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904B1 -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904B1
KR101527904B1 KR1020130058412A KR20130058412A KR101527904B1 KR 101527904 B1 KR101527904 B1 KR 101527904B1 KR 1020130058412 A KR1020130058412 A KR 1020130058412A KR 20130058412 A KR20130058412 A KR 20130058412A KR 101527904 B1 KR101527904 B1 KR 10152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formation
terminal
carry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410A (ko
Inventor
양귀선
이정신
이명학
마홍모
오영배
정태용
강태중
이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4591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790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넷
Priority to KR102013005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90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은,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정보(선사 정보, D/O 번호, B/L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기한,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는 단계,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및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통해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 및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SERVER FOR MANAGING GATE OUT CONTAINER AND METHOD FOR SERVING GATE OUT CONTAI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테이너 반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에 장치된 컨테이너를 반출할 때 해당 컨테이너의 무료 장치 기간(Free Time)을 초과한 일수를 계산하여 부과금을 물리는 것을 디머리지(Demurrage)라고 한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반출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반출 업무에는 선사(10), 터미널(20), 화주(30), 및 운송사(40)가 물류 업무 주체로 포함된다.
여기서, 화주(30)가 선사(10)로 화물 인도 지시서(Delivery Order : D/O)의 발급을 요청하면(①), 선사(10)가 화주(30)로 화물 인도 지시서(D/O)를 발급하고(②), 터미널(20)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전달한다(③). 다음으로, 화주(30)가 운송사(40)로 화물 인도 지시서(D/O)에 따른 화물 운송 지시를 내리면(④), 운송사(40)는 터미널(20)에서 해당 컨테이너를 반출한 후(⑤), 해당 컨테이너를 화주(30)에게 전달한다(⑥). 다음으로, 터미널(20)은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확인하여 반출 기한을 초과한 일수에 대한 디머리지를 선사(10)에게 청구한다(⑦). 그러면, 선사(10)는 해당 디머리지를 화주(30) 또는 운송사(40)에게 청구하여 비용 정산을 하게 된다(⑧).
종래의 컨테이너 반출 처리 방법에 의하면, 디머리지 비용 정산이 운송사(40)가 터미널(20)에서 컨테이너를 반출한 이후에 선사(10), 터미널(20), 화주(30), 및 운송사(40) 간에 사후 정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용 정산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디머리지 처리 방법은 선사(10), 터미널(20), 화주(30), 및 운송사(40) 간에 서류들이 팩스 또는 우편 등으로 전달되어 번거로움이 있고, 서류 전달의 누락 및 지연이 발생하여 업무 처리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각 선사(10)들이 소정 터미널(20)에 대해서는 소정 운송사(40)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여 컨테이너를 반출하였다. 이때, 터미널(20)은 선사(10)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한 운송사(40)에게만 해당 컨테이너에 대한 반출을 허용하였다. 즉, 터미널(20)은 각 선사(10)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한 운송사(40)(즉, 독점 운송사)들의 아이디를 등록한 후, 해당 선사(10)의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등록된 운송사 아이디로 접속한 운송사(40)에게만 컨테이너 반출을 허용하였다.
