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670A -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670A
KR20110095670A KR1020100015269A KR20100015269A KR20110095670A KR 20110095670 A KR20110095670 A KR 20110095670A KR 1020100015269 A KR1020100015269 A KR 1020100015269A KR 20100015269 A KR20100015269 A KR 20100015269A KR 20110095670 A KR20110095670 A KR 2011009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vertical
ruler
digital displa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522B1 (ko
Inventor
김형일
신용일
김효준
문성근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to KR102010001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5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61D2003/003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with head or neck restrai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용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및 기타 약물 투여 실험 등에 있어 그 실험 대상체인 동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동물의 크기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험판과; 상기 실험판의 위에 구비되고 실험대상체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측면고정지그와 실험대상체의 입을 고정시키는 구강고정지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수직자와; 상기 수직자의 이동거리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제1디지털표시기와; 상기 수직자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수평자와; 상기 수평자의 이동거리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제2디지털표시기;를 포함하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Stereotaxic Device for animal experimentation}
본 발명은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험용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외과적 시술 및 기타 약물 투여 실험 등에 있어 그 실험 대상체인 동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동물의 크기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에 관한 것이다.
흰쥐, 마우스, 기니피그, 닭 등과 같은 실험용 동물의 뇌하수체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적 시술 내지, 동물 신경세포들의 생리적 및 약리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약물투여 실험 등을 진행할 때, 통상 실험대상체인 동물을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위장치를 사용한다.
여기서 실험동물의 뇌하수체를 제거하는 외과적시술(Hypophysectomy)은 주로 암컷의 유방암, 숫컷의 전립선암, 뇌하수체 암 등 호르몬 관련 암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약물투여 실험은 외이도 (External auditory canal)를 통해 두개강내 정중돌기(Medianeminence)에 약물 또는 역추적 염료를 원하는 양만큼(n1~u1) 주입하여, 상기 정중돌기에 발생한 질환(신생물 등)을 치료하거나, 정중돌기로 투사하는 신경세포들을 표지하여 그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종래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는 통상 직사각 판상체를 취하는 설치판을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설치판의 상부측 전방 중앙에 구강 고정수단을 장착시키고, 상기 설치판의 상부측 후면에 좌, 우 대칭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두개골 고정수단을 장착시키며, 재차 상기 한 쌍의 두개골 고정수단에 각각 약물주입수단을 더 구비되게 한 것을 기본구성으로 한다.
다만, 실험대상인 동물은 출생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성장과정을 거치게 되는 생물체로, 실험대상이 어린 동물이냐, 성체이냐에 따라 정위장치의 각 구성요소들 또한 가변조절 가능하여 실험동물을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해야하나, 이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실험도중 실험대상체의 크기를 측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자를 실험대상체의 위에 두고 자에 새겨진 미세한 눈금을 눈대중으로 확인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크기 측정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험대상체를 정확히 고정시키면서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실험대상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자 및 수평자를 편리하게 이동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디지털표시기와 제2디지털표시기의 이동을 방지하여 실험대상체의 크기 측정시 오차를 줄이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험판과;
상기 실험판의 위에 구비되고 실험대상체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측면고정지그와 실험대상체의 입을 고정시키는 구강고정지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수직자와;
상기 수직자의 이동거리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제1디지털표시기와;
상기 수직자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수평자와;
상기 수평자의 이동거리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제2디지털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면고정지그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과 고정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볼트공에 삽입되어 고정봉의 일측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디지털표시기에는 수직자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수직자가 이동되고,
상기 제2디지털표시기에는 수평자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수평자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자의 전, 후이동과, 수평자의 좌,우 이동은 노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디지털표시기는 실험판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고정부에 의해 제1디지털표시기가 고정되고,
상기 제2디지털표시기는 수직자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는 측면고정지그와 구강고정지그를 통해 실험대상체를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실험대상체의 크기에 따른 수직자와 수평자의 이동거리를 제1디지털표시기 및 제2디지털표시기를 통해 수치로 확인가능하여 보다 간편하게 실험대상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험자가 실험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노브가 구비됨에 따라, 노브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수평자를 좌, 우로 이동시키거나 수직자를 전, 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고, 수평자 또는 수직자의 움직임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디지털표시기와 제2디지털표시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실험대상체의 크기 측정시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제2디지털표시기가 수직자에 고정됨에 따라 실험대상체의 길이 측정시 오차를 최소화하여 더욱 정확한 길이측정이 가능하며, 실험대상체의 부위별 너비 측정이 가능한 부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에 실험대상체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험판(10), 고정수단(20), 수직자(30), 제1디지털표시기(40), 수평자(50), 제2디지털표시기(60)를 포함하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험판(10)은 실험대상체가 올려지는 판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를 갖을 수 있으나, 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실험판(10)의 모서리에 받침다리를 둘 수도 있다.
