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491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491A
KR20110096491A KR1020110014463A KR20110014463A KR20110096491A KR 20110096491 A KR20110096491 A KR 20110096491A KR 1020110014463 A KR1020110014463 A KR 1020110014463A KR 20110014463 A KR20110014463 A KR 20110014463A KR 20110096491 A KR20110096491 A KR 20110096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arizing plate
resin
transparent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715B1 (ko
Inventor
도시까즈 마쯔모또
기연 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2매의 셀 기판 (11, 12)와 그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 (15)를 가지는 액정셀 (10), 그 액정셀의 시인측에 제1 점착제층 (40)을 통해 적층된 전면측 편광판 (20), 상기 액정셀의 시인측과는 반대측에 제2 점착제층 (50)을 통해 적층된 배면측 편광판 (30), 및 그 배면측 편광판 (30)의 외측에 배치된 백 라이트 유닛 (70)을 구비하며, 전면측 편광판 (20) 및 배면측 편광판 (30)은 각각 편광 필름 (21, 31)과 그의 양면에 배치된 투명 보호 필름 (25, 26); (35, 36)을 가지고, 또한 전면측 편광판 (20)의 수분율 W1과 배면 편광판 (30)의 수분율 W2와의 비 W1/W2가 1.0 이상 1.2 이하의 범위인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휘어짐이 감소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 전력이 낮고 저전압으로 동작하며 경량이고 박형이라는 특징을 살려,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젼 등 정보용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액정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응답 속도나 콘트라스트, 협시야각과 같은 액정 표시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에는 편광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액정 패널이 습열 환경하에 놓였을 때에, 편광판이 물을 흡수하는 것에 기인하여 액정 패널에 휘어짐이 일어나, 표시 불균일을 발생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JP 2007-292966-A에는, 액정셀의 양면에 접합되는 편광판의 치수 변화율을 조정함으로써, 고온 고습하에서의 액정 패널의 휘어짐을 개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JP 2003-50313-A에는, 특정한 클립 특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이용함으로써, 습열 환경하에서의 액정 패널의 휘어짐을 개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개선에서는, 편광판에 가열 처리 등의 전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거나, 습열 환경하에 놓인 후 액정 패널의 휘어짐에 의한 표시 불균일의 개선이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습열 환경하에 놓여진 후에도 액정 패널의 휘어짐이 작고, 표시 불균일이 없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전면측 편광판의 수분율과 상기 배면 편광판의 수분율의 비를 조정하는 것이 습열 환경하에 놓여진 후 액정 패널의 휘어짐을 억제하여, 표시 불균일을 개선하는 데에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한다.
[1] 2매의 셀 기판과 그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을 가지는 액정셀, 그의 액정셀의 시인측에 제1 점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전면측 편광판, 상기 액정셀의 시인측과는 반대측에 제2 점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배면측 편광판, 및 그의 배면측 편광판의 외측에 배치된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전면측 편광판 및 배면측 편광판은 각각 편광 필름과 그의 양면에 배치된 투명 보호 필름을 가지고, 또한 전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1과 배면 편광판의 수분율 W2와의 비 W1/W2가 1.0 이상 1.2 이하의 범위인 액정 표시 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전면측 편광판 및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액정셀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은, -10 내지 10 nm 범위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전면측 편광판 및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액정셀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면측 편광판 및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은, 액정셀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과 거기에 점착된 점착제층의 합계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면측 편광판 및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편광 필름과 그의 양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수용성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수계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6]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면측 편광판 및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편광 필름과 그의 양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습열 환경하에 놓여진 후에도 액정 패널의 휘어짐이 작고, 따라서 표시 불균일이 없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셀 (10), 그 액정셀의 시인측에 제1 점착제층 (40)을 통해 적층된 전면측 편광판 (20), 상기 액정셀의 시인측과는 반대측에 제2 점착제층 (50)을 통해 적층된 배면측 편광판 (30), 및 그의 배면측 편광판의 외측(즉, 액정셀 (10)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백 라이트 유닛 (70)을 구비하는 것이다. 액정셀 (10)과, 액정셀의 시인측에 제1 점착제층 (40)을 통해 적층된 전면측 편광판 (20)과, 액정셀의 반대측에 제2 점착제층 (50)을 통해 적층된 배면측 편광판 (30)으로 액정 패널 (60)을 형성하고 있다.
액정셀 (10)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전면측 편광판 (20)은, 편광 필름 (21)과, 그의 양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적층된 투명 보호 필름 (25, 26)을 가지고 있다.
액정셀 (10)의 시인측과는 반대측(즉, 백 라이트 유닛 (70)측)에 배치되는 배면측 편광판 (30)도 마찬가지로, 편광 필름 (31)과, 그의 양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적층된 투명 보호 필름 (35, 36)을 가지고 있다.
액정 패널 (60)과 백 라이트 유닛 (70)을 조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가 구성되지만, 이 액정 표시 장치가 습열 환경하에 놓여진 경우, 액정 패널 (60)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액정 패널 (60)의 일부가 백 라이트 유닛 (70)에 이상하게 근접하거나, 극단적인 경우에는 접촉하여 표시 불균일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액정 패널 (60)은 시인측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케이스나 금프레임으로 고정되어 있는 바, 액정 표시 장치가 습열 환경하에 놓여진 경우, 액정 패널 (60)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액정 패널 (60)의 일부가 그것을 고정하고 있는 케이스나 금프레임에 접촉하여 표시 불균일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면측 편광판 (20)의 수분율을 W1로 하고, 배면측 편광판 (30)의 수분율을 W2로 하여, 양자의 비 W1/W2가 1.0 이상 1.2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상기한 전면측 편광판 (20)의 수분율 W1과 배면측 편광판 (30)의 수분율 W2와의 관계는, 양자가 하기 식 a를 만족시키는 것에 상당한다.