이때, 선사(10) 또는 화주(30)가 소정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터미널(20)에 등록되지 않은 다른 운송사(즉, 선사(10)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를 이용하여 반출하려고 하는 경우, 해당 운송사의 아이디를 터미널(20)에 등록하였다가 컨테이너를 반출한 후에는 삭제하는 과정을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를 이용하여 반출하려고 하는 각 컨테이너마다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소정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다른 운송사(즉, 자가 운송사)를 이용하여 반출한다고 하는 사실을 각 컨테이너 반출 업무 주체들(즉, 선사(10), 화주(30), 및 터미널(20))이 항상 공유하고 있어야 하는 바,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반출할 때 마다 이러한 사실을 각 컨테이너 반출 업무 주체들이 상호 통보하여 해당 사실을 공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테이너 반출에 따른 디머리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독점 운송사가 아닌 다른 운송사들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반출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은,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정보(선사 정보, D/O 번호, B/L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기한,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통해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 및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은,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및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통해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 및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는,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정보(선사 정보, D/O 번호, B/L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기한,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고,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송사 확인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과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비교하는 반출 기한 비교부;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하는 운송사 정보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는,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 및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고,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하는 반출 기한 산출부;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송사 확인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과 산출한 상기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비교하는 반출 기한 비교부;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하는 운송사 정보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의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와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비교하여 검증함으로써, 디머리지 비용이 사전에 정산된 컨테이너에 대해서만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의 반출과 관련된 사항들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각 물류 주체들 간에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고 컨테이너 반출 업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사 또는 화주와 개별 운송 계약을 체결한 자가 운송사의 경우,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 및 컨테이너 반출 인증 과정을 통해 해당 운송사에 대해 인증을 거친 후,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할 때 해당 운송사의 아이디를 해당 선사의 대표 아이디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소정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도 해당 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자유롭게 반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선사 또는 화주가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반출하려고 할 때, 해당 운송사의 아이디를 터미널에 등록하였다가 컨테이너를 반출한 후에는 삭제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를 통해 각 컨테이너 반출 업무 주체들이 정보를 공유하게 되므로, 선사 또는 화주가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반출하려고 할 때, 해당 사실을 각 컨테이너 반출 업무 주체들이 상호 통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컨테이너 반출 기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자동 산출하여 컨테이너 반출 기한을 비교 검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물 인도 지시서(D/O)가 발급되기 이전에도 컨테이너를 해당 터미널에서 반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디머리지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컨테이너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선사 단말기(104)가 전송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및 운송사가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한 독점 운송사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시스템(100)은 화주 단말기(102), 선사 단말기(104), 운송사 단말기(106), 터미널 단말기(108), 및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를 포함한다. 화주 단말기(102), 선사 단말기(104), 운송사 단말기(106), 터미널 단말기(108), 및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다양한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이더넷, 인트라넷 등)를 통해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주 단말기(102)가 화물 인도 지시서(Delivery Order : D/O)의 발급 요청을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을 해당 선사 단말기(104)로 전송한다(①). 여기서,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에는 예를 들어, B/L(Bill of Lading : 선하증권) 번호, 선사 정보, 화주 정보, 화물 입금 정보(예를 들어, 입금자, 입금 은행, 입금 계좌 번호, 입금액, 송금 일자 등), 희망 발급일, 발급 요청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선사 단말기(104)가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승인을 수입 디머지리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승인을 화주 단말기(102)로 전송한다(②). 이때, 선사는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에 포함된 화물 입금 정보를 확인한 후, 선사 단말기(104)를 통해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승인을 수입 디머지리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화물 인도 지시서(D/O)에는 D/O 번호, B/L(Bill of Lading : 선하증권)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터미널 정보, 선사 정보, 적하항(Port of Loading) 정보, 양륙항(Port of Discharge)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화주 단말기(102)는 발급 승인받은 화물 인도 지시서(D/O)를 토대로 해당 컨테이너의 화물 인도 지시 요청을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사 단말기(106)는 선사와 해당 터미널에 대해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한 독점 운송사의 단말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선사 단말기(104)가 화물 인도 지시서(D/O)에 대응되는 컨테이너의 반출을 위해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③).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는 해당 컨테이너에 대한 반출 정보(예를 들어, 선사 정보, D/O 번호, B/L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기한, 터미널 정보 등)가 포함된다.
선사 단말기(104)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예를 들어,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 문서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사 단말기(104)는 예를 들어, UDF(User Defined Format), ebXML(electronic 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PDF(Portable Document Format) 등 그 이외의 다른 전자 문서 형태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전송할 수도 있다.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데이터 변환 한 후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선사 단말기(104)가 별도의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계 ②에서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승인에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반출 정보가 모두 포함된다면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승인으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대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④).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포함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터미널의 터미널 단말기(108)로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EDI 전자 문서 형태(또는 UDF, ebXML, XML, PDF 등의 전자 문서 형태)로 터미널 단말기(108)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화주 단말기(102) 및 운송사 단말기(106)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송사 단말기(106)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⑤). 즉, 운송사 단말기(106)는 화주 단말기(102)로부터 화물 인도 지시 요청을 받은 컨테이너에 대해, 해당 컨테이너를 해당 터미널에서 반출하기 전에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 해당 운송사가 독점 운송사인 경우, 컨테이너 반출 예약 및 인증 과정 없이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바로 전송하게 된다. 반면, 해당 운송사가 자가 운송사인 경우는 후술하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컨테이너 반출 예약 및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는 예를 들어, 운송사 정보(예를 들어, 운송사 아이디), D/O 번호, B/L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터미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및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⑥).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운송사가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인지 여부 및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가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⑥ 단계에서, 해당 운송사가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이고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여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해당 터미널의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⑦). 이 경우, 해당 운송사(즉, 독점 운송사)가 터미널에서 해당 컨테이너를 반출한 후 화주에게 전달해주게 된다.