이러한 실험판(10)의 위에는 고정수단(20)이 구비된다. 이는 실험대상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실험대상체의 측면을 고정시키기 위한 측면고정지그(21)와 실험대상체의 입이 고정되는 구강고정지그(23)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측면고정지그(21)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한 쌍의 측면고정지그(21)는 구강고정지그(23)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실험대상체는 한 쌍의 측면고정지그(21)의 사이에 위치되어 그 측면이 고정된다.
이러한 측면고정지그(21)는 고정봉(211)과, 고정봉(211)이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212)과 고정볼트(215)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214)이 형성된 가이드부(213)와, 볼트공(214)에 삽입되어 고정봉(211)의 일측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1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13)는 실험판(10)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213)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이동공(212)이 형성되고, 전면의 중심에는 볼트공(21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211)은 이동공(212)에 삽입되어 좌, 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고정봉(211)의 단부가 실험대상체의 양측에 각각 닿도록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실험대상체가 측면고정지그(21)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15)는 실험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봉(211)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고정봉(211)을 실험대상체의 양측에 닿도록 이동시킨 후, 고정볼트(215)를 볼트공(214)에 체결하여 고정볼트(215)의 볼트부가 고정봉(211)의 일측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고정봉(211)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강고정지그(23)는 실험대상체의 입이 고정되는 부분으로, 실험대상체의 돌출된 입이 삽입될 수 있는 고리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대상체의 이빨이 물려지기 위한 고정구(231)가 형성되어 구강고정지그(23)에 실험대상체의 입이 고정된다.
이때 실험판(10)의 위에 지지부(232)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 또는 고정구(231)는 연결구(233)에 의해 상기 지지부(232)에 고정되되, 상기 연결구(233)가 실험판(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실험대상체의 입의 높이와 연결구(233)에 의해 연결된 고리 또는 고정구(231)의 높이가 일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32)에 고정된 연결구(233)는 통상의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험대상체의 입의 위치에 따라 원활하게 연결구(233)의 높이를 조절하여 실험대상체의 입이 고리 또는 고정구(231)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수단은 보다 간편하게 실험대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어 실험자가 용이하게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의 수직자(30)는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것으로, 실험판(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수직자(30)는 구강고정수단(23)의 연결구(233)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자(30)는 전, 후로 이동시켜 실험대상체의 길이를 재는데 사용된다. 이때 상기 수직자(30)의 이동거리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것이 제1디지털표시기(40)이다.
제1디지털표시기(40)는 수직자(30)의 이동전 위치를 영점으로 하여 수직자(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를 제1디지털표시기의 화면에 수치로 표시하는 것이며, 이 표시된 수치가 실험대상체의 길이인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자(30)는 제1디지털표시기(40)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 상기 제1디지털표시기(40)에는 수직자(3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이드(41)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41)를 따라 수직자(30)가 전, 후로 이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평자(50)는 실험판(10)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자(30)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좌,우로 이동되며, 측면고정수단(21)의 고정봉(211)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자(50)는 좌, 우로 이동시켜 실험대상체의 너비를 재는데 사용된다. 이때 상기 수평자(50)의 이동거리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것이 제2디지털표시기(60)이다.