<식 a>
Figure pat00001
즉, 전면측 편광판 (20)의 수분율 W1이 배면측 편광판 (30)의 수분율 W2보다 커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습열 환경하에 놓여진 후에도 액정 패널 (60)의 휘어짐을 억제할 수 있어, 표시 불균일이 인지되지 않으며, 표시 품질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가 얻어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전면측 편광판 (20) 및 배면측 편광판 (30) 각각에 대하여,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의 두께를,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과 거기에 점착되는 점착제층 (40, 50)의 합계 두께보다 크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도 함께 발견되었다. 이와 같이 전면측 편광판 (20) 및 배면측 편광판 (30) 각각에 대하여,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을 얇게 하여도, 특히 대각 32 인치(약 81 cm) 이상의 대형 크기의 편광판을 취급할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 패널 (60)의 휘어짐 억제에 유효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도 1에 부여한 부호를 참조하면서 순서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액정셀〕
액정셀 (10)은 2매의 셀 기판 (11, 12)와, 이들 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 (15)를 가진다. 셀 기판 (11, 12)는 일반적으로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지만, 플라스틱 기판일 수도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액정셀 (10) 자체는, 이 분야에서 채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편광 필름〕
전면측 편광판 (20) 및 배면측 편광판 (30)을 구성하는 편광 필름 (21, 31)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이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 몰%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 가능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이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製膜)한 것이 편광 필름의 원반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10 내지 15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1축 연신은,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1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1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행할 수도 있고, 붕산 처리 중에 행할 수도 있다. 물론, 여기에 나타낸 복수의 단계에서 1축 연신을 행할 수도 있다. 1축 연신에는,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1축으로 연신하는 방법이나, 열 롤을 이용하여 1축으로 연신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1축 연신은, 대기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에 의해 행할 수도 있고, 물 등의 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연신 배율은 통상 3 내지 8배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면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2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2색성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 침지하여 팽윤시키는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01 내지 1 중량부 정도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5 내지 20 중량부 정도이다. 염색에 이용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40 ℃ 정도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20 내지 1,800 초 정도이다.
한편, 2색성 색소로서 2색성의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수용성의 2색성 유기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서의 2색성 유기 염료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1×10-4 내지 10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10-3 내지 1 중량부이다. 이 염료 수용액은, 황산나트륨과 같은 무기염을 염색 보조제로서 함유할 수도 있다. 염색에 이용하는 2색성 유기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80 ℃ 정도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10 내지 1,800 초 정도이다.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 붕산 처리는,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2 내지 15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중량부이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이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물 100 중량부당 통상 0.1 내지 15 중량부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중량부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60 내지 1,200 초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 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초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이다.
붕산 처리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를 들면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세 처리에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 내지 40 ℃ 정도이다. 또한 침지 시간은 통상 1 내지 120 초 정도이다.
수세 후에는 건조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건조 처리는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30 내지 100 ℃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이다. 건조 처리 시간은 통상 60 내지 600 초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600 초이다. 건조 처리에 의해 편광 필름 중 수분율이 실용 정도로까지 감소된다. 그 수분율은, 통상 5 내지 20 중량%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이다. 수분율이 5 중량%를 하회하면, 편광 필름의 가요성이 소실되어, 건조 후에 손상되거나, 파단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분율이 20 중량%를 초과하면, 열 안정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한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지는 편광 필름은, 그의 두께를 예를 들면 5 내지 40 ㎛ 정도로 할 수 있다.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전면측 편광판 (20) 및 배면측 편광판 (30) 각각에서,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이 우수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대표예로 하는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에 대하여 임의의 중합체 변성을 행한 수지를 투명 보호 필름용 재료로 할 수도 있다. 중합체 변성으로는, 예를 들면 공중합, 가교, 분자 말단 변성, 입체 규칙성 제어, 이종 중합체끼리의 반응을 수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혼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단위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메타크릴산메틸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일 수도 있다. 메타크릴산메틸 단위가 100 중량%인 중합체는, 메타크릴산메틸을 단독으로 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는, 통상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관능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연쇄 이동제의 공존하에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단관능 단량체에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할 수 있는 성분을 배합하고, 공중합시키는 경우도 있으며, 원한다면 다관능 단량체를 소량 공중합시키는 경우도 있다.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할 수 있는 단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벤질,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및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과 같은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류;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벤질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같은 아크릴산에스테르류; 아크릴산히드록시메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부틸과 같은 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과 같은 불포화산류; 클로로스티렌 및 브로모스티렌과 같은 할로겐화스티렌류; 비닐톨루엔 및 α-메틸스티렌과 같은 치환 스티렌류;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류; 무수 말레산 및 무수 시트라콘산과 같은 불포화산 무수물류; 페닐말레이미드 및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와 같은 불포화 이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할 수 있는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틸렌글리콜 또는 그의 올리고머의 양쪽 말단 수산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그의 올리고머의 양쪽 말단 수산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2가 알코올의 수산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또는 이들 할로겐 치환체의 양쪽 말단 수산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다가 알코올을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한 것; 수산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의 말단 수산기에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를 개환 부가시킨 것; 숙신산,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프탈산 및 이들 할로겐 치환체와 