상기 ⑥ 단계에서, 해당 운송사가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가 아니거나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라도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초과된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지 않고 운송사 단말기(106)로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를 전송한다(⑧). 즉,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해당 터미널의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하지 않고, 운송사 단말기(106)로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는 운송사 오류 정보 또는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반출 기한 오류 정보에는 반출 기한 초과 정보(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일자가 지정된 반출 기한 보다 얼마나 초과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부터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컨테이너 반출 기한 초과의 귀책 사유가 누구에게 있는지에 따라 화주 단말기(102) 또는 운송사 단말기(106)가 선사 단말기(104)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을 정산하게 된다(⑨).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이 정산된 경우, 선사 단말기(104)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소정 기간 연장한다는 내용의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을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⑩). 이때, 선사 단말기(104)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소정 기간 연장하여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갱신하고, 갱신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갱신하고,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갱신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⑪).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소정 기간 연장되었다는 내용의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정보를 화주 단말기(102) 및 운송사 단말기(106)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송사 단말기(106)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다시 전송하며(⑫),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와 해당 컨테이너의 갱신된 반출 기한을 다시 비교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⑬). 여기서, 단계 ⑬의 결정 결과에 따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하거나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를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부터 운송사 오류 정보가 전송된 경우, 운송사는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여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에 독점 운송사로 등록하거나 선사 또는 화주와 자가 운송 계약을 체결하여 운송사 인증을 받아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는, 화주 단말기(102)가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를 통해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을 선사 단말기(104)로 전송하고, 선사 단말기(104)가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를 통해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인증을 화주 단말기(102)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주 단말기(102)가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을 선사 단말기(104)로 직접 전송하고, 선사 단말기(104)가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인증을 화주 단말기(102)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선사 단말기(104)가 전송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및 운송사가 선사 또는 화주와 개별 운송 계약을 체결한 자가 운송사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① 내지 ④의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운송사 단말기(106)가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전송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가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선사 단말기(104)로 전송한다(⑤). 운송사가 선사 또는 화주와 개별 운송 계약을 체결한 자가 운송사인 경우, 상기 개별 운송 계약에 근거하여 선사로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에는 개별 운송 계약 정보(예를 들어, 선사 정보, 화주 정보, 컨테이너 정보, 터미널 정보, 운송사 정보, 운송 계약서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선사 단말기(104)가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에 대해 컨테이너 반출 인증을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에 대해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한 운송사를 인증된 운송사로 등록한다(⑥).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선사 정보 및 컨테이너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한 운송사의 운송사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운송사는 독점 운송사가 아닌 자가 운송사이므로,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하여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에 대한 인증을 받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운송사 단말기(106)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면(⑦),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및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⑧).
여기서, 해당 운송사가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이고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여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해당 터미널의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⑨). 이때, 해당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예를 들어, 해당 운송사의 아이디)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해당 선사에 부여된 선사 대표 아이디)로 변환하여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터미널은 각 선사에 대해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한 독점 운송사의 아이디뿐만 아니라 각 선사에 대해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각 선사의 대표 아이디)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중 운송사 정보가 기 저장된 독점 운송사 아이디 및 선사 대표 아이디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컨테이너를 반출해준다. 따라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운송사가 독점 운송사가 아닌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 경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중 운송사 아이디를 해당 선사의 대표 아이디로 변환하여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해준다. 그러면, 운송사가 독점 운송사가 아닌 경우에도 해당 운송사(즉, 인증된 자가 운송사)가 터미널에서 해당 컨테이너를 반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⑧ 단계에서, 해당 운송사가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가 아니거나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라도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초과된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지 않고 운송사 단말기(106)로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를 전송한다(⑩).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부터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컨테이너 반출 기한 초과의 귀책 사유가 누구에게 있는지에 따라 화주 단말기(102) 또는 운송사 단말기(106)가 선사 단말기(104)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을 정산하게 된다(⑪).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이 정산된 경우, 선사 단말기(104)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소정 기간 연장한다는 내용의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을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⑫).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갱신하고,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갱신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⑬).
