, 계정번호와 과목명칭을 한번 지정하였으면 최소한 1년기간동안(1월1일~12월31일)은 사용하여야 한다. 1년동안 사용하였던 계정과목이 적합하지 못하여 불가피하게 수정하거나 삭제하여야 할 경우라면 당해연도 12월31일 또는 다음연도 1월1일에 수정(또는 삭제)한다. 계정과목삭제 후 추가지정- 계정과목을 삭제후 다시 추가하려면 1~99번까지의 계정번호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번호를 “계정번호”로 사용한다. 사용기간 제한이유- 경리장부는 일반적으로 연도별로 출력물(보고서)을 관리하기 때문에 “계정번호”별로 데이터값이 연동되고 있으므로 계정과목수정으로 인한 전표의 오류발생을 예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사용자계정과목의 삭제- ① 삭제 불가능 - 등록된 “계정번호”의 사용자계정과목에 의하여 일계장(또는 임의장부)에서 1건이라도 전표작성을 하였다면 “계정과목 삭제”가 불가능하다. ② 계정과목 삭제 - 그러나 등록된 계정과목의 계정번호가 생성되고 나서 일계장(또는 임의장부)에서 전표작성이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면 “계정과목삭제”가 가능하다.
물류거래장 계정과목에서 물류비용 매출의 물류매출전표 개념 - 자사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발행한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자가 “자사”로 표시되어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기 위한 거래명세서이다. 매출선적료 - B/L을 발행하는 업체(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가 수출화물의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매출D/O료 - B/L을 발행하는 업체(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가 수입화물의 D/O(Delivery Order)발행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④ 매출통관료- 통관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⑤ 매출운송료- 화물차운송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⑥ 매출하역료- 하역업자가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⑦ 매출CY료- CY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⑧ 매출창고료- 보세창고(CFS)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⑨ 물류기타매출- 기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물류비용 매입에서 ① 물류매입전표 개념- 하불처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발행한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로 표시되어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기 위한 거래명세서이다. ② 매입선적료- 자사가 수출화물의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한 하불처(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③ 매입D/O료- 자사가 수입화물의 D/O(Delivery Order)발행업무를 처리한 하불처(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④ 매입통관료- 자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한 하불처(통관사)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⑤ 매입운송료- 자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한 하불처(화물차운송사)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⑥ 매입하역료- 자사가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한 하불처(하역업자)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⑦ 매입CY료- 자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하불처(CY)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⑧ 매입창고료- 자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하불처(보세창고)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⑨ 물류기타매입- 자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기타 물류업무를 처리한 하불처(기타 물류업체)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는 전표의 계정과목이다.
대납전표 금액에서 ① 물류대납전표 개념- 하불처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발행한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가 아닌 “제3자(수출화주, 수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로 표시되어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대납하기 위한 거래명세서이다. ② 자사대납금(대분류계정)에서 ⓐ 자사대납금 개념- 하불처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서 제3자(수출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발행된 세금계산서의 “합계금액”이며 자사가 하불처에게 대납한 금액으로서 청구처로부터 받을 물류비용이다. ⓐ 받을관세- “자사대납금” 중에서 청구처로부터 받을 “관세”의 계정과목이다. ⓑ 받을대납금- 청구처로부터 받을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의 계정과목이다. ③ 하불처대납금(대분류계정)에서 ⓐ 하불처대납금 개념- 하불처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서 제3자(수출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발행된 세금계산서의 “합계금액”이며 자사를 위하여 하불처가 대납한 금액으로서 자사가 하불처에게 지급할 물류비용이다. ⓐ 하불관세-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관세”의 계정과목이다. ⓑ 하불대납금- 하불처에게 지급할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의 계정과목이다.
물류비용 지급에서 ① 정산하불금 개념- 하불처대납금(하불관세와 하불대납금의 합계금액)에 자사매입액이 합산된 금액이다. ② 지급하불금-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견적금액 또는 정산하불금의 계정과목이다. ③ 전도금잔액반환- 청구처로부터 선수금으로 영수한 견적금액에서 정산전도금을 공제한 잔액을 청구처에게 반환하기 위한 계정과목이다.
물류비용 영수에서 ① 정산전도금 개념- 자사대납금(받을관세와 받을대납금의 합계금액)에 자사매출액이 합산된 금액이다. ② 받은전도금- 청구처로부터 영수한 견적금액 또는 정산전도금의 계정과목이다. ③ 하불금잔액회수- 하불처에게 선지급금으로 지급한 견적금액에서 정산하불금을 공제한 잔액을 하불처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계정과목이다.
경리장부 마감을 위해 잔액이월에서 ① Data 저장기간- 경리장부에 입력된 모든 Data는 5년전(당해년도가 2009년인 경우 2004년1월1일)부터 현재까지의 입력정보가 시스템의 DB에 저장된다. ② 차기이월 시점- 5년기간이 경과한 Data(당해년도가 2009년인 경우 2003년12월31일까지의 Data)는 2003년12월31일의 장부잔액이 자동으로 2004년1월1일로 차기이월되면서 시스템에서 삭제(폐기)된다. ③ (-)잔액 차기이월- 6년전 12월31일의 경리장부의 마감결과 (-)잔액은 차기이월되면서 Data가 삭제(폐기)되고, 5년전 1월1일자로 전기이월(소분류계정)되어 출금전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④ (+)잔액 차기이월- 6년전 12월31일의 일계마감결과 거래장과 일계장의 (+)잔액은 차기이월되면서 Data가 삭제(폐기)되고, 5년전 1월1일자로 전기이월(소분류계정)되어 입금전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거래마감에서 ① 거래마감 개념- 물류거래(또는 상품거래)의 거래관계가 종료되어 거래장(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의 잔액을 처분하고 물류거래처목록(또는 상품거래처목록)에서 “거래정지업체목록”으로 이전하여야 하는 경우이다. ② 마감전표 생성기준- 거래가 종결되어 마감처리를 하면 경리장부에서 동시에 마감전표가 작성되면서 물류거래장(또는 상품거래장)에서는 “거래마감”의 전표가 생성되고 일계장에서는 “마감수익/마감손실”의 전표가 생성된다. ③ (-)잔액 마감처리- (-)잔액은 거래장에서 “거래마감”의 계정과목으로 입금전표가 작성됨과 동시에 일계장에서는 “마감손실”의 계정과목으로 “출금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④ (+)잔액 마감처리- (+)잔액은 거래장에서 “거래마감”의 계정과목으로 출금전표가 작성됨과 동시에 일계장에서는 “마감수익”의 계정과목으로 “입금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경리장부 존속기간은 ① 5년 존속기간- 경리장부의 존속기간을 5년으로 제한하였다. 따라서 경리장부는 수년동안 무한대로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세무조사기간(5년)을 경과한 전표와 장부는 5년이 지나면 자동폐기되도록 설정하였다. ② 계정과목 존속기간- 일계장(또는 임의장부)에서 등록된 “사용자계정과목”의 존속기간도 당초 지정된 "계정번호”에 의하여 5년의 존속기간이 유지된다. ③ 사용자계정과목의 지정원칙- 사용자계정과목을 한번 지정하면 전표의 오류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5년동안은 계속하여 사용되어야 하므로 계정과목(계정번호와 과목명칭)의 수정과 삭제에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며 영원토록 수정과 삭제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5는 물류비용 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9는 선박회사 및 포워더가 수출화물과 수입화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선적료요율표 및 D/O비용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수입화물의 물류업무처리가 지연되어 프리타임(Free Time)이경과된 선사체화로 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통관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통관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운송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운송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3은 항공사의 항공화물 및 선박회사의 선박화물의 하역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하역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4는 컨테이너야드(CY)가 컨테이너화물의 입출고 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CY비용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울러, 도 15는 보세창고(CFS)가 컨테이너화물을 제외한 일반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창고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물류비용 자사요율표에서 요율표 구분은 자사요율표와 업체요율표로 구분된다.
자사요율표에서 ① 물류비용요율 구분 - 선사업무에서 발생되는 수출선적료, 수입D/O료, 선사체화료, 통관업무에서 발생되는 통관료, 운송업무에서 발생되는 운송료, 하역업무에서 발생되는 하역료, CY에서 발생되는 CY비용, 보세창고에서 발생되는 창고료, 부대업무에서 발생되는 기타요금, 부가가치세 세율의 요율로 구분된다. ② 등록대상 요율표 - 자사가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의 정산전도금(자사매출액, 자사대납금)에서 표시되는 모든 “물류비용요율”의 《자사요율표》를 등록한다. ③ 등록절차 - 《자사정보》→ “물류비용요율표(팝업창)”에서 물류업무별로 발생되는 물류비용의 구분에 따라 요율을 등록한다. ④ 표시기준 - 《자사정보》→ “물류비용요율표(팝업창)”에서 물류비용요율을 등록하면 자사가 물류업무를 처리한 후 발생되는 물류비용의 산출기준이 되어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되는 모든 등록화주에 대하여 적용되는 《업체요율표》의 기준값으로 자동표시된다.
업체요율표에서 ① 등록절차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 및 물류업무별로 발생되는 물류비용의 구분에 따라 요율을 등록한다. ② 표시기준은 ⓐ 자동표시 - 《자사정보》→ “물류비용요율표(팝업창)”에서 모든 수출입화주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도록 등록된 “물류비용요율”이 자동표시된다. ⓑ 요율표 수정 - 《자사요율표》로부터 자동표시된 “물류비용요율”을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 및 물류업무별로 적절하게 수정한다. ③ 전표금액 생성기준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당해 수출입화주에 적용되는 물류비용요율울 등록하면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가 처리된 후 《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되는 전표(매입전표 또는 대납전표)와 《업무처리목록》에서 생성되는 매출전표의 물류비용이 자동계산되어 표시된다.
물류업무별 요율표에서 수출선적료의 ① 등록기준 - 화물형태(FCL, LCL, BULK, ETC)와 요율단위(콘테이너, 중량, 용적)별로 등록하고, “가격조건”별로 상차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물류비용을 등록한다. ② 적용환율 - 환율은 한국외한은행이 08-30분에 고시하는 최초고시환율을 적용한다. ③ 수출선적료 산출기준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수출선적료요율”을 등록하면 《Booking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수출선적료가 자동산출된다.
수입D/O료의 ① 등록기준 - 화물형태(FCL, LCL, BULK, ETC)와 요율단위(콘테이너, 중량, 용적)별로 등록하고, “가격조건”별로 상차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물류비용을 등록한다. ② 수입D/O료 산출기준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수출선적료요율”을 등록하면 《D/O발행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수입D/O료가 자동산출된다.
선사체화료의 ① Demurrage (화물체화료) ⓐ 대륙등록(팝업창) - 대륙별로 Demurrage가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여 등록한다. ⓑ 경과기간(팝업창) - 대륙별로 경과기간을 설정하여 콘테이너별로 Demurrage를 구분하여 등록한다. ② Detention Charge (반납지체료) ⓐ 대륙등록(팝업창) - 대륙별로 Detention Charge가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여 등록한다. ⓑ 경과기간(팝업창) - 대륙별로 경과기간을 설정하여 콘테이너별로 Detention Charge를 구분하여 등록한다. ③ Overstorage (부두경과보관료) - 보세운송화물과 부두통관화물에 대하여 경과기간별로 Charge를 등록한다. ④ 선사체화료 표시기준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수출선적료요율”을 등록하면 《D/O발행목록》→ “매출전표(팝압창)”의 “DEM"의 비용이 자동산출된다.
통관료의 ① 등록기준 - 수출통관료와 수입통관료에 대하여 기본요금과 최대(Maximum)요금을 등록한다. ② 수출통관료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수출통관료요율”을 등록하면 《수출통관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수출통관료가 자동산출된다. ③ 수입통관료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수입통관료요율”을 등록하면 《수입통관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수입통관료가 자동산출된다.
운송료 ① 등록기준 - 화물형태별로 상차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운송료를 등록한다. ② 운송료 산출기준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운송료요율”을 등록하면 《운송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통관료가 자동산출된다.
하역료의 ① 등록기준 - 항공화물과 해상화물을 구분하여 등록하고 작업할증료와 셔틀료도 등록한다. ② 하역료 산출기준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하역료요율”을 등록하면 《하역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하역료가 자동산출된다.
CY비용의 ① 등록기준 - 적출료, 검사료, 상하차료를 등록하고, 경과보관료는 “경과기간추가(팝업창)”에서 콘 ② 경과보관료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CY료요율”을 등록하면 《FCL출고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CY료가 자동산출된다.
창고료 ① 등록기준 - CFS보관료와 CFS입출고료를 등록한다. ② 창고료 산출기준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창고료요율”을 등록하면 《CFS출고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창고료가 자동산출된다.
검역료 ① 등록기준 - 검역수수료, 정밀검사료, 방역소독료를 등록한다. ② 검역료 산출기준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별로 “검역료요율”을 등록하면 《검역목록》→ “매출전표(팝압창)”에서 검역료가 자동산출된다.
기타요금 - H/C, 보수작업비, 화물검수료, 적하보험료, 화물포장료, 무역대행료 등을 등록한다. 부가세요율 - 취급품목별로 부가세율을 등록하면 《B/L정산표》→《B/L정산내역》에서 취급품목별로 “자사매출액”과 “자사매입액”의 세율(부가세율)이 자동표시된다.
도 16 내지 도 19는 상품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16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7은 《상품목록》에서 상품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8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단가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19는 상품단가표의 상품등록정보에서 상품단가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품정보등록에서 품목등록기준의 입력기준 - 품목코드를 구성하는 5개항목(HS,품명,모델,규격,타입)의 입력문자는 2종류문자(숫자,영문)를 혼합하거나 어느 한종류의 문자를 사용한다. ② 입력문자 - 입력된 문자는 대문자와 소문자, 공백문자의 유무에 관계없이 동일한 글자로 인식된다. ③ 중복등록 오류 - 등록하려는 품목이 글자입력의 오류로 인하여 중복등록이 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품목으로 인식하게 되므로 “입력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④ 입력오류 예방수단 - 원칙적으로 등록하려는 품목은 "상품공급자"가 사용하고 있는 품목을 “공급자품목 인용등록”으로 등록하는 것이 입력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⑤ 필수입력사항 - 2종류항목(HS6단위, 품명)은 필수입력사항이며 나머지항목(모델, 규격, 타입)은 생략이 가능하다.
상품정보등록은 팝업창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품정보등록에서 (1) 등록번호 - 등록한 순위를 나타내는 자사의 일련번호이다. (2) 등록일자 - 최초등록일자가 자동표시된다. (3) 공급자품목 인용에서 ① 품목제공자 - 업체조회(팝업창)에서 상품공급자(매입처)를 조회한다. ② 공급자품목의 자사인용 - 자사가 등록하고자 하는 “공급자품목”을 선택한 후 “품목인용(버튼)”을 클릭하면 품목사항 5개항목(HS,품명,모델,규격,타입)이 자사의 품목으로 자동입력된다. ③ 거래정보 공유관계 - 공급자PC에서 《업체목록》의 “수출입화주(상품거래처)등록”의 “10.하불처목록”에서 “하불처”를 클릭한 후 “하불처업무처리기준(팝업창)”의 “6.상품거래정보 공유관계”에서 하불처의 “상품정보제공”란에 “O(제공)"으로 표시되면 ”자사PC“에서 공급자품목을 인용할 수 있다.
품목지정 절차는 ① 기존항목 선택 - “품목지정(팝업창)”에서 5개(HS,품명,모델,규격,타입)의 항목별로 검색하여 지정하고자 하는 “품목사항”을 5개항목(HS,품명,모델,규격,타입)에서 각각 선택한 후 “품목지정(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품목사항이 자동입력된다. ② 항목별 직접입력 - “품목지정(팝업창)”에서 5개(HS,품명,모델,규격,타입)의 항목별로 검색한 결과 지정하고자 하는 “품목사항(5개항목)”이 없으면 항목별로 "직접입력"한다.
품목코드는 ① 표시기준 - 4개(품명,모델,규격,타입)의 “품목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② 표시형태 - AAA(품명-영문자3개)+888(모델-숫자3개)+AAA(규격-영문자3개)+888(타입-숫자3개) ③ 표준품목코드는 ⓐ 생성절차 - 품목사항의 4개항목(품명,모델,규격,타입)별로 "직접입력"하거나 "기존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항목(HS,품명,모델,규격,타입)별로 입력되는 "순서대로" 자동부여된다. ⓑ 수정불가능 - 품목사항 4개항목(품명,모델,규격,타입)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생성되고 수정이 불가능하다. ④ 기존품목코드는 ⓐ 임의입력 - 본 시스템에 회원가입하기 전에 사용하고 있었던 품목코드를 임의로 입력한다. ⓑ 품목코드 수정 -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에서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팝업창에서 “문서확정(버튼)”을 클릭한 후부터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⑤ 품목코드 적용기준 - 2종류(□표준품목코드사용 □기존품목코드사용)에서 선택하며 선택된 “품목코드”는 《무역업무》의 4개목록(재고목록, 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에서 사용된다.
품목사항 등록은 ① HS Code -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The Interpretation of the Combined Tariff/Statistical Nomenclature)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표현된 품목의 “HS Code"를 입력한다. ② 4개항목(품명,모델,규격,타입) - 4개항목은 품목코드의 구성요소로서 등록한 이후부터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입력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신중히 입력하여야 한다. ③ 주요성분 - 재질 또는 성분 중에서 함량이 가장 많은 성분을 입력한다.
위험물코드는 “위험물코드(팝업창)”에서 선택하며, 위험물로 분류되는 상품은 반드시 “위험물코드”를 입력하여야 한다.
포장단위는 ① 입력절차 - “포장규격종류(팝업창)”에서 선택한다. ② 사용기준 -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의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팝업창에서 “포장단위"의 결정기준이 된다.
거래단위 ① 입력절차 - 단가결정의 기준이 되는 단위를 포장단위(Package), 수량단위(Quantity), 총중량(G.Weight), 순중량(N.Weight), 용적단위(Measurement)에서 선택하여 입력한다. ② 단위량 결정기준 -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의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팝업창에서 “단위량(Unit Volume)"의 결정기준이 된다.
등록정보수정에서 수정불가항목은 ① 4개항목(품명,모델,규격,타입) - 4개항목은 품목코드를 구성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수정이 불가능하다. 다만, H.S Code는 언제든지 수정이 가능하다. ② 거래단위 -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의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팝업창에서 “단위량(Unit Volume)"의 결정기준이 되기 때문에 수정이 불가능하다. 수정가능한 경우는 등록된 품목(HS, 품명, 모델, 규격, 타입)과 거래단위는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의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팝업창에서 사용되기 전까지는 “수정”과 “삭제”가 가능하다.
수정가능항목은 ① H.S Code - 언제든지 수정가능하며 “수정시점”부터 반영되고 소급적용되지 않는다. 세관의 분석결과에 의하여 기존의 H.S Code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즉시 수정한다. ② 3개항목(주요성분, 위험물코드, 포장단위) - 언제든지 수정가능하며 “수정시점”부터 반영되고 소급적용되지 않는다. ③ 수정내역 - 수정되는 항목에 대하여는 “수정내역”에 자동기록되며, “수정시점”부터 반영되고 소급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수정사유”를 구체적으로 기록해 두어야 한다.
등록해지에서 품목 또는 거래단위 변경은 ① 등록정보 수정기준 - “품목등록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와 “거래단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의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팝업창에서 사용되기 전까지는 “등록정보수정”이 가능하다. ② 등록해지 기준 -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의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팝업창에서 사용된 후에 “수정불가항목”을 정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등록해지”하고 신규등록하여야 한다. ③ 등록해지 및 재등록 - 품목등록시 문자(영문,숫자)의 입력오류로 인하여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의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팝업창에서 사용된 후에 등록오류를 발견하였다면 오류입력된 품목은 “등록해지”를 하고 오류없는 정확한 품목으로 “신규등록”한다 ④ 해지품목 - “오류등록”으로 “등록해지”된 품목은 “해지일자” 이전의 과거자료는 DB에 5년동안 보존되며 해지일자 이후부터 기존의 품목코드는 사용이 중지된다.
재고량 이월에서 ① 재등록 이월 - 품목과 거래단위를 변경하기 위하여 “등록해지”를 한 후 변경된 품목과 거래단위로 “재등록”하는 경우에는 “등록해지”된 품목의 재고량을 “신규등록”의 재고량으로 이월하여야 한다. ② 이월절차 - “등록해지”한 품목의 재고량을 《재고목록》→《재고량 원시등록》의 “등록구분”에서 “재고이월”을 선택하여 이월정리한다.
상품판매단가 등록에서 기본설정은 ① 부가세율 -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납품시 적용하는 부가세율의 기본값을 입력하면 등록되는 품목마다 동일한 세율이 적용되며 품목마다 세율수정도 가능하다. ② 가격조건 -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납품시 적용하는 가격조건의 기본값을 입력하면 등록되는 품목마다 동일한 가격조건이 적용되며 품목마다 가격조건의 수정도 가능하다. ③ 인도장소 -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납품시 적용하는 가격조건에서 약정되는 인도장소의 기본값을 입력하면 등록되는 품목마다 동일한 인도장소가 적용되며 품목마다 인도장소의 수정도 가능하다. ④ 기준통화 -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납품시 적용하는 기준통화의 기본값을 입력하면 등록되는 품목마다 동일한 기준통화가 적용되며 품목마다 기준통화의 수정도 가능하다.
상품단가표의 적용은 ① 자사단가표 - 《자사정보》→《상품목록》에서 지정된 “상품단가”는 《업체목록》→“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상품단가표(팝업창)”에 자동표시된다. ② 업체단가표에서 ⓐ 표시기준 - 《업체목록》→“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상품단가표(팝업창)”에 표시된 “상품단가”는 《무역업무》의 3개목록(주문목록, 견적서목록, 상업송장목록)에서 주문서(P/O), 납품서(D/S), 견적서(E/S), 상업송장(C/I)의 상품단가에 자동표시된다. ⓑ 업체별 단가수정 - 《업체목록》→“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상품단가표(팝업창)”에 표시된 “상품단가”에 대하여 등록되는 업체별로 계약되는 단가를 수정등록한다.
HS Code는 ① 관세청의 관세율적용에 사용되는 품목분류번호를 입력한다. ② - 기존에 등록되었던 “H.S"를 계속사용하는 경우 (선택)을 클릭하면 자사가 입력했던 모든 "H.S Code"가 모두 나타나며 여기서 등록하려는 H.S Code를 선택한다. ③ 기존에 등록된 "H.S"가 없는 경우에는 "직접입력"한 후 (검증)을 클릭하여 "등록오류여부"를 확인한다.
순번코드는 본시스템에서 자사를 포함한 회원사 모두 5종류(HS, 품명, 모델, 규격, 타입)항목이 동일한 품목에 대하여 본시스템에 입력되는 순번대로 자동부여된다.
품명(Name of Goods)은 ① HS에 대하여 종속적이고 세부적인 항목이며, 거래품명을 입력하면 “품명부호”가 자동생성되고, 등록된 하나의 “H.S Code”에 대하여 A~Z까지 26개의 품명을 등록할 수 있다. ② 기존에 등록되었던 “품명"을 계속사용하는 경우 (선택)을 클릭하면 “H.S”에 종속되는 모든 "품명"이 나타나며 여기서 등록하려는 ”품명“을 선택한다. ③ 기존에 등록된 "품명"이 없는 경우에는 "직접입력"한 후 (검증)을 클릭하여 "등록오류여부"를 확인한다.
모델(Model)은 ① 품명에 대한 종속적이고 세부적인 항목이며 모델명을 입력하면 “모델부호”가 자동생성되고, 등록된 상위단계의 “품명”에 대하여 01~99까지 99개의 모델을 등록할 수 있다. ② 기존에 등록되었던 “모델”을 계속사용하는 경우 (선택)을 클릭하면 “품명”에 종속되는 모든 "모델"이 나타나며 여기서 등록하려는 “모델”를 선택한다. ③ 기존에 등록된 "모델"이 없는 경우에는 "직접입력"한 후 (검증)을 클릭하여 "등록오류여부"를 확인한다.
규격(Standard)은 ① 모델에 대한 종속적이고 세부적인 항목이며 규격명을 입력하면 “규격부호”가 자동생성되고, 등록된 상위단계의 “모델”에 대하여 A~Z까지 26개의 규격을 등록할 수 있다. ② 기존에 등록되었던 “규격”을 계속사용하는 경우 (선택)을 클릭하면 “품명”에 종속되는 모든 "규격"이 나타나며 여기서 등록하려는 “규격”를 선택한다. ③ 기존에 등록된 "규격"이 없는 경우에는 "직접입력"한 후 (검증)을 클릭하여 "등록오류여부"를 확인한다.
타입(Type)은 ① 규격에 대한 종속적이고 세부적인 항목이며 타입명을 입력하면 “타입부호”가 자동생성되며, 등록된 상위단계의 “규격”에 대하여 01~99까지 99개의 타입을 등록할 수 있다. ② 기존에 등록되었던 “타입”을 계속사용하는 경우 (선택)을 클릭하면 “품명”에 종속되는 모든 "타입"이 나타나며 여기서 등록하려는 “타입”를 선택한다. ③ 기존에 등록된 "타입"이 없는 경우에는 "직접입력"한 후 (검증)을 클릭하여 "등록오류여부"를 확인한다.
포장단위 제원은 ① 수량 - 포장단위당 내품수량을 입력한다. ② 총중량 - 포장단위당 총중량(내품중량과 포장재중량의 합산중량)을 입력한다. ③ 순중량 - 포장단위당 순중량(포장재중량을 제외한 내품중량)을 입력한다. ④ 용적은 ⓐ 포장단위의 SIZE를 입력하며, 콘테이너 내품으로 적재하는 경우에 차지할 수 있는 용적값을 입력하여야 한다. ⓑ 길이(Length) *폭(Width) * 높이(Height)의 SIZE를 밀리미터(mm)의 값으로 입력하면 CBM단위의 용적값이 자동계산된다.
수정불가사유는 ① 《납품서》또는《Commercial Invoice》에서 《납품명세표》를 작성완료한 후부터는 “수정/삭제”가 불가능하다. ② 《재고목록》→《검색조건》→《재고구분》에서 “송장잔량”으로 조회하는 경우에 있어 《납품명세표》를 작성한 이후부터는 “송장잔량”의 “총재고량”이 변경되기 때문에 품목(HS, 품명, 모델, 규격, 타입)을 “수정/삭제”하면 안된다.
도 20 내지 도25은 업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0은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관련된 《물류거래처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1은 《물류거래처목록》에서 발주처로부터 물류업무처리를 위임받은 수출입화주에 대하여 수출입화주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22는 수출입화주등록에서 하불처의 물류하청업무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23은 수출입화주등록의 발주처지정에서 발주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4는 수출입화주등록의 청구처지정에서 청구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25는 수출입화주등록의 하불처지정에서 하불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물류거래처목록의 업체등록에서 수출입화주의 ① 등록대상은 ⓐ 자사가 물류업체인 경우 -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상품의 판매(수출)와 구매(수입)를 담당하는 “수출입화주”를 등록한다. ⓑ 자사가 수출입화주인 경우 - 수출입화주도 물류거래의 당사자이므로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자사(수출입화주)를 “등록화주”로 등록하여야 한다.
업체등록에서 ② 인용등록은 ⓐ 인용목록 자동표시 - 발주처가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8.하불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자사”를 하불처로 지정하면 “수출입화주”가 자사의 “수출입화주 인용목록”에 자동표시된다. ⓑ 수출입화주 자동등록 - “수출입화주 인용목록(팝업창)”에서 인용등록하고자 하는 수출입화주를 선택한 후 “인용등록(버튼)”을 클릭하면 《물류거래처목록》에 자동표시된다. ⓒ 수출입화주정보 자동수정 - 발주처가 "발주처의 업체정보"를 수정하거나 "발주처에 종속된 수출입화주의 정보"를 수정하면 자사가 인용등록한 “수출입화주정보”와 “발주처정보”가 동시에 자동수정된다. ③ 인용보류 - 인용등록을 보류할 수출입화주를 선택한 후 “인용보류(버튼)”을 클릭하면 “인용보류목록(팝업창)”으로 이전된다.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등록에서 ① 등록절차 -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업체이므로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한다.
관리자코드에서 ① 관리자코드 등록 - 거래처(발주처, 하불처)를 책임관리하는 사원의 "관리자코드"를 등록한다. ② 등록절차 - "관리자코드목록(팝업창)"에서 거래처관리를 위한 "관리자코드"를 생성(등록)한 후 "수출입화주" 및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를 등록한다. ③ 복수의 관리자코드 - 사원1명당 "관리자코드" 1개를 부여함이 원칙이지만 99곳의 거래처(거래처 관리순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또하나의 "관리자코드"를 추가생성할 수 있다.
관리코드에서 거래처관리코드는 ① 표시기준 - KB(영문2글자- 관리자코드) + 08(숫자2개 - 거래처관리순번) + X(관리코드구분) ② 거래처 관리순번 - "물류거래처등록(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를 등록하면서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의 "거래처관리자"를 지정하면 “거래처관리자”별로 자동부여되는 일련번호이며, 1개의 "관리자코드"에 99개의 "거래처관리순번"이 생성된다. ③ 거래처관리코드 구분 - 발주처관리코드는 “X”로 표시되고, 청구처관리코드는 “Y”로 표시되며, 하불처관리코드는 “Z”로 표시된다.
화주관리코드는 ① 표시기준 - - KB(영문2글자 - 관리자코드) + 08(숫자2개 - 거래처관리순번) + X(관리코드구분) + 01(숫자2개 - 화주관리순번) ② 화주관리순번 -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별로 "화주관리순번"이 각각 거래처관리순번에 종속되어 표시된다. ③ 화주관리코드 구분 -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관리코드”에 종속된 “화주관리코드”는 《물류거래처목록》에서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별로 검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존재하므로 “거래처구분”의 검색범위에서 각각 구분되어 표시된다.
거래처관리코드와 업체코드에서 ① 거래처관리코드 - 자사가 내부적으로 거래처(발주처 및 하불처)를 관리하기 위한 "자사관리코드"이며, 등록된 수출입화주에 대하여 자사의 "거래처관리자"별로 관리할 목적이므로 거래처와 연동되지 않는다. ② 업체코드 - 자사와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의 상호간에 업무처리정보(자사정보제공, 거래처정보인용, Invoice제공, 수출입면장제공, B/L제공, D/O제공, 거래전표제공, 거래전표인용, 적하목록제공, 화물재고목록제공 등)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하여 거래처와 연동되는 "접속코드"이다.
업체코드에서 거래처의 업체코드의 ① 입력절차 - 시스템에서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가 회원가입한 후 《자사코드설정》에서 생성된 “업체코드”를 거래처로부터 수령하여 입력한다. ② 업체코드의 구성 - 국가코드(영문2글자) + 식별번호(숫자2개) + 업체고유부호(영문4글자)
업체코드의 용도는 ① 거래정보공유의 접속코드 - 업체코드는 자사와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간에 거래정보에 대한 공유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속코드”이다. ② 자사 업무처리기준 설정 - 청구처가 자사의 업무처리기준(B/L정산표 및 전자세금계산서)을 설정하기 위하여 청구처는 자사로부터 “자사코드”를 제공받아 입력한 후 자사는 청구처로부터 “업체코드”를 제공받아 입력한다. ③ 하불처 업무처리기준 설정 - 자사가 하불처의 업무처리기준(B/L정산표 및 전자세금계산서)을 설정하기 위하여 자사는 하불처로부터 “업체코드”를 제공받아 입력한 후 하불처는 자사로부터 “자사코드”를 제공받아 입력한다.
자사코드의 ① 업무번호의 구성요소 - 《업무요청목록》의 “업무요청서(팝업창)”에서 생성되는 업무번호(업무요청번호)와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생성되는 업무번호(업무처리번호)는 “자사코드”와 “업무코드(영문2글자)”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② 예를들면, Booking목록에서 생성되는 “Booking No.”의 업무번호는 KR002HDMU1004MB-0008로 표시되는데, “업체코드(KR002HDMU)+년월(1004)+업무코드(MB)+일련번호"로 구성된다.
물류정보 제공여부에서 ① 물류정보 제공기준 - 거래처(발주처/하불처)에 대한 “물류정보 제공”을 설정하면 업무처리정보(Invoice정보, B/L정보, 수출입면장, D/O정보, 적하목록정보 등)가 거래처에게 제공된다. ② 제공여부 설정절차 - “거래처에 대한 물류정보제공”에서 자사의 업무처리정보를 “거래처(발주처/하불처)”에게 제공하려면 해당항목에서 “승인(O.K)”으로 설정한다. ③ 적용시점 - “물류정보 제공여부”에서 설정된 “제공여부”를 수정하는 경우 ‘제공여부’의 적용은 “수정시점”부터 적용된다.
업체목록 배열기준의 발주처와 수출입화주에서 ① 발주처와 수출입화주가 다른 경우 ⓐ 배열구조 -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발주처를 지정하면 수출입화주가 발주처에 종속된 배열구조로 표시된다. ⓑ 표시기준 - 발주처관리코드(예, MG-03X)에 종속된 “화주관리코드(예, MG-03X-08)”로 표시되어 배열된다. ② 발주처와 수출입화주가 동일한 경우 - 등록된 수출입화주가 발주처와 동일하면 “발주처관리코드(CR-03X)”가 생성되고 “화주관리순번(일련번호 숫자2개)”은 생성되지 않으므로 《물류거래처목록》에서 발주처관리코드(예, MG-03X)와 동일하게 표시되어 배열된다.