같은 이염기산류, 또는 이들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에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를 개환 부가시킨 것;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과 같은 방향족 디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경우는,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가지는 관능기 사이의 반응을 행하여, 변성된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능기 사이의 반응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메틸의 메틸에스테르기와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의 수산기와의 고분자쇄내 탈메탄올 축합 반응, 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와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의 수산기와의 고분자쇄내 탈수 축합 반응 등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는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판품의 예를 들면, 각각 상품명으로 스미또모 가가꾸(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미펙스", 미쯔비시 레이온(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크리페트", 아사히 가세이(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델페트", (주)구라레에서 판매되고 있는 "파라페트", (주)니혼 쇼꾸바이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크리뷰어" 등이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쇄상 올레핀 단량체의 중합체이고, 통상은 반복 단위의 80 중량% 이상이 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쇄상 올레핀계 수지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일 수도 있고, 프로필렌을 주체로 하여,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를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공중합시킨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로 하는 경우, 프로필렌과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로는 에틸렌, 1-부텐 또는 1-헥센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비교적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얻어지기 때문에, 에틸렌을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공중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을 1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명성을 높이는 효과가 나타난다. 한편, 에틸렌의 공중합 비율이 20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융점이 낮아져, 투명 보호 필름에 요구되는 내열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20 ℃에서 크실렌에 가용인 성분(CXS 성분: CXS는 cold xylene soluble의 약칭)의 함유량이 1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에서도, CXS 성분이 1 중량% 이하, 추가로 0.5 중량% 이하인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는 바람직한 예 중 하나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판품의 예를 들면, 각각 상품명으로 (주)프라임 폴리머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프라임 폴리프로", 닛본 폴리프로필렌(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노바텍" 및 "윈텍", 스미또모 가가꾸(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미또모 노블렌", 썬아로마(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썬아로마" 등이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서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및/또는 부티릴기로 치환된 셀룰로오스의 유기산 에스테르 또는 혼합 유기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티르산에스테르, 이들의 혼합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반복 단위의 80 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수지이고,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또는 다른 디올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4,4'-디카르복시디페닐, 4,4'-디카르복시벤조페논, 비스(4-카르복시페닐)에탄, 아디프산, 세박산, 1,4-디카르복시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디올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다른 디올 성분은,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p-히드록시벤조산이나 p-β-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 소량의 아미드 결합, 우레탄 결합, 에테르 결합, 카르보네이트 결합 등을 함유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디올 성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는,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디카르복실산 또는 다른 디올)을 직접 중축합시키는 방법, 테레프탈산의 디알킬에스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디카르복실산의 디알킬에스테르 또는 다른 디올)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키면서 중축합시키는 방법, 테레프탈산(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디카르복실산)의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디올에스테르)를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축합시키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추가의 고상 중합을 행하여 분자량을 증가시키거나, 저분자량 성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수지를 편광판용 투명 보호 필름으로 제막하는 방법은, 각각의 수지에 따른 방법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제에 용해시킨 수지를 금속제의 밴드 또는 드럼에 캐스팅(流延)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필름을 얻는 용제 캐스팅법, 수지를 그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혼련하고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함으로써 필름을 얻는 용융 압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융 압출법에서는, 단층 필름을 압출할 수도 있고, 다층 필름을 동시에 압출할 수도 있다.
이들 수지의 필름은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판되고 있는 필름의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 필름이면, 각각 상품명으로 스미또모 가가꾸(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테크놀로이", 미쯔비시 레이온(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크릴라이트" 및 "아크리프렌", 아사히 가세이(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데라그라스", (주)구라레에서 판매되고 있는 "파라그라스" 및 "코모그라스", (주)니혼 쇼꾸바이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크리뷰어" 등이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이면, 각각 상품명으로 미쯔비시 가가꾸(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노바클리어", 데이진 가세이(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A-PET 시트" 등이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이면, 각각 상품명으로 필맥스(FILMAX)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FILMAX CPP 필름", 썬톡스(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썬톡스", 토셀로(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토셀로", 도요보세끼(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도요보 파이렌 필름", 도레이 필름 가꼬(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토레판", 닛본 폴리에이스(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니혼 폴리에이스", 후따무라 가가꾸(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이꼬 FC" 등이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면, 각각 상품명으로 후지 필름(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후지택 TD",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코니카 미놀타 TAC 필름 KC" 등이 있다.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고 시인측이 되는 투명 보호 필름 (25)에는, 헤이즈를 부여하여 방현성(防眩性)을 발현시킬 수 있다. 헤이즈를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투명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원료 수지 중에 무기 미립자 또는 유기 미립자를 혼합하여 필름화하는 방법, 다층 압출에 의해 미립자가 혼합된 수지와 미립자가 혼합되지 않은 수지로부터 2층 필름화하거나, 미립자가 혼합된 수지를 외층으로 하여 3층 필름화하는 방법, 필름의 한쪽에 무기 미립자 또는 유기 미립자를 경화성 결합제 수지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코팅하고, 결합제 수지를 경화시켜 방현층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헤이즈를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무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나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카올린, 탈크, 마이커, 탄산칼슘,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면 가교 폴리아크릴산 입자,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폴리이미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에 헤이즈를 부여하는 경우, 그의 헤이즈값은 6 내지 45 %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 필름의 헤이즈값이 6 %를 하회하면, 충분한 방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헤이즈값이 45 %를 초과하면, 그의 투명 보호 필름이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이 뿌옇게 되어, 화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헤이즈는 전체 광선 투과율에 대한 확산 투과율의 비로서 정의되는 값이고, JIS K 7136에 준거하여 시판되고 있는 헤이즈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헤이즈미터로는, 예를 들면 (주)무라까미 시끼사이 기쥬쯔 겡뀨쇼에서 판매되고 있는 "HM-150" 등이 있다. 