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907A -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907A
KR20100024907A KR1020090079111A KR20090079111A KR20100024907A KR 20100024907 A KR20100024907 A KR 20100024907A KR 1020090079111 A KR1020090079111 A KR 1020090079111A KR 20090079111 A KR20090079111 A KR 20090079111A KR 20100024907 A KR20100024907 A KR 2010002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settlement
information
logistics
b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구
Original Assignee
(주)프리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발 filed Critical (주)프리발
Publication of KR2010002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다중거래처의 선하증권 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국제무역거래에서 항공사 또는 선박회사가 선적국의 판매자로부터 수출입상품의 선적의뢰를 받아 수입국의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국제운송증권의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과 선적국의 판매자가 수입국의 구매자에게 발행하는 송품장(Invoice)를 포함하는 선적서류; 선적국의 판매자와 수입국의 구매자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를 위하여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통관사, 하역업자, 컨테이너야드(CY)업자, 창고업자, 검역회사, 보험회사, 검수회사 및 화물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류업체들에 의해 형성되는 물류공급망; 상기 수출입화주 및 물류공급망의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을 자사에게 제공하여 상기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청구처, 상기 자사로부터 상기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고 상기 물류비용을 정산하여 업무처리정보와 거래전표를 상기 자사에 제공하는 하불처로 구성되는 다중거래처에 대하여, 상기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물류업체들 중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사의 상기 물류업무 처리 및 상기 물류비용 정산업무를 위해 웹장부 형태의 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원사들이 구비하는 복수의 회원사 단말; 상기 회원사 단말들과 데이터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상기 회원업체로부터 입력되고, 자사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정보, 수출입상품정보, 계정과목정보 및 업체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기초정보, 상기 선적국의 선복예약(Booking) 정보, 화물선적수량, 선박 또는 항공기의 운송수단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선적정보 및 수입국의 보세구역정보, 화물이동경로, 화물의 반출입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입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엘(B/L)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적서류의 정보, 상기 물류업무처리에 따른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비엘(B/L)정산내역, 장부협조관계, 세금계산서 적용 기준, 입출금현황 및 물류비용정산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출 비엘(B/L)정산표 또는 수입 비엘(B/L)정산표를 생성하여, 상기 자사등록정보 및 상기 사원정보등록에 따라 로그인 된 회원사 단말에 상기 비엘(B/L)정산표 또는 수입 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물류비용정산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B/L, 선적증권, 선하증권, 수입, 수출, 물류처리, 하역

Description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Unified Managementing System For B/L Account Of Multiple Connection}
본 발명은 상품의 수출입에 따른 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물류 비용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다중거래처의 선하증권 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입 및 수출을 통한 물류 및 상품 거래에 있어서는 선하증권(또는 화물운송증권, Bill Of Lading, 이하 "B/L"이라 함)이라는 선박회사 또는 항공사와 같이 화물을 국제운송하는 운송사에서 발생하는 선적서류가 수반된다. 이러한 B/L은 무역거래에서 물류업의 기준으로써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통관사,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하역업자, 컨테이너야드(CY : Container Yard)업자, 창고업자, 검역업자, 보험회사, 검수회사에 의한 각 단계별 B/L정산에 의해 각각 처리되고 있다.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각 업체들은 B/L업무와 관련하여 각각의 업체가 담당하는 역할이 상이하며, 각 업체들이 담당업무에 있어서 적절한 역 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다중거래관계(청구처, 자사, 하불처)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B/L은 각 단계별로 담당업체에 의해 정산되어 처리되고 비용의 지불 및 청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물류공급망을 형성하는 다양한 업체들에 의해 B/L정산이 개별적으로 진행됨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류업무처리에 있어서 실시간 정보 공유가 불가능하다. 수출선적 및 수입 업무에 있어서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화물의 콘솔(집하) 정보, 선적정보 및 입출항정보를 해외바이어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지 못하거나, 국내 수입자가 외국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물류업체간에도 실시간 정보 공유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보세구역에서 화물을 반출하여 인도기한내에 화주에게 배송하려면 업무처리에 관한 진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야하지만, 현재의 물류처리체계에서는 이러한 확인을 전화, 메신저, 팩스와 같은 수단을 통해 상대방이 확인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실시간 정보 반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다양한 업체의 참여에 의한 복잡한 처리절차로 인해 물류업무처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물류업무 하청단계에서 내부 통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현행의 물류업무에서는 하청단계에 대하여 화물유통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물류보안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직원에 있어서도 적절한 책임 및 권한의 부여가 곤란하여, 업무영역에서의 처리권한 및 책임소재도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러한 책임소재 규정의 곤란함으로 인해, 물류 배송에서 무책임에 의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시 책임전가로 인한 사고처리의 지연 및 원할하지 못한 처리의 진행등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정산서의 발송시 많은 불편이 초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출선적업무 및 화물인도지서 업무, 물류비용 정산서와 거래명세서나 세금계산서와 같은 증빙서류의 처리에 있어서, FAX 또는 우편으로 복수의 대상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서류전달의 누락 및 지연이 발생하여, 관련업체의 업무처리에 있어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적서류를 이용한 물류비용 정산은 담당업체 개별적으로 수작업에 의한 정산 또는 간단한 프로그램에 의해 정산하게 됨으로써, 미결제 금액이 누락된 채 장부마감이 이루어지거나, 관련업체 간의 정산내역이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특히, 화주의 영업비밀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세구역과 같은 곳에서 화물을 반출하기 위하여는 통관사에 의하여 발급된 수입면장에 대하여 물류업무 하청단계마다 사본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본의 요구시 우편이나 팩스를 이용한 송달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항목 예를들어, 해외거래처, 품명, 규격, 수량, 단가, 금액과 같은 사항이 사본의 전달과정에서 노출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 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선적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유통이력의 확인 및 책임소재를 명확히 함과 아울러, 업무 담당자의 책임한계를 정확히 하여 물류업무의 책임있는 처리를 도모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물류업무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거래처 간의 불편한 증빙서류 교환 및 교환절차를 최소화하고, 업무처리에 필요한 서류의 편리한 발급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산 작업의 자동화 및 공동정산을 통한 정산 오류, 누락 및 분쟁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국제무역거래에서 항공사 또는 선박회사가 선적국의 판매자로부터 수출입상품의 선적의뢰를 받아 수입국의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국제운송증권의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과 선적국의 판매자가 수입국의 구매자에게 발행하는 송품장(Invoice)를 포함하는 선적서류; 선적국의 판매자와 수입국의 구매자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를 위하여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통관사, 하역업자, 컨테이너야드(CY) 업자, 창고업자, 검역회사, 보험회사, 검수회사 및 화물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류업체들에 의해 형성되는 물류공급망; 상기 수출입화주 및 물류공급망의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을 자사에게 제공하여 상기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청구처, 상기 자사로부터 상기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고 상기 물류비용을 정산하여 업무처리정보와 거래전표를 상기 자사에 제공하는 하불처로 구성되는 다중거래처에 대하여; 상기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물류업체들 중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사의 상기 물류업무 처리 및 상기 물류비용 정산업무를 위해 웹장부 형태의 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원사들이 구비하는 복수의 회원사 단말; 상기 회원사 단말들과 데이터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상기 회원업체로부터 입력되고, 자사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정보, 수출입상품정보, 계정과목정보 및 업체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기초정보, 상기 선적국의 선복예약(Booking) 정보, 화물선적수량, 선박 또는 항공기의 운송수단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선적정보 및 수입국의 보세구역정보, 화물이동경로, 화물의 반출입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입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엘(B/L)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적서류의 정보, 상기 물류업무처리에 따른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비엘(B/L)정산내역, 장부협조관계, 세금계산서 적용 기준, 입출금현황 및 물류비용정산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출 비엘(B/L)정산표 또는 수입 비엘(B/L)정산표를 생성하여, 상기 자사등록정보 및 상기 사원정보등록에 따라 로그인 된 회원사 단말에 상기 비엘(B/L)정산표 또는 수입 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물류비용정산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엘(B/L)정산내역은; 상기 자사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수출입화주 또는 상기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상기 물류비용의 자사매출액과, 상기 하불처 또는 상기 물류업무에 관계된 제3자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수출입화주 또는 상기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타사비용의 정산전도금; 상기 하불처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자사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물류비용의 자사매입액 및 제3자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수출입화주 또는 상기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타사비용의 정산하불금;을 포함한다.
상기 물류비용정산시스템은; 상기 자사등록정보 또는 상기 물류비용요율표에서 등록한 물류비용단가에 따라 상기 비엘(B/L) 정산내역에서 상기 화물선적수량에 대한 자사매출액의 매출전표와, 상기 자사가 대납하는 상기 타사비용의 출금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정산전도금을 산출하여 청구처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하불처에 의해 작성된 품목별 매출전표 및 출금전표를 자사가 인용하면 상기 자사의 비엘(B/L)정산내역에서 상기 화물선적수량에 대한 자사매입액의 매입전표와, 상기 하불처가 대납하는 상기 타사비용의 입금전표로 생성하고, 상기 정산하불금을 산출하여 하불처원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부협조관계는 상기 자사등록정보 또는 상기 업체등록정보에서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의 상호 간에 상기 물류업무처리의 정보 및 비엘(B/L)정산내역에서 생성된 매출전표, 출금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로 구성되는 거래전표를 제공 또는 인용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거래전표 이용 승인여부를 설정하는 상기 장부협조관계의 설정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류비용정산시스템은 상기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청구처로부터 상기 자사로 상기 비엘(B/L)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청구처에서 작성된 상기 자사에 대한 상기 하불처원장 또는 상기 하불처에서 작성된 상기 자사에 대한 상기 청구처원장을 열람하거나, 상기 자사의 상기 거래전표를 상기 청구처에 제공하거나, 상기 하불처의 상기 거래전표를 인용하여 상기 비엘(B/L)정산내역의 상기 정산하불금으로 내려받기 하거나, 상기 수출입상품의 재고목록을 상품매출처 또는 상기 하불처에게 열람하게 하거나, 상기 수출입화주의 상기 송품장을 상기 하불처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다중 거래처를 형성하는 물류업체들의 물류 관련 업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다중 거래처 간의 정산업무가 통합적으로 자동처리되도록 하며, 다중 거래처 간의 전표와 장부가 공동으로 작성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수출 및 수입업무에 관련된 해외거래처에 선복예약정보(Booking Note), 집하정보 및 입출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국내물류업체간의 업무처리정보를 상호 간에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화물유통이력의 확인 및 책임소재를 명확히 함과 아울러, 업무 담당자의 책임한계를 정확히 하여 물류업무의 책임있는 처리를 도모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물류업무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다중 거래처 간의 불편한 증빙서류 교환 및 교환절차를 최소화하고, 업무처리에 필요한 서류의 편리한 발급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산 작업의 자동화 및 공동정산을 통한 정산 오류, 누락 및 분쟁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 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출입상품의 수출 및 수입에 따른 선적서류의 처리와 그에 따른 물류비용의 정산을 위한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과 프로그램은 물류업무처리에 관여하는 여러 업체들이 하나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각자의 장부를 통해 자사의 물류업무를 처리하고, 장부의 기재사항 중 관련업체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물류업무 처리의 신속성,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물류비용 정산시스템과 프로그램은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서버에 접근하여 업무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회원사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은 컴퓨터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각종 단말들,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의 휴대단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의 연결에 의해 물류업무처리가 가능한 단말들을 포함한다. 이 물류업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광학디스크, 착탈식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다양한 단말에 연결됨으로써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물류업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정의를 선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선적서류(B/L 및 송품장)는 국제운송화물에 대해 선박회사 또는 항공사가 발행하는 화물운송증권(B/L)과 송품장(Invoice)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물류비용 및 물류업무는 이러한 선적서류를 이용하여 상품을 수입/수출하는 일련의 과정에 소용되는 비용 및 업무처리를 의미한다. 물류비용은 상품의 수출/수입에 소용되는 비용(관세, 선적료 또는 D/O(Delivery Order)료, 운송료, 통관료, 하역료, 창고료, CY비용, 검역료, 취급수수료(H/C : Handling Charge), 보수작업비, 검수료, 적하보험료)을 의미한다.
B/L정산표는 선적서류의 업무처리 및 그에 따른 물류비용의 정산업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웹장부 서비스를 의미한다. 회원사들은 B/L정산표를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받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B/L정산표는 회원사단말을 통해 표시장치로 출력되어 회원사의 담당사원에 의해 각종 물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필드를 제공한다. 이 B/L정산표는 입력되는 항목을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물류비용 정산, 물류업무 정보공유, 거래전표의 인용 및 저 장에 의해 데이터화하고, 업체간 정보 인용 및 공유를 위해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B/L정산표는 실제적으로 프로그램,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물류처리시스템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B/L정산표는 자동 정산 및 정보제공이 가능한 웹장부라는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며, 구체적인 알고리즘의 수행에 대해서는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B/L정산표는 실제 장부와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웹장부를 가지며, 이들은 입력메뉴에 따라 선택, 생성되어 이용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각종 원장은 B/L정산표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형태의 장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업체는 본 시스템에서 화주와 거래처를 의미한다.
다중거래처는 선적국의 판매자와 수입국의 구매자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를 위하여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통관사, 하역업자, CY업자, 창고업자, 검역회사, 보험회사, 검수회사, 화물차량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거래처 상호 간에 청구처와 하불처의 관계를 가지는 거래처들도 자사의 장부(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의 열람이 허용되고, 자사의 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출금전표)의 제공이 가능하다.
자사는 물류공급망의 여러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업무를 담당하여 처리하는 업체로 본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모든 회원사를 의미하며, 상위단계의 업체로부터 일을 하청받아 처리하는 형태이며, 하위 단계의 업체에게 이후의 업무를 위탁하여 처리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이때, 하위 단계의 회사는 자사에 대해 하불처가 되고, 선행단계의 업체는 자사에 대한 청구처가 된다. 수출입화주는 물류공급망과 구분되는 의미로 수출입상품의 주문단계 및 물류업무의 하청단계에서 자사가 된다.
청구처는 물류단계의 특정 단계를 진행함에 있어서, 해당 단계의 소요비용에 대한 대금지불 이유를 가지는 업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사는 하불처에 대한 청구처로 인식될 수 있다. 청구처는 선적서류(B/L 및 Invoice)와 물류비용을 자사에 제공하는 업체이다. 예를들어 수입화주 → 포워더 → 통관사 → 창고업자로 다중거래처가 형성되는 경우 수입화주는 포워더에 대해, 포워더는 통관사에 대해, 통관사는 창고업자에 대해 청구처가 된다. 즉, 포워더가 자사인 경우 수출입화주는 청구처, 통관사는 하불처가 된다.
하불처는 자사로부터 선적서류(B/L 및 Invoice)와 돈(물류비용)을 제공받아 물류관련 업무를 위탁받아 처리하는 하청업체를 의미한다. 이 하불처는 화주의 물류업무를 대행하기 위하여 다른 물류업체들과 담당업무의 처리를 위한 다중거래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거래는 물류거래와 상품거래 두 가지로 구분된다.
물류거래는 수출화주가 선적국의 원산지(수출상품의 생산장소)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선적요청(Shipping Request)하는 과정부터 수입국의 최종목적지(수입화주의 지정장소)에서 수입화주에게 화물을 인도하는 과정까지의 화물이동경로에서 발생하는 거래이다. B/L정산표에서 화물형태가 FCL(Full Container Load, 만재 컨테이너 화물 : 콘테이너 내장화물의 화주가 1개 업체인 경우), LCL(Less Than Container Load, 소량컨테이너화물 : 콘테이너 내장화물의 화주가 2개 업체 이상인 경우), BULK(콘테이너 단위로 운송하기에는 부적절한 대량의 용적화물), ETC(항공화물)인 거래를 의미한다. 이 물류거래품목으로는 선적료 또는 D/O료, 운송료, 통관료, 하역료, CY비용, 창고료, 검역료와 같은 것이 포함된다.
상품거래는 수출화주가 해외바이어에게 선적하기 위한 상품과 수입화주가 해외공급자로부터 수입한 상품의 입출고거래로서 관세청의 HS코드(국제통일 상품분류,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n and Coding System)에 의한 품목(품명, 모델, 규격, 타입)으로 등록되는 품목을 포함한다.
공통장부는 본 시스템에 가입된 회원사들이 상호간에 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를 제공하고, 거래처원장(물류거래장 및 상품거래장에 대한 청구처원장과 하불처원장)의 열람을 허용, 정보인용, 정보제공을 허용할 수 있는 장부로써 대표적으로 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 일계장을 포함한다.
임의장부는 본 시스템에 가입한 업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부로써, 입금 및 출금 전표에 관한 간편장부를 의미한다.
거래장(또는 거래처원장)은 물류거래장 및 상품거래장으로 구분되며, 각각 청구처원장과 하불처원장을 포함한다.
물류거래장은 FCL화물 및 LCL화물에 대한 물류비용 사용내역을 처리하는 장부로 이용된다. 이 물류거래장은 화물의 입항일자와 B/L번호 등록에 의해 자동생성된다.
상품거래장은 수출입상품에 대한 주문과 판매업무 및 재고현황관리가 기재되는 장부로써, 상품주문시에는 입고일자와 입고번호 입력에 의해 자동생성되고, 상 품판매시에는 출고일자와 출고번호에 의하여 자동생성된다.
일계장은 자사의 돈을 관리하기 위한 재무회계용 장부이며 출금전표와 입금전표로 작성된다.
청구처원장은 청구처의 물류업무를 위하여 자사에게 위임한 선적서류 및 물류비용 사용내역을 기재하는 장부이다. 업체정보등록의 거래처지정에서 청구처로 지정되면 B/L정산표의 청구처에 자동입력되어 청구처원장이 자동생성된다.
하불처원장은 자사의 물류업무를 위하여 하청업체에 위임한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의 사용내역이 기재된다. 업체정보등록의 거래처지정에서 하불처로 지정되면 B/L정산내역에서 품목별로 자동입력되며, 하불처원장이 자동생성된다.
정산전도금은 자사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수출입화주 또는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물류비용의 자사매출액과 하불처 또는 물류업무에 관계된 제3자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수출입화주 또는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타사비용의 합산금액이다.
정산하불금은 하불처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자사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물류비용의 자사매입액과 물류업무와 관계된 제3자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수출입화주 또는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한는 타사비용의 합산금액이다.
입체대납금은 정산전도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청구처로부터 입금되는 받을입체금과 정산하불금 중에서 관세를 제외한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하불입체금으로 구분된다.
선적정보는 수출화주가 선적국의 원산지(수출상품의 생산장소)에서 선박회사 또는 포워더에게 선적요청(Shipping Request)하는 과정에서 선적국의 선복예약(Booking)정보, 화물선적수량, 선박 또는 항공기정보의 운송수단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수출화주, 선박회사, 포워더, 운송사, 하역회사, CY, 창고, 통관사의 회원사는 선적정보에서 화물정보 또는 화물이동경로의 정보를 제공한다.
입항정보는 선적국에서 출항한 수입화주의 화물에 대한 보세구역정보, 화물이동경로, 화물의 반출입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수출화주, 선박회사, 포워더, 운송사, 하역회사, CY, 창고, 통관사의 회원사는 입항정보에서 화물정보 또는 화물이동경로의 정보를 제공한다.
운송장은 화주가 운송주문을 하는 배차현황을 표시한 서식이며, FCL운송장, LCL운송장, Bulk운송장, ETC운송장으로 구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의 일례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은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 인증시스템(130), 이동통신시스템(150), 회원사단말(170) 및 데이터통신망(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은 웹페이지 형태의 B/L정산표를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은 B/L정산표의 제공, 항목 입력에 따라 데이터처리를 위한 B/L서버(111)와 B/L서버(111)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B/L 데이터베이스(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물류 비용정산시스템(110)은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 회원자격으로 등록된 회원사단말(170)에 대해 물류업무처리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회원사단말(170) 간의 권한 제한,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정산서류의 자동생성 및 항목인용에 의한 자동작성, 알림장/팝업창과 같은 전자페이지에 의한 정보 및 필요서류의 제공, 보안인증에 의한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 설정에 따른 업무 분장이 가능한 B/L정산표를 각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한다. 특히,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은 이러한 B/L정산표를 통합된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은 회원사 및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설정 및 인증을 위한 인증시스템(130), 실시간 정보 전달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회원사단말(170)과 데이터 통신망(19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B/L정산표는 상품의 수입 및 수출을 위한 물류처리 과정에 필요한 각종 장부 및 서류의 작성과 발급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장부이다. 이 물류비용정산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B/L정산표는 거래처원장, 세금계산서, 일계장, 배차표, 운송장, 각종 전표의 작성 및 발급 외에도, B/L정산표를 이용하는 회원사의 회원정보, 회원사의 담당자 정보 및 권한, 회원사의 개별적인 회계결산, 상호 거래처를 형성하는 회원사 간의 정보 공유와 같은 회계관련 업무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장부이다. 이러한 B/L정산표는 회원사들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 및 접속과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된다.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B/L서버(111)와 B/L 데이터베이스(116)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B/L 데이터베이스(116)에는 B/L정산표의 실행을 위한 실행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B/L데이터베이스(116)에는 회원사들이 B/L정산표를 통해 물류업무처리를 처리하도록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B/L정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정보와 회원사들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업무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원사들의 회원가입 정보는 회원사 각각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별도로 회원가입 정보와 업무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구분하여 설명하지는 않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정보는 B/L정산표 즉,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의 이용 및 물류처리를 위한 기본정보, 물류처리에 필요한 권한 및 설정이 저장되는 설정정보, 실제적인 물류처리에 있어서 회원사들로부터 입력되는 물류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제로,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되는 B/L정산표의 입력필드에 회원사들이 회원사단말(170)을 통해 입력되는 모든 내용은 B/L데이터베이스(160)에 데이터로 저장된다. 일례로 B/L데이터베이스(116)에는 회원사별정보, 장부 및 전표데이터, 품목정보, 수출입상품정보, 단가 정보, 계정과목 정보, 회원사별 거래업체 정보, 운송차량 정보와 같은 정보들이 저장되어 유지된다.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대표적인 항목의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원사별정보는 회원사 자사의 업체정보, 자사의 거래처 정보, 자사에서 거래처에 제공할 정보 및 거래처로부터 인용할 정보에 대한 설정정보, 회원사별 담당자의 정보와 같은 회원사 관련정보이다. 장부 및 전표데이터는 회원사별로 관리되는 정보로써, 회원사가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 등록된 이후 에 처리한 장부와 물류처리에 따라 발생한 전표 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이러한 장부 및 전표 정보는 일정기간 예를 들어 세무조사 대상이 되는 5년 동안의 데이터가 전부 보관이 되며, 일정 기간이 지난 장부는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 의해 자동으로 장부잔액이 이월되면서 삭제된다. 또한, 품목정보는 회원사가 처리하는 물류품목 및 품목에 따른 요율표정보가 저장된다. 물류품목은 회원사가 담당하는 물류처리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운송, 통관, 보관, 검역, 하역과 같은 항목이 입력된다. 요율표는 자사가 청구처 또는 하불처에 자사의 품목에 따라 요청하는 요금이 기재된 것으로, 거래처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자사요율표와 특정 업체별로 적용되는 업체요율표를 포함한다. 계정과목정보는 정산이 필요한 항목, 장부에 관한 정보이다. 계정과목정보는 크게 거래장 계정, 일계장과 같은 대분류와 이에 따라 부속장부를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물류거래장과 상품거래장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계정과목정보는 시스템 계정과목정보와 사용자 계정과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스템 계정과목은 회원사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회원사에 의한 삭제 및 수정이 불가능하고, 사용자 계정과목은 회원사 각각의 고유한 계정으로써 회원사에 의한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한 항목이다. 회원사별 업체정보는 회원사 자사와 거래하는 거래처의 정보이다. 이 회원사별 업체정보는 장부명, 다중거래접속번호, 자사팀장, 자사담당자, 거래처구분, 업체구분, 업체코드, 주요화물과 같은 기본정보, 거래처의 사업자 등록정보 및 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 관계는 거래전표, 거래처원장과 같은 장부에 기록되는 정보 및 물류처리업무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 고, 각자의 업무에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설정정보이다. 이 다중거래처 장부협조관계에서 각 회원사는 자사의 거래처별로, B/L정산표의 화주정보, 사원정보, 통관정보, 배차정보의 제공, 거래장 전표 제공 및 인용, 재고목록, 송품장의 제공 또는 인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설정에 따라 회원사 및 회원사의 거래처는 B/L번호와 화물의 입항일자만 입력하면 정보제공 및 인용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 및 입력되는 전표 또는 장부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중거래처 장부협조관계의 설정시 별도의 설정이 없는 한, 자사의 영업비밀과 직결되는 항목인 청구처, 배차번호, 하불처 정보는 거래처에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운송차량정보는 기본정보, 사업자등록정보, 장부 및 전표의 적용기준, 운전자 정보, 세금계산서 거래기준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운송차량정보의 기본정보는 장부명, 차량번호, 업종구분, 업체코드, 대표전화, 지입여부, 적재중량, 취급화물, 차종, 차고지, 다중거래접속번호, 계좌번호 및 연락처와 같은 정보이다.