청구처와 수출입화주에서 ① 청구처와 수출입화주가 다른 경우 ⓐ 배열구조 -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청구처를 지정하면 수출입화주가 청구처에 종속된 배열구조로 표시된다. ⓑ 표시기준 - 청구처관리코드(예, MG-03Y)에 종속된 “화주관리코드(예, MG-03Y-08)”로 표시되어 배열된다. ② 청구처와 수출입화주가 동일한 경우 - 등록된 수출입화주가 청구처와 동일하면 “청구처관리코드(CR-03Y)”가 생성되고 “화주관리순번(일련번호 숫자2개)”은 생성되지 않으므로 《물류거래처목록》에서 청구처관리코드(예, MG-03X)와 동일하게 표시되어 배열된다.
하불처와 수출입화주에서 ① 배열구조 -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8.하불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를 지정하면 수출입화주가 하불처에 종속된 배열구조로 표시된다. ② 표시기준 - 하불처관리코드(예, MG-03Z)에 종속된 “화주관리코드(예, MG-03Z-08)”로 표시되어 배열된다.
업체검색 방법은 ① 거래처 검색 - “거래처구분”의 검색범위에서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를 검색하면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별로 등록된 수출입화주가 각각 배열된다. ② 수출입화주 검색 - “거래처구분”의 검색범위에서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별로 수출입화주를 검색하면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위하여 등록된 거래처가 배열된다. ③ 검색범위 기본값 - “거래처구분”의 검색범위는 "발주처"가 기본값으로 배열된다. ④ 정렬방식 - 3종류(관리코드, 업종부호 , 업체명)에서 선택하며, "관리코드" 중에서 "발주처관리코드"가 기본값으로 배열된다. ⑤ 펼쳐(줄여)보기에서 ⓐ 줄여보기 - “거래처구분”의 검색범위에서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별로 “거래처관리코드”순으로 배열된다. ⓑ 펼쳐보기 - “거래처구분”의 검색범위에서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별로 “거래처”에 종속된 수출입화주(화주관리코드 포함)가 펼쳐진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수출입화주 등록에서 등록화주에 대한 사업자등록정보의 등록화주 관리는 ① 관리주체 - 자사에게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발주처가 “수출입화주 의 업체정보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자사는 발주처가 보유하고 있는 등록화주(수출입화주)의 “사업자등록증 정보를 발주처로부터 제공받는다. ② 등록화주 자동인용은 ⓐ 인용기준 - 발주처가 《수출입화주등록》→“8.하불처 의 “하불처지정(팝업창) 에서 “자사 를 하불처로 지정하면, “등록화주 의 사업자등록정보가 자사의 《물류거래처목록》→“수출입화주인용목록(팝업창) 에 자동으로 인용표시된다. ⓑ 인용절차 - 《물류거래처목록》→“수출입화주인용목록(팝업창) 에서 인용할 수출입화주를 선택한 후 “인용등록(버튼) 을 클릭하여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에서 거래처정보(발주처정보, 청구처정보, 하불처정보)를 입력하고 저장(버튼)한다.
등록화주정보 직접입력에서 ① 입력절차 - 등록화주정보가 발주처로부터 자동으로 인용되지 않으면 발주처로부터 Fax로 수령한 “사업자등록증 의 표시사항과 동일하게 6개항목(사업자등록번호, 상호, 대표자, 업태, 종목, 사업장주소)을 “직접입력 한다. ② 실명검증 - 등록화주정보를 직접입력하는 경우 “실명검증(버튼) 을 클릭하여 국세청에 등록된 “사업자정보 의 실명등록여부를 검증한다.
사업자등록정보 수정에서 ① 수정주체 - 수출입화주의 사업자등록정보는 동일국가 내에서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모든 거래처가 수정할 수 있다. ② 수정절차 - 수출입화주의 사업자등록정보를 자사가 “직접수정 하는 경우 등록화주정보를 수정한 후 “저장/수정(버튼) 을 클릭하여 “수정사유 를 입력한다. ③ 수정내역 - 수출입화주의 수정이력(수정담당업체, 사정사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화주의 장부명에서 ① 업체명(장부명) - 업무처리담당자가 업체명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업자등록정보의 “상호 를 간단명료하게 압축한 명칭의 “장부명 으로 입력한다. ② 축약된 장부명 - 예를들면 사업자등록증의 상호가 (주)캘리포니아엔터프라이즈 - 상호의 글자수가 너무 많으므로 (주)의 글자도 빼고 5글자 이내로 “캘리포니아 로 등록한다. ③ 장부명 사용처 - 모든 업무처리목록 과 업무요청목록 그리고 거래장(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에서는 사업자등록증의 상호 를 사용하지 않고 장부명 이 표시된다. ④ 사업자등록증 상호 - 사업자등록증의 상호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에서 공급자 또는 공급받는자의 명칭으로만 사용된다.
발주처에서 거래처구분 -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거래처를 3곳(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으로 구분하여 등록한다. 발주처 지정은 ① 발주처정보 등록 - 발주처를 지정한 후 업체명(팝업창) 을 클릭하여 발주처정보 를 등록(수정)한다. ② 발주처 추가지정은 ⓐ 다수의 발주처 - 1곳의 수출입화주에 대하여 2곳이상의 발주처가 존재함에 따라 기존의 발주처와 별도로 발주처 1곳을 더 추가지정하려면 추가되는 발주처를 신규지정 한다. ⓑ 발주처 추가지정 - 신규의 발주처를 추가하려면 《물류거래처목록》의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에서 신규발주처 추가지정(팝업창) 을 클릭하여 추가지정할 발주처를 신규지정 하면 《물류거래처목록》에 신규발주처 가 표시된다. ③ 발주처 변경 - 기존의 발주처를 다른 발주처로 변경하려면 발주처변경(팝업창) 에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할 발주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 한다.
발주처관리에서 ① 발주처관리자 - 업체코드 를 입력하면 기존에 등록된 발주처정보 에 의하여 발주처관리자가 자동표시된다. ② 발주처 관리코드 - 업체코드 를 입력하면 기존에 등록된 발주처정보 에 의하여 발주처관리코드가 자동표시된다.
등록화주 관리코드에서 ① 수출입화주와 발주처가 다른 경우 - 발주처관리코드(예, MG03X) 에 화주관리순번(숫자2개)이 조합된 화주관리코드(예, MG03X-06) 가 생성된다. ② 수출입화주와 발주처가 동일한 경우 - 발주처관리코드(CR-03X) 만 생성되고 화주관리순번(일련번호 숫자2개) 은 생성되지 않으므로 발주처관리코드 와 동일하게 표시된다. ③ 다수의 발주처 - 1곳의 수출입화주에 대하여 2곳이상의 발주처가 존재하는 경우 발주처별로 등록화주 관리코드 가 생성된다.
수출입화주와 발주처의 관계에서 ① 수출입화주의 거래관계 - 수출입화주가 아닌 제3자(물류업체)로부터 선적서류(B/L, Invoice)와 물류비용을 제공받아서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 제3자(물류업체)는 자사의 발주처이다. ② 거래정보제공 불가 - 등록화주(수출입화주)는 발주처가 관리하고 있는 업체이므로 발주처의 거래처(발주처의 상위단계)이지만 자사의 거래처는 아니다. 따라서 자사는 등록화주(수출입화주)에게 물류정보 를 직접 제공할 수 없다. ③ 업체목록 배열 - 등록화주(수출입화주)와 발주처가 다른 경우 등록화주(수출입화주)는 물류거래처목록 에서 발주처의 종속단계에 배열된다.
수출업무 처리기준에서 수출비용 청구처에 대한 청구처 지정은 ⓐ 청구처정보 등록 - 청구처를 지정한 후 업체명(팝업창)을 클릭하여 청구처정보 를 등록한다. ⓑ 청구처 변경 - 기존의 청구처를 다른 청구처로 변경하려면 기존청구처변경(팝업창) 에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할 청구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 한다. 청구처관리는 ⓐ 청구처관리자 - 업체코드 를 입력하면 기존에 등록된 청구처정보 에 의하여 청구처관리자가 자동표시된다. ⓑ 청구처 관리코드 - 업체코드 를 입력하면 기존에 등록된 청구처정보 에 의하여 청구처관리코드가 자동표시된다. 등록화주 관리코드는 ⓐ 수출입화주와 청구처가 다른 경우 - 청구처관리코드(예, MG03Y) 에 화주관리순번(숫자2개)이 조합된 화주관리코드(예, MG03Y-06) 가 생성된다. ⓑ 수출입화주와 청구처가 동일한 경우 - 청구처관리코드(CR-03Y) 만 생성되고 화주관리순번(일련번호 숫자2개) 은 생성되지 않으므로 청구처관리코드 와 동일하게 표시된다.
자사담당자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자사담당자 를 지정한다.
하불처에서 하불처 지정 ① 지정절차 - 하불처지정(팝업창) 의 거래처조회(팝업창) 에서 하불처를 지정하며 지정할 하불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 한다. ② 다수의 하불처지정 - 모든 물류업무를 1곳의 하불처에게 일괄하청하지 않고 하청업무 별로 구분하여 여러곳의 하불처를 지정할 수 있다.
하불처관리에서 ① 하불처관리자 - 업체코드 를 입력하면 기존에 등록된 하불처정보 에 의하여 하불처관리자가 자동표시된다. ② 하불처 관리코드 - 업체코드 를 입력하면 기존에 등록된 하불처정보 에 의하여 하불처관리코드가 자동표시된다. ③ 등록화주 관리코드 - 하불처관리코드(예, MG03Z) 에 화주관리순번(숫자2개)이 조합된 화주관리코드(예, MG03Z-06) 가 생성된다.
물류하청업무에서 ① 수출입물류 - 15종류(항공사업무, 선사업무, 포워더업무, 통관업무, 운송업무, 하역업무, CY출고업무, CFS출고업무, 검역업무, 적하보험업무, 보수작업업무, 화물검수업무, 화물포장업무, 무역대행업무, L/C개설업무)의 하청업무가 표시된 업무제목표(팝업창)에서 수출업무와 수입업무에 해당되는 업무처리표(팝업창) 을 지정한다. ② 입출항 공항만의 ⓐ 지정기준 - 수출입물류에 있어서 화물운송의 교통시간과 물류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등록업체(하불처)에게 화물이 수출입되는 입출항공항만 을 지정할 수 있다. ⓑ 지정공항만 - 등록업체(하불처)에게 어느 특정된 입출항공항만 으로 수출입되는 화물의 물류업무를 하청하고자 하는 경우 국내공항만코드(팝업창) 에서 입출항공항만 을 지정한다. ⓒ 전국공항만 지정 - 물류업무를 하청하는 입출항공항만 을 특정하지 않고 전국의 공항만을 일괄지정하는 경우 □전국공항만지정 에 체크한다. 다만 전국공항만 중에서 제외할 공항만 을 지정할 수 있다. ③ 국내물류 - 15종류(항공사업무, 선사업무, 포워더업무, 통관업무, 운송업무, 하역업무, CY출고업무, CFS출고업무, 검역업무, 적하보험업무, 보수작업업무, 화물검수업무, 화물포장업무, 무역대행업무, L/C개설업무)의 하청업무가 표시된 업무제목표(팝업창)에서 국내물류에 해당되는 업무처리표(팝업창) 을 지정한다.
④ 화물처리지역의 ⓐ 지정기준 - 국내물류에 있어서 화물의 입출항공항만 과 상관없이 입출고업무의 신속성을 위하여 등록업체(하불처)에게 화물처리를 관할하는 내륙지역 을 지정할 수 있다. ⓑ 지정내륙지역 - 등록업체(하불처)에게 어느 특정된 내륙지역 으로 입출고되는 화물의 물류업무를 하청하고자 하는 경우 국내지명코드(팝업창) 에서 내륙지역 을 지정한다. ⓒ 전국내륙지역 지정 - 물류업무를 하청하는 내륙지역 을 특정하지 않고 전국의 내륙지역을 일괄지정하는 경우 □전국내륙지역지정 에 체크한다. 다만 전국내륙지역 중에서 제외할 내륙지역 을 지정할 수 있다.
물류비용 요율표등록에서 자사요율표 등록 - 자사는 《자사환경설정》에서 모든 발주처에 동일하게 적용할 물류비용요율 을 등록한다.
발주처요율표 수정등록의 ① 표시기준 - 《자사환경설정》에서 등록한 물류비용 요율이 자동표시된다. ② 수정등록 - 《자사환경설정》으로부터 자동표시된 물류비용요율 을 발주처에 적용할 요율로 수정등록한다.
화주요율표 수정등록의 ① 표시기준 - 거래처등록(팝업창) 의 발주처요율표 에서 등록한 물류비용 요율이 자동표시된다. ② 수정등록 - 발주처요율표 로부터 자동표시된 물류비용요율 을 등록화주에 적용할 요율로 수정등록한다.
메모장의 ① 메모절차 -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자사의 업무담당자 에게만 참고할 수 있는 특이사항이 있으면 메모장 에 입력하여 수출입화주에 관한 업무매뉴얼 로 활용한다. ② 메모내용 보안유지 - 메모 의 입력정보는 보안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업무요청목록》의 업무요청서(팝업창) 과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 에서 업무담당자로 지정된 2명의 사원(업무팀장, 처리담당)에게만 열람이 가능하다.
수정내역 - 수출입화주의 등록정보를 수정한 후 저장/수정(버튼) 을 클릭하여 수정사유 를 입력한 후 수정내역(팝업창) 에서 수정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취소의 ① 취소절차 - 등록취소(버튼) 을 클릭하면 저장/수정 된 수출입화주의 등록정보가 《물류거래처목록》에서 삭제된다. ② 취소불가능 - 《업무요청(처리)목록》에서 업무요청(처리)번호 가 생성된 후부터는 등록된 수출입화주의 등록취소(삭제) 가 불가능하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 등록을 위한 기본정보에서 거래처 자동등록의 ① 업체코드는 ⓐ 자사코드제공 및 업체코드수령 : 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로부터 “거래처정보”를 제공받고 자사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사는 거래처에게 “자사코드”를 제공하며 동시에 거래처로부터 “업체코드”를 수령한다. ⓑ 업체코드입력 및 거래처정보 인용 : 자사는 거래처의 “업체코드”를 입력한 후 저장(버튼)하고, 거래처는 “자사코드”를 입력하고 저장(버튼)하면 상호간에 거래처정보(사업자등록정보, 실무자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자사와 거래처의 어느 한쪽이 “업체코드”를 입력하지 않으면 거래처정보를 인용할 수 없으며 “직접입력”하여야 한다. ② 등록구분은 거래처정보를 3종류(발주처정보, 청구처정보, 하불처정보)로 구분하여 등록한다. ③ 등록업체가 발주처인 경우는 ⓐ 자사코드 제공 : 등록업체(발주처)가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자사를 하불처로 지정하는 경우 자사코드를 등록업체(발주처)에게 제공한다. ⓑ 업체코드 수령 : 등록업체(발주처)가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8.하불처지정”에서 자사를 “하불처”로 지정한 후 자사는 발주처로부터 업체코드를 수령한다. ⓒ 업체코드 입력 : 자사는 발주처로부터 받은 업체코드를 입력하면 등록업체(발주처)의 “발주처정보(사업자등록정보 및 실무자정보)”가 자동등록된다. ④ 등록업체가 청구처인 경우는 ⓐ 자사코드 제공 : 등록업체(청구처)가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자사를 하불처로 지정하는 경우 자사코드를 등록업체(청구처)에게 제공한다. ⓑ 업체코드 수령 : 등록업체(청구처)가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8.하불처지정”에서 자사를 “하불처”로 지정한 후 자사는 청구처로부터 업체코드를 수령한다. ⓒ 업체코드 입력 : 자사는 청구처로부터 받은 업체코드를 입력하면 등록업체(청구처)의 “청구처정보(사업자등록정보 및 실무자정보)”가 자동등록된다. ⑤ 등록업체가 하불처인 경우는 ⓐ 자사의 하불처등록 : 자사는 하불처를 등록하기 전에 미리 하불처로부터 업체코드를 수령한 후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8.하불처지정”에서 하불처를 지정(등록)하고 자사코드를 하불처에게 제공한다. ⓑ 하불처의 자사등록 : 하불처는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하불처의 발주처(또는 청구처)” 를 지정하는 경우 자사로부터 받은 “자사코드”를 입력하면 “자사정보(사업자등록정보 및 담당자정보)”가 하불처의 “거래처등록(팝업창)”에 자동등록된다.
사업자등록정보 직접입력의 ① 입력절차 : 거래처의 업체코드를 받지 못하여 자동등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출입화주등록”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접입력한다. ② 수정주체는 ⓐ 거래처가 회원사인 경우 :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의 사업자등록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업체는 당해 “거래처”만이 가능하다. ⓑ 거래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 “자사”가 신규등록하였으면 자사가 수정한다.
거래처 추천인 : 거래처를 자사에게 소개하거나 추천한 곳을 입력한다. ② 업종코드 : 등록업체의 “업체코드”가 입력되면 “업종코드”가 자동표시된다. ③ 대표전화 및 대표팩스 : 등록업체의 대표전화 및 대표팩스 번호를 입력한다. ④ 거래정지업체 ⓐ 관리기준 : 장기간동안 거래관계가 중단되어 《물류거래처목록》의 “발주처(거래처구분)목록”에서 제외하여 별도로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경우 “□거래정지업체목록으로 이동”에 체크하면 《거래정지업체목록》으로 이전된다. ⓑ 수출입화주 관리 : 발주처가 《거래정지업체목록》으로 이전되면 발주처에 종속된 “수출입화주”도 함께 이전된다.
발주처정보 등록에서 발주처 관리의 ① 발주처관리자 지정 : “발주처관리자(팝업창)”에서 지정한다. ② 발주처관리코드 : 발주처관리자를 지정하면 관리자코드(영문2글자)에 “발주처관리순번(숫자2개)”과 발주처코드(X)가 조합되어 발주처관리코드(예, MG03X)가 자동생성된다.
발주처에 대한 물류업무처리정보 제공에서 ① 수출입면장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통관사가 발행한 “수출(수입)면장"이 등록업체(발주처)에게 제공된다. ⓑ 수출면장 제공 : "통관사"가 발행한 “수출면장”이 "등록업체(발주처)"에게 제공된다. ⓒ 수입면장 제공 : "통관사"가 발행한 “수입면장”이 "등록업체(발주처)"에게 제공된다. ② 수출B/L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선박회사(또는 포워더)가 발행한 “수출B/L"이 발주처(선적요청자)에게 제공된다. ⓑ 수출B/L 제공 :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B/L을 발행하여 "발주처(Shipper 등의 선적요청자)"에게 제공하면, Shipper는 Consignee(구매자/매출처)에게 “수출B/L”을 제공한다. ③ D/O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선박회사(또는 포워더)가 발행한 “D/O(Delivery Order)"가 발주처(D/O발행요청자)에게 제공된다. ⓑ D/O 출력불가 : Buyer(또는 Buyer의 하청단계)는 선박회사(또는 포워더)가 발행한 D/O를 열람할 수는 있지만 “출력”이 불가능하다. ⓒ D/O 직접전송 : 항공사, 선박회사(또는 포워더)에 의하여 발행된 D/O는 Consignee(또는 Notify Party)의 요구와 상관없이 화물이 보관된 장치장(CY, FCS)에 직접제공(전송)된다. ⓓ D/O의 서명감 : D/O발행업체의 “서명감”은 화물보관장소(CY, CFS)로 직접전송되는 D/O에만 표시되며, 등록업체(발주처)에게 제공되는 D/O는 참고용에 불과하므로 발행업체의 서명감이 표시되지 않는다. ⓔ D/O제시 및 화물출고 : 장치장(CY,CFS)은 수입화물의 출고상차시에 차량운전사가 제시하는 "운송장(화물출고인증서)"의 "D/O정보"와 "배차정보"를 확인한 후 상차작업을 진행한다. ④ 화물재고목록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수출입화물의 입출고를 담당하는 업체(CY , CFS 등)가 작성한 “화물재고목록”이 발주처(출고요청자)에게 제공된다. ⓑ 재고량확인 : 수출입화주는 하청단계의 물류업체가 제공하는 “화물재고목록”과 장부상의 재고목록을 비교분석한다.
청구처정보 등록에서 수출비용 청구처의 청구처 관리코드는 ⓐ 청구처관리자 지정 : “청구처관리자(팝업창)”에서 지정한다. ⓑ 청구처관리코드 : 청구처관리자를 지정하면 관리자코드(영문2글자)에 “청구처관리순번(숫자2개)”과 청구처코드(Y)가 조합되어 청구처관리코드(예, MG03Y)가 자동생성된다.
물류비용 결제기준은 ⓐ 자사의 입금계좌 : “수출B/L정산표(팝업창)”에서 확정된 물류비용에 대하여 청구처로부터 받을 입금계좌는 “자사”가 지정하며, 청구처에게 발송하는 물류비용견적서와 물류비용정산서에 자동표시된다. ⓑ 청구처의 결제기한 : 자사는 10종류(사전결제, 정산당일, 정산익일, 3일이내, 7일이내, 15일이내, 1개월이내, 2개월이내, 3개월이내, 4개월이내)의 결제기한 중에서 “청구처의 결제기한”을 지정한다. ⓒ 결제수단 : 자사는 청구처로부터 받을 물류비용의 결제수단을 4종류(현금, 어음, 카드, 기타)에서 지정한다. ⓓ 수출비용 계정과목지정 : 《전표계정과목》→ 물류거래장 계정과목 → “매출전표”의 소분류계정과목 중에서 “등록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물류비용의 계정과목을 지정하면, 《수출B/L정산목록》→ “수출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 내역”의 “물류비용구분”에 자동표시된다.
정산업무 처리기준은 ⓐ 자사의 정산업무기준 설정권자 : 《수출B/L정산목록》→“수출B/L정산표(팝업창)”에서 자사가 처리하는 정산업무기준(자사의 정산방법, 자사정산서 수신처,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의 설정권한(수정권 포함)은 “청구처”에게 있다. 만일 자사가 처리하는 “수출B/L정산표”에 대한 정산업무기준을 “청구처”가 설정하지 못하면 “자사”가 설정한다. ⓑ 자사의 정산방법 : 청구처는 3종류(출고건별 분할정산, B/L건별 단일정산, 월말일괄 합산정산)의 정산방법에서 “자사의 정산방법”을 지정한다. ⓒ 자사정산서 수신처 : 청구처는 자사정산서의 수신처를 3종류(청구처, 발주처, 직접입력)에서 지정한다.
세금계산서의 ⓐ 발행방법 : 청구처는 3종류(출고건별 분할발행, B/L건별 단일발행, 월말일괄 합산발행)의 발행방법에서 지정한다. ⓑ 공급받는자 : 청구처가 “하불처 정산업무기준(팝업창)”에서 “하불처발행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지정하면 자사의 “정산업무 처리기준”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동표시된다. 수출업무는 4종류(송하인, 수출화주, 제조자, 청구처)에서 지정하고 수입업무는 4종류(수하인, 통지처, 수입화주, 청구처)에서 지정한다. ⓒ 작성일자 : 청구처가 지정한 2종류(거래일자와 같음, 거래당월의 말일)에서 자동표시된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의 ⓐ 전송수신처 : 자사가 발행하는 전자세금계산서의 전송수신처는 “청구처”이다. ⓑ 전송수신처(청구처)의 수신이메일(전자세금용) : 청구처가 지정한 수신이메일이 자동표시된다. ⓒ 자사의 발신이메일(전자세금용) : 발신이메일은 “자사”가 지정(입력)한다. ⓓ 전송시점 : 청구처가 지정한 전송시점 즉, 즉시전송(건별), 일괄전송(익일07시), 일괄전송(당월말일), 일괄전송(익월01일), 일괄전송(익월03일)에서 자동표시된다. ⓔ 세금승인방법 : 청구처가 지정한 세금승인방법의 4종류(건별수작업, 건별자동승인, 일괄수작업, 일괄자동승인)에서 자동표시된다. ⓕ 세금승인시점 : 청구처가 지정한 세금승인시점은 즉시승인(건별), 일괄승인(익일07시), 일괄승인(당월말일), 일괄승인송(익월01일), 일괄승인(익월03일)에서 자동표시된다.
하불처정보 등록의 하불처 관리에서 하불처관리자 지정 : “하불처관리자(팝업창)”에서 지정한다. ② 하불처관리코드 : 하불처관리자를 지정하면 관리자코드(영문2글자)에 “하불처관리순번(숫자2개)”과 하불처코드(Y)가 조합되어 하불처관리코드(MG03Y)가 자동생성된다. ③ 등록화주 관리코드 : "하불처관리코드(예, MG03Z)"에 화주관리순번(숫자2개)이 조합된 "화주관리코드(예, MG03Z-06)"가 생성된다.
하불처에 대한 물류업무처리정보 제공에서 ① C/Invoice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수출입화주가 발행한 “C/Invoice"가 등록업체(하불처)에게 제공된다. ⓑ 수출송품장 제공 : 수출업무에서 Shipper는 선적업무를 담당하는 Booking업체(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와 수출통관을 담당하는 통관사에게 C/Invoice를 제공할 수 있다. ⓒ 수입송품장 제공 : 수입업무에서 Buyer(Consignee 또는 Notify Party)는 수입통관을 담당하는 "통관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 송품장 보안유지 : “C/Invoice"는 수출입화주의 영업비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출입화주의 하청단계 중에서 Booking업체(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와 통관사에게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② 수출면장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통관사가 발행한 “수출면장"이 등록업체(하불처)에게 제공된다. ⓑ 수출면장 제공 : "통관사"가 발행한 “수출면장”을 Booking업무를 담당하는 하불처(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제공할 수 있다.
③ 수입B/L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수입화주”로부터 인도받은 “수입B/L"이 등록업체(발주처)에게 제공된다. ⓑ 수입B/L 제공 : "수입업무"에서, Buyer(Consignee 또는 Notify Party)는 선박회사로부터 D/O를 수취하기 위하여 “물류하불처”에게 B/L을 제공한다.
④ D/O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선박회사(또는 포워더)가 발행한 “D/O(Delivery Order)"가 등록업체(하불처)에게 제공된다. ⓑ D/O 출력불가 : Buyer(또는 Buyer의 하청단계)는 선박회사(또는 포워더)가 발행한 D/O를 열람할 수는 있지만 “출력”이 불가능하다. ⓒ D/O 직접전송 : 항공사, 선박회사(또는 포워더)에 의하여 발행된 D/O는 Consignee(또는 Notify Party)의 요구와 상관없이 화물이 보관된 장치장(CY, FCS)에 직접제공(전송)된다. ⓓ D/O제시 및 화물출고 : 장치장(CY,CFS)은 수입화물 상차시에 차량운전사가 제시하는 "운송장(화물출고인증서)"의 "D/O정보"와 "배차정보"를 확인한 후 상차작업을 진행한다.
⑤ 수입적하목록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선박회사(또는 포워더)가 작성한 수입화물의 “적하목록”이 등록업체(하불처)에게 제공된다. ⓑ Invoice당사자 보안유지 : 선적서류(B/L, Invoice)에 표시된 거래당사자(Shipper, Consignee, Notify Party)의 업체정보에 대한 보안유지를 위하여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하불처에게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⑥ 화물재고목록 제공의 ⓐ 지정절차 : "승인(O.K)"으로 지정하면 “수출입화주”가 작성한 “화물재고목록”이 등록업체(하불처)에게 제공된다. ⓑ 재고량확인 : 화물입출고를 담당하는 물류업체(CY, CFS)는 수출입화주가 제공하는 “화물재고목록”과 보관장소의 현장에서 조사한 “화물재고목록”을 비교분석한다.
하불처의 배차표SMS수신처에서 ① SMS수신처 설정권자의 ⓐ 자사의 설정권 : 《FCL운송목록》및《카고트록운송목록》에서 하불처가 처리하는 “배차표(팝업창)”의 “SMS수신처”를 지정할 수 있는 권한은 “자사”에게 있다. ⓑ 하불처가 설정하는 경우 : 자사가 하불처의 “배차표 SMS수신처”를 설정하지 못하면 “하불처”가 설정한다. ② 지정절차 : 2종류(자사, 발주처)에서 지정한다. ③ 자사를 지정한 경우의 ⓐ 하불처의 SMS전송 : 하불처(배차운송사)가 《운송목록》의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를 입력하고 “배차확정(버튼)”은 클릭하면 “SMS전송내용”이 자사담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 자사의 재전송 : 자사담당자의 휴대폰으로 수신된 하불처의 “SMS전송내용”을 《운송요청목록》의 “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SMS일괄전송(버튼)”을 클릭하면 “발주처실무자”의 휴대폰으로 재전송된다. ④ 발주처 지정한 경우 ⓐ 하불처의 직접전송 : 하불처(배차운송사)가 《운송목록》의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를 입력하고 “배차확정(버튼)”은 클릭하면 “SMS전송내용”이 “발주처실무자”의 휴대폰으로 직접 전송된다. ⓑ 재전송업무 생략 : 동일한 절차에 따라 반복되는 운송업무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하불처(배차운송사)의 배차정보를 발주처에게 직접 전송하게 함으로서 “자사담당자”가 재전송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수출업무 처리기준에서 ① 물류비용 결제기준의 ⓐ 하불처의 수출비용 청구처 : 하불처의 수출비용청구처는 4개업체(자사, 자사의 청구처, 송하인, 수출화주, 제조자)에서 지정하고 수입비용청구처는 4개업체(자사, 자사의 청구처, Buyer, 수입화주)에서 지정한다. ⓑ 하불처의 입금계좌 : “수출B/L정산표(팝업창)”에서 확정된 물류비용에 대하여 하불처에게 지급할 입금계좌는 “하불처”가 지정한다. ⓒ 자사의 결제기한 : 하불처는 10종류(사전결제, 정산당일, 정산익일, 3일이내, 7일이내, 15일이내, 1개월이내, 2개월이내, 3개월이내, 4개월이내)의 결제기한 중에서 “자사의 결제기한”을 지정한다. ⓓ 결제수단 : 하불처는 자사로부터 받을 물류비용의 결제수단을 4종류(현금, 어음, 카드, 기타)에서 지정한다.
② 하불처의 정산업무기준에서 ⓐ 하불처의 정산업무기준 설정권자 : 《수출B/L정산목록》→“수출B/L정산표(팝업창)”에서 하불처가 처리하는 정산업무기준(하불처의 정산방법, 하불처정산서 수신처, 하불처의 세금계산서발행기준)의 설정권한(수정권 포함)은 “자사”에게 있다. 만일 하불처가 처리하는 “수출B/L정산표”에 대한 정산업무기준을 “자사”가 설정하지 못하면 “하불처”가 설정한다. ⓑ 하불처의 정산방법 : 자사는 3종류(출고건별 분할정산, B/L건별 단일정산, 월말일괄 합산정산)의 정산방법에서 “하불처의 정산방법”을 지정한다. ⓒ 하불처정산서 수신처 : 자사는 하불처정산서의 수신처를 3종류(자사, 자사의 청구처, 직접입력)에서 지정한다.
③ 하불처발행 세금계산서의 ⓐ 발행방법 : 자사는 3종류(출고건별 분할발행, B/L건별 단일발행, 월말일괄 합산발행)의 발행방법에서 지정한다. ⓑ 공급받는자 : 자사가 “하불처 정산업무기준(팝업창)”에서 “하불처발행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지정하면, 하불처의 “정산업무 처리기준”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동표시된다. 수출업무는 5종류(송하인, 수출화주, 제조자, 자사, 자사의 청구처)에서 지정하고 수입업무는 5종류(수하인, 통지처, 수입화주, 자사, 자사의 청구처)에서 지정한다. ⓒ 작성일자 : 자사는 2종류(거래일자와 같음, 거래당월의 말일)에서 지정한다.
④ 하불처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의 ⓐ 전송수신처 : 하불처가 발행하는 전자세금계산서의 전송수신처는 2종류(자사, 자사의 청구처)에서 지정한다. ⓑ 전송수신처의 수신이메일(전자세금용) : 자사는 수신이메일을 지정(입력)한다. ⓒ 하불처의 발신이메일(전자세금용) : 발신이메일은 “하불처”가 지정(입력)한다.. ⓓ 전송시점 : 자사는 즉시전송(건별), 일괄전송(익일07시), 일괄전송(당월말일), 일괄전송(익월01일), 일괄전송(익월03일)에서 선택(지정)한다. ⓔ 세금승인방법 : 자사는 4종류(건별수작업, 건별자동승인, 일괄수작업, 일괄자동승인)에서 선택(지정)한다. ⓕ 세금승인시점 : 자사는 즉시승인(건별), 일괄승인(익일07시), 일괄승인(당월말일), 일괄승인송(익월01일), 일괄승인(익월03일)에서 선택(지정)한다.
거래처 실무자에서 ① 거래처실무자 자동등록 :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의 “업체코드”를 입력하면 “거래처실무자 정보”가 자동표시(인용)된다. ② 거래처실무자 직접입력 : 등록업체로부터 업체코드를 수령하지 못한 경우 “거래처실무자등록(팝업창)”에서 직접입력한다.