다음으로, 운송사 단말기(106)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다시 전송하며(⑭),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와 해당 컨테이너의 갱신된 반출 기한을 다시 비교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⑮). 여기서, 단계 ⑮의 결정 결과에 따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하거나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를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의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와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비교하여 검증함으로써, 디머리지 비용이 사전에 정산된 컨테이너에 대해서만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의 반출과 관련된 사항들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각 물류 주체들 간에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고 컨테이너 반출 업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사 또는 화주와 개별 운송 계약을 체결한 자가 운송사의 경우,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 및 컨테이너 반출 인증 과정을 통해 해당 운송사에 대해 인증을 거친 후,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할 때 해당 운송사의 아이디를 해당 선사의 대표 아이디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소정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도 해당 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자유롭게 반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선사 또는 화주가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반출하려고 할 때, 해당 운송사의 아이디를 터미널에 등록하였다가 컨테이너를 반출한 후에는 삭제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를 통해 각 컨테이너 반출 업무 주체들이 정보를 공유하게 되므로, 선사 또는 화주가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운송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반출하려고 할 때, 해당 사실을 각 컨테이너 반출 업무 주체들이 상호 통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컨테이너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통해 해당 운송사가 해당 선사에 대한 독점 운송사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1).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각 선사들에 대해 소정 터미널과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한 운송사에 대한 독점 운송사 정보(예를 들어, 독점 운송사 아이디)를 미리 저장하고 있게 된다.
단계 S 101의 확인 결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전송한 운송사 단말기(106)의 운송사가 독점 운송사인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가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일자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3).
예를 들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와 대응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추출한 후,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가 추출한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D/O 번호 또는 B/L 번호 등을 통해 그와 대응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 103의 확인 결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일자를 초과하는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한다(S 105). 이때, 반출 기한 오류 정보에는 반출 기한 초과 정보(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일자가 지정된 반출 기한 보다 얼마나 초과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 103의 확인 결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일자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여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해당 터미널의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S 117).
단계 S 101의 확인 결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전송한 운송사 단말기(106)의 운송사가 독점 운송사가 아닌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7).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선사 또는 화주와 개별 운송 계약을 체결한 운송사의 운송사 단말기(106)가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를 통해 선사 단말기(104)로 전송하면, 선사 단말기(104)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컨테이너 반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선사 정보 및 컨테이너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한 운송사의 운송사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전송한 운송사 단말기(106)의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 107의 확인 결과, 해당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가 아닌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오류 정보를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한다(S 109). 이때, 운송사 단말기(106)의 운송사는 선사와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하여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에 독점 운송사로 등록하거나, 선사 또는 화주와 자가 운송 계약을 체결하여 운송사 인증을 받아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단계 S 107의 확인 결과, 해당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가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일자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1).