B/L서버(111)는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접속하는 회원사단말(170)에 B/L정산표를 제공하고, 회원사단말(170)로부터 B/L정산표 입력항목을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B/L서버(111)는 회원자격으로 등록된 회원사단말(170)에 대해 물류업무처리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회원사단말(170) 간의 권한 제한, 물류업무처리에 필요한 정산서류의 자동생성 및 항목인용에 의한 자동작성, 알림장/팝업창과 같은 전자페이지에 의한 정보 및 필요서류의 제공, 보안인증에 의한 회원사 담당자의 권한 설정에 따른 업무 분장이 가능한 B/L정산표를 각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하는 주체로써의 역할을 수행 한다. 구체적으로 이 B/L서버(111)는 일반적인 회원사관리 외에 B/L정산표를 이용한 장부 또는 전표의 자동작성, 입력된 전표 또는 업무처리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회원사의 접속 또는 회원사 담당자의 접속에 따른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B/L서버(111)는 B/L정산표를 통해 B/L정산표의 입력항목별로 제공되는 알림창 또는 팝업창을 통해 지정된 회원사단말(170)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B/L서버(111)는 B/L정상표를 통해 지정된 기간이 도래한 장부, 전표와 같은 데이터를 정산하여 이월함과 아울러, 정산된 데이터를 삭제한다. 또한, B/L서버(111)는 물류업무처리 과정에서 회원사 단말의 요청 또는 미리 정의된 절차에 따라 알림장 또는 팝업창을 통해 관련 회원사에 물류처리에 소요되는 서류를 제공한다. 특히, B/L서버(111)는 B/L정산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정보 인용, 정보제공 설정에 따라 청구처 또는 하불처에서 작성된 장부 내용을 인용하여 하불처 또는 청구처의 장부에 자동기재하여 회원사간의 공유 업무를 통합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B/L서버(111)는 B/L정산표를 통해 회원사들 상호간에 전표(매출, 매입, 출금, 입금)를 제공하고, 청구처 원장 또는 하불처 원장의 열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 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과 같은 공통장부를 제공한다. 이 B/L서버(111)는 장부 또는 전표의 기재정보를 팝업창 또는 알림창을 통해 지정된 회원사단말(170)에 제공하는 것 외에도, 지정된 휴대단말 번호로 미리 설정된 항목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B/L서버(111)는 데이터통신망(19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시스템(150)에 연결되며, 이동통신시스템(150)의 단문문자서비스(SMS : Short Messaging Service)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항목의 정보를 지정된 연락처의 휴대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B/L서버(111)는 B/L정산표에 입력되는 사항 중 공통업무에 관한 사항 또는 일반적인 절차를 따르는 업무에 관한 항목 또는 장부를 자동입력하거나 자동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회원사가 자사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자사와 거래처(청구처, 하불처) 간에 B/L정보, 거래장전표, 재고목록, 송품장의 자사정보 제공 및 거래처정보 인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중거래 접속번호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또한, B/L서버(111)는 자사정보등록시 주요화물의 종류(FCL, LCL, Bulk, ETC)를 선택하면 물류거래장 또는 상품거래장을 자동을 생성한다. 그리고, B/L서버(111)는 정보제공 및 정보인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자사의 매출전표에 의해 청구처 매입전표를 자동작성하거나, 하불처의 매출전표에 의해 자사의 매입전표를 자동으로 작성한다. 또한, B/L서버(111)는 거래장전표에 있어서 주력품목 상세전표, 받을입체금전표, 하불입체금전표는 회원사의 선택에 따라 소분류계정과목의 상세전표, 정산전도금 또는 정산하불금에서 세금합계를 제외한 합산금액과 기타금액을 1건의 입체대납금의 중분류 계정과목에서 받을입체금 전표 또는 하불입체금 전표로 거래장에 자동 작성한다. 이와 같이 B/L서버(111)는 업종별 선택항목에 대해 시스템 계정과목에서 전표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작성된 전표에 미리 설정된 물류비용요율표(자사요율표 및 업체요율표)에 따라 항목을 자동으로 기재하여 전표를 작성한다. 한편, B/L서버(111)는 회원사단말(170)을 통한 로그인시 담당자들의 공인인증서를 인증시스템(130)을 통해 확인하여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B/L정산표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접근을 방지한다.
인증시스템(130)은 B/L서버(111)의 요청에 따라 회원사단말(170)을 통해 제공되는 공인인증정보와 미리 저장된 공인인증정보를 비교하여 회원사의 담당자를 인증하고, 인증성공여부를 B/L서버(111)에 전달한다.
이동통신시스템(150)은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의 요청에 따라,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서 지정한 이동통신번호의 휴대단말기로,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서 제공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회원사단말(170)은 회원사의 담당자가 B/L정산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과 연결된다. 이러한 회원사단말(170)은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을 통해 회원으로 등재된 업체의 단말로써, 컴퓨터, PDA를 비롯한 데이터처리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회원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의 수출입에 따른 물류업무에 관계하는 회사로써 상호간에 다중거래처를 형성하는 회사들이다. 이러한 회원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출입화주(171), 항공사(172), 선박회사(173), 포워더(174), 화물운송사(175), 운송주선업자(176), 통관사(177), CY(Container Yard)업자(178), 하역업자(179), 검역회사(180), 보험회사(181), 화물차량(182), 창고업자(183) 및 기타 물류업무에 관계하는 업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원사들은 각자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망(190)을 통해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 접속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B/L정산표는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웹페이지 형태의 B/L정산표는 회원사의 담당자가 지정된 단말 즉, B/L정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가 아닌 임의의 단말을 통해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업무의 특성상 지정 된 위치에 있는 시간보다 외근 위주의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의 경우 필요한 경우에만 자신의 휴대단말 또는 공용 PC를 이용하여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 접속하고, 이를 통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통신망(190)은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 인증시스템(130), 이동통신 시스템(150) 및 회원사단말(170)이 상호 간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데이터통신망(190)은 인터넷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며, 통신망의 형태는 유선, 무선인 것에 구애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실제적으로 회원사단말(170)의 표시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B/L정산표의 각 항목별 화면구성의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물류비용정산시스템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B/L정산표로 언급되는 웹 장부를 통해 B/L정산업무의 처리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회원사 단말(170)을 비롯한 다양한 시스템과 물리적 접속을 유지하고, 프로그램 구동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B/L서버(111) 및 B/L데이터베이스(116)와 함께, 실제적인 B/L정산업무가 이루어지도록 입력 필드 및 입력된 항목의 처리 알고리즘이 구현된 정산프로그램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특히, 회원사단말(170)의 경우 원격지에서 B/L서버(111)에 의해 제공되는 입출력 화면을 제공받는 것으로, 실제적인 B/L정산 프로그램의 구동 및 데이터 저장은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B/L서버(111) 나아가,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의 기능과 B/L정산 프로그램을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6은 본 발명의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을 통해 제공되는 정산표, 전표, 운송장, 송품장과 같은 각종 양식, 목록, 정보의 제공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9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진행함에 있어, 일부 도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도면의 경우 도면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내용을 인지할 수 있거나, 다른 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별도의 설명이 불필요한 경우이다.
도 2는 자사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에 등록되는 자사정보는 사업장정보, 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 본지사정보, 입출금계좌정보, 업체로고, 인감 및 서명감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원정보도 자사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나, 권한 설정 및 세부 설정항목이 필요하므로, 별도의 입력과정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기본정보는 장부명, 업종구분, 자사부호, 대표전화, 다중거래 접속번호, 주요화물, 화주의 MID Code 정보를 포함한다.
업종구분은 약 15종류(G:수출입화주, A:항공사, L:선박회사, F:포워더, T:화물운송사, B:운송주선업자, C:통관사, S:하역업자, W:창고업자, Y:CY업자, Q.검역회사, I:보험회사, M.검수회사, V:화물차량, Z:기타)의 업종중에서 선택지정된다. 여기서, 화주는 B/L정산표의 "화주"항목에 입력되는 업체로 수출화주는 수출송품장 및 수출B/L에서 "Shipper/Exporter"로 표시된다. 또 수입화주는 수입면장에서 납 세의무자(수입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로 표시되는 업체이고, B/L정산표에 입력되는 물류비용(세금합계, 운송료합계, D/O료 합계, 통관료합계, 하역료합계, 창고료합계, 검역요금합계)의 매출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이다. 자사업종이 화주인 경우 "주요화물"항목에서 운송수단(항공/선박)과 화물형태(FCL, LCL, Bulk, ETC, FCL+LCL)을 구분하여 입력하게 되며, 자사정보등록과 별도로 업체정보등록에서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MID코드는 화주의 경우 수출송품장 작성시 수출업체의 고유코드(manufacturer's ID Code : MID Code)를 생성함에 있어 총11글자(국가명2자+업체명6자+소재지3자)로 표시된다. 국명은 영문2글자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기준에 따라 기재하며 우리나라는 "KR"로 표시한다. 업체명(영문대문자6글자)를 생성하는 방법은 업체명(영문상호)의 처음 2개단어(영문)에서 각각 최초의 3개글자를 인용해 작성한다. 소재지(본사의 소재지)는 3글자로 표시한다. 본지사 중에서 본사의 MID Code를 기재하고 대행수출의 경우에는 수출대행사의 MID Code를 기재한다. 예를들면, 서울(SEL)에 소재지를 둔 (주)대한상사의 영문상호(DAEHAN, CO., LTD)에 대한 MID Code는 "KRDAEHANSEL"로 표시된다. 물류업체도 “화주”의 자격으로 수출입무역을 수행하기 위하여 “송품장”을 작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의 “MID Code”는 물류업체의 자사부호(영문4글자)와 다른 영문6글자의 MID Code를 생성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물류업체의 MID Code도 화주의 MID Code 생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하여 입력한다.
자사부호는 화주와 물류업체로 구분된다. 화주의 경우 "자사부호"는 MID Code의 영문자 중에서 업체명 6글자를 인용하여 입력한다. 물류업체(업종구분)의 경우 물류업체의 MID Code와는 다른 부호이며 자사의 영문상호(업체명)에서 거래상대방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대문자 4글자를 조합하여 기재한다.
다중거래 접속번호는 화주와 물류업체로 구분된다. 화주의 경우 G-DAEHAN-8888과 같이 자동표시되며 첫번째 영문자1개(G)는 화주의 업종코드로 자동생성되며, 두번째 영문자6개(AAAAAA)는 “자사부호”의 영문자이다. 세번째숫자4개(8888)는 대표전화의 뒷자리4개로 자동생성된다. 물류업체의 경우 L-HDMU-8888 와 같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첫번째 영문자 1개(L)는 업종코드(선박회사)로 자동생성되며, 두번째 영문자 4개(HDMU)는 "자사부호"의 영문자이다. 세번째 숫자 4개(8888)는 대표전화의 뒷자리 4개로 자동생성된다. 자사와 거래처(청구처, 하불처)간에 4종류(B/L정보, 거래장전표, 재고목록, 송품장)의 자사정보를 제공하고 거래처의 정보를 인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속번호이다.
주요화물은 취급하고 있는 화물의 주요형태를 4종류(해당없음, FCL, LCL, Bulk, ETC)에서 선택한다. FCL은 1개의 콘테이너에 화주가 1명인 경우의 콘테이너화물이고, LCL은 1개의 콘테이너에 화주가 2명이상인 경우의 소량화물이며, 벌크(Bulk)는 부피단위로 계량되는 선박의 용적화물이고, ETC는 항공화물이다.
업종구분에서 "A.화주"로 등록하는 업체는 "주요화물"에서 지정된 화물구분(FCL, LCL, Bulk, ETC)이 B/L정산표의 화물형태에 기본값으로 자동표시된다. "주요화물"은 B/L정산표에서 "화주"가 취급하는 화물형태의 4종류(FCL, LCL, Bulk, ETC)에서 선택하기 위한 것이므로 등록하려는 업체의 "업종구분"이 "A.화주"가 아 닌 경우에는 "주요화물"란에 "해당없음"으로 자동표시된다. 그러나 A.화주가 아닌 포워더, 창고업자라 하더라도 수출입무역을 직접수행함에 따라 B/L정산표의 "화주"에 입력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요화물"의 입력값은 수정이 가능하다.
사업자등록정보는 상호,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주소, 업태, 종목 및 인허가사항 정보를 포함하며, 인허가사항 항목은 세무서에 사업자등록 할 때 제출하였던 "인허가사항"을 입력한다.
거래장전표의 사용기준은 주력품목 상세전표, 받을입체금전표, 하불입체금전표 및 운송료전표의 별도사용여부를 입력하는 항목이다. 거래장의 전표기장원칙은 8종류품목(관세, 통관료, D/O료, 운송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검역료)은 거래장에 품목별 합계전표가 자동표시된다. 기타요금(H/C, 보수작업비, 적하보험료, 검수료, 기타물류비)은 소분류계정과목별로 상세전표가 자동표시된다. 그러나 "주력품목 상세전표" 또는 "받을입체금전표" 또는 "하불입체금전표"의 사용여부에 "체크"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예외가 적용된다.
주력품목 상세전표사용에서 사용함"을 선택하면 물류거래 품목등록에서 "주력품목"으로 등록된 업종의 전표기장은 소분류계정과목의 상세전표가 거래장에 자동으로 기장(이하 "기장"은 "장부에 기재됨"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된다.
받을입체금전표 사용에서 "입체대납금"이라 함은 B/L정산표에서 정산전도금(청구처로부터 받을돈)과 정산하불금(하불처에게 줄돈)의 취급품목 중에서 "세금합계"를 제외한 나머지품목의 합산금액을 말한다. 또한, 청구처로부터 받을 입체대납금을 "받을입체금"이라 하였으며 하불처에게 지급할 입체대납금을 "하불입체금" 이라 하였다. 받을 입체금전표에서"사용함"을 선택하면 정산전도금(청구처로부터 받을돈)의 취급품목 중에서 "세금합계"를 제외한 나머지품목(운송료, 통관료, D/O료, 창고료, 하역료, 검역료)의 합산금액과 기타요금(H/C, 보수작업비, 검수료, 적하보험료, 기타물류비)이 1건의 전표(받을입체금전표)로 거래장에 자동으로 기장된다. "받을입체금"의 전표를 사용하더라도 "세금합계"의 전표는 받을입체금의 전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하불입체금전표 사용에서 "사용함"을 선택하면 정산하불금(하불처에게 줄돈)의 취급품목 중에서 "세금합계"를 제외한 나머지품목(운송료, 통관료, D/O료, 창고료, 하역료, 검역료)의 합산금액과 기타요금(H/C, 보수작업비, 검수료, 적하보험료, 기타물류비)이 1건의 전표(받을입체금전표)로 거래장에 자동으로 기장된다. "하불입체금"의 전표를 사용하더라도 "세금합계"의 전표는 하불입체금의 전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운송료전표 별도사용 항목은 입체대납금의 전표(받을입체금전표, 하불입체금전표)를 사용하더라도 거래장에서 "운송료합계"전표를 별도로 표시하려는 경우에 사용한다. "운송료전표 별도사용"에 체크하는 경우 받을입체금전표와 하불입체금전표의 금액은 "세금합계"와 "운송료합계"가 제외된 금액으로 표시된다.
기타항목은 B/L정산표 및 장부사용기간을 설정하고, 세금계산서의 수량/단가 표시여부, B/L정산표의 정산방법 및 하불처 SMS의 수신처지정을 위한 항목이다.
B/L정산표 및 장부사용기간은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된 자료에 대하여 작업화면에서 열어볼 수 있는 장부와 전표의 사용기간을 설정한다. 자사등록시 장 부사용기간을 1년으로 설정하면 1년전(당해년도가 2009년인 경우 2008년1월1일)부터 현재까지의 데이터만 작업화면에 나타난다. 자사등록시 장부사용기간을 2년으로 설정하면 2년전(당해년도가 2009년인 경우 2007년1월1일)부터 현재까지의 데이터만 작업화면에 나타난다. 본발명의 물류정산 시스템에 입력된 모든 데이터는 5년전(당해년도가 2009년인 경우 2004년1월1일)부터 현재까지의 입력정보가 시스템의 B/L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된다. 5년기간이 경과한 (당해년도가 2009년인 경우 2003년12월31일까지의 데이터)는 2003년12월31일의 장부잔액이 자동으로 2004년1월1일로 차기이월되면서 시스템에서 삭제(폐기)된다. 6년전 12월31일의 일계마감결과 거래장과 일계장의 (-)잔액은 차기이월되면서 데이터가 삭제(폐기)되고, 5년전 1월1일자로 전기이월(소분류계정)되어 출금전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6년전 12월31일의 일계마감결과 거래장과 일계장의 (+)잔액은 차기이월되면서 데이터가 삭제(폐기)되고, 5년전 1월1일자로 전기이월(소분류계정)되어 입금전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로고등록은 D/O(Delivery Order : 화물인도지시서) 및 자가운송신청서의 서식에 사용한다. 인감등록은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배차요청서에 사용할 "사용인감"을 스캔하여 등록한다. 서명감등록은 B/L, D/O, 자가운송신청서의 서식에 사용한다.
사업용계좌등록은 청구처에게 제시하는 물류비용예상자금청구서, 물류비용정산서에서 사용되는 물류비용입금계좌로서 은행명, 계좌번호, 예금주를 등록한다. 영업팀장별로 입금계좌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 입금계좌별로 "통장코드"가 순서대로 자동설정된다.
도 3은 사원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사원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류비용정산시스템(110)의 B/L정산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B/L 정산업무를 처리하는 사원의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담당자 등록을 위한 사원 정보 등록 항목은 사원코드, 본지사구분, 팀장코드, 등록통장, 직위, 사원 아이디, 사원 패스워드, 직통전화, 팩스, 휴대폰, 이메일, 메신저와 같은 정보이다.
본 발명의 물류비용정산시스템에서는 사원(담당자)코드는 담당자의 코드번호이며, 2개의 숫자(01~99까지)로 표시한다. 한번 등록된 사원코드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B/L정산표의 "담당자"란에 사원코드가 한번이라도 입력되면 이미 담당자의 장부(청구청원장 또는 하불처원장, 일계장) 및 전표가 작성되었기 때문에 삭제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B/L정산표의 "담당자"란에 입력된 적이 없어 장부에 전표작성이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면 삭제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삭제된 코드번호를 다른 사원이 사용할 수 있다. 사원이 퇴사하여 사원코드를 삭제하더라도 본 시스템의 유효기간(5년) 이내에는 퇴사한 사원의 장부와 전표가 존재하므로 5년동안 다른 사원이 삭제된 코드번호를 사용할 수 없다. 대표자(사장)도 사원코드를 부여하여야 하며 보통 01번으로 등록한다. 팝업창 경고문구에 "본 사원번호는 장부에 전표가 존재하므로 삭제가 불가능하며 만일 삭제한다면 추후 5년동안 재사용 이 불가능합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안내문을 기재하여 삭제에 따른 위험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지사구분은 사원이 소속된 본사 도는 지사의 "지역명칭"을 입력한다. 등록일자는 사원등록일자를 입력한다.
팀장코드(영업팀장)는 수출입물량을 수주영업하면서 청구처를 책임관리하는 사원(대표자 포함)이다. 자사등록시 동록된 사원중에서 선택한다. 자사등록시 "팀장코드"는 영업팀장의 코드이며 1개의 영문대문자로 표시한다. 팀장코드가 부여된 사원에게는 3종류의 작업화면〔(B/L정산표, 거래장(청구처원장,하불처원장), 보고서(물류보고서,상품보고서)〕에 대한 사용권(열람권,입력권)이 제한되며, 작업화면의 검색조건에서 선택된 영업팀장에게만 사용권이 부여된다. 3종류의 작업화면에서 사용권을 부여받으려면 자사정보등록시 "사원별시스템접근권한"을 수정하여야 한다.
등록통장은 영업팀장으로 등록된 사원에 한하여 사업용계좌로 등록된 통장의 번호를 선택한다. 사업용계좌로 등록한 계좌중에서 영업팀장 혼자서만 사용하는 입출금통장이며, 영업팀장에 귀속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 화주 등)의 입출금에만 사용하는 경우이다. "등록통장"으로 지정하면 영업팀장에 귀속된 거래처에게 발송하는 예상자금청구서와 물류비용정산서에서 입금계좌로 표시된다. 사원정보에 등록통장을 지정하지 않으면 예상자금청구서와 물류비용정산서의 입금계좌가 대표통장의 계좌번호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물류시스템에서는 회원사의 담당자가 업무 영역을 확실히 하여 책 임한계를 명확하기 하기 위해 사원별 시스템접근권한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사원별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차별화하기 위하여 4종류(○ × △ □)로 구분하였다. B/L정산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예상하지 못한 입력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당해 B/L을 담당하는 사원별로 책임한계를 분명히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B/L담당자의 입력오류로 인하여 거래처(청구처 및 하불처)의 전표와 장부까지도 심각한 오류가 전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원별로 시스템접근권을 차별화하여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 : 본 시스템접근권한을 허용한다는 표시
× : 본 시스템접근권한을 불허한다는 표시
△ : B/L정산표를 처리함에 있어 어느 특정의 팀장에 해당하는 거래처(청구처, 하불처)는 특정한 팀장만이 장부를 열람할 수 있고 전표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팀장"은 "○팀장"의 장부열람이 불가능하고 "○팀장"의 전표처리업무도 불가능할 뿐만아니라 "○팀장"도 "△팀장"의 장부열람이 불가능하고 "△팀장"의 전표처리업무도 불가능하다. "△팀장"은 회사(자사)의 경영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그룹의 팀장이며 입출금통장도 대표통장이 아닌 별도의 "등록통장"으로 지정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자기가 영업한 거래처의 B/L업무처리정보를 "○팀장"에게 노출되기를 꺼려하는 경우에 설정된다.
□ : "△팀장"과 달리 "□팀장"은 물류업무를 직접 처리하지 않으며 오로지 영업만을 전담하는 요원이다. "○팀장"은 "□팀장"의 업체정보, B/L정산표, 청구처원장 등 모든 열람과 전표처리가 가능하지만 "□팀장"은 다른 팀장의 업체정보를 열람할 수 없으며 다른 팀장의 B/L정산표, 청구처원장 등의 열람과 전표처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팀장"은 자기가 영업한 거래처의 업체정보만을 열람할 수 있고, 자기가 영업한 업체의 B/L정산표와 청구처원장을 열람할 수 있을 뿐이다.
장부열람권 및 전표입력권 제한이유는 본 프로그램은 웹장부로서, 사내의 모든 사원(담당자)이 웹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웹에서 전표를 생성하는 다중거래처 3곳(청구처, 자사, 하불처)의 온라인 작업환경이므로 사원별로 업무처리하는 담당업무에 한하여 열람권과 입력권을 선별하여 지정해 줌으로서 담당자별로 업무처리의 책임감과 거래처의 자료보안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담당 사원별 권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사/계정 등록권은 자사정보 및 계정과목을 등록하고 수정의 권한을 부여한다. 품목 등록권은 품목을 등록하고 수정할 권한을 부여한다. 자사/계정/품목 열람권은 자사등록정보, 계정과목등록정보, 품목등록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사원등록정보 수정권은 사원(담당자)들이 등록한 ID 및 P/W를 수정(신규등록 포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자사의 임원(대표자 포함)중에서 자사관리자(경영실권자) 1명으로 제한함이 좋다. 사원들의 ID 및 P/W를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서 사원의 결근(유고)시 진행중(미결)의 B/L업무를 다른 사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알림장 열람권은 B/L정산표의 "담당자"가 받은 알림장의 "받은메세지"와 "보낸메세지"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B/L정산표의 "영업팀장"은 업무처리의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담당자"가 받은 알림장과 보낸 알림장을 열람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B/L정산표 담당자변경권은 B/L등록표의 3곳(청구처, 영업팀장, 담당자)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자사의 대표자 또는 실권자의 임원급에게만 "변경권"을 부여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업체/차량 열람권은 업체등록정보, 차량등록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업체/차량 등록권은 업체등록정보, 차량등록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업체/차량 수정권은 업체등록정보, 차량등록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B/L정산표와 거래장의 업무처리에 있어 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 세금계산서 거래기준, 업무처리기준은 대단히 중요한 업체정보이므로 자사의 대표자 또는 실권자의 임원급에게만 "수정권"을 부여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B/L정산표 열람권은 B/L정산표(배차표 포함)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B/L정산표 입력권은 B/L정산표(배차표 포함)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권한을 부여받은 사원은 B/L정산표를 열람할 수는 있지만 B/L정산표열람권과 상관없이 B/L정산표에서 4번(담당자)으로 지정된 사원만이 B/L정산표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거래장 열람권은 거래장(청구처원장,하불처원장 등)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거래장 입력권은 거래장(청구처원장,하불처원장 등)에 전표를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권한을 부여받은 사원은 거래장을 열람할 수는 있지만 거래장열람권과 상관없이 B/L정산표에서 4번(담당자)으로 지정된 사원만이 거래 장에 전표를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일계장 열람권은 일계장과 임의장부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일계장의 입력권은 경리사원에게만 부여함이 좋다. 회사돈의 관리에 책임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계장 입력권은 일계장과 임의장부에 전표를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일계장의 열람권은 대표자 또는 임원에게만 부여함으로서 회사내부의 자금관리를 경리담당자와 대표자 또는 임원에게만 제한적으로 열람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B/L정산표에서는 시스템 접근권한 외에도 담당자의 개별적인 사용환결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B/L정산표를 이용하는 담당자의 업무 편의를 위한 것으로 환경설정을 통해 원하는 내용이 담당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빠른메뉴설정, 풍선도움말 표시여부, 목록별 조회기간기본값 설정을 통해 담당자의 업무에 적합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빠른메뉴설정은 기본메뉴(8개)인 업체목록, 수출(입)목록, 수출(입)B/L정산표, 수출(입)배차목록, 물류거래장, 일계장, 받은메세지, 보낸메세지와 담당자의 업무비중이 많은 메뉴를 선택하여 선택추가메류로 설정하며, 선택추가메뉴는 최대 8개까지 가능하다. 기본메뉴8개와 선택메뉴8개를 합하여 최대 16까지 빠른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기본메뉴 8개에는 수출담당과 수입당당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이며 수출업무와 수입업무를 겸하는 경우에는 기본메뉴가 11개로 확장되며 이때 선택메뉴는 5개까지 추가할 수 있다.