헤이즈값의 측정시에는, 필름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를 이용하고, 방현면이 표면이 되도록 필름면을 유리 기판에 접합한 측정 샘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고, 시인측이 되는 투명 보호 필름 (25) 및 백 라이트측이 되는 투명 보호 필름 (35)의 각각 외측에는 도전층, 하드 코팅층, 저반사층 등을 포함하는 기능층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방현층을 구성하는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서, 이들 기능이 발현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액정셀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도 1에 나타낸 전면측 편광판 (20) 및 배면측 편광판 (30)에서,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는, 상기에서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에 대해서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리터데이션값의 제어가 용이하고, 입수도 용이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또는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및 다른 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와 같은 환상 올레핀 단량체를,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하면, 후술하는 소정의 리타데이션값을 가지는 투명 보호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펜타디엔과 올레핀류 또는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류로부터 딜스 알더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노르보르넨 또는 그의 유도체를 단량체로서 개환 복분해 중합을 행하고, 그것에 이어지는 수소 첨가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과 올레핀류 또는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류로부터 딜스 알더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또는 그의 유도체를 단량체로서 개환 복분해 중합을 행하고, 그것에 이어지는 수소 첨가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지; 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 이들의 유도체 및 그 밖의 환상 올레핀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의 단량체를 마찬가지로 개환 복분해 공중합하고, 그것에 이어지는 수소 첨가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지; 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환상 올레핀에 쇄상 올레핀 및/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을 부가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판품의 예를 들면, 각각 상품명으로 토파스 어드밴스드 폴리머스 게엠베하(TOPAS ADVANCED POLYMERS GmbH)에서 생산되어, 일본에서는 폴리플라스틱스(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토파스(TOPAS)", JSR(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톤", 니혼제온(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오노어" 및 "제오넥스", 미쓰이 가가꾸(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펠" 등이 있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전형적인 예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을 주체로 하고,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 예를 들면 에틸렌을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공중합시킨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으로부터 필름으로 제막하는 방법은, 각각의 수지에 따른 방법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제에 용해시킨 수지를 금속제의 밴드 또는 드럼에 캐스팅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필름을 얻는 용제 캐스팅법, 수지를 그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혼련하고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드럼에 의해서 냉각함으로써 필름을 얻는 용융 압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해서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한편,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용제 캐스팅법에 의해서 제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액정셀 (10)이 횡전해(IPS: In-Plane Switching) 모드인 경우, 그 IPS 모드 액정셀이 본래 가지는 넓은 시야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은,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가 -10 내지 10 n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는, 면내의 평균 굴절률로부터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뺀 값에 필름의 두께를 곱하여 얻어지는 값이며, 하기 식 b로 표시된다. 또한, 면내의 리타데이션 Re는, 면내의 굴절률차에 필름의 두께를 곱하여 얻어지는 값이며, 하기 식 c로 표시된다.
<식 b>
Figure pat00002
<식 c>
Figure pat00003
식 중, nx는 필름 면내의 x축 방향(면내 지상축(遲相軸)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필름 면내의 y축 방향(면내 진상축(進相軸) 방향이며, 면내에서 x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필름면에 수직인 z축 방향(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또한 d는 필름의 두께이다.
여기서, 리타데이션값은 가시광의 중심 부근인 500 내지 650 nm 정도의 범위에서 임의의 파장에서의 값일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파장 590 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을 표준으로 한다.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 및 면내의 리타데이션 Re는 시판되고 있는 각종 위상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를 -10 내지 10 nm의 범위 내로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필름을 제작할 때에 두께 방향으로 잔류하는 왜곡을 최대한 작게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제 캐스팅법에서는, 그의 캐스팅 수지 용액을 건조할 때에 발생하는 두께 방향의 잔류 수축 왜곡을, 열 처리에 의해서 완화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융 압출법에서는, 수지 필름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하기까지 사이에 연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로부터 냉각 드럼까지의 거리를 최대한 단축함과 동시에, 압출량과 냉각 드럼의 회전 속도를 필름이 연신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용제 캐스팅법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필름에 잔류하는 왜곡을 열 처리에 의해서 완화시키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과의 접착〕
전면측 편광판 (20)에서의 편광 필름 (21)과 투명 보호 필름 (25, 26)과의 접합, 또한 배면측 편광판 (30)에서의 편광 필름 (31)과 투명 보호 필름 (35, 36)과의 접합에는 통상 접착제가 이용된다. 편광 필름과 투명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접착제층은, 그의 두께를 0.01 내지 30 ㎛ 정도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이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이 범위에 있으면, 적층되는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 필름 사이에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지 않아, 실용상 문제가 없는 접착력이 얻어진다.
접착제층의 형성에는, 피착체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앵커 코팅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로서, 예를 들면 용제형 접착제, 에멀전형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재습성 접착제, 중축합형 접착제, 무용제형 접착제, 필름상 접착제, 핫멜트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접착제 중 하나로서 수계 접착제, 즉 접착제 성분이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물에 용해 가능한 접착제 성분의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있다. 또한, 물에 분산 가능한 접착제 성분의 예를 들면, 친수기를 가지는 우레탄계 수지가 있다. 수계 접착제는 이러한 접착제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되는 추가의 첨가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가 될 수 있는 시판되고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예를 들면, (주)구라레에서 판매되고 있는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인 "KL-318"(상품명) 등이 있다.
수계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의 예를 들면, 아민 화합물, 알데히드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수용성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가 금속염 등이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접착제 성분으로 하는 경우는, 글리옥살을 비롯한 알데히드 화합물, 메틸올멜라민을 비롯한 메틸올 화합물, 수용성 에폭시 수지 등이 가교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여기서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트리아민이나 트리에틸렌테트라민과 같은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아디프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물인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수용성 에폭시 수지의 시판품의 예를 들면, 스미까 켐텍스(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미레즈 레진 650(30)"(상품명) 등이 있다.
