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651A -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651A
KR20180072651A KR1020180072138A KR20180072138A KR20180072651A KR 20180072651 A KR20180072651 A KR 20180072651A KR 1020180072138 A KR1020180072138 A KR 1020180072138A KR 20180072138 A KR20180072138 A KR 20180072138A KR 20180072651 A KR20180072651 A KR 2018007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information
company
terminal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구
Original Assignee
김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구 filed Critical 김명구
Priority to KR102018007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2651A/ko
Publication of KR2018007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물류비용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Unified Managementing System For B/L Physical Distribution Of Multiple Connection}
본 발명은 상품의 수출입에 따른 정산업무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물류 비용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다중거래처의 선하증권 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입 및 수출을 통한 물류 및 상품 거래에 있어서는 선하증권(또는 화물운송증권, Bill Of Lading, 이하 "B/L"이라 함)이라는 선박회사 또는 항공사와 같이 화물을 국제운송하는 운송사에서 발생하는 선적서류가 수반된다. 이러한 B/L은 무역거래에서 물류업의 기준으로써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하역업자, 컨테이너야드(CY- Container Yard)업자, 창고업자, 검역업자, 보험회사, 검수회사에 의한 각 단계별 B/L정산에 의해 각각 처리되고 있다.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각 업체들은 B/L업무와 관련하여 각각의 업체가 담당하는 역할이 상이하며, 각 업체들이 담당업무에 있어서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다중거래관계(발주처, 청구처, 자사, 하불처)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B/L은 각 단계별로 담당업체에 의해 정산되어 처리되고 비용의 지불 및 청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다양한 업체들에 의해 B/L정산이 개별적으로 진행됨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류업무처리에 있어서 실시간 정보 공유가 불가능하다. 수출선적 및 수입 업무에 있어서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화물의 콘솔(집하) 정보, 선적정보 및 입출항정보를 해외바이어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지 못하거나, 국내 수입자가 외국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물류업체간에도 실시간 정보 공유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보세구역에서 화물을 반출하여 인도기한내에 화주에게 배송하려면 업무처리에 관한 진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야하지만, 현재의 물류처리체계에서는 이러한 확인을 전화, 메신저, 팩스와 같은 수단을 통해 상대방이 확인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실시간 정보 반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다양한 업체의 참여에 의한 복잡한 처리절차로 인해 물류업무처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물류업무 하청단계에서 내부 통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현행의 물류업무에서는 하청단계에 대하여 화물유통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물류보안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직원에 있어서도 적절한 책임 및 권한의 부여가 곤란하여, 업무영역에서의 처리권한 및 책임소재도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러한 책임소재 규정의 곤란함으로 인해, 물류 배송에서 무책임에 의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시 책임전가로 인한 사고처리의 지연 및 원할하지 못한 처리의 진행등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정산서의 발송시 많은 불편이 초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출선적업무 및 화물인도지서 업무, 물류비용 정산서와 거래명세서나 세금계산서와 같은 증빙서류의 처리에 있어서, FAX 또는 우편으로 복수의 대상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서류전달의 누락 및 지연이 발생하여, 관련업체의 업무처리에 있어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적서류를 이용한 물류비용 정산은 담당업체 개별적으로 수작업에 의한 정산 또는 간단한 프로그램에 의해 정산하게 됨으로써, 미결제 금액이 누락된 채 장부마감이 이루어지거나, 관련업체 간의 정산내역이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특히, 화주의 영업비밀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세구역과 같은 곳에서 화물을 반출하기 위하여는 통관사에 의하여 발급된 수입면장에 대하여 물류업무 하청단계마다 사본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본의 요구시 우편이나 팩스를 이용한 송달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항목 예를들어, 해외거래처, 품명, 규격, 수량, 단가, 금액과 같은 사항이 사본의 전달과정에서 노출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 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선적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유통이력의 확인 및 책임소재를 명확히 함과 아울러, 업무 담당자의 책임한계를 정확히 하여 물류업무의 책임있는 처리를 도모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물류업무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거래처 간의 불편한 증빙서류 교환 및 교환절차를 최소화하고, 업무처리에 필요한 서류의 편리한 발급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산 작업의 자동화 및 공동정산을 통한 정산 오류, 누락 및 분쟁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국제무역거래에서 항공사 또는 선박회사가 상기 수출국의 상품판매자로부터 수출상품의 선적의뢰를 받아 상기 수입국의 상품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국제운송증권의 항공화물운송장(AWB : Airway Bill) 또는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과 수출국의 상품판매자가 수입국의 상품구매자에게 발행하는 송품장(Commercial Invoice)을 포함하는 선적서류; 상기 선적서류와 관련하여 상기 수출국의 상기 상품판매자인 수출화주와 상기 수입국의 상기 상품구매자인 수입화주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항공화물운송장(AWB)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마스터선하증권(Master B/L) 및 마스터화물인도지시서(Master D/O; Delivery Order)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선박회사, 하우스선하증권(House B/L) 및 하우스 화물인도지시서(House D/O)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포워더, 수출통관 및 수입통관의 업무를 처리하는 통관사, 수출입화물 및 내국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는 화물차운송사,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는 하역업자, 컨테이너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 컨테이너야드(CY), 컨테이너화물을 제외한 일반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 보세창고(CF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류업체; 상기 수출입화주의 화물에 대한 물류업무처리를 위하여 상기 물류업체의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선적서류를 자사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발주처, 상기 자사가 제공한 물류비용전표를 인용하고 상기 자사에게 물류비용을 제공하는 청구처, 상기 자사로부터 상기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고 상기 물류비용을 영수한 후 물류업무처리정보와 상기 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자사에 제공하는 하불처로 구성되는 다중거래처에 대하여; 상기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물류업체들 중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사의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위해 전자 업무요청서 및 전자 업무처리표를 제공하고 상기 물류비용 정산업무를 위해 전자장부 형태의 전자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회원사들이 구비하는 회원사 단말들; 상기 회원사 단말들과 데이터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상기 회원업체로부터 입력되고, 기초정보, 수출화물 물류업무정보 및 수입화물 물류업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하불처에게 위탁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는 발주처로부터 전송받은 물류업무 중 자사가 처리하는 자사의 물류업무를 제외한 다른 물류업무를 하불처로 위탁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제1물류위탁과; 다른 물류업무를 위탁받은 상기 하불처는 자사가 되고 물류업무를 위탁한 자사는 발주처가 되어, 자사가 처리하는 자사의 물류업무를 제외한 또다른 물류업무를 하불처로 재위탁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제2물류위탁과; 더 이상의 하불처가 없을때까지 물류업무의 위탁에 따라 자사가 발주처가 되고 하불처가 자사가 되는 물류위탁이 반복되며; 물류업무를 재위탁받은 하불처는 전자물류비용전표가 포함된 전자물류비용정산서를 자사에게 전달하며, 자사는 하불처로부터 전달받은 전자물류비용전표가 포함된 전자물류비용정산서에 자사매출의 물류비용전표를 포함시켜 청구처에게 전자물류비용전표가 포함된 전자물류비용정산서를 전송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하불처에게 위탁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전자업무요청서를 생성하고, 하불처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생성하거나, 상기 발주처로부터 위탁받은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상기 전자업무처리표 및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에 따른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전자물류비용전표 내역, 물류비용 정산결과, 전자물류비용정산서, 전자세금계산서 처리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수출비엘(B/L)정산표 또는 전자수입비엘(B/L)정산표를 생성하여, 상기 자사등록정보 및 사원정보등록에 따라 로그인 된 상기 회원사 단말에 상기 전자업무요청서, 상기 전자업무처리표, 상기 전자수출비엘(B/L)정산표 및 상기 전자수입비엘(B/L)정산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초정보는 자사코드(물류북코드)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정보, 수출입상품정보, 계정과목정보, 업체정보, 업무담당자정보, 차량정보, 선박 및 항공기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수출화물 물류업무정보는 수출국의 선적요청정보, 선적예약정보, 수출통관정보, 운송요청정보, 운송배차정보, 콘솔요청정보, 콘솔작업정보, 입출고요청정보, 입출고정보, 적하요청정보, 적하작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며.
상기 수입화물 물류업무정보는 수입국의 양하요청정보, 양하작업정보, 화물인도지시서(D/O; Delivery Order)발행요청정보 및 발행정보, 수입통관요청정보, 수입통관정보, 입출고요청정보, 입출고정보, 운송요청정보 및 운송배차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자사코드(물류북코드)정보는 국가코드, 식별번호 및 자사고유부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사코드(물류북코드)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각 회원사 단말에 대해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자사의 물류업무를 처리한 자사담당자 정보를 상기 거래처 단말에 전달, 상기 거래처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거래처실무자 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상기 자사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발주처의 단말에 전달, 상기 자사에 의하여 물류비용이 정산되어 생성되는 상기 물류비용전표, 상기 물류비용정산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청구처의 단말에 전달,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및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물류비용이 정산되어 생성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 상기 전자물류비용정산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는, 상기 수출화주로부터 상기 수출화물의 선적업무를 의뢰받아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 간의 상기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수출화물 물류업무처리정보와, 상기 수입화주로부터 상기 수입화물의 입항업무 및 입출고업무를 의뢰받아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 간의 상기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수입화물 물류업무처리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출화물 업무처리정보는, 상기 수출화주가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원사 단말에 제공하는 선적요청정보, 상기 선적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선적예약처리정보, 상기 수출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가 상기 하불처인 상기 통관사의 단말에 제공하는 수출통관요청정보, 상기 수출통관요청에 따라 상기 통관사의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수출통관업무 정보,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선적을 위하여 상기 하불처인 상기 화물차 운송사의 단말로 전달되는 운송요청정보, 상기 운송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차운송사의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운송배차업무정보, 상기 포워더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보세창고의 단말로 전달되는 콘솔요청정보, 상기 콘솔요청에 따라 상기 보세창고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콘솔작업정보, 상기 항공사 또는 상기 선박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적하요청정보, 및 상기 적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에서 생성되는 적하작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입화물 업무처리정보는, 상기 항공사 또는 상기 선박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양하요청정보, 상기 양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양하작업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는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요청정보, 상기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생성되는 화물인도지시서발행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통관사의 단말로 전달되는 수입통관요청정보, 상기 통관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통관사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수입통관업무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컨테이너야드 또는 상기 보세창고의 단말로 전달되는 입출고요청정보, 상기 입출고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야드 또는 상기 보세창고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입출고업무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화물차운송사 단말로 전달되는 운송요청정보 및 상기 운송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차운송사의 단말로 부터 생성되는 운송배차업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자사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발주처의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하불처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제공된다.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는 상기 자사가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매출전표; 상기 하불처가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청구하는 물류비용을 자사가 대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대납전표; 상기 자사가 상기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매입전표; 및 상기 하불처가 아닌 제3자가 상기 자사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청구하는 물류비용을 하불처가 대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대납전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매출전표, 상기 전자대납전표 및 상기 전자매입전표는 상기 물류비용요율표정보에 등록된 물류비용단가에 따라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상기 물류업무의 처리 후 생성된다.