풍선도움말 표시여부의 설정은 필드명과 제목을 클릭하여 풍선도움말이 표시 되도록 할 것인지 여부이다. 본 시스템에 처음으로 접근할 때는 "필드명도움말"이 필요하지만 사용방법이 익숙해져 "필드명도움말"이 없어도 괜찮을 때는 풍선도움말이 필요없을 것이다.
목록별 조회기간의 기본값설정은 "자사등록정보"에서 설정된 "B/L정산표 및 장부의 사용기간"과 별도로 사원별로 PC의 전원을 켤때 자료를 화면에 띄우는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하여 목록별로 미리 기본값을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기본값은 자료를 띄워야 하는 목록에 있어 기간(정산일자, 거래일자, 입항일자 등)을 PC를 켤 때 기본으로 설정되는 기간이다.
도 5는 수출입상품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출입상품등록은 상품등록 대상업종, 등록사항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진행된다.
상품등록 대상업종에서 수출입화주는 국내거래(국내주문과 국내판매)와 국제거래(해외주문과 해외수출)를 위하여 주문서(Purchase Order)와 납품서(Commercial Invoice)를 작성함에 있어 자사의 수출입상품에 대한 HS번호와 품목조건(품명, 모델, 규격, 타입, 성분)별로 재고관리가 필수적이다. 등록사항에서 《등록번호》는 등록한 순위를 나타내는 자사의 일련번호이다. 《등록일자》는 둥록된 날짜와 삭제된 날짜가 함께 표시되며 품목이 삭제되면 삭제되기 전의 과거자료는 삭제되지 않고 B/L데이터베이스(116)에 보관된다. 《품목코드》는 HS번호와 품목조건(품명,모델,규격,타입)을 입력하면 자동생성된다. 《HS번호》는 관세청의 관세율적용에 사용되는 품목분류번호를 입력한다. 《순번코드》는 자사와 회원사가 본시스템에서 입력되는 5종류(HS번호, 품명, 모델, 규격, 타입)항목이 동일한 경우 입력되는 순번대로 자동부여된다. 세관 물품검사결과 HS번호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즉시 변경된 HS번호로 수정한다. 수정된 시점부터 변경된 HS번호에 의하여 “순번코드”가 다시 생성된다. 《품명(Name of Goods)》은 HS에 대한 종속적으로 세부적인 항목이며 거래품명을 입력하면 품명부호가 자동생성된다. 《모델(Model)》은 품목에 대한 종속적이고 세부적인 항목이며 모델명을 입력하면 모델부호가 자동생성된다. 《규격(Standard)》은 모델에 대한 종속적이고 세부적인 항목이며 규격명을 입력하면 규격부호가 자동생성된다. 《타입(Type)》은 규격에 대한 종속적이고 세부적인 항목이며 타입명을 입력하면 타입부호가 자동생성된다. 《성분(Ingredient)》은 재질 또는 성분을 입력한다. 《거래단위(Unit of Trade)》는 가격결정의 기초가 되는 거래단위를 4종류(Package, Quantity, N.Weight, Measurement)에서 선택하여 입력한다. 《재고목록》에서 4종류서식(국낸주문서/납품서/해외주문서/송품장)을 작성함에 있어 《수출입상품등록》에서 등록되는 《거래단위》에 따라 가격결정의 기준치(Norm Value)가 자동입력된다. 《포장조건》은 5종류(포장단위, 수량, 총중량, 순중량, 용적)의 포장조건에 대한 기본값을 설정한다. 《재고목록》→《납품서/송품장》→《적재표》에서 차량별로 상품을 적재할 때는 등록된《포장조건》을 참고한다.
도 6은 상품단가표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품판매단가 등록은 국내매수인과 해외바이어에게 판매(수출)할 단가를 적용하기 위하여 자사가 취급하는 상품의 품목조건(품명, 모델, 규격, 타입)별로 판매단가표(자사단가표)를 등록한다. 《자사단가표》에 근거하여 《업체정보등록》→《상품단가표》의 "업체단가표"에 자동입력된다. 업체등록시 거래처(매출처, 매입처)별로 서로 다른 단가(상품판매단가)을 적용할 수도 있겠지만 《자사단가표》에 의하여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사단가표》에 근거하여 자동표시된 《업체정보등록》→《상품단가표》에서는 업체별로 개별적으로 계약되는 단가로 수정하면서 업체에게만 적용하는 "업체단가표"를 등록한다. 《수출송품장》→《적재표》→《품목열기》→《품목추가》에서는 품목조건(품명, 모델, 규격, 타입)별로 등록된 판매단가(수출단가)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도 7은 계정과목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B/L정산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장부 및 그에 따른 항목인 계정과목을 설정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계정과목을 3단계로 구분하여 대분류(거래장계정, 일계장계정),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하였다. 거래장계정과목은 물류거래장과 상품거래장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일계장계정과목"은 일계장에만 사용되고, "임의장부계정과목"은 임의장부에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계정과목 설정은 다중거래처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계정과목인 시스템계정과목과 업체 임의로 사용 가능한 사용자 계정과목으로 구분하도록 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계정과목은 본 시스템에서 다중거래처(청구처, 자사, 하불처)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계정과목이다. 따라서 시스템계정과목은 임의로 수정하거나 삭제가 불가능한 계정과목이다.
사용자계정과목은 시스템계정과 관계없이 자사의 형편에 알맞게 계정과목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임의계정"이다. 따라서 임의계정은 다중거래처(청구처, 자사, 하불처)간에 공통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며 오로지 사용자(자사)만 "계정과목등록"이 가능하고 수정과 삭제도 가능하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계정과목은 물류업체가 빈번하게 지출하는 비용을 중심으로 구분한 계정과목으로서 본 프로그램 관리자가 임의로 지정한 계정과목이므로 자사의 형편에 알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아래의 계정과목은 기업회계기준에서 사용하는 계정과목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단지 서비스사업의 물류업체가 현실적으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추정하여 분류한 것에 불과하며 세무보고용 재무제표에 적용하는 계정과목은 자사의 기장업무를 담당하는 회계사무소가 별도로 정리하는 것임을 참고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장부사용기간을 5년으로 제한하였다. 따라서 장부는 수년동안 무한대로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세무조사기간(5년)을 경과한 전표와 장부는 5년이 지나면 자동폐기되도록 설정하였다. 때문에, 처음 지정하였던 계정과목을 몇 개월이 경과되어 수정하거나 삭제하였다면 수정전의 전표내용의 데이터값이 함께 수정되거나 삭제되지 않기 때문에 장부의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계정과목도 5년동안은 계속하여 사용되어야 하므로 한번 지정된 계정과목(계정번호와 과목명칭)은 수정과 삭제에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며 영원토록 수정과 삭 제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정과목의 지정번호는 01~99까지 부여할 수 있으며, 계정번호와 과목명칭을 한번 지정하였으면 최소한 1년기간동안(1월1일~12월31일)은 사용하여야 할 것이며, 1년동안 사용하였던 계정과목이 적합하지 못하여 불가피하게 수정하거나 삭제하여야 할 경우라면 당해연도 12월31일 또는 다음연도 1월1일에 수정하거나 삭제하여야 할 것이며 계정과목을 삭제후 다시 추가하려면 1~99번까지의 계정번호중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번호를 지정번호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장부(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 일계장, 임의장부)에서 일반적으로 연도별로 출력물(보고서)을 관리하기 때문이다. 1월1일부터 12월31일의 1년기간중에서 임의로 조회기간을 설정하여 보고서를 출력하였을 경우 "계정번호"별로 데이터값이 연동되고 있으므로 계정과목수정으로 인한 전표의 오류발생을 예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아래의 계정과목 중에서 "회사운영비"의 계정과목에 대하여 1년동안 사용하다가 올해 12월31일 또는 다음연도 1월1일에 모든 계정과목을 대폭수정함에 있어 "계정번호"를 재배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현재 사용중인 계정번호(01~29)와 별도로 다른 계정번호(31~59)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서 "계정번호"수정으로 인한 전표의 오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과목의 등록방법은 도 5의 계정과목 등록표에서, "등록"버튼을 클릭한다. 팝업창이 열리면 대분류계정과 중분류계정을 선택한다. 소분류계정과목은 계정번호(01~99까지 가능함)와 과목명칭을 입력한다. 계정과목의 수정/삭제에 있어, 수정/삭제를 하고자 하는 계정과목에 커서를 놓고 클릭하면 등록된 계정 과목의 팝업창에서 수정과 삭제를 한다.
또한, 사용자계정과목의 삭제는 록된 계정번호의 계정과목에 의하여 장부(거래장,일계장,임의장부)에서 1건이라도 전표작성을 하였다면 "계정과목삭제"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등록된 계정과목의 계정번호가 생성되고 나서 장부(거래장,일계장,임의장부)에서 전표작성이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면 "계정과목삭제"가 가능하다. 아울러, 실수 또는 잘못된 생각에 의한 삭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계정번호"는 장부에 전표가 존재하므로 삭제가 불가능하며 만일 삭제한다면 추후 5년동안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팝업창 경고문구를 제공하여, 실수에 의한 삭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도 8은 물류비용 요율표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류시스템에서는 물류품목 등록, 물류품목의 요율표 작성, 수출입상품등록 및 상품판매단가를 등록하여 품목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주력품목은 등록업체의 주요 매출종류이다. 취급품목은 9종류(관세, D/O료, 통관료, 운송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검역료, 기타요금)중에서 자사가 취급할 수 있는 품목이다. 《자사정보등록》 → 《업종구분》(이하에서 "《 》"표시는 메뉴항목 또는 장부명 또는 특정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에서 "G.화주"로 지정된 업체의 취급품목은 9종류의 모든 품목이다. 왜냐하면 화주 앞으로 발행되는 세금계산서의 품목은 9종류의 취급품목이 모두 해당하기 때문이다. 업종별로 "O"가 표시 된 항목은 《계정과목등록표》→《시스템계정과목》의 전표가 생성되는 항목이다. 《B/L정산표》 및《물류거래장》에서는 "계정과목"으로 관리된다. 예를들면, "운송료"의 취급품목이 《B/L정산표》→《배차표》및 《물류거래장》에서는 시스템계정과목에서 "매출운송료"와 "매입운송료"로 표시되지만 세금계산서에서는 품목란에 "운송료"라고 표시된다.
물류품목의 자사요율표는 자사가 취급하는 품목(D/O료, 통관료, 운송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검역료, 기타요금)별로 물류비용요율표(자사요율표)를 등록한다. 《자사요율표》에 근거하여 《업체정보등록》→《물류비용요율표》의 "업체요율표"에 자동입력된다. 업체등록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별로 서로 다른 요율(물류비용 단가)을 적용할 수도 있겠지만 《자사요율표》에 의하여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사요율표》에 근거하여 자동표시된 《업체정보등록》→《물류비용요율표》에서는 업체별로 개별적으로 계약되는 단가로 수정하면서 업체에게만 적용하는 "업체요율표"를 등록한다.
도 9는 업체목록의 출력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업체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류비용정산시스템에서는 다중거래처의 업무처리를 위해 업종에 따른 업체등록 절차가 필요하다.
업체정보등록의 항목은 자사정보 등록과 매우 유사한 절차 및 항목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업체정보등록에서는 기본정보, 사업자등록정보, 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 세금계산서 거래기준, 업무처리기준, 실무자목록, 물류비용요율표, 상품단가표, 거래처지정을 위한 입력항목을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기본정보는 자사정보등록에서와 유사하게, 장부명, 다중거래접속번호, 자사팀장, 자사담당, 거래처구분, 업체구분, 업체코드, 담당본지사, 주요화물, 연락처, 추천인, 계좌번호와 같은 정보가 기록된다.
《다중거래접속번호》는 자사와 거래처(청구처, 하불처)간에 4종류(B/L정보, 거래장전표, 재고목록, 송품장)의 정보를 제공하고 인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속번호이다.
《자사팀장》은 수출입물량을 수주영업하면서 등록업체를 책임관리하는 사원으로 자사의 영업팀장이다. 《자사담당》은 B/L정산표의 "담당자"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사원으로 자사의 담당자이다.
《거래처구분》 14종류(G.화주, A:항공사, L:선박회사, F:포워더, T:화물운송사, B:운송주선업자, C:통관사, S:하역업자, W:창고업자, Y: CY업자, Q:검역업자, I:보험회사, M.검수회사 Z:기타)중에서 “물류업체”의 업종을 선택한다. 등록할 업체가 선적서류(B/L, Invoice)와 물류비용을 자사에게 제공하는 “물류업체”인 경우에는 《업체구분》에서 2종류(물류업체, G.화주)에서 “물류업체”를 선택한다. 《거래처구분》에서 지정된 물류업체는 《B/L정산표》에서 “청구처”란에 입력되는 업체이다. 등록할 업체가 선적서류(B/L, Invoice)와 물류비용을 자사에게 제공하는 “화주”인 경우에는 《업체구분》에서는 2종류(물류업체, G.화주)에서 “G.화주”를 선택한다. 《거래처구분》에서 지정된 화주는 《B/L정산표》에서 “청구처”란에 입력되면서 동시에 “화주”란에도 입력된다. 등록할 업체가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을 자사로부터 제공받을 “물류업체”인 경우에는 《업체구분》에서는 2종류(물류업체, G.화주)에서 “물류업체”를 선택한다. 《거래처구분》에서 지정된 물류업체는 《B/L정산표》에서 “하불처”란에 입력되는 업체이다.
《업체구분》2종류(물류업체, G.화주)에서 선택한다. 등록하려는 업체가 물류업체인 경우에는 “물류업체”를 선택하고, 화주인 경우에는 “G.화주”를 선택한다.
《업체코드》는 업체코드는 M01-B02-A03 과 같이 표시한다. 첫번째영문자는 《B/L정산표》→《영업팀장》에 입력되는 사원코드이고, 숫자01은 《B/L정산표》→《담당자》에 입력되는 사원코드이다. 두번째영문자는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의 《업종부호》이다. 《업종구분》의 14종류(G:화주, A:항공사, L:선박회사, F:포워더, T:화물운송사, B:운송주선업자, C:통관사, S:하역업자, Y:CY업자, W:창고업자, Q:검역업자, I:보험회사, M.검수회사, Z:기타)중에서 선택하여 지정하고 일련번호 01~99까지 표시한다. 세번째영문자는 《B/L정산표》→《화주》에 입력되는 《업종부호》이며, 《매출세금계산서》에서 공급받는자(수취인)로 표시되며, 일련번호 01~99까지 부여한다.
《주요화물》은 4종류(해당없음, FCL, LCL, Bulk, FCL+LCL)에서 선택한다. 《업종구분》이《G.화주》의 경우에는 (FCL, LCL, Bulk, FCL+LCL)에서 선택하며 《G.화주》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없음"으로 자동선택된다.
사업자등록정보에서는 6종류항목(상호,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주 소, 업태, 종목)을 등록한다. 《B/L정산표》→《화주》에 입력되는 업체의 사업자등록정보를 "하불처"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업체정보등록》→《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B/L정보제공》에서 "제공"을 선택한다. 《사업자등록정보》는 화주앞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라도 거래처에게 제공(공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다중거래처간에 세금계산서 발행에 반드시 필요한 기재사항이기 때문이다.
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는 B/L정보제공, 거래장전표제공, 거래장전표인용, 재고목록제공 및 송품장제공에 관한 사항을 설정한다.
《B/L정보제공》은 2종류(O:제공, X:제공안함)에서 선택하며 기본값은 “제공함(O)"이다. 자사(당사)의 B/L정보와 배차정보가 업체에게 제공되려면 자사가 《O:제공》을 선택하면 되고,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의 “인용여부”와는 관계없다. 《제공할 수 있는 항목》은 《B/L정산표》의 화주정보에서 사업자등록정보(상호,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주소, 업태, 종목)이고, 《B/L정산표》의 사원정보에서 담당자, 팀장코드(팀장의 성명은 제공되지 않음)이며, 《B/L정산표》의 통관정보에서 수출 Invoice No, 수출면장번호 및 수리일자, 수입Invoice No, 수입면장번호 및 수리일자, 수입신고방법, 품명(한글, 영문)이다. 《수출B/L정산표》의 B/L정보에서는 Booking No, 선적정보, 부킹일자, 운송수단, 화물형태, On Board Date, 부보여부, 가격조건, 선적항, 환적항, 수입국, 도시명, 도착항, 포장갯수, 총중량, 순중량, 용적, H.B/L, M.B/L, 출항일자, 도착일자, 선박회사, 포워더, 선명, 항차이고 《수입B/L정산표》의 B/L정보에서는 H.B/L, M.B/L, 수하인, 통지처, 출항일자, 입항일자, 선박회사, 포워더, 운송수단, 선명, 항차, 원산국, 선적항, 도착항, 포장갯수, 용적, 총중량, 순중량, 화물관리번호, H.D/O, M.D/O이다. 《수출B/L정산표》의 배차정보에서는 선적계획(하차지, 하차일시, 콘솔장소, Door Date, 선적장소, Closing Time, 차량댓수), 배차현황(배차일자, 포장갯수, 목적지, 도착예정일시), 배차표이고 《수입B/L정산표》의 배차정보에서는 배차계획(자가운송, 화물형태, 반입일자, 장치장, 차량댓수, 보세운송), 배차현황(배차일자, 포장갯수, 목적지, 도착예정일시), 배차표이다. 3종류항목(청구처, 배차번호, 하불처)은 거래처에게 제공되지 않으며, 제공받는 업체는 《B/L정산표》에서 필수입력항목(B/L번호, 입항일자)을 입력하기만 하면 《제공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내려받기)된다.
《콘솔표》는 자사업종이 “포워더”의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거래장열람허용》은 2종류항목(당사허용, 업체허용)에 대하여 당사의 허용여부(O:허용함, X:허용안함)를 선택하며 기본값은 “허용안함(X)"이다. 《당사허용》에서 당사(자사)가 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을 업체에게 열람하도록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한다. 《업체허용》에서 업체가 업체의 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을 자사(당사)에게 열람하도록 허용했는지 여부가 표시된다. 자사(당사)의 거래장이 업체에게 열람허용이 되려면 《당사허용 : O》및《업체허용 : O》의 표시가 상호간에 동시에 선택되어야 하며, 상대방이 작성한 “자사원장”의 열람이 가능하다. 《물류거래장》→《자사원장》에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가 작성한 “자사원장”을 열람할 수 있으며 자사가 작성한 물류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 처원장)과 비교하면서 “전표오류”를 검증할 수 있다. 《당사허용 : O》및《업체허용 : X》, 《당사허용 : X》및《업체허용 : O》,《당사허용 : X》및《업체허용 : X》의 경우에는 상호간에 상대방이 작성한 “자사원장”의 열람이 불가능하다.
《거래장전표제공》은 2종류항목(당사제공, 업체인용)에 대하여 당사의 제공여부(O:제공함, X:제공안함)를 선택하며 기본값은 “제공안함(X)"이다. 《당사제공》에서 당사(자사)가 전표를 업체에게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한다. 《업체인용》에서 업체가 자사의 거래장전표를 인용하였는지 여부가 표시된다. 자사(당사)의 전표가 업체에게 제공되려면 《당사제공 : O》및《업체인용 : O》의 표시가 상호간에 동시에 선택되어야 한다. 업체가 자사의 전표를 인용하면 자사의 전표가 업체의 《B/L정산표》에 그대로 내려받기 됨으로서 《B/L정산표》→《B/L정산내역》에서 Data가 자동으로 입력되면서 거래장전표도 자동으로 작성되어 거래장에 기장된다. 《당사제공 : O》및《업체인용 : X》,《당사제공 : X》및《업체인용 : O》,《당사제공 : X》및《업체인용 : X》으로 표시되면 “자사”가 작성한 전표를 “업체”가 인용할 수 없다.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표는 《B/L정산표》→《B/L정산내역》에 입력되는 물류비용에 한정된다. 입금액(예상자금 및 받은전도금)과 송금액(예상자금 및 지급하불금)의 입출금전표는 업체에게 “제공”도 안되고 “인용”도 안된다. 다만 《물류거래장》→《자사원장》에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가 작성한 “입출금전표”를 열람할 수 있을 뿐이다.
《거래장전표인용》은 2종류항목(당사인용, 업체제공)에 대하여 당사의 인용여부(O:인용함, X:인용안함)를 선택하며 기본값은 “인용안함(X)"이다. 당사인용》 에서 업체가 당사(자사)에게 제공한 전표에 대하여 당사는 인용여부를 선택한다. 《업체제공》에서 업체가 자사에게 거래장전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가 표시된다. 자사가 업체의 전표를 인용하려면 《당사인용 : O》및《업체제공 : O》의 표시가 상호간에 동시에 선택되어야 한다. 자사가 업체의 전표를 인용하면 업체의 전표가 자사의 《B/L정산표》에 그대로 내려받기 됨으로서 《B/L정산표》→《B/L정산내역》에서 Data가 자동으로 입력되면서 거래장전표도 자동으로 작성되어 거래장에 기장된다. 《당사인용 : X》및《업체제공 : O》,《당사인용 : O》및《업체제공 : X》,《당사인용 : X》및《업체제공 : X》으로 표시되면 자사(당사)는 업체가 작성한 전표(거래장포함)를 인용할 수 없다.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표는 《B/L정산표》→《B/L정산내역》에 입력되는 물류비용에 한정된다. 입금액(예상자금 및 받은전도금)과 송금액(예상자금 및 지급하불금)의 입출금전표는 업체에게 “제공”도 안되고 “인용”도 안된다. 다만 《물류거래장》→《자사원장》에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가 작성한 “입출금전표”를 열람할 수 있을 뿐이다.
《재고목록제공》은 2종류(O:제공, X:제공안함)에서 선택하며 기본값은 “제공안함(X)"이다. 자사(당사)의 재고목록이 업체에게 제공되려면 자사가 《O:제공》을 선택하면 되고,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의 “인용여부”와는 관계없다.
《송품장제공》은 2종류(O:제공, X:제공안함)에서 선택하며 기본값은 “제공안함(X)"이다. 자사(당사)의 송품장이 업체에게 제공되려면 자사가 《O:제공》을 선택하면 되고,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의 “인용여부”와는 관계없다. 《송품장》은 화주 영업비밀의 노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화주의 하청단계(다단계의 하불처) 중 에서 수출입통관을 주관하는 “통관사”에게만 열람하고 출력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세금계산서 거래 기준은 당사의 매출세금계산서를 공급받는자와 하불처의 매출세금계산서를 공급받는자로 구분된다.
당사의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는 3종류(화주, 청구처, 기타)에서 선택한다. 당사의 매출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는 기본적으로 화주앞으로 발행되어야 함이 원칙이지만 때로는 공급받는자를 화주가 아닌 제3자(보통 청구처)로 바꿔서 발행해 달라고 청구처가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공급받는자가 "청구처"에서 "화주"로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 청구처PC에서는 매출과 매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매출이익도 발생하지 않음) 매출사항과 매입사항에 표시된 입력값이 "타사비용"으로 자동이전된다. 공급받는자가 "화주"에서 "청구처"로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 청구처PC에서는 매출과 매입이 발생하므로(매출이익도 발생함) "타사비용"의 입력값이 매입사항으로 자동이전된다.