물류비용 요율표등록에서 ① 자사요율표 등록 : 자사는 《자사환경설정》에서 모든 발주처에 동일하게 적용할 “물류비용요율”을 등록한다. ② 발주처요율표 수정등록의 ⓐ 표시기준 : 《자사환경설정》에서 등록한 물류비용 요율이 자동표시된다. ⓑ 수정등록 : 《자사환경설정》으로부터 자동표시된 “물류비용요율”을 발주처에 적용할 요율로 수정등록한다.
메모장에서 ① 메모절차 :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자사의 “업무담당자”에게만 참고할 수 있는 특이사항이 있으면 “메모장”에 입력하여 거래처에 관한 “업무매뉴얼”로 활용한다. ② 메모내용 보안유지 : “메모”의 입력정보는 보안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업무요청목록》의 “업무요청서(팝업창)”과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업무담당자로 지정된 2명의 사원(업무팀장, 처리담당)에게만 열람이 가능하다.
수정내역 : 거래처의 등록정보를 수정한 후 “저장/수정(버튼)”을 클릭하여 “수정사유”를 입력한 후 “수정내역(팝업창)”에서 수정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전송 : 수출입화주의 등록정보에서 거래처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등록오류”가 발생된 경우 거래처에게 수정해 달라고 요청한다.
등록취소에서 ① 취소절차 : “등록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수정”된 거래처의 등록정보가 《물류거래처목록》에서 삭제된다. ② 취소불가능 : 《업무요청(처리)목록》에서 “업무요청(처리)번호”가 생성된 후부터는 등록된 거래처의 “등록취소(삭제)”가 불가능하다.
도 26 내지 도 27는 업무담당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6은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자사의 《업무담당자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7은 《업무담당자목록》에서 업무담당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업무담당자 지정에서 지정기준의 ① 업무요청목록 : 11종류의 업무요청목록(선적요청목록, 콘솔요청목록, D/O발행요청목록, 수출통관요청목록, 수입통관요청목록, FCL운송요청목록, 트럭운송요청목록, 하역요청목록, FCL출고요청목록, CFS출고요청목록, 부대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되는 업무요청서(팝업창), 매입전표(팝업창), 대납전표(팝업창)의 거래처정보의 “메세지(팝업창)에서 자사의 업무담당자가 지정되어야 한다. ② 업무처리목록 : 11종류의 업무처리목록(Booking목록, 콘솔작업목록, D/O발행목록, 수출통관목록, 수입통관목록, FCL운송목록, 트럭운송목록, 하역작업목록, FCL출고목록, CFS출고목록, 부대업무처리목록)에서 생성되는 업무처리표(팝업창), 매출전표(팝업창)의 거래처정보의 “메세지(팝업창)에서 자사의 업무담당자가 지정되어야 한다.
지정절차를 위한 ① 지정구분 : 《업무요청목록》 및 《업무처리목록》에서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업무제목(팝업창)”의 업무담당자를 지정하는 방법은 2종류(수출입화주별 지정, 업무제목별 지정)에 선택하여 지정한다. ② 업무제목별 지정 : 《업무담당자목록》→ “업무담당자지정(팝업창)”에서 “업무제목”별로 모든 수출입화주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3명의 업무담당자(업무팀장, 처리담당, 경리담당)를 지정한다. ③ 수출입화주별 지정에서 ⓐ 자동지정 : 《업무담당자목록》→ “업무담당자지정(팝업창)”에서 지정된 업무담당자가 자동표시된다. ⓑ 추가지정 : 《업무담당자목록》에서 업무담당자를 추가지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5.자사담당자”의 “자사담당자지정(팝업창)”에서 당해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처리를 위하여 “업무제목”을 지정한 후 3명의 업무담당자(업무팀장, 처리담당, 경리담당)를 지정하면 추가된 업무담당자가 《업무담당자목록》에 표시된다. ⓒ 업무담당자 변경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5.자사담당자”의 “자사담당자지정(팝업창)”에서 업무담당자를 변경하면 《업무담당자목록》에서 변경된 업무담당자로 표시된다.
물류구분에서 업무담당자의 물류구분은 업무담당자는 수출입물류업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입출항공항만”을 지정하고, 국내물류업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화물처리지역”을 지정한다.
수출입물류에서 ① 입출항공항만 지정의 ⓐ 지정기준 : 수출입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2종류(□지정공항만 □전국공항만)에서 선택하여 지정한다. ⓑ 지정공항만 : 업체관리자는 지정담당자에게 어느 특정한 공항만으로 수출입되는 화물처리업무를 담당하게 하려면 “지정공항만(팝업창)”에서 업무처리대상의 “입출항공항만”을 선택한다. ⓒ 전국공항만 : 전국의 모든 공항만으로 수출입되는 화물처리업무를 담당하게 하는 경우이다. 다만 전국공항만 중에서 어느 특정한 “공항만”을 제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외공항만(팝업창)”에서 제외할 “공항만”을 선택한다.
입출항공항만 변경의 경우 “지정공항만(팝업창)”에서 업무처리대상의 “입출항공항만”을 변경하면 변경된 시점부터 적용된다.
국내물류의 ① 화물처리지역 지정에서 ⓐ 지정기준 : 국내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2종류(□지정지역 □전국지역)에서 지정하며, 화물의 “입출항공항만”과 상관없이 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위하여 “화물처리지역”을 관할하는 담당자를 지정한다. ⓑ 지정지역 : 업체관리자는 지정담당자에게 어느 특정한 지역에서 화물처리업무를 담당하게 하려면 “지정지역(팝업창)”에서 업무처리대상의 “화물처리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 전국지역 :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화물처리업무를 담당하게 하는 경우이다. 다만 전국지역 중에서 어느 특정한 화물처리지역을 제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외지역(팝업창)”에서 제외할 화물처리지역을 선택한다. ② 화물처리지역 변경은 “지정공항만(팝업창)”에서 업무처리대상의 “입출항공항만”을 변경하면 변경된 시점부터 적용된다.
업무담당자 지정에서 ① 담당자정보는 “사원명(팝업창)”을 클릭하여 담당업무를 지정할 사원을 선택한다. ② 담당업무 중복지정은 사원정보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 사원은 담당업무의 “업무제목(팝업창)을 중복지정할 수 있으며 3종류(업무팀장, 처리담당자, 경리담당자)의 업무담당도 중복지정이 가능하다.
도 28 내지 도 29는 상품재고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8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재고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9는 수출입화주의 회원가입시 《상품재고목록》에서 재고상품의 원시재고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상품재고목록에서 검색조건의 담당자 및 거래처는 ① 영업팀장의 경우 상품의 판매와 구매에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를 책임관리하는 사원에 해당하는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② 담당자의 경우 ⓐ 《재고목록》의 담당자는 B/L정산표의 “담당자”와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 영업팀장의 지시를 받아 업무처리하는 사원에 해당하는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③ 청구처의 경우 자사의 상품을 구매한 업체(해외바이어 또는 국내매출처)에 해당하는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④ 하불처의 경우 자사에게 상품을 판매한 업체(해외공급자 또는 국내매입처)에 해당하는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재고구분에서 ① 송장잔량은 ⓐ 《재고목록》의 “입고구분”별로 “총재고량”에서 《Commercial Invoice》→《납품명세표》→《판매계획》→《품목별 판매량설정》의 “판매량”을 차감한 잔량이다. ⓑ 납품서 또는 Commercial Invoice의 《납품명세표》를 작성완료하고 “알림”으로 전송한 날짜 또는 “출력”한 날짜가 “Invoice Date”로 표시되며, 송품장 작성일자(Invoice Date)에 《재고목록》의 “총재고량”에서 차감된다. ⓒ 납품서(D/S; Delivery Statement) 또는 Commercial Invoice(C/I)를 작성할 때는 반드시 “송장잔량”의 범위내에서 단위량(수량)을 결정하여야 한다.
② 창고잔량은 ⓐ 자사의 창고(자사가 위탁한 영업용창고 포함)에 보관중인 현재의 잔량이다. ⓑ 국내판매 또는 해외판매를 위하여 자사의 지정창고에서 출고한 날짜에 《재고목록》의 “총재고량”에서 차감된다. ⓒ 국내주문 또는 해외주문으로 자사의 지정창고로 입고된 날짜에 《재고목록》의 “총재고량”이 증가된다. ⓓ 본시스템에 회원가입한 후 최초로 《재고목록》을 작성하는 경우는 《매입전표》에서 “재고이월”의 계정과목으로 기장하며 “창고잔량”으로 처리된다. ⓔ 자가생산품을 총재고량에 포함시키는 방법은 《매입전표》에서 “자가생산”의 계정과목으로 기장하며 “창고잔량”으로 처리된다.
③ 거래잔량은 ⓐ 거래(납품 또는 구매)가 완료되어 매출전표 또는 매입전표가 작성된 날짜의 잔량이다. ⓑ 수출상품의 경우 자사의 B/L에 표시된 선적일자(On Board Date)가 매출전표의 거래일자이며 이 날짜에 《재고목록》의 “총재고량”에서 차감된다. ⓒ 국내판매의 경우 청구처(국내매출처)의 지정창고에 입고된 날짜(인도일자)가 매출전표의 거래일자이며 이 날짜에 《재고목록》의 “총재고량”에서 차감된다. ⓓ 수입상품의 경우 하불처(해외공급자)의 B/L에 표시된 선적일자(On Board Date)가 매입전표의 거래일자이며 이 날짜에 《재고목록》의 “총재고량”이 증가된다. ⓔ 국내매입의 경우 자사의 지정창고에 입고된 날짜(인수일자)가 매입전표의 거래일자이며 이 날짜에 《재고목록》의 “총재고량”이 증가된다.
입고구분에서 ① 해외수입은 해외수입분에 해당하는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② 국내구매는 국내구매분에 해당하는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③ 자가생산은 자사의 제조로 생산된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④ 매출환입은 판매된 후 불량판정으로 회수된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기타의 경우 ① 창고명은 자사의 창고(자사가 위탁한 영업용창고 포함)에 보관된 품목과 수량(단위량)을 조회한다. ② 입항일자와 선명은 해외수입(입고구분)의 품목과 단위량(수량) 중에서 입항일자와 선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③ 품목(HS,품명,모델,규격,타입)은《기초사항》→《수출입상품등록》에서 등록된 품목을 조회한다.
거래단위에서 거래단위 구분은 ① P/CT의 경우 앞의 영문자(P)는 Package이며 뒤의 영문자(CT)는 Carton포장의 “포장코드”이다. ② Q/PC의 경우 앞의 영문자(Q)는 Quantity이며 뒤의 영문자(PC)는 Piece의 “수량코드”이다. ③ G/KG의 경우 앞의 영문자(G)는 Gross Weight이며 뒤의 영문자(KG)는 “중량단위”이다. ④ N/KG의 경우 앞의 영문자(N)는 Net Weight이며 뒤의 영문자(KG)는 “중량단위”이다. ⑤ M/CBM의 경우 앞의 영문자(M)는 Measurement이며 뒤의 영문자(CBM)는 “용적단위”이다.
단위량 (Unitage)은 ① 거래단위(포장갯수, 수량, 총중량, 순중량, 용적)에 의하여 산출되는 거래량이다. ② Commercial Invoice(팝업창)에서 Invoice발행(버튼)을 클릭하면 《재고목록》의 단위량(Unitage)에서 C/I의 단위량만큼 차감된다. ③ 단위량은 거래가격(Amount)을 산출하는 기준량이며 “단위량”에 “단가”를 곱하면 공급가액(Amount)이 산출된다.
재고잔량 등록에서 재고량 원시등록을 위해 ① 본 시스템에 회원가입 회원사 중에서 상품을 판매하거나 구매하는 업체(수출입화주)는 P/O(주문서) 또는 Invoice(납품서)를 작성하기 전에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재고량을 《재고목록》에서 “원시등록”하여야 한다. ② 《재고목록》에서 “재고량”을 등록하기 전에 우선 《수출입상품등록》에서 품목등록한다. ③ 《재고목록》의 “등록번호”를 클릭하면 《재고량 원시등록》의 팝업창이 열린다. ④ 등록구분의 2종류(자가생산, 재고이월)에서 선택한다.
창고잔량 원시등록은 ① 《재고량원시등록》→《등록구분》에서 “재고이월”을 선택하면 《창고잔량 원시등록》의 팝업창이 열린다. ② “등록대상”의 4종류항목(자사창고명, 입고구분, 상품매입처, 상품원산지)을 “추가”한 후 입고일자와 재고량(포장갯수, 단위량)을 입력한다. ③ 등록대상과 입고일자 및 등록재고량의 수정도 가능하며 삭제하려면 "X"를 클릭하고 "저장"한다. ④ 자사의 상품을 위탁보관하는 영업용창고(자사의 지정창고)는 《업체등록》에서 등록된 후에 입력한다. ⑤ 입고구분은 3종류(해외수입, 국내매입, 자가생산)에 선택한다. ⑥ 상품매입처는 "기초사항"에서 우선 업체등록(국내업체등록, 해외거래처등록)부터 진행한 후 선택한다.
자가생산품 원시등록은 ① 《재고목록》에서 “자가생산품”을 등록하기 전에 우선 《수출입상품등록》에서 품목등록한다. ② 자가생산품을 보관(입고)하려는 창고명을 선택하고 “추가”한다. ③ "자사창고"의 검색에서는 자사의 상호가 기본값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영업용창고(타사창고)도 검색할 수 있다. ④ 입고일자와 자가생산품의 포장갯수 및 단위량을 입력한다.
품목해지 원시등록은 ① 품목(HS,품명,모델,규격,타입)과 거래단위를 변경하기 위하여 “등록해지”를 한 후 변경된 품목과 거래단위를 “신규등록”하는 경우에는 “등록해지”한 품목의 재고량을 “신규등록”의 재고량으로 이월하여야 한다. ② “등록해지”한 품목의 재고량을 《재고목록》→《재고량 원시등록》의 “등록구분”에서 “재고이월”을 선택하여 이월정리한다.
도 30 내지 도 34는 송품장(상업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0은 수출입화주가 상품을 수출하기 위한 《상업송장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1은 《상업송장목록》에서 수출상품의 송품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2는 송품장에서 포장번호 및 포장갯수를 지정하는 포장명세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33은 송품장의 포장명세표에서 포장별품목배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4는 송품장 포장명세표의 포장별품목배정표에서 품목별판매량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0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송품장(상업송장)의 작성기준은 견적서에 의한 작성에서 ① Invoice 자동표시: 견적서목록에서 작성된 Invoice(승인E/S)가 자동표시된다. ② 견적서목록 처리결과 : "견적서목록"의 검색조건에서 처리결과가 "④E/S승인"으로 조회된 "Invoice(승인E/S)"가 표시된다.
견적서가 없는 경우 ① 입력절차 : "견적서목록"에서 자사의 "승인E/S정보"가 없거나 "종이Invoice"의 경우에는 "신규Invoice"에서 수기로 작성한다. ② P/O의 Invoice전환 : P/O No.를 클릭한 후 P/O(팝업창)에서 "□ P/O의 주문사항을 Invoice로 전환함"에 체크하면 P/O의 주문사항이 Invoice에 자동표시된다.
거래당사자의 경우 ① Shipper/Exporter (송하인)은 ⓐ 자사가 송하인일 때 : 4개항목(상호, 주소, 대표전화, 대표팩스)이 자동표시된다. ⓑ 자사가 송하인 아닐 때 : “업체조회(팝업창)”에서 선택한다. ⓒ MID Code : 미국으로 수출하는 경우에는 MID Code를 입력한다. ② Consignee (수하인)은 ⓐ L/C방식의 거래의 경우 "□Same with Issuing Bank"에 체크하면 "To Order of Issuing Bank"로 표시된다. ⓑ L/C거래가 아닌 경우 “업체조회(팝업창)”에서 선택하면 4개항목(상호, 주소, 대표전화, 대표팩스)이 자동표시된다. ③ Notify Party (통지처)의 경우 ⓐ 입력절차 : “업체조회(팝업창)”에서 선택하면 4개항목(상호, 주소, 대표전화, 대표팩스)이 자동표시된다. ⓑ Consignee와 동일한 경우 : “□Same with Consignee"에 체크하면 Consignee가 표시된다. ④ Buyer (구매자)의 경우 ⓐ Consignee와 같은 경우 : “□Same with Consignee"에 체크 ⓑ Notify Party와 같은 경우 : “□Same with Notify Party"에 체크한다. Consignee란에서 "□Same with Issuing Bank"에 체크되면 “□Same with Notify Party"에 자동체크된다.
Invoice No.의 ① 생성시점 : Invocie(팝업창)에서 모든 Data의 입력을 완료한 후 “Invoice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생성된다. ② Invoice Date : “Invoice확정(버튼)”을 클릭한 날짜이며, 수정도 가능하다. ③ 표시기준 : KR002AAAA0908CI-0008의 형태로 표시되며, 송하인의 업체코드 + 년도월별 + 업무코드(CI) + 일련번호(숫자4개)로 구성된다. ④ Invoice전송 : Invocie(팝업창)에서 모든 Data의 입력과 수정을 완료한 후 “Invoice전송(버튼)”을 클릭하면 Buyer(Consignee 또는 Notify Party)의 “구매목록”에 자동표시된다.
P/O No.의 경우 ① 견적서가 작성된 경우 : “견적서목록”으로부터 자동표시된다. ② 견적서가 없는 경우 : “P/O조회(팝업창)”에서 선택한다. ③ 주문사항 자동표시 : “P/O조회(팝업창)”에서 선택하면 “포장명세표”에서 구매자의 주문사항이 자동표시된다. ④ 수기입력 : 구매자로부터 Fax에 의한 “종이P/O"를 받은 경우에는 수기로 입력한다.
관련정보의 경우 ① Reference No. & Reference : 주로 Booking업무를 담당한 “포워더”의 연락처를 입력한다. ② L/C Issuing에서 ⓐ L/C No. : KR002AAAA0908LC-0008의 형태로 표시되며, 개설은행의 업체코드 + 년도월별 + 업무코드(LC) + 일련번호(숫자4개)로 구성된다. ⓑ L/C Issuing Bank : 《자사환경설정》의 “입출금계좌정보(팝업창)”에서 선택하며 2개항목(은행명, 은행주소)이 자동표시된다. ⓒ Consignee 자동표시 : L/C Issuing Bank가 입력되면 Consignee란에 “To order of the Issing Bank"로 자동표시된다. ③ 인도조건 및 결제방법에서 ⓐ Terms of Delivery : Incorterms 2000의 가격조건(EXW, FCA, FAS, FOB, CFR, CIF, CPT, CIP, DAF, DES, DEQ, DDU, DDP)에서 선택한다. ⓑ Freight & Insuarance : 2개항목(Freight, 부보여부)은 “인도조건”이 선택되면 INCOTERMS의 조건에 부합하게 자동표시된다. ⓒ Terms of Payment : T/T(사전송금 또는 사후송금의 전신환), S-L/C(일람출급 L/C), U-L/C(기한부 L/C), D/A(기한부환어음의 무신용장 인수인도조건), D/P(일람불환어음의 무신용장 지급인도조건), COD(상품인도결제방식), CAD(서류인도결제방식), LH(분할영수방식 또는 분할지급방식), PT(임가공지급방식의 위탁 또는 수탁가공무역), WK(계좌이체 또는 상호계산방식), GO(위탁판매를 포함한 기타유상), GN(무상거래) ④ B/L No.에서 선박회사(또는 포워더)가 《Booking목록》→ “Cargo Booking(팝업창)”의 “4.선적진행정보”에서 “B/L No.()"를 클릭하여 "On Board Date"를 입력하면 “B/L No.”가 자동표시된다. ⑤ Currency에서 ⓐ 통화코드 지정 : 주요 통화코드(KRW, USD, JPY, EUR, HKD, CNY)에서 선택하고 기타국가의 통화코드는 직접입력한다. ⓑ 직접입력 : “직접입력”을 선택한 후 다시 “선택박스”로 되돌아가려면 “◀”을 클릭한다.
물류정보의 경우 ① Cargo Type (화물형태)은 4종류(FCL, LCL, BULK, ETC)에서 선택한다. ② Carrying Location(상차지)는 송하인은 상차지를 Lo-Code(지역코드)에서 선택한다. ③ Shipment(선적기한)은 송하인과 Buyer 상호간 계약서(L/C 등)에서 정한 선적기한을 입력한다. ④ Vehicle(물류수단)은 2개항목(선박, 항공기)에서 선택한다. ⑤ Vehicle Name(선명/편명)은 송하인이 Booking담당업체(포워더 또는 선박회사)에게 선적요청(S/R)하면 Booking담당업체가 《Booking목록》의 Cargo Booking(팝업창)에서 입력한 선명(또는 편명)이 자동표시된다. ⑥ Voyage No.(항차)는 Booking담당업체가 《Booking목록》의 Cargo Booking(팝업창)에서 입력한 “항차”가 자동표시된다. ⑦ Port of Loading(선적항)은 Lo-Code(공항만코드)에서 선택한다. ⑧ Port of Discharge(도착항)은 송하인이 “목적지”를 입력하면 Booking담당업체가 《Booking목록》의 Cargo Booking(팝업창)에서 입력한 “도착항”이 자동표시된다. ⑨ Place of Delivery(목적지)는 송하인은 Buyer(구매자)가 지정하는 최종목적지를 Lo-Code(지역코드)에서 선택한다.
거래내역에서 ① Trade Unit (거래단위)의 경우 ⓐ 거래단위 종류 : 거래금액을 결정하는 단위량(Norm Volume)의 기초가 되는 단위이며, 5개단위(Packages, Quantity, G.Weight, N.Weight, Measurement)에서 선택한다. ⓑ Quantity Unit (수량단위) : PC(Piece), ST(Set), PR(Pair), DZ(Dozen), CR(Carat), M(Meter), M2, M3(CBM), L(Leter), MW(M.Watt) ② Unitage (단위량)의 경우 “거래단위”에 의한 Amount 산출기준량이다 ③ Description (품목명세표)의 경우 “포장명세표”의 내역에 따라 5개항목(품목번호, 품목내역, 단위량, 단가, 금액)이 자동표시된다. ④ 상품매입처별 품목내역의 경우 “포장명세표”의 내역에 따라 7개항목(상품매입처, D/S No. 품목번호, Description, 단위량, 단가, 금액)이 자동표시된다. ⑤ Remarks의 경우 품목과 수량에 대한 참고사항을 입력한다.
Packages에서 ① Big Package (큰포장)는 큰포장은 Wooden Case, Pallet 등으로 Big Package(약칭“B.P")으로 표시하며 지게차로 컨테이너 적입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포장단위이다. ② Small Package (소포장)는 소포장은 Carton, Box 등으로 Small Package(약칭“S.P")으로 표시하며 큰포장(B.P)갯수를 구성하는 작은단위의 포장이다. ③ Package Code & Name은 포장단위의 규격(Code, Name)을 선택한다. ④ Total Package는 포장명세표(팝업창)의 수량정보가 표시된다. ⑤ 3개 항목 (G. Weight , N. Weight , Measurement )은 포장명세표(팝업창)의 수량정보가 표시된다.
포장명세표에서 큰포장기준의 경우 ① 표시기준은 《상품거래처목록》의 거래단위 및 포장제원(팝업창)의 입력정보로부터 자동표시된다. ② 포장기준의 경우 ⓐ 지정절차 : 3종류(□포장번호 있음 □포장번호 없음 □포장단위 없음)에서 1곳을 선택한다. ⓑ 포장번호 기준 : “□포장번호 있음”을 선택하면 큰포장번호의 일련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박스”가 생성된다. ⓒ 포장갯수 기준 : “□포장번호 없음”을 선택하면 큰포장갯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박스”가 생성된다. ⓓ 벌크품목 기준 : “□포장단위 없음”을 선택하면 큰포장갯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박스”가 생성되지만, 입력값이 없으면 포장단위가 무시된다. ③ 포장제원의 경우 큰포장단위에 대한 제원(포장단위, 순중량, 총중량, 용적)을 등록한다. ④ 포장규격(Dimension)의 경우 큰포장단위의 칫수(가로, 세로, 높이)를 등록한다.
(2) 소포장기준의 경우 ① 포장기준의 ⓐ 지정절차 : 3종류(□포장번호 있음 □포장번호 없음 □포장단위 없음)에서 1곳을 선택한다. ⓑ 포장번호 기준 : “□포장번호 있음”을 선택하면 소포장번호의 일련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박스”가 생성된다. ⓒ 포장갯수 기준 : “□포장번호 없음”을 선택하면 소포장갯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박스”가 생성된다. ⓓ 벌크품목 기준 : “□포장단위 없음”을 선택하면 소포장갯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박스”가 생성되지만, 입력값이 없으면 포장단위가 무시된다. ② 포장제원은 소포장단위에 대한 제원(포장단위, 수량, 순중량, 총중량, 용적)을 등록한다. ③ 포장규격(Dimension)은 소포장단위의 칫수(가로, 세로, 높이)를 등록한다.
상품신규포장은 팝업창 형태로 제공되며 ① 배정절차는 "상품신규포장(팝업창)"을 클릭하여 "포장별품목배정표(팝업창)"에서 품목을 배정한 후 "큰포장"별로 판매량을 설정한다. ② 신규상품배정 반복은 큰포장의 배정품목이 다르거나 큰포장에 배정된 소포장갯수가 다른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상품신규포장(팝업창)"을 클릭하여 "큰포장"별로 판매량을 설정한다.
포장별 품목배정표도 팝업창 형태로 제공되며, ① 포장기준별 배정에서 ⓐ 포장번호 배정 : 큰포장번호 및 소포장번호를 표시하면서 배정하려면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있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포장별품목배정표(팝업창)”의 “2.포장별품목배정”에서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를 입력한다. ⓑ 포장갯수 배정 :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가 없이 배정하려면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포장별품목배정표(팝업창)”의 “2.포장별품목배정”에서 큰포장갯수와 소포장갯수를 입력한다. ⓒ 벌크품목 배정 : 큰포장과 소포장의 포장단위가 없는 경우에는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단위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포장별품목배정표(팝업창)”의 “2.포장별품목배정”에서 “품목코드”별로 배정량을 입력한다.
② 배정절차에서 ⓐ 포장갯수 설정 : “2.포장별 품목배정”에서 “큰포장”당 소포장갯수를 설정한 후 큰포장갯수를 입력하면 소포장갯수가 산출되어 표시된다. ⓑ 배정방법 기준 :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지정된 포장기준의 3종류 배정구분(포장번호배정, 포장갯수배정, 벌크배정)에 의하여 배정방법이 설정된다. ⓒ 포장대상 품목지정 : “1.포장대상 품목지정”에서 품목을 지정하고 “포장품목지정(버튼)”을 클릭하면 “2.포장별 품목배정”에 나열된다. ⓓ 품목별 판매량설정 : “2.포장별 품목배정”에서 "상품제원(팝업창)"을 클릭하여 "품목별 판매량설정(팝업창)"에서 송장잔량의 범위내에서 입고구분, 입고장소, 상품매입처별로 구분하여 판매설정량을 입력하고 "판매량설정(버튼)"을 클릭한다. ⓔ 판매설정량 확정 : “2.포장별 품목배정”에서 포장단위별로 판매설정량을 확인한 후 “판매설정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포장명세표(팝업창)”의 “3.포장단위별 상품배정”에 나열된다. ⓕ 주문품목 수기입력 : “1.포장대상 품목지정”에서 “구매자 주문수량”의 입력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주문품목입력(팝업창)”에서 수기입력한다.
③ 배정량 수정에서 ⓐ 포장번호 기준 :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큰포장 또는 소포장의 “포장번호(팝업창)”을 클릭하여 “포장별 배정량수정(팝업창)”에서 포장번호를 “배정취소(□체크해제)”하고 “배정량수정(버튼)”을 클릭한다. ⓑ 포장갯수 기준 :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큰포장 또는 소포장의 “포장갯수(팝업창)”을 클릭하여 “포장별 배정량수정(팝업창)”에서 “배정설정량”을 수정입력하고 “배정량수정(버튼)”을 클릭한다. ⓒ 벌크품목 기준 :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큰포장 또는 소포장의 “품목코드(팝업창)”을 클릭하여 “포장별 배정량수정(팝업창)”에서 “배정설정량”을 수정입력하고 “배정량수정(버튼)”을 클릭한다.
주문품목 입력은 팝업창 형태로 제공되며, ① 포장기준에서 ⓐ 큰포장번호 : “두번째품목”부터의 포장명칭은 “첫번째품목”의 포장명칭과 동일하게 표시되며, 포장명칭(Name)코드를 수정하려면 “첫번째품목”의 포장명칭코드를 수정하여야 한다. ⓑ 소포장번호 : “두번째품목”부터의 포장명칭은 “첫번째품목”의 포장명칭과 동일하게 표시되며, 포장명칭(Name)코드를 수정하려면 “첫번째품목”의 포장명칭코드를 수정하여야 한다. ⓒ P'kgs Name (포장명칭) : 포장단위의 명칭을 선택한다. ② 상품제원에서 ⓐ 상품제원 : 6개항목(HS, 품명, 모델, 규격, 타입, 성분)을 입력하며 “품명”은 필수입력사항이다. ⓑ 상품제원 표시기준 : 상품제원의 6개항목을 입력하면 HS번호/품명(NAME)/모델(MODEL)/규격(STANDARD)/타입(TYPE)/성분(INGREDIENT)이 순서대로 “슬래쉬( / )”로 구분하여 띄어쓰기 없이 Free Text로 자동입력된다. (예, HS:6402.99/NAME:WOMEN SHOES/MODEL:ART3302/STAN:240/TYPE:BLACK/INGR:RECLAIMED POLYURETHANE FOAM) ③ 포장제원에서 ⓐ 큰포장 (B. P'kgs ) 및 소포장(S. P'kgs )의 포장개수 : B/P No. 와 S/P No.의 일련번호에 의한 계산값이 자동표시되며, 1개의 “큰포장”에 2개이상의 품목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1)-(1)과 같이 입력한다. ⓑ Quantity (수량) : “수량단위”는 부모창(Invoice창)의 “Quantity Unit"가 표시된다. ⓒ 3개항목(G. Weight , N. Weight , Measurement ) : 총중량, 순중량, 용적을 입력한다. ⓓ Unitage( 단위량 ) : Amount를 산출하는 기준량이며, 부모창(Invoice창)에서 지정된 “Trade Unit(거래단위)”의 입력정보에 연동된 단위에 해당되는 입력값(5종류 : 소포장갯수, 총수량, 총중량, 순중량, 용적)이 표시된다. ⓔ Unit Price (단가) : 단가를 입력하고, "통화“단위는 Currency의 입력정보가 표시된다. ⓕ Amount (금액) : 단위량에 단가를 곱한 값이 표시된다.
도 35 내지 도 38은 선적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5는 수출화주가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수출상품의 선적을 요청하는 《선적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6은 《선적요청목록》에서 선적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7은 《선적요청목록》의 선적요청서에서 컨테이너배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38은 《Booking목록》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선적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선적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5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선적요청서(S/R)의 Invoice 정보에서 선적송품장 지정 (팝업창)을 위한 지정절차는 선적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포워더)는 “상업송장조회(팝업창)”에서 선적요청하기 위한 Invoice를 선택(□체크)하고 “Invoice지정(버튼)”을 클릭하면 선적요청대상의 Invoice가 표시된다. 지정조건은 1건의 Booking을 위하여 지정되는 선적송품장은 “Invoice(팝업창)”에 표시된 13개항목(송하인, 수하인, 통지처, 구매자, 선적항, 도착항, 화물형태, 결제조건, 인도조건, 선적기한, 선명, 항차, 거래단위)이 동일한 항목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③ Invoice 신규작성은 선적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포워더)는 “상업송장조회(팝업창)”에서 선적요청하기 위한 Invoice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Invoice작성(팝업창)”에서 신규작성한다. Invoice 당사자는 Invoice의 거래당사자 3곳(Shipper, Consignee, Notify Party)이 자동표시된다. Shipping Mark는 《자사환경설정》에서 지정된 “화인(화물표시)”의 이미지파일을 업로드한다.
선적진행사항에서 ① 선적요청(S/R)번호는 선적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포워더)가 《선적요청목록》의 “선적요청서(팝업창)”에서 “선적요청(버튼)”을 클릭하면 선적요청번호가 생성된다. ② Booking No.는 Booking업체(포워더 또는 선박회사)가 《Booking목록》의 “Cargo Booking(팝업창)”에서 “Booking확정(버튼)”을 클릭하면 Booking No.가 생성된다. ③ B/L No.는 ⓐ B/L No.구분 : B/L No.를 “시스템 B/L No."와 "사용자 B/L No."로 구분하였으며 《자사환경설정》에서 사용자(Booking업체)가 선택하는 기준에 의하여 발행되는 “B/L No."가 《업무요청목록》과 《업무요청목록》에서 사용된다. ⓑ 시스템 B/L No. : Booking업체(포워더 또는 선박회사)가 《B/L발행목록》의 “Bill of Lading(팝업창)”에서 “B/L발행(버튼)”을 클릭하면 B/L No.가 생성되며, 수정이 불가능하다. ⓒ 사용자 B/L No. : 사용자(Booking업체)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B/L No." 체계의 규칙에 따라 생성되는 “B/L No."를 수기로 직접입력한다.