상기 전자매출전표는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가 상기 수출화물의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선적료;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가 상기 수입화물의 D/O발행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D/O료; 상기 통관사가 상기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통관료; 상기 화물차운송사가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배차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운송료; 상기 컨테이너야드(CY)가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CY료; 상기 보세창고(CFS)가 상기 수출화물의 콘솔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창고료; 및 상기 하역업자가 상기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하역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매입전표는 상기 수출화물의 상기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한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인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선적료;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D/O발행업무를 처리한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인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D/O료; 상기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한 통관사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통관료;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배차업무를 처리한 화물차운송사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운송료;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컨테이너야드(CY)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CY료; 상기 수출화물의 콘솔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보세창고(CFS)에게 지급하는 매입창고료; 및 상기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한 하역업자에게 지급하는 매입하역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물류비용전표 내역은 상기 자사가 작성하는 상기 전자매출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매출액과 상기 자사가 대납하는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대납금의 정산전도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불처가 작성하는 상기 전자매입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매입액과 상기 하불처가 대납하는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하불처대납금의 정산하불금을 포함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정산전도금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청구처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정산하불금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한다.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물류비용 정산결과로 상기 자사매출액의 상기 전자매출전표와, 상기 자사대납금 중에서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할 받을관세의 상기 전자대납전표와, 상기 자사대납금 중에서 받을관세를 제외한 받을대납금의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정산전도금을 산출하여 전자청구처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자사매입액의 상기 전자매입전표와, 상기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할 하불관세의 상기 전자대납전표와, 상기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하불관세를 제외한 하불대납금의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정산하불금을 산출하여 전자하불처원장을 생성한다.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처리기준은 상기 업체정보에서 설정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작성일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전송수신처,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전송시점,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승인방법, 상기 전자세금계산서의 승인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는 상기 자사가 작성한 상기 전자매출전표에서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발행하는 전자매출세금계산서, 상기 자사가 작성한 상기 전자대납전표에서 상기 하불처 또는 제3자가 공급자로 표시되고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표시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를 청구처에게 제공하는 전자대납세금계산서, 상기 하불처가 작성한 상기 전자매입전표에서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자사를 공급받는자로 발행되는 전자매입세금계산서,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작성된 상기 전자대납전표에서 상기 하불처 또는 제3자가 공급자로 표시되고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를 공급받는자로 표시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를 상기 자사에게 제공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매출세금계산서 또는 상기 자사가 상기 청구처에게 제공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의 상기 업무처리기준은 상기 청구처에 의해 설정되어 상기 청구처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전달되고, 상기 전자매입세금계산서 또는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상기 자사에게 제공되는 상기 전자대납세금계산서의 상기 업무처리기준은 상기 자사에 의해 설정되어 상기 자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화물유통이력의 확인 및 책임소재를 명확히 함과 아울러, 업무 담당자의 책임한계를 정확히 하여 물류업무의 책임있는 처리를 도모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물류업무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다중 거래처 간의 불편한 증빙서류 교환 및 교환절차를 최소화하고, 업무처리에 필요한 서류의 편리한 발급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산 작업의 자동화 및 공동정산을 통한 정산 오류, 누락 및 분쟁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다중거래처의 선하증권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의 일례에 다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류업무 처리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다중거래처에게 업체코드로 제공되는 자사코드(물류북코드)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자사의 부서현황을 관리하는 조직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사원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사원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자사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물류비용전표에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5는 물류비용 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9는 선박회사 및 포워더가 수출화물과 수입화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선적료요율표 및 D/O비용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수입화물의 물류업무처리가 지연되어 프리타임(Free Time)이경과된 선사체화로 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통관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통관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운송사가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운송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항공사의 항공화물 및 선박회사의 선박화물의 하역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하역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컨테이너야드(CY)가 컨테이너화물의 입출고 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CY비용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는 보세창고(CFS)가 컨테이너화물을 제외한 일반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창고료요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 내지 도 19는 상품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16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은 《상품목록》에서 상품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8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단가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9는 상품단가표의 상품등록정보에서 상품단가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0 내지 도25은 업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0은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데 관련된 《물류거래처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1은 《물류거래처목록》에서 발주처로부터 물류업무처리를 위임받은 수출입화주에 대하여 수출입화주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2는 수출입화주등록에서 하불처의 물류하청업무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3은 수출입화주등록의 발주처지정에서 발주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4는 수출입화주등록의 청구처지정에서 청구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5는 수출입화주등록의 하불처지정에서 하불처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6 내지 도 27는 업무담당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6은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자사의 《업무담당자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7은 《업무담당자목록》에서 업무담당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8 내지 도 29는 상품재고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28은 수출입화주가 구매하고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재고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9는 수출입화주의 회원가입시 《상품재고목록》에서 재고상품의 원시재고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0 내지 도 34는 송품장(상업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0은 수출입화주가 상품을 수출하기 위한 《상업송장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1은 《상업송장목록》에서 수출상품의 송품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2는 송품장에서 포장번호 및 포장갯수를 지정하는 포장명세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3은 송품장의 포장명세표에서 포장별품목배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4는 송품장 포장명세표의 포장별품목배정표에서 품목별판매량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5 내지 도 38은 선적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5는 수출화주가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수출상품의 선적을 요청하는 《선적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6은 《선적요청목록》에서 선적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7은 《선적요청목록》의 선적요청서에서 컨테이너배정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8은 《Booking목록》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선적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선적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9 내지 도 42는 콘솔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39는 포워더가 보세창고에게 컨테이너의 콘솔작업을 요청하는 《콘솔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0은 《콘솔요청목록》에서 콘솔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1은 포워더가 콘솔컨테이너의 SPACE를 제3자의 포워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콘솔SPACE공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2는 《콘솔SPACE공개목록》에서 콘솔SPACE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3 내지 도 45는 B/L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3은 발주처로부터 수입화물의 물류업무처리를 위임받은 B/L정보가 표시된 《수입B/L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4는 《수입B/L목록》에서 선하증권(Bill of Lading)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5는 《수입B/L목록》에서 발주처로부터 받은 종이B/L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B/L정보입력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6 내지 도 48은 D/O(Delivery Order)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6은 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요청하는 《D/O발행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7은 《D/O발행요청목록》에서 D/O발행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8은 《D/O발행목록》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가 D/O발행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D/O비용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9 내지 도 51은 수출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49는 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통관사에게 수출통관업무를 요청하는 《수출통관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0은 《수출통관요청목록》에서 수출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1은 《수출통관목록》에서 통관사가 수출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수출통관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2 내지 도 55는 수입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2는 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통관사에게 수입통관업무를 요청하는 《수입통관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3은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통관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4는 《수입통관요청목록》에서 수입관세 대납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5는 《수입통관목록》에서 통관사가 수입통관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수입통관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6 내지 도 59는 컨테이너(FCL)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6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컨테이너운송사에게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요청하는 《FCL운송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7은 《FCL운송요청목록》에서 FCL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8은 