단계 S 111의 확인 결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일자를 초과하는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한다(S 105). 이때, 반출 기한 오류 정보에는 반출 기한 초과 정보(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일자가 지정된 반출 기한 보다 얼마나 초과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 111의 확인 결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일자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아이디를 해당 선사에 부여된 선사 대표 아이디로 변환한다(S 115).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아이디가 선사 대표 아이디로 변환된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S 117).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선사 단말기(104)가 전송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선사 단말기(104)가 사전에 신고한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자동으로 산출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선사 단말기(104)가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
여기서,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에는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가 포함된다.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는 1)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정 시 주말 포함 여부 정보(예를 들어, Working이면 주말을 제외하고 Calendar이면 주말을 포함시킴), 2) 프리 타임 정보(컨테이너 무료 보관 일수), 및 3) 입항 예정일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에는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 이외에 B/L 번호, 선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예를 들어, 드라이, 스페셜, 냉동 등), 터미널 정보, 적하목록 제출 번호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선사 단말기(104)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EDI, UDF, ebXML, XML, PDF 등의 전자 문서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주 단말기(102)가 화물 인도 지시서(Delivery Order : D/O)의 발급 요청을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을 해당 선사 단말기(104)로 전송한다(ⓑ). 여기서,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에는 예를 들어, B/L(Bill of Lading : 선하증권) 번호, 선사 정보, 화주 정보, 화물 입금 정보(예를 들어, 입금자, 입금 은행, 입금 계좌 번호, 입금액, 송금 일자 등), 희망 발급일, 발급 요청일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선사 단말기(104)가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승인을 수입 디머지리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승인을 화주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이때, 선사는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에 포함된 화물 입금 정보를 확인한 후, 선사 단말기(104)를 통해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승인을 수입 디머지리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화물 인도 지시서(D/O)에는 D/O 번호, B/L(Bill of Lading : 선하증권)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터미널 정보, 선주 정보, 적하항(Port of Loading) 정보, 양륙항(Port of Discharge)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화주 단말기(102)는 발급 승인받은 화물 인도 지시서(D/O)를 토대로 해당 컨테이너의 화물 인도 지시 요청을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사 단말기(104)가 화물 인도 지시서(D/O)에 대응되는 컨테이너의 반출을 위해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는 선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입항 예정일, 터미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선사 단말기(104)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EDI, UDF, ebXML, XML, PDF 등의 전자 문서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 및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의 컨테이너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와 매칭되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의 컨테이너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추출한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선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및 입항 예정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와 매칭되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추출한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의 컨테이너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즉,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정 시 주말 포함 여부 정보, 프리 타임 정보, 및 입항 예정일)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선사의 입항 예정일이 2013.03.28이고, 프리 타임(즉, 컨테이너 무료 보관 일수)이 3일이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정 시 주말이 포함된 경우,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은 2013.03.31이 된다. 그리고, 선사의 입항 예정일이 2013.03.28이고, 프리 타임(즉, 컨테이너 무료 보관 일수)이 3일이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정 시 주말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은 2013.04.02이 된다.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산출한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해당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포함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포함된 터미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터미널의 터미널 단말기(108)로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전송하게 된다.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EDI 전자 문서 형태(또는 UDF, ebXML, XML, PDF 등의 전자 문서 형태)로 터미널 단말기(108)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포함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화주 단말기(102) 및 운송사 단말기(106)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송사 단말기(106)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 즉, 운송사 단말기(106)는 화주 단말기(102)로부터 화물 인도 지시 요청을 받은 컨테이너에 대해, 해당 컨테이너를 해당 터미널에서 반출하기 전에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는 예를 들어, 운송사 정보, D/O 번호, B/L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터미널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때, 운송사 단말기(106)의 운송사가 독점 운송사인 경우, 운송사 단말기(106)는 컨테이너 반출 예약 및 인증 과정 없이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바로 전송하게 된다. 반면, 운송사 단말기(106)의 운송사가 개별 운송 계약을 체결한 자가 운송사인 경우, 운송사 단말기(106)는 컨테이너 반출 예약 및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및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받은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운송사가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인지 여부 및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 여부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가 산출한 컨테이너 반출 기한을 비교하여 확인하게 된다. 즉,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와 대응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추출한 후,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와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와 매칭된 컨테이너 반출 기한(즉,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에 의해 산출된 컨테이너 반출 기한)을 비교하게 된다.