제2디지털표시기(60)는 수평자(50)의 이동 전 위치를 영점으로 하여 수평자(5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거리를 제2디지털표시기의 화면에 수치로 표시하는 것이며, 이 표시된 수치가 실험대상체의 너비인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자(50)는 제2디지털표시기(60)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 상기 제2디지털표시기(60)에는 수평자(5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수평자(50)가 좌, 우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가이드의 형태는 제1디지털표시기(40)의 이동가이드(41)과 동일하여 미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는 측면고정지그와 구강고정지그를 통해 실험대상체를 정확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실험대상체의 크기에 따른 수직자와 수평자의 이동거리를 제1디지털표시기 및 제2디지털표시기를 통해 수치로 확인가능하여 보다 간편하게 실험대상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험자가 실험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실험용 정위장치에서 수직자(30)의 전, 후 이동 및 수평자(50)의 좌, 우 이동은 노브(42)(62)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자(30)를 전, 후 이동시키는 노브(42)는 제1디지털표시기(40)의 일단에 수직자(30)의 측면과 닿도록 구비되되, 노브(42)를 회전시킴에 따라 수직자(30)가 전, 후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자(50)를 좌, 우 이동시키는 노브(62)는 제2디지털표시기(60)의 일단에 수평자(50)의 측면과 닿도록 구비되되, 노브(62)를 회전시킴에 따라 수평자(50)가 좌, 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노브(42)(62)는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각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노브가 구비되면, 노브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수평자를 좌, 우로 이동시키거나 수직자를 전, 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고, 수평자 또는 수직자의 움직임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실험용 정위장치는 수직자(30) 또는 수평자(50)의 이동시 제1디지털표시기(40) 또는 제2디지털표시기(60)가 함께 이동됨에 따라 실험대상체의 크기 측정시 오차가 클 수 있다.
따라서 크기 측정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직자(30)의 이동시 제1디지털표시기(40)가 움직이지 않도록 실험판(10)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고정부(11)에 의해 제1디지털표시기(40)가 고정되고, 수평자(50)의 이동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디지털표시기도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디지털표시기(60)는 실험판(10)에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디지털표시기(60)가 수직자(30)의 일단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지털표시기(60)의 측면에 돌출된 고정돌기(61)가 수직자(30)의 일단과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제2디지털표시기(60)는 수직자(30)의 전, 후 이동에 따라 전, 후로 이동된다. 그러나 수평자(50)의 이동시에는 수직자(30)에 의해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디지털표시기(60)가 수직자(30)에 고정되면, 수평자(50) 및 제2디지털표시기(60)가 수직자(30)를 따라 전, 후로 이동되면서 실험대상체의 길이를 측정할 때 별도의 도구 없이도 보다 정확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수평자(50)가 함께 이동되지 않고, 수직자(30)만 전, 후로 이동되는 경우 실험대상체와 수직자(30)의 위치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자(30)의 이동시 실험대상체의 전방끝과 후방끝의 위치를 실험자가 눈대중으로 파악하여 수직자(30)를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실험대상체의 길이 측정시 오차가 커질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자를 이용하여 실험대상체의 끝부분에 자를 대고 그 자에 수직자(30)가 도달할 때까지 이동시켜 길이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별도의 자와 수직자(30)가 형성하는 각이 수직이 아닌 경우 오차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평자(50) 및 제2디지털표시기(60)가 수직자(30)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면, 오차를 줄이면서 실험대상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자(50)의 후면이 실험대상체의 후방끝에 놓이도록 수직자(30)를 이동시켜 영점을 체크한 경우, 영점 체크 후 실험대상체의 전방끝에 수평자(50)의 후면이 도달하도록 수직자(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1디지털표시기(40)에 표시된 수치를 체크한다. 즉, 수직자(30)와 수직을 이루는 수평자(50)를 통해 실험대상체의 후방끝과 전방끝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대상체의 길이 측정시 오차를 줄여 더욱 정확한 길이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수직자(30)의 이동으로 수평자(50)의 위치를 전, 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실험대상체의 부위별 너비 측정이 가능한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도 3은 도 1의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에 실험대상체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로,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실험대상체로서 쥐를 사용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쥐의 이가 구강고정지그(23)의 고정구(231)에 고정되도록 한 뒤, 구강고정지그(23)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측면고정지그(21)의 고정봉(211)이 쥐의 양측면에 각각 닿아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시킨 뒤, 고정볼트(215)를 체결하여 고정봉(211)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2디지털표시기(60) 측의 노브(62)를 회전시켜 수평자(50)의 일단이 쥐의 좌측끝단에 오도록 하여 이를 영점으로 하고, 다시 수평자(50)의 일단이 쥐의 우측끝단에 오도록 이동시키면, 제2디지털표시기(60)의 화면에 그 이동된 거리가 수치로 표시되어 보다 간편하게 쥐의 너비측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수평자(50)의 전면이 쥐의 입부분에 오도록 수직자(30)를 이동시켜 그 위치를 영점으로 하고, 다시 제1디지털표시기(40)의 노브(42)를 회전시켜 수평자(50)의 전면이 쥐의 꼬리부분에 위치되도록 수직자(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영점으로부터 이동된 거리가 제1디지털표시기(40)의 화면에 수치로 표시되어 쥐의 길이가 간편하게 측정되며, 수평자(50)에 의해 쥐의 전방끝과 후방끝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다.