편광 필름 및/또는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면에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양자를 접합한 후, 건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접착에 앞서서, 투명 보호 필름에는 비누화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접착 용이 처리를 실시하여 습윤성을 높이는 것도 유효하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면 60 내지 100 ℃ 정도로 할 수 있다. 건조 처리 후, 실온보다도 약간 높은 온도, 예를 들면 30 내지 50 ℃ 정도의 온도에서 1 내지 10일 정도 양생하는 것은 접착력을 한층 높이는 데에 바람직하다.
또 하나의 바람직한 접착제로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경화성의 에폭시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것이다. 이 경우, 편광 필름과 투명 보호 필름과의 접착은, 해당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가열하고, 접착제에 함유되는 경화성의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경화는, 일반적으로 에폭시 화합물의 양이온 중합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생산성의 관점에서, 이 경화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후성, 굴절률, 양이온 중합성 등의 관점에서,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화합물로서,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예를 들면 JP 2004-245925-A 공보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여기서도 개략을 설명하도록 한다.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은,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원료인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에 촉매의 존재하 및 가압하에서 선택적으로 핵수소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핵수소 첨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글리시딜에테르화한 것일 수 있다.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원료인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비스페일 F 및 비스페놀 S와 같은 비스페놀류; 페놀노볼락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및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 수지; 테트라히드록시디페닐메탄,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및 폴리비닐페놀과 같은 다관능형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에 핵수소화 반응을 행하고, 얻어지는 핵수소 첨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킴으로써, 글리시딜에테르화할 수 있다. 바람직한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로서, 수소화된 비스페놀 A의 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가지는 화합물이다. "지환식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란, 하기 화학식에 표시되는 구조에서의 가교한 산소 원자 -O-를 의미하고, 이 식 중 m은 2 내지 5의 정수이다.
Figure pat00004
이 화학식에서의 (CH2)m 중 수소 원자를 하나 또는 복수개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 구조에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지환식환을 형성하는 (CH2)m 중 하나 또는 복수개의 수소 원자는, 메틸기나 에틸기와 같은 직쇄상 알킬기로 적절하게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중에서도, 옥사비시클로헥산환(상기 식에서 m=3인 것)이나, 옥사비시클로헵탄환(상기 식에서 m=4인 것)을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은,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에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우선 화합물명을 예를 들고, 그 후 각각에 대응하는 화학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화합물명과 그것에 대응하는 화학식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A: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B: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C: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D: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E: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F: 디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G: 에틸렌글리콜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H: 2,3,14,15-디에폭시-7,11,18,21-테트라옥사트리스피로[5.2.2.5.2.2]헨이코산,
I: 3-(3,4-에폭시시클로헥실)-8,9-에폭시-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
J: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K: 리모넨디옥사이드,
L: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M: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등.
Figure pat00005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4-부탄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과 같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에서 에폭시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이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가지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통상 30 내지 3,000 g/당량의 범위 내의 에폭시 당량을 가지고, 이 에폭시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0 g/당량의 범위이다. 에폭시 당량이 30 g/당량을 하회하는 에폭시 화합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경화 후 편광판의 가요성이 저하되거나, 접착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3,000 g/당량을 초과하는 에폭시 당량을 가지는 화합물로는,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반응성의 관점에서, 에폭시 화합물의 경화 반응으로서 양이온 중합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에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및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서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키고,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킨다. 작업성의 관점에서, 양이온 중합 개시제에는 잠재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키고,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라 하고, 열에 의해서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시키고,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열 양이온 중합 개시제"라 한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를 행하는 방법은, 상온에서의 경화가 가능해지고, 편광 필름의 내열성 또는 팽창에 의한 왜곡을 고려할 필요가 감소되어,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 필름을 양호하게 접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광에서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에폭시 화합물에 혼합하여도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하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철-아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 내지 2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이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를 하회하면, 경화가 불충분해져서, 경화물의 기계적 강도나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물 중 이온성 물질이 증가함으로써 경화물의 흡습성이 높아지고, 내구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경우,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광 증감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광 증감제를 이용함으로써, 양이온 중합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경화물의 기계적 강도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 증감제로는, 예를 들면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황 화합물, 과황화물, 산화 환원계 화합물, 아조 화합물, 디아조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 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광 증감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의 양은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는 벤질술포늄염, 티오페늄염, 티오라늄염, 벤질암모늄, 피리디늄염, 히드라지늄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술폰산에스테르, 아민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양이온 중합에 의해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열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존재시켜 열 양이온 중합에 의해서 경화시킬 수도 있으며, 광 양이온 중합과 열 양이온 중합을 병용할 수도 있다. 광 양이온 중합과 열 양이온 중합을 병용하는 경우,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에는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와 열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둘 다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옥세탄 화합물이나 폴리올 화합물 등, 양이온 중합을 촉진시키는 화합물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옥세탄 화합물은 분자 내에 4원환 에테르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옥세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의 양은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중에 통상 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이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이나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알킬렌글리콜 또는 그의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등일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의 양은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중에 통상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이다.
또한,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그의 접착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다른 첨가제, 예를 들면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증감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온 트랩제로는, 예를 들면 분말상의 비스무스계, 안티몬계, 마그네슘계, 알루미늄계, 칼슘계, 티탄계, 이들 혼합계 등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편광 필름 또는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면, 또는 이들 쌍방의 접착면에 도공한 후, 접착제가 도공된 면에 접합하고,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가열함으로써 미경화된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편광 필름과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의 도공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닥터 블레이드, 와이어 바, 다이 코터, 콤머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여러가지 도공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기본적으로는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형 접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각 도공 방식에는 각각 최적의 점도 범위가 있기 때문에, 점도 조정을 위해 용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용제는 편광 필름의 광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에폭시 화합물을 비롯한 각 성분을 양호하게 용해시키는 유기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톨루엔으로 대표되는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로 대표되는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를 행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상술한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취급이 용이하고 조사 광량 등의 제어도 용이하기 때문에 자외선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활성 에너지선, 예를 들면 자외선의 조사 강도나 조사량은, 편광 필름의 편광도를 비롯한 각종 광학 성능 및 투명 보호 필름의 투명성이나 위상차 특성을 비롯한 각종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알맞은 생산성이 유지되도록 적절하게 결정된다.