상기 (ⓗ) 단계에서, 해당 운송사가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이고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여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해당 터미널의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
상기 (ⓗ) 단계에서, 해당 운송사가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가 아니거나 등록 또는 인증된 운송사라도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초과된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지 않고 운송사 단말기(106)로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는 운송사 오류 정보 또는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부터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컨테이너 반출 기한 초과의 귀책 사유가 누구에게 있는지에 따라 화주 단말기(102) 또는 운송사 단말기(106)가 선사 단말기(104)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을 정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이 정산된 경우, 선사 단말기(104)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소정 기간 연장한다는 내용의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을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때, 선사 단말기(104)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소정 기간 연장하여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갱신하고, 갱신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갱신하고,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갱신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한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소정 기간 연장되었다는 내용의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정보를 화주 단말기(102) 및 운송사 단말기(106)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송사 단말기(106)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로 다시 전송하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전송받은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일자와 해당 컨테이너의 갱신된 반출 기한을 다시 비교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단계 ⓞ의 결정 결과에 따라,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하거나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를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 및 발급 승인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 및 발급 승인이 없는 경우에도 해당 컨테이너를 반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선사의 컨테이너를 A 터미널에서 하선 장소인 B 터미널로 이동(이하, 화물 셔틀 이동이라 함)시켜야 하거나 A 터미널로 수입된 소정 선사의 컨테이너를 환적을 위해 B 터미널로 이동(이하, 화물 환적 이동이라 함)시켜야 하는 경우 등과 같이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 및 발급 승인이 없이도 컨테이너를 반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의 B/L 번호 또는 컨테이너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화물 인도 지시서(D/O) 발급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화물 인도 지시서(D/O)가 발급 되지 않은 경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의 환적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이 화물 환적 이동인지 아니면 화물 셔틀 이동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컨테이너 반출 허용 여부 결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컨테이너 반출 기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자동 산출하여 컨테이너 반출 기한을 비교 검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물 인도 지시서(D/O)가 발급되기 이전에도 컨테이너를 해당 터미널에서 반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는 통신부(121), 전자 문서 처리부(123), 운송사 확인부(125), 반출 기한 비교부(127), 운송사 정보 변환부(129), 반출 기한 산출부(131), 및 데이터베이스(133)를 포함한다.
통신부(121)는 화주 단말기(102), 선사 단말기(104), 운송사 단말기(106), 및 터미널 단말기(108)와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1)는 화주 단말기(102)로부터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요청을 수신하여 선사 단말기(104)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화물 인도 지시서(D/O)의 발급 승인을 수신하여 화주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또는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문서 처리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전자 문서 처리부(123)가 변환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 (또는 갱신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수신하여 선사 단말기(104)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인증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컨테이너 반출 허용 여부 결정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컨테이너 반출 오류 정보를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1)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수신하여 전자 문서 처리부(123)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문서 처리부(123)는 통신부(121)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 및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 등과 같이 전자 문서 형태의 문서를 전달받은 경우, 해당 전자 문서를 파싱(Parsing)하여 데이터 변환한다. 여기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 및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 등은 해당 전자 문서 형태에 따라 특정한 양식으로 작성되므로 관리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 변환하게 된다. 전자 문서 처리부(123)는 데이터 변환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 등을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문서 처리부(123)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 및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 등을 선사 별로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문서 처리부(123)는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전자 문서 형태로 다시 변환하여 통신부(121)로 전달한다. 그러면, 통신부(121)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해당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선사 단말기(104)가 전송하는 전자 문서 형태의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는 송신처(즉, 선사 단말기(104))와 수신처(즉,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가 각각 지정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가 이를 직접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하지 못하고,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에서 데이터 변환한 후 송신처(즉,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와 수신처(즉, 터미널 단말기(108))를 지정한 전자 문서 형태로 다시 변환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여기서, 소정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갱신된 경우, 전자 문서 처리부(123)는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갱신되어 전자 문서 형태로 변환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통신부(121)로 전달하게 된다.
전자 문서 처리부(123)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수신한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에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신부(121)를 통해 선사 단말기(104)로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운송사 확인부(125)는 운송사 단말기(106)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통해 해당 운송사가 해당 선사의 독점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해당 운송사가 독점 운송사가 아닌 경우, 운송사 확인부(125)는 해당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해당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가 아닌 경우, 운송사 확인부(125)는 통신부(121)를 통해 운송사 오류 정보를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할 수 있다.
반출 기한 비교부(127)는 운송사 단말기(106)가 전송한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과 선사 단말기(104)가 전송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비교한다. 이때,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반출 기한 비교부(127)는 통신부(121)를 통해 반출 기한 오류 정보(반출 기한 초과 정보 및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를 운송사 단말기(106)로 전송할 수 있다.
반출기한 비교부(127)는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웹 페이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송사 단말기(106)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반출기한 비교부(127)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이내인 경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통신부(121)로 전달하여 터미널 단말기(108)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이 갱신된 경우, 반출 기한 비교부(127)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과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갱신된 반출 기한을 비교하게 된다.