《FCL운송요청목록》의 FCL운송요청서에서 운송FCL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9는 《FCL운송목록》에서 운송사가 FCL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FCL운송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0 내지 도 64는 트럭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0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트럭운송사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운송업무를 요청하는 트럭운송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1은 《트럭운송요청목록》에서 트럭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2는 《트럭운송목록》에서 트럭운송배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3은 《트럭운송목록》의 운송배차표에서 차량별화물적재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4는 《트럭운송목록》에서 트럭운송사가 운송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트럭운송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5 내지 도 67은 하역(적하 또는 양하)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5는 선박회사가 하역회사에게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요청하는 《하역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6은 《하역요청목록》에서 수입화물의 양하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7은 《하역작업목록》에서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양하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8 내지 도 72는 컨테이너(FCL)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68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컨테이너야드(CY)에게 컨테이너 출고업무를 요청하는 《FCL출고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9는 《FCL출고요청목록》에서 FCL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0은 《FCL출고요청목록》의 FCL출고요청서에서 출고컨테이너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 71은 《FCL출고요청목록》의 FCL출고요청서에서 컨테이너별 출고요청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2는 《FCL출고목록》에서 컨테이너야드(CY)가 FCL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FCL출고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3 내지 도 78은 보세창고(CFS)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73은 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가 보세창고(CFS)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출고업무를 요청하는 《CFS출고요청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4는 《CFS출고요청목록》에서 CFS출고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5는 《CFS출고요청목록》의 CFS출고요청서에서 화물수취인별 출고량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6은 《CFS출고목록》에서 출고상차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7은 《CFS출고목록》의 CFS출고상차표에서 차량별 화물적재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8은 《CFS출고목록》에서 보세창고(CFS)가 CFS출고업무를 처리하는데 발생되는 CFS출고료매출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9 내지 도 80은 수출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79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의 Booking업무처리, 통관사의 수출통관업무처리, 운송사의 운송업무처리, 하역회사의 적하업무처리, 컨테이너야드(CY)의 출고업무처리, 보세창고(CFS)의 콘솔업무처리에서 발생되는 매출전표와 물류업무요청자의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되어 수출비용을 정산하는 《수출B/L정산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0은 《수출B/L정산목록》에서 수출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1 내지 도 82는 수입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81은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의 D/O발행업무처리, 통관사의 수입통관업무처리, 운송사의 운송업무처리, 하역회사의 양하업무처리, 컨테이너야드(CY)의 출고업무처리, 보세창고(CFS)의 출고업무처리에서 발생되는 매출전표와 물류업무요청자의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집합되어 수입비용을 정산하는 《수입B/L정산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2는 《수입B/L정산목록》에서 수입B/L정산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3은 《수출B/L정산목록》 및 《수입B/L정산목록》에서 물류비용견적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4는 《수출B/L정산목록》 및 수입B/L정산목록》에서 물류비용정산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5 내지 도 92은 물류비용장부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85는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물류비용전표가 표시되는 《물류거래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6은 《물류거래장》에서 물류비용의 미결제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7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견적하불금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8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할 견적전도금영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9는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정산하불금지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0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할 정산전도금영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1은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의 견적하불금지급 또는 정산하불금지급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할 물류비용의 출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2는 《물류거래장》의 미결제현황의 견적전도금영수 또는 정산전도금영수에서 청구처로부터 영수한 물류비용의 입금전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3 내지 도 95는 전자세금계산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93은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운송사, 하역회사, 컨테이너야드(CY), 보세창고(CFS)등의 물류업체가 《업무처리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물류비용을 청구하는 매출전표에서 생성되는 매출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4는 수출입화주 또는 업무요청자가 《업무요청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물류업체로부터 수취한 매입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5는 수출입화주 또는 업무요청자가 《업무요청목록》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물류업체로부터 수취한 대납세금계산서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6은 자사의 자산과 부채 및 일반관리비의 입출금전표가 표시되는 《일계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7은 자사견적서의 견적전도금, 자사정산서의 정산전도금, 하불처견적서의 견적하불금, 하불처정산서의 정산하불금, 일계장의 입출금전표가 표시되는 《입출금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8 내지 도99는 업무처리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98은 업무요청업체의 담당자와 업무처리업체의 담당자 상호간의 《메세지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9는 《메세지목록》의 업무처리메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출입상품의 수출 및 수입에 따른 선적서류의 처리와 그에 따른 물류비용의 정산을 위한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과 프로그램은 물류업무처리에 관여하는 여러 업체들이 하나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각자의 장부를 통해 자사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장부의 기재사항 중 관련업체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물류업무 처리의 신속성,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과 프로그램은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서버에 접근하여 업무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회원사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은 컴퓨터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각종 단말들,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의 휴대단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의 연결에 의해 물류업무처리가 가능한 단말들을 포함한다. 이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광학디스크, 착탈식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다양한 단말에 연결됨으로써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물류업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정의를 선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선적서류(B/L 및 송품장)는 국제운송화물에 대해 선박회사 또는 항공사가 발행하는 화물운송증권(B/L)과 송품장(Invoice)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물류비용 및 물류업무는 이러한 선적서류를 이용하여 상품을 수입/수출하는 일련의 과정에 소용되는 비용 및 업무처리를 의미한다. 물류비용은 상품의 수출/수입에 소용되는 비용(관세, 선적료 또는 D/O(Delivery Order)료, 운송료, 통관료, 하역료, 창고료, CY비용, 검역료, 취급수수료(H/C- Handling Charge), 보수작업비, 검수료, 적하보험료)을 의미한다.
B/L정산표는 선적서류의 업무처리 및 그에 따른 물류비용의 정산업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웹장부 서비스를 의미한다. 회원사들은 B/L정산표를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받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B/L정산표는 회원사단말을 통해 표시장치로 출력되어 회원사의 담당사원에 의해 각종 물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필드를 제공한다. 이 B/L정산표는 입력되는 항목을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물류비용 정산, 물류업무 정보공유, 거래전표의 인용 및 저장에 의해 데이터화하고, 업체간 정보 인용 및 공유를 위해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B/L정산표는 실제적으로 프로그램,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물류처리시스템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B/L정산표는 자동 정산 및 정보제공이 가능한 웹장부라는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며, 구체적인 알고리즘의 수행에 대해서는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B/L정산표는 실제 장부와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웹장부를 가지며, 이들은 입력메뉴에 따라 선택, 생성되어 이용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각종 원장은 B/L정산표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형태의 장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업체는 본 시스템에서 화주와 거래처를 의미한다.
다중거래처는 선적국의 판매자와 수입국의 구매자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를 위하여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통관사, 하역업자, CY업자, 창고업자, 검역회사, 보험회사, 검수회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거래처 상호 간에 청구처와 하불처의 관계를 가지는 거래처들도 자사의 장부(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의 열람이 허용되고, 자사의 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출금전표)의 제공이 가능하다.
수출입화주는 상품을 판매(수출)하거나 구매(수입)을 주로하는 무역업체이다. 발주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물류공급망에서 선적서류(B/L, invoice)를자사에게 제공하면서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거래처이다. 청구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물류공급망에서 물류비용(결제대금)을 자사에게 지불하는 업체이다. 직접수출입을 하는 송하인(Shipper)과 수하인(Consignee)은 발주처와 청구처가 동일하지만 수출입대행관계에 있어서는 수출입대행자가 발주처이고 수출입위탁자가 청구처로 표시된다. 하불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물류공급망에서 자사로부터 선적서류와 물류빙용을 제공받고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는 업체이다.
거래처는 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를 의미한다. 업체는 수출입화주와 걸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를 합하여 업체라고 한다. 하청단계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선적서류가 제공되는 하청관계(예 송하인→포원더→통관사→운송사→창고)에 있어, 포워더가 자사일 때 송하인이 발주처이고 통관사는 하불처가 되고, 통관사가 자사일 때 포워더가 발주처이고 운송사는 하불처가 되며, 운송사가 자사 일 때 통관사가 발주처이고 창고는 하불처가 된다. 회원사는 본시스템 회원가입하여 로그인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업체(수출입화주, 발주처, 청구처, 하불처)이다.
받을관세는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의 금액이다. 받을대납금은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자사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의 금액이다. 자사대납금은 하불처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서 제3자(수출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발행된 세금계산서의 “합계금액”이며 자사가 하불처에게 대납한 금액으로서 청구처로부터 받을 돈이다. 정산전도금은 받을관세와 받을대납금의 합계금액(자사대납금)에 자사매출액이 합산된 금액이다. 하불관세는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관세”의 금액이다. 하불대납금은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하불처대납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물류비용의 금액이다. 하불처대납금은 하불처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서 제3자(수출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발행한 세금계산서의 “합계금액”이며 자사를 위하여 하불처가 대납한 금액으로서 자사가 하불처에게 지급할 돈이다. 정산하불금은 하불관세와 하불대납금의 합계금액(하불처대납금)에 자사매입액이 합산된 금액이다. 받은전도금은 청구처로부처 수령한 “정산전도금”이다. 지급하불금은 하불처에게 지급한 “정산하불금”이다. 청구처원장은 자사의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에서 자사매출액(매출전표)과 자사대납금(대납전표)이 표시된 후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의 《물류거래장》에서 “청구처원장”이 생성된다. 하불처원장은 하불처의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에서 “하불처”가 자사매출액(매출전표)과 자사대납금(대납전표)을 입력한 후 “정산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자사”의《물류거래장》에서 “하불처원장”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인용"은 다른 전표, 표 등에 기록된 항목을 회원의 단말에서 작성되는 전표, 표, 등록 정보와 같은 항목에 불러오는 것을 의미한다. 인용은 권한 설정에 의해 허가된 회원에게만 전달되며, 자사의 경우 청구처의 정보를 인용하고, 하불처의 경우 자사의 정보를 인용할 수 있으며, 자사의 경우 청구처와 하불처의 정보를 인용할 수 있다.