열에 의해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를 행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가열할 수 있다. 통상은,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에 배합된 열 양이온 중합 개시제가 양이온종이나 루이스산을 발생시키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이 행해지고, 구체적인 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50 내지 200 ℃ 정도이다.
〔점착제층〕
이상 설명한 전면측 편광판 (20)의 액정셀측이 되는 투명 보호 필름 (26) 상에는 제1 점착제층 (40)이 적층되고, 또한 배면측 편광판 (30)의 액정셀측이 되는 투명 보호 필름 (36) 상에는 제2 점착제층 (50)이 적층된다. 이들 점착제층 (40, 50)은 액정셀 (10)의 양측에 각각 전면측 편광판 (20) 및 배면측 편광판 (30)을 접합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각각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감압성 접착제라고도 하며, 광학적인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성, 응집성, 접착성 등을 포함하는 점착 특성이 우수한 것이면 되지만, 추가로 내구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옥틸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같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요한 단량체로 하는 수지이다. 이 아크릴계 수지에는 통상 극성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다. 극성 단량체란, 중합성 불포화 결합 및 극성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이고, 여기서 중합성 불포화 결합은 (메트)아크릴로일기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극성 관능기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일 수 있다. 극성 단량체의 구체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2-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통상 아크릴계 수지와 함께 가교제가 배합되어 있다. 가교제의 대표예로서,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나토기(-NCO)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점착제에는, 추가로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첨가제로서, 실란커플링제나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리와의 접착력을 높이는 데에 유효하다. 대전 방지제는 정전기의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하는 데에 유효하다. 일반적으로,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을 액정셀에 부착할 때에는, 그때까지 점착제층을 덮어 가착 보호하고 있었던 표면 보호 필름(세퍼레이터)을 박리한 후 액정셀에 접합되지만, 그의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서 액정셀 내의 액정의 배향 불량을 일으키고, 이 현상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전기의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점착제에의 대전 방지제의 배합은 유효하다.
점착제층 (40, 50)은, 이상과 같은 점착제 성분이 유기 용제에 용해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 (26, 36) 상에 직접 도포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는 직접 도공법에 의해서, 또는 이형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으로 하고, 이를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 (26, 36) 상에 점착하는 전사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전자의 직접 도공법에 의해서 투명 보호 필름 (26, 36) 상에 점착제층 (40, 50)을 형성한 경우는, 그의 표면에 이형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세퍼레이터라고도 함)을 접합하고, 사용시까지 점착제층 표면을 가착 보호하는 것이 통례이다. 유기 용제 용액인 점착제 조성물의 취급성의 관점 등으로부터, 후자의 전사법이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는 최초로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이형 처리된 기재 필름이, 편광판에 점착된 후 그대로 세퍼레이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알맞다.
〔편광판의 수분율〕
본 발명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면측 편광판 (20)의 수분율 W1과 배면측 편광판 (30)의 수분율 W2의 비 W1/W2를 1.0 이상 1.2 이하의 범위로 한다. 전면측 편광판 (20)의 수분율 W1과 배면측 편광판 (30)의 수분율 W2와의 관계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점등시에 백 라이트 유닛 (7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에 기인하여 액정 패널 (60)이 급격히 온도 상승하고, 편광판 (20, 30)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여 수축할 때의 균형이 양호해져 액정 패널 (60)의 휘어짐이 억제된다.
편광판의 수분율을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분율을 낮추는 경우에는, 건조 오븐 등에서 편광판을 가열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수분율을 높이는 경우에는, 습열 오븐 등에서 편광판을 가습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들 처리는 롤상의 편광판으로 행할 수도 있고, 매엽의 편광판으로 행할 수도 있으며, 롤상의 편광판에서의 처리와 매엽의 편광판에서의 처리를 조합할 수도 있다.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두께〕
전면측 편광판 (20)에 대해서,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의 두께를,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과 거기에 점착되는 제1 점착제층 (40)의 합계 두께보다도 크게 하는 것, 그리고 배면측 편광판 (30)에 대해서도,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35)의 두께를,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36)과 거기에 점착되는 제2 점착제층 (50)의 합계 두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면측 편광판 (20) 및 배면측 편광판 (30)의 각각에 대하여,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을 얇게 하여도, 특히 대각 32 인치(약 81 cm) 이상의 대형 크기의 편광판을 취급할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 패널 (60)의 휘어짐 억제에 한층 효과적이다.