한편, 반출 기한 비교부(127)는 선사 단말기(104)가 전송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운송사 단말기(106)가 전송한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과 반출 기한 산출부(131)가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비교할 수 있다.
운송사 정보 변환부(129)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예를 들어, 운송사 아이디)를 해당 선사에 부여된 선사 대표 아이디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를 전송한 운송사 단말기(106)의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이고,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이내인 경우, 운송사 정보 변환부(129)는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해당 선사에 부여된 선사 대표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운송사 정보 변환부(129)가 운송사 정보를 해당 선사에 부여된 선사 대표 아이디로 변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즉, 해당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의 반출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반출기한 산출부(131)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에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수신한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반출기한 산출부(131)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와 대응되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확인하고, 해당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와 매칭된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7)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반출기한 산출부(131)는 추출한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 즉,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정 시 주말 포함 여부 정보, 프리 타임 정보, 및 입항 예정일 등을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3)는 통신부(121)가 수신한 각종 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33)는 통신부(121)가 수신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 컨테이너 반출 인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3)는 각 선사 별로 소정 터미널에 대해 독점 운송 계약을 체결한 운송사의 독점 운송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3)는 선사 단말기(104)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인증이 수신된 경우, 해당 선사 정보 및 컨테이너 정보를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한 운송사의 운송사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3)는 각 선사 별 선사 대표 아이디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3)는 소정 컨테이너에 대해 갱신된 반출 기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3)는 반출 기한 산출부(131)가 산출한 반출 기한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시스템 102 : 화주 단말기
104 : 선사 단말기 106 : 운송사 단말기
108 : 터미널 단말기 110 :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121 : 통신부 123 : 전자 문서 처리부
125 : 운송사 확인부 127 : 반출 기한 비교부
129 : 운송사 정보 변환부 131 : 반출 기한 산출부
133 : 데이터베이스

Claims (23)

  1.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정보(선사 정보, D/O 번호, B/L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기한,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인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의 선사 정보 및 해당 컨테이너 정보를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운송사를 상기 선사의 인증된 자가 운송사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통해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 및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선사와 운송 계약된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을 차단하고,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 이내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사 단말기로 반출 기한 초과 정보 및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정보를 화주 단말기, 상기 운송사 단말기, 및 상기 터미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사 단말기로 운송사 오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7.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정 시 주말 포함 여부 정보, 프리 타임 정보 및 입항 예정일을 포함)를 포함하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인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의 선사 정보 및 해당 컨테이너 정보를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운송사를 상기 선사의 인증된 자가 운송사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 및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통해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 및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초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산출한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을 차단하고,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이내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선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입항 예정일,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와 대응되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선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추출한 상기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의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정 시 주말 포함 여부 정보, 프리 타임 정보 및 입항 예정일)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사 단말기로 반출 기한 초과 정보 및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정보를 화주 단말기, 상기 운송사 단말기, 및 상기 터미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가 상기 운송사 단말기로 운송사 오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15.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정보(선사 정보, D/O 번호, B/L 번호,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기한,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고,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송사 확인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과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비교하는 반출 기한 비교부;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하는 운송사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사 확인부는,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운송사 단말기의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에 대한 컨테이너 반출 인증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운송사를 상기 선사의 인증된 자가 운송사로 등록하고,