"제공"은 회원의 단말에서 작성된 표, 전표, 등록 정보의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다른 회원의 단말 또는 회원의 전표, 표, 등록 정보에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허가된 회원에게만 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용과 제공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과 각 단말 사이에 이루어지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의해 한 회원사의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다른 회원의 단말로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각종 전표, 내역서, 처리표, 각종 서류는 컴퓨터 단말을 통해 처리가능한 전자문서 형태로 제공되며, 회원사는 각 단말에 연결된 프린터와 같은 부가장치에 의해 실물로 출력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전자전표 또는 전산전표인 것으로 간주하여 상세한 설명을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하증권 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의 일례에 다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 인증시스템(130), 이동통신시스템(150), 회원사단말(170) 및 데이터통신망(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전자장부 형태의 B/L정산표를 회원사단말들(17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B/L정산표의 제공, 항목 입력에 따라 데이터처리를 위한 B/L서버(111)와 B/L서버(111)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B/L 데이터베이스(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회원자격으로 등록된 회원사단말(170)에 대해 물류업무처리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회원사단말(170) 간의 권한 제한,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전자정산서류의 자동생성 및 항목인용에 의한 자동작성, 알림장/팝업창과 같은 전자페이지에 의한 정보 및 필요서류의 제공, 보안인증에 의한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 설정에 따른 업무 분장이 가능한 전자B/L정산표를 각 회원사단말들(170)에 제공한다. 특히,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이러한 B/L정산표를 통합된 전자장부의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회원사 및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설정 및 인증을 위한 인증시스템(130), 실시간 정보 전달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회원사단말(170)과 데이터 통신망(19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B/L정산표는 상품의 수입 및 수출을 위한 물류처리 과정에 필요한 각종 장부 및 서류의 작성과 발급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장부이다. 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B/L정산표는 거래처원장, 세금계산서, 일계장, 배차표, 운송장, 각종 전표의 작성 및 발급 외에도, B/L정산표를 이용하는 회원사의 회원정보, 회원사의 담당자 정보 및 권한, 회원사의 개별적인 회계결산, 상호 거래처를 형성하는 회원사 간의 정보 공유와 같은 회계관련 업무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장부이다. 이러한 B/L정산표는 회원사들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 및 접속과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개발 및 이용이 가능하며, 반드시 웹페이지 형태로 이용이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B/L서버(111)와 B/L 데이터베이스(116)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B/L 데이터베이스(116)에는 B/L정산표의 실행을 위한 실행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B/L데이터베이스(116)에는 회원사들이 B/L정산표를 통해 물류업무처리를 처리하도록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B/L물류업무 처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정보와 회원사들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업무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원사들의 회원가입 정보는 회원사 각각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별도로 회원가입 정보와 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구분하여 설명하지는 않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정보는 전자B/L정산표 즉,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의 이용 및 물류처리를 위한 기본정보, 물류처리에 필요한 권한 및 설정이 저장되는 설정정보, 실제적인 물류처리에 있어서 회원사들로부터 입력되는 물류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제로,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되는 B/L정산표의 입력필드에 회원사들이 회원사단말들(170)을 통해 입력되는 모든 내용은 B/L데이터베이스(160)에 데이터로 저장된다. 일례로 B/L데이터베이스(116)에는 회원사별정보, 장부 및 전표데이터, 품목정보, 수출입상품정보, 단가 정보, 계정과목 정보, 회원사별 거래업체 정보, 운송차량 정보와 같은 정보들이 저장되어 유지된다.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대표적인 항목의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원사별정보는 회원사 자사의 업체정보, 자사의 거래처 정보, 자사에서 거래처에 제공할 정보 및 거래처로부터 인용할 정보에 대한 설정정보, 회원사별 담당자의 정보와 같은 회원사 관련정보이다. 장부 및 전표데이터는 회원사별로 관리되는 정보로써, 회원사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등록된 이후에 처리한 장부와 물류처리에 따라 발생한 전표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이러한 장부 및 전표 정보는 일정기간 예를 들어 세무조사 대상이 되는 5년 동안의 데이터가 전부 보관이 되며, 일정 기간이 지난 장부는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의해 자동으로 장부잔액이 이월되면서 삭제된다. 또한, 품목정보는 회원사가 처리하는 물류품목 및 품목에 따른 요율표정보가 저장된다. 물류품목은 회원사가 담당하는 물류처리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운송, 통관, 보관, 검역, 하역과 같은 항목이 입력된다. 요율표는 자사가 청구처 또는 하불처에 자사의 품목에 따라 요청하는 요금이 기재된 것으로, 거래처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자사요율표와 특정 업체별로 적용되는 업체요율표를 포함한다. 계정과목정보는 정산이 필요한 항목, 장부에 관한 정보이다. 계정과목정보는 크게 거래장 계정, 일계장과 같은 대분류와 이에 따라 부속장부를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물류거래장과 상품거래장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계정과목정보는 시스템 계정과목정보와 사용자 계정과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스템 계정과목은 회원사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회원사에 의한 삭제 및 수정이 불가능하고, 사용자 계정과목은 회원사 각각의 고유한 계정으로써 회원사에 의한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한 항목이다.
특히,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는 회원사들 간 물류업무의 용이한 처리를 위해 기초정보, 물류업무처리정보가 등록되어 관리된다.
기초정보는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을 이용하여 물류업무처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본정보로써, 자사코드(또는 '물류북코드')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 수출입상품, 계정과목, 업무담당자, 차량정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사코드(물류북코드)정보는 물류업무처리스스템(110)에 가입된 회원사들을 구분하기 위한 업체코드로써 전산상에서 자사를 대표함과 아울러, 거래처 간의 업체구분을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사원정보 및 업무정보는 물류업무를 담당하거나 관리하는 사원들의 정보 및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물류업무 처리에 있어서 책임 및 한계를 설정하여 작성되는 정보이다. 이외에 물류비용요율표, 수출입상품, 계정과목 정보는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물류업무처리정보는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로써, 수출화물 물류정보와 수입화물물류정보를 포함한다.
수출화물 물류정보는 선적요청, 선적예약, 수출통관, 운송요청, 운송배차, 콘솔요청, 콘솔작업, 입출고요청, 입출고, 적하와 관련된 정보이며, 수출화물의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정보이다.
수입화물 물류정보는 양하, 양하작업, 화물인도지시서, 수입통관, 입출고 및 운송과 관련된 정보이며 수입화물의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기본정보이다.
이러한 물류업무처리정보는 기초정보와 함께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정보로 사용되며, 이들 물류업무처리정보와 기초정보에는 전자장부명, 업무담당자, 거래처구분, 업체코드, 자사코드(물류북코드), 인용 및 정보 전달을 위한 장부협조관계와 같은 업무처리를 위한 정보와 함께 각 단계별 요청, 작업 및 작업의 종료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장부, 전자전표, 전자세금계산서, 요청서와 같은 각종 정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기초정보와 물류업무처리정보는 거래처의 관계에 따라 자동 인용, 자동 전달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수출입 물류업무의 거래처간에는 용이한 전자장부의 생성, 비용처리를 포함한 물류업무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접속하는 회원사단말들(170) 각각에서 작성된 전자B/L정산표를 비롯한 각종 전자장부 및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정보들을 필요로하는 회원사단말(17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회원사단말(170)로부터 작성되는 전자장부, 설정정보,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제공받아 유지, 관리 및 갱신하는 역할을 한다.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회원자격으로 등록된 회원사단말(170)에 대해 물류업무처리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회원사단말(170) 간의 권한 제한,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정산서류의 자동생성 및 항목인용에 의한 자동작성, 알림장/팝업창과 같은 전자페이지에 의한 정보 및 필요서류의 제공, 보안인증에 의한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 설정에 따른 업무 분장이 가능한 전자B/L정산표를 각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하는 주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는 일반적인 회원사관리 외에 B/L정산표를 이용한 장부 또는 전표의 자동작성, 입력된 전표 또는 업무처리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회원사의 접속 또는 회원사 담당자의 접속에 따른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B/L정산표를 통해 B/L정산표의 입력항목별로 제공되는 알림창 또는 팝업창을 통해 지정된 회원사단말(170)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B/L서버(111)는 B/L정상표를 통해 지정된 기간이 도래한 장부, 전표와 같은 데이터를 정산하여 이월함과 아울러, 정산된 데이터를 삭제한다. 또한, B/L서버(111)는 물류업무처리 과정에서 회원사 단말의 요청 또는 미리 정의된 절차에 따라 알림장 또는 팝업창을 통해 관련 회원사에 물류처리에 소요되는 서류를 제공한다. 특히, B/L서버(111)는 B/L정산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정보 인용, 정보제공 설정에 따라 청구처 또는 하불처에서 작성된 장부 내용을 인용하여 하불처 또는 청구처의 장부에 자동기재하여 회원사간의 공유 업무를 통합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B/L정산표를 통해 회원사들 상호간에 전표(매출, 매입, 출금, 입금)를 제공하고, 청구처 원장 또는 하불처 원장의 열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 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과 같은 공통장부를 제공한다. 이 B/L서버(111)는 장부 또는 전표의 기재정보를 팝업창 또는 알림창을 통해 지정된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하는 것 외에도, 지정된 휴대단말 번호로 미리 설정된 항목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B/L서버(111)는 데이터통신망(19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시스템(150)에 연결되며, 이동통신시스템(150)의 단문문자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rvice)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항목의 정보를 지정된 연락처의 휴대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B/L서버(111)는 B/L정산표에 입력되는 사항 중 공통업무에 관한 사항 또는 일반적인 절차를 따르는 업무에 관한 항목 또는 장부를 자동입력하거나 자동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시스템 계정과목에서 전표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작성된 전표에 미리 설정된 물류비용요율표(자사요율표 및 업체요율표)에 따라 항목을 자동으로 기재하여 전표를 작성하고, 이를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인증시스템(13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의 요청에 따라 회원사단말(170)을 통해 제공되는 공인인증정보와 미리 저장된 공인인증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사의 담당자를 인증하고, 인증성공여부를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전달한다.
이동통신시스템(15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의 요청에 따라,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서 지정한 이동통신번호의 휴대단말기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서 제공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회원사단말(170)은 회원사의 담당자가 B/L정산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과 연결된다. 이러한 회원사단말(17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을 통해 회원으로 등재된 업체의 단말로써, 컴퓨터, PDA를 비롯한 데이터처리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회원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의 수출입에 따른 물류업무에 관계하는 회사로써 서로 거래처를 형성하는 회사들이다. 이러한 회원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출입화주(171), 항공사(172), 선박회사(173), 포워더(174), 화물운송사(175, 운송주선업자(176) 포함), 통관사(177), CY(Container Yard)업자(178), 하역업자(179)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검역회사(180), 보험회사(181), 창고업자(183) 및 기타 물류업무에 관계하는 업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회원사를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운송사, 하역회사, 컨테이너야드 및 보세창고의 8곳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회원사들은 각자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접속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B/L정산표는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웹페이지 형태의 B/L정산표는 회원사의 담당자가 지정된 단말 즉,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가 아닌 임의의 단말을 통해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업무의 특성상 지정된 위치에 있는 시간보다 외근 위주의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의 경우 필요한 경우에만 자신의 휴대단말 또는 공용 PC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 접속하고, 이를 통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통신망(190)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 인증시스템(130), 이동통신 시스템(150) 및 회원사단말(170)이 상호 간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데이터통신망(190)은 인터넷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며, 통신망의 형태는 유선, 무선인 것에 구애되지 않는다.