L/C정보 및 적하보험에서 ① L/C정보는 Invoice의 결제조건이 L/C방식인 경우 “L/C목록조회(팝업창)”에서 “L/C No."를 지정한다. ② 적하보험은 《적하보험목록》에서 처리된 “보험증권목록조회(팝업창)”에서 “Insurance No."를 지정한다. ⓐ 보험회사 입력정보 : 《적하보험목록》에서 보험회사가 처리한 “보험증권목록조회(팝업창)”에서 “Insurance No."를 지정한다. ⓑ 송하인의 입력 : 《적하보험목록》에서 보험회사의 입력정보가 없으면 “송하인” 또는 “송하인의 하불처”가 수기입력한다.
물품정보에서 ① B/L품명은 ⓐ 한글품명 : 배차표와 운송장에 표시되는 품명으로서 운전사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한글품명을 입력한다. ⓑ Invoice 대표품명 : “B/L”에 표시되는 “Invoice대표품명(B/L품명)”을 입력한다. ② B/L품명 상세내용은 “B/L품명”을 보충설명하는 내용을 포함한 거래조건의 참고사항을 입력한다. ③ 위험물여부는 위험물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위험물코드(숫자4개)”를 지정한다.
물류정보에서 ① Invoice표시사항은 6개항목(물류슈단, 화물형태, 선적기한, 인도조건, Freight, 적하보험)은 Invoice의 입력정보로부터 자동표시된다. ② 송하인 지정사항은 2개항목(선적항, 목적지)은 송하인이 Invoice를 작성하면서 지정할 항목이다. ③ Booking업체 지정사항은 4개항목(환적항, 도착항, 출항일자, 입항일자)은 Booking업체(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가 지정할 항목이다. ④ 환적항은 송하인이 환적을 금지한 경우에는 공란으로 비워둔다. ⑤ 도착항은 송하인이 도착항을 지정하였더라도 수입국의 사정과 선박스케쥴의 변경에 따라 선박회사가 임의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Booking목록》의 "Cargo Booking(팝업창)"에서 선박회사가 “도착항”을 수정할 수 있다. ⑥ B/L Surrender는 송하인이 B/L을 Booking업체에게 Surrender 요청하려면 “Y"로 지정한다.
선박정보에서 ① 입력절차는 선박회사가 “선박등록정보”→ “선명”클릭→ “선박스케쥴(팝업창)”에서 “항차”를 선택(지정)하면 7개항목(선명, 항차, 선박호출부호, 모선코드, 접안부두, 부두코드, 접안예정일)이 자동표시된다. ② 운항선사는 선박회사가 운항선사를 입력하면 “선사코드”가 생성된다. ③ 출항지연사유 : 출항예정일에 선박이 출항하지 못하면 선박회사는 “출항지연사유”를 입력한다. ④ B/L수령방법은 송하인은 3종류(송하인 우편수령, 선장탁송, 기타(직접입력))에서 선택한다.
수출통관정보에서 통관구분의 ① 선적요청전 통관은 통관사가《수출통관목록》→ “수출통관표(팝업창)”에서 통관완료한 수출면장이 “12.수출통관정보”에 자동표시된다. ② 선적요청후 통관은 송하인이 “선적요청서(팝업창)”의 “선적요청(버튼)”을 클릭한 후 통관사가《수출통관목록》→ “수출통관표(팝업창)”에서 통관완료하면 수출면장이 “12.수출통관정보”에 자동표시된다. ③ 통관사가 비회원사인 경우는 송하인은 통관사로부터 받은 수출면장을 참조하여 “수출통관정보”를 직접입력한다.
수출면장 분할선적은 1건의 수출면장을 2건이상으로 분할선적할 수 있다.
화주상차정보에서 컨테이너 배정표 (팝업창)의 ① 포장기준은 《상업송장목록》→ "Invoice작성(팝업창)"의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설정된 “포장기준”에 의하여 자동표시된다. ② Invoice 지정은 “2.Invoice별 배정잔량”에서 컨테이너에 배정할 Invoice를 선택하고 “Invoice지정(버튼)”을 클릭하면 배정잔량이 존재하는 포장단위가 “3.배정량설정”에 표시된다. ③ 포장기준별 배정량설정은 ⓐ 포장번호 배정 : 큰포장번호 및 소포장번호를 표시하면서 배정하려면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있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3.배정량설정”에서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를 입력하고 “배정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4.컨테이너배정결과”에 표시된다. ⓑ 포장갯수 배정 :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가 없이 배정하려면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3.배정량설정”에서 큰포장갯수와 소포장갯수를 입력하고 “배정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4.컨테이너배정결과”에 표시된다. ⓒ 벌크품목 배정 : 큰포장과 소포장의 포장단위가 없는 경우에는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단위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3.배정량설정”에서 “품목코드”별로 배정량을 입력하고 “배정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4.컨테이너배정결과”에 표시된다. ④ 배정량 범위는 R/T(Revenue Ton)을 기준으로 컨테이너용량의 허용치에 도달할 때까지 “3.배정량설정”에서 “컨테이너배정량”의 2개항목(총중량, 용적)을 확인하면서 배정량을 설정한다. ⑤ 배정량 확정은 “4.컨테이너배정결과”에서 “배정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컨테이너 배정량이 확정되어 “13.화주상차정보”에 “컨’순번”이 추가되어 나열된다.
배정량 수정에서 ① 수정절차는 선적요청서(팝업창)→ "13.화주상차정보"의 "컨'순번(팝업창)"을 클릭하여 "컨테이너배정량수정(팝업창)"에서 "배정량"을 수정한다. ② 포장기준별 수정은 ⓐ 포장번호 배정수정 : 배정대상으로 설정되었된 큰포장번호(또는 소포장번호)의 지정을 취소(□체크해제)하고 “배정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정취소된 포장번호가 “컨테이너배정표(팝업창)→ “2.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 포장갯수 배정수정 : 배정대상으로 설정되었던 큰포장갯수(또는 소포장갯수)를 수정하고 “배정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차감되는 포장갯수가 “컨테이너배정표(팝업창)→ “2.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 벌크품목 배정수정 : 배정대상으로 설정되었던 품목코드별 배정량을 수정하고 “배정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차감되는 배정량이 “컨테이너배정표(팝업창)→ “2.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② 적재품이적은 포장번호기준으로 배정된 경우 다른 컨테이너로 이적하고자 하는 포장번호(큰포장번호 또는 소포장번호)를 선택(□체크)한 후 “적재품이적(버튼)”을 클릭하면 “적재품이적(팝업창)”이 열리며 이적하고자 하는 “배차순번”을 선택하고 “이적확인(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컨테이너로 배정량이 이적된다. ③ 배정취소는 "컨테이너배정량수정(팝업창)"에서 “배정전량취소(버튼)”을 클릭하면 배정전량이 “컨테이너배정표(팝업창)→ “2.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도 39 내지 도 42는 콘솔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9는 포워더가 보세창고에게 컨테이너의 콘솔작업을 요청하는 《콘솔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0은 《콘솔요청목록》에서 콘솔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41은 포워더가 콘솔컨테이너의 SPACE를 제3자의 포워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솔SPACE공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42는 《콘솔SPACE공개목록》에서 콘솔SPACE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9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콘솔요청서의 콘솔요청에서 LCL화물의 콘솔에 대한 ① 콘솔의 정의는 포워더에게 선적요청한 수출상품이 1개 컨테이너단위의 적재량(총중량, 용적)보다 현저히 부족하여 보세창고(콘솔CFS)에서 2곳이상의 송하인의 수출화물을 집하한 후 1개 컨테이너에 적입(Stuffing)작업을 하는 과정이다. ② Co-Load는 송하인으로부터 선적요청을 받은 포워더가 “콘솔CFS”에게 콘솔작업을 요청하지 못하고 제3자(포워더)에게 다시 “선적요청(재하청)”하는 과정이다.
콘솔요청 절차에서 ① 신규콘솔요청는 《콘솔요청목록》에서 신규의 “콘솔요청서(팝업창)”를 작성한다. ② 콘솔대상화물 지정은 “콘솔화물지정(팝업창)”에서 “콘솔대상화물”을 지정(S/R No.선택)한다. ③ 컨테이너 배정은 “콘솔화물 컨테이너배정(팝업창)”에서 컨테이너에 배정할 S/R No.를 지정한다. ④ Booking확정은 콘솔요청서(팝업창)에서 컨테이너 배정내역을 확인한 후 Booking을 확정한다. ⑤ 콘솔요청은 “콘솔요청서(팝업창)”에서 콘솔요청하여 콘솔CFS에게 콘솔작업을 지시한다. ⑥ 콘솔작업은 《콘솔목록》의 “콘솔작업표(팝업창)”에서 콘솔포워더로부터 요청받은 콘솔작업을 완료한다.
콘솔대상화물에서 콘솔화물지정 (팝업창)의 ① 콘솔대상화물 검토는
ⓐ 상품제원 확인 : “콘솔화물지정(팝업창)”에서 S/R No.별로 “품명(”을 클릭하여 상품제원(Dimension, 위험물여부 등)을 확인하면서 컨테이너 배정여부를 판단한다. ⓑ 수출통관여부 확인 : “수출면허일”의 표시여부를 확인하고 수출통관이 완료되지 못한 S/R No.에 대하여 선적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포워더)에게 수출통관을 독촉한다. ② 콘솔대상화물 지정은 “1.선적요청내역”에서 컨테이너에 배정할 S/R No.를 선택(□체크)하면서 컨테이너제원(총중량, 용적)에 부합하는 콘솔대상화물을 지정하고 “콘솔화물지정(버튼)”을 클릭한다. ③ 콘솔대상화물 확정은 ⓐ 배정물량 확정 : “2.콘솔대상화물 지정결과”에서 컨테이너에 배정할 품명과 배정예정량(총중량, 용적)을 검토한 후 “콘솔대상확정(버튼)”을 클릭한다. ⓑ 콘솔대상 보류 : 송하인으로부터 선적요청을 받았으나 특별한 사정으로 인하여 콘솔요청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2.콘솔대상화물 지정결과”에서 “취소(X)"버튼을 클릭하여 콘솔작업을 보류한다.
SPACE공개에서 ① 공개대상 SPACE는 "콘솔화물 컨테이너배정(팝업창)”에서 콘솔대상화물을 컨테이너에 배정한 결과 약간의 SPACE가 발생하여 제3자의 포워더로부터 수배되는 Co-Load화물을 배정하기 위한 “잔여SPACE”이다. ② 공개절차는 ⓐ SPACE공개 : "SPACE공개(팝업창)”를 클릭하여 “SPACE공개사항(팝업창)”에서 콘솔작업일과 SPACE(총중량, 용적)을 등록한다. ⓑ SPACE공개목록 : “SPACE공개사항(팝업창)”을 등록하면 “SPACE공개목록”에 표시되며 불특정 다수의 포워더(포워더업종의 회원사)는 모두 열람이 가능하다. ⓒ 공개기간 : 콘솔작업일의 15일후(당일포함)에 공개목록에서 자동 삭제된다. ⓓ SPACE공개사항 수정 : SPACE를 공개한 포워더는 “SPACE공개목록”의 총중량(팝업창)을 클릭하여 “SPACE공개사항(팝업창)”에서 콘솔작업일 또는 SPACE(총중량, 용적)를 수정등록한다. ③ 콘솔SPACE메세지는 ⓐ 제3자의 Co-load : 제3자의 포워더는 "콘솔화물 컨테이너배정(팝업창)”에서 콘솔대상화물을 컨테이너에 배정한 결과 약간의 잔여 “콘솔대상화물”이 발생하여 자사에게 Co-Load할 목적으로 “SPACE공개목록”의 “등록포워더(자사)”를 클릭하여 “콘솔SPACE메세지(팝업창)”에서 자사담당자에게 화물제원에 대한 문의사항(메세지)를 전송한다. ⓑ SPACE메세지 답변 : 제3자의 포워더로부터 “콘솔SPACE메세지(팝업창)”를 받은 자사담당자는 발신자(제3자 포워더)의 화물제원을 검토한 후 잔여 SPACE의 배정여부에 대한 답변메세지를 전송한다.
Co-Load에서 ① Co-Load 대상화물은 "콘솔화물 컨테이너배정(팝업창)”에서 콘솔화물을 컨테이너에 배정한 결과 약간의 “잔여 콘솔화물”이 발생하여 제3자의 포워더에게 다시 선적요청(재하청)하기 위한 화물이다. ② Co-Load 절차는 ⓐ 콘솔SPACE메세지 전송 : “SPACE공개목록”의 “등록포워더(자사)”를 클릭하여 “콘솔SPACE메세지(팝업창)”에서 제3자의 포워더에게 “잔여 콘솔화물”의 화물제원에 대한 문의사항(메세지)를 전송한다. ⓑ 제3자의 콘솔배정 : 자사로부터 “콘솔SPACE메세지(팝업창)”를 받은 제3자의 포워더는 자사의 화물제원을 검토한 후 잔여 SPACE의 배정여부에 대한 답변메세지를 전송하고 "콘솔화물 컨테이너배정(팝업창)”에서 컨테이너에 배정한다.
거래처정보에서 발주처정보의 복수의 발주처는 LCL화물은 1개의 컨테이너에 2곳이상의 선적요청자(송하인 또는 포워더)가 존재하므로 콘솔포워더의 발주처는 2곳이상으로 “발주처목록”에 표시된다.
콘솔화물 컨테이너배정 (팝업창)에서 콘솔화물 컨테이너배정을 위한 ① 배정절차는 “콘솔요청서(팝업창)”→ “7.컨테이너별 콘솔현황”→ “콘솔화물 컨테이너배정(팝업창)”에서 배정대상의 “S/R No."를 선택(□체크)하고 “컨테이너배정(버튼)”을 클릭하면 “2.컨테이너 배정결과”의 콘솔순번(컨테이너)에 표시된다. ② 콘솔순번은 콘솔순번은 콘솔화물이 배정되는 컨테이너의 일련번호이며, 《선적요청목록》→ “선적요청서(팝업창)의 "13.화주상차정보”에서 “컨’순번”으로 자동표시되고, 《운송요청목록》→ “운송요청서(팝업창)”의 “5.운송요청사항”에서 “배차순번”으로 자동표시된다.
컨테이너 콘솔배정을 위한 ① 콘솔배정 범위는 “1.컨테이너배정(상단테이블)”에서 R/T(Revenue Ton)을 기준으로 컨테이너제원에 부합되는 허용치(총중량, 용적)에 도달할 때까지 “S/R No."를 배정한다. ② 콘솔배정 확정은 “2.컨테이너 배정결과”에서 컨테이너에 배정된 품명과 배정량(총중량, 용적)을 확인하고 과적 또는 적재미달의 여부를 검토한 후 “콘솔배정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컨테이너 배정량이 “콘솔요청서(팝업창)”→ “7.컨테이너별 콘솔현황”에 표시된다.
콘솔배정 수정을 위한 ① S/R 배정취소는 “2.컨테이너 배정결과”에서 “배정합계”가 컨테이너제원(총중량, 용적)의 허용치에 초과되어 수정대상의 “S/R No."를 배정취소하려면 ”취소(X)"를 클릭하여 수정한다. ② 적재품 이적은 ⓐ 이적대상 : “콘솔요청서(팝업창)”→ “7.컨테이너별 콘솔현황”의 컨테이너(콘솔순번)이가 2개이상인 경우 컨테이너별로 적재량(충중량, 용적)을 조정하기 위하여 당해 컨테이너에서 다른 컨테이너로 옮겨 적재하려는 경우이다. ⓑ 이적절차 : “콘솔순번(팝업창)”을 클릭하여 “컨테이너 콘솔배정수정(팝업창)”에서 이적대상의 “S/R No."를 선택(□체크)한 후 “적재품이적(팝업창)”에서 이적할 콘솔순번을 선택하고 "이적확인(버튼)"을 클릭하면 이적대상의 “S/R No.”가 선택된 컨테이너로 이적된다. ③ 콘솔배정 취소는 “2.컨테이너 배정결과”에서 “콘솔배정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컨테이너의 배정전량에 대하여 “배정취소”되면서 “콘솔요청서(팝업창)”→ “7.컨테이너별 콘솔현황”에서도 “콘솔순번(컨테이너)”이 삭제된다.
콘솔작업요청을 위한 ① Booking No.생성은 “콘솔요청서(팝업창)”→ “7.컨테이너별 콘솔현황”에서 “H.Booking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컨테이너에 배정된 모든 “S/R No.”에 대하여 “Booking No.”가 생성되면서 Booking업무가 완료된다. ② 콘솔요청번호 생성은 Booking 절차가 완료된 후 “컨테이너콘솔요청(버튼)”을 클릭하면 “콘솔요청번호”가 생성되면서 하불처(콘솔CFS)의 콘솔작업표(팝업창)에 자사(콘솔포워더)의 콘솔요청내역이 표시된다. ③ 콘솔요청 취소는 하불처에게 콘솔요청된 “콘솔요청번호”에 대하여 “콘솔요청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콘솔요청이 취소된다.
하불처의 콘솔작업표 (팝업창)에서 콘솔배정 수정요청을 위한 ① 수정요청절차는 하불처(콘솔CFS)는 컨테이너에 적입(Stuffing)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과적 또는 적재미달로 인하여 컨테이너배정량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콘솔포워더에게 《콘솔요청목록》→ “콘솔요청서(팝업창)”에서 컨테이너배정량을 수정해 달라고 요청한다. ② 적재품 이적은 콘솔포워더의 “콘솔배정수정”에 의하여 컨테이너에 적입(Stuffing)작업이 진행중인 적재품의 이적작업을 처리한다.
콘솔작업 완료에서 ① 콘솔화물 입고확인은 콘솔CFS는 《콘솔작업목록》→ “콘솔작업표(팝업창)”에 표시된 “S/R No.”의 송하인별로 콘솔대상화물의 입고여부를 확인한다. ② 콘솔작업 마감은 “콘솔작업표(팝업창)”에서 컨테이너에 적입(Stuffing)작업을 완료한 후 “콘솔작업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콘솔번호”와 “콘솔작업일”이 표시되면서 콘솔요청자(콘솔포워더)의 《콘솔요청목록》에도 콘솔번호가 표시된다.
도 43 내지 도 45는 B/L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3은 발주처로부터 수입화물의 물류업무처리를 위임받은 B/L정보가 표시된 《수입B/L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4는 《수입B/L목록》에서 선하증권(Bill of Lading)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45는 《수입B/L목록》에서 발주처로부터 받은 종이B/L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B/L정보입력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3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B/L정보 입력표에서 입력기준 중 데이터입력의 다중거래처의 공동입력은 “B/L정보(팝업창)”은 본 시스템의 회원사인 물류업체(수입화주,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운송사, CY, 보세창고 등)들이 공동으로 입력하는 작업화면이다. ② 데이터수정은 ⓐ 입력주체의 수정권한 : 입력하였던 Data를 수정/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력을 담당하였던 업체(발주처 또는 자사 또는 하불처)가 수정하여야 한다. ⓑ 입력수임업체의 수정 : 물류업무를 의뢰(요청)하는 “자사”가 입력하지 않고 하불처가 입력할 수 있도록 위임한 경우 “자사”는 수정/삭제가 불가능하며 해당항목의 입력을 담당하였던 거래처(발주처 또는 하불처)에게 수정/삭제하여 달라고 요청하여야 한다. ③ 입력범위는 자사는 하불처가 업무처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B/L정보만을 입력하고 하불처의 담당업무에서 생성되는 B/L정보는 자사가 입력하지 않고 하불처가 입력할 수 있도록 위임한다.
입력담당업체 (팝업창)에서 ① 입력순번은 "B/L정보(팝업창)”에서 “B/L정보”를 입력한 업체의 순서대로 “입력순번”이 생성된다. ② 입력색상은 “B/L정보”를 입력한 업체의 색상이 입력순번으로 구분되어 초록색(01번), 주황색(02번), 파랑색(03번), 분홍색(04번) 등으로 표시된다. ③ 입력담당업체는 입력을 담당한 업체의 “업체코드”가 표시된다. ④ 입력담당자는 입력담당자의 “ID"가 표시된다.
오류항목 수정요청 (팝업창)에서 ① 수정요청절차는 ⓐ 입력업체 확인 : "B/L정보(팝업창)”에서 입력오류항목을 발견하면 “입력담당업체(팝업창)”을 클릭하여 “입력색상”과 “입력담당업체”를 확인한다. ⓑ 메세지 전송 : “입력담당자”의 “”를 클릭하여 “오류입력사항 수정요청(팝업창)”에서 수정요청사항을 입력한 후 “저장(버튼)”을 클릭하면 당해 오류항목에 대한 “입력담당자”에게 메세지가 전송된다. ⓒ 입력담당자의 수정 : 입력업체의 입력담당자는 수정요청업체로부터 받은 “오류입력사항 수정요청(팝업창)”의 메세지를 확인한 후 기존의 입력사항을 수정한다. ② 수정요청업체는 수정요청한 “자사”의 “자사코드”가 표시된다. ③ 수정요청담당자는 자사의 “수정요청담당자”의 “ID"가 표시된다. ④ 수정요청사항은 오류항목, 변경전 표시내용, 변경후 수정내용, 수정사유를 입력한다.
B/L정보입력표 (팝업창)의 선적국 Booking No.에서 ① Shipper가 회원사인 경우는 Shipper(수출자)로부터 전달받은 “Booking No."를 입력하면 선적항에서 선박이 출항하기 전에 “B/L정보”가 자동표시되어 수출자의 Invoice정보 및 Booking정보를 선적전에 확인할 수 있다. ② Shipper가 비회원사인 경우 Shipper(수출자)로부터 Fax로 받은 선적서류(B/L, Invoice)를 참고하여 “B/L정보”를 직접입력한다.
B/L No.에서 ① 선박회사가 회원사인 경우 Buyer(수입자)로부터 전달받은 “B/L No."를 입력하면 선박회사(용선선사/대리점)가 적하목록을 입력하기 전에 “B/L정보”가 자동표시되어 수출자의 선적정보를 입항전에 확인할 수 있다. ② 선박회사가 비회원사인 경우 Buyer(수입자)로부터 Fax로 받은 선적서류(B/L, Invoice)를 참고하여 “B/L정보”를 직접입력한다.
용선선사/대리점에서 ① 선박회사가 회원사인 경우 Buyer(수입자)로부터 전달받은 “B/L No."를 입력하면 “용선선사/대리점(운항선사가 아님)”가 자동표시된다. ② 선박회사가 비회원사인 경우 선적국에서 당해 B/L을 발행한 “용선선사/대리점”을 “선사코드()에서 선택(지정)한다.
적하목록관리번호는 선박회사가 관세청시스템에서 적하목록을 입력한 후 부여받은 “화물관리번호”를 발주처로부터 연락받아 직접입력한다.
선박정보에서 ① 선명, Call Sign, 모선코드은 “모선코드(팝업창)”에서 선박명을 선택하면 Call Sign(선박호출부호), 모선코드가 자동표시되며, 등록된 선박코드가 없으면 직접입력한다. ② 선박국적은 “국가코드”를 직접입력한다. ③ 항차는 “선박스케쥴(팝업창)”에서 항차를 선택하며, 등록된 선박스케쥴이 없으면 직접입력한다. ④ 운항선사 및 선사코드는 “선박등록정보(팝업창)”에 의하여 자동표시되며, 선박등록정보가 없으면 직접입력한다. ⑤ 선적항 및 출항일자(E.T.D)는 선적항은 “공항만코드(팝업창)”에서 선택하고, 출항일자를 입력한다. ⑥ 도착항 및 입항일자(E.T.A)는 도착항은 “공항만코드(팝업창)”에서 선택하고, 입항일자를 입력한다.
수입상품 거래당사자의 Invoice당사자에서 ① Consignee는 Commercial Invoice에 표시된 업체를 입력하며 L/C 방식의 거래는 "To Order"로 입력하고 L/C방식이 아닌 경우에는 “업체조회()”에서 선택한다. ② Notify Party는 Commercial Invoice에 표시된 업체를 입력하며 L/C 방식의 거래는 “업체조회()”에서 선택하고, L/C방식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을 생략한다. ③ Buyer(수입자)는 수하인(Consignee)과 통지처(Notify Party) 중에서 Buyer(수입자)에 해당되는 업체를 지정한다.
수입화주 지정 에서 ① Buyer(수입자)와 동일한 경우 “□ Buyer(수입자)와 같음”에 기본값으로 체크되어 “Buyer(수입자)”와 동일하게 표시된다. ② 1곳의 수입위탁자가 존재하는 경우 업체명의 “업체조회()”에서 수입위탁자를 선택하면 “□ 수입위탁자가 별도로 존재함”에 자동체크된다. ③ 2곳이상의 수입위탁자가 존재하는 경우 “4.컨테이너정보”의 “컨테이너정보등록(팝업창)”에서 “수입위탁자”별로 수입화주를 지정하면 “□ 수입위탁자가 별도로 존재함”에 체크되면서 2개항목(업체명, 소재지)이 삭제된다.
컨테이너정보 입력 (팝업창)의 B/L분할에서 ① B/L분할절차는 ⓐ 해당없음 : 수입화주가 1곳인 경우 "□ 해당없음"에 기본값으로 체크되어 있다. ⓑ 분할순번 : 수입화주가 2곳이상인 경우 컨테이너(컨'순번)별로 수입화주를 지정하면 "분할순번"이 등록되는 순서대로 자동생성되며, 《출고요청목록》의 “출고요청서(팝업창)”가 생성되는 기초가 된다. ⓒ 추가분할 : 수입화주별로 "분할순번"이 지정된 컨테이너에 대하여 제2차 분할을 하고자 하는 경우 "□ 추가분할( R09 )"을 체크하면 후순위의 "분할순번"이 자동생성된다.
② B/L분할 구분은 ⓐ Invoice별 분할 : Invoice가 2건이상으로서 Invoice별로 컨테이너를 분할하는 경우 입력된 Invoice에 해당되는 컨테이너정보(컨‘순번, 컨테이너번호 등)를 입력한다. ⓑ 수입화주별 분할 : 수입위탁자(수입화주)가 2곳이상인 경우에 B/L분할 대상이 되며, 컨테이너정보(컨테이너규격, 컨테이너번호 등)를 입력한 후 수입화주의 업체명()에서 수입위탁자를 지정한다. ⓒ 컨테이너수량 분할 : 수입화주별로 B/L분할을 한 후 동일한 수입화주의 컨테이너 중에서 제2차로 추가하여 B/L분할하는 경우 "□추가분할"을 체크하면 후순위의 “분할순번”이 자동생성된다. ③ 독립된 B/L No.는 1건의 B/L No.가 2건이상의 B/L No.로 분할되면 분할순번이 조합된 각각의 B/L No.는 《업무요청(처리)목록》의 “업무요청(처리)서(팝업창)”에서 독립된 B/L No.로 업무처리가 진행된다.
④ 업무처리기준는 ⓐ 업무요청서(팝업창) 생성기준 : B/L이 분할되면서 생성되는 “분할순번”에 따라 《업무요청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업무요청서(팝업창)”가 생성된다. ⓑ 업무처리표(팝업창) 생성기준 : B/L이 분할되면서 생성되는 “분할순번”에 따라 《업무처리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업무처리표(팝업창)”가 생성된다. ⓒ 매출전표(팝업창) 생성기준 : “매출전표(팝업창)”는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업무처리결과에 따른 물류비용의 청구서이므로 《업무처리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생성된다. ⓓ 수입B/L정산표(팝업창) 생성기준 :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팝업창)”에서 지정된 2개항목(청구처,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은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결정되므로 《수입B/L정산목록》의 “수입B/L정산표(팝업창)”에서도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물류비용전표가 집합된다.
수입송품장 지정 (팝업창)에서 ① Shipper(수출자)가 회원사인 수입화주(또는 수입화주의 하불처)가 B/L No.를 입력하면 선적국의 Shipper(수출자)에 의하여 “선적요청서(팝업창)”→ “1.Invoice정보”→ “선적송품장(팝업창)”에서 지정된 Invoice가 “수입송품장(팝업창)”에 자동표시된다. ② Buyer(수입자)가 회원사인 수입자(Byuer)는 Shipper(수출자)로부터 Fax.로 받은 Invoice를 “상업송장목록”의 “Invoice작성(팝업창)”에서 신규작성한 후 “수입B/L목록”→ “B/L정보(팝업창)”→ 컨테이너정보등록(팝업창)의 “C/I지정(팝업창)”에서 Invoice를 지정한다. ③ Buyer(수입자)가 비회원사인 수입자의 하불처(포워더, 통관사 등)는 수입자(Buyer)로부터 Fax로 받은 Invoice를 참고하여 “Invoice신규입력(팝업창)”에서 직접작성하여 입력을 대행한다.
컨테이너정보에서 ① 컨'순번 (컨테이너순번)은 ⓐ 컨'순번의식별부호 : “컨’순번”의 식별부호는 E+F(수출FCL), E+L(수출LCL), E+B(수출BULK), E+E(수출ETC), I+F(수입FCL), I+L(수입LCL), I+B(수입BULK), I+E(수입ETC), I+D(수입DVN)으로 구성된다. ⓑ 컨'순번의 일련번호 : 컨테이너가 등록되는 순서대로 01~99까지 자동생성된다. ⓒ 배차순번과의 관계 : “컨’순번”은 《FCL운송목록》→ "운송배차표(팝업창)"의 "배차순번"과 동일한 순번이다. ② 컨'순번 및 컨테이너번호는 B/L에 표시된 컨테이너규격, 컨테이너번호, 봉인번호를 입력한다. ③ 수량정보는 컨테이너별로 큰포장갯수(B.P'kgs), 소포장갯수(S.P'kgs), 총중량, 용적을 입력한다.
수입화주에서 ① 수입화주가 1곳인 수입화주가 Buyer와 동일하거나, 수입위탁자 1곳으로 수입대행인 경우에는 "3.Invoice정보"의 수입화주와 동일한 "업체명"으로 자동표시된다. ② 수입화주가 2곳이상인 수입대행에 있어 수입화주가 2곳이상으로 “B/L분할”되는 경우 컨테이너(컨'순번)별로 수입화주의 업체명()에서 수입위탁자를 지정한다. ③ 동일한 수입화주는 동일한 수입화주에 해당되는 컨테이너는 “□이전의 “컨’순번”과 같음”에 체크한다.
수입통관정보에서 ① 통관요청번호는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통관요청서(팝업창)의 수입통관요청번호가 자동표시되며, 수입통관요청서(팝업창)의 입력정보가 없으면 공란으로 비워둔다. ② 통관번호는 《수입통관목록》에서 수입통관표(팝업창)의 수입통관번호가 자동표시되며, 수입통관표(팝업창)의 입력정보가 없으면 공란으로 비워둔다. ③ 수입면장번호는 세관에 제출된 “수입신고번호” 및 세관의 “수입면허일”을 직접입력한다. ④ 분할통관은 ⓐ 수입화주별 분할통관 : 수입화주별로 “B/L분할”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별로 “수입통관정보”를 구분하여 입력한다. ⓑ 컨테이너별 분할통관 : 컨테이너별로 “B/L분할”되는 경우에도 컨테이너별로 “수입통관정보”를 구분하여 입력한다. ⑤ 동일한 통관정보는 동일한 통관정보에 해당되는 컨테이너는 “□이전의 “컨’순번”과 같음”에 체크한다.
화물정보에서 ① Invoice No.는 "컨테이너정보입력(팝업창)“에서 지정된 Invoice No.가 표시된다. ② B/L품명은 B/L에 표시된 품명(B/L품명)을 입력한다. ③ 위험물코드는 위험물에 해당되는 경우 “위험물코드(팝업창)”에서 위험물코드를 선택한다. ④ 화물제원은 “컨테이너정보입력(팝업창)”에서 컨테이너별로 입력된 큰포장갯수(B.P'kgs), 소포장갯수(S.P'kgs), 총중량, 용적의 수량정보가 합산되어 표시된다.