    상기 운송사 정보 변환부는,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이고,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 이내인 경우, 상기 운송사 정보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반출 기한 비교부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을 차단하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 확인부는,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상기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가 아니면서 상기 인증된 자가 운송사가 아닌 경우, 운송사 오류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송사 오류 정보를 상기 운송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기한 비교부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반출 기한 초과 정보 및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상기 운송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갱신하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19.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정 시 주말 포함 여부 정보, 프리 타임 정보 및 입항 예정일을 포함)를 포함하는 수입 적하 목록 신고서 및 컨테이너 반출 지시서를 수신하고, 운송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D/O 번호, B/L 번호, 운송사 정보, 컨테이너 번호, 컨테이너 종류, 컨테이너 반출 일자, 및 터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산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산출하는 반출 기한 산출부;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 또는 인증된 자가 운송사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송사 확인부;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과 산출한 상기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비교하는 반출 기한 비교부; 및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운송사 정보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하는 운송사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사 확인부는,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운송사 단말기의 컨테이너 반출 예약 요청에 대한 컨테이너 반출 인증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운송사를 상기 선사의 인증된 자가 운송사로 등록하고,
    상기 운송사 정보 변환부는, 상기 운송사가 인증된 자가 운송사이고,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 이내인 경우, 상기 운송사 정보를 기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반출 기한 비교부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산출한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반출을 차단하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기한 비교부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사전 정보의 반출 기한이 상기 산출한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초과하는 경우, 반출 기한 초과 정보 및 반출 기한 초과에 따른 디머리지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반출 기한 오류 정보를 상기 운송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 확인부는, 상기 운송사 단말기의 운송사가 상기 기 등록된 독점 운송사가 아니면서 상기 인증된 자가 운송사가 아닌 경우, 운송사 오류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송사 오류 정보를 상기 운송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반출 기한 갱신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의 반출 기한을 갱신하는,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KR1020130058412A 2013-05-23 2013-05-23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KR101527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12A KR101527904B1 (ko) 2013-05-23 2013-05-23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12A KR101527904B1 (ko) 2013-05-23 2013-05-23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10A KR20140138410A (ko) 2014-12-04
KR101527904B1 true KR101527904B1 (ko) 2015-06-11

Family

ID=5245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12A KR101527904B1 (ko) 2013-05-23 2013-05-23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70B1 (ko) * 2016-04-06 2017-01-06 주식회사 케이엘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미널을 가진 항만에서의 터미널 간 환적을 검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16427B1 (ko) * 2016-04-06 2017-03-15 주식회사 케이엘넷 정보망을 이용한 해운 항만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261A (ja) * 2001-03-30 2002-10-18 Information Services International Dentsu Ltd 貨物搬出補助装置、貨物搬出補助システム、貨物搬出補助方法
JP2002321823A (ja) * 2001-04-27 2002-11-08 Hakatako Futo Kk 貨物搬出入予約システム
KR20100024907A (ko) * 2008-08-26 2010-03-08 (주)프리발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261A (ja) * 2001-03-30 2002-10-18 Information Services International Dentsu Ltd 貨物搬出補助装置、貨物搬出補助システム、貨物搬出補助方法
JP2002321823A (ja) * 2001-04-27 2002-11-08 Hakatako Futo Kk 貨物搬出入予約システム
KR20100024907A (ko) * 2008-08-26 2010-03-08 (주)프리발 다중거래처의 비엘정산업무 통합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410A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2886B2 (en) Real-time detention avoidance system
US20180144298A1 (en) Tracking shipping using blockchain
CN107833006B (zh) 无仓储式共享物流系统和物流方法
TW594523B (en) Stock planning method
CN107358383A (zh) 物流货运系统
JP2004501844A (ja) ドキュメンテーションおよび廃棄物の操作のためのトランスポンダの使用
JP2007122333A (ja) 産業廃棄物の輸送管理方法および輸送管理システム
KR101527904B1 (ko) 컨테이너 반출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출 서비스 방법
AU2015100983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ilation and distribution of air cargo security information
US20190066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products
KR101782841B1 (ko)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521962B1 (ko) 컨테이너 반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반납 서비스 방법
JP2006244196A (ja) 国際輸送リスク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KR20150012701A (ko) 전자인수증을 이용한 화물운송장과 화물인수증 전자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8025A (ko)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JP2002321830A (ja) 宅配システム
KR20200057304A (ko) 화물운송 중계 서비스 시스템
US20230316834A1 (en) Unitized space management method separating transport right from usage right
KR20170006147A (ko)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90051442A (ko) 반출입계를 이용한 보세운송 배차예정신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업무 지원 방법
US202001933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hipping processes and personnel
KR20160104964A (ko) 수입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입 컨테이너 인보이스 관리 서비스 방법
KR102625819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입화물의 반출입 등록 및 내륙운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6989835B1 (ja) 近距離通知技術を活用した受入業務効率化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7002090B1 (ja) 近距離通知技術を活用した受入業務効率化システムと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49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909

Effective date: 2017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