편광판 (20, 30)의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은, 각각의 두께를 20 내지 50 ㎛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에 점착되는 점착제층 (40, 50)은 각각의 두께를 10 내지 30 ㎛ 정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 (20, 30)의 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는 각각의 두께가 액정셀 (10)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의 두께에 비하여 적어도 10 ㎛를 초과하여 커지도록,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 이상 커지도록 하면 된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측 편광판 (20)의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이면, 그 두께가 액정셀측의 투명 보호 필름 (26) 및 거기에 점착된 제1 점착제층 (40)의 합계 두께보다 커지도록, 또한 배면측 편광판 (30)의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35)이면, 그의 두께가 액정셀측의 투명 보호 필름 (36) 및 거기에 점착된 제2 점착제층 (50)의 합계 두께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액정셀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의 두께를 각각 약 40 ㎛로 하고, 제1 점착제층 (40) 및 제2 점착제층 (50)의 두께를 각각 약 25 ㎛로 하고,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의 두께를 각각 약 80 ㎛로 하는 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백 라이트 유닛〕
백 라이트 유닛 (70)은, 적어도 액정셀 (10)에 표시용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광원 부재는 도광판과 그의 일측면 또는 대향하는 이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으로 구성하는 사이드라이트형이라 불리는 형식이나, 복수의 광원과 그 위(액정셀 (10)을 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광 확산판으로 구성하는 직하형이라 불리는 형식일 수 있다. 어느 형식이어도, 통상은 광원 부재의 배면(액정셀 (10)으로부터 먼 측)에, 광 반사층이 시트 또는 도포층의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광원 부재의 광출사측(액정셀 (10)을 향하는 측)에는, 추가로 집광 시트나 확산 필름 등의 광학 부재가 1층 또는 복수층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백 라이트 유닛 (70) 자체는 여기서 설명한 각 부재를 가지고, 이 분야에서 채용되고 있는 임의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 중,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부 및 %는, 특기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의 각 물성의 측정은, 다음 방법으로 행하였다.
(1) 두께의 측정:
(주)니콘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MH-15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면내 리타데이션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측정:
오지 게이소꾸 기끼(주) 제조의 평행 니콜 회전법을 원리로 하는 위상차계 "KOBRA-21ADH"를 이용하고, 23 ℃의 온도에서 파장 590 nm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을 측정하였다.
(3) 편광판의 수분율 측정:
150 mm×150 mm의 크기로 잘라낸 편광판(점착제층 형성 전)을 105±1 ℃로 유지된 건조 오븐에 60 분간 방치하여, 건조 오븐에 넣기 전 중량(건조 전 중량)과 건조 오븐에 방치 후 중량(건조 후 중량)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서 산출한 값을 편광판의 수분율로 하였다.
Figure pat00006
실시예 1
(수계 접착제의 제조)
물 100부에 대하여 (주)구라레에서 입수한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인 "KL-318"(상품명)을 3부 용해시키고, 그 수용액에 스미까 켐텍스(주)로부터 입수한 수용성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인 "스미레즈 레진 650(30)"(상품명, 고형분 농도 30 %의 수용액)을 1.5부 첨가하여 수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편광판의 제작)
후지 필름(주)로부터 입수한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인 "TD80UL"(상품명)에 비누화 처리를 실시하여,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로 하였다. 또한,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로부터 입수한 두께 4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인 "KC4UEW"(상품명)는, 면내의 리타데이션이 0.7 nm,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이 -0.1 nm였다. 이것에 비누화 처리를 실시하고, 액정셀측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 (26, 36)으로 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두께 약 28 ㎛의 편광 필름의 한쪽면에, 상기에서 제조한 수계 접착제를 통해 상기 두께 80 ㎛의 투명 보호 필름을 접합하고, 다른 한쪽면에는 동일한 수계 접착제를 통해 상기 두께 40 ㎛의 투명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80 ℃에서 5 분간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편광판을 이용하여 두께 40 ㎛의 투명 보호 필름면에 두께가 25 ㎛인 점착제 시트를 접합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으로부터, 흡수축을 긴 방향으로 하고 흡수축을 짧은 방향으로 하여, 각각 와이드 32형 크기〔대각 32 인치(약 81 cm)로, 폭 약 71 cm×세로 약 40 cm〕로 재단하였다. 이들 편광판은 취급시에 양호한 취급성을 나타내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과 평가)
파나소닉(주) 제조에서 IPS 모드의 와이드 32형〔대각 32 인치(약 81 cm)로, 폭 약 71 cm×세로 약 40 cm〕액정 텔레비젼 "비에라(VIERA)"(형번: 비에라(VIERA) TH-L32X1)를 분해하여 액정셀 상하의 편광판을 박리하고, 이들 본래의 편광판 대신에 상기에서 제작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을 액정셀의 전면측(시인측) 및 배면측(백 라이트측)에 크로스 니콜 상태가 되도록 각각의 점착제층측에서 접합하여 액정 패널 (60)을 제작하였다. 이 때, 전면측 편광판 (20)의 흡수축이 액정셀 (10) 내 액정 분자의 전압 무인가(흑색 표시)시 배향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전면측 편광판 (20)에는 수분율이 높은 것을, 배면측 편광판 (30)에는 수분율이 낮은 것을 각각 배치하여 (전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1/배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2)의 비가 1.05가 되도록 하였다. 이 액정 패널 (60)을 온도 40 ℃, 상대습도 95 %의 환경하에 96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취출하고, 온도 22 ℃, 상대습도 55 %의 환경하에 1일간 방치하였다. 이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를 다시 조립하고, 백 라이트를 점등하고, 1 시간 후에 관찰한 바, 표시 불균일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2
(편광판의 제작)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 (25, 35)를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로부터 입수한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인 "KC8UX"(상품명)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편광판을 이용하여, 두께 40 ㎛의 투명 보호 필름면에 점착제 시트를 접합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으로부터, 흡수축을 긴 방향으로 하고 흡수축을 짧은 방향으로 하여, 각각 와이드 32형 크기〔대각 32 인치(약 81 cm)로, 폭 약 71 cm×세로 약 40 cm〕로 재단하였다. 이들 편광판은 취급시에 양호한 취급성을 나타내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과 평가)
여기서 제작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판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 패널 (60)을 제작하였다. 이 때, 전면측 편광판 (20)에는 수분율이 높은 것을, 배면측 편광판 (30)에는 수분율이 낮은 것을 각각 배치하여 (전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1/배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2)의 비가 1.10이 되도록 하였다. 이 액정 패널 (60)을 온도 40 ℃, 상대습도 95 %의 환경하에 96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취출하고, 온도 22 ℃, 상대습도 55 %의 환경하에 1일간 방치하였다. 이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를 다시 조립하고, 백 라이트를 점등하고, 1 시간 후에 관찰한 바, 약간의 표시 불균일이 보였지만, 시인상 문제없는 수준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2와 동일한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을 이용하고, 전면측 편광판 (20)에는 수분율이 높은 것을, 배면측 편광판 (30)에는 수분율이 낮은 것을 각각 배치하지만, (전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1/배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2)의 비가 1.31이 되도록 하여 액정 패널 (60)을 제작하고,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조립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백 라이트를 점등한 후 1 시간 후에 관찰한 바, 표시 불균일이 보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편광판의 수분율비 W1/W2, 편광판을 구성하는 보호 필름 및 점착제층의 두께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7