화물배정요청의 Buyer(수입자)의 배정요청에서 ① 배정요청시기는 수입화주는 컨테이너화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선적항에서 선박이 출항한 후 늦어도 “배정마감일” 전까지는 선박회사에게 배정요청을 하여야 한다. ② 배정마감일은 선박회사는 수입화주의 배정요청이 가능한 마감일시를 입력한다. ③ CY내장통관은 ⓐ 통관절차 : 항만주변의 하선장소(ODCY)에서 수입화물이 콘테이너에 내장된 상태로 수입통관하는 경우이다. ⓑ 임의배정 : 수입화주는 하선장소에서 컨테이너화물의 통관을 처리하기 위하여 배정마감일 전까지 배정요청을 하여야 하며, Buyer(수입자)의 배정요청이 없으면 선박회사가 “CY내장통관”으로 임의배정한다. ③ 입항전통관은 수입화주는 배정마감일 전까지 “입항전통관”의 배정요청을 하고, 관할세관의 적하목록심사가 종결되면서 선박회사가 하선장소를 지정하기 전까지는 양륙즉시 차상반출을 위한 “입항전통관신청”이 가능하다. ④ 부두직통관은 ⓐ 통관절차 : 하선장소가 지정된 후에는 하선장소(부두장치장)에서 Free Time내에 컨테이너 단위로 수입통관할 수 있다. ⓑ 보관료발생 : 부두장치장에서 Free Time내에 화물을 반출하지 못하면 보관료가 발생하며, 선박회사가 임의로 컨테이너를 하선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셔틀운송료”도 발생한다. ⑤ 세관검사배정은 세관의 적하목록 심사결과에 따라 X-Ray검사 또는 관리화물 정밀검사를 위하여 세관에서 직권배정하는 경우이다. ⑥ CY적출배정은 수입화주가 CY에서 FCL화물을 컨테이너 단위로 출고하지 않고 Devanning(적출작업; 콘테이너를 개장하여 내품을 꺼내는 작업)한 후 화물차(카고트럭)에 상차하여 출고하는 경우이다. ⑦ 자선창고배정은 ⓐ 자선의 정의 : 하선장소로부터 화주의 계약된 보세창고까지의 운송권한과 컨테이너가 창고에 입고된 이후의 화물하역(적출)권을 수입화주(주로 포워더)에게 위임해 주는 것을 말한다. ⓑ 배정목적 : 화주가 FCL화물을 창고에 입고시켜 장기간 보관하면서 B/L분할에 의하여 분할통관하는 경우이거나 포워더가 컨테이너에 내장된 LCL화물을 Cosignee(수입화주)별로 구분하여 인도하기 위하여 창고에 입고시켜 수입통관하는 경우이다. ⑧ 보세운송은 항만주변의 하선장소(ODCY)에 장치된 콘테이너를 내륙지의 장치장으로 이고시킨후에 수입통관하는 경우이다. ⓐ 입항전보세운송 : 접안장소(부두)에서 상차(차상반출)하여 보세운송목적지로 운송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 CY보세운송 : 하선장소(CY)에서 상차하여 보세운송목적지로 운송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 CFS보세운송 : 자선창고(CFS)에서 상차하여 보세운송목적지로 운송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⑨ FCL하선반송은 하선장소에 반입된 컨테이너화물을 수입통관을 하지 않고 선적국 또는 제3국으로 반송하는 경우이다. ⑩ LCL하선반송은 자선창고에 반입된 LCL화물을 수입통관을 하지 않고 선적국 또는 제3국으로 반송하는 경우이다.
선박회사 배정결과에서 ① 배정절차는 선박회사는 Buyer(수입자)가 배정요청한 대로 하선장소를 지정한다. ② 임의배정은 선박회사는 Buyer(수입자)의 배정요청에 따라 컨테이너화물을 처리하지만 세관의 특별한 요청이 있는 경우 선박회사가 임의배정(세관이 지정하는 검사장소로 배정)하는 경우도 있다. ③ 하선장소는 ⓐ 지정절차 : 용선선사/대리점은 “장치장코드(팝업창)”에서 하선장소를 지정한다. ⓑ 하선반입일 : 용선선사/대리점은 하선장소에 컨테이너의 반입일자를 입력한다.
통관장소에서 ① 지정절차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는 “장치장코드(팝업창)”에서 통관장소를 지정한다. ② 반입일자는 물류업체는 통관장소에 컨테이너의 반입일자를 입력한다.
화물처리정보(팝업창)에서 ① 수입통관정보는 《수입통관목록》의 “수입통관표(팝업창)”에서 처리된 수입통관정보가 표시된다. ② 화물이동경로는 하선장소에서 시작하여 화주의 인도장소까지 컨테이너별로 입출고정보가 표시된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48은 D/O(Delivery Order)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6은 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요청하는 《D/O발행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7은 《D/O발행요청목록》에서 D/O발행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48은 《D/O발행목록》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D/O발행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D/O비용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면, Delivery Order의 D/O발행 요청에서 신청업체의 확인사항의 ① B/L정보 확인은 D/O발행요청자(수입자 또는 물류업체)는 《D/O발행요청목록》에서 신규의 “D/O발행요청(팝업창)”을 클릭하여 “D/O발행요청서(팝업창)”에서 B/L정보를 확인한다. ② B/L정보 등록은 신청업체는《수입B/L목록》의 등록정보가 없는 경우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B/L정보”를 등록한다. ③ 하선장소 확인은 신청업체는 출고업무 및 운송업무를 준비하기 위하여 하선장소정보를 확인한다.
④ Free Time 확인 : 신청업체는 2종류(Demurrage, Detention)의 Charge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Free Time을 확인한다.
D/O발행 요청절차의 ① D/O발행 요청은 산청업체가 입력사항을 확인한 후 “D/O발행요청(버튼)”을 클릭하면 하불처(선박회사)의 《D/O발행목록》에 “D/O발행요청정보”가 표시된다. ② D/O발행요청 취소는 “D/O발행요청서(팝업창)”에서 “D/O발행요청취소(버튼)”을 클릭하면 “D/O발행요청번호”가 삭제되면서 신청업체에 의하여 입력되고 저장된 Data(D/O발행요청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하불처(발행업체)의 D/O발행에서 등록사항의 ① 로고 및 서명감 등록은 발행업체(선박회사)는 《자사환경설정》에서 로고 및 서명감을 등록하여 D/O(팝업창)에 항상 표시되도록 한다. ② 안내문 등록은 발행업체(선박회사)는 3종류(화물체화료, 컨테이너 반납지체료, 부두경과료)의 비용이 발생되는 근거를 신청업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자사환경설정》에서 안내문을 등록하여 D/O(팝업창)에 항상 표시되도록 한다.
D/O발행 절차의 ① D/O 발행은 “Deliver Order(팝업창)”에서 입력사항을 확인한 후 “D/O발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D/O발행정보”가 신청업체의 《D/O발행요청목록》→ “D/O발행요청서(팝업창)”에 표시되고 동시에 하선장소의 《출고목록》→ “출고상차표(팝업창)”에도 표시된다. ② D/O 수신처는 발행된 D/O는 2곳(신청업체, 하선장소)에서만 동시에 열람이 가능하다. ③ D/O발행 취소는 “Deliver Order(팝업창)”에서 “D/O발행취소(버튼)”을 클릭하면 “D/O발행번호”가 삭제되면서 발행업체에 의하여 입력되고 저장된 Data(D/O발행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도 49 내지 도 51은 수출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9는 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통관사에게 수출통관업무를 요청하는 《수출통관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0은 《수출통관요청목록》에서 수출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1은 《수출통관목록》에서 통관사가 수출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수출통관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9 내지 도 51을 참조하면, 수출통관요청서의 Invoice 정보에서 선적송품장 지정 (팝업창)의 ① 지정절차는 통관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포워더)는 “상업송장조회(팝업창)”에서 선적요청하기 위한 Invoice를 선택(□체크)하고 “Invoice지정(버튼)”을 클릭하면 통관요청대상의 Invoice가 표시된다. ② 지정조건은 1건의 수출통관을 위하여 지정되는 선적송품장은 “Invoice(팝업창)”에 표시된 13개항목(송하인, 수하인, 통지처, 구매자, 선적항, 도착항, 화물형태, 결제조건, 인도조건, 선적기한, 선명, 항차, 거래단위)이 동일한 항목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③ Invoice 신규작성은 통관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포워더)는 “상업송장조회(팝업창)”에서 선적요청하기 위한 Invoice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Invoice작성(팝업창)”에서 신규작성한다. ④ Invoice 당사자는 Invoice의 거래당사자 3곳(Shipper, Consignee, Notify Party)이 자동표시된다.
수출면장 당사자에서 ① 송하인(Shipper)의 ⓐ 표시기준 : 수출대행의 경우 “수출대행자”는 "Commercial Invoice(팝업창)"에서 “Shipper(송하인)”로 표시된다. ⓑ 수출대행자 : 일반적으로 오퍼상 또는 포워더가 "Commercial Invoice(팝업창)"에서 수출대행자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② 수출화주는 ⓐ 대행수출의 경우 : 수출대행자에게 수출업무를 위탁하는 “수출위탁자”는 선적완료후 부가가치세 영세율적용과 관세환급의 대상업체로서 수출면장에서 “수출화주”로 표시된다. ⓑ 직접수출의 경우 : 송하인이 수출대행자가 아니고 직접수출하는 경우에서 송하인은 곧 수출화주가 된다. ③ 제조자는 제조자가 생산한 제품을 수출하는 경우, 제조자에게 관세환급청구권을 부여하기 위하여 수출면장의 “제조자”로 표시하여 “수출통관”할 수 있다.
물류정보에서 ① Invoice의 입력정보는 송하인(수출자)에 의하여 《상업송장목록》→ “Commercial Invoice(팝업창)”에서 작성된 8개항목( L/C No. 화물형태, 결제방법, 화주상차지, 선적항, 인도조건, 거래단위, 목적지)이 자동표시된다. ② 선적요청서 입력정보는 《선적요청목록》→ “선적요청서(팝업창)”에서 입력된 2개항목(도착항, Booking No.)이 자동표시된다.
통관요청사항의 통관장소에서 ① 장치장코드는 통관요청자는 하불처(통관사)가 통관업무를 처리할 “통관장소”를 장치장코드()에서 지정한다. ② 반입일자는 통관요청자(또는 통관사)는 수출화물이 통관장소에 입고된 날짜를 입력한다. ③ 관할세관은 “장치장코드”가 지정되면 통관장소를 관할하는 통관지세관(관할세관)이 자동표시된다.
수출면장에서 ① 수출통관번호는 통관사가 《수출통관목록》의 “수출통관표(팝업창)”에서 “수출통관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수출통관번호”가 표시된다. ② 수출면장번호는 하불처(통관사)는 통관지세관에 수출신고된 “수출면장번호 및 수출면허일”를 입력한다.
거래형태에서 ① 일반수출은 Shipper(수출자)와 Buyer(수입자) 상호간의 무역계약에서 “일반수출형태”의 무역거래형태이다. ② 특수형태는 통관요청자(수출화주 등)는 “특수거래()”에서 “일반수입형태”를 제외한 특수거래형태를 지정한다.
관세환급 정보에서 ① 관세환급 청구권자는 관세환급 청구권자를 2종류(수출화주, 제조자)에서 지정한다. ② 간이환급여부는 지정된 관세환급청구권자에 대하여 간이환급대상 여부를 지정한다.
통관요청확정에서 ① 통관요청번호 생성은 “수출통관요청서(팝업창)”에서 “통관요청확정(버튼)”을 클릭하면 통관요청번호 및 통관요청일자가 생성된다. ② 통관요청 취소는 “수출통관요청서(팝업창)”에서 “통관요청취소(버튼)”을 클릭하면 통관요청번호 및 통관요청일자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수출통관요청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하불처의 수출통관처리표 (팝업창)의 하불처의 입력사항에서 ① 통관장소는 통관장소는 통관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통관사)가 지정한다. ② 반입일자는 반입일자는 통관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통관사)가 입력한다. ② 수입면장번호 및 수입면허일은 수출면장번호 및 수출면허일은 통관사가 입력한다. ③ 거래형태는 거래형태는 통관요청자(수출화주 또는 통관사)가 지정한다.
수출통관확정에서 ① 수출통관번호 생성은 “수출통관처리표(팝업창)”에서 “수출통관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수출통관번호가 생성된다. ② 수출통관 취소는 “수출통관처리표(팝업창)”에서 “수출통관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수출통관번호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수출통관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도 52 내지 도 55는 수입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2는 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통관사에게 수입통관업무를 요청하는 《수입통관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3은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4는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관세 대납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55는 《수입통관목록》에서 통관사가 수입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수입통관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2 내지 도 55를 참조하면, 수입통관요청서의 Invoice 정보에서 B/L정보 인용표시의 ① 인용기준은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등록된 “B/L정보”가 자동인용된다. ② Invoice 당사자는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등록된 “Invoice당사자”가 자동인용된다.
수입면장 당사자의 ① Buyer(수입자)는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등록된 Buyer(수입자)가 자동표시된다. ② 수입화주(관세납세자)는 ⓐ Buyer(수입자)와 같은 경우 :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등록된 수입화주가 자동표시된다. ⓑ 수입위탁자(1곳)와 같은 경우 :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등록된 수입화주가 자동표시된다. ⓒ 수입위탁자(2곳이상)별로 B/L분할되는 경우 : “수입통관요청서(팝업창)”→ “1.B/L정보”→ “B/L No.분할(팝업창)”에서 지정된 "수입위탁자"가 자동표시된다.
물류정보의 ① 자동표시기준은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의 등록정보로부터 자동표시된다. ② 자동표시 대상항목은 L/C No. 결제방법, B/L품명, 위험물코드, 선적항, 인도조건, 거래단위, 도착항, 목적지
통관요청사항에서 통관장소의 ① 장치장코드는 통관요청자는 하불처(통관사)가 통관업무를 처리할 “통관장소”를 장치장코드()에서 지정한다. ② 반입일자는 통관요청자(또는 통관사)는 수입화물이 통관장소에 입고된 날짜를 입력한다. ③ 관할세관은 “장치장코드”가 지정되면 통관장소를 관할하는 통관지세관(관할세관)이 자동표시된다.
수입면장의 ① 수입통관번호는 통관사가 《수입통관목록》의 “수입통관표(팝업창)”에서 “수입통관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수입통관번호”가 표시된다. ② 수입면장번호는 하불처(통관사)는 통관지세관에 수입신고된 “수입면장번호 및 수입면허일”를 입력한다.
거래형태의 ① 일반수입은 Shipper(수출자)와 Buyer(수입자) 상호간의 무역계약에서 “일반수입형태”의 무역거래형태이다. ② 특수형태는 통관요청자(수입화주 등)는 “특수거래()”에서 “일반수입형태”를 제외한 특수거래형태를 지정한다.
통관계획의 ① 수입신고방법의 경우 ⓐ 수입통관계획 : 하불처(통관사)는 세관에 수입신고방법을 4종류(장치후신고, 입항전신고, 반입전신고, 출항전신고)에서 지정한다. ⓑ 장치후신고 : 세관이 관할하는 보세구역(CY, CFS 등)에 수입화물이 입고완료된 후에 수입신고하는 경우이다. ⓒ 입항전신고 : 선박(또는 항공기)이 도착항에 입항하기 전에 관할세관에 수입신고하는 경우이며, 선박회사가 하선장소를 지정하기 전까지는 “입항전신고”가 가능하다. ⓓ 반입전신고 : 선박회사에 의하여 하선장소가 지정된 후 선박(또는 항공기)에서 양하된 수입화물이 하선장소에 입고되기 전에 관할세관에 수입신고하는 경우이다. ⓔ 출항전신고 : 항공화물과 같이 항해일수가 짧은 경우에 있어서, 수입화물이 적재된 선박(또는 항공기)이 선적항에서 출항하기 전에 관할세관에 수입신고하는 경우이다. ② 적출국은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등록된 “Commercial Invoice(팝업창)”→ Carrying Location(상차지)의 “국가코드”가 표시된다.
통관요청확정의 ① 통관요청번호 생성은 “수입통관요청서(팝업창)”에서 “통관요청확정(버튼)”을 클릭하면 통관요청번호 및 통관요청일자가 생성된다. ② 통관요청 취소는 “수입통관요청서(팝업창)”에서 “통관요청취소(버튼)”을 클릭하면 통관요청번호 및 통관요청일자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수입통관요청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하불처의 수입통관처리표 (팝업창)에서 하불처의 입력사항의 ① 통관장소는 통관장소는 통관요청자(수입화주 또는 통관사)가 지정한다. ② 반입일자는 반입일자는 통관사가 입력한다. ② 수입면장번호 및 수입면허일은 수입면장번호 및 수입면허일은 통관사가 입력한다. ③ 거래형태는 거래형태는 통관요청자(수입화주 등) 또는 통관사가 지정한다. ④ 통관계획은 통관계획의 “수입신고방법”은 통관요청자(수입화주 등)와 협의하여 통관사가 지정한다.
수입통관확정의 ① 수입통관번호 생성은 “수입통관처리표(팝업창)”에서 “수입통관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수입통관번호가 생성된다. ② 수입통관 취소는 “수입통관처리표(팝업창)”에서 “수입통관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수입통관번호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수입통관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도 56 내지 도 59는 컨테이너(FCL)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6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컨테이너운송사에게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요청하는 《FCL운송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7은 《FCL운송요청목록》에서 FCL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8은 《FCL운송요청목록》의 FCL운송요청서에서 운송FCL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59는 《FCL운송목록》에서 운송사가 FCL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FCL운송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6 내지 도 59를 참조하면, 운송요청서 (수입FCL)의 운송요청 관련정보에서 출고요청정보 자동인용의 ① 인용기준은 발주처가 출고요청업무와 운송요청업무를 일괄하청하지 못하고 출고업무의 하불처와 운송업무의 하불처를 구분하여 위탁(하청)한 경우, 수입업무에서 “출고요청서(팝업창)”는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출고업무의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한 “출고요청정보”가 자사의 “운송요청정보”로 자동인용된다. ② 인용절차는 “운송요청서(팝업창)”의 “1.B/L정보”에서 “B/L No."가 지정되면 출고업무의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한 “출고요청서(팝업창)”→ “출고요청FCL지정(팝업창)”의 출고요청정보가 자사의 “운송요청서(팝업창)”→ “운송요청FCL지정(팝업창)”의 운송요청정보로 자동표시된다. ③ 자동표시사항은 ⓐ 출고요청정보 : 출고업무의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한 “출고요청정보”가 자사의 “운송요청정보”로 인용되면 “5.운송요청사항”에서 4개항목(출고요청번호, 출고요청일, 출고요청사유, 출고컨테이너수량)이 자동표시된다. ⓑ 컨테이너정보 : 8개항목(배차순번, 컨테이너번호, 컨테이너규격, 큰포장갯수, 소포장갯수, 총중량, 용적, 상차지정보)의 컨테이너정보도 자동표시된다. ④ 출고요청정보가 없는 경우 《출고요청목록》→ “출고요청서(팝업창)”→ “출고요청FCL지정(팝업창)”에서 출고컨테이너의 지정절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운송컨테이너를 지정한다.
출고요청정보의 ① 상차지 입고번호는 “1.B/L정보”에서 "B/L No."가 입력되면 현재 컨테이너가 보관된 장치장(상차지)의 입고번호 및 입고일자가 자동표시된다. ② 출고요청번호는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출고요청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출고요청번호 및 출고요청일자가 생성된다. ③ 출고번호는 하불처(CY)가 “출고상차표(팝업창)”에서 “출고작업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출고번호 및 출고일자가 생성된다. ④ 출고요청사유는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지정된 출고요청사유(A.하선반입/B.보세운송/C.세관검사/D.콘솔화물/E.저온보관/F.FCL적출/G.보수작업/H.환적화물/Y.화주인도/Z.기타이고) 중에서 표시된다. ⑤ 출고요청 컨테이너수량은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지정된 출고컨테이너 수량이 표시된다.
운송정보에서 ① 운송요청번호는 운송요청사가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일괄운송요청(버튼)”을 클릭하면 운송요청번호 및 운송요청일자가 표시된다. ② 배차번호는 배차운송사가 《FCL운송목록》→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운송배차마감(버튼)”을 클릭하면 배차번호 및 배차일자가 생성된다.
운송요청 FCL지정 (팝업창)의 컨테이너 정보에서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의 등록정보로부터 5개항목(컨’순번, 컨테이너규격, 컨테이너번호, B.P'kgs, S.P'kgs)이 표시된다. FCL지정 절차의 ① 운송컨테이너 지정은 “2.운송컨테이너지정”에서 운송요청대상의 “컨테이너”를 선택(□체크)한 후 “운송컨테이너지정(버튼)”을 클릭하면 “3.운송컨테이너 지정결과”에 표시된다. ② 운송컨테이너 확정은 “3.운송컨테이너 지정결과”에서 “운송컨테이너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운송요청서(팝업창)”의 “5.운송요청사항”에 표시된다. ③ 운송컨테이너 수정은 “3.운송컨테이너 지정결과”에서 운송대상으로 지정된 컨테이너를 “취소(X)"버튼으로 수정한다.
분할운송의 ① 전량운송은“2.운송컨테이너지정”에서 “전량선택(□체크)”한 후 “운송컨테이너지정(버튼)”을 클릭하면 “3.운송요청 FCL지정결과(하단테이블)”에 표시된다. ② 분할운송 구분은 ⓐ 하불처별 분할운송 : 운송요청대상의 하불처가 2곳이상인 경우 운송요청번호가 하불처별로 생성된다. ⓑ 컨테이너별 분할운송 : 컨테이너수량을 2회이상으로 분할하여 운송하는 경우 운송요청번호가 “분할회수”별로 생성된다.③ 운송요청 방법은 ⓐ 컨테이너 분할지정 : “2.운송컨테이너지정”의 전량중에서 일부를 운송(분할운송)하는 경우, 당해 하불처에게 운송요청할 컨테이너를 선택(□체크)하고 “운송FCL지정(버튼)”을 클릭하면 “3.운송요청 FCL지정결과(하단테이블)”에 표시된다. ⓑ 단일의 하불처 : 운송잔량분에 대하여 《운송요청목록》→ "신규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당초의 하불처를 지정한 후 "운송잔량" 중에서 "운송요청수량"을 지정한다. ⓒ 복수의 하불처 : 운송잔량분에 대하여 당초의 하불처가 아닌 제3자에게 운송요청하는 경우 《운송요청목록》→ "신규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제3자를 하불처로 지정한 후 "운송잔량" 중에서 "운송요청수량"을 지정한다.
컨테이너별 운송요청내역 (팝업창)에서 컨테이너별 운송정보의 ① 출고요청사유는 ⓐ 출고사유 발생 : 컨테이너 보관장소에서 출고사유가 발생되는 경우 출고사유에 따라 “운송요청자”가 운송여부를 결정하고 하불처에게 운송요청한다. ⓑ 출고사유 종류 : A.하선반입/B.보세운송/C.세관검사/D.콘솔화물/E.저온보관/F.FCL적출/G.보수작업/H.환적화물/Y.화주인도/Z.기타이고 ② 배차정보는 《FCL운송목록》→ “운송배차표(팝업창)”→ “컨’순번(배차순번)”클릭 → “FCL별 운송배차내역(팝업창)”의 “4.배차정보”에서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의 입력정보가 자동표시된다.
상차지정보에서 ① 상차지주소 확인은 “운송요청서(팝업창)”의 “5.운송요청사항”에서 지정된 “상차지정보”가 표시되며, 배차운송사는 상차지주소의 정확성을 확인한다. ② 상차위치는 화물차운송을 담당하는 배차운송사는 상차지의 출고담당자로부터 상차위치를 전달받아 입력한다. ③ 상차예정일은 배차운송사는 출고요청업체 및 출고담당CY의 업무처리준비를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상차예정일”을 입력한다. ④ 상차일시는 배차운송사(또는 출고담당CY)는 컨테이너가 출고되면 출고요청업체가 컨테이너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출고즉시 “상차일시”를 입력한다.
하차지정보에서 ① 하차지주소 확인은 배차운송사는 컨테이너별로 하차지를 지정하고 하차지주소의 정확성을 확인한다. ② 하차위치는 하차지의 입고담당자로부터 하차위치를 전달받아 입력한다. ③ 하차예정일은 배차운송사는 화물수취인의 업무처리준비를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하차예정일”을 입력한다. ④ 하차일시는 배차운송사(또는 화물수취인)는 컨테이너가 하차지에 도착되면 출고요청업체가 화물도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착즉시 “하차일시”를 입력한다.
운송진행정보에서 컨테이너수량 증감내역의 ① 요청수량은 “운송요청서(팝업창)”→ “5.운송요청사항”의 “컨’수량”이 표시된다. ② 배차잔량은 “운송요청수량”에서 배차정보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이 입력된 “배차수량”을 뺀 잔량이 표시된다. ③ 상차잔량은 “운송요청수량”에서 “상차일시”가 입력된 상차수량을 뺀 잔량이 표시된다. ④ 하차잔량은 “운송요청수량”에서 “도착일시”가 입력된 하차수량을 뺀 잔량이 표시된다.
배차요청서 전송에서 ① 하불처가 회원사인 경우 “배차요청서전송(클릭)”의 “배차요청서(팝업창)”에서 “메세지전송(버튼)”을 클릭하여 하불처에게 전송한다. ②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배차요청서전송(클릭)”의 “배차요청서(팝업창)”에서 “Fax전송(버튼)”을 클릭하여 하불처에게 전송한다.
운송요청 절차에서 ① 컨테이너별 운송요청은 운송요청서(팝업창)→ “배차요청내역(배차순번 클릭)”에서 “운송요청(버튼)”을 클릭하면 당해 컨테이너가 “운송요청”된다. ② 일괄운송요청은 “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일괄운송요청(버튼)”을 클릭하면 운송요청한 컨테이너 모두 “운송요청”된다.
운송요청 취소에서 ① 전량취소는 《운송요청목록》→ “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운송요청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운송요청번호 및 운송요청일자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운송요청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② 일부취소는 “운송요청서(팝업창)”→ “5.운송요청사항”에서 “배차순번”을 클릭하여 “배차요청내역(팝업창)”에서 “운송요청취소(버튼)”을 클릭하면 “배차순번”의 1개 컨테이너가 “운송요청취소”된다.
하불처의 운송배차표 (팝업창)의 운송배차 완료에서 ① 운송요청화물 배차확인은 “배차운송사”는 “운송배차표(팝업창)”의 배차정보가 발주처(운송요청자)의 “운송요청사항”의 요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② 운송배차 마감은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운송배차를 완료한 후 “운송배차마감(버튼)”을 클릭하면 “배차번호”와 “배차일자”가 표시되면서 운송요청자의 《운송요청목록》에도 배차번호가 표시된다.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의 ① 상차작업 완료는 배차운송사는 “상차지(출고CY)"에서 컨테이너 상차작업을 완료한 후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상차일시”를 입력하여야 한다. ② 하차작업 완료는 배차운송사는 “하차지(입고CY)"에서 컨테이너 하차작업을 완료한 후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도착일시”를 입력하여야 한다. ③ 세금계산서 발행제한은 “운송배차표(팝업창)”의 2개항목(상차일시, 하차일시)중에서 어느 한개의 항목이라도 입력이 누락되면 “배차운송사”의 《FCL운송목록》→ “매출전표(팝업창)”에서 “운송료”의 거래명세서가 작성되지 않으며 세금계산서도 발행되지 않는다. ④ 입력누락 예방은 상차일시 또는 하차일시의 입력이 누락되면 운송업무처리가 미결로 남게 되어 수출입화주의 하청단계에서 “다중거래처”간에 거래가 종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차운송사”는 상차일시와 하차일시의 입력이 누락되지 않도록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진행결과에서 ① 진행결과 구분은 4종류(운송요청, 배차완료, 상차완료, 도착완료)의 배차결과가 자동표시된다. ② 운송요청(노랑색)은 “운송배차표(팝업창)”의 “차량별 운송배차내역(팝업창)”에서 배차운송사에 의하여 배차정보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운송요청”으로 표시된다. ③ 배차완료(분홍색)는 “운송배차표(팝업창)”의 “차량별 운송배차내역(팝업창)”에서 배차운송사에 의하여 배차정보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이 입력되면 “배차완료”로 표시된다. ④ 상차완료(초록색)는 “운송배차표(팝업창)”의 “차량별 운송배차내역(팝업창)”에서 배차운송사에 의하여 “상차일시”가 입력되면 “상차완료”로 표시된다. ⑤ 도착완료(파랑색)은 “운송배차표(팝업창)”의 “차량별 운송배차내역(팝업창)”에서 배차운송사에 의하여 “도착일시”가 입력되면 “도착완료”로 표시된다.
SMS송수신의 수입화물의 SMS전송에서 ① SMS전송시기는 배차결과가 “배차완료”로 표시된 이후에만 배차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② 버튼색상은 ⓐ 회 색 : “배차완료”되기 전의 상태(준비중) ⓑ 주황색 : 배차결과에서 “배차완료”로 표시되었지만 아직 SMS전송을 하지 않은 상태 ⓒ 파랑색 : SMS전송이 완료된 상태 ③ 하차지에게 보낼 SMS전송내용은 ⓐ 배차정보 4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휴대폰, 수입화주, 도착예정일)이 자동전송된다. ⓑ 문자예시: 제8888호(☎010-555-3333) 대한상사, 08/08 09시 도착예정 ④ 운전사에게 보낼 SMS전송내용은 ⓐ 도착지정보 4개항목(화물수취인, 하차소재지, 실무자휴대폰, 도착예정일)이 자동전송된다. ⓑ 문자예시 : 대한상사(경기성남야탑) ☎010-5555-3333, 08/08 09시 도착바람 ⑤ SMS일괄전송은 SMS전송을 컨테이너별로 전송하지 않고 한번에 일괄전송하려면 “SMS일괄전송(팝업창)”에서 처리한다.
하불처SMS의 수신처에서
① 하불처SMS의 수신처가 자사인 경우는 ⓐ 하불처가 SMS전송을 하면 하불처의 배차정보가 자사담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 하불처로부터 받은 “SMS전송내용”을 다시 발주처로 전송하려면 “SMS(팝업창)"을 클릭하여 재전송한다. ② 하불처SMS의 수신처가 발주처인 경우는 ⓐ 하불처가 SMS전송을 하면 하불처의 배차정보가 발주처실무자의 휴대폰으로 직접 전송된다. ⓑ 하불처로부터 “SMS전송내용”을 받지 않으므로 발주처에게 다시 SMS전송할 필요는 없다.
운송장 (수입FCL)에서 운전사의 의무사항의 ① 운송장 출력요청은 배차담당자는 운송장을 출력하여 운전사에게 인계한다. ② 운송장 상시휴대는 운전사는 배차담당자로부터 받은 운송장을 상시 휴대한다.
담당자서명에서 ① 상차지 출고담당자는 운전사는 상차지의 출고담당자로부터 “출고서명”을 받는다. ② 하차지 입고담당자는 운전사는 하차지의 입고담당자로부터 “입고서명”을 받는다.
도 60 내지 도 64는 트럭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0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트럭운송사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운송업무를 요청하는 트럭운송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1은 《트럭운송요청목록》에서 트럭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2는 《트럭운송목록》에서 트럭운송배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63은 《트럭운송목록》의 운송배차표에서 차량별화물적재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4는 《트럭운송목록》에서 트럭운송사가 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트럭운송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0 내지 도 64를 참조하면, 운송요청서 (수입Truck)의 Buyer(수입자) 정보에서 수입자 지정의 ① 지정절차는 운송요청자(Buyer 또는 물류업체)는 “업체조회()”에서 운송요청대상의 “Buyer(수입자)”를 선택(지정)한다. ② 운송요청 방법은 동일한 Buyer(수입자) 명의로 보관된 2건이상의 B/L에 대하여 1건의 운송요청으로 일괄운송할 수 있다.
운송요청 기준에서 ③ 화물수취인별 운송요청은 FCL화물의 운송방법은 B/L단위로 운송요청하지만, CFS화물의 운송방법은 B/L No.기준으로 운송요청하지 않고 “화물수취인”별로 운송요청한다. ② 차량적재 기준은 FCL화물은 컨테이너 단위로 차량이 배차되므로 B/L단위로 운송요청할 수 있지만 LCL화물은 차량단위로 운송요청을 하므로 1대의 차량에 2건이상의 B/L이 적재되며 2곳이상의 "하차소재지"가 지정될 수 있다..
운송요청 관련정보의 출고요청정보 자동인용에서 ① 인용기준은 발주처가 출고요청업무와 운송요청업무를 일괄하청하지 못하고 출고업무의 하불처와 운송업무의 하불처를 구분하여 위탁(하청)한 경우, 수입업무에서 “출고요청서(팝업창)”는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출고업무의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한 “출고요청정보”가 자사의 “운송요청정보”로 자동인용된다. ② 인용절차는 “운송요청서(팝업창)”→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의 “1.B/L정보”에서 “B/L No."가 지정되면 출고업무의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한 “출고요청서(팝업창)”→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의 출고요청정보가 자사의 “운송요청서(팝업창)”→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의 운송요청정보로 자동표시된다. ③ 자동표시사항은 ⓐ 출고요청정보 : 출고업무의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한 “출고요청정보”가 자사의 “운송요청정보”로 인용되면 “4.운송요청사항”에서 3개항목(출고요청번호, 출고요청일, 상차지정보)이 자동표시된다. ⓑ 화물제원 : 8개항목(배차순번, 큰포장갯수, 소포장갯수, 총중량, 용적)의 화물정보도 자동표시된다. ④ 출고요청정보가 없는 경우 《출고요청목록》→ “출고요청서(팝업창)”→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에서 출고컨테이너의 지정절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운송컨테이너를 지정한다.
출고요청정보에서 ① 상차지정보는 “출고요청서(팝업창)”→ “4.출고요청사항”의 “상차지정보”가 표시된다. ② 출고요청번호는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출고요청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출고요청번호 및 출고요청일자가 생성된다. ③ 출고번호는 하불처(CY)가 “출고상차표(팝업창)”에서 “출고작업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출고번호 및 출고일자가 생성된다.
운송정보에서 ① 운송요청번호은 운송요청사가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일괄운송요청(버튼)”을 클릭하면 운송요청번호 및 운송요청일자가 생성된다. ② 배차번호는 배차운송사가 《트럭운송목록》→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운송배차마감(버튼)”을 클릭하면 배차번호 및 배차일자가 생성된다.