10: 실험판
11: 돌출고정부
20: 고정수단
21: 측면고정지그 211: 고정봉 212: 이동공
213: 가이드부 214: 볼트공 215: 고정볼트
23: 구강고정지그 231: 고정구 232: 지지부
233: 연결구
30: 수직자
40: 제1디지털표시기
41: 이동가이드 42: 노브
50: 수평자
60: 제2디지털표시기
61: 고정돌기 62: 노브

Claims (5)

  1. 실험판(10)과;
    상기 실험판(10)의 위에 구비되고 실험대상체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측면고정지그(21)와 실험대상체의 입을 고정시키는 구강고정지그(23)로 구성되는 고정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수직자(30)와;
    상기 수직자(30)의 이동거리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제1디지털표시기(40)와;
    상기 수직자(30)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수평자(50)와;
    상기 수평자(50)의 이동거리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제2디지털표시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고정지그(21)는 고정봉(211)과;
    상기 고정봉(211)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212)과 고정볼트(215)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214)이 형성된 가이드부(213)와;
    볼트공(214)에 삽입되어 고정봉(211)의 일측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디지털표시기(40)에는 수직자(3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이드(41)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41)를 따라 수직자(30)가 이동되고,
    상기 제2디지털표시기(60)에는 수평자(5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따라 수평자(50)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실험용 정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자(30)의 전, 후이동과, 수평자(50)의 좌,우 이동은 노브(42)(6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디지털표시기(40)는 실험판(10)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고정부(11)에 의해 제1디지털표시기(40)가 고정되고,
    상기 제2디지털표시기(60)는 수직자(30)의 일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KR1020100015269A 2010-02-19 2010-02-19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KR10113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69A KR101136522B1 (ko) 2010-02-19 2010-02-19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69A KR101136522B1 (ko) 2010-02-19 2010-02-19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670A true KR20110095670A (ko) 2011-08-25
KR101136522B1 KR101136522B1 (ko) 2012-04-17

Family

ID=4493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269A KR101136522B1 (ko) 2010-02-19 2010-02-19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52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612A (zh) * 2012-06-04 2014-07-16 南通大学 结构合理的立体定位仪用角度校正器
CN104720883A (zh) * 2015-03-16 2015-06-24 南通大学 一种啮齿类动物脊柱固定装置
CN107167053A (zh) * 2017-06-15 2017-09-15 内蒙古智牧溯源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牲畜围类滚动测量装置
KR20180135254A (ko) * 2017-06-12 2018-12-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위장치
CN109106464A (zh) * 2018-08-14 2019-01-01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用于制备脊髓损伤实验模型的装置和固定机构
CN109223236A (zh) * 2017-07-11 2019-01-18 上海积发生物科技有限公司 实验动物尸体标本中枢神经快速精准裁取器及裁取方法
KR20190130907A (ko) * 2018-05-15 2019-11-2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측정 장치, 부피 산출 시스템, 실험 동물의 꼬리의 부피를 산출하는 방법 및 실험 동물의 꼬리의 부피를 산출하는 프로그램
CN110811901A (zh) * 2019-10-10 2020-02-2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用于生物实验的电极植入系统
WO2021184462A1 (zh) * 2020-03-17 2021-09-23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脑立体定向注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44B1 (ko) 2013-11-07 2015-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동물용 수술대