하불처의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는 4종류(당사, 청구처, 화주, 기타)에서 선택한다. 하불처의 매출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는 기본적으로 당사앞으로 발행되어야 함이 원칙이지만 때로는 공급받는자를 당사가 아닌 제3자(보통 청구처 또는 화주)로 변경하여 발행해 달라고 청구처가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하불처의 공급받는자가 당사가 아닌 제3자(청구처 또는 화주)로 지정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는 당사의 매출과 매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매출이익도 발생하지 않음) 매출사항과 매입사항에 표시된 입력값이 "타사비용"으로 자동이전된다. 하불처의 공급받는자 가 "청구처"로 지정(또는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 청구처PC에서는 하불처가 변경되지는 않지만 청구처의 "매입세금계산서 공급자"가 "당사의 하불처"로 바뀐다. 하불처의 공급받는자가 "청구처"로 지정(또는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 하불처PC에서는 청구처가 변경되지는 않지만 하불처의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당사의 청구처"로 바뀐다. 하불처의 공급받는자가 "화주"로 지정(또는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 청구처PC에서는 하불처가 변경되지도 않으며 당사와 청구처 모두 매출과 매입이 발생하지 않으므로(매출이익도 발생하지 않음) 매출사항과 매입사항에 표시된 입력값이 "타사비용"의 각각 해당하는 계정과목으로 자동이전된다. 하불처의 공급받는자가 "화주"로 지정(또는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 하불처PC에서는 청구처가 변경되지는 않지만 하불처의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화주"로 바뀐다.
이러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방법은 우선 2종류(건별발행, 월말일괄)에서 선택한다. B/L정산표의 "물류비용정산서"에서 매출처별로 증빙자료를 참고하여 거래명세서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려면 "건별발행"을 선택한다. 물류거래장의 "세금계산서"를 클릭하여 청구처별로 1개월거래분을 월말에 일괄하여 발행하려면 "월말일괄"을 선택한다.
《부가가치세 적용세율》을 지정한다. 물류거래에 있어 B/L정산표의 B/L정산내역에서 세율란에 자동입력된다. 상품거래에 있어 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에서 "세액"란에 적용세율이 자동입력된다.
《하불처SMS의 수신처》는 2종류(당사, 청구처)에서 선택하여 지정하고, 운송장의 일부정보를 SMS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하불처SMS 수신처의 기본값은 "당 사"이다. "당사"를 선택한 경우 운송사가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SMS"팝업창의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를 확인한 다음 "전송"을 클릭하면 "SMS전송내용"이 당사의 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만약 하불처로부터 받은 "배차정보"를 청구처에게 다시 전송하려면 당사 운송장의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한다. 예를들면, 다단계구조의 물류공급망에 있어 1단계(화주)→2단계(포워더)→3단계(통관사)→4단계(운송사)→5단계(지입차주)로 거래되는 B/L정산업무의 하청관계에서 통관사가 "자사(당사)"라면 포워더는 청구처이고, 운송사는 하불처이다. 운송사(4단계)가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하면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당사의 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운전사에게도 화물수취인정보(화주명,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반면에, "청구처"를 선택한 경우, 운송사가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한 후 저장하면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청구처(당사의 청구처)의 실무자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되면서 당사 배차표의 "SMS"에서는 "대기"표시가 "전송"으로 자동전환된다. 예를들면, 다단계구조의 물류공급망에 있어 1단계(화주)→2단계(포워더)→3단계(통관사)→4단계(운송사)→5단계(지입차주)로 거래되는 B/L정산업무의 하청관계에서 통관사가 "자사(당사)"라면 포워더는 청구처이고, 운송사는 하불처이다. 운송사(4단계)가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하면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청구처(포워더)의 실무자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운전사에게도 화물수취인정보(화주명,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다단계구조의 물류업계에서는 거래처정보의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마지막 5단계의 운송사정보가 1단계의 화주에게 노출되면 다단계 거래관계의 신뢰성이 무너지게 된다. 본시스템은 웹서버에서 다중거래처(청구처,당사,하불처)간에 공동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하였기 때문에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를 제외한 업체정보는 다중거래처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B/L정산표 정산방법》은 매출액(운송료, 통관료, 창고료, 검역료 등)을 B/L정산할 때마다 물류비용정산서에 거래명세서와 세금계산서를 첨부하여 청구하는 "건별정산"의 방법이 있으며, 매출액을 세금계산서 1건에 거래명세서를 첨부하여 한꺼번에 정산하는 "일괄정산"의 방법이 있다.
정산여부 표시기준은 2종류(건별정산, 일괄정산)에서 선택하며 기본값은 "건별정산"이다. 건별정산》은 《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된 후에는 다중거래처간에 장부협조관계가 차단된다. 따라서 정산완료후 데이터수정 및 전표수정은 "자사"에서만 정리될 뿐이고 거래처(청구처,하불처)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한편, 《일괄정산》은 자사가 취급하는 모든 품목(주력품목 및 취급품목)의 정산전도금 또는 정산하불금에 대하여 B/L건별로 정산하지 않고 월말에 일괄정산하기로 한 경우이다. 《B/L정산표》에서 B/L건마다 "저장"을 클릭하지 않고 보류하였다가 월말에 일괄정 산처리한다. 《물류거래장》→《일괄정산표》를 클릭하면 《미정산》의 "B/L목록"이 열리는데 《일괄정산처리》하면 "미정산"이 "정산완료"로 한꺼번에 바뀌면서 1개월분의 전표가 한꺼번에 작성되어 물류거래장에 기장된다. 《월말일괄정산》으로 지정하더라도 일부는 "건별정산"도 가능하며 건별정산이 된 B/L건은 "월말일괄정산처리"에서 제외된다.
《정산비용 결제기한》은 거래계약시 약정된 결제기한을 지정하고, 약정된 결제기한에 따라 《물류거래장》→《거래장잔액표》에서 "송금처리"와 "입금처리"의 기초가 된다.
《실무자등록》에서 자사정보등록에서와 마찬가지로 B/L정산 및 물류처리업무를 담당하는 업체의 실무자등록이 필수적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각종 권한 및 책임한계를 실무자등록을 통해 명확히 함으로써 책임있는 업무처리 및 효율적인 물류처리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업체정보등록과정에서는 선택기능을 통해 물류비용요율표, 상품단가표, 거래처지정과 같은 등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통관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수출선적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3은 선사화체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4는 수입DO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운송료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고, 도 16은 하역료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7은 창고료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CY비용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9는 검역료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20은 기타요금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물류비용요율표》에서 본 발명의 물류비용정산시스템에서는 물류비용요율표를 등록하여 사용하게 된다. 물류비용요율표는 업체가 취급하는 품목(D/O료, 통관료, 운송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검역료, 기타요금)별로 물류비용요율표(업체요율표)를 등록한다. 《자사요율표》에 근거하여 업체별로 적용할 물류비용의 요율이《업체정보등록》→《물류비용요율표》의 "업체요율표"에 자동입력된다. 업체등록시 거래처(청구처, 하불처)별로 서로 다른 요율(물류비용 단가)을 적용할 수도 있겠지만 《자사요율표》에 의하여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사요율표》에 근거하여 자동표시된 《업체정보등록》→《물류비용요율표》에서는 업체별로 개별적으로 계약되는 단가로 수정하면서 업체에게만 적용하는 "업체요율표"를 등록한다.
도 21은 업체실무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2는 거래처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23은 해외거래처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4는 해외거래처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거래처지정》에서 거래처를 지정하여 등록 하게 된다. 이 거래처지정을 통해 다중거래에 따른 공통업무에 대한 자동처리 및 장부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거래처지정은 등록하려는 업체가 B/L정산표의 "화주"인 경우에만 거래처(청구처, 하불처)를 지정한다. 청구처는 1곳만 지정되며 여러곳의 하불처는 1곳의 업체가 모든 하청업무를 총괄할 수도 있지만 업무처리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업종별 담당업무(D/O업무, 통관업무, 운송업무, 하역업무, CY창고업무, 검역업무, 기타업무)별로 구분하여 지정하도록 한다. 하불처별 하청업무는 화물의 하선장소별로 구분하여 하불처를 지정함이 일반적이다. 물류업무처리를 위한 교통시간을 고려하여 화물입출고지역은 전국을 수출입화물의 하선장소를 관할하는 "세관관할지역"을 기준으로 14개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정하도록 한다. 거래처를 지정하면《B/L정산표》→《화주》란에 입력되는 업체에 대한 자사의 거래처(청구처, 하불처)가 《청구처》란과 《B/L정산내역》→《정산하불금》의 《하불처》란에 자동표시된다.
또한, 해외거래처등록을 위해 해외공급자등록, 해외바이어 등록, 서식등록, 해외거래처정보 제공여부 결정을 수행한다.
서식등록의 목적은 동일한 해외바이어에게 반복적으로 수출하는 화물과 동일한 해외공급자로부터 반복적으로 수입하는 화물에 대하여 송품장(Invoice) 작성시 동일하게 입력하는 항목에 미리 데이터를 지정입력하여 오류를 예방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서류를 작성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서식등록절차는 해외거래처를 "신규등록"함에 있어 팝업창에서의 업무서식은 모두 입력값이 없는 공란으로 되어 있다. 서류를 신규로 작성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입력하는 항목을 입력하여 "저장"하면 서식이 등록된다. 구체적으로 신규작성절차는 해당 서식명칭을 클릭하면 "등록서식"이 열린다. "신규작성"의 버튼을 클릭하면 등록서식의 명칭이 바뀌면서 새로운 서류를 작성하기 시작한다. 서류작성이 완료되어 "저장"하면 "수출목록" 또는 "수입목록"에 B/L1건이 추가되거나 기존에 생성되었던 B/L의 "B/L정산표"의 입력사항이 수정된다.
서식의 등록항목은 송품장(수출/수입), 선적정보(Booking Note), 운송장(FCL/LCL), B/L(House/Master), D/O(House/Master)이다.
해외거래처정보 제공여부는 등록된 해외거래처정보(등록서식 포함)를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에게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해외거래처의 정보를 제공받은 업체는 제공업체의 등록서식을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5는 차량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6은 차량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물류처리 과정에서 상품을 운송하는 차량의 정보를 차량정보등록 항목을 통해 등록하고, 물류처리 업무에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정보등록은 기본정보, 사업자등록정보, 장부 및 전표의 적용기준, 운전자 정보, 세금계산서 거래기준 및 메모정보의 입력 및 저장을 통해 이루어진다.
기본정보는 장부명, 차량번호, 영업팀장, 담장자, 업종구분(운송사로 등록), 업체코드(차량도 개별적 사업자이므로 업체등록과 동일한 방법으로 등록), 팩스 및 전화, 지입여부(자차 또는 용차), 적재중량, 취급화물, 차종, 차고지, 다중거래접속번호, 계좌번호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사업자등록정보는 상호,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주소, 업태 및 종목을 입력하여 작성한다.
차량도 사업자이므로 업체등록과 같이 장부 및 전표의 적용기준을 설정한다.
도 27은 FCL입출고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8은 콘테이너정보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LCL입출고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0은 수출재고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1은 수입재고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2는 FCL운송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3은 수출BL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B/L목록의 배열순서는 "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미정산(미결)의 내림차순으로 배열된다. "미정산(미결)"의 배차여부에서 상차→배차→일부→대기의 내림차순으로 배열된다. 배차여부의 "대기"에서는 "인도예정일"의 내림차순으로 배열된다.
B/L목록의 생성은 B/L정산표에서 필수입력항목 2종류(입항일자 및 B/L번호)를 입력하기만 해도 B/L목록이 생성된다. 거래처(청구처,하불처)가 갖고 있는 "B/L정보"를 제공받으려면 자사는 업체등록시 "당사의 B/L정보 제공여부"에서 "제공"을 선택하고, 거래처(청구처,하불처)도 "당사의 B/L정보 제공여부"에서 "제공"을 선택한다.. 다시말하면 자사와 거래처(청구처,하불처)가 동시에 "당사의 B/L정보"를 상호간에 동시에 "제공"하여야 한다. 자사와 거래처가 상호간에 "제공"을 선택하면 당사(자사)의 B/L정산표에서 공개가능항목(화주, 담당자, 영업팀장, 송품장, Invoice No, 수입면장번호, 수리일자, 수입신고방법, 품명, B/L번호, 수하인, 통지처, 출항일자, 선박회사, 입항일자, 포워더, 운송수단, 선명, 항차, 원산국, 선적항, 도착항, 포장갯수, 용적, 총중량, 순중량, 화물관리번호, 화물형태, 차량소요댓수, 반입일자, 장치장, 화물위치)이 제공되어 거래처는 "B/L정산표"에서 필수입력항목(B/L번호, 입항일자)을 입력하기만 하면 "공개가능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내려받기)된다. 다만, 3개의 공개불가항목(청구처, 배차번호, 하불처)은 거래처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자사 또는 거래처 중에서 어느 한곳이 "제공불가"를 선택하면 자사와 거래처 모두 "공개가능항목"에 대하여 제공할 수도 없고 제공받을 수도 없다.
B/L목록의 조회를 위해서는 B/L정산표의 조회는 해당 "B/L번호"를 선택한다. FCL배차표를 조회하고 싶으면 "화물구분"에서 화물종류(20D, 20TK, 20FR, 20RF, 20OT, 40D, 40FR, 40RF, 40OT, 40HQ, 혼합)를 선택한다. 여기서, FCL화물과 LCL화물이 혼합된 B/L에서는 "혼합"으로 선택한다. LCL배차표를 조회하고 싶으면 "화물구분"에서 화물종류(Box, P/T, 벌크, 적출)를 선택한다. 여기서, FCL화물을 개장하고 내품을 꺼내어 LCL화물로 화물차운송을 하는 경우를 "적출"이라 한다. 원 장(영업팀원장, 담당자원장, 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을 조회하고자 할 때는 해당하는 영업팀, 담당자, 청구처, 화주, 하불처를 선택한다. 기본설정은 빈번하게 사용하는 검색항목을 선택지정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기본설정"으로 확정된다.
배차여부는 4종류(대기, 배차, 일부, 상차)에서 자동표시된다. 대기(배차준비: 노란색바탕)는 B/L정산표에 필수입력사항(입항일자, B/L번호)을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입력하였지만 운송계약(출고일자, 차량번호, 운송료견적)이 아직도 미확정된 상태이다. 배차(배차완료: 초록색바탕)는 출고일자, 운송차량, 운송료견적이 확정되어 운송계약이 완료된 상태이다. 배차표의 배차결과가 "배차"로 선택입력되는 경우 B/L목록에서도 "배차"라고 표시된다. 일부(일부배차: 분홍색바탕)는 B/L번호당 차량소요댓수가 2대이상으로서 배차완료된 콘테이너와 배차가 아직도 안된 콘테이너가 있는 경우로서 배차표에서 콘테이너 2대중에서 1대는 "배차"가 선택입력되고 다른 1대가 "대기"로 표시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B/L목록에서도 "일부"로 표시된다. 상차(상차완료: 파란색바탕)는 상차지(CY,CFS)에서 화물을 차량에 상차완료되어 배차표의 배차결과가 "상차"로 선택입력되는 경우 B/L목록에서도 "상차"로 표시된다.
정산여부는 2종류(미결, 정산)에서 자동표시된다. 미결(미정산:주황색바탕)은 B/L정산표에서 "미정산"인 경우 B/L목록은 "미결"로 표시된다. 정산(정산완료: 파란색바탕)은 B/L정산표에 "정산완료"인 경우 B/L목록은 "정산"으로 표시된다.
B/L정산표에서의 배차목록은 배차표에서 생성된 목록의 배열은 먼저 배차번 호가 부여된 B/L순으로 배열된다. 동일한 B/L에 대하여는 배차결과가 "상차완료(1순위)", "배차완료(2순위)", "준비중(3순위)"의 순으로 배열된다. 배차결과가 "준비중"인 경우에는 인도예정일의 내림차순으로 배열된다.
배차결과는 대기(준비중: 노란색바탕) : 출고일자, 운송차량, 운송료견적이 아직도 미확정된 경우, 배차(배차완료: 초록색바탕)는 출고일자, 운송차량, 운송료견적이 확정된 경우, 상차(상차완료: 파란색바탕)는 상차지(CY,CFS)에서 화물이 운송차량에 상차완료된 경우로 구분된다.
도 34는 콘솔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5는 수출적하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6은 수출BL정산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전술한 자사정보등록, 업체정보등록, 물류비용요율표물류비용요율표사항을 입력하여 기초사항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물류업무처리를 위해 이용하는 것이 도시된 B/L정산표이다. 이 B/L정산표는 실제 B/L정산을 위한 주된 장부의 역할을 하며, 전술한 과정에 의해 설정된 항목에 따라 정보가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B/L정산표는 수출과 수입 각각 구분되지만, 구성 항목은 유사한 부분이 많아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곤 별도의 구분없이 설명하기로 한다.
화주는 수출의 경우, 수출 Invoice 와 수출 B/L에서 "Shipper/Exporter"로 표시되는 업체이다. 수입의 경우, 수입면장에서 납세의무자(수입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로 표시된 업체이다. B/L정산표에 입력되는 물류비용(세금, 통관료, D/O 료, 운송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검역료, 기타요금)의 매출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이다. B/L정산표에서 화주는 업체목록에서 선택하며, 자사가 화주일 수 있다.
청구처는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을 자사(당사)로 제공하는 업체이다. 청구처도 업체등록시 등록된 업체중에서 선택한다. 포워더를 거치지 않고 화주로부터 직접 운송 및 통관업무를 수임(수주)한 자사(당사)의 경우에는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을 화주로부터 직접 수령하여 업무처리를 하기 때문에 이때의 화주는 곧바로 청구처가 된다. 따라서, "청구처"는 선적서류(B/L, Invoice 등)와 돈(물류비용)을 제공하면서 물류업무를 의뢰하는 업체이다. 예를들면, 다중거래관계(①수입화주→②포워더→③통관사→④창고업자→⑤운송사→⑥지입차주)에 있어, 포워더가 "자사"라면 수입화주는 청구처이고 통관사는 하불처가 된다. 또한 통관사가 "자사"라면 포워더는 청구처가 되고 창고업자는 하불처가 된다. 그리고 창고업자가 "자사"라면 통관사는 청구처가 되고 운송사는 하불처가 된다.
담당자는 영업팀장의 지시에 따라 선적서류(B/L, Invoice, Packing List 등)를 기초로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사원이다. 자사등록시 동록된 사원중에서 선택한다. 영업팀장 수출입물량을 수주영업하면서 청구처를 책임관리하는 사원(대표자 포함)이다. 영업팀장도 담당자와 마찬가지로 자사등록시 등록된 사원중에서 선택한다. 자사등록시 "팀장코드"는 영업팀장의 코드이며 1개의 영문대문자로 표시한다. 사원 중에서 팀장코드가 부여된 영업팀장에게는 2종류의 작업화면(B/L정산표 및 물류거래장)에 대한 사용권(열람권,입력권)이 제한되며, 작업화면의 검색조건에서 선택된 영업팀장에게만 사용권이 부여된다. 2종류의 작업화면(B/L정산표 및 물 류거래장)에서 사용권을 부여받으려면 자사정보등록시 "사원별시스템접근권한"을 수정하여야 한다.
수출업무는 "수출B/L정산표"에서 처리하고 수입업무는 "수입B/L정산표"에서 처리한다. 수입 B/L정산표에서 H.B/L은 House B/L(AWB)번호를 입력한다. Master B/L에 종속되어 있는 House B/L(AWB)이 있는 경우에는 House B/L(AWB)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적하목록상의 House단위의 B/L(AWB)번호와 일치하여야 한다. House B/L(AWB)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Master B/L번호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또한 M.B/L은 선박회사 또는 항공사가 발행한 Master B/L(AWB)번호를 입력한다. 입항전신고물품으로서 화물관리번호를 확인할 수 없는 해상화물의 경우에는 "필수입력사항"이다. B/L분할의 경우 분할되는 회수(차수)를 B/L번호의 끝부분에 부기한다.
B/L번호분할에 의한 "분할번호"를 입력한 경우 "5.B/L정산내역"의 취급품목을 클릭하면 "품목별내역"의 팝업창이 열린다. 참조번호(수입신고번호, Freight Invoice No. 배차번호, 관리번호, 출고번호 등)를 클릭하면 "취급품목별산출내역"의 팝업창이 열린다. "취급품목별산출내역"에는 분할된 B/L번호의 "분할수량"에 대한 산출내역이 표시된다.
반면, "분할번호"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는 "5.B/L정산내역"의 취급품목을 클릭하면 "품목별내역"의 팝업창이 열리지 않고 곧바로 "취급품목별산출내역"의 팝업창이 열린다. "취급품목별산출내역"에는 당해 B/L번호에 대한 "전체수량"에 대한 산출내역이 표시된다.
받은메세지항목에서 수신일자는 알림장을 받은 날짜이다. 업무제목은 거래 처(청구처, 하불처)가 팝업창에서 작성한 B/L관련 서류(FCL운송장, LCL운송장, 주무서/배송장, FCL배차요청서, LCL배차요청서, 예상자금청구서, 물류비용정산서, FCL거래명세서, LCL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등)의 명칭이다. 열람은 "업무제목"을 열람(클릭)한 횟수가 자동표시된다. 청구처로부터 받은 알림장은 "파랑색"이며, 하불처로부터 받은 알림장은 "주황색"과 같이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구분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화물정보》에서 운송수단은 2종류(선박, 항공)에서 선택한다.
화물형태는 FCL화물, LCL화물 및 BULK 화물로 구분된다.
FCL화물은 11종류(20DR, 20TK, 20FR, 20RF, 20OT, 40DR, 40FR, 40RF, 40OT, 40HQ, 혼합)에서 선택한다. FCL화물의 업무처리는 "FCL운송장"과 "FCL배차표"에서 처리되며 자동으로 생성되는 전표는 물류거래장에 기장된다. FCL과 LCL이 혼합된 B/L에서는 "혼합"으로 선택한다.
LCL화물은 4종류(Box,파레트,벌크,적출)에서 선택한다. LCL화물의 업무처리는 "LCL운송장"과 "LCL배차표"에서 처리되며 자동으로 생성되는 전표는 물류거래장에 기장된다. FCL화물을 개장하고 내품을 꺼내어 화물차운송을 하는 경우에는 "적출"로 선택한다.
수하인 및 통지처에서는 수하인은 B/L의 Consingnee를 입력하고, 통지처는 B/L의 Notify Party를 입력한다. 입항일자는 수입화물의 입항일자를 입력한다. 선사/포워더는 화물을 취급한 선박회사명 및 포워더명를 입력한다. 선명/항차는 B/L에 표시된 선박명과 항차를 입력한다. 원산국/선적항/도착항는 화물이 생산된 원산국을 입력하고 선적항과 도착항을 입력한다. 포장갯수/총중량/순중량/용적항목에서는 포장갯수가 단위별(GT(콘테이너갯수), PT(Pallet), CT(Box), WC(Wooden Case), DM(Drum), RL(Roll), BG(Bag))로 몇 개인지 입력한다. 총중량은 포장재무게가 포함된 중량 (콘테이너 무게는 제외)을 입력하고, 순중량은 포장재무게를 공제한 내품의 중량을 입력한다.
화물관리번호는 수출입화물에 대하여 적하목록신고후 세관에서 부여된 번호를 입력한다. Invoice No.는 수출(수입)통관시 세관에 제출하는 송품장의 번호를 입력한다. 수출(수입)면장번호/수리일은 수출입통관시 생성되는 면장번호 및 수리일자를 입력한다. 수입신고방법은 4종류(D.장치후신고, C.반입전신고, B.입항전신고, A.출항전신고)에서 선택한다. 품명은 한글품명은 물류공급망의 업체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간략한 명칭의 품명을 입력하고, 영문품명은 수입면장에 표시된 명칭을 입력한다.
차량대수는 FCL화물은 콘테이너 갯수를 입력하고, LCL화물은 당해B/L건을 배송하는데 소요되는 차량대수를 입력한다.
반입일자는 FCL화물의 CY(컨테이너 야드)반입일자 또는 LCL화물의 CFS(창고)반입일자를 입력한다. 보세운송 또는 내장통관 후 장치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사항"란에 변경된 장치장의 입고일자를 입력한다.
장치장(CY/창고)은 FCL화물이 보관되어 있는 CY 또는 LCL화물이 보관된 CFS(창고)를 선택한다.
보세운송(수입)을 담당자가 선택하면 운송사가 선박회사에게 신청한 보세운송요청(동의)서를 열람할 수 있다. 콘솔표(수출) 항목을 선택하면 포워더가 LCL화물을 콘솔하기 위한 도표를 볼 수 있다. 배차표 항목을 선택하면 "배차표"의 작업화면이 열린다.