운송요청정보 조회에서 ①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은 “화물수취인(팝업창)”을 클릭하면 “적재량현황(팝업창)”이 열리며,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을 확인할 수 있다. ② B/L별 포장번호 내역은 ⓐ 큰포장번호 내역 : 화물수취인의 검색범위 내에서 B/L No.의 “☞”를 클릭하면 B/L별로 “큰포장번호”가 펼쳐지며, B/L이 1건이면 “☞”가 생략된다. ⓑ 소포장번호 내역 : “큰포장번호”의 “☞”를 클릭하면 당해 큰포장번호의 범위내에서 “소포장번호”가 펼쳐진다. ③ B/L별 운송정보는 ⓐ LCL화물 : LCL화물인 경우 “B/L No.(팝업창)”을 클릭하면 “B/L별 운송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 BULK화물 : BULK화물인 경우 “B/L No.(팝업창)”을 클릭하면 “품목별 운송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의 화물수취인 지정에서 ① 화물수취인은 지정된 “Buyer(수입자)”의 수입상품을 수취하는 “화물수취인”은 당해 수입대행관계의 수입위탁자(수입화주)를 비롯하여 “Buyer(수입자)”로부터 수입상품을 구매하는 매수인도 포함된다. ② 지정절차는 “Buyer(수입자)”는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의 “업체조회()”에서 화물수취인을 지정한다. ③ 적재량설정 기준은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에서 운송요청량을 설정하는 기준은 “화물수취인”별로 지정한다.
하차소재지 지정에서 ① 화물하차지는 Buyer(수입자)의 사업장주소와 별도로 Buyer(수입자)가 수출입상품을 배송할 화물도착지(하차소재지)를 지정한다. ② 적재량설정 기준은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에서 운송요청량을 설정하는 기준은 지정된 화물수취인에 대하여 “화물하차지”가 2곳이상인 경우 “하차소재지”별로 지정한다.
적재대상 B/L지정에서 ① 지정절차는 “B/L No.지정(팝업창)”을 클릭하여 “재고잔량”이 표시된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업무요청대상의 “B/L No.”를 선택한다. ② B/L정보 자동표시는 “B/L No.”를 지정하면 《수입B/L목록》의 “B/L정보(팝업창)”에서 입력한 “B/L정보”가 자동표시된다. ③ B/L정보 신규입력은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운송요청대상의 “B/L No.”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수입B/L목록》의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신규입력한다.
분할운송에서 ① 전량운송은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의 “3.Invoice별 재고잔량”에서 전체선택(□체크)하고 “4.적재량설정”에서도 전체선택(□체크)한 후 “적재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정된 B/L이 “전량출고대상”으로 확정되어 “운송요청서(팝업창)”의 “4.운송요청사항”에 표시된다. ② 분할운송 구분은 ⓐ 하불처별 분할운송 : 운송요청대상의 하불처가 2곳이상인 경우 운송요청번호가 하불처별로 생성된다. ⓑ Invoice수량 분할운송 : "Invoice수량"을 2회이상으로 분할하여 운송하는 경우 운송요청번호가 “분할회수”별로 생성된다. ③ 운송요청 방법은 ⓐ Invoice수량 분할지정 :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의 “3.Invoice별 재고잔량”에서 Invoice별로 분할하거나 지정된 Invoice에 대하여 “Invoice수량”을 분할하여 운송(분할운송)하는 경우, “4.적재량설정”에서 분할운송대상을 선택(□체크)한 후 “적재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분할출고대상”으로 확정되어 “운송요청서(팝업창)”의 “4.출고요청사항”에 표시된다. ⓑ 단일의 하불처 : 운송잔량분에 대하여 《운송요청목록》→ "신규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당초의 하불처를 지정한 후 "운송잔량" 중에서 "운송요청수량"을 지정한다. ⓒ 복수의 하불처 : 운송잔량분에 대하여 당초의 하불처가 아닌 제3자에게 운송요청하는 경우 《운송요청목록》→ "신규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제3자를 하불처로 지정한 후 "운송잔량" 중에서 "운송요청수량"을 지정한다.
적재량설정 기준은 ① 포장기준은 《상업송장목록》→ "Invoice작성(팝업창)"의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설정된 “포장기준”에 의하여 자동표시된다. ② Invoice 지정은 “3.Invoice별 재고잔량”에서 운송요청대상의 Invoice를 선택하고 “Invoice지정(버튼)”을 클릭하면 재고잔량이 존재하는 포장단위가 “4.적재량설정”에 표시된다.
포장기준별 적재량설정에서 ① 포장번호 기준은 큰포장번호 및 소포장번호가 표시된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있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4.적재량설정”에서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를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5.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② 포장갯수 기준은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가 없는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4.적재량설정”에서 큰포장갯수와 소포장갯수를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5.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③ 벌크품목 기준은 큰포장과 소포장의 포장단위가 없는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단위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4.적재량설정”에서 “품목코드”별로 적재량을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5.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④ 적재량 확정은 “5.적재량설정결과”에서 “적재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적재설정량이 확정되어 “4.운송요청사항”에 화물수취인 및 “B/L No.”가 추가되어 나열된다.
적재량 수정에서 ① 수정절차는 운송요청서(팝업창)→ "4.운송요청사항"의 "B/L No.(팝업창)"을 클릭하여 "CFS적재설정량수정(팝업창)"에서 "적재량"을 수정한다. ② 포장기준별 수정은 ⓐ 포장번호 기준 : 적재대상으로 설정되었된 큰포장번호(또는 소포장번호)의 지정을 취소(□체크해제)하고 “적재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정취소된 포장번호가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 “3.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 포장갯수 기준 : 적재대상으로 설정되었던 큰포장갯수(또는 소포장갯수)를 수정하고 “적재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차감되는 포장갯수가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 “3.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 벌크품목 기준 : 적재대상으로 설정되었던 품목코드별 적재량을 수정하고 “적재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차감되는 적재량이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 “3.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③ 적재품 이적은 포장번호기준으로 배정된 경우, 다른 컨테이너로 이적하고자 하는 포장번호(큰포장번호 또는 소포장번호)를 선택(□체크)한 후 “적재품이적(버튼)”을 클릭하면 “적재품이적(팝업창)”이 열리며, 이적하고자 하는 “배차순번”을 선택하고 “이적확인(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차량(배차순번)으로 적재설정량이 이적된다. ④ 적재량설정 취소는 "CFS적재설정량수정(팝업창)"에서 “적재량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설정된 적재전량이 “화물수취인별 적재량설정(팝업창)→ “3.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운송요청 일괄취소는 “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운송요청 일괄취소(버튼)”을 클릭하면 “4.운송요청사항”에 표시된 모든 화물수취인 및 운송요청번호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운송요청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하불처의 운송배차표 (팝업창)의 차량별 화물적재표 (팝업창)에서 ① 포장기준은 《상업송장목록》→ "Invoice작성(팝업창)"의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설정된 “포장기준”에 의하여 자동표시된다. ② 적재설정량은 《적재요청목록》→ “적재요청서(팝업창)”에서 설정된 “적재설정량”이 B/L별로 표시된다. ③ 적재대상 B/L지정은 “1.적재설정량”에서 “B/L No.”을 선택(□체크)하고 “B/L지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정된 “B/L No.”에 해당되는 Invoice의 “적재설정량”이 “2.적재량설정(테이블)”에 표시된다.
포장기준별 적재량설정에서 ① Invoice 지정은 “1.적재설정량”에서 지정된 “B/L No.”의 Invoice가 2건이상인 경우, 운송요청대상의 Invoice를 선택하고 “설정단위”를 지정하면 Invoice에 해당되는 “적재설정량”이 “2.적재량설정(테이블)”에 표시된다. ② 포장번호 기준은 큰포장번호 및 소포장번호가 표시된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있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2.적재량설정”에서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를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3.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③ 포장갯수 기준은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가 없는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2.적재량설정”에서 큰포장갯수와 소포장갯수를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3.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④ 벌크품목 기준은 큰포장과 소포장의 포장단위가 없는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단위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2.적재량설정”에서 “품목코드”별로 적재량을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3.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⑤ 적재량 확정은 “3.적재량설정결과”에서 “적재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적재설정량이 확정되어 “2.차량별 적재현황”에 차량번호 및 화물수취인이 추가되어 나열된다.
적재량 수정요청에서 ① 수정요청절차는 하불처(배차운송사)는 “운송요청량”을 적재차량에 상차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운송요청량”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운송요청자에게 《운송요청목록》→ “운송요청서(팝업창)”에서 운송요청량을 수정해 달라고 요청한다. ② 적재품 이적은 운송요청자가 “운송요청량”을 수정하면 적재차량에 상차작업이 진행중인 적재품의 이적작업을 처리한다.
상차작업 완료에서 ① 운송요청화물 적재확인은 “배차운송사”는 “출고상차표(팝업창)”의 “2.운송배차내역”의 차량별 적재량이 “1.운송요청사항”의 운송요청량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② 상차작업 마감은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적재차량에 상차작업을 완료한 후 “상차작업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상차일자”가 표시되면서 운송요청자의 “운송요청서(팝업창)”에도 “상차일자”가 표시된다.
차량별 운송배차내역 (팝업창)의 차량별 배차정보에서 《트럭운송목록》→ “운송배차표(팝업창)”→ “배차순번”클릭 → “차량별 운송배차내역(팝업창)”의 “2.배차정보”에서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의 입력정보가 자동표시된다.
상차지정보에서 ① 상차지주소 확인은 “운송요청서(팝업창)”의 “4.운송요청사항”에서 지정된 “상차지정보”가 표시되며, 배차운송사는 상차지주소의 정확성을 확인한다. ② 상차위치는 화물차운송을 담당하는 배차운송사는 상차지의 출고담당자로부터 상차위치를 전달받아 입력한다. ③ 상차예정일은 배차운송사는 출고요청업체 및 출고담당CFS의 업무처리준비를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상차예정일”을 입력한다. ④ 상차일시는 배차운송사(또는 출고담당CFS)는 CFS화물이 출고되면 출고요청업체가 화물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출고즉시 “상차일시”를 입력한다.
하차지정보에서 ① 하차지주소 확인은 배차운송사는 차량별로 하차지를 지정하고 하차지주소의 정확성을 확인한다. ② 하차위치는 하차지의 입고담당자로부터 하차위치를 전달받아 입력한다. ③ 하차예정일은 배차운송사는 화물수취인의 업무처리준비를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하차예정일”을 입력한다. ④ 하차일시는 배차운송사(또는 화물수취인)는 적재화물이 하차지에 도착되면 출고요청업체가 화물도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착즉시 “하차일시”를 입력한다.
운송배차 완료에서 ① 운송요청화물 배차확인은 “배차운송사”는 “운송배차표(팝업창)”의 배차정보가 발주처(운송요청자)의 “운송요청사항”의 요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② 운송배차 마감은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운송배차를 완료한 후 “운송배차마감(버튼)”을 클릭하면 “배차번호”와 “배차일자”가 표시되면서 운송요청자의 《운송요청목록》에도 배차번호가 표시된다.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에서 ① 상차작업 완료는 배차운송사는 “상차지(출고CFS)"에서 출고화물의 상차작업을 완료한 후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상차일시”를 입력하여야 한다. ② 하차작업 완료는 배차운송사는 “하차지(입고CFS)"에서 적재화물의 하차작업을 완료한 후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도착일시”를 입력하여야 한다. ③ 세금계산서 발행제한은 “운송배차표(팝업창)”의 2개항목(상차일시, 하차일시)중에서 어느 한개의 항목이라도 입력이 누락되면 “배차운송사”의 《트럭운송목록》→ “매출전표(팝업창)”에서 “운송료”의 거래명세서가 작성되지 않으며 세금계산서도 발행되지 않는다. ④ 입력누락 예방은 상차일시 또는 하차일시의 입력이 누락되면 운송업무처리가 미결로 남게 되어 수출입화주의 하청단계에서 “다중거래처”간에 거래가 종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차운송사”는 상차일시와 하차일시의 입력이 누락되지 않도록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진행결과에서 ① 진행결과 구분은 4종류(운송요청, 배차완료, 상차완료, 도착완료)의 배차결과가 자동표시된다. ② 운송요청(노랑색)은 “운송배차표(팝업창)”의 “차량배차정보(팝업창)”에서 배차운송사에 의하여 배차정보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운송요청”으로 표시된다. ③ 배차완료(분홍색)는 “운송배차표(팝업창)”의 “차량배차정보(팝업창)”에서 배차운송사에 의하여 배차정보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이 입력되면 “배차완료”로 표시된다. ④ 상차완료(초록색)는 “운송배차표(팝업창)”의 “차량배차정보(팝업창)”에서 배차운송사에 의하여 “상차일시”가 입력되면 “상차완료”로 표시된다. ⑤ 도착완료(파랑색)는 “운송배차표(팝업창)”의 “차량배차정보(팝업창)”에서 배차운송사에 의하여 “도착일시”가 입력되면 “도착완료”로 표시된다.
SMS송수신의 수입화물의 SMS전송에서 ① SMS전송시기는 배차결과가 “배차완료”로 표시된 이후에만 배차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② 버튼색상은 ⓐ 회 색 : “배차완료”되기 전의 상태(준비중) ⓑ 주황색 : 배차결과에서 “배차완료”로 표시되었지만 아직 SMS전송을 하지 않은 상태 ⓒ 파랑색 : SMS전송이 완료된 상태 ③ 하차지에게 보낼 SMS전송내용은 ⓐ 배차정보 4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휴대폰, 수입화주, 도착예정일)이 자동전송된다. ⓑ 문자예시: 제8888호(☎010-555-3333) 대한상사, 08/08 09시 도착예정 ④ 운전사에게 보낼 SMS전송내용은 ⓐ 도착지정보 4개항목(화물수취인, 하차소재지, 실무자휴대폰, 도착예정일)이 자동전송된다. ⓑ 문자예시 : 대한상사(경기성남야탑) ☎010-5555-3333, 08/08 09시 도착바람 ⑤ SMS일괄전송은 SMS전송을 컨테이너별로 전송하지 않고 한번에 일괄전송하려면 “SMS일괄전송(팝업창)”에서 처리한다.
하불처SMS의 수신처에서
① 하불처SMS의 수신처가 자사인 경우 ⓐ 하불처가 SMS전송을 하면 하불처의 배차정보가 자사담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 하불처로부터 받은 “SMS전송내용”을 다시 발주처로 전송하려면 “SMS(팝업창)"을 클릭하여 재전송한다. ② 하불처SMS의 수신처가 발주처인 경우 ⓐ 하불처가 SMS전송을 하면 하불처의 배차정보가 발주처실무자의 휴대폰으로 직접 전송된다. ⓑ 하불처로부터 “SMS전송내용”을 받지 않으므로 발주처에게 다시 SMS전송할 필요는 없다.
운송장 (수입CFS)의 운전사의 의무사항에서 ① 운송장 출력요청은 배차담당자는 운송장을 출력하여 운전사에게 인계한다. ② 운송장 상시휴대는 운전사는 배차담당자로부터 받은 운송장을 상시 휴대한다.
담당자서명에서 ① 상차지 출고담당자는 운전사는 상차지의 출고담당자로부터 “출고서명”을 받는다. ② 하차지 입고담당자는 운전사는 하차지의 입고담당자로부터 “입고서명”을 받는다.
도 65 내지 도 67은 하역(적하 또는 양하)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5는 선박회사가 하역회사에게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요청하는 《하역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6은 《하역요청목록》에서 수입화물의 양하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7은 《하역작업목록》에서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양하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5 내지 도 67을 참조하면, FCL양하요청서의 입항정보 관리에서 ① 선박정보 등록은 선박이 선적항에서 출항하는 즉시 선박회사는 《선박목록》→ “선박정보등록(팝업창)”에서 선박의 상세정보를 등록한다. ② B/L정보 입력은 : 선박이 선적항에서 출항하는 즉시 선박회사는 《수입FCL적하목록》의 “B/L정보일괄입력(팝업창)”에서 적하목록정보를 입력하여 Buyer(수입자)가 입항전에 화물배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선박스케쥴 등록은 선박회사는 하불처(하역회사)의 양하작업준비를 위하여 입항전에 《선박목록》→ “선명”클릭→ 선박스케쥴(팝업창)에서 입항정보 및 하역스케쥴을 등록한다.
양하대상화물에서 양하화물 지정(팝업창)의 ① 특수화물 양하계획은 : 선박회사는 “양하대상화물”을 지정하기 전에 Buyer(수입자)의 화물배정요청사항과 “B/L품명”을 확인하고 특수화물(위험물, 비규격 특수컨테이너 등)의 하선장소 지정 및 하역장비 준비 등 양하계획을 검토한다. ② 양하대상화물 지정절차는 “양하화물지정(팝업창)”의 “1.수입화물내역”에서 양하대상의 “B/L No."를 선택(□체크)하면 “2.양하대상화물 지정결과”에 표시된다. ③ 양하대상화물 확정은 “2.양하대상화물 지정결과”에서 “양하화물확정(버튼)”을 클릭하면 “FCL양하요청서(팝업창)”의 “7.수입화물 양하요청사항”에 표시된다.
수입FCL 양하요청에서 ① 하선장소지정 확인은 선박회사는 Buyer(수입자)의 화물배정요청에 따라 하선장소에서 입고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선장소 지정여부를 확인한다. ② 본선양하 요청은 “FCL양하요청서(팝업창)”에서 “본선양하요청(버튼)”을 클릭하면 “양하요청번호”가 생성된다. ③ 양하요청 취소는 “FCL양하요청서(팝업창)”에서 “양하요청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양하요청번호 및 양하요청일자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양하요청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거래처정보에서 발주처정보의 ① 복수의 발주처는 선박회사는 물류주체(수입자, 포워더, 용선선사/대리점 등)의 배정요청에 따라 수입화물을 하선장소에 입고하므로 다수의 물류주체가 발주처이다. ② 발주처 지정절차는 (공통매뉴얼)의 “업무요청서 발주처” 참조. 하불처정보는 공통매뉴얼(매뉴얼위치 : 수입B/L목록)의 “업무요청서 하불처” 참조
하불처의 양하작업표 (팝업창)에서 ① 하역회사 입력사항은 “양하순번”을 클릭하여 “컨테이너별 양하작업내역(팝업창)”에서 컨테이너별로 “양하작업일시”를 입력한다. ② 본선양하 완료는 하역회사가 《FCL하역목록》→ “FCL양하작업표(팝업창)”에서 “양하작업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양하작업번호”가 생성된다.
도 68 내지 도 72는 컨테이너(FCL)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8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컨테이너야드(CY)에게 컨테이너 출고업무를 요청하는 《FCL출고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9는 《FCL출고요청목록》에서 FCL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0은 《FCL출고요청목록》의 FCL출고요청서에서 출고컨테이너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또한, 도 71은 《FCL출고요청목록》의 FCL출고요청서에서 컨테이너별 출고요청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2는 《FCL출고목록》에서 컨테이너야드(CY)가 FCL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FCL출고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8 내지 도 72를 참조하면, 출고요청서 (수입FCL)의 출고요청 관련정보에서 출고정보의 ① 상차지 입고번호는 “1.B/L정보”에서 "B/L No."가 입력되면 현재 컨테이너가 보관된 장치장(상차지)의 입고번호 및 입고일자가 자동표시된다. ② 출고요청번호는 “출고요청서(팝업창)”→ “출고요청 FCL지정(팝업창)”에서 출고대상 컨테이너를 지정한 후 “출고요청 지정결과(테이블)”의 “출고요청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출고요청번호 및 출고요청일자가 생성된다. ③ 출고번호는 하불처(CY)가 모든 컨테이너에 대하여 “출고상차표(팝업창)”→ “컨’순번(배차순번)”클릭 → “컨테이너별 출고상차내역(팝업창)”의 “5.상차지정보”에서 “상차일시”를 입력하고 “저장/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출고번호 및 출고일자가 생성된다. ④ 상차지정보는 “1.B/L정보”에서 "B/L No."가 입력되면 현재 컨테이너가 보관된 장치장(상차지)이 자동표시된다.
기타정보에서 ① 수입면장번호는 : 《수입통관목록》→ “수입통관표(팝업창)”에서 “수입통관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수입통관번호”가 생성되면서 “수입면장번호”가 표시된다. ② D/O발행번호는 : 《D/O발행목록》→ “Delivery Order(팝업창)”에서 "D/O발행및전송(버튼)"을 클릭하면 D/O발행번호 및 발행일자가 생성된다. ③ 배차번호는 배차운송사가 《FCL운송목록》→ “운송배차표(팝업창)”→ “컨’순번(배차순번)”클릭 → “컨테이너별 운송배차내역(팝업창)”의 “4.배차정보”에서 모든 컨테이너에 대하여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을 입력하고 “배차확정(버튼)”을 클릭하면 배차번호 및 배차일자가 생성된다.
출고요청 FCL지정 (팝업창)의 컨테이너 정보에서 ① 표시기준은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의 등록정보로부터 5개항목(컨’순번, 컨테이너규격, 컨테이너번호, B.P'kgs, S.P'kgs)이 표시된다. ② 분할출고는 ⓐ 하불처별 분할출고 : 출고요청대상의 하불처가 2곳이상인 경우 출고요청번호가 하불처별로 생성된다. ⓑ 컨테이너별 분할출고 : 컨테이너수량을 2회이상으로 분할하여 출고하는 경우 출고요청번호가 “분할회수”별로 생성된다. ③ 진행결과는 “2.출고컨테이너지정”에 표시되는 진행결과는 “①출고요청 ②배차완료 ③상차완료 ④인도완료 ⑤준비중” 중에서 표시된다.
FCL지정 절차에서 ① 출고컨테이너 지정은 “2.출고컨테이너지정”에서 출고요청대상의 “컨테이너”를 선택(□체크)한 후 “출고컨테이너지정(버튼)”을 클릭하면 “3.출고컨테이너 지정결과”에 표시된다. ② 출고컨테이너 확정은 “3.출고컨테이너 지정결과”에서 “출고컨테이너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출고요청서(팝업창)”의 “5.출고요청사항”에 표시된다. ③ 출고컨테이너 수정은 “3.출고컨테이너 지정결과”에서 출고대상으로 지정된 컨테이너를 “취소(X)"버튼으로 수정한다.
분할출고에서 ① 전량출고는 “2.출고컨테이너지정”에서 “전량선택(□체크)”한 후 “출고컨테이너지정(버튼)”을 클릭하면 “3.출고요청 FCL지정결과(하단테이블)”에 표시된다. ② 분할출고 구분은 ⓐ 하불처별 분할출고 : 출고요청대상의 하불처가 2곳이상인 경우 출고요청번호가 하불처별로 생성된다. ⓑ 컨테이너별 분할출고 : 컨테이너수량을 2회이상으로 분할하여 출고하는 경우 출고요청번호가 “분할회수”별로 생성된다. ③ 출고요청 방법은 ⓐ 컨테이너 분할지정 : “2.출고컨테이너지정”의 전량중에서 일부를 출고(분할출고)하는 경우, 당해 하불처에게 출고요청할 컨테이너를 선택(□체크)하고 “출고컨테이너지정(버튼)”을 클릭하면 “3.출고요청 FCL지정결과(하단테이블)”에 표시된다. ⓑ 단일의 하불처 : 출고잔량분에 대하여 《출고요청목록》→ "신규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당초의 하불처를 지정한 후 "출고잔량" 중에서 "출고요청수량"을 지정한다. ⓒ 복수의 하불처 : 출고잔량분에 대하여 당초의 하불처가 아닌 제3자에게 출고요청하는 경우 《출고요청목록》→ "신규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제3자를 하불처로 지정한 후 "출고잔량" 중에서 "출고요청수량"을 지정한다.
출고요청 취소에서 ① 컨테이너별 취소는 “출고요청서(팝업창)”의 “5.출고요청사항”에서 “컨’순번”을 클릭하여 “컨테이너별 출고요청내역(팝업창)”에서 “출고요청취소(버튼)”을 클릭하면 당해 “컨’순번”의 컨테이너 1대가 취소된다. ② 출고요청 일괄취소는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출고요청 일괄취소(버튼)”을 클릭하면 “5.출고요청사항”에 표시된 모든 컨테이너와 함께 출고요청번호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출고요청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컨테이너별 출고요청내역 (팝업창)의 컨테이너별 출고정보에서 ① 출고요청사유는 ⓐ 출고사유 발생 : 컨테이너 보관장소에서 출고사유가 발생되는 경우 출고사유에 따라 “출고요청자”가 출고여부를 결정하고 하불처에게 출고요청(출고지시)한다. ⓑ 출고사유 종류 : A.하선반입/B.보세운송/C.세관검사/D.콘솔화물/E.저온보관/F.FCL적출/G.보수작업/H.환적화물/Y.화주인도/Z.기타이고 ② 배차정보는 《FCL운송목록》→ “운송배차표(팝업창)”→ “컨’순번(배차순번)”클릭 → “FCL별 운송배차내역(팝업창)”의 “4.배차정보”에서 3개항목(차량번호, 운전사, 운전사휴대폰)의 입력정보가 자동표시된다.
상차지정보에서 ① 상차지주소 확인은 “출고요청서(팝업창)”의 “5.출고요청사항”에서 지정된 “상차지정보”가 표시되며, 출고요청업체는 상차지주소의 정확성을 확인한다. ② 상차위치는 화물차운송을 담당하는 배차운송사는 상차지의 출고담당자로부터 상차위치를 전달받아 입력한다. ③ 상차예정일은 배차운송사는 출고요청업체 및 출고담당CY의 업무처리준비를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상차예정일”을 입력한다. ④ 상차일시는 배차운송사(또는 출고담당CY)는 컨테이너가 출고되면 출고요청업체가 컨테이너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출고즉시 “상차일시”를 입력한다.
하차지정보에서 ① 하차지주소 확인은 출고요청업체는 컨테이너별로 하차지를 지정하고 하차지주소의 정확성을 확인한다. ② 하차위치는 하차지의 입고담당자로부터 하차위치를 전달받아 입력한다. ③ 하차예정일은 출고요청업체는 배차운송사 및 화물수취인의 업무처리준비를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하차예정일”을 입력한다. ④ 하차일시는 배차운송사(또는 화물수취인)는 컨테이너가 하차지에 도착되면 출고요청업체가 화물도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착즉시 “하차일시”를 입력한다.
하불처의 출고상차표 (팝업창)의 상차지 입력사항에서 ① 상차지정보는 2개항목(상차위치, 상차일시)은 하불처(출고상차CY)의 입력사항이며, 나머지항목은 출고요청자의 입력사항이다.
출고작업 완료에서 ① 출고요청화물 적재확인은 “출고CY”는 “출고상차표(팝업창)”에서 출고대상의 컨테이너가 “3.출고요청사항”의 요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② 출고작업 마감은 “출고상차표(팝업창)”에서 컨테이너 출고작업을 완료한 후 “출고작업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출고번호”와 “출고일자”가 표시되면서 출고요청자의 《출고요청목록》에도 출고번호가 표시된다.
도 73 내지 도 78은 보세창고(CFS)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73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보세창고(CFS)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출고업무를 요청하는 《CFS출고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4는 《CFS출고요청목록》에서 CFS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5는 《CFS출고요청목록》의 CFS출고요청서에서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76은 《CFS출고목록》에서 출고상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7은 《CFS출고목록》의 CFS출고상차표에서 차량별 화물적재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8은 《CFS출고목록》에서 보세창고(CFS)가 CFS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CFS출고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3 내지 도 78을 참조하면, 출고요청서(수입CFS)에서 Buyer(수입자) 정보의 수입자 지정의 ① 지정절차는 출고요청자(Buyer 또는 물류업체)는 “업체조회()”에서 출고요청대상의 “Buyer(수입자)”를 선택(지정)한다. ② 출고요청 방법은 동일한 Buyer(수입자) 명의로 보관된 2건이상의 B/L에 대하여 1건의 출고요청으로 일괄출고할 수 있다.
출고요청 기준에서 ③ 화물수취인별 출고요청은 FCL화물의 출고방법은 B/L단위로 출고요청하지만, CFS화물의 출고방법은 B/L No.기준으로 출고요청하지 않고 “화물수취인”별로 출고요청한다. ② 차량적재 기준은 FCL화물은 컨테이너 단위로 차량이 배차되므로 B/L단위로 출고요청할 수 있지만 LCL화물은 차량단위로 출고요청을 하므로 1대의 차량에 2건이상의 B/L이 적재되며 2곳이상의 "하차소재지"가 지정될 수 있다.
출고요청사항의 기본사항에서 ① 출고요청번호는 : 발주처가 《출고요청목록》의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출고요청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출고요청번호 및 출고요청일자가 생성된다. ② 출고번호는 “출고상차표(팝업창)”에서 “출고작업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출고번호 및 출고일자가 생성된다. ③ 상차지정보는 《수입B/L목록》→ “B/L정보(팝업창)”의 “화물처리정보(팝업창)”에 표시된 “3.화물이동경로”에서 현재 수입화물이 입고된 장치장(상차지)이 자동표시된다. ④ 운송사 배차번호는 배차운송사가 《트럭운송목록》→ “운송배차표(팝업창)”에서 “운송배차마감(버튼)”을 클릭하면 배차번호 및 배차일자가 생성된다.
출고요청정보 조회에서 ① 화물수취인별 출고설정량은 “화물수취인(팝업창)”을 클릭하면 “출고설정량현황(팝업창)”이 열리며, 화물수취인에 대한 “출고설정량”을 확인할 수 있다. ② B/L별 포장번호 내역은 ⓐ 큰포장번호 내역 : 화물수취인의 검색범위 내에서 B/L No.의 “☞”를 클릭하면 B/L별로 “큰포장번호”가 펼쳐지며, B/L이 1건이면 “☞”가 생략된다. ⓑ 소포장번호 내역 : “큰포장번호”의 “☞”를 클릭하면 당해 큰포장번호의 범위내에서 “소포장번호”가 펼쳐진다. ③ B/L별 출고정보는 ⓐ LCL화물 : LCL화물인 경우 “B/L No.(팝업창)”을 클릭하면 “B/L별 출고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 BULK화물 : BULK화물인 경우 “B/L No.(팝업창)”을 클릭하면 “품목별 출고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적재정보 조회에서 ① 차량적재량 현황은 “배차순번”을 클릭하면 차량별로 “차량적재량현황(팝업창)”이 열린다. ② 운송배차표는 “차량번호”를 클릭하면 차량별로 “운송배차표(팝업창)”이 열린다. ③ 차량별 포장번호 내역은 ⓐ 큰포장번호 내역 : “배차순번”의 “☞”를 클릭하면 “화물수취인”이 펼쳐지고, 화물수취인의 “☞”를 클릭하면 “하차소재지”가 펼쳐지며, 하차소재지의 “☞”를 클릭하면 “큰포장번호”가 펼쳐진다. ⓑ 소포장번호 내역 : “큰포장번호”의 “☞”를 클릭하면 당해 큰포장번호의 범위내에서 “소포장번호”가 펼쳐진다.
상품제원정보 제공은 하불처에게 “품목갯수기준”으로 출고요청하는 경우 상품제원(품목코드, 품명, 모델, 규격, 타입)을 하불처에게 제공하면 품목코드별로 출고상차업무를 착오없이 처리할 수 있다.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의 화물수취인 지정에서 ① 화물수취인은 지정된 “Buyer(수입자)”의 수입상품을 수취하는 “화물수취인”은 당해 수입대행관계의 수입위탁자(수입화주)를 비롯하여 “Buyer(수입자)”로부터 수입상품을 구매하는 매수인도 포함된다. ② 지정절차는 “Buyer(수입자)”는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의 “업체조회()”에서 화물수취인을 지정한다. ③ 출고량설정 기준은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에서 출고요청량을 설정하는 기준은 “화물수취인”별로 지정한다.
하차소재지 지정에서 ① 화물하차지는 Buyer(수입자)의 사업장주소와 별도로 Buyer(수입자)가 수출입상품을 배송할 화물도착지(하차소재지)를 지정한다. ② 출고량설정 기준은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에서 출고요청량을 설정하는 기준은 지정된 화물수취인에 대하여 “화물하차지”가 2곳이상인 경우 “하차소재지”별로 지정한다.
출고대상 B/L지정에서 ① 지정절차는 “B/L No.지정(팝업창)”을 클릭하여 “재고잔량”이 표시된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업무요청대상의 “B/L No.”를 선택한다. ② B/L정보 자동표시는 “B/L No.”를 지정하면 《수입B/L목록》의 “B/L정보(팝업창)”에서 입력한 “B/L정보”가 자동표시된다. ③ B/L정보 신규입력은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출고요청대상의 “B/L No.”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수입B/L목록》의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신규입력한다.
분할출고에서 ① 전량출고는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의 “3.Invoice별 재고잔량”에서 전체선택(□체크)하고 “4.출고량설정”에서도 전체선택(□체크)한 후 “출고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정된 B/L이 “전량출고대상”으로 확정되어 “출고요청서(팝업창)”의 “4.출고요청사항”에 표시된다. ② 분할출고 구분은 ⓐ 하불처별 분할출고는 출고요청대상의 하불처가 2곳이상인 경우 출고요청번호가 하불처별로 생성된다. ⓑ Invoice수량 분할출고 : "Invoice수량"을 2회이상으로 분할하여 출고하는 경우 출고요청번호가 “분할회수”별로 생성된다. ③ 출고요청 방법은 ⓐ Invoice수량 분할지정 :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의 “3.Invoice별 재고잔량”에서 Invoice별로 분할하거나 지정된 Invoice에 대하여 “Invoice수량”을 분할하여 출고(분할출고)하는 경우, “4.출고량설정”에서 분할출고대상을 선택(□체크)한 후 “출고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분할출고대상”으로 확정되어 “출고요청서(팝업창)”의 “4.출고요청사항”에 표시된다. ⓑ 단일의 하불처 : 출고잔량분에 대하여 《출고요청목록》→ "신규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당초의 하불처를 지정한 후 "출고잔량" 중에서 "출고요청수량"을 지정한다. ⓒ 복수의 하불처 : 출고잔량분에 대하여 당초의 하불처가 아닌 제3자에게 출고요청하는 경우 《출고요청목록》→ "신규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제3자를 하불처로 지정한 후 "출고잔량" 중에서 "출고요청수량"을 지정한다.