아울러, 전술한 물류업무처리시스템(100)의 상세한 역할 및 기능, 회원사단말 간의 관계는 도 2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전술한 설명에서 일부 생략 되었으나, 이후의 설명을 통해 생략되거나 함축된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실제적으로 회원사단말(170)의 표시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B/L정산표의 각 항목별 화면구성의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물류업무처리시스템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B/L정산표로 언급되는 전자 장부를 통해 B/L정산업무의 처리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회원사 단말(170)을 비롯한 다양한 시스템과 물리적 접속을 유지하고, 프로그램 구동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B/L서버(111) 및 B/L데이터베이스(116)와 함께, 실제적인 B/L정산업무가 이루어지도록 입력 필드 및 입력된 항목의 처리 알고리즘이 구현된 물류업무 처리프로그램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특히, 회원사단말(170)의 경우 원격지에서 B/L서버(111)에 의해 제공되는 입출력 화면을 제공받는 것으로, 실제적인 B/L정산 프로그램의 구동 및 데이터 저장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B/L서버(111) 나아가, 물류업무처리시스템(110)의 기능과 B/L정산 프로그램을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류업무시스템의 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하고 참조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시스템의 메뉴구성중 메인메뉴 구분은 메인메뉴를 4종류(기초정보등록, 상품거래목록, 물류업무목록, 정산업무목록)로 대분류 하였다. 상품거래 메뉴는 상품거래 메뉴를 《주문목록》과 《판매목록》으로 세분하였다. 물류거래 메뉴는 물류거래 메뉴를 《업무요청목록》과 《업무처리목록》으로 세분하였다. 정산업무 메뉴는 정산업무 메뉴를 《물류비용정산목록》과 《경리장부》로 세분하였다.
상품거래 메뉴구성에서 주문목록의 상품주문목록은 Buyer(수입자) Shipper(송하인)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작성한 “주문서(P/O)"의 목록이다. 상품구매목록은 Buyer(수입자)가 Shipper(송하인)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한 “수입송품장(상업송장)"의 목록이다.
판매목록의 계약서목록은 Shipper(송하인)과 Buyer(수입자)의 상호간에 상품거래를 위하여 작성된 “거래계약서)의 목록이다. 상업송장목록은 Shipper(송하인)가 Buyer(수입자)에게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작성한 “송품장(상업송장)”의 목록이다. 판매목록은 Shipper(송하인)가 Buyer(수입자)에게 상품을 판매한 “수출송품장(상업송장)”의 목록이다.
물류거래 메뉴구성에서 물류업무목록 구분은 업무요청목록의 경우 선적요청목록, 콘솔요청목록, D/O발행요청목록, 수출통관요청목록, 수입통관요청목록, FCL운송요청목록, 트럭운송요청목록, 하역요청목록, FCL출고요청목록, CFS출고요청목록, 부대업무요청목록으로 구분된다. 업무처리목록은 Booking목록, 콘솔작업목록, D/O발행목록, 수출통관목록, 수입통관목록, FCL운송목록, 트럭운송목록, 하역작업목록, FCL출고목록, CFS출고목록, 부대업무처리목록으로 구분된다.
업무요청목록 구성은 업무요청서 생성의 경우 물류업무 메인메뉴(선적.B/L, 입항.D/O, 통관업무,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 중에서 자사의 업무처리가 불가능하여 하불처에게 위탁(하청)하기 위한 “업무요청서(팝업창)”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매입전표 생성의 경우 하불처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발행한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로 표시되어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기 위한 “매입전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대납전표 생성의 경우 하불처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발행한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가 아닌 “제3자(수출화주, 수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로 표시되어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대납하기 위한 “대납전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업무처리목록 구성에서 업무처리표 생성은 물류업무 메인메뉴(선적.B/L, 입항.D/O, 통관업무,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 중에서 발주처로부터 물류위탁(하청)받은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업무처리표(팝업창)”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매출전표 생성은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기 위한 “매출전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정산업무 메뉴구성에서 정산업무목록 구분은 물류비용정산목록은 수출B/L정산목록, 수입B/L정산목록으로, 경리장부는 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 전자세금계산서목록, 입출금장부로 구분된다.
B/L정산목록은 수출B/L정산표 생성의 경우물류업무 메인메뉴(선적.B/L, 입항.D/O, 통관업무,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 중에서 수출업무가 처리되면서 물류비용전표가 집합되어 수출B/L정산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수입B/L정산표 생성은 물류업무 메인메뉴(선적.B/L, 입항.D/O, 통관업무, 운송.하역, CY.창고, 부대업무) 중에서 수입업무가 처리되면서 물류비용전표가 집합되어 수입B/L정산표가 생성되는 목록이다.
경리장부의 경우 물류거래장은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거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가 기장되고 물류비용의 입출금전표(입금전표, 출금전표)를 작성하는 장부이다. 전자세금계산서 목록은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거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에 대한 전자세금계산서(매출세금계산서, 매입세금계산서, 대납세금계산서)의 목록이다. 입출금장부는 수출B/L정산표 및 수입B/L정산표에서 집합된 거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대납전표)의 물류비용에 대하여 결제되는 입출금전표(입금전표, 출금전표)의 목록이다.
업무요청목록에서 업무요청서 구분은 수출업무요청서의 경우 메인메뉴 중에서 수출업무(선적요청, 콘솔요청, 수출통관요청, 운송요청, 적하요청 등)를 하불처에게 물류위탁(하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업무요청서의 경우 메인메뉴 중에서 수입업무(양하요청, D/O발행요청, 수입통관요청, 운송요청, 출고요청 등)를 하불처에게 물류위탁(하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업무요청자의 경우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하불처에게 물류업무를 위탁(하청)하는 업체(수출입화주 또는 물류업체)이다.
수출업무요청서는 선적요청서의 경우 수출화주가 하불처(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수출상품의 선적을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콘솔요청서는 포워더가 하불처(보세창고)에게 컨테이너의 콘솔작업을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출통관요청서는 수출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통관사)에게 수출통관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운송요청서는 수출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컨테이너운송사)에게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트럭운송요청서는 수출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트럭운송사)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운송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출고요청서는 선박회사가 컨테이너화물의 본선적하를 위하여 하불처(CY)에게 컨테이너 출고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적하요청서는 선박회사가 하불처(하역회사)에게 수출화물의 적하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업무요청서에서 양하요청서는 선박회사가 하불처(하역회사)에게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D/O발행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D/O발행을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통관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통관사)에게 수입통관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운송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컨테이너운송사)에게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트럭운송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트럭운송사)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운송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출고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CY)에게 컨테이너 출고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CFS출고요청서는 수입화주(또는 물류업체)가 하불처(보세창고)에게 컨테이너를 제외한 일반화물의 출고업무를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업무요청서 발주처의 지정절차는 발주처가 1곳인 경우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 “Buyer(수입자)”에 대한 발주처가 자동지정된다. 발주처가 2곳이상인 경우 “발주처목록()”에서 당해 물류업무에 대한 발주처를 선택(지정)한다. 발주처 신규등록은 “발주처목록()”에서 당해 물류업무에 대한 발주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한다. 발주처 업체코드는 발주처가 회원사인 경우에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발주처 업체코드”가 표시되어야 한다.
업무요청서 하불처의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등록화주(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지정된 “하불처”가 자동표시된다. 하불처 변경에서 변경절차는 “하불처목록()”에서 당해 하청업무를 처리할 하불처를 변경할 수 있다. 하불처 신규등록은 “하불처목록()”에서 당해 하청업무를 처리할 하불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한다. B/L분할의 경우 “분할순번”별로 하불처가 다른 경우에는 “하불처목록()”에서 “분할순번”별로 하불처를 지정한다. 하불처 업체코드에서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6.하불처”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등록된 “업체코드”가 표시된다. 거래정보공유는 하불처의 업체코드가 표시되지 않으면 자사와 하불처 상호간에 업무처리결과에 대한 실시간정보(B/L정보, 입출고정보, 상차지정보, 하차지정보, 배차정보, SMS송수신 등) 및 전표정보(매입전표, 대납전표)를 공유할 수 없으므로 “하불처 업체코드”의 표시여부를 확인한다.
하청업무 지정내역에서 수출업무 하청의 하청업무 기준은 수출업무에 있어서 “선적요청서(팝업창)”는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며, 발주처로부터 물류업무를 일괄처리하는 조건으로 “선적요청업무”를 물류위탁(하청)받으면 선적업무를 비롯하여 운송업무, 통관업무 등의 물류업무를 일괄처리할 수 있다. 선적요청서(팝업창)의 기본지정은 수출업무에서는 “선적요청서(팝업창)”가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므로 업무제목()에서 선적요청서(팝업창)“을 제외한 다른 “업무제목”을 지정(하청)하지 않더라도 하불처에 의하여 처리되는 모든 “업무제목”이 일괄표시된다.