KR101633560B1 (ko) * 2014-10-08 2016-06-2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험용 쥐의 미정맥 주사 및 채혈 보조기구
KR102539464B1 (ko) * 2021-01-27 2023-06-0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실험동물용 집속초음파 조사장치
KR102533678B1 (ko) 2021-08-25 2023-05-17 (주)플라스바이오 다양한 약물 투여 방법에 적용 가능한 실험동물 보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9212B2 (ja) * 1993-02-10 2003-05-26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動物用固定装置
JPH07111999A (ja) * 1993-10-19 1995-05-02 Kanebo Ltd 実験動物固定台
JP2000197649A (ja) * 1999-01-04 2000-07-18 Teijin Ltd ウサギ固定装置
KR100916509B1 (ko) * 2007-10-17 2009-09-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용 설치류 고정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612A (zh) * 2012-06-04 2014-07-16 南通大学 结构合理的立体定位仪用角度校正器
CN103919627A (zh) * 2012-06-04 2014-07-16 南通大学 立体定位仪上使用的任意插入的校正器
CN104720883A (zh) * 2015-03-16 2015-06-24 南通大学 一种啮齿类动物脊柱固定装置
KR20180135254A (ko) * 2017-06-12 2018-12-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위장치
CN107167053A (zh) * 2017-06-15 2017-09-15 内蒙古智牧溯源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牲畜围类滚动测量装置
CN107167053B (zh) * 2017-06-15 2024-01-12 内蒙古智牧溯源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牲畜围类滚动测量装置
CN109223236A (zh) * 2017-07-11 2019-01-18 上海积发生物科技有限公司 实验动物尸体标本中枢神经快速精准裁取器及裁取方法
KR20190130907A (ko) * 2018-05-15 2019-11-2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측정 장치, 부피 산출 시스템, 실험 동물의 꼬리의 부피를 산출하는 방법 및 실험 동물의 꼬리의 부피를 산출하는 프로그램
CN109106464A (zh) * 2018-08-14 2019-01-01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用于制备脊髓损伤实验模型的装置和固定机构
CN109106464B (zh) * 2018-08-14 2023-09-29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用于制备脊髓损伤实验模型的装置和固定机构
CN110811901A (zh) * 2019-10-10 2020-02-2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用于生物实验的电极植入系统
WO2021184462A1 (zh) * 2020-03-17 2021-09-23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脑立体定向注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522B1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522B1 (ko)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US6716220B2 (en) Stereotaxic holders, stereotaxic alignment systems comprising same, and methods for using same
WO2009015548A1 (fr) Appareil stéréotaxique présentant une structure simple
KR102436988B1 (ko) 임플란트 수복 공간 분석용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761545B1 (ko) 동물 실험용 정위장치
US201401705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scanning an object in registration with a reference pattern
JP3166457U (ja) 針体支持スタンド
KR100647491B1 (ko)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동물실험용정위기구
CN208114671U (zh) 一种辅助脑立体定位仪使用的鱼固定台
KR102008811B1 (ko) 영장류 뇌 정위 장치
CN113056241A (zh) 数字化三维牙齿模型系统
JP2015065999A (ja) 骨密度測定装置
CN111743648A (zh) 正中颌托盘、使用方法及应用于数字化全口义齿制作方法
JPH0450010B2 (ko)
CN108904015B (zh) 一种ct、mri引导穿刺辅助定向装置
KR101701273B1 (ko) 얼굴 대칭평가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03802468U (zh) 胫骨扭转角测量仪
CN215192572U (zh) 一种神经环路示踪用脑立体定位仪
KR20190013340A (ko) 비침습적 뇌활동 이미징용 동물 구속장치
CN207804418U (zh) 一种用于家兔腓肠肌及比目鱼肌肌力测定的可调式操作台
KR101292718B1 (ko) 주사액 토출기 테스트용 지그
CN201353145Y (zh) 一种多功能体厚尺
CN101637386A (zh) 一种人体第四脑室前后径及左右径的mri定位测量方法
CN111743649A (zh) 多功能终印模装置、使用方法及数字化全口义齿制作方法
CN109663223A (zh) 一种放射治疗头部定位用定位标记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