출고량설정 기준에서 ① 포장기준은 《상업송장목록》→ "Invoice작성(팝업창)"의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설정된 “포장기준”에 의하여 자동표시된다. ② Invoice 지정은 “3.Invoice별 재고잔량”에서 출고요청대상의 Invoice를 선택하고 “Invoice지정(버튼)”을 클릭하면 재고잔량이 존재하는 포장단위가 “4.출고량설정”에 표시된다.
포장기준별 출고량설정에서 ① 포장번호 기준은 큰포장번호 및 소포장번호가 표시된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있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4.출고량설정”에서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를 입력하고 “출고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5.출고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② 포장갯수 기준은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가 없는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4.출고량설정”에서 큰포장갯수와 소포장갯수를 입력하고 “출고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5.출고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③ 벌크품목 기준은 큰포장과 소포장의 포장단위가 없는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단위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4.출고량설정”에서 “품목코드”별로 출고량을 입력하고 “출고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5.출고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④ 출고량 확정은 “5.출고량설정결과”에서 “출고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출고설정량이 확정되어 “4.출고요청사항”에 화물수취인 및 “B/L No.”가 추가되어 나열된다.
출고량 수정에서 ① 수정절차는 출고요청서(팝업창)→ "4.출고요청사항"의 "B/L No.(팝업창)"을 클릭하여 "CFS출고설정량수정(팝업창)"에서 "출고량"을 수정한다.. ② 포장기준별 수정은 ⓐ 포장번호 기준 : 출고대상으로 설정되었된 큰포장번호(또는 소포장번호)의 지정을 취소(□체크해제)하고 “출고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정취소된 포장번호가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 “3.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 포장갯수 기준 : 출고대상으로 설정되었던 큰포장갯수(또는 소포장갯수)를 수정하고 “출고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차감되는 포장갯수가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 “3.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 벌크품목 기준 : 출고대상으로 설정되었던 품목코드별 설정량을 수정하고 “출고량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차감되는 설정량이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 “3.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③ 적재품 이적은 포장번호기준으로 배정된 경우, 다른 컨테이너로 이적하고자 하는 포장번호(큰포장번호 또는 소포장번호)를 선택(□체크)한 후 “적재품이적(버튼)”을 클릭하면 “적재품이적(팝업창)”이 열리며, 이적하고자 하는 “배차순번”을 선택하고 “이적확인(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차량(배차순번)으로 출고설정량이 이적된다. ④ 출고량설정 취소는 "CFS출고설정량수정(팝업창)"에서 “설정량취소(버튼)”을 클릭하면 출고설정된 전량이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팝업창)→ “3.Invoice별 재고잔량”으로 복원된다.
출고요청 일괄취소는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출고요청 일괄취소(버튼)”을 클릭하면 “4.출고요청사항”에 표시된 모든 화물수취인 및 출고요청번호가 삭제되면서 현재까지 입력되어 저장된 Data(출고요청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하불처의 출고상차표 (팝업창)의 차량별 화물적재표 (팝업창)에서 ① 포장기준은 《상업송장목록》→ "Invoice작성(팝업창)"의 "포장명세표(팝업창)"에서 설정된 “포장기준”에 의하여 자동표시된다. ② 출고설정량은 《출고요청목록》→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설정된 “출고설정량”이 B/L별로 표시된다. ③ 적재대상 B/L지정은 “1.출고설정량”에서 “B/L No.”을 선택(□체크)하고 “B/L지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정된 “B/L No.”에 해당되는 Invoice의 “출고설정량”이 “2.적재량설정(테이블)”에 표시된다.
포장기준별 적재량설정에서 ① Invoice 지정은 “1.출고설정량”에서 지정된 “B/L No.”의 Invoice가 2건이상인 경우, 출고요청대상의 Invoice를 선택하고 “설정단위”를 지정하면 Invoice에 해당되는 “출고설정량”이 “2.적재량설정(테이블)”에 표시된다. ② 포장번호 기준은 큰포장번호 및 소포장번호가 표시된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있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2.적재량설정”에서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를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3.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③ 포장갯수 기준은 큰포장번호와 소포장번호가 없는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번호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2.적재량설정”에서 큰포장갯수와 소포장갯수를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3.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④ 벌크품목 기준은 큰포장과 소포장의 포장단위가 없는 경우, 큰포장기준과 소포장기준 모두 “포장단위없음”에 체크되어야 하며 “2.적재량설정”에서 “품목코드”별로 적재량을 입력하고 “적재량설정(버튼)”을 클릭하면 “3.적재량설정결과”에 표시된다. ⑤ 적재량 확정은 “3.적재량설정결과”에서 “적재량확정(버튼)”을 클릭하면 적재설정량이 확정되어 “2.차량별 적재현황”에 차량번호 및 화물수취인이 추가되어 나열된다.
적재량 수정요청에서 ① 수정요청절차는 하불처(출고CFS)는 “출고요청량”을 적재차량에 상차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출고요청량”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출고요청자에게 《출고요청목록》→ “출고요청서(팝업창)”에서 출고요청량을 수정해 달라고 요청한다. ② 적재품 이적은 출고요청자가 “출고요청량”을 수정하면 적재차량에 상차작업이 진행중인 적재품의 이적작업을 처리한다.
출고작업 완료에서 ① 출고요청화물 적재확인은 “출고CFS”는 “출고상차표(팝업창)”의 “2.차량별 적재현황”의 차량별 적재량이 “1.출고요청사항”의 출고요청량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② 출고작업 마감은 “출고상차표(팝업창)”에서 적재차량에 상차작업을 완료한 후 “출고작업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출고번호”와 “출고일자”가 표시되면서 출고요청자의 《출고요청목록》에도 출고번호가 표시된다.
도 79 내지 도 80은 수출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79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의 Booking업무처리, 통관사의 수출통관업무처리, 운송사의 운송업무처리, 하역회사의 적하업무처리, 컨테이너야드(CY)의 출고업무처리, 보세창고(CFS)의 콘솔업무처리에서 발생되는 매출전표와 물류업무요청자의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되어 수출비용을 정산하는 《수출B/L정산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0은 《수출B/L정산목록》에서 수출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1 내지 도 82는 수입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81은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의 D/O발행업무처리, 통관사의 수입통관업무처리, 운송사의 운송업무처리, 하역회사의 양하업무처리, 컨테이너야드(CY)의 출고업무처리, 보세창고(CFS)의 출고업무처리에서 발생되는 매출전표와 물류업무요청자의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되어 수입비용을 정산하는 《수입B/L정산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2는 《수입B/L정산목록》에서 수입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3은 《수출B/L정산목록》 및 《수입B/L정산목록》에서 물류비용견적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4는 《수출B/L정산목록》 및 수입B/L정산목록》에서 물류비용정산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9 내지 도 84를 참조하면, B/L에서 수입B/L정산목록 정렬기준의 ① 정렬기준 구분은 《수입B/L정산목록》→ 검색범위의 “정렬기준”은 3종류(B/L단위별, 분할B/L별, 하불처별)에서 구분하여 “청구처”의 검색범위를 설정한다. ② B/L단위별 정렬은 “B/L단위”별로 검색범위를 정렬하면, Master B/L(또는 House B/L)의 단위로 청구처의 검색범위가 설정되며, “B/L단위”별로 생성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와 전표가 “B/L정산표(팝업창)”에 표시된다. ③ 분할B/L별 정렬은 Master B/L(또는 House B/L)이 분할(Invoice별분할, 수입화주별분할, 출고수량별분할)된 경우 청구처의 검색범위를 “분할B/L단위”별로 정렬기준을 설정하면, “분할B/L단위”별로 생성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와 전표가 “B/L정산표(팝업창)”에 표시된다. ④ 하불처별 정렬은 “B/L단위”별 정렬 또는 “분할B/L단위”별 정렬에서 하불처가 2곳이상인 경우 청구처의 검색범위를 “하불처”별로 정렬기준을 설정하면, “하불처”별로 생성된 전표가 “B/L정산표(팝업창)”에 표시된다.
거래처정보의 발주처에서 ①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처목록》의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Buyer(수입자)”에 대하여 지정된 발주처가 자동표시된다. ② 발주처 변경은 기존의 발주처를 변경하려면 “발주처목록()”에서 변경한다.
수입비용 청구처에서 ① 청구처 구분은 수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물류비용을 책임지는 청구처는 4종류(발주처, 발주처의 청구처, Buyer, 수입화주)로 구분된다. ② 표시기준은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등록화주에 대하여 지정된 "수입비용청구처"가 전표(매출전표, 대납전표, 재매출전표)에 표시되면 B/L정산표(팝업창)의 “수입비용청구처”에도 자동표시된다. ③ B/L분할은 《수입B/L목록》→ “B/L정보(팝업창)”에서 “B/L분할정보”가 입력된 경우 “분할순번”별로 생성된 전표의 청구처가 자동표시된다. ④ 청구처 변경은 기존의 청구처를 변경하려면 “청구처목록()”에서 변경한다.
자사 정산업무기준(팝업창)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4.수입업무 처리기준”이 표시된다.
자사의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에서 ①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4.수입업무처리기준”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이 자동표시된다. ② 발행기준 수정은 등록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기준”를 수정하려면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4.수입업무처리기준”의 “(3)정산업무 처리기준”에서 수정등록한다.
물류비용전표 내역의 물류비용 지정에서 ① 자동생성기준은 ⓐ 매출전표 : 《업무처리목록》에서 발행된 모든 매출전표가 정산전도금의 “전표구분”에 집합된다. ⓑ 매입전표 : 《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된 모든 매입전표가 정산하불금의 “전표구분”에 집합된다. ⓒ 재매출전표 : 《업무요청목록》의 매입전표에서 “재매출전표”를 발행하면 정산전도금에서 “전표구분”의 “매출전표(팝업창)에 자동생성된다. ⓓ 대납전표 : 《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된 모든 대납전표가 정산전도금 및 정산하불금의 “전표구분”에 집합된다. ② 신규전표 작성은 자사가 《업무요청목록》에서 “업무요청서(팝업창)”를 작성하지 못하였거나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하불처로부터 인용되는 전표정보가 없으면 《수입B/L정산목록》→ “수입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물류비용지정(▼)”에서 물류비용의 계정과목을 지정한 후 “전표구분”을 선택하여 신규전표를 작성한다. ③ 2건이상의 동일품목은 1건의 “B/L수량”을 분할하여 업무처리함에 따라 1곳의 청구처에 대하여 하불처의 업체수와 관계없이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동일품목에 대한 “업무처리번호”가 2건이상인 경우에는 동일품목의 전표가 모두 표시된다.
정산전도금에서 ① 정산전도금 정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청구처로부터 받을 돈(물류비용)을 “정산전도금”이라 하였으며 자사매출액(매출전표)과 자사대납금(대납전표)의 합산금액이다. ② 자사매출액은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팝업창)”에서 “저장/수정(버튼)”을 클릭하면 “매출합계”의 금액이 표시된다. ③ 자사대납금은 ⓐ 자사대납금 정의 : 하불처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서 제3자(수출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발행한 세금계산서의 “합계금액”이다. 자사가 하불처에게 대납한 금액으로서 청구처로부터 받을 돈이다. ⓑ 표시기준 : 《업무요청목록》의 대납전표(팝업창)에서 “저장/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자사대납금”이 표시된다. ⓒ 매출전표의 대납비용 : 《D/O발행목록》과 《출고목록》의 매출전표(팝업창)에서 발생된 대납비용(입항료, 화재보험료 등)은 《B/L정산표》에서 “자사매출액”에 표시되지 않고 “자사대납금”에 구분되어 표시된다.
정산하불금에서 ① 정산하불금 정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자사가 하불처에게 지급할 돈(물류비용)을 “정산하불금”이라 하였으며 자사매입액(매입전표)과 하불처대납금(대납전표)의 합산금액이다. ② 자사매입액은 《업무요청목록》의 “매입전표(팝업창)”에 표시된 “매입합계”의 금액이 자동입력된다. ③ 하불처대납금은 ⓐ 하불처대납금 정의 : 하불처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서 제3자(수출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발행한 세금계산서의 “합계금액”이며 자사를 위하여 하불처가 대납한 금액으로서 자사가 하불처에게 지급할 돈이다. ⓑ 표시기준 : 《업무요청목록》의 대납전표(팝업창)에 표시된 “자사대납금”의 금액이 자동입력된다. ⓒ 매입전표의 대납비용 : 《D/O발행요청목록》과 《출고요청목록》의 매입전표(팝업창)에 표시된 대납비용(입항료, 화재보험료 등)은 B/L정산표에서 “자사매입액”에 표시되지 않고 “하불처대납금”에 구분되어 표시된다.
자사의 정산결과의 자사정산방법에서 ① 전표건별 분할정산은 ⓐ 정산기준 : 《업무처리목록》에서 1건의 B/L화물을 2건이상으로 분할하여 업무처리하는 경우 각각의 전표건별로 《B/L정산표》에서 정산처리한다. ⓑ 전표마감 :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 또는《업무요청목록》의 대납전표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B/L정산표》에서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② B/L건별 단일정산은 ⓐ 정산기준 : 《업무처리목록》에서 1건의 B/L화물을 2건이상으로 분할하여 업무처리하더라도 1건의 B/L단위로 《B/L정산표》에서 정산처리한다. ⓑ 전표마감 : 1건의 B/L화물을 2건이상으로 분할하여 업무처리하는 경우, B/L분할이 되는 “업무처리”별로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 또는《업무요청목록》의 대납전표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더라도 B/L화물의 전량이 출고되고 모든 전표가 “전표마감(버튼)”이 완료되어야 비로소 “B/L정산표”에서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③ 월말일괄 합산정산은 ⓐ 정산기준 : 초일에서 말일까지의 모든 B/L건에 대한 정산업무를 월말에 1건으로 일괄정산한다. ⓑ 전표마감 : B/L건별로《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 또는《업무요청목록》의 대납전표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더라도 말일에 “전표마감(버튼)”을 할 수 있으며 말일에 《B/L정산표》에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 일괄정산절차 : 《물류거래장》의 “일괄정산표(팝업창)”에서 말일에 “일괄정산처리(버튼)”하면 당월에 처리된 모든 전표(매출전표, 대납전표)에 대하여 《B/L정산표》에서 전표마감일이 표시되면서 ”정산마감(버튼)“도 일괄처리된다.
청구처원장 잔액은 《물류거래장》의 검색조건에서 거래처에 “청구처”를 입력하고 거래장구분에서 “청구처원장”을 선택한 “장부잔액”이 표시된다.
정산전도금에서 ① 자사매출액은 “8.물류비용전표 내역”에서 “매출합계”의 금액이 표시된다. ② 받을관세는 “8.물류비용전표 내역”의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의 금액이 표시된다. ③ 받을대납금은 “8.물류비용전표 내역”의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의 금액이 표시된다. ④ 정산전도금 = 자사매출액 + 받을관세 + 받을대납금
자사견적서에서 ① 견적금액 산출은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물류비용요율》의 물류비용단가에 의하여 견적금액이 자동산출되며 추가비용을 입력하거나 수정한다. ② 견적마감은 ⓐ 견적서 제공 : 자사가 “B/L정산표”의 “자사견적서”에서 “견적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청구처의 “B/L정산표”에서 “하불처견적서”로 제공된다. ⓑ 청구처원장 표시기준 : “견적마감(버튼)”을 클릭하면 견적금액이 《청구처원장》→ “미결제현황(팝업창)”→ 견적전도금영수(팝업창)의 “청구금액”에 표시된다. ③ 메세지전송은 청구처가 회원사인 경우 “메세지전송(버튼)”을 클릭하면 “자사견적서”가 청구처의 경리담당자에게 전송된다. ④ Fax.전송은 청구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Fax.전송(버튼)”을 클릭하면 “자사견적서”가 청구처에게 Fax로 전송된다.
자사정산서에서 ① 전표마감 확인은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 또는《업무요청목록》의 대납전표에서 “전표마감(버튼)”되어 “8.물류비용전표 내역”에서 “전표마감일”이 표시되었음을 확인한다. ② 정산마감은 ⓐ 버튼생성 :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정산서(팝업창)”에서 2개버튼(메세지전송, Fax전송)이 생성된다. ⓑ 작성일자 :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작성일자가 정산마감일과 동일하게 표시된다. ⓒ 정산서 제공 : 자사가 《B/L정산표》의 “자사정산서”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청구처의 《B/L정산표》에 “하불처정산서”로 제공된다. ⓓ 청구처원장 표시기준 :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정산전도금이 《청구처원장》→ “미결제현황(팝업창)”→ 견적전도금영수(팝업창)의 “청구금액”에 표시되면서 기존의 “견적금액”은 “자사견적금액”으로 이전된다. ③ 증빙자료는 ⓐ 거래명세서 : “8.물류비용전표 내역”의 “물류품목구분”에서 생성된 전표(매출전표, 대납전표)의 “거래명세서(팝업창)”가 생성된다. ⓑ 종이정산서 대체효과 : 종이로 출력한 “물류비용정산서”에 거래명세서와 세금계산서의 증빙자료를 첨부하여 우편물로 발송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서 정산서의 배송시간을 단축하고 우편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④ 메세지전송은 청구처가 회원사인 경우 “메세지전송(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정산서”가 청구처의 경리담당자에게 전송된다. ⑤ Fax.전송은 청구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Fax.전송(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정산서”가 청구처에게 Fax로 전송된다.
하불처정보의 하불처목록에서 ① 표시기준은 “8.물류비용전표 내역”의 “정산하불금”에 표시된 하불처가 2곳이상의 업체로 지정된 경우 물류품목의 하청업무별로 구분되어 나열된다. ② 하불처별 정산내역은 “하불처명”을 클릭하면 “8.물류비용전표 내역”의 “정산하불금”에 당해 하불처에 대한 “정산내역”이 표시된다. ③ 하불처의 정산업무기준(하불처명 클릭)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6.하불처”의 수입업무처리기준에서 설정된 5개항목(하불처업무기준 설정권자, 하불처 입금계좌, 하불처 정산방법, 자사 결제기한, 하불처정산서 수신처)의 정산업무기준이 표시된다.
하불처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에서 ①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6.하불처”의 “하불처지정(팝업창)”→ “수입업무처리기준”에서 등록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이 자동표시된다. ② 발행기준 수정은 하불처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을 수정하려면 《물류거래처목록》의 하불처정보(팝업창)에서 “하불처의 수입업무처리기준”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을 수정한다.
하불처 정산결과의 하불처 정산방법에서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6.하불처”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자사가 설정한 정산방법(통관건별 분할정산, 출고건별 분할정산, B/L건별 단일정산, 월말일괄 합산정산)이 표시된다.
하불처원장 잔액은 《물류거래장》의 검색범위의 “거래처구분”에 “하불처”를 입력하고 거래장구분에서 “하불처원장”을 선택한 “장부잔액”이 표시된다.
하불처견적서에서 ① 하불처의 견적마감은 하불처가 “B/L정산표”의 “견적서”에서 “견적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의 “B/L정산표”에서 “하불처견적서”로 인용된다. ② 메세지 수신은 하불처가 “B/L정산표”의 “견적서”에서 “메세지전송(버튼)”을 클릭하면 하불처의 “견적서”가 자사의 경리담당자에게 전송된다. ③ 견적하불금 송금은 하불처의 견적금액을 확인한 후 《하불처원장》→미결제현황(팝업창)→ “견적하불금지급(팝업창)”에서 송금처리한다.
하불처정산서에서 ① 하불처의 정산마감은 하불처가 《B/L정산표》의 “정산서”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의 《B/L정산표》에 “하불처정산서”로 인용표시된다. ② 메세지 수신은 하불처가 “B/L정산표”의 “정산서”에서 “메세지전송(버튼)”을 클릭하면 하불처의 “정산서”가 자사의 경리담당자에게 전송된다. ③ 정산하불금 지급은 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하불처원장"을 지정한 후 “미결제현황(팝업창)”에서 "정산구간별 미결제잔액"을 클릭하여 "송금대상금액"을 선택하고 "송금처리"한다. ④ 오류검증은 증빙자료에서 오류발견시 “업무메세지(팝업창)”에서 하불처에게 전표(매입전표 또는 대납전표)를 수정해 달라고 요구한다.
정산하불금에서 ① 자사매입액은 “6.물류전표내역”에서 관세를 제외한 “매입합계”의 금액이 표시된다. ② 하불관세는 “6.물류전표내역”의 “매입합계” 또는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관세”의 금액이 표시된다. ③ 하불대납금은 “6.물류전표내역”에서 관세를 제외한 “하불처대납금”의 금액이 표시된다. ④ 정산하불금 = 자사매입액 + 하불관세 + 하불대납금
정산마감의 진행결과는 적하목록제출→ 선박입항→ 부두접안→ 하선장소반입→ 출고요청→ D/O발행→ 수입통관→ 화주장소인도.
버튼구분은 ① 저장/수정(버튼)은 《B/L정산표》의 입력정보를 저장/수정을 하는 효력이 발생한다. ② 정산마감(버튼)은 ⓐ 전표작성 완료 :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수정”된 입력정보에 대하여 물류거래장에서 “전표기장”이 완료됨과 동시에 “자사정산서”의 작성이 완료된다. ⓑ 정산서 제공 : 자사가 《B/L정산표》의 “자사정산서”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청구처의 《B/L정산표》에 “하불처정산서”로 제공된다. ⓒ 청구처원장 표시사항 :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정산금액이 《청구처원장》→ “미결제현황(팝업창)”→ 견적전도금영수(팝업창)의 “청구금액”에 표시되면서 기존의 “견적금액”은 “자사견적금액”으로 이전된다. ③ 정산마감일은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정산서”에서 작성일자가 동일하게 표시되며 물류거래장에서 받을대납금(소분류계정)의 “처리일자”로 표시된다.
물류거래장 전표생성에서 ① 물류전표는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 《업무요청목록》의 2개전표(매입전표 또는 대납전표)가 《B/L정산표》에 집합된 후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물류거래장》의 청구처원장에서는 “받을대납금(소분류계정)”의 출금전표가 기장되고 하불처원장에서는 “하불대납금(소분류계정)”의 입금전표가 기장된다. ② 관세전표는 《통관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로 생성되는 관세전표(받을관세, 하불관세)는 “정산마감(버튼)”의 클릭여부와 상관없이 《통관요청목록》의 관세전표(대납전표)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B/L정산표》→ “8.물류비용전표 내역”에서 “자사대납금”이 표시됨과 동시에 물류거래장에 “관세전표”가 기장된다.
도 85 내지 도 92은 물류비용장부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85는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물류비용전표가 표시되는 《물류거래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6은 《물류거래장》에서 물류비용의 미결제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7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견적하불금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88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할 견적전도금영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9는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정산하불금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90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할 정산전도금영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91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의 견적하불금지급 또는 정산하불금지급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물류비용의 출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2는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의 견적전도금영수 또는 정산전도금영수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한 물류비용의 입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93 내지 도 95는 전자세금계산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들로써,도 93은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운송사, 하역회사, 컨테이너야드(CY), 보세창고(CFS)등의 물류업체가 《업무처리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매출전표에서 생성되는 매출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4는 수출입화주 또는 업무요청자가 《업무요청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물류업체로부터 수취한 매입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95는 수출입화주 또는 업무요청자가 《업무요청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물류업체로부터 수취한 대납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96은 자사의 자산과 부채 및 일반관리비의 입출금전표가 표시되는 《일계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7은 자사견적서의 견적전도금, 자사정산서의 정산전도금, 하불처견적서의 견적하불금, 하불처정산서의 정산하불금, 일계장의 입출금전표가 표시되는 《입출금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5 내지 도 97을 참조하면, 물류거래장에서 업체관리자의 검색범위는 ① 검색대상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를 책임관리하기 위하여 《물류거래처목록》의 “관리자코드목록(팝업창)”에서 “관리자코드”가 부여된 사원을 검색한다. ② 검색방법은 “관리자코드목록(팝업창)”을 열어서 검색대상의 “업체관리자”를 선택하거나 업체관리자의 “관리자코드(영문2글자)”를 직접입력한다.
담당자의 경우 ① 검색대상은 메인메뉴의 《업무요청목록》과 《업무처리목록》에서 해당업무(팝업창)의 “처리담당자”를 검색한다. ② 검색방법은 사원ID(자사코드에 조합된 숫자4글자) 중에서 끝번호(숫자4글자)를 직접입력한다.
거래처의 경우 ① 검색대상은 《업체목록》의 “거래처(발주처/청구처/하불처)등록”의 팝업창에서 등록된 업체 중에서 청구처 또는 하불처를 검색하며, “수출입화주”는 거래처가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수출입화주”항목에서 검색한다. ② 검색방법은 ⓐ 검색범위의 업체목록조회 : 를 클릭하여 “업체조회(팝업창)”에서 거래처를 선택한다. ⓑ 검색범위 직접입력 : “입력박스”란에 “거래처명”을 직접입력한다. ⓒ 장부내역 지정 : 장부내역에서 “거래처명”을 “더블클릭”하면 검색범위의 “거래처”란에 자동표시된다. ⓓ 전표의 업체목록조회 : “전표(팝업창)”의 “2.거래처정보”에서 를 클릭하여 “업체조회(팝업창)”에서 거래처를 선택한다.
수출입화주의 경우 ① 검색대상은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등록업체 중에서 수출화주 또는 수입화주를 검색한다. ② 검색방법은 ⓐ 검색범위의 업체목록조회 : 를 클릭하여 “업체조회(팝업창)”에서 수출입화주를 선택한다. ⓑ 검색범위 직접입력 : “입력박스”란에 “수출입화주”를 직접입력한다. ⓒ 장부내역 지정 : 장부내역에서 “수출입화주”을 “더블클릭”하면 검색범위의 “수출입화주”란에 자동표시된다.
거래장구분은 3종류(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 전체)에서 선택하여 검색한다.
수출입구분의 경우 ① 검색대상은 업무처리목록(선적.B/L, 입항.D/O, 통관.검역,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의 해당업무(팝업창)에서 처리된 수출업무와 수입업무를 구분하여 검색한다. ② 검색방법은 “수출” 또는 “수입”에서 선택한다.
전표에서 ① 매출전표는 《전표계정과목》에서 대분류계정(물류비용매출)과 소분류계정(통관료, 선사비용, 운송료, 하역료, CY비용, 창고료, 검역료, 출고취급료, 적하보험료, 보수작업료, 화물검수료, 화물포장료, 무역대행료, 물류기타매출)으로 작성된 매출전표를 검색한다. ② 매입전표는 《전표계정과목》에서 대분류계정(물류비용매입)과 소분류계정(통관료, 선사비용, 운송료, 하역료, CY비용, 창고료, 검역료, 출고취급료, 적하보험료, 보수작업료, 화물검수료, 화물포장료, 무역대행료, 물류기타매입)으로 작성된 매입전표를 검색한다. ③ 대납전표는 《전표계정과목》에서 대분류계정(자사대납)과 소분류계정(받을관세, 받을대납금)으로 작성된 대납전표와 대분류계정(하불처대납)과 소분류계정(하불관세, 하불대납금)으로 작성된 대납전표를 검색한다. ④ 출금전표는 《전표계정과목》에서 대분류계정(물류비용지급)과 소분류계정(지급하불금, 전도금잔액반환)으로 작성된 출금전표를 검색한다. ⑤ 입금전표는 《전표계정과목》에서 대분류계정(물류비용영수)과 소분류계정(받은전도금, 하불금잔액회수)으로 작성된 입금전표를 검색한다.
결제수단에서 ① 현금은 전표금액을 “현금(수표 포함)”으로 영수하거나 지급하는 경우이다. ② 어음은 전표금액을 “받을어음”으로 영수하거나 “지급어음”으로 지급하는 경우 결제수단(받을어음 또는 지급어음)의 명칭이 “적요”란에 자동표시된다. ③ 카드는 전표금액을 “신용카드”로 영수하거나 지급하는 경우 결제수단(신용카드)의 명칭이 “적요”란에 자동표시된다. ④ 기타는 3종류(현금, 어음, 카드)를 제외한 기타의 결제수단을 “직접입력”한다.
통화에서 ① 자국통화는 회원가입시 “사업자등록정보”에서 사업장국가의 “국가코드(KR)”에 의하여 지정된 국가(KOREA)의 “통화(KRW)”가 기본값으로 표시된다. ② 외국통화는 “외화(USD 등)”로 결제하고 자국통화(KRW)로 환산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화(USD 등)표시로 거래전표가 작성된 경우 “전표통화(USD 등)”으로 검색한다.
조회기간에서 ① 거래일자는 세금계산서에 표시된 거래일자의 검색범위를 설정한다. ② 처리일자는 처리일자(전표를 입력한 날짜)의 검색범위를 설정한다.
거래처정보에서 ① 거래처구분은 “거래장구분”에서 2종류(청구처원장, 허불처원장)의 구분에 따라 2종류(청구처, 하불처)로 구분된 거래처정보가 표시된다. ② 업무처리메세지()는 자사의 경리담당자와 거래처(청구처 또는 하불처)의 경리담당자 상호간에 물류비용정산업무와 관련된 업무연락사항의 메세지를 교환할 수 있으며 대화내용을 확인하고 답변할 수 있다.
입출금전표 작성의 검색범위 지정에서 ① 장부지정은 신규전표를 작성하려면 “거래장구분”에서 “신규전표”가 귀속되는 장부(청구처원장 또는 하불처원장)를 지정하여야 한다. ② 버튼경고는 검색범위에서 “장부지정”을 하지 않고 “전표(팝업창)”를 클릭하면 경고문(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장부”를 지정하세요.)이 안내된다.
물류비용 입출금에서 ① 출금전표는 ⓐ 정산하불금 지급 : 《물류거래장》→ “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하불처원장"을 지정한 후 “미결제현황(팝업창)”→ “하불금지급(출금전표)”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정산하불금”을 “송금처리”하면 출금전표가 자동생성된다. ⓑ 전도금잔액 송금 : 정산전도금보다 “자사견적금액”이 과다청구되어 정산차액이 "(+)잔액"으로 표시된 금액에 대하여 "전도금잔액"을 송금한 경우 《물류거래장》→ “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청구처원장"을 지정한 후 “미결제현황(팝업창)”→ “과다입금액반환(출금전표)”에서 “송금처리(버튼)”한다. ⓒ 당좌자산 발생 : 거래처(청구처/하불처)에게 자사의 당좌자산(대분류계정)의 금액을 지급하는 경우 "출금전표(팝업창)"를 클릭하여 신규전표를 작성한다. ② 입금전표는 ⓐ 물류비용 영수 : 《물류거래장》→ “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청구처원장"을 지정한 후 “미결제현황(팝업창)”→ “전도금영수(입금전표)”에서 청구처로부터 받은 “정산전도금”을 “입금처리”하면 입금전표가 자동생성된다. ⓑ 하불금잔액 회수 : 정산하불금보다 "하불처견적금액"이 과다송금되어 정산차액이 "(-)잔액"으로 표시된 금액에 대하여 "하불금잔액"이 입금된 경우 《물류거래장》→ “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하불처원장"을 지정한 후 “미결제현황(팝업창)”→ “과다송금액회수(입금전표)에서 “입금처리(버튼)”한다. ⓒ 유동부채 발생 : 거래처(청구처/하불처)로부터 유동부채(대분류계정)의 금액을 영수하는 경우 "입금전표(팝업창)"를 클릭하여 신규전표를 작성한다.
당좌자산 및 유동부채 입출금에서 ① 출금전표는 《전표 계정과목》의 “물류거래장 계정과목”에서 당좌자산(대분류계정)의 금액이 거래처에게 지급되는 경우에는 《물류거래장》에서 “출금전표(팝업창)”을 클릭하여 작성한다. ② 입금전표는 《전표 계정과목》의 “물류거래장 계정과목”에서 당좌자산(대분류계정)의 금액이 거래처로부터 영수하는 경우에는 《물류거래장》에서 “입금전표(팝업창)”을 클릭하여 작성한다.