수입업무 하청의 하청업무 기준은 수입업무에서는 “출고요청서(팝업창)”는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며, 발주처로부터 물류업무를 일괄처리하는 조건으로 “출고요청업무”를 위탁(하청)받으면 출고업무를 비롯하여 운송업무, 통관업무 등의 물류업무를 일괄처리할 수 있다. 출고요청서(팝업창)의 기본지정은 수입업무에서는 “출고요청서(팝업창)”이 하청업무의 기준이 되므로 업무제목()에서 출고요청서(팝업창)“을 제외한 다른 “업무제목”을 지정(하청)하지 않더라도 하불처에 의하여 처리되는 모든 “업무제목”이 일괄표시된다. 하청업무 확인은 “하청업무제목(팝업창)”을 클릭하여 하불처의 업무처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표생성기준에서 청구처 지정의 지정절차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 “Buyer(수입자)”에 대한 청구처가 자동지정된다. 청구처 신규등록은 “청구처목록()”에서 당해 물류업무에 대한 청구처가 조회되지 않으면 “신규등록”한다. 청구처 업체코드는 청구처가 회원사인 경우에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청구처 업체코드”가 표시되어야 한다. 업무요청목록 전표생성은 업무요청목록에서 생성되는 전표는 3종류(대납전표, 매입전표, 재매출전표)이다. 전표생성기준에서 자동생성은 하불처가 회원사인 경우 하불처에 의하여 작성된 전표가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2종류(매입전표, 대납전표)로 인용되어 자동생성된다. 업무요청목록의 신규작성은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하불처로부터 인용되는 전표정보가 없으면 자사는 《업무요청목록》에서 “신규업무요청서(팝업창)”를 작성한 후 “S.P'kgs(매입전표)” 또는 “총중량(대납전표)”을 클릭하여 “신규전표”를 작성한다. ‘B/L정산표에서 신규작성은 자사가 《업무요청목록》에서 “업무요청서(팝업창)”를 작성하지 못하였거나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하불처로부터 인용되는 전표정보가 없으면 《수입B/L정산목록》→ “수입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전표구분”에서 2종류(매출전표, 대납전표)의 전표를 신규작성한다.
매입전표에서 하불처의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은 자사는 업무요청목록에서 매입전표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하불처지정(팝업창)"→ "5.수입업무 처리기준"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자사"로 지정한다. 매입전표 자동생성은 하불처의 《업무처리목록》→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하불처의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로 지정되면 자사의 《업무요청목록》→ “S.P'kgs(팝업창)”에서 “매입전표”가 생성되면서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자사매입액”에 자동표시된다. 매입전표 신규작성은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하불처로부터 인용되는 전표정보가 없으면 자사는 《업무요청목록》에서 “신규업무요청서(팝업창)”를 작성한 후 “S.P'kgs(팝업창)”을 클릭하여 하불처로부터 받은 종이세금계산서의 거래내역을 직접입력하면 “자사매입액”에 대한 “매입전표”가 신규작성된다.
재매출전표에서 재매출(간접매출)의 정의는 하불처가 자사(공급받는자) 앞으로 발행된 매입세금계산서에 대하여 자사가 청구처(또는 수출입화주) 앞으로 매출세금계산서를 다시 발행하는 “재매출” 또는 “간접매출”이다. 재매출전표 작성은 《업무요청목록》→ “B.P'kgs(팝업창)클릭”→ 매입전표(팝업창)에서 "재매출전표발행(버튼)‘을 클릭하여 “재매출전표(팝업창)”에서 자사의 거래정보와 부합하는 "재매출사항(매출세금계산서)"을 입력하면 "B.P'kgs(팝업창)"에 “신규매출전표”가 생성된다. 재매출전표 수정은 《업무요청목록》의 "B'P'kgs(팝업창)"을 클릭하여 "재매출전표(팝업창)"에서 자사의 "재매출사항(매출세금계산서)"을 수정한다.
대납전표에서 하불처의 세금계산서 발행기준은 자사는 업무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의 "하불처지정(팝업창)"→ "5.수입업무 처리기준"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자사" 아닌 “제3자(수출화주, 송하인, 자사의 청구처)”로 지정한다. 대납전표 자동생성은 하불처의 《업무처리목록》→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하불처의 “매출전표”에서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자사”가 아닌 “제3자(수출화주, 수입화주, 자사의 청구처)”로 지정되면 자사의 《업무요청목록》→ “총중량(팝업창)”에서 “대납전표”가 생성되면서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하불처대납금”과 “자사대납금”에 자동표시된다. 공급자전표와 대납전표는 하불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자사는 《업무요청목록》→ 총중량(팝업창)→ 대납전표(팝업창)→ “공급자전표(팝업창)”에서 하불처로부터 받은 종이세금계산서의 거래내역을 직접입력하면 하불처대납금 및 자사대납금의 대납전표가 각각 신규작성된다.
전표마감에서 재매출전표는 《업무요청목록》→ 매입전표(팝업창)의 “재매출전표(팝업창)”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전표마감일”이 표시되면서 "B/L정산표"에서도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대납전표는 《업무요청목록》의 대납전표(팝업창)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전표마감일”이 표시되면서 “B/L정산표”에서도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업무처리목록에서 업무처리표 구분은 수출업무처리표의 경우 메인메뉴 중에서 수출업무(Booking업무, 콘솔작업, 수출통관, 운송배차, 본선적하 등)를 자사가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업무처리표는 메인메뉴 중에서 수입업무(본선양하, D/O발행, 수입통관, 운송배차, 출고상차 등)를 자사가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업무처리자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업무처리하는 업체는 “자사”이다.
수출업무처리표에서 Cargo Booking은 발주처(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물류위탁(하청)받은 선적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콘솔작업표는 발주처(포워더)로부터 물류위탁(하청)받은 콘솔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출통관표는 발주처(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물류위탁(하청)받은 수출통관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운송배차표는 발주처(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물류위탁(하청)받은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트럭운송배차표는 발주처(수출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물류위탁(하청)받은 트럭운송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출고상차표는 발주처(선박회사)로부터 위탁(하청)받은 FCL출고상차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적하작업표는 발주처(선박회사)로부터 위탁(하청)받은 본선적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업무처리표에서 양하작업표는 발주처(선박회사)로부터 물류위탁(하청)받은 본선양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Delivery Order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요청받은 D/O발행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수입통관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수입통관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운송배차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컨테이너 운송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트럭운송배차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트럭운송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FCL출고상차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FCL출고상차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CFS출고상차표는 발주처(수입화주 또는 물류업체)로부터 위탁(하청)받은 CFS출고상차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거래처정보에서 발주처지정은 지정절차의 경우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등록된 “Buyer(수입자)”에 대한 발주처가 지정된다.ⓑ 발주처 신규등록은 발주처가 비회원사인 경우 “발주처목록()”에서 당해 물류업무에 대한 발주처를 “신규등록”한다. 발주처 업체코드는 발주처가 회원사인 경우에는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에서 “발주처 업체코드”가 표시되어야 한다.
하불처 지정에서 자사의 업무처리는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물류업무”가 자사가 처리할 수 있는 주력업무이면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처리하고 “매출전표(팝업창)”에서 물류비용을 청구한다. 물류업무 재하청은 자사의 업무처리가 불가능하거나 하불처가 미지정된 경우 하불처에게 “재하청”하기 위하여 “업무처리표(팝업창)”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를 “신규지정”한다.
전표생성기준에서 업무처리목록 전표생성은 업무처리목록에서 생성되는 전표는 “물류비용 매출전표” 및 “관세대납전표”이다. 매출전표 생성기준은 자동생성의 경우 자사의 《업무처리목록》→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하면 “S.P'kgs(팝업창)”에서 “매출전표”가 생성되면서 《B/L정산목록》→ “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자사매출액”에 자동표시된다. ‘B/L정산표에서 신규작성은 《업무처리목록》에서 “업무처리표(팝업창)”를 작성하지 못하였거나 업무처리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수입B/L정산목록》→ “수입B/L정산표(팝업창)”→ “8.물류비용전표내역”의 “전표구분”에서 매출전표를 신규작성한다. 간이매출(간이영수증매출)은 공급자가 소액의 공급가액에 대하여 세금계산서를 교부하지 않고 “간이영수증”을 교부하는 경우이며 매출전표와 동일한 서식으로 작성되고 세율은 “0%”로 표시된다. 관세대납전표는 통관사(자사)는 《수입통관목록》의 “B.P'kgs(팝업창)”을 클릭하여 “관세대납전표(팝업창)”에서 대납관세를 확인할 수 있다. 전표마감은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팝업창)”에서 전표마감(버튼)을 클릭하면 “전표마감일”이 표시되면서 B/L정산표에서도 “전표마감일”이 표시된다.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는 ① 하불처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가 자사인 경우는 공급받는자가 “자사”인 경우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매입전표(팝업창)”로 생성된다. 제3자인 경우는 공급받는자가 제3자(자사의 청구처, 수출화주, 수입화주 등)인 경우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팝업창)”로 생성된다.
하불처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 변경을 위해서 자사를 제3자로 변경하는 경우는 하불처가 발행한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자사)를 “제3자”로 변경하면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매입전표(팝업창)”가 “대납전표(팝업창)”로 전환된다."제3자를 자사로 변경하는 경우는 하불처가 발행한 매출전표의 공급받는자(자사의 청구처, 수출화주, 수입화주 등)를 “자사”로 변경하면 자사의 《업무요청목록》에서 “대납전표(팝업창)”가 “매입전표(팝업창)”로 전환된다.
전표수정에서 매출전표의 3개항목(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의 수정은 수정목적의 경우 매출전표 3개항목의 변경은 세금계산서 기재사항의 변경에 목적이 있다. 수정전표 불필요한 경우 매출전표 3개항목은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가 불일치하는 “시재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정전표”를 작성하지 않고 “기존전표”에서 변경되는 항목만 수정하면 된다. 수정사유 중 표시기준은 물류거래장과 기존전표의 “적요”란에는 수정항목명칭(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과 수정사유가 자동표시된다. 공급받는자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공급받는자:부산상사(변경된 공급받는자)”이라 표시된다. 거래일자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거래일자:07/01(변경된 거래일자)”이라 표시된다. 작성일자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작성일자:07/01(변경된 작성일자)”이라 표시된다.