B/L정산내역은 물류처리의 품목들에 대한 정산 내역이 표시된다. B/L정산내역에서 취급품목은 물류비용의 품목에 따라 9종류(관세, 통관료, D/O료(선적료), 운송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검역료, 기타요금)로 구분되며, 《계정과목등록》에서 "소분류계정과목"으로 등록된 품목이다. 다중거래처(청구처 및 하불처)에 따라 청구처로부터 받을《정산전도금》과 하불처에게 지급할《정산하불금》으로 구분된다. 《취급품목》→《산출내역》에서 《업체정보등록》→《물류비용 요율표》에 따라 자동계산된 내역을 확인하고 추가입력과 수정을 하여 정산을 완료한다.
예상자금(견적금액)은 청구처로부터 물류비용의 선수금으로 받을 견적금액으로서 《업체정보등록》→《물류비용 요율표》에 따라 자동계산된다. 수정할 품목은 자동으로 입력된 예상금액을 수작업으로 입력한다. 예상자금 계정과목은 거래장에서 전표(입금전표, 출금전표)가 작성되지 않으므로 장부(거래장)에도 기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물류거래장》→《원장잔액표》→《정산하불금 송금처리표》와 《정산전도금 입금처리표》에서는 "예상자금"의 항목(필드)에 표시된다.
정산전도금은 청구처로부터 받을 돈(물류비용)이다. 정산전도금은 자사매출액과 타사비용(출금전표)의 합산금액으로서 《정산하불금》의 자사매입액(매입전표)과 타사비용(입금전표)의 금액을 표준으로 《정산전도금》의 자사매출액(매출전 표)을 확정하여 입력한다. 자사매출(매출전표)는 《취급품목》→《산출내역》에서 자사의 업무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출액을 입력한다. 《업체정보등록》→《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에서 "거래장전표"를 자사가 "제공승인"하고 청구처가 "인용승인"하면 자사의《산출내역》의 "자사매출"이 청구처의 《B/L정산표》에서 매입전표로 처리되고 자사의 타사비용도 자동입력된다. 입력된 값은 자동으로 《매출전표》가 작성되어 청구처원장에 기장된다. 한편, 타사비용(출금전표)의 경우 자사(당사)매출이 아닌 제3자에게 지불한 물류비용이며 청구처로부터 받을 돈이다. 정산하불금에 해당하는 "타사비용(입금전표)"과 동일한 금액으로 자동입력된다. 입력된 값은 자동으로 "출금전표"가 작성되며 청구처원장에 기장된다. 제3자가 화주앞으로 직접 발행되는 세금계산서 금액(부가세포함) 또는 간이영수증 금액이다. 자사가 《업체정보등록》→《세금계산서 거래기준》의 "당사의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청구처"로 지정하면 청구처의《B/L정산표》에서는 "매입전표"로 처리되지만 자사가 "화주 또는 제3자"로 변경하면 청구처의《B/L정산표》에서 타사비용으로 전환된다. 반대로 "당사의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화주 또는 제3자"로 지정하면 청구처의《B/L정산표》에서는 "타사비용"으로 처리되지만 자사가 "청구처"로 변경하면 청구처의《B/L정산표》에서 "매입전표"로 전환된다. 하불처의 매출처가 당사가 아니고 자사의 청구처인 경우 하불처가 작성한 산출내역의 금액은 정산하불금의 타사비용(입금전표)에 자동입력됨과 동시에 정산전도금의 타사비용(출금전표)에 자동입력된다. 이 경우 자사는 하불처가 작성한 산출내역의 금액을 수정/삭제할 수 없으며 열람만 가능하다.
정산하불금은 하불처에게 지급하는 돈(물류비용)이다. 정산하불금은 자사매입액(매입전표)과 타사비용(입금전표)의 합산금액이다. 자사매입(매입전표)는 《취급품목》→《산출내역》에서 하불처(하청업체)에게 지불하는 금액으로서 매입처(하불처인 경우도 있고 하불처의 재하청업체인 경우도 있음)의 매입액을 입력한다. 입력된 값은 자동으로 《매입전표》가 작성되어 《하불처원장》에 기장된다. 《업체정보등록》→《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에서 "거래장전표"를 자사가 "인용승인"하고 하불처가 "제공승인"하면 《산출내역》에서 매입처의 물류비용이 "자사매입"으로 자동입력되고 하불처의 타사비용도 자동입력된다. 타사비용(입금전표)은 당사(자사)매입이 아닌 제3자에게 지불하는 물류비용이며 하불처에게 지급할 돈이다. 입력된 값은 자동으로 "입금전표"가 작성되며 하불처원장에 기장된다. 제3자가 화주앞으로 직접 발행되는 세금계산서 금액(부가세포함) 또는 간이영수증 금액이다. 《하불처정산서》를 근거로 하불처의 타사비용을 입력한다. "하불처의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가 "당사"로 지정되면 "자사매입"이지만 "청구처" 또는 "화주"로 변경하면 "자사매입"로 처리된 매입전표가 "타사비용"의 입금전표로 전환된다. 반대로 "하불처의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자"를 자사의 "청구처" 또는 "화주"로 지정하면 "타사비용"의 입금전표로 처리되지만 "당사"로 변경하면 "자사매입"의 매입전표로 전환된다. 하불처의 매출처가 당사가 아니고 자사의 청구처인 경우 하불처가 작성한 산출내역의 금액은 정산하불금의 타사비용(입금전표)에 자동입력됨과 동시에 정산전도금의 타사비용(출금전표)에 자동입력된다. 이 경우 자사는 하불처가 작성한 산출내역의 금액을 수정/삭제할 수 없으며 열람만 가능하다. 《업체정보등록》→《거래처지정》에서 하불처가 "업종구분"에 따라 2곳이상의 업체로 지정되는 경우에는 《정산하불처》의 목록에서 차례대로 선택하면서 《정산하불금》을 검증한다.
하불처는 물류업무의 하청업체(돈줄곳)이며 장부와 거래장전표를 받을 곳이다. 《업체정보등록》→《거래처지정》에서 "업종구분"에 따라 지정된 하불처가 자동으로 입력되며 이곳에서 다른 업체(하불처)로 변경(수정)도 가능하다.
거래일자는 관세, 통관료, 운송료, D/Ofy, 창고료, 하역료, 검역료로 구분되며, 통관일자, 출고일자 발급일자, 반출일자, 입고일 및 완료일을 입력한다.
세액은 세금계산서 대상의 매출운송료에 대하여 부가세 없는 간이영수증으로 처리해 달라고 청구처가 요구하는 경우에는 "세율"을 "0%"으로 수정하면 된다.
적요는 《전표》에서 4종류항목(공급받는자변경, 거래일자변경, 작성일자변경, 공급가액변경)을 변경하는 경우 "수정사유"가 간단하게 자동입력된다. 적요란에 입력된 데이터는 모두 거래장(청구처원장,하불처원장)의 적요란에 동시표시된다.
관세는 관세, 기타세금, 부가가치세, 가산세 및 세금합계로 구성된다. 관 세는 수입면장에 표시되는 관세를 입력한다. 기타세금은 수입면장에 표시되는 5종류(개별소비세, 교통세, 주세, 교육세, 농특세)의 합산세액을 입력한다. 부가가치세는 수입면장에 표시되는 부가세를 입력한다. 가산세는 수입면장에 표시되는 2종류(신고지연가산세, 미신고가산세)의 합산세액을 입력한다. 세금합계는 관세, 기타세금, 부가가치세, 가산세의 세금 합계금액이 계산된다.
보수작업비는 세관으로부터 원산지표시 보수작업의 보완요구를 받은 경우 작업비를 하불처가 아닌 제3자에게 지급하는 작업비를 입력한다.
자사(당사)의 정산결과는 는 알림장, 받을입체금 및 정산전도금 항목에 의해 구성된다. 알림장은 정산과정에서 입력사항에 대한 오류를 발견한 경우 청구처에 대한 문의사항을 알림장으로 연락하고 답변을 받아 처리한다. 받을입체금에서 "입체대납금"이라 함은 B/L정산표에서 정산전도금(청구처로부터 받을돈)과 정산하불금(하불처에게 줄돈)의 취급품목 중에서 "세금합계"를 제외한 나머지품목의 합산금액을 말한다. 청구처로부터 받을 입체대납금을 "받을입체금"이라 하였으며 하불처에게 지급할 입체대납금을 "하불입체금"이라 하였다. "받을입체금"이라 함은 정산전도금(청구처로부터 받을돈)의 취급품목 중에서 "세금합계"를 제외한 나머지품목(운송료, 통관료, D/O료, 창고료, 하역료, 검역료)의 금액과 기타요금(H/C, 보수작업비, 검수료, 적하보험료, 기타물류비)의 합산금액이다. 정산전도금(청구처로부터 받을돈) = 당사(자사)매출액 + 타사비용으로, 청구처원장에 기장되는 금액이다.
전도금 입금내역은 청구처원장열람, 거래장의 전표생성기준, 입금액 및 청구처원장 잔액항목으로 구성된다. 청구처원장열람은 B/L정산표에 데이터를 입력하다가 청구처원장을 보고싶으면 "청구처원장열람"을 클릭한다.
거래장의 전표생성기준 "세금합계"를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 배차표에서 "운송료합계"의 매출사항과 매입사항을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 나머지품목(D/O료합계, 통관료합계, 창고료합계, 하역료합계, 검역료합계, 기타요금)의 매출사항과 매입사항을 입력하고 받을입체금과 하불입체금이 산출된 후 "저 장"을 클릭한 경우, 청구처의 정산전도금이 입금되거나 하불처에게 정산하불금을 송금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 및 청구처의 남은돈을 송금하거나 하불처에게 초과송금한 돈을 회수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의 5가지의 경우에만 전표가 작성되며 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과 일계장에 자동으로 기장된다.
입금액(받은전도금)은 청구처로부터 당사의 사업용계좌로 입금되는 전도금을 입력한다. 여러건의 B/L에 대하여 "정산전도금"이 한꺼번에 일괄입금되는 경우에는 선입선출방식에 의하여 정산일자 순으로 자동분할되어 입금정리된다. 청구처로부터 물류비용을 입금받는 방식은 청구처가 "관세"만 우선 입금하고 받을입체금(운송료, D/O료, 통관료, 창고료, 하역료, 검역료, 기타요금)은 정산서를 수령한 후에 결제하는 방식이 있고, 청구처가 "관세"와 "타사비용"을 우선 입금하고 당사(자사)매출액은 1~2개월후에 결제하는 방식이 있으며, "관세"가 포함된 정산전도금을 물류비용정산서 받은 후에 결제하는 방식이 있다.
청구처원장 잔액은 청구처원장의 현재잔액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전표생성기준(5가지)에 따라 처리되면서 "저장"을 클릭할 때마다 청구처원장의 잔액은 수시로 바뀐다.
하불처의 정산결과는 알림장, 하불입체금 및 정산하불금 항목으로 구성된다.
알림장은 정산과정에서 입력사항에 대한 오류를 발견한 경우 하불처에 대한 문의사항을 알림장으로 연락하고 답변을 받아 처리한다.
하불입체금에서 "입체대납금"이라 함은 B/L정산표에서 정산전도금(청구처로부터 받을돈)과 정산하불금(하불처에게 줄돈)의 취급품목 중에서 "세금합계"를 제 외한 나머지품목의 합산금액을 말한다. 청구처로부터 받을 입체대납금을 "받을입체금"이라 하였으며 하불처에게 지급할 입체대납금을 "하불입체금"이라 하였다. "하불입체금"이라 함은 정산하불금(하불처에게 지급할 돈)의 취급품목 중에서 "세금합계"를 제외한 나머지품목(운송료, 통관료, D/O료, 창고료, 하역료, 검역료)의 금액과 기타요금(H/C, 보수작업비, 검수료, 적하보험료, 기타물류비)의 합산금액이다.
정산하불금(하불처에게 지급할 돈) = 당사(자사)매입액 + 타사비용으로, 하불처원장에 기장되는 금액이다.
하불금 송금내역은 하불처원장열람, 송금액 및 하불처원장 잔액 항목으로 구성된다.
하불처원장열람은 B/L정산표에 데이터를 입력하다가 하불처원장을 보고싶으면 "하불처원장열람"을 클릭한다.
거래장의 전표생성기준은 "세금합계"를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 배차표에서 "운송료합계"의 매출사항과 매입사항을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 나머지품목(D/O료합계, 통관료합계, 창고료합계, 하역료합계, 검역료합계, 기타요금)의 매출사항과 매입사항을 입력하고 받을입체금과 하불입체금이 산출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 청구처의 정산전도금이 입금되거나 하불처에게 정산하불금을 송금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 청구처의 남은돈을 송금하거나 하불처에게 초과송금한 돈을 회수한 후 "저장"을 클릭한 경우의 5가지 경우에만 전표가 작성되며 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과 일계장에 자동으로 기장된다.
송금액(지급하불금)은 하불처계좌로 송금하는 하불금을 입력한다. 여러건의 B/L에 대하여 "정산하불금"이 한꺼번에 일괄송금하는 경우에 있어 하불처PC에서는 선입선출방식에 의하여 정산일자 순으로 자동분할되어 입금정리되겠지만, 가능하면 정산하불금은 B/L건별로 송금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시스템은 B/L건별로 정산처리하기 때문에 당사(자사)의 경리담당자가 인터넷뱅킹시 B/L건별로 송금처리하는 경우, 당사(자사)의 출금계좌 표시사항에 "청구처명/화주명"을 표시하고 하불처의 입금계좌 표시사항에 "당사명칭/화주명"을 표시하게 하면 당사(자사)의 통장에 찍힌 당사출금계좌의 "표시사항"에 의한 송금액과 하불처의 통장에 찍힌 입금계좌의 "표시사항"에 의한 입금액으로 상호대조확인을 함에 있어 입출금의 정확성과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불처에게 물류비용을 결제하는 방식은 자사가 "관세"만 우선 송금하고 하불입체금(운송료, D/O료, 통관료, 창고료, 하역료, 검역료, 기타요금)은 정산서를 수령한 후에 결제하는 방식이 있고, 자사가 "관세"와 "타사비용"을 우선 송금하고 당사(자사)매입액은 1~2개월후에 결제하는 방식이 있으며, "관세"가 포함된 정산하불금은 물류비용정산서를 받은후에 결제하는 방식이 있다.
하불처원장 잔액은 하불처원장의 현재잔액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전표생성기준(5가지)에 따라 처리되면서 "저장"을 클릭할 때마다 하불처원장의 잔액은 수시로 바뀐다.
정산하불처는 업체정보등록에서 "하불처"로 등록된 거래처의 목록이다. 정 산결과를 확인하려면 해당하는 하불처를 클릭한다.
정산여부항목에서 《정산마감일》은 《정산여부》에서 "미정산"을 "정산완료"로 처리되면서 《저장/수정》을 클릭한 날짜이다.
《정산여부》는 2종류(미정산, 정산완료)에서 선택하며 기본값은 "미정산"이다. 《정산여부》→《미정산》의 경우에는 《B/L정산내역》에 어떠한 데이터값이 입력되어 저장되었더라도 물류거래장에 전표가 작성되지 않는다. 3종류의 입출금(예상자금 입금, 정산정도금 입금, 정산하불금 송금)은 《B/L정산표》→《정산여부》에 영항을 미치지 아니한다. 《물류거래장》→《장부잔액표》→《예상자금사전송금》에서 하불처가 업무처리하기 전에 자사에게 "예상자금"을 청구하는 즉시 송금(사전송금)하는 금액은 자사의 《정산여부》→《미정산》의 상태에서 물류거래장에 출금전표가 작성된다. 또한, 자사가 업무처리하기 전에 청구처에게 "예상자금"을 청구하는 즉시 입금되는 금액은 《정산여부》→《미정산》의 상태에서 물류거래장에 입금전표가 작성된다.
《정산완료》의 경우 《B/L정산내역》에 증빙자료를 기초로 데이터값을 입력한 후 《정산완료》를 선택하고 "저장"을 클릭하면 정산일자가 생성되면서 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되어 물류거래장에 기장된다. 정산완료된 후에는 당해 B/L건에 대하여 다중거래처간에 장부협조관계(전표제공 및 전표인용)가 차단된다. 따라서 정산완료후에 《B/L정산내역》의 데이터값을 수정하면 "수정전표"가 작성(매출전표 수정방법 참조)되며, 정산완료후의 전표수정은 "자사"에서만 정리될 뿐이고 거래처(청구처,하불처)에게는 전표가 제공되지 않는다. 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되어 저 장버튼을 클릭하는 순간 당사(자사)의 물류비용정산서가 청구처로 제공되며 청구처는 비로소 자사(당사)의 물류비용정산서를 열람할 수 있다.
《B/L정산내역》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저장/수정》을 실행하면 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에서 4종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출금전표, 입금전표)가 자동생성되어 기장되고 일계장에서는 2종류전표(출금전표, 입금전표)가 자동생성되어 기장된다. 이때, 전표생성기준은 《관세》에서 수입면장에 표시된 여러종류의 세금을 입력하고 《저장/수정》을 실행한 경우, 《배차표》에서 "운송료"를 입력하고 《저장/수정》을 실행한 경우, 나머지 7개품목(통관료, D/O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검역료, 기타요금)의 《산출내역》에서 금액을 입력하고 《저장/수정》을 실행한 경우, 청구처로부터 《정산전도금》이 입금되거나 하불처에게 《정산하불금》을 송금한 후 《저장/수정》을 실행한 경우의 4가지 경우이다.
도 37은 FCL선적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FCL 선적정보에서 화주는 선박회사에게 FCL화물을 부킹(Booking)하고 포워더에게 LCL화물과 ETC화물을 부킹(Booking)한다. 화주는 ( * )표시의 21개항목을 입력하고 선박회사에게 알림장으로 전송한다. 선박회사는 부킹(Booking)번호 및 콘테이너정보를 비롯한 기타 부킹(Booking)정보를 입력하고 화주에게 알림장으로 전송한다. ㉱ 선박회사가 《선전정보 (FCL)》에 "콘테이너정보"를 입력하면 《수출송품장》→《적재표》→《화물차량추가》에서 화물형태에 따라 콘테이너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운송사가 《수출FCL운송장》에서 차량정 보(차량번호, 운전사,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면 《수출송품장》→《적재표》→《화물차량추가》에서 화물형태에 따라 "차량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하역회사는 《선적정보 (FCL)》에서 지정된 콘테이너를 선박에 적하(Loading in the Vessel)한다.
LCL & ETC 선적정보에서 화주는 포워더에게 LCL화물 또는 ETC화물을 부킹(Booking)한다. 화주는 ( * )표시의 21개항목을 입력하고 포워더에게 알림장으로 전송한다. 포워더는 부킹(Booking)번호를 비롯한 기타 부킹(Booking)정보를 입력하고 화주에게 알림장으로 전송한다. 포워더는 다시《선적정보 (FCL)》에서 선박회사에게 콘솔(집하)화물의 FCL콘테이너를 부킹(Booking)한다. 선박회사는 《선적정보 (FCL)》에 "콘테이너정보"를 입력한다. 운송사는 《수출LCL운송장》에서 차량정보(차량번호, 운전사,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화주로부터 수출화물을 콘솔장소(CFS창고)로 이동시킨다. CFS창고는 포워더의 지시에 따라 LCL화물을 콘솔한다. 운송사가 《수출LCL운송장》에서 차량정보(차량번호, 운전사,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면 《수출송품장》→《적재표》에서 화물형태에 따라 "차량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운송사는 콘솔(집하)화물의 FCL콘테이너를 선적장소(CY)까지 셔틀운송한다.
도 38은 수출 FCL배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배차표는 화물의 종류 및 수출/수입에 따라 생성되며, 기재 내용은 유사한 항목을 포함한다.
배차번호는 운송장(FCL,LCL)의 2. 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을 클릭한 날짜의 고유번호에 따른 일련번호이며 자동생성된다. 콘테이너(FCL) 또는 카고트럭(LCL)이 2대이상의 경우는 2번째차량의 배차번호는 첫번째차량의 배차일자와 다르더라도 첫번째 배차일자의 고유번호를 기준으로 일련번호가 생성된다. 배차번호는 B/L정산표에 입력된 차량대수(20번)에 따라 운송장을 작성한 순서대로 자동생성된다. 배차번호의 앞에 붙는 영문자2개의 표시방법은 EF(수출FCL), EL(수출LCL), IF(수입FCL), IL(수입LCL), GF(상품FCL), GL(상품LCL)이며 자동으로 생성된다.
하불처는 차량소요댓수가 2대이상인 경우 하불처도 2곳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운송장을 선택하면 "운송장"의 팝업창이 열린다. "버튼명칭"은 운송장을 작성하고 "저장"을 클릭한 업체의 업종명칭 4종류(화주, 포워더, CY창고, 운송사)에서 자동으로 표시된다.
매출운송료는 청구처와 합의된 운송료(부가세별도)를 입력한다. 청구처에게만 공개(제공)되며 하불처에게는 공개되지 않도록 시스템에서 설정되어 있다. 매입운송료는 하불처와 합의된 운송료(부가세별도)를 입력한다. 하불처에게만 공개(제공)되며 청구처에게는 공개되지 않도록 시스템에서 설정되어 있다.
배차결과는 3종류의 배차결과(대기, 배차, 상차)중에서 자동으로 표시된다. 대기(준비중: 노란색바탕)는 출고일자, 운송차량, 운송료견적이 아직도 미확정된 경우, 배차(배차완료: 초록색바탕)는 출고일자, 운송차량, 운송료견적이 확정되어 "운송장"에서 2.차량정보(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하는 순간 "대기"표시가 "배차"표시로 바뀐다. 상차(상차완료: 파란색바탕)는 상차지(CY,CFS)에서 화물이 운송차량에 상차완료되어 "운송장"에서 4.배차현황의 "상차일시"란에 2종류(상차일자, 상차시간)를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하면 "배차"표시가 "상차"로 바뀐다. 상차일시의 2종류(상차일자, 상차시간)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하지 않으면 "배차"가 "상차"로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2종류(상차일자, 상차시간) 모두 입력하여야 "상차완료"가 된다. 하불처가 동일한 차량들은 합해서 1건의 배차요청서가 작성된다. 그리고 하불처가 콘테이너를 차량에 상차완료하여 "상차"를 선택하면 자사PC에서도 "상차"로 바뀐다.
문자메시지(SMS)는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SMS"버튼을 클릭하면 "SMS전송"의 팝업창이 열린다. 1.청구처에게 보낼 SMS전송내용에서는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휴대폰, 도착일시, SMS문자받을사람)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SMS문자받을사람"은 수정이 가능하다. 2.운전사에게 보낼 SMS전송내용에서는 화주정보(화주명,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다만, 다단계거래의 물류공급망에서 화주정보의 노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1.화주정보의 2종류(실무자명, 실무자휴대폰)와 5.화물수취인의 2종류(실무자명, 실무자휴대폰)를 입력할 수 있는 업체는 "화주" 및 "화주의 차상위하불처"로 제한하였다. 예를들면, 다중거래처의 하청관계에 있어 1단계(화주)→2단계(포워더)→3단계(통관사)→4단계(운송사)로 거래되는 B/L정산업무에서 "화주의 차상위하불처"는 2단계(포워더)이다. 따라서 "화물수취인의 휴대 폰번호"는 오로지 "운송장"의 운전사에게만 SMS로 제공될 뿐이고 "화주의 차상위하불처(2단계/포워더)"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3단계, 4단계)에게는 ☎ 010-XXXX-XXXX으로 표시되어 전화번호가 공개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SMS전송"의 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하면 2종류(대기, 전송)에서 "전송"으로 선택된다. 만약 "대기"에서 "전송"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재전송한다.
업체등록시 "하불처SMS의 수신처"를 "당사"로 지정한 경우, 운송사가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SMS"팝업창의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를 확인한 다음 "전송"을 클릭하면 "SMS전송내용"이 당사의 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만약 하불처로부터 받은 "배차정보"를 청구처에게 다시 전송하려면 당사 운송장의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한다. 예를들면, 다단계구조의 물류공급망에 있어 1단계(화주)→2단계(포워더)→3단계(통관사)→4단계(운송사)→5단계(지입차주)로 거래되는 B/L정산업무의 하청관계에서 통관사가 "자사(당사)"라면 포워더는 청구처이고, 운송사는 하불처이다. 운송사(4단계)가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하면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당사의 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운전사에게도 화물수취인정보(화주명,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업체등록시 "하불처SMS의 수신처"를 "청구처"로 지정한 경우, 운송사가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한 후 저장하면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청구처(당사의 청구처)의 실무자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되면서 당사 배차표의 "SMS"에서는 "대기"표시가 "전송"으로 자동전환된다. 예를들면, 다단계구조의 물류공급망에 있어 1단계(화주)→2단계(포워더)→3단계(통관사)→4단계(운송사)→5단계(지입차주)로 거래되는 B/L정산업무의 하청관계에서 통관사가 "자사(당사)"라면 포워더는 청구처이고, 운송사는 하불처이다. 운송사(4단계)가 운송장의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하면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청구처(포워더)의 실무자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운전사에게도 화물수취인정보(화주명,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다단계구조의 물류업계에서는 거래처정보의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마지막 4단계의 운송사정보가 1단계의 화주에게 노출되면 다단계 거래관계의 신뢰성이 무너지게 된다. 본시스템은 웹서버에서 다중거래처간에 공동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하였기 때문에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를 제외한 업체정보는 다중거래처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배차요청서는 자사(당사)가 하불처에게 화물을 운송하도록 요청하는 서식이다. 작성일자는 운송장과 함께 배차표(FCL,LCL)에서 데이터값을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한 날짜가 표시된다. 수신처는 FCL배차요청서에서 배차담당하는 하불처가 표시되며 이때의 하불처의 업종은 운송사가 아닌 업체도 상관없다. 수신찬의 회사명은 업체등록시 "장부명"이 표시되지 않고 사업자등록정보의 "상호"가 표시되며, 업체등록정보의 실무자성명, 휴대폰, 직통전화, 직통팩스, 메신저가 표시된다.