입출금전표 수정에서 ① 거래일자 수정은 ⓐ 수정전표 불필요 : 3개항목은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가 불일치하는 “시재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정전표”를 작성하지 않고 “기존전표”에서 변경되는 항목만 수정하면 된다. ⓑ 수정사유 :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거래일자:07/01(변경된 거래일자)”이라 자동표시된다. ② 금액 수정은 (공통매뉴얼)의 “공급가액수정” 참조
전표금액 표시기준에서 ① 매출전표는 매출전표에서 대분류계정이 "물류비용매출"으로 표시되면 "세금계산서 거래내역"의 "합계금액"이 "청구처원장"의 "지출액"란에 기장된다. ② 매입전표는 매입전표에서 대분류계정이 "물류비용매입"으로 표시되면 "세금계산서 거래내역"의 "합계금액"이 "하불처원장"의 "수입액"란에 기장된다. ③ 대납전표는 ⓐ 자사대납금 : 대납전표에서 “청구처”로부터 받을 “자사대납금(받을관세, 받을대납금)”은 "청구처원장"의 "지출액"란에 기장된다. ⓑ 하불처대납금 : 대납전표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하불처대납금(하불관세, 하불대납금)”은 "하불처원장"의 "수입액"란에 기장된다. ④ 출금전표는 출금전표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지급하불금(소분류)”은 하불처원장과 입출금장부의 “지출액”란에 기장되며, 청구처에게 지급하는 “전도금잔액송금(소분류)”은 청구처원장과 입출금장부의 “지출액”란에 기장된다. ⑤ 입금전표는 입금전표에서 청구처로부터 받은 “받은전도금(소분류)”는 청구처원장과 입출금장부의 “수입액”란에 기장되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하불금잔액회수(소분류)”는 하불처원장과 입출금장부의 “수입액”란에 기장된다.
장부기장 확정시기에서 ① 관세전표는 《통관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로 생성되는 관세전표(받을관세, 하불관세)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에서 “자사대납금”이 표시됨과 동시에 물류거래장에 “관세전표”가 기장된다. ② 물류전표 ⓐ 전표집합 : 《업무처리목록》에서 생성되는 매출전표, 《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되는 매입전표와 대납전표는 “B/L정산표(팝업창)”에 우선 집합된다. ⓑ 매출전표 : 《업무처리목록》에서 생성되는 매출전표는 “B/L정산표”→ “8.물류비용전표내역”에서 “자사매출액”으로 표시된다. ⓒ 매입전표 : 《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되는 매입전표는 “B/L정산표”→ “8.물류비용전표내역”에서 “자사매입액”으로 표시된다. ⓓ 대납전표 : 《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되는 대납전표는 “B/L정산표”→ “8.물류비용전표내역”에서 “자사대납금”과 “하불처대납금”으로 각각 표시된다. ③ 전표기장 확정은 “B/L정산표(팝업창)”에서 3종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된 후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비로소 물류거래장에 기장된다.
장부내역의 처리일자에서 ① 관세전표는 《통관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로 생성되는 관세전표(받을관세, 하불관세)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한 날짜(전표생성일자)이다. ② 물류전표는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의 “8.물류비용전표내역”에 3종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된 후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한 날짜(전표생성일자)이다. ③ 출금전표는 물류거래장에서 물류비용지급(지급하불금, 전도금잔액반환)의 계정과목에 대한 출금전표를 작성한 날짜이다. ④ 입금전표는 물류거래장에서 물류비용영수(받은전도금, 하불금잔액회수)의 계정과목에 대한 입금전표를 작성한 날짜이다.
참조번호에서 ① 표시대상은 《업무처리목록》의 Booking No.(또는 B/L No.)가 표시된다. ② 표시기준은 문서번호 중에서 앞부분의 “업체코드”는 “~”의 표시로 생략되고 뒷부분(년월+업무코드+일련번호)만 간략하게 표시된다.
거래처는 검색범위의 “거래처”란에 입력된 검색범위의 업체명(청구처 또는 하불처)이 표시된다.
수출입화주는 검색범위의 “수출입화주”란에 입력된 검색범위의 업체명(수출화주 또는 수입화주)이 표시된다.
S.P'kgs는 “참조번호”에 해당하는 전표(팝업창)의 화물정보에서 S.P'kgs(Small Package)의 포장갯수가 표시된다.
전표에서 ① B/L정산표 입력정보는 “B/L정산표(팝업창)”의 “8.물류비용전표내역(테이블)”에서 자사매출액은 매출전표로 표시되고, 자사매입액은 매입전표로 표시되며, 자사대납금과 하불처대납금은 대납전표로 표시된다. ② 신규전표 입력정보는 2종류(출금전표, 입금전표)의 신규전표 입력정보가 표시된다.
거래일자에서 ① 표시기준은 “물류거래”가 완료되어 전표가 작성된 결과 세금계산서의 “거래일자”에 표시된 날짜가 표시된다. ② 수정내역 표시사항은 기존전표의 거래일자가 변경되어 수정전표가 생성되는 경우 “수정내역”이 “적요”란에 자동표시된다.
계정과목은 “전표(팝업창)”에서 “소분류계정과목”이 표시된다.
적요는 “전표(팝업창)”에서 “적요”의 내용이 표시된다.
수입액에서 ① 자사매입액은 매입전표에서 물류비용매입(대분류계정)에 해당하는 소분류계정(통관료, 선사비용, 운송료, 하역료, CY비용, 창고료, 검역료, 출고취급료, 적하보험료, 보수작업료, 화물검수료, 화물포장료, 무역대행료, 물류기타매출)의 “매입합계”가 표시된다. ② 하불관세는 “8.물류비용전표내역”→ “정산하불금”의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관세”가 표시된다. ③ 하불대납금은 “8.물류비용전표내역”→ “정산하불금”의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이 표시된다. ④ 물류비용영수는 입금전표의 물류비용영수(대분류계정) 중에서 소분류계정(받은전도금, 하불금잔액회수)의 “입금액”이 표시된다.
지출액에서 ① 자사매출액은 매출전표에서 물류비용매출(대분류계정)에 해당하는 소분류계정(통관료, 선사비용, 운송료, 하역료, CY비용, 창고료, 검역료, 출고취급료, 적하보험료, 보수작업료, 화물검수료, 화물포장료, 무역대행료, 물류기타매출)의 “매출합계”가 표시된다. ② 받을관세는 “8.물류비용전표내역”→ “정산전도금”의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가 표시된다. ③ 받을대납금은 “8.물류비용전표내역”→ “정산전도금”의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이 표시된다. ④ 물류비용지급은 출금전표의 물류비용지급(대분류계정) 중에서 소분류계정(지급하불금, 전도금잔액반환)의 “송금액”이 표시된다.
잔액에서 ① 표시기준은 수입액에서 지출액을 차감한 금액이 표시된다. ② 미수금은 장부잔액이 (-)잔액으로 표시되면 거래처로부터 “받을돈(미수금)”이다. ③ 미지급금은 장부잔액이 (+)잔액으로 표시되면 거래처에게 지급할 “줄돈(미지급금)”이다.
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① 청구처원장은 청구처의 미수금(자사 견적금액, 정산전도금)에 대한 “미결제현황”을 검색하려면 “청구처원장”을 지정한다. ② 하불처원장은 하불처에 대한 미지급금(하불처 견적금액, 정산하불금)에 대한 “미결제현황”을 검색하려면 “하불처원장”을 지정한다.
결제기한은 검색하고자 하는 거래처(청구처, 하불처)를 지정하면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 “결제기한”이 자동검색된다.
장부내역의 결제기한에서 ① 표시기준 : 《수출입화주등록》→“업무처리기준”의 “청구처결제기한”이 표시된다. ② 기한범위 : “B/L정산표(팝업창)”에서 정산마감(버튼)일자를 기준으로 10종류(사전결제, 정산당일, 정산익일, 3일이내, 7일이내, 15일이내, 1개월이내, 2개월이내, 3개월이내, 4개월초과)에서 표시된다.
미결제금액 표시기준에서 ① 미결제기간 : “B/L정산표(팝업창)”에서 정산마감(버튼)일자를 기준으로 6종류(초일~15일, 16일~말일, 1개월전, 2개월전, 3개월전, 4개월전까지)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② 사전결제 : “B/L정산표”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기 전에 “자사 견적금액(또는 하불처 견적금액)”에 대하여 결제처리하는 경우를 말하며 “미결제금액”이 정산구간별로 구분되지 않고 “현재잔액”에만 표시된다. ③ 사후결제 : “B/L정산표”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한 후에 정산하불금(또는 정산전도금)에 대하여 결제처리하는 경우를 말하며 “미결제금액”이 정산구간별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④ 현재잔액 : “사후결제”의 경우 정산구간(정산마감일)별로 미결제금액의 합산금액이 표시된다.
잔액형태는 “물류거래장”과 “미결제현황”에서 (+)잔액은 미지급금이며 (-)잔액은 미수금이다.
미결제금액 결제처리의 사전결제 (정산마감전 결제)에서 ① 견적하불금 지급 : "견적하불금지급(팝업창)"을 클릭하여 하불처에게 지급한 "미지급잔액"을 송금처리한다. ② 견적전도금 영수 : "견적전도금영수(팝업창)"을 클릭하여 청구처로부터 받은 "미수금잔액"을 입금처리한다.
사후결제 (정산마감후 결제)에서 ① 정산하불금 지급 : 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하불처원장"을 지정한 후 "정산구간별 미결제잔액(팝업창)"을 클릭하여 "송금대상금액"을 지정(선택)하고 "송금처리"한다. ② 정산하불금 지급 : 검색범위의 "거래장구분"에서 "하불처원장"을 지정한 후 "정산구간별 미결제잔액(팝업창)"을 클릭하여 "송금대상금액"을 지정(선택)하고 "송금처리"한다.
견적하불금 지급의 미지급잔액 처리기준에서 ① 견적금액 : 하불처가 “B/L정산표”의 “견적서”에서 “견적마감(버튼)”을 클릭하면 견적금액이 《하불처원장》→ “미결제현황(팝업창)”→ 견적하불금지급(팝업창)의 “하불금액”에 표시된다. ② 하불금액 : 하불처가 “B/L정산표”의 “정산서”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정산전도금이 《하불처원장》→ “미결제현황(팝업창)”→ 견적하불금지급(팝업창)의 “하불금액”에 표시되면서 기존의 “견적금액”은 “하불처견적금액”으로 이전된다. ③ 지급액 : "미지급잔액송금(팝업창)"을 클릭하여 "출금전표"에서 "미지급잔액(①-②+③)"을 결제처리하면 송금액이 마지막의 B/L No.의 "지급액"에 합산되어 표시되고 물류거래장에서는 “지급하불금(소분류계정)”의 출금전표가 생성된다. ④ 과다송금 회수금액 : 정산하불금보다 견적금액을 과다하게 송금한 경우 해당 B/L No.의 "미지급금(팝업창)"을 클릭하여 "입금전표"에서 입금처리한다. ⑤ 미지급금 = 하불금액(정산하불금) - 지급액 + 과다송금회수액 ⑥ 미지급잔액 분할결제 : 미지급잔액을 2회이상 분할지급하는 경우 "미지급잔액송금(팝업창)"을 클릭하여 "출금전표"에서 "미지급잔액(①-②+③)" 중에서 일부금액을 결제처리한다.
하불처정산서 표시기준에서 ① 지출총액 : 당해 B/L에 대한 물류비용의 정산하불금이 표시된다. ② 이월금액 : “견적하불금목록”에서 마지막 B/L No.에 대한 미지급금송금을 위하여 “미지급잔액송금(팝업창)”의 “출금전표”에서 결제처리하면 “하불처정산서”의 이월금액은 결제처리하기 직전의 “미지급잔액”이 표시된다. ③ 지급액 : 자사가 하불처에게 지급한 견적하불금이 표시된다. ④ 정산잔액 = 지출총액 - (이월금액 + 지급액)
미정산 배열은 정산마감이 안된 “미정산 B/L”의 견적하불금목록은 항상 후순위에 배열되므로 정산마감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견적전도금 영수의 미수금잔액 처리기준에서 ① 견적금액 : 자사가 “B/L정산표”의 “자사견적서”에서 “견적마감(버튼)”을 클릭하면 견적금액이 《청구처원장》→ “미결제현황(팝업창)”→ 견적전도금영수(팝업창)의 “청구금액”에 표시된다. ② 청구금액 : 자사가 “B/L정산표”의 “자사정산서”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정산전도금이 《청구처원장》→ “미결제현황(팝업창)”→ 견적전도금영수(팝업창)의 “청구금액”에 표시되면서 기존의 “견적금액”은 “자사견적금액”으로 이전된다. ③ 입금액 : "미수금잔액영수(팝업창)"을 클릭하여 "입금전표"에서 "미수금잔액(②-①-③)"을 입금처리하면 입금액이 마지막의 B/L No.의 "영수액"에 합산되어 표시되고 물류거래장에서는 “받은전도금(소분류계정)”의 입금전표가 생성된다. ④ 과다입금 반환금액 : 정산전도금보다 견적금액을 과다하게 영수한 경우 해당 B/L No.의 "미수금(팝업창)"을 클릭하여 "출금전표"에서 송금처리한다. ⑤ 미수금 = 입금액 - 청구금액(정산전도금) - 과다입금반환금액 ⑥ 미지급잔액 분할결제 : 미수금잔액을 2회이상 분할영수하는 경우 "미수금잔액영수(팝업창)"을 클릭하여 "입금전표"에서 "미수금잔액(②-①-③)" 중에서 일부금액을 입금처리한다.
자사정산서 표시기준에서 ① 지출총액 : 당해 B/L에 대한 물류비용의 정산전도금이 표시된다. ② 이월금액 : “견적전도금목록”에서 마지막 B/L No.에 대하여 “미수금잔액영수(팝업창)”의 “입금전표”에서 입금처리하면 “자사정산서”의 이월금액은 입금처리하기 직전의 “미수금잔액”이 표시된다. ③ 입금액 : 자사가 청구처로부터 영수한 견적전도금이 표시된다. ④ 정산잔액 = (이월금액 + 입급액) - 지출총액
정산하불금 지급의 검색범위에서 ① 결제기한 : “B/L정산표(팝업창)”에서 정산마감(버튼)일자를 기준으로 10종류(사전결제, 정산당일, 정산익일, 3일이내, 7일이내, 15일이내, 1개월이내, 2개월이내, 3개월이내, 4개월초과)에서 지정한다. ② 미결제기간 : 7종류(전체, 초일~15일, 16일~말일, 1개월전, 2개월전, 3개월전, 4개월전까지)에서 지정한다.
장부내역에서 ① 처리일자 : “B/L정산표(팝업창)”에서 “정산마감(버튼)”일자이며 동시에 전표생성일자이다. ② 정산하불금 : 하불처가 "B/L정산표(팝업창)"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하면 자사의 “B/L정산표(팝업창)”에 입력된 "정산하불금"이 표시된다. ③ 송금액 : “하불금송금(팝업창)”의 출금전표에서 하불처에게 송금한 “지급하불금(소분류계정)”이 표시된다. ④ 미지급잔액 : 정산하불금에서 송금액을 뺀 차액이 표시된다.
송금처리절차에서 ① 송금대상금액 지정 : 경리담당자는 “정산하불금지급(팝업창)”에서 결제기한이 도래한 “정산하불금”을 지정(□체크)하여 송금대상금액을 확정한다. ② 송금대상금액 출력 : 통장잔고의 범위내에서 물류자금의 유동성을 고려하여 송금대상금액을 확인한 후 “출력(버튼)”한다. ③ 송금대상금액 결재(송금허가) : 출력된 “송금대상금액”을 경리업무팀장에게 송금허가(결재)를 받는다. ④ 인터넷뱅킹 : 인터넷뱅킹 또는 거래은행을 방문하여 지정된 “송금대상금액”을 하불처에게 송금(이체)한다. ⑤ 출금전표 작성 : 송금대상금액과 이체확인서의 “이체금액”을 대조한 후 “하불금지급(출금전표)”를 작성한다.
송금처리 취소에서 ① 취소절차 : 업무착오로 인하여 “하불금지급(출금전표)”에서 “송금처리”된 “지급하불금(소분류계정)”에 대하여 “송금취소”하려면 《물류거래장》→ “하불처원장”의 해당 “출금전표(팝업창)”에서 “전표삭제”한다. ② 미결제잔액 복원 : 《물류거래장》의 “하불처원장”에서 출금전표를 삭제하면 “미결제현황(팝업창)”의 “정산구간별 미결제금액”에 “정산하불금”이 복원되어 합산된다. ③ 송금취소 및 전표처리는 ⓐ 송금처리 당일취소 : 송금처리와 송금취소가 당일에 발생한 경우 하불처원장에서 출금전표를 삭제하여도 “당일취소”는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의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정전표가 생성되지 않는다. ⓑ 송금처리 익일취소 : 송금처리일의 익일에 하불처원장에서 전표를 삭제하는 경우 “익일취소”는 당일 시재마감을 한 후 익일의 금액수정은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의 불일치가 발생하기 때문에 송금처리일의 익일에 “송금취소”하면 “기존전표”에 대한 “폐기전표”가 생성된다.
정산전도금 영수의 장부내역에서 ① 처리일자 : “B/L정산표(팝업창)”에서 “정산마감(버튼)”일자이며 동시에 전표생성일자이다. ② 정산전도금 : "B/L정산표(팝업창)"에서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정산전도금"이 표시된다. ③ 입금액 : “전도금영수(입금전표)”에서 청구처로부터 받은 “받은전도금(소분류계정)”이 표시된다. ④ 미수금잔액 : 정산전도금에서 입금액을 뺀 차액이 표시된다.
입금처리절차에서 ① 입금은행자료 확인 : 경리담당자는 인터넷뱅킹 또는 입금통장으로부터 청구처가 입금한 “정산전도금”의 입금내역을 확인한다. ② 입금대상금액 지정 : “정산전도금영수(팝업창)”에서 입금통장에 입금된 “정산전도금”에 대하여 입금대상금액으로 지정(□체크)한다. ③ 입금전표 작성 : “전도금영수(입금전표)”에서 입금대상금액을 “받은전도금(소분류계정)”으로 입금처리한다.
도 98 내지 도99는 업무처리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98은 업무요청업체의 담당자와 업무처리업체의 담당자 상호간의 《메세지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9는 《메세지목록》의 업무처리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8 내지 도 99를 참조하면, 업무처리메세지에서 ① 자사담당자는 ⓐ 지정절차 :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5.자사담당자"에서 지정된 업무제목에서 해당 “업무요청서(처리표)"에 대하여 지정된 3명(업무팀장, 처리담당, 경리담당)의 담당자 중에서 ”처리담당자“가 자동표시된다. ⓑ 담당자변경 : 업무팀장은 당해 “업무요청서”에 한하여 “사원목록()”에서 “처리담당자”를 변경할 수 있다. ② 거래처실무자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거래처실무자(팝업창)에서 3명(업무팀장, 처리담당, 경리담당)의 “실무자” 중에서 “처리담당자”가 자동표시된다. ③ 메세지목록은 “신규메세지(팝업창)”에서 작성된 메세지의 목록이며, 메세지내용을 확인하거나 답변메세지를 작성하기 위하여 해당 메세지제목을 클릭하면 하단에 테이블이 생성된다. ④ 신규메세지 (팝업창)는 ⓐ 메세지제목 : 거래처실무자에게 보낼 메세지의 제목을 간단명료하게 입력한다. ⓑ 메세지내용 : 지정된 B/L의 물류업무처리를 위하여 자사담당자 및 거래처실무자의 상호간에 업무연락사항을 입력한다. ⓒ 보낸사람 및 전송일시 : 자사담당자 또는 거래처실무자 중에서 메세지를 작성하고 전송한 담당자와 “전송일시”가 표시된다. ⓓ 메세지전송 : 메세지내용을 작성하고 “저장/수정(버튼)”한 후 메세지전송(버튼)을 클릭하면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 답변메세지 :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수신메세지에 대하여 답변메세지를 작성하려면 “답변(팝업창)”을 클릭하여 메세지내용을 입력한 후 전송한다. ⓕ 메세지전달 : 거래처실무자로부터 받은 “수신메세지”를 당해업무와 관련된 자사담당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⑤ 송수신 건수는 자사담당자의 전송메세지 건수는 “S(08)"과 같이 표시되고, 수신메세지 건수는 “R(08)"과 같이 표시된다.
110- 물류업무처리시스템 111- B/L서버
116- B/L데이터베이스 130- 인증시스템
160- 이동통신시스템 170- 회원사단말
171- 화주 172- 항공사
173- 선박회사 174- 포워더
175- 화물운송사 176- 운송주선업자
177- 통관사 178- CY업자
179- 하역업자 180- 검역회사
181- 보험회사 183- 창고업자
190- 데이터 통신방
116- B/L데이터베이스 130- 인증시스템
160- 이동통신시스템 170- 회원사단말
171- 화주 172- 항공사
173- 선박회사 174- 포워더
175- 화물운송사 176- 운송주선업자
177- 통관사 178- CY업자
179- 하역업자 180- 검역회사
181- 보험회사 183- 창고업자
190- 데이터 통신방
Claims (8)
- 국제무역거래에서 항공사 또는 선박회사가 상기 수출국의 상품판매자로부터 수출상품의 선적의뢰를 받아 상기 수입국의 상품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국제운송증권의 항공화물운송장(AWB : Airway Bill) 또는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과 수출국의 상품판매자가 수입국의 상품구매자에게 발행하는 송품장(Commercial Invoice)을 포함하는 선적서류;
상기 선적서류와 관련하여 상기 수출국의 상기 상품판매자인 수출화주와 상기 수입국의 상기 상품구매자인 수입화주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항공화물운송장(AWB)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마스터선하증권(Master B/L) 및 마스터화물인도지시서(Master D/O; Delivery Order)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선박회사, 하우스선하증권(House B/L) 및 하우스 화물인도지시서(House D/O)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포워더, 수출통관 및 수입통관의 업무를 처리하는 통관사, 수출입화물 및 내국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는 화물차운송사,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는 하역업자, 컨테이너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 컨테이너야드(CY), 컨테이너화물을 제외한 일반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 보세창고(CF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류업체;
상기 수출입화주의 화물에 대한 물류업무처리를 위하여 상기 물류업체의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선적서류를 자사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발주처, 상기 자사가 제공한 물류비용전표를 인용하고 상기 자사에게 물류비용을 제공하는 청구처, 상기 자사로부터 상기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고 상기 물류비용을 영수한 후 물류업무처리정보와 상기 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자사에 제공하는 하불처로 구성되는 다중거래처에 대하여;
상기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물류업체들 중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사의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위해 전자 업무요청서 및 전자 업무처리표를 제공하고 상기 물류비용 정산업무를 위해 전자장부 형태의 전자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회원사들이 구비하는 회원사 단말들;
상기 회원사 단말들과 데이터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상기 회원업체로부터 입력되고,
자사코드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정보, 수출입상품정보, 계정과목정보, 업체정보, 업무담당자정보, 차량정보, 선박 및 항공기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초정보,
상기 수출국의 선적요청정보, 선적예약정보, 수출통관정보, 운송요청정보, 운송배차정보, 콘솔요청정보, 콘솔작업정보, 입출고요청정보, 입출고정보, 적하요청정보, 적하작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출화물 물류업무정보 및
상기 수입국의 양하요청정보, 양하작업정보, 화물인도지시서(D/O; Delivery Order)발행요청정보 및 발행정보, 수입통관요청정보, 수입통관정보, 입출고요청정보, 입출고정보, 운송요청정보 및 운송배차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입화물 물류업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하불처에게 위탁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상기 전자업무요청서를 생성하고, 상기 하불처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생성하거나, 상기 발주처로부터 위탁받은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상기 전자업무처리표 및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에 따른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전자물류비용전표 내역, 물류비용 정산결과, 전자물류비용정산서, 전자세금계산서 처리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수출비엘(B/L)정산표 또는 전자수입비엘(B/L)정산표를 생성하여,
상기 자사등록정보 및 사원정보등록에 따라 로그인 된 상기 회원사 단말에 상기 전자업무요청서, 상기 전자업무처리표, 상기 전자수출비엘(B/L)정산표 및 상기 전자수입비엘(B/L)정산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사코드정보는
국가코드, 식별번호 및 자사고유부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사코드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각 회원사 단말에 대해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자사의 물류업무를 처리한 자사담당자 정보를 상기 거래처 단말에 전달,
상기 거래처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거래처실무자 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상기 자사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발주처의 단말에 전달,
상기 자사에 의하여 물류비용이 정산되어 생성되는 상기 물류비용전표, 상기 물류비용정산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청구처의 단말에 전달,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및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물류비용이 정산되어 생성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 상기 전자물류비용정산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는,
상기 수출화주로부터 상기 수출화물의 선적업무를 의뢰받아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 간의 상기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수출화물 물류업무처리정보와,
상기 수입화주로부터 상기 수입화물의 입항업무 및 입출고업무를 의뢰받아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 간의 상기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수입화물 물류업무처리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출화물 업무처리정보는,
상기 수출화주가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원사 단말에 제공하는 선적요청정보,
상기 선적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선적예약처리정보,
상기 수출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가 상기 하불처인 상기 통관사의 단말에 제공하는 수출통관요청정보,
상기 수출통관요청에 따라 상기 통관사의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수출통관업무 정보,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선적을 위하여 상기 하불처인 상기 화물차 운송사의 단말로 전달되는 운송요청정보,
상기 운송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차운송사의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운송배차업무정보,
상기 포워더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보세창고의 단말로 전달되는 콘솔요청정보,
상기 콘솔요청에 따라 상기 보세창고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콘솔작업정보,
상기 항공사 또는 상기 선박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적하요청정보, 및
상기 적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에서 생성되는 적하작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입화물 업무처리정보는,
상기 항공사 또는 상기 선박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양하요청정보,
상기 양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양하작업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는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요청정보,
상기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생성되는 화물인도지시서발행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통관사의 단말로 전달되는 수입통관요청정보,
상기 통관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통관사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수입통관업무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컨테이너야드 또는 상기 보세창고의 단말로 전달되는 입출고요청정보,
상기 입출고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야드 또는 상기 보세창고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입출고업무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화물차운송사 단말로 전달되는 운송요청정보 및
상기 운송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차운송사의 단말로 부터 생성되는 운송배차업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자사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발주처의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하불처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는
상기 자사가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매출전표;
상기 하불처가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청구하는 물류비용을 자사가 대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대납전표;
상기 자사가 상기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매입전표; 및
상기 하불처가 아닌 제3자가 상기 자사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청구하는 물류비용을 하불처가 대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대납전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매출전표, 상기 전자대납전표 및 상기 전자매입전표는 상기 물류비용요율표정보에 등록된 물류비용단가에 따라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상기 물류업무의 처리 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매출전표는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가 상기 수출화물의 상기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선적료;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가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D/O발행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D/O료;
상기 통관사가 상기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통관료;
상기 화물차운송사가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배차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운송료;
상기 컨테이너야드(CY)가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CY료;
상기 보세창고(CFS)가 상기 수출화물의 콘솔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창고료; 및
상기 하역업자가 상기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하역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매입전표는
상기 수출화물의 상기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한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인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선적료;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D/O발행업무를 처리한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인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D/O료;
상기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한 통관사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통관료;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배차업무를 처리한 화물차운송사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운송료;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컨테이너야드(CY)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CY료;
상기 수출화물의 콘솔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보세창고(CFS)에게 지급하는 매입창고료; 및
상기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한 하역업자에게 지급하는 매입하역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비용전표 내역은
상기 자사가 작성하는 상기 전자매출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매출액과 상기 자사가 대납하는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대납금의 정산전도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불처가 작성하는 상기 전자매입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매입액과 상기 하불처가 대납하는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하불처대납금의 정산하불금을 포함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정산전도금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청구처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정산하불금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물류비용 정산결과로
상기 자사매출액의 상기 전자매출전표와,
상기 자사대납금 중에서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할 받을관세의 상기 전자대납전표와,
상기 자사대납금 중에서 받을관세를 제외한 받을대납금의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정산전도금을 산출하여 전자청구처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자사매입액의 상기 전자매입전표와,
상기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할 하불관세의 상기 전자대납전표와,
상기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하불관세를 제외한 하불대납금의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정산하불금을 산출하여 전자하불처원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기준은
상기 업체정보에서 설정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작성일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전송수신처,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전송시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승인방법,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승인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는
상기 자사가 작성한 상기 전자매출전표에서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발행하는 전자매출세금계산서,
상기 자사가 작성한 상기 전자대납전표에서 상기 하불처 또는 제3자가 공급자로 표시되고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표시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를 청구처에게 제공하는 전자대납세금계산서,
상기 하불처가 작성한 상기 전자매입전표에서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자사를 공급받는자로 발행되는 전자매입세금계산서,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작성된 상기 전자대납전표에서 상기 하불처 또는 제3자가 공급자로 표시되고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표시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를 상기 자사에게 제공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매출세금계산서 또는 상기 자사가 상기 청구처에게 제공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의 상기 업무처리기준은 상기 청구처에 의해 설정되어 상기 청구처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전달되고,
상기 전자매입세금계산서 또는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상기 자사에게 제공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의 상기 업무처리기준은 상기 자사에 의해 설정되어 상기 자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17075 | 2010-02-25 | ||
KR1020100017075 | 2010-02-25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2138A Division KR20180072651A (ko) | 2018-06-22 | 2018-06-22 |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7731A true KR20110097731A (ko) | 2011-08-31 |
Family
ID=4493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7168A KR20110097731A (ko) | 2010-02-25 | 2011-02-25 |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97731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140528A1 (en) * | 2014-06-30 | 2016-05-19 | Ahmed Farouk Shaaban | Client Entry and Maintenance System for Timekeeping and Billing for Professional Services System and Method |
KR20160122430A (ko) | 2015-04-14 | 2016-10-24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창고 내 최적 위치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
KR20190050675A (ko)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에이티피 | 온라인 수입축산물 권원 조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권원 조사 방법 |
WO2019098416A1 (ko) * | 2017-11-15 | 2019-05-23 | (주) 더존비즈온 | 오토 포스팅 시스템 및 방법 |
CN110969422A (zh) * | 2018-09-29 | 2020-04-07 | 马震 | 具有缴费功能的国际物流线上第三方业务综合服务系统及方法 |
WO2021157754A1 (ko) * | 2020-02-05 | 2021-08-12 | 주식회사 오토위니 |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JP7378185B1 (ja) * | 2023-03-10 | 2023-11-13 | 株式会社Edaha | 業務管理システム、業務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102612583B1 (ko) * | 2023-05-16 | 2023-12-12 | 주식회사 오토위니 | 수출을 위한 면허 대행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617309B1 (ko) * | 2023-05-04 | 2023-12-21 | 임준석 | 항공화물 종합 운송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항공화물 운송절차 관리방법 |
CN117817271A (zh) * | 2023-12-22 | 2024-04-05 | 新蔚来智能科技(山东)有限公司 |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预制构件的生产方法 |
-
2011
- 2011-02-25 KR KR1020110017168A patent/KR201100977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140528A1 (en) * | 2014-06-30 | 2016-05-19 | Ahmed Farouk Shaaban | Client Entry and Maintenance System for Timekeeping and Billing for Professional Services System and Method |
KR20160122430A (ko) | 2015-04-14 | 2016-10-24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창고 내 최적 위치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
KR20190050675A (ko)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에이티피 | 온라인 수입축산물 권원 조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권원 조사 방법 |
WO2019098416A1 (ko) * | 2017-11-15 | 2019-05-23 | (주) 더존비즈온 | 오토 포스팅 시스템 및 방법 |
CN110969422A (zh) * | 2018-09-29 | 2020-04-07 | 马震 | 具有缴费功能的国际物流线上第三方业务综合服务系统及方法 |
WO2021157754A1 (ko) * | 2020-02-05 | 2021-08-12 | 주식회사 오토위니 | 자동차 무역 중개 플랫폼 시스템, 자동차 무역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JP7378185B1 (ja) * | 2023-03-10 | 2023-11-13 | 株式会社Edaha | 業務管理システム、業務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102617309B1 (ko) * | 2023-05-04 | 2023-12-21 | 임준석 | 항공화물 종합 운송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항공화물 운송절차 관리방법 |
KR102612583B1 (ko) * | 2023-05-16 | 2023-12-12 | 주식회사 오토위니 | 수출을 위한 면허 대행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CN117817271A (zh) * | 2023-12-22 | 2024-04-05 | 新蔚来智能科技(山东)有限公司 |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预制构件的生产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inkelman | Dictionary of international trade | |
KR20110097731A (ko) |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
US5666493A (en) |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order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 |
US20060218058A1 (en) |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Orders | |
US20200134551A1 (en) | System for facilitating international trade and method | |
KR20180072651A (ko) |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
WO2004001639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unding of trade | |
KR20100024907A (ko) |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
Murray et al. | Materials Management with SAP ERP: Functionality and Technical Configuration | |
Luk | International trade finance: A practical guide | |
Hinkelman et al. | A short course in international trade documentation: the documents of exporting, importing, transportation and banking | |
Hinkelman | A Short Course in International Payments: How to Use Letters of Credit, D/P and D/A Terms, Prepayment, Credit, and Cyberpayments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 |
Cook | Compliance in today's global supply chain | |
Chelba et al. | Accounting practices regarding the means of operation with cash flows | |
Customs et al. | Networked Trade Platform | |
Revenues et al. | Ethiopian customs guide | |
Lock | Controlling purchasing | |
Degtyareva | International Trade Purchase and Sale Transactions | |
Edjigu et al. | Trade Finance in Ethiopia: Exploring the Challenges and Possible Solutions1 | |
Yarova et al. | Management of International Trade | |
Branch | Processing the export order | |
JP2002073760A (ja) | 貿易統合システム | |
Petkevičiūtė–Stručko et al. | The complexity effect of freight forwarding trade instruments in project logistics | |
Gusso | Optimization of administrative processes in beer export: a case study | |
Gupta et al. | An assessment of chennai port customs clearance oper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