10: 액정셀
11, 12: 셀 기판
15: 액정층
20: 전면측 편광판
21: 편광 필름
25, 26: 투명 보호 필름
30: 배면측 편광판
31: 편광 필름
35, 36: 투명 보호 필름
40: 제1 점착제층
50: 제2 점착제층
60: 액정 패널
70: 백 라이트 유닛

Claims (7)

  1. 2매의 셀 기판과 그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을 가지는 액정셀,
    상기 액정셀의 시인측에 제1 점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전면측 편광판,
    상기 액정셀의 시인측과는 반대측에 제2 점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배면측 편광판, 및
    상기 배면측 편광판의 외측에 배치된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전면측 편광판 및 상기 배면측 편광판은 각각 편광 필름과 그의 양면에 배치된 투명 보호 필름을 가지고, 또한
    상기 전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1과 상기 배면측 편광판의 수분율 W2와의 비 W1/W2가 1.0 이상 1.2 이하의 범위인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측 편광판 및 상기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액정셀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은, -10 내지 10 nm의 범위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값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측 편광판 및 상기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액정셀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측 편광판 및 상기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액정셀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은, 액정셀측에 위치하는 투명 보호 필름과 거기에 점착된 상기 점착제층의 합계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측 편광판 및 상기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편광 필름과 그의 양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수용성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수계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측 편광판 및 상기 배면측 편광판 각각의 편광 필름과 그의 양면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10014463A 2010-02-22 2011-02-18 액정 표시 장치 KR101685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5761A JP2011170234A (ja) 2010-02-22 2010-02-22 液晶表示装置
JPJP-P-2010-035761 2010-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491A true KR20110096491A (ko) 2011-08-30
KR101685715B1 KR101685715B1 (ko) 2016-12-12

Family

ID=4446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63A KR101685715B1 (ko) 2010-02-22 2011-02-18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170234A (ko)
KR (1) KR101685715B1 (ko)
CN (1) CN102162948B (ko)
TW (1) TWI52126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648A (ko) * 2012-12-04 2014-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9542A (ko) * 2013-04-05 2015-12-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2599B2 (ja) * 2014-09-19 2020-05-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2017062609A (ja) * 2015-09-24 2017-03-30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タッチパネル
JP2017107152A (ja) * 2015-11-30 2017-06-15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6887222B2 (ja) * 2016-06-21 2021-06-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セット
JP2018013583A (ja) * 2016-07-20 2018-01-25 住友化学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フィルム積層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WO2018101204A1 (ja) * 2016-11-30 2018-06-0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偏光板、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CN108333829B (zh) * 2018-02-01 2021-11-09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CN208833939U (zh) * 2018-09-14 2019-05-07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片及显示器
CN109358390B (zh) * 2018-10-30 2024-03-22 东莞市谷麦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出光均匀的导光组件
CN109709707B (zh) * 2019-01-31 2022-04-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708685B (zh) * 2019-02-20 2020-11-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積層膜材之製造方法及其所製成之積層膜材
WO2021065075A1 (ja) * 2019-09-30 2021-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該セットを含む画像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003A (ko) * 2006-04-25 2008-05-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33827A (ko) * 2007-02-15 2009-04-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65017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026484A (ja) * 2008-06-20 2010-02-04 Sumitomo Chemical Co Ltd 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用の偏光板および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5901B2 (ja) * 2006-11-14 2009-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5448024B2 (ja) * 2007-03-15 2014-03-1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003A (ko) * 2006-04-25 2008-05-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33827A (ko) * 2007-02-15 2009-04-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65017A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026484A (ja) * 2008-06-20 2010-02-04 Sumitomo Chemical Co Ltd 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用の偏光板および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648A (ko) * 2012-12-04 2014-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9542A (ko) * 2013-04-05 2015-12-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2948A (zh) 2011-08-24
TWI521267B (zh) 2016-02-11
CN102162948B (zh) 2016-05-04
KR101685715B1 (ko) 2016-12-12
JP2011170234A (ja) 2011-09-01
TW201137460A (en)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1827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10096491A (ko) 액정 표시 장치
JP609039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70894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811878B1 (ko)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JP5903794B2 (ja) 偏光板のセット、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00096011A (ko) 복합 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
WO2010067896A1 (ja)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JPWO2017047408A1 (ja) 複合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
KR20130074559A (ko) 표시 얼룩이 없는 액정 표시 장치
JP6390764B2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133301A (ja) 液晶表示装置
KR101781308B1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KR101643503B1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748531B1 (ko) 편광판 세트 및 액정 패널
JP2010139729A (ja)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0102282A (ja)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0139703A (ja)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0079210A (ja)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0035906A1 (ja)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10108925A (ko)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용의 편광판 및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