B/L기초정보 및 출고계획은 B/L정산표에 입력된 데이터값이 자동표시된다. 당사배차번호는 당사의 B/L정산표의 배차번호가 표시된다. 배차현황은 "운송장"에서 입력된 데이터값이 표시된다.
도 39는 수출 FCL운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운송장(FCL, LCL)에는 화주정보, 차량정보, B/L정보, 배차계획 화물수취인, 청구처(또는 화주)의 지시사항, 하불처의 회신(질문) 내용, 기능선택으로 구분된다.
화주정보는 B/L정산표에 입력되는 "화주"이며 "업체등록정보"로부터 자동표시된다.
차량정보는 운송사에 의하여 배차완료된 차량정보이며 차량등록정보에서 차량번호를 선택한다.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배차일자와 배차번호가 자동생성된다.
B/L정보는 B/L정산표의 B/L기초정보이며 최초로 화주가 입력하기도 하며 보통은 포워더가 입력한다.
배차계획은 배차번호, 배차일자, 콘테이너번호, 화물구분,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 상차지, 상차일시, 화물위치, 반납지, 도착지 및 도착(예정)일시 정보를 포함한다.
배차번호는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면 배차일자가 자동생성되면서 배차번호("저장"을 클릭한 날짜의 고유번호에 따른 일련번호) 도 자동생성된다. 콘테이너(FCL) 또는 카고트럭(LCL)이 2대이상의 경우는 2번째차량의 배차번호는 첫번째차량의 배차일자와 다르더라도 첫번째 배차일자의 고유번호를 기준으로 일련번호가 생성된다. 배차번호는 B/L정산표에 입력된 "차량대수"에 따라 운송장을 작성한 순서대로 자동생성된다. 배차번호의 앞에 붙는 영문자2개의 표시방법은 EF(수출FCL), EL(수출LCL), IF(수입FCL), IL(수입LCL), GF(상품FCL), GL(상품LCL)이며 자동으로 생성된다.
배차일자는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면 배차일자가 자동생성된다. 콘테이너번호는 B/L정산표의 차량소요댓수에 따라 콘테이너번호를 입력한다. 화물구분은 FCL 또는 LCL의 화물구분을 입력한다. 품명은 B/L정산표의 한글품명을 입력한다. 포장개수는 상품목록(Packing List)에 표시된 단위의 포장개수를 입력한다. 총중량은 중량이 무거운 화물(철강, 석재 등)에 대하여 계근표를 요구하는 경우 "계근중량"을 입력 한다. 상차지는 화주의 하불처는 수입화물의 장치장을 입력한다.
상차일시는 운송사는 상차지(CY, CFS)에서 콘테이너를 상차하여 반출하는 일시를 입력한다. FCL화물은 CY에서, LCL화물은 CFS(창고)에서 반출되는 날짜(상차일자)이며, 상차일시를 입력하고 "저장"한 날짜이다. 출고(상차)일자는 B/L정산표의 매출현황과 매입현황의 "거래일자"와 동일한 날짜이다. 출고(상차)일자는 거래장(청구처원장,하불처원장)의 "거래일자"이며 세금계산서의 "매출일자" 또는 "매입일자"이다. 따라서 상차를 담당한 운송사는 반드시 상차일시를 입력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운송사의 상위단계 청구처들의 거래금액(매입운송료와 매출운송료)이 확 정되기 때문이다.
화물위치는 창고업자는 창고에 화물이 보관된 위치를 입력한다. 반납지는 운송사는 콘테이너를 화주에게 인도완료한 후 빈콘테이너의 반납장소를 입력한다. 도착지는 화주는 화물의 도착지를 입력한다. 도착지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사항"란에 변경된 도착지명을 입력한다. 도착(예정)일시는 화물을 도착시키고자 하는 날짜와 시간을 입력한다. 도착(예정)일시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사항"란에 변경된 도착(예정)일시를 입력한다.
화물수취인은 화물수취인은 화주 또는 화주가 지정하는 업체이며 화주와 동일한 경우는 □에 체크한다.
청구처(또는 화주)의 지시사항은 장치장에서 화물을 출고상차를 하면서 청구처 또는 화주가 하불처에게 지시할 참고사항을 기재한다.
하불처의 회신(질문)내용은 청구처 또는 화주의 지시사항에 대하여 하불처가 답변하고 변명할 내용을 기재한다.
기능선택은 배차주문, 배차완료, 상차완료, 알림장 및 문자메시지전송(SMS)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으로 제공된다.
배차주문(살구색)은 화주가 7개항목(*표시)과 화물수취인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화주의 하위단계 하불처들의 운송장에서 배차주문의 버튼색깔이 "진한주황색"으로 전환된다. 배차완료(연한초록색)는 운송사가 2.차량정보의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운송사의 상위단계 청구처들의 운송장에서 배차완료의 버튼색깔이 "진한초록색"으로 전환된다. 상차완료(연한하늘색)는 운송사가 상차일시릉 입력하고 저장하면 운송사의 상위단계 청구처들의 운송장에서 배차완료의 버튼색깔이 "진한초록색"으로 전환된다.
알림장은 운송장의 작성에 참여하는 4개업체(화주, 포워더, CY창고, 운송사)는 데이터를 입력한 즉시 "알림장"을 클릭하여 작성업체의 청구처 또는 하불처에 알림장을 전송하여야 한다. 알림장은 받은 업체는 처리결과에 대한 답변의 "알림장"을 회신하여야 한다.
문자메시지(SMS)는 "SMS전송"의 팝업창을 통해 제공되며,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SMS"버튼을 클릭하면 "SMS전송"의 팝업창이 열린다. 청구처에게 보낼 SMS전송내용에서는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휴대폰, 도착일시, SMS문자받을사람)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SMS문자받을사람"은 수정이 가능하다. 운전사에게 보낼 SMS전송내용에서는 화주정보(화주명,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다만, 다단계거래의 물류공급망에서 화주정보의 노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1.화주정보의 2종류(실무자명, 실무자휴대폰)와 5.화물수취인의 2종류(실무자명, 실무자휴대폰)를 입력할 수 있는 업체는 "화주" 및 "화주의 차상위하불처"로 제한하였다. 예를들면, 다중거래처의 하청관계에 있어 1단계(화주)→2단계(포워더)→3단계(통관사)→4단계(운송사)로 거래되는 B/L정산업무에서 "화주의 차상위하불처"는 2단계(포워더)이다. 따라서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는 오로지 "운송장"의 운전사에게만 SMS로 제공될 뿐이고 "화주의 차상위하불처(2단계/포워더)"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3단계, 4단계)에게는 ☎ 010-XXXX-XXXX으로 표시되어 전화번호가 공개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SMS 전송"의 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하면 2종류(대기, 전송)에서 "전송"으로 선택된다. 만약 "대기"에서 "전송"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재전송한다.
업체등록시 "하불처SMS의 수신처"를 "당사"로 지정한 경우는 운송사가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 "SMS"팝업창의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를 확인한 다음 "전송"을 클릭하면 "SMS전송내용"이 당사의 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만약 하불처로부터 받은 "배차정보"를 청구처에게 다시 전송하려면 당사 운송장의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한다. 예를들면, 다단계구조의 물류공급망에 있어 1단계(화주)→2단계(포워더)→3단계(통관사)→4단계(운송사)→5단계(지입차주)로 거래되는 B/L정산업무의 하청관계에서 통관사가 "자사(당사)"라면 포워더는 청구처이고, 운송사는 하불처이다. 운송사(4단계)가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하면 배차정보(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당사의 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운전사에게도 화물수취인정보(화주명,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업체등록시 "하불처SMS의 수신처"를 "청구처"로 지정한 경우는 운송사가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한 후 저장하면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청구처(당사의 청구처)의 실무자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되면서 당사 배차표의 "SMS"에서는 "대기"표시가 "전송"으로 자동전환된다. 예를들면, 다단계구조의 물류공급망에 있어 1단계(화주)→2단계(포워더)→3단계(통관사)→4단계(운송사)→5단계(지입차주)로 거래되는 B/L정산 업무의 하청관계에서 통관사가 "자사(당사)"라면 포워더는 청구처이고, 운송사는 하불처이다. 운송사(4단계)가 2.차량정보에서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SMS"팝업창에서 "전송"을 클릭하면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청구처(포워더)의 실무자휴대폰으로 자동전송된다. 운전사에게도 화물수취인정보(화주명, 화물수취인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가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다단계구조의 물류업계에서는 거래처정보의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마지막 4단계의 운송사정보가 1단계의 화주에게 노출되면 다단계 거래관계의 신뢰성이 무너지게 된다. 본시스템은 웹서버에서 다중거래처간에 공동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하였기 때문에 배차정보(당사의 장부명, 차량번호, 운전사의 휴대폰번호, 도착일시)를 제외한 업체정보는 다중거래처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0은 SMS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1은 콘솔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2는 M.BL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3은 수출선적료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4는 수출하역료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5는 수출창고료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6은 수출CY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7은 수출검역료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8은 예상자금청구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9는 물류비용정산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상자금청구서 및 물류비용정산서 항목은 예상자금 청구서, 청구처 정산서로 구분되며, 청구처와 하불처 각각 제공된다. 여기서, 청구처 정산서를 선택하면, 물류비용 정산서가 팝업창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예상자금청구서 및 물류비용정산서의 항목은 동일하다.
《예상자금청구서》는 자사정보등록시 등록하였던 "사업용계좌"가 표시되는 《입금계좌》, 청구처의 실무자에게 사정송금 요청을 위한 《알림》, 및 본 시스템의 회원사가 아닌 경우 출력하여 팩스 또는 우편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항목을 포함한다.
《청구처정산서》는 증빙자료, 알림, 세금계산서 항목을 포함한다.
《증빙자료》는 자사(당사)가 물류업무를 완료한 후 작성한 품목별 지출비용의 거래명세서와 세금계산서에 대하여 기재사항의 오류발생여부를 확인한다.
《알림》은 첨부화일의 《증빙자료》는 《B/L정산내역》에 대한 증거로 남게 되며 추후 물류비용 산출내역의 오류발생으로 인한 분쟁이 야기되는 경우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
《세금계산서》는 《업체정보등록》→《세금계산서거래기준》→《발행방법》의 근거에 따라《물류거래장》에서 "전자발행"으로 처리한다.
자사가《B/L정산표》→《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를 하면 청구처는《하불처정산서》에서 자사의 정산내역을 확인(열람)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불처예상자금 및 하불처 정산서를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하불처예상자금》은 물류업무를 착수하기 전에 하불처에게 선지급금으로 지급할 견적금액의 내역이다. 《업체정보등록》→《거래처지정》에서 하불처가 "업종구분"에 따라 2곳이상의 업체로 지정되는 경우에는 《정산하불처》의 목록에서 차례대로 선택하면서 《하불처예상자금》을 열람한다.
《하불처정산서》는 하불처가《B/L정산표》→《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를 하면 자사는《하불처정산서》에서 하물처의 정산내역을 확인(열람)할 수 있다. 《증빙자료》는 하불처가 물류업무를 완료한 후 작성한 품목별 지출비용의 거래명세서와 세금계산서에 대하여 기재사항의 오류발생여부를 확인한다. 《알림》은 《증빙자료》에서 오류발견시 하불처에게 《B/L정산표》의 《B/L정산내역》을 수정해 달라고 요구한다. 《업체정보등록》→《거래처지정》에서 하불처가 "업종구분"에 따라 2곳이상의 업체로 지정되는 경우에는 《정산하불처》의 목록에서 차례대로 선택하면서 《하불처정산서》를 열람한다. 하불처로부터 알림장(물류비용정산서의 첨부화일)을 받지 않아도 《하불처정산서》에서 하불처의 "비용정산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0은 수입BL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수입 BL목록은 수출 BL목록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1은 수입적하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2는 수입BL정산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수입BL 정산표의 경우 수출 BL정산표와 유사하므로, 이에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3은 FCL입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4는 수입FCL운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5는 수입FCL배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6은 FCL배차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7은 자가운송신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8은 보세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9는 M.DO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0은 물류거래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1은 물류매출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2는 물류매입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63은 매출전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4는 입금전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5는 계정과목 명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6은 전표수정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7은 거래명세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8은 세금계산서의 제공형 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9는 일괄정산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0은 원장잔액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울러, 도 71은 정산하불금송금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2는 정산전도금입금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0 내지 도 72를 참조하면, 전표는 매출전표, 매입전표, 입출금전표로 구성된다.
물류거래장은 《B/L정산표》→《청구처》에 입력되는 업체의 "청구처원장"과 《B/L정산내역》→《정산하불금》에서 "하불처"로 입력되는 업체의 "하불처원장"으로 구분된다. 자사(당사)의 물류거래장은 1개이며, 자사에서 생성되는 1개의 물류거래장에 대하여 검색조건에 따라 각각 "원장"이 조회된다.
업체(청구처, 하불처, 화주)별로 청구처1곳을 선택하면 청구처원장이 조회되고, 하불처1곳을 선택하면 하불처원장이 조회되며, 화주1곳을 선택하면 화주원장이 조회된다. 사원별(영업팀장, 담당자)로 영업팀장1명을 선택하면 영업팀원장이 조회되고, 담당자1명을 선택하면 담당자원장이 조회된다. 조회기간 : 열람하고자하는 기간을 팝업창에서 선택한다
업체등록정보은 장부명, 업종구분, 영업팀장, 담당자, 업체코드, 업체ID가 업체등록정보에서 자동생성된다. 장부열람권제공, 전표사용권제공, 전표인용여부가 업체등록정보로부터 자동생성된다. 메모는 거래처원장에서 메모하고 "입력저장"을 클릭하면 업체등록정보에도 자동입력된다. 전표추가는 B/L정산표와 관계없이 4종류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출금전표)에서 처리한다.
장부필드명에서 《정산일자》의 생성시점은 《정산여부》→《미정산》의 상태에서 《B/L정산내역》→《산출내역》에 금액을 입력하고 수정하면서 《저장/수정》을 클릭한 날짜이다. 생성기준은 《관세》에서 수입면장에 표시된 여러종류의 세금을 입력하고 《저장/수정》을 클릭한 날짜, 《배차표》에서 "운송료"를 입력하고 수정하면서 《저장/수정》을 클릭한 날짜, 나머지 7개품목(통관료, D/O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검역료, 기타요금)의 《산출내역》에서 금액을 입력하고 수정하면서 《저장/수정》을 클릭한 날짜, 청구처로부터 《정산전도금》이 입금되거나 하불처에게 《정산하불금》을 송금한 후 《저장/수정》을 클릭한 날짜이다. 《B/L정산표》와 관련이 없는 전표는 "작성일자"가 정산일자이며, 전표를 수정하는 경우에는 "수정일자"가 정산일자이다.
청구처, 화주, B/L번호, 화물형태, 포장갯수는 B/L정산표의 데이터값이 자동입력된다. 《전표》는 4종류(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출금전표)의 전표가 표시된다.
《거래일자》는 관세느 수입면장의 통관일자(수입신고 수리일자), 통관료는 수입면장의 통관일자(수입신고 수리일자), 운송료는 운송장 및 배차표의 출고일자(상차일자), D/O료는 D/O발급일자, 창고료는 보세창고 반출일자(출고일자), 하역료는 보세장치장에 입고한 날, 검역료는 검역완료일이다.
《계정과목》은 B/L정산표에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계정과목으로 자동생성된다. 《참조번호》는 관세는 수입신고번호 (IF0908-00008), 통관료는 수입신고번호 (IF0908-00008), 운송료는 운송장 및 배차표에 표시되는 배차번호(예, EF0908-0008A), D/O료는 Freight Invoice의 Invoice No. (IF0908-00008), 창고료는 화물반출시 발생하는 출고번호 (IL0908-00008), 하역료는 화물하역시 발생하는 관리번호 (IF0908-00008), 검역료는 검역업무 정산시 발생하는 관리번호 (IL0908-00008)이다.
《적요》는 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출금전표)를 클릭하여 수정하는 경우에 있어 "매출전표의 수정정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입력된다.
《입금액》은 《B/L정산표》→《B/L정산내역》→《정산하불금》에서 자사매입액(매입전표)과 타사비용(입금전표)의 금액이 입력된다. 《장부잔액표》→《전도금입금처리표》에서 청구처로부터 받은 "정산전도금"을 "입금처리"한 금액이 입력된다. 《B/L정산표》→《정산여부》→《정산완료》로 "정산마감"된 후 하불처에게 지급한 선지급금(하불처의 예상자금)에 대하여 "초과송금액"의 회수금을 입력한다.
《출금액》은 《B/L정산표》→《B/L정산내역》→《정산전도금》에서 자사매출액(매출전표)과 타사비용(출금전표)의 금액이 입력된다. 《장부잔액표》→《하불금송금처리표》에서 하불처에게 지급한 "정산하불금"을 "송금처리"한 금액이 입력된다. 《B/L정산표》→《정산여부》→《정산완료》로 "정산마감"된 후 청구처로부터 받은 선수금(자사의 예상자금)의 "남은돈"은 《시재관리표》→《청구처원장잔액》에서 송금처리한 금액이 입력된다.
《잔 액》은 (-)잔액은 거래처로부터 받을돈(미수금)이고, (+)잔액은 줄돈(미지급금)이다. 《작업화면조회》는 《B/L정산표》의 조회는 "B/L번호"를 클릭하 고, 《배차표》의 조회는 "화물형태"을 클릭하며, 《전표》의 조회는 "화물형태"을 클릭한다.
매출전표는 B/L정산표의 "정산전도금"에서 자사매출액이 입력되면 청구처원장에서는 자동으로 작성된다. 운송매출은 배차표에서 입력된 "매출운송료"에 의하여 B/L정산표에서 "저장/수정"함으로서 자동생성된다. 나머지매출 (통관료, D/O료, 하역료 창고료, 검역료, 등) : 2가지의 전표작성방법이 있으며 모두 사용가능하다. (제1방법) B/L정산표에서 생성하는 방법 : B/L정산표에 데이터값을 입력하고 "저장"을 클릭함으로서 자동생성된다. 매출액정정의 경우도 똑같다. (제2방법) 전표화면에서 수작업으로 입력(매출액정정 포함)하여 생성하는 방법이다.
매출전표에서 자사가 "업체정보등록"의 "다중거래처의 장부협조관계"에서 청구처에게 "거래장전표제공"을 승인하면 자사의 전표는 청구처의 B/L정산표에서 정산하불금의 내역에 자동으로 입력되면서 장부에도 자동으로 기장된다
정산일자는 CY 또는 CFS에서 화물을 출고하여 화주에게 인도한 후 B/L정산표에서 물류비용을 입력함과 동시에 "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를 선택하고 "저장"을 클릭한 날이다. B/L정산표에서 전표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물류거래장"에서 "전표"의 팝업창을 열어 수작업으로 전표를 작성한 날짜이기도 하다. 화주, 청구처, 영업팀장, 담당자, 입항일자, B/L번호, 선명, 화물구분, 포장갯수는 B/L정산표의 입력값이 자동생성된다. B/L과 관계없는 전표는 입항일자, B/L번호, 선명의 입력을 생략한다.
하불처는 업체정보등록의 "거래처지정"에서 "하청업무"별로 지정된 업체이 다.
참조번호는 관세(수입면장의 수입신고번호), 통관료(수입면장의 수입신고번호), 운송료(배차번호), D/O료(Freight Invoice NO.), 하역료(관리번호), 창고료( 출고번호), CY료( 관리번호), 검역료(관리번호)이다.
공급받는자(세금계산서)는 B/L정산표의 화주가 매출세금계산서의 공급받는자로 자동생성된다.
거래일자(세금계산서)는 관세(수입면장의 통관일자(수입신고 수리일자)), 통관료(수입면장의 통관일자(수입신고 수리일자)), 운송료(운송장 및 배차표의 출고일자(상차일자)), D/O료(D/O발급일자), 창고료(보세창고 반출일자(출고일자)), 하역료(보세장치장에 입고한 날), 검역료(검역완료일)이다.
품목(계정과목)은 계정과목 등록시 등록된 계정과목(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에서 선택한다. 등록된 품목은 세금계산서에 표시되는 품목이며 B/L정산표, 물류거래장에서는 매출과 매입으로 구분되는 계정과목으로 관리된다. 예를들면, 배차표에서 입력되는 매출운송료와 매입운송료가 거래처원장에서는 "계정과목"으로 표시되지만, 세금계산서에서는 품목란에 "운송료"라고 표시된다.
공급가액은 B/L정산표의 입력값(부가세 포함)에서 매출의 공급가액이 추출되어 자동생성된다. 작성일자(세금계산서)는 업체등록시 "세금계산서 작성일자지정"에서 3종류(거래일자, 말일, 사용자지정)중에서 선택지정된 날짜가 자동생성된다. 세금계산서 작성일자가 "말일"인 경우는 초일부터 말일까지의 거래내역을 표시한 거래명세서를 첨부하여 1장의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이다. 적요는 전표수정 에 있어 수정결과값을 입력한다.
이러한 매출전표에서 전표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항목은 4종류(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 공급가액)이다.
3종류(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의 변경은 장부시재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수정전표"를 추가로 만들지 않고 "기존전표"에서 변경되는 항목에 데이터값을 수정입력하면 된다. 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의 변경은 세금계산서 기재사항의 변경에 목적이 있으므로 B/L정산표의 데이터값은 변경되지 않으며 오로지 세금계산서의 기재사항만 변경된다. 물류거래장과 기존전표의 "적요"란에는 수정항목명칭(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과 수정결과값이 자동으로 기장된다. 공급받는자의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공급받는자수정 : 부산상사(변경된 공급받는자)}이라 표시된다. 거래일자의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거래일자수정 : 07/01(변경된 거래일자)}이라 표시된다. 작성일자의 수정은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작성일자수정 : 07/01(변경된 작성일자)}이라 표시된다.
공급가액의 변경은 B/L정산표의 "정산여부"에서 "미정산"인 경우, B/L정산표의 "정산여부"에서 "미정산"인 경우에는 "5.B/L정산내역"에 데이터값의 "입력"과 "수정"이 반복되더라도 아직 전표작성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공급가액 변경으로 인한 장부시재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산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하불처정산서"를 열람하고 나서 하불처로부터 정산에 필요한 "증빙자료"가 모두 회수되었는지 꼼꼼히 살펴본 다음에 "정산완료"를 선택하고 "저장"을 클릭하여야 한다. 운송매출은 배차표에서 매출운송료를 수정입력하고, 나머지매출은 "전표"작업화면 을 열어 놓고 수작업으로 수정하는 방법과 B/L정산표에서 수정값을 직접 입력하는 방법의 2가지 모두 가능하다.
B/L정산표의 "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된 경우, "정산완료"한 즉시부터 B/L정산표의 "5.B/L정산내역"에서 기존의 데이터값(금액)을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경우에는 공급가액 변경으로 인한 장부시재의 변화를 초래한다. 정산완료된 후에는 당해 B/L건에 대하여 다중거래처(청구처,자사, 하불처)의 상호간에 장부협조관계(전표제공 및 전표인용)가 차단되면서 전표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공급가액을 변경하는 "전표수정"은 "자사"에서만 정리될 뿐이다. 변경된 공급가액을 B/L정산표의 "5.B/L정산내역"에서 수정값을 입력한 후 "저장"을 클릭하면 물류거래장에서 "기존전표(처음작성)"의 금액을 삭제하는 "삭제전표(마이너스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되면서 변경된 "수정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따라서 공급가액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2건의 전표(삭제전표 및 수정전표)가 추가작성된다. "삭제전표"가 작성되는 절차에 있어 청구처원장에서는 "지출액"에 "빨간색의 마이너스금액(-30,000)"이 자동입력되며, 하불처원장에서는 "입금액"란에 "빨간색의 마이너스금액(-20,000)"이 자동입력되고, 일계장의 매출이익도 "빨간색의 마이너스금액"의 삭제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수정전표"가 작성되는 절차에 있어 청구처원장에서는 "지출액"란에 "파란색의 수정금액"이 자동입력되며, 하불처원장에서는 "입금액"란에 "파란색의 수정금액"이 자동입력되고, 일계장의 매출이익도 "파란색의 수정금액"의 수정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물류거래장과 일계장 및 매출전표의 "적요"란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 "기존전표"의 적요란에는 (수정일자07/16 : 금액수정)이라 자동표시되면서 "삭제전표"의 적요란에는 (정산일자07/08 : 전표삭제)이라 자동표시되고, "수정전표"의 적요란에는 (정산일자07/08 : 33,000증액/감액)이라 자동표시된다.