금액(공급가액) 수정의 당일수정은 수정전표 불필요하여 《B/L정산표》에서 공급가액(자사매출액, 자사대납금, 자사매입액, 하불처대납금)의 당일수정은 수정전표가 생성되지 않는다. 현금시재 불변의 경우 장부상 당일의 금액수정은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의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익일수정은 《B/L정산표》에서 공급가액(자사매출액, 자사대납금, 자사매입액, 하불처대납금)의 익일수정은 수정전표가 생성된다. 현금시재 변동의 경우 시재마감을 한 후 익일의 금액수정은 장부시재와 현금시재(통장시재)의 불일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물류거래장 전표수정에서 수정전표 생성절차의 기존전표 폐기는 《업무처리목록》→ “매출전표(팝업창)”에서 공급가액을 수정하면 “B/L정산표(팝업창)”의 “8.물류비용정표 내역"에서는 기존전표가 수정전표로 전환되며, 물류거래장에서는 “기존전표”를 삭제하는 폐기전표(마이너스전표)가 생성된다. 수정전표 생성은 물류거래장에서 폐기전표가 생성됨과 동시에 변경된 공급가액의 수정전표가 생성되어 2건의 전표(폐기전표 및 수정전표)가 추가로 생성된다.
폐기전표에서 자사의 청구처원장은 “지출액”에 “빨강색의 마이너스금액(-30,000)”이 표시된다. 청구처의 하불처원장은 “입금액”에 “빨강색의 마이너스금액(-30,000)”이 표시된다. 수정전표에서 자사의 청구처원장은 “지출액”에 “파랑색의 수정금액(27,000)”이 표시된다. 청구처의 하불처원장은 “입금액”에 “파랑색의 수정금액(27,000)”이 표시된다. 수정사유에서 기존전표전 “적요”란에 “07/16(수정일자):금액수정”이라 초록색으로 표시된다. 폐기전표는 “적요”란에 “07/08(정산일자):전표폐기”이라 빨강색으로 표시된다. 수정전표는 “적요”란에 “07/08(정산일자):3,000증/감”이라 파랑색으로 표시된다.
수입B/L정보에서 B/L No.지정 (팝업창)을 위한 지정절차는 “B/L No.지정(팝업창)”을 클릭하여 “재고잔량”이 표시된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업무요청대상의 “B/L No.”를 선택한다. B/L정보 자동표시는 “B/L No.”를 지정하면 《수입B/L목록》의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입력한 “B/L정보”가 자동표시된다. B/L정보 신규입력은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업무요청대상의 “B/L No.”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수입B/L목록》의 “B/L정보입력표(팝업창)”에서 신규입력한다.
하불처 지정에서 하불처가 지정된 경우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가 지정되었으면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B/L정보(팝업창)”가 《업무요청목록》에 자동표시되고, 동시에 하불처의 《업무처리목록》에도 자동표시된다. 하불처가 미지정된 경우 업무처리목록 자동생성은 “물류거래처목록”→ 수출입화주등록(팝업창)→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가 지정되지 않았으면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B/L정보(팝업창)”가 《업무처리목록》에 자동생성된다. 자사의 업무처리는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물류업무”가 자사의 고유한 주력업무이면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처리하고 “매출전표(팝업창)”에서 물류비용을 청구한다. B/L업무 재하청은 자사의 업무처리가 불가능하거나 하불처가 미지정된 경우 하불처에게 “재하청”하기 위하여 《업무처리목록》→ “업무처리표(팝업창)”의 “하불처지정(팝업창)”에서 하불처를 “신규지정”하면 《업무처리목록》에 표시된 “B/L정보”가 《업무요청목록》으로 이전되고 동시에 발주처로부터 하청받은 “B/L정보(팝업창)”가 하불처의 《업무처리목록》에도 자동표시된다.
B/L분할 정보에서 B/L분할목록은 《수입B/L목록》→ “B/L정보입력표(팝업창)”→ “컨테이너정보등록(팝업창)”에서 “B/L분할정보”가 입력된 경우 “B/L목록조회(팝업창)”에서 업무요청대상의 B/L을 선택한 후 “B/L No.지정(버튼)”을 클릭하면 “분할(B/L분할목록)”의 팝업창이 생성된다. B/L분할 구분에서 Invoice별 분할은 Invoice가 2건이상으로서 Invoice별로 B/L을 분할하여 “업무요청서”를 작성하는 경우이다. 수입화주별 분할은 수입위탁자(수입화주)가 2곳이상으로서 수입화주별로 B/L을 분할하여 “업무요청서”를 작성하는 경우이다. 출고수량 분할은 출고수량을 2회이상으로 분할출고하기 위하여 “분할횟수”별로 B/L을 분할하여 “업무요청서”를 작성하는 경우이다. 독립된 B/L No.는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는 《업무요청(처리)목록》의 “업무요청(처리)서(팝업창)”에서 독립된 B/L No.로 업무처리가 되어야 하며 “분할(B/L분할목록)”을 클릭하여 업무요청대상의 “분할순번”을 지정하면 “분할순번”이 포함된 “B/L No."가 표시된다. 출고요청 범위는 “분할(B/L분할목록)”을 클릭하여 업무요청대상의 “분할순번”을 지정하면 업무요청대상의 “B/L No.” 중에서 “분할순번”에 해당하는 “수량”이 출고요청범위에 해당되며, “분할순번” 단위로 “업무요청서(처리표)”가 작성된다.
업무처리기준에서 업무요청서(팝업창) 생성기준은 B/L이 분할되면서 생성되는 “분할순번”에 따라 《업무요청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업무요청서(팝업창)”가 생성된다. 업무처리표(팝업창) 생성기준은 B/L이 분할되면서 생성되는 “분할순번”에 따라 《업무처리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업무처리표(팝업창)”가 생성된다. 매출전표(팝업창) 생성기준은 “매출전표(팝업창)”는 《업무처리목록》의 “업무처리표(팝업창)”에서 업무처리결과에 따른 물류비용의 청구서이므로 《업무처리목록》에서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생성된다. 수입B/L정산표(팝업창) 생성기준은 《업무처리목록》의 “매출전표(팝업창)”에서 지정된 2개항목(청구처, 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은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결정되므로 《수입B/L정산목록》의 “수입B/L정산표(팝업창)”에서도 “분할순번”이 조합된 "B/L No."별로 물류비용전표가 집합된다.
회원가입 및 물류정보공유에서 실시간정보 공유는 다중거래처(발주처, 청구처, 하불처)가 회원사이면, 자사의 업무처리정보가 발주처에게 제공되고 자사의 물류비용전표가 청구처에게 제공되며 하불처의 업무처리정보 및 물류비용전표가 자사에게 인용인용됨으로서 자사와 다중거래처 상호간에 실시간으로 물류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발주처의 회원가입은 발주처가 비회원사이면 자사의 업무처리정보에 대한 실시간정보 제공이 불가능하므로 자사는 발주처에게 회원가입을 권장함으로서 자사의 업무처리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청구처의 회원가입은 청구처가 비회원사이면 자사의 물류비용전표에 대한 실시간정보 제공이 불가능하므로 자사는 청구처에게 회원가입을 권장함으로서 자사의 물류비용전표가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불처의 회원가입은 하불처가 비회원사이면 하불처의 업무처리정보 및 물류비용전표에 대한 실시간정보 인용이 불가능하므로 자사는 하불처에게 회원가입을 권장함으로서 하불처의 업무처리정보 및 물류비용전표가 자동으로 인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9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의 실시의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99와 각 회원사의 업무요청, 요구사항, 전표 등이 개시되어 있다.
110- 물류업무처리시스템 111- B/L서버
116- B/L데이터베이스 130- 인증시스템
160- 이동통신시스템 170- 회원사단말
171- 화주 172- 항공사
173- 선박회사 174- 포워더
175- 화물운송사 176- 운송주선업자
177- 통관사 178- CY업자
179- 하역업자 180- 검역회사
181- 보험회사 183- 창고업자
190- 데이터 통신방

Claims (6)

  1. 국제무역거래에서 항공사 또는 선박회사가 상기 수출국의 상품판매자로부터 수출상품의 선적의뢰를 받아 상기 수입국의 상품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국제운송증권의 항공화물운송장(AWB : Airway Bill) 또는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과 수출국의 상품판매자가 수입국의 상품구매자에게 발행하는 송품장(Commercial Invoice)을 포함하는 선적서류;

    상기 선적서류와 관련하여 상기 수출국의 상기 상품판매자인 수출화주와 상기 수입국의 상기 상품구매자인 수입화주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항공화물운송장(AWB)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마스터선하증권(Master B/L) 및 마스터화물인도지시서(Master D/O; Delivery Order)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선박회사, 하우스선하증권(House B/L) 및 하우스 화물인도지시서(House D/O)의 발행업무를 처리하는 포워더, 수출통관 및 수입통관의 업무를 처리하는 통관사, 수출입화물 및 내국화물의 운송업무를 처리하는 화물차운송사,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는 하역업자, 컨테이너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 컨테이너야드(CY), 컨테이너화물을 제외한 일반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는 보세창고(CF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류업체;

    상기 수출입화주의 화물에 대한 물류업무처리를 위하여 상기 물류업체의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선적서류를 자사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발주처, 상기 자사가 제공한 물류비용전표를 인용하고 상기 자사에게 물류비용을 제공하는 청구처, 상기 자사로부터 상기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고 상기 물류비용을 영수한 후 물류업무처리정보와 상기 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자사에 제공하는 하불처로 구성되는 다중거래처에 대하여;

    상기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물류업체들 중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사의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위해 전자 업무요청서 및 전자 업무처리표를 제공하고 상기 물류비용 정산업무를 위해 전자장부 형태의 전자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회원사들이 구비하는 회원사 단말들;

    상기 회원사 단말들과 데이터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상기 회원업체로부터 입력되고,

    기초정보, 수출화물 물류업무정보 및 수입화물 물류업무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하불처에게 위탁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는 발주처로부터 전송받은 물류업무 중 자사가 처리하는 자사의 물류업무를 제외한 다른 물류업무를 하불처로 위탁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제1물류위탁과; 다른 물류업무를 위탁받은 상기 하불처는 자사가 되고 물류업무를 위탁한 자사는 발주처가 되어, 자사가 처리하는 자사의 물류업무를 제외한 또다른 물류업무를 하불처로 재위탁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제2물류위탁과;
    ; 더 이상의 하불처가 없을때까지 물류업무의 위탁에 따라 자사가 발주처가 되고 하불처가 자사가 되는 물류위탁이 반복되며,
    물류업무를 재위탁받은 하불처는 전자물류비용전표가 포함된 전자물류비용정산서를 자사에게 전달하며, 자사는 하불처로부터 전달받은 전자물류비용전표가 포함된 전자물류비용정산서에 자사매출의 물류비용전표를 포함시켜 청구처에게 전자물류비용전표가 포함된 전자물류비용정산서를 전송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를 하불처에게 위탁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전자업무요청서를 생성하고, 하불처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생성하거나, 상기 발주처로부터 위탁받은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상기 전자업무처리표 및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에 따른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전자물류비용전표 내역, 물류비용 정산결과, 전자물류비용정산서, 전자세금계산서 처리기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수출비엘(B/L)정산표 또는 전자수입비엘(B/L)정산표를 생성하여,

    상기 자사등록정보 및 사원정보등록에 따라 로그인 된 상기 회원사 단말에 상기 전자업무요청서, 상기 전자업무처리표, 상기 전자수출비엘(B/L)정산표 및 상기 전자수입비엘(B/L)정산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는 자사코드(물류북코드)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정보, 수출입상품정보, 계정과목정보, 업체정보, 업무담당자정보, 차량정보, 선박 및 항공기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수출화물 물류업무정보는 수출국의 선적요청정보, 선적예약정보, 수출통관정보, 운송요청정보, 운송배차정보, 콘솔요청정보, 콘솔작업정보, 입출고요청정보, 입출고정보, 적하요청정보, 적하작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며.

    상기 수입화물 물류업무정보는 수입국의 양하요청정보, 양하작업정보, 화물인도지시서(D/O; Delivery Order)발행요청정보 및 발행정보, 수입통관요청정보, 수입통관정보, 입출고요청정보, 입출고정보, 운송요청정보 및 운송배차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자사코드(물류북코드)정보는
    국가코드, 식별번호 및 자사고유부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사코드(물류북코드)정보에 의해 구분되는 각 회원사 단말에 대해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자사의 물류업무를 처리한 자사담당자 정보를 상기 거래처 단말에 전달,
    상기 거래처에서 물류업무를 처리한 거래처실무자 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상기 자사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발주처의 단말에 전달,
    상기 자사에 의하여 물류비용이 정산되어 생성되는 상기 물류비용전표, 상기 물류비용정산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청구처의 단말에 전달,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처리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및
    상기 하불처에 의하여 물류비용이 정산되어 생성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 상기 전자물류비용정산서, 상기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업무처리정보는,
    상기 수출화주로부터 상기 수출화물의 선적업무를 의뢰받아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 간의 상기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수출화물 물류업무처리정보와,
    상기 수입화주로부터 상기 수입화물의 입항업무 및 입출고업무를 의뢰받아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 간의 상기 물류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수입화물 물류업무처리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출화물 업무처리정보는,
    상기 수출화주가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원사 단말에 제공하는 선적요청정보,
    상기 선적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선적예약처리정보,
    상기 수출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가 상기 하불처인 상기 통관사의 단말에 제공하는 수출통관요청정보,
    상기 수출통관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통관사의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수출통관업무 정보,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선적을 위하여 상기 하불처인 상기 화물차 운송사의 단말로 전달되는 운송요청정보,
    상기 운송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차운송사의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운송배차업무정보,
    상기 포워더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보세창고의 단말로 전달되는 콘솔요청정보,
    상기 콘솔요청에 따라 상기 보세창고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콘솔작업정보,
    상기 항공사 또는 상기 선박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적하요청정보, 및
    상기 적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에서 생성되는 적하작업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입화물 업무처리정보는,
    상기 항공사 또는 상기 선박회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양하요청정보,
    상기 양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하역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양하작업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는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요청정보,
    상기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의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생성되는 화물인도지시서발행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통관사의 단말로 전달되는 수입통관요청정보,
    상기 수입통관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통관사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수입통관업무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컨테이너야드 또는 상기 보세창고의 단말로 전달되는 입출고요청정보,
    상기 입출고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야드 또는 상기 보세창고의 단말로부터 생성되는 입출고업무정보,
    상기 수입화주 또는 상기 물류업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불처인 상기 화물차운송사 단말로 전달되는 운송요청정보 및
    상기 운송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화물차운송사의 단말로 부터 생성되는 운송배차업무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자사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발주처의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하불처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물류업무처리정보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는
    상기 자사가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물류비용을 청구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매출전표;
    상기 하불처가 상기 청구처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청구하는 물류비용을 자사가 대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대납전표;
    상기 자사가 상기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지급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매입전표; 및
    상기 하불처가 아닌 제3자가 상기 자사 또는 상기 수출입화주에게 청구하는 물류비용을 하불처가 대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전자대납전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매출전표, 상기 전자대납전표 및 상기 전자매입전표는 상기 물류비용요율표정보에 등록된 물류비용단가에 따라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상기 물류업무의 처리 후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매출전표는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가 상기 수출화물의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선적료;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가 상기 수입화물의 D/O발행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D/O료;
    상기 통관사가 상기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통관료;
    상기 화물차운송사가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배차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운송료;
    상기 컨테이너야드(CY)가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CY료;
    상기 보세창고(CFS)가 상기 수출화물의 콘솔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창고료; 및
    상기 하역업자가 상기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하고 청구처에게 청구하는 매출하역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매입전표는
    상기 수출화물의 상기 선적예약업무를 처리한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인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선적료;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D/O발행업무를 처리한 상기 항공사, 상기 선박회사, 상기 포워더인 상기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D/O료;
    상기 수출화물 및 수입화물의 통관업무를 처리한 통관사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통관료;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배차업무를 처리한 화물차운송사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운송료;
    상기 수출화물 및 상기 수입화물의 상기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컨테이너야드(CY)인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매입CY료;
    상기 수출화물의 콘솔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입출고업무를 처리한 보세창고(CFS)에게 지급하는 매입창고료; 및
    상기 수출화물의 적하업무 및 상기 수입화물의 양하업무를 처리한 하역업자에게 지급하는 매입하역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비용전표 내역은
    상기 자사가 작성하는 상기 전자매출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매출액과 상기 자사가 대납하는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대납금의 정산전도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불처가 작성하는 상기 전자매입전표로 구성되는 자사매입액과 상기 하불처가 대납하는 상기 전자대납전표로 구성되는 하불처대납금의 정산하불금을 포함하며,

    상기 물류업무처리시스템은
    상기 정산전도금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청구처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정산하불금을 구성하는 상기 전자물류비용전표를 상기 자사의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물류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KR1020180072138A 2018-06-22 2018-06-22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KR20180072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38A KR20180072651A (ko) 2018-06-22 2018-06-22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38A KR20180072651A (ko) 2018-06-22 2018-06-22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168A Division KR20110097731A (ko) 2010-02-25 2011-02-25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651A true KR20180072651A (ko) 2018-06-29

Family

ID=6278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138A KR20180072651A (ko) 2018-06-22 2018-06-22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26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6188A (zh) * 2019-01-18 2019-05-07 浙江数链科技有限公司 物流日志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3705842A (zh) * 2021-08-04 2021-11-26 重庆超体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同船公司之间智能换舱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6188A (zh) * 2019-01-18 2019-05-07 浙江数链科技有限公司 物流日志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09726188B (zh) * 2019-01-18 2021-08-03 浙江数链科技有限公司 物流日志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3705842A (zh) * 2021-08-04 2021-11-26 重庆超体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同船公司之间智能换舱方法
CN113705842B (zh) * 2021-08-04 2023-08-18 重庆超体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同船公司之间智能换舱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6493A (e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order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US7050995B2 (en) System for managing order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US8321306B2 (en) Architectural design for selling project-based services application software
US8386325B2 (en) Architectural design for plan-driven procurement application software
EP0789884B1 (en) Full service trade system
US8694397B2 (en) Consistent set of interfaces derived from a business object model
US6868401B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to facilitate the commercial support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buying and selling of commodity products
US8447657B2 (en) Architectural design for service procurement application software
US8321250B2 (en) Architectural design for sell from stock application software
US200501317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financing and supply in an integrated supply chain system
US20050171871A1 (en) Concentrated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for cargo, and method therefor
US20020095355A1 (en) Computer-implemented international trade system
US20020049622A1 (en) Vertica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hipping and logistics services, operations and products to an industry
KR20070044391A (ko) 신용 한도와 같은 신용 기관 또는 요구불 예금 계좌로부터국제적인 거래의 결제를 위해 승인을 지원하는 시스템들 및방법들
JP2003524220A (ja) 取引書類の作成、処理、及びトラッキングを含む取引活動を統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138276A1 (en) Architectural design for make-to-specification application software
KR20110097731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KR100361594B1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출입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관리 시스템
KR20100024907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KR20180072651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WO2002035382A1 (en) Electronic international trading
Murray et al. Materials Management with SAP ERP: Functionality and Technical Configuration
JP2005216013A (ja) 業務統合管理システム
JP2002312446A (ja) 船荷証券の発行方法、船荷証券の発行装置、船荷証券発行システム、貨物トラッキング情報の検索方法、貨物トラッキング情報の検索システム、貨物の物流費請求方法、貨物の請求書発行システム、貨物代金決済方法、貨物代金検索システムおよび物流業者選定システム
Luszczak et al. Purchas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