변경할 항목이 동시에 2개인 경우는 1개는 1차정정에서 입력처리하고, 다른 1개는 2차정정에서 입력처리한다.
입출금전표의 정산일자는 CY 또는 CFS에서 화물을 출고하여 화주에게 인도한 후 B/L정산표에서 물류비용을 입력함과 동시에 "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를 선택하고 "저장"을 클릭한 날이다. B/L정산표에서 전표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물류거래장"에서 "전표"의 팝업창을 열어 수작업으로 전표를 작성한 날짜이기도 하다.
화주, 청구처, 영업팀장, 담당자, 입항일자, B/L번호, 선명, 화물구분, 포장갯수는 B/L정산표의 입력값이 자동생성된다. B/L과 관계없는 전표는 입항일자, B/L번호, 선명의 입력을 생략한다.
하불처는 업체정보등록의 "거래처지정"에서 "하청업무"별로 지정된 업체이다. 계정과목은 B/L정산표의 "5.B/L정산내역"에 데이터값을 입력하면 계정과목 등록시 등록된 계정과목(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이 자동 선택된다. 거래일자는 B/L정산표에서 "청구처입출금"의 입금일자와 "하불처입출금"의 출금일자가 표시된다. 결제처는 입금전표일 때는 "입금처"를 입력하고, 출금전표일 때는 "지불처"를 입력한다. 금액은 B/L정산표에서 "청구처입출금"의 입금액과 "하불처입출금"의 송금액이 표시된다. 적요는 전표수정에 있어 수정결과값이 표시된다.
입금전표에 있어 전표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항목은 2종류(거래일자, 금액) 이다. 거래일자의 변경은 거래일자의 변경은 장부시재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수정전표"를 추가로 만들지 않고 "수정사항"에 변경되는 데이터값을 수정입력하면 된다. 물류거래장에서 "기존전표"의 "적요"란에 {거래일수정 : 07/01(변경된 거래일자)}이라 입력한다. 입금전표에 있어 거래일자변경은 세금계산서 기재사항과 관계없으므로 거래일자변경의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세금계산서는 매출처가 "청구처"인 경우, 검색조건에서 발행대상의 "청구처명"을 선택하면 "세금계산서 발행현황"의 매출처에도 청구처명이 자동표시된다. "종이발행"을 클릭하면 미발행된 세금계산서가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발행된다. B/L정산표의 "물류비용정산서"에서 발행되는 세금계산서는 당해 B/L건에 대하여 발행되는 것이며, "알림장"에 의하여 청구처에게 교부하였다면 "종이발행"으로 체크된다.
세금계산서의 매출처가 "화주"인 경우, 검색조건에서 발행대상의 "화주명"을 선택하면 "세금계산서 발행현황"의 매출처에도 화주명이 자동표시된다. "종이발행"을 클릭하면 미발행된 세금계산서가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발행된다. B/L정산표의 "물류비용정산서"에서 발행되는 세금계산서는 당해 B/L건에 대하여 발행되는 것이며, "알림장"에 의하여 청구처에게 전달하였다면 청구처는 내용변경없이 그대로 화주에게 "종이발행"으로 체크된다.
거래명세표는 매출전표에 의하여 집계된 거래명세표는 청구처 앞으로만 발행되며 알림장으로 전송한다. 청구처 앞으로 발행되는 거래명세표는 청구처로부터 받을 물류비용의 내역일 뿐이며 세금계산서와는 관계가 없다.
매출장 당사(자사)가 발행한 매출세금계산서의 집계표이다. 검색조건은 물류거래장에서 거래일자의 조회기간을 지정하여 검색한다. 매출장을 회계사무소에 제출하면 부가가치세 산출의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매입장은 매입처가 발행한 매입세금계산서의 집계표이다. 검색조건은 물류거래장에서 거래일자의 조회기간을 지정하여 검색한다. 매입장을 회계사무소에 제출하면 부가가치세 산출의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일괄정산표는 자사가 취급하는 모든 품목(주력품목 및 취급품목)의 정산전도금 또는 정산하불금의 전표처리를 위하여 B/L건별로 정산하지 않고 특정한 시기(보통 월말에 처리함)에 수시로 일괄정산(사후정산)하기로 한 경우이다. 《B/L정산표》→《정산여부》에서 B/L건마다 《정산완료》처리하지 않고 보류하였다가 수시로 일괄정산(사후정산)하거나 월말에 한꺼번에 일괄정산처리한다. 《물류거래장》→《검색조건》에서 일괄정산의 대상업체(청구처 또는 하불처)와 거래일자의 범위를 검색한다. 《물류거래장》→《일괄정산표》를 클릭하면 《미정산》의 "B/L목록"이 열리는데 《일괄정산처리》하면 "미정산"이 "정산완료"로 한꺼번에 바뀌면서 "미정산"분의 전표가 한꺼번에 작성되어 물류거래장에 기장되면서 "정산마감"된다. 《일괄정산》으로 지정하더라도 일부는 "건별정산"도 가능하며 건별정산이 된 B/L건은 "일괄정산처리"에서 제외된다. 3종류의 입출금(예상자금 입금, 정산정도금 입금, 정산하불금 송금)은 《B/L정산표》→《정산여부》에 영항을 미치지 아니한다. 《B/L정산표》→《예상자금》을 사전송금으로 받은 B/L건에 대하여 《물류거래장》→ 《장부잔액표》→《정산전도금 입금처리표》에서 《입금처리》한 경우 나중에《일괄정산표》에서 "정산마감"을 한다.
거래장잔액표의 《검색조건》에서 《결제기한》은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와 계약된 "결제약정기일"이며 11종류(사전결제, 정산당일, 정산익일, 3일후, 7일후, 15일후, 1개월후, 2개월후, 3개월후, 4개월후, 6개월후)에서 선택한다. 《잔액형태》는 현재잔액을 2종류(+잔액, -잔액)에서 선택한다. (+잔액)은 현재의 미지급금이며 (-잔액)은 현재의 미수금이다. 따라서 미수금내역은 검색조건에서 (-)잔액을 선택하여 조회하며, 미지급금내역은 (+)잔액을 선택하여 조회한다.
장부필드명에서 《결제기한》은 《업체정보등록》→《업무처리기준》→《정산비용 결제기한》에서 지정된 결제기한에 따라 표시된다. 《정산기간별 잔액》에서 청구처 정산잔액은 B/L정산결과 정산전도금에서 청구처로부터 받은 예상자금을 공제한 잔액(부족금 또는 남은돈)을 B/L건별로 정산일자에 해당하는 기간별로 잔액의 현황이 표시된다. 하불처 정산잔액은 B/L정산결과 정산하불금에서 하불처에게 선지급한 예상자금을 공제한 잔액(부족금 또는 남은돈)을 B/L건별로 정산일자에 해당하는 기간별로 잔액의 현황이 표시된다. 《현재잔액》은 정산기간별 잔액의 합산금액이다.
《정산하불금 송금표》에서 《B/L정산표》→《예상자금》은 하불처가 “취급품목”별로 입력한 견적금액에 대하여 업무처리하기 전에 “사전송금”한다. 보세구역(CY, CFS)에서 화물을 반출하기 위하여 관세, D/O료, 하역료, 창고료, CY료 등 대부분의 물류비용이 사전송금에 의한 결제방식으로 처리되고 있다. 《B/L정 산표》→《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된 B/L건에 대하여 결제기한이 도래하거나 경과된 《정산하불금》의 “지급하불금” 또는 《하불처원장》의 “원장잔액”을 송금처리한다. 《□전체선택》에서 선택된 《송금예정액》은 결제기한이 도래하거나 경과된 B/L건의 목록이며 경리담당자는 출력하여 영업팀장과 협의한 후 송금여부를 결정한다. 《송금예정액》은《송금현황》→《송금액》란에 자동입력되며 통장잔고의 범위내에서 《송금액》란의 금액수정이 가능하다. 통장잔고의 부족으로 일부금액을 송금하려면 선택된 □를 클릭하여 “선택취소”한다. 경리담당은 출력된 《정산하불금 송금목록》을 출력하여 《B/L정산표》→《담당자》와 협의한 후 영업팀장 또는 상관의 “송금허가”를 받고나서 《송금액》란의 금액을 인터넷뱅킹으로 하불처에게 이체(송금)한다. 《송금현황》에서 《송금일자》를 입력하고 “저장”을 클릭하면 《B/L정산표》에서 송금처리가 완료된다. 예상자금 계정과목은 거래장에서 전표(입금전표, 출금전표)가 작성되지 않으므로 장부(거래장)에도 기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물류거래장》→《원장잔액표》→《정산하불금 송금표》와 《정산전도금 입금표》에서는 “예상자금”의 항목(필드)에 표시된다. 《정산여부》→《미정산》으로 정산하불금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상자금》을 송금처리한다. 《정산여부》→《정산완료》로 정산하불금이 확정된 경우에는 《원장잔액》을 송금처리한다.
《송금처리 취소》는 《정산하불금 송금표》에서 업무착오가 발생하여 송금처리를 취소하려는 경우이다. 송금처리와 송금취소가 당일에 발생한 경우에는 하불처원장에서 전표를 삭제한다. 전표를 삭제하면 《B/L정산표》→《하불처입출금》→ 《송금액》에서 송금처리된 금액이 취소되면서《하불처원장》→《원장잔액표》에서 “정산기간별 잔액”이 다시 복원된다. 송금취소가 송금처리일 익일이후에 발생한 경우에는 수정전표의 절차(매출전표의 수정절차 참조)에 따라 처리되고 당해 《B/L정산표》→《하불처입출금》→《송금액》에서 송금처리된 금액이 취소되면서 《하불처원장》→《원장잔액표》에서 “정산기간별 잔액”이 다시 복원된다.
《정산전도금 입금표》는 청구처로부터 입금된 《받은전도금》에 대하여 입금처리한다. 《물류거래장》에서 “청구처”를 검색하고 《청구처원장》→《원장잔액표》→《정산전도금 입금표》는 청구처의 《정산전도금》에 관한 목록이며 입금된 “통장금액”과 비교확인하면서 통장금액에 해당하는 B/L건을 선택한다. 선택된 B/L건의 《예상자금》또는 《원장잔액》은 “증액”되면서 《입금현황》의 “입금액”란에도 선택된 금액이 추가(증액)되고 “미수금합계”는 감액된다. 입금된 “통장금액”과 비교확인하면서 계속반복하여 통장금액에 해당하는 B/L건을 선택한다. 《입금현황》의 “입금액”란에 추가(증액)된 금액과 “통장금액”이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입금일자”를 입력하고 “저장”을 클릭하면 《B/L정산표》에서 입금처리가 완료된다. 입금처리가 완료되면 《물류거래장》→《일괄정산표》에서 “정산마감”을 한다.
계정과목명세서는 장부(물류거래장, 상품거래장, 일계장, 임의장부)의 계정과목별 거래내역을 집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검색조건은 5종류(영업팀원장, 담당자원장, 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 화주원장)으로 구분된 장부에서 각각 해당하는 검색조건을 선택한다. 3단계(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된 계정과목에서 각 각 해당하는 검색조건을 선택한다. 조회기간은 정산일자와 거래일자를 구분하여 조회기간을 지정한다. 거래처는 검색조건의 청구처원장에서 "업체명"을 선택하고 하불처원장에서 "해당없음"을 선택하면 필드명이 "청구처"로 바뀌면서 청구처의 업체명이 표시된다. 검색조건의 하불처원장에서 "업체명"을 선택하고 청구처원장에서 "해당없음"을 선택하면 필드명이 "하불처"로 바뀌면서 하불처의 업체명이 표시된다. 검색조건의 청구처원장에서 "업체명"을 선택하고 하불처원장에서 "업체명(청구처원장에서 선택한 동일한 업체명)"을 선택하면 필드명이 그대로 "거래처"로 유지되면서 거래처의 업체명이 표시된다. 이런 경우는 거래처원장과 하불처원장이 동시에 생성되는 업체이며 운송주선업자(종목)는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전표수정내역은 물류거래전표와 상품거래전표의 기재사항이 변경됨에 따라 5종류장부(영업팀원장, 담당자원장, 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 화주원장)에 기장된 수정전표의 내역을 집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검색조건은 5종류(영업팀원장, 담당자원장, 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 화주원장)으로 구분된 장부에서 각각 해당하는 검색조건을 선택한다. 3단계(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된 계정과목에서 각각 해당하는 검색조건을 선택한다. 조회기간은 정산일자와 거래일자를 구분하여 조회기간을 지정한다. 변경대상항목은 공급자(공급받는자), 거래일자, 작성일자, 합계금액(공급가액)이 변경되는 경우이다.
도 73은 자사원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4는 주문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5는 판매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6은 재고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7은 주문계획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8은 PD(주문)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9는 수출선적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0은 주문서(Purchase Order)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1은 송품장(Invoice)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2는 적재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0 내지 도 82를 참조하면, 송품장(수출)은 화주(Shipper Exporter)가 세관에 수출입통관을 하기 위하여 제출하는 관세청의 전자 송장(Invoie)양식이며, 화주가 입력한다.
Shipper/Exporter 항목은 MID 코드와, 상호, 주소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MID코드는 수출업체의 고유코드(manufacturer's ID Code : MID Code)는 영문대문자만으로 띄어쓰기 없이 기재하며 총11글자(국가명2자+업체명6자+소재지3자)로 표시된다. 국명은 영문2글자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기준에 따라 기재하며 우리나라는 "KR"로 표시한다. 제조업체명은 6글자로 기재하며 업체명(영문명칭)의 처음 2단어(영문)에서 각각 최초의 3글자를 인용해 작성한다. 소재지(본사의 소재지)은 3글자로 표시한다. 본지사 중에서 본사의 MID 코드를 기재하고 대행수출의 경우에는 수출대행사의 MID 코드를 기재한다.
Terms of Payment 항목은 "선택박스"에서 선택항 항목이 없으면 "직접입력"을 선택한다. "직접입력"을 선택한 후 다시 "선택박스"로 되돌아가려면 "◀"을 클릭한다.
Number of Packages는 콘테이너 내품의 포장은 일반적으로 큰단위(Skid 또는 Pallet)와 작은단위(Carton Box)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Big Packages 와 Small Packages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였다. "품목추가"에서 "포장번호"는 BP(Big Packages)의 번호를 윗줄에 기재하고 SP(Small Packages)의 번호를 아랫줄에 기재한다.
Description of Goods는 6종류의 품목명세로서 HS번호 / 품명(NAME) / 모델(MODEL) / 규격(STANDARD) / 타입(TYPE) / 성분(INGREDIENT)을 순서대로 "슬래쉬( / )"로 구분하여 띄어쓰기 없이 기재한다. (예, HS:6402.99/NAME:WOMEN SHOES/MODEL:ART3302/STAN:240/TYPE:B/LACK/INGR:RECLAIMED POLYURETHANE FOAM)
적재표(팝업창)는 "화물트럭추가"를 클릭하여 화물형태, 콘테이너번호, 차량번호, 운전사명, 운전사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ITEM OPEN(품목열기)"를 클릭하면 "차량별 적재현황"이 열리며 "품목추가"의 팝업창에서 "Description of Goods"의 입력박스를 누르면 "재고목록"의 팝업창인 "출고(판매)계획"이 열린다. "출고(판매)계획"의 팝업창에서 청구처(해외바이어)의 주문수량과 동일한 판매수량을 확정하여 "저장"을 클릭하면 6개항목(HS/품명/모델/규격/타입/성분)의 품목명세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6개항목의 품목명세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방식은 HS번호/품명(NAME)/모델(MODEL)/규격(STANDARD)/타입(TYPE)/성분(INGREDIENT)이 순서 대로 "슬래쉬( / )"로 구분되어 띄어쓰기 없이 기재된다. (예, HS:6402.99/NAME:WOMEN SHOES/MODEL:ART3302/STAN:240/ TYPE:B/LACK/INGR:RECLAIMED POLYURETHANE FOAM) "Package(Small)"란에 "포장갯수"를 입력하면 "수출입상품 품목등록"에서 지정된 "포장규격"의 조건에 따라 6개항목(Quantity per P'kgs, G.Weight, N.Weight, Measurement, Unit of Trade, Norm Values)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입력된다.
Norm Values는 "수출입상품 품목등록"에서 지정된 "포장규격"의 조건에 따라 "Unit of Trade(거래단위)"에 해당되는 필드의 입력값이 자동계산되어 표시된다. 예를들면, 거래단위가 "Package(Small)"이라면 Package(Small)의 입력값이 표시되고, 거래단위가 "Quantity"이면 Quantity의 입력값이 표시되며, 거래단위가 "G.Weight"이면 G.Weight의 입력값이 표시되고, 거래단위가 "N.Weight"이라면 N.Weight의 입력값이 표시되며, 거래단위가 "Measurement"이라면 Measurement의 입력값이 표시된다. "Unit Price"를 입력하면 "Norm Values"의 입력값과 곱해지면서 "Amount"가 계산되어 자동입력된다. 이미 입력된 품목정보를 수정하려면 "Description of Goods"의 입력값을 클릭하여 수정후 저장한다. 이미 입력된 품목정보를 다른 차량으로 이적(적재화물을 다른 차량에 옮김)하려면 "품목이동"의 팝업창에서 처리한다.
Packages는 2종류(Big Package와 Small Package)로 구분하여 포장갯수(Total), 포장명칭(NAME), 포장코드(Code)를 입력한다.
주문서(배송장)은 화주, 차량정보, 배송현황, 화물수취인, 화주의 지시사항, 회신(질문)내용, 기능선택을 포함한다.
화주(또는 납품처)는 물류거래의 운송장과는 달리 주문서에서는 상품이 "매수인"이 화주이다. 차량정보는 운송사에 의하여 배송준비된 차량정보이며 차량등록정보에서 차량번호를 선택한다.
배송현황은 상품코드, 품명, 모델, 규격, 타입 : 품목동록시 등록된 품목이다. 창고(상차지)는 상품이 보관된 창고이다. 화물위치는 창고업자는 창고에 상품이 보관된 위치를 입력한다.
상차일시는 운송사는 화물상차지(CY, CFS)에서 콘테이너를 상차하여 반출하는 일시를 입력한다. 출고(상차)일자는 매출전표와 매입전표의 "거래일자"와 동일한 날짜이다. 출고(상차)일자는 거래장(청구처원장,하불처원장)의 "거래일자"이며 세금계산서의 "매출일자" 또는 "매입일자"이다.
⑤ 송장번호는 "D-090506-008" 과 같이 자동표시된다. 맨앞의 "D"는 출고(Delivery)의 약자이며 매출전표를 작성함으로서 자동으로 부여된다. 매입전표를 작성할 때는 입고(Warehousing)의 약자인 "W"의 부호가 자동으로 부여된다. 두 번째의 "090506"은 출고(상차)일자를 표시한 것이며 세번째의 "008"은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포장개수는 상품거래시 단위의 포장갯수를 입력한다. 순중량은 중량이 무거운 화물(철강, 석재 등)에 대하여 계근표를 요구하는 경우 "계근중량"을 입력 한다. 도착지는 화주(또는 납품처)는 화물의 도착지를 입력한다. 도착(예정)일시는 화물을 도착시키고자 하는 날짜와 시간을 입력한다.
화물수취인은 화물수취인은 화주 또는 화주가 지정하는 업체이며 화주와 동일한 경우는 □에 체크한다. 화주의 지시사항은 장치장에서 화물을 출고상차를 하면서 화주가 창고업자 또는 운송사에게 지시할 참고사항을 기재한다. 회신(질문)내용 : 화주(또는 납품처)의 지시사항에 대하여 창고업자 또는 운송사가 답변하고 변명할 내용을 기재한다.
기능선택은 주문신청, 주문수정, 입고확인, 매입전표, 배송계획, 배송수정, 배송롼료, 매출전표, 알림장, SMS전송, 인쇄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 제공된다.
주문신청은 주문처가 10개항목(*표시)과 화물수취인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주문신청"의 버튼색깔이 "진한주황색"으로 전환된다. 주문수정은 주문처가 주문신청의 내용을 수정하고 저장하면 버튼색깔이 "진한주황색"으로 전환된다. 입고확인은 주문처가 매입전표에서 "입고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버튼색깔이 "진한주황색"으로 전환된다. 매입전표는 주문처가 매입전표에서 "입고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버튼색깔이 "진한주황색"으로 전환된다. 배송계획은 배송처가 납품수량 및 차량정보의 2종류(차량번호, 휴대폰번호)와 상차일시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버튼색깔이 "진한파랑색"으로 전환된다. 배송수정은 배송처의 배송계획을 수정하고 저장하면 버튼색깔이 "진한파랑색"으로 전환된다. 배송완료는 주문처가 매입전표에서 "입고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버튼색깔이 "진한파랑색"으로 전환된다. 매출전표는 주문처가 매입전표에서 "입고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버튼색깔이 "진한파랑색"으로 전환된다. 알림장은 주문처가 주문처의 매입전표에서 입고확인의 버튼을 클릭하지 않아서 배 송처의 매출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송처가 주문처에게 알림장에 의하여 "입고확인"을 독촉하여야 한다.
SMS전송은 운송장(FCL, LCL)의 절차와 같다. 인쇄는 배송장을 출력하여 운전기사에게 교부한다
입고.주문절차는 당사는 "주문서(Order Sheet)"에 주문수량을 입력하고 하불처(국내공장 또는 해외공급자)에게 상품을 주문한다. 하불처는 "검색조건"의 청구처에서 당사(자사)를 선택하고 당사(자사)의 "배송장"을 작성한다. 하불처는 납품하고자 하는 품목의 "출고.배송"의 버튼을 누르면 "배송계획"의 팝업창이 열린다. 하불처는 "배송요청물량"에서 "포장갯수"와 "출고수량"을 입력하고 "저장"을 누르면 "배송장"에 납품수량이 입력된다. 하불처는 "배송계획"에 의하여 "배송장"이 작성되면 상품을 당사(자사)에게 배송한다. 하불처가 "배송계획"에 "배송요청물량(포장갯수, 수량)을 입력하고 "저장"을 클릭하면 하불처의 재고수량은 감소되고 당사(자사)의 재고목록에서는 해당 품목의 수량이 증가된다.
출고.배송절차는 청구처는 "주문서(Order Sheet)"에 주문수량을 입력하고 당사(자사)에게 상품을 주문한다. "검색조건"에서 청구처를 선택하고 청구처별로 "배송장"을 작성한다. 납품하고자 하는 품목의 "출고.배송"의 버튼을 누르면 "배송계획"의 팝업창이 열린다. 입항일자, "입고구분"별, 창고별, 매입하불처별로 "배송요청물량"에서 "포장갯수"와 "출고수량"을 입력하고 "저장"을 누르면 "배송장"에 납품수량이 입력된다. 당사는 "배송계획"에 의하여 "배송장"이 작성되면 상품을 청구처에게 배송한다. 당사(자사)가 "배송계획"에 "배송요청물량(포장갯수, 수량) 을 입력하고 "저장"을 클릭하면 당사의 재고수량은 감소되고 청구처의 재고목록에서는 해당 품목의 수량이 증가된다.
도 83은 차량별 품목적재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4는 품목추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5는 판매계획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6은 품목별 납품계획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7은 배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8은 상품거래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9는 상품수불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8 및 도 89를 참조하면, 상품거래장은 2종류(청구처원장과 하불처원장)으로 구분한다. 자사(당사)의 상품거래장은 1개이다. 자사에서 생성되는 1개의 상품거래장에 대하여 검색조건에 따라 각각 "원장"이 조회된다.
상품거래장에서도 물품거래장에서와 마찬가지로 4종류전표를 각각 추가작성하려면 (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출금전표)에서 클릭하면 된다. 정산일자는 B/L정산표의 "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를 선택한 후 "저장"을 클릭한 날짜이다. B/L과 관련없는 전표는 발생일자(전표를 만든 날짜), 전표를 정정하는 경우에는 전표정정일자이다. 화주, 청구처, 입항일자, 선명은 B/L정산표의 데이터값이 표시된다. 거래일자는 관세는 수입면장의 통관일자(수입신고 수리일자), 통관료는 수입면장의 통관일자(수입신고 수리일자), 운송료는 운송장 및 배차표의 출고일자(상차일자), D/O료는 D/O발급일자, 창고료는 보세창고 반출일자(출고일자), 하역료는 보세장치장에 입고한 날, 검역료는 검역완료일, 상품매출은 매출일자가 기록된다. 품목, 모델은 전표에서 작성된 데이터값이 표시된다.
참조번호는 물류거래의 경우(B/L정산표의 화물형태가 FCL, LCL, Bulk, ETC로 선택된 경우)로 계정과목이 매출운송료인 경우는 "배차번호"가 자동입력되고, 계정과목이 매출통관료인 경우는 "수입면장번호"가 자동생성된다. 나머지 매출종류는 자사의 사정에 알맞은 참조번호를 설정하여 전표작성화면에서 수작업으로 입력한다. 상품거래의 경우(B/L정산표의 화물형태가 bulk로 선택된 경우)는 계정과목과 관계없이 매출전표/매입전표에서 부여된 배송번호가 표시된다.
적요는 4종류의 전표(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출금전표)를 수정하는 경우에 있어 "매출전표의 수정정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입력된다. 입금액은 청구처로부터 받는 전도금, 하불처에게 지급할 매입액과 하불처가 대신 지출한 대납금이고, 출금액은 하불처에게 지급한 하불금, 청구처로부터 받을 매출액과 당사가대신 지출한 대납금이다. 잔액은 (-)잔액은 거래처로부터 받을돈(미수금)이고, (+)잔액은 줄돈(미지급금)이다. 장부출력은 상품거래장의 장부필드는 A4용지의 세로양식으로 출력하기에는 필드가 너무 많으므로 출력하는 장부에 꼭 필요한 필드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표열람은 상품거래장에서 해당 전표의 상세내역을 열람하고자 할 때는 당해 전표종류를 클릭한다. B/L과 관련없는 전표는 이곳에서 데 이터수정이 가능하다. 장부필드는 상품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 및 화주원장의 필드명은 모두 동일하다. 검색조건에서 설정하는 조건에 따라 5종류의 원장(영업팀원장, 담당자원장, 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 화주원장)이 표시된다. 일일마감은 당일에 처리되는 장부를 퇴근할 때 일일마감하는 경우 당일에 처리한 전체의 전표를 표시하고 출력하고자 한다면 검색조건에서 "영업팀"란에 "전체"를 선택하고 "장부출력"하면 된다. 작업화면조회는 4종류전표의 상세내역 조회는 해당하는 "전표"를 클릭한다.
이하, 세금계산서, 거래명세표, 매출장/매입장, 거래장잔액표, 전표수정내역은 물류거래장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품수불장은 상품의 입고내역과 출고내역을 집계하기 위함이다. 검색조건은 품목, 모델, 규격, 타입 : 품목등록시 등록된 사항을 선택한다. 전표는 2종류(매입전표, 매출전표)에서 선택하며, 이는 입고현황과 출고현황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입고현황은 매입전표의 거래일자, 입고수량, 매입액이 표시된다. 출고현황은 매출전표의 거래일자, 출고수량, 매출액이 표시된다. 재고량은 출고수량이 공제된 재고량이 표시된다.
도 90은 일계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0을 참조하면, 일계장은 물류거래장이 거래처에 귀속된 물류비용의 사용내역이고 상품거래장이 상품거래의 입출고장부이라면 일계장은 당사(자사)에 귀속된 운영자금의 사용내역이다. 일계장에 입금되는 돈은 물류거래에 있어 B/L정산표 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매출이익(매출액과 매입액의 차액)을 비롯하여 기타 차입금, 이자수익, 잡수익 등이 있으며 상품거래에서 발생하는 매출이익(매입전표와 매출전표의 차액) 등이 있다. 일계장에서 출금되는 돈은 일반관리비(인건비, 가지급금, 회사운영비 등)가 있다.
일계장의 항목은 정산일자, 거래일자, 계정과목, 입금액, 출금액이 포함된다. 정산일자는 B/L정산표의 "정산여부"에서 "정산완료"를 선택한 후 "저장"을 클릭한 날짜이다. B/L과 관련없는 전표는 작성하고 "저장한 날짜이며, 전표를 정정하는 경우에는 전표정정일자이다. 거래일자는 관세는 수입면장의 통관일자(수입신고 수리일자), 통관료는 수입면장의 통관일자(수입신고 수리일자), 운송료는 운송장 및 배차표의 출고일자(상차일자), D/O료는 D/O발급일자, 창고료는 보세창고 반출일자(출고일자), 하역료는 보세장치장에 입고한 날, 검역료는 검역완료일, 상품매출는 매출일자가 기록된다.
계정과목, 참조번호, 적요는 거래장과 같은 방법이다. 입금액은 매출이익(매출액과 매입액의 차액으로 부가세 포함된 금액), 이자수익, 잡수익, 간이수익 등이 기록된다. 출금액은 일반관리비(인건비, 가지급금, 회사운영비 등 부가세 포함된 금액)를 포함한다.
도 91은 임의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1을 참조하면, 임의장부는 본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지정장부(거래처원장, 상품거래장, 일계장)을 제외하고 단순하고 포괄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용도장부 이다. 예를들어, 임의장부는 대여금장부, 퇴직금장부, 부가세적립금장부, 어음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장부 필드명은 8종류(거래일자, 전표종류, 계정과목, 거래처, 적요, 입금액, 출금액, 잔액)로 구성된다.
계정과목등록은 등록하는 임의장부별로 "계정과목등록표"에서 계정과목을 등록한다
도 92는 추정손익집계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2를 참조하면, 추정손익집계표는 자사(당사)의 경영성과가 표시된 서식이다. 수익은 청구처별로 매출이익(일계장의 중분류계정과목)이 많이 발생한 업체순으로 자동표시된다. 기타청구처는 1순위~108순위까지의 순위에 들지 못한 업체의 매출이익 합산금액이 자동표시된다. 일계장에 표시된 매출이익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금액이므로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매출이익"이 산출되어야 한다.
기타수익에서 "장기미거래"로 인하여 거래장의 잔액을 마감처분하는 경우 일계장에서 "마감수익"계정과목의 금액이 자동표시된다. 또한, 기타수익에서는 일계장에서 "마감수익"을 제외한 "기타수익"이 자동표시된다. 부가세공제후 수익총액은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매출이익의 총액이 산출된다.
비용은 회사의 일반관리비를 편의상 3종류(인건비, 가지급금, 회사운영비)로 구분하여 일계장에서 임의로 설정한 "사용자계정과목"에 따라 자동표시된다. 일계장에 표시된 비용의 일반관리비의 계정과목은 부가가치세가 없는 금액이 대부분이 다.
기타비용은 부가납세액, 마감손실, 기타손실을 포함한다. 부가세납세액은 분기별로 회계사무소가 산출한 납세액고지서에 의하여 세무서에 납부하는 세금이다. 마감손실은 "장기미거래"로 인하여 거래장의 잔액을 마감처분하는 경우 일계장에서 "마감손실"계정과목의 금액이 자동표시된다. 기타손실은 일계장에서 "마감손실"과 "부가가치세"납세액을 제외한 "기타손실"이 자동표시된다.
부가세공제후 비용총액은 일계장에 표시된 일반관리비의 계정과목은 부가가치세가 없는 금액이 대부분이므로 손익집계표에서는 편의상 부가가치세 포함여부를 무시하고 산출되도록 하였다.
도 93은 시재관리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3을 참조하면, 시재관리표는 거래처원장과 일계장의 장부잔액에 대하여 장부시재와 통장시재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청구처원장잔액은 "물류거래장"과 "상품거래장"의 합산잔액이다. 받을돈(-잔액)은 자사등록시 등록된 영업팀장별로 "미수금현황"이 나타난다. 영업팀장을 클릭하면 "청구처 리스트"가 나타난다. 청구처명을 클릭하면 "정산일자 리스트"가 나타나면서 중앙상단에 청구처의 "결제기간"이 표시된다. 정산일자를 클릭하면 정산일자에 정산하였던 "화주명 리스트"가 나타나며, 당해 화주정산건에 대하여 정산전도금을 받을어음으로 받은 경우에는 "포장갯수"란에 "받을어음"이라 표시된다. 결제기간이 경과한 정산건에 대하여 청구처에게 입금독촉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기간의 미수금내역을 출력하여 청구처에게 입금요청할 수 있다. "펼치기(줄이기)"버튼 : 모든 청구처의 리스트를 펼쳐보고자 할 때는 "펼치기"버튼을 클릭하면 되고 다시한번 클릭하면 "줄이기"로 되돌아간다.
남은돈(+잔액)은 먼저 영업팀장별로 현황이 나타난다. 영업팀장을 클릭하면 "청구처 리스트"가 나타난다. "남은돈"에 대하여 청구처로부터 환불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송금처리하여 잔액을 정리한다. 남은돈(+잔액) 송금처리는 B/L정산표에서 "정산완료" 후 정산전도금의 남은돈을 송금하는 방법은 9.청구처입출금의 "⑥남은돈송금액"란에 "남은돈"의 금액을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재관리표에서 간편하게 송금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청구처원장 잔액의 "남은돈(+잔액)"에서 "청구처명"을 클릭하면 송금처리(팝업창)의 화면이 열리는데 "예"를 클릭하면 "남은돈"이 B/L정산표의 "⑥남은돈송금액"란에 자동으로 입력되어 처리된다.
하불처원장잔액은 "물류거래장"과 "상품거래장"의 합산잔액이다. 미지급금(+잔액)은 자사등록시 등록된 영업팀장별로 "미지급금현황"이 나타난다. 영업팀장을 클릭하면 "하불처 리스트"가 나타난다. 하불처명을 클릭하면 "정산일자 리스트"가 나타나면서 중앙상단에 청구처의 "결제기간"이 표시된다. 정산일자를 클릭하면 정산일자에 정산하였던 "화주명 리스트"가 나타나며, 당해 화주정산건에 대하여 정산하불금을 지급어음으로 지불한 경우에는 "포장갯수"란에 "지급어음"이라 표시된다. 결제기간이 경과한 정산건에 대하여 하불처에게 송금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의 미지급금내역을 출력하여 "화주명"별로 인터넷뱅킹하여 송금처리하면 된다. 초과금(-잔액)은 먼저 영업팀장별로 현황이 나타난다. 영업팀장을 클릭하면 "하불처 리스트"가 나타난다. "초과금(하불처에게 선지급한 물류비용의 정산잔액)"에 대하여 하불처에게 환불요청하여 정산잔액을 회수한다.
정산하불금 송금처리는 B/L정산표에서 "정산완료" 후 정산하불금을 하불처에게 송금하는 방법은 11.하불처입출금의 "⑪송금액"란에 "정산하불금"의 금액을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재관리표에서 간편하게 송금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하불처원장 잔액의 "미지급금(+잔액)"에서 "화주명"을 클릭하면 송금처리(팝업창)의 화면이 열리는데 "예"를 클릭하면 "정산하불금"이 B/L정산표의 "⑪송금액"란에 자동으로 입력되어 처리된다.
임의장부는 자사의 장부시스템에 따라 임의로 만든 장부의 잔액이 자동표시된다.
일계장에서 유동자산, 유동부채는 일계장에서 사용자계정(임의계정)에 의하여 계산되는 잔액이다. 주요매출익은 매출이익(중분류)의 8종류(소분류)매출익 중에서 품목등록시 제일먼저 등록하는 "주요매출"에 대한 매출이익이 표시된다. 예를들어 운송매출은 운송매출익, 통관매출은 통관매출익이 집계되어 표시된다. 기타매출익은 8종류(소분류)매출익 중에서 주요매출익을 제외한 나머지매출에 대한 매출이익이 집계되어 표시된다. 기타수익은 사용자계정(임의계정)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익(기타수익이라 하였음)이 집계되어 표시된다. 마감수익은 거래가 중단되어 장기간동안 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에 남아있는 잔액중에서 (+잔액)을 일계장에 입금전표로 처리된 마감수익이 집계되어 표시된다. 일반관리비(인건비, 가지급금, 회사운영비)는 사용자계정(임의계정)에 의하여 발생되는 일반관리비가 집 계되어 각각 표시된다. 마감손실은 거래가 중단되어 장기간동안 거래장(청구처원장, 하불처원장)에 남아있는 잔액중에서 (-잔액)을 일계장에 출금전표로 처리된 마감손실이 집계되어 표시된다. 일계장 잔액은 자사부채합계(=유동부채-유동자산)와 장부순이익(=수익-비용)을 합산한 금액이 일계장잔액이다. 그리고 장부순이익은 "손익집계표"에서 표시된 당기순이익과 같다. 통장잔액은 거래은행의 잔액을 입력한다.
시재차액은 일계마감시 장부잔액과 통장잔액은 항상 일치하여야 한다. 시재차액은 전표작성오류 또는 입출금오류로 인하여 발생한다. 전표오류 또는 입출금오류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재차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금과부족"의 계과목으로 정리한다. 따라서 시재차액은 항상 "0"가 되어야 한다.
도 94는 운송거래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5는 장기미거래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96은 장기미거래업체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5 및 도 96을 참조하면, 장기미거래현황은 거래관계가 종료되면 거래장의 잔액을 처분하고 "업체목록"에서 "장기미거래업체"로 전환하여야 한다. 검색조건은 영업팀장, 청구처, 하불처 : 각각 해당하는 검색조건을 선택한다. 최종정산일은 당해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와 마지막으로 거래하였던 B/L정산표의 정산일자이다. 물류거래에서 최종정산일이 보통 3개월이전이면 "장기미거래업체"로 전환함 이 바람직할 것이다. 정산잔액이 없는 "0"의 업체도 검색에 포함된다.
정산잔액은 B/L정산표에서 최종정산일의 정산잔액이 표시된다. 잔액처분방법은 "거래처명"을 클릭한 후 팝업창(장기미거래잔액 전표처리)에서 거래종결의 마감처리를 한다. 거래종결의 마감처리를 하면 2종류장부(거래장, 일계장)에서 동시에 마감전표가 작성되는데 거래장(청구처원장,하불처원장)에서는 "거래마감"의 전표가 생성되고 일계장에서는 "마감수익/마감손실"의 전표가 생성된다. (-)잔액은 거래장에서 "거래마감"의 계정과목으로 입금전표가 작성됨과 동시에 일계장에서는 "마감손실"의 계정과목으로 "출금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잔액은 거래장에서 "거래마감"의 계정과목으로 출금전표가 작성됨과 동시에 일계장에서는 "마감수익"의 계정과목으로 "입금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장기미거래현황"에서 잔액처분이 되면 당해 업체는 "업체목록"에서 "장기미거래업체목록"으로 이동된다.
장기미거래업체목록은 거래관계가 종료되어 "장기미거래현황"에서 잔액처분되어 이동한 "업체목록"이다. 검색조건은 영업팀장, 청구처, 하불처 : 각각 해당하는 검색조건을 선택한다. 최종정산일은 당해 거래처(청구처, 하불처)와 마지막으로 거래하였던 B/L정산표의 정산일자이다. 정산잔액은 B/L정산표에서 최종정산일의 정산잔액이다. 마감잔액의 전표복원은 장기간동안 거래가 중단되었다가 다시 거래가 시작된 경우에는 "장기미거래업체목록"에서 거래처명(청구처,하불처)을 클릭하여 "마감잔액의 전표복원"을 하면 거래장에 다시 복원된다. ㉯ (-)잔액은 거래장에서 "거래마감"의 계정과목으로 출금전표가 작성됨과 동시에 일계장에서는 "마감손실"의 계정과목(반대계정)으로 "입금전표"가 자동으로 작성된다. (+)잔액은 거래장에서 "거래마감"의 계정과목으로 입금전표가 작성됨과 동시에 일계장에서는 "마감수익"의 계정과목(반대계정)으로 "출금전표"가 작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거래처의 선하증권 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의 일례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
도 2는 자사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사원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사원환경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수출입상품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상품단가표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계정과목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물류비용 요율표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업체목록의 출력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업체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통관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수출선적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선사화체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수입DO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운송료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하역료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창고료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CY비용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검역료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기타요금 요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업체실무자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거래처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해외거래처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4는 해외거래처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5는 차량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6은 차량정보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7은 FCL입출고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8은 콘테이너정보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LCL입출고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0은 수출재고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1은 수입재고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2는 FCL운송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3은 수출B/L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4는 콘솔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5는 수출적하목록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6은 수출BL정산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7은 FCL선적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8은 수출 FCL배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9는 수출 FCL운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0은 SMS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1은 콘솔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2는 M.BL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3은 수출선적료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4는 수출하역료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5는 수출창고료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6은 수출CY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7은 수출검역료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8은 예상자금청구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9는 물류비용정산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0은 수입BL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1은 수입적하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2는 수입BL정산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3은 FCL입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4는 수입FCL운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5는 수입FCL배차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6은 FCL배차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7은 자가운송신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8은 보세운송요청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9는 M.DO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0은 물류거래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1은 물류매출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2는 물류매입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3은 매출전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4는 입금전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5는 계정과목 명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6은 전표수정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7은 거래명세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8은 세금계산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9는 일괄정산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0은 원장잔액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1은 정산하불금송금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2는 정산전도금입금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3은 자사원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4는 주문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5는 판매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6은 재고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7은 주문계획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8은 PD(주문)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9는 수출선적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0은 주문서(Purchase Order)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1은 송품장(Invoice)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2는 적재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3은 차량별 품목적재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4는 품목추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5는 판매계획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6은 품목별 납품계획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7은 배송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8은 상품거래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9는 상품수불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0은 일계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1은 임의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2는 추정손익집계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3은 시재관리표의 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4는 운송거래내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5는 장기미거래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6은 장기미거래업체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Claims (5)

  1. 국제무역거래에서 항공사 또는 선박회사가 선적국의 판매자로부터 수출입상품의 선적의뢰를 받아 수입국의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국제운송증권의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과 선적국의 판매자가 수입국의 구매자에게 발행하는 송품장(Invoice)를 포함하는 선적서류;
    선적국의 판매자와 수입국의 구매자를 포함하는 수출입화주를 위하여 물류업무를 처리하는 항공사, 선박회사, 포워더, 화물운송사, 운송주선업자, 통관사, 하역업자, 컨테이너야드(CY) 업자, 창고업자, 검역회사, 보험회사, 검수회사 및 화물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류업체들에 의해 형성되는 물류공급망;
    상기 수출입화주 및 상기 물류공급망의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선적서류와 물류비용을 자사에게 제공하여 상기 물류업무를 위탁하는 청구처, 상기 자사로부터 상기 물류업무를 하청받아 처리하고 상기 물류비용을 정산하여 업무처리정보와 거래전표를 상기 자사에 제공하는 하불처로 구성되는 다중거래처에 대하여;
    상기 업무처리단계에서 상기 물류업체들 중 회원으로 가입된 회원사의 상기 물류업무 처리 및 상기 물류비용 정산업무를 위해 웹장부 형태의 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원사들이 구비하는 복수의 회원사 단말;
    상기 회원사 단말들과 데이터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원사 단말에 의해 상기 회원업체로부터 입력되고, 자사정보, 사원정보, 물류비용요율표정보, 수출입상품정보, 계정과목정보 및 업체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기초정보, 상기 선적국의 선복예약정보, 화물선적수량, 선박 또는 항공기의 운송수단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선적정보 및 수입국의 보세구역정보, 화물이동경로, 화물의 반출입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입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엘(B/L)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적서류의 정보, 상기 물류업무처리에 따른 상기 회원사들 각각의 비엘(B/L)정산내역, 장부협조관계, 세금계산서 적용 기준, 입출금현황 및 물류비용정산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출 비엘(B/L)정산표 또는 수입 비엘(B/L)정산표를 생성하여,
    상기 자사등록정보 및 상기 사원정보등록에 따라 로그인 된 회원사 단말에 상기 비엘(B/L)정산표 또는 수입 비엘(B/L)정산표를 제공하는 물류비용정산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엘(B/L)정산내역은
    상기 자사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수출입화주 또는 상기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상기 물류비용의 자사매출액과,
    상기 하불처 또는 상기 물류업무에 관계된 제3자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수출입화주 또는 상기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타사비용의 정산전도금;
    상기 하불처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자사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물류비용의 자사매입액과,
    상기 제3자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에서 상기 수출입화주 또는 상기 청구처를 공급받는자로 하는 타사비용의 정산하불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비용정산시스템은
    상기 물류비용요율표에서 등록한 물류비용단가에 따라 상기 비엘(B/L) 정산내역에서 상기 화물선적수량에 대한 자사매출액의 매출전표와, 상기 자사가 대납하는 상기 타사비용의 출금전표를 생성하고, 상기 정산전도금을 산출하여 청구처원장을 생성하고;
    상기 하불처에 의해 작성된 품목별 매출전표 및 출금전표를 자사가 인용하면 상기 자사의 비엘(B/L)정산내역에서 상기 화물선적수량에 대한 자사매입액의 매입전표와, 상기 하불처가 대납하는 상기 타사비용의 입금전표로 생성하고, 상기 정산하불금을 산출하여 하불처원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부협조관계는
    상기 자사등록정보 또는 상기 업체등록정보에서
    상기 자사와 상기 거래처의 상호 간에 상기 물류업무처리의 정보 및 비엘(B/L)정산내역에서 생성된 매출전표, 출금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로 구성되는 거래전표를 제공 또는 인용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거래전표 이용 승인여부를 설정하는 상기 장부협조관계의 설정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비용정산시스템은
    상기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청구처로부터 상기 자사로 상기 비엘(B/L)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청구처에서 작성된 상기 자사에 대한 상기 하불처원장 또는 상기 하불처에서 작성된 상기 자사에 대한 상기 청구처원장을 열람하거나,
    상기 자사의 상기 거래전표를 상기 청구처에 제공하거나,
    상기 하불처의 상기 거래전표를 인용하여 상기 비엘(B/L)정산내역의 상기 정산하불금으로 내려받기 하거나,
    상기 수출입상품의 재고목록을 상품매출처 또는 상기 하불처에게 열람하게 하거나,
    상기 수출입화주의 상기 송품장을 상기 하불처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거래처의 비엘(B/L)정산업무 통합처리 시스템.
KR1020090079111A 2008-08-26 2009-08-26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KR201000249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3531 2008-08-26
KR1020080083531 2008-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907A true KR20100024907A (ko) 2010-03-08

Family

ID=4217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111A KR20100024907A (ko) 2008-08-26 2009-08-26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90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62B1 (ko) * 2013-09-02 2015-05-21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반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납 서비스 방법
KR101527904B1 (ko) * 2013-05-23 2015-06-11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CN111192096A (zh) * 2019-12-25 2020-05-22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多联电子发票管理方法、装置、可读介质及电子设备
US20200389483A1 (en) * 2016-09-23 2020-12-10 OPSWAT, Inc. Computer security vulnerability assessment
WO2023014845A1 (en) * 2021-08-03 2023-02-09 Covalency, Inc.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goods with precise handling requirements
KR102525625B1 (ko) * 2022-12-01 2023-04-26 주식회사 에프엔에이치 사용자를 위한 정산 처리 시스템 제공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04B1 (ko) * 2013-05-23 2015-06-11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KR101521962B1 (ko) * 2013-09-02 2015-05-21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반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납 서비스 방법
US20200389483A1 (en) * 2016-09-23 2020-12-10 OPSWAT, Inc. Computer security vulnerability assessment
US11522901B2 (en) * 2016-09-23 2022-12-06 OPSWAT, Inc. Computer security vulnerability assessment
CN111192096A (zh) * 2019-12-25 2020-05-22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多联电子发票管理方法、装置、可读介质及电子设备
CN111192096B (zh) * 2019-12-25 2023-11-21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多联电子发票管理方法、装置、可读介质及电子设备
WO2023014845A1 (en) * 2021-08-03 2023-02-09 Covalency, Inc.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goods with precise handling requirements
KR102525625B1 (ko) * 2022-12-01 2023-04-26 주식회사 에프엔에이치 사용자를 위한 정산 처리 시스템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6493A (e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order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US7058596B1 (e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order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
US8924269B2 (en) Consistent set of interfaces derived from a business object model
US6868401B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to facilitate the commercial support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buying and selling of commodity products
Banerjee Cost accounting: Theory and practice
JP2007507800A (ja) 販売者支援自動支払処理と例外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10097731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KR20100024907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Murray et al. Materials Management with SAP ERP: Functionality and Technical Configuration
KR20180072651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Chudy et al. Sales and distribution in SAP ERP: Practical guide
Bragg Just-in-time accounting: How to decrease costs and increase efficiency
CN113177721A (zh) 一种分销管理系统
Hinkelman et al. A short course in international trade documentation: the documents of exporting, importing, transportation and banking
Luszczak et al. Purchase Management
Luszczak Sales and Distribution
Pandey Cost accounting
Lock Controlling purchasing
Edjigu et al. Trade Finance in Ethiopia: Exploring the Challenges and Possible Solutions1
Gusso Optimization of administrative processes in beer export: a case study
JP2002073760A (ja) 貿易統合システム
Degtyareva International Trade Purchase and Sale Transactions
Kipyatkov Accounting for the output and sales of finished products
MALIK A Comparative Study of Public Procurement Systems and Policies in Selected Electricity Generation and Distribution Utilit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e-Procurement
Branch